KR102304459B1 - 삼륜탑승기구 - Google Patents

삼륜탑승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459B1
KR102304459B1 KR1020190060806A KR20190060806A KR102304459B1 KR 102304459 B1 KR102304459 B1 KR 102304459B1 KR 1020190060806 A KR1020190060806 A KR 1020190060806A KR 20190060806 A KR20190060806 A KR 20190060806A KR 102304459 B1 KR102304459 B1 KR 102304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footrest
transmission member
coupled
rota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395A (ko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PCT/KR2019/00632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240403A1/ko
Publication of KR2019014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1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means for inwardly inclining the vehicle body on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28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exible drive members, e.g.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삼륜탑승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삼륜탑승기구는 서서 타는 삼륜탑승기구로서,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륜과 틸팅프레임 및 조향 조작을 하는 핸들조작부를 포함하는 틸팅본체; 일단이 상기 틸팅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종동륜을 포함하는 고정본체; 앞단이 상기 틸팅프레임에 결합되고, 뒷단이 상하 회동되어 상기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발판부; 발판부가 하방으로 회동 시 상기 발판부가 일정 높이 밑으로는 안내려가게 상기 발판부를 지지하는 발판지지부: 상기 발판부 조작으로 생긴 구동력을 상기 구동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발판부 조작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가이드부: 및 상기 발판부를 밟아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발판부가 지지부재에 인접한 위치까지 내려가거나 발판지지부재에 인장력이 걸리기 직전에 상기 발판부 회동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부하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양 끝단이 양쪽 상기 발판부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회동가이드부에 경유되어 상기 발판부의 상하 회동 시 상기 회동가이드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구성되거나 중간 부위가 상기 회동가이드부에 결합되고 양 끝단이 발판부에 결림되게 구성되면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발판부의 상하 회동시 회동가이드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구성되는 제1동력전달부재; 및 일단이 상기 회동가이드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틸팅본체에 결합되면서 일부가 상기 구동륜의 동력전달기어에 경유되어 상기 발판부의 상하 회동 시 상기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제2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삼륜탑승기구{Three-wheeled boarding apparatus capable of tilting}
본 발명은 삼륜탑승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코너 주행 시 원심력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일정 부위가 틸팅되는 삼륜탑승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륜탑승기구는 탑승자의 이동이나 각종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기구를 말하며 자전거, 보드, 스쿠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삼륜탑승기구는 전륜, 후륜 및 탑승 영역을 갖도록 구성되며 삼륜형 또는 역삼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삼륜형 또는 역삼륜형으로 제공되는 삼륜탑승기구는 배터리 전력을 통해 구동되는 전동식과 탑승자가 페달을 승하강시켜 구동되는 수동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삼륜형이나 역삼륜형 삼륜탑승기구는 고속으로 코너나 휘어진 길 주행 시 원심력으로 인해 밖으로 나갈려는 힘이 발생하고, 이러한 원심력을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삼륜탑승기구를 안쪽으로 기울이는 틸팅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삼륜탑승기구의 틸팅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81635호(등록일자: 2015.12.23)에는 '틸팅 가능한 삼륜탑승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탑승자의 페달 조작에 의해 페달이 하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페달이 지지부재에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적지 않은 소음과 접촉부위에 충격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 시 페달과 지지부재가 심하게 파손되는 문제점과, 충격이 탑승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장시간 탑승 시 탑승자의 하체 관절에 무리가 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장시간 사용해도 페달과 지지부재가 파손되지 않고, 소음이 적게 발생하면서 탑승자의 관절에 무리가 덜 가는 삼륜탑승기구에 대한 당업계의 니즈가 존재한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는 탑승자의 체중이 한쪽으로 이동시에도 탑승자의 체중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코너 주행 시 코너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안전한 코너 주행이 가능한 삼륜탑승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개시는 발판부를 상하 조작할 경우 발판부가 지지부재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줄이므로서 발판부와 지지부재가 서로 접촉되는 부위에 발생하는 충격응력을 줄이고 무릎과 발목 관절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 시에도 삼륜탑승기구 내구성을 좋게 하면서 무릎과 발목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는 삼륜탑승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틸팅 가능한 삼륜탑승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륜탑승기구는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륜과 틸팅프레임 및 조향 조작을 하는 핸들조작부를 포함하는 틸팅본체; 일단이 상기 틸팅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종동륜을 포함하는 고정본체; 앞단이 상기 틸팅프레임에 결합되고, 뒷단이 상하 회동되어 상기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발판부; 발판부가 하방으로 회동 시 상기 발판부가 일정 높이 밑으로는 안 내려가게 상기 발판부를 지지하는 발판지지부: 상기 발판부 조작으로 생긴 구동력을 상기 구동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밀착되어 회전되는 도르래가 구비되는 회동가이드부: 및 상기 발판부를 밟아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발판부가 지지부재에 인접한 위치까지 내려가거나 발판지지부재에 인장력이 걸리기 직전에 상기 발판부 회동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부하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양단이 각각 상기 발판부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회동가이드부에 경유되어 상기 발판부의 상하 회동 시 상기 회동가이드부를 상하로 이동시켜는 제1동력전달부재; 및 일단이 상기 회동가이드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틸팅본체에 결합되면서 일부가 상기 구동륜의 동력전달기어에 경유되어 상기 발판부의 상하 회동 시 상기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제2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발판부의 상하 회동 시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와 마찰되어 회전되는 회전가이드부재;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의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발판부가 지지부재에 인접한 위치까지 내려가거나 발판지지부재에 인장력이 걸리기 직전에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와 걸림 되어 상기 발판부의 회동속도를 줄여주고, 상기 발판부가 상방으로 회동 시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와 걸림 해제되는 걸림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발판부가 상하 회동 시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가 상기 걸림돌출부에 걸리면 밀착되어 상기 발판부 회동 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가 상기 걸림돌출부에서 걸림 해제되면 밀착 해제되는 마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틸팅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리고 타단에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가 밀착되어 회전되는 도르래가 구비되는 회동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동력전달부재 또는 어느 한 동력전달부재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지지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발판부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마주보는 다른 한쪽에 구비되되, 상기 틸팅본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되는 구름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발판부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면서 반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회동결합부; 및 상기 결합홈에 일부 영역이 노출되게 결합되면서 상기 노출 부위가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어 구름 가능하게 구 형상으로 구비되는 구름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름부재가 접촉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탄성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탑승자의 체중이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이동해도 탑승자의 체중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는 삼륜탑승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발판부를 구동 시 발판부가 지지부재에 접촉되기 직전 부하제공부에 의해 발판부 회동 속도를 감속시켜 발판부와 지지부재 접촉부위에 발생하는 충격응력을 줄일 수 있고, 탑승자 무릎과 발목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 시에도 무릎과 발목에 부담이 작으면서 소음이 작은 삼륜탑승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발판부를 구동시 발판지지부재가 팽팽하게 펴지기 직전에 부하제공부에 의해 발판부 회동속도를 감속시켜 발판지지부재에 발생하는 인장충격을 줄일 수 있는 삼륜탑승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발판부가 하방으로 이동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 일부가 구동륜을 회전시키는 쪽으로 전환되어 구동효율이 증가한 삼륜탑승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이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삼륜탑승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삼륜탑승기구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삼륜탑승기구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름부 및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조회전체가 구비된 삼륜탑승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동가이드부에 대한 제2실시예인 삼륜탑승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판지지부재가 구비된 삼륜탑승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판지지부재가 구비된 삼륜탑승기구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동력전달부재에 대한 제2실시예인 삼륜탑승기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륜탑승기구(10)는 틸팅본체(100), 고정본체(200), 발판부(300), 동력전달부재(400), 회동가이드부(500), 발판지지부(600) 및 부하제공부(7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본체(100)는 핸들조작부(110), 핸들조작부(110) 하방에 구비되는 구동륜(120) 및 핸들조작부(110)로부터 종동륜(220)을 향해 연장되는 틸팅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110)는 상부에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핸들(111)과 일단이 핸들(111)에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륜(120)을 향해 연장되는 핸들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조작부(110)는 사용자가 삼륜탑승기구(10)에 탑승하여 코너 주행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틸팅본체(100)의 기울임(틸팅)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112)에는 인장스프링(114)이 결합된다. 이러한 인장스프링(114)은 제2동력전달부재(420)와 연결되어 탑승자가 발판(320)에서 발을 떼는 경우, 인장력이 작용함에 따라 제2동력전달부재(420)를 인장스프링(114) 쪽으로 당겨 발판부(300)를 상방으로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륜(120)은 틸팅본체(100)의 전방에 구비되는데, 코너 주행 시 좌우로 틸팅 가능하도록 하나로 제공되며, 후술할 발판부(300)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구동륜(120)은 핸들프레임(112)의 하부에 형성되는 포크부(113)에 축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구동륜(120)에는 구동륜(120) 일측에 결합되는 동력전달기어(121)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기어(121)는 구동륜(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동력전달부재(42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구동륜(120)으로 전달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동력전달기어(121)는 일예로 벨트풀리(beltpulley) 형태로 제공되고 외주면에 제2동력전달부재(420)의 일부가 고정 결합되면서 감기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동력전달기어(121) 안쪽 부위에 한쪽 방향으로만 걸리는 원웨이베어링이 구비되어 발판부(300)가 하방으로 회동 시는 구동력을 구동륜(120)에 전달하고 발판부(300)가 상방으로 회동 시는 구동륜(120)을 역회전시키지 않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틸팅프레임(130)은 핸들조작부(110)로부터 하방과 후방 쪽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핸들조작부(110)를 통해 틸팅본체(100)가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틸팅프레임(130) 뒷단이 고정프레임(210) 앞단에 끼움 결합되어 틸팅본체(100)가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본체(200)는 일단이 틸팅프레임(130)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10)과, 고정프레임(2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종동륜(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프레임(210)은 틸팅본체가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틸팅프레임(130)의 뒷단에 외삽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프레임(210)은 일예로 'T'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양측에 종동륜(220)이 구비되어 틸팅본체(1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임 조작되는 경우 바닥면으로부터 기울임 조작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210)에는 지지부재(2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230)는 고정프레임(210) 부위 중 앞단과 가까운 부위에서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구성되어 발판부(30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발판부(300)의 뒷단과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종동륜(220)은 고정프레임(210) 뒷단 양측에 구비되면서 구동륜(120)보다 크기가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향은 종동륜(220)으로 하게 구성되고, 조향되는 구조는 이미 공개되고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라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부(300)는 앞단이 틸팅프레임(13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발판부(300)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면서 앞단이 축을 통해 포크부(113) 및 구동륜(12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발판부(300)는 앞단이 회동되는 경우 뒷단이 고정프레임(210)과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된다. 좀더 상세하게 발판부(300) 뒷단이 회동되는 경우 고정프레임(210)에 구비되는 지지부재(230)와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된다. 이때, 발판부(300)는 제1동력전달부재(410)와 2동력전달부재(420)를 통해 구동륜(120)을 구동시킨다.
이러한 발판부(300)는 페달프레임(310)과 발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페달프레임(310)은 앞단이 포크부(113)에 결합되고 뒷단은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페달프레임(310)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뒷단 부위가 지지부재(230)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페달프레임(310) 뒷단은 탑승자의 양다리 폭에 맞게 형성되어 탑승자가 적당한 다리의 폭을 유지하며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320)은 탑승자가 탑승하는 부위로 페달프레임(310) 중간과 뒷단 상부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부는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게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동가이드부(500)는 일단이 틸팅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핸들조작부(110)와 틸팅프레임(13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동가이드부(500)는 발판부의 상하 회동 시 제1동력전달부재(410)를 통해 발판부(300)와 함께 상하로 회동되면서 동력전달부재(400)가 발판부(300)로부터 구동륜(120)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전달기어(121)로 향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후방으로 연장된 회동가이드부(500) 타단 하부에 도르래(5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도르래(510)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동력전달부재(410)의 일부가 도르래(510)를 경유하게 구성하여 발판부(300)를 조작 시 회동가이드부(500)가 발판부(300)와 같이 상하 회동되게 구성된다.
즉, 상승한 발판부(300)를 밟을 경우 상승한 발판부(300)에 실린 탑승자 체중을 뺀 나머지 체중이 반대쪽 발판부(300)에 실리기 때문에 반대쪽 발판부(300)는 상승하지 않고 회동가이드부(500)가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승한 발판부(300)에 탑승자 체중 절반 이상 실을 수 없기 때문에 서서 타는 전기자전거나 어린이자전거 같이 탑승자 체중을 많이 실을 필요가 없는 삼륜탑승기구에 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르래(510) 부위 중 동력전달부재(400)가 풀리고 감기는 부위는 앞뒤에 위치하게 구성되면서 좌우 어느 한 쪽으로 지우치지 않고 중앙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발판부(300)를 조작 시 회동가이드부(500)를 당기는 힘이 중앙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상승한 발판부(300)를 밟을 때 틸팅본체(100)가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재(400)는 발판부(300) 조작으로 생긴 구동력을 구동륜(120)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제1동력전달부재(410)와 제2동력전달부재(4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동력전달부재(410)는 일단이 한쪽에 위치한 페달프레임(310) 중간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반대쪽에 위치한 페달프레임(310) 중간 부위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동력전달부재(410) 일부분이 회동가이드부(500)에 구비된 도르래(510)를 경유하게 구성하여 발판부(300) 뒷단이 하방으로 회동될 때 제1동력전달부재(410)를 통해 회동가이드부(500)를 당기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동력전달부재(410) 양단이 양쪽 발판부(300)에 각각 결합되고 일부분이 도르래(510)를 경유하게 구성함으로써, 발판부(300)를 조작시 틸팅본체(100)가 틸팅되든 안 되든 상관없이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에 접촉되기 직전에 후술하는 부하제공부(710)에 의해 발판부(300) 회동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하게 할 수 있다.
제1동력전달부재(410) 일부분이 도르래(510)를 경유하는 형태로 구성되지 않을 경우, 틸팅본체(100)가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발판부(300)를 조작시,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발판부(300) 상하 이동거리와 바깥쪽에 위치한 발판부(300) 상하 이동거리가 달라져서 부하제공부(710)는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에 접촉되기 직전에 발판부(300) 회동속도를 감속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틸팅본체(100)가 틸팅된 상태에서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에 접촉할 때, 발판부(300)와 지지부재(230)가 서로 접촉되는 부위에 충격이 발생되고 소음도 같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동력전달부재(420)는 일단이 회동가이드부(500)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핸들프레임(112)에 구비된 인장스프링(114)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2동력전달부재(420) 일부분이 후술하는 부하제공부(710)와 동력전달기어(121)에 연결되면서 감긴 형태로 경유하게 구성되어 발판부(300)가 하방으로 회동 시 제2동력전달부재(420)가 부하제공부(710)와 동력전달기어(121)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제1동력전달부재(410)와 제2동력전달부재(420)는 발판부(300)가 상하로 회동되거나 틸팅본체(100)가 좌우로 틸팅되는 경우 발판부(300) 이동방향 따라 형상이 가변되면서 길이는 늘어나지 않는 가변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동력전달부재(410)와 제2동력전달부재(420)는 잘 휘어지면서 비강도가 와이어보다 15배나 강한 슈퍼 고강도 섬유인 다이니마 섬유 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하제공부(710)는 발판부(300)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지지부재(230)와 인접한 위치에 도달하면 동력전달부재(400) 이동에 부하가 걸리게 하는 구성으로 회동가이드부(500) 상방에 위치한 핸들프레임(112) 부위에 구비되는 회전가이드부재(711)와 마찰부(713)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가이드부재(711)는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712)가 구비되고 외주면은 제2동력전달부재(420)가 감길 수 있게 홈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2동력전달부재(420) 일부가 회전가이드부재(711) 외주면에 연결되면서 감기는 형태로 경유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림돌출부(712)는 탑승자가 발판(320)을 밟아 발판부(300)가 하방으로 회동시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에 접촉되기 직전에 제2동력전달부재(420) 일부분이 걸리면서 제2동력전달부재(420)가 순간적으로 많이 당겨지게 구성된다.
즉,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에 접촉되기 직전에 동력전달기어(121)에서 제2동력전달부재(420)가 순간적으로 많이 풀리면서 구동륜(120)을 많이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구동륜(120)을 순간적으로 많이 회전시킬 경우, 동력전달부재 이동에 부하가 걸려 발판부(300)는 지지부재(230)에 느리게 접촉 또는 순간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 상방에서 정지될 경우 구동륜(120)이 계속 회전하면서 제2동력전달부재(420)가 동력전달기어(121)로부터 풀림에 따라 발판부(300)는 지지부재(230)에 느리게 접촉된다. 따라서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에 접촉 시 발생되는 소음과 충격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찰부(713)는 회전가이드부재(711)가 회전시 걸림돌출부(712)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걸림돌출부(712) 회전 경로와 가깝고 제2동력전달부재(420)와 가까운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동력전달부재(420)가 걸림돌출부(712)에 걸릴 경우 제2동력전달부재(420) 일부분이 마찰부(713)에 접촉되면서 휘어지게 하여 제2동력전달부재(420)가 순간적으로 많이 당겨지게 구성된다.
즉,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에 접촉되기 직전에 제2동력전달부재(420)가 걸림돌출부(712)와 마찰부(713)에 걸리면서 휘어짐에 따라 제2동력전달부재(420)는 동력전달기어(121)에서 순간적으로 많이 풀리게 된다. 그리고 동력전달기어(121)를 순간적으로 빠르게 회전시킴에 따라 동력전달부재 당김에 부하가 걸리게 되면서 하방으로 회동하는 발판부(300) 속도는 감속 또는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에 접촉할 때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이 줄어들게 된다.
발판부(300)가 상방으로 회동하면 제2동력전달부재(420)는 걸림돌출부(712)에서 걸림 해제됨과 동시에 마찰부(713)와 접촉도 해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지지부(600)는 발판부(300)가 하방으로 회동시 발판부(300) 뒷단을 지지하여 발판부(300)가 일정 높이 밑으로 회동 안 되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판지지부(600)는 지지부재(230)와 페달프레임(310)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지지부(620)와 서로 마주보는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구름부(610)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름부(610)는 지지부재(230)와 페달프레임(310)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회동결합부(611); 및 회동결합부(6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틸팅본체(1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지지부(620)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구름부재(6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동결합부(611)는 지지부재(230)와 발판부(300)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지지부(620)와 서로 마주보는 다른 한쪽에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들에서는 회동결합부(611)가 발판부(300)에 구비되고 지지부(620)는 지지부재(230)에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동결합부(611)는 일예로 페달프레임(3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반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6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름부재(613)는 구 형상으로 결합홈(612)에 일부 영역이 노출되게 결합되고, 노출된 부위는 지지부(620)에 접촉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홈(612)으로부터 노출된 구름부재(613)의 일부 영역은, 틸팅본체(1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시 지지부(620)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틸팅본체(1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될 때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발판부(300) 뒷단은 측방과 후방 사이로 조금 이동하고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발판부(300) 뒷단은 전방과 측방 사이로 조금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구름부재(613)가 지지부(620)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여 구름부재(613)가 이동할 때 마찰응력이 줄어들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부(620)는 지지부재(230)상부에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구름부재(613)가 접촉되는 지지부(620) 부위에 탄성부재가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발판부(300)가 하방으로 회동 시 구름부재(613)가 탄성부재에 접촉되게 구성함으로써 구름부재(613)가 지지부(620)에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을 줄일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우레탄고무로 구성될 수 있는데, 경도가 낮은 연질우레탄은 탄성계수가 작아 접촉부위가 많이 넓어짐에 따라 접촉부위 중앙에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은 작게 발생하지만, 구름부재(613)가 지지부(620)에 너무 깊게 압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우레탄고무 경도가 올라갈수록 탄성계수가 올라가고 변형률이 작아지지만 탄성계수가 올라간 만큼 우레탄고무 항복강도는 올라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경질우레탄 같이 우레탄고무 경도가 너무 높으면 접촉 면적이 아주 작아짐에 따라 접촉 부위에 높은 압축응력이 생겨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우레탄고무 경도와 구름부재(613) 크기에 따라 구름부재(613)와 탄성부재가 서로 접촉되는 부위 중앙에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과 구름부재(613)가 지지부(620)에 압입되는 압입 깊이가 달라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구름부재(613) 크기와 우레탄고무 경도를 결정해야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우레탄고무는 인라인 바퀴 경도와 비슷한 쇼어경도 A70-95로 구성됨을 제시하지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틸팅본체(100)가 틸팅시 발판부(300) 뒷부분이 원활히 이동되게 하기 위해 구름부(610)가 구비될 경우 구름부재(613)가 지지부(620)에 접촉할 때 충격과 소음이 발생된다. 따라서 부하제공부(710)가 구비되어 구름부재(613)가 지지부(620)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이 줄어지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에 접촉되기 직전에 부하제공부(710)에 의해 발판부(300) 회동 속도를 감속시킴에 따라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이 작아질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부재 이동에 부하가 걸리게 함으로서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에너지 일부가 구동륜(120)을 회전시키는 쪽으로 전환되어 구동 효율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도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하제공부에 대한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부하제공부(720)는 회전가이드부재(711)와 보조회전체(7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보조회전체(721)는 마찰부(713)가 결합되는 위치에 마찰부(713) 대신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회전체(721)는 걸림돌출부(712) 끝부분이 이동하는 경로와 가까운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조회전체(721) 외주면에 제2동력전달부재(420)가 감길 수 있는 풀리 형태의 지름이 큰 홈과 지름이 작은 홈이 각각 구비되어 홈에 동력전달부재가 감길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조회전체(721)가 결합될 경우,
제2동력전달부재(420)는 제21동력전달부재(421)와 제22동력전달부재(4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동력전달부재(421)는 일단이 회동가이드부(500)에 결합되고 타단은 보조회전체(721) 작은 홈에 결합되면서 감기게 구성되며 일부분이 회전가이드부재에 연결되면서 경유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21동력전달부재(421)가 걸림돌출부(712)에 걸릴 경우 걸림돌출부(712)에 걸린 제21동력전달부재(421) 부위가 휘어짐과 동시에 제21동력전달부재(421)가 보조회전체(721)에서 많이 풀리게 구성된다.
상기 제22동력전달부재(422)는 일단이 보조회전체(721) 큰 홈에 결합되면서 감기게 구성되고 타단은 핸들프레임(112)에 구비된 인장스프링(114)에 결합되며, 일부분이 동력전달기어에 연결되면서 감긴 형태로 경유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1동력전달부재(421)가 걸림돌출부(712)에 걸리면 제21동력전달부재(421)가 보조회전체(721)에서 많이 풀림과 동시에 제22동력전달부재(422)가 보조회전체(721)에 많이 감기게 된다. 그리고 제22동력전달부재(422)가 동력전달기어(121)에서 많이 풀리면서 동력전달부재(400) 이동에 부하가 걸리게 되어 발판부(300) 회동 속도가 감속 또는 정지하게 된다.
제21동력전달부재(421)가 걸림돌출부(712)에서 걸림 해제되면 제21동력전달부재(421) 부위 중 휘어진 부위가 펴지게 됨으로 마찰부(713)가 구비될 때와 같은 효과가 있다.
[도 6]
도 6은 틸팅본체(100)가 틸팅되든 안 되든 상관없이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에 접촉되기 직전에 부하제공부(710)에 의해 발판부(300) 회동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회동가이드부(500)에 대한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동가이드부(500)는 핸들조작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판부(300)의 상하 회동 시 동력전달부재(400)를 통해 발판부(300)와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전달부재(400)는 제1동력전달부재(410)와 제2동력전달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제1동력전달부재(410)는 양단이 각각 발판부(300)에 결합되고 일부가 회동가이드부(500)에 경유되어 발판부(300)가 상하 회동 시 회동가이드부(50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동력전달부재(420)는 일단이 후술하는 제2도르래부에 결합되고, 일부가 부하제공부(710) 및 동력전달기어(121)에 경유되며, 타단이 핸들조작부(110)에 구비되는 인장스프링(114)에 결합되어 발판부(300)의 상하 회동 시 동력전달기어(121)를 통해 구동륜(12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인장스프링(114)은 제2동력전달부재(42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동가이드부(500)는 발판부(300)가 상하 회동 시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동력전달부재(410)의 일부가 도르래부에 경유되어, 제1동력전달부재(41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을 경우 제1동력전달부재(410)와 마찰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동가이드부(500)는 제1도르래부(520)와 제2도르래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도르래부(520)는 핸들조작부(110)에 구비되고 제1동력전달부재(410)의 일부가 밀착되어 발판부(300)의 회동 시 양방향 회전되는데, 제1회전체(521) 및 제2회전체(5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회전체(521)는 핸들조작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동력전달부재(410)의 일부가 제1회전체를 경유하게 구성되어 발판부(300)가 상하 회동 시 양방향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회전체(522)는 제1회전체(521)가 결합된 축에 제1회전체(521)와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회전체(522)는 제1회전체(521)와 마찬가지로 제1동력전달부재(410) 일부가 경유되고 발판부(300)가 상하 회동 시 제1회전체(521)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도르래부(530)는 제1동력전달부재(410) 일부가 경유되되, 제1도르래부(520)의 하방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도르래부(530)는 발판부(300)가 상하 회동됨에 따라 제1동력전달부재(410)에 의해 양방향 회전되면서 제2동력전달부재(420)를 일방향으로 당겨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틸팅본체(1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경우 발판부(300)를 조작 시와 틸팅본체(100)가 측방으로 안 기울어질 경우 발판부(300)를 조작 시 발판부(300)가 지지부재(230)와 인접한 위치에 도달하면 부하제공부(710)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하는 발판부(300) 속도를 감속할 수 있다.
[도 7 과 도 8]
도 7과 도 8은 발판지지부(600)에 대한 제2실시예로 제2실시예에서 발판지지부(600)는 구름부(610)와 지지부(620) 대신 한 쌍의 발판지지부재(630)로 구성될 수 있다.
발판지지부(600)가 발판지지부재(630)로 구성될 경우 지지부재(230)는 고정프레임(210) 앞단 또는 중간부위 가운데서 상방으로 연장된 후 상단에서 양 측방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30) 부위 중 양 측방으로 연장된 끝단 부위에 홈이 구비되어 홈에 발판지지부재(630)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지지부재(230) 부위 중 양 측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발판부(300)가 상하로 회동될 때 발판부(300) 뒷단에 접촉 안 되게 하기 위해 발판부(300) 뒷단 이동 경로에서 일정 간격 후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지지부재(630)는 각각의 발판부(300)에 1개 또는 한 쌍이 결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지지부재(630)는 각각의 발판부(300)에 한 쌍이 결합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발판지지부재(630)는 일단이 페달프레임(310) 뒷단 좌우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이 결합된 지점 상방이면서 페달프레임 뒷단 이동 경로와 가까운 지점에 위치한 지지부재(230) 부위에 각각 결합되어 탑승자의 하중이 고정본체(200)로 분산되도록 발판부(300)를 지지한다.
발판지지부재(630) 재질은 틸팅본체(100)가 틸팅되면서 발판부(300) 뒷단 부위가 앞뒤 좌우 이동될 때와 발판부(300)가 상하 이동할 때 발판부(300) 뒷단 부위가 이동되는 방향따라 휘어지게 하기 위해 외력이 작용하면 길이는 늘어나지 않으면서 형상이 가변되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지지부재(630)는 슈퍼 고강도 섬유인 다이니마 로프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발판지지부재(630) 길이는 발판부(300)가 상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페달프레임(310) 뒷단 부위가 최대로 상승했을 때 페달프레임(310) 뒷단 부위가 이동한 거리 절반이상 되게 함으로써 발판부(300)가 원활히 상승할 수 있게 하면서 지지부재(230) 상부가 지나치게 높은 위치에 위치 안 되게 구성된다.
즉, 발판부(300)가 상승할 때 페달프레임(310) 뒷단 부위는 발판지지부재(630)가 결합된 지지부재(230) 부위에서 발판지지부재(630) 길이만큼 상방으로 회동될 수 있고, 발판부(300)가 하방으로 회동할 때는 발판지지부재(630)가 결합된 지지부재(230) 부위에서 발판지지부재(630) 길이만큼 하방으로 회동하여 정지하게 구성된다.
발판부(300)에 발 얹는 부위는 앞뒤 기준으로 페달프레임(310)이 틸팅프레임(130)에 결합된 부위와 일치하고 좌우 기준으로 중앙과 일치하는 지점에서 발판지지부재(630)가 결합된 페달프레임(310) 부위를 직선으로 그은 한 쌍의 제1가상의직선(x) 사이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1가상의직선(x) 사이를 누르면 틸팅본체(100)와 발판부(300)는 좌우 어느 쪽으로도 기울어지지 않고 저절로 중심이 잡히게 되지만 한 쌍의 제1가상의직선(x) 바깥쪽을 누르면 누른 쪽으로 틸팅본체(100)와 발판부(300)는 기울어지게 된다.
페달프레임(310) 뒷단을 지지부재(230)에 발판지지부재(630)로 연결할 경우, 발판부(300)가 상방으로 회동할 때 발판지지부재(630)는 휘어지고 발판부(300)가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휘어진 발판지지부재(630)가 펴질 때 발판지지부재(630)에 순간적으로 강한 인장충격이 발생하여 발판지지부재(630)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발판지지부재(630)로 발판부(300)를 지지할 경우에도 부하제공부(710)가 구비되어 휘어진 발판지지부재(630)가 팽팽해지기 직전에 부하제공부(710)에 의해 발판부(300) 회동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하게 구성하여 발판지지부재(630)에 순간적으로 걸리는 인장충격이 감소하게 구성된다.
도 9
도 9는 제1동력전달부재(410)에 대한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를 참조하면 회동가이드부(500)는 틸팅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성되면서 발판부(300) 하방과 핸들조작부(110)와 틸팅프레임(130)의 사이에 위치하게 구비되고, 타단에 도르래가 구비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410)는 휘어지지 않는 부재로 구성되면서 중간부위가 회동가이드부(500) 타단에 결합되고, 양 끝단은 앞뒤로 조금 연장된 후 연장된 끝단에서 양 바깥쪽으로 조금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바깥쪽으로 돌출된 부위에 회전접촉부(411)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상기 회전접촉부(411)는 페달프레임(310) 하부에 접촉되게 구성되어 발판부(300)의 상하 회동시 회동가이드부(500)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동력전달부재(410)가 회동가이드부(500)에 결합된 부위에서 제1동력전달부재(410) 앞단까지 길이보다 제1동력전달부재(410)가 회동가이드부(500)에 결합된 부위에서 제1동력전달부재(410) 뒷단까지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된다.
즉, 제1동력전달부재(410)가 접촉되는 페달프레임(310) 부위가 페달프레임(310) 앞단과 가까울수록 발판부(300)를 눌렸을 때 제1동력전달부재(410)에 걸리는 힘이 커진다. 따라서 어느 한쪽에 위치한 발판부(300)를 눌렸을 때 반대쪽에 위치한 발판부(300) 부위 중 발 얹는 부위에 같은 힘이 걸리게 하기 위해서는 제1동력전달부재(410)가 회동가이드부(500)에 결합된 부위에서 제1동력전달부재(410)앞단까지 길이보다 제1동력전달부재(410)가 회동가이드부(500)에 결합된 부위에서 제1동력전달부재(410) 뒷단까지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부(300)에 접촉되는 제1동력전달부재(410) 부위는 제2가상의직선 상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제1동력전달부재(410)가 결합된 회동가이드부(500) 부위는 좌우측 기준으로 중심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가상의직선은 앞뒤 기준으로 발판부(300) 앞단이 결합된 부위와 일치하고 좌우 기준으로 중심 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에서 발 가운데 부위가 발판부(300)를 누르는 지점을 직선으로 그은 선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동력전달부재(410)를 구성시 어느 한쪽에 위치한 발판부(300)가 상하로 이동할 때 상하로 이동하지 않은 발판부(300)에 접촉된 제1동력전달부재(410) 부위는 상하로 회전하지 않고, 상하로 회전한 발판부(300)와 같은 쪽에 위치한 제1동력전달부재(410) 부위는 발판부(300)와 같이 상하로 회전하게 됨으로 제1동력전달부재(410)가 결합된 회동가이드부(500)도 같이 상하로 회동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삼륜탑승기구
100 : 틸팅본체 110 : 핸들조작부
111 : 핸들 112 : 핸들프레임
113 : 포크부 114 : 인장스프링
120 : 구동륜 121 : 동력전달기어
130 : 틸팅프레임 200 : 고정본체
210 : 고정프레임 220 : 종동륜
230 : 지지부재 300 : 발판부
310 : 페달프레임 320 : 발판
400 : 동력전달부재 410 : 제1동력전달부재
411 : 회전접촉부 420 : 제2동력전달부재
421 : 제21동력전달부재 422 : 제22동력전달부재
500 : 회동가이드부 510 : 도르래
520 : 제1도르래부 521 : 제1회전체
522 : 제2회전체 530 : 제2도르래부
600 : 발판지지부 610 : 구름부
611 : 회동결합부 612 : 결합홈
613 : 구름부재 620 : 지지부
630 : 발판지지부재 710 : 부하제공부
711 : 회전가이드부재 712 : 걸림돌출부
713 : 마찰부 721 : 보조회전체
x ; 제1가상의직선

Claims (17)

  1. 서서 타는 삼륜탑승기구로서,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륜과 틸팅프레임 및 조향 조작을 하는 핸들조작부를 포함하는 틸팅본체;
    일단이 상기 틸팅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종동륜을 포함하는 고정본체;
    한 쌍으로 구성되면서 앞단이 상기 틸팅본체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고, 뒷단은 상하 회동되어 상기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발판부;
    발판부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더 이상 안내려가게 상기 발판부를 지지하는 발판지지부:
    상기 발판부 조작으로 생긴 구동력을 상기 구동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발판부 조작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가이드부: 및
    상기 발판부를 밟아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발판부가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상기 발판부 회동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부하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양 끝단이 양쪽 상기 발판부에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회동가이드부에 경유되어 상기 발판부의 상하 회동 시 상기 회동가이드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구성되거나 중간 부위가 상기 회동가이드부에 결합되고 양 끝단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양쪽 발판부에 걸림되게 구성되어 발판부의 상하 회동시 회동가이드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구성되는 제1동력전달부재; 및
    일단이 상기 회동가이드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틸팅본체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구동륜의 동력전달기어에 경유되어 상기 발판부의 상하 회동 시 상기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제2동력전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제공부는,
    상기 틸팅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발판부의 상하 회동 시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와 마찰되어 회전되는 회전가이드부재;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의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발판부가 일정 높이까지 내려가면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와 걸림되어 상기 발판부의 회동속도를 줄여주고, 상기 발판부가 상방으로 회동시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와 걸림 해제되는 걸림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제공부는,
    상기 틸팅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부가 상하 회동시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가 상기 걸림돌출부에 걸리면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발판부 회동 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가 상기 걸림돌출부에서 걸림 해제되면 밀착 해제되는 마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제공부는 상기 틸팅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회전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는,
    일단이 상기 회동가이드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회전체에 결합되며, 일부분이 상기 회전가이드부재를 경유하게 구성되는 제21동력전달부재: 및
    일단이 상기 보조회전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핸들프레임에 구비된 인장스프링에 결합되며, 일부분이 상기 동력전달기어를 경유하게 구성되는 제22동력전달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판부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1동력전달부재가 상기 걸림돌출부에 걸릴 경우, 상기 제21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보조회전체에서 많이 풀리고, 상기 제22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보조회전체에 많이 감기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가이드부는,
    일단이 상기 틸팅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타단에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 일부가 밀착되어 회전되는 도르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가이드부는,
    상기 핸들조작부에 구비되고 상기 발판부의 상하 회동 시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의 일부가 밀착되어 양방향 회전되는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를 포함하는 제1도르래부; 및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 일부가 경유되되, 상기 제1도르래부의 하방에 위치하면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도르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와 제2동력전달부재는 외력에 의해 형상은 가변되지만 길이는 변하지 않는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지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발판부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서로 마주보는 다른 한쪽에 구비되면서 상기 틸팅본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되는 구름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발판부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면서 반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회동결합부; 및
    상기 결합홈에 일부 영역이 노출되게 결합되면서 상기 노출 부위가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어 구름 가능하게 구 형상으로 구비되는 구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름부와 접촉되는 부위에 탄성부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하방 회동시, 상기 구름부와 상기 지지부가 서로 접촉되기 직전에 상기 부하제공부에 의해 상기 발판부 회동 속도가 감속 또는 정지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방으로 연장된 상단에서 양 측방으로 연장되게 구성되는 지지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발판지지부는 발판지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발판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양 발판부 뒷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이 결합된 부위 상방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재 부위에 각각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지부재는,
    상기 틸팅본체가 틸팅되거나 상기 발판부가 상하로 이동될 때 길이는 늘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발판부 뒷단이 이동되는 방향따라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가 상방으로 최대로 이동했을때 상기 발판지지부재가 결합된 상기 발판부 부위는 상기 발판지지부재가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 부위보다 더 높이 올라감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하방 회동시, 휘어진 상기 발판지지부재가 팽팽해지기 직전에 상기 부하제공부에 의해 상기 발판부 회동 속도가 감속 또는 정지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가이드부는 일단이 상기 틸팅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는 상기 회동가이드부 타단에 중간 부위가 결합되고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된 양 끝단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양 발판부에 걸림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는 휘어지지 않는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가이드부에 결합된 제1동력전달부재 부위에서 제1동력전달부재 앞단까지 길이보다 회동가이드부에 결합된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 부위에서 제1동력전달부재 뒷단까지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제1동력전달부재가 발판부에 걸리는 부위는 제2가상의직선과 가까운 지점 또는 제2가상의직선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탑승기구
KR1020190060806A 2018-06-11 2019-05-21 삼륜탑승기구 KR102304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6320 WO2019240403A1 (ko) 2018-06-11 2019-05-27 삼륜탑승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6700 2018-06-11
KR1020180066700 2018-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395A KR20190140395A (ko) 2019-12-19
KR102304459B1 true KR102304459B1 (ko) 2021-10-13

Family

ID=6905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806A KR102304459B1 (ko) 2018-06-11 2019-05-21 삼륜탑승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821B1 (ko) * 2020-11-18 2022-07-05 이종호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6814A (ja) 2008-01-10 2009-07-30 Toshinori Iwasaki 携帯用自転車
KR101581635B1 (ko) 2014-12-31 2015-12-31 이종호 틸팅 가능한 삼륜 탑승용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3116B2 (ja) * 1992-10-28 2002-12-03 グローリー機器株式会社 人力走行車およびその車輪駆動機構
KR101184662B1 (ko) * 2010-05-18 2012-09-20 안영신 와이어구동의 스텝퍼형 자전거
KR101175912B1 (ko) * 2010-07-08 2012-08-22 안영신 와이어구동식 리컴번트 자전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6814A (ja) 2008-01-10 2009-07-30 Toshinori Iwasaki 携帯用自転車
KR101581635B1 (ko) 2014-12-31 2015-12-31 이종호 틸팅 가능한 삼륜 탑승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395A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7977B (zh) 三轮载具
KR102304459B1 (ko) 삼륜탑승기구
US4515362A (en) Exercise tricycle
KR20090004488A (ko) 수동 킥보드
KR101907430B1 (ko) 삼륜 탑승 기구
CN102358387B (zh) 拉、蹬和后坐力自行车
WO2007046599A1 (en) Unicycle having double acceleration function
JP4775615B2 (ja) 走行具
KR100341543B1 (ko) 자전거용 상하 승강식 구동장치
KR102152167B1 (ko) 서서 타는 이동수단
CN110789647A (zh) 一种滑板车
KR101950802B1 (ko) 기울어짐 제어 기능을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 삼륜 탑승기구
JP3875935B2 (ja) 走行具
WO2009005254A2 (en) Board type bicycle
JP4501032B2 (ja) 走行具
KR20150124568A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0182118Y1 (ko) 자전거용 상하 승강식 구동장치
KR200395612Y1 (ko) 운동량 조절기능을 갖는 수동식 스쿠터
KR800000469B1 (ko) 유희용 탑승구
KR200387428Y1 (ko) 밀어서 나아가는 구름판
KR102410821B1 (ko)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CN211705863U (zh) 一种滑草装置
KR20130134593A (ko) 아동용 승용놀이구
KR102341753B1 (ko)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20130009531A (ko) 탑승용 기구 동력 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