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723A -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723A
KR20180054723A KR1020187010588A KR20187010588A KR20180054723A KR 20180054723 A KR20180054723 A KR 20180054723A KR 1020187010588 A KR1020187010588 A KR 1020187010588A KR 20187010588 A KR20187010588 A KR 20187010588A KR 20180054723 A KR20180054723 A KR 20180054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polyester
polyester composition
styrene
parts
biodegra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617B1 (ko
Inventor
창리 루
지민 위안
통민 카이
시안보 황
시앙빈 젱
지안 지아오
렌슈 위안
위커 종
카이 시옹
후이 양
카이진 마이
수에텅 동
Original Assignee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4488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5472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5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30/00Compositions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를 개시하고, 그중,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을 0.1ppm-30ppm로 한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 성분중에 스티렌을 첨가하고,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총 중량함유량을 0.1ppm-30ppm로 컨트롤함으로 인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뛰어난 광투과율과 헤이즈효과를 보증함과 동시에,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적당한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짐을 보증하고,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분해속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본 발명은 고분자재료 변성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광투과율, 헤이즈효과 및 적합한 분해속도를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는 생물자원을 원료로 하는 고분자재료로서, 석유화공 자원을 원료로 하는 석유기 고분자에 비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는 생물 또는 생화학 작용중 또는 생물 환경중에서 분해되기에, 현재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중 매우 활약적이고, 시장중 활용가치가 가장 높은 생분해재료의 일종으로 인정받고 있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는 재질이 유연하고, 독성이 없고, 가공이 편리하고, 화학적안정성이 좋으며, 일정한 강도를 가지고, 화학 용매에 잘견디고 추위에 잘견디는 등 특징을 가져, 농업용 제초막 분야에 널리 쓰이고 있다. 농업용 제초막의 특수한 역할에 의해, 그 투명성에 대해 일반적으로 높은 요구를 제출함과 동시에, 자외선 차단기능에 대해서도 특수한 요구를 제출하고 있다. 현재 흔히 쓰이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박막의 자외선 차단기능을 제고시키는 방법으로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박막중에 일정한 함량의 자외선차단 첨가제 또는 UV흡수제, UV안정제 등을 첨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CN 103687902중에는 UV흡수제와 UV안정제, 또는 양자를 결합한 광안정제를 제초막의 UV안정성 제고에 사용함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자외선차단 첨가제 또는 UV흡수제, UV안정제의 첨가는 일정한 정도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박막의 분해속도를 느리게 해주므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박막이 바라는 기간내에 완전히 분해될 수 없게 되어, 토지의 재생과 농작물의 재배에 영향을 주며, 일정한 정도로 토양의 비옥도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연구를 통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에 미량의 스티렌을 첨가함으로 인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뛰어난 광투과율과 헤이즈효과를 보증함과 동시에,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적합한 자외선 차단기능을 보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분해속도를 저하시키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 조성물중에 미량의 스티렌을 첨가하여, 제작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뛰어난 박막자재 표면성능을 가지게 함과 동시에, 가공공정의 파동으로 인해 박막자재에 피쉬아이 등 현상이 생기지 않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중량부로 계산하여, 아래 성분:
i)60~100부의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ii)0~40부의 폴리락트산,
iii)0~35부의 유기 충전재 및/또는 무기 충전재,
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그중,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은 0.1ppm-30ppm, 선호적으로 0.5ppm-10ppm이다. 상기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이란 최종적으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불중에 중에 잔류하는 중량함유량을 말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은 아래 방법으로 측정: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2000g±0.005g을 정확하게 무게를 달아 정지상 헤드스페이스 실험용 플라스크에 넣고, 정지상 헤드스페이스법으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중 스티렌의 피이크 면적 측정을 통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 스티렌의 피이크 면적과 스티렌의 표준그래프에 근거하여, 생분해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 스티렌의 함유량을 산출한다.스티렌의 표준 그래프는 스티렌/메탄올 용액으로 규정한다.
스티렌은 휘발성을 가지는 유기 소분자 용매로서, 적당한 함유량의 스티렌을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에 첨가하여, 광조사 등 조건의 작용하에서, 스티렌이 박막표면에서 소분자층을 형성하게 한다. 소분자층의 형성은 일정한 정도로 박막의 광투과율과 헤이즈효과를 높혀 줌과 동시에, 일정한 정도로 박막의 자외선차단 기능을 높혀주기도 한다. 적당한 중량함유량의 스티렌을 첨가함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구조와 속성을 근본적으로 개변할 수 없기 때문에, 스티렌의 첨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분해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에 첨가되는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이 30ppm을 초과하면, 즉 첨가량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박막자재의 헤이즈치가 너무 커져, 광투과율이 낮아진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에 첨가되는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이 0.1ppm미만일 경우에는 스티렌 소분자층의 두께가 너무 엷고 분포가 균일하지 못하여, 자외선 차단능력이 부족하기에, 박막자재의 분해가 너무 빠르게 된다. 본 발명의 연구에 따르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을 0.1ppm-30ppm으로 컨트롤함으로 인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뛰어난 광투과율과 헤이즈효과를 보증함과 동시에,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적당한 자외선차단 기능을 보증할 수 있고,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분해속도를 저히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스티렌을 취득하는 경로로는, 폴리에스테르의 블렌딩가공중 직접 스티렌 또는 스티렌을 함유하는 물질(예를 들면 폴리스티렌,브롬화 폴리스티렌, 폴리브롬화 스티렌 등)을 첨가하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의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선호적으로, 중량부로 계산하여, 아래 성분:
i)65~95부의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ii)5~35부의 폴리락트산,
iii)5~25부의 유기 충전재 및/또는 무기 충전재,
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그중, 상기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AT,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ST 또는 폴리부틸렌세바케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SeT중의 하나 또는 여러가지로 구성된다.
그중, 상기 유기 충전재는 천연점분, 가소화 점분, 변성점분, 천연섬유 또는 나무가루중의 하나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무기 충전재는 활석분, 벤토나이트, 고령토, 백악가루, 탄산칼슘, 흑연, 석고, 전기전도성 카본블랙, 염화칼슘, 산화철, 백운석, 이산화규소, 규회석, 이산화티탄, 규산염, 운모, 유리섬유 또는 광물성 섬유중의 하나 또는 여러가지로 구성된다.
상이한 용도의 수요에 따라,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는 추가로, 가소제, 탈형제, 표면활성제, 왁스, 항정전기제, 염료, UV흡수제, UV안정제 또는 기타 플라스틱 첨가제중의 적어도 하나를 0~4부를 넣을 수도 있다.
상기 가소제는 구연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에폭시대두유 등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및 그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탈형제는 실리콘오일, 파라핀, 백색 미네랄오일, 바셀린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및 그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팔미테이트 또는 라우레이트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및 그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왁스는 에루카아미드, 스테아로아미드, 베헨산 아미드, 밀랍 또는 팔미트산 미리실에스터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및 그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항정전기제는 영구적인 항정전기제로서, 구체적으로는 PELESTAT-230, PELESTAT-6500, SUNNICO ASA-2500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및 그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염료는 카본블랙, 흑종, 이산화 티타늄, 황화아연, 프탈로시아닌 청,형광오렌지 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및 그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항UV보조제에는 UV흡수제와 UV안정제가 포함된다.
상기 UV흡수제는 UV-944, UV-234, UV531, UV326중의 하나 또는 여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UV안정제는 UV-123, UV-3896, UV-328중의 하나 또는 여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기타 플라틱 첨가제는 조핵제, 무적제, 윤활제(스테아르산 칼슘)등이 포함된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광투과율은 88.5―94.0이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헤이즈치는 28.59―33.45이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일정한 두께의 박막으로 취입성형시킨 후, 박막자재의 광투과율이 높으면 높을 수록 태양광선의 박막자재 투과에 유리하고, 식물의 공합성 작용에 유리하다. 그러나 박막자재의 광투과율이 높으면 높을 수록 자외선의 투과도 현저해 지는바, 자외선의 투과는 식물에 불리한 역할을 할 뿐만아니라, 자외선의 투과는 박막자재의 분해를 가속화 시키기에, 박막자재에 일정한 자외선차단 조치를 취해야 한다. 예를 들면, UV차단 보조제를 첨가하거나 박막자재의 헤이즈치를 높혀, 투명도를 저하시킨다. 때문에 박막에 대한 보호작용을 보다 충분히 이용하기 위하여, 광투과율과 헤이즈치의 균형을 잡아야 한다. 선호적으로 상기 광투과율과 헤이즈치를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식물에 대한 최적화한 보호역할을 함과 동시에, 박막자재에 적당한 자외선차단기능과 분해속도를 가지게 한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열가속산화노화 시간은 30~45일로서, 이 시간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만일 경우에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분해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너무 빠름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쑈핑주머니, 퇴비주머니, 제초비닐막, 보호성커버막, 사이로막, 박막테이프, 직물, 비직물, 방직품, 고기그물, 하중주머니, 쓰레기주머니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 성분중에 스티렌을 첨가하고,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의 총 중량을 0.1ppm-30ppm로 컨트롤함으로 인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뛰어난 광투과율과 헤이즈효과를 보증함과 동시에,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적당한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짐을 보증하고,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분해속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아래에는 최선의 방식을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방식일 뿐, 본 발명의 실시방식은 아래 실시예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아래 원료가 사용되지만, 이 원료들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성분i)은 PBAT、PBST과 PBSeT를 사용하고, 성분ii)는 PLA를 사용하고, 성분iii)유기충전재는 점분을 사용하고, 성분iii)무기충전재는 활석분, 탄산칼슘을 사용하고, 가소제는 구연산 에스테르를 사용하고, 기타 플라스틱 첨가제는 스테아르산 칼슘을 사용하고, 항UV보조제는 UV흡수제와 UV안정제를 말하며, 왁스는 에루카아미드를 사용하고, 상기 보조제, PBAT, PBST, PBSeT 및 PLA, 스티렌은 모두 시장으로부터 구입한다.
각 성능지표의 실험기준 또는 평가방법:
(1)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분해속도 평가방법:
본 발명에서는 열가속화노화 실험으로 퇴비실험을 대체하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분해속도를 평가한다. 실험에 따르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정상적인 퇴비 분해시간은 열가속산화노화 시간의 약 30~45일에 상당하며, 이 시간범위를 초과하거나 부족하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분해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너무 빠름을 설명한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열가속화산화노화 실험방법: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진공을 뽑지 아니한 알루미늄호일 봉지안에 넣어 밀봉하고, 알루미늄호일 봉지를 70℃의 송풍기가 달린 건조상자에 넣어, 열가속산소노화 실험을 진행하고, 3일에 한번씩 샘플링 하여, 샘플의 용융지수(190℃/2.16kg,ISO 1133에 근거)를 측정한다. 샘플의 용융지수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정상 용융지수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이미 현저하게 열가속산소노화가 발생했음을 설명하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현저한 열가속산소노화가 발생하는 실험시간을 기록한다.
(2)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헤이즈치와 광투과율의 실험:
GB/T2410-2008투명 플라스틱 광투과율과 헤이즈치의 측정을 참조하여, 본 발명중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헤이즈치와 광투과율의 측정은 두께가 12μm인 단층막으로 실험을 진행한다.
(3) 스티렌의 특정방법: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2000g±0.005g을 정확하게 무게를 달아 정지상 헤드스페이스 실험용 플라스크에 넣고, 정지상 헤드스페이스법으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중의 스테렌 피이크 면적 측정을 통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의 스티렌 피이크 면적과 스티렌의 표준그래프에 근거하여, 생분해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의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을 산출한다.스티렌의 표준 그래프는 스티렌/메탄올 용액으로 규정한다.
정지상 헤드스페이스법에 사용되는 계측기 타입 및 파라미터:
Agilent Technologies 7697 Headspace Sampler;
Agilent Technologies 7890A GC System;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J&W 122-7032:250℃:30m x 250μm x 0.25μm
샘플진입: 프론트 SS 샘플입구N2
샘플배출: 프론트 분석기FID.
실시예1-23 및 대조예1-3:
표1에 제시된 레시피에 따라, PBAT 또는 PBST 또는 PBSeT、PLA, 유기충전재, 무기충전재, 가소제, 왁스 등 보조제 및 스티렌을 균일하게 혼합시켜, 싱글 스크루 압출기안에 넣어, 140℃-240℃에서 압출, 조립함으로써, 조성물이 얻어진다. 성능실험성적은 표1을 참조.
표1 실시예1-23 및 대조예1-3의 각 성분 레시피(중량부) 및 각 성능실험 결과
Figure pct00001
표1 계속
Figure pct00002
표1 계속
Figure pct00003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이 0.1ppm-30ppm일 경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뛰어난 광투과율과 헤이즈효과를 가짐을 보증함과 동시에,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적당한 자외선차단 성능을 보증하고,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분해속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이에 비해, 대조예1의 스티렌을 첨가하지 않은, 즉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이 0ppm일 경우에는, 비록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비교적 좋은 광투과율과 헤이즈치를 가지나, 열가속산화노화 시간이 짧아, 이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분해속도가 빠름을 설명한다. 대조예2의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이 30ppm를 초과할 경우에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열가속산화노화 시간이 너무 길어, 이는 이 조합물의 분해속도가 너무 느리고, 이 중합체 조합중의 광투과율과 헤이즈효과가 안 좋음을 설명한다. 대조예3의 스티렌을 첨가하지 않고, 항UV보조제만을 첨가할 경우, 적당한 광투과율과 헤이즈효과를 가지지만, 열가속산화노화 시간이 너무 길어, 이 중합체 조합물의 분해속도가 너무 느림을 설명한다.

Claims (10)

  1. 중량부로 계산하여, 아래 성분:
    i)60~100부의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ii)0~40부의 폴리락트산,
    iii)0~35부의 유기 충전재 및/또는 무기 충전재,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은 0.1ppm-30ppm, 선호적으로 0.5ppm-10ppm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의 중량함유량은 아래 방법으로 측정: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2000g±0.005g을 정확하게 무게를 달아 정지상 헤드스페이스 실험용 플라스크에 넣고, 정지상 헤드스페이스법으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중 스티렌의 피이크 면적 측정을 통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 스티렌의 피이크 면적과 스티렌의 표준그래프에 근거하여, 생분해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 스티렌의 함유량을 산출하고, 스티렌의 표준 그래프는 스티렌/메탄올 용액으로 규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중량부로 계산하여, 아래 성분:
    i)65~95부의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ii)5~35부의 폴리락트산,
    iii)5~25부의 유기 충전재 및/또는 무기 충전재,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AT,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ST 또는 폴리부틸렌세바케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SeT중의 하나 또는 여러가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충전재는 천연점분, 가소화 점분, 변성점분, 천연섬유 또는 나무가루중의 하나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무기 충전재는 활석분, 벤토나이트, 고령토, 백악가루, 탄산칼슘, 흑연, 석고, 전기전도성 카본블랙, 염화칼슘, 산화철, 백운석, 이산화규소, 규회석, 이산화티탄, 규산염, 운모, 유리섬유 또는 광물성 섬유중의 하나 또는 여러가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는 추가로, 가소제, 탈형제, 표면활성제, 왁스, 항정전기제, 염료, UV흡수제, UV안정제 또는 기타 플라스틱 첨가제중의 적어도 하나를 0~4부를 넣을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광투과율은 88.5―94.0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헤이즈치는 28.59―33.45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열가속산화노화 시간은 30~45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20187010588A 2016-07-22 2017-03-01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2037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583504.X 2016-07-22
CN201610583504.XA CN106084681B (zh) 2016-07-22 2016-07-22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PCT/CN2017/075357 WO2018014560A1 (zh) 2016-07-22 2017-03-01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723A true KR20180054723A (ko) 2018-05-24
KR102037617B1 KR102037617B1 (ko) 2019-10-28

Family

ID=5744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588A KR102037617B1 (ko) 2016-07-22 2017-03-01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472515B2 (ko)
EP (1) EP3315554B1 (ko)
JP (1) JP6522788B2 (ko)
KR (1) KR102037617B1 (ko)
CN (1) CN106084681B (ko)
DE (5) DE202017007557U1 (ko)
ES (1) ES2769231T3 (ko)
PT (1) PT3315554T (ko)
WO (1) WO201801456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879B1 (ko) * 2022-03-02 2022-07-01 김연수 친환경 생분해성 목분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80496A1 (ko) * 2021-11-02 2023-05-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탄산칼슘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4681B (zh) 2016-07-22 2018-05-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9810476A (zh) * 2017-11-20 2019-05-28 武汉华丽生物股份有限公司 可完全生物降解膜袋材料及膜袋制备方法
CN108260451B (zh) * 2018-01-18 2020-04-14 浙江大学 一种可除草的生物降解地膜
CN111548611A (zh) * 2020-06-12 2020-08-18 汕头市雷氏塑化科技有限公司 一种高密度竹粉/pbat/聚乳酸生物降解塑料及其制备方法
EP3991864A1 (en) * 2020-10-29 2022-05-04 Gaia Holding AB Biodegradable and compostable composition for use as an agricultural film
JP6916571B1 (ja) 2021-03-25 2021-08-11 株式会社Tbm 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AU2022300588A1 (en) * 2021-06-29 2024-01-04 Nichimo Co.,Ltd. Marine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EP4293079A1 (en) 2022-10-27 2023-12-20 Basf Se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886B1 (ko) * 2008-12-16 2009-06-24 이상한 폴리유산을 이용한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과 그 제조방법
KR20140058575A (ko) * 2011-07-29 2014-05-14 바스프 에스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4430A2 (de) * 2000-08-11 2002-02-21 Bio-Tec Biologische Naturverpackungen Gmbh & Co. Kg Biologisch abbaubarer polymerblend
SI1838784T1 (sl) 2005-01-12 2008-10-31 Basf Se Biorazgradljiva poliestrska meĺ anica
US8188185B2 (en) * 2008-06-30 2012-05-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egradable packaging film
CN102165012A (zh) 2008-08-01 2011-08-24 巴斯夫欧洲公司 提高生物降解聚酯耐水解性的方法
IT1399031B1 (it) * 2009-11-05 2013-04-05 Novamont Spa Copoliestere alifatico-aromatico biodegradabile
US8658069B2 (en) * 2009-11-09 2014-02-25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shrink films
US9017587B2 (en) * 2010-07-21 2015-04-28 Minima Technolog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biodegradable net-shaped articles
EP2522695A1 (de) * 2011-05-10 2012-11-14 Basf Se Biologisch abbaubare Polyesterfolie
CN104837923B (zh) 2012-11-15 2018-01-02 巴斯夫欧洲公司 生物可降解的聚酯混合物
WO2014149024A1 (en) * 2013-03-18 2014-09-25 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Biodegradable polyester-based blends
CN104479304B (zh) 2014-12-10 2017-01-04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生物降解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744898A (zh) * 2015-03-26 2015-07-01 南通龙达生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全生物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CN105585824A (zh) 2016-03-07 2016-05-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5585826A (zh) 2016-03-07 2016-05-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5585827A (zh) * 2016-03-07 2016-05-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6084681B (zh) 2016-07-22 2018-05-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886B1 (ko) * 2008-12-16 2009-06-24 이상한 폴리유산을 이용한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과 그 제조방법
KR20140058575A (ko) * 2011-07-29 2014-05-14 바스프 에스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496A1 (ko) * 2021-11-02 2023-05-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탄산칼슘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2415879B1 (ko) * 2022-03-02 2022-07-01 김연수 친환경 생분해성 목분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69231T3 (es) 2020-06-25
DE202017007554U1 (de) 2022-08-29
EP3315554B1 (en) 2019-11-13
DE202017007552U1 (de) 2022-09-07
US10472515B2 (en) 2019-11-12
PT3315554T (pt) 2020-01-20
US20180298187A1 (en) 2018-10-18
WO2018014560A1 (zh) 2018-01-25
CN106084681B (zh) 2018-05-18
EP3315554A4 (en) 2019-01-09
JP6522788B2 (ja) 2019-05-29
CN106084681A (zh) 2016-11-09
DE202017007556U1 (de) 2022-08-29
EP3315554A1 (en) 2018-05-02
DE202017007557U1 (de) 2022-08-29
DE202017007555U1 (de) 2022-08-29
KR102037617B1 (ko) 2019-10-28
JP2018527416A (ja)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4723A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1973891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2024492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1998502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2036466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2037618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