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727A -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727A
KR20180053727A KR1020187010506A KR20187010506A KR20180053727A KR 20180053727 A KR20180053727 A KR 20180053727A KR 1020187010506 A KR1020187010506 A KR 1020187010506A KR 20187010506 A KR20187010506 A KR 20187010506A KR 20180053727 A KR20180053727 A KR 20180053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handle
hose
assembly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알란 밀링턴
찰스 제프리 박스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53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7Handles for 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는, 덕트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덕트 어셈블리는 제 1 덕트와 제 2 덕트를 포함하고, 제 1 덕트는 피봇 축선 주위로 제 2 덕트에 대해 회전한다. 제 1 덕트와 제 2 덕트 각각은 피봇 축선 주위로 휘어져 있는 아치형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덕트를 제 2 덕트에 대해 회전시키면, 덕트 중 한 덕트의 아치형 부분이 다른 덕트의 아치형 부분에 들어가고 나가게 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의 손잡이 어셈블리는 오물이 실린 공기가 통과하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의 일 단부는 호스에 부착될 수 있고, 이 호스는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부착된다. 덕트의 다른 단부는 기다란 튜브에 부착될 수 있고, 이 기다란 튜브는 청소기 헤드에 부착된다. 사용 중에, 손잡이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청소기 헤드를 청소될 표면 위에서 움직인다. 불행히도, 호스가 종종 손잡이 어셈블리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방해하여 청소기 헤드를 움직이는 것을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바, 덕트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제 1 덕트와 제 2 덕트를 포함하고, 제 1 덕트는 피봇 축선 주위로 제 2 덕트에 대해 회전하고, 제 1 덕트와 제 2 덕트 각각은 상기 피봇 축선 주위로 휘어져 있는 아치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덕트를 제 2 덕트에 대해 회전시키면, 상기 덕트 중 한 덕트의 아치형 부분이 다른 덕트의 아치형 부분에 들어가고 나가게 된다.
피봇 축선 주위로 휘어져 있는 2개의 아치형 부분을 가짐으로써, 각 부분은 비교적 큰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덕트가 제 2 덕트에 대해 회전하고 아치형 부분 중의 하나가 다른 아치형 부분에 들어가고 나감에 따라, 비교적 큰 정도의 회전 운동을 얻을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의 일 단부는 진공 청소기의 호스에 부착될 수 있고, 다른 단부는 아마도 기다른 튜브를 통해 청소기 헤드, 부속 도구 또는 다른 부착물에 부착될 수 있다. 그래서 손잡이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부착물을 청소 표면 위에서 움직일 수 있다. 부착물이 앞뒤로 움직임에 따라, 제 1 및 2 덕트 사이의 피봇에 의해 호스는 손잡이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호스는 앞뒤의 움직임을 부당하게 제한하거나 억제하지 않는다. 얻어질 수 있는 비교적 큰 정도의 회전 운동에 의해, 호스는 비교적 큰 운동 범위에 걸쳐 손잡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물은 호스의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않고 비교적 큰 거리에 걸쳐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피봇 축선 주위로 휘어져 있음으로해서, 2개의 아치형 부분은 피봇 축선에 중심으로 두는 토러스의 일 부분을 함께 형성한다. 제 1 덕트가 제 2 덕트에 대해 회전하고 아치형 부분 중의 하나가 다른 아치형 부분에 들어가고 나감에 따라, 토러스 부분의 크기가 증가 및 감소한다.
각 덕트의 상기 아치형 부분은 적어도 90도의 중심각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덕트는 제 2 덕트에 대해 적어도 90도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그래서, 덕트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호스는 적어도 90도의 각도로 손잡이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한다. 이는 손잡이가 사용되어 호스의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않고 부착물을 움직일 수 있는 비교적 큰 운동 범위를 나타낸다.
덕트 어셈블리의 제 1 단부는 제 1 축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덕트 어셈블리의 제 2 반대쪽 단부는 제 2 축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덕트는 제 1 축선이 제 2 축선과 90도의 포함 각도로 교차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종래의 손잡이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제 1 축선이 제 2 축선과 120 내지 150도의 고정된 포함 각도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손잡이 어셈블리가 진공 청소기의 본체 쪽으로 뒤로 움직임에 따라, 손잡이 어셈블리와 본체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호스는 일측으로 외측으로 좌굴된다. 호스의 이러한 좌굴은 손잡이 어셈블리에 비틀림 토크를 주어, 손잡이 어셈블리에 대한 제어를 어렵게 한다. 제 1 덕트가 제 1 축선이 제 2 축선과 적어도 90도의 포함 각도로 교차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손잡이 어셈블리를 구성함으로써, 손잡이 어셈블리가 뒤로 움직여 본체 접근함에 따라 호스는 앞으로 더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 어셈블리는 호스의 부당한 제한 또는 방해를 받지 않고 더 큰 운동 범위로 움직일 수 있다. 제 1 덕트는 제 1 축선이 제 2 축선과 45도의 포함 각도로 교차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손잡이 어셈블리는 호스의 부당한 제한 도는 방해를 받지 않고 더 큰 운동 범위로 움직일 수 있다. 추가로, 사용 중에, 손잡이 어셈블리는 제 1 축선이 청소 표면과 약 45도의 포함 각도를 형성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 어셈블리는 기다란 튜브를 통해 손잡이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청소기 헤드를 움직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 어셈블리는 기다란 튜브가 청소 표면과 약 45도의 포함 각도를 형성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제 1 축선이 제 2 축선과 45도의 포함 각도로 교차하는 위치로 제 1 덕트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손잡이 어셈블리를 구성함으로써, 제 1 축선은 청소 표면과 90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호스가 덕트 어셈블리의 제 1 단부에 부착되면, 호스는 호스가 수직 하방으로 대달리는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그 결과, 호스의 중량은 손잡이 어셈블리에 토크를 가할 가능성이 더 작게 된다.
의심을 피하기 위해, 제 1 및 2 축선의 교차부에 형성되는 포함 각도는 덕트 어셈블리의 제 1 및 2 단부에 의해 포함되는 각도이다. 덕트 어셈블리를 관류하는 공기는 포함 각도에 상보적인 각도로 방향 전환된다. 그래서, 예컨대, 제 1 및 2 축선이 45도의 포함 각도로 교차하면, 덕트 어셈블리를 관류하는 공기가 135도의 각도로 방향 전환된다.
덕트 어셈블리의 제 1 단부는 제 1 축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덕트 어셈블리의 제 2 반대쪽 단부는 제 2 축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덕트는 제 1 축선이 제 2 축선에 평행한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가 덕트 어셈블리의 제 1 단부에 부착되고 기다란 튜브는 제 2 단부에 부착되면, 호스는 호스가 기다란 튜브와 나란히 연장되는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이는 손잡이 어셈블리가 사용되지 않을 때 비교적 컴팩트한 배치를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피봇 축선은 상기 손잡이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덕트의 아치형 부분은 상기 손잡이와 피봇 축선 사이의 공간 내로 상방으로 휘어져 있다. 상기 공간 내로 상방으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덕트 어셈블리의 아치형 부분은 손잡이 어셈블리의 높이를 과도하게 증가시킴이 없이 비교적 큰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는 일괄적으로 상기 손잡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특히,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는 일괄적으로 상기 피봇 축선에 수직인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가 덕트 어셈블리에 부착되면, 손잡이 어셈블리는 손잡이에 대한 호스의 움직임에 있어 2개의 자유도를 준다. 특히, 호스는 피봇 축선 주위로 손잡이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고, 호스는 회전 축선에 대해 손잡이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한다. 2개의 자유도를 줌으로써, 호스에 의한 손잡이의 움직임시의 제한이 더 감소된다.
덕트 어셈블리는 제 3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제 3 덕트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제 2 덕트는 제 3 덕트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리하여, 손잡이를 사용하여, 호스의 부당한 간섭 없이 부착물의 배향을 더 잘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예컨대, 손잡이를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시켜, 제 3 덕트에 부착되는 부착물의 배향이 변할 수 있다. 손잡이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덕트에 부착되어 있는 호스의 중량으로 인해, 제 1 및 2 덕트가 회전 축선 주위로 손잡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순수 결과로, 손잡이가 회전할 때 제 1 및 2 덕트는 움직이지 않게 되고 그래서 호스는 손잡이의 움직임을 간섭하거나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제 2 덕트는 내측 튜브 및 외측 튜브를 포함하는 이중벽 덕트이고, 상기 제 1 덕트를 제 2 덕트에 대해 회전시키면, 제 1 덕트가 상기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 사이에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제 2 덕트가 제 1 덕트의 상류에 위치하면, 덕트 어셈블리를 관류하는 공기가 더 작은 직경의 내측 튜브로부터 더 큰 직경의 제 1 덕트로 이동하게 된다. 이리 하여, 제 1 덕트의 단부는 유입하는 공기 유동에 어깨부를 주지 않는다는 이점이 얻어지는데, 이 어깨부는 그렇지 않으면 난류를 증가시켜 유동 손실과 소음을 증가시킬 것이다. 내측 튜브 외에 외측 튜브를 제공함으로써, 손잡이는 제 1 덕트의 회전 운동을 억제하거나 제한함이 없이 제 2 덕트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호스 및 전술한 손잡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며, 호스는 덕트 어셈블리의 일 단부에 부착되고, 제 1 덕트가 제 2 덕트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손잡이에 대해 움직인다. 진공 청소기는 상기 덕트 어셈블리의 반대쪽 단부에 부착되는 부착물, 예컨대, 기다란 튜브, 청소기 헤드 또는 부속 도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다.
도 2는 진공 청소기의 손잡이 어셈블리, 호스 및 기다란 튜브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손잡이 어셈블리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덕트가 연장 위치에 있는 손잡이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덕트가 후퇴 위치에 있는 손잡이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손잡이 어셈블리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덕트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는 손잡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덕트가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는 손잡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사용 위치에 있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사용 위치에 있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보관 위치에 있는 도 1의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다른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다.
도 1의 진공 청소기(1)는 본체(2), 호스(3), 손잡이 어셈블리(4), 기다란 튜브(5), 및 청소기 헤드(6)를 포함한다. 본체(2)는 오물 분리기(7) 및 진공 모터(나타나 있지 않음)를 포함한다. 호스(3)는 일 단부에서 본체(2)에 부착되고, 반대쪽 단부에서는 손잡이 어셈블리(4)에 부착된다. 기다란 튜브(5)는 일 단부에서 손잡이 어셈블리(4)에 부착되고 반대쪽 단부에서는 청소기 헤드(6)에 부착된다. 사용 중에, 진공 모터는 흡입을 발생시키고, 이 흡입에 의해, 오물 실린 공기가 청소기 헤드(6)의 개구를 통해 흡인된다. 청소기 헤드(6)로부터, 오물 실린 공기는 기다란 튜브(5), 손잡이 어셈블리(4) 및 호스(3)를 통해 오물 분리기(7)에 전달된다. 손잡이 어셈블리(4)는 청소 표면 위에서 청소기 헤드(6)를 움직이기 위해 사용된다.
이제 도 2 내지 8을 참조하면, 손잡이 어셈블리(4)는 덕트 어셈블리(11)에 부착되는 손잡이(10)를 포함한다. 진공 청소기의 호스(3)는 덕트 어셈블리(11)의 제 1 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기다란 튜브(5)는 덕트 어셈블리(11)의 제 2 반대쪽 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덕트 어셈블리(11)는 제 1 덕트(12), 제 2 덕트(13), 및 제 3 덕트(14)를 포함한다. 제 1 덕트(12)는 제 2 덕트(13)에 피봇식으로 부착되어 있고, 제 2 덕트(13)는 제 3 덕트(1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 1 덕트(12)는 피봇 축선(15) 주위로 제 2 덕트(13)에 대해 회전하고, 제 2 덕트(13)는 피봇 축선(15)에 수직인 회전 축선(16) 주위로 제 3 덕트(14)에 대해 회전한다.
제 1 덕트(12)는 핀 조인트(17)에 의해 제 2 덕트(13)에 피봇식으로 부착되고, 곧은 부분(20)과 아치형 부분(21)을 포함한다. 곧은 부분(20)은 호스(3)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아치형 부분(21)은 피봇 축선(15) 주위로 구부려지거나 휘어진다. 아치형 부분(21)은, 피봇 축선(15)에 중심으로 두고 있고 약 125도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를 그린다.
제 2 덕트(13)는 내측 튜브(28)와 외측 튜브(29)를 포함하는 이중 벽 덕트이다. 2개의 튜브(28, 29)는 튜브(28, 29)가 일체적으로 함께 움직이도록 부착되어 있다. 제 1 덕트(12)와 마찬가지로, 제 2 덕트(13)는 곧은 부분(30) 및 아치형 부분(31)을 포함한다. 곧은 부분(30)은 상대적으로 짧고, 제 2 덕트(13)가 제 3 덕트(1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게 해주는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외측 튜브(29)는 내측 튜브(28) 보다 약간 길고, 내측 튜브(28)를 넘어 연장되어 있는 부분의 내부 표면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 홈을 포함하다. 제 3 덕트(14)의 일 단부는 외측 튜브(29) 내부에 수용되고, 외측 표면 주위에 형성된 환형 홈을 포함한다. 스냅 링(34)은, 제 2 덕트(13)와 제 3 덕트(14)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지만 상대 분리는 방지하도록 2개의 홈 내부에 안착된다. 제 1 덕트(12)와 마찬가지로, 제 2 덕트(13)의 아치형 부분(31)은 피봇 축선(15) 주위로 구부러지거나 휘어진다. 아치형 부분(31)은, 피봇 축선(15)에 중심으로 두고 있고 약 125도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를 그린다. 제 1 덕트(12)를 제 2 덕트(13)에 대해 회전시키면, 제 1 덕트(12)의 아치형 부분(21)이 제 2 덕트(13)의 아치형 부분(31)에 들어가고 나가게 된다. 제 1 덕트(12)의 직경은 내측 튜브(28)의 직경 보다 크지만 외측 튜브(29)의 직경 보다는 작다. 따라서, 제 1 덕트(12)가 제 2 덕트(13)에 들어가고 나감에 따라, 제 1 덕트(12)는 내측 튜브(28)와 외측 튜브(29) 사이에서 움직이게 된다.
제 3 덕트(13)는 대체로 곧으며, 기다란 튜브(5)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덕트 사이의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1 덕트(12)의 일 단부에 립 시일(lip seal)(35)이 제공되어 있고, 제 3 덕트(14)의 단부에는 추가 립 시일(36)이 제공되어 있다. 양 립 시일(35, 36)은 제 2 덕트(13)의 외측 튜브(29)와 접촉하여 그 외측 튜브와 함께 시일을 형성한다.
손잡이(10)는 일반적으로 역 "V" 형이다. 이 손잡이(10)의 일 단부는 제 3 덕트(14)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손잡이(10)의 반대쪽 단부는 제 2 덕트(1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회전 가능한 부착은 제 2 덕트(13)와 제 3 덕트(14) 사이의 부착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손잡이(10)의 일 단부는 칼라(40)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내부 표면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 홈을 포함한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추가 칼라(41)가 제 2 덕트(13)의 외측 튜브(29)에 고정되어 있고, 그의 외부 표면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 홈을 포함한다. 스냅 링(42)이, 손잡이(10)와 제 2 덕트(13)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지만 상대 분리는 방지하도록 2개의 홈 내부에 안착된다. 제 2 덕트(13)는 동일한 회전 축선(16) 주위로 손잡이(10)에 대해 회전한다. 따라서, 제 2 덕트(13)는 마치 힌지로 손잡이(10)에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손잡이(10) 아래에서 회전한다.
제 1 덕트(12)는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제 2 덕트(13)에 대해 회전한다. 도 3 및 4는 제 1 덕트(12)가 연장 위치에 있는 손잡이 어셈블리(4)를 도시하고, 도 5 및 6은 제 1 덕트(12)가 후퇴 위치에 있는 손잡이 어셈블리(4)를 도시한다. 제 1 덕트(12)는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약 105도의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제 1 및 2 덕트(12, 13)의 아치형 부분(21, 31) 각각은 125도의 중심각을 갖지만, 내측 튜브(28)가 외측 튜브(29)에 부착되어 있고 제 1 덕트(12)의 단부에 립 시일(35)이 제공되어 있어, 제 1 덕트(12)의 운동은 약 105도로 제한된다.
제 1 덕트(12)와 제 2 덕트(13)는 손잡이(10)에 대해 일괄적으로 회전한다. 도 7은 제 1 및 2 덕트(12, 13)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된 손잡이 어셈블리(4)를 도시하고, 도 8은 제 1 및 2 덕트(12, 13)가 제 2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손잡이 어셈블리(4)를 도시한다. 덕트(12, 13)의 회전 정도는 손잡이(10), 특히 손잡이(10)와 접촉하는 제 1 덕트(12)로만 제한된다. 따라서, 제 1 덕트(12, 13)는 약 280도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덕트 어셈블리(11)의 제 1 단부(즉, 호스(3)에 부착되는 단부)는 제 1 축선 또는 호스 축선(45)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고, 덕트 어셈블리(11)의 제 2 단부(즉, 기다란 튜브(5)에 부착되는 단부)는 제 2 축선 또는 튜브 축선(46)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호스 축선(45)과 튜브 축선(46) 사이의 포함 각도(γ)를 말할 때 "호스 각도"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제 1 덕트(12)가 도 3 및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호스 축선(45)은 튜브 축선(46)에 평행하고, 그래서 호스 각도(γ)는 0 도이다. 제 1 덕트(12)가 도 5 및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호스 각도(γ)는 약 105 도이다.
진공 청소기(1)의 사용 중에, 손잡이 어셈블리(4)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튜브(5)가 청소 표면과 약 45도의 포함 각도를 형성하도록 잡힌다. 호스(3)의 중량 때문에, 호스(3)는 손잡이 어셈블리(4)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달려 있는 경향이 있다. 청소기 헤드(6)가 청소 표면 위에서 앞뒤로 움직임에 따라, 기다란 튜브(5)와 청소 표면 사이의 각도는 대략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청소기 헤드(6)가 앞뒤로 움직임에 따라 손잡이 어셈블리(4)와 본체(2) 사이의 분리 거리는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호스(3)는 어느 정도의 굽힘 가요성을 제공하지만, 호스(3)의 전체 길이에서는 가요성이 거의 없다. 따라서, 청소기 헤드(6)가 앞뒤로 움직임에 따라, 손잡이 어셈블리(4)와 본체(2) 사이의 분리 거리를 수용하기 위해 호스(3)의 형상은 변해야 한다. 도 9 및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호스(3)의 형상이 변함에 따라, 손잡이 어셈블리(4)의 호스 각도(γ)가 변하게 된다. 특히, 청소기 헤드(7)가 청소 표면 위에서 앞뒤로 움직임에 따라, 호스 각도((γ)는 각각 증가 및 감소하게 된다.
고정된 호스 각도를 갖는 종래의 손잡이 어셈블리에서는, 호스는 손잡이 어셈블리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어셈블리가 뒤로 움직이고 손잡이 어셈블리와 본체 사이의 분리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호스는 종종 손잡이 어셈블리의 일측으로 외측으로 좌굴된다. 호스의 이러한 좌굴은 손잡이 어셈블리에 비틀림 토크를 주게 되는데, 사용자는 이 비틀림 토크에 저항해야 한다. 이러한 모든 것은 사용자의 손목에 대한 부담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설명하는 손잡이 어셈블리(4)의 경우에는, 청소기 헤드(6)가 앞뒤로 움직임에 따른 호스(3)의 형상 변화는 호스 각도(γ)의 변화를 통해 수용된다. 결과적으로, 청소기 헤드(6)가 앞뒤로 움직일 때, 사용자는 호스(3)로부터 더 작은 저항을 경험하게 된다. 손잡이 어셈블리(4)는 호스(3)가 비교적 큰 정도로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특히, 호스 각도(γ)는 0도에서 105도까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청소기 헤드(6)의 비교적 넓은 움직임 범위에 걸쳐 호스(3)로부터 상당히 작은 저항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도 9 및 10에 도시되어 있는 범위에 걸쳐 청소기 헤드(6)가 앞뒤로 움직일 때 작은 저항을 느낄 수 있다. 호스(3)가 비교적 큰 정도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은, 제 1 및 2 덕트(12, 13)에 아치형 부분(21, 31)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이다. 피봇 축선(15) 주위로 휘어져 있는 아치형 부분(21, 31)을 가짐으로써, 각 아치형 부분(21, 31)은 비교적 큰 각도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각도는 호스(3)의 회전 운동의 허용 범위를 규정한다.
청소기 헤드(6)를 앞뒤로 움직이는 것 외에도, 손잡이 어셈블리(4)는 청소기 헤드(6)를 좌우로 조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손잡이(10)를 튜브 축선(46) 주위로 회전시켜 달성된다. 손잡이(10)는 제 3 덕트(13)에 고정되고 이 덕트는 기다란 튜브(5)에 부착된다. 손잡이(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기다란 튜브(5)는 튜브 축선(46) 주위로 회전되며, 그리하여 청소기 헤드(6)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손잡이(10)가 튜브 축선(46) 주위로 회전함에 따라, 호스(3)의 중량으로 인해 제 1 및 2 덕트(12, 13)가 손잡이(10)에 대해 회전 축선(16) 주위로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 축선은 튜브 축선(46)과 일치한다. 이에 따른 순수 결과로, 손잡이(10)가 좌우로 회전할 때 제 1 및 2 덕트(12, 13)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리하여, 청소기 헤드(6)의 조향시 호스(3)는 손잡이 어셈블리(4)를 간섭 또는 방해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손잡이(10)와 제 2 덕트(13) 사이에 상대 회전이 없는 경우, 손잡이(1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호스(3)가 상방으로 들리게 된다. 그래서, 호스(3)의 중량 때문에 사용자의 손목에 부담이 가게 되고 이로 인해 조향이 어렵고 피곤게 된다.
손잡이 어셈블리(4)는 손잡이(10)에 대한 호스(3)의 2개의 운동 자유도를 제공한다. 첫째, 호스(3)는 피봇 축선(15) 주위로 손잡이(1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둘째, 호스(3)는 회전 축선(16) 주위로 손잡이(1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운동 자유도를 제공함으로써, 호스(3)에 의한 손잡이(10)의 움직임의 제한이 감소되고, 그래서 청소기 헤드(6)를 움직이는 것이 더 쉽게 된다. 이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호스(3)의 상대 운동에서의 추가 자유도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호스(3)는 가요성 호스(9)의 일 단부에 부착되는 커프(cuff)(8)를 포함한다. 이 커프(8)는 가요성 호스(9)를 손잡이 어셈블리(4)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커프(8)는 호스 축선(45) 주위의 상대 운동을 제공하도록 가요성 호스(9)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커프(8)는 가요성 호스(9)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제 1 덕트(12)의 곧은 부분(20)은 호스 축선(45) 주위의 커프(8)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양 경우, 가요성 호스(9)는 호스 축선(45) 주위로 손잡이(1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한다. 호스(3)가 이러한 추가적인 운동 자유도를 가짐으로써, 호스(3)에 의한 손잡이(10)의 움직임의 제한이 더 감소될 수 있다.
제 2 덕트(13)의 아치형 부분(31)은 손잡이(10) 아래의 공간 내로 아래쪽으로 휘어져 있다. 손잡이(1)) 아래에 있는 그렇지 않으면 이용되지 않을 이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덕트(11)의 아치형 부분(21, 31)은 비교적 큰 각도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손잡이 어셈블리(4)의 높이를 과도하게 증가시킴이 없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 비교적 큰 정도의 움직임이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먼저 위쪽으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양 덕트(12, 13)에 대한 곧은 부분(20, 30)과 아치형 부분(21, 31)의 천이부에서 유사한 정도의 굽힘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 2 덕트(13)가 위쪽으로 휘어지지 않으면, 제 1 덕트(12)의 곧은 부분(20)과 아치형 부분(21) 사이의 천이부에서 더 급격한 굽힘이 필요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덕트 어셈블리(11)를 관류하는 공기는 제 1 덕트(12)의 천이부에서 더 큰 난류를 경험하게 될 것이고, 그래서 유동 손실과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
호스(3)에서 비교적 큰 정도의 움직임은, 제 1 및 2 덕트(12, 13)에 아치형 부분(21, 31)을 제공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생각건대, 아치형 부분(21, 31)을 제거하고 또한 제 1 및 2 덕트(12, 13)의 곧은 부분(20, 30)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신장 호스를 가짐으로써, 유사한 움직임 범위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신장 호스의 사용에는 여러 단점이 있다. 신장 호스는 주름진 내면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신장 호스를 관류하는 공기는 매끄러운 내면을 갖는 덕트를 관류하는 공기 보다 더 큰 난류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신장 호스와 관련된 더 큰 유동 손실 및 증가된 소음이 있다. 추가적으로, 신장 호스는 강성 덕트 보다 더 비싸다. 여기서 설명되는 손잡이 어셈블리(4)는 유동 손실, 소음 및 비용이 줄어들도록 손잡이(10)에 대한 호스(3)의 비교적 큰 정도의 움직임을 제공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제 2 덕트(13)는 내측 튜브(28) 및 외측 튜브(29)를 포함하는 이중벽 덕트이다. 제 1 덕트(12)와 제 3 덕트(14)각각은 외측 튜브(29)와 시일을 형성하므로, 내측 튜브(28)은 아마도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내측 튜브(28)를 갖는 것에 이점이 있다. 제 2 덕트(13)는 제 1 덕트(12)의 상류에 위치되는데, 즉 덕트 어셈블리(11)를 관류하는 공기는 제 1 덕트(12)를 통과하기 전에 먼저 제 2 덕트(13)를 통과한다. 따라서, 내측 튜브(28)가 제거되면, 공기 흐름이 더 큰 직경의 제 2 덕트(13)로부터 더 작은 직경의 제 1 덕트(12)로 흐르게 된다. 제 1 덕트(12)의 단부는 유입하는 공기 유동에 어깨부를 준다. 결과적으로, 제 1 덕트(12)의 단부에 있는 시일(35)은 공기 유동에 실린 오물과 부스러기에 의해 손상될 수 있고, 그 결과, 청소기 헤드(6)에서의 흡입이 더 불량하게 된다. 추가로, 공기 유동에 실린 오물이 어깨부에 모일 수 있고, 제 1 덕트(12)가 제 2 덕트(13)에 들어가고 나감에 따라 부주의로 제 1 덕트(12)와 제 2 덕트(13) 사이에 잡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덕트 어셈블리(11)를 관류하는 증가된 난류를 경험하기 쉽고, 그 결과, 유동 손실과 소음이 증가된다. 이들 단점에도 불구하고, 그럼에도 내측 튜브(28)는 생략될 수 있다. 반대로, 내측 튜브(28)가 유지될 수 있고 외측 튜브(29)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덕트(12)와 제 3 덕트(14) 각각은 내측 튜브(28)와 함께 시일을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공기가 더 작은 직경의 제 2 덕트(13)로부터 더 큰 직경의 제 1 덕트(12)로 흐를 것이다. 그러므로, 제 1 덕트(12)의 단부는 유입하는 공기 유동에 어깨부를 주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단점은, 손잡이(10)가 제 2 덕트(1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없다는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제 2 덕트(13)에 대한 제 1 덕트(12)의 회전이 억제될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10)는 제 3 덕트(14)에만 부착될 수 있지만, 손잡이(10)를 제 2 덕트(13)에 추가로 부착하는데에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제 2 덕트(13)는 단일벽 덕트 또는 이중벽 덕트일 수 있다. 제 2 덕트(13)가 단일벽 덕트인 경우, 제 1 덕트(12)가 피봇 축선(15) 주위로 회전함에 따라 제 1 덕트(12)가 제 2 덕트(13)에 들어가고 나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덕트(12)가 피봇 축선(15) 주위로 회전함에 따라 제 2 덕트(13)가 제 1 덕트(12)에 들어가고 나갈 수 있다. 제 2 덕트(13)가 이중벽 덕트인 경우, 제 1 덕트(12)가 외측 튜브(29)에 들어가고 나갈 수 있고 내측 뷰트(28)는 제 1 덕트(12)에 들어가고 나갈 수 있다. 따라서, 더 일반적으로, 제 1 덕트(12)를 제 2 덕트(13)에 대해 회전시키면, 덕트(12, 13) 중의 하나의 아치형 부분(21, 31)이 덕트(12, 13) 중의 다른 것의 아치형 부분(21, 31)에 들어가고 나가게 된다.
제 2 덕트(13)는 제 3 덕트(14) 및 손잡이(10) 모두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에 따른 이점으로서, 호스(3)의 중량이 손잡이 어셈블리(4)에 의해 더 잘 지지되며, 그래서 호스(3)는 손잡이(10)에 대해 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ㅅ생각건대, 손잡이(10)와의 회전 가능한 부착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덕트(13)가 회전 가능하게 제 3 덕트(14)와 부착됨으로 인해, 호스(3)는 손잡이(10)에 대해 계속 회전될 것이고, 제 3 덕트에는 손잡이(10)가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단점은, 호스(3)의 중량은 제 2 덕트(13)와 제 3 덕트(14) 사이의 회전 조인트로만 지지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손잡이(10)에 대한 호스(3)의 회전은 덜 원활할 수 있다.
생각건대, 손잡이(10)에 대한 호스(3)의 회전은 손잡이 어셈블리(4)로부터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즉, 제 3 덕트(14)와 손잡이(10)에 대한 제 2 덕트(13)의 회전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덕트(13)와는 별개이고 그 덕트에 대해 움직이는 제 3 덕트(14)가 필요 없을 것이다. 그러면 제 3 덕트(14)는 제 2 덕트(13)의 일부분을 형성할 것이고, 기다란 튜브(5)는 제 2 덕트(13)에 부착될 것이며, 손잡이(10)는 일 단부 또는 양 단부에서 제 2 덕트(13)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손잡이(10)에 대한 호스(3)의 회전은 청소기 헤드(6)를 조향할 때 특별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손잡이(10)가 좌우로 회전함에 따라, 호스(3)는 손잡이(10) 아래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잡이(10)에 대한 호스(3)의 회전에 상관 없이, 제 1 및 2 덕트(12, 13)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 운동은 특별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피봇 축선(15) 주위로 휘어져 있는 2개의 아치형 부분(21, 31)의 제공으로 인해, 호스(3)가 손잡이(10)에 대해 비교적 큰 정도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 및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청소기 헤드(6)를 청소 표면 위에서 앞뒤로 움직일 때, 사용자는 호스(3)로부터 상당히 더 작은 저항을 경험한다. 추가로, 아래에서 설명하고 도 11 및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아치형 부분(21, 31)에 의해, 진공 청소기(1, 50)가 사용 중이 아닐 때에는 비교적 컴팩트한 형태가 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손잡이(10)는 양 단부에서 덕트 어셈블리(11)에 부착된다. 그러나, 앞의 두 단락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손잡이(10)는 일 단부에서만 덕트 어셈블리(11)에 부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손잡이(10)는 제 3 덕트(14)에만 부착될 수도 있고, 손잡이(10)에 대한 호스(3)의 회전은 제 2 덕트(13)가 제 3 덕트(1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음으로해서 가능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손잡이(10)에 대한 호스(3)의 회전이 필요치 않은 경우, 손잡이(10)는 일 단부에서만 제 2 덕트(13)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더욱이,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의 손잡이(10)는 v-형이지만, 특히 손잡이(10)가 일 단부에서만 덕트 어셈블리(11)에 부착되는 경우 대안적인 형상이 가능하다.
진공 청소기(1)가 사용 중일 때 이점을 주는 것 외에도, 손잡이 어셈블리(4)는 진공 청소기(1)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이점을 준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1)를 보관할 때, 기다란 튜브(5) 또는 청소기 헤드(6)는 기다란 튜브(5)가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본체(2)에 도킹될 수 있다. 종래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경우, 호스는 고리 형태로 다시 본체에 이르기 전에 손잡이 어셈블리로부터 상방 외측으로 연장될 것이다. 그 결과, 진공 청소기는 비교적 불안정하게 되고 호스와 충돌하는 사용자와 쉽게 부딪히게 된다. 추가로, 진공 청소기는 비교적 큰 보관 공간을 필요로 할 것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손잡이 어셈블리(4)의 경우, 호스가 손잡이 어셈블리(4)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제 1 덕트(12)는 제 2 덕트(13)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진공 청소기(1)의 무게 중심은 더 낮아져, 진공 청소기(1)가 더 안정적으로 된다. 추가로, 진공 청소기(1)는 더 컴팩트하고 더 작은 보관 공간을 필요로 한다.
지금까지 손잡이 어셈블리(4)는 캐니스터 진공 청소기(1)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손잡이 어셈블리(4)는 다른 종류의 진공 청소기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예컨대, 도 12는 손잡이 어셈블리(4)를 포함하는 직립형 진공 청소기(50)를 도시한다. 도 1의 캐니스터 진공 청소기(1)의 경우처럼, 직립형 진공 청소기(50)는 본체(2), 호스(3), 손잡이 어셈블리(4), 기다란 튜브(5) 및 청소기 헤드(6)를 포함한다. 그러나, 캐니스터 진공 청소기(1)와는 달리, 직립형 진공 청소기(50)의 기다란 헤드(5) 및 청소기 헤드(6)는 각각 본체(2)에 직접 부착된다. 진공 청소기(50)는 2개의 청소 모드, 즉 바닥 청소 모드와 바닥 상방 청소 모드를 갖는다. 바닥 청소 모드에서, 기다란 튜브(5)는 본체(2)에 잠금되고 본체(2)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손잡이 어셈블리(4)를 사용하여, 진공 청소기(50) 전체를 청소 표면 위에서 움직인다. 바닥 상방 청소 모드에서는, 기다란 튜브(5)는 잠금해제되어 본체(2)로부터 분리된다. 본체(2( 내부의 밸브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진공 모터(나타나 있지 않음)로 발생된 흡입이 청소기 헤드(6)로부터 기다란 튜브(5)로 전환된다. 손잡이 어셈블리(4) 및 기다란 튜브(5)를 사용하여, 아마도 기다란 튜브(5)에 부착되어 있는 부속 도구의 도움으로 바닥 상방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가 다시 바닥 청소 모드로 되고 기다란 튜브(5)가 본체(2)에 부착되면, 제 1 덕트(12)가 호스(3)의 중량 하에서 회전하여, 호스(3)가 수직 하방으로 매달리게 된다. 그 결과, 손잡이 어셈블리(4) 및 호스(3)는 비교적 컴팩트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추가로, 호스(3)는 손잡이 어셈블리(4)와 부착될 때 어떤 굽힘 응력도 받지 않는다.

Claims (14)

  1.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로서, 덕트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제 1 덕트와 제 2 덕트를 포함하고, 제 1 덕트는 피봇 축선 주위로 제 2 덕트에 대해 회전하고, 제 1 덕트와 제 2 덕트 각각은 상기 피봇 축선 주위로 휘어져 있는 아치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덕트를 제 2 덕트에 대해 회전시키면, 상기 덕트 중 한 덕트의 아치형 부분이 다른 덕트의 아치형 부분에 들어가고 나가게 되는,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덕트의 상기 아치형 부분은 적어도 90도의 중심각을 갖는,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덕트는 제 2 덕트에 대해 적어도 90도의 각도로 회전하는,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제 1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 1 단부 및 제 2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 2 반대쪽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제 1 축선이 제 2 축선과 90도의 포함 각도로 교차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제 1 축선이 제 2 축선과 45도의 포함 각도로 교차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제 1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 1 단부 및 제 2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 2 반대쪽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제 1 축선이 제 2 축선에 평행한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축선은 상기 손잡이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덕트의 아치형 부분은 상기 손잡이와 피봇 축선 사이의 공간 내로 상방으로 휘어져 있는,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는 일괄적으로 상기 손잡이에 대해 회전하는,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는 일괄적으로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 축선은 상기 피봇 축선에 수직인,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제 3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제 3 덕트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제 2 덕트는 제 3 덕트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덕트는 내측 튜브 및 외측 튜브를 포함하는 이중벽 덕트이고, 상기 제 1 덕트를 제 2 덕트에 대해 회전시키면, 제 1 덕트가 상기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 사이에서 움직이게 되는,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셈블리의 일 단부는 호스에 부착가능하고, 덕트 어셈블리의 다른 단부는 기다란 튜브, 청소기 헤드 및 부속 도구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부착물에 부착가능한,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13. 호스 및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로서, 상기 호스는 덕트 어셈블리의 일 단부에 부착되고, 제 1 덕트가 제 2 덕트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손잡이에 대해 움직이는, 친공 청소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덕트 어셈블리의 반대쪽 단부에 부착되는 부착물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물은 기다란 튜브, 청소기 헤드 및 부속 도구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187010506A 2015-09-14 2016-09-07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KR201800537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516181.3A GB2542197B (en) 2015-09-14 2015-09-14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GB1516181.3 2015-09-14
PCT/GB2016/052746 WO2017046568A1 (en) 2015-09-14 2016-09-07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493A Division KR102143437B1 (ko) 2015-09-14 2016-09-07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727A true KR20180053727A (ko) 2018-05-23

Family

ID=543630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493A KR102143437B1 (ko) 2015-09-14 2016-09-07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KR1020187010506A KR20180053727A (ko) 2015-09-14 2016-09-07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493A KR102143437B1 (ko) 2015-09-14 2016-09-07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65921B2 (ko)
JP (1) JP6385994B2 (ko)
KR (2) KR102143437B1 (ko)
CN (1) CN106913285B (ko)
GB (1) GB2542197B (ko)
WO (1) WO2017046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2198B (en) * 2015-09-14 2018-01-10 Dyson Technology Ltd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GB2542423B (en) * 2015-09-21 2018-01-24 Dyson Technology Ltd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DE102017114897B4 (de) 2017-07-04 2023-05-04 Wolfgang Plattner Feinstaubsauger, Verwendung desselben und Saugrohr
CN108542308A (zh) * 2018-06-11 2018-09-18 苏州诚河清洁设备有限公司 用于表面清洁装置的管连接组件
CN109480697B (zh) * 2018-12-29 2024-04-05 北京小狗吸尘器集团股份有限公司 吸尘器手柄及手柄体
JP1673232S (ko) * 2019-10-24 2021-04-19
USD1026368S1 (en) * 2021-11-20 2024-05-07 Project S, Inc. Vacuum hose handle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049A (ja) * 1991-08-23 1993-03-05 Yokogawa Electric Corp 通信制御装置
JPH0584197A (ja) 1991-09-30 1993-04-0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H05161580A (ja) * 1991-12-18 1993-06-29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H0556049U (ja) * 1992-01-14 1993-07-27 東京電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3177444B2 (ja) * 1996-04-23 2001-06-1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RU2138189C1 (ru) * 1996-07-27 1999-09-27 Квангджу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Чистящий аппарат
KR0133913Y1 (ko) * 1996-08-31 1999-10-01 대우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연장형 손잡이
JPH11146851A (ja) * 1997-11-17 1999-06-02 Hitachi Ltd 電気掃除機及びその手元ハンドル
DE19843973B4 (de) 1998-01-16 2015-11-05 BSH Hausgeräte GmbH Schlauchanordnung für einen Staubsauger
JP3286250B2 (ja) * 1998-07-03 2002-05-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KR100383917B1 (ko) 1998-07-27 2003-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후성이우수한내마모성피복조성물및이를이용한피막형성방법
JP2000300484A (ja) * 1999-04-20 2000-10-31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GB0000597D0 (en) * 2000-01-13 2000-03-01 Notetry Ltd Hose and wand assembly
JP2001275906A (ja) 2000-03-28 2001-10-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US6695352B2 (en) * 2001-01-29 2004-02-24 Lg Electronics Inc. Extension tube in vacuum cleaner
JP2002233482A (ja) 2001-02-07 2002-08-20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KR100774509B1 (ko) 2001-10-23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GB2388526B (en) * 2002-05-15 2005-11-02 Techtronic Ind Co Ltd Handle assembly for suction cleaner
JP4000518B2 (ja) 2002-11-19 2007-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4284160B2 (ja) 2003-02-13 2009-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04254940A (ja) * 2003-02-26 2004-09-1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KR100500844B1 (ko) * 2003-05-24 2005-07-1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핸들관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US7194784B2 (en) * 2003-06-24 2007-03-27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Floor cleaning apparatus with pivotal handle
JP4553793B2 (ja) 2005-05-13 2010-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4444164B2 (ja) 2005-05-27 2010-03-31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JP4476872B2 (ja) 2005-05-30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4545045B2 (ja) 2005-06-01 2010-09-1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06334157A (ja) 2005-06-02 2006-12-14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ホース
JP2006346115A (ja) 2005-06-15 2006-12-28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4390753B2 (ja) 2005-08-12 2009-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4390754B2 (ja) 2005-08-24 2009-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4613774B2 (ja) 2005-09-28 2011-0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DE102005046227B4 (de) * 2005-09-28 2009-10-01 Andreas Stihl Ag & Co. Kg Arbeitsgerät mit Einhand- und Zeihandbedienung
JP4923530B2 (ja) 2005-11-15 2012-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1322626B (zh) * 2007-06-14 2011-12-07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吹吸机
KR101462952B1 (ko) * 2007-12-20 201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하좌우의 모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손잡이 조립체 및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KR100962731B1 (ko) 2008-02-19 2010-06-10 강흥묵 진공 청소기의 핸들과 호스결합장치
JP2010094372A (ja) * 2008-10-17 2010-04-30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JP5135182B2 (ja) * 2008-11-26 2013-01-30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RU2500331C2 (ru) * 2009-05-21 2013-12-10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Тосиба Пылесос
GB201003605D0 (en) * 2010-03-04 2010-04-21 Dyson Technology Ltd A handle for a wand of a vacuum cleaning appliance
US9215960B2 (en) * 2013-02-28 2015-12-2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56721B2 (en) * 2013-02-28 2016-10-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2014200536A (ja) * 2013-04-08 2014-10-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2072381B1 (ko) * 2013-05-20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KR20140144864A (ko) * 2013-06-12 2014-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AU2015100061A4 (en) * 2014-02-10 2015-02-26 Bissell Inc. Vacuum cleaner
KR20150109903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JP2016178349A (ja) * 2015-03-18 2016-10-06 株式会社リコー 加熱消色記録剤使用判定用装置及び加熱消色記録剤使用判定装置
GB2542198B (en) * 2015-09-14 2018-01-10 Dyson Technology Ltd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KR101753495B1 (ko) * 2015-12-30 201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핸들 및 그립감이 향상되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928A (ko) 2020-07-13
WO2017046568A1 (en) 2017-03-23
JP2017056203A (ja) 2017-03-23
JP6385994B2 (ja) 2018-09-05
US10165921B2 (en) 2019-01-01
GB2542197B (en) 2017-12-20
KR102143437B1 (ko) 2020-08-11
CN106913285B (zh) 2020-08-25
GB2542197A (en) 2017-03-15
CN106913285A (zh) 2017-07-04
GB201516181D0 (en) 2015-10-28
US20170071432A1 (en)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3727A (ko)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KR20180053728A (ko)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JP4426151B2 (ja) ホースとまっすぐなパイプとの組立品
EP3241475B1 (en) Suction head with improved adherence to the surface to be vacuumed
US10463216B2 (en) Wand and hos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JP2009172378A (ja) 形を変えることができる空気流スティック
KR20180033246A (ko) 힌지 연결된 브러시 헤드를 갖는 스틱형 진공청소기
US6615446B2 (en) Canister vacuum cleaner
KR20200098517A (ko) 바닥 공구 유닛, 표면 처리 기기 및 진공 청소기
KR101455476B1 (ko)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US20150265113A1 (en) Vacuum cleaning device
JP4514652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100627907B1 (ko) 진공청소기의 일체형 보조 흡입구
US20030101533A1 (en) Canister vacuum cleaner
JP3994528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JP2005161100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JP2000005107A5 (ko)
JP2007209790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JP2005205229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JP2005211674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KR20060018715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