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692A - 브레이크 부스터 및 이와 같은 브레이크 부스터를 갖춘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부스터 및 이와 같은 브레이크 부스터를 갖춘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692A
KR20180053692A KR1020187010120A KR20187010120A KR20180053692A KR 20180053692 A KR20180053692 A KR 20180053692A KR 1020187010120 A KR1020187010120 A KR 1020187010120A KR 20187010120 A KR20187010120 A KR 20187010120A KR 20180053692 A KR20180053692 A KR 20180053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nut
brake booster
axial
spindl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826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옴
다니엘 바이씽어
안드레아스 데벌링
마쿠스 바우어
빌리 나겔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5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18Connection thereof to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46Screw mechanisms with gears arranged perpendicular to screw shaft axis, e.g. helical gears engaging tangentially the screw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62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 F16H2025/2081Parallel arrangement of drive motor to screw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기(3)를 통해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용 압력 피스톤과 연결된/연결될 수 있는 구동 모터(2)를 갖춘, 자동차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용 브레이크 부스터(1)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변속기(3)는 암나사(7)를 갖는 회전 가능한 스핀들 너트(6)와; 수나사(5)를 갖는 회전 불가능하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핀들 로드(4)를 구비하며, 이 경우에는 구동 모터(2)의 회전 운동을 스핀들 로드(4)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나사들(5, 7)이 서로 맞물리며, 이 경우 스핀들 너트(6)는, 변속기(3)의 구동 기어(12)의 일 톱니 맞물림부(13)와 맞물리는 외부 톱니 맞물림부(10)를 구비한다. 스핀들 너트(6)가 구동 기어(12)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제안되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부스터 및 이와 같은 브레이크 부스터를 갖춘 브레이크 장치
본 발명은, 변속기를 통해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용 압력 피스톤과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는 구동 모터를 갖춘, 자동차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용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변속기는 암나사를 갖는 회전 가능한 스핀들 너트와; 수나사를 갖는 회전 불가능한 스핀들 로드를 구비하며, 이 경우에는 구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압력 피스톤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나사들이 서로 맞물리며, 이 경우 스핀들 너트는, 변속기의 구동 기어의 일 톱니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외부 톱니 맞물림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용 압력 피스톤과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운전자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을 갖춘,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와도 관련이 있다.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브레이크 부스터 및 브레이크 장치는 종래 기술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브레이크 부스터 및 브레이크 장치는 종래 기술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공개 공보 DE 10 2012 014 361 A1호는,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를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압력 피스톤과 연결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용 브레이크 부스터를 개시한다. 이 경우, 변속기는, 구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압력 피스톤의 작동을 위한 스핀들 로드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스핀들 기어로서 형성된 섹션을 구비한다. 이 목적을 위해, 스핀들 기어는 암나사를 갖는 스핀들 너트, 및 수나사를 갖는 스핀들 로드를 구비하며, 이 경우에는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2개의 나사들이 서로 맞물린다. 또한, 스핀들 기어에 사다리꼴 나사를 제공함으로써, 암나사뿐만 아니라 수나사도 사다리꼴 나사로서 형성되어 상응하게 교합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또한, 스핀들 너트의 구동을 위해, 구동 모터에 의해서 제공되는 토크를 스핀들 너트로 전달하기 위하여, 변속기의 구동 기어의 톱니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외부 톱니 맞물림부를 스핀들 너트에 제공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구동 기어는 예를 들어, 스핀들 너트 및 구동 기어의 의 회전 축들이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스핀들 너트 옆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는 공지된 실시예들에 비하여, 구동 모터의 제어와 무관하게 운전자에 의한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비상 주행 모드가 보장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킬 수 있고, 변속기 또는 브레이크 부스터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작동을 위해 압력 피스톤을 병진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괴 없는 비상 주행 모드와 기존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의 브레이크 부스터의 바람직한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는, 스핀들 너트가 축 방향으로 구동 기어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축 방향 이동에 의해서는, 스핀들 너트가 스핀들 로드와 함께 축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병진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의해서 충분히 높은 힘을 제공하면, 이로써 사용자는, 스핀들 로드가 움직이고 이로 인해 스핀들 너트가 함께 움직여서 구동 기어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장해줄 수 있다. 따라서, 스핀들 너트의 축 방향 이동 가능성에 의해서는, 압력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응하게 높은 제동력을 브레이크 페달에 가하는 경우에 스핀들 너트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장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핀들 너트의 외부 톱니 맞물림부가 스핀들 너트의 슬리브 형상 섹션을 통해 구동 기어의 톱니 맞물림부보다 더 연장됨으로써, 외부 톱니 맞물림부와 톱니 맞물림부가 스핀들 너트의 축 방향 이동과 무관하게 동반 회전을 위하여 맞물리게 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로써, 스핀들 너트와 구동 기어는, 스핀들 너트가 축 방향으로 출발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도 계속해서 서로 맞물린다. 이로 인해, 스핀들 너트가 이미 이동된 경우에도, 특히 전동기로서 형성된 구동 모터의 제어에 의하여, 전동식으로 발생하는 그리고 구동 기어에 의해 스핀들 너트에 작용하는 토크에 의해 운전자가 보조를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언제든지 브레이크 부스터에 의해서 작동 중에 보조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는, 예를 들어 구동 모터가 반응할 수 있는 것보다 신속하게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는 경우, 구동 모터는 작동과 동시가 아니라 계속 작동하는 동안 최단 시간 안에 추가의 제동 토크를 발생할 수 있게 되는데, 예를 들어 다시 말하자면, 스핀들 로드가 이미 소정의 거리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에도 추가의 제동 토크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외부 톱니 맞물림부가 축 방향 톱니 맞물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형성에 의해서는, 스핀들 너트가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변속기를 통해서 구동 모터에 가해지는 토크가 전혀 없는 상황이 보장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상황은, 스핀들 너트가 언제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으로써 보장되는데, 그 이유는 예를 들어 변속기 및 구동 모터의 마찰 토크가 스핀들 너트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작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축 방향 톱니 맞물림부는 또한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외부 톱니 맞물림부 및 톱니 맞물림부에 의해서 형성된 기어 휠 변속기는 바람직하게, 개별 톱니 맞물림부의 톱니들이 자신의 재료에 따라서 형성되고 치수 설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특히, 덜 단단한 재료로 제조된 톱니들은 더 단단한 재료로 제조된 톱니들보다 큰 톱니 폭을 갖게 된다. 이 경우, 톱니 맞물림부 또는 변속기의 기하학적 구조는 바람직하게, 어떠한 주변 조건에서도 톱니들의 충분한 중첩 및 이로 인한 확실한 토크 전달이 보장되도록 선택되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구동 기어가 구동 링 기어로서 형성되어 있고, 톱니 맞물림부가 구동 링 기어의 내부 톱니 맞물림부인 것이 제안되었다. 이에 의해서는, 구동 링 기어가 스핀들 너트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어 있고, 스핀들 너트가 구동 링 기어를 관통한다는 것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서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바람직한 콤팩트한 실시예들이 나타난다. 더 나아가서는, 구동 링 기어에 의해서 제공되는 토크가 스핀들 너트에 균일하게 전달된다. 외부 톱니 맞물림부 및 내부 톱니 맞물림부의 톱니들의 바람직한 윤곽 형성(contouring)에 의해서는, 또한 바람직하게 구동 링 기어 및 스핀들 너트가 서로에 대해 자동으로 센터링 된다. 이 목적을 위해, 특히 톱니들의 치면들이 각각 방사 방향 연장부에 대해 비스듬하게 정렬되어 있음으로써, 톱니들은 원뿔 형상의 횡단면을 갖게 된다.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또한 스핀들 너트가 구동 링 기어를 위한 축 방향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로써, 스핀들 너트는, 축 방향 스토퍼가 구동 링 기어에 충돌할 때까지 최대한 멀리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스핀들 너트의 이동 가능성은 적어도 축 방향으로 제한된다. 특히, 이에 의해서는, 축 방향 이동시 외부 톱니 맞물림부가 톱니 맞물림부로부터 풀어지거나 결합 해제되는 상황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축 방향 스토퍼에 의해서는, 또한 구동 링 기어에 대한 스핀들 너트의 바람직한 출발 위치가 규정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 스토퍼가 적어도 섹션별로 스핀들 너트의 축 방향 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로써, 축 방향 스토퍼는 스핀들 너트의 운동 경로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구동 링 기어에 평탄하게 또는 수직으로 충돌하는 스토퍼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는, 특히 큰 축 방향 힘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 스토퍼가 적어도 섹션별로 스핀들 슬리브의 축 방향 연장부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정렬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축 방향 스토퍼의 경사진 섹션에 의해서는, 축 방향 힘 외에 방사 방향 힘도 스핀들 너트로부터 구동 링 기어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특히 축 방향 스토퍼가 구동 링 기어에 대해 가압되는 경우, 구동 링 기어에 대한 스핀들 너트의 바람직한 센터링이 성취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축 방향 스토퍼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축 방향 스토퍼는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그리고 스핀들 슬리브의 축 방향 연장부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정렬된 정지면을 구비하게 된다. 원뿔 형상의 형성에 의해서는, 구동 링 기어에 대한 스핀들 너트의 특히 바람직한 자동 센터링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구동 링 기어는 축 방향 스토퍼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 스토퍼를 구비한다. 이로써, 스핀들 너트와 구동 링 기어 사이에서는 바람직한 피팅 및 바람직한 상호 작용이 보장된다. 특히, 축 방향 스토퍼가 섹션별로 또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구동 링 기어의 스토퍼의 상보적인 형성에 의해서 바람직한 센터링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스핀들 너트의 외부 톱니 맞물림부는 축 방향 스토퍼까지 도달한다. 이로써, 축 방향 스토퍼는 톱니 맞물림부 또는 외부 톱니 맞물림부의 일 섹션을 구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스핀들 너트의 이동 거리는 최대가 되고, 특히 축 방향 스토퍼의 영역에서는 높은 토크가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축 방향 스토퍼를 이용해서 스핀들 너트를 구동 링 기어에 대해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가 스핀들 너트에 할당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스프링 요소에 의해서는, 스핀들 너트가 앞에서 이미 언급된 출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스프링 요소가 제동력과 반대로 작용함으로써, 제동 과정의 실행 후에는 변속기가 스프링 요소에 의해서 자신의 출발 위치로 자동으로 뒤로 밀려나게 된다. 이에 의해서는, 스핀들 너트가 구동 링 기어에 대해 축 방향 이동된 경우에도, 출발 상태가 재차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상황이 간단한 유형 및 방식으로 보장된다.
청구항 12의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를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앞에서 이미 언급된 장점들이 나타난다. 또 다른 장점들 및 바람직한 특징들은 특히 전술된 내용 및 청구항들로부터 나타난다.
특히 바람직하게, 압력 피스톤은 스핀들 로드를 형성하거나, 스핀들 로드의 직접적인 연장부 내에서 스핀들 로드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이로써, 특히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압력 피스톤은 브레이크 부스터의 통합 구성 부품이 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 장치의 특히 콤팩트한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장점들이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브레이크 부스터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2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변속기의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변속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a 및 도 4b는 변속기의 스핀들 너트의 축 방향 스토퍼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5는 변속기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용 브레이크 부스터를 개략도로 보여준다. 브레이크 부스터(1)는 본 도면에 간략하게 도시된 구동 모터(2)를 구비하며, 이 구동 모터는 전동기로서 형성되어 있고, 변속기(3)에 의해서 압력 피스톤과 상호 작용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압력 피스톤은 본 도면에서 섹션별로만 그리고 종단면도로만 도시되어 있다. 압력 피스톤은, 수나사(5)를 갖는 중공 바(hollow bar)로서 형성되어 있다. 축 방향으로 볼 때, 압력 피스톤은 일 단부에서는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단부에서는 브레이크 부스터(1)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압력 피스톤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시에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작동을 위해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압력 피스톤(4)은 수나사(5)에 의해서 스핀들 로드를 형성하며, 이 스핀들 로드 상에 스핀들 너트(6)가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다. 스핀들 너트(6)는 섹션별로 암나사(7)를 구비하고, 이 암나사는 수나사(5)와 맞물린다. 이 경우, 수나사(5) 및 암나사(7)는 각각 사다리꼴 나사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나사(5)는 축 방향으로 볼 때 암나사(7)보다 2배 이상 더 큰 섹션에 걸쳐서 연장된다. 화살표(8)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너트(6)가 회전 운동으로 변위되면, 이와 같은 변위 동작은, 화살표(9)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교합하는 사다리꼴 나사에 의해서, 스핀들 로드를 형성하는 압력 피스톤(4)의 축 방향 이동을 야기한다.
스핀들 너트(6)는 또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톱니를 갖는 외부 톱니 맞물림부(10)를 구비한다. 또한, 스핀들 너트(6)는, 원뿔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축 방향 스토퍼(11)를 일 단부에 구비한다.
변속기(3)는 또한, 외부 톱니 맞물림부(10)와 맞물리는 내부 톱니 맞물림부(13)를 구비하는 구동 링 기어(12)를 구비한다. 외부 톱니 맞물림부(10) 및 내부 톱니 맞물림부(13)가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음으로써, 스핀들 너트(6)는 구동 링 기어(12)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구동 링 기어(12)는 외부 톱니 맞물림부를 구비하고, 이 외부 톱니 맞물림부에 의해서 구동 링 기어(12)가 중간 기어 휠(15)과 작용 연결되며, 이 경우 중간 기어 휠은 변속 단을 구비하고, 전동기(2)의 구동 피니언 기어(14)와 맞물린다.
전동기(2)가 구동되면, 암나사(13)에 의해서 스핀들 너트(6)와 함께 움직이고 회전 운동으로 변위되는 구동 링 기어(12)로 토크가 가해진다. 스핀들 로드(4) 또는 압력 피스톤이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스핀들 너트(6)의 회전에 의해서는 압력 피스톤의 축 방향 운동이 발생하고,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가 작동된다. 이로써는, 자동 제동 과정이 도입될 수 있거나, 운전자가 추가 제동력의 발생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전동기(2)가 반응할 수 있는 것보다 신속하게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거나, 전동기(2) 또는 브레이크 부스터(1)에 결함이 있으면, 운전자는, 구동 링 기어(12)에 대한 스핀들 너트(6)의 축 방향 이동 가능성으로 인해 압력 피스톤을 순수 기계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압력 피스톤이 스핀들 로드(4)를 스핀들 너트(6)와 함께 축 방향으로 구동 링 기어(12)를 통과하도록 가압한다. 스프링 요소(16), 특히 나사 스프링에 의해서는, 스핀들 너트(6)가 축 방향 스토퍼(11)에 의해 구동 링 기어(12)에 대해 뒤로 가압됨으로써, 축 방향 스토퍼(11)는 구동 링 기어(12)에 접하게 되고, 추가의 이동은 불가능해진다. 이와 관련하여, 스프링 요소에 의해서는, 변속기(3)가 출발 상태의 방향으로 초기 응력을 받는다.
도 2는, 구동 링 기어(12)의 횡단면을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수나사(10)의 톱니(17) 및 이 톱니와 맞물리는 암나사(13)의 톱니(18)가 각각 경사진 치면을 구비함으로써, 톱니(17, 18)가 각각 사다리 형상의 횡단면을 갖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교합하는 톱니(17 및 18)는 스핀들 너트(6) 및 구동 링 기어(12)를 위해 센터링 작용을 한다. 톱니(17, 18)의 윤곽의 선택에 의해서는, 구동 링 기어(12) 및 스핀들 너트(6)가 서로에 대해 자동으로 센터링 되는 것이 보장된다. 특히, 토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 링 기어(12)가 구동 모터(2)에 의해서 구동되는 경우에는, 경사진 치면으로 인해 스핀들 너트(6)에 대한 구동 링 기어(12)의 방사 방향 센터링이 실행되고, 이로 인해 구동 링 기어(12) 및 스핀들 너트(6)는 자동으로 서로에 대해 최적으로 정렬된다.
도 3은, 구동 링 기어(12)의 영역에서 변속기(3)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보여준다. 특히, 본 도면에서는, 구동 링 기어(12)의 톱니(18)가 구동 링 기어(12)의 톱니(17)보다 덜 축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톱니 맞물림부의 동반 회전 동작이 상실되지 않으면서, 스핀들 너트(6)가 톱니(17)의 종방향 연장부에 상응하게 구동 링 기어(12)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톱니(17 및 18)의 톱니 폭은 바람직하게 자신들의 재료 강도에 따라 선택된다. 이 경우, 스핀들 너트(6) 및 구동 링 기어(12)의 재료 특성은 서로 비율적으로 설정되고, 톱니 폭은 상기 비율에 상응하게 선택된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핀들 너트(6)가 구동 링 기어(12)에 비해 덜 단단한 재료로 제조되었고, 이로써 또한 비교적 더 큰 톱니 폭(B)을 갖는다. 이 경우, 톱니 맞물림부, 다시 말해 내부 톱니 맞물림부(13) 및 외부 톱니 맞물림부(10)의 기하학적 구조는 특히 온도 및 습기와 같은 모든 예상된 주변 조건들에서 동반 회전을 위한 톱니(17 및 18)의 충분한 중첩이 보장되도록 선택된다.
도 4a 및 도 4b는, 스핀들 너트(6)의 축 방향 스토퍼(11)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각각 변속기(1)의 종단면도로 보여준다.
도 4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축 방향 스토퍼(11)를 보여주며, 이 경우에는 축 방향 스토퍼(11)가 스핀들 너트(6)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스핀들 너트(6)의 축 방향 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방사 방향 외부로 연장됨으로써, 축 방향 스토퍼는 평탄한 또는 수직의 정지면(19)을 형성하게 된다. 구동 링 기어(12)가 축 방향 스토퍼(11)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구동 링 기어도 마찬가지로 정지면(19)에 대해 상보적인 정지면을 형성하는 스토퍼(20)를 구비하게 된다. 도 4a의 실시예에서는, 높은 축 방향 힘이 스핀들 너트(6)로부터 구동 링 기어(12)로 전달되어 구동 링 기어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a 및 도 4b의 화살표는 스핀들 너트(6)의 축 방향 부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이로써, 스핀들 너트(6)는 특히 스프링 요소(16)에 의해서 축 방향 스토퍼(11)에 의해 구동 링 기어(12)의 스토퍼(20)에 대해 가압된다. 이로써, 축 방향 스토퍼(11)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종료하는 경우에, 구동 링 기어(12)에 대한 스핀들 너트(6)의 출발 위치가 규정되고 자동으로 이 출발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스프링 요소(16)에 의해서는, 스핀들 너트(6)가 자동으로 출발 위치로 역으로 이동된다.
도 4b는, 도 1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 방향 스토퍼(11)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전체 범위에 걸쳐 스핀들 슬리브(6)의 축 방향 연장부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는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로 인해, 상응하게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구동 링 기어(12)의 스토퍼(20)의 정지면과 상호 작용하는 원뿔 형상의 정지면(19)이 나타나게 된다. 경사진 정지면(19)에 의해서는, 축 방향 부하가 축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방사 방향으로도 지지된다. 특히, 이 경우에 방사 방향 지지에 의해서는, 구동 링 기어(12)에 대한 스핀들 너트(6)의 바람직한 센터링이 이루어진다. 이때, 힘의 분배는 절단 위치에서 부하를 경감시킬 뿐만 아니라, 그와 동시에 힘 분배에 의해 사다리꼴 나사로부터 또는 스핀들 로드(4)와의 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스핀들 너트(6)의 방사 방향 변형도 감소시킨다.
이로써, 압력 피스톤의 작동을 위해 스핀들 로드(4)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핀들 너트(6)가 구동 모터(2)를 통해 변속기(3)에 의해서 구동되면, 스핀들 너트(6)는 바람직하게 축 방향 스토퍼(11)에 의해 구동 링 기어(12)의 스토퍼(20)에서 지지된다.
도 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링 기어(12)의 영역에서의 변속기(1)의 부분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따라, 스핀들 너트(6)의 외부 톱니 맞물림부(10)가 축 방향 스토퍼(11) 내부까지 연장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 경우, 축 방향 스토퍼(11)는 도 4b의 실시예에 따라, 원뿔 형상의 정지면(19)을 구비하여 형성되었다. 외부 톱니 맞물림부(10)가 축 방향 스토퍼(11) 내부까지 연장된다는 사실로 인해, 정지면(19)이 둘레에 걸쳐 분포된 상태에서 균일하게 중단됨으로써, 축 방향 스토퍼는 스핀들 슬리브(6)의 축 방향 연장부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정렬된 복수의 정지면(19)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로써, 스핀들 너트(6)가 구동 링 기어(12)까지 근접한 경우에는, 구동 링 기어(12)의 내부 톱니 맞물림부(13)의 톱니(18)가 축 방향 스토퍼(11) 내에서 국부적으로 중첩됨으로써, 정지면(19)은 구동 링 기어(12)의 스토퍼(20)의 상응하게 형성된 대응 정지면에 충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중첩 실시예에 의해서는, 스핀들 너트(6)가 축 방향 스토퍼(11)에 의해 구동 링 기어(12)에 접하는 정상 모드에서, 스핀들 너트(6)와 구동 중공 링(12) 간의 맞물림이 최대로 중첩됨으로써, 높은 토크가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다.

Claims (13)

  1. 변속기(3)를 통해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용 압력 피스톤과 연결된/연결될 수 있는 구동 모터(2)를 갖춘 자동차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용 브레이크 부스터(1)이며, 변속기(3)는 암나사(7)를 갖는 회전 가능한 스핀들 너트(6)와; 수나사(5)를 갖는 회전 불가능하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핀들 로드(4)를 구비하며, 구동 모터(2)의 회전 운동을 스핀들 로드(4)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나사들(5, 7)이 서로 맞물리며, 스핀들 너트(6)는, 변속기(3)의 구동 기어(12)의 일 톱니 맞물림부(13)와 맞물리는 외부 톱니 맞물림부(10)를 구비하는, 브레이크 부스터에 있어서,
    스핀들 너트(6)는 구동 기어(12)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스핀들 너트(6)의 외부 톱니 맞물림부(10)는 스핀들 너트(6)의 슬리브 형상 섹션을 통해 구동 기어(12)의 톱니 맞물림부(13)보다 더 연장됨으로써, 외부 톱니 맞물림부(10)와 톱니 맞물림부(13)가 스핀들 너트(6)의 축 방향 이동과 무관하게 동반 회전을 위하여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 톱니 맞물림부(10)는 축 방향 톱니 맞물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기어는 구동 링 기어(12)로서 형성되어 있고, 톱니 맞물림부는 구동 링 기어(12)의 내부 톱니 맞물림부(13)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핀들 너트(6)는 구동 링 기어(12)를 위한 축 방향 스토퍼(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 방향 스토퍼(11)는 적어도 섹션별로 스핀들 너트(6)의 축 방향 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 방향 스토퍼(11)는 적어도 섹션별로 스핀들 너트(6)의 축 방향 연장부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정렬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 방향 스토퍼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링 기어(12)는 축 방향 스토퍼(11)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 스토퍼(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핀들 너트(6)의 외부 톱니 맞물림부(10)는 축 방향 스토퍼(11) 내부까지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핀들 너트(6)에는 축 방향 스토퍼(11)를 이용해서 스핀들 너트(6)를 구동 링 기어(12)에 대해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16)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12. 운전자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을 갖춘,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이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은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용 압력 피스톤과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압력 피스톤에 할당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1)를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압력 피스톤은 스핀들 로드(4)를 형성하거나, 스핀들 로드(4)의 직접적인 연장부 내에서 상기 스핀들 로드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KR1020187010120A 2015-09-14 2016-07-13 브레이크 부스터 및 이와 같은 브레이크 부스터를 갖춘 브레이크 장치 KR102573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7548.0A DE102015217548A1 (de) 2015-09-14 2015-09-14 Bremskraftverstärker und Bremseinrichtung
DE102015217548.0 2015-09-14
PCT/EP2016/066623 WO2017045796A1 (de) 2015-09-14 2016-07-13 Bremskraftverstärker und bremseinrichtung mit einem derartigen bremskraftverstär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692A true KR20180053692A (ko) 2018-05-23
KR102573826B1 KR102573826B1 (ko) 2023-09-04

Family

ID=56411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120A KR102573826B1 (ko) 2015-09-14 2016-07-13 브레이크 부스터 및 이와 같은 브레이크 부스터를 갖춘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04133B2 (ko)
EP (1) EP3350039B1 (ko)
JP (1) JP6641458B2 (ko)
KR (1) KR102573826B1 (ko)
CN (1) CN107949510B (ko)
DE (1) DE102015217548A1 (ko)
ES (1) ES2763803T3 (ko)
PL (1) PL3350039T3 (ko)
WO (1) WO20170457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442A (ko) * 2019-03-19 2020-09-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제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7547A1 (de) * 2015-09-14 2017-03-16 Robert Bosch Gmbh Bremskraftverstärke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17530A1 (de) * 2015-09-14 2017-03-16 Robert Bosch Gmbh Bremskraftverstärke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8216764A1 (de) * 2018-09-28 2020-04-02 Minebea Mitsumi Inc. Linearsteller
DE102019205978A1 (de) * 2019-04-25 2020-10-29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r Bremsdruckerzeuger für ein hydraulisches Bremssystem eines Fahrzeugs
DE102019205972A1 (de) * 2019-04-25 2020-10-29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r Bremsdruckerzeuger für ein hydraulisches Bremssystem eines Fahrzeugs sowie Fahrzeug umfassend einen elektromechanischen Bremsdruckerzeuger
DE202019103390U1 (de) * 2019-06-17 2020-09-18 Dewertokin Gmbh Linearantrieb mit Lageausrichtungsmitteln zwischen Führungsrohr und Spindelmutter
US11460082B2 (en) * 2020-06-29 2022-10-04 Akebnon Brake Industry Co., Ltd. Self-lock high-efficient rotary to linear mechanism
CN111907499B (zh) * 2020-08-07 2021-06-08 格陆博科技有限公司 一种电液制动系统及其制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5883A (en) * 1980-12-22 1983-08-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 brake booster
DE102006017734A1 (de) * 2006-04-15 2007-10-18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für eine Bremsanlage
JP2008064194A (ja) * 2006-09-06 2008-03-21 Hi-Lex Corporation ブレーキ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10468Z2 (it) * 1987-01-21 1988-12-30 Iveco Fiat Attuatore lineare elettromeccanico per il ribaltamento della cabina di guida di un veicolo industriale
DE102007018469A1 (de) * 2007-04-19 2008-10-23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DE102009001142A1 (de) * 2009-02-25 2010-08-26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JP2013071536A (ja) * 2011-09-27 2013-04-2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動倍力装置
DE102012014361A1 (de) 2012-07-20 2014-01-23 Volkswag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n Hauptbremszylinder eines Kraftfahrzeugs
DE102013006795A1 (de) 2013-04-19 2014-10-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5883A (en) * 1980-12-22 1983-08-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 brake booster
DE102006017734A1 (de) * 2006-04-15 2007-10-18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für eine Bremsanlage
JP2008064194A (ja) * 2006-09-06 2008-03-21 Hi-Lex Corporation ブレーキ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442A (ko) * 2019-03-19 2020-09-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51114A1 (en) 2018-09-06
PL3350039T3 (pl) 2020-06-01
DE102015217548A1 (de) 2017-03-16
US10604133B2 (en) 2020-03-31
JP2018526266A (ja) 2018-09-13
WO2017045796A1 (de) 2017-03-23
EP3350039B1 (de) 2019-10-02
EP3350039A1 (de) 2018-07-25
ES2763803T3 (es) 2020-06-01
CN107949510B (zh) 2020-05-19
JP6641458B2 (ja) 2020-02-05
CN107949510A (zh) 2018-04-20
KR102573826B1 (ko) 202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3692A (ko) 브레이크 부스터 및 이와 같은 브레이크 부스터를 갖춘 브레이크 장치
DE102018111573B4 (de) Elektronische parkbremse
DE102016011359B4 (de) Elektronische scheibenbremse
DE112013004300T5 (de) Elektrische Parkbremsantriebsvorrichtung und elektrische Parkbremsvorrichtung
EP2137034A1 (de) 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DE102013204998A1 (de) Elektrische Parkbremssteuervorrichtung
CN108025725B (zh) 用于机动车的制动力放大器
EP1498633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hydraulischen Fahrzeugbremse mit elektrisch betätigter Feststelleinrichtung als Notbremse
DE102016011301B4 (de) Elektronische Scheibenbremse
US20050253450A1 (en) Electromechanical brake pressure generator for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and motor vehicle brake system
DE112018006002B4 (de) Fahrzeugsteuervorrichtung
DE102013227112A1 (de) Bremsensystem
CN103821928A (zh) 具有驻车锁止的换挡装置及其激活方法
KR20180053690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부스터
EP2130737B1 (de) Brem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WO2012013314A2 (de)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und bremssystem
DE112015005831T5 (de) Elektrisches Bremssystem
WO2019208748A1 (ja) 制動制御装置
EP3585663B1 (de) 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mit einer hydraulischen fahrzeugbremse und mit einer elektromechanischen bremsvorrichtung
DE102005044669B4 (de) Feststellbremse für ein Fahrzeug mit selbstständiger Verriegelung
DE102011007036A1 (de)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r Feststellbremse
DE10200804249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ktivierung der Feststellbremse
KR102616541B1 (ko) 차량용 제동장치
CN116733865A (zh) 鼓式制动器和电子驻车制动器
DE102010002660A1 (de) Bremskraftverstär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