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795A - 신균주 총명버섯 - Google Patents

신균주 총명버섯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795A
KR20180051795A KR1020160148567A KR20160148567A KR20180051795A KR 20180051795 A KR20180051795 A KR 20180051795A KR 1020160148567 A KR1020160148567 A KR 1020160148567A KR 20160148567 A KR20160148567 A KR 20160148567A KR 20180051795 A KR20180051795 A KR 20180051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edium
volume
stropharia
hyph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용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미르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미르코리아(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미르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60148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795A/ko
Publication of KR20180051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3/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 C12R1/64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신균주 총명버섯(Stropharia hyphal)(기탁번호: KCTC18505P)을 제공하는 것으로, 총명버섯의 균사 발육 촉진 온도는 4~25℃이며, pH 5.0 ~ 7.0의 약산성 환경에서 재배 가능하고, 온도 22~28, 노지 배지의 수분함량 70~75% 및 상대습도 85~90%의 생육환경에서 숙성생장이 가능하다. 특히, 총명버섯은 영하의 날씨에서도 생장이 가능하므로, 기존 특허들의 시설 재배 방식과는 다르게, 균 접종 후 원목을 땅에 묻지 않고, 노지 배지에서 버섯을 생산하여 우수한 품질의 총명버섯을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균주 총명버섯{A NOVEL STRAIN STROPHARIA RUGOSOANNULATA}
본 발명은 신균주 총명버섯(Stropharia hyphal)(기탁번호: KCTC18505P)에 관한 것이다
독청버섯아재비(Stropharia)속에 속하는 버섯의 균주 및 그 버섯의 재배방법은 한국 특허에 등록된 바 있다.
자연산 독청버섯 아재비는 봄-가을에 지상, 퇴비장, 목장 부근의 유기질이 많은 곳에 군생하며, 한국, 동아시아, 유럽, 북미등에 분포한다.
독청버섯 아재비는 전세계의 10대 식용버섯 중의 하나로서 널리 알려져 왔으며 중국, 일본, 유럽등에서는 야외 노지재배방법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독청버섯아재비의 야외 노지재배는 자연조건상에서 계절별 재배에 의존하는 재배법이 많아 생산성이 불안정하고 상품성이 좋지 않다.
따라서, 소비자에게 우수한 버섯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특허 출원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2352(2008.05.20)호의 경우, "신균주 독청버섯아재비 및 이의 재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노지가 아닌 인공적 실내 균상재배를 개시하고 있어, 비용상의 문제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품질이 우수하며 실제 소비자에게 공급 및 유통이 가능하고 노지에서의 대량 재배가 가능한 독청버섯아재비에 관해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의 신균주 총명버섯이 기존의 독청버섯아재비과의 변이종이며 독청버섯아재비와는 형태 및 생리적 특성이 상이한 균주로, 상품적 가치가 우수하고 환경변화에 대한 내성이 강하여 노지재배가 가능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은, 신균주 총명버섯(Stropharia hyphal)(기탁번호: KCTC18505P)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균주 총명버섯의 배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균주 총명버섯으로부터 형성된 신균주 총명버섯 자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균주 총명버섯(Stropharia hyphal)(기탁번호: KCTC18505P)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총명버섯은 배지 총 부피에 대하여 옥수수 대 40 내지 60부피%, 밀집 23 내지 33부피%, 왕겨 15 내지 25부피%, 석회분 1 내지 5부피%(v/v%)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생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지는 상기 배지 총 부피에 대하여 옥수수 대 30 내지 50부피%, 볏짚 25 내지 35부피%, 톱밥 23 내지 33부피%, 석회분 1 내지 5부피%(v/v%)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생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총명버섯의 균사 발육 촉진 온도는 4~25℃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총명버섯의 균주 생장 산도(pH)는 5.0 ~ 7.0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총명버섯은 온도 22~28℃, 노지 배지의 수분함량 70~75% 및 상대습도 85~90%의 생육환경에서 숙성생장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균주 총명버섯은 기존의 독청버섯아재비속의 변종 균주로, 형태 및 생리적 특성이 상이하며, 환경변화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영하의 온도에서 생장할 수 있어 노지에서 재배가 가능하여 생산비를 절약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식품산업 및 농업 고부가가치 사업 창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배지를 제조하는 사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노지 버섯 배지를 노지에 조성하는 사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고체 종균을 배양하는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고체 종균을 배지에 접종하는 사진을 나타낸 도 이다.
도 5는 노지 버섯 배지에 막대기로 구멍을 내어 산소를 공급하는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상기 노지 버섯 배지 상에 복토하는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상기 노지 버섯 배지 상에 볏짚 등을 덮는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노지에서 비닐멀칭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발의한 총명버섯의 사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가공된 총명버섯의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과장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와 B가 '연결된다', '결합된다' 라는 의미는 A와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하는 것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 C가 A와 B 사이에 포함되어 A와 B가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신균주 총명버섯(Stropharia hyphal)(기탁번호: KCTC18505P)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균주 총명버섯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신규한 총명버섯(Stropharia hyphal)의 특성
본 발명의 총명버섯은 2000년도에 경북 문경시 산북면 서중리 산 19-1번지에서 채취하였으며, 균 분리 증식한 종균이다.
본 발명의 총명버섯은 비팅(bead beating) 방법을 이용하여 DNA를 추출하였고 내부 전사되는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와 RNA 중합효소 서브유닛II(RNA polymerase subunit II; RPB2)를 PCR 수정을 거쳐 유전자은행의 BLAST search를 통하고 RAPD 방법을 통하여 DNA염기서열을 확인하였으며, 육안적 관찰, 포자크기에 대한 현미경적 관찰과 DNA OST search를 통하여 총명버섯(Stropharia hyphal)으로 확인되었다.
균사배양은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한천배지(PDA)에 5g의 펩톤을 추가하여 진행하였다.
균사습도는 65~80%, 공기 상대습도는 90~95%을 유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명버섯 자실체 생장 최적온도는 16~21℃, 상대습도는 70~75%, 총명버섯 최적 생육 온도는 10~16℃이고, 상대습도는 90~95%를 유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이산화탄소는 30일까지 CO2 농도를 2%이상으로 유지해주고, 버섯 봉우리 형성기 8일부터 0.15%보다 낮게 유지하여 생장시켰다.
본 발명의 총명버섯은 원통형의 버섯으로 갓은 붉은 색, 줄기는 흰색 또는 회색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지름 5~30cm 길이 5~18cm의 모양을 한다. 총명버섯의 갓은 반구형의 부드러운 표면에 끈적이는 액체로 젖은 표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육질이 부드럽고 여러 종류의 비타민이 포함되어 있으며 인체에 필요한 미량 원소도 포함되어 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총명버섯의 성분 분석표이다.
성분 한국명 성분 영문명( Test ltems ) 함량( Teat Result )
아스파르트산 ,g/100g aminosuccinic acid; aspartic acid 0.13
α-아미노-┑-히드록시부티르산 ,g/100g alpha-amino-beta-hydroxybutyric acid 0.09
세리신, g/100g serine 0.09
글루타민산염, g/100g glutamate 0.24
프롤린, g/100g proline 0.04
글리신, g/100g glycine 0.07
알라닌, g/100g alanine 0.10
시스틴, g/100g cystine 0.13
발린, g/100g valine 0.07
메티오닌, g/100g methionine 0.06
이소류신, g/100g Isoleucine 0.08
류신, g/100g leucine 0.14
타이로신,, g/100g Tyrosine 0.10
페닐알라닌, g/100g Phenylalanine 0.14
라이신, g/100g lysine 0.09
히스티틴, g/100g histidine 0.05
트립토판, g/100g tryptophan; tryptophane 0.04
아르기닌, g/100g Arginine arginine 0.05
아미노산 총량, g/100g 1.71
단백질, g/100g 3.73
지방, g/100g 0.16
총 당류 g/100g 56.9
섬유 g/100g corase fiber 0.60
회분 g/100g ash content ; 0.72
수분, g/100g 86.7
칼륨, mg/100g 257
인, mg/100g phosphorus 61.4
셀렌, mg/100g selenium 3.2
1.24
아연, mg/100g zinc 0.51
납, mg/100g lead 0.02
수은, mg/100g mercury 미검출<0.005
칼슘, mg/100g 1.37
사이퍼메트린 cypermethrin 미검출(0.01)
클로르피리포스,mg/100g chlorpyrifos 미검출(<0.02)
비타민c mg/100g 5.81
총명버섯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배지는 농가의 부산물 볏짚, 보리 짚, 밀집, 옥수수대, 갈대 등을 재배원료로 사용하며,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등의 배지의 1/10의 양만 있으면 재배 가능하다.
(2)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 건강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3) 각종 중금속 특히 아연 및 비소등을 배출시키며 항암효과가 크다.
(4) 섬유소는 채소보다 많고 비타민 D는 콩의 20배, 다시마의 8배를 함유하고 있다.
(5) 라이신(Lysine hydrochloride)이 풍부하여 치매예방에 좋으며, 어린아이와 노인들의 지능 발육과 건강에 도움이 된다. 또, 콜라겐, SOD, 칼슘, 칼륨, 리보 핵산 등 함량이 풍부하여, 간장에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는 기능을 하고 혈액순화를 촉진하며, 세포 중 유리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피부를 촉촉하게 한다.
(6) 항 HIV 효과가 크다.
<실시예 2> 신규한 총명버섯의 재배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배지 제조 단계, 노지 버섯 배지 조성 및 배지 살균 단계, 종균 접종 및 배양 단계, 복토단계 및 숙성생장단계를 포함하는 버섯재배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버섯재배방법은, 노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포도밭, 사과 밭, 복숭아 밭과 같은 과수원에 간작으로 생산할 수 있고, 토굴 지하실 등에서도 생산 가능하다.
가. 배지 제조 단계
도 1은 배지를 제조하는 사진을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배지제조단계에서, 상기 배지는 상기 배지 총 부피에 대하여 옥수수 대 50부피%, 밀집 28부피%, 왕겨 20부피%, 석회분 2부피%(v/v%)를 포함하거나, 상기 배지 총 부피에 대하여 옥수수 대 40부피%, 볏짚 30부피%, 톱밥 28부피%, 석회분 2부피%(v/v%)를 포함하거나, 볏짚 600kg, 옥수수 줄기 600kg, 사탕수수 잎 및 줄기 600kg, 소나무 및 전나무 톱밥이 혼합된 톱밥 600kg을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배지에는, 밀기울, 쌀겨, 깻묵, 대두 박 등의 재료가 총 배지 부피의 1~2%정도로 더 첨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지에는 분발 석회를 혼합 할 수 있으며, 상기 분발 석회 혼합 량은 225kg/hm2)일 수 있다.
상기 배지의 수분함량은 75~8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지의 pH값은 5.0~7.0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상대 습도는 85~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 노지 버섯 배지 조성 및 배지 살균 단계
도 2는 노지 버섯 배지를 노지에 조성하는 사진을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배지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배지를 노지에 노지 버섯 배지로 조성한다. 상기 노지 버섯 배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덕을 형성하여 조성할 수 있으며, 폭 55~122cm, 높이 25~50cm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노지 버섯 배지 상에 비닐을 덮어 자연 살균한다. 이 때, 상기 노지 버섯 배지의 량은 20~30kg/m2 정도일 수 있으며, 상기 노지 버섯 배지는 각종 농가 부산물인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어, 방선균 혹은 방사선균이 온도를 상승 시키면서, 호열균에 의하여 배지가 숙성될 수 있어, 노지 버섯 배지를 살균 및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노지 버섯 배지의 살균 및 숙성기간은 약 45일 일 수 있다.
다. 종균 접종 및 숙성 단계
도 3은 고체 종균을 배양하는 사진을 나타낸 도 이고, 도 4는 고체 종균을 배지에 접종하는 사진을 나타낸 도 이다. 또한 도 5는 노지 버섯 배지에 막대기로 구멍을 내어 산소를 공급하는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상기 고체 종균은, 톱밥 및 대패 밥 78%, 밀기울 20%, 사탕 수수 박 1%, 탄산칼슘 1% 및 수분 65%를 포함한 샘플을 스팀살균 후, 무균상자에서 균 접종을 한다. 상기 고체 종균은 20~28℃에서 20일 정도 숙성하여 배양한다.
상기 배양된 고체 종균을, 상기 종균 접종 단계에서 상기 노지 버섯 배지에 3~5cm 의 크기로 10~12 cm 간격으로 뚫고 액체 종균이나 고체 종균을 접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체 종균을 접종할 경우, 접종하는 고체 종균량은 400~500g/m2 일 수 있다. 이 때, 온도를 4~25℃로 유지시켜 균사 발육을 촉진시켜준다.
또한, 총명버섯은 산소를 필요로 하는 호기성 균이며, 신선하고 충분한 산소의 공급은 높은 품질의 버섯의 성장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므로, 성장 단계에 있는 자실체에 대하여 신선한 공기를 충분하게 공급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지 버섯 배지에 막대기로 구멍을 내어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명버섯의 생육 환경 범위는 4.5~9pH이며, 최적 성장은 5.0~7.0pH일 수 있다. 상기 총명버섯의 대사 과정에서, 유기산이 생산 됨으로, pH가 하락 할 수 있으나, 밀이나 짚 등 발효기저에서 정상적으로 성장 할 수 있다.
라. 복토 단계
도 6은 상기 노지 버섯 배지 상에 복토하는 사진을 나타낸 도이고, 도 7은 상기 노지 버섯 배지 상에 볏짚 등을 덮는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상기 종균 접종 단계를 통해 균사가 상기 노지 버섯 배지에 퍼졌을 때, 상기 노지 버섯 배지 상에 흙으로 복토한다. 상기 복토 단계는 버섯 생장을 촉진시켜준다. 복토는 과수원에서 재배 시, 복토에 사용되는 흙의 수분은 35% 내외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지 버섯 배지에 0.04~0.06m3/m2의 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토 단계는 흙으로 복토하는 것이 아닌 볏짚, 톱 밥, 왕겨, 옥수수 줄기 등과 같은 것으로 상기 노지 버섯 배지를 덮는 것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이 때, 과일 나무 가지는 6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볏짚인 경우 1~1.2m로 덮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토의 토양은 사질 양토로 영양원이 풍부한 토양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토 흙의 살충 및 살균을 위하여 1%의 폭심(phoxim) 및 카벤다짐(carbendazim)수화제를 2000배 희석하여 살포하는 것으로 토양 중의 곰팡이 및 해충을 구제할 수 있다. 이 때 버섯 생육 수확사는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 복토 단계 이후, 상기 노지 버섯 배지를 숙성하기 위하여, 비닐 멜칭을 하여 버섯 균사가 활동하기 좋은 환경을 유지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토 단계 이후, 낮의 온도가 30~35℃ 이상 일 때는 26℃로 내려주고, 비닐 멜칭하여 상대습도를 79% 내외로 유지하여 준다면, 상기 총명버섯의 균사의 활동을 유도 할 수 있다.
마. 숙성생장단계
도 7은 노지에서 비닐멀칭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사진을 나타낸 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발의한 총명버섯의 사진을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숙성생장단계에서 상기 총명버섯 생장의 최적 조건인 22~28℃, 수분함량 70~75%, 상대습도 85~90%를 유지해주어, 종균을 접종시킨 배지를 숙성시키고 상기 총명버섯의 생장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습도 유지는, 스프링쿨러 등을 이용하여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총명버섯은 영하 35도에서 영상 35도의 온도에서도 생존하고 생산량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총명버섯은 연중 3싸이클로 재배가 가능하며, 보통 9월에서 11월, 11월에서 익년 3월, 4월에서 7월에 재배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총명버섯은 다른 버섯에 비하여 생산량이 안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총명버섯을 생장하는데 있어서, 변형 박테리아인 재먹물버섯(coprinus cinereus(Fr.) S.F. Gray) 발생에 주의 해야한다.
또한, 해충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노지 버섯 배지 및 복토의 토양 살균으로 하이멕사졸(hymexazol) 을 800배 희석 살포하거나, 하이멕사졸(hymexazol)과 50% 폭심을 혼합한 액을 1000배로 희석한 것을 살포하여, 해충, 진드기, 버섯 모기, 개미, 굼벵이 등을 구제 할 수 있다. 이 때, 버섯의 발의, 생육 및 수확 시에는 상기 살균제 또는 농약을 살포하지 않는다.
바. 버섯의 채취
도 11 내지 도 12는 가공된 총명버섯의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상기 총명버섯은 부드럽게 손가락을 넣고 느슨하게 당겨 채취하는 방식으로 상기 노지 버섯 배지에서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상기 총명버섯은 1m2의 노지당 최대 12kg까지 수확이 가능하다.
수확된 상기 총명버섯은, 싱싱한 상태, 말린 상태 또는 절인 상태로 가공되어 소비자들에게 판매 가능하며, 상기 총명버섯의 저장성은 3일 정도이므로, 채취 후 건조하거나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신균주 총명버섯(Stropharia hyphal)(기탁번호: KCTC18505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명버섯은,
    배지 총 부피에 대하여 옥수수 대 40 내지 60부피%, 밀집 23 내지 33부피%, 왕겨 15 내지 25부피%, 석회분 1 내지 5부피%(v/v%)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생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명버섯.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명버섯은,
    상기 배지는 상기 배지 총 부피에 대하여 옥수수 대 30 내지 50부피%, 볏짚 25 내지 35부피%, 톱밥 23 내지 33부피%, 석회분 1 내지 5부피%(v/v%)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생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명버섯.
  4. 제1항에 있어서,
    총명버섯의 균사발육 촉진 온도는 4~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명버섯.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명버섯의 균주 생장 산도(pH)는 5.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명버섯.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 단계에서,
    상기 복토는 30~40%의 수분을 함량하고, 배지 1m2 면적 당 0.04~0.06m3 만큼 복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명버섯 재배방법.
KR1020160148567A 2016-11-09 2016-11-09 신균주 총명버섯 KR20180051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567A KR20180051795A (ko) 2016-11-09 2016-11-09 신균주 총명버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567A KR20180051795A (ko) 2016-11-09 2016-11-09 신균주 총명버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795A true KR20180051795A (ko) 2018-05-17

Family

ID=6248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567A KR20180051795A (ko) 2016-11-09 2016-11-09 신균주 총명버섯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179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0533A (zh) * 2018-11-06 2019-01-18 广东容盛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高质量食用菌的种植方法
CN110537454A (zh) * 2019-09-26 2019-12-06 都江堰市马蒂斯农业技术推广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南方高海拔地区的大球盖菇林下反季节栽培技术
CN114041590A (zh) * 2021-10-29 2022-02-15 华中农业大学 一种大球盖菇菌菇肠及其制备方法
CN115250930A (zh) * 2022-08-31 2022-11-01 防城港市畜牧站 生态循环养殖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0533A (zh) * 2018-11-06 2019-01-18 广东容盛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高质量食用菌的种植方法
CN110537454A (zh) * 2019-09-26 2019-12-06 都江堰市马蒂斯农业技术推广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南方高海拔地区的大球盖菇林下反季节栽培技术
CN114041590A (zh) * 2021-10-29 2022-02-15 华中农业大学 一种大球盖菇菌菇肠及其制备方法
CN114041590B (zh) * 2021-10-29 2022-11-18 华中农业大学 一种大球盖菇菌菇肠及其制备方法
CN115250930A (zh) * 2022-08-31 2022-11-01 防城港市畜牧站 生态循环养殖系统
CN115250930B (zh) * 2022-08-31 2023-12-12 防城港市畜牧站 生态循环养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7849B (zh) 一种银耳菌种培育方法
CN105474995A (zh) 一种野生鸡枞菌的栽培驯化方法
CN104126414B (zh) 黑木耳的人工栽培方法
CN104798601A (zh) 一种香菇的种植方法
CN103583225A (zh) 一种利用木薯杆栽培优质高产秀珍菇的方法
KR20180051795A (ko) 신균주 총명버섯
CN102273377A (zh) 一种牛肝菌或红菌的栽培方法
CN104641943A (zh) 一种桑枝栽培袖珍菇的方法
KR101934341B1 (ko) 신균주 총명버섯의 재배방법
CN113099946A (zh) 一种赤松茸的栽培方法
CN108048335B (zh) 蒙古口蘑新菌株草原白蘑2号及其选育方法
CN107125028A (zh) 一种野生黄环鳞伞菌驯化及人工培育方法
CN104620810B (zh) 油莎豆耕层置换栽培方法
CN107306662B (zh) 羊肚菌连作栽培方法
CN1490280A (zh) 一种微生物多抗菌肥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340570A (zh) 金耳的工厂化栽培方法
CN107455142A (zh) 一种提高灵芝品质的种植方法
KR100349579B1 (ko) 동충하초 재배방법
CN107089846B (zh) 一种应用于韭菜地的微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5660190A (zh) 灵芝与林蛙互补共生立体栽培养殖方法
KR100288105B1 (ko) 신규한 번데기동충하초 균주와 그 종균 및 자실체 재배방법
CN107950315A (zh) 一种辣椒和番茄的套栽方法
KR10092570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동충하초 효소의 생산방법
KR100786744B1 (ko) 잿빛만가닥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잿빛만가닥버섯의 재배방법
CN110301286A (zh) 一种灵芝的绿色无土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