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879A -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879A
KR20180050879A KR1020160147436A KR20160147436A KR20180050879A KR 20180050879 A KR20180050879 A KR 20180050879A KR 1020160147436 A KR1020160147436 A KR 1020160147436A KR 20160147436 A KR20160147436 A KR 20160147436A KR 20180050879 A KR20180050879 A KR 20180050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as
displacement means
electrode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804B1 (ko
Inventor
장문수
Original Assignee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7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80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01Reference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누출된 가스 압력에 의해 변위되는 변위수단을 통해 전극과 접점되면서 총전신호를 압림으로써, 가스 누출 여부가 감지될 수 있도록 한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체가 이송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배관과, 상기 복수의 배관 단부가 맞대어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관라인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연결부를 감싸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시키며, 일측면에는 통공이 형성된 기밀 하우징;상기 기밀 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해 누출된 가스 압력에 의해 변위되면서 전극에 통전되어 통전신호를 알림으로써 가스누출여부를 감지하는 미세차압감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A gas leak detection device using electrode contact}
본 발명은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누출에 따른 가스 압력에 의해 변위되는 변위수단의 위치 이동을 이용해 전극과의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감지신호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전반에 널리 사용되는 배관설비는 유체, 가스 등을 대량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일정 장소에서 사용 개소로 수송하기 위한 용도등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그 설비는 날로 대형화 및 복잡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가스화된 물질을 이송하는 배관설비는 설치 환경에 따라 다수 개의 배관 연결에 의하여 이송라인을 형성하게 되고, 어느 하나의 배관과 인접되는 배관이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관의 연결부는 플랜지 결합, 볼트ㆍ너트 체결, 끼움식 체결 또는 용접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배관설비를 안전하게 운용하기 위하여 특히 중요한 요소는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배관 이음부에서의 가스누출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하여 그에 대한 후속조치를 취하여야 하는 것이고, 이를 게을리하는 경우에는 대형 사고의 발생을 피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관의 연결부는 서로 다른 배관의 말단을 상호 연결시키는 부분이기 때문에 연결부의 노후화 또는 외력에 의한 파손 등과 같은 원인으로 손상될 수 있고, 유해가스를 이송하는 이송라인 전체에서 배관 연결부의 손상으로 인해 유해가스가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하여, 배관의 연결부에서 누출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여, 배관라인을 통하여 이송되는 유해가스의 이송을 중단하고, 배관의 연결부를 빠른 시간 내에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 감지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는 배관 연결부에서 가스가 누출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배관 연결부에서의 가스누출에 따른 소리의 발생여부를 청각에 의하여 점검하는 방법, 인체에 무해하거나 특유의 냄새를 가지는 가스를 수송하기 위한 배관설비의 배관 연결부인 경우에는 가스 누출에 따른 냄새가 나는지를 후각에 의하여 점검하는 방법, 또는 배관 연결부의 부근에 비눗물 등을 도포함으로써 가스가 누출되는지의 여부를 점검하는 방법등이 사용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특정 가스의 누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어 각각의 가스에 대한 누출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그 감지센서를 갖춘 별도의 이동장비 등을 작업자가 들고 다니면서 배관 연결부의 누출여부를 점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직접 배관 연결부로 이동하여 누출여부를 점검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상 고소(高所)나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되어지는 배관설비의 모든 배관 연결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점검하는 것이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대략적인 가스누출 점검만이 이루어져 대형사고의 위험을 항상 가지고 있는 것은 물론, 추락 등의 안전사고 위험도 항상 존재하는 것이며, 옥외배관의 경우에는 기상 연건에 따라 그 점검 자체가 곤란한 경우도 있었다.
물론,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배관의 일부에 압력계를 설치하여 가스누출에 따른 압력을 검출하고 시간경과에 따른 검출압력이 기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가스누출을 감지하도록 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 역시, 가스누출 감지여부에 대한 효과만 있을 뿐, 가스 누출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4462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라인의 배관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가스 누출에 따른 멤브레인의 변위를 이용한 전극 접점을 통해 감지신호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가스 누출 여부를 원거리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직접 그 배관 연결부로 이동하지 않고서도 가스누출의 점검이 가능하도록 한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체가 이송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배관과, 상기 복수의 배관 단부가 맞대어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관라인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연결부를 감싸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시키며, 일측면에는 통공이 형성된 기밀 하우징;상기 기밀 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해 누출된 가스 압력에 의해 변위되면서 전극에 통전되어 통전신호를 알림으로써 가스누출여부를 감지하는 미세차압감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미세차압감지기는, 상기 기밀 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되되 변위 공간을 제공하며, 기밀 하우징의 통공에 대응된 기체 유입공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기체 유입공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기체 유입공을 통해 새어나오는 기체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변위수단;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변위수단이 팽창되는 방향에 설치된 전극;상기 변위수단과 전극 사이에 설치되며, 변위수단의 뱐위와 연동되어 전극에 접점되는 도전성 물질의 시그널 컨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변위수단은 멤브레인(membrane)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변위수단의 양측 단부는 몸체에 고정되며, 변위수단의 양측은 주름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위수단은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시그널 컨텍부재는 변위수단 위에 안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밀 하우징은, 기밀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되 미세차압감지기가 고정되며, 배관의 일부를 감싸는 제1케이스;상기 기밀 하우징의 나머지를 구성하되 제1케이스의 테두리에 밀착되며, 배관의 나머지를 감싸는 제2케이스;상기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둘레면 사이에 코팅되며, 씰링 역할을 하는 코팅제;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중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되어 삽입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관라인에 있어서, 가스 누출 가능성이 있는 배관 연결부위에 기밀 하우징을 덮어씌우고, 기밀 하우징에는 배관 연결부위로부터 누출된 가스 압력에 의해 변위되는 변위수단이 설치됨으로써, 가스 누출시 변위수단의 변위를 통해 전극에 접점이 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극 접점에 따른 통전에 의해 알림신호가 발생함으로써, 가스 누출감지 및 감지 위치가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변위수단으로서 멤브레인 소재가 제공됨으로써, 소량의 가스 누출이 이루어져 차압이 미세하게 발생하더라도 변위수단의 변위가 이루어질 수 있음에 따라 가스누출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가 배관라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가 배관라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가 배관라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의 미세차압감지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가 배관라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의 미세차압감지기를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이하, '가스누출 감지장치'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스누출 감지장치는 배관라인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가스 누출시 새어나오는 가스 압력에 의해 변위되는 변위수단을 통해 전극에 접점되도록 하여 가스누출신호를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가스 누출 점검을 실시할 필요가 없으며, 가스 누출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가스누출 감지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 하우징(100)과, 체결수단(200)과, 미세차압 감지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밀 하우징(100)은 배관라인의 배관 연결부위를 덮어씌워 기밀을 유지시키며, 배관의 연결부위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기밀 하우징(100)의 외관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한 쌍으로 분리되어 제공된다.
이는 배관라인에 대한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기밀 하우징(100)의 분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분리보다는 상,하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관라인에 기밀 하우징(100)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상부에 위치되어 후술하는 미세차압감지기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제1케이스(110)라 하고, 하방에 위치되는 케이스는 제2케이스(120)라 한다.
제1케이스(110)는 배관라인의 연결부위 상부를 감싸며, 배관라인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호(arc)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110)의 내측 상부에는 통공(111)이 형성된다.
통공(111)은 배관라인 연결부위로부터의 가스 누출시, 그 가스가 새어나가는 통로이며, 그 통로는 후술하는 미세차압감지기(300) 내부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2케이스(120)는 배관라인 연결부위 하부를 감싸며, 제2케이스(120)에도 제1케이스(110)와 마찬가지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한편,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테두리에는 상호 간에 결합시 기밀 유지를 위한 씰링수단이 마련되는데 상기 씰링수단은 액상의 씰링 코팅제(S)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씰링 코팅제(S)는 제1케이스(110) 또는 제2케이스(120)의 테두리에 도포되며, 기존의 오링(o-ring)과 같은 연질의 씰링수단과는 차별화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체결수단(200)은 한 쌍으로 구성된 기밀 하우징(100)을 체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에 마련된다.
상기 체결수단(200)은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를 압착하여 체결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체결수단(200)이 토글 클램프인 것을 예로 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10)의 양측면에는 체결부재(210)가 마련되고, 제2케이스(120)의 양측면에는 체결부재(210)가 걸려 체결되는 걸림편(220)이 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체결수단(200)이 토글 클램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의 테두리에 체결공이 형성된 플랜지(미도시)를 마련하여 볼트 조립을 통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미세차압감지기(300)는 배관라인의 연결부위로부터 누출된 가스를 감지하여 외부에 알리는 역할을 하며, 기밀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배관라인의 연결부위로부터 누출된 가스는 기밀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후, 상승되므로 미세차압감지기(300)의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미세차압감지기(300)는 몸체(310)와, 변위수단(320)과, 전극(330)과, 시그널 컨텍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310)는 미세차압감지기(300)의 외관을 구성하며, 기밀 하우징(100)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때, 몸체(310)와 기밀 하우징(100)은 서로 기밀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되면 무방하다.
상기 몸체(310)는 변위수단(320)이 변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바닥면에는 기밀 하우징(100)의 통공에 대향되는 기체 유입공(311)이 형성된다.
상기 기체 유입공(311)은 배관라인의 연결부위로부터 누출된 가스가 기밀 하우징(100)의 통공을 통해 미세차압감지기(30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이다.
그리고, 변위수단(320)은 기체 유입공(311)을 통해 몸체(310) 내부로 유입된 기체 압력에 의해 팽창하면서 후술하는 시그널 컨택부재(340)를 전극(330)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변위수단(320)은 기체의 미세 압력에도 변위될 수 있는 소재이면 바람직하다.
즉, 배관라인의 연결부위로부터 누출되는 기체의 유량 및 압력이 적거나 작게 발생하더라도, 기체의 미세차압에 반응할 수 있는 소재이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변위수단(320)이 멤브레인(membrane)소재인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즉, 멤브레인 소재 특성상, 미세차압에도 유연하게 변위될 수 있는 것임을 감안할 때, 변위수단(320)은 멤브레인 소재로 마련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멤브레인의 변위수단(320) 양측 단부는 몸체(310)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기체 유입공(311)에 대향된다.
즉, 변위수단(320)은 몸체(310)의 내부에서 기체 유입공(311)을 차폐시키는 상태로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시그널 컨택부재(340)는 변위수단(320)의 변위를 통해 위치가 이동되면서 전극(330)에 접점되는 구성이다.
시그널 컨택부재(34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야함은 당연하며, 박판으로 구성된다.
시그널 컨택부재(340)는 변위수단(320) 위에 마련되며, 변위수단(320)에 고정되거나 단순 안착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전극(330)은 몸체(310)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며, 시그널 컨택부재(340)와의 점점을 통해 통전신호를 외부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시그널 컨택부재(340)와 전극(330) 간에 회로 구성은 공지된 통전을 위한 회로구성과 동일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스누출 감지장치 설치 및 가스누출 감지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배관이 맞대어 결합된 배관라인이 제공되고, 배관이 연결된 배관라인의 연결부위에 기밀 하우징(100)을 결합시킨다.
배관라인의 연결부위 하부에는 제2케이스(120)를 배치하고, 배관라인 연결부위 상부에는 제1케이스(110)를 덮어씌운다.
이에 따라,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테두리는 서로 밀착이 되고, 테두리에는 씰링 코팅제(S)를 통해 씰링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기밀 하우징(100) 양측면에 마련된 토글 클램프(200)를 체결하여 기밀 하우징(100)을 결합시킴으로써, 기밀 하우징(100)은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배관라인을 통해 기체가 이송되고, 여러 요인을 통해 배관라인의 연결부위로부터 기체가 누출된다.
상기 누출된 기체는 기밀 하우징(100)의 통공(111)을 통해 미세차압감지기(300)의 기체유입공(311)을 통해 새어 들어가게 된다.
이때, 미세차압감지기(300)의 몸체(310) 내부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며, 기체 압력에 의해 변위수단(320)은 상방으로 팽창하게 된다.
이후, 변위수단(320) 위에 마련된 시그널 컨택부재(340)는 변위수단(320)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되어 몸체(310) 상부의 전극(330)에 접점이 된다.
이에 따라, 통전이 되며, 그 통전신호는 미세차압감지기(300) 외부에 설치된 신호기를 통해 표시된다.
상기 신호기는 빛을 발광할 수도 있으며, 신호기에서는 경고음이 출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가스 누출 사실을 인지하게 되며, 신호기를 통해 가스 누출 위치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감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누출 감지장치는 기밀 하우징(100) 결합시 편의성을 높이고 변위수단(320)의 변위가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가스누출 감지장치의 기밀하우징(100) 양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수단(400)이 설치된다.
가이드 수단(400)은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 결합의 정확도 및 편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돌기(410)와 가이드홈부(420)로 구성된다.
가이드 돌기(410)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케이스로부터 외향 돌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이드 돌기(410)가 제1케이스(110)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 돌기(410)는 제1케이스(110)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제1케이스(110)의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홈부(420)는 제2케이스(120)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가이드돌기(410)에 대응된다.
상기 가이드홈부(420)는 가이드 돌기(410) 너비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앵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이드홈부(420)의 상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의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이드돌기(410)가 가이드홈부(420)로의 삽입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 결합시, 가이드돌기(410)가 먼저 가이드홈부(420)에 삽입되어 가이드됨으로써, 체결수단(210)의 체결위치가 정확히 가이드될 수 있으므로 기밀 하우징(100) 결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멤브레인 소재로 구성된 변위수단(320)의 양측은 주름부(321)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변위수단(320)의 변위작용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변위수단(320)을 구성하는 멤브레인 소재의 양측을 주름부(321)로 형성함으로써, 변위수단(320) 신축시, 더욱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는 멤브레인 소재로 구성된 변위수단을 마련하여, 누출된 가스의 압력에 의한 변위수단의 변위를 이용해 전극 접점을 통한 감지 신호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가스 누출 감지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메브레인 소재를 이용한 변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기밀 하우징 110 : 제1케이스
111 : 통공 120 : 제2케이스
200 : 체결수단 210 : 체결부재
220 : 걸림편 300 : 미세차압감지기
310 : 몸체 311 : 기체유입공
320 : 변위수단 321 : 주름부
330 : 전극 240 : 시그널 컨택부재
400 : 가이드수단 410 : 가이드돌기
420 : 가이드홈부

Claims (7)

  1. 유체가 이송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배관과, 상기 복수의 배관 단부가 맞대어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관라인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연결부를 감싸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시키며, 일측면에는 통공이 형성된 기밀 하우징;
    상기 기밀 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해 누출된 가스 압력에 의해 변위되면서 전극에 통전되어 통전신호를 알림으로써 가스누출여부를 감지하는 미세차압감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차압감지기는,
    상기 기밀 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되되 변위 공간을 제공하며, 기밀 하우징의 통공에 대응된 기체 유입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기체 유입공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기체 유입공을 통해 새어나오는 기체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변위수단;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변위수단이 팽창되는 방향에 설치된 전극;
    상기 변위수단과 전극 사이에 설치되며, 변위수단의 뱐위와 연동되어 전극에 접점되는 도전성 물질의 시그널 컨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은 멤브레인(membrane)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의 양측 단부는 몸체에 고정되며, 변위수단의 양측은 주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은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시그널 컨텍부재는 변위수단 위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하우징은,
    기밀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되 미세차압감지기가 고정되며, 배관의 일부를 감싸는 제1케이스;
    상기 기밀 하우징의 나머지를 구성하되 제1케이스의 테두리에 밀착되며, 배관의 나머지를 감싸는 제2케이스;
    상기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둘레면 사이에 코팅되며, 씰링 역할을 하는 코팅제;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중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되어 삽입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KR1020160147436A 2016-11-07 2016-11-07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KR101944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436A KR101944804B1 (ko) 2016-11-07 2016-11-07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436A KR101944804B1 (ko) 2016-11-07 2016-11-07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879A true KR20180050879A (ko) 2018-05-16
KR101944804B1 KR101944804B1 (ko) 2019-02-07

Family

ID=6245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436A KR101944804B1 (ko) 2016-11-07 2016-11-07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80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555A (ko) * 2018-08-10 2018-08-29 한병관 유해화학물질 파이프 라인의 유체 누설 여부 실시간 점검 시스템
CN112067212A (zh) * 2020-09-25 2020-12-11 上海骄成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管道气密性检测装置
CN113624411A (zh) * 2021-07-28 2021-11-09 中航油青岛国际机场航空油料有限责任公司 机坪加油管道阀门井防水密封性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4017682A (zh) * 2021-11-30 2022-02-08 重庆重科大分析仪器有限公司 一种检测石油天然气管道漏气的安全防护装置
CN114110442A (zh) * 2021-11-25 2022-03-01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客车用氢气泄露预警装置
CN114878097A (zh) * 2022-05-19 2022-08-09 宁夏天利丰能源利用有限公司 一种用于低温泵性能测试装置
US20230133191A1 (en) * 2021-11-03 2023-05-04 Delta Electronics, Inc. Leak detection sensor and leak detection system using same
CN116659758A (zh) * 2023-08-02 2023-08-29 烟台盈德精密机械有限公司 气驱尿素喷嘴气密性试验平台
WO2023249159A1 (ko) * 2022-06-22 2023-12-28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누수센서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994B1 (ko) 2019-09-17 2019-12-27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에칭 가스 열분해식 가스 감지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8181A (ja) * 1999-10-13 2001-04-20 Ckd Corp 管継手
KR101467114B1 (ko) * 2013-09-02 2014-12-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터널굴착시 주변지반의 거동파악을 위한 모형터널 조립체
KR101545150B1 (ko) * 2015-05-07 2015-08-19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유해가스 감지장치
KR101656426B1 (ko) * 2015-05-18 2016-09-12 (주)지에스티산업 가스누설 및 압력변화 감지가 가능한 배관연결조립체
KR20160116919A (ko) * 2015-03-31 2016-10-10 주식회사 피티에스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8181A (ja) * 1999-10-13 2001-04-20 Ckd Corp 管継手
KR101467114B1 (ko) * 2013-09-02 2014-12-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터널굴착시 주변지반의 거동파악을 위한 모형터널 조립체
KR20160116919A (ko) * 2015-03-31 2016-10-10 주식회사 피티에스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KR101545150B1 (ko) * 2015-05-07 2015-08-19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유해가스 감지장치
KR101656426B1 (ko) * 2015-05-18 2016-09-12 (주)지에스티산업 가스누설 및 압력변화 감지가 가능한 배관연결조립체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555A (ko) * 2018-08-10 2018-08-29 한병관 유해화학물질 파이프 라인의 유체 누설 여부 실시간 점검 시스템
CN112067212A (zh) * 2020-09-25 2020-12-11 上海骄成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管道气密性检测装置
CN113624411A (zh) * 2021-07-28 2021-11-09 中航油青岛国际机场航空油料有限责任公司 机坪加油管道阀门井防水密封性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3624411B (zh) * 2021-07-28 2023-11-24 中航油青岛国际机场航空油料有限责任公司 机坪加油管道阀门井防水密封性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US11761844B2 (en) * 2021-11-03 2023-09-19 Delta Electronics, Inc. Leak detection sensor and leak detection system using same
US20230133191A1 (en) * 2021-11-03 2023-05-04 Delta Electronics, Inc. Leak detection sensor and leak detection system using same
CN114110442A (zh) * 2021-11-25 2022-03-01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客车用氢气泄露预警装置
CN114017682A (zh) * 2021-11-30 2022-02-08 重庆重科大分析仪器有限公司 一种检测石油天然气管道漏气的安全防护装置
CN114017682B (zh) * 2021-11-30 2024-04-09 重庆重科大分析仪器有限公司 一种检测石油天然气管道漏气的安全防护装置
CN114878097A (zh) * 2022-05-19 2022-08-09 宁夏天利丰能源利用有限公司 一种用于低温泵性能测试装置
CN114878097B (zh) * 2022-05-19 2024-05-14 宁夏天利丰能源利用有限公司 一种用于低温泵性能测试装置
WO2023249159A1 (ko) * 2022-06-22 2023-12-28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누수센서모듈
CN116659758A (zh) * 2023-08-02 2023-08-29 烟台盈德精密机械有限公司 气驱尿素喷嘴气密性试验平台
CN116659758B (zh) * 2023-08-02 2023-10-10 烟台盈德精密机械有限公司 气驱尿素喷嘴气密性试验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804B1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804B1 (ko)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US8851099B2 (en) Pip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545150B1 (ko) 유해가스 감지장치
KR930703537A (ko) 누출탐지수단이 구비된 도관의 연결조립체와 유체 핸들링 시스템
KR20070005234A (ko) 누수 센서 및 누수 감지 시스템
US9702781B2 (en)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fluid controller including same
KR100973482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누설 검사 장치
CN205877729U (zh) 管路泄漏检测装置
KR20140051707A (ko) 가스 배관의 가스 누출감지 및 포집장치
JP2017535790A (ja) ばね入りシールリングを有する磁気流量計流菅アセンブリ
US9964222B1 (en) Failsafe hose
KR20160116919A (ko)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KR20150000286U (ko) 하이드로 테스트시 파이프 플랜지의 리크 예방장치
JP2019135482A (ja) ガス漏れ検知装置
KR101454733B1 (ko) 신축튜브를 이용한 배관 연결부 누출 감지 장치
KR20190133518A (ko) 누출 감지장치
CN211262617U (zh) 漏液检测传感器和漏液检测系统
KR200285924Y1 (ko) 배관이음부의가스누출포집감지장치
JP2014070950A (ja) 配管接続部の漏洩検査方法、漏洩検査用治具、漏洩検査用装置
KR20220155821A (ko) 누설감지기능을 갖는 유체배관 실링용 클램프장치
TW202040046A (zh) 配管系統、配管資訊系統以及管接頭系統
KR20160027769A (ko) 누수 검출용 플랜지
KR101944887B1 (ko) 가연성 유체 기밀방지구조 및 누설용 탐지장치가 내설된 볼밸브
KR101593127B1 (ko)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KR20130063693A (ko) 클램프 하우징이 부착된 누수 탐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