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919A -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919A
KR20160116919A KR1020150045344A KR20150045344A KR20160116919A KR 20160116919 A KR20160116919 A KR 20160116919A KR 1020150045344 A KR1020150045344 A KR 1020150045344A KR 20150045344 A KR20150045344 A KR 20150045344A KR 20160116919 A KR20160116919 A KR 20160116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rubber
unit
plate
flange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혁
안병갑
장성민
노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티에스
Priority to KR102015004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6919A/ko
Publication of KR20160116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 G01M3/1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pipe joints or se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4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 G01M3/04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with electrical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에 구비되는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에 구비되는 감지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유체 또는 가스를 이송하는 파이프관이 단부가 접하는 플랜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관의 접합부를 외부공기와 차폐시키는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와;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과;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되어 일측으로 팽창하면 접촉하여 통전하게 되는 금속 플레이트(30)부와;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을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밀착시키는 결착부(40)와; 상기 결착부(4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시 외부로 이상신호를 도시하는 발광부(50)와; 상기 발광부(5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 sensing device of pipe frange for chemical substances leakeage }
본 발명은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에 구비되는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이음부인 플랜지부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을 누출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오염물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이송에 배관이 사용되며, 이러한 배관의 이음에는 플랜지 형상의 이음부가 구비된다. 유체는, 이음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 배관을 따라 이송되며, 이러한 이음부의 주변에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된다.제철소에서 발생하는 타르와 조경유 등의 부산물도, 배관을 통해 선박으로 선적되어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0051832호(1999.07.05 공개, 발명의 명칭: 가스배관의 누설방지장치 및 감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기존의 감지장치들은 기체, 액체의 고유 성질을 이용하여 누유 및 누출에 대한 판독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고가의 부품들이 필요하다.
또한, 단독 경보 방식이 아니므로 별도의 고가의 중계기가 필요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 등에 대한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화학물의 고유성질이 아니라 체적변화라는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와 결합시켜서, 누액 및 누출 현상의 발생시 발광(또는 음향)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 등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에 구비되는 감지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유체 또는 가스를 이송하는 파이프관이 단부가 접하는 플랜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관의 접합부를 외부공기와 차폐시키는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와;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과;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되어 일측으로 팽창하면 접촉하여 통전하게 되는 금속 플레이트(30)부와;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을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밀착시키는 결착부(40)와; 상기 결착부(4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시 외부로 이상신호를 도시하는 발광부(50)와; 상기 발광부(5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결착부(40)는, 양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 또는 해체를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410)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부(4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50)는, 통전시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부(510)와, 상기 엘이디부(510)가 안착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엘이디부(5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투사하는 투사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플랜지부에서 화학물질 또는 가스가 유출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일측으로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금속 플레이트(30)와 접촉하여 통전하면 상기 발광부(50)가 외부로 빛을 조사하여 이상신호를 송출하는 누출여부를 외부로 알리게 된다.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에 구비되는 감지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유체 또는 가스를 이송하는 파이프관의 단부가 접하는 플랜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관의 접합부를 외부공기와 차폐시키는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와;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과;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일측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팽창하면 하나 이상의 금속 소재의 접촉 핀이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팽창하는 부피에 따라 동작하는 도전 플레이트(70)와;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되어 일측으로 팽창하면 상기 도전플레이트에 구비된 접촉 핀과 접촉하여 통전하게 되는 금속 플레이트(30)부와;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을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밀착시키는 결착부(40)와; 상기 결착부(4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시 외부로 이상신호를 도시하는 발광부(50)와; 상기 발광부(5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결착부(40)는, 양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 또는 해체를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410)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부(4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발광부(50)는, 통전시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부(510)와, 상기 엘이디부(510)가 안착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엘이디부(5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투사하는 투사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 플레이트(70)는, 한쌍의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양단지지부(710)와,
상기 양단지지부(710)에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일단부와, 타단에 형성된 탄성소재의 접촉핀(720)이 교차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플랜지부에서 화학물질 또는 가스가 유출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일측으로 부피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도전 플레이트(70)에 구비된 접촉핀(720)이 벤딩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30)부와 접촉하여 통전하면 상기 발광부(50)가 외부로 빛을 조사하여 이상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에 구비되는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이음부인 플랜지부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을 누출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오염물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의 구성을 제공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파이프에 대해서 적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구조가 간편하여 설치 및 수리 등이 용이하다다는 장점 또한 기대된다.
그리고, 누출 또는 누액되는 화학물질의 종류 등과 무관하게 누액 또는 누출되는 양에 의한 부피변화를 감지하여 외부 또는 작업자 등에게 이상 유무에 대해서 쉽게 알람을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가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가 실제 장착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에 구비되는 감지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유체 또는 가스를 이송하는 파이프관이 단부가 접하는 플랜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관의 접합부를 외부공기와 차폐시키는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와;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과;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되어 일측으로 팽창하면 접촉하여 통전하게 되는 금속 플레이트(30)부와;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을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밀착시키는 결착부(40)와; 상기 결착부(4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시 외부로 이상신호를 도시하는 발광부(50)와; 상기 발광부(5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결착부(40)는, 양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 또는 해체를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410)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부(4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50)는, 통전시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부(510)와, 상기 엘이디부(510)가 안착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엘이디부(5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투사하는 투사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플랜지부에서 화학물질 또는 가스가 유출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일측으로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금속 플레이트(30)와 접촉하여 통전하면 상기 발광부(50)가 외부로 빛을 조사하여 이상신호를 송출하는 누출여부를 외부로 알리게 된다.
한편, 발광부(50)에는, 엘이디부(510)에서 조사하는 빛에 의한 신호를 이용하는 거 이외에도, 스피커 장치 등을 이용해서 소리 신호 등을 추가 또는 병행해서 이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는, 화학물질 또는 가스를 이송하는 이송관 또는 파이프간의 연결부위 즉, 플랜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관 또는 파이프간의 연결부위에서 누출 또는 누액되는 경우에, 그 누출 또는 누액되는 화학물질의 종류 등과 무관하게 누액 또는 누출되는 양에 의한 부피변화를 감지하여 외부 또는 작업자 등에게 이상 유무를 알려주는 감지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살펴보면, 도 3의 왼쪽 도면의 구성과 같이 파이프관이 연결되는 플랜지부에는 상기 접합부를 외부공기와 차폐시키는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밀착되어 구비되고, 상기 결착부(40) 내부에는 도면과 같이 상기 금속 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는 (-)극에 연결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30)는 (+)극과 연결된다. 상기 플랜지부의 틈사이로 화학물질 또는 가스가 누액 또는 누출되는 경우에 그 부피변화에 의해서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는 일측으로 팽창하게 된다.
상기 팽창된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상기 금속 플레이트(30)가 접촉하여 통전하면, 상기 발광부(50)에 구비된 엘이디부(510)에서 그 이상유무에 대해서 외부로 빛을 조사하여 알리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광부(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원은 상기 배터리부(60)로 제시하고 있으나, 파이프관의 크기나 위치 등을 고려할 때, 단상 또는 삼상 교류전원을 상기 배터리부(60)의 전원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가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가 실제 장착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살펴보면,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에 구비되는 감지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유체 또는 가스를 이송하는 파이프관의 단부가 접하는 플랜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관의 접합부를 외부공기와 차폐시키는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와;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과;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일측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팽창하면 하나 이상의 금속 소재의 접촉 핀이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팽창하는 부피에 따라 동작하는 도전 플레이트(70)와;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되어 일측으로 팽창하면 상기 도전플레이트에 구비된 접촉 핀과 접촉하여 통전하게 되는 금속 플레이트(30)부와;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을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밀착시키는 결착부(40)와; 상기 결착부(4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시 외부로 이상신호를 도시하는 발광부(50)와; 상기 발광부(5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결착부(40)는, 양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 또는 해체를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410)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부(4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발광부(50)는, 통전시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부(510)와, 상기 엘이디부(510)가 안착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엘이디부(5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투사하는 투사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 플레이트(70)는, 한쌍의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양단지지부(710)와,
상기 양단지지부(710)에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일단부와, 타단에 형성된 탄성소재의 접촉핀(720)이 교차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플랜지부에서 화학물질 또는 가스가 유출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일측으로 부피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도전 플레이트(70)에 구비된 접촉핀(720)이 벤딩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30)부와 접촉하여 통전하면 상기 발광부(50)가 외부로 빛을 조사하여 이상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살펴보면, 도 4의 왼쪽 도면의 구성과 같이 파이프관이 연결되는 플랜지부에는 상기 접합부를 외부공기와 차폐시키는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밀착되어 구비되고, 상기 결착부(40) 내부에는 도면과 같이 상기 금속 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에서 화학물질 또는 가스가 누액 또는 누출되면,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일측으로 부피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도전 플레이트(70)에 구비된 접촉핀(720)이 벤딩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30)부와 접촉하여 통전하면 상기 발광부(50)가 외부로 빛을 조사하여 이상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는 (-)극에 연결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30)는 (+)극과 연결된다. 상기 플랜지부의 틈사이로 화학물질 또는 가스가 누액 또는 누출되는 경우에 그 부피변화에 의해서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는 일측으로 팽창하게 된다.
상기 팽창된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상기 금속 플레이트(30)가 접촉하여 통전하면, 상기 발광부(50)에 구비된 엘이디부(510)에서 그 이상유무에 대해서 외부로 빛을 조사하여 알리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광부(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원은 상기 배터리부(60)로 제시하고 있으나, 파이프관의 크기나 위치 등을 고려할 때, 단상 또는 삼상 교류전원을 상기 배터리부(60)의 전원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 20.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
30. 금속 플레이트 40. 결착부
50. 발광부 60. 배터리부
70. 도전 플레이트 410. 회동부
420. 체결부 510. 엘이디부
520. 투사부 710. 양단지지부
720. 접촉핀

Claims (9)

  1.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에 구비되는 감지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유체 또는 가스를 이송하는 파이프관이 단부가 접하는 플랜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관의 접합부를 외부공기와 차폐시키는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와;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과;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되어 일측으로 팽창하면 접촉하여 통전하게 되는 금속 플레이트(30)부와;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을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밀착시키는 결착부(40)와;
    상기 결착부(4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시 외부로 이상신호를 도시하는 발광부(50)와;
    상기 발광부(5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40)는,
    양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 또는 해체를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410)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부(4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50)는,
    통전시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부(510)와, 상기 엘이디부(510)가 안착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엘이디부(5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투사하는 투사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서 화학물질 또는 가스가 유출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일측으로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금속 플레이트(30)와 접촉하여 통전하면 상기 발광부(50)가 외부로 빛을 조사하여 이상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5.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에 구비되는 감지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유체 또는 가스를 이송하는 파이프관의 단부가 접하는 플랜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관의 접합부를 외부공기와 차폐시키는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와;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과;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일측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팽창하면 하나 이상의 금속 소재의 접촉 핀이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의 팽창하는 부피에 따라 동작하는 도전 플레이트(70)와;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되어 일측으로 팽창하면 상기 도전플레이트에 구비된 접촉 핀과 접촉하여 통전하게 되는 금속 플레이트(30)부와;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비도전성 고무 하우징(20)을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밀착시키는 결착부(40)와;
    상기 결착부(4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에서 유체 또는 가스가 누출시 외부로 이상신호를 도시하는 발광부(50)와;
    상기 발광부(5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40)는,
    양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 또는 해체를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410)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부(4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50)는,
    통전시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부(510)와, 상기 엘이디부(510)가 안착하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엘이디부(5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투사하는 투사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플레이트(70)는,
    한쌍의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양단지지부(710)와,
    상기 양단지지부(710)에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일단부와, 타단에 형성된 탄성소재의 접촉핀(720)이 교차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서 화학물질 또는 가스가 유출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고무 플레이트(10)가 일측으로 부피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도전플레이트에 구비된 접촉핀(720)이 벤딩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30)부와 접촉하여 통전하면 상기 발광부(50)가 외부로 빛을 조사하여 이상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KR1020150045344A 2015-03-31 2015-03-31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KR20160116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344A KR20160116919A (ko) 2015-03-31 2015-03-31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344A KR20160116919A (ko) 2015-03-31 2015-03-31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919A true KR20160116919A (ko) 2016-10-10

Family

ID=5714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344A KR20160116919A (ko) 2015-03-31 2015-03-31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691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879A (ko) * 2016-11-07 2018-05-16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KR20190064246A (ko) * 2017-11-30 2019-06-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90066303A (ko) * 2017-12-05 2019-06-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수소 저장탱크 누출 감지 장치
KR102374451B1 (ko) 2021-12-30 2022-03-17 (주)리모트글로벌 잔여 화학물질 누설 감지 시스템
KR102418828B1 (ko) 2021-12-08 2022-07-11 (주)리모트글로벌 초음파를 이용한 잔여 물질 센싱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879A (ko) * 2016-11-07 2018-05-16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KR20190064246A (ko) * 2017-11-30 2019-06-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90066303A (ko) * 2017-12-05 2019-06-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수소 저장탱크 누출 감지 장치
KR102418828B1 (ko) 2021-12-08 2022-07-11 (주)리모트글로벌 초음파를 이용한 잔여 물질 센싱 장치
KR102374451B1 (ko) 2021-12-30 2022-03-17 (주)리모트글로벌 잔여 화학물질 누설 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6919A (ko)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JP5244795B2 (ja) 回転するフィードスルーのための漏れ検出システム
KR101944804B1 (ko)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KR101535732B1 (ko) 센서 모듈 결합형 배관용 누출검지부재 및 누출 탐지 시스템
KR20070005234A (ko) 누수 센서 및 누수 감지 시스템
CA2824636A1 (en) Leak detection system
CN106461133A (zh) 带泄漏检测的密封套筒
GB2536019A (en) Stopper safety system
CN108443716A (zh) 一种便于检测泄漏点的流体管
US20090108840A1 (en) Power Line Sensor
KR101479520B1 (ko) 누설 탐지 및 보호를 위한 밀폐 커버
KR20160069668A (ko) 배관 내부 모니터링용 모듈러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유공관
US9470343B2 (en) Pipe for a conveying line for conveying bulk material as well as device for leakage monitoring of a conveying line
KR20160068008A (ko) 가스 누출 측정장치
CN205606081U (zh) 一种管道修补器组件
MX2008014073A (es) Sensor de fluidos en linea.
CN105318197A (zh) 一种输气管道泄漏检测处理系统
KR101284634B1 (ko) 누수 및 결로로 인한 통신장애 및 기계적 오류를 보완한 직접 디지털 제어기기 및 건물용 시스템
KR100779030B1 (ko)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매설배관 변형 검사장치
KR101593127B1 (ko)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KR101101579B1 (ko)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KR20150119683A (ko) 파손/누수 감지용 이중 관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손/누수 추적 시스템
KR20050095019A (ko)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CN216520986U (zh) 管件磨损预警装置、便携式管件磨损检测装置及工业管道
KR101700627B1 (ko) 배관 라이닝 점검용 통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