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127B1 -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127B1
KR101593127B1 KR1020150079711A KR20150079711A KR101593127B1 KR 101593127 B1 KR101593127 B1 KR 101593127B1 KR 1020150079711 A KR1020150079711 A KR 1020150079711A KR 20150079711 A KR20150079711 A KR 20150079711A KR 101593127 B1 KR101593127 B1 KR 101593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bracket
sensor system
wireless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준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와이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와이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와이이노텍
Priority to KR1020150079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pipe joints or se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제조설비에서 유체의 누수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한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은, 다양의 종류의 제조설비에 설치된 배관들의 연결부 누수 여부를 감지하는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으로서, 장력을 갖는 반구형 관 모양을 가지며, 배관 연결부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억지 끼움식으로 장착되는 브라켓; 상기 배관 연결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배관 연결부에서의 유체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센서; 상기 브라켓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누수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유체 누수 여부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무선 송신된 유체 누수 여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Wireless leak sensor system}
본 발명은 누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제조설비에서 유체의 누수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한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반도체 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의 제조설비에는 물, 화학약품 및 가스 등의 유체들이 공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체의 공급을 위해 유체 공급 경로에는 통상 소정 길이 단위로 연결된 배관이 설치된다. 여기서, 소정 길이 단위의 배관들은 소켓, 레듀샤, 엘보우 및 티 등으로 불리우는 부속자재들을 이용해서 상호 연결된다.
그런데 배관과 배관 사이의 연결부, 즉, 소켓, 레듀샤, 엘보우 및 티 등의 부속자재들을 포함하는 배관 연결부에서 누수 발생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제조설비에 대해 배관 연결부에 대해 점검을 수시로 하여 누수로 인한 사고 발생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누수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신속하게 감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누수 감지센서는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 낮은 구배를 갖도록 설계된 제조설비 바닥의 중앙부에 많이 설치되고 있는바, 유체의 누수가 제조설비의 중앙부가 아닌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연결부에서 일어나는 경우 누수된 유체가 제조설비의 바닥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까지 흘러올 때까지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또한, 누수량이 적을 경우 중앙부까지 흘러오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수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누수가 즉각적으로 감지되지 않음으로써 누수 사고의 조기 진압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이로 인해 누수가 발생한 배관, 전기 케이블 및 기타 부대시설 등에 대한 제2 및 제3의 사고 발생이 유발하여, 결국, 제조설비의 정지가 초래될 수 있다. 특히, 누수 양이 매우 적을 경우, 누수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큰 사고를 유발될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누수 감지센서 시스템은 전선의 일단을 제조설비의 바닥 중앙부에 설치된 누수 감지센서에 연결하고 전선의 타단을 제조설비의 벽면 또는 외측에 설치된 제어부에 연결해야 하는 구조이므로 전선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그 설치가 복잡하다.
특히, 누수 감지센서와 제어부를 상호 연결하는 전선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기본적으로 누수를 감지하지 못함으로써 유체 누수로 인한 사고 발생에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7-0005234 등록특허공보 10-134144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제조설비에서 발생하는 유체 누수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 누수를 신속하게 감지함으로써 누수가 일어난 연결부에 대한 신속한 대응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유체 누수의 신속 및 정확한 감지를 통해 유체 누수로 인한 2차적인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부가해서, 본 발명은 유체 누수 센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함은 물론 교체 또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은, 다양의 종류의 제조설비에 설치된 배관들의 연결부 누수 여부를 감지하는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으로서, 장력을 갖는 반구형 관 모양을 가지며, 배관 연결부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억지 끼움식으로 장착되는 브라켓; 상기 배관 연결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배관 연결부에서의 유체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센서; 상기 브라켓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누수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유체 누수 여부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무선 송신된 유체 누수 여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에서, 상기 누수 감지센서는 필름형, 루프코일형 및 스팟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에서, 상기 브라켓 및 송신기는 상호 결합되는 부위들 각각에 제1 및 제2 연결수단과 전기적 접점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배관 연결부의 유체 누수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조설비의 외측벽 또는 제조설비와 떨어져 위치한 제어시설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관 연결부에서의 유체 누수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센서를 무선 송신기와 함께 제조설비에서의 배관 연결부들 각각에 설치하고, 각 송신기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유체 누수 여부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수신기를 제조시설의 외측벽 또는 제어시설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을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배관 연결부에서의 유체 누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유체 누수가 일어난 배관 연결부들 각각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래서 유체 누수에 기인하는 제2 및 제3의 안전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은 브라켓 및 송시기와 합체된 누수 감지센서를 상기 브라켓을 이용해서 배관 연결부들 각각에 억지 끼움식으로 장착하고, 이와 더불어, 수신기를 제조설비의 외측벽 또는 제어시설에 배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신속하고 용이한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교체 또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은 배관 연결부들 각각에 송신기를 포함한 누수 감지센서를 장착하고, 그리고, 제조설비의 외측벽 또는 제어시설에 수신기만을 설치하면 되므로, 종래와 비교해서 설치 비용 또한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에서의 브라켓 및 송신기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의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실시 예를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에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는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아울러, 제1구성요소가 제2구성요소 상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부가해서, 도면들에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두께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100)은 다양한 제조설비에 설치되는 배관들(110)에서 배관(110)과 배관(110)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 연결부(120)에서의 누수 발생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브라켓(10), 누수 감지센서(20), 송신기(30) 및 수신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은 배관 연결부(120)에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장력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강화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배관 연결부(120)에의 용이하고 안정적인 장착을 위해 소정 폭 및 두께를 가지면서 반구형 관 모양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반구형 관 모양을 갖는 브라켓(10)은 배관 연결부(120)의 크기, 즉, 지름에 대체로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의 브라켓(10)은 배관 연결부(120)에 억지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에 설명될 송신기(30)와의 기구적 결합을 위한 제1연결수단(12)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연결수단(12)은 송신기(30)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가이드(3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형태, 즉, 평면상으로 사각 형상이면서 단면상으로 역-T 형상의 슬라이딩 바 형태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브라켓(10)의 제1연결수단(12)에는 이후에 설명될 누수 감지센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송신기(3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접점(14)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0)에서의 제1연결수단(12)은 전술한 슬라이딩 방식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송신기(30)와 기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이 자명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누수 감지센서(20)은 배관 연결부(120)의 누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실질적인 수단으로서, 반구형 관 모양을 갖는 브라켓(1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누수 감지센서(20)는 필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름형의 누수 감지센서(20)는 브라켓(10)과 대체로 동일 폭 및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누수 감지센서(20)는 브라켓(10)의 내측면 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관 연결부(120)에의 브라켓(10) 장착시 누수 감지센서(20)는 배관 연결부(120)와 밀착하여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100)에서의 누수 감지센서(20)는 배관 연결부(120)에서의 유체 누수 유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브라켓(10)의 내측면에 배치된 본 실시 예에서의 필름형 누수 감지센서(20)는 브라켓(10)의 제1연결수단(12)에 위치한 제1접점(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누수 감지센서(20)가 필름형으로 이루어진 것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필름형 이외에 다른 구조, 예를 들어, 루프코일(loop coil)형이나 스팟(spot)형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송신기(30)는 누수 감지센서(20)로부터 감지되는 배관 연결부(120)에서의 유체 누수 유무를 무선 송신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무선 송신을 위한 각종 회로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송신기(30)는 직사각 박스 형상의 외관을 갖는 것 이외에 무선 송신을 위한 각종 회로부품을 내장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배관 연결부로(120)부터 브라켓(10)이 탈착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크기 및 무게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송신기(30)는 브라켓(10)과의 기구적 연결을 위해 상기 브라켓(10)과 연결되는 부위,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중앙부에 제2연결수단(32)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연결수단(32)은 브라켓(10)에 마련된 제1연결수단(14)이 슬라이딩 결합되기에 적합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슬라이딩 가이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송신기(30)는 슬라이딩 가이드 모양을 갖는 제2연결수단(32)의 중앙부에 위치한 제2접점(34)을 구비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필름형 누수 감지센서(20)와 송신기(30)는 브라켓(10)의 제1연결수단(12)이 송신기(30)의 제2연결수단(3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연결수단(12)에 배치된 제1접점(14)과 제2연결수단(32)에 배치된 제2접점(34)이 접촉함으로써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송신기(30)에서의 제2연결수단(32)은 슬라이딩 가이드 모양 이외에, 다양한 모양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따라서, 브라켓(10)의 제1연결수단(12)과의 기구적 결합은 슬라이딩 방식 이외에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기(40)는 송신기(30)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배관 연결부(120)에서의 유체 누수 유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제조설비의 외측벽에 설치되거나, 또는, 제조설비와 떨어져 위치한 제어설비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40)는 송신기(30)와 전선으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 아니라, 전선이 필요치 않은 무선 수신 방식의 회로부품들을 내장한 형태로 관리자의 관리가 용이한 제조설비의 외측벽, 또는, 제어시설에 설치된다.
또한, 수신기(40)는 배관 연결부(120)에서의 유체 누수 유무를 관리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치된 디스플레이부(42)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2)는 예를 들어 단순하게 파란색과 빨간색을 발광하는 LED 센서들일 수 있음은 물론, LCD 표시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 관리자는 디스플레이부(42)에 표시되는 내용으로부터 배관 연결부(120)에서의 유체 누수 유무의 확인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의 송신기(30) 및 수신기(40)에 내장되는 회로부품들은 통상의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에 구비되는 그것들과 대체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이들에 대한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100)에 있어서, 브라켓(10) 및 송신기(30)를 포함하는 누수 감지센서(20)는 제조설비에 설치되는 모든 배관 연결부들(120) 각각에 개별 설치될 수 있으며, 수신기(40)는 복수 개의 송신기들(30)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멀티형 디스플레이부(42)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수신기(40)는 일정 개수의 송신기들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제조설비 또는 제어설비에 설치될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브라켓(10) 및 누수 감지센서(20)가 배관 연결부(120)의 일부만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었으나, 다른 실시 예로서 브라켓(10) 및 누수 감지센서(20)가 배관 연결부(120)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하지 않았으나, 브라켓(10)이 반구형 관 모양을 가짐으로써 배관 연결부(120)의 절반 정도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반구형 관 모양을 갖는 두 개가 상호 조립되어 배관 연결부(120)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누수 감지센서(20) 또한 상호 조립되는 브라켓들(10)의 내측면들 각각에 위치하거나 또는 배관 연결부(120)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배관 연결부(120) 전체를 둘러쌀 수 있다. 이 경우, 누수 감지센서(20)가 배관 연결부(120)의 전체를 둘러싸게 되므로, 배관 연결부(120)의 전 표면에서 발생되는 유체 누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의 누수 감지센서들이 해당 배관 연결부들의 유체 누수 유무를 실시간 감지한다.(S1)
그리고 누수 감지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배관 연결부들의 유체 누수 유무의 결과들은 상기 누수 감지센서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송신기들로 입력되며, 이렇게 입력된 배관 연결부들의 유체 누수 유무 신호들은 각 송신기들로부터 무선 송신 방식으로 송신된다.(S2)
그러면, 무선 방식의 송신기들(30)로부터 무선 송신된 각 배관 연결부들의 유체 누수 유무에 대한 결과 신호들은 제조설비의 외측벽 또는 제어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수신기(40)의 수신부로 수신된다.(S3)
그리고 무선 수신기(40)로 수신된 각 배관 연결부들의 유체 누수 유무에 대한 결과들은 무선 수신기(40)에 구비된 멀티형의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된다.(S4)
이를 통해,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각 배관 연결부에서의 유체 누수 유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은 브라켓 및 무선 송신기를 포함한 누수 감지센서를 억지 끼움식으로 배관 연결부에 장착하고, 제조설비의 외측벽 또는 제어설비에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수신기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제조설비에 설치된 모든 배관 연결부들에서의 유체 누수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유체 누수가 일어난 배관 연결부의 정확한 파악 및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며, 그래서, 유체 누수에 기인하는 안전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은 브라켓과 누수 감지센서 및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부와 멀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무선 수신부를 개별 마련한 상태로 이들을 장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신속하고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며, 아울러, 교체 또한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은 제조설비의 바닥에 누수 감지센서들을 설치하고, 이들 각각을 제어부와 전선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종래 구조와 비교해서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여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10: 브라켓 12: 제1연결수단
14: 제1접점 20: 누수 감지센서
30: 송신기 32: 제2연결수단
34: 제2접점 40: 수신기
42: 디스플레이부 100: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110: 배관 120: 배관 연결부

Claims (5)

  1. 다양의 종류의 제조설비에 설치된 배관들의 연결부 누수 여부를 감지하는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으로서,
    장력을 갖는 반구형 관 모양을 가지며, 배관 연결부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억지 끼움식으로 장착되고, 평면상으로 사각 형상이면서 단면상으로 역-T 형상의 슬라이딩 바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접점을 구비한 제1연결수단을 갖는 브라켓;
    상기 배관 연결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배관 연결부에서의 유체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센서;
    상기 브라켓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누수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유체 누수 여부 신호를 무선 송출하며, 상기 브라켓의 슬라이딩 바 형태로 이루어진 제1연결수단이 끼워지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슬라이딩 가이드 모양을 가지고 상기 제1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점을 구비한 제2연결수단을 갖는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무선 송신된 유체 누수 여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를 포함하는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감지센서는 필름형, 루프코일형 및 스팟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배관 연결부의 유체 누수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조설비의 외측벽 또는 제조설비와 떨어져 위치한 제어시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KR1020150079711A 2015-06-05 2015-06-05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KR101593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11A KR101593127B1 (ko) 2015-06-05 2015-06-05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11A KR101593127B1 (ko) 2015-06-05 2015-06-05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127B1 true KR101593127B1 (ko) 2016-02-11

Family

ID=5535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711A KR101593127B1 (ko) 2015-06-05 2015-06-05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1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0729A (zh) * 2021-09-29 2022-02-18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基于物联网的城市供水管网泄漏故障数据协同分析预警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234A (ko) 2005-07-05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누수 센서 및 누수 감지 시스템
JP2007327850A (ja) * 2006-06-07 2007-12-20 Ns Engineering Corp 配管溶接部のヘリウムリーク検査用検査治具
KR101341442B1 (ko) 2013-06-26 2013-12-13 (주)피피아이평화 누수 감지 센서를 갖는 스마트 파이프
KR20150060389A (ko) *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사람들 배관용 누출검지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234A (ko) 2005-07-05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누수 센서 및 누수 감지 시스템
JP2007327850A (ja) * 2006-06-07 2007-12-20 Ns Engineering Corp 配管溶接部のヘリウムリーク検査用検査治具
KR101341442B1 (ko) 2013-06-26 2013-12-13 (주)피피아이평화 누수 감지 센서를 갖는 스마트 파이프
KR20150060389A (ko) *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사람들 배관용 누출검지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0729A (zh) * 2021-09-29 2022-02-18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基于物联网的城市供水管网泄漏故障数据协同分析预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732B1 (ko) 센서 모듈 결합형 배관용 누출검지부재 및 누출 탐지 시스템
KR101944804B1 (ko)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KR20070005234A (ko) 누수 센서 및 누수 감지 시스템
KR102142187B1 (ko) 유해화학물질 파이프 라인의 유체 누설 여부 실시간 점검 시스템
KR100889055B1 (ko) 신축부의 원격 누설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0281359A (ja) 管継手
KR101593127B1 (ko) 무선 누수 센서 시스템
GB2524738A (en) Sealing sleeve with leakage detection
KR100973482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누설 검사 장치
KR101725589B1 (ko) 관망 누출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관망 누출 검출방법
KR102018161B1 (ko) 체결 및 누수 상태 정보 전송 기능을 구비한 체결 장치 및 이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JP2020133766A (ja) マリンホースの流体漏れ検知システム
KR101428190B1 (ko) 누수 감지용 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누수 감지용 파이프 설비
KR20160106927A (ko) 플랜지 연결부의 누설압력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US10794785B2 (en) Pressure indicating mechanical tee
KR20150119683A (ko) 파손/누수 감지용 이중 관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손/누수 추적 시스템
CN112204367B (zh) 管道损坏检测设备、使用其的管道损坏检测系统以及使用其的管道损坏检测方法
KR20200000171A (ko) 수소가스 누출 감지장치
KR102087562B1 (ko) 누액센서장치와 누액감지시스템
KR100779030B1 (ko) 매설배관 변형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매설배관 변형 검사장치
CN204962308U (zh) 海洋石油fpso输油管线防泄漏自动报警系统
KR101512756B1 (ko) 파이프 내에서 이동하는 피그를 감지하는 피그 감지기
KR102380703B1 (ko) 진동센서를 이용한 누액감지장치
CN107764486A (zh) 一种环形漏液检测传感器
KR102547740B1 (ko) 센서 일체형 누수 탐지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누수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