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153A -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 Google Patents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153A
KR20180048153A KR1020160145369A KR20160145369A KR20180048153A KR 20180048153 A KR20180048153 A KR 20180048153A KR 1020160145369 A KR1020160145369 A KR 1020160145369A KR 20160145369 A KR20160145369 A KR 20160145369A KR 20180048153 A KR20180048153 A KR 20180048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tact
contact roller
packaging material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290B1 (ko
Inventor
강민석
이홍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엠텍 filed Critical (주)포스코엠텍
Priority to KR1020160145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290B1/ko
Priority to CN201621454540.8U priority patent/CN206502097U/zh
Publication of KR2018004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6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rolled-up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2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without changing their position during the wrapping operation, e.g. in moulds with hinged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positively actuat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포장재의 선단부뿐만 아니라 포장재의 말단부까지 코일에 밀착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는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와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가 체결되는 결속위치에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도달할 때까지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감기는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에 밀착시키는 제 1밀착부,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속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압박하여 상기 포장재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클램핑부 및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결속위치로 밀착시키는 제 2밀착부를 포함하여 포장재의 선단부로부터 포장재의 말단부에 이르기까지 포장재 전체가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포장재의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코일 포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Closely apparatus for coil packing materials and Closely method of coil packing materia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철 코일의 외주면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코일에 결속하기 전에 포장재를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정은 각종 철광석 등을 주원료를 이용하여 쇳물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쇳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용강을 만드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용강을 고체상태로 만드는 연주공정, 고체상태의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하여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켜 냉각 및 응고시켜 연속적인 슬래프(slab), 블룸(bloom), 빌릿(billet) 등의 중간소재로 만든다. 이 중 슬래브는 압연공정에서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Roll) 사이를 통과하면서 얇은 강판의 형태의 제품으로 생산된다. 이와 같이 생산되는 강판은 유통의 편의를 위해 코일 형태로 감겨져 제공된다.
이러한 강판 코일은 코일의 외측면을 감싸는 방청지, 코일의 외주면을 보호하는 외주보호판, 코일의 내주면을 보호하는 내주보호판, 코일의 양측면을 보호하는 단면측판, 코일의 내주면에 내주보호판을 고정시키는 내주링 및 코일의 외주면에 외주보호판을 고정시키는 외주링 등과 같은 포장재를 이용하여 포장된 후, 수요가에게 전달된다.
이 중에서 외주보호판은 코일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포장되는데, 외주보호판을 코일의 외주면에 결속하기 전에는 외주보호판을 코일에 긴밀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외주보호판을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시켜야한다. 이와 같이 포장재를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는 이미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바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15166호;코일 포장장치 및 코일 포장방법"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코일의 외주면을 포장하는 공정을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화한 기술로, 포장재를 공급하는 포장재 안내부와 코일을 지지하는 코일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밀착판과, 가압롤러가 코일에 감기는 포장재를 밀착시켜 포장재가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는 코일에 감긴 포장재의 선단부와 포장재의 말단부의 체결시 포장재의 말단부가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되지 않아 포장재가 제대로 결속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는 포장재의 체결시 포장재의 위치가 유지되지 않아 포장재 결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15166호 (2012. 12. 2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재의 선단부뿐만 아니라 포장재의 말단부까지 코일에 밀착하도록 한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재의 결속 이전에 포장재가 코일의 외주면 전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포장재의 체결시 포장재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강판 코일의 외주면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는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와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가 체결되는 결속위치에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도달할 때까지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감기는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에 밀착시키는 제 1밀착부,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속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압박하여 상기 포장재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클램핑부 및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결속위치로 밀착시키는 제 2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는 상기 코일의 일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의 하측으로 상기 포장재를 이송하는 포장재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장재 안내부는 상기 코일의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안내롤러, 상기 복수의 안내롤러를 함께 지지하는 안내롤러 지지대, 상기 안내롤러 지지대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안내롤러 지지대를 지지하는 안내롤러 지지대 회전축 및 상기 안내롤러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안내롤러 회전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밀착부는 상기 포장재 안내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제 1밀착부와 상기 포장재 안내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포장재 안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재 안내부가 상기 포장재를 지지하는 지지면으로부터 출몰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코일의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장재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클램퍼 및 상기 한쌍의 클램퍼를 상기 코일을 향해 함께 승강시키는 클램퍼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속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한쌍의 클램퍼와 상기 코일의 외주면이 기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한쌍의 클램퍼를 1차 상승시키며,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속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상기 포장재를 압박하도록 상기 한쌍의 클램퍼를 2차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밀착부는 상기 한쌍의 클램퍼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1밀착롤러, 상기 한쌍의 클램퍼 중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클램퍼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 및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제 1밀착롤러가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 1밀착롤러 회전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코일의 하측에 배치되는 리니어가이드,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리니어블럭, 상기 리니어블럭에 지지되는 제 2밀착롤러,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회전가능하게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지지하는 리니어가이드 회전축 및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회전시켜 상기 제 2밀착롤러가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하도록 하는 리니어가이드 회전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클램핑부와 상기 제 2밀착롤러의 사이에 배치되는 밀착판, 상기 리니어블럭에 상기 제 2밀착롤러를 지지하는 제 2밀착롤러 지지대, 상기 제 2밀착롤러 지지대에 설치되는 밀착판 회전축, 상기 밀착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 회전축을 연결하는 밀착판 회전링크, 상기 밀착판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밀착판이 상기 제 2밀착롤러와 함께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하도록 하는 밀착판 회전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제 2밀착롤러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3밀착롤러, 상기 제 2밀착롤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 3밀착롤러와 상기 제 2밀착롤러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 상기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제 3밀착롤러가 상기 제 2밀착롤러와 함께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하도록 하는 제 3밀착롤러 회전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는 상기 코일에 감기는 상기 포장재가 상기 코일의 폭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강판 코일의 외주면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은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와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가 체결되는 결속위치에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도달할 때까지 제 1밀착부가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에 밀착시키는 제 1밀착 단계,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속위치에 도달하면 클램핑부가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압박하여 상기 포장재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클램핑 단계 및 제 2밀착부가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결속위치로 밀착시키는 제 2밀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은 포장재 안내부가 상기 코일의 일측방으로부터 상기 코일의 하측으로 상기 포장재를 이송하는 포장재 공급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코일의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장재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클램퍼 및 상기 한쌍의 클램퍼를 상기 코일을 향해 함께 승강시키는 클램퍼 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재 공급 단계는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속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한쌍의 클램퍼와 상기 코일의 외주면이 기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한쌍의 클램퍼를 1차 상승시키며, 상기 클램핑 단계는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속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상기 포장재를 압박하도록 상기 한쌍의 클램퍼를 2차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밀착부는 상기 한쌍의 클램퍼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1밀착롤러, 상기 한쌍의 클램퍼 중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클램퍼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 및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를 회전시키는 제 1밀착롤러 회전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밀착 단계는 상기 제 1밀착롤러 회전실린더가 상기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코일의 하측에 배치되는 리니어가이드,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리니어블럭, 상기 리니어블럭에 지지되는 제 2밀착롤러,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회전가능하게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지지하는 리니어가이드 회전축 및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회전시키는 리니어가이드 회전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밀착 단계는 상기 리니어가이드 회전실린더가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회전시켜 상기 제 2밀착롤러가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클램핑부와 상기 제 2밀착롤러의 사이에 배치되는 밀착판, 상기 리니어블럭에 상기 제 2밀착롤러를 지지하는 제 2밀착롤러 지지대, 상기 제 2밀착롤러 지지대에 설치되는 밀착판 회전축, 상기 밀착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 회전축을 연결하는 밀착판 회전링크, 상기 밀착판 회전링크를 회전시키는 밀착판 회전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밀착 단계는 상기 밀착판 회전실린더가 상기 밀착판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밀착판이 상기 제 2밀착롤러와 함께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제 2밀착롤러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3밀착롤러, 상기 제 2밀착롤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 3밀착롤러와 상기 제 2밀착롤러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 상기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제 3밀착롤러가 상기 제 2밀착롤러와 함께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하도록 하는 제 3밀착롤러 회전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밀착 단계는 상기 제 3밀착롤러 회전실린더가 상기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제 3밀착롤러가 상기 제 2밀착롤러와 함께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은 이탈방지 가이드가 상기 코일에 감기는 상기 포장재가 상기 코일의 폭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은 포장재의 선단부로부터 포장재의 말단부에 이르기까지 포장재 전체가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포장재의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코일 포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의 포장재 공급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의 제 1밀착부가 포장재를 코일에 밀착하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의 클램핑부가 포장재를 클램핑하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의 제 2밀착부가 포장재의 말단부를 코일에 밀착하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이후의 설명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포장재가 코일을 향해 이송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기재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후방'이라고 기재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의 포장재 공급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적 중량물에 속하는 강판 코일(1)은 외주면을 포장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작업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코일(1)을 이격시킬 수 있는 호이스트, 크레인 등과 같은 장치로 마련되는 코일지지부(1a)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지지부(1a)의 주변에는 코일(1)의 외주면에 포장재(3)를 감고, 코일(1)에 감긴 포장재(3)를 결속하기 위한 다관절 포장로봇(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포장로봇(미도시)에는 포장재(3)를 클램핑하고, 포장재(3)를 결속하기 위한 로봇툴(3a)이 설치될 수 있다.
로봇툴(3a)은 포장재(3)의 선단부를 클램핑하고, 포장로봇(미도시)은 로봇툴(3a)을 코일(1)의 외주면을 따라 선회시켜 포장재(3)를 코일(1)의 외주면에 감는다. 따라서 포장재(3)는 선단부와 말단부가 결속위치에서 일부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로봇툴(3a)은 포장재(3)의 선단부와 포장재(3)의 말단부를 체결하여 코일(1)의 외주면에 포장재(3)를 결속할 수 있다.
코일(1)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재(3)는 다른 포장 공정, 코일(1)의 운송 등에서 코일(1)의 외주면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스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포장재(3)는 코일(1)의 폭과 외경에 따라 그 폭과 길이가 미리 재단된 판재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이하, '밀착 장치'라 함)(10)는 코일(1)의 외주면에 감기는 포장재(3)를 코일(1)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포장재 안내부(100), 클램핑부(200), 제 1밀착부(300) 및 제 2밀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재 안내부(100)는 코일(1)의 일측방에 배치된다. 포장재 안내부(100)는 포장재(3)를 코일(1)의 하측으로 안내한다. 포장재 안내부(100)는 복수의 안내롤러(110), 안내롤러 지지대(120), 안내롤러 지지대 회전축(130), 안내롤러 회전실린더(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내롤러(110)는 코일(1)의 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다. 안내롤러 지지대(120)는 복수의 안내롤러(110)를 함께 지지한다. 안내롤러 지지대 회전축(130)은 안내롤러 지지대(120)가 회전가능하도록 안내롤러 지지대(120)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포장재 안내부(100)는 복수의 안내롤러(110)가 안내롤러 지지대(120)에 지지되고, 안내롤러 지지대(120)가 회전가능하므로, 이후 설명될 제 2밀착부(400)의 회전 구동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클램핑부(200)는 포장재 안내부(100)의 전방에 배치된다. 클램핑부(200)는 한쌍의 클램퍼(211, 212) 및 클램퍼 승강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클램퍼(211, 212)는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마련된다. 한쌍의 클램퍼(211, 212)는 코일(1)의 외경에 따라 코일(1)을 향해 오목한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코일(1)의 외경에 대응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클램퍼(211, 212)가 원통형 막대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코일(1)의 외주면에 선 접촉하여 포장재(3)의 클램핑 시, 포장재(3)의 손상 및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클램퍼(211, 212)는 코일(1)의 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포장재(3)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클램퍼 승강유닛(220)은 한쌍의 클램퍼(211, 212)를 코일(1)을 향해 함께 승강시킨다. 클램퍼 승강유닛(220)은 한쌍의 클램퍼(211, 212)를 각각 지지하고 한쌍의 클램퍼(211, 212)를 함께 승강시키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클램핑부(200)는 한쌍의 클램퍼(211, 212)를 포장재(3)의 두 차례에 걸쳐서 상승시킨다.
즉, 포장재(3)의 선단부는 코일(1)의 하측을 통과하고, 로봇툴(3a)은 포장재(3)의 선단부를 클램핑한다. 이와 같이 포장재(3)의 선단부가 로봇툴(3a)에 클램핑되면, 클램핑부(200)는 기 설정된 위치까지 한쌍의 클램퍼(211, 212)를 1차 상승시킨다. 한쌍의 클램퍼(211, 212)의 1차 상승시, 한쌍의 클램퍼(211, 212)는 코일(1)의 하단면으로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클램퍼(211, 212)와 코일(1)의 하단면과의 이격 거리는, 포장재(3)가 한쌍의 클램퍼(211, 212)와 코일(1)의 하단면의 사이로 통과할 수 있되, 포장재(3)의 선단부가 결속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포장재(3)의 말단부가 한쌍의 클램퍼(211, 212)와 코일의 하단면의 사이를 완전히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쌍의 클램퍼(211, 212)와 코일(1)의 하단면의 사이에서 포장재(3)가 간섭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예를 들어,10~80mm 이내)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포장재(3)의 선단부가 결속위치에 도달하면, 포장로봇(미도시)은 포장재를 코일(1)의 외주면에 더욱 긴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해 포장재(3)를 당긴다. 따라서 포장재(3)의 선단부가 결속위치에 도달하고, 포장로봇(미도시)이 포장재를 당기기 전에 클램핑부(200)는 한쌍의 클램퍼(211, 212)를 2차 상승시킨다. 한쌍의 클램퍼(211, 212)의 2차 상승시, 한쌍의 클램퍼(211, 212)는 포장재(3)를 코일(1)의 외측면을 향해 압박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포장로봇(미도시)이 포장재(3)를 당긴다 하더라도 포장재(3)의 위치는 유지되고, 포장재(3)의 말단부는 클램핑부 이후에 남아있게 된다.
한편, 제 1밀착부(300)는 클램핑부(2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 1밀착부(300)는 제 1밀착롤러(310),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320), 제 1밀착롤러 회전실린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밀착롤러(310)는 포장재 안내부(1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320)는 한쌍의 클램퍼(211, 212) 중 전방에 배치되는 클램퍼(211)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밀착롤러 회전실린더(330)는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320)를 회전시켜 제 1밀착롤러(310)가 포장재(3)를 코일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 1밀착부(300)는 로봇툴(3a)이 포장재(3)의 선단부를 클램핑한 후, 포장로봇(미도시)이 포장재(3)의 선단부를 결속위치까지 가져가는 동안 제 1밀착롤러(310)를 코일(1)의 외주면을 향해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포장재(3)는 그 선단부가 결속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코일(1)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제 2밀착부(400)는 포장재 안내부(100)에 배치되어 포장재 안내부(100)가 포장재(3)를 지지하는 지지면으로부터 출몰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2밀착부(400)는 리니어가이드(410), 리니어블럭(411), 리니어가이드 회전축(412), 리니어가이드 회전실린더(413), 제 2밀착롤러(420), 제 2밀착롤러 지지대(421), 밀착판(430), 밀착판 회전축(431), 밀착판 회전링크(432), 밀착판 회전실린더(433), 제 3밀착롤러(440),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441) 및 제 3밀착롤러 회전실린더(442)를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가이드(410)는 코일(1)의 하측에 배치된다. 리니어블럭(411)은 리니어가이드(410)를 따라 이송된다. 제 2밀착롤러(420)는 리니어블럭(411)에 지지된다. 리니어가이드 회전축(412)은 리니어가이드(410)를 회전가능하게 리니어가이드(410)를 지지한다. 리니어가이드 회전실린더(413)는 리니어가이드(410)를 회전시켜 제 2밀착롤러(420)가 포장재(3)의 말단부를 코일(1)에 밀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 2밀착롤러(420)가 리니어가이드(410)와 리니어블럭(411)을 포함하는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지지되므로, 제 2밀착롤러(420)는 다양한 코일(1)의 외경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코일(1)의 외경이 비교적 작은 경우, 리니어블럭(411)은 리니어가이드(410)를 따라 전방을 향해 이송되고, 코일(1)의 외경이 비교적 큰 경우, 리니어블럭(411)은 리니어가이드(410)를 따라 후방을 향해 이송될 수 있다.
밀착판(430)은 클램핑부(200)와 제 2밀착롤러(420)의 사이에 배치된다. 밀착판(430)은 제 2밀착롤러(420)와 함께 다양한 코일(1)의 외경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제 2밀착롤러(420)는 제 2밀착롤러 지지대(421)에 의해 리니어블럭(411)에 지지된다. 밀착판 회전축(431)은 제 2밀착롤러 지지대(421)에 설치된다. 밀착판 회전링크(432)는 밀착판 회전축(4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밀착판(430)과 밀착판 회전축(431)을 연결한다. 밀착판 회전실린더(433)는 밀착판 회전링크(432)를 회전시켜 밀착판(430)이 제 2밀착롤러(420)와 함께 포장재(3)의 말단부를 코일(1)에 밀착하도록 한다.
제 3밀착롤러(440)는 제 2밀착롤러(420)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441)는 제 2밀착롤러(4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제 3밀착롤러(440)와 제 2밀착롤러(420)의 회전축을 연결한다. 제 3밀착롤러 회전실린더(442)는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441)를 회전시켜 제 3밀착롤러(440)가 제 2밀착롤러(420)와 함께 포장재(3)의 말단부를 코일(1)에 밀착하도록 한다.
한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10)는 이탈방지 가이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 가이드(230)는 포장재(3)가 코일(1)의 폭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 가이드(230)는 코일(1)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크램핑부(200)에 지지될 수 있다. 물론 한쌍의 이탈방지 가이드(230)는 다양한 코일(1)의 폭에 대응하기 위하여 리니어 액츄에이터(231)에 지지되어 코일(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은 포장재 공급단계(S11), 제 1밀착 단계(S13), 클램핑 단계(S15) 및 제 2밀착 단계(S17)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재 공급단계(S11)는 포장재 안내부(100)가 코일(1)의 일측방으로부터 코일(1)의 하측으로 포장재(3)를 이송하는 단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의 포장재 공급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포장재(3)는 코일(1)의 폭과 외경에 따라 미리 재단된 판재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포장재(3)는 복수의 안내롤러(110)에 의해 코일(1)의 하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장재 안내부(100)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재(3)의 선단부는 클램핑부(200)와 코일(1)의 하단면을 통과한다.
이때, 클램핑부(200)는 한쌍의 클램퍼(211, 212)를 1차 상승시킨다. 클램핑부(200)는 포장재(3)가 한쌍의 클램퍼(211, 212)와 코일(1)의 하단의 사이를 통과하되, 포장재(3)의 말단부가 한쌍의 클램퍼(211, 212)와 코일(1)의 하단면의 사이에 간섭되어 쉽게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쌍의 클램퍼(211, 212)와 코일(1)의 하단면 사이에 기 설정된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탈방지 가이드(230)는 포장재(3)가 코일(1)의 폭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포장로봇(미도시)은 로봇툴(3a)을 클램핑부(200)의 전방에 위치시키고, 로봇툴(3a)은 클램핑부(200)를 통과한 포장재(3)의 선단부를 클램핑한다.
계속해서, 제 1밀착 단계(S13)는 포장재(3)의 선단부와 포장재(3)의 말단부가 체결되는 결속위치에 포장재(3)의 선단부가 도달할 때까지 제 1밀착부(300)가 포장재(3)를 코일(1)에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의 제 1밀착부가 포장재를 코일에 밀착하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장로봇(미도시)은 결속위치를 향해 포장재(3)의 선단부를 클램핑한 로봇툴(3a)을 이송한다.
이때, 제 1밀착롤러 회전실린더(330)는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320)를 회전시킨다.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320)가 회전됨에 따라 제 1밀착롤러(310)는 코일(1)의 외주면에 포장재(3)를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제 1밀착롤러(310)가 코일(1)의 외주면에 포장재(3)를 밀착시킴에 따라, 포장재(3)의 선단부가 결속위치에 도달할때까지 포장재(3)는 코일(1)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물론, 제 1밀착롤러(310)가 포장재(3)를 코일(1)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하더라도 로봇툴(3a)의 위치에 따라 포장재(3)가 코일(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재(3)의 선단부가 결속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제 1밀착롤러(310)에 의해 코일(1)의 외주면에 밀착된 포장재(3)가 코일(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포장로봇(미도시)은 포장재(3)의 선단부를 클램핑한 로봇툴(3a)이 코일(1)의 외주면의 접선 방향을 유지하도록, 로봇툴(3a)을 결속위치까지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클램핑 단계(S15)는 포장재(3)의 선단부가 결속위치에 도달하면 클램핑부(200)가 포장재(3)를 코일(1)의 외주면에 압박하여 포장재(3)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단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의 클램핑부가 포장재를 클램핑하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포장재(3)의 선단부가 결속위치에 도달하면, 클램핑부(200)는 한쌍의 클램퍼(211, 212)를 2차 상승시킨다. 이때, 한쌍의 클램퍼(211, 212)는 포장재(3)를 코일(1)의 외주면에 압박한다. 이에 따라 포장재(3)는 코일(1)의 하단면과 한쌍의 클램퍼(211, 212)에 압착되면서 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2밀착 단계(S17)는 제 2밀착부(400)가 포장재(3)의 말단부를 결속위치로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의 제 2밀착부가 포장재의 말단부를 코일에 밀착하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코일(1)의 외경에 따라 리니어블럭(411)은 리니어가이드(410)를 따라 직선 이송된다. 코일(1)의 외경에 따른 리니어블럭(411)의 이송 동작은 제 2밀착 단계(S17)에서 수행되거나, 제 2밀착 단계(S17) 이전에 수행되어도 좋다.
이어, 리니어가이드 회전실린더(413)는 리니어가이드(410)를 회전시킨다. 리니어가이드(410)가 회전됨에 따라 제 2밀착롤러(420)는 포장재(3)의 말단부를 코일(1)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밀착판 회전실린더(433)는 밀착판 회전링크(432)를 회전시킨다. 밀착판 회전링크(432)가 회전됨에 따라 밀착판(430)은 제 2밀착롤러(420)와 함께 포장재(3)의 말단부를 코일(1)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제 3밀착롤러 회전실린더(442)는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441)를 회전시킨다.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441)가 회전됨에 따라 제 3밀착롤러(440)는 포장재(3)의 말단부를 코일(1)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제 2밀착부(400)는 제 2밀착롤러(420), 밀착판(430) 및 제 3밀착롤러(440)가 함께 포장재(3)의 말단부를 코일(1)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포장로봇(미도시)은 코일(1)의 외주면에 밀착된 포장재(3)의 말단부 위에 포장재(3)의 선단부를 클램핑하는 로봇툴(3a)을 이송하여 포장재(3)의 말단부 위에 포장재(3)의 선단부를 오버랩시킨다.
이후, 로봇툴(3a)은 포장재(3)의 선단부를 당겨서 코일(1)의 외주면에 대한 텐션을 견고히 한후, 오버랩된 포장재(3)의 선단부와 포장재(3)의 말단부에 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포장재(3)를 결속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은 포장재(3)의 선단부로부터 포장재(3)의 말단부에 이르기까지 포장재(3) 전체가 코일(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포장재(3)의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코일(1) 포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 코일 1a : 코일지지부
3 : 포장재 3a : 로봇툴
10 :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100 : 포장재 안내부 110 : 복수의 안내롤러
120 : 안내롤러 지지대 130 : 안내롤러 지지대 회전축
140 : 안내롤러 회전실린더 200 : 클램핑부
211, 212 : 클램퍼 220 : 클램퍼 승강유닛
300 : 제 1밀착부 310 : 제 1밀착롤러
320 :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 330 : 제 1밀착롤러 회전실린더
400 : 제 2밀착부 410 : 리니어가이드
411 : 리니어블럭 412 : 리니어가이드 회전축
413 : 리니어가이드 회전실린더 420 : 제 2밀착롤러
421 : 제 2밀착롤러 지지대 430 : 밀착판
431 : 밀착판 회전축 432 : 밀착판 회전링크
433 : 밀착판 회전실린더 440 : 제 3밀착롤러
441 :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 442 : 제 3밀착롤러 회전실린더

Claims (19)

  1. 강판 코일의 외주면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와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가 체결되는 결속위치에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도달할 때까지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감기는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에 밀착시키는 제 1밀착부;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속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압박하여 상기 포장재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클램핑부;및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결속위치로 밀착시키는 제 2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일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의 하측으로 상기 포장재를 이송하는 포장재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안내부는
    상기 코일의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안내롤러;
    상기 복수의 안내롤러를 함께 지지하는 안내롤러 지지대;
    상기 안내롤러 지지대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안내롤러 지지대를 지지하는 안내롤러 지지대 회전축;및
    상기 안내롤러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안내롤러 회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밀착부는 상기 포장재 안내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제 1밀착부와 상기 포장재 안내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포장재 안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재 안내부가 상기 포장재를 지지하는 지지면으로부터 출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코일의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장재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클램퍼;및
    상기 한쌍의 클램퍼를 상기 코일을 향해 함께 승강시키는 클램퍼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속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한쌍의 클램퍼와 상기 코일의 외주면이 기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한쌍의 클램퍼를 1차 상승시키며,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속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상기 포장재를 압박하도록 상기 한쌍의 클램퍼를 2차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밀착부는
    상기 한쌍의 클램퍼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1밀착롤러;
    상기 한쌍의 클램퍼 중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클램퍼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및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제 1밀착롤러가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 1밀착롤러 회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코일의 하측에 배치되는 리니어가이드;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리니어블럭;
    상기 리니어블럭에 지지되는 제 2밀착롤러;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회전가능하게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지지하는 리니어가이드 회전축;및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회전시켜 상기 제 2밀착롤러가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하도록 하는 리니어가이드 회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클램핑부와 상기 제 2밀착롤러의 사이에 배치되는 밀착판;
    상기 리니어블럭에 상기 제 2밀착롤러를 지지하는 제 2밀착롤러 지지대;
    상기 제 2밀착롤러 지지대에 설치되는 밀착판 회전축;
    상기 밀착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 회전축을 연결하는 밀착판 회전링크;
    상기 밀착판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밀착판이 상기 제 2밀착롤러와 함께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하도록 하는 밀착판 회전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제 2밀착롤러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3밀착롤러;
    상기 제 2밀착롤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 3밀착롤러와 상기 제 2밀착롤러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
    상기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제 3밀착롤러가 상기 제 2밀착롤러와 함께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하도록 하는 제 3밀착롤러 회전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감기는 상기 포장재가 상기 코일의 폭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12. 강판 코일의 외주면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와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가 체결되는 결속위치에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도달할 때까지 제 1밀착부가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에 밀착시키는 제 1밀착 단계;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속위치에 도달하면 클램핑부가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압박하여 상기 포장재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클램핑 단계; 및
    제 2밀착부가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결속위치로 밀착시키는 제 2밀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포장재 안내부가 상기 코일의 일측방으로부터 상기 코일의 하측으로 상기 포장재를 이송하는 포장재 공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코일의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장재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클램퍼;및
    상기 한쌍의 클램퍼를 상기 코일을 향해 함께 승강시키는 클램퍼 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재 공급 단계는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속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한쌍의 클램퍼와 상기 코일의 외주면이 기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 상기 한쌍의 클램퍼를 1차 상승시키며,
    상기 클램핑 단계는
    상기 포장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속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상기 포장재를 압박하도록 상기 한쌍의 클램퍼를 2차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밀착부는
    상기 한쌍의 클램퍼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1밀착롤러;
    상기 한쌍의 클램퍼 중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클램퍼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및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를 회전시키는 제 1밀착롤러 회전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밀착 단계는
    상기 제 1밀착롤러 회전실린더가 상기 제 1밀착롤러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포장재를 상기 코일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코일의 하측에 배치되는 리니어가이드;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리니어블럭;
    상기 리니어블럭에 지지되는 제 2밀착롤러;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회전가능하게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지지하는 리니어가이드 회전축;및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회전시키는 리니어가이드 회전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밀착 단계는
    상기 리니어가이드 회전실린더가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회전시켜 상기 제 2밀착롤러가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클램핑부와 상기 제 2밀착롤러의 사이에 배치되는 밀착판;
    상기 리니어블럭에 상기 제 2밀착롤러를 지지하는 제 2밀착롤러 지지대;
    상기 제 2밀착롤러 지지대에 설치되는 밀착판 회전축;
    상기 밀착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 회전축을 연결하는 밀착판 회전링크;
    상기 밀착판 회전링크를 회전시키는 밀착판 회전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밀착 단계는
    상기 밀착판 회전실린더가 상기 밀착판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밀착판이 상기 제 2밀착롤러와 함께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밀착부는
    상기 제 2밀착롤러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3밀착롤러;
    상기 제 2밀착롤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 3밀착롤러와 상기 제 2밀착롤러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
    상기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제 3밀착롤러가 상기 제 2밀착롤러와 함께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하도록 하는 제 3밀착롤러 회전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밀착 단계는
    상기 제 3밀착롤러 회전실린더가 상기 제 3밀착롤러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제 3밀착롤러가 상기 제 2밀착롤러와 함께 상기 포장재의 말단부를 상기 코일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이탈방지 가이드가 상기 코일에 감기는 상기 포장재가 상기 코일의 폭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KR1020160145369A 2016-11-02 2016-11-02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KR101859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69A KR101859290B1 (ko) 2016-11-02 2016-11-02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CN201621454540.8U CN206502097U (zh) 2016-11-02 2016-12-28 卷材包装材料紧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69A KR101859290B1 (ko) 2016-11-02 2016-11-02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153A true KR20180048153A (ko) 2018-05-10
KR101859290B1 KR101859290B1 (ko) 2018-05-17

Family

ID=5983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369A KR101859290B1 (ko) 2016-11-02 2016-11-02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9290B1 (ko)
CN (1) CN20650209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0349A (zh) * 2021-07-09 2021-10-01 济南逸升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对不同直径的卷材包装材料紧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5703B2 (ja) * 1992-04-13 1997-10-22 株式会社シンワコーポレーション 円筒状体の外装方法
KR100816280B1 (ko) 2007-04-19 2008-03-24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 포장용 내부보호재 삽입장치
KR101215166B1 (ko) 2010-02-18 2012-12-24 (주)포스코엠텍 코일 포장장치 및 코일 포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502097U (zh) 2017-09-19
KR101859290B1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166B1 (ko) 코일 포장장치 및 코일 포장방법
KR101155826B1 (ko) 코일 포장로봇
KR20190047964A (ko) 강판 코일 랩핑용 포장재 공급장치, 이를 이용한 강판 코일 랩핑 장치 및 방법
KR101859290B1 (ko)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KR101716699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KR101607313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KR102039794B1 (ko) 강판 코일 내측 모서리 포장재 공급장치
KR101197395B1 (ko) 코일 포장용 테이핑 장치
KR101138071B1 (ko) 코일 포장재 부착장치
KR101859291B1 (ko) 코일 포장용 로봇툴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 방법
EP1893492B1 (en) Method of winding cables
JP4690822B2 (ja) 鋼帯コイル内径押さえ装置
JP6855591B2 (ja) 運搬デバイスおよびコイルを運搬するための方法
KR20100123107A (ko) 코일 포장용 테이핑 장치
JP2886080B2 (ja) 鋼板コイルの包装装置
KR20180048154A (ko) 코일 포장재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벤딩방법
KR101138090B1 (ko) 방청지 방사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용 방청지권취장치
JPH04197520A (ja) テンションリールに巻取ったスクラップコイルの搬出方法ならびに搬出装置
JPH07265950A (ja) スクラップコイルの処理装置
KR101152052B1 (ko)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KR20200035519A (ko) 강판 코일 외경모서리 보호재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코일 외경모서리 보호재 공급 방법
KR100811233B1 (ko) 강판코일용 클램핑장치
CN114269650B (zh) 用于包装钢铁产品的捆扎带捆扎头系统
JPH0615355A (ja) 金属板コイルのコイル巻き不揃い修正方法
KR101031175B1 (ko) 코일 포장지 접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