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052B1 -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052B1
KR101152052B1 KR1020100057865A KR20100057865A KR101152052B1 KR 101152052 B1 KR101152052 B1 KR 101152052B1 KR 1020100057865 A KR1020100057865 A KR 1020100057865A KR 20100057865 A KR20100057865 A KR 20100057865A KR 101152052 B1 KR101152052 B1 KR 101152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ner circumferential
coil
circumferential 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884A (ko
Inventor
박병일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엠텍 filed Critical (주)포스코엠텍
Priority to KR102010005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05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6Bundling coils of wire or like annula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1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applying edge protecting members during bu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3Load ori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내주링과 단면측판을 코일의 측단면에 함께 부착할 수 있도록 내주링을 단면측판의 중공에 삽입되는 형태로 정렬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가 개시된다.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는 테이블;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되어 코일의 측단면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단면측판을 지지하는 단면측판 지지부; 및 상기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개구되며, 상기 코일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의 내경부 모서리부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내주링이 상기 단면측판의 중공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내주링을 지지하는 내주링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Apparatus for aligning side protector and inner-ring for coil packing }
본 발명은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과 코일 포장용 단면측판을 정렬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정은 각종 철광석 등을 주원료를 이용하여 쇳물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쇳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용강을 만드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용강을 고체상태로 만드는 연주공정, 고체상태의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하여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켜 냉각 및 응고시켜 연속적인 슬래프(slab), 블룸(bloom), 빌릿(billet) 등의 중간소재로 만든다. 이 중 슬래브는 압연공정에서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Roll) 사이를 통과하면서 얇은 강판의 형태의 제품으로 생산된다. 이와 같이 생산되는 강판은 유통의 편의를 위해 코일 형태로 감겨져 제공된다.
도 1은 코일과 코일의 포장용 자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코일에 부착된 포장용 자재를 밴드에 의해 결속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코일 형태로 감긴 강판(이하, 코일)(10)은 방습을 위해 코일(10)의 내, 외주를 감싸는 방청지(11), 코일(10)의 외주면을 보호하는 외주보호판(12), 코일의 내주면을 보호하는 내주보호판(13), 코일(10)의 양측단면을 보호하는 단면측판(14), 코일(10)의 내주면에 내주보호판(11)을 고정시키고 코일(10)의 내경부의 모서리를 보호하는 내주링(15) 및 코일(10)의 외주면에 외주보호판(12)을 고정시키고 코일(10)의 외경부의 모서리를 보호하는 외주링(16)를 포함하는 포장용 자재로 코일(10)의 내, 외주면을 포장한다.
코일(10)의 포장은 코일(10)의 내, 외주면 및 양 측단면에 방청지(11)를 감싸고, 코일(10)의 내, 외주면에 내주보호판(13) 및 외주보호판(12)을 부착한 후에 코일(10)의 양 측단면에 단면측판(14), 내주링(15) 및 외주링(16)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코일(10)에 포장재(11, 12, 13, 14, 15, 16)를 부착한 뒤에는 포장재(11, 12, 13, 14, 15, 16)의 결속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밴드(17)를 이용하여 코일(10)에 포장재(11, 12, 13, 14, 15, 16)를 결속한다.
한편, 코일(10)의 측단면을 포장하는 공정은 코일(10)의 측단면에 단면측판(14)을 부착한 후, 내주링(15)을 코일의 내경부에 삽입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코일(10)의 측단면에 단면측판(14)을 부착한 후, 내주링(15)을 코일(10)의 내경부에 삽입하는 경우, 먼저 부착된 단면측판(14)이 코일(10)의 측단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10)의 측단면에 부착된 단면측판(14)과 코일(10)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단면측판(14)을 임시로 고정해야 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단면측판(14)을 임시로 고정하는 공정의 추가로 인한 코일 포장의 전체 공정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주링과 단면측판을 코일의 측단면에 함께 부착할 수 있도록 내주링을 단면측판의 중공에 삽입되는 형태로 정렬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는 테이블;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되어 코일의 측단면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단면측판을 지지하는 단면측판 지지부; 및 상기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개구되며, 상기 코일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의 내경부 모서리부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내주링이 상기 단면측판의 중공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내주링을 지지하는 내주링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주링은 상기 코일의 측단면에 부착되는 제1 보호판 및 상기 제1 보호판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코일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제2 보호판을 포함하여 상기 코일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성형되고,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는 상기 내주링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제2 보호판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내주링으로부터 상기 중첩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제2 보호판의 외주면에 구름 접촉되는 구동롤러;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제2 보호판의 외주면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내주링의 회전을 구름지지하는 아이들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는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아이들롤러를 상기 내주링의 중심부를 향해 이송하는 롤러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은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이송부는 상기 하판에 레일 결합되며,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이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모터와 상기 구동롤러를 함께 지지하는 제1 지지판;상기 하판에 레일 결합되며, 상기 아이들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2 지지판;상기 내주링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축;상기 링크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링크축에 결합되는 링크판;일단부가 상기 링크판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는 구동링크암;상기 제1 지지판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지지판이 이송됨에 따라 상기 링크판가이 회전되도록 하는 가압실린더;일단부가 상기 링크축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링크판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제2 지지판를 이송시키는 종동링크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첩부는 상기 내주링의 일단이 상기 내주링의 타단부에 중첩되어 형성되는 단턱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 보호판 측으로 탄성지지되며,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상기 내주링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단턱에 걸려 상기 내주링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첩부는 상기 내주링의 일단이 상기 내주링의 타단부에 용접되어 형성되는 용접비드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2 보호판 측으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용접비드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는 내주링을 단면측판의 중공에 삽입되는 형태로 정렬하여 내주링과 단면측판을 코일의 측단면에 함께 부착할 수 있으므로, 코일 포장 공정을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코일과 코일의 포장용 자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코일에 부착된 포장용 자재를 밴드에 의해 결속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의 회전구동부 및 롤러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에 내주링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에서 롤러이송부에 의해 내주링이 가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에서 회동구동부에 의해 내주링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면측판(14)은 코일(10)의 측단면을 보호하기 위해 코일(10)의 측단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원판으로 마련되어 중앙부가 관통되어 중공이 형성된다.
내주링(15)은 코일(10)의 내경부 모서리부를 보호하기 위해 단면측판(14)이 부착된 코일(10)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판상의 제1 보호판(15a) 및 제1 보호판(15a)으로부터 절곡되는 제2 보호판(15b)을 포함한다. 이러한 내주링(15)은 코일(10)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링(ring)의 형태로 성형된다. 이때, 내주링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15c)가 형성되며, 중첩부(15c)는 일단이 타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단턱(15d)을 포함한다.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100)(이하, '정렬장치'라 함.)은 테이블(110), 단면측판 지지부(111a) 및 내주링 지지부(111b)를 포함한다.
테이블(110)은 복수의 다리(113)에 지지되는 상판(111)과 하판(112)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를 가진다. 단면측판 지지부(111a)는 상판(111)에 해당되어 단면측판(14)을 지지한다. 내주링 지지부(111b)는 상판(111)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해당되어 단면측판(14)의 중공에 내주링(15)이 삽입되는 형태로 내주링(15)을 지지한다. 즉, 내주링(15)은 제1 보호판(15a)이 단면측판(14)의 상면에 적층되며, 제2 보호판(15b)이 개구된 상판(111)을 관통한 상태로 내주링 지지부(111b)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정렬장치(100)는 테이블(110)의 상면에 단면측판(14) 및 내주링(15)을 함께 지지하여 코일(10)의 측단면에 부착될 단면측판(14) 및 내주링(15)을 도시되지 않은 이송수단에 의해 함께 지지하고,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정렬장치(100)는 밴드(17)가 지나는 위치에 중첩부(15c)를 배치할 수 있도록 중첩부(15c)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를 절단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의 회전구동부 및 롤러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정렬장치(100)는 회전구동부(120), 롤러이송부(130) 및 감지부(140)를 포함한다.
회전구동부(120)는 내주링(15)으로부터 중첩부(15c)를 감지하기 위해 내주링 지지부(111b)에 지지되는 내주링(15)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구동롤러(121), 회전모터(122) 및 아이들롤러(123)를 포함한다.
구동롤러(121)는 상판(111)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주링 지지부(111b)에 지지되는 내주링(15) 중 제2 보호판(15b)의 외주면에 구름 접촉된다. 회전모터(122)는 구동롤러(121)에 접촉된 내주링(15)이 회전되도록 구동롤러(121)를 회전시킨다. 아이들롤러(123)는 상판(111)의 하측에 배치되어 구동롤러(121)로부터 내주링(15)의 외경방향으로 이격되며, 내주링 지지부(111b)에 지지되는 내주링(15) 중 제2 보호판(15b)의 외주면에 구름 접촉되어 구동롤러(121)에 의해 회전되는 내주링(15)을 구름 지지한다. 이러한 아이들롤러(123)는 회전되는 내주링 중 제2 보호판(15b)을 안정적으로 구름 지지하기 위해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이송부(130)는 구동롤러(121) 및 아이들롤러(123)를 이송하여 구동롤러(121) 및 아이들롤러(123)가 내주링의 외주면에 구름 접촉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1 지지판(131), 제2 지지판(132), 링크축(133), 링크판(134), 구동링크암(135), 종동링크암(136) 및 가압실린더(137)를 포함한다.
제1 지지판(131)은 상판(111)을 향한 일면에 구동롤러(121)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동롤러(121)의 회전축을 지지하며, 하판(112)을 향한 이면에 회전모터(122)를 지지한다. 즉, 회전모터(122)는 출력단이 제1 지지판(131)을 관통하여 구동롤러(121)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1 지지판(131)은 내주링(15)의 중심을 향해 배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131a)에 이면이 레일 결합되어 하판(112)에 지지된다. 제2 지지판(132)은 상판(111)을 향한 일면에 아이들롤러(123)가 회전가능하도록 아이들롤러(123)의 회전축을 지지한다. 이러한 제2 지지판(132)은 내주링(15)의 중심을 향해 배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132a)에 이면이 레일 결합되어 하판(112)에 지지된다.
링크축(133)은 내주링(15)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하판(112)에 지지된다. 링크판(134)은 회전가능하게 링크축(133)에 결합되며, 구동링크암(135) 및 종동링크암(136)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중심링크암(134a) 및 제2 중심링크암(134b)을 포함한다. 구동링크암(135)는 일단부가 제1 지지판(131)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가 제1 중심링크암(134a)에 힌지 결합된다. 구동링크암(135)은 가압실린더(137)가 제1 지지판(131)을 가압하여 제1 지지판(131)이 직선 이송됨에 따라 링크판(134)이 회전되도록 한다. 종동링크암(136)은 일단부가 제2 지지판(132)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가 제2 중심링크암(134b)에 힌지 결합된다. 종동링크암(136)은 링크판(134)이 회전됨에 따라 제2 지지판(132)이 직선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감지부(140)는 회전구동부(120)에 의해 회전되는 내주링(15)으로부터 중첩부(15c)를 감지하는 것으로, 스톱퍼(141) 및 탄성체(142)를 포함한다.
스톱퍼(141)는 내주링 지지부(111b)에 지지되는 내주링(15)의 측방에 배치되어 탄성체(142)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탄성체(142)로는 내주링(15) 측으로 스톱퍼(141)를 인장시키는 인장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감지부(140)는 스톱퍼(141)가 회전구동부(120)에 의해 회전되는 내주링(15) 중 제2 보호판(15b)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회전되는 내주링(15) 중 단턱(15d)이 스톱퍼(141)에 도달하면, 스톱퍼(141)는 단턱(15d)에 걸려 내주링(15)의 중첩부(15c)를 감지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톱퍼(141)는 회전모터(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모터(122)로 전기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스톱퍼(141)에 의해 단턱이 감지됨에 따라 회전모터(122)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의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술된 바와 같이 단면측판(14)은 단면측판 지지부(111a)에 지지되며, 내주링(15)은 내주링 지지부(111b)에 지지된다. 내주링(15)은 제1 보호판(15a)이 단면측판(14)의 상면에 적층되며, 제2 보호판(15b)은 상판(111)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구동롤러(121) 및 아이들롤러(123)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에 내주링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주링(15)은 내주링 지지부(111b)에 지지된다. 이때, 구동롤러(121) 및 아이들롤러(123)는 제2 보호판(15b)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 그리고 스톱퍼(141)는 탄성체(142)에 탄성지지되어 제2 보호판(15b)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에서 롤러이송부에 의해 내주링이 가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압실린더(137)는 제1 지지판(131)을 가압한다. 제1 지지판(131)이 가압됨에 따라 제1 지지판(131)은 내주링(15)의 중심부를 향해 직선 이송된다. 제1 지지판(131)이 직선 이송됨에 따라 구동링크암(135)은 제1 중심링크암(134a)을 회동시킨다. 제1 중심링크암(134a)이 회동됨에 따라 링크판(134)은 회전되며, 제2 중심링크암(134b)이 함께 회동된다. 제2 중심링크암(134b)은 종동링크암(136)을 회동시키며, 제2 지지판(132)은 종동링크암(136)의 회동에 따라 내주링(15)의 중심부를 향해 직선 이송된다.
이와 같이 제1 지지판(131) 및 제2 지지판(132)이 내주링(15)의 중심부 측을 향해 직선 이송됨에 따라 구동롤러(121) 및 아이들롤러(123)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2 보호판(15b)의 외주면에 구름 접촉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에서 회동구동부에 의해 내주링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회전모터(122)는 구동롤러(121)를 회전시킨다. 구동롤러(121)의 회전에 따라 내주링(15)은 회전되며, 아이들롤러(123)는 내주링(15)의 회전을 구름지지한다. 이때, 내주링(15)은 일단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15d)이 스톱퍼(141)에 대면될 수 있는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톱퍼(141)에 의해 단턱(15d)이 걸리도록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내주링(15)은 단턱(15d)이 스톱퍼(141)를 향하며, 단턱(15d)이 스톱퍼에 걸린다. 스톱퍼(141)는 회전모터(122)로 전기신호를 발생하며, 회전모터(122)는 구동롤러(121)의 회전을 정지시켜 내주링(15)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감지부(140)는 내주링 지지부(111b)에 지지되는 내주링(15)으로부터 중첩부(15c)를 감지하고, 내주링(15)의 회전이 정지되면, 도시되지 않은 이송수단은 단면측판(14)과 내주링(15)을 함께 이송하여 단면측판(14) 및 내주링(15)을 코일(10)의 측단면에 부착한다.
한편, 내주링(15)은 일단은 타단부에 용접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주링(15)은 일단이 타단부에 용접되어 제공됨에 따라, 중첩부(15c)에는 용접비드(15e)가 형성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150)는 스톱퍼(141)가 회전구동부(120)에 의해 회전되는 내주링(15) 중 제2 보호판(15b)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151) 및 제2 보호판(15b)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152)로 이루어지는 광센서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광소자(152)는 회전모터(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모터(122)로 전기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수광소자(152)에 검출된 광량(또는, 광세기)에 따라 회전모터(1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150)는 광원(151)이 회전구동부(120)에 의해 회전되는 내주링(15) 중 제2 보호판(15b)으로 광을 조사한다. 광은 제2 보호판(15b)으로부터 반사되어 수광소자(152)에 검출된다. 이때, 용접비드(15e)에서 반사되어 수광소자(152)에 검출되는 광량(또는, 광세기)은 용접비드(15e)에 의해 난반사되므로, 기 설정된 광량(또는, 광세기)보다 작게 검출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광량(또는, 광세기)은 제2 보호판(15b)의 외주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수광소자(152)에 검출되는 광량(또는, 광세기)을 말한다.
이와 같이 감지부(150)는 제2 보호판(15b)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고, 수광되는 광량(또는, 광세기)에 따라 중첩부(15c)를 감지하여 내주링(15)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한다.
100 :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110 : 테이블 111a : 단면측판 지지부
111b : 내주링 지지부 120 : 회전구동부
130 : 롤러이송부 140 : 감지부

Claims (7)

  1.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되어 코일의 측단면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단면측판을 지지하는 단면측판 지지부;및
    상기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개구되며, 상기 코일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코일의 내경부 모서리부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내주링이 상기 단면측판의 중공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내주링을 지지하는 내주링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링은 상기 코일의 측단면에 부착되는 제1 보호판 및 상기 제1 보호판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코일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제2 보호판을 포함하여 상기 코일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성형되고,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주링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및
    상기 제2 보호판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내주링으로부터 상기 중첩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제2 보호판의 외주면에 구름 접촉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및
    상기 제2 보호판의 외주면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내주링의 회전을 구름지지하는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아이들롤러를 상기 내주링의 중심부를 향해 이송하는 롤러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이송부는
    상기 하판에 레일 결합되며,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이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모터와 상기 구동롤러를 함께 지지하는 제1 지지판;
    상기 하판에 레일 결합되며, 상기 아이들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2 지지판;
    상기 내주링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축;
    상기 링크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링크축에 결합되는 링크판;
    일단부가 상기 링크판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는 구동링크암;
    상기 제1 지지판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지지판이 이송됨에 따라 상기 링크판가이 회전되도록 하는 가압실린더;
    일단부가 상기 링크축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링크판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제2 지지판를 이송시키는 종동링크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내주링의 일단이 상기 내주링의 타단부에 중첩되어 형성되는 단턱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 보호판 측으로 탄성지지되며,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상기 내주링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단턱에 걸려 상기 내주링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부는 상기 내주링의 일단이 상기 내주링의 타단부에 용접되어 형성되는 용접비드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2 보호판 측으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용접비드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KR1020100057865A 2010-06-18 2010-06-18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KR101152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865A KR101152052B1 (ko) 2010-06-18 2010-06-18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865A KR101152052B1 (ko) 2010-06-18 2010-06-18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884A KR20110137884A (ko) 2011-12-26
KR101152052B1 true KR101152052B1 (ko) 2012-06-08

Family

ID=4550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865A KR101152052B1 (ko) 2010-06-18 2010-06-18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900A (ko)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정보에 기초한 측면 포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823B1 (ko) 2015-09-01 2017-03-14 다인시스템주식회사 내주링 확장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127A (ja) 1997-12-11 1999-06-29 Nippon Steel Corp 金属帯板コイルの側板・内周当金装着装置、外周当金装着装置および側板・内周当金装着方法、外周当金装着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127A (ja) 1997-12-11 1999-06-29 Nippon Steel Corp 金属帯板コイルの側板・内周当金装着装置、外周当金装着装置および側板・内周当金装着方法、外周当金装着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900A (ko)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정보에 기초한 측면 포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884A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166B1 (ko) 코일 포장장치 및 코일 포장방법
KR101155826B1 (ko) 코일 포장로봇
KR101152052B1 (ko)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FI20020815A (fi) Kehäratarakenteen käsittävä käärintälaitteisto ja kalvonjakolaitteisto
MX2009001299A (es) Metodo para realizar un cambio de rollo y empalmador para llevar a la practica este metodo.
KR20170139963A (ko) 국수의 종이 결속 포장장치
KR101189964B1 (ko) 코일 포장용 테이핑 장치
KR101716699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KR101197395B1 (ko) 코일 포장용 테이핑 장치
KR101607313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CN206336489U (zh) 卷材包装材料弯曲装置
KR20110139603A (ko) 코일 포장장치
JP2886080B2 (ja) 鋼板コイルの包装装置
KR102165254B1 (ko) 강판 코일 외경모서리 보호재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코일 외경모서리 보호재 공급 방법
KR101214309B1 (ko) 코일 포장용 내주보호판 밀착장치
DE69804349D1 (de) Wickelmaschine für bahnen, zum wickeln von rollen
SE8402184L (sv) Forpackningsmaskin
KR102004279B1 (ko) 약 포장기의 약 포장지 편심접착방지장치
KR101145021B1 (ko) 코일 포장재의 벤딩장치
KR20180048153A (ko)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KR20110137882A (ko) 코일 포장용 라벨링 장치
KR200283568Y1 (ko) 폴리에틸렌 시트 라미네이팅 장치
KR200469562Y1 (ko) 래핑머신용 포장지 절단장치
KR102263923B1 (ko) 포장용 밴드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JP3146269B2 (ja) 結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