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699B1 - 코일 외주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외주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699B1
KR101716699B1 KR1020140193349A KR20140193349A KR101716699B1 KR 101716699 B1 KR101716699 B1 KR 101716699B1 KR 1020140193349 A KR1020140193349 A KR 1020140193349A KR 20140193349 A KR20140193349 A KR 20140193349A KR 101716699 B1 KR101716699 B1 KR 10171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ackaging
protection plate
taping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667A (ko
Inventor
송재근
Original Assignee
다인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인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인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6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2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without changing their position during the wrapping operation, e.g. in moulds with hinged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1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flat articles i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주보호판의 일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코일의 외주를 따라 이동시켜 코일을 포장하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코일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기 코일운반부와, 상기 상기 코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코일 외주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외주보호판으로 상기 코일 외주면을 포장하는 포장수단과, 상기 포장수단을 상기 코일외주를 따라 회전시키는 회전암을 갖는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회전암의 1축 회전만으로 외주보호판을 용이하게 견인하여 포장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시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외주 포장장치{Apparatus for coil packaging}
본 발명은 강철 코일의 외주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강철 판으로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주보호판의 일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코일의 외주를 따라 이동시켜 코일을 포장하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정은 각종 철광석 등을 주원료를 이용하여 쇳물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쇳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용강을 만드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용강을 고체상태로 만드는 연주공정, 고체상태의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하여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켜 냉각 및 응고시켜 연속적인 슬래브(slab), 블룸(bloom), 빌릿(billet) 등의 중간소재로 만든다. 이 중 슬래브는 압연공정에서 회전하는 복수개의 롤(Roll) 사이를 통과하면서 얇은 강판의 형태의 제품으로 생산된다. 이와 같이 생산되는 강판은 유통의 편의를 위해 코일 형태로 감겨져 제공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코일은 역시 금속으로 이루어진 보호판으로 포장된다. 보호판은 코일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충하고, 습기가 코일 제품에 침투하지 못하게 하여 유통 기간 동안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코일과 코일의 포장용 자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코일 형태로 감긴 강판(이하, 코일이라 약칭함)은 방습을 위해 코일(10)의 내, 외주에 권취되는 방청지(1), 코일(10)의 외주면을 보호하는 외주보호판(2), 코일의 내주면을 보호하는 내주 보호판(3), 코일(10)의 양측면을 보호하는 단면측판(4), 코일(10)의 내주면에 내주 보호판(3)을 고정시키는 내주링(5) 및 코일(10)의 외주면에 외주보호판(2)을 고정시키는 외주링(6)을 포함하는 포장용 자재로 코일(10)의 내, 외주면을 포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10)은 로봇 또는 전용 포장장치에 의해 포장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외주보호판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상태에서 코일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에 의해 이송되어 코일을 감싼 후 외주링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외주보호판(2)에 의한 코일 외주면의 포장은 포장과정에서 외주보호판(2)의 양측 가장자리가 코일(10)의 양측 가장자리에 정확하게 일치 되지 않은 경향이 있어 코일의 포장에 따른 불량 발생율이 높다. 특히, 코일(10)의 외주를 감싸는 외주보호판(2)의 양측 단부가 정확하게 일치되지 못하여 포장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241394호에서 코일의 외주를 감싸는 원주방향의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포장로봇을 포함하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의 코일 외주 포장장치의 경우에도 외주보호판을 코일의 외주면에 정확히 밀착시켜 포장을 실시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241394호 : 코일외주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외주보호판에 의한 코일의 외주 포장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코일의 외주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주보호판의 양 단부가 상호 중접된 상태에서 원주방향 및 코일의 폭방향을 따라 테이핑 함으로써 코일에 대한 외주보호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외주 포장장치는 금속 코일을 외주보호판으로 포장하기 위한 코일 외주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기 코일운반부와, 상기 상기 코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코일 외주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외주보호판으로 상기 코일 외주면을 포장하는 포장수단과, 상기 포장수단을 상기 코일외주를 따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암을 갖는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코일운반부는 암과 상기 암에서 절곡형성되며 상기 코일 중심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수단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부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코일운반부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코일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축을 갖는 회전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암은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축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포장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암은 신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수단은 상기 외주보호판의 일단을 파지하여 견인하는 클램핑부를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포장수단은 상기 외주보호판의 양단을 테이핑하는 테이핑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외주보호판의 양단을 상기 코일의 원주방향으로 테이핑 하는 제1 테이핑부와, 상기 외주보호판의 양단을 상기 코일의 폭방향으로 테이핑하는 제2 테이핑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수단은 상기 회전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제1 및 제2 테이핑부의 테이핑시 각 테이핑부가 상기 코일의 외주면을 향하게 회전하고, 그 외에는 상기 외주보호판이 상기 코일의 외주 접선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주보호판을 상기 코일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보조지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상기 외조부호판과 접하며 상기 외주보호판을 이동시키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지지하고 가이드 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또는 이송롤러를 상기 코일 측으로 가압하도록 작동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수단에는 상기 회전축에 밸런스가 부착되어 회전암의 편심에 의한 회전의 불안정성을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외주 포장장치는 외주보호판을 파지 및 이송하는 클램핑 이송유닛이 코일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암에 의해 코일의 둘레를 1축 구동으로 회전하면서 코일의 외주면과 인접한 상태로 움직여 외주보호판을 이송시킴에 따라 포장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코일의 양측 가장자리와 외주보호판의 가장자리를 일치시킬 수 있어 포장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외주 포장장치는 외주보호판을 원주방향 및 코일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테이프로 고정할 수 있어 포장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코일의 포장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외주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외주 포장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외주 포장장치에 코일을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외주 포장장치에서 외주보호판을 포장로봇과 코일의 접촉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외주 포장장치의 포장로봇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외주 포장장치의 포장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외주 포장장치의 회전장치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코일(10)을 이송하기 위해 코일(10) 거치하는 코일운반유닛(110)과, 코일운반유닛(110)을 가이드레일(22)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부(30)와, 코일(10) 작업위치에 이송되면 코일(10) 외주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암(124)을 갖는 회전부(120)와 회전부(120)의 회전암(124)에 장착되어 회전암(124)이 회전함에 따라 외주보호판(20)을 코일(10) 외면으로 가이드하여 포장하는 포장로봇(130)과, 코일(10)와 외주보호판(20)이 서로 잘 접촉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보조지지부재(170)를 포함한다.
코일(10)은 코일운반유닛에(110)에 의해 포장장치에 진입하고 포장 완료후 반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은 코일운반유닛(110)을 가이드레일(22)를 따라 운반한다. 코일운반유닛(110)은 코일을 지지하여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현가장치(111)를 구비하며, 현가장치(111)는 암(arm, 113)과 암(113)에서 절곡형성된 지지수단(112)을 구비한다. 코일(10)에는 중심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수단(112)을 코일(10)의 중공부(11)에 삽입한 후 코일운반유닛(110)의 지지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코일(10)을 수직 방향(이하, Z축 방향이라 함)으로 이송할 수 있다.
코일운반유닛(110)은 롤러(32)에 의해 가이드레일(22)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송부(30)가 이송함에 따라 코일운반유닛(110)이 수평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코일운반유닛(110)에 고정된 코일(10)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수평이동될 수 있다.
회전부(120)는 코일(10)의 중공부(11)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축(이하, Y축이라 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유닛(122)과, 일단이 회전유닛(122)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유닛(122)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암(124)을 구비한다. 가이드암(124)의 타단에는 코일(1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포장로봇(130)이 장착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0)이 현가장치(111)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 이동되어 고정되면, 외주면을 따라 포장로못(130)이 배치되고, 회전암(124)의 회전에 따라 포장로봇(130)이 코일(10)의 외주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회전암(124)은 신축가능하여 길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코일(10)의 반경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코일(10)의 크기가 달라진다 하더라도 회전암(124)의 길이를 변경하여 외주보호판(20) 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수단(112)이 코일(10)의 중공부(11)로 삽입되어 코일(10)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포장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코일(10)이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수단(112)이 코일(10)의 중공부(11) 내주면에 접촉하는 접촉면 상에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의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로봇(130)은 회전암(124)에 결합되어 코일(10)의 외주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회전암(130)의 회전에 따라 포장로못(130)이 코일(10)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면서 외주보호판(20)을 코일(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 및 고정시킨다.
포장로봇(130)은 회전암(124)에 설치되는 회전지지유닛(140)과, 회전지지유닛(140)에 설치되는 클램핑유닛(150) 및 테이핑유닛(160)을 포함한다.
회전지지유닛(140)은 일단이 회전암(124)에 Y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바(141)와, 지지바(14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포장본체(142)를 포함한다.
클램핑유닛(150)은 코일(10)을 감싸도록 포장되는 외주보호판(20)을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바(141)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둘 이상이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유닛(150)은 고정죠(151)와, 고정죠(151)에 인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죠(152)를 포함하며, 가동죠(152)가 고정죠(151)와 벌어져 외주보호판(20)이 이들 사이에 삽입되면, 가동죠(152)가 고정죠(151)측으로 이동하여 외주보호판(20)을 파지하고, 다시 가동죠(152)를 고정죠(15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외주보호판(2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즉, 가동죠(152)의 고정죠(151)에 대한 이동을 통해 빨래집게처럼 외주보호판(20)을 잡거나, 놓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클램핑유닛(150)이 지지바(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어 있어서 외주보호판(20)의 단부의 두지점을 각각 파지한 상태로 외주보호판(20)을 견인할 수 있다. 따라서, 외주보호판(20)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가 코일(10)의 양측 가장자리와 매칭되는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테이핑유닛(160)은 외주보호판(20)을 코일(10)의 외주면에 감싼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코일(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테이핑하는 제1 테이핑부(161)와, 코일(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테이핑하는 제2 테이핑부(162)를 포함한다.
제1 테이핑부(161)는 포장본체(142)에 설치되어 있으며, 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공급부와, 테이프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테이프를 접착대상에 접착시키는 밀착롤러를 포함하는 접착부와, 접착된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제1 테이핑부(161)의 구성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등록특허 제10-1193227호, 제10-1165322호에 기재되어 있는 기본구성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테이핑부(161)는 상술한 것처럼 코일(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테이프를 부착하는데, 외주보호판(20)의 타측 단부 위로 외주보호판(20)의 일측 단부가 중첩되도록 외주보호판(20)을 코일(10)의 외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외주보호판(20)의 일측 단부와 타측단부의 상면을 테이핑하여 외주보호판(20)이 코일(10)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상기 제1 테이핑부(161)는 양측 클램핑유닛(150)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주보호판(20)을 파지하고 있는 양측 클램핑유닛(150)의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테이프를 부착한다.
제2 테이핑부(162)는 포장본체(142)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는데, 외주보호판(20)의 이송을 위해 클램핑부재(150)가 제2 테이핑부(162)는 코일(10)과 이격된 위치 즉 코일(10) 외주면의 접선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회전암(124)이 회전하는 동안 지지바(141)가 회전암(124)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므로 이러한 방향은 항상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제1 테이핑부(161)에 의한 테이핑 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지지바(141)를 회전암(124)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지지바의 길이방향 축 방향)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테이핑부(162)가 외주보호판(20)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는데, 제2 테이핑부(162)는 코일(10)의 폭방향을 따라 테이프가 부착되도록 형성되며, 2중 테이핑을 수행한다.
제2 테이핑부(162)는 지지바(14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된 테이핑가이드레일(163)과, 테이핑가이드레일(163)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테이핑모듈(164)을 포함하며, 테이핑모듈(164)이 테이핑가이드레일(163)을 따라 주행하면서 외주보호판(20)의 폭방향을 따라 테이프를 부착한다.
제2 테이핑부(162)는 중첩된 외주보호판(20)의 단부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외주보호판(20)의 일측단부와 타측을 모두 덮도록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외주보호판(20)을 견고하게 코일(10)의 외주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테이핑부(162)의 구성 역시 테이핑가이드레일(163)을 따라 주행하도록 형성되었을 뿐 제1 테이핑부(161)의 테이핑구조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0)이 초기위치에 고정되면 외주보호판(20)을 파지한 포장로봇(130)이 회전암(124)의 회전에따라 코일(10) 둘레를 따라 회전하면서, 외주보호판(20)을 코일(10) 둘레로 견인한다. 보조지지유닛(170)은 외주보호판(20)을 코일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수단이며, 외주보호판(20)의 Z축 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액츄에이터(171)와, 외주보호판(20)을 지지하며 가이드 하는 프레임(172) 그리고 철판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173)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171)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172)은 외주보호판(20)과 접촉하는 이송롤러(173)를 코일(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코일(10)과 외주보호판(20) 간의 간격이 최소화할 수 있어서 포장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즉, 포장로봇(130)이 외주보호판(20)의 일측 단부를 파지하여 코일(10)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외주보호판(20)이 코일(10)의 외주면과 인접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코일(10)의 하단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이송롤러(173)가 외주보호판(20)을 지지한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액츄에이터(171)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일 수 있고, 이들에 의해 프레임(172)가 코일(10)의 외주면을 향해 승강 구동할 수 있다. 즉, 포장로봇(130)에 의해 외주보호판(20)의 일단이 설정된 위치까지 이송되면 상기 가압부(171)는 가압구동부에 의해 코일(10)의 외주면을 향해 승강하면서 후단부의 가압롤러가 외주보호판(20)의 타측단부를 코일(10)을 감싸는 형태로 코일(10)의 외주면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최종 위치의 포장로봇(130) 까지 외주보호판(20)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프레임(171)의 일부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보조지지유닛(170)에 의해 외주보호판(20)의 타측단부가 코일(10)에 밀착된 상태에서 포장로봇(130)은 외주보호판(20)의 일측단부를 타측단부의 상면에 소정길이 중첩되도록 덮으면, 테이핑유닛(160)이 테이핑을 수행하고 외주보호판(20)이 고정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20)는 회전암(124)에 의해 편심회전을 하기 때문에 회전의 안정성(roatational dynamic balance)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전축에 밸런스(128)를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코일 20; 외주보호판
22: 가이드레일 30: 이송부
110: 코일운반유닛 111: 현가장치
120: 회전부 122: 회전유닛
124: 회전암 130: 포장로봇
140: 회전지지유닛 141: 지지바
142: 포장본체 150: 클램핑유닛
160: 테이핑유닛 161: 제1 테이핑부
162: 제2 테이핑부 170: 보조지지유닛
171: 액츄에이터 가압부 172; 프레임
173; 이송롤러

Claims (13)

  1. 금속 코일을 외주보호판으로 포장하기 위한 코일 외주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기 코일운반부와,
    상기 상기 코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코일 외주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외주보호판으로 상기 코일 외주면을 포장하는 포장수단과,
    상기 포장수단을 상기 코일 외주를 따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암을 갖는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포장수단은 상기 외주보호판의 양단을 테이핑하는 테이핑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핑부는, 상기 외주보호판의 양단을 상기 코일의 원주방향으로 테이핑 하는 제1 테이핑부와, 상기 외주보호판의 양단을 상기 코일의 폭방향으로 테이핑하는 제2 테이핑부를 가지며,
    상기 포장수단은 상기 회전암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테이핑부의 테이핑시 각 테이핑부가 상기 코일의 외주면을 향하게 회전하고, 상기 외주보호판이 상기 코일의 외주 접선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운반부는 암과 상기 암에서 절곡형성되며 상기 코일 중심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수단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코일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축을 갖는 회전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암은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축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포장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암은 신축 가능한 코일 외주 포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수단은 상기 외주보호판의 일단을 파지하여 견인하는 클램핑부를 구비하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둘 이상 구비되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보호판을 상기 코일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보조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상기 외주보호판과 접하며 상기 외주보호판을 이동시키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지지하고 가이드 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또는 이송롤러를 상기 코일 측으로 가압하도록 작동하는 액츄에이터
    를 구비하는 코일 외주 포장장치.
  13.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수단에는 상기 회전암의 편심회전을 상쇄하기 위한 밸런스가 부착된 코일 외주 포장장치.



KR1020140193349A 2014-12-30 2014-12-30 코일 외주 포장장치 KR101716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349A KR101716699B1 (ko) 2014-12-30 2014-12-30 코일 외주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349A KR101716699B1 (ko) 2014-12-30 2014-12-30 코일 외주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667A KR20160080667A (ko) 2016-07-08
KR101716699B1 true KR101716699B1 (ko) 2017-03-15

Family

ID=5650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349A KR101716699B1 (ko) 2014-12-30 2014-12-30 코일 외주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6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6674A (zh) * 2020-01-13 2020-05-01 宁波汇智恒动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钢带的自动打包柔性系统
CN114084397A (zh) * 2021-10-26 2022-02-25 国网山东省电力公司安丘市供电公司 电缆缠绕包装装置
KR20240003891A (ko) 2022-07-04 2024-01-11 권재성 철강 코일 포장 방법
KR102617474B1 (ko) * 2023-10-16 2023-12-27 (주)이에프씨 코일용 패드부착 자동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8139B2 (ja) * 1994-12-22 1999-04-05 川崎製鉄株式会社 円筒体の多重包装方法及び装置
KR101215166B1 (ko) * 2010-02-18 2012-12-24 (주)포스코엠텍 코일 포장장치 및 코일 포장방법
KR101241394B1 (ko) 2010-04-16 2013-03-11 다인시스템주식회사 코일 외주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667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699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KR101215166B1 (ko) 코일 포장장치 및 코일 포장방법
KR101155826B1 (ko) 코일 포장로봇
KR100860795B1 (ko) 코일 포장용 내부보호링 제조장치
CA298860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coiled materials
KR101607313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KR20090129308A (ko) 코일포장용 헤드유닛
KR101241399B1 (ko) 코일 포장장치
KR101241394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2127683B1 (ko) 강판 코일 랩핑용 포장재 공급장치, 이를 이용한 강판 코일 랩핑 장치 및 방법
KR100816280B1 (ko) 코일 포장용 내부보호재 삽입장치
KR101197395B1 (ko) 코일 포장용 테이핑 장치
KR20110139603A (ko) 코일 포장장치
KR20120078090A (ko) 코일포장장치용 어펜더
KR102165254B1 (ko) 강판 코일 외경모서리 보호재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코일 외경모서리 보호재 공급 방법
KR20100123107A (ko) 코일 포장용 테이핑 장치
KR101859290B1 (ko) 코일 포장재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밀착 방법
KR20180048154A (ko) 코일 포장재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벤딩방법
KR20180048155A (ko) 코일 포장용 로봇툴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 방법
KR101736495B1 (ko) 보호 커버 공급장치
KR101138090B1 (ko) 방청지 방사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용 방청지권취장치
KR101743819B1 (ko)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101152052B1 (ko)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KR20210144366A (ko) 권취부가 개선된 보호 커버 공급장치
KR101197374B1 (ko) 코일 포장용 외주링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