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480A -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480A
KR20180044480A KR1020160137802A KR20160137802A KR20180044480A KR 20180044480 A KR20180044480 A KR 20180044480A KR 1020160137802 A KR1020160137802 A KR 1020160137802A KR 20160137802 A KR20160137802 A KR 20160137802A KR 20180044480 A KR20180044480 A KR 20180044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groove
side frame
vehic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985B1 (ko
Inventor
김태수
조민호
박일홍
임덕수
이병재
김은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9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백(1b)이 운전모드 상태로 고정된 상태에서 시트쿠션(1a) 자체가 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프런트시트(1)의 휴식모드가 진행되는 구성으로, 시트쿠션(1a)의 전후방향 회전을 통해 프런트시트(1)의 틸팅동작이 진행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TILTING APPARATUS OF FRONT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쿠션 자체가 전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시트의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된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프런트시트(운전석 시트와 조수석 시트)는 크게 운전모드(주행모드)와 휴식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바, 모드의 변경을 위해서는 시트백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구현하게 된다.
일예로, 운전모드에서는 시트백을 세우게 되고, 휴식모드에서는 시트백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시트백만을 회전시켜서 휴식모드를 구현하는 경우 시트쿠션과 시트백이 연결되는 부위가 승객의 허리부위와 과도하게 이격됨에 따라 승객의 허리부위를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승객은 불편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8-0023886호
본 발명은, 운전모드와 휴식모드의 변경시 시트백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시트쿠션 자체가 전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시트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휴식모드 상태시 승객이 보다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는, 차량의 플로워부에 설치된 아우터프레임; 상기 아우터프레임에 대해 전후방향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시트쿠션이 고정되게 결합된 이너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과 이너프레임을 연결하게 설치된 것으로 이너프레임의 전후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서 마주 대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아우터사이드프레임; 상기 아우터사이드프레임과 플로워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회전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사이드프레임에 원호형상 아우터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프레임은 아우터사이드프레임의 안쪽에 중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이너사이드프레임;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이너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고 시트쿠션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이너어퍼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사이드프레임에 원호형상 이너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가이드홈과 이너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곡률이 동일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가이드홈 중에서 어느 한 개에는 아우터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기구는 나사산에 치합되도록 설치된 평기어; 상기 이너사이드프레임을 관통해서 일단이 평기어와 결합된 회전축; 상기 이너사이드프레임의 안쪽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모터축과 회전축을 연결하는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사이드프레임에는 이너가이드홈으로 삽입되는 아우터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사이드프레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나머지 한 개의 아우터가이드홈으로 삽입되는 이너가이드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쿠션 자체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프런트시트 틸팅동작이 진행되는 구성으로, 휴식모드 상태시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연결부위가 승객의 허리부위와 과도하게 이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승객은 보다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백이 운전모드 상태로 고정된 상태에서 시트쿠션 자체가 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휴식모드로 전환되면, 헤드레스트의 후방 처짐 양을 없앨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승객은 보다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호과가 있다.
또한, 시트쿠션 자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프런트시트의 틸팅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운전모드 및 휴식모드의 전환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자율주행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시트 틸팅장치의 측면도로서 틸팅 전과 틸팅 후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의 틸팅 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동력기구를 구성하는 기어가 아우터가이드홈의 나사산에 치합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4의 Ι-Ι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의 틸팅 후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동력기구를 구성하는 기어가 아우터가이드홈의 나사산에 치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프런트시트(1)는 승객(2)의 하체(2a)를 지지하는 시트쿠션(1a),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1b),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는 시트백(1b)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틸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시트백(1b)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시트쿠션(1a) 자체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프런트시트(1)를 틸팅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는 차량의 플로워부(3)에 설치된 아우터프레임(10); 상기 아우터프레임(10)에 대해 전후방향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시트쿠션(1a)이 고정되게 결합된 이너프레임(20);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10)과 이너프레임(20)을 연결하게 설치된 것으로 이너프레임(20)의 전후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기구(30);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10)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서 마주 대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아우터사이드프레임(11); 상기 아우터사이드프레임(11)과 플로워부(3)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회전링크(12)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사이드프레임(11)에서 후방쪽부위에는 원호형상 아우터플랜지부(13)가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플랜지부(13)에 원호형상 아우터가이드홈(1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회전링크(12)는 양단이 아우터사이드프레임(11)과 플로워부(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으로 아우터프레임(10) 및 이너프레임(20)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트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너프레임(20)은 아우터사이드프레임(11)의 안쪽에 중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이너사이드프레임(21);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이너사이드프레임(21)을 연결하고 시트쿠션(1a)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이너어퍼프레임(22)을 포함한다.
상기 이너사이드프레임(21)에서 전방쪽부위에는 원호형상 이너플랜지부(23)가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너플랜지부(23)에 원호형상 이너가이드홈(2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플랜지부(13)의 전방쪽에 이너플랜지부(23)가 위치함에 따라 아우터가이드홈(14)의 전방쪽에 이너가이드홈(24)이 위치하는 구조가 되며, 상기 아우터가이드홈(14)과 이너가이드홈(24)은 곡률이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가이드홈(14) 중에서 어느 한 개에는 아우터가이드홈(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15)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기구(30)는 나사산(15)에 치합되도록 설치된 평기어(31); 상기 이너사이드프레임(21)을 관통해서 일단이 평기어(31)와 결합된 회전축(32); 상기 이너사이드프레임(21)의 안쪽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모터(33); 및 상기 모터(33)의 모터축(34)과 회전축(23)을 연결하는 베벨기어(35);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사이드프레임(11)에는 이너가이드홈(24)으로 삽입되어서 이너프레임(20)의 전후방향 회전시 이너가이드홈(24)을 따라 이동하는 아우터가이드축(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사이드프레임(21)에는 나사산(15)이 형성되지 않는 나머지 한 개의 아우터가이드홈(14)으로 삽입입되어서 이너프레임(20)의 전후방향 회전시 아우터가이드홈(14)을 따라 이동하는 이너가이드축(25)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33)는 승객(2)의 스위치(40)조작에 따라 전원공급이 제어되는 구성으로, 상기 스위치(40)는 승객(2)이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부위 일예로 시트쿠션(1a)의 측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도 3은 프런트시트(1)가 틸팅되기 전의 상태 즉 운전모드 상태로서, 이때 아우터사이드프레임(11)의 윗면과 이너사이드프레임(21)의 윗면은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아우터가이드축(16)은 이너가이드홈(24)의 전방쪽 끝에 위치하고, 이너가이드축(25)과 평기어(31)는 아우터가이드홈(14)의 후방쪽 끝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승객(2)의 스위치(40) 조작에 따라 모터(33)가 동작하고, 모터(33)의 동력이 베벨기어(35)를 통해 평기어(33)로 전달되면, 평기어(33)의 회전력은 나사산(15)을 통해 아우터프레임(10)으로 전달된다.
그런데, 아우터프레임(10)은 차량의 플로워부(3)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아우터프레임(10)은 고정되고 대신에 이너프레임(20)이 아우터프레임(10)에 대해 회전을 하게 된다.
즉, 모터(33)의 동력이 베벨기어(35)를 통해 평기어(33)로 전달되면, 평기어(31)가 나사산(15)을 따라 이동하고, 평기어(33)이 이동력이 이너프레임(20)으로 전달되고, 이때 아우터가이드축(16)은 이너가이드홈(24)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이너가이드축(25)과 평기어(31)는 아우터가이드홈(1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너프레임(20)은 도 2 및 도 6과 같이 아우터프레임(10)에 대해 회전해서 전방쪽이 상승하고 후방쪽이 하강하게 되는 바, 이 결과 차량의 프런트시트(1)는 시트쿠션(1a) 자체가 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휴식모드가 되도록 틸팅동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시트쿠션(1a) 자체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프런트시트(1)의 틸팅동작이 진행되면, 도 2와 같은 휴식모드 상태시 시트쿠션(1a)과 시트백(1b)의 연결부위가 승객(2)의 허리부위와 과도하게 이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승객(2)의 허리부위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승객(2)은 보다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백(1b)이 운전모드 상태로 고정된 상태에서 시트쿠션(1a) 자체가 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휴식모드로 전환되면, 헤드레스트의 후방 처짐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승객(2)은 보다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시트쿠션(1a) 자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프런트시트(1)의 틸팅동작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구성은, 프런트시트(1)의 운전모드 및 휴식모드 전환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는 바, 따라서 자율주행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프런트시트 1a - 시트쿠션
1b - 시트백 2 - 승객
10 - 아우터프레임 11 - 아우터사이드프레임
12 - 회전링크 20 - 이너프레임
21 - 이너사이드프레임 22 - 이너어퍼프레임
30 - 동력기구 31 - 평기어
32 - 회전축 33 - 모터
34 - 모터축 35 - 베벨기어

Claims (6)

  1. 차량의 플로워부에 설치된 아우터프레임;
    상기 아우터프레임에 대해 전후방향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시트쿠션이 고정되게 결합된 이너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프레임과 이너프레임을 연결하게 설치된 것으로 이너프레임의 전후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프레임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서 마주 대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아우터사이드프레임;
    상기 아우터사이드프레임과 플로워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회전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사이드프레임에 원호형상 아우터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너프레임은 아우터사이드프레임의 안쪽에 중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이너사이드프레임;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이너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고 시트쿠션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이너어퍼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사이드프레임에 원호형상 이너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가이드홈과 이너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곡률이 동일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가이드홈 중에서 어느 한 개에는 아우터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기구는 나사산에 치합되도록 설치된 평기어;
    상기 이너사이드프레임을 관통해서 일단이 평기어와 결합된 회전축;
    상기 이너사이드프레임의 안쪽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모터축과 회전축을 연결하는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사이드프레임에는 이너가이드홈으로 삽입되는 아우터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사이드프레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나머지 한 개의 아우터가이드홈으로 삽입되는 이너가이드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KR1020160137802A 2016-10-21 2016-10-21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KR10195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802A KR101956985B1 (ko) 2016-10-21 2016-10-21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802A KR101956985B1 (ko) 2016-10-21 2016-10-21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480A true KR20180044480A (ko) 2018-05-03
KR101956985B1 KR101956985B1 (ko) 2019-03-12

Family

ID=6224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802A KR101956985B1 (ko) 2016-10-21 2016-10-21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2565A (zh) * 2021-06-21 2021-08-10 重庆宏立至信科技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电机驱动的带滑槽的坐垫翻折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886U (ko)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시트백을 활용한 릴렉스 시트
KR200346528Y1 (ko) * 2003-12-16 2004-04-08 이덕삼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시트
JP2015089779A (ja) * 2013-11-07 2015-05-11 株式会社タチエス 自動車用シートの高さ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886U (ko)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시트백을 활용한 릴렉스 시트
KR200346528Y1 (ko) * 2003-12-16 2004-04-08 이덕삼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시트
JP2015089779A (ja) * 2013-11-07 2015-05-11 株式会社タチエス 自動車用シートの高さ調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2565A (zh) * 2021-06-21 2021-08-10 重庆宏立至信科技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电机驱动的带滑槽的坐垫翻折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985B1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8632A1 (en) Vehicle seat device
KR101576377B1 (ko)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모듈
KR101725414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JP2005145231A (ja) ローリングシート装置
KR101428285B1 (ko)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20130032599A (ko)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KR101620231B1 (ko) 차량용 후석 리클라이닝 장치
CN104228638B (zh) 一种汽车座椅及采用该座椅的汽车
KR10172491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956985B1 (ko)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JPH0537860Y2 (ko)
KR101470216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JP4438556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長可変の車両用シート
KR200475520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JP2016203692A (ja) 車室内構造
KR101746457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N115379964B (zh) 汽车座椅及汽车
KR20110054531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559182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785277B1 (ko) 시트 플랫화를 위한 시트쿠션 이동장치
US20180264976A1 (en) Seat back with power shoulder pivot
KR102001378B1 (ko)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
KR102141904B1 (ko) 차량용 시트의 각도 조절 장치
JP2013095166A (ja) 車両用シート
KR200482595Y1 (ko) 시트백 틸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