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425A - 고-효율 백신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 경로 억제제 - Google Patents

고-효율 백신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 경로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425A
KR20180044425A KR1020187009924A KR20187009924A KR20180044425A KR 20180044425 A KR20180044425 A KR 20180044425A KR 1020187009924 A KR1020187009924 A KR 1020187009924A KR 20187009924 A KR20187009924 A KR 20187009924A KR 20180044425 A KR20180044425 A KR 20180044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hydrogen
aryl
heteroa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528B1 (ko
Inventor
용휘 장
연 샤
용화 시에
젱센 유
시오잉 조우
신 리
리핑 리
연연 양
칸자오 가오
케 왕
왕리 리우
멩 자오
Original Assignee
칭화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화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칭화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180044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75Phosphorus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yridoxal phosp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6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systems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with or without other non-condensed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2Phosphorus acids or esters thereof having P—C bonds, e.g. foscarnet, trichlorfon
    • A61K31/663Compounds having two or more phosphorus acid groups or esters thereof, e.g. clodronic acid, pamid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38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 [RP(=X1)(X2H)2(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 C07F9/3804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 [RP(=X1)(X2H)2(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not used, see subgroups
    • C07F9/3882Arylalkanephospho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553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F9/576Six-membered rings
    • C07F9/58Pyridine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45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03Five-membered rings
    • C07F9/6506Five-membered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45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03Five-membered rings
    • C07F9/6506Five-membered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F9/65068Five-membered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3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carbocyclic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58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or differently substituted hetero rings neither condensed among themselves n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 C07F9/65583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or differently substituted hetero rings neither condensed among themselves n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each of the hetero rings containing nitrogen as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효과적인 백신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 경로의 억제제 및 이의 용도가 개시된다. 특히, 억제제는 아세토아세틸-CoA 전이효소 억제제, HMG-CoA 생성효소 억제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포스포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메발로네이트-5-피로포스페이트 탈카복실화효소 억제제,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이성질화효소 억제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및 제라닐제라닐 전이효소 (I, II) 억제제이다. 또한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 경로의 억제제를 포함하는 면역성 조성물면역원성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고-효율 백신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 경로 억제제
본 발명은 효율적인 백신 아쥬반트(adjuvant)로서의 메발로네이트(mevalonate) 경로의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 경로의 억제제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쥬반트는 백신의 발전 및 사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쥬반트는 또한 비-특이적 면역 강화제(non-specific immune enhancer)로도 알려져 있다. 아쥬반트 자체는 항원성(antigenic)이 아니다. 그러나, 항원과 함께 신체 내로 주입된 아쥬반트 또는 신체 내로 미리-주입된 아쥬반트는 항원의 면역원성(immunogenicity)을 강화시키고 면역 반응의 종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생약독화되고 비활성화된 백신 (Live attenuated and inactivated vaccine)은 자연적 아쥬반트 성분을 필수적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이는 미립자 형태의 단백질, 지질 및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실은, 많은 약독화 또는 비활성화된 백신은 면역화(immunization) 후 신체에 대한 강한 예방적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약독화 및 비활성화된 백신 자체의 일부 제한으로 인해(예를 들면, 약독화된 병원성 미생물은 매우 병원성인 미생물로 돌연변이화되고(mutate), 상기 비활성화된 백신은 제조에서 완전히 비활성화되지 않는다), 상기 백신은 이들이 신체에서 작용할 때 질병으로 직접 이끌 수 있다. 구성단위 백신(subunit vaccine)은 병원성 미생물의 주요한 보호적인 면역원의 성분으로 만들어진 백신이다. 현대 분자 생물학의 발전으로 인해, 구성단위 백신은 이의 편리한 품질 조절, 대량 생산, 안정성 및 신뢰성 때문에 현대 백신의 발전 및 응용의 주요한 트렌드가 된다. 그러나 구성단위 백신은 또한 짧은 보호적인 효과, 느린 개시 및 다른 단점을 갖는다. 구성단위 백신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된 아쥬반트는 현대 백신의 발전 및 이용의 중요한 성분이다.
백신 생산에서 가장 넓게 사용된 아쥬반트는 알루미늄 아쥬반트이다. 1926년에, 알루미늄 염이 아쥬반트 효과를 갖는 것이 처음 발견되었고 1936년에 디프테리아 (diphtheria) 백신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그러나, 아쥬반트의 약한 효과와 같은 알루미늄 아쥬반트의 일부 제한으로 인해, 좋은 역할을 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아쥬반트는 매우 면역성인 항원과 협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알루미늄 아쥬반트는 세포 면역을 중재하는 Th1 반응에 크게 기여하지 않으며, 이는 인플루엔자, HIV, 암, 및 말라리아와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없는 알루미늄 아쥬반트를 초래하여, 이로 인해 이러한 백신은 새로운 효과적인 아쥬반트를 필요로 한다. 지금까지, 미국 및 유럽에서 임상적으로 허가된 아쥬반트는 알루미늄 염, 오일-내 물 에멀젼 (oil-in-water emulsion) (MF59 AS03 및 AF03) 및 AS04 (MPL 알루미늄 염)을 포함한다. 아쥬반트의 발전은 "초기의(primitive)" 상태에 있고, 현재 알려진 분자성 표적은 오직 TLR (Toll-유사 수용체 (Toll-like receptors))이다. 아쥬반트를 위한 새로운 분자성 표적의 발견을 위한 당해 업계에서 시급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자들은 메발로네이트 경로와 연관된 효소가 아쥬반트의 이상적인 설계를 위한 표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증명했다.
메발로네이트 경로는 원재료로 아세틸 코엔자임 A으로부터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isopentenyl pyrophosphate; IPP) 및 디메탈릴 피로포스페이트 (dimethallyl pyrophosphate; DMAPP)의 합성을 위한 대사경로이며 모든 고 진핵생물 및 많은 바이러스에 존재한다. 이러한 경로의 생산물은 활성화된 이소프로펜 단위로 생각될 수 있고 이는 스테로이드, 터페노이드 및 다른 생체 분자의 합성적 전구체이다. 이러한 경로에서, 아세토아세틸-CoA는 2개 분자의 아세틸-CoA로부터 생산되고, 생산된 아세토아세틸-CoA는 이어서 아세틸-CoA와 반응하여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리 CoA, 즉 HMG-CoA를 생산하며, 그리고 나서 HMG-CoA는 HMG-CoA 환원효소의 작용 하에 메발로네이트로 환원된다. 메발로네이트는 2개의 키나아제 및 하나의 탈카복실화효소에 의해 촉진되어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IPP)를 형성한다. FPP 합성효소 (FPPS)의 촉매 하에, IPP는 파네실 피로포스페이트 (farnesyl pyrophosphate; FPP)를 형성한다. FPP는 상이한 후속 경로,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 유비퀴논(ubiquinone), 헴 A (Heme A), 스테롤(sterol), 돌리콜(dolichol) 및 프레닐화된 단백질 (prenylated proteins)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FPP는 스쿠알렌 합성효소 (squalene synthase; SQS)의 작용 하에 스쿠알렌을 형성할 수 있고, 스쿠알렌은 일련의 효소의 촉매 하에 콜레스테롤을 생산한다. 파네실 이성질화 효소 (farnesyl transferase)의 작용 하에, FPP는 일부 단백질의 파네실화 변형(farnesylation modif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GGPP 합성효소 (GGPPS)의 촉매 하에, FPP는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geranylgeranyl pyrophosphate)을 제공하는 반면, 제라닐제라닐 전이효소 (geranylgeranyl transferase)의 작용 하에, GGPP는 일부 단백질의 제라닐제라닐화(geranylgeranylation) 변형을 수행하여 프레닐화 단백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단배질의 제라닐제라닐화에 영향을 주는 모든 물질이 백신 아쥬반트의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백신 아쥬반트는 다음의 표적에 대해 개발될 수 있다. 1) 티올라아제 (thiolase) (아세토아세틸-CoA 전이효소); 2) HMG-CoA 생성효소(synthase); 3) HMG-CoA 환원효소; 4) 메발로네이트 (mevalonate) 키나아제; 5) 포스포메발로네이트 (phosphomevalonate) 키나아제; 6) 메발로네이트-5-피로포스페이트 탈카복실화효소 (mevalonate-5-pyrophosphate decarboxylase); 7)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이성질화효소 (isopentenyl pyrophosphate isomerase); 8)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farnesyl pyrophosphate synthase; FPPS); 9)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geranylgeranyl pyrophosphate synthase; GGPPS); 및 10) 제라닐제라닐 전이효소 (geranylgeranyl transferase) (I, II).
본 발명자들은 또한 메발로네이트 경로에 직접 작용하지 않지만 제라닐제라닐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다른 물질 역시 백신 아쥬반트의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므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단백질의 제라닐제라닐화에 영향을 주는 아쥬반트로서 제제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제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 티올라아제(아세토아세틸-CoA 전이효소) 억제제; 2) HMG-CoA 생성효소 억제제; 3)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4) 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5) 포스포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6) 메발로네이트-5-피로포스페이트 탈카복실화효소 억제제; 7)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이성질화효소 억제제; 8)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9)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및 10) 제라닐제라닐 전이효소 (I, II) 억제제.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아쥬반트로서 이용을 위한, 상기 언급된 억제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상기 언급된 억제제의 용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FPPS)의 억제제로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prodrug) 또는 용매화물(solvate)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화학식 I,
화학식 I에서,
상기 화합물은 1000 미만의 분자량을 갖고, Ar은 벤즈이미다졸일-형태 기, 또는 아자-벤즈이미다졸일 기이고;
X는 다음 중 어느 것이고: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기, 머캅토, 할로겐, 알콕시 또는 알킬; 각각의 M은 음전하 (negative charge), 수소, 알킬, 지방족 기, -(CH2)p-O-CO-R, -(CH2)p-CO-R 또는 양이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p은 1 내지 6이고, R은 수소, 알킬 또는 아릴이고; 상기 양이온은 Li+, Na+, K+, Ca2+, Mg2+, NH4 + 또는 N(R')4 +이고, 여기서 R'은 알킬이고; R6, R7은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아미노, 지방족 기 또는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m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FPPS)의 억제제로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2
(TH-Z97)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24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n은 1 내지 15의 정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FPPS)의 억제제로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2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R3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R4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다.
본 양태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FPPS)의 억제제로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R5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및
R8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양태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08
.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의 억제제로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R9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0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2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양태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10
또는
Figure pct00011
TH-Z144 TH-Z145.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상기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면역원성 조성물을 개체 또는 숙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 또는 숙주에 면역력을 갖게 하는 (immunize)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세한 설명
특히, 본 발명은 다음의 구현예에 관한 것이다.
1.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쥬반트(adjuvant)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1) 티올라아제 억제제; 2) HMG-CoA 생성효소 억제제; 3)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4) 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5) 포스포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7)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이성질화효소 억제제; 8)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9)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및 10) 제라닐제라닐 전이효소 (I, II) 억제제.
2.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스타틴 화합물인, 면역원성 조성물.
3. 구현예 2에 있어서, 상기 스타틴 화합물은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플루바스타틴(fluvastatin), 피타바스타틴(pitavastatin), 메바스타틴(mevastatin), 로바스타틴(lova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세리바스타틴(cerivastatin),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4. 구현예 2에 있어서, 상기 스타틴 화합물은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 및 메바스타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로부터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5.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비스포스폰산(bisphosphonic acid)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prodrug) 또는 용매화물(solvate)인, 면역원성 조성물.
6. 구현예 5에 있어서, 상기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졸레드론산(zoledronic acid), 파미드론산(pamidronic acid), 알레드론산(alendronic acid), 이반드론산(ibandronic acid), 네리드론산(neridronic acid), 리세드론산(risedronic acid), 올파드론산(olpadronic acid), 및 미노드론산(minodronic acid)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면역원성 조성물.
7.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수화물(hydrate)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12
화학식 I,
상기 화학식 I에서, 상기 화합물은 1000 미만의 분자량을 갖고, Ar은 벤즈이미다졸일-형태 기, 또는 아자-벤즈이미다졸일 기이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기, 머캅토, 할로겐, 알콕시 또는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각각의 M은 음전하, 수소, 알킬, 지방족 기, -(CH2)p-O-CO-R, -(CH2)p-CO-R 또는 양이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p은 1 내지 6이고, R은 수소, 알킬 또는 아릴이고; 상기 양이온은 Li+, Na+, K+, Ca2+, Mg2+, NH4 + 또는 N(R')4 +이고, 여기서 R'은 알킬이고; R6, R7은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아미노, 지방족 기 또는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m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8. 구현예 7에 있어서,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 II-X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13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Figure pct00014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Figure pct00015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상기 화학식 II-X에서,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알콕시 또는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M은 음전하, 수소, 알킬, -(CH2)p-O-CO-R, -(CH2)p-CO-R 또는 양이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p은 1 내지 6이고, R은 수소, 알킬 또는 아릴이고; 상기 양이온은 Li+, Na+, K+, Ca2+, Mg2+, NH4 + 또는 N(R')4 +이고, 여기서 R'은 알킬이고;
R1, R2, R3, R4, R5, R8은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기, 머캅토, 할로겐, 아미노, 알킬, -O-(CH2)qCH3, -NH-(CH2)qCH3, -N[(CH2)qCH3]2, -(CH2)P-S-(CH2)qCH3, -O-(CH2)P-S-(CH2)qCH3, -O-(CH2)P-O-(CH2)qCH3로부터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p는 1 내지 6이고, q는 0 내지 6이고; m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9. 구현예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XI-XVIII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16
화학식 XI, 화학식 XII, 화학식 XIII, 화학식 IXV,
Figure pct00017
화학식 XV, 화학식 XVI, 화학식 XVII, 화학식 XVIII,
화학식 XI-XVIII에서, Z는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기, 알콕시, 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이다.
10. 구현예 7 내지 9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IXX 또는 XX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18
화학식 IXX, 화학식 XX,
상기 화학식 IXX 및 XX에서, n은 0, 또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11. 구현예 7 내지 10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의 어느 하나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
12. 구현예1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21
상기 식에서 R1,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및 이와 유사한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3. 구현예 12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상기 식에서 R1,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14. 구현예 13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26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24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15. 구현예 14에 있어서, 상기 n은 1 내지 20의 정수인, 면역원성 조성물.
16. 구현예 14에 있어서, 상기 n은 1 내지 15의 정수인, 면역원성 조성물.
17. 구현예 14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27
18.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28
상기 식에서 R3, R4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및 할로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9. 구현예 18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29
,
Figure pct00030
,
Figure pct00031
,
Figure pct00032
상기 식에서 R3, R4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20. 구현예 19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33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24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21. 구현예 20에 있어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인, 면역원성 조성물.
22. 구현예 20에 있어서, n은 1 내지 15의 정수인, 면역원성 조성물.
23. 구현예 20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34
24.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35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2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R3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R4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25. 구현예 24에 있어서, R1은 수소, C1-10 알킬, C1-10 알키닐, C1-10 알킬아미노, C1-10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인다졸릴, C1-10 알콕시, 페닐 또는 피리딜로 치환된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피리딜은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26. 구현예 25에 있어서, R1은 수소, 4-메틸페닐에톡시, 4,5,6,7-테트라하이드로-2H-인다졸-2-일, (2-카바모일피리딘-4-일)메톡시, 벤질옥시, 헥실옥시, 메틸티오, 옥틸아미노, 헥실, 옥틸, 데실, 옥트-1-인-1-일, 하이드록실 및 브로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27. 구현예 24에 있어서, R2는 수소, C1-10 알콕시 및 할로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28. 구현예 27에 있어서, R2는 수소, 옥틸옥시 및 브로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29. 구현예 24에 있어서, R3는 수소, C1-10 알킬 및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30. 구현예 29에 있어서, R3는 수소, 메틸 및 헥실옥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31. 구현예 24에 있어서, R2 및 R3는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벤젠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32. 구현예 24에 있어서, R4는 수소 및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33. 구현예 32에 있어서, R4는 수소 및 옥틸옥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34. 구현예 24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
35.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39
상기 식에서:
R5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및
R8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36. 구현예 35에 있어서, R5는 C1-10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37. 구현예 35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40
38.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41
상기 식에서:
R9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0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2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39. 구현예 38에 있어서, R9는 C1-10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40. 구현예 38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42
또는
Figure pct00043
TH-Z144 TH-Z145.
41. 구현예 1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항원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42. 구현예 41에 있어서, 상기 항원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 또는 종양으로부터 유도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43. 구현예 41에 있어서, 상기 항원은 탄저(anthrax), 캄필러박터(campylobacter), 콜레라(cholera), 디프테리아(diphtheria), 장독성원소 대장균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지아르디아(giardia), 임균 (neisseria gonorrhoeae),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helicobacter pylori),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알려지지 않은 형태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haemophilus influenza of an unknown type), 뇌수막염 구균 (meningitis cocci), 백일해 (pertussis), 폐렴균 (pneumococcus), 살모넬라 (salmonella), 시겔라 (shigella), 연쇄상구균 B (streptococcus B), A 상 연괘상구균 (streptococcus of a group A), 파상풍 (tetanus), 콜레라균 (vibrio cholerae), 예르시니아 (Yersinia),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슈도모나스 (pseudomonas) 및 클로스트리듐 종 (clostridium species) 로부터 유도되거나, 아데노바이러스 (adenovirus), 항원형 뎅기열 1 내지 4 (dengue serotype 1 to 4), 에볼라 바이러스 (ebola virus), 엔테로바이러스 (enterovirus), A 내지 E 항원형 간염 (hepatitis serotype A to E), 단순성 포진 바이러스 1 또는 2 (herpes simplex virus 1 or 2),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인플루엔자 (influenza), 일본 말뇌염 (Japanese equine encephalitis), 홍역 (measles), 노로워크 (Norwalk), 유두종 바이러스 (papilloma virus), 파보바이러스 B19 (parvovirus B19), 소아마비 (poliomyelitis), 광견병 (rabies), 로타바이러스 (rotavirus), 풍진 (rubella), 홍역 (measles), 백신 림프 (vaccinia lymph), 말라리아 항원, 수두, 및 황열과 같은 다른 항원을 코드화하는(encoding) 유전자를 함유하는 백신 림프 구조, 이질 아메바(entamoeba histolytica), 말라리아 기생충(malaria parasite), 톡소플라마증(toxoplasmosis), 및 유충류(worms)로부터 유도된 항원, 또는 종양으로부터 유도된 항원인, 면역원성 조성물.
44. 구현예 41에 있어서, 상기 항원은 중동 호흡기 증후군 (Mers)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흑생종으로부터 유도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45. 구현예 1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동 호흡기 증후군 (Mers)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흑생종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면역원성 조성물.
46. 구현예 1 내지 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또 다른 아쥬반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47. 구현예 46에 있어서, 상기 또다른 아쥬반트는 알루미늄 아쥬반트, 완전프로인트아쥬반트 (complete Freund's adjuvant), 불완전프로인트아쥬반트, MF59, AS01, AS02, AS03, AS04, AS15, CAF01, ISCOMs (면역자극 착체 (Immunostimulatory complex)), 비로좀 (Virosomes) (바이러스 입자), GLA-SE, 리포좀, 식용유, 사포닌, AF03, TLR 효능제 (agonist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48. 구현예 47에 있어서, 상기 TLR 효능제는 (예를 들면 트리아실 리포단백질), TLR2 흥분제 (예를 들면 펩티도글리칸, 효모 폴리사카라이드, HMGB1 (고이동군 단백질 1(high mobility group protein 1)), 리포테이코산), TLR3 흥분제 (이중가닥 RNA, 예컨대 PolyI: C), TLR4 흥분제 (예를 들면 LPS, MPL, RC529, GLA, E6020), TLR5 흥분제 (플라젤린), TLR6 흥분제 (예를 들면 트리아실 리포단백질, 리포테이코산), TLR7/8 흥분제 (단일가닥 RNA, 이미퀴모드), TLR9 흥분제 (DNA, 예컨대 CPG ODN), C-렉틴 리간드 (예를 들면 켈프(kelp) 폴리사카라이드), CD1d 리간드 (예를 들면 α-갈락토실세라마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49. 구현예 1 내지 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경구, 국소 또는 비경구 경로에 의해 면역화(immunization)에 적절한, 면역원성 조성물.
50. 구현예 49에 있어서, 주사에 의한 면역화에 적절한, 면역원성 조성물.
51. 구현예 49에 있어서, 개체에 염수(sole), 피하의, 근육의, 복부의(abdominal) 및 코의 점막(nasal mucosa) 주사에 의한 면역화에 적절한, 면역원성 조성물.
52. 구현예 1 내지 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음의 백신의 제조에서 사용을 위한 면역원성 조성물: BCG 백신, A형 간염 백신, B형 간염 백신, C형 간염 백신, D형 간염 백신, E형 간염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 소아마비 백신, DPT 백신, 홍역 백신, 정금나무속 엔세팔리티디스 에피데미캐 (vaccinum encephalitidis epidemicae), 광견병 백신, 출혈 열(hemorrhage fever) 백신, 폐렴 백신, 유행성 뇌수막염(epidemic menigitis) 백신, A형 간염 백신, 볼거리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 풍진 백신, 수두 백신, AIDS 백신, 말라리아 백신, 및 흑색종 치료백신, 흑색종 예방백신, 폐암 치료백신, 폐암 예방백신, 방광암 예방백신, 방광암 치료 및 예방 백신, 자궁경부암 치료백신,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방광암 치료백신, 방광암 예방백신, 유방암 치료백신, 유방암 예방백신, 간암 치료백신, 간암 예방백신, 전립선암 치료백신, 및 전립선암 예방백신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암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백신.
53. 아쥬반트로서 사용을 위한 티올라제 억제제.
54. 아쥬반트로서 사용을 위한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
55. 아쥬반트로서 사용을 위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56. 아쥬반트로서 사용을 위한 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57. 아쥬반트로서 사용을 위한 포스포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58. 아쥬반트로서 사용을 위한 메발로네이트-5-피로포스페이트 탈카복실화효소 억제제.
59. 아쥬반트로서 사용을 위한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이성질화효소 억제제.
60. 아쥬반트로서 사용을 위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61. 아쥬반트로서 사용을 위한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62. 아쥬반트로서 사용을 위한 제라닐제라닐 합성효소 (I, II) 억제제.
63. 구현예 55에 있어서, 상기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스타틴 화합물인,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64. 구현예 63에 있어서, 상기 스타틴 화합물은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플루바스타틴(fluvastatin), 피타바스타틴(pitavastatin), 메바스타틴(mevastatin), 로바스타틴(lova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세리바스타틴(cerivastatin),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65. 구현예 63에 있어서, 상기 스타틴 화합물은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 및 메바스타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로부터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66. 구현예 60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67. 구현예 66에 있어서, 상기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졸레드론산, 파미드론산, 알레드론산, 이반드론산, 네리드론산, 리세드론산, 올파드론산, 및 미노드론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68. 구현예 60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수화물(hydrate)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44
화학식 I,
상기 화학식 I에서, 상기 화합물은 1000 미만의 분자량을 갖고, Ar은 벤즈이미다졸일-형태 기, 또는 아자-벤즈이미다졸일 기이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기, 머캅토, 할로겐, 알콕시 또는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각각의 M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음전하, 수소, 알킬, 지방족 기, -(CH2)p-O-CO-R, -(CH2)p-CO-R 또는 양이온; 여기서 p은 1 내지 6이고, R은 수소, 알킬 또는 아릴이고; 상기 양이온은 Li+, Na+, K+, Ca2+, Mg2+, NH4 + 또는 N(R')4 +이고, 여기서 R'은 알킬이고; R6, R7은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아미노, 지방족 기 또는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m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69. 구현예 68에 있어서,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 II-X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45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Figure pct00046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Figure pct00047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상기 화학식 II-X에서,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알콕시 또는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M은 음전하, 수소, 알킬, -(CH2)p-O-CO-R, -(CH2)p-CO-R 또는 양이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p은 1 내지 6이고, R은 수소, 알킬 또는 아릴이고; 상기 양이온은 Li+, Na+, K+, Ca2+, Mg2+, NH4 + 또는 N(R')4 +이고, 여기서 R'은 알킬이고;
R1, R2, R3, R4, R5, R8은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기, 머캅토, 할로겐, 아미노, 알킬, -O-(CH2)qCH3, -NH-(CH2)qCH3, -N[(CH2)qCH3]2, -(CH2)P-S-(CH2)qCH3, -O-(CH2)P-S-(CH2)qCH3, -O-(CH2)P-O-(CH2)qCH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p는 1 내지 6이고, q는 0 내지 6이고; m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70. 구현예 68 또는 69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XI-XVIII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48
화학식 XI, 화학식 XII, 화학식 XIII, 화학식 IXV,
Figure pct00049
화학식 XV, 화학식 XVI, 화학식 XVII, 화학식 XVIII,
화학식 XI-XVIII에서, Z는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기, 알콕시, 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이다.
71. 구현예 68 내지 70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 IXX 또는 XX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50
화학식 IXX, 화학식 XX,
상기 화학식 IXX 및 XX에서, n은 0 또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72. 구현예 68 내지 71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의 어느 하나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
73. 구현예 60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53
상기 식에서 R1,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및 이와 유사한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74. 구현예 73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상기 식에서 R1,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75. 구현예 60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58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24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76. 구현예 75에 있어서, 상기 n은 1 내지 20의 정수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77. 구현예 75에 있어서, 상기 n은 1 내지 15의 정수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78. 구현예 75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59
79. 구현예 60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60
,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80. 구현예 60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6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2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R3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R4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
81. 구현예 80에 있어서, R1은 수소, C1-10 알킬, C1-10 알키닐, C1-10 알킬아미노, C1-10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인다졸릴, C1-10 알콕시, 페닐 또는 피리딜로 치환된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피리딜은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것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82. 구현예 81에 있어서, R1은 수소, 4-메틸페닐에톡시, 4,5,6,7-테트라하이드로-2H-인다졸-2-일, (2-카바모일피리딘-4-일)메톡시, 벤질옥시, 헥실옥시, 메틸티오, 옥틸아미노, 헥실, 옥틸, 데실, 옥트-1-인-1-일, 하이드록실 및 브로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83. 구현예 80에 있어서, R2는 수소, C1-10 알콕시 및 할로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84. 구현예 83에 있어서, R2는 수소, 옥틸옥시 및 브로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85. 구현예 80에 있어서, R3는 수소, C1-10 알킬 및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86. 구현예 85에 있어서, R3는 수소, 메틸 및 헥실옥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87. 구현예 80에 있어서, R2 및 R3는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벤젠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88. 구현예 80에 있어서, R4는 수소 및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89. 구현예 88에 있어서, R4는 수소 및 옥틸옥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90. 구현예 80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62
Figure pct00063
.
91. 구현예 60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64
상기 식에서:
R5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및
R8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92. 구현예 91에 있어서, R5는 C1-10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것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93. 구현예 9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인,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65
.
94. 구현예 61에 있어서, 상기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66
상기 식에서:
R9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0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2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95. 구현예 94에 있어서, R9는 C1-10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것인,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96. 구현예 94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인,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Figure pct00067
또는
Figure pct00068
TH-Z144 TH-Z145.
97.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티올라제 억제제의 용도.
98.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의 용도.
99.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HMG-CoA 훤원효소 억제제의 용도.
100.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의 용도.
101.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포스포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의 용도.
102.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5-피로포스페이트 탈카복실화효소 억제제의 용도.
103.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이성질화효소 억제제의 용도.
104.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파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의 용도.
105.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의 용도.
106.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제라닐제라닐 전이효소 (I, II) 억제제의 용도.
107. 구현예 99에 있어서, 상기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스타틴 화합물인, 용도.
108. 구현예 107에 있어서, 상기 스타틴 화합물은 프라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메바스타틴, 로바스타틴, 심바스타틴, 세리바스타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109. 구현예 107에 있어서, 상기 스타틴 화합물은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 및 메바스타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로부터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110. 구현예 109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용도.
111. 구현예 110에 있어서, 상기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졸레드론산, 파미드론산, 알레드론산, 이반드론산, 네리드론산, 리세드론산, 올파드론산, 및 미노드론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도.
112. 구현예 104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수화물인, 용도:
Figure pct00069
화학식 I,
상기 화학식 I에서, 상기 화합물은 1000 미만의 분자량을 갖고, Ar은 벤즈이미다졸일-형태 기, 또는 아자-벤즈이미다졸일 기이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기, 머캅토, 할로겐, 알콕시 또는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각각의 M은 음전하, 수소, 알킬, 지방족 기, -(CH2)p-O-CO-R, -(CH2)p-CO-R 또는 양이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p은 1 내지 6이고, R은 수소, 알킬 또는 아릴이고; 상기 양이온은 Li+, Na+, K+, Ca2+, Mg2+, NH4 + 또는 N(R')4 +이고, 여기서 R'은 알킬이고; R6, R7은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아미노, 지방족 기 또는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m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113. 구현예 112에 있어서,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 II-X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용도:
Figure pct00070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Figure pct00071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Figure pct00072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상기 화학식 II-X에서,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알콕시 또는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M은 음전하, 수소, 알킬, -(CH2)p-O-CO-R, -(CH2)p-CO-R 또는 양이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p은 1 내지 6이고, R은 수소, 알킬 또는 아릴이고; 상기 양이온은 Li+, Na+, K+, Ca2+, Mg2+, NH4 + 또는 N(R')4 +이고, 여기서 R'은 알킬이고;
R1, R2, R3, R4, R5, R8은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기, 머캅토, 할로겐, 아미노, 알킬, -O-(CH2)qCH3, -NH-(CH2)qCH3, -N[(CH2)qCH3]2, -(CH2)P-S-(CH2)qCH3, -O-(CH2)P-S-(CH2)qCH3, -O-(CH2)P-O-(CH2)qCH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p는 1 내지 6이고, q는 0 내지 6이고; m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114. 구현예 112 또는 113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XI-XVIII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용도:
Figure pct00073
화학식 XI, 화학식 XII, 화학식 XIII, 화학식 IXV,
Figure pct00074
화학식 XV, 화학식 XVI, 화학식 XVII, 화학식 XVIII,
화학식 XI-XVIII에서, Z는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기, 알콕시, 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이다.
115. 구현예 112 내지 114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 IXX 또는 XX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용도:
Figure pct00075
화학식 IXX, 화학식 XX,
상기 화학식 IXX 및 XX에서, n은 0 또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116. 구현예 112 내지 115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의 어느 하나인, 용도:
Figure pct00076
Figure pct00077
.
117. 구현예 104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용도:
Figure pct00078
상기 식에서 R1,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및 이와 유사한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18. 구현예 117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용도: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상기 식에서 R1,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119. 구현예 104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용도:
Figure pct00083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24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120. 구현예 119에 있어서, 상기 n은 1 내지 20의 정수인, 용도.
121. 구현예 119에 있어서, 상기 n은 1 내지 15의 정수인, 용도.
122. 구현예 119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원성 조성물:
Figure pct00084
123. 구현예 104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용도:
Figure pct00085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124. 구현예 104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용도:
Figure pct00086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2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R3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R4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
125. 구현예 124에 있어서, R1은 수소, C1-10 알킬, C1-10 알키닐, C1-10 알킬아미노, C1-10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인다졸릴, C1-10 알콕시, 페닐 또는 피리딜로 치환된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피리딜은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것인, 용도.
126. 구현예 125에 있어서, R1은 수소, 4-메틸페닐에톡시, 4,5,6,7-테트라하이드로-2H-인다졸-2-일, (2-카바모일피리딘-4-일)메톡시, 벤질옥시, 헥실옥시, 메틸티오, 옥틸아미노, 헥실, 옥틸, 데실, 옥트-1-인-1-일, 하이드록실 및 브로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127. 구현예 124에 있어서, R2는 수소, C1-10 알콕시 및 할로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128. 구현예 127에 있어서, R2는 수소, 옥틸옥시 및 브로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129. 구현예 124에 있어서, R3는 수소, C1-10 알킬 및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130. 구현예 129에 있어서, R3는 수소, 메틸 및 헥실옥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131. 구현예 124에 있어서, R2 및 R3는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벤젠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용도.
132. 구현예 124에 있어서, R4는 수소 및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133. 구현예 132에 있어서, R4는 수소 및 옥틸옥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134. 구현예 124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Figure pct00087
Figure pct00088
.
135. 구현예 104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용도:
Figure pct00089
상기 식에서:
R5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및
R8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36. 구현예 135에 있어서, R5는 C1-10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137. 구현예 136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인, 용도.
Figure pct00090
138. 구현예 105에 있어서, 상기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인, 용도:
Figure pct00091
상기 식에서:
R9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0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2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39. 구현예 138에 있어서, R9는 C1-10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도.
140. 구현예 139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인, 용도:
Figure pct00092
또는
Figure pct00093
TH-Z144 TH-Z145 .
141.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Figure pct00094
화학식 I,
상기 화학식 I에서, 상기 화합물은 1000 미만의 분자량을 갖고, Ar은 벤즈이미다졸일-형태 기, 또는 아자-벤즈이미다졸일 기이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 기, 머캅토, 할로겐, 알콕시 또는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M은 음전하, 수소, 알킬, 지방족 기, -(CH2)p-O-CO-R, -(CH2)p-CO-R 또는 양이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p은 1 내지 6이고, R은 수소, 알킬 또는 아릴이고; 상기 양이온은 Li+, Na+, K+, Ca2+, Mg2+, NH4 + 또는 N(R')4 +이고, 여기서 R'은 알킬이고; R6, R7 은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아미노, 지방족 기 또는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m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142. 구현예 141에 있어서, 화학식 I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 II-X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화합물:
Figure pct00095
화학식 II, 화학식 III, 화학식 IV,
Figure pct00096
화학식 V, 화학식 VI, 화학식 VII,
Figure pct00097
화학식 VIII, 화학식 IX, 화학식 X,
상기 화학식 II-X에서,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알콕시 또는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M은 음전하, 수소, 알킬, -(CH2)p-O-CO-R, -(CH2)p-CO-R 또는 양이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p은 1 내지 6이고, R은 수소, 알킬 또는 아릴이고; 상기 양이온은 Li+, Na+, K+, Ca2+, Mg2+, NH4 + 또는 N(R')4 +이고, 여기서 R'은 알킬이고;
R1, R2, R3, R4, R5, R8은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기, 머캅토, 할로겐, 아미노, 알킬, -O-(CH2)qCH3, -NH-(CH2)qCH3, -N[(CH2)qCH3]2, -(CH2)P-S-(CH2)qCH3, -O-(CH2)P-S-(CH2)qCH3, -O-(CH2)P-O-(CH2)qCH3로부터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p는 1 내지 6이고, q는 0 내지 6이고; m은 1 내지 6의 정수, 더 바람직하게는 m은 1이다.
143. 구현예 141 또는 142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XI-XVIII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화합물:
Figure pct00098
화학식 XI, 화학식 XII, 화학식 XIII, 화학식 IXV,
Figure pct00099
화학식 XV, 화학식 XVI, 화학식 XVII, 화학식 XVIII,
화학식 XI-XVIII에서, Z는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기, 알콕시, 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이다.
144. 구현예 141 내지 143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식 IXX 또는 XX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화합물:
Figure pct00100
화학식 IXX, 화학식 XX,
상기 화학식 IXX 및 XX에서, n은 0, 또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145. 구현예 141 내지 144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의 어느 하나인, 화합물:
Figure pct00101
Figure pct00102
.
146.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Figure pct00103
상기 식에서 R1,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및 이와 유사한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47. 구현예 146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104
Figure pct00105
Figure pct00106
Figure pct00107
상기 식에서 R1,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148.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Figure pct00108
상기 식에서 R3, R4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및 할로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49. 구현예 148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109
,
Figure pct00110
,
Figure pct00111
,
Figure pct00112
상기 식에서 R3, R4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150.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Figure pct00113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24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151. 구현예 150에 있어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152. 구현예 150에 있어서, n은 1 내지 15의 정수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153. 구현예 150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114
154.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Figure pct00115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2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R3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R4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
155. 구현예 154에 있어서, R1은 수소, C1-10 알킬, C1-10 알키닐, C1-10 알킬아미노, C1-10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인다졸릴, C1-10 알콕시, 페닐 또는 피리딜로 치환된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피리딜은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156. 구현예 155에 있어서, R1은 수소, 4-메틸페닐에톡시, 4,5,6,7-테트라하이드로-2H-인다졸-2-일, (2-카바모일피리딘-4-일)메톡시, 벤질옥시, 헥실옥시, 메틸티오, 옥틸아미노, 헥실, 옥틸, 데실, 옥트-1-인-1-일, 하이드록실 및 브로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157. 구현예 154에 있어서, R2는 수소, C1-10 알콕시 및 할로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158. 구현예 157에 있어서, R2는 수소, 옥틸옥시 및 브로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159. 구현예 154에 있어서, R3는 수소, C1-10 알킬 및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160. 구현예 159에 있어서, R3는 수소, 메틸 및 헥실옥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161. 구현예 154에 있어서, R2 및 R3는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벤젠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162. 구현예 154에 있어서, R4는 수소 및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163. 구현예 162에 있어서, R4는 수소 및 옥틸옥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164.
구현예 154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116
Figure pct00117
.
165.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Figure pct00118
상기 식에서:
R5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및
R8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66. 구현예 165에 있어서, R5는 C1-10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167. 구현예 165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119
.
168.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
Figure pct00120
상기 식에서:
R9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0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2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69. 구현예 168에 있어서, R9는 C1-10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170. 구현예 168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121
또는
Figure pct00122
TH-Z144 TH-Z145.
171. 화학식 IXX로 표현되는 화학식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pct00123
화학식 IXX,
상기 식에서 n은 0, 또는 1 내지 12의 정수이고,
다음을 포함한다:
1) 화학식 XXI로 표현되는 화합물이 무기 염기 또는 루이스 염기의 작용 하에서 t-부틸 브로모아세테이트와 반응하여 화학식 XXII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Figure pct00124
화학식 XXI 화학식 XXII,
화학식 IV 및 V에서, n은 0, 또는 1 내지 12의 정수이고;
2) 화학식 XXII로 표현되는 화합물이 탄소 상의 팔라듐 촉매 하에서 수소 중의 환원 반응에 도입되고, 수득한 생성물이 포름아미딘 아세테이트와의 고리-닫힘 반응 (ring-closed reaction)에 도입되어 화학식 XXIII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Figure pct00125
화학식 XXIII,
화학식 XXIII에서, n은 0, 또는 1 내지 12의 정수이고;
3) 화학식 XXIII로 표현되는 화합물이 염산 또는 TFA 중의 환류 하에서 가열되어 화학식 IXXV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Figure pct00126
화학식 IXXV
화학식 IXXV에서, n은 0, 또는 1 내지 12의 정수이고;
4) 아인산, 설포란 매질 내에서 화학식 IXXV로 표현되는 화합물이 환류 하에서 삼염화인과 반응하여 화학식 IXX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172. 구현예 171에 있어서, 다음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단계 1)에서, 화학식 XXI로 표현되는 화합물 대 상기 무기 염기 또는 루이스 염기 및 t-부틸 브로모아세테이트의 몰 비율은 1:1-20:0.2-15이고;
단계 1)에서, 상기 반응의 온도는 1-96시간 동안 80-150℃이고;
단계 2)에서, 상기 반응의 온도는 0.5-24시간 동안 0 내지 100℃이고;
단계 2)에서, 화학식 XXII의 표현되는 화합물의 포름아미딘 아세테이트에 대한 몰 비율은 1:0.2-10이고;
상기 반응의 온도는 1-24시간 동안 50-150℃이고;
상기 고리-닫힘 반응은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중에서 수행되고;
단계 3)에서, 화학식 XXIII의 표현되는 화합물의 염산 또는 TFA에 대한 몰 비율은 1:1-100이고;
단계 3)에서, 가열 환류의 시간은 0.5-96 시간 이고;
단계 4)에서, 화학식 IXXV의 표현되는 화합물의 아인산 및 삼염화인에 대한 몰 비율은 1:0.2-20:0.2-20이고;
단계 4)에서, 반응 시간은 0.5-96 시간이다.
174. 다음의 생성물의 제조에서 구현예 141 내지 17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의 용도:
1) 대사성 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물;
2) 말라리아 치료를 위한 약물;
3) 진핵생물의 종양 세포 증식 억제제;
4) 종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물;
5) 면역치로를 위한 약물;
6) 백신 아쥬반트;
7) 백신;
8) HsFPPs 효소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 생성물; 및
9) PvGGPPs 효소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 생성물.
175. 구현예 174에 있어서, 다음으로 특징지어지는 용도:
진핵생물은 포유류이고; 종양 세포는 암 세포이고; 상기 종양은 암, 특히 상기 암 세포는 유방암 세포이고; 상기 암은 유방암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유방 암 세포는 구체적으로 인간 유방암 세포 MDA-MB-231일 수 있다.
176. 구현예 1의 면역원성 조성물, 구현예 54의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 또는 구현예 98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HMG-CoA 합성효소는 히메글루신 (11-[3R-(하이드록시메틸)-4-옥소-2R-옥세타닐]-3,5,7R-트리메틸-2E,4E-운데카디엔 산)) (Hymeglusin; (11-[3R-(hydroxymethyl)-4-oxo-2R-oxetanyl]-3,5,7R-trimethyl-2E,4E-undecadienoic acid))인, 면역원성 조성물,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 또는 용도.
도 1은 메발로네이트 경로의 도식 표현이다.
도 2a-d는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IgM 및 IgG의 항체 역가로 표현된, OVA 항체 역가 어세이 내 8개의 스타틴 약물의 아쥬반트 활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IgM 및 IgG의 항체 역가로 표현된, OVA 항체 역가 어세이 내 TH-Z80 시리즈 화합물의 아쥬반트 활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IgM 및 IgG의 항체 역가로 표현된, OVA 항체 역가 어세이 내 FPPS 억제제 TH-Z97의 아쥬반트 활성을 나타낸다.
도 5a-d는 OVA 항체 역가 감지에서 8개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비스포스폰산 약물과 본 발명의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TH-Z80 및 TH-Z93의 아쥬반트 활성의 비교 결과를 나타낸다.
도 6a-d는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IgM 및 IgG의 항체 역가로 표현된, OVA 항체 역가 어세이 내 GGPPS 억제제 TH-Z144 및 TH-Z145의 아쥬반트 활성을 나타낸다.
도 7a-d는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IgM 및 IgG의 항체 역가로 표현된, OVA 항체 역가 어세이 내 FPPS 및 GGPPS 이중 억제제 BPH-716 및 BPH-1222의 아쥬반트 활성을 나타니며, 여기서 Ctrl은 마우스가 PBS로 처리된 대조군을 나타낸다.
도 8은 현존하는 아쥬반트와 본 발명의 3개의 억제제(즉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FPPS 억제제, GGPPS 억제제)의 아쥬반트 활성의 비교를 나타낸다. 위의 도면은 부스트 후 IgG의 항체 역가를 나타내고 아래 도면은 항체 친화도 지수를 나타낸다.
도 9a-d는 심바스타틴(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의 아쥬반트 활성에서 GGOH 및 GGPP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0a-d는 TH-Z93 (FPPS 억제제)의 아쥬반트 활성에서 GGOH 및 GGPP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1a-d는 TH-Z145 (GGPPS 억제제)의 아쥬반트 활성에서 GGOH 및 GGPP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2a-d는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IgM 및 IgG의 항체 역가로 표현된, OVA 항체 역가 어세이 내 선택적인 스쿠알렌 합성효소 억제제 TH-Z66의 아쥬반트 활성 연구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서 아쥬반트로 설명된 심바스타틴, TH-Z80, TH-Z145로 마우스의 24시간 면역화 후 림프절 내의 세포의 전체 숫자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서 아쥬반트로 설명된 심바스타틴, TH-Z80, TH-Z145로 마우스의 24시간 면역화 후 림프절 내의 B 림프구의 비율 및 숫자를 나타내며, 여기서 Ctrl은 어떠한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마우스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서 아쥬반트로 설명된 심바스타틴, TH-Z80, TH-Z145로 마우스의 24시간 면역화 후 림프절 내의 수지상세포의 비율 및 숫자를 나타내며, 여기서 Ctrl은 어떠한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마우스를 나타낸다.
도 16a-d는 본 명세서에서 아쥬반트로 설명된 심바스타틴, TH-Z80, TH-Z145로 마우스의 24시간 면역화 후 림프절 내의 대식세포의 비율 및 숫자를 나타내며, 여기서 Ctrl은 어떠한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마우스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명세서에서 아쥬반트로 설명된 심바스타틴, TH-Z80, TH-Z145로 마우스의 24시간 면역화 후 림프절 내의 T 림프구의 비율 및 숫자를 나타내며, 여기서 Ctrl은 어떠한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마우스를 나타낸다.
도 18-21은 GM-CSF 및 IL-4을 포함하는 마우스 골수 세포를 1 μM의 심바스타틴, TH-Z80, TH-Z145 및 TH-Z66로 처리하고 이어서 100 ng/ml LPS로 자극한 후 IL-6, TNF-α, IL-lβ 및 IL-12p70 각각의 농도를 나타낸다.
도 22a-d는 본 명세서에서 아쥬반트로 설명된 심바스타틴, TH-Z80, TH-Z145로 면역화 후 림프절 내의 세포 마커 B220, F4/80, 및 CD11c의 비율을 나타내며, 여기서 Ctrl은 어떠한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마우스를 나타낸다.
도 23a-d는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IgM 및 IgG의 항체 역가로 표현된, 아쥬반트로서 심바스타틴, TH-Z80, TH-Z145로 면역화 후 중동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Mers 단백질 내의 IgM 및 IgG 항체의 역가를 나타낸다.
도 24a-d는 아쥬반트로서 심바스타틴, TH-Z80, 및 TH-Z145이 B형 간염 표면 항원 HbsAg을 촉진하여 더 많은 항체를 생성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25a-d는 흑색종에 대한 예방 백신에서 심바스타틴, TH-Z80, TH-Z93, 및 TH-Z145의 아쥬반트 효과를 나타낸다.
도 26a-d는 흑색종에 대한 치료 백신에서 심바스타틴, TH-Z80, TH-Z93, 및 TH-Z145의 아쥬반트 효과를 나타낸다.
도 27은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IgM 및 IgG의 항체 역가로 표현된, 아쥬반트로서 TH-Z80을 항원과 병용하여 상이한 부위(발바닥, 피하, 근육, 복부 및 비점막)에서 마우스를 면역화시키는 아쥬반트 활성을 나타낸다.
도 28a-d는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IgM 및 IgG의 항체 역가로 표현된, OVA 항체 역가 어세이 내 TLR 효능제 이미퀴모드와 FPPS 억제제 TH-Z93의 병용의 결합된 아뷰반트 활성을 나타낸다.
도 29는 마우스 항체의 생산에서 100㎍의 비스포스폰산의 주사의 효과를 나타낸다. PBS는 포스페이트 완충된 생리식염수, CLD는 콜드론산, ZOL은 졸레드론산, PMD는 파미드론산이다.
도 30은 아쥬반트로서 곁사슬의 상이한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비스포스폰산의 효과 다이어그램이다.
도 31은 항체 친화도를 증가시키는 데에 있어서 TH-Z80의 효과를 나타내며, 여기서 PBS는 포스페이트 완충된 생리식염수이다.
도 32는 δγT 세포에 대한 상이한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벤즈이미다졸 타입의 비?정퓰뵈下遠? 증폭 효과를 나타낸다.
도 33은 TH-Z80 및 HsFPPS의 결정 구조의 도시 표현(피몰(pymol) 플랏)이다.
도 34는 화합물 TH-Z82 및 PvGGPS의 결정 구조의 도시 표현(피몰 플랏)이다.
도 35는 PR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서 심바스타틴, TH-Z80, TH-Z93 및 TH-Z145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36은 B16-OVA 종양에 대한 4개의 아쥬반트 및 오브알부민과 합해진 항-PD1 항체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37은 OVA 항체 역가 어세이 내에서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의 아쥬반트 활성을 나타낸다.
도 38은 GGOH와 함께 또는 GGOH 없이, 심바스타틴, TH-Z80, TH-Z93, TH-Z145으로 처리한 후 IL-6, TNF-α, IL-lβ 및 IL-12p70의 농도를 나타낸다.
용어
본 개시의 다양한 구현예의 검토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음의 용어의 설명이 제공된다. 추가적인 용어 및 설명이 본 개시의 문맥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달리 설명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개시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흔히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용어 "항원(antigen)"은 면역 반응의 순응성(adaptive) 원소, 즉 B 세포, T 세포,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해 특이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임의의 분자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원은 바람직하게는 면역원, 즉 면역 세포를 활성화시켜 자가 면역 반응을 발생시키는 항원이다.
"면역원성 조성물"은 특이적 면역 반응, 예를 들면 B형 간염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에 대항하는 면역 반응을 끌어낼 수 있는 인간 또는 동물 개체(예를 들면 실험적 세팅 내에서)에 대한 투여에 적절한 물질의 조성물이다. 이와 같이, 면역원성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항원(예를 들면, 전체 정제된 바이러스 또는 항원성 서브유닛, 예를 들면 이들의 폴리펩타이드) 또는 항원성 항원결정부(epitope)를 포함한다. 면역원성 조성물은 또한 부형제, 담체 및/또는 아쥬반트와 같은, 면역 반응을 끌어내거나 강화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시에서, 면역원성 조성물은 개체를 병원체에 의해 유도된 증상 또는 질환으로부터 보호하는 면역 반응을 끌어내기 위해 투여된다. 일부 경우에, 병원체에 의해 유발된 증상 또는 질병은 개체의 병원체에 대한 노출 이후에 병원체(예를 들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함에 의해서 예방된다. 본 개시의 문맥에서, 용어 면역원성 조성물은 보호(protective)의 또는 일시적으로 억제(palliative)의 면역 반응을 끌어내는 목적을 위해 개체 또는 개체 집단(population of subjects)에 투여하기 위한 조성물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아쥬반트(adjuvant)"는 항원-특이적 면역 반응의 생산을 강화시키는 제제이며, 이는 상기 제제 부재하의 항원의 투여에 비해 강화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인 아쥬반트는 항원이 이에 흡착하는 미네랄(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하이드록시포스페이트와 같은 미네랄 염)의 현탁액을 포함하는 아쥬반트를 함유하는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하나의 경우에, 아쥬반트는 어떠한 이러한 알루미늄 염의 부재 하에 제형화되는, 알루미늄-(alm-) 없는(free) 아쥬반트이다. 알루미늄-없는 아쥬반트(Alum-free adjuvant)는 유중수형(water-in-oil) 및 수중유형(oil-in-water)와 같은 오일 및 물의 에멀전(이중 에멀전 및 가역성 에멀전을 포함하는, 이의 변형물), 리포사카라이드,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면역자극 핵산 (immunostimulatory nucleic acids) (예를 들면 CpG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리포좀, Toll-유사 수용체 작용제(agonist) (특히, TLR2, TLR4, TLR7/8 및 TLR9 작용제), 및 이러한 성분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한다.
"면역 반응"은 자극에 대한 B 세포, T 세포, 또는 단핵구와 같은 면역 시스템의 세포의 반응이다. 면역 반응은 B 세포 반응일 수 있고, 이는 특이적 항체의 생산을 초래하며, 예를 들면 항체의, 항원 특이적인 무효화(neutralizing)를 초래한다. 면역 반응은 또한 CD4+ 반응 또는 CD8+ 반응과 같은, T 세포 반응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상기 반응은 특정 항원에 대해 특이적이다(즉, "항원-특이적 반응"). 항원이 병원체로부터 유도된다면, 항원-특이적 반응은 "병원체-특이적 반응"이다. "보호적 면역 반응(protective immune response)"은 병원체의 해로운 기능 또는 활성을 억제하거나, 병원체에 의한 감염을 줄이거나, 병원체에 의한 감염으로부터 발생하는 증상(사망을 포함)을 감소시킨는 면역 반응이다. 보호적 면역 반응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라크(plaque) 감소 어세이(plaque reduction assay) 또는 ELISA-중성화 어세이 (ELISA-neutralization assay)에서 바이러스 복제 또는 플라크 생성의 억제에 의해, 또는 생체 내 병원체 공격에 대한 저항성을 측정함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용어 "항체"는 면역글로불린이 천연적으로 생성된 것인지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합성적으로 생성된 것인지와 관계없이, 면역글로불린을 설명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항원-결합 도메인인 또는 이와 상동인(homologous), 결합 도메인을 갖는 어떠한 폴리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을 포함한다.
종양 항원은 종양 세포 내에서 생성된 항원성 물질이다, 즉 이는 숙주 내 면역 반응을 촉발시킬 수 있다. 종양 항원은 종양 세포를 식별하는 진단 시험에서 유용한 종양 마커이고 암 치료에 이용을 위한 잠재적인 후보이다.
낙타 인플루엔자(camel flu)로도 알려진, 용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은 MERS-CoV에 의해 유발된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이다. 증상은 열, 기침, 설사 및 호흡곤란(shortness of breath)을 포함하면서, 미약한 것에서 심각한 것까지 다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선택적으로(optionally)"는 다음의 설명된 이벤트(들)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발생한 이벤트(들) 및 발생하지 않은 이벤트(들)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환된"은 지정된 원자 또는 고리 상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수소가 지시된 기로부터 선택되어 치환된 것으로서, 지정된 원자의 또는 고리 원자의 정상 원자가가 초과되지 않도록 제공된 것임을 의미하고, 안정한 화합물을 생성하는 치환을 의미한다. 치환이 케토(즉, =0)이면, 따라서 원자 상의 2개의 수소가 치환된다.
값들의 범위를 열거하는 경우, 범위 내 각각의 값 및 하위-범위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예를 들면, "C1-6 알킬"은 C1, C2, C3, C4, C5, C6, C1-6, C1-5, C1-4, C1-3, C1-2, C2-6, C2-5, C2-4, C2-3, C3-6, C3-5, C3-4, C4-6, C4-5 및 C5-6 알킬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지방족(aliphatic)" 또는 "지방족 기"는 아래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알킬"은 사슬(chain) 내에서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 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1 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 개의 탄소원자,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분지사슬 및 직사슬 포화된 지방족 탄화수소 기 모두를 포함하도록 의도되며, 예를 들면 methyl, ethyl, propyl, isopropyl, butyl, t-butyl, isobutyl, pentyl, hexyl, isohexyl, heptyl, 4,4-dimethylpentyl, octyl, 2,2,4-trimethyl-pentyl, nonyl, decyl, undecyl, dodecyl, 이들의 다양한 분지사슬 이성체, 및 이와 유사한 것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들이 다음의 1 내지 4개의 치환체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F, Br, Cl, 또는 I와 같은 할로, 또는 CF3, 알킬, 알콕시, 알릴, 아릴옥시, 알릴(아릴) 또는 디아릴, 아릴알킬, 아릴알킬옥시, 알케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옥시, 아미노,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알킬, 아실,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아릴알콕시, 아릴옥시알킬, 알킬티오, 아릴알킬티오, 아릴옥시아릴, 알킬아미도, 알카노일아미노, 아릴카보닐아미노, 니트로, 시아노, 티올, 할로알킬, 트리할로알킬, 및/또는 알킬티오.
다른 반대되는 지시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자체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로서 사용된 용어 "알케닐"은 정상 사슬 내 1 내지 6개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사슬 내에서 2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 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1 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9 개의 탄소원자,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사슬 또는 분지사슬 라디칼을 가리키며, 예를 들면 비닐, 2-프로페닐, 3-부테닐, 2-부테닐, 4-펜테닐, 3-펜테닐, 2-헥세닐, 3-헥세닐, 2-헵테닐, 3-헵테닐, 4-헵테닐, 3-옥테닐, 3-노네닐, 4-데케닐, 3-운데케닐, 4-도데세닐, 4,8,12-테트라데카트리에닐, 및 이와 유사한 것을 가리키며, 다음의 1 내지 4개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즉, 할로겐, 할로알킬, 알킬,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아릴, 아릴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미노, 하이드록시, 헤테로아릴, 사이클로헤테로알킬, 알카노일아미노, 알킬아미도, 아릴카보닐-아미노, 니트로, 시아노, 티올, 알킬티오,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임의의 알킬 치환체.
다른 반대되는 지시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자체로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로서 사용된 용어 "알키닐"은 정상 사슬 내 하나의 삼중 결합을 포함하는, 사슬 내에서 2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 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1 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9 개의 탄소원자,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사슬 또는 분지사슬 라디칼을 가리키며, 예를 들면 2-프로피닐, 3-부티닐, 2-부티닐, 4-펜티닐, 3-펜티닐, 2-헥시닐, 3-헥시닐, 2-헵티닐, 3-헵티닐, 4-헵티닐, 3-옥티닐, 3-노니닐, 4-데시닐, 3-운데시닐, 4-도데시닐, 및 이와 유사한 것을 가리키며, 다음의 1 내지 4개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즉, 할로겐, 할로알킬, 알킬,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아릴, 아릴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미노, 헤테로아릴, 사이클로헤테로알킬, 하이드록시, 알카노일아미노, 알킬아미도, 아릴카보닐아미노, 니트로, 시아노, 티올, 및/또는 알킬티오,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임의의 알킬 치환체.
다른 반대되는 지시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단독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로서 사용된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1 내지 3개의 고리를 포함하는, 포화된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1개 또는 2개의 이중 결합을 포함) 사이클릭 탄화수소 기를 포함하고, 모노사이클릭 알킬, 바이사이클릭 알킬 (또는 바이사이클로알킬) 및 트리사이클릭 알킬을 포함하고, 전체 고리를 형성하는 3 내지 20개의 탄소, 바람직하게는 고리를 형성하는 3 내지 10개의 탄소를 포함하며, 이는 아릴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1개 또는 2개의 방향족 고리에 융합될 수 있다. 하나의 고리를 포함하는"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8개의 고리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개의 고리 탄소 원자,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옥틸, 사이클로데실 및 사이클로도데실, 사이클로헥세닐을 포함하고,
Figure pct00127
,
Figure pct00128
,
Figure pct00129
,
Figure pct00130
,
Figure pct00131
,
Figure pct00132
,
Figure pct00133
,
Figure pct00134
,
임의의 기들은 다음의 1 내지 4개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할로겐, 알킬, 알콕시, 하이드록시, 아릴, 아릴옥시, 아릴알킬, 사이클로알킬, 알킬아미도, 알카노일아미노, 옥소, 아실, 아릴카보닐아미노, 아미노, 니트로, 시아노, 티올, 및/또는 알킬티오, 및/또는 임의의 알킬을 위한 치환체.
상기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알킬기가 2개의 상이한 탄소 원자에서 다른 기에 접합된 단일 결합을 가지는 경우, 이들은 "알킬렌" 기로 명명되고 "알킬"에서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알케닐기 및 상기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알키닐기 각각이 2개의 상이한 탄소 원자에서 다른 기에 접합된 단일 결합을 가지는 경우, 이들은 각각 "알케닐렌 기"및 "알키닐렌 기"로 명명되고 "알케닐" 및 "알키닐"에서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할로" 또는 "할로겐"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아이오도를 가리키고;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예를 들면 -CvFw 여기서 v = 1 내지 3이고 w = 1 내지 (2v+1)), 특정된 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사슬 및 직사슬 포화된 지방족 탄화수소 기 모두, 예를 들면 CF3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다른 반대되는 지시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단독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로서 사용된 용어 "아릴"은 고리 부분에서 6 내지 10개의 탄소를 포함하는(예를 들면 1- 나프틸 및 2-나프틸을 포함하는, 페닐, 나프틸) 모노사이클릭 및 바이사이클릭 방향족 기를 가리키며, 카보사이클릭 링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링에 융합된 1 내지 3개의 추가 고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면, 아릴,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또는 사이클로헤테로알킬 고리 예를 들면
Figure pct00135
가능한 탄소 원자에 걸쳐 1, 2, 또는 3개의 다음의 치환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소, 할ㄹ, 할로알킬,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할로알콕시, 알케닐,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알키닐,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헤테로알킬, 사이클로헤테로알킬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알킬, 아릴옥시, 아릴옥시알킬, 아릴알콕시, 아릴티오, 아릴아조,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아릴알케닐, 헤테로아릴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하이드록시,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여기서 상기 아미노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를 포함하는 것 (치환체는 정의에서 언급돤 알킬, 아릴, 또는 임의의 다른 아릴 화합물), 티올, 알킬티오, 아릴티오, 헤테로아릴티오, 아릴티오알킬, 알콕시아릴티오, 알킬카보닐, 아릴카보닐, 알킬-아미노카보닐, 아릴아미노카보닐, 알콕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알킬카보닐옥시, 아릴카보닐옥시, 알킬카보닐아미노, 아릴카보닐아미노, 아릴설피닐, 아릴설피닐알킬, 아릴설포닐아미노, 또는 아릴설폰아미노카보닐,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임의의 알킬 치환체.
다른 반대되는 지시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단독 또는 또 다른 기의 일부로서 사용된 용어 "알콕시", "아릴옥시" 또는 "아르알콕시"는 산소 원자에 연결된 임의의 상기 알킬, 아르알킬, 또는 아릴 기를 포함한다.
다른 반대되는 지시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단독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로서 사용된 용어 "아미노"는 비치환되거나 하나 또는 2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를 가리키며, 예를 들면 알킬,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사이클로헤테로알킬, 사이클로헤테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할로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알킬, 또는 티오알킬을 가리킨다. 이러한 치환체는 카복실산 및/또는 상기에서 제시된 것과 같은 임의의 R1 기 또는 R1 의 치환체로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아미노 치환체는 이들이 접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서 다음을 형성할 수 있다: 1-피롤리디닐, 1-피페리디닐, 1-아제피닐, 4-몰폴리닐, 4-티아몰폴리닐, 1-피페라지닐, 4-알킬-1-피페라지닐, 4-아릴알킬-1-피페라지닐, 또는 4-디아릴알킬-1-피페라지닐, 이들은 모두 알킬, 알콕시, 알킬티오, 할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하이드록시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다른 반대되는 지시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단독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로서 사용된 용어 "알킬티오", "아릴티오", 또는 "아르알킬티오"는 황 원자에 연결된 임의의 상기 알킬, 아르알킬, 또는 아릴 기를 포함한다.
다른 반대되는 지시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단독 또는 또다른 기의 일부로서 사용된 용어 "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또는 "아릴알킬아미노"는 질소 원자에 연결된 임의의 상기 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 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시스템"은 포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불포화되거나, 불포화된(방향족), 안정한 5, 6, 또는 7-로 구성된(membered)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또는 7, 8, 9, 또는 10-로 구성된 또는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고, 탄소원자 및 N, NH, O 및 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로 구성되고, 임의의 상기 정의된 헤테로사이클릭 고리가 벤젠 고리에 융합된 것인 임의의 바이사이클릭 기를 포함한다. 질소 및 황 헤테로원자는 산화되거나 산화되지 않을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는 임의의 헤테로원자 또는 탄소 원자에서 펜던트(pendant) 기에 접합되어, 안정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는 생성된 화합물이 안정하다면 탄소 또는 질소 원자에서 치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언급된다면, 헤테로사이클 내 질소는 선택적으로 4차일(quaternized)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 내 S 및 O 원자의 전체 숫자가 1을 초과하는 경우, 따라서 이러한 헤테로원자 각각이 다른 하나에 인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시스템" 또는 "헤테로아릴"은 탄소 원자 및 N, O 및 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로 구성되고 자연에서 방향족인, 안정한 5- 내지 7-로 구성된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또는 7- 내지 10-로 구성된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고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헤테로사이클의 예시는 1H-인다졸, 2-피폴리도닐, 2H,6H-1,5,2-디티아지닐, 2H-피롤리닐, 1H-인돌릴, 4-피페리도닐, 4aH-카바졸, 4H-퀴놀리지닐, 6H-1,2,5-티아디아지닐, 아크리디닐, 아조시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퓨라닐, 벤조티오퓨라닐, 벤조티오페닐, 벤조옥소졸릴, 벤즈티아졸릴, 벤즈트리아졸릴, 벤즈테트라졸릴, 벤즈이속사졸릴, 븐지이소티아졸릴, 벤즈이미다잘로닐, 카바졸릴, 4aH-카바졸릴, β-카볼리닐, 크로마닐, 크로메닐, 신놀리닐, 데카하이드로퀴놀리닐, 2H,6H-1,5,2-디티아지닐, 디하이드로퓨로[2,3-b]테트라하이드로퓨란, 퓨라닐, 퓨라자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이미다졸릴, 인다졸릴, 인돌레닐, 인돌리닐, 인돌리지닐, 인돌리닐, 이소벤조퓨라닐, 이소크로마닐, 이소인다졸릴, 이소인돌리닐, 이소인돌릴, 이소퀴놀리닐, 벤즈이미다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소옥사졸릴, 몰폴리닐, 나프티리디닐, 옥타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옥사디아졸릴, 1,2,3-옥사디아졸릴, 1,2,4-옥사디아졸릴, 1,2,5-옥사디아졸릴, 1,3,4-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리디닐, 옥사졸릴, 옥사졸리디닐퍼이미디닐, 페난트리디닐, 페난트롤리닐, 페나르사지닐(phenarsazinyl),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페녹사티이닐(phenoxathiinyl), 페녹사지닐, 프탈라지닐,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프테리디닐(pteridinyl), 피페리도닐, 4-피페리도닐, 프테리디닐, 퓨리닐, 피라닐, 피라지닐, 피라졸리디닐, 피라졸리닐, 피라졸릴, 피리다지닐, 피리도옥사졸, 피리도이미다졸, 피리도티아졸(pyridothiazole), 피리디닐, 피리딜, 피리미디닐, 피롤리디닐, 피롤리닐, 피롤릴, 퀴나졸리닐, 퀴놀리닐, 4H-퀴놀리지닐, 퀴녹살리닐, 퀴뉴클리디닐, 카볼리닐,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6H-1,2,5-티아디아지닐, 1,2,3-티아디아졸릴, 1,2,4-티아디아졸릴, 1,2,5-티아디아졸릴, 1,3,4-티아디아졸릴, 티안트레닐, 티라졸릴, 티에닐, 티에노티아졸릴, 티에노옥사졸릴, 티에노이미다졸릴, 티오페닐, 트리아지닐, 1,2,3-트리아졸릴, 1,2,4-트리아졸릴, 1,2,5-트리아졸릴, 1,3,4-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및 산테닐(xanthenyl)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은 피리디닐, 티오페닐, 퓨라닐, 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페닐, 벤조퓨라닐, 벤조올사졸릴, 벤즈이속사졸릴,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이미다졸릴, 인돌릴, 이소이돌릴, 피페리디닐, 피페리도닐, 4-피페리도닐, 피페로닐, 피라졸릴, 1,2,4-트리아졸릴, 1,2,3-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라지닐, 및 피리미디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헤테로사이클을 포함하는 융합된 고리 및 스피로 화합물이 포함된다.
헤테로아릴의 예시는 1H-인다졸, 2H,6H-1,5,2-디티아지닐, 인돌릴, 4aH-카바졸, 4H-퀴놀리지닐, 6H-1,2,5-티아디아지닐, 아크리디닐, 아조시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퓨라닐, 벤조티오퓨라닐, 벤조티오페닐, 벤즈옥사졸릴, 벤즈티아졸릴, 벤즈트리아졸릴, 벤즈테트라졸릴, 벤즈이속사졸릴, 벤즈이소티아졸릴, 벤즈이미다잘로닐, 카바졸릴, 4aH-카바졸릴, β-카볼리닐, 크로마닐, 크로메닐, 신놀리닐, 데카하이드로퀴놀리닐, 2H,6H-1,5,2-디티아지닐, 디하이드로퓨로[2,3-b]테트라하이드로퓨란, 퓨라닐, 퓨라자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이미다졸릴, 인다졸릴, 인돌레닐, 인돌리닐, 인돌리지닐, 인돌릴, 이소벤조퓨라닐, 이소크로마닐, 이소인다졸릴, 이소인돌리닐, 이소인돌릴, 이소퀴놀리닐 (벤즈이미다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몰폴리닐, 나프티리디닐, 옥타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옥사디아졸릴, 1,2,3-옥사디아졸릴, 1,2,4-옥사디아졸릴, 1,2,5-옥사디아졸릴, 1,3,4-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리디닐, 옥사졸릴, 옥사졸리디닐퍼이미디닐, 페난트리디닐, 페난트롤리닐, 페나르사지닐,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페녹사티이닐, 페녹사지닐, 프탈라지닐,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프테리디닐, 피페리도닐, 4-피페리도닐, 프테리디닐, 퓨리닐, 피라닐, 피라지닐, 피라졸리디닐, 피라졸리닐, 피라졸릴, 피라졸로트리아지닐, 피리다지닐, 피리독사졸, 피리도이미다졸, 피리도티아졸, 피리디닐, 피리딜, 피리미디닐, 피롤리디닐, 피롤리닐, 피롤릴, 퀴노졸리닐, 퀴놀리닐, 4H-퀴놀리지닐, 퀴녹살리닐, 퀴뉴클리디닐, 카볼리닐,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6H-1,2,5-티아디아지닐, 1,2,3-티아디아졸릴, 1,2,4-티아디아졸릴, 1,2,5-티아디아졸릴, 1,3,4-티아디아졸릴, 티안트레닐, 티아졸릴, 티에닐, 티에노티아졸릴, 티에노옥사졸릴, 티에노이미다졸릴, 티오페닐, 트리아지닐, 1,2,3-트리아졸릴, 1,2,4-트리아졸릴, 1,2,5-트리아졸릴, 1,3,4-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및 산테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아릴의 예시는 인돌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퓨라닐, 벤조티오퓨라닐, 벤조옥사졸릴, 벤즈티아졸릴, 벤즈트리아졸릴, 벤즈테트라졸릴, 벤즈이속사졸릴, 벤즈이소티아졸릴, 벤즈이미다잘로닐, 신놀리닐, 퓨라닐, 이미다졸릴, 인다졸릴, 인돌릴, 이소퀴놀리닐 이소티라졸릴, 이소옥사졸릴, 옥사졸릴, 피라지닐, 피라졸릴, 피라졸로트리아지닐, 피리다지닐, 피리딜,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롤릴, 퀴나졸리닐,
퀴놀리닐, 티아졸릴, 티에닐, 및 테트라졸릴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시아노"는 -CN 기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니트로"는 -NO2 기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하이드록시"는 -OH 기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머캅토"는 -SH 기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카바모일"은 -C(=O)-아미노를 가리키며, 여기서 아미노 기는 아미노 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알카노일"은 RC(=O)- 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알킬기이다.
문구 "약제학적으로 허용된"은, 정통 의학 판단(sound medical judgment)의 범위 내에서,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율에 상응하는, 과다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성 반응, 또는 다른 문제 또는 합병증 없는 인간 및 동물의 조직에 접촉에 이용에 적당한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또는 투여 형태를 가리키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닌,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유효성 및 특성을 유지하는 염을 가리킨다. 많은 경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미노 기 및/또는 카복실 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들(예를 들면, 페놀 또는 하이드록시아믹 산(hydroxyamic acid))의 존재 덕분에 산 및/또는 염기를 형성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 염은 무기 산 및 유기 산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무기 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유기 산은 예를 들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레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살리실산,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 부가 염은 무기 염기 및 유기 염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무기 산은 예를 들면 소듐, 포타슘, 리튬,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망간, 알루미늄,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며; 특히 암모늄, 포타슘, 소듐, 칼슘 및 마그네슘 염이 바람직하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유기 산은 예를 들면 일차, 이차, 및 삼차 아민, 자연적으로 발생한 치환된 아민을 포함하는 치환된 아민, 사이클릭 아민,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며, 특히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및 에탄올아민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통상적인 화학적 방법에 의해, 모체 화합물, 염기성 또는 산성 모이어티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주로, 이러한 염은 이러한 화합물의 해리 산 형태를 화학량론적 양의 적절한 염기와 반응시켜, 또는 이러한 화합물의 해리 염기 형태를 화학량론적 양의 적절한 산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통상적으로 물 중에 또는 유기 용매 중에, 또는 이들 모두의 혼합물 중에서 수행된다. 주로, 실시가능한 경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나이트릴과 같은 비-수용성 매질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적절한 염의 리스트가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20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85)에서 발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산 부가 염은 아세테이트 (예를 들면 아세트산 또는 트리할로아세트산으로 형성된 것,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아디핀산염, 알지네이트, 아스코르브산염,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비스설페이트, 보레이트, 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캄포레이트(camphorate), 캄포르설포네이트(camphorsulfonate), 사이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도데실설페이트, 에탄설포네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타노에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산으로 형성됨), 하이드로브로마이드(하이드로젠 브로마이드로 형성됨),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말레이트 (말레산으로 형성됨), 2-하이드록시에탄설포네이트, 락테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메탄설폰산으로 형성됨),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나이트레이트, 옥살레이트, 펙티네이트(pectinate), 펄설페이트(persulfate),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포스페이트, 피크레이트(picrate), 피발레이트(pivalate), 프로피오네이트, 살리실레이트, 숙시네이트, 설페이트 (예를 들면 황산으로 형성된 것), 설포네이트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것), 타르트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예컨대 토실레이트, 운데카노에이트,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염기 염은 암모늄 염, 알칼리 금속 염 예컨대 나트륨, 리튬, 및 칼슘 염; 알칼리토 금속 염 예컨대 칼슘 및 마그네슘 염; 바륨, 아연, 및 알루미늄 염; 유기 염기의 염 (예를 들면, 유기 아민) 예컨대 트리알킬아민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프로카인, 디벤질아민, N-벤질-β-페네틸아민, 1-에펜아민(1-ephenamine),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디하이드로아비에틸아민 (Dehydroabietylamine), N-에틸피페리딘, 벤질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또는 유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아민 및 아미노산의 염 예컨대 아르기닌, 리신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염기성 질소-함유 기는 다음과 같은 성분으로 사차화(quaternized)될 수 있다: 예컨대 낮은(lower) 알킬 할라이드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아이오다이드), 디알킬 설페이트 (예컨대 디메틸, 디에틸, 디부틸, 및 디아밀(diamyl) 설페이트), 장사슬 할라이드 (예컨대 데실, 라우릴, 미리스틸(myristyl) 및 스테아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아이오다이드), 아르알킬 할라이드 (예컨대 벤질 및 페네틸 브로마이드), 및 다른 것. 바람직한 염은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겐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질산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프로드러그 및 용매화물 또한 고려된다. 용어 "프로드러그"는 개체에 투여되자마자, 대사적 또는 화학적 과정에 의해 화학적 전환을 겪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화합물, 및/도는 이의 염 및/또는 용매화물을 생성하는 화합물을 가리킨다. 생체 내에서 전환되어 생활성 제제를 제공할 것인 임의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 및 본질 내의 프로드러그이다. 예를 들면, 카복시 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신체 내에서 가수분해되어 화합물 그 자체를 생산함에 의해 프로드러그로 작용하는, 생리적으로 가수분해할 수 있는 에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프로드러그는 당해 기술의 당업자(practitioner)에게 잘 알려진 산 유도체, 예를 들면 모체 산의 적절한 알코올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에스테르, 또는 모체 산 화합물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아마이드, 또는 산 무수물, 또는 혼합된 무수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상의 펜던트(pendant) 산성 기로부터 유도된 지방족 또는 방향족 에스테르, 아마이드 및 무수물은 특히 프로드러그이다. 일부 경우에 이중 에스테르 형태 프로드러그 예를 들면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 또는 ((알콕시카보닐)옥시)알킬에스테르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의 C1 내지 C8 알킬, C2-C8 알케닐, C2-C8 알키닐, 아릴, C7-C12 치환된 아릴, 및 C7-C12 아릴알킬 에스테르.
이러한 프로드러그는 많은 경우 가수분해가 소화 효소의 영향 하에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경구적으로 투여된다. 비경구 투여는 에스테르 그 자체가 활성인 경우, 또는 가수분해가 혈액 중에 발생하는 경우에서 사용될 수 있다.
프로드러그의 다양한 형태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프로드러그 유도체는 각각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다음을 참조한다:
a) Design of Prodrugs, H. Bundgaard, 판, Elsevier (1985), 및 Methods in Enzymology, 112:309-396, K. Widder 등, 판들, Academic Press (1985);
b) Bundgaard, H., Chapter 5,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drugs," A Textbook of Drug Design and Development, pp. 113-191, P. Krosgaard-Larsen 등, 판들, Harwood Academic Publishers (1991); 및
c) Bundgaard, H., Adv. Drug Deliv. Rev., 8:1-38 (1992).
에스테르는 주로 적어도 하나의 -OH (하이드록시) 기가 -O-알킬 (알콕시) 기로 치환되는 산 (유기산 또는 무기산)으로부터 유도되는 화합물이다. 에스테르는 주로 카복실산 및 알코올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생체 내 가수분해성 에스테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생체 내 가수분해성 에스테르"는, 카복시 또는 하이드록시 기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체 내 가수분해성 에스테르, 예를 들면 인간 또는 동물 신체 내에서 가수분해되어 모체 산 또는 알코올을 생산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테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카복시에 적절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알킬, 특히 벤질 에스테르, 예컨대 C1-C6 알콕시메틸 에스테르 예컨대 메톡시메틸, C1-C6 알카노일옥시메틸 에스테르 예컨대 피발로일옥시메틸, 프탈리딜 에스테르, C3-C8 사이클로알콕시-카보닐옥시-C1-C6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1-사이클로헥실카보닐옥시에틸; 1,3-디옥솔렌-2-오닐메틸 에스테르 예컨대 5-메틸-1,3-디옥솔렌-2-오닐메틸; 및 C1-C6-알콕시카보닐옥시에틸 에스테르 예컨대 1-메톡시카보닐옥시에틸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 내 카복시 기에서 형성될 수 있다.
하이드록시 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체 내에서 가수분해성 에스테르는 무기 에스테르 에컨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알파]-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 및 에스테르 분해의 생체 내 가수분해의 결과로서 모체 하이드록시 기(parent hydroxy group)를 생산하는 관련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알파]-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의 예시는 아세톡시메톡시 및 2,2-디메틸프로피오닐옥시메톡시를 포함한다. 하이드록시에 대한 기를 형성하는 생체 내 가수분해성 에스테르의 선택은 알카노일, 벤조일, 페닐아세틸 및 치환된 벤조일 및 페닐아세틸, 알콕시카보닐 (알킬 카보네이트 에스테르를 생성하는), 디알킬카바모일 및 N-(디알킬아미노에틸)-N-알킬카바모일 (카바메이트를 생성하는), 디알킬아미노아세틸 및 카복시아세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모든 이러한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용매화물"은 주로 용매화 반응에 의한, 용매 또는 물 (또한 "수화물"로 언급됨)과 결합된(associated) 화합물의 형태를 가리킨다. 이러한 물리적 결합은 수소 결합을 포함한다. 종래의 용매는 물, 에탄올, 아세트산 및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결정질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용매화되거나 수화될 수 있다. 적절한 용매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예컨대 수화물을 포함하고, 화학양론적인 용매화물 및 비-화학양론적인 용매화물 모두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예시에서 상기 용매화물은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가 결정질 고체의 결정 격자 내에 혼입될 때 고립(isolation)이 가능할 것이다. "용매화물"은 용액-상 용매화물 및 고립될 수 있는 용매화물 모두를 내포한다. 대표적인 용매화물은 수화물, 에탄올레이트 및 메탄올레이트를 포함한다.
투여가 고려되는 "개체"는 인간 (즉, 어떠한 나이 그룹의 남성 또는 여성, 예컨대 소아 개체 (예컨대 영아, 아동, 청소년) 또는 어른 개체 (예컨대 어린 성인(young adult), 중년어른(middle-aged adult) 또는 고령 어른 (senior adult))) 및/또는 비-인간 동물, 예를 들면 포유류 예컨대 영장류 (예컨대 필리핀 원숭이(cynomolgus monkey), 붉은털 원숭이), 소, 돼지, 말, 양, 염소, 설치류 예컨대 쥐 및 래트, 고양이, 및/또는 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체는 인간이다. 특정 구현에에서, 개체는 비-인간 동물이다. 용어 "인간", "환자", 및 "개체"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유효량"은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개체에 투여될 때 이러한 치료 또는 예방에 충분히 유효한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유효량"은 화합물, 치료되는 개체의 질병과 이의 중증도, 및 나이, 무게,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치료학적 유효량"은 치료학적 처치를 위한 효과적인 양을 가리킨다. "예방적인 유효량(prophylatically effective amount)"은 예방적 처치를 위한 효과적인 양을 가리킨다.
"예방하는(preventing)" 또는 "예방(prevention)" 또는 "예방적 처치(prophylactic treatment)"는 질병 또는 질환을 얻을 또는 생길 위험의 감소 (즉 질병-유발 제제에 아직 노출되지 않은, 또는 질병 개시의 진전 중에 질병에 취약하게 되지 않은 개체 내 생기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질병의 치료적 증상을 유발하는) 를 가리킨다.
용어 "치료하는(treating)"은 다음을 가리킨다: (i) 질병, 질환(disorder) 및/또는 질환(condition)에 대해 취약해질 수 있지만 아직 이것을 갖는 것으로 진단되지 않은 환자 내에 발생하는 질병, 질환(disorder) 또는 질환(condition)을 예방하는 것; (ii) 질병, 질환(disorder) 또는 질환(condition)을 억제하는 것, 즉 이의 진전을 막는 것; 또는 (iii) 질환(disorder) 또는 질환(condition)을 완화하는 것, 즉 질환(disorder) 및/또는 질환(condition)의 퇴보(regression)을 유발하는 것.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억제" 또는 "억제하는"은 주어진 질환, 증상, 또는 질병의 감소 또는 억제, 또는 생물학적 활성 또는 과정의 기준치(baseline) 활성의 현저한 감소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억제제(inhibitor)"는 표적 분자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 예컨대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FPPS)를 억제할(부분적인 억제 또는 다른자리입체성(allosteric) 억제를 포함함) 수 있는 분자를 가리킨다. 억제제는, 예를 들면, 표적 분자의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함으로써, 및/또는 신호 전달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함으로써 작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화합물은 입체이성체적(stereoisomeric) 형태(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포함함)로 존재할 수 있다. 개별적인 입체이성체 (거울상이성체 및 부분입체이성체) 및 이들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화합물 또는 이들의 염이 화학식에서 나타난 것과 다른 토토머(tautomeric)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이들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상기에 정의된 특정 기의 모든 조합 및 부분 집합(subset)을 포함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입체이성체 뿐만 아니라 정제된 거울상 이성체 또는 거울상 이성체적으로/부분입체 이성체적으로 강화된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상기에 정의된 특정 기의 모든 조합 및 부분 집합을 포함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화합물의 하나의 거울상 이성체는 또 다른 거울상 이성체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입체화학은 본 발명의 일부로 고려된다. 요망될 때 라세미 물질의 분리는 HPLC에서 카이랄 칼럼을 이용하여 또는 분해를 위한 캄파닐 클로라이드롸 같은 분해 제제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Young, S.D. 등,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1995, 2602-2605에 의해 설명됨).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 및 다음에서 기재된 것과 동일하지만, 하나 이상의 원자가 자연에서 주로 발견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와 상이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원자로 치환된, 동위원소-표지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내로 혼입될 수 있는 동위원소의 예시는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황, 플루오르, 요오드, 및 염소의 동위원소, 예를 들면 2H, 3H, 11C, 13C, 14C, 15N, 17O, 18O, 31P, 32P, 35S, 18F, 36Cl, 123I, 및 125I을 포함한다.
전술한 동위원소 및/또는 다른 원자의 다른 동위원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동위원소-표지된 화합물, 예를 들면 3H or 14C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가 포함된 것은 약물 및/또는 기질 조직 분배(substrate tissue distribution) 어세이에서 유용하다. 3중 수소화된(tritiated) 즉 3H, 및 탄소-14 즉 14C의 동위원소는 이들의 제조의 용이 및 검출능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11C 및 18F 동위원소는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에서 특히 유용하고, 125I 동위원소는 SPECT(단일광자방출컴퓨터단층촬영술(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rized tomography))에서 특히 유용하며, 뇌 이미징화에서 모두 유용하다. 추가로, 중수소 즉 2H와 같은 무거운 동위원소와의 치환은 더 큰 대사 안정성, 예를 들면 증가된 생체 내 반감기, 또는 감소된 투여 필요조건을 생성하는 특정 치료학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일부 환경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화학식 (I) 및 다음의 본 발명의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은 주로 비-동위원소 표지된 제제를 용이하게 이용가능한 동위원소 표지된 제제로 대체하여, 반응식에 및/또는 아래 실시예에 개시된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의 구현예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아쥬반트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아쥬반트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 티올라아제(아세토아세틸-CoA 전이효소) 억제제; 2) HMG-CoA 생성효소 억제제; 3)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4) 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5) 포스포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6) 메발로네이트-5-피로포스페이트 탈카복실화효소 억제제; 7)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이성질화효소 억제제; 8)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9)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및 10) 제라닐제라닐 전이효소 (I, II) 억제제.
티올라아제 (thiolase) (아세토아세틸-CoA 트랜스퍼라제) 억제제는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1989, 163, 548-553에 설명된 L-660631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된 모든,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Biochem. J (1993) 289, 889-895에 설명된 L-659699, Agric. Biol. Chem., 55 (12), 3129-3131, 1991에 설명된 1234A/F-244, 및 Tetrahedron, 2000, 56 (3), 479-487에 설명된 디하이드록세룰린(Dihydroxerulin), 및 다음의 문서에 개시된 화합물: US5064856; EP0411703A1; Agric. Biol. Chern., 1991, 55 (12):3129-3131; Bioorg. Med. Chem., 1998, 6:1255-1272;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9, 265:536-540.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된 모든, 다음의 문서에 개시된 화합물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US 5102911-A; EP476493-A1; US5091378-A; EP465970-A; EP465265-A; EP464845-A; EP463456-A; EP456214-A1; EP591165-A; US5049577-A; EP445827-A2; EP442495-A; US5025000-A; EP435322-A2; US5023250-A; JP3112967-A; US5017716-A; US5010105-A; US5011947-A; EP424929-A1; EP422895-A1; EP420266-A2; EP419856-A2; EP418648-A1; EP416383-A2; US4996234-A; US4994494-A; EP415488-A; US4992429-A; EP411420-A2; EP409399-A1; EP408806-A1; DE3918364-A; EP401705-A; EP391185-A1; US4957940-A; US4950675-A; US4946860-A; US4940727-A; US4939143-A; US4937264-A; US4937263-A; EP402154-A1; EP375156-A2; US4929620-A; US4927851-A; US4904692-A; EP468974-A1; US4904646-A; WO9113616-A1; US4897402-A; US4892884-A; EP355846-A2; US4885314-A; EP349063-A; US4876280-A; EP346759-A2; EP422102-A1; EP344602-A1; DE3805884-A; EP330172-A; EP327166-A; EP327165-A; WO8905639-A; JP1068367-A; EP306264-A; US4792614-A; DE3632893-A1; US4719229-A; EP251625-A2; EP232997-A1; EP211416-A2; EP183132-A2; EP164049-A; FR2516087-A1; Wang K 등. J. Nat. Prod., 2015, 78: 1977-1989; Wess G 등. J Med. Chem., 1994, 37: 3240-3246; Procopiou PA 등. J Med. Chem., 1993, 36: 3655-3662; Pfefferkorn JA 등. J Med. Chem., 2008, 51: 31-45; Ahmad S 등. J Med. Chem., 2008, 51: 2722-2733; Sarver RW 등. J Med. Chem., 2008, 51: 3804-3813.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스타틴(statin) 화합물이다. 예시적인 스타틴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플루바스타틴(fluvastatin), 피타바스타틴(pitavastatin), 메바스타틴(mevastatin), 로바스타틴(lova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세리바스타틴(cerivastatin),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용매화물. 바람직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시장에서 판매되어온 것들, 가장 바람직하게는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 및 메바스타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및 용매화물이다.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해 업계에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고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이의 해리 산 형태, 이의 에스테르 형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예를 들면 나트륨 염, 칼슘 염, 알루미늄 염 및 에스테르 염을 포함한다.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라세미 혼합물, 또는 더 활성의, 적절한 입체이성체에서 사용될 수 있다.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된 모든, 다음의 문서에 개시된 화합물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US. 7462733; US. 20080200679; WO.2006039721; US. 7358361; US. 7745422; US.20100316676; WO.2007109585; US. 7687482; WO. 2008128056; US. 20080255070; WO. 2010033980; WO. 2010033981; WO. 2008076417; US. 7781418; WO.2010033978; WO.2009068567; WO. 2010043584; WO.2009128918; ACS Med. Chem. Lett. 2013, 4:423-427; J. Am. Chem. Soc., 2009, 131:5153-62; Nat. Chem. Biol., 2010, 6:660-6; Bioorg. Med. Chem. Lett., 2008, 18:2878-82; J. Med. Chem., 2008, 51:2187-95; Proc. Natl. Acad. Sci. U. S. A., 2007, 104:10022-7; Tetrahedron Lett. 2011, 52:2285-87; Chem. Commun., 2010, 46:5340-5342; Expert Opin. Ther. Pat. 2011, 21(9): 1433-1451; J. Pharmacol. Exp. Ther., 2001, 296:235-42; J. Med. Chem. 2003, 46:5171-5183; J. Med. Chem. 2005, 48:2957-2963; J. Med. Chem. 2006, 49:5804-5814; J. Med. Chem. 2013, 56:7939-7950; J. Med. Chem. 2008, 51:2187-2195; ChemMed Chem 2015, 10:1884-1891; Biochim. Biophys. Acta, 2014, 1840 1840:1051-1062; J. Med. Chem. 2007; 50:5967-75.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용매화물이다. 용매 "비스포스폰산(포스페이트)"는 중심 (같은 자리) 탄소 원자에 대한 포스포에테르 결합에 의해 연결된 2개의 포스포네이트 기로 특징지어지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P-C-P 구조는 아래의 화합물 I에 나타난다. 본 발명의 치료적 제제에서 언급되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비스포스폰산"은 또한 비스포스포네이트, 비스포스폰산, 및 이들의 염 및 유도체를 내포하기 위한 의미임을 주의해야 한다. 구체적인 지시가 없는 한, 비스포스폰산 또는 비스포스포네이트에서 언급되는 특정 명명법의 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한 것이 아니다.
약제학적 제제로서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EP-A-170,228, EP-A-197,478, EP-A-22,751, EP-A-252,504, EP-A-252,505, EP-A-258,618, EP-A-350,002, EP-A-273,190, WO-A-90/00798 및 이와 유사한 것에 설명된다.
약제학적 제제로서 "비스포스폰산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번호 제4,509,612, 4,666,895, 4,719,203, 4,777,163, 5,002,937, 4,971,958 및 4,958,839호 및 유럽 특허 출원 252,504 및 252,505에 설명된다.
바람직한 비스포스폰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알레드론산(alendronic acid), 심마(simma) 포스폰산, 클로드론산(clodronic acid), EB-1053, 틸루드론산(tiludronic acid), 에티드론산 (etidronic acid), 이반드론산 (ibandronic acid), 인카드론산(incadronic acid), 미노드론산(minodronic acid), 네리도닉산(neridronic acid), 올파드론산(olpadronic acid), 리세드론산(risedronic acid), 피리드론산(piridronic acid), 파미드론산(pamidronic acid), 졸레드론산(zoledronic acid) 또는 인바드론산 모노소듐 염 모노 하이드레이트와 같은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다음의 문서들에 개시된 화합물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J. Med. Chem. 2009, 52:8025-37;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7, 353:921-925; J. Med. Chem. 2002, 45:2185-2196; Bioorg. Med. Chem. 2008, 16:390-399; J. Med. Chem., 2008, 51:5594-5607; ACS Med. Chem. Lett. 2015, 6:1195-1198; Proc. Natl. Acad. Sci. U. S. A., 2012, 109(11):4058-4063.
제라닐제라닐 전이효소 (I, II) 억제제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다음의 문서들에 개시된 화합물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EP1165084A1; EP1165084A4; EP2014291A2; EP2014291B1; US6103487; US6284910; US6355643B1; US6586461B1; US6638962B2; US7763620B2; US8093274B2; US8815935B2; US9040563B2; US20030219847A1; US20040121985A1; US20060030624A1; US20070249010A1; US20100063114A1; US20110178138A1; US20120035184A1; US20130102639A1; WO1999006376A1; WO2000033826A1; WO2000051614A1; WO2007111948A2; WO2007118009A1; WO2010014054A1; WO2010088457A2; WO2012034038A2; WO2009106586; Angew. Chem. Int. Ed. 2011, 50, 4957-4961; J. Med. Chem. 2010, 53:3454-64; J. Biol. Chem. 2001, 276:48213-22; Bone. 2005, 37:349-58; J. Biol. Chem. 2009, 284:6861-8; Eur. J. Med. Chem., 2011, 46(10):4820-4826; Drug Discov. Today, 2015, 20:267-276; J. Med. Chem. 2012, 55, 8330-8340; J. Am. Chem. Soc. 2007, 129:5843-5845; J. Med. Chem. 2009, 52:8025-8037; J. Med. Chem. 1999, 42:1333-1340; PLoS ONE, 2011, 6:e26135; Bioorg. Med. Chem., 2005, 13:677-688; IL Farmaco, 2004, 59:857-861; Org. Biomol. Chem., 2006, 4, 1768-1784; J. Biol. Chem., 2006, 281(18):12445-12450; J. Biol. Chem., 2008, 283(15):9571-9579; 및 McGuire 등의 (1996)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phosphorylation requires protein geranylgeranylation but not farnesylation. J. Biol. Chem. 271 27402. PMID: 8910319에 개시되고, 다음의 구조를 갖는 GGTI-298:
Figure pct00136
GGTI-298의 구조
앞서 설명한 억제제에 더하여, 본 발명은 또한 면역원성 조성물에서 아쥬반트로서 포함될 수 있는, 단백질의 제라닐제라닐화에 영향을 주는 다른 물질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화학식 (즉 TH-Z80 시리즈 화합물)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이다:
Figure pct00137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24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또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n은 1 내지 15의 정수이다.
더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38
그러므로,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TH-Z80 시리즈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및 용매화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쥬반트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또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상기에서 설명된 TH-Z80 시리즈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및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FPPS)의 억제제로서, 다음의 화학식을 갖는, 신규한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즉 TH-Z97 시리즈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및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139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24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n은 1 내지 15의 정수이다.
더 특정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Figure pct00140
그러므로, 일 구현예에서, 본 언급은 상기에서 설명된 TH-Z97 시리즈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및 용매화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쥬반트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면역원성 조성물의 준비에서 아쥬반트로서 상기에서 설명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및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또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FPPS)의 억제제로서, 다음의 화학식을 갖는, 신규한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및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14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2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R3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R4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R1은 수소, C1-10 알킬, C1-10 알키닐, C1-10 알킬아미노, C1-10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인다졸릴, C1-10 알콕시, 페닐 또는 피리딜로 치환된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피리딜은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R1은 수소, 4-메틸페닐에톡시, 4,5,6,7-테트라하이드로-2H-인다졸-2-일, (2-카바모일피리딘-4-일)메톡시, 벤질옥시, 헥실옥시, 메틸티오, 옥틸아미노, 헥실, 옥틸, 데실, 옥트-1-인-1-일, 하이드록실 및 브로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R2는 수소, C1-10 알콕시 및 할로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R2는 수소, 옥틸옥시 및 브로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R3는 수소, C1-10 알킬 및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R3는 수소, 메틸 및 헥실옥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R2 및 R3는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벤젠 고리를 형성한다.
일 구현예에서, R4는 수소 및 C1-10 알콕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R4는 수소 및 옥틸옥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42
Figure pct00143
Figure pct00144
.
그러므로,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o-아미노피리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및 용매화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쥬반트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면역원성 조성물의 준비에서 아쥬반트로서 상기에서 설명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FPPS)의 억제제로서, 다음의 화학식을 갖는, 신규한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145
상기 식에서:
R5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및
R8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R5는 C1-10 알콕시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46
.
그러므로,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m-아미노피리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및 용매화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쥬반트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면역원성 조성물의 준비에서 아쥬반트로서 상기에서 설명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의 억제제로서, 다음의 화학식을 갖는, 신규한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147
상기 식에서:
R9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0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2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R9는 C1-10 알콕시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48
또는
Figure pct00149
TH-Z144 TH-Z145.
그러므로,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벤질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및 용매화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쥬반트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면역원성 조성물의 준비에서 아쥬반트로서 상기에서 설명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일찍이 40년전에, 플라쉬(Fleisch) 등은 피로포스페이트가 이소성 석회화(ectopic calcification)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상기 피로포스페이트는 불안정하고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해 쉽게 불활성화된다. 나중에, 상기 피로포스페이트 구조 중의 효소에 의해 쉽게 가수분해될 수 있는 P-O-P 기는 효소에서 안정한 P-C-P 기로 변형되었다. 이어서 일련의 비스포스포네이트가 개발되고 이러한 화합물들은 골다공증 치료에 좋은 효과를 준다. 대표적인 약물은 1세대로서 소듐 에치드로네이트(etidronate), 2세대로서 소듐 클로드로네이트(clodronate), 소듐 파미드로네이트(pamidronate) 및 소듐 틸루드로네이트(tiludronate), 3세대로서 현재의 소듐 알렌드로네이트(current sodium alendronate), 소듐 네리드로네이트(neridronate), 소듐 올파드로네이트(olpadronate), 소듐 리세드로네이트(risedronate), 및 소듐 이반드로네이트(ibandronate), 소듐 졸레드로네이트(zoledronate)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1세대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달리 2세대 및 3세대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테르펜 생합성 경로 내 핵심 효소 FPPS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에 대한 N의 양성자화를 통해 대부분 작용하여, 파골세포(osteoclast)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도한다.
대표적인 3세대 약물로서 졸레드론산은 골다공증 치료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고 일부지만 비정상적인 골 대사에 의해 유발된 암의 골 전이의 치료에서 약한 효과를 가지며, 이는 다발성 골수증, 유방암, 전립선암 및 폐암 및 다른 악성 종양의 골 전이에 의해 결국 유발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는 상기에서 설명된 신규한 비스포스폰산 화합물에 관한 것이며, 이는 대사성 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물, 말라리아 치료를 위한 약물, 진핵생물의 종양 세포 증식의 억제제, 종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물, 면역치료를 위한 약물, 및 백신 아쥬반트의 제조에 유용하다.
대사성 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물, 말라리아 치료를 위한 약물, 진핵생물의 종양 세포 증식의 억제제, 종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물 또는 면역 치료를 위한 약물에서,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0.001 내지 90 중량%의 함량을 갖는다.
백신에서,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0.001 내지 90 중량%의 함량을 갖는다.
대사성 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물, 말라리아 치료를 위한 약물, 진핵생물의 종양 세포 증식의 억제제, 종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물, 면역치료를 위한 약물, 및 백신은 주사, 분출(ejection), 점적(nasal drop), 점안제(eye drop), 삼투, 흡수, 근육, 진피내, 피하의, 정맥의, 점막 조직과 같은 신체 내로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전달되는(mediated) 방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다른 물질 내 혼합된거나 포장된 (wrapped) 후 신체 내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스포스폰산 화합물에서, 벤즈이미다졸의 4, 5, 6 및 7개 위치레서 비대칭인 비스포스폰산이 말단 카복실 기의 변형을 활용함으로써 먼저 합성된다. 본 발명의 비스포스폰산 화합물은 FPPS에 대한 이미다조포스폰산의 활성을 보유하고 GGPPS, 말라리아 및 종양 세포 증식에 대한 좋은 억제 효과를 갖고, 특히 백신 아쥬반트 및 면역치료적 제제로서 좋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비스포스폰산 화합물은 대사성 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물, 말라리아 치료를 위한 약물, 진핵생물의 종양 세포 증식의 억제제, 종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물, 면역치료를 위한 약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백신의 제조를 위한 백신 아쥬반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항원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면역원성 조성물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 또는 종양으로부터 유도된 항원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항원은 각각 독립적으로 미생물성 항원, 자가항원, 종양 항원, 알레르기 유발원(allergen) 또는 중독성 물질(addictive substance)이다. 본 발명의 항원은 또한 국제 특허 출원 WO2011/148356에 설명된 것을 포함한다.
항원은 재조합체 방법 또는 펩타이드 합성에 의해, 또는 천연 공급원 또는 추출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고 어떠한 생물 또는 무생물 유기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상기 항원은 박테리아, 예를 들면 탄저, 캄필러박터, 콜레라, 디프테리아, 장독성원소 대장균, 지아르디아, 임균(gonococcus),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알려지지 않은 형태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수막염균(meningococcus), 백일해, 폐렴균, 살모넬라, 시겔라, 연쇄상구균 B, A 상 연괘상구균, 파상풍, 콜레라균, 예르시니아, 포도상구균, 슈도모나스 및 클로스트리듐 종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항원은 바이러스, 예를 들면 아데노바이러스, 항원형 뎅기열 1 내지 4, 에볼라 바이러스 (Jahrling 등, Arch Virol Suppl, 11:135-140, 1996), 엔테로바이러스, A 내지 E 항원형 간염 (Blum, Digestion 56:85-95, 1995; Katkov, Med Clin North Am 80:189-200, 1996; Lieberman 및 Greenberg, Adv Pediatr Infect Dis 11:333-3631996; Mast 등, Annu Rev Med 47:257-266, 1996), 단순성 포진 바이러스 1 또는 2,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Deprez 등, Vaccine 14:375-382, 1996), 인플루엔자, 일본 말뇌염, 홍역, 노로워크, 유두종 바이러스, 파보바이러스 B19, 소아마비, 광견병, 로타바이러스, 풍진, 홍역, 종두증(vaccinia), 말라리아 항원, 수두, 및 황열과 같은 다른 항원을 코드화하는(encoding) 유전자를 함유하는 종두증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항원은 기생충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상기 기생충은 예를 들면 이질아메바(Entamoeba histolytica) (Zhang 등, Infect Immun 63:1349-1355); 말리리아원충 (Plasmodium) (Bathurst 등, Vaccine 11:449-456, 1993), 톡소플라스마증(Toxoplasmosis), 및 연충류(Helminths)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항원은 특이적인 항원 (TSA) 또는 종양 연관된 항원 (TAA)일 수 있다. 종양 특이적인 항원은 종양 세포의 표면 상에서만 오직 발현되고 정상적인 세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항원을 가리키며, 따라서 독특한 종양 항원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양 연관된 항원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흔한 종양 특이적인 항원은 다음을 포함한다: (1) α-페토프로테인 (α-fetoprotein; AFP); (2) 암배아 항원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3) CA-125; (4) MUC-1; (5) 상피세포 종양 항원 (epithelial cell tumor antigen; ETA); (6)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7) 흑색종-연관된 항원 (melanoma-associated antigen; MAGE); (8) 종양 고환 항원 (tumor testicular antigen); (9) 전립선 특이적인 항원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10) gp100; (11) 멜란 A (Melan A); (12) GAGE, G 항원 12B/C/D/E; (13) BAGE, B 흑색종 항원; (14) GM2, 강글리오시드(ganglioside). 종양 연관된 항원은 특정 종양 세포에 크게 연관되는 항원이다. 이들은 정상 세포에서 주로 발견되지 않거나 낮은 함량으로 발견된다. 이러한 종양 연관된 항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국제 특허 출원 WO 2010/009124에서 나열된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1) BMPR1B; (2) E16; (3) STEAP1; (4) 0772P; (5) MPF; (6) Napi3b; (7) Sema 5b; (8) PSCA hlg; (9) ETBR; (10) MSG783; (11) STEAP2; (12) TrpM4; (13) CRIPTO; (14) CD21; (15) CD79b; (16) FcRH2; (17) HER2; (18) NCA; (19) MDP; (20) IL20Ra; (21) Brevican; (22) EphB2R; (23) ASLG659; (24) PSCA; (25) GEDA; (26) BAFF-R; (27) CD22; (28) CD79a; (29) CXCR5; (30) HLA-DOB; (31) P2X5; (32) CD72; (33) LY64; (34) FcRH1; (35) IRTA2; 및 (36) TENB2.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항원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및 흑생종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면역원성 조성물은 또다른 아쥬반트를 포함한다. 다른 백신 아쥬반트는 아쥬반트는 알루미늄 아쥬반트, 완전프로인트아쥬반트, 불완전프로인트아쥬반트, MF59, AS01, AS02, AS03, AS04, AS15, CAF01, ISCOMs (면역자극 착체), 비로좀 (바이러스 입자), GLA-SE, 리포좀, 식용유, 사포닌, AF03, TLR 효능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다른 아쥬반트는 TLR 효능제로부터 선택된다. 예시적인 TLR 효능제는 다음이다: TLR1 흥분제 (예를 들면 트리아실 리포단백질), TLR2 흥분제 (예를 들면 펩티도글리칸, 지모산(zymosan), HMGB1 (고이동군 단백질 1(high mobility group protein 1)), 리포테이코산), TLR3 흥분제 (이중가닥 RNA, 예컨대 PolyI: C), TLR4 흥분제 (예를 들면 LPS, MPL, RC529, GLA, E6020), TLR5 흥분제 (플라젤린), TLR6 흥분제 (예를 들면 트리아실 리포단백질, 리포테이코산), TLR7/8 흥분제 (단일가닥 RNA, 이미퀴모드), TLR9 흥분제 (DNA, 예컨대 CPG ODN), C-렉틴 리간드 (예를 들면 켈프(kelp) 폴리사카라이드), CD1d 리간드 (예를 들면 α-갈락토실세라마이드).
적용된 백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아쥬반트 및 면역원성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다양한 백신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BCG 백신, A형 간염 백신, B형 간염 백신, C형 간염 백신, D형 간염 백신, E형 간염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 소아마비 백신, DPT 백신, 홍역 백신, 정금나무속 엔세팔리티디스 에피데미캐 (vaccinum encephalitidis epidemicae), 광견병 백신, 출혈 열(hemorrhage fever) 백신, 폐렴 백신, 유행성 뇌수막염(epidemic menigitis) 백신, A형 간염 백신, 볼거리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 풍진 백신, 수두 백신, AIDS 백신, 말라리아 백신, 및 흑색종 치료백신, 흑색종 예방백신, 폐암 치료백신, 폐암 예방백신, 방광암 예방백신, 방광암 치료 및 예방 백신, 자궁경부암 치료백신,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방광암 치료백신, 방광암 예방백신, 유방암 치료백신, 유방암 예방백신, 간암 치료백신, 간암 예방백신, 전립선암 치료백신, 및 전립선암 예방백신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암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백신.
용도(Indications)
본 발명의 면역원성 조성물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균 및 기생충에 의해 유발된 질병을 포함하는 다양한 질병 또는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 박테리아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시네토박터 칼코아세티쿠스(Aceinetobacter calcoaceticus), 아세토박터 파세루이아너스(Acetobacter paseruianus), 악티노바실러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악티노바실러스 플레우롭네모니애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악티노마이세스 이스라엘리 (Actinomyces israelli),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 (Actinomyces viscosus), 아에로모나스 하이드로필라 (Aeromonas hydrophila), 알칼리게스 유트로퍼스 (Alcaliges eutrophus), 알리시클로바실러스 아시도칼다리우스 (Alicyclobacillus acidocaldarius), 아르해글로버스 펄기더스 (Arhaeglobus fulgidus), 바실러스 종 (Bacillus species), 바실러스 안트라시스 (Bacillus antracis), 바실러스 퍼밀러스 (Bacillus pumilus), 바실러스 스테아로더모필러스 (Bacillus stearothermophill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써모카테눌라터스 (Bacillus thermocatenulatus), 박테로이데스 종 (Bacteroides species), 보르데텔라 종 (Bordetella species), 보르데텔라 브론치셉티카 (Bordetella bronchiseptica), 보레리아 부르그도르페리 (Borrelia burgdorferi), 브루셀라 종 (Brucella species), 벌크홀데리아 세파키아 (Burkholderia cepacia), 벌크홀데리아 글루매 (Burkholderia glumae), 브라키스피라 종(Brachyspira species), 브라키스피라 요디센테리아 (Brachyspira hyodysenteria), 브라키스피라 필로시콜리 (Brachyspira pilosicoli), 캄필로박터 종 (Camphylobacter species), 캄필로박터 콜리 (Campylobacter coli), 캄필로박터 페터스 (Campylobacter fetus), 캄필로박터 요인테스티날리스 (Campylobacter hyointestinalis), 캄필로박터 제유니 (Campylobacter jejuni), 클라미디아 시타시 (Chlamydia psittaci),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Chlamydia trachomatis), 클라미도필라 종 (Chlamydophila species), 크롬박테리움 비스코섬 (Chromobacterium viscosum), 클로스트리듐 종 (Clostridium species), 클로스트리듐 보털륨 (Clostridium botulinum), 클로스트듐 디피실 (Clostridium difficile), 클로스트리듐 페르프린진 (Clostridium perfringens), 클로스트리듐 테타니 (Clostridium tetani), 코리네박테리움 종 (Corynebacterium species),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애 (Corynebacterium diphtheriae), 에르리키아 카니스 (Ehrlichia canis), 엔테로박터 종 (Enterobacter species), 엔테로박터 에로제네스 (Enterobacter aerogenes), 엔테로코커스 종 (Enterococcus species), 에리시펠로트릭스 러시오파티애 (Erysipelothrix rhusiopathieae), 에체리히아 종 (Escherichia species), 에체리히아 콜리 (Escherichia coli), 퍼소박테리움 너클레아툼 (Fusobacterium nucleatum), 헤모필러스 종 (Haemophilus species), 헤모필러스 인플루엔재 (Haemophilus influenzae), 헤모필러스 좀너스 (Haemophilus somnus), 헬리코박터 종 (Helicobacter species),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Helicobacter pylori), 헬리코박터 수이스 (Helicobacter suis), 클렙시엘라 종 (Klebsiella species), 클렙지엘라 뉴모니아 (Klebsiella pneumoniae),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리스 (Lactobacillus acidophilis), 라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 (Lawsonia intracellularis), 리지네올라 종 (Legionella species), 리지네올라 뉴모필라 (Legionella pneumophilia), 렙토스피라 종 (Leptospira species), 예컨대 렙토스피라 카니콜라 (Leptospira canicola), 렙토스피라 그립포티포사 (Leptospira grippotyposa), 렙토스피라 하드조 (Leptospira hardjo), 렙토스피라 보르그펩테르세니 하드조-보비스 (Leptospira borgpetersenii hardjo-bovis), 렙토스피라 보르그펩테르세니 하드조-프라지트노 (Leptospira borgpetersenii hardjo-prajitno), 렙토스피라 인테로간스 (Leptospira interrogans), 렙토스피라 익테로해모르하지애 (Leptospira icterohaemorrhagiae), 렙토스피라 포모나 (Leptospira pomona), 렙토스피라 (Leptospira), 렙토스피라 브라티스라바 (Leptospira bratislava), 리스테리아 종 (Listeria species), 리스테리아 모노시토제네스 (Listeria monocytogenes), 메니고코칼 박테리아 (Meningococcal bacteria), 모라셀라 종 (Moraxella species), 미코박테리움 종 (Mycobacterium species), 미코박테리움 보비스 (Mycobacterium bovis), 미코박테리움 튜버컬로시스 (Mycobacterium tuberculosis), 미코박테리움 아비움 (Mycobacterium avium), 미코박테리움 인트라셀룰라 (Mycobacterium intracellulare), 미코박테리움 칸사이 (Mycobacterium kansaii), 미코박테리움 고르도내 (Mycobacterium gordonae), 미코플라스마 종 (Mycoplasma species), 예컨대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 (Mycoplasma hyopneumoniae), 미코플라스마 시노비아 (Mycoplasma synoviae),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라이니스 (Mycoplasma hyorhinis), 미코플라스마 뉴모니아 (Mycoplasma pneumoniae), 미코플라스마 미코이데스 아종. 미코이데스 LC (Mycoplasma mycoides subsp. mycoides LC), 나이세리아 종 (Neisseria species), 나이세리아 고노르호아 (Neisseria gonorrhoeae), 나이세리아 메니히티디스 (Neisseria meningitidis), 오도리박터 덴티카니스 (Odoribacter denticanis), 파스퇴렐라 종 (Pasteurella species), 파스퇴렐라 (만하이미아) 하몰리티카 (Pasteurella (Mannheimia) haemolytica), 파스퇴렐라 멀토키다 (Pasteurella multocida), 포토르하두스 루미네센스 (Photorhabdus luminescens),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 (Porphyromonas gingivalis), 포르피로모나스 글래 (Porphyromonas gulae), 포르피로모나스 살리보사 (Porphyromonas salivosa), 포르피오니박테리움 악네스 (Propionibacterium acnes), 프로테우스 종 (Proteus species), 포르테우스 불가리스 (Proteus vulgaris), 슈도모나스 종 (Pseudomonas species), 슈도모나스 위스코시네시스 (Pseudomnas wisconsinensis), 슈도모나스 에러기노사 (Pseudomonas aeruginosa),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 C9 (Pseudomonas fluorescens C9),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 SIKW1 (Pseudomonas fluorescens SIKW1), 슈도모나스 프라기 (Pseudomonas fragi), 슈도모나스 루테올라 (Pseudomonas luteola), 슈도모나스 올레보란스 (Pseudomonas oleovorans), 슈도모나스 sp B11-1 (Pseudomonas sp B11-1), 사이크로박테 임모빌리스 (Psychrobacter immobilis), 릭테시아 spp (Rickettsia spp), 릭테시아 프로와제키 (Rickettsia prowazekii), 릭테시아 릭테시아 (Rickettsia rickettsia), 살모넬라 종 (Salmonella species), 살모네랄 본고리 (Salmonella bongori), 살모넬라 콜레라우이스 (Salmonella choleraeuis), 살모넬라 두블린 (Salmonella dublin), 살모넬라 엔테리카 (Salmonella enterica), 살모넬라 뉴포트 (Salmonella newport),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Salmonella typhimurium), 살모넬라 티피 (Salmonella typhi), 세라티아 마세스센스 (Serratia marcescens), 시겔라 종 (Shigella species), 스피르리나 플라텐시스 (Spirlina platensis), 스타필로코시 종 (Staphylococci specie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어스 (Staphlyoccocu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미디스 (Staphyloccoccus epidermidis), 스타필로코커스 히커스 (Staphylococcus hyicus), 스트렙토코커스 종 (Streptococcus species), 스트렙토바실러스 모닐리포미스 (Streptobacillus moniliformis), 베타-헤몰리틱 스트렙토코커스 (beta-hemolytic Streptococcus), A군 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pyogenes (Group A Streptococcus)), B군 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agalactiae (Group B Streptococcus)), 스트렙토코커스 비리단스 (Streptococcus (viridans group)), 스트렙토코커스 파칼리스 (Streptococcus faecalis), 스트렙토코커스 보비스 (Streptococcus bovis), 스트렙토코커스 우베리스 (Streptococcus uberis), 스트렙토코커스 디스칼락티아 (Streptococcus dysgalactiae), 스트렙토코커스(아나에로빅 sps.) (Streptococcus (anaerobic sps.)),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 (Streptococcus pneumoniae),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너스 (Streptococcus sobrinus), 스트렙토코커스 산구이스 (Streptococcus sanguis), 스트렙토마이세스 알버스 (Streptomyces albus), 스트렙토마이세스 신나모뉴스 (Streptomyces cinnamoneus), 스트렙토마이세스 엑폴리에테스 (Streptomyces exfoliates),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카비에스 (Streptomyces scabies), 설폴로버스 아시도칼다리우스 (Sulfolobus acidocaldarius), 셰코시스티스 sp. (Syechocystis sp.), 트레포네마 종 (Treponena species),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Treponema denticola), 트레포네마 미너텀 (Treponema minutum), 트레포네마 팔라듐 (Treponema palladium), 트레포네마 퍼네뉴 (Treponema pertenue), 트레포네마 파게데니스 (Treponema phagedenis), 트레포네마 레프린젠스 (Treponema refringens), 트레포네마 빈센티 (Treponema vincentii), 비브리오 종 (Vibrio species), 비브리오 올레라 (Vibrio cholerae), 여시니아 종 (Yersinia species) 및 이들의 조합.
일부 양태에서, 상기 바이러스는 동물을 감염시키는 것이며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조류 헤르페스바이러스(Avian herpesvirus), 조류 인플루엔자 (Avian influenza), 조류 백혈병바이러스 (Avian leukosis virus), 조류 파라믹소바이러스 (Avian paramyxoviruses), 보더 질병 바이러스 (Border disease virus), 소의 코로나바이러스 (Bovine coronavirus), 소의 유행열 바이러스 (Bovine ephemeral fever virus), 소 헤르페스 바이러스 (Bovine herpes viruses), 소의 면역결핍증바이러스 (Bovine immunodeficiency virus), 소의 백혈병 바이러스 (Bovine leukemia virus), 소의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3 (Bovine parainfluenza virus 3), 소의 호흡기 세포융합바이러스 (Bovin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소의 바이러스성 설사증 바이러스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VDV (BVDV I 형, BVDV II형)), 개의 아데노바이러스 (Canine adenovirus), 개의 코로나바이러스 (Canine coronavirus; CCV), 개의 디스템퍼 바이러스 (Canine distemper virus), 개의 헤르페스 바이러스 (Canine herpes viruses), 말의 헤르페스 바이러스 (Equine herpes viruses), 개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anine influenza virus), 개의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anine parainfluenza virus), 개의 파르보바이러스 (Canine parvovirus), 개의 호흡기 코로나바이러스 (Canine respiratory coronavirus), 클래시컬 돼지 콜레라 바이러스 (Classical swine fever virus), 동부 말 뇌염 바이러스 (Eastern Equine encephalitis virus; EEE), 말 전염성 빈혈 바이러스 (Equine infectious anemia virus), 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Equine influenza virus),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West nile virus), 고양이 캘리시 바이러스 (Feline Calicivirus), 고양이 장염성 코로나 바이러스 (Feline enteric coronavirus),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바이러스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us),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 (Feline herpes Virus), 고양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Feline influenza virus),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Feline leukemia virus; FeLV),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강기관염 바이러스 (Feline viral rhinotracheitis virus), 렌티바이러스 (Lentivirus), 마렉병 바이러스 (Marek's disease virus), 뉴캐슬병 바이러스 (Newcastle Disease virus), 양의 헤르페스바이러스 (Ovine herpesviruses), 양의 파라인플루엔자 3 (Ovine parainfluenza 3), 양의 진행성 폐렴 바이러스 (Ovine progressive pneumonia virus), 양의 폐 선암 바이러스 (Ovine pulmonary adenocarcinoma virus), 범친화성 CCV (Pantropic CCV), 돼지 써코바이러스 I 형, II형 (Porcine circovirus (PCV) Type I, PCV Type II),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돼지 적혈구응집 엔세팔로미엘티티스 바이러스 (Porcine hemagglutinating encephalomyletitis virus), 돼지 헤르페스바이러스 (Porcine herpesviruses), 돼지 파르보바이러스 (Porcine parvovirus), 돼지 생식기호흡증후군 바이러스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PRRS) Virus), 가성광견병바이러스 (Pseudorabies virus), 광견병 (Rabies), 로타바이러스 (Rotovirus), 리노바이러스 (Rhinoviruses), 우역 (Rinderpest virus), 돼지인플루엔자 바이러스 (Swine influenza virus),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칠면조 코로나바이러스 (Turkey coronavirus), 베네수알레 말 뇌염 바이러스 (Venezuelan equine encephalitis virus),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 (Vesicular stomatitis virus),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West Nile virus), 동부 말 뇌염 바이러스 (Western equine encephalitis virus) 및 이들의 조합.
일부 양태에서, 상기 바이러스는 인간을 감염시키는 것이며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데노바이러스과 (대부분 아데노바이러스) (Adenoviridae (most adenoviruses)); 아레나 바이러스과 (출혈열 바이러스) (Arena viridae (hemorrhagic fever viruses)); 아스트로바이러스 (Astroviruses); 분가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한탄 바이러스, 분가 바이러스, 플레보바이러스 및 나이로 바이러스 (Bungaviridae (e.g., Hantaan viruses, bunga viruses, phleboviruses and Nairo viruses)); 칼시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위장염을 유발하는 스트레인) (Calciviridae (e.g., strains that cause gastroenteritis)); 코로나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코로나바이러스) (Coronoviridae (e.g., coronaviruses)); 필로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에볼라 바이러스) (Filoviridae (e.g., ebola viruses)); 플라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C형 간염 바이러스, 뎅기열 바이러스, 뇌염 바이러스, 황열 바이러스) (Flaviridae (e.g., hepatitis C virus, dengue viruses, encephalitis viruses, yellow fever viruses)); 간염 바이러스과 (B형 간염 바이러스) (Hepadnaviridae (Hepatitis B virus)); 헤르페스 바이러스과 (헤르페스 단순 바이러스 (HSV) 1 및 2, 수두 바이러스, 거대세포바이러스 (CMV), 헤르페스 바이러스) (Herpesviridae (herpes simplex virus (HSV) 1 and 2, varicella zoster virus, cytomegalovirus (CMV), herpes virus)); 이리도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돼지 콜레라 바이러스) (Iridoviridae (e.g., African swine fever virus)); 노로 및 관련 바이러스 (Norwalk and related viruses);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Orthomyxoviridae (e.g., influenza viruses)); 파포바이러스과 (유두종 바이러스, 폴리오마바이러스) (Papovaviridae (papilloma viruses, polyoma viruses)); 파라믹소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멈프 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 (Paramyxoviridae (e.g., parainfluenza viruses, mumps virus, measles viru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중동 호흡기 증후군 (Mers) 바이러스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virus); 파르보바이러스과 (파르보바이러스) (Parvovirida (parvoviruses)); 피코르나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폴리오 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인간 콕사키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Picornaviridae (e.g., polio viruses, hepatitis A virus; enteroviruses, human Coxsackie viruses, rhinoviruses, echoviruses)); 폭스바이러스과 (두창 바이러스, 천연두 바이러스, 폭스 바이러스) (Poxviridae (variola viruses, vaccinia viruses, pox viruses)); 레오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레오바이러스, 오르비바이러스 및 로타바이러스) (Reoviridae (e.g., reoviruses, orbiviurses and rotaviruses)); 레트로바이러스 (예를 들면 인간 면역결핍성 바이러스, 예컨대 HIV-1 또는 HIV-2 (HTLV-III, LAV or HTLV-III/LAV, 또는 HIV-III로도 지칭됨); 및 다른 분리물 예컨대 HIV-LP) (Retroviridae (e.g. human immunodeficiency viruses, such as HIV-1or HIV-2 (also referred to as HTLV-III, LAV or HTLV-III/LAV, or HIV-III; and other isolates, such as HIV-LP))); 랍도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 광견병 바이러스) (Rhabdoviradae (e.g., vesicular stomatitis viruses, rabies viruses)); 토가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말 뇌염 바이러스, 풍진 바이러스) (Togaviridae (e.g., equine encephalitis viruses, rubella viruses)); 및 미부류된 바이러스들 (예를 들면 해면뇌병증의 유병제 (the etiological agents of Spongiform encephalopathies), 델타감염제(the agent of delta hepatitis)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방어적인 위성으로 여겨짐 (thought to be a defective satellite of hepatitis B virus)).
본 발명의 양태에서, 기생충은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protein from 아나플라스마(Anaplasma), 간질 (간질증) (Fasciola hepatica (liver fluke)), 콕시디아 (Coccidia), 아리메리카 종 (Eimeria spp.), 네오스포라 칸니눔 (Neospora caninum), 톡소플라스마 원충 (Toxoplasma gondii), 지아르디아(Giardia), 디로필라리아 (사상충) (Dirofilaria (heartworms)), 구충과 (구충) (Ancylostoma (hookworms)), 트리파노라마 종 (Trypanosoma spp.), 리슈마니아 종 (Leishmania spp.), 트리코모나스 종 (Trichomonas spp.), 작은와포자충 (Cryptosporidium parvum), 바베시아 (Babesia), 주협흡충 (Schistosoma), 태니아 (Taenia), 분선충류 (Strongyloides), 회충 (Ascaris), 선모충 (Trichinella), 근육포자충 (Sarcocystis), 함몬디아 (Hammondia), 또는 이소프소라 (Isopsora),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이다. 양태에서 기생충은 참진드기 (Ixodes), 뿔진드기 (Rhipicephalus), 가죽진드기 (Dermacentor), 참진드기 (Amblyomma), 프빌루스 (Boophilus), 히얄로마 (hyalomma) 또는 피참진드기 종(Haemaphysalis species),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진드기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 암은 악성 또는 비-악성 암일 수 있다. 암 또는 종양은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담도암(biliary tract cancer); 방광암 (bladder cancer); 뇌암 (brain cancer); 유방암(breast cancer); 자궁경부암 (cervical cancer); 융모암 (choriocarcinoma); 대장암 (colon cancer); 결장암 (colorectal cancer); 자궁내막암 (endometrial cancer); 식도암 (esophageal cancer); 위암 (gastric cancer); 교모세포종 (gliobastoma); 상피의 신생물 (intraepithelial neoplasms); 림프종 (예를 들면 소포성 림프종) (lymphomas (for example, follicular lymphoma)); 간암 (liver cancer); 폐암 (예를 들면, 소세포 및 비-소세포) (lung cancer (for example, small cell and non-small cell)); 백혈병 (예를 들면, 모발세포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피부 T-세포 백혈병); 흑색종 (예를 들면, 악성 흑색종); 다발성 골수증 (multiple myeloma); 신경아세포종 (neuroblastomas); 구강암 (oral cancer); 난소암 (ovarian cancer); 췌장암 (pancreas cancer); 전립선암 (prostate cancer); 직장암 (rectal cancer); 신장암 (renal cancer); 육종 (sarcomas); 피부암 (skin cancer); 고환암 (testicular cancer); 갑상선암 (thyroid cancer); 및 신장암 (renal cancer)뿐만 아니라, 다른 암종 및 육종 (예를 들면 편피상피암 (squamous cell carcinoma), 신장암 (renal cell carcinoma), 전립선 암종 (prostate carcinoma) 방광 암종(bladder cell carcinoma), 또는 결장암 (colon carcinoma))
투여 방식(mode) 및 투여량(dose)
치료에서 이용을 위해, 치료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면역원성 조성물이 개체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임의의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투여의 바람직한 경로는 비경구적(예를 들면 근육내, 피하의, 진피내의, 정맥 주사), 피부에 국소적(예를 들면 경피의) 또는 점막(예를 들면, 경구, 비강내, 질내, 직장 내, 트랜스-볼(trans-buccal), 안구내 또는 설하(sublingual))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암의 치료의 경우, 이는 종양 내 투여(intra-tumor administr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서, 면역원성 조성물의 "유효량"은 요망된 생물학적 효과를 달성하기에 필요한 또는 충분한 양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유효량의 면역원성 조성물은 미생물의 감염 또는 조양을 제거하기에 필요한 양일 수 있다. 백신 아쥬반트로서 이용을 위한 유효량은 개체의 백신에 대한 면역 반응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양일 수 있다. 상기 유효량은 다음의 변수에 의존하여 달라질 수 있다: 치료될는 질병 또는 질환, 투여된 특정 면역원성 조성물, 질병 또는 질환의 개체의 나이 또는 중증도.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과도한 실험 없이 특정 면역원성 조성물의 유효량을 실증적으로 결정할 수 잇다.
면역원성 조성물은 단일 투여 식이(single dosage regimen), 또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투여 식이로 투여될 수 있다. 즉, 면역서어 조성물을 접족하는 주요 과정은 1-10 개별 투여 및 면역 반응을 유지하고/유지하거나 강화시키기 위한 필요에 따른 잇따른 간격에서, 예를 들면 1-4달 후 두번째 투여 및 요망된다면 수 달 또는 년 후 잇따른 투여에서, 다른 투여의 잇따른 투여이다.
약물 식이(intramuscular)는 또한 개별적인 필요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되고 의학적 스태프의 판단에 의존한다. 적절한 면역화 식이의 예시는 다음을 포함한다: 첫번째 투여, 연이은 7일 및 6달 사이의 두번째 투여 및 임의로 첫번째 접종 후 1달 및 2년 사이의 세번째 투여; 또는 보호적인 면역서을 부여하기에 바람직한, 바이러스를 중성화시키는 항체 역가(titer)를 끌어내기에 충분한 다른 스킴, 예를 들면 소아과 면역원성 조성물에서 설립된 접종 스킴에 대응하는, 다른 스킴. 만족스러운 보호적 면역성은 특정된 간격(예를 들면 매 2년)에서 주어진 강화된 투여를 보충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원성 조성물은 주사, 정제, 분말, 과립, 캡슐, 경구 용액, 연고, 크림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제약의 다양한 투여 형태는 약학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제형에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약학 분야에서 통상적인 희석제, 부형제, 충전제(filler), 바인더, 습윤제, 붕해제, 흡수강화제(absorption enhancer), 계면활성제, 흡착 담체, 윤활제,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면역원성 조성물을 조직적으로 전달하기에 바람직한 때, 이들이 주사(예를 들면 덩어리(bolus) 또는 점적주사(instillation))에 의해 비경구적 투여를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체의 발바닥(sole), 피하의, 근육의, 복부의 및 비점막이 면역화를 위해 주사될 수 있다. 주사를 위한 제형은 단위 투여 형태에서, 예를 들면 앰플에서, 또는 방부제가 부가된 다수-투여 용기에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성물은 유상 또는 수용액 비히클 중의 현탁액, 용액 또는 에멀젼의 형태로 취해질 수 있고 현탁화제(suspending agent),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제형화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더 설명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된 구현예와 함께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떠한 방식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함을 주의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다음의 약어가 사용된다:
Figure pct00150
Figure pct00151
생물 실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사용된 실험 동물은 마우스들이며, 마우스들의 스트레인(strain of the mice)은 C57B/6였다. 쥐들을 Beijing Vital River Laboratory Animal Technology Co., Ltd.에서 구매했고, Tsinghua University Biomedical Testing Center의 SPF Animal Room에서 보관했다.
생물학 실시예
본 발명자들은 처음으로 메발로네이트 경로와 연관된 효소가 아쥬반트의 이상적인 설계를 위한 표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및 증명했고 메발로네이트 경로 내 관여하는 모든 효소의 억제제와 같은 단백질의 제라닐제라닐화 영향이 백신 또는 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사용을 위한 아쥬반트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생물 실험을 통해 이러한 관점을 증명했다.
실시예 1
마우스 내의 아쥬반트로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스타틴 화합물)효과의 결정
메발로네이트 경로에서, HMG-CoA 환원효소는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 코엔자임 A (HMG-CoA)의 메발로네이트로의 환원을 촉매 작용하는 반면,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즉 스타틴 화합물)는 HMG-CoA 환원효소의 작용을 억제한다.
본 발명자들은 아쥬반트로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실시예에서 스타틴 화합물을 사용했다. 이러한 어세이에서, 마우스를 면역화시키는 아쥬반트로서 스타틴 화합물의 효과가 조사되었다.
이 어세이에서, 임상적 실시에서 주로 사용되는 8개의 스타틴 약물을 사용했다. 이러한 8개 스타틴 약물은 프라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메바스타틴, 로바스타틴, 심바스타틴이다.
물질 공급원: 심바스타틴는 Tianjin Heowns Biochemical Technology Co., Ltd.로부터 구매되었다; 메바스타틴 및 로바스타틴은 Aladdin company 로부터 구매되었다; 프라바스타틴 및 아토르바스타틴은 Energy Chemical company 로부터 구매되었다, 플루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및 로수바스타틴은 Huazhong Weihai company 로부터 구매되었다; OVA (오브알부민) 항원은 Sigma-Aldrich 로부터 구매되었다.
OVA 평가 시스템은 항체 역가에서 아쥬반트 활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계란 알부민으로도 알려진 오브알부민은 약 43 kD의 분자량을 갖고 항체 역가에서 도구 단백질(tool protein)으로 주로 사용된다.
실험 방법: 스타틴 각각을 OVA 항원과 1:1로 혼합하고 스타틴과 OVA 모두 농도는 10 mg/ml였다. C57B/6 스트레인의 마우스를 사용했다. 실험군의 마우스를 각 스타틴 및 OVA 항원의 수득된 혼합물을 발바닥 주사를 통해 각 마우스에 20 ㎕ 주사했다. 대조군의 마우스를, PBS 또는 DMSO (10 ㎕)와 10 ㎕ OVA 항원 (PBS 또는 DMSO은 각각 10 ㎕, 항원은 10 ㎕)의 1:1 혼합물을 각 마우스에 20 ㎕ 주사했다. 면역화 후 7일 및 24일에, 마우스의 눈확(orbit)으로부터 혈액을 취하고 각 마우스에서 100 ㎕를 취했다. 수득된 혈액을 하룻밤 동안 4℃에 두었고 8분 동안 6000 rpm으로 원심분리했다. 상층액 혈청을 제거하고 혈청 내 항-OVA IgM 및 IgG 항체의 역가를 결정했다.
OVA 항체 역가 시험: OVA 단백질을 pH 9.6의 카보네이트 용액으로 2 ㎍/ml의 농도로 희석했고, 웰 당 50 ㎕에서 96-웰 ELISA 플레이트 내에 코팅했고, 하룻밤 동안 4℃에 두었다. ELISA 플레이트를 0.05% 트윈 20를 함유하는 PBS로 5번 세척하고, 웰 당 200 ㎕에서 1% BSA 용액으로 블락하고(block),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했다. ELISA 플레이트를 PBST(트윈과 인산완충생리식염수)로 5번 세척하고, OVA로 면역화된 후 마우스 혈청의 2-배의 일련의 희석액을 웰당 50 ㎕로 가하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했다. ELISA 플레이트를 PBST로 5번 세척한 후, HRP (겨자무과산화효소)-표지된 염소-항-마우스 IgM 또는 IgG 항체를 가하고 45분 동안 실온에서 배양했다. ELISA 플레이트를 PBST로 5번 세척하고 소듐 시트레이트 OPD (o-페닐렌디아민)의 전개 용액을 가했다. 어둠 속에서 색 전개 10분 후, 황산을 반응을 종결시기키 위해 가했다. 기록을 ELIASA OD490로 수행했다.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광흡수 비율이 ≥ 2.0였을 때의 최대 혈청 희석 인자가 혈청 내 항-OVA 항체의 역가였다.
도 2 내에 결과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스타틴 약물, 예컨대 플루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 및 메바스타틴이 처리된 마우스 내에서, 대조군 내의 PBS 또는 DMSO 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할 때 현저하게 높은 역가의 IgM 및 IgG 항체를 생성했고, 여기서 특히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 및 메바스타틴이 가장 현져하게 아쥬반트 효과를 가졌다. 일부 스타틴 화합물의 효과가 현저하지 않았고, 아마도 생체 내에서 낮은 생체이용가능성, 예를 들면 낮은 용해도 및 흡수로 인한 것 같다. 이러한 화합물의 약물동력학적 특성을 조절함에 의해서 더 좋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예를 들면 염, 에스테르 또는 프로드러그를 형성함 또는 알루미늄 염을 형성함).
그러므로, 상기 연구는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가 항원에 의해 유발된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강화하기 위한 아쥬반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마우스 내 아쥬반트로서 FPPS 억제제의 효과 결정
메발로네이트 경로에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FPPS)는 디메틸 알릴 피로포스페이트 (DPP)로부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FPP)의 형성을 촉매작용하는 반면, FPPS 억제제는 FPPS의 작용을 억제한다. 본 발명자들은 마우스를 억제하기 위한 아쥬반트로서 FPPS 억제제의 효과를 조사했다. 비스포스폰산 화합물이 FPPS 억제제로서 가능성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다음의 어세이에서, 다양한 비스포스폰산 화합물의 아쥬반트 효과를 조사했다.
(1) 마우스에서 아쥬반트로서 TH-Z80 시리즈의 화합물의 효과
TH-Z80 시리즈의 화합물은 새롭게 합성된 비스포스폰산 화합물이고, 이의 구조는 아래에 나타나 있다.
먼저, FPPS 표적에 대한 TH-Z80 시리즈의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참조문헌(Sanders, J.M., 등, Pyridinium-1-yl bisphosphonates are potent inhibitors of farnesyl diphosphate synthase and bone resorptio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05. 48(8): p. 2957-2963.)에서 인간화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humanized farnesyl pyrophosphate synthase; HsFPPS)를 위한 정제 방법과 참고문헌(Zhang, Y., 등, Lipophilic Bisphosphonates as Dual Farnesyl/Geranylgeranyl Diphosphate Synthase Inhibitors: An X-ray and NMR Investig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09. 131(14): p. 5153-5162.)에서 효소 활성 시험 방법을 참고하여 결정했다.
측정 방법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시험관 내에서 N-말단에서 6개의 연속적인 히스타민(His)을 갖는 HsFPPS의 발현을 유도하고 수집하고 Ni 칼럼으로 정제했다. 시험관 내 HsFPPS 효소 활성 어세이를 웰당 200㎕의 용액을 갖는 96-웰 플레이트 내에서 수행했다. 완충 시스템은 25 mM HEPES, 2.5 mM MgCl2, pH 7.4였다. 반응 기질로 DMAPP 및 IPP을 이용하여, 360 nm의 파장에서 UV 값의 변화를 인산 분해효소 시스템 중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했다. ORIGIN 8.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플롯하고 맞췄다(fit). TH-Z80 시리즈 화합물에 의한 FPPS의 억제에 대한 IC50 값을 아래 표에 리터 당 마이크로몰(μM)로 나타냈다.
Figure pct00152
상기 데이터로부터 TH-Z80 시리즈의 화합물이 FPPS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FPPS의 억제제로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에 설명된 것과 같은 OVA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마우스 내에서 TH-Z80 시리즈의 화합물들 및 동일한 모체에서 사이드 체인의 치환이 없는 화합물 BPH-266의 아쥬반트 효과를 결정했다. 각 시험 화합물을 2 mg/ml의 농도에서 제형화했고 OVA 항원의 농도는 2 mg/ml였다. 각 화합물을 OVA와 1:1로 혼합했다. 실험군 내 각 C57B/6 마우스를 오른쪽 넓적다리(thigh)에서 근육내 주사아ㅔ 의해 100 ㎕의 혼합물(50 ㎕의 항원 및 50 ㎕의 화합물을 함유함)을 주입했다.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마우스의 눈확으로부터 혈액을 취했고 각 마우스에서 100 ㎕를 취했다. 수득된 혈액을 4℃에서 하룻밤동안 세워 두었고(allow to stand) 8분 동안 6000 rpm에서 원심분리했다. 상층액 혈청을 제거하고 혈청 내 항-OVA IgM 및 IgG의 역가를 결정했다. 실험의 결과를 도 3 내에 나타냈다.
여기서 BPH-266 화합물(다음의 참조에서 화합물 8을 참고한다: Ling, Y., 등, Bisphosphonate Inhibitors of Toxoplasma gondi Growth: In Vitro, QSAR, and In Vivo Investigations.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05. 48(9): p. 3130-3140.] 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153
.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TH-Z80 시리즈의 화합물이 처리된 마우스는 현저하게 높은 역가를 갖는 IgM 및 IgG 항체를 생산했고, 여기서 TH-Z80, TH-Z81, TH-Z152, 및 TH-Z153이 가장 현저한 아쥬반트 효과를 가졌다.
그러므로, 상기 어세이는 FPPS의 가능성 있는 억제제, 즉 본 출원의 TH-Z80 시리즈의 화합물이 항원에 의해 유발된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강화하기 위한 아쥬반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켰다.
(2) 마우스 내 아쥬반트로서 TH-Z97 시리즈의 화합물의 효과
TH-Z97 시리즈의 화합물은 새롭게 합성된 비스포스폰산 화합물이었고, 이의 구조는 아래에 나타나 있다.
먼저, 본 발명자들은 HsFPPS (인간화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활성 어세이를 수행했고, FPPS 표적에 대한 TH-Z97 시리즈의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결정했다. 상기에서 설명된 TH-Z80 시리즈의 화합물에서 테스트한 것과 동일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FPPS의 억제하는 TH-Z97 시리즈 화합물의 IC50 값을 아래 표에 리터 당 마이크로몰(μM)로 나타냈다.
Figure pct00154
상기 데이터로부터 TH-Z97 시리즈의 화합물이 FPPS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FPPS의 억제제로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에 설명된 것과 같은 OVA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마우스 내에서 TH-Z97 시리즈의 화합물들의 아쥬반트 효과를 결정했다. 결과를 도 4 내에 나타냈다.
도 4 내에 나타난 것과 같이, TH-Z97 시리즈의 화합물이 처리된 마우스는 대조군 내의 PBS 처리된 마우스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역가를 갖는 IgG 항체를 생산했다.
그러므로, 상기 어세이는 FPPS의 가능성 있는 억제제, 즉 본 출원의 TH-Z97 시리즈의 화합물이 항원에 의해 유발된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강화하기 위한 아쥬반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켰다.
(3) O-아미노피리딘 화합물 및 HsFPPS (인간화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에 대한 이들의 활성의 시험 데이터
본 발명자들은 HsFPPS (인간화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에 대한 일부 새롭게 합성된 O-아미노피리딘 비스포스폰산 화합물의 활성을 시험하고 FPPS 표적에 대한 이들 화합물들의 억제 활성을 결정했다. 상기에서 설명된 TH-Z80 시리즈의 화합물에서 테스트한 것과 동일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FPPS의 억제하는 이들 화합물의 IC50 값을 아래 표에 리터 당 마이크로몰(μM)로 나타냈다.
Figure pct00155
상기 데이터로부터 O-아미노피리딘 비스포스폰산 화합물이 FPPS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FPPS의 억제제로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마우스 내 이러한 O-아미노피리딘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예를 들면 TH-Z93)의 아쥬반트 효과가 다음의 시험 (4)에서 보여졌다.
(4) 마우스 내 아쥬반트로서 다른 FPPS 억제제 화합물의 효과
이 어세이에서,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OVA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마우스 내에서 임상 실시에서 흔히 사용되는 8개의 비스포스폰산 화합물 및 본 발명의 TH-Z80 및 TH-Z93 화합물의 아쥬반트 효과를 결정했다. 본 발명에서 합성한 신규한 비스포스폰산 화합물의 아쥬반트 활성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비스포스폰산 약물과 비교했다. 8개의 비스포스폰산 화합물은 졸레드론산 (졸레드로네이트), 파미드론산 (파미드로네이트), 알레드론산(알레드로네이트), 이반드론산 (이반드로네이트), 네리드론산 (네리드로네이트), 리세드론산 (리세드로네이트), 올파드론산 (올파드로네이트), 및 미노드론산 (미노드로네이트)였다. 이러한 화합물을 본 명세서에서 이의 전체가 참조로 포함되는, 다음의 문서를 참조로 하여 합성했다: Zhang, Yonghui, Annette Leon, Yongcheng Song, Danielle Studer, Christa Haase, Lukasz A. Koscielski and Eric Oldfield. "Activity of Nitrogen-Containing and Non-Nitrogen-Containing Bisphosphonates on Tumor Cell Lines."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06: 5804-5814.
방법: 각각의 시험 화합물(상기에서 설명된 10개의 비스포스포네이트)을 OVE 항원과 1:1로 혼합하고 비스포스폰산 및 OVA의 농도는 모두 10 mg/ml였다. C57B/6 스트레인의 마우스를 사용했다. 시험군 내 마우스에 각각의 시험 화합물과 OVA 항원의 혼합물을 발바닥 주사를 통해 주사했고, 여기서 OVA 항원과 각 시험 화합물의 양은 모두 100 ㎍였다. 대조군의 마우스에 10㎕ PBS 및 10㎕ OVA 항원의 1:1 혼합물을 발바닥 주사를 통해 주사했다.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 마우스의 눈확으로부터 혈액을 취했고 100㎕를 각 마우스로부터 취했다. 수득된 혈액을 4℃에서 하룻밤 동안 두었고, 8분 동안 6000 rpm에서 원심분리했다. 상층액 혈청을 제거했고 혈청 내 항-OVA IgM 및 IgG의 역가를 결정했다.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시험 화합물이 처리된 마우스 내에서, 대조군의 PBS 처리된 마우스에 비해 높은 역가를 갖는 IgM 및 IgG 항체가 생성되었고, 여기서 본 발명의 TH-Z80 및 TH-Z93 화합물이 가장 현저한 아쥬반트 효과를 보였다. 예를 들면, 도 5로부터,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본 발명의 TH-Z80 및 TH-Z93 화합물이 처리된 마우스 내 IgM 및 IgG 항체의 역가가 대조군의 PBS 처리된 마우스 내의 항체 역가보다 5배 이상 높았다. 또한, 본 발명의 TH-Z80 및 TH-Z93 화합물의 아쥬반트 효과는 임상적 실시에서 흔히 사용되는 임의의 8개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비스포스폰산 화합물보다 더 높다.
어세니 (1) 내지 (4)는 FPPS 억제제가 아쥬반트로서 역할하고 항원으로부터 유도된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나타냈다.
실시예 3
(1) 마우스 내 아쥬반트로서 GGPS 억제제의 효과의 결정
메발로네이트 경로에서,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GGPPS)는 FPP로부터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GGPP)의 형성을 촉매작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마우스의 면역화를 위한 아쥬반트로서 GGPPS 억제제의 역할을 조사했다.
화합물 TH-Z144 및 TH-Z145은 상기에 이의 구조가 나타난, 본 발명자들에 의해 합성된 새로운 비스포스폰산 화합물이었다.
GGPPS상의 화합물 TH-Z144 및 TH-Z145의 억제 활성을, 참조문헌(Szabo, C.M., 등, Inhibition of Geranylgeranyl Diphosphate Synthase by Bisphosphonates and Diphosphates: A Potential Route to New Bone Antiresorption and Antiparasitic Agents.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02. 45(11): p. 2185-2196.)에서 인간화된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humanized farnesyl pyrophosphate synthase; HsFPPS)를 위한 발현 및 정제 방법과 참고문헌(Zhang, Y., 등, Lipophilic Bisphosphonates as Dual Farnesyl/Geranylgeranyl Diphosphate Synthase Inhibitors: An X-ray and NMR Investig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09. 131(14): p. 5153-5162.)에서 효소 활성 시험 방법을 참고하여 시험했다. 활성 시험의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156
상기 데이터로부터 화합물 TH-Z144 및 TH-Z145이 GGPPS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GGPPS의 억제제로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에 설명된 것과 같은 OVA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마우스 내에서 TH-Z144 및 TH-Z145의 아쥬반트 효과를 조사했다.
방법: TH-Z144 및 TH-Z145을 10 mg/ml의 농도에서 제조했고, OVA 항원의 농도 또한 10 mg/ml였고 화합물 및 항원을 1:1로 혼합했다. C57B/6 스트레인 마우스를 사용했다. 실험군 내 각 마우스에 시험 화합물 및 OVA 항원을 오른쪽 발바닥(sole)에서 시험 화합물 및 OVA 항원의 20㎕ 혼합물, 즉 100 ㎍ (10㎕)의 아쥬반트 및 100㎍ (10㎕)의 항원 OVA을 주사했다. 대조군의 마우스에 10㎕의 PBS 및 10㎕의 OVA 항원의 1:1 혼합물을 발바닥 주사를 통해 주사했다.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마우스의 눈확으로부터 혈액을 취했고 각 마우스에서 100㎕를 취했다. 취해진 혈액을 하룻밤 동안 4℃에서 두었고 이어서 혈청을 분리했다. 혈청 내 항-OVA IgM 및 IgG 항체의 역가를 결정했다. 결과를 표 6 내에 나타냈다.
도 6 내 결과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시험 화합물 TH-Z144 및 TH-Z145이 처리된 마우스 내에서 대조군의 PBS 처리된 마우스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역가를 갖는 IgM 및 IgG 항체가 생성되었다. GGPPS 억제제가 아쥬반트로서 작용하고 항원에 의해 유발된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
(2) 마우스 내 아쥬반트로서 FPPS 및 GGPPS의 이중 억제제의 효과
화합물 BPH-716 및 BPH-1222이 FPPS 및 GGPPS의 이중 억제제로서 보고되어 왔으며(참고문헌: Zhang, Y., 등, Lipophilic pyridinium bisphosphonates: potent γδ T cell stimulators. Angewandte Chemie, 2010. 122(6): p. 1154-1156., Zhang, Y., 등, Chemo-Immunotherapeutic Antimalarials Targeting Isoprenoid Biosynthesis. ACS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13. 4(4): p. 423-427), 다음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157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OVA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BPH-716 및 BPH-1222의 아쥬반트 효과를 조사했다. 결과는 도 7a 내지 d에 나타난다.
도 7a 내지 d에 나타난 것과 같이,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BPH-716 및 BPH-1222이 처리된 마우스에서 시험 화합물이 처리된 마우스 내에서, 대조군의 PBS 처리된 마우스에 비해 높은 역가를 갖는 IgM 및 IgG 항체가 생성되었다 (BPH-716 및 BPH-1222을 시험하기 위해 사용된 항원은 합텐(hapten), 4-하이드록시-3-니트로페닐아세틸 (NP로 약칭)이고, 마우스를 BPH-716 및 BPH-1222과 혼합된 NP33-KLH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 (Keyhole limpet hemocyanin; KLH)에 결합된 니트로벤젠)으로 면역화함;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혈청 내 NP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의 역가를 NP33-BSA (nitrobenzene attached to bovine serum albumin (BSA)로 측정함). 구체적인 실시 및 시험 방법은 OVA 면역화 및 시험과 동일함).
그러므로, 상기 어세이는 FPPS 및 GGPPS 모두에 대한 이중 억제제는 면역글로불린의 역가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증명하는 어세이는, 아쥬반트로서 좋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항원에 의해 유발된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강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현존하는 아쥬반트와 아쥬반트로서의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FPPS 억제제, 및 GGPPS 억제제의 활성 비교
실시예 1에서 설명된 OVA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심바스타틴), FPPS 억제제 (TH-Z80 및 TH-Z93), 및 GGPPS 억제제 (TH-Z145)와, 알려진 흔한 아쥬반트 (PEI, 이미퀴모드, 알루미늄 아쥬반트, MF59, IFA 및 CFA)의 아쥬반트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특히, 이러한 아쥬반트가 처리된 마우스에서 IgG 역가 및 항체 친화력을 부스트(boost) 후에 시험했다.
항체 친화력(Antibody affinity)은 항원의 에피토프(epitope)에 결합하는 항체의 세기를 가리키며, 항체를 평가하는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항체-형성 세포 자체의 유전자 변형(gene mutation) 및 B 세포 클론을 위한 항원의 선택적인 활성화로 인한 것이다. 신체의 작용 단계는 장시간 진화 및 외부 환경에 대한 연속적인 적응의 결과이며, 이는 신체의 방어에 대한 매우 큰 중요성이고 자가 면역 모니터링의 유지이다. 시험관 내 시험에서, 항체의 친화력은 소듐 티오시아네이트에 의한 항원-항체 결합을 방해함에 의해 결정된다. 항체 친화력의 결정은, 소듐 티오시아네이트가 항원 및 항체의 결합을 방해할 수 있고, 항체의 더 큰 친화력인, 소듐 티오시아네이트의 더 높은 농도가 항원 및 항체를 해리시키기 위해 필요하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항체의 친화력이 더 크다면 아쥬반트의 효과가 더 크다.
물질 공급원: PEI (폴리에틸렌이민)는 Lebost (Beijing) Technology Co., Ltd.로부터 구매했고, 이미퀴모드는 Yeasen Biological Technology Co., Ltd., Shanghai 로부터 구매했고, 알루미늄 아쥬반트는 Thermo Scientific 로부터 구매했고, IFA(불완전프로이트아쥬반트) 및 CFA (완전프로이트아쥬반트)는 Sigma-Aldrich 로부터 구매했다. MF59는 실험실에서 생성했고, 생성방법은 이의 전체가 본 발명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문헌 "The adjuvant effect of MF59 is due to the oil-in-water emulsion formulation, none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induce a comparable adjuvant effect.", Calabro S1, Tritto E, Pezzotti A, Taccone M, Muzzi A, Bertholet S, De Gregorio E, O'Hagan DT, Baudner B, Seubert A. Vaccine. 2013 Jul 18; 31(33): 3363-9, which is incorporated by reference herein in its entirety를 참고로 할 수 있다.
방법: 각각의 시험 아쥬반트를 OVA 항원과 1:1로 혼합했고, OVA 항원의 농도는 2 mg/ml 및 50㎕의 부피로 혼합했다. 심바스타틴, TH-Z80, TH-Z93, TH-Z145, PEI 및 이미퀴모드를 각각 100㎍에서 사용했고; aluminum adjuvant, MF59, IFA (불완전프로이트아쥬반트) 및 CFA (완전프로이트아쥬반트)를 각각 50㎕로 사용했다. 사전에 혼합된 항원 및 아쥬반트를 마우스를 면역화하는데에 사용하기 전에 하룻밤동안 4℃에서 두었다. 각 시험 아쥬반트 및 OVA 항원의 혼합물의 100㎕로 시험군의 마우스를 근육내 주사로 면역화했다. 1:1의 비율로 혼합된 50㎕의 PBS 및 50㎕의 OVA 항원으로 대조군의 마우스를 주사했다.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 50㎍의 OVA 항원을 각각 면역화 촉진제(booster)로 사용했다. 3번째 면역화 후 7일에서, 마우스를 희생시켰고, 혈액을 위해서 혈청으로부터 분리하고 혈청 내 IgG 역가를 측정했다.
OVA 단백질을 pH 9.6의 카보네이트 용액으로 2㎍/ml의 농도로 희석했고, 웰당 50㎕에서 96-웰 ELISA 플레이트로 코팅했고 하룻밤 동안 4℃에 두었다. ELISA 플레이트를 0.05% 트윈 20를 포함하는 PBS로 다섯번 세척하고, 웰당 200㎕에서 1% BSA 용액을 막고(block),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했다. ELISA 플레이트를 PBST로 다섯번 세척하고 특정 희석물의 혈청을 가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희석물에서, PBS군은 희석하지 않고, 심바스타틴 군은 16-배 희석하고, TH-Z80 군은 16-배 희석하고, TH-Z93 군은 32-배 희석하고, TH-Z145 군은 16-배 희석하고, 이미퀴모드 군은 8-배 희석하고, PEI 군은 8-배 희석하고, 알루미늄 아쥬반트 군은 8-배 희석하고, MF59 군은 16-배 희석하고, 불완전 프로이트 아쥬반트 군은 32-배 희석하고, 완전 프로이트 아쥬반트 군은 64-배 희석했다. 소듐 티오시아네이트를 가하기 전에, 희석된 혈청 중의 항-OVA IgG 형 항체의 양과 동일하고 웰당 50㎕으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했다. PBST로 다섯번 ELISA 플레이트를 세척한 후, 10mM, 9.5mM, 9mM, 8.5mM, 8mM, 7.5mM, 7mM, 6.5mM, 6mM, 5.5mM, 5mM, 4.5mM, 4mM, 3.5mM, 3mM, 2.5mM, 2mM, 1.5mM, 및 0.5mM 소듐 티오시아네이트를 웰당 50㎕에서 각각 가했고 실온에서 30분동안 배양했다. PBST로 다섯번 ELISA 플레이트를 세척한 후, HRP-표지된 염소-항-마우스 항체를 웰당 50㎕에서 각각 가했고 실온에서 45분동안 배양했다. ELISA 플레이트를 PBST로 다섯번 세척하고, 소듐 시트레이트 OPD의 색 전개 용액을 가했다. 어둠 속에서 색 전개 10분 후, 황산을 가해 반응을 종결시켰다. ELIASA의 기록에 따라,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소듐 티오시아네이트의 IC50를 계산했다. IC50 값이 높을수록, 더 큰 항체 친화력이 면역화에 의해 생산했다.
도 8로부터 보여질 수 있듯이, 대조군의 PBS 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할 때, 아쥬반트로서 본 발명의 3가지 형태의 억제제(심바스타틴 TH-Z80, TH-Z93, 및 TH-Z145)가 처리된 마우스에서, 현저하게 높은 역가 및 항체 친화력를 갖는 IgG 항체가 생산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억제제가 IgG 항체 역가 및 항체 친화력 모두에서, PEI, 이미퀴모드, 알루미늄 아쥬반트, 및 MF59와 같은 흔히 공지된 아쥬반트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하다는 것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 결과가 당해 기술 분야에서 더 효과적인 아쥬반트의 개발을 촉질할 것이라고 믿는다.
실시예 1-4는 메발로네이트 경로에서 HMG-CoA 환원효소, FPPS, GGPPS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이 면역원성 조성물에서 아쥬반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하게 증명한다. 다시 말하면,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FPPS 억제제, GGPPS 억제제는 아쥬반트로서 작용하여 항원에 의해 유발된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메발로네이트 경로 내에서 다른 효소의 억제제가 아쥬반트로서 또한 작용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효소들은 티올라제 (아세토아세틸-CoA 전이효소), HMG-CoA 합성효소, 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포스포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메발로네이트-5-피로포스포네이트 탈카복실화효소,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이성질화효소 및 제라닐제라닐 전이효소 (I, II)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다양한 아쥬바트가 단백질의 제라닐제라닐화를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작용하는지 확인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본 발명자들은 메발로네이트 경로에서 스타틴과 같은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비스포스포네이트와 같은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및 비스포스폰산 화합물과 같이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포네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음성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IgG 항체의 역가 및 항체 친화력을 증가시키고, 면역원성 조성물 내에서 아쥬반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는 메발로네이트 경로 내 후속 효소(downstream enzyme)이고, 본 발명자들의 실험은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의 억제가 좋은 아쥬반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추가로 이러한 억제제가 메발로네이트 경로 내 단백질의 제라닐제라닐화를 억제함으로써 아쥬반트 효과를 발휘했다고 추측했다. 신호 변환(signal transduction)이 메발로네이트 경로 내 단백질의 후-변환된 변형 (즉 제라닐제라닐화)을 통해 수행된다면, 관련된 생물학적 거동이 제라닐제라닐화된 기질, 즉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GGPP) 또는 제라닐제라닐올 (GGOH)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즉, 제라닐제라닐화된 기질 (즉 GGPP 및 GGOH)가 외부에서 가해지고 나면, 이러한 억제제가 이들의 억제 효과가 효과적을 발위되지 않고 따라서 프레닐화된 단백질의 형성을 예방할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의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억제제가 제라닐제라닐화를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아쥬반트로서 기능하지는지 아닌지를 입증하기 위해 아쥬반트 + OVA + GGPP (또는 GGOH)을 설계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심바스타틴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TH-Z93 (FPPS 억제제), 및 TH-Z145 (GGPPS 억제제)의 아쥬반트 활성에 대한 GGOH 및 GGPP의 효과를 조사했다.
A. GGPP 및 GGOH의 구출 실험(rescue experiment)
방법: 심바스타틴, TH-Z93 및 TH-Z145을 10 mg/ml의 농도에서 제형화했고; OVA 항원의 농도가 20 mg/ml였고; GGOH 및 GGPP를 각각 200 mg/ml, 100 mg/ml, 40 mg/ml 및 20 mg/ml의 농도에서 일련의 용액으로 제형화했다. 한편, 실험군에서, GGOH 또는 GGPP를 가하는 것 없이 면역화가 수행될 때 항체의 역가를 측정하는 동안, 10㎕의 시험 화합물 및 5㎕의 OVA 항원을 단지 혼합했다. 한편, GGOH 또는 GGPP를 가한 후 면역화가 수행될 때 항체의 역가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 10㎕의 시험 화합물, 5㎕의 OVA 항원 및 각각 5㎕의 농도의 GGOH 또는 GGPP를 혼합했고 오른쪽 발의 발바닥에서 주사에 의해 마우스의 면역화를 위해 사용되었다. 대조군의 마우스에 시험 화합물 및 GGOH 또는 GGPP의 부가 없이 PBS 및 항원만을 처리했다.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마우스의 눈획으로부터 혈액을 취했고 각 마우스에서 100㎕를 ㅜ치했다. 수득된 혈액을 4℃에서 하룻밤동안 두었다.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 내 항-OVA IgM 및 IgG 항체를 결정했다.
도 9-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대조군의 PBS-처리된 마우스 내 역가와 비교할 때, IgG 및 IgM 항체 역가가 GGPP 또는 GGOH의 첨가 없이 아쥬반트로서 본 발명의 심바스타틴, TH-Z93, TH-Z145이 처리된 마수으에서 현저하게 높았고, 아쥬반트로서 이들의 잠재적인 효과를 확인시켰다. 그러나, GGPP 또는 GGOH의 첨가 후, 아쥬반트로서 시험 화합물이 처리된 마우스 내에서 생산된 IgG 및 IgM 항체의 역가가 현저하게 감소했고, GGPP 또는 GGOH의 더 많은 양이 첨가되고, 역가가 더 크게 감소했다. 1 mg GGPP의 첨가 후, 항체 역가가, PBS 단독 처리된 대조군에서 역가와 동일한 수준보다 훨씬 더 감소했다.
제라닐제라닐화된 기질 GGPP 및 GGOH 모두 효과적으로 심바스타틴, TH-Z93 및 TH-Z145이 아쥬반트 효과를 억제하여, 상기 화합물들이 단백질의 제라닐제라닐화를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아쥬반트로서 기능한다는 것을 가리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라닐제라닐화된 기질 GGPP 및 GGOH이 외인성으로(exgenously) 추가적으로 가해지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프레닐화된 단백질의 형성을 예방할 수 없고 따라서 아쥬반트로서 기능할 수 없다.
B. 선택적인 스쿠알렌 합성효소 억제제의 아쥬반트 활성의 연구
메발로네이트 경로에서, FPP의 생성으로부터 시작하는 많은 상이한 후속 경로, 예컨대 콜레스테롤의 형성이 존재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는 세포내 메발로네이트 경로를 막고 이로 인해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막음으로써 작용한다. 메발로네이트 경로 내 본 발명의 다양한 효소 억제제가 아쥬반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메발로네이트 경로의 후속 내 억제된 제라닐제레닐화로 인한 것이거나 또는 다른 후속 경로, 예컨대 콜레스테롤 합성의 억제로 인한 것인지에 대한 의심이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출원의 화합물이 콜레스테롤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작용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 선택적인 스쿠알렌 합성효소 (SQS) TH-Z66의 아쥬반트 효과를 조사했다. 스쿠랄렌 합성효소 (SQS) 억제제가 생체 내 콜레스테롤의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선택적인 스쿠랄렌 합성효소 (SQS) 억제제 TH-Z66은 다음의 참고문헌에 설명된 BRH-652이다: Liu CI 등 A cholesterol biosynthesis inhibitor blocks Staphylococcus aureus virulenc, Science, 2008 Mar 7; 319(5868): 1391-4. 이 참고문헌은 BPH-652이 콜레스테롤의 생체 내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선택적인 스쿠랄렌 합성효소 (SQS) 억제제라는 것을 증명했다. 이의 개시는 이의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TH-Z66는 이 참고문헌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합성되었다.
Figure pct00158
방법: TH-Z66을 10 mg/ml의 농도에서 제형화했고, OVA 항원을 또한 10 mg/ml의 농도에서 제형화했으며, 이들 둘을 1:1의 비율로 혼합했다. 각 마우스를 100 ㎍의 TH-Z66 및 100 ㎍의 항원을 포함하는 주사를 20 ㎕ 주사했다. 사용된 마우스는 C57B/6 스트레인이었다. 실험군의 마우스에서 오른쪽 발의 발바닥에서 주사했다. TH-Z66를 동일 부피의 PBS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하게 대조군의 마우스를 처리했다.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100 ㎕의 혈액을 마우스의 눈화으로부터 취했다. 수득된 혈액을 하룻밤동안 4℃에 두었고 이어서 혈청을 분리했다. 혈청 내 항-OVA IgM 및 IgG 항체의 역가를 결정했다.
도 12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본 연구는 SQS 억제제 TH-Z66가 처리된 마우스 내에서 생성된 IgG 및 IgM 항체의 역가가 대조군의 PBS-처리된 마우스 내 역가와 현저하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면역화 후 7일, SQS 억제제 TH-Z66가 처리된 마우스 내에서 생성된 IgG 항체의 역가는 대조군의 마우스에 비해 더 낮다. 이는 TH-Z66가 아쥬반트 효과를 갖지 않고, 이로 인해 아쥬반트 효과 면에서 본 출원의 화합물의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과에 영향을 배제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로부터, 메발로네이트 경로 내 본 발명의 억제제가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아쥬반트 효과를 발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 A 및 B는 메발로네이트 경로 내 본 발명의 억제제가 콜레스테롤 합성의 억제에 의한 아쥬반트 효롸를 발휘하지 않지만, 단백질의 제라닐제라닐화의 억제를 발휘함을 충분히 입증했다.
실시예 1-5의 연구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메발로네이트 경로 내 다양한 효소의 억제제가 아쥬반트로 작용하여 항원에 의해 도출된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강화시킬 수 있고 이러한 아쥬반트 효과는 단백질의 제라닐제라닐화를 억제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아쥬반트로서 본 발명의 억제제로 면역화한 후 림프절 내 세포의 보충(recruitment)
림프절은 면역화 반응에서 중요한 장소이다. 림프절은 다양한 형태의 면역 세포이 풍부하고, 이는 항원의 포집, 항원의 정보의 전달, 세포의 증식의 활성화를 촉진한다. 보통, B 림프구, T 림프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가 면역화 후 림프절에 보충된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아쥬반트로서 본 발명의 억제제로 면역화 후 림프절 내 세포의 보충을 연구했다.
방법: 실시예 1의 유사한 과정에 따라, OVA를 항원으로 사용했고, 3개의 억제제 화합물인 심바스타틴, TH-Z80, 및 TH-Z145을 아쥬반트로서 각각 가했다. OVA 하원 및 아쥬반트를 1:1로 혼합하고 피하 주사에 의한 마우스를 면역화하기 위해 사용했다. 면역화 후 24시간에서, 면역화에 대한 동축의(ipsilateral) 서혜부 림프절을 제거했고 100 메쉬 스크린을 통해 단일-세포 현탁액으로 분리했다. 유세포분석기를 사용하여 림프절 내 B 림프구, T 림프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의 부분 및 숫자의 변화를 판단했다. B 림프구의 표지는 B220였고, T 림프구의 표지는 CD3였고, 대식세포의 표지는 CD11b 및 F4/80였으며, 수지상세포의 표지는 CD11c였다.
도 13-1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아쥬반트의 첨가 후, 어떠한 처리 없는 대조군 (Ctrl)의 마우스 및 대조군의 PBS-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할 때, 아쥬반트로서 본 발명의 3개의 화합물(심바스타틴, TH-Z80, TH-Z145)로 처리된 마우스의 림프절 내 이러한 4개 세포의 부분 및 숫자가 현저하게 증가했다. 이는 본 발명의 이러한 아쥬반트 모두가 면역화 후 24시간의 이러한 세포의 림프절로의 이주를 매우 촉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아쥬반트로서 면역 반응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실시예 7
메발로네이트 경로의 억제제는 LPS에 대한 DC 반응을 강화한다
수지상 세포(DC)는 가장 가능성 있는 신체 내 항원-존재하는 세포이고 선천적인 면역성 및 조절된 면역성 사이의 간극을 연결한다. 수지상 세포는 표면 상에 항원이 존재하는 분자(MHC-I 및 MHC-II), 상호자극성 분자 (예컨대 CD80 및 CD86) 및 그와 유사한 것을 많이 발현해왔고 그 결과 강력한 항원-존재하는 세포가 된다. 수지상 세포는 경험없는(naive) T 세포를 활성화하고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종양은 다음의 방법으로 치료될 수 있다: 환자의 말초 혈액 내 수지상세포를 추출하거나, 말초 혈액 내 단핵구 세포를 분리하고 이어서 사이토카인을 가함으로써 수지상세포로 분화를 유도했다; 그리고 나서 종양 항원, 비활성화된 종양 세포, 종양 세포 용해물(lysate), 종양 항원의 DNA를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RNA,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수지상 세포에 주입했고, 일부 자극제를 가해서 이러한 수지상 세포를 자극하고 활성화시켜 더 보조-자극분자(co-stimulatory molecules)를 발현시키며, 그리고 나서 처리된 수지상 세포를 환자 내로 다시 전달했다.
본 발명의 아쥬반트는 시험관 내에서 LPS에 의한 수지상 세포의 자극을 강화시킬 수 있고, 또한 수지상 세포 백신에 적용될 수 있다. 신규한 DC 백신으로서 다음이 사용될 수 있다: 수지상세포는 이러한 아쥬반트로 미리-처리되고, 종양 항원, 비활성화된 종양 세포, 종양 세포 분해물, 종양 항원의 DNA를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종양 항원의 RNA의 첨가가 잇따른다; 또는, 이러한 항원 및 아쥬반트가 사용되어 수지상세포를 함께 자극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수지상 세포가 이러한 항원들과 처리되고, 이어서 아쥬반트가 가해진다.
방법: 마우스의 골수 세포를 제거하고 10 ng/ml 재조합 마우스 GM-CSF 및 IL-4을 가했다. 상기 혼합물을 7일 동안 시험관 내 유도(induction) 후 사용했다. 마우스의 분화된 골수-유도된 수지상 세포(BMDC)를 24 시간 동안 10㎛의 심바스타틴, TH-Z80, TH-Z145 및 TH-Z66로 처리했다. 이어서 100 ng/ml LPS를 가하여 자극했다. 24시간의 자극 후, 상층액을 얻고 이들 내 IL-6, IL-12p70 및 IL-1β를 어세이했다. 1μM에서 심바스타틴, TH-Z80, TH-Z93, TH-Z145 또는 2μM의 GGOH와 혼합된 이들의 아쥬반틀를, 웰당 50,000 세포로 96-웰 플레이트 내에 BMDC레 가했다. 24시간 후, 50 000 OT-I CD8 + T 세포 또는 OT-II CD4 + T 세포 및 100 ㎍/ml OVA 단백질을 가하고 72시간 동안 배양했다. 72시간 후, 세포의 상층액을 수집하고 상층액 중의 분비된 사이토카인 IL-6, IFN-γ 및 TNF-α을 측정했다.
사이토카인 어세이 참조 키트를 이바이오사이언스(ebioscience)로부터 구매했고 어세이 방법은 제품 매뉴얼에 따랐다. 이들의 사이토카인에 대한 포집 항체를 웰 당 100㎕로 하룻밤 동안 4℃에서 96-웰 ELISA 플레이트 상에 코팅했다. PBST로 5번 세척한 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블로킹 용액(blocking solution)으로 블로킹을 수행했다. PBST로 5번 세척한 후, 2배 희석된 세포 상층액을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했다. PBST로 5번 세척한 후, 방어 항체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했다. PBST로 5번 세척한 후, 아비딘-접합된 겨자무과산화효소를 가하고 실온에서 45분 동안 배양했다. PBST로 5번 세척한 후, 3,3",5,5"-테트라메틸벤지딘의 용액을 가하여 15분 동안 색을 전개하였다. 2몰의 황산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ELIASA OD450로 리딩(reading)을 수행했고 상층액 중의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스탠다드(standard)에 따라 계산했다.
상기 결과는 이러한 아쥬반트가 마우스골수-유도된 수지상세포 (BMDC)에 대한 자극 효과를 갖지 않지만, LPS에 의한 DC의 자극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러한 아쥬반트는 LPS를 도와 DC를 자극하여 IL-1β를 생산할 수 있으며(도 18-21, 및 도 38), 본 출원의 억제제는 면역 반응을 강화하고 수지상세포 백신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가리킨다.
실시예 8
아쥬반트로서 본 출원의 억제제로 면역화 한 후 림프절 내 항원-표시 세포에 의한 OVA의 섭취
면역 반응의 과정 내에서, T 세포 및 B 세포의 중심적인 역할에 더하여, 단핵구/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 또한, 우선적으로 항원을 가공하고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이들은 부세포 또는 A 세포라고도 알려진 항원 표시 세포 (APCs)라고 불린다. APC는 식균작용 또는 음세포 작용에 의해 항원을 삼키고 가공하고, 치료된 항원 에피토프-함유 폴리펩타이드 조각을 MHC 등급 II 분자(MHC class II molecules)와 결합하고 이어서 CD4+ TH 세포에 대한 표시를 위해 세포 표면에 이를 발현할 수 있다. 항원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주로 3가지 종류의 세포가 있다: 단핵구/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및 B 세포. 본 발명자들은 여기서 아쥬반트로서 본 발명의 억제제로 면역화 후 항원-표시 세포에 의한 OVA 항원의 섭취를 조사했다.
방법: OVA를 FITC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fluorescein isothiocyanate)로 표지시켰다. FITC-표지된 OVA를 본 발명의 3개의 화합물(심바스타틴, TH-Z80, 및 TH-Z145)과 혼합시켰다. 마우스를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 피하로 면역화시켰다. 면역화 후 24시간 후, 면역화에 대한 동축 림프절을 제거하고 단일 세포 현탁액에 분리했다. 유세포분석기를 사용하여 림프절 내 3개의 항원-표시 세포 내 함유된 FITC-OVA 세포의 비율을 판단했다. B 림프구의 표지는 B220였고, T 림프구의 표지는 CD3였고, 대식세포의 표지는 CD11b 및 F4/80였고, 수지상세포의 표지는 CD11c였다.
도 22내에서 알 수 있듯이, 어떠한 처리가 없는 대조군(Ctrl)의 마우스 및 대조군의 PBS-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할 때, 실험군 내 아쥬반트로서 본 발명의 3개의 화합물로 처리된 마우스의 림프절 내에서, FITC-양성 세포(B220, CD11c, F4/80)의 비율이 증가했고, 이는 본 발명의 모든 억제제가 림프절 내로 항원-표시 세포의 항원 섭취 또는 항원-표시 세포의 이주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며, 본 출원의 화합물이 아쥬반트로서 면역 반응을 강화한다는 것을 반영한다.
실시예 6-8은 본 발명의 억제제의 아쥬반트 효과가 항체 역가의 증가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면역 반응의 다양한 양태에 의해서 유지된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예를 들면 림프절 내 B 림프구, T 림프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의 보충을 강화시키고, LPS를 도와 DC를 자극하여 IL-1β를 생산하고, 항원 표시 세포에 의한 항원의 섭취를 촉진함에 의해서 유지된다는 것을 증명했다. 다음의 실험에서, 본 발명자들은 몇몇 특정 항원 상의 본 발명의 억제제의 아쥬반트 효과를 조사햇다.
실시예 9
상기 3개의 억제제는 점막 아쥬반트로서 작용하여 Mers 단백질을 촉진해서 생체 내 더 많은 항원을 생산할 수 있다
Mers 단백질(Jiang L 등, Potent neutralization of MERS-CoV by human neutralizing monoclonal antibodies to theviral spike glycoprotein. Sci Transl Med. 2014.04.30에서 인용되는 단백질의 발현 및 정제)을 20㎍의 양으로 사용했고, 본 발명의 각각의 3개의 화합물(심바스타틴, TH-Z80, TH-Z144)을 아쥬반트로서 100㎍의 양으로 사용했다. 마우스를 실시예 1의 것과 유사한 과정에 따라 비점막을 통해 면역화했다. 100 ㎍의 C48/80(점막 아쥬반트로 흔히 사용된 비만 세포 자극제)을 비교로 사용했다.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마우스 혈청 중의 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의 Mers 단백질에 대한 IgM 및 IgG 항체의 역가를 시험했다.
도 2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험군 내 아쥬반트로서 본 발명의 3개의 화합물로 처리된 마우스 내 모든 3개의 아쥬반트의 항체 역가가, 대조군의 PBS 처리된 마우스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고, 이는 본 발명의 억제제가 Mers 단백질을 도와 더 많은 항체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이들이 중동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백신 내 아쥬반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실시예 10
상기 3개의 억제제는 B형 간염 표면 항원 HbsAg을 촉진하여 더 많은 항원을 생산할 수 있다.
20 ㎍의 B형 간염 항원 (HBsAg, Tiantan Biological Products Co., Ltd., Beijing로부터의 기부)을 항원으로 사용했다. 100 ㎍의 본 발명의 각각의 3개 화합물 (심바스타틴, TH-Z80, TH-Z144)을 아쥬반트로서 가했다. 실시예 1과 유사한 과정에 따라 근육 내 주사에 의해 마우스들을 면역화했다.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마우스 혈청 중의 항-HBsAg 단백질 IgM 및 IgG의 역가를 측정했다.
도 24로부터 실험군 내에서 아쥬반트로서 본 발명의 3개의 화합물이 처리된 마우스 내 모든 3개의 아쥬반트의 항체 역가가, 대조군 내 PBS 처리된 마우스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억제제가 B형 간염 표면 항원을 도와 더 많은 항체를 생산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이들이 B형 간염 백신 내 아쥬반트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실시예 11
흑색종을 위한 예방 백신의 제조
본 발명의 심바스타틴, TH-Z80, TH-Z93 및 TH-Z145을 아쥬반트로서 사용하고 OVA와 혼합시켰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따라 마우스들을 면역화했다. 주요 면역화를 위한 혼합물을 각각 100㎍의 OVA 단백질 및 100㎍의 아쥬반트(즉 상기 4개의 기질)를 포함했다. 피하 주사를 꼬리의 바닥에서 수행했다. 면역화하고 2주 후, 아쥬반트의 사용없이 꼬리 바닥에서 50㎍의 항원을 피하 주사함으로써 부스트를 수행했다. 두번째 면역화하고 2주 후, 꼬리 바닥에서 50㎍의 항원을 피하 주사함으로써 부스트를 수행했다. 세번째 면역화하고 2주 후, 3*105 B16-OVA(OVA를 안정하게 발현하는 B16 흑색종 세포,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of Suzhou University로부터 기부)를 마우스의 오른쪽 서혜부에서 피하로 접종했다. 매 2일마다 신체 무게 및 종양 부피로 마우스를 시험했다. 종양 부피를 식 길이*너비*너비/2을 사용하여 계산했다.
세포를 안정하게 세포감염시켜(transfect) 접종 전에 루시퍼라제(luciferase)를 발현했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293T 세포를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바이러스의 플라스미드로 세포감염시켰고, 세포감염하고 48 시간 후, 바이러스-함유 293T 세포 배양 상층액을 수집했다. B16-OVA 세포를 바이러스-함유 상층액으로 배양한 후, 상층액 내의 바이러스가 B16-OVA 세포를 감염시키고 루시퍼라제를 발현시켰다.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세포를 분류하고 팽창시켰다(expand).
접종 후 7일, 14일 및 21일에서, 3개의 마우스를 무작위적으로 각 군에서 취했고, 플루오세린 기질로 3mg/마우스로 주사했다. 주사하고 8분 후, 마우스들을 안락사시켰다. 종양 부피를 생체 내 영상장치(imager)로 관찰했다.
결과를 도 25 내에 나타냈다. 대조군의 PBS 처리된 마우스에 비교해서, 실험군의 아쥬반트로서 본 발명의 4개의 화합물이 처리된 마우스 내에서 흑색종 부피가 현저하고 감소했고, 이는 본 발명의 4개의 화합물이 흑색종을 위한 예방 백신에서 아쥬반트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실시예 12
흑색종 세포를 위한 치료 백신의 제조
3*105 (i.e., 300000) B16-OVA 종양 세포 (역시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of Suzhou University에 의해서 기부됨)를 C57B/6개 마우스들의 오른쪽 서혜부 내로 피하 접종했다. 접종 후 5일에서, 마우스들을 꼬리 바닥에서 100㎍의 OVA 단백질 및 100㎍의 아쥬반트(즉,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심바스타틴, TH-Z80, TH-Z93, 및 TH-Z145)를 함유하는 혼합물로 피하 접종했다. 첫번째 면역화하고 7일 후, 아쥬반트의 사용 없이 꼬리 바닥에서 50㎍의 항원을 피하 주사함으로써 부스트를 수행했다. 두번째 면역화하고 7일 후, 50㎍의 항원을 다시 부스트를 수행했다. 매 2일마다 신체 무게 및 종양 부피 면에서 마우스들을 시험했다. 식 길이*너비*너비/2를 이용하여 종양 부피를 계산했다.
실시예 11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해서 접종 전에 세포를 안전하게 세포감염시키고 루시퍼라제를 발현시키도록 두었다. 면역화 후 7일, 14일 및 21일에서, 각 군에서 3마리의 마우스들을 무작위적으로 취했고, 3 mg/마우스로 플루오레세린 기질로 주사했다. 면역화하고 8분 후, 마우스들을 안락사시켰다. 종양 부피를 생체 내 영상화 기기로 관찰했다.
상기 결과들을 도 26 내에 나타냈다. 대조군의 PBS 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할 때 실험군 내 아쥬반트로서 본 발명의 4개의 화합물들이 처리된 마우스 내에서 흑색종 부피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4개의 화합물들이 흑색종에 대한 치료 백신에서 아쥬반트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9-12는 본 발명의 억제제들이 임상적 백신, 예를 들면 중동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흑색종의 치료 및 예방 백신에서 아쥬반트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증명했고, 본 발명의 억제제들이 임상적 응용에서 넓은 가능성을 가짐을 제시한다.
실시예 13
상이한 면역 부위에서 아쥬반트 효과
OVA 항원을 아쥬반트로서 본 발명의 TH-Z80와 혼합하여 상이한 부분에서 마우스들을 면역화했다. 면역화 부위는 각각 마우스의 발의 발바닥, 피하, 근육, 복부 및 비점막이었다. 발의 발바닥 및 비점에서, 면역화를 위해 20㎕ 시스템을 사용했다. TH-Z80의 농도가 10 mg/ml이었고 OVA 단백질의 농도가 10 mg/ml이었다. 아쥬반트 및 항원을 1:1의 비율로, 즉 10㎕의 아쥬반트 및 10㎕의 항원을 혼합했다. 근육, 피하 및 복강 내 면역화에서, 100㎕ 시스템을 사용했다. TH-Z80의 농도는 2mg/ml이었고 OVA 단백질의 농도는 2mg/ml였다. 아쥬반트 및 항원을 1:1의 비율로, 즉 50㎕의 아쥬반트 및 50㎕의 항원을 혼합했다. 대조군의 마우스들을 OVA 항원과 혼합된 동일한 부피의 PBS로 면역화했다.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혈청 중의 IgM 및 IgG 항체의 역가를 실시예 1과 유사한 과정에 따라 결정했다.
도 27에서 알 수 있듯이, 면역화 부위와 관계없이, 대조군의 PBS-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할 때, TH-Z80군의 항체 역가가 현저하게 증가했다.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다양한 부위에서 주사에 의해 좋은 아쥬반트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실시예 14
FPPS 억제제 및 TLR 효능제의 결합된 아쥬반트 효과
이 어세이에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억제제 및 해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아쥬반트의 결합된 효과를 조사했고, 여기서 다른 아쥬반트는 이미퀴모드 (TLR 효능제)였다.
2개의 화합물, 즉 TH-Z93 및 이미퀴모드를 4 mg/ml의 농도에서 제형화했고, OVA 항원을 10 mg/ml의 농도에서 제형화했다.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5 ㎕의 TH-Z93 또는 이미퀴모드를 아쥬반트로서 가했고 10 ㎕의 항원 및 5 ㎕의 PBS와 혼합했다. 2개의 아쥬반트를 결합해서 사용했을 경우, 각 아쥬반트를 5 ㎕의 양으로 가했고 10 ㎕의 항원과 혼합했고 전체 부피는 20 ㎕였다. 사용된 마우스는 C57B/6 스트레인이었다. 어떠한 아쥬반트 없이 동일 부피의 PBS를 대조군의 마우스에게 사용했다. 마우스를 오른쪽 발의 발바닥에서 주사했다. 면역화 후 7일 및 14일에서, 마우스의 눈획으로부터 혈액을 취하고 각 마우스로부터 100㎕를 취했다. 수득된 혈액을 하룻밤 동안 4℃에 두었고 이어서 혈청을 분리했다. 혈청 중의 항-OVA IgM 및 IgG 항체의 역가를 결정했다.
도 28로부터 알 수 있듯이, 대조군의 PBS-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할 때, TH-Z93 또는 이미퀴모드 단독으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더 높은 역가를 갖는 항체가 생산되었다. TH-Z93 단독으로 처리된 마우스이 항체 역가는 이미퀴모드 단독으로 처리된 마우스의 것보다 현저하게 우수했다. 또한, 2개의 아쥬반트가 병용될 때, 신체 내에서 시너지 효과가 발생했다. 본 연구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억제제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른 아쥬반트와 벼용되어 면역 반응의 증가시키는 아쥬반트 효과의 정도를 더 크게 하는 작용할 수 있다.
실시예 15
화학식 IXX의 화합물의 활성 시험
표적에 대한 활성 시험
a: HsFPPS(인간화된 파르네실 피로포스포네이트 합성효소)에 대한 활성 시험
N-말단에서 6개의 연속적인 히스타민을 갖는 HsFPPs를 시험관 내에서 발현되도록 유도하고, 수집하고 Ni 칼럼으로 정제했다. 시험관 내에서 HsFPPs 효소 활성 어세이를 웰 당 200㎕에서 96-웰 플레이트에서 수행했다. 시스템의 완충액은 25 mM HEPES, 2.5 mM MgCl2, pH 7.4였다. 반응 기질을 DAPP 및 IPP로 사용하여, 360nm에서 UV의 변화를 포스페이트 분해효소 시스템 중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했다. ORIGIN 8.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점을 찍고(plot) 맞췄다(fit).
b: PvGGPPS (말라리아원충으로부터의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에 대한 활성 시험
N-말단에서 6개의 연속적인 히스타민을 갖는 PvGGPPs를 시험관 내에서 발현되도록 유도하고, 수집하고 Ni 칼럼으로 정제했다. 시험관 내에서 PvGGPPs 효소 활성 어세이를 웰 당 200㎕에서 96-웰 플레이트에서 수행했다. 시스템의 완충액은 25 mM HEPES, 2.5 mM MgCl2, pH 7.4였다.
반응 기질을 GPP 및 IPP로 사용하여, 360nm 연속적인 분광학적(continuous spectrophotometric) 검출을 포스페이트 분해효소 시스템 중에서 모니터했다. ORIGIN 8.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점을 찍고(plot) 맞췄다(fit).
결과는 아래 표 내에 나타나있다:
표: 상이한 표적에서 합성 화합물의 활성 결과
Figure pct00159
양성 대조군 화합물로 졸레드론산은 HsFPPS에 대해 약 100 nM의 IC50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많은 화합물은 HsFPPS에 대해 약 100 nM의 IC50 값을 갖는다. 반면, 본 발명의 화합물이 PvGGPPS 및 말라리아 모두에서 좋은 억제 효과를 갖는다.
세포 활성의 시험:
A: 말라리아원충 활성의 시험,
말라리아원충 팔시파럼(falciparum) 3D7을 10% 인간 O-형 혈액 혈청 및 25 mM HEPES와 혼합된 IPEM1640 배지로 배양했다. 배양 과정을 5% 이산화탄소 하에서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 중에서 유지했다. 시험관 내에서 약물 시험 실험을 96-웰 플레이트 상에서 수행했다. 시험 약물을 PBS 중에 용해시키고 완전 배지(complete medium)으로 사전-희석했다. 감염된 적혈구를 약물의 3-배 연속적인 희석액(3-fold serial dilutions) 중에서 72시간 동안 세배 복제로 배양했다(cultured in triplicate). 그리고 나서 동일 양의 SYBR-GREEN1를 각 웰에 가했다. 이어서 검출을 여기 광에 485 nm에서 방출광에 538 nm에서 수행했다.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 및 어떠한 약물 없는 대조군으로 비교를 관찰했다. ORIGIN 8.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점을 찍고(plot) 맞췄다(fit). 결과는 표 1 내에 나타났다.
B: MDA-MB-231 활성의 시험
시약 및 장치
DMEM 배지를 Gibco로부터 구매했다; 소태아혈청(FBS)을 BI로부터 구매했다; 이중-항생제(double-antibiotics)를 Beyotime로부터 구매했다; 0.25% 트립신-EDTA를 Gibco로부터 구매했다; MTT를 Ameresco로부터 구매했다; 원심분리기를 Anhui Chibest Technology Co., Ltd. 로부터 구매했다, 4℃ 냉동고를 Haier로부터 구매했다, -80℃ 냉동고를 Thermo company로부터 구매했다;
DMEM 완전 배지
10 ml의 태아 송아지 혈청을 90 ml DMEM 배지마다 가했다. 이중-항생제를 완전 배지를 만들기 위해 1:100에 따라 가했고, 4℃에서 저장했다.
1. MDA-MB-231 통과 세포의 소생법 (Resuscitation), 통과 및 동결보존
세포 소생: 동결보존 튜브를 액체 질소 탱크로부터 빠르게 제거하고, 트위저(tweezer)의 고정(claimping) 하에 37℃에서 물 중에 즉시 함침시키고, 완전히 녹은 후 깨긋한 벤치로 이동시켰다. 세포 현탁액을 흡입시키고 이중-항생제를 포함하는 3 ml의 DMEM 및 10% FBS를 가했다. 웰을 혼합한 후, 1000 r/분에서 3분동안 4℃에서 원심분리를 수행했다. 상층액을 버리고 10% FBS을 포함하는 적절한 양의 DMEM 매질을 희석액에 가하고, 세포를 0.5 Х 106 세포 / cm2의 밀도에서 배양 플라스크 중에 공급했다. 조심히 혼합한 후, 세포를 배양을 위해 37℃의 5% CO2 인큐베이터에 위치시켰다. 세포 소생 후 2일에서, 세포 형태학을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매질을 한번 교체하고 3일까지 배양했다. 통과 전,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가득찬(full) 세포 및 강한 굴절을 확인했다. 이들의 대수증식기(logarithmic growth phase) 내 세포를 시험했다.
세포 통과: 세포 통과를 위해, 매질을 먼저 버리고 이어서 세포를 실온에서 미리-가온된 PBS로 한번 씻어내고, 그리고 나서 1-3분 동안 37℃에서 5% CO2 인큐베니터 중에서 0.01% 트립신-EDTA로 분해시켰다(digest). 플라스크의 측면을 조심스럽게 두드림(tapping)으로써 플라스크의 바닥벽으로부터 세포를 떼었다. 혈청을 포함하는 2 ml의 DMEM 매질을 가하여 분해를 종결시켰다. 세포 현탁액을 15 ml 유리 원심분리 보틀에 이동시키고 단일 세포 현탁액으로 조심스럽게 흡입시켰다. 원심분리를 1000 r/분에서 3분 동안 4℃에서 수행했다. 상층액을 버리고 세포를 적절한 양의 배지로 재현탁시켰다. 50 ㎕의 세포 현탁액을 취하고 50 ㎕의 프탈로시아닌 블루와 혼합시켰다. 살아있는 세포를 세포 카운팅 접시로 카운트했다. 세포를 0.5x106 세포/cm2의 밀도에서 배양 플라스크 내로 주입하고, 적절한 양의 배지의 웰을 혼합시키고, 이어서 37℃ 5% CO2 인큐베이터 중에 위치시키고 배양을 위해 서 있게 두었다.
세포 동결보존: 세포를 유리 원심분리 튜브 내에 수집하고 카운트했다. 상층액을 버리고 세포 동결보존 용액을 DMSO에 대한 혈청의 비율이 1:9가 되도록 준비했다. 세포를 of 1-2x106 세포/ml의 농도에서 세포 동결보존 용액 중에 재현탁시켰다. 1 ml의 현탁액을 이어서 각 동결보존 튜브 내로 배분하고 하룻밤동안 -80 ℃ 냉동고 내에 위치시키고 액체 질소로 이동시켰다. 세포는 수 년동안 저장될 수 있다.
2. 약물 스크리닝 시험의 단계:
약물 용해: 특정량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약물을 칭량하고, 소량의 NaOH 또는 NaHCO3를 가하여 약물을 용해시키고 약물을 10 μM의 농도에서 저장했다:
약물 희석액: 준비된 비스포스포네이트 원액(stock solution)을 DMEM 완전 배지로 희석했다. 최대 농도가 1 mM이었다 희석을 1:3.2의 비율로 전체 11개의 농도 기울기로 연속적으로 수행했다;
a. MDA-MB-231 세포를 그 전날에 분해시켰다. 원심분리를 3분동안 100 rmp에서 수행했다. 세포를 카운트했다. 세포를 웰당 100㎕의 부피로 3000 세포/웰에서 96-웰로 공급했고 14-16시간 동안 배양했다. 세포 카운트는 정확해야하고 웰당 씨딩된 세포의 양이 일정해야 함을 주의해야 한다. 세포 현탁액은 플레이팅을 간헐적으로 중단하고(in the intermittence of plating) 부드럽게 흔들 수 있거나, 또는 세포의 열이 플레이트되고 세포 현탁액이 피펫으로 조심스럽게 피펫팅된다(pipetted). 피펫으로 960웰 플레트 내의 피펫팅의 속도는 플레이트 내에 세포의 분균일한 분포를 피하기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리면 안되고, 실험에 영향을 준다; 96-웰의 주변부에서 웰이 약간 빠르게 증발할 것이고 용액의 농도가 약간 빠르게 변할 것이다. 정상적인 상황 하에서, 중심의 60 웰이 자극을 위해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피펫팅된 액체에 기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b. 세포가 접착된 후, 96-웰 플레이트 내 액체를 피펫팅하고 버렸다. 상기 준비된 용액을 그 전날에 세포가 플레이트된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가하고(처리를 위한 최종적인 세포의 전체 부피는 100㎕였음), 동시에 빈 대조군 (매질만 가함)을 각 그룹의 6개의 복제로 준비했다;
c. 약물의 작용 후 72시간에, 준비된 MTT 용액 (사용 전 즉시, 특정량의 MTT 분말을 칭량하고 5mg/ml에서 PBS 중에 용해시키고, 어둠 속에서, 0.22 필터 멤즈레인으로 여과함)을 웰 당 20㎕로 각 웰에 직접 가하고 4 시간동안 배양을 계속했다;
d. 여과지(흡수 종이로 대체될 수 있음)를 놓고, 플레이트를 조심스럽게 거꾸로 뒤집었다(웰 내의 결정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의함). 웰 내 액체를 제거한 후, 150㎕의 DMSO를 가하여 결정을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결정을 용해시킬 시간 동안만 교반기(shaker)로 전반적으로 흔들었다. 각 웰의 흡수 (OD 값)를 ELIASA로 570 nm에서 측정했다. 빈 대조군의 평균 값을 OD 블랭크로 계산했다. 각 웰에서 OD 값 = OD 측정값 - OD 블랭크. ODNT 평균 값을 계산했다. 세포 죽음의 상대적인 퍼센트를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했다: ODNT 평균값 = (1-OD/ODNT) *100% (또는 세포 생존의 상대적인 퍼센트 = OD/ODNT *100%). 이어서 평균 및 표준 오차를 계산했다. 약물 농도 (uM) 및 대응하는 약물 저해율의 각 군의 평균 및 표준 오차를 Graph Prism software로 피팅(fit)해서 약물의 IC50을 구했다. 결과는 아래 표에 나타난다:
표: MDA-MB-231의 증식에 대한 상이한 탄소 사슬 길이의 화합물의 억제 활성
Figure pct00160
아쥬반트로서 생물학적 실험:
1. 마우스 내 면역화 및 혈청 분리
면역화 동안, 항원을 오브알부민(OVA)로 사용했다. 마우스는 8주 나이에서 c57bl/6 암컷 마우스였다. OVA를 1 mg/ml의 농도에서 제형화했고 비스포스포네이트 농도는 1 mg/ml였다. OVA 및 비스포스포네이트를 면역화 시점에 1:1의 비율로 혼합했다. 마우스를 마우스당 100 ㎕로, 즉 100 ㎍의 OVA 및 100 ㎍의 비스포스포네이트로 근육 내 주사했다. 면역화 후 14일, 100 ㎕의 눈확 혈액을 각 마우스로부터 취했다.
수득된 전체 혈액을 하룻밤동안 4℃ 냉동고에 위치시켰다. 다음날, 4℃에서 전체 혈액을 6000 rpm의 속도 및 4℃에서 5분동안 원심분리했다. 원심분리 후, 상층 혈청을 조심스럽게 가져가고(take out) 6000 rpm의 속도 및 4℃에서 5분동안 원심분리했다. 상층 혈청을 다시 취했다. 혈청을 냉동시키고 -20 ℃에서 저장하고 시험시에 해동시켰다.
2. 가능성 모니터링
1. 코팅: 항원 OVA을 0.05M pH 9.6 카보네이트 코팅 완충액으로 2㎍/ml의 단백질 함량으로 희석했다. 폴리스티렌 플레이트의 각 반응 웰을 50㎕의 용액으로 하룻밤동안 4℃에서 또는 2시간 동안 37℃에서 코팅했다. 다음날, 웰 내의 용액을 버리고 세척을 세척 완충액 PBST로 5번 수행했다.
2. 블로킹(Blocking): 블로킹을 2시간 동안 37℃에서 150㎕의 2% BSA로 수행했고, 세척을 세척 완충액 PBST로 5번 수행했다.
3. 혈청 배양: 혈청을 희석 용액으로 1: 200 비율에서 희석했고 이어서 2-배로 희석했다. 50 ㎕의 희석된 혈청을 각 웰에 가하고 2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했다. 세척을 세척 완충액 PBST로 5번 수행했다(동시에 빈 웰과 음성 대조군 웰에서). 희석 용액은 0.1% BSA였다.
4. 효소 표지된 이차 항체의 첨가: 각 반응 웰에서, 50㎕의 막 희석한 HRP-표지된 염소 항-마우스 IgM 또는 염소-항-마우스 IgM를 가하고 (1:5000) 1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했다. 세척을 세척 완충액 PBST로 5번 수행했다.
5. 색 전개를 위한 기질의 첨가: 각 반응 웰에서, 50 ml의 미리-제형화된 OPD 색-전개 시약을 가했다.
6. 반응의 종결: 10분동안 전개 후, 50㎕의 2M 황산을 각 반응 웰에 가했다.
7. ELISA 감지기에서, OD 값을 490nm에ㅔ서 읽었다. 혈청 항체의 역가를 계산했다. 혈청 희석액을, 음성 대조군 웰의 기록의 1.5배 이상의 OD 값에 기초하여 혈청 항체의 역가로 계산했다.
도 29는 마우스 내 항체의 생산에서 100 ㎍의 상이한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주사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9로부터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비교할 때, TH-Z80은 종래의 비스포스포네이트보다 높은 항체의 역가를 생산할 수 있다.
도 30은 아쥬반트로서 곁사슬의 상이한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비스포스폰산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0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곁사슬의 탄소 사슬 길이가 1에서 5로 증가될 경우 아쥬반트 효과는 아주 조금 변하는 반면, 곁사슬의 탄소 사슬 길이가 6에서 8로 증가될 경우 아쥬반트 효과는 현저하게 증가하지만, 곁사슬의 탄소 사슬 길이가 8보다 클 경우 아쥬반트 효과는 다시 감소했다. 화합물 TH-Z81은 아쥬반트로서 가장 강한 효과를 갖는다.
항체 친화력은 항원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항체의 세기를 가리키며, 이는 항체를 평가하는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이는 항체-형성 세포의 유전자 변형 그 자체 및 항원에 의한 B 세포 클론의 선택적인 활성화로 인한 것이다. 항체의 기능적인 상태는 장시간 진화 및 외부 환경의 지속적인 적응의 결과이며, 신체의 방어 및 자가면역 모니터링의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시험관 내 시험에서, 항체의 친화력은 NaSCN에 의해 항체에 대한 항원의 결합을 방해함으로써 결정된다. 과정은 다음과 같다: 96-웰 ELISA 플레이트를 2㎍/ml OVA로 코팅하고 2% BSA로 블로킹했다. 혈청을 가하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했고, 여기서 혈청은 희석 후 동일한 역가를 가졌고 아쥬반트로서 TH-Z80으로 OVA 주요 면역화 및 부스팅 후 7일에 마우스로부터 유래된다. PBS-T 세척 후, 소듐 티오시아네이트의 상이한 희석액을 웰 당 50㎕로 가하고, 0.5 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했다; PBS-T로 세척후, 1:5000 희석된 HRP-표지된 염소-항-마우스 IgG를 가하고 1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했다. 세척을 PBS-T로 5번 수행했다. 색 전개를 OPD-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완충 시스템 (pH 9.6)으로 수행했다. 반응을 2M H2SO4로 종결했다. OD 490nm에서 흡수 값을 기록했다. NaSCN 억제의 IC50 값을 계산했다. NaSCN의 IC50 값이 더 높을수록 면역화에 의한 항체 친화력이 더 강해진다.
도 31은 항체 친화력을 더 증가시키기 위한 TH-Z80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31로부터 알 수 있듯이, TH-Z80은 PBS에 비교할 때 이의 항원에 대한 항체의 친화력을 증가시킨다.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s)를 피콜-하이팩(Ficoll-Hypaque) 밀도 기울기 원심분리에 의해 건간항 지원자로부터 준비했다. 96-웰 둥근 바닥 플레이트에서, 1 Х 105 PBMCs를 0.2 ml의 매질을 공급하고, 4μM의 시험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200 U/ml의 rIL-2를 양성 대조군으로 졸레드론산과 가했다. 세포를 12일에 채취하고 FITC-anti-CD3 (Miltenyi Biotec) 및 PE-anti-Vδ2 (Miltenyi Biotec) 모노클로날 항체로 염색했다. 유세포분석기를 감지를 위해 사용했다. Prism 5.0을 데이터 분석을 위해 사용했다. 도 32는 δγT 세포 상의 상이한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벤즈이미다졸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증폭 효과를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탄소 사슬 길이가 Vγ9Vδ2 T 세포에 현저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화합물 TH-Z80이 Vγ9Vδ2 T 세포에 대한 가장 좋은 증폭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도 33은 화합물 TH-Z80 및 HsFPPS의 결정 구조의 윤과 제시 (피몰(pymol)로 플롯함)이다.
도면으로부터 TH-Z80 비스포스포네이트의 FPPS에 대한 결합에 대한 주요한 추진력은 비스포스포네이트의 금속 이온에 대한 킬레이션에 있는 반면, 긴 탄소 사슬은 소수성 구멍(cavity)에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벤즈이미다졸 중의 벤젠 고리 및 페놀 에테르는 FPPS에 대한 분명한 효과가 없었다. 결과는 N 헤테로원자의 벤즈이미다졸의 벤진 고리로의 도입이 화합물 FPPS의 결합 활서에 현저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냈다. 긴 탄소 사슬을 아자-벤즈벤즈이미다졸 화합물의 곁 사슬로 도입함에 의해, FPPS와 이의 소수성 상호작용이 강화되고, 화합물의 FPPS에 대한 결합이 강화되었다.
도 34는 화합물 TH-Z82 및 PvGGPPS의 결정 구조의 윤과 제시 (피몰(pymol)로 플롯함)이다.
도면으로부터 TH-Z80 및 HsFPPS의 결정 구조와 유사하게 TH-Z82 비스포스포네이트의 PvGGPPS에 대한 결합의 주요 추진력은 비스포스포네이트의 금속 이온에 대한 킬레이션 및 이의 긴 탄소 사슬의 소수성 효과에 있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벤즈이미다졸 중의 벤젠 고리 및 페놀 에테르는 또한 PvGGPPS에 현져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N 헤테로원자의 벤즈이미다졸의 벤젠 고리로의 도입이 화합물의 PvGGPPS에 대한 결합 활성에 현저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가리킨다. 긴 탄소 사슬을 아자-벤즈이미다졸 화합물로의 곁사슬로의 도입에 의해, GGPPS와 이의 소수성 상호작용이 강화되었고 화합물의 GGGPPS에 대한 결합이 강화되었다.
결정 구조(계산된 결과)에 따라, FPPS 및 GGPPS는 모두 소수성 구멍을 갖는다. 그러므로 곁사슬 상의 알콕시 기는 다른 소수성 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또한 다른 소수성 기로 치환된 아자-벤즈이미다졸 화합물을 청구한다.
실시예 16
PR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심바스타틴, TH-Z80, TH-Z93 및 TH-Z145의 효과
방법: PR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의 5 마이크로그램의 혈구응집소 단백질 (HA1)를 인산 완충액, 20 마이크로그램의 심바스타틴, 20 마이크로그램의 TH-Z80, 20 마이크로그램의 TH-Z93 및 20 마이크로그램의 TH-Z145 각각에 가했다. 그리고 마우스를 0일, 14일 및 21일에 면역화ㅏ에서 근육 내로 주사했다. 마우스의 비점막을 28일에 PR8 바이러스로 배양했다. 이어서 마우스의 무게를 매일 칭량하고 마우스의 죽음을 관찰했다.
결과: 도 35 내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심바스타틴, TH-Z80, TH-Z93 및 TH-Z145이 처리되지 않은 마우스는 바이러스 백신 후 무게가 줄었고 5 내지 10일 내에 죽었다. 그러나, 심바스타틴, TH-Z80, TH-Z93 및 TH-Z145이 처리된 마우스는 무게가 줄거나 죽지 않았다.
실시예 17
4 개의 아쥬반트 및 오브알부민이 병용된 항-PD1 항체에 의한 B16-OVA 종양의 억제
방법: 300000개 종양 세포를 C57B/6 마우스의 오른쪽 서혜부로 피하 접종했다. 접종 후 5일에서, 마우스를 100㎍의 OVA 단백질 및 100㎍의 아쥬반트, 즉 심사스타틴, TH-Z80, TH-Z93 및 TH-Z145 각각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꼬리 바닥에 피하 주사했다. 초기 면역화 후 7일에서, 아쥬반트 없는 50㎍의 항원을 꼬리의 바닥에서 피하로 주사해서 부스트시켰다. 두번째 면역화 후 7일에, 부스트를 다시 50㎍의 항원으로 수행했다. 동시에, 100 마이크로리터의 항-PD1 항체를 면역화 후 8, 11, 15, 18, 22 및 25일에 주사했다. 마우스는 매 2일마다 몸무게 및 종양 부피 변화를 시험했다. 종양 부피를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했다: 길이 * 너비 * 너비 / 2.
결과; 도 36 내에 나타난 것과 같이, 4개의 아쥬반트 및 오브알부민과 병용된 항-PD1 항체는 B16-OVA 종양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8
OVA 항체 역가 시험 내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 혈구응집서 히메글루신(Hymeglusin)의 아쥬반트 활성
방법: 히메글루신, HMG-CoA 합성효소 억제제를 10 mg/ml의 농도에서 제형화하고 OVA 항원의 농도 또한 10 mg/ml였다. 화합물 및 항원을 1:1로 혼합했다. 사용된 마우스는 C57B/6 스트레인이었다. 실험군 내 각 마우스들을 시험 화합물 및 OVA 항원의 20 ㎕의 혼합물, 즉 100 ㎍ 히메글루신 (10 ㎕) 및 100 ㎍ (10 ㎕) 항원 OVA로 근육 내 주사했다. 대조군 내 마우스들을 1;1로 혼합된 10 ㎕의 PBS 및 10 ㎕의 OVA 항원으로 근육 내 주사했다. 면역화 후 14일에, 100 ㎕의 혈액을 마우스의 눈획으로부터 취했다. 하룻밤동안 4℃에 서 있게 두고, 혈청을 분리했다. 혈청 내 항-OVA IgG 항체의 역가를 결정했다.
결과: 도 37 내에 나타난 것과 같이, 대조군 내 PBS-처리된 마우스들에 비해 현저하게 더 높은 역가를 갖는 IgG 항체가 HMB-CoA 합성효소 억제제 히메글루신이 처리된 마우스 내에서 생성되었으며, 메발로네이트 경로 내 HMG-CoA 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이 면역원성 조성물 내에서 아쥬반트로서 역할할 수 있음을 충분히 증명한다.
화합물 제조예
모든 화합물에 대한 NMR 데이터는 Bruker Avance DRX-400 분광기에서 얻었다. 화학적 이동도 (ppm 내 δ)는 4.79 ppm에서 D2O, 7.26 ppm에서 CDCl3 및 3.31 ppm에서 MeOD를 레퍼런스로 하여 주어졌다. 핵자기 공명 피크의 패턴은 각각 d, t, q, m, 즉, 이중항(doublet), 삼중항(triplet), 사중항(quartet), 다중항(multiplet)으로 표시된다. 커플링 상수는 헤르츠 단위이다. 고-배율 질량 분광분석은 이온 공급원으로 ESI를 이용하여 Waters Xevo G2 QT로 수행했다.
시작 물질은 상업적인 공급원으로부터 얻어졌고 당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밝혀진 문헌 과정에 제조되었다.
실시예 1
TH-Z97 시리즈 화합물의 제조
TH-Z97 (n=6)의 제조 ((1-하이드록시-2-(7-n-헥실옥시이미다조[1,2-a]피리딘-3-일)에탄-1,1-디일)비스포스폰; (1-hydroxy-2-(7-n-hexyloxyimidazo[1,2-a]pyridin-3-yl)ethane- 1,1-diyl)bisphosphonic acid)
Figure pct00161
단계 1: 10 mmol (1.11 g)의 2-아미노-4-하이드록시피리딘을 50 mL의 아세톤 중에 용해시키고, 30 mmol의 무수 칼륨카보네이트를 가했다. N2 보호 하의 환류를 위한 가열 후, 12 mmol (1.67 mL)의 브로모헥산을 가했다. 하룻밤 후,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고 유기 상을 건조를 위해 로터리 증발시시켰다. 조생성물을 칼럼에 로딩시키고 석유(petroleum)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7.8 mmol (1.51 g)의 2-헥실옥시-2-니트로-아닐린을 얻었다 (수득율: 78%).
단계 2: 5 mmol (0.97 g)의 4-헥실옥시-2-아미노-피리딘을 20 mL의 아세토나이트릴 중의 5.5 mmol (0.71 g)의 트랜스-에틸 4-옥소-2-부테노에이트와 80℃에서 하룻밤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건조를 위해 로터리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칼럼에 로딩시키고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4.1 mmol (1.13 g)의 에틸 2-(7-(n-헥실옥시)이미다조[1,2-a]피페리딘-3-일)아세테이트를 얻었다 (수득율: 82%).
단계 3: 6 N HCl 중의 3 mmol의 에틸 2-(7-(n-헥실옥시)이미다조[1,2-a]피페리딘-3-일)아세테이트를 6시간 동안 환류했고, 건조를 위해 로터리 증발시키고 이어서 항량(constant weight)을 위해 건조시켰다. 수득된 조 생성물을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4: 생성된 2-(7-(n-헥실옥시)이미다조[1,2-a]피페리딘-3-일)아세트산을 75℃에서 9 mmol (0.74 g)의 아인산 및 6 mL의 설포란(sulfolane)에 용해시켰다. 10.2 mmol (1068 ㎕)의 PCl3을 이어서 적가했다. 3.5시간의 반응 후, 1 mL의 물을 가했다. 상기 반응을 2시간 동안 환류를 위해 가열했고 이어서 냉각시켰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했고 메탄올로 3번 한외 걸렀다(ultrafilter). 생성된 밝은 노란색 고체를 항량을 위해 건조했고 이어서 무게를 재서 228 mg의 목표 생성물을 얻었다(수득율 18%).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 8.49 (d, J1 = 7.2 Hz 1H), 7.39(s, 1H), 6.79-6.75 (m, 2H), 4.02(t, J= 6.0Hz, 2H), 3.47(m, 2H), 1.95(m, 2H), 1.39-1.25 (m, 2H), 1.47(m, 6H), 0.79 (t, J=6.4 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7.22
화합물 TH-Z157, TH-Z158, TH-Z159, TH-Z160, TH-Z97, TH-Z161, TH-Z98, TH-Z162, TH-Z99, TH-Z198 및 TH-Z163을, 대응 브로모알칸 및 2-아미노-4-하이드록시피리딘을 이용하여 상기 설명된 TH-Z97와 유사한 절차에 따라 제조했다.
시작 물질로 직접 2-아미노-4-하이드록시피리딘을 이용하여 TH-Z97의 합성 단계 2-4에 따라 TH-Z156을 단계적으로 제조했다.
이 화합물들의 특징 자료는 다음과 같다:
TH-Z98: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58 (d, J= 7.6 Hz, 1H, 7.37(s, 1H), 6.86 (s, 1H), 6.65 (d, J= 7.2 Hz,1H), 4.12(t, J= 6.4Hz, 2H,), 3.57(t, J= 12.0Hz, 2H), 1.81(m, 2H), 1.48-1.44 (m, 2H), 1.27(m, 8H), 0.79 (t, J=6.4 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7.92
TH-Z99: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51 (d, J = 7.6 Hz, 1H, 7.37(s, 1H), 6.87 (s, 1H), 6.65 (d, J= 7.2 Hz,1H), 4.12(t, J= 6.4Hz, 2H,), 3.55(t, J= 12.0Hz, 2H), 1.95(m, 2H), 1.46-1.44 (m, 2H), 1.27(m, 10H), 0.79 (t, J=6.8 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7.70
TH-Z156: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60 (d, J= 7.6 Hz, 1H, 7.37(s, 1H), 6.87 (s, 1H), 6.65 (d, J= 7.6 Hz,1H), 3.58(t, J= 12.0Hz, 2H), 31P NMR(162 MHz, D2O), δ (ppm):17.97
TH-Z157: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59 (d, J= 7.2 Hz, 1H, 7.37(s, 1H), 6.85 (d, J= 1.6 Hz,1H), 6.63 (dd, J1= 7.6 Hz, J2= 1.8 Hz, 1H), 4.16(q, J= 7.2Hz, 2H,),3.57(t, J= 11.6Hz, 2H), 1.41(t, J= 6.8Hz, 2H),31P NMR(162 MHz, D2O), δ (ppm):18.00
TH-Z158: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61 (d, J = 7.6 Hz, 1H), 7.37(s, 1H), 6.87 (s, 1H), 6.65 (d, J = 7.2 Hz,1H), 4.12(t, J= 6.4Hz, 2H,), 3.55(t, J= 12.0Hz, 2H), 1.95(m, 2H), 0.97 (t, J=6.8 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6.76
TH-Z159: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64 (d, J = 7.6 Hz, 1H), 7.55(s, 1H), 6.99 (d, J =7.6 Hz,1H), 6.96 (s, 1H), 4.13(t, J= 6.4Hz, 2H), 3.61(t, J= 12.0Hz, 2H), 1.80(m, 2H), 1.49 (m, 2H), 0.96 (t, J=7.2 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6.56
TH-Z160: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61 (d, J = 7.2 Hz, 1H), 7.38(s, 1H), 6.88 (d, J =2.1 Hz,1H), 6.66 (dd, J1= 7.6 Hz, J2= 2.2 Hz, 1H), 4.14(t, J= 6.4Hz, 2H), 3.59(t, J= 11.7Hz, 2H), 1.83(m, 2H), 1.50-1.34 (m, 4H), 0.92 (t, J=7.2 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7.18
TH-Z161: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46 (d, J = 7.6 Hz, 1H), 7.38(s, 1H), 6.89 (s, 1H), 6.68 (d, J= 8.0Hz, 1H), 4.13(t, J= 6.4Hz, 2H), 3.54(t, J= 11.7Hz, 2H), 1.82(m, 2H), 1.48-1.29 (m, 6H), 0.92 (t, J=7.2 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7.52
TH-Z162: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53 (d, J = 7.6 Hz, 1H), 7.40(s, 1H), 6.90 (s, 1H), 6.68 (d, J= 7.2Hz, 1H), 4.15(t, J= 6.4Hz, 2H), 3.58(t, J= 11.6Hz, 2H), 1.83(m, 2H), 1.48-1.28 (m, 12H), 0.86 (t, J=6.0 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7.74
TH-Z163: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63 (d, J = 7.2 Hz, 1H), 7.40(s, 1H), 6.89 (s, 1H), 6.67 (d, J= 6.4Hz, 1H), 4.15(t, J= 6.4Hz, 2H), 3.60(t, J= 11.6Hz, 2H), 1.83(m, 2H), 1.48-1.28 (m, 18H), 0.86 (t, J=6.0 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8.05
TH-Z198: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39 (d, J = 6.8 Hz, 1H), 7.27(s, 1H), 6.77 (s, 1H), 6.56 (d, J= 6.4Hz, 1H), 4.02(t, J= 6.4Hz, 2H), 3.45(t, J= 11.0Hz, 2H), 1.71(brs, 2H), 1.36-1.16 (m, 16H), 0.73 (brs,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7.67
실시예 2
(((4-(헥실옥시)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4-(hexyloxy)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TH-Z93)의 제조
Figure pct00162
단계 1: 10 mmol의 2-아미노-4-하이드록시피리딘을 칭량했고 100 mL의 아세토나이트릴 중에 용해시켰다. 20 mmol의 칼슘카보네이트 및 12 mmol의 1-브로모-n-헥산을 가했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 하에서 60℃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하도록 두었다. 시작 물질이 완전히 반응될 때까지 상기 반응을 TLC로 모니터했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킨 후, 칼슘카보네이트를 여과해 제거했고 여과된 액체를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75%로 수득했다.
단계 2: 6 mmol의 첫번째 단계의 생성물을 칭량하고 20 mL의 톨루엔 중에 용해시켰다. 15 mmol의 디에틸 포스파이트(phosphite) 및 24 mmol의 트리에틸 오르쏘포르메이트(orthoformate)를 가하고 10시간 동안 120℃에서 반응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했다. 톨루엔을 감압 하에서 증류했다. 순수한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30: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78%로 수득했다.
단계 3: 50 mL의 6N 염산을 단계 2의 생성물에 가했고 10시간 동안 100℃에서 반응시켰다. 염산을 감압 하에서 증류했다. 조 생성물을 초음파 하에서 아세톤으로 한번 세척하고 이어서 초음파 하에서 메탄올로 3번 세척하여 95% 수득율로 정제 생성물을 수득했다.
TH-Z93 의 특징 자료:
1H NMR (400 MHz, D2O): δ 7.62-7.63(d, 1H, J = 8.0 Hz), 6.04-6.1 (m, 2H), 4.01-4.04 (t, 2H, J = 6.4 Hz), 1.64-1.69 (m, 2H), 1.24-1.35 (m, 6H), 0.77-0.80 (t, 3H, J = 6.4 Hz). 31P NMR (162 MHz, D2O):δ15.12.
HRMS (ESI): C12H22N2O7P2 계산치: 369.0980; 측정치: 369.0969.
실시예 3
Figure pct00163
(((4-(4,5,6,7-테트라하이드로-2H-인다졸-2-일)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4-(4,5,6,7-tetrahydro-2H-indazol-2-yl)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Figure pct00164
다음의 조건을 이용하여 첫번째 단계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을 실시예 16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10 mmol의 4-브로모-2-아미노피리딘을 아르곤 하에서 100 mL의 무수 DMF 중에 용해시켰고, 20 mmol의 세슘 카보네이트 및 12 mmol의 4,5,6,7-테트라하이드로인다졸을 가했고 8시간 동안 120℃로 가열했다; 세슘 카보네이트를 여과하여 제거했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류했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73%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2O): δ8.06 (s, 1H), 7.91-7.92 (m, 2H), 6.77 (s, 1H), 3.81(s, 1H), 3.65 (q, 2H, J = 6.8 Hz), 2.60-2.69 (m, 4H), 1.76-1.84 (m, 4H), 1.18 (t, 3H, J = 7.2 Hz). 31P NMR (162 MHz, D2O):δ14.92.
HRMS (ESI): C13H18N4O6P2 계산치: 389.0780; 측정치: 389.0783
실시예 4
Figure pct00165
(((4-((2-카바모일피리딘-4-일)메톡시)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4-((2-carbamoylpyridin-4-yl)methoxy)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Figure pct00166
단계 1: 10 mol의 2-시아노-4-메틸피리딘을 100 mL의 사염화탄소 중에 용해시켰다. 11 mol의 벤조일 퍼옥사이드 및 11 mol의 브로모숙신이미드를 가했고 4 시간 동안 77℃에서 반응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류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3: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67%로 수득했다.
단계 2: 단계1로부터의 6 mmol의 생성물을 50 mL의 용매 중에 용해시켰다. 12 mmol의 칼륨 카보네이트 및 7.2 mmol의 4-하이드록시-2-아미노피리딘을 가했고 하루밤 동안 상온에서 반응하도록 두었다. 칼륨 카보네이트 고체를 여과해서 제거했고 아세토나이트릴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류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43%로 수득했다.
단계 3: 2.5 mmol의 단계 2의 생성물, 6 mmol의 디에틸 포스파이트 및 10 mmol의 트리에틸 오르쏘포르메이트를 20 mL의 톨루엔 중에 용해시켰고 하룻밤 동안 120℃에서 반응시켰다. 초과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30: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82%로 수득했다.
단계 4: 2.0 mmol의 단계 3의 생성물을 10 mL의 DMSO 중에 용해시켰다. 20 mL의 30% 과산화수소 및 3.0 mmol의 칼륨 카보네이트를 가했고 4 시간 동안 상온에서 수행했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에틸 아세테이트를 증발시켰다. 수득된 생성물을 분리 없이 다음 반응에 바로 도입되었다.
단계 5는 실시예 16 내 단계 3과 같고 2개 단계의 전체 수득율을 78%였다.
1H NMR (400 MHz, D2O): δ8.71(bs, 1H), 8.09 (bs, 2H), 7.67 (bs, 1H), 6.58 (bs, 2H), 5.39 (bs, 1H), 3.86-3.95 (t, 1H, 17.2Hz). 31P NMR (162 MHz, D2O):δ12.19.
HRMS (ESI): C13H16N4O8P2 계산치: 419.0522; 측정치: 419.0518
실시예 5
Figure pct00167
(((4-하이드록시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4-hydroxy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시작 물질로 첫번째 단계에서 헥실 브로마이드 대신 벤질 브로바이드를 이용하고 상온에서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9을 실시예 16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1H NMR (400 MHz, D2O): δ7.41(s, 1H), 5.88 (s, 1H), 5.69(s, 1H), 3.51-3.60 (t, 2H, J = 19.2 Hz) 31P NMR (162 MHz, D2O):δ15.27.
HRMS (ESI): C6H10N2O7P2 계산치: 284.0051; 측정치: 284.0059
실시예 6
Figure pct00168
(((4-(벤질옥시)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4-(benzyloxy)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세번째 단계에서 6N 염산 대신에 트리메틸실릴 브로마이드를 이용하고 가수분해를 상온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을 실시예 19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1H NMR (400 MHz, D2O): δ7.70-7.71(d, 1H, J = 6.0 Hz), 7.39-7.50(m, 5H), 6.19-6.22 (m, 2H), 5.18(s, 2H), 3.76 (bs, 1H). 31P NMR (162 MHz, D2O):δ15.33.
HRMS (ESI): C13H16N2O7P2 계산치: 375.0511; 측정치: 375.0519.
실시예 7
Figure pct00169
(((6-(헥실옥시)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6-(hexyloxy)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Figure pct00170
첫번째 단계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21를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단계 1: 상온에서, 10 mmol의 6-하이드록시-4-아미노피리딘을 100 mL의 다이옥산 중에 용해시켰다. 12 mmol의 트리페닐포스핀 및 디에틸 아조디카복실레이트를 가하고, 이어서 20 mmol의 n-헥산올을 천천히 가했다. 반응의 4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류시켜 용매를 제거했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85%로 수득했다.
다른 반응 단계는 실시예 16과 동일했다.
1H NMR (400 MHz, D2O): δ7.62 (d, 1H, J = 2.4 Hz), 7.43 (dd, 1H, J1 = 9.2 Hz, J2 = 2.4 Hz), 7.62 (d, 1H, J = 9.2 Hz), 4.03 (t, 2H, J = 6.4 Hz), 3.96 (t, 1H, J = 19.2 Hz), 1.71-1.78 (m, 2H), 1.43-1.46 (m, 2H), 1.33-1.34 (m, 4H), 0.89 (t, 3H, J = 6.8 Hz). 31P NMR (162 MHz, D2O):δ13.5.
HRMS (ESI): C12H22N2O7P2 계산치: 369.0980; 측정치: 369.0973.
실시예 8
Figure pct00171
(((4-브로모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4-bromo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첫번째 단계에서 시작 물질로 2-아미노-4-브로모피리딘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를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1H NMR (400 MHz, D2O): δ7.67 (s, 1H), 7.09-7.13 (m, 1H), 6.84-6.86 (m, 1H), 4.06 (t, 1H, J = 19.2 Hz). 31P NMR (162 MHz, D2O):δ13.5.
HRMS (ESI): C6H9BrN2O6P2 계산치: 347.9143; 측정치: 347.9145.
실시예 9
Figure pct00172
(((4-(메틸티오)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4-(methylthio)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첫번째 단계에서 시작 물질로 2-아미노-4-티오피리딘 및 메틸 아이오다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3을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1H NMR (400 MHz, D2O): δ7.36 (s, 1H), 6.61 (s, 1H), 6.51 (s, 1H), 3.82 (t, 1H, J = 16.0 Hz), 2.46 (s, 3H). 31P NMR (162 MHz, D2O):δ13.0.
HRMS (ESI): C7H12N2SO6P2 계산치: 314.9969; 측정치: 314.9969.
실시예 10
Figure pct00173
(((4-(헥실옥시)퀴놀린-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4-(hexyloxy)quinol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첫번째 단계에서 시작 물질로 2-아미노-4-하이드록시퀴놀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4를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1H NMR (400 MHz, D2O): δ7.98 (d, 1H, J = 8.0 Hz), 7.58 (d, 1H, J = 8.0 Hz), 7.51(t, 1H, J = 8.0 Hz), 7.21 (t, 1H, J = 8.0 Hz), 6.0 (s, 1H), 4.1 (t, 2H, J = 6.4 Hz), 3.80 (t, 1H, J = 20.0 Hz), 1.90-2.04 (m, 2H), 1.52-1.54 (m, 2H), 1.37-1.38(m, 2H), 1.23-1.25(m, 4H), 0.92 (s, 3H, J = 6.4 Hz). 31P NMR (162 MHz, D2O):δ13.1.
HRMS (ESI): C16H24N2O7P2 계산치: 419.1137; 측정치: 419.1145.
실시예 11
Figure pct00174
(((4-(4-메틸페네톡시)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포스폰산 ((((4-(4-methylphenethoxy)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첫번째 단계에서 시작 물질로 1-(2-브로모-에틸)-4-메틸-벤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5를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1H NMR (400 MHz, D2O): δ7.49 (d, 1H, J = 6.0 Hz), 7.20-7.27 (m, 5H), 6.34 (s, 1H), 6.23 (d, 1H, J = 6.0 Hz), 4.37 (t, 1H, J = 6.0 Hz), 3.80 (t, 1H, J = 18.4Hz), 3.07 (t, J = 5.6Hz), 2.30 (s, 3H), 2.21 (s, 3H). 31P NMR (162 MHz, D2O):δ13.1.
HRMS (ESI): C15H20N2O7P2 계산치: 403.0824; 측정치: 403.0829.
실시예 12
Figure pct00175
(((5-브로모-4-(헥실옥시)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5-bromo-4-(hexyloxy)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Figure pct00176
실시예 16에서 중간체 4-헥실옥시-2-아미노피리딘을 브롬화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6을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실시는 다음과 같다: 10 mmol의 4-헥실옥시-2-아미노피리딘을 30 mL의 빙초산 중에 용해시켰다; 11 mmol의 브로민을 상온에서 가했고 4 시간동안 70℃로 가열했다; 이어서 반응을 포화 소듐 티오설페이트 용액으로 퀀칭했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햇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했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73%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2O): δ7.75 (s, 1H), 6.10 (s, 1H), 4.06 (t, 2H, J = 8.0 Hz), 3.68 (bs, 1H), 1.66-1.73 (m, 2H), 1.34-1.35 (m, 2H), 1.22 (s, 4H), 0.76 (t, 3H, J = 6.8 Hz). 31P NMR (162 MHz, D2O):δ15.5.
HRMS (ESI): C12H21BrN2O7P2 계산치: 448.0032; 측정치: 448.0033.
실시예 13
Figure pct00177
(((3-(헥실옥시)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3-(hexyloxy)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첫번째 단계에서 시작 물질로 2-아미노-3-하이드록시피리딘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7을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1H NMR (400 MHz, D2O): δ7.39 (d, 1H, J = 6.4 Hz), 7.29 (d, 1H, J = 8.0 Hz), 6.82(t, J = 7.2 Hz), 4.18 (t, 2H, J = 6.8 Hz), 4.10 (t, 1H, J = 20.4 Hz), 1.81-1.88 (m, 2H), 1.44 (s, 2H), 1.32 (s, 4H), 0.87 (t, 3H, J = 6.8 Hz). 31P NMR (162 MHz, D2O):δ11.1.
HRMS (ESI): C12H22N2O7P2 계산치: 369.0980; 측정치: 369.0978.
실시예 14
Figure pct00178
(((4-헥실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4-hexyl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Figure pct00179
단계 1: 10 mmol의 2-아미노-4-브로모피리딘을 100 mL의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 용해시켰다. 10 ml의 트리에틸아민, 15 mmol의 1-헥사인, 0.5 mmol의 요오드화제1구리(cuprous iodide), 및 1 mmol의 트리페닐포스포핀팔라듐클로라이드(triphenylphosphinepalladium chloride)를 가하고 반응을 아르곤 하에서 4시간 동안 60℃에서 수행했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류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3: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88%로 수득했다.
단계 2: 8.8 mmol의 첫번째 단계의 생성물을 50 mL의 아세트산 중에 용해시켰다. 200 mg의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의 첨가 후, 수소 환원 반응을 24시간 동안 수행했다.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를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아세트산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95%로 수득했다.
다른 반응 단계들은 실시예 16 내 두번째 및 세번째 단계와 유사했다.
1H NMR (400 MHz, D2O): δ7.63 (d, 1H, J = 6.0 Hz), 6.90 (s, 1H), 6.73 (d, J = 5.6 Hz), 4.04 (t, 1H, J = 19.6 Hz), 2.64 (s, 2H), 1.62 (s, 2H), 1.28 (s, 6H), 0.84 (s, 3H). 31P NMR (81 MHz, D2O):δ11.7.
HRMS (ESI): C12H22N2O6P2 계산치: 353.1031; 측정치: 353.1037
실시예 15
Figure pct00180
(((4-(옥트-1-아인-1-일)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4-(oct-1-yn-1-yl)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첫번째 단계에서 시작 물질로 1-옥타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9를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반응의 세번째 단계를 두번째 단계의 수소 환원 부재 하에서 수행했다.
1H NMR (400 MHz, D2O): δ7.64 (d, 1H, J = 5.6 Hz), 7.03 (s, 1H), 6.63 (d, J = 6.0 Hz), 4.06 (t, 2H, J = 19.6 Hz), 2.45(s, 2H), 1.56-1.58 (m, 2H), 1.41 (s, 2H), 1.29 (s, 4H), 0.86 (s, 3H). 31P NMR (162 MHz, D2O):δ11.6.
HRMS (ESI): C14H22N2O6P2 계산치: 377.1031; 측정치: 377.1033.
실시예 16
Figure pct00181
(((4-(옥틸아미노)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4-(octylamino)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Figure pct00182
단계 1: 10 mmol 2,4-디아미노피리딘을 100 mL 피리딘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옥틸 클로라이드를 반응 용액에 천천히 적가했다. 반응 4시간 후,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했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37%로 수득했다.
단계 2: 첫번째 단계의 생성물 (3 mmol)을 50 mL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5 mmol의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를 천천히 가하고 반응을 2시간 동인 지속시켰다. 반응을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으로 퀀칭하고 150 mL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89%로 수득했다.
단계 3 및 4의 반응이 실시예 16 내 단계 2 및 3의 것과 유사했다.
1H NMR (400 MHz, D2O): δ7.72 (s, 1H), 7.62 (s, 1H), 7.05 (s, 1H), 4.11 (t, 2H, J = 6.8 Hz), 3.55 (t, 1H, J = 14.4 Hz), 1.76-1.79 (m, 2H), 1.43-1.45 (m, 2H), 1.29-1.33 (m, 8H), 0.89 (t, 3H, J = 6.8 Hz). 31P NMR (162 MHz, D2O):δ13.5.
HRMS (ESI): C14H27N3O6P2 계산치: 396.1463; 측정치: 396.1471.
실시예 17
Figure pct00183
(((5-(옥틸옥시)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5-(octyloxy)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첫번째 단계에서 시작 물질로 5-하이독시-2-아미노피리딘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1을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1H NMR (400 MHz, D2O):δ7.76-7.71(M, 2H), 6.89-6.91 (m, 1H), 4.02 (t, 2H, J = 8.0 Hz), 3.88 (t, 1H, J = 20.0 Hz), 1.78-1.85 (m, 2H), 1.45-1.49 (m, 2H), 1.34-1.36 (m, 8H), 0.91 (t, 3H, J = 6.4 Hz). 31P NMR (162 MHz, D2O):δ13.5.
HRMS (ESI): C14H26N2O7P2 계산치: 397.1293; 측정치: 397.1298.
실시예 18
Figure pct00184
(((4-옥틸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4-octyl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첫번째 단계에서 시작 물질로 1-옥타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를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1H NMR (400 MHz, D2O): δ7.65 (d, 1H, J = 6.0 Hz), 6.92 (s, 1H), 6.75 (d, J = 5.6 Hz), 4.06 (t, 1H, J = 19.6 Hz), 2.65 (s, 2H), 1.64 (s, 2H), 1.29 (s, 10H), 0.85 (s, 3H). 31P NMR (162 MHz, D2O):δ11.8.
HRMS (ESI): C14H26N2O6P2 계산치: 381.1316; 측정치: 381.1320.
실시예 19
Figure pct00185
(((6-메틸-3-(옥틸옥시)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6-methyl-3-(octyloxy)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첫번째 단계에서 시작 물질로 2-아미노-3-하이드록시-6-메틸퀴놀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3을 실시예 17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1H NMR (400 MHz, D2O):δ7.37(d, 1H, J = 7.2 Hz), 7.21 (d, 1H, J = 7.2 Hz), 4.02 (t, 2H, J = 8.0 Hz), 3.88 (t, 1H, J = 20.0 Hz), 2.43 (s, 3H), 1.78-1.85 (m, 2H), 1.45-1.49 (m, 2H), 1.34-1.36 (m, 12H), 0.91 (t, 3H, J = 6.4 Hz). 31P NMR (162 MHz, D2O):δ13.5.
HRMS (ESI): C15H29N2O7P2 계산치: 411.1421; 측정치: 411.1417.
실시예 20
Figure pct00186
(((4-데실피리딘-2-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4-decylpyridin-2-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시작 물질로 1-데카인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의 방법과 비슷하게 이 화합물을 합성했다.
1H NMR (400 MHz, D2O): δ7.63 (d, 1H, J = 6.0 Hz), 6.89 (s, 1H), 6.72 (d, J = 5.6 Hz), 4.02 (t, 1H, J = 19.6 Hz), 2.61 (s, 2H), 1.61 (s, 2H), 1.27 (s, 14H), 0.82 (s, 3H). 31P NMR (162 MHz, D2O):δ11.5.
HRMS (ESI): C16H30N2O6P2 계산치: 410.1657; 측정치: 410.1663.
실시예 21
Figure pct00187
(((5-(옥틸옥시)피리딘-3-일)아미노)메틸렌)비스포스폰산 ((((5-(octyloxy)pyridin-3-yl)amino)methylene)bisphosphonic acid)
Figure pct00188
단계 1: 10 mmol의 5-하이드록시-3-카복시피리딘을 100 mL의 메탄올 중에 용해시켰다. 5 mL의 싸이오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천천히 가하고 4 시간 동안 60℃에서 반응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류시켰다. 수득된 생성물을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서 사용했다.
단계 2: 첫번째 단계의 생성물을 150 mL의 아세토나이트릴 중에 용해시켰다. 30 mmol의 칼륨 카보네이트를 가하고 하룻밤 동안 60℃에서 반응시켰다. 고체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류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2개 단계 동안 73%로 수득했다.
단계 3: 7.3 mmol의 생성물을 100 mL의 다이옥산 중에 용해시켰다. 20 mL의 4N NaOH를 가하고 상온에서 8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희석된 염산으로 pH를 6으로 조절했다. 혼합물을 20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류시켰다. 조 생성물을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했다.
단계 4: 단계 3의 조생성물을 150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켰다. 10 mL의 트리에틸아민을 0℃에서 가하고 8 mmol의 디페닐 아지도포스페이트를 천천히 적가했다. 4 시간 후, 반응을 상온이 되게 했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류시켰다. 생성물을 분리 없이 다음 반응에서 사용했다.
단계 5: 압력 튜브에서, 이전 단계로부터의 조생성물을 10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 용해시켰다. 10 mL의 벤질 알코올을 가하고 8시간 동안 90℃에서 반응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류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3: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3개의 단계 동안 전체 82%로 수득했다.
단계 6: 이전 단계로부터의 생성물을 100 mL의 메탄올 중에 용해시켰다. 탄소 상의 500 mg의 팔라듐을 가했고 반응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수소로 환원시켰다. 탄소 상의 팔라듐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해서 제거했고 여과된 용액으르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1: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97%로 수득했다.
남은 2개의 반응 단계는 실시예 16 내 단계 2 및 3과 동일했다.
1H NMR (400 MHz, D2O): δ7.62 (s, 1H), 7.42 (s, 1H), 6.73 (s, 1H), 4.11 (t, 2H, J = 6.8 Hz), 3.55 (t, 1H, J = 14.4 Hz), 1.76-1.79 (m, 2H), 1.43-1.45 (m, 2H), 1.29-1.33 (m, 8H), 0.89 (t, 3H, J = 6.8 Hz). 31P NMR (162 MHz, D2O):δ13.5.
HRMS (ESI): C14H26N2O7P2 계산치: 397.1293; 측정치: 397.1298.
실시예 22
TH-Z144의 제조:
Figure pct00189
(2-(3-(헥실옥시)페닐)에탄-1,1-디일)비스포스폰산 ((2-(3-(hexyloxy)phenyl)ethane-1,1-diyl)bisphosphonic acid)
Figure pct00190
단계 1: 10 mmol의 개시 물질 메틸 3-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를 100 mL의 아세토나이트릴 중에 용해시켰다. 20 mmol의 칼륨 카보네이트 및 12 mmol의 1-브로모-n-헥산을 가했다. 혼합물을 질소 하에서 60℃에서 하룻밤동안 반응하도록 두었다. 반응을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칼륨 카보네이트를 여과해서 제거하고 여과된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칼럼 분리 없이 다음 반응에서 사용했다.
단계 2: 이전 단계의 생성물을 0℃에서 200 mL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 용해시켰다. 20mmol의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를 포션으로(in portion) 가하고 반응을 4시간 동안 0℃에서 지속했다. TLC로, 개시 물질이 거의 완전히 반응한 것을 확인했다. 반응을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로 퀀칭하고 20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8: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2개의 단계 동안 90%로 수득했다.
단계 3: 이전 단계로부터의 생성물을 100 mL의 무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켰다. 0℃에서, 10.8 mmol의 트리페닐포스핀을 가하고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중의 10.8 mmol의 사브롬화탄소 용액을 천천히 적가했다. 반응을 4시간 동안 지속시켰고 TLC가 시작 물질의 완전한 반응을 나타냈다.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감압 하에서 증류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틸 아세테이트:메탄올 (30: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95%로 수득했다.
단계 4: 6 mmol의 테트라에틸 메틸렌비스(포스포네이트)를 100 mL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 용해시켰다. 7 mmol의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를 0℃에서 가했다. 반응을 30분 동안 수행한 후, 8 mmol의 이전 단계로부터의 생성물을 10 mL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 용해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적가했다. 반응을 상온에 도달하게 했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는 원료 물질의 대부분이 반응한 것을 나타냈다. 100 mL의 포화 소듐 클로라이드 용액을 가하고 혼합물을 20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했다. 유기 상을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순수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3:1)의 실리카 겔(200-300 메쉬)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 82%로 수득했다.
단계 5: 50 mL의 6 N 염산을 이전 단계의 생성물에 가하고 10 시간 동안 100℃에서 반응시켰다. 염산을 감압 하에서 증류시켰다. 조생성물을 초음파 하에서 아세톤으로 3번 세척하고 93% 수득율로 정세 생성물을 수득했다.
1H NMR (400 MHz, MeOD): δ7.13-7.17 (t, 1H, J = 8.0 Hz), 6.88-6.90 (m, 2H), 6.71-6.74(dd, J1 = 8.0 Hz, J2 =2.4 Hz), 3.93-3.97 (t, 2H, J = 6.4 Hz), 3.14-3.24 (td, 2H, J1 = 16.8 Hz, J2 = 6.0 Hz), 2.43-2.58 (m, 1H), 1.72-1.79 (m, 2H), 1.44-1.51 (m, 2H), 1.34-1.37(m, 4H), 0.91-0.94 (t, 3H, J = 8.0 Hz). 31P NMR (162MHz, MeOD):δ21.78. HRMS (ESI): C16H28O7P2 계산치: 367.1080; 측정치: 367.1081
실시예 23
TH-Z145의 제조
Figure pct00191
(2-(3-(옥틸옥시)페닐)에탄-1,1-디일)비스포스폰산 ((2-(3-(octyloxy)phenyl)ethane-1,1-diyl)bisphosphonic acid)
시작 물질로 첫번째 단계에서 1-브로모-n-헥산 대신에 1-브로모-n-옥탄을 사용하고 60℃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TH-Z145을 H-Z14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했다.
1H NMR (400 MHz, MeOD): δ7.13-7.18 (t, 1H, J = 8.0 Hz), 6.86-6.88 (m, 2H), 6.70-6.73(dd, J1 = 8.0 Hz, J2 =2.4 Hz), 3.90-3.94 (t, 2H, J = 6.4 Hz), 3.12-3.22 (td, 2H, J1 = 16.8 Hz, J2 = 6.0 Hz), 2.40-2.55 (m, 1H), 1.70-1.77 (m, 2H), 1.42-1.49 (m, 2H), 1.33-1.36(m, 8H), 0.90-0.93 (t, 3H, J = 8.0 Hz). 31P NMR (162 MHz, MeOD):δ21.67. HRMS (ESI): C14H24O7P2 계산치: 395.1393; 측정치: 395.1387.
실시예 24
TH-Z80의 제조: TH-Z80를 다음의 합성 경로에 따라 제조했다.
단계 1: 10 mmol (1.54 g)의 3-니트로-4-아미노페놀을 50 mL의 아세톤 중에 용해시켰다. 30 mmol의 무수 칼륨 카보네이트를 가했다. N2 보호 하의 환류를 위한 가열 후, 12 mmol (1.67 mL)의 브로모헥산을 가했다. 하룻밤 동안 반응시킨 후, 불용성물질들을 여과하고 유기상을 건조를 위해 로터리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로딩하고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7.3 mmol (1.74 g)의 4-헥실옥시-2-니트로-아닐린을 얻었다 (수득율 73%).
단계 2: 5 mmol (1.19 g)의 4-헥실옥시-2-니트로-아닐린, 60 mmol (9.69 mL)의 터트-부틸 브로모아세테이트 및 7.5 mmol (1.04 g)의 무수 칼륨 카보네이트를 N2 보호 하에서 12 시간 동안 11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 중 불용성 물질들을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을 건조를 위해 로터리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로딩하고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2.1 mmol (0.74 g)의 터트-부틸 (4-(헥실옥시)-2-니트로페닐)글리시네이트를 42% 수득율로 얻었다.
단계 3: 2 mmol (0.70 g)의 터트-부틸 (4-(헥실옥시)-2-니트로페닐)글리시네이트을 10 mL의 에탄올 중에 용해시켰다. 탄소 상의 0.1 g의 5% 팔라듐을 가하고 H2 하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유기상을 건조를 위해 로터리 증발시켰다. 생성된 조 생성물을 10 mL의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중에 용해시켰다. 7 mmol (0.72 g)의 포름아미딘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4시간 동안 환류를 위해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시켰다. 반응을 건조를 위해 로터리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칼럼 상에 로딩하고 칼럼을 통과시켜 0.7 mmol (0.23 g)의 터트-부틸 2-(5-(헥실옥시)-1H-벤조[d]이미다졸-1-일)아세테이트를 2개의 단계 동안 35%의 전체 수득율로 얻었다.
단계 4: 6 N HCl 중의 0.6 mmol (0.2 g)의 터트-부틸 2-(5-(헥실옥시)-1H-벤조[d]이미다졸-1-일)아세테이트를 6시간 동안 환류를 위해 가열하고 건조를 위해 로터리 증발시키고 항량을 위해 건조시켰다. 수득된 조 생성물을 다음 반응에서 바로 사용했다.
단계 5: 생성된 2-5-(헥실옥시)-1H-벤조[d]이미다졸-1-일)아세트산을 75℃에서 1.8 mmol (0.15 g)의 아인산 및 1 mL의 설포란으로 용해시켰다. 2 mmol (178 ㎕)의 PCl3을 이어서 적가했다. 반응 3.5시간 후, 1 mL의 물을 가했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를 위해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했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메탄올로 3번 한외 여과했다. 생성된 밝은 노란색 고체를 항량을 위해 건조시키고 이어서 칭량하여 38 mg의 표지된 생성물을 얻었다 (15% 수득율).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19(s, 1H), 7.76(d, J=8.9 Hz, 1H), 7.26(d, J=2.2Hz, 1H), 7.04(dd, J1=8.9Hz, J2=2.3Hz, 1H,), 4.77(m, 2H), 4.14(t, J=6.6Hz, 2H,), 1.79(m, 2H), 1.47(m, 2H), 1.33(m, 4H), 0.88(t,J=7.1Hz, 3H), 13C NMR(100 MHz, D2O), δ(ppm):154.18,147.63, 142.09, 131.10, 113.20, 112.78, 102.72, 77.79, 76.49, 75.19,69.96, 50.51, 30.80, 28.40, 24.91, 21.94, 13.32, 31P NMR(162 MHz, D2O), δ (ppm):15.67
상기 제조 방법을 참고하여,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조했으며, 여기서 각각 n=1, 2, 3, 4, 5, 7, 8, 9, 10, 11 및 12이다:
Figure pct00193
이들은 각각 TH-Z79, TH-Z148, TH-Z149, TH-Z150, TH-Z151, TH-Z152, TH-Z81, TH-Z153, TH-Z82, TH-Z154 및 TH-Z155으로 지명되었다.
TH-Z80의 제조에서 단계 2로부터의 시작 물질 4-헥실옥시-2-니트로-아닐린을 4-하이드록시-2-니트로아닐린으로 대체했고, 단계 2, 3, 4 및 5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BPH-266을 수득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응하며 여기서 R1, R2, R4 및 R5 = H, m = 1, X = OH, M = H, n = 0).
TH-Z79을 시작 물질로 2-아미노-4-메톡시아닐린을 바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TH-Z80 시리즈의 화합물을 TH-Z80의 합성 단계에 따라 합성했다.
TH-Z80 시리즈 화합물의 특징 자료는 다음과 같다:
TH-Z79: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32 (s, 1H), 7.70(d, J= 7.6 Hz, 1H), 7.19(s, 1H), 6.97(d, J= 7.6 Hz, 1H), 4.70(s, 2H), 3.83(t, J= 7.0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5.33
TH-Z81: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40(s, 1H), 7.78 (d, J= 9.0 Hz, 1H), 7.27 (s, 1H), 7.05 (d, J= 9.0 Hz,1H), 4.70 (s, 2H), 4.16(t, J= 6.4Hz, 2H), 1.81 (m, 2H),1.47(m,2H), 1.29(m, 8H), 0.87(t, J= 6.8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5.60
TH-Z82: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40(s, 1H), 7.78 (d, J= 9.0 Hz, 1H), 7.27 (s, 1H), 7.05 (d, J= 9.0 Hz,1H), 4.72 (s, 2H), 4.16(t, J= 6.4Hz, 2H), 1.81 (m, 2H),1.47(m,2H), 1.28(m, 8H), 0.86(t, J= 6.8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5.58
TH-Z148: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65(s, 1H), 7.82 (d, J= 9.0 Hz, 1H), 7.19 (s, 1H), 7.13 (d, J= 9.0 Hz,1H), 4.84 (s, 2H), 4.17(q, J= 6.7Hz, 2H),1.43 (t, J= 6.8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4.82
TH-Z149: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90(s, 1H), 7.86 (d, J= 9.0 Hz, 1H), 7.27 (s, 1H), 7.05 (d, J= 9.0 Hz, 1H), 4.70 (s, 2H), 4.16(t, J= 6.4Hz, 2H), 1.81 (m, 2H),1.47(m,2H), 1.29(m, 8H), 0.87(t, J= 6.8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5.60
TH-Z150: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39(s, 1H), 7.77 (d, J= 8.9 Hz, 1H), 7.28 (s, 1H), 7.05 (d, J= 8.4 Hz, 1H), 4.74 (s, 2H), 4.15(t, J= 6.4Hz, 2H), 1.78 (m, 2H), 1.48(m, 2H), 0.96(t, J= 7.2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5.60
TH-Z151: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37(s, 1H), 7.76 (d, J= 8.9 Hz, 1H), 7.26 (s, 1H), 7.05 (d, J= 9.0 Hz,1H), 4.73 (s, 2H), 4.14(t, J= 6.5Hz, 2H), 1.79 (m, 2H),1.46(m,2H), 1.36(m, 2H), 0.90(t, J= 7.2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4.02
TH-Z152: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34(s, 1H), 7.74 (d, J= 9.0 Hz, 1H), 7.27 (s, 1H), 7.06 (d, J= 9.0 Hz,1H), 4.72 (s, 2H), 4.14(t, J= 6.4Hz, 2H), 1.80 (m, 2H), 1.47(m,2H), 1.31(m, 8H), 0.86(t, J= 6.4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5.32
TH-Z153: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40(s, 1H), 7.78 (d, J= 9.0 Hz, 1H), 7.27 (s, 1H), 7.05 (d, J= 9.0 Hz,1H), 4.75 (s, 2H), 4.15(t, J= 5.6Hz, 2H), 1.80 (m, 2H),1.47(m,2H), 1.29(m, 10H), 0.87(t, J= 6.2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5.41
TH-Z154: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32(s, 1H), 7.76 (d, J= 8.8 Hz, 1H), 7.29 (s, 1H), 7.07 (d, J= 8.9 Hz, 1H), 4.73 (s, 2H), 4.16(t, J= 6.4Hz, 2H), 1.81 (m, 2H),1.48(m,2H), 1.28(m, 14H), 0.85(t, J= 6.4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5.33
TH-Z155: 구조의 특징 자료: 1H NMR(400 MHz, D2O), δ (ppm):8.37(s, 1H), 7.78 (d, J= 8.9 Hz, 1H), 7.28 (s, 1H), 7.05 (d, J= 9.0 Hz,1H), 4.72 (s, 2H), 4.16(t, J= 6.4Hz, 2H), 1.81 (m, 2H),1.47(m,2H), 1.29(m, 16H), 0.86(t, J= 6.8Hz, 3H) 31P NMR(162 MHz, D2O), δ (ppm):15.39
이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하는 모든, 다양한 발행된 특허, 공개된 특허 출원, 논문 잡지, 및 다른 공개문헌을 인용한다. 어떠한 인용된 참고 문헌이 본 명세서와 충돌하는 경우, 본 명세서는 제한될(control) 것이다. 또한, 선행 기술의 범위 내에 속하는 본 발명의 어떠한 특정 구현예는 어떠한 하나 이상의 청구항으로부터 분명히 배제될 수 있다. 설명된 구현예가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으로 고려되는 경우, 이들은 배제될 수 있고, 이러한 배제가 본 출원서에 분명하게 나열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떠한 특정 구현예가 선행 기술의 존재 하에 또는 부재 하에 어떠한 이유에서 임의의 청구하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다.
단지오직 통상의반복적인 실험을 이용하여, 하나의 당업자는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구현예에 대한 많은 균등물을 인식할 것이거나,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구현예의 범위는 이러한 기재로상기 설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고, 오히려 첨부된 청구항에 제시된 범위로 것을 제한된다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청구항에 정의된 본 발명의 본질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Claims (10)

  1.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쥬반트(adjuvant)를 포함하는 면역성 조성물면역원성 조성물:
    1) 티올라아제 억제제(thiolase inhibitor);
    2) HMG-CoA 생성효소(synthase) 억제제;
    3)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4) 메발로네이트 (mevalonate) 키나아제 억제제;
    5) 포스포메발로네이트 (phosphomevalonate) 키나아제 억제제;
    6) 메발로네이트-5-피로포스페이트 탈카복실화효소 (mevalonate-5-pyrophosphate decarboxylase) 억제제;
    7)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이성질화효소 (isopentenyl pyrophosphate isomerase) 억제제;
    8)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farnesyl pyrophosphate synthase) 억제제;
    9)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geranylgeranyl pyrophosphate synthase) 억제제; 및
    10) 제라닐제라닐 전이효소 (geranylgeranyl transferase) (I, II) 억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비스포스폰산(bisphosphonic acid)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prodrug) 또는 용매화물(solvate)이거나; 또는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수화물(hydrate)이고:
    Figure pct00194

    화학식 I,
    상기 화학식 I에서, 상기 화합물은 1000 미만의 분자량을 갖고, Ar은 벤즈이미다졸일-형태 기, 또는 아자-벤즈이미다졸일 기이고;
    X는 다음 중 어느 것이고: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기, 머캅토, 할로겐, 알콕시 또는 알킬; 각각의 M은 독립적으로 다음의 어느 하나이고: 음전하 (negative charge), 수소, 알킬, 지방족 기, -(CH2)p-O-CO-R, -(CH2)p-CO-R 또는 양이온; 여기서 p은 1 내지 6이고, R은 수소, 알킬 또는 아릴이고; 상기 양이온은 Li+, Na+, K+, Ca2+, Mg2+, NH4 + 또는 N(R')4 +이고, 여기서 R'은 알킬이고; R6,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다음의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고: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아미노, 지방족 기 또는 알킬;
    m은 1 내지 6의 정수이거나; 또는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이고:
    Figure pct00195

    R1,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및 이와 유사한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이고:
    Figure pct00196

    상기 식에서 R3, R4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및 할로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이고:
    Figure pct00197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2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R3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R4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파르네실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이고:
    Figure pct00198

    상기 식에서:
    R5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및
    R8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성 조성물면역원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이고:
    Figure pct00199

    상기 식에서:
    R9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0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2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면역성 조성물면역원성 조성물.
  4. 아쥬반트로 사용을 위한, 전술한 상기의 티올라아제 억제제, HMG-CoA 생성효소 억제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포스포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메발로네이트-5-피로포스페이트 탈카복실화효소 억제제,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이성질화효소 억제제,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이성질화효소 억제제,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및 제라닐제라닐 전이효소 (I, II) 억제제.
  5. 면역성 조성물면역원성 조성물의 제조에서 아쥬반트로서 전술한 상기의 티올라아제 억제제, HMG-CoA 생성효소 억제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포스포메발로네이트 키나아제 억제제, 메발로네이트-5-피로포스페이트 탈카복실화효소 억제제,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이성질화효소 억제제, 이소펜테닐 피로포스페이트 이성질화효소 억제제,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합성효소 억제제, 및 제라닐제라닐 전이효소 (I, II) 억제제의 용도.
  6.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수화물:
    Figure pct00200

    화학식 I,
    상기 화학식 I에서, 상기 화합물은 1000 미만의 분자량을 갖고, Ar은 벤즈이미다졸일-형태 기, 또는 아자-벤즈이미다졸일 기이고;
    X는 다음 중 어느 것이고: 수소, 하이드록시, 지방족 기, 머캅토, 할로겐, 알콕시 또는 알킬; 각각의 M은 독립적으로 다음의 어느 하나이고: 음전하, 수소, 알킬, 지방족 기, -(CH2)p-O-CO-R, -(CH2)p-CO-R 또는 양이온; 여기서 p은 1 내지 6이고, R은 수소, 알킬 또는 아릴이고; 상기 양이온은 Li+, Na+, K+, Ca2+, Mg2+, NH4 + 또는 N(R')4 +이고, 여기서 R'은 알킬이고; R6,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다음의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고: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아미노, 지방족 기 또는 알킬;
    m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7.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201
    또는
    Figure pct00202

    상기 식에서 R1, R2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할로겐 및 이와 유사한 것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식에서 R3, R4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X는 수소, 하이드록시, 머캅토 및 할로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8.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203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기 중의 알킬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알킬 또는 카바모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2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R3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R4은 수소, 알킬,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9.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204

    상기 식에서:
    R5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0. 다음의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에스테르,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205

    상기 식에서:
    R9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0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2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아미노, 알킬티오, 할로겐, 하이드록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KR1020187009924A 2015-09-09 2016-09-08 고-효율 백신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 경로 억제제 KR102116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570517.9 2015-09-09
CN201510570517 2015-09-09
CN201610022707 2016-01-14
CN201610022707.1 2016-01-14
PCT/CN2016/098371 WO2017041720A1 (zh) 2015-09-09 2016-09-08 作为高效的疫苗佐剂的甲羟戊酸通路的抑制剂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743A Division KR20200060540A (ko) 2015-09-09 2016-09-08 고-효율 백신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 경로 억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425A true KR20180044425A (ko) 2018-05-02
KR102116528B1 KR102116528B1 (ko) 2020-05-28

Family

ID=582406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743A KR20200060540A (ko) 2015-09-09 2016-09-08 고-효율 백신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 경로 억제제
KR1020187009924A KR102116528B1 (ko) 2015-09-09 2016-09-08 고-효율 백신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 경로 억제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743A KR20200060540A (ko) 2015-09-09 2016-09-08 고-효율 백신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 경로 억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82971B2 (ko)
EP (1) EP3348269B1 (ko)
JP (2) JP7076798B2 (ko)
KR (2) KR20200060540A (ko)
CN (2) CN108289902B (ko)
WO (1) WO2017041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6637B (zh) * 2017-10-13 2023-04-11 清华大学 Vγ9Vδ2 T及其激动剂在治疗肝纤维化、肝硬化和肝癌中的应用
CN111225672B (zh) 2017-10-16 2023-09-29 清华大学 甲羟戊酸通路抑制剂及其药物组合物
CN109762048B (zh) * 2019-01-18 2022-07-29 新乡学院 阻断鸡pd-1/pd-l1信号通路的表位多肽及其应用
CA3142321A1 (en) 2019-05-30 2020-12-03 Xiamen University Preparation of zinc risedronate micro/nano adjuvant and use thereof as vaccine adjuvant
CN110283836B (zh) * 2019-06-24 2021-07-06 四川农业大学 一种3型鸭甲肝病毒突变基因isa-t1142a及构建方法
KR102581090B1 (ko) * 2020-10-16 2023-09-21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스타틴 화합물을 포함하는 돼지 전염병 설사 바이러스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23550353A (ja) 2020-11-16 2023-12-01 厦▲門▼大学 リセドロン酸亜鉛アルミニウムを含有するアジュバント、およびその用途
CN117940155A (zh) * 2021-09-09 2024-04-26 清华大学 免疫原性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4634910B (zh) * 2022-03-09 2024-03-08 山东第一医科大学附属肿瘤医院(山东省肿瘤防治研究院、山东省肿瘤医院) 一种胃癌细胞的培养基及其培养方法
WO2023225273A1 (en) * 2022-05-20 2023-11-23 Navidea Biopharmaceuticals, Inc. Cd206 targeted drug delivery vehicles carrying novel bisphosphonate drug payloads via a degradable linker
CN115282278A (zh) * 2022-07-13 2022-11-04 山东大学 胆固醇调节剂作为抗原递呈促进剂在乙肝治疗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0396A (ja) * 2012-08-23 2014-03-06 Chemo-Sero-Therapeutic Research Institute 脂質異常症治療薬を含有するアジュバント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77243A (en) * 1984-12-21 1996-11-14 Procter & Gam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geminal diphosphonic acid compounds and certain such novel compounds
DE3822650A1 (de) 1988-07-05 1990-02-01 Boehringer Mannheim Gmbh Neue diphosphonsaeure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US4958839A (en) 1988-07-12 1990-09-25 Guzik Technical Enterprises, Inc. Disc clamp employing resilient cone for spreading balls
US5102911A (en) 1989-06-09 1992-04-07 Merck & Co, Inc. 4-Substituted HMG-CoA reductase inhibitors
US5064856A (en) 1989-07-31 1991-11-12 Merck & Co., Inc. Novel hmg-coa synthase inhibitors
US5157027A (en) * 1991-05-13 1992-10-20 E. R. Squibb & Sons, Inc. Bisphosphonate squalene synthetase inhibitors and method
JPH05163150A (ja) * 1991-05-13 1993-06-29 E R Squibb & Sons Inc アテローム性動脈硬化症の抑制・治療剤
WO1993005052A1 (fr) * 1991-09-05 1993-03-18 Toray Industries, Inc. Derive d'acide methanediphosphonique, sa production et son utilisation comme remede
EP1397146A4 (en) * 2001-06-05 2005-12-21 Merck & Co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US7462733B2 (en) 2001-07-30 2008-12-09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reparation and use of α-keto phosphonates
US20030129161A1 (en) 2001-09-17 2003-07-10 Hsien-Jue Chu Interleukin-12 as a veterinary vaccine adjuvant
WO2005023270A2 (en) * 2003-09-09 2005-03-17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of antiviral drugs in the treatment of retroviral diseases resistant to 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
EP1658845A1 (en) * 2004-10-06 2006-05-24 PrimaGen Holding B.V. Use of statin or precursor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virusinfections
EP1930414B1 (en) * 2005-09-08 2012-07-18 Medinet Co., Ltd. Method for activation treatment of antigen-presenting cell
US7781418B2 (en) 2006-12-14 2010-08-24 Isis Innovation Ltd. Composition for treating bone disorders
US8618079B2 (en) 2008-09-22 2013-12-31 Isis Innovation Limited Imidazo[1,2-a] pyridinyl bisphosphonates
US8816082B2 (en) * 2010-05-28 2014-08-26 The Royal Institution For The Advancement Of Learning/Mcgill University Heterocyclyl-pyridinyl-based biphosphonic aci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omposition thereof and method of use thereof
BR112012030337B1 (pt) 2010-05-28 2021-04-27 Coley Pharmaceutical Group, Inc Vacina compreendendo um ou mais oligonucleotídeo(s) de cpg isolado(s) ou um agonista de tlr e colesterol, e uso da mesma
WO2012034038A2 (en) 2010-09-09 2012-03-15 H. Lee Moffitt Cancer Center And Research Institute, Inc. Dual inhibitors of farnesyltransferase and geranylgeranyltransferase i
US10188733B2 (en) * 2010-10-22 2019-01-29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Vaccines comprising bisphosphonate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2659840B (zh) * 2012-05-10 2013-08-14 苏州普瑞诺药物技术有限公司 咪唑双膦酸类化合物及其可药用盐及药物用途
GB201305947D0 (en) * 2013-04-02 2013-05-15 Univ Sheffield New method 1
CN103768595B (zh) * 2014-01-27 2016-03-02 中国医学科学院医学生物学研究所 唑来膦酸佐剂及含唑来膦酸佐剂的疫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0396A (ja) * 2012-08-23 2014-03-06 Chemo-Sero-Therapeutic Research Institute 脂質異常症治療薬を含有するアジュバント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nette Leon et al., ‘Isoprenoid Biosynthesis as a Drug Target: Bisphosphonate Inhibition of Esherichia coli K12 Growth and Synergistic Effects of Fosmidomycin’ J. Med. Chem. 2006, 49, pp. 7331-7342.* *
Daniele Simoni et al., J. Med. Chem. 2008, 51, pp. 6800-6807.* *
Joris W. De Schutter et al., ‘Novel bisphosphonate inhibitors of the human farnesyl pyrophosphate synthase’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2010), pp. 5781-578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2714A (ja) 2018-11-08
US20190321465A1 (en) 2019-10-24
CN108289902B (zh) 2022-05-20
KR20200060540A (ko) 2020-05-29
JP7076798B2 (ja) 2022-05-30
US11382971B2 (en) 2022-07-12
EP3348269A4 (en) 2019-05-08
JP2022105179A (ja) 2022-07-12
WO2017041720A1 (zh) 2017-03-16
EP3348269B1 (en) 2023-11-15
KR102116528B1 (ko) 2020-05-28
CN114848656A (zh) 2022-08-05
EP3348269A1 (en) 2018-07-18
CN108289902A (zh) 2018-07-17
US20220387584A1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528B1 (ko) 고-효율 백신 아쥬반트로서 메발로네이트 경로 억제제
ES2891528T3 (es) Compuestos útiles como inmunomoduladores
JP7150745B2 (ja) 免疫調節剤としての置換イソキノリン誘導体
KR102057751B1 (ko) 테노포비르 전구약물 및 그의 약학적 용도
US9315530B2 (en) Adsorption of immunopotentiators to insoluble metal salts
ES2960619T3 (es) Enlazadores cargados y sus usos para la conjugación
EP2922818A1 (en) Hydrophilic linkers and their uses for conjugation of drugs to cell binding molecules
EP3041846A1 (en) Novel cytotoxic agents for conjugation of drugs to cell binding molecule
EA019559B1 (ru) Антивирусное соединение, в частности ингибирующее вич,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его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ингибирования с его помощью
EA014685B1 (ru) Фосфонатсодержащие антивирусные соедин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их основе
TW202337439A (zh) 用於hiv病毒感染之治療性化合物
JP6706799B2 (ja) 新規ビスホスホン酸誘導体及びその用途
JP6685047B2 (ja) 新規フッ素含有型ビスホスホン酸誘導体及びその用途
CN111225672B (zh) 甲羟戊酸通路抑制剂及其药物组合物
JP2022529855A (ja) グリセロ-マンノ-ヘプトースホスフェートの誘導体および免疫応答をモジュレートする際のそれらの使用
WO2023036249A1 (zh) 免疫原性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3051675A1 (en) Nucleoside-diphosphate-heptose compounds for treating conditions associated with alpk1 activity
AU2013203167A1 (en) Adsorption of immunopotentiators to insoluble metal sa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