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417A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417A
KR20180041417A KR1020160133546A KR20160133546A KR20180041417A KR 20180041417 A KR20180041417 A KR 20180041417A KR 1020160133546 A KR1020160133546 A KR 1020160133546A KR 20160133546 A KR20160133546 A KR 20160133546A KR 20180041417 A KR20180041417 A KR 20180041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ousing
headrest
screw
conta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345B1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6013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345B1/ko
Priority to US16/336,200 priority patent/US10780809B2/en
Priority to PCT/KR2017/010654 priority patent/WO2018070702A1/en
Priority to DE112017005184.3T priority patent/DE112017005184T5/de
Priority to JP2019516968A priority patent/JP7241014B2/ja
Priority to CN201780060531.1A priority patent/CN109789823B/zh
Publication of KR2018004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62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 F16H2025/209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using worm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서로 치합되는 두개의 부재를 밀착시키는 밀착부재가 구비되어, 구동력 전달이 원활하게 될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 이동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및 헤드레스트 구동장치{Headrest moving device and driving unit of headres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서로 치합되는 두개의 부재를 밀착시키는 밀착부재가 구비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레스트 전·후진장치는 차량시트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면 충돌시 탑승자의 뒷머리를 받쳐서 목부상을 방지하여 주는 머리받침대로서, 탑승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승강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헤드레스트 전·후진장치는 한 쌍의 수직부(12)와 수평부(14)를 가지며 시트상부에 장착되는 스테이(10)와, 이 스테이(10)의 수평부(14)에 설치되고 중심공에 나사산이 형성된 말단기어를 가지는 감속기어모터와, 이 감속기어모터의 말단기어의 중심공에 결합되어 전·후진되는 한 쌍의 나선봉(40)과, 이 나선봉(40)과 일체로 결합되는 이동판(52)과, 상기 스테이(10)의 수직부(12)가 이동 가능한 공간부를 갖도록 하부로 노출되고 감속기어모터, 나선봉(40) 및 이동판(52)의 결합체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 충전된 발포물로 된 머리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나선봉(40)과 이동판(52)의 결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감속기어모터의 상면에 유통공(36a)을 갖는 한 쌍의 봉지지부(36)가 마련되고, 이 봉지지부(36)의 유통공(36a)을 통과하여 전·후진되고 그 양단부가 이동판(52)에 고정 결합되어 일체로 전·후진되는 한 쌍의 이동판지지봉(38)이 더 구비되어 있다.
스테이(10)는 감속기어모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39)이 내부에 배선되며, 특히, 수직부(12)와 수평부(14)가 만나는 곳에 형성된 개방공(16)을 통해 전원케이블(39)이 관체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레스트 전후진 장치는 감속부 내의 복수개의 기어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69905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역회전시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되며, 헤드레스트 이동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를 회전시키며,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부와, 상기 제1기어를 상기 제2기어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재는 세트 스크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제1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는 기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밀착부재 사이에는 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는 웜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기어는 웜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구동장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상기 제2기어를 밀착시키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와, 상기 스크류를 상기 너트부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서로 치합되는 두개의 부재를 밀착시키는 밀착부재가 구비되어, 헤드레스트 이동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는 세트 스크류로 구비되어, 상기 밀착부재로 인해 마찰되는 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제1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는 기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어,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부분을 모듈화시킬 수 있게 되어 조립공정이 더욱 용이해지고, 교체 및 수리도 용이해진다.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밀착부재 사이에는 볼이 배치되어, 기어와 상기 밀착부재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는 웜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기어는 웜기어로 구비되어,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장치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감속비를 크게 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헤드레스트 전·후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제3커버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제3커버를 제거한 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제2커버와 제1커버의 전방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제3커버 생략)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이하에서 "연결"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연결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스크류(110)와, 상기 스크류(11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120)와, 상기 너트부(120)를 회전시키며, 제1기어(141)와 상기 제1기어(141)에 치합되는 제2기어(142)를 포함하는 기어부와, 상기 제1기어(141)를 상기 제2기어(142)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110)와 상기 너트부(120) 중 하나에는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시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크류(1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스크류(110)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너트부(120)의 중심부에는 스크류(110)가 관통되는 스크류 관통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너트부(12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크류(110)에 나사결합된다.
스크류(110)와 너트부(120) 중 하나에는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시트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110)에는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너트부(120)에는 시트가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스크류에는 시트가 연결되고, 너트부에는 헤드레스트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기어부는 너트부(120)를 회전시키며, 제1기어(141)와 상기 제1기어(141)에 치합되는 제2기어(142)를 포함한다.
제1기어(141)는 웜으로 구비되고, 제2기어(142)는 웜기어로 구비된다.
제1기어(141)는 구동부(130)의 축에 연결되어 구동부(130)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부(130)는 모터 등으로 구비된다.
구동부(130)의 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구동부(130)의 축은 하부에 배치된다.
제1기어(141)의 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기어(142)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기어(142)는 너트부(120)에 연결되어, 너트부(120)를 회전시킨다.
제2기어(142)에는 너트부(120)가 끼워지는 너트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제2기어(142)의 내주면에는 너트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홈과 상기 돌기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너트부(120)는 스플라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기어(142)가 회전하면 너트부(12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와 다르게,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기어이가 형성되어, 제2기어와 너트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1기어(141)와 제2기어(142)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제1하우징(16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30)와, 제1,2기어(141, 142)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구동장치가 제1하우징(160)에 설치된다.
제1하우징(160)은 제1전방하우징(161)과, 제1전방하우징(161)의 후방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후방하우징(162)을 포함한다. 제1전방하우징(161)과 제1후방하우징(162)은 볼트 등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부(130)는 제1하우징(160)의 상부에 볼트 등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구동부(130)는 제1하우징(160)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하우징(160)의 외측에 설치된다.
제1하우징(160)의 내부에는 제1,2기어(141, 142)가 안착되는 제1,2기어안착홈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하우징(160)에는 상기 제2기어안착홈에 연통되도록 스크류(110)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하우징(160)의 내벽과 너트부(120) 및 제2기어(142) 사이에는 부시와 와셔가 배치되어, 너트부(120) 및 제2기어(142)가 제1하우징(16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밀착부재(150)는 제1기어(141)를 제2기어(142)에 밀착시킨다. 밀착부재(150)는 제1기어(141)를 상부로 밀어서 제1기어(141)를 제2기어(142)에 밀착시킨다.
밀착부재(150)는 세트 스크류로 구비된다. 밀착부재(150)는 6각 구멍붙이 나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끝단이 납작하게 형성된다. 또한, 밀착부재(150)의 끝단은 우레탄 또는 구리 등의 연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재(150)는 제1하우징(160)에 설치되는 제1기어(141)의 축에 접촉되도록 제1하우징(160)에 설치된다.
제1하우징(160)에는 밀착부재(150)가 설치되는 밀착부재 관통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밀착부재(150)의 머리 부분은 제1하우징(160)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밀착부재(150)를 용이하게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 관통공은 상기 제1기어안착홈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재 관통공은 제1후방하우징(162)의 좌측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재 관통공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밀착부재(150)는 제1하우징(160)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밀착부재(150)를 회전시켜서 제1기어(141)와 제2기어(142)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밀착부재(150)는 제1기어(141)의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기어(141)의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밀착부재(150)의 상부에는 제1기어(141)가 배치되고, 제1기어(141)의 상부에는 구동부(130)가 배치되며, 제1기어(141)의 우측에는 제2기어(142)가 배치되고, 제2기어(142)의 내부에는 너트부(120)가 배치되고, 너트부(120)의 내부에는 스크류(110)가 배치된다.
밀착부재(150)가 접촉되는(미는) 제1기어(141)와 밀착부재(150) 사이에는 볼(143)이 배치된다. 볼(143)은 제1기어(141)의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1기어(141)는 밀착부재(15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볼(143)로 인해 밀착부재(150)와 제1기어(141) 사이에 마찰이 발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하우징(160)은 제2하우징(400) 내부에 설치된다.
제2하우징(400)은 제2전방하우징(410)과, 제2전방하우징(410)의 후방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후방하우징(420)을 포함한다. 제2전방하우징(410)과 제2후방하우징(420)은 상부 중간과 양측 중간에 후크와 후크체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가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제2전방하우징(410)의 상하부 양측에 후방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405)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부(405)는 양측 중간에 배치되는 후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2후방하우징(420)에는 제1돌출부(405)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부(405)의 외측에는 제2끼움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돌출부(405)로 인해 가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제2전방하우징(410)과 제2후방하우징(420)은 가조립된 후에 상부 양측 및 하부 양측이 볼팅체결되어 조립된다.
제2하우징(400)의 내측에는 스테이로드(200)의 수직로드(210)와 수평로드(220)가 안착되는 스테이로드 안착홈(40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하우징(400) 및 제1하우징(160) 및 구동부(130) 및 제1,2기어(141, 142) 및 너트부(120)는 스테이로드(200)에 대해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고정된다.
제2하우징(400)은 수직로드(210)와 수평로드(220)가 연결되는 부분(절곡부분)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스테이로드 안착홈(401)에 수직로드(210)와 수평로드(220)를 안착시켜서, 제2하우징(400)을 스테이로드(200)에 설치하여, 설치하중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립공정이 용이해지고 기존의 스테이로드를 변형시키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400)의 내측에는 구동부(130) 및 제1하우징(160)이 안착되는 구동부 안착홈(404)이 형성된다.
구동부 안착홈(404)은 스테이로드 안착홈(401)에 의해 상부 및 양측이 둘러싸이도록 배치된다.
나아가, 제2하우징(400)에는 전후방향으로 가이드핀 관통공(402)이 4개 형성된다. 가이드핀 관통공(402)은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가이드핀 관통공(402)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핀(300)이 각각 끼워진다.
가이드핀(300)의 전방과 후방에는 부시가 끼워져서, 가이드핀(300)과 제2하우징(400) 사이에는 부시가 배치된다.
가이드핀 관통공(402)은 스테이로드 안착홈(401)의 내측에 배치된다. 구동부 안착홈(404)은 가이드핀 관통공(402)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가이드핀(300)과 구동부(130) 및 제1하우징(160)은 스테이로드(200)의 수평로드(220)와 수직로드(210)에 의해 둘러싸인다. 따라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스테이로드(200)에 의해 구동장치가 보호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제2하우징(400)에는 스크류(110)가 관통되는 스크류 관통공(403)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스크류 관통공(403)은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핀 관통공(402) 사이에 배치된다.
제2하우징(400)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핀(300)의 전단과 후단에는 브라켓(500)이 각각 볼트 등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브라켓(500)에는 스크류(110)의 전단과 후단이 볼트 등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브라켓(500)은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사각 틀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라켓(50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가이드핀(300)이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전방에 배치되는 브라켓(500)은 제3하우징(600)에 설치된다.
제3하우징(600)은 제3전방하우징(610)과, 제3전방하우징(610)의 후방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후방하우징(620)을 포함한다.
브라켓(500) 및 제2하우징(400)은 제3하우징(600) 내부에 배치된다.
제3전방하우징(610)의 내부에는 전방에 배치되는 브라켓(500)이 안착되는 브라켓 안착홈이 형성된다.
제3전방하우징(610)에는 브라켓(500)과 볼트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체결공은 가이드핀(3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볼트를 이용하여 제3전방하우징(610)과, 브라켓(500)과 가이드핀(300)이 결합된다.
제3전방하우징(610)과 제3후방하우징(620)에는 상부 양측과 양측 중간과 하부 양측에 후크와 후크체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가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제3전방하우징(610)의 상하부 양측에 후방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611)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돌출부(611)는 양측 중간에 배치되는 후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2돌출부(611)는 제1돌출부(405)의 제2끼움홈에 끼워진다. 제2돌출부(611)에는 제3끼움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제3후방하우징(620)의 상하부 양측에는 제3돌출부(621)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돌출부(621)는 상기 제3끼움홈에 끼워진다.
제3전방하우징(610)과 제3후방하우징(620)은 가조립된 후에 상부 양측이 볼팅체결되어 조립된다.
제3하우징(600)의 하부에는 스테이로드(200)의 수직로드(210)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3하우징(600)의 외측에는 스폰지와 같은 충격흡수부재와 트림이 씌워져서 헤드레스트를 형성한다.
한편, 스테이로드(200)의 수평로드(220)와 수직로드(210)가 만나는 부분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구동부(130)에 연결된 전선이 스테이로드(200)를 통해 시트쪽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각종 센서나 버튼이나 제어부의 입력을 받아서, 구동부(130)가 작동되면, 제1기어(141)는 회전된다. 제1기어(141)에 연동되어 제2기어(142)도 회전된다. 제2기어(142)가 회전함에 따라 너트부(120)도 회전된다. 너트부(120)에 나사결합된 스크류(110)는 너트부(120)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즉, 너트부(120) 및 제1하우징(160) 및 스테이로드(200) 및 상기 시트 및 제2하우징(400)에 대해 스크류(110) 및 브라켓(500) 및 제3하우징(600) 및 상기 헤드레스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시트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밀착부재는 스크류 또는 너트부를 밀어서 스크류와 너트부가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스크류 120 : 너트부
130 : 구동부 141 : 제1기어
142 : 제2기어 150 : 밀착부재
160 : 제1하우징 161 : 제1전방하우징
162 : 제1후방하우징 200 : 스테이로드
210 : 수직로드 220 : 수평로드
300 : 가이드핀 400 : 제2하우징
401 : 스테이로드 안착홈 402 : 가이드핀 관통공
403 : 스크류 관통공 404 : 구동부 안착홈
405 : 제1돌출부
410 : 제2전방하우징 420 : 제2후방하우징
500 : 브라켓 600 : 제3하우징
610 : 제3전방하우징 620 : 제3후방하우징
611 : 제2돌출부 621 : 제3돌출부

Claims (7)

  1.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
    상기 너트부를 회전시키며,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부;
    상기 제1기어를 상기 제2기어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세트 스크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제1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는 기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밀착부재 사이에는 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는 웜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기어는 웜기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6.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
    상기 제1기어에 상기 제2기어를 밀착시키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7.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
    상기 스크류를 상기 너트부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160133546A 2016-10-14 2016-10-14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870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546A KR101870345B1 (ko) 2016-10-14 2016-10-14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16/336,200 US10780809B2 (en) 2016-10-14 2017-09-27 Headrest moving device and driving unit of headrest
PCT/KR2017/010654 WO2018070702A1 (en) 2016-10-14 2017-09-27 Headrest moving device and driving unit of headrest
DE112017005184.3T DE112017005184T5 (de) 2016-10-14 2017-09-27 Kopfstützen-Bewegungsvorrichtung und Antriebseinheit für die Kopfstütze
JP2019516968A JP7241014B2 (ja) 2016-10-14 2017-09-27 ヘッドレスト移動装置およびヘッドレスト駆動装置
CN201780060531.1A CN109789823B (zh) 2016-10-14 2017-09-27 头枕移动装置及头枕驱动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546A KR101870345B1 (ko) 2016-10-14 2016-10-14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417A true KR20180041417A (ko) 2018-04-24
KR101870345B1 KR101870345B1 (ko) 2018-06-22

Family

ID=6190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546A KR101870345B1 (ko) 2016-10-14 2016-10-14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80809B2 (ko)
JP (1) JP7241014B2 (ko)
KR (1) KR101870345B1 (ko)
CN (1) CN109789823B (ko)
DE (1) DE112017005184T5 (ko)
WO (1) WO20180707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101A (ko) * 2020-08-13 2022-02-22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KR20220026769A (ko) * 2020-08-26 2022-03-07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4277B1 (en) * 2018-03-23 2023-02-21 Life Aligned Safety Products Llc Reduced-impact-and-recoil headrest
DE202018106289U1 (de) * 2018-11-05 2020-02-06 Elektrosil Gmbh Verstellvorrichtung zur Verstellung einer Kopfstützenposition
DE102019117990A1 (de) * 2019-07-03 2021-01-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itz mit Kopfstütze für ein Fortbewegungsmittel und Fortbewegungsmittel
KR102419989B1 (ko) * 2020-11-05 2022-07-13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20230097570A (ko) * 2021-12-24 2023-07-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윙아웃 헤드레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430A (ko) * 2005-06-22 2006-12-2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전·후진장치
JP2007247734A (ja) * 2006-03-15 2007-09-27 Nsk Ltd ウォーム式減速機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33319B1 (ko) * 2007-01-04 2008-05-28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헤드레스트 전후이동장치
CN102387938A (zh) * 2009-04-10 2012-03-21 科堡布罗斯车辆零件两合公司 用于汽车乘客的头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94729B (en) * 1986-09-04 1990-03-14 Gen Motors Corp Improved vehicle headrest
FR2822420B1 (fr) * 2001-03-21 2003-07-18 Security Vision Concept Appui-tete, notamment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4690085B2 (ja) 2005-03-23 2011-06-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CN201333957Y (zh) * 2009-01-06 2009-10-28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非对称性电动头枕驱动装置
DE102012003367A1 (de) * 2012-02-22 2013-08-22 Grammer Ag Kopfstütze
US8657379B2 (en) * 2012-06-25 2014-02-25 Lear Corporation Power return folding head restraint
EP2698277B1 (en) * 2012-08-13 2016-03-23 Schukra Gerätebau GmbH Headrest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a headrest
JP2014097548A (ja) 2012-11-15 2014-05-29 Canon Inc 剛性可変機構、剛性可変駆動装置及び関節駆動装置
KR101593846B1 (ko) * 2014-12-29 2016-02-15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장치
CN205632204U (zh) * 2016-04-07 2016-10-12 宁波继峰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四向调节头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430A (ko) * 2005-06-22 2006-12-2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전·후진장치
KR100699053B1 (ko) 2005-06-22 2007-03-2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전·후진장치
JP2007247734A (ja) * 2006-03-15 2007-09-27 Nsk Ltd ウォーム式減速機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33319B1 (ko) * 2007-01-04 2008-05-28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헤드레스트 전후이동장치
CN102387938A (zh) * 2009-04-10 2012-03-21 科堡布罗斯车辆零件两合公司 用于汽车乘客的头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101A (ko) * 2020-08-13 2022-02-22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KR20220026769A (ko) * 2020-08-26 2022-03-07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29235A (ja) 2019-10-17
CN109789823B (zh) 2022-01-25
CN109789823A (zh) 2019-05-21
JP7241014B2 (ja) 2023-03-16
US10780809B2 (en) 2020-09-22
DE112017005184T5 (de) 2019-07-18
KR101870345B1 (ko) 2018-06-22
US20190241107A1 (en) 2019-08-08
WO2018070702A1 (en)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345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501384B1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KR101219277B1 (ko)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
JP4736566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376465B1 (ko) 시트 조정기용 전동 장치
EP2279898B1 (en) Speed reduction device for power seat
US5860319A (en) Reduced noise drive block for vehicle seat adjuster
US20160250953A1 (en) Power headrest apparatus
JP2010006098A (ja) 車両用シートのパワースライド装置
KR101136823B1 (ko) 차량용 전동트랙의 기어박스 및 그 조립방법
CN101900182B (zh) 用于电动座椅的减速装置
JP4774867B2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831302B2 (ja) 車両用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470183B1 (ko) 자동차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JP2009090941A (ja) 車両用シートのパワースライド装置
JP4945198B2 (ja) 自動車の可動フロア装置
JP6634113B2 (ja) 座席回転装置
WO2011150489A1 (en) Power drive assembly for a seat track assembly featuring compressible ribs
JP5531083B2 (ja) 車両用シートのパワースライド装置
KR20020072621A (ko) 자동차의 시트 슬라이드 장치
JP2009090942A (ja) 車両用シートのパワー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アッパレール連結装置
JP5476453B2 (ja) 車両用シートのパワースライド装置
US20070142117A1 (en) Shaft to socket connection having an interference fit
CN220615686U (zh) 一种屏幕角度可调的屏总成、车辆
JPH11334425A (ja) 車両用シートの減速装置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