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952A -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 Google Patents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952A
KR20180040952A KR1020160132924A KR20160132924A KR20180040952A KR 20180040952 A KR20180040952 A KR 20180040952A KR 1020160132924 A KR1020160132924 A KR 1020160132924A KR 20160132924 A KR20160132924 A KR 20160132924A KR 20180040952 A KR20180040952 A KR 20180040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kirt
bracket
fastening
opera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983B1 (ko
Inventor
김병곤
김용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2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9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1For commercial vehicles or tractor-trailer combinations, e.g.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8Parts or details thereof, e.g. mudguard flaps
    • B62D25/182Movable mudguards, or mudguards comprising movable or detach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럭의 적재 프레임 측부에 장착되는 사이드 스커트를 사용자의 위치이동 없이 전방 일측에서의 조작만으로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SIDE SKIRT OF TRUCK}
본 발명은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럭의 적재 프레임 측부에 장착되는 사이드 스커트를 사용자의 위치이동 없이 전방 일측에서의 조작만으로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의 차체 프레임 중 적재부의 하부프레임에는 연료탱크, 에어탱크 등과 같은 각종 탱크류가 설치되며, 이러한 탱크류의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하부프레임의 측부에는 사이드 스커트가 적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트럭의 연료탱크는 내부의 연료를 유지하고 충돌 등의 외력에도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는 정도의 자체 강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충돌사고시 차체의 일그러짐 등 외적 요인에 의해서 연료탱크가 파손되는 일을 방지하여 사고의 피해를 최소화시켜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트럭의 차체 프레임 측면에는 소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사이드 스커트를 설치하여 탱크류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디젤차량의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일환으로 보조 연료인 우레아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우레아의 저장을 위한 탱크도 트럭에 설치되는 관계로 이 또한 사이드 스커트를 사용하여 보호하고 있다.
보통 대형 트럭에서 트랙터 차종의 경우 연료 주입 시 보조연료인 우레아를 주입하고 있으며, 이때 주입건의 진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스커트를 탈거해야 하는 등 공구사용 및 정비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인 사이드 스커트는 차체프레임과 체결되기 위해 길이방향 전방부 체결장치 와 후방부 체결장치 각각이 차체프레임과 체결되고, 각 체결장치간의 거리는 1800mm에 달한다. 따라서, 사이드 스커트를 차체프레임으로부터 개폐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한 사람이 한번에 조작할 수 없고, 반드시 위치이동을 수반하여 두 번의 개폐장치 조작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74702호 (2014.12.11)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럭의 적재부 차체프레임에 각종 탱크류의 보호를 위해 설치되는 사이드 스커트를 해제함에 있어서, 전방부 일측에서의 조작만으로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이드 스커트의 개폐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연료 주입과 관련한 작업시간 단축은 물론 정비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는, 전방 및 후방의 일측이 각각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탱크 어셈블리를 보호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일측에서의 조작을 통해 사이드 스커트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스커트는 전방 상부를 차체의 프레임에 체결하는 전방체결장치; 후방 상부를 차체의 프레임에 체결하는 후방체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체결장치는 상기 사이드 스커트의 후방 상부를 상기 프레임에 체결하는 후방 체결부; 상기 후방 체결부의 체결 또는 해제를 조작하는 후방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조작부는 상기 전방체결장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 체결부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체결장치는 상기 사이드 스커트 내면 전방 상부에 설치된 상기 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 상기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설치된 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및 상기 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 및 상기 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를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스커트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전방 고정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고정핀의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전방체결장치가 체결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는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고정핀이 상기 상하부 브라켓을 수직 관통하며, 상기 전방 고정핀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상하부 브라켓의 사이에서 상기 전방 고정핀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전방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고정핀의 상단부에는 전방 조작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조작부의 하단면은 소정의 각도로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방 조작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하단면의 최고점과 최저점이 교대로 상기 상부 브라켓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방 고정핀이 상하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고정핀의 일정높이에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가 고정되기 위한 전방 스톱퍼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의 일측에는 상기 후방 조작부 장착용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상단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후방 조작부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조작부는 상기 관통홀내부에서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후방 체결부가 체결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조작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하 동작을 하는 관통부;
상기 관통부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의 하단부에는 타단이 상기 후방 체결부와 연결되는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조작부는, 상기 관통부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후방 조작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후방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스프링의 하단은 상기 관통부의 일정높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후방 스톱퍼에, 상단은 상기 후방 조작부 걸림부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후방 조작부를 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체결부는 상기 사이드 스커트 내면 후방 상부에 설치된 상기 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 제 1브라켓및 제 2브라켓이 상기 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각각 이격되게 설치된 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 중앙부가 절곡되고 양단부에는 후방 고정핀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제 1브라켓 및 제 2브라켓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후방 고정핀이 상기 제 1브라켓 및 상기 제 2브라켓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후방 조작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판스프링의 중앙부 외측에 연결되며, 상기 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의 일측에 형성된 와이어거치대에 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체결부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 및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면서 상기 제 1브라켓 및 제 2브라켓사이에 밀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스프링과 접촉되는 모서리가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체결장치의 해제방법은, 청구항 1항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체결장치의 해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핀의 상승을 통해 상기 전방 체결장치가 해제되는 전방 체결장치 해제단계; 상기 후방 조작부의 상승을 통해 상기 와이어가 전방을 향해 당겨지는 후방 조작부 조작단계; 상기 와이어가 당겨짐으로써 상기 후방 고정핀이 상기 제 2프레임 고정 브라켓부로부터 탈락하는 후방 체결장치 해제단계; 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고정핀은 상기 전방 조작부의 회전을 통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체결장치 해제단계 및 상기 후방 조작부 조작단계는 사용자의 위치이동 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전방부 일측에서의 조작만으로 손쉽게 개폐할 수 있으므로, 연료 주입 및 정비 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개폐에 있어서 전방부 일측에서의 조작시간만이 소요되므로 조연료 주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작업상 편의성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사이드 스커트의 탈장착이 용이하므로, 프레임 주변 부품 정비 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트럭의 래더 앤 가드레일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전방 체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후방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전방 체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후방 조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후방 체결부의 해제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는 탱크 어셈블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자 탱크 어셈블리를 가려주는 직사각형의 판체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탱크 어셈블리의 각종 탱크류(특히 우레아 탱크)에 보조연료 등을 주입하기 위하여 손쉽게 개폐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는 후술하는 전방 체결장치 및 후방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차체의 프레임에 체결하고, 전방 체결장치의 위치에서의 조작을 통해 하단부의 힌지점(미도시)을 중심으로 차체 바깥쪽으로 상기 사이드 스커트를 각회전시켜 손쉽게 열리도록 함으로써, 각종 탱크류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보조 연료 주입 및 정비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힌지는 사이드 스커트의 양쪽 두 곳에 각각 설치하여,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는 사이드 스커트를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 스커트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는 전방 상부를 차체의 프레임에 체결하는 전방체결장치 및 후방 상부를 차체의 프레임에 체결하는 후방체결장치로 구성된다.
이때, 후방 체결장치는 상기 사이드 스커트의 후방 상부를 상기 프레임에 체결하는 후방 체결부 및 상기 후방 체결부의 체결 또는 해제를 조작하는 후방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후술할 바와 같이 조작부와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전방 체결장치와 달리 상기 후방 체결장치는 상기 후방 체결부와 이를 동작하도록 조작하는 후방 조작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양자가 와이어(400)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방 조작부는 상기 사이드 스커트의 전방부 일측에 설치된 상기 전방 체결장치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전방 체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체결장치는 상기 사이드 스커트 내면 전방 상부에 설치된 상기 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250), 상기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설치된 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270) 및 상기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 및 상기 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270)를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스커트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전방 고정핀(2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전방 고정핀(220)의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전방체결장치가 체결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250)는 상부 브라켓(251)과 하부 브라켓(252)이 상하로 형성되어 "ㄷ"자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수평 설치되고, 상기 전방 고정핀(220)이 상기 상하부 브라켓(252)을 수직 관통하며, 상기 전방 고정핀(220)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상하부 브라켓(252)의 사이에서 상기 전방 고정핀(2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전방 스프링(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전방 체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전방 체결장치는, 상기 전방 고정핀(220)의 상단부에는 전방 조작부(21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조작부(210)의 하단면은 소정의 각도로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방 조작부(210)가 회전하면서 상기 하단면의 최고점과 최저점이 교대로 상기 상부 브라켓(251)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 조작부(21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상기 상기 전방 고정핀(220)이 상하 동작을 통해 상기 전방체결장치가 체결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 조작부(21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전방 조작부(210)의 최고점이 상기 상부 브라켓(251)과 접촉하게 되면 전방 조작부(210)가 상승함에 따라, 일체로 연결된 전방 고정핀(220)도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전방 고정핀(220)의 하부 일부 구간이 상기 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270)를 관통하고 있던 상태에서 해제되면서, 상기 상기 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250)를 상기 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270)에서 해제 시키게 된다.
반대로 체결시에는, 그 상태에서 다시 상기 전방 조작부(210)를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전방 조작부(210)의 하단면과 상기 상부 브라켓(251)과의 접촉점이 상기 전방 조작부(210)의 최저점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전방 조작부(21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일체로 연결된 전방 고정핀(220) 역시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다시 하부 일부 구간이 상기 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270)를 관통하게 되면서 상기 상기 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250)를 상기 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270)에 체결 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 고정핀(220)의 상부 일부 구간은 항상 상기 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250)의 상부 브라켓(251)부와 하부 브라켓(252)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 조작부(21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방 고정핀(220)의 일정높이에는 둘레를 따라 후술할 전방 스프링(230)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전방 스톱퍼(2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251) 및 하부 브라켓(252) 사이에서 상기 전방 고정핀(220)의 둘레에 스프링 탄성체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 스프링(230)은 상기 전방 고정핀(220)이 최고점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전방 스톱퍼(221)에 고정되어 최대로 수축되며, 이후 상기 전방 조작부(210)의 회전시 상기 전방 고정핀(220)을 탄력적으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의 일측에는 상기 후방 조작부 장착용 관통홀(2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55)의 상단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후방 조작부 걸림부(256)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조작부는 상기 관통홀(255) 내부에서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후방 체결부가 체결 또는 해제된다.
상기 전방 체결장치는 전방 조작부(210)와 전방 고정핀(2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스커트의 전방부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전방에서의 조작이 필요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에서는 상기 후방체결장치의 겨우 상기 사이드 스커트를 차량의 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는 후방에 형성되지만,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후방 조작부는 사이드 스커트의 전방부에 형성된 상기 전방 체결장치의 일측에 구비되고, 양자는 와이어(400)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이드 스커트의 개폐를 위해 차량의 후방까지 위치를 이동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후방 조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후방 조작부는 상기 관통홀(255)에 삽입되어 상하 동작을 하는 관통부(312), 상기 관통부(312)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255)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312)의 하단부에는 타단이 상기 후방 체결부와 연결되는 와이어(400)의 일단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후방 조작부는, 상기 관통부(312)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후방 조작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후방 스프링(313)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스프링(313)의 하단은 상기 관통부(312)의 일정높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후방 스톱퍼(314)에, 상단은 상기 후방 조작부 걸림부(256)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후방 조작부를 아래쪽으로 탄력 지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후방 체결장치의 해제를 위해 상기 후방 손잡이부를 위쪽으로 당기면, 일체로 형성된 상기 관통부(312)가 상기 관통홀(255)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끌어올려지게 되고, 하단이 상기 후방 스톱퍼(314)에 고정된 상기 후방 스프링(313)이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후방 손잡이부의 조작을 멈추게 되면, 상기 후방 스프링(313)에 의해 다시 상기 관통부(312)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후방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후방 체결부는 상기 사이드 스커트 내면 후방 상부에 설치된 상기 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320), 제 1브라켓(351) 및 제 2브라켓(352)이 상기 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각각 이격되게 설치된 제 2프레임 고정 브라켓부, 중앙부가 절곡되고 양단부에는 후방 고정핀(390)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380)이 상기 제 1브라켓(351) 및 제 2브라켓(35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후방 고정핀(390)이 상기 제 1브라켓(351) 및 상기 제 2브라켓(352)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400)의 타단부 및 상기 판스프링(380)을 감싸면서 상기 제 1브라켓(351) 및 제 2브라켓(352) 사이에 밀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하우징(3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60)은 상기 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320)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60)의 내부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와이어(400)가 당겨짐에 따라 와이어(400)에 연결된 상기 판스프링(38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36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361)는 상기 판스프링(380)과 접촉되는 모서리에, 상기 판스프링(380)이 절곡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면(362)이 형성되어 지지되는 과정에서 상기 판스프링(380)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후방 체결부의 해제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의 후방 체결부의 상기 판스프링(380)의 중앙부는 상기 와이어(400)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400)의 반대쪽 일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체결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후방 조작부의 관통부(312)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후방 조작부의 손잡이부를 위쪽으로 당기면, 일체로 형성된 상기 관통부(312)의 하단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400)가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와이어(400)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후방 체결부의 판스프링(380)이 상기 지지부(361)에 지지된 상태로 끌려오면서 양단에 형성된 후방 고정핀(390)이 상기 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 즉, 상기 제1브라켓 및 제 2브라켓(352)에의 사이에서 각각 양 브라켓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400)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종방향으로 체결되는 상기 후방 체결부의 상기 판스프링(380)을 당기기 위해서는 당겨지는 힘의 작용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320)의 일측에 거치대(330)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400)가 거치되어 와이어(400)의 진행방향을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 조작부는 상기 관통부(312)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후방 조작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후방 스프링(313)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스프링(313)의 하단은 상기 관통부(312)의 일정높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후방 스톱퍼(314)에, 상단은 상기 후방 조작부 걸림부(256)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후방 조작부를 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후방 조작부를 당김으로써 상기 후방 체결부의 후방 고정핀(390)이 해제된 후, 후방 조작부가 당겨지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후방 스프링(31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후방 조작부가 처음의 위치대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방법은 상기 전방 고정핀(220)의 상승을 통해 상기 전방 체결장치가 해제되는 전방 체결장치 해제단계(S100), 상기 후방 조작부의 상승을 통해 상기 와이어(400)가 전방을 향해 당겨지는 후방 조작부 조작단계(S200), 상기 와이어(400)가 당겨짐으로써 상기 후방 고정핀(390)이 상기 제 2프레임 고정 브라켓부로부터 탈락하는 후방 체결장치 해제단계(S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 고정핀(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조작부(210)의 회전을 통해 상승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방법에 있어서의 상기 전방 체결장치 해제단계 및 상기 후방 조작부 조작단계는 사용자의 위치이동 없이, 전방 일측에서의 조작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연료 주입 및 정비 시 편리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사용자에 작업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 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사이드 스커트
210: 전방 조작부(210)
220: 전방 고정핀(220)
221: 전방 스톱퍼(221)
230: 전방 스프링(230)
250: 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250)
251: 상부 브라켓(251)
252: 하부 브라켓(252)
255: 관통홀(255)
256: 후방 조작부 걸림부(256)
270: 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270)
311: 후방 조작부 손잡이부(311)
312: 관통부(312)
313: 후방 스프링(313)
314: 후방 스톱퍼(314)
320: 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320)
330: 거치대(330)
350: 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350)
351: 제 1브라켓(351)
352: 제 2브라켓(352)
360: 하우징(360)
361: 지지부(361)
362: 경사면(362)
380: 판스프링(380)
390: 후방 고정핀(390)
400: 와이어(400)

Claims (19)

  1. 전방 및 후방의 일측이 각각 차량의 프레임에 체결되어 탱크 어셈블리를 보호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일측에서의 조작을 통해 사이드 스커트를 개폐할 수 있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커트는 전방 상부를 차체의 프레임에 체결하는 전방체결장치;
    후방 상부를 차체의 프레임에 체결하는 후방체결장치;를
    포함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체결장치는 상기 사이드 스커트의 후방 상부를 상기 프레임에 체결하는 후방 체결부;
    상기 후방 체결부의 체결 또는 해제를 조작하는 후방 조작부를 포함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조작부는 상기 전방체결장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 체결부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체결장치는 상기 사이드 스커트 내면 전방 상부에 설치된 상기 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
    상기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설치된 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및
    상기 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 및 상기 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를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스커트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전방 고정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고정핀의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전방체결장치가 체결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는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고정핀이 상기 상하부 브라켓을 수직 관통하며, 상기 전방 고정핀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상하부 브라켓의 사이에서 상기 전방 고정핀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전방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핀의 상단부에는 전방 조작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조작부의 하단면은 소정의 각도로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방 조작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하단면의 최고점과 최저점이 교대로 상기 상부 브라켓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방 고정핀이 상하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핀의 일정높이에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가 고정되기 위한 전방 스톱퍼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의 일측에는 상기 후방 조작부 장착용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상단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후방 조작부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조작부는 상기 관통홀 내부에서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후방 체결부가 체결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조작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하 동작을 하는 관통부;
    상기 관통부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의 하단부에는 타단이 상기 후방 체결부와 연결되는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조작부는,
    상기 관통부의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후방 조작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후방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스프링의 하단은 상기 관통부의 일정높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후방 스톱퍼에, 상단은 상기 후방 조작부 걸림부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후방 조작부를 하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체결부는 상기 사이드 스커트 내면 후방 상부에 설치된 상기 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
    제 1브라켓 및 제 2브라켓이 상기 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각각 이격되게 설치된 후방 프레임 고정 브라켓부;
    중앙부가 절곡되고 양단부에는 후방 고정핀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제 1브라켓 및 제 2브라켓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후방 고정핀이 상기 제 1브라켓 및 상기 제 2브라켓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후방 조작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판스프링의 중앙부 외측에 연결되며, 상기 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의 일측에 형성된 와이어 거치대에 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체결부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 및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면서 상기 제 1브라켓 및 제 2브라켓 사이에 밀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방 사이드 스커트 고정 브라켓부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스프링과 접촉되는 모서리가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17. 청구항 1항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체결장치의 해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핀의 상승을 통해 상기 전방 체결장치가 해제되는 전방 체결장치 해제단계;
    상기 후방 조작부의 상승을 통해 상기 와이어가 전방을 향해 당겨지는 후방 조작부 조작단계;
    상기 와이어가 당겨짐으로써 상기 후방 고정핀이 상기 제 2프레임 고정 브라켓부로부터 탈락하는 후방 체결장치 해제단계; 를
    포함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핀은 상기 전방 조작부의 회전을 통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체결장치 해제단계 및 상기 후방 조작부 조작단계는 사용자의 위치이동 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방법.




KR1020160132924A 2016-10-13 2016-10-13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101905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924A KR101905983B1 (ko) 2016-10-13 2016-10-13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924A KR101905983B1 (ko) 2016-10-13 2016-10-13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952A true KR20180040952A (ko) 2018-04-23
KR101905983B1 KR101905983B1 (ko) 2018-11-21

Family

ID=6208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924A KR101905983B1 (ko) 2016-10-13 2016-10-13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9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651A (ja) * 1999-05-06 2000-11-21 Araco Corp サイドスカート取付け用のブラケット
KR101315758B1 (ko) * 2012-07-27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KR101439053B1 (ko) * 2013-09-12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3258B2 (en) 2003-10-24 2007-01-16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liding chassis skir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651A (ja) * 1999-05-06 2000-11-21 Araco Corp サイドスカート取付け用のブラケット
KR101315758B1 (ko) * 2012-07-27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KR101439053B1 (ko) * 2013-09-12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983B1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4252B2 (en) Side skirt for truck
KR101439053B1 (ko)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 장치
JP2003191812A (ja) オペレータの保護構造物及びその支持装置
BR102015030801A2 (pt) Suporte de dispositivo eletrônico para um assento veicular
KR101905983B1 (ko) 트럭의 사이드 스커트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20150104250A (ko) 탑차용 적재함 문 고정장치
KR101628520B1 (ko)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고정장치
US4315646A (en) Door holder for construction vehicles and the like
KR100737959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장치의 충격흡수구조
KR20060070674A (ko) 차량의 후드 보조래치
US2798759A (en) Number plate bracket and filler cap lock
JP4237366B2 (ja) 電気式フォークリフトのバッテリフード
CN214659510U (zh) 一种半自动支撑杆固定装置
CN220332839U (zh) 一种摩托车置物箱的锁定结构
KR100464735B1 (ko) 중장비 운전실 창문보호커버 보관장치
KR200153500Y1 (ko) 자동차의 후드스테이 구조
JPH0327860Y2 (ko)
KR970001528Y1 (ko) 자동차의 캐리어잠금용 스트라이커
JP2006298200A (ja) サイドシル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KR100527785B1 (ko)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JP2501642Y2 (ja) キャブオ―バ―型自動車に於ける安全ベルト掛止機構
JPS597135Y2 (ja) フオ−クリフト用低騒音キヤビン
KR100381244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잠금 장치
KR19990031014U (ko) 자동차용 엔진후드 지지대
KR960003982Y1 (ko) 후드(Hood)의 록킹(Looking)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