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528A -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528A
KR20180040528A KR1020177037698A KR20177037698A KR20180040528A KR 20180040528 A KR20180040528 A KR 20180040528A KR 1020177037698 A KR1020177037698 A KR 1020177037698A KR 20177037698 A KR20177037698 A KR 20177037698A KR 20180040528 A KR20180040528 A KR 20180040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lement
region
waist
shee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430B1 (ko
Inventor
노부유키 가토
쉬광 야오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40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having visu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61F13/4901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4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printed or coloured, e.g. to match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영역 및 비탄성 영역에 있어서 높은 의장성을 갖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한다. 일회용 착용 물품(10)에 있어서, 전후 웨이스트 영역(11)(12)의 한쪽인 제 1 웨이스트 영역(11)은, 가로 방향(X)으로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시트(16)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1 표시 요소(61)와 제 2 표시 요소(63)를 가지며,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은, 웨이스트 개구(22)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표시 요소가 위치하는 제 1 탄성 영역(41)과,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42) 사이에 위치하여 크로치 패널(15)과 겹쳐지고, 또한 상기 제 2 표시 요소가 위치하는 비탄성 영역(43)을 가지며, 상기 웨이스트 시트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는 서로 상위하고,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하다.

Description

일회용 착용 물품
본 개시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착용 물품은 공지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전후 웨이스트 영역과 크로치 영역을 갖는 착용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착용 물품의 전후 웨이스트 영역은,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 영역과, 비탄성 영역을 갖고 있으며, 탄성 영역과 비탄성 영역은 연속한 웨이스트 시트로 형성되고, 비탄성 영역에는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 요소가 배치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4-29836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착용 물품에서는, 표시 요소에 의해 웨이스트 영역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요소는, 웨이스트 영역의 수축 상태에 있어서, 그 형태가 무너지는 일이 없도록 비탄성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고, 탄성 영역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탄성 영역에 있어서의 의장성이 낮은 것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술의 개량으로서, 탄성 영역 및 비탄성 영역에 있어서 높은 의장성을 갖는 일회용 착용 물품의 제공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피부 대향면 및 비(非)피부 대향면과, 전후 웨이스트 영역의 한쪽인 제 1 웨이스트 영역과, 상기 전후 웨이스트 영역의 다른쪽인 제 2 웨이스트 영역과,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스트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을 갖고, 상기 크로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스트 영역으로 연장되는 크로치 패널을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이다.
본 발명은, 상기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스트 영역 중의 적어도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1 표시 요소와 제 2 표시 요소를 갖는다.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은, 웨이스트 개구측에 위치하는 제 1 탄성 영역과, 상기 크로치 영역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과, 상기 제 2 탄성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크로치 패널과 겹쳐지는 비탄성 영역을 갖는다. 상기 제 1 표시 요소는 상기 제 1 탄성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표시 요소는 상기 비탄성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웨이스트 시트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는 서로 상위하며,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요소는, 상기 웨이스트 시트의 상기 신장 상태에 비해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가 작아져, 상기 제 1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하다.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시트와, 상기 신축성 시트에 적층된 비신축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요소는, 상기 신축성 시트에 인쇄된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인쇄 영역이 길게 늘어나므로, 비신축성 시트에 인쇄하는 것과 비교하여, 제 1 표시 요소에 있어서의 인쇄 영역을 작게 하여, 재료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시트와, 상기 신축성 시트에 적층된 상기 비신축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요소는, 상기 비신축성 시트에 인쇄된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제 1 및 제 2 표시 요소가 신축성 시트에 인쇄되는 경우와 같이 인쇄 영역이 길게 늘어나 얇아지는 일은 없으며, 명확하고 또한 복잡한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으므로, 의장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크로치 패널은, 상기 크로치 영역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3 표시 요소를 갖고,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요소와 상기 제 3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하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세로 방향에 있어서 늘어서는, 제 1, 제 2 및 제 3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해지므로, 웨이스트 영역과 크로치 영역을 포함한 기저귀 전체의 외관에 있어서 통일감이 있는 인상을 줄 수 있어, 착용 물품 전체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에는,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4 표시 요소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4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는 동일하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가로 방향(X)에 있어서 늘어서는 제 2 표시 요소와 제 4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하므로, 기저귀의 외관에 있어서 통일감이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의 상기 비탄성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제 2 웨이스트 영역의 상기 비탄성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제 2 웨이스트 영역에 있어서, 제 1 웨이스트 영역과 마찬가지로 의장성을 높인 경우에, 제 1 웨이스트 영역과 제 2 웨이스트 영역의 식별이 용이해져, 의장성과 식별성의 양쪽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탄성 영역 및 비탄성 영역에 있어서 높은 의장성을 갖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탄성 영역에 위치하는 제 1 표시 요소와 비탄성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하므로, 탄성 영역 및 비탄성 영역에 있어서 높은 의장성을 갖는다.
도면은,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의 일례인 일회용 기저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신전(伸展)한 기저귀를 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일부 파단 전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저귀를 비피부 대향면측에서 본 전개 평면도이다.
도 4(a)는 전(前) 웨이스트 시트가 신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 웨이스트 영역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전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 웨이스트 영역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종래의 기저귀에 있어서의 도 4(a)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도 5(b)는 종래의 기저귀에 있어서의 도 4(b)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도 6은 기저귀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도 7(b), 도 7(c)는, 기저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신축성 시트에 인쇄된 표시 요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도 8(b), 도 8(c)는, 기저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비신축성 시트에 인쇄된 표시 요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4(a)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도 9(b)는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4(b)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도 10(a)는 기저귀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4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도 10(b)는 기저귀의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4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하기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인 도 1∼도 10에 나타내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해,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후술하는 각 탄성 재료는, 그 수축력에 저항하여,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에의 수축력에 의해 각 탄성 재료가 부착된 부재에 발생한 개더가, 자연스러운 시각에 의해 실질적으로 없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정도까지 신장된 상태에 있다. 도 3∼도 10에서는, 후술하는 비탄성 영역(43)과, 제 1 및 제 2 탄성 영역(41, 42)과의 경계 부위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실시 형태>
도 1∼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의 일례인 일회용 기저귀(10)는, 세로 방향(Y) 및 그에 교차(직교)하는 가로 방향(X)과,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측의 비피부 대향면과,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를 이등분하는 세로축(P)과,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축(Q)과, 전 웨이스트 영역(11)(제 1 또는 제 2 웨이스트 영역)과, 후 웨이스트 영역(12)(제 2 또는 제 1 웨이스트 영역)과, 전 웨이스트 영역(11) 및 후 웨이스트 영역(12)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13)을 갖는다. 기저귀(10)는, 세로축(P)에 관하여 거의 대칭이며, 웨이스트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環狀)의 탄성 웨이스트 패널(14)과, 크로치 영역(13)으로부터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으로 연장되고, 탄성 웨이스트 패널(14)과 접합되는 크로치 패널(15)을 포함한다. 탄성 웨이스트 패널(14)은, 전 웨이스트 영역(11)을 형성하는 전 웨이스트 시트(16)와, 후 웨이스트 영역(12)을 형성하는 후 웨이스트 시트(17)를 포함한다.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는, 각각, 표면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 요소(60)를 갖는다.
≪전후 웨이스트 시트≫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는, 각각,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내단연(內端緣)(16a, 17a)과,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외단연(外端緣)(16b, 17b)과,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연(16c, 16d, 17c, 17d)에 의해 획정된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전후 웨이스트 시트의 내외단연(16a, 16b, 17a, 17b)과 양측연(16c, 16d, 17c, 17d)은, 각각,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의 내외단연과 양측연에 대응한다. 전 웨이스트 시트(16)의 양측연부(전 웨이스트 영역(11)의 양측연부)와 후 웨이스트 시트(17)의 양측연부(후 웨이스트 영역(12)의 양측연부)는, 서로 중첩되어, 세로 방향(Y)으로 불연속한 사이드 심(21)에 의해 연결되고, 웨이스트 개구(22) 및 한 쌍의 레그 개구(23)가 획성된다. 사이드 심(21)은, 공지의 접합 수단, 예를 들면, 열 용착 가공, 초음파 용착 가공 등의 각종의 용착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는, 각각,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가로 방향(X)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시트(31, 32)와, 비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비신축성 시트(33, 34)를 포함한다. 신축성 시트(31, 32)는, 가로 방향(X)으로 신장된 상태로,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으로 접합된다. 신축성 시트(31, 32) 및 비신축성 시트(33, 34) 중 어느 한 쪽에는, 표시 요소(60)가 예를 들면 인쇄 수단에 의해 배치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축성 시트(31, 32)에 표시 요소(60)가 인쇄 수단에 의해 배치되어 있다.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는, 웨이스트 개구연을 따라 비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절곡부(35, 36)를 갖는다.
신축성 시트(31, 32)로는, 예를 들면, 질량이 약 10∼40g/㎡인, 탄성 섬유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니들펀치 부직포 등, 각종 공지의 제법에 의해 제조된 신축성의 섬유 부직포가 이용된다. 탄성 섬유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고무 등을 원료로 하고,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와 마찬가지로 압출기를 이용한 용융 방사가 가능하며, 또 그와 같이 하여 얻어진 섬유는 열 융착이 용이하여, 신축성의 섬유 부직포로서 적합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된다. 신축성 시트(31, 32)는, 예를 들면 1방향(가로 방향)에만 탄성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되고, 2방향(세로 가로 방향) 이상에 탄성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된다.
비신축성 시트(33, 34)로는, 예를 들면, 질량이 약 10∼40g/㎡인, 각종 공지의 섬유 부직포, 통기성 또는 증기 투과성 플라스틱 시트, 또는 그들의 래미네이트가 이용된다. 섬유 부직포로는, 스펀본드 섬유 부직포, SMS 섬유 부직포,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등의 각종 공지의 섬유 부직포가 이용된다.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한,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는, 비신축성 시트(33, 34)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크로치 패널≫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크로치 패널(15)은, 전 웨이스트 영역(11)에 위치하는 전단부(15A)와, 후 웨이스트 영역(12)에 위치하는 후단부(15B)와, 전후단부(15A, 15B) 사이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어, 크로치 영역(13)을 형성하는 중간부(15C)를 갖는다. 크로치 패널(15)은,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며, 투액성을 갖는 섬유 부직포제의 내면 시트(51)와, 흡액성의 흡수성 코어(52)와, 적어도 흡수성 코어(52)의 저면(底面) 전체를 덮는 불투액성의 방루(防漏) 시트(53)와, 크로치 패널(15)의 비피부 대향면 전체를 형성하는 불투액성의 외면 시트(54)를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52)는, 플러프(fluff) 목재 펄프와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 등과의 혼합물로 형성된 심재(芯材)와, 심재 전체를 포피(包被)하는 티슈 페이퍼 등의 액 흡수 확산성의 코어 커버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면 시트(51), 흡수성 코어(52), 방루 시트(53) 및 외면 시트(54)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이다. 크로치 패널(15)은, 흡수성 코어(52)의 전후단연으로부터 세로 방향(Y)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는 엔드 플랩과, 흡수성 코어(52)의 양측연로부터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는 사이드 플랩을 갖는다. 엔드 플랩 및 사이드 플랩은, 내면 시트(51), 방루 시트(53) 및 외면 시트(54)가 서로 중첩되어 접합됨으로써 형성된다.
크로치 패널(15)은, 흡수성 코어(52)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위치하는 양측연부(사이드 플랩)를 따라,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 조(條)의 스트랜드(strand) 형상 또는 스트링(string) 형상의 레그 탄성체(55)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레그 탄성체(55)는, 내면 시트(51) 또는 방루 시트(53)와, 외면 시트(54)와의 사이에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개재되어 있다. 크로치 영역(13)의 양측연부는 레그 탄성체(55)에 의해, 레그 탄성 영역이 형성된다.
≪탄성 영역 및 비탄성 영역≫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은, 각각, 웨이스트 개구(22)측에 위치하고, 가로 방향(X)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제 1 탄성 영역(41)과, 크로치 영역(13)측에 위치하고,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는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42)과,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42)의 사이에 위치하는 비탄성 영역(43)을 갖는다. 제 1 탄성 영역(41)은,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에 양측연부 사이를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탄성 영역(42) 및 비탄성 영역(43)은, 제 1 탄성 영역(41)보다도 세로 방향(Y)의 내측에 위치하고, 비탄성 영역(43)은, 도 2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봤을 때, 크로치 패널(15)과 겹쳐져 있다.
비탄성 영역(43)은, 예를 들면, 신축성의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의 일부에 신축성이 발현되지 않도록 열 엠보스/데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비탄성 영역(43)은, 평면에서 봤을 때, 크로치 패널(15)의 흡수성 코어(52)의 전체 배치 영역의 약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배치 영역의 전부와 겹쳐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흡수성 코어(52) 주변에 위치하는 엔드 플랩 및/또는 사이드 플랩의 일부와 겹쳐져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 웨이스트 영역(11)의 비탄성 영역(43)은, 흡수성 코어(52)의 배치 영역의 전부와 엔드 플랩의 일부에 겹쳐지고, 후 웨이스트 영역(12)의 비탄성 영역(43)은, 흡수성 코어(52)의 배치 영역의 전부에 겹쳐져 있다.
≪각 표시 요소≫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는 표시 요소(60)를 갖고 있다. 표시 요소(60)는, 제 1 탄성 영역(41)에 위치하는 상부 표시 요소(제 1 표시 요소)(61)와, 제 2 탄성 영역(42)에 위치하는 측부 표시 요소(제 4 표시 요소)(62)와, 비탄성 영역(43)에 위치하는 중앙부 표시 요소(제 2 표시 요소)(63)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에서는, 전 웨이스트 영역(11)의 구성에 대해서만 나타내고 있지만, 후 웨이스트 영역(1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를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형태가 서로 상위하고 있으며, 도 1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형태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란, 기저귀(10)를 착용하기 전의 상태로서, 외력이 가해지는 일 없이, 기저귀(10)를 구성하는 탄성 재료에 의해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를 말한다. 또, 「형태가 동일」이란, 형상이 동일 또는 동일성을 유지할 정도로 미세한 차이가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닮은꼴의 도안 등, 한쪽의 표시 요소(60)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Y)의 치수와 가로 방향(X)의 치수와의 비율이, 다른쪽의 표시 요소(60)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Y)의 치수와 가로 방향(X)의 치수와의 비율과 거의 같은 것을 의미하고, 쌍방의 표시 요소(60)의 세로 방향의 치수 및/또는 가로 방향의 치수가 서로 다른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요소(60)는 다이아 마크로 되어 있지만, 표시 요소(6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트 마크, 클로버 마크, 별모양, 원형 등, 각종 공지의 다양한 형태가 이용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종래, 각 웨이스트 영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탄성 영역(141, 142)과 비탄성 영역(143)을 신축성을 갖는 일련의 웨이스트 시트로 형성하는 경우,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 웨이스트 시트의 전체에 형태가 동일한 표시 요소가 형성된 기저귀에서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탄성 영역(141)에 위치하는 상부 표시 요소(161)와, 비탄성 영역(143)에 위치하는 중앙부 표시 요소(163)와의 형태가 서로 상위해 버린다. 이러한 기저귀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161)의 형태가 무너져, 중앙부 표시 요소(163)에 비해 일그러진 형태로 되는 점에서, 의장성이 저하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의욕이 저하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0)에서는,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가 일률적으로 가로 방향(X)으로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탄성 영역(41)에 위치하는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가 비탄성 영역(43)에 위치하는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보다도 커져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가 작아져,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가 동일한 형태가 된다. 이러한 기저귀(10)에서는, 제 1 탄성 영역(41)과 비탄성 영역(43)에 통일감이 있는 표시 요소(61, 63)가 위치함으로써, 의장성이 높은 것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가 거의 같은 형상 같은 크기의 도안이 되기 때문에, 각 표시 요소(61, 63)의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의 치수가 다른 닮은꼴의 도안에 비해 보다 통일감이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은,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크로치 영역(13)측의 단연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X)의 치수 D1이, 웨이스트 개구(22)측의 단연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X)의 치수 D2보다도 커져 있다.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제 2 탄성 영역(42)이 위치하는 측부 표시 요소(62)는, 중앙부 표시 요소(63)와 형태가 동일하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거의 같은 형상 같은 크기의 도안이 된다. 한편,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서는, 측부 표시 요소(62)의 가로 방향(X)의 치수가 작아져, 측부 표시 요소(62)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서로 상위한 형태가 된다. 이러한 기저귀(10)에서는, 수축 상태에 있어서,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양측에 다른 형태의 측부 표시 요소(62)가 위치하는 점에서,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도안이 두드러져 의장성이 높은 것이 된다. 또한, 수축 상태에 있어서, 측부 표시 요소(62)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세로 방향(Y)의 치수가 거의 같으며, 측부 표시 요소(62)의 가로 방향(X)의 치수만이 작아져 있기 때문에,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측부 표시 요소(62)에 비해 큰 도안이 되고, 중앙부 표시 요소(63)를 두드러지게 하는 효과가 높다. 또,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의 신장 상태에서는, 측부 표시 요소(62)와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형태가 동일하므로, 기저귀(1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의 기재가 되는 시트 부재에 대하여, 크로치 패널(15)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표시 요소(61, 62, 63)가 신축성 시트(31, 32)에 인쇄되어 있다. 제조 공정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31, 32)는 신장 상태로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접합되기 때문에, 신축성 시트(31, 32)에 표시 요소(60)를 인쇄하는 경우,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인쇄하는 것과 비교하여 인쇄 면적을 작게 하여 재료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크로치 패널(15)은,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크로치 표시 요소(제 3 표시 요소)(64)를 갖는다. 크로치 표시 요소(64)는, 크로치 패널(15)을 구성하는 방루 시트(53) 및 외면 시트(54) 중의 적어도 한쪽으로서, 탄성 재료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탄성 영역에 인쇄된다.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늘어서는 크로치 표시 요소(64)와 중앙부 표시 요소(63)와 상부 표시 요소(61)는 형태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기저귀(10)에서는,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과 크로치 영역(13)에 표시 요소(61, 63, 64)를 갖기 때문에, 기저귀(10) 전체의 의장성이 높아지고, 또한, 각 표시 요소(61, 63, 64)가 통일감이 있는 도안이 되므로, 보다 의장성이 높은 것이 된다. 또, 크로치 표시 요소(64)는, 두께가 있는 흡수성 코어(52)의 배치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깊이가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비탄성 영역(43)의 세로 방향(Y)의 치수 L1, L2는, 전 웨이스트 영역(11)과 후 웨이스트 영역(12)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 웨이스트 영역(11)에 배치되는 흡수성 코어(52)의 세로 방향(Y)의 치수 L3가, 후 웨이스트 영역(12)에 배치되는 흡수성 코어(52)의 세로 방향(Y)의 치수 L4에 비하여 작아져 있으며, 이에 맞추어, 전 웨이스트 영역(11)에 있어서의 비탄성 영역(43)의 세로 방향(Y)의 치수 L1이 후 웨이스트 영역(12)에 있어서의 비탄성 영역(43)의 세로 방향(Y)의 치수 L2보다도 작아져 있다.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의 양방에,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를 형성한 경우,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서는, 기저귀(10)의 외면에서 봤을 때, 통일감이 있는 도안의 배치에 의해 의장성이 높아지는 한편, 기저귀(10)의 전방과 후방의 식별이 곤란해진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흡수성 코어(52)나 비탄성 영역(43)의 세로 방향(Y)의 치수를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에서 다르게 함으로써, 기저귀(10)를 장착할 때에, 기저귀(10)의 내면에서 봤을 때 또는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을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전후의 식별이 용이해져, 의장성과 식별성의 양쪽이 뛰어난 기저귀(10)로 할 수 있다.
도 6은, 기저귀(1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기저귀(10)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다. 제조 공정의 제 1 공정(9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반송 롤러에 의해 전 웨이스트 시트(16)의 기재가 되는 신축성의 제 1 연속 시트(71)와, 후 웨이스트 시트(17)의 기재가 되는 신축성의 제 2 연속 시트(72)가, 기계 방향(MD)으로 소정의 신장 배율(신장 배율은 N배로 함)로 신장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반송되고, 제 1 및 제 2 연속 시트(71, 72)의 한쪽의 면에는 크로치 패널(15)이 기계 방향(MD)으로 단속적으로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연속 시트(71, 72)는, 각각, 신축성 시트(31, 32)의 기재가 되는 연속 신축성 시트(75)와, 비신축성 시트(33, 34)의 기재가 되는 연속 비신축성 시트(76)를 포함한다. 크로치 패널(15)의 양단부는, 각각,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 수단을 통하여 제 1 및 제 2 연속 시트(71, 72)의 각각에 접합되어, 기저귀(10)의 기재가 되는 복합 패널이 형성된다.
제 2 공정(92)에서는, 크로치 패널(15)이 내측이 되도록 복합 패널이 반으로 접힌 후, 서로 이웃하는 크로치 패널(15) 사이에 있어서 시일 가공이 실시되어, 교차 방향(CD)(기계 방향(MD)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접합부(73)가 형성된다. 제 3 공정(93)에서는, 복합 패널이, 한 쌍의 접합부(73) 사이에 있어서 교차 방향(CD)으로 연장되는 절단 라인(74)을 따라 절단되어, 각각의 기저귀(10)가 형성된다.
도 7(a)-도 7(c)는, 기저귀(1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신축성 시트(31, 32)에 인쇄된 표시 요소(6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a)는, 신축성 시트(31, 32)의 기재가 되는 연속 신축성 시트(75)의 비신장 상태(외력이 가해지는 일 없이, 이완한 상태. 이하, 제 1 상태라고 함)를 나타내고, 도 7(b)는, 제조 공정의 제 1 공정(91)에 있어서 연속 신축성 시트(75)가 신장된 상태(이하, 제 2 상태라고 함)를 나타내며, 도 7(c)는, 제조된 기저귀(10)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31, 32)가 수축한 상태(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 이하, 제 3 상태라고 함)를 나타낸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 1 상태의 연속 신축성 시트(75)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3가,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4보다도 커져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 2 상태에서는, 연속 신축성 시트(75)가 소정의 신장 배율(N배)로 신장되고, 각 표시 요소(61, 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는 비신장 상태에 비해 큰 치수(치수 W3, W4의 약 N배)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배치 영역에는, 크로치 패널(15)이 접합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신축성 시트(31, 32)가 비신축성 시트(33, 34)와 접합되어 수축한 제 3 상태에서는,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2는, 제 2 상태에 있어서의 치수와 거의 같아지지만,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1은 제 2 상태의 치수에 비해 작아져 있어,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치수 W2와 거의 같아져 있다.
제 3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1은, 제 1 상태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3에 가까워지지만, 제 3 상태에서는, 신축성 시트(31, 32)가 비신축성 시트와 사이드 심(21)에서 접합되어 수축이 억제되는 것 외에, 신축성 시트(31, 32), 비신축성 시트의 시트 특성, 양 시트의 접합 양태나 신축성 시트(31, 32)의 신장 배율 등의 각종 설정 조건에 의해, 제 1 상태에 비해 약간 신장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상부 표시 요소(61)의 제 3 상태의 치수 W1은, 제 1 상태의 치수 W3보다도 1∼20% 커진다. 한편,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제 2 상태와 제 3 상태에 있어서, 가로 방향(X)의 치수가 거의 같아지므로, 제 3 상태의 치수 W2는, 제 1 상태의 치수 W4의 약 N배가 된다. 또한, 측부 표시 요소(62)의 가로 방향(X)의 치수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에서는,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와 거의 같아지고, 제 3 상태에서는, 사이드 심(21)에 의해 수축이 억제됨으로써, 제 1 상태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X)의 치수보다도 약간 커져 있다. 또, 각 상태에 있어서, 상부 표시 요소(61), 측부 표시 요소(62) 및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세로 방향(Y)의 치수는, 거의 같아져 있다.
<제 2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10)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61), 측부 표시 요소(62) 및 중앙부 표시 요소(63)가, 신축성 시트(31, 32)가 아니라,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인쇄되어 있다. 도 8(a)-도 8(c)는, 제 2 실시 형태의 기저귀(1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인쇄된 표시 요소(6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a)는, 비신축성 시트(33, 34)의 기재가 되는 연속 비신축성 시트(76)를 신전한 상태(이하, 제 4 상태라고 함)를 나타내고, 도 8(b)는 제조 공정의 제 1 공정(91)에 있어서의 연속 비신축성 시트(76)의 상태(이하, 제 5 상태라고 함)를 나타내며, 도 8(c)는, 제조된 기저귀(10)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31, 32)의 수축에 따라 비신축성 시트(33, 34)가 수축한 상태(이하, 제 6 상태라고 함)를 나타낸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의 기저귀(10)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그것과 기본적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위하는 점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 4 상태의 연속 비신축성 시트(76)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5가,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6보다도 커져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 5 상태에서는, 각 표시 요소(61, 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는 제 4 상태와 거의 같아져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배치 영역에는, 크로치 패널(15)이 접합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 6 상태에서는, 신축성 시트(31, 32)의 수축에 의해,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1은 제 2 상태의 치수에 비해 작아져 있어,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치수 W2와 거의 같아져 있다.
제 6 상태에 있어서의 상부 표시 요소(61)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1은, 제 4 상태에 있어서의 치수 W5의 1/N배에 가까운 값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심(21)의 영향에 의해, 치수 W1은, 치수 W5의 1/N배보다도 약간 큰 치수가 된다. 제 6 상태에 있어서의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2은, 제 4 상태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X)의 치수 W6와 가까운 값이 되지만, 제 1 공정(91)보다도 전의 단계로서, 제 1 및 제 2 연속 시트(71, 72)에 비탄성 영역(43)을 형성할 때에, 비탄성 영역(43)이 되는 영역은, 열 엠보스/데보스 가공에 의해 약간 수축하기 때문에,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제 6 상태의 치수 W2는, 제 4 상태의 치수 W6보다도 1∼20% 작아진다. 그 때문에,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제조 전의 자재 상태(제 4 상태)에 있어서, 도안의 크기가 기저귀(10)의 상태(제 6 상태)보다도 커지도록 인쇄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0)에서는, 표시 요소(60)가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인쇄되어 있어, 제조 공정에 있어서 표시 요소(60)가 신축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동기(同期)에 의한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또, 신축성 시트(31, 32)가 되는 연속 신축성 시트(75)에 표시 요소(60)를 인쇄한 경우에는, 기저귀(10)에 있어서 인쇄가 길게 늘어난 상태가 되어 표시가 옅어지지만,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인쇄함으로써 이러한 사태를 없애고 도안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어, 복잡한 디자인을 갖는 도안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구성은 서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 중의 한쪽의 웨이스트 영역에서는, 표시 요소(60)를 신축성 시트에 인쇄하고, 다른쪽의 웨이스트 영역에서는, 표시 요소(60)를 비신축성 시트에 인쇄해도 된다.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비탄성 영역(43)은, 신축성 시트(31, 32)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변형예>
도 9(a)는,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4(a)와 마찬가지의 도면이고, 도 9(b)는,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4(b)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제 2 탄성 영역(42)에 위치하는 측부 표시 요소(62)는, 중앙부 표시 요소(63)와 형태가 서로 상위하고 있으며,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측부 표시 요소(62)와 중앙부 표시 요소(63)의 형태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측부 표시 요소(62)는,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부 표시 요소(61)와 형태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기저귀(10)에서는, 제 1 탄성 영역(41), 제 2 탄성 영역(42) 및 비탄성 영역(43)에 동일 형태의 표시 요소(61, 62, 63)가 위치함으로써,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 전체에 있어서 통일감이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도 10(a)는, 기저귀(10)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4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표시 요소(60)로서 얼굴 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가 신장된 상태에 있어서, 상부 표시 요소(61)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된 일그러진 마크로 되어 있지만,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서는,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동일한 형태가 되고, 거의 원형상의 외형을 가져, 얼굴의 밸런스가 잡힌(균형이 있는) 아름다운 마크가 된다. 또한, 측부 표시 요소(62)는,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의 수축 상태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줄어든 형태가 되어, 중앙부 표시 요소(63)와 형태가 상위하다.
도 10(b)는, 기저귀(10)의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4와 마찬가지의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는, 동일한 형태로서, 크기가 다른 닮은꼴의 도안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기가 다른 표시 요소여도, 형태의 동일성을 가짐으로써, 통일감이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 신축성 시트(31, 32) 또는 비신축성 시트(33, 34)에 인쇄되는 표시 요소(60)는, 제조 공정(제 1 공정(91))에 있어서의 연속 신축성 시트(75)(신축성 시트(31, 32))의 신장 배율, 열 엠보스/데보스 가공에 의한 수축률 및 사이드 심(21)에 의한 수축의 억제 중, 적어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연속 신축성 시트(75)의 신장 배율을 고려하여, 적어도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가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동일한 형태가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기저귀(10)는, 상술한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기 때문에, 각 표시 요소(61∼64)에 있어서의 형태의 동일성은, 제조상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가 복수 형성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1개의 상부 표시 요소(61)와 중앙부 표시 요소(63)가 동일한 형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은, 기저귀(10) 이외에, 생리용 쇼츠, 쇼츠형 패드 등, 팬티형의 구조를 갖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에는,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외에, 이런 종류의 물품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의 재료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 기저귀(10)의 기본 구조로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이 별체의 전후 웨이스트 시트(16, 17)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했지만, 전후 웨이스트 영역(11, 12) 및 크로치 영역(13)을 연속하는 시트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명세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등의 용어는, 같은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10 : 일회용 기저귀(일회용 착용 물품)
11 : 전 웨이스트 영역
12 : 후 웨이스트 영역
13 : 크로치 영역
15 : 크로치 패널
16 : 전 웨이스트 시트(웨이스트 시트)
17 : 후 웨이스트 시트(웨이스트 시트)
22 : 웨이스트 개구
31, 32 : 신축성 시트
33, 34 : 비신축성 시트
41 : 제 1 탄성 영역
42 : 제 2 탄성 영역
43 : 비탄성 영역
61 : 상부 표시 요소(제 1 표시 요소)
62 : 측부 표시 요소(제 4 표시 요소)
63 : 중앙부 표시 요소(제 2 표시 요소)
64 : 크로치 표시 요소(제 3 표시 요소)
X : 가로 방향
Y : 세로 방향

Claims (6)

  1.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피부 대향면 및 비(非)피부 대향면과, 전후 웨이스트 영역의 한쪽인 제 1 웨이스트 영역과, 상기 전후 웨이스트 영역의 다른쪽인 제 2 웨이스트 영역과,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스트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을 갖고, 상기 크로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스트 영역으로 연장되는 크로치 패널을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스트 영역 중 적어도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1 표시 요소와 제 2 표시 요소를 가지며,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은, 웨이스트 개구측에 위치하는 제 1 탄성 영역과, 상기 크로치 영역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과, 상기 제 2 탄성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크로치 패널과 겹쳐지는 비탄성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표시 요소는, 상기 제 1 탄성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표시 요소는 상기 비탄성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웨이스트 시트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는 서로 상위하고,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요소는, 상기 웨이스트 시트의 상기 신장 상태에 비해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가 작아져, 상기 제 1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한 상기 착용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시트와, 상기 신축성 시트에 적층된 비신축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요소는, 상기 신축성 시트에 인쇄되는 착용 물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스트 시트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 시트와, 상기 신축성 시트에 적층된 상기 비신축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요소는, 상기 비신축성 시트에 인쇄되는 착용 물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패널은, 상기 크로치 영역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3 표시 요소를 갖고,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요소와 상기 제 3 표시 요소의 형태가 동일한 착용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탄성 영역에는,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제 4 표시 요소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이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4 표시 요소와 상기 제 2 표시 요소의 형태는 동일한 착용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이스트 영역의 상기 비탄성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제 2 웨이스트 영역의 상기 비탄성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은 착용 물품.
KR1020177037698A 2015-08-14 2016-06-16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555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60152A JP6703381B2 (ja) 2015-08-14 2015-08-14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JP-P-2015-160152 2015-08-14
PCT/JP2016/067951 WO2017029870A1 (ja) 2015-08-14 2016-06-16 使い捨て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528A true KR20180040528A (ko) 2018-04-20
KR102555430B1 KR102555430B1 (ko) 2023-07-13

Family

ID=5804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698A KR102555430B1 (ko) 2015-08-14 2016-06-16 일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03381B2 (ko)
KR (1) KR102555430B1 (ko)
CN (1) CN107847373B (ko)
WO (1) WO2017029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5620B2 (ja) * 2018-06-04 2022-07-25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20140298A1 (en) * 2019-01-05 2020-07-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rtwork
WO2020164062A1 (en) * 2019-02-14 2020-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wearable article
WO2020164061A1 (en) * 2019-02-14 2020-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wearable article
JP7103986B2 (ja) * 2019-03-18 2022-07-20 大王製紙株式会社 伸縮部材及びこの伸縮部材を有する使い捨て着用物品
JP7153611B2 (ja) * 2019-06-25 2022-10-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不織布シート、及び不織布シートの製造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2875A (en) * 1985-11-27 1987-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EP1147755A2 (en) * 2000-04-19 2001-10-24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2004298362A (ja) 2003-03-31 2004-10-28 Kao Corp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68541A1 (en) * 2004-12-20 2006-06-2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one or several patterns
JP2008188445A (ja) * 2008-04-17 2008-08-21 Daio Paper Corp カラーデザインを有する使い捨て紙おむつ
JP2008540058A (ja) * 2005-05-20 2008-11-2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多機能トレーニング衣類
JP2015514521A (ja) * 2012-04-23 2015-05-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プルオン型吸収性物品用のフィット性表示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172A (ja) * 1997-09-30 1999-04-20 Uni Charm Corp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4912902B2 (ja) * 2007-01-31 2012-04-11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JP2007236967A (ja) * 2007-05-14 2007-09-20 Daio Paper Corp 使い捨て紙おむつ
JP5383528B2 (ja) * 2010-01-19 2014-0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6103834B2 (ja) * 2012-06-26 2017-03-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6200781B2 (ja) * 2013-11-06 2017-09-20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2875A (en) * 1985-11-27 1987-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US4662875B1 (ko) * 1985-11-27 1989-04-18
EP1147755A2 (en) * 2000-04-19 2001-10-24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2004298362A (ja) 2003-03-31 2004-10-28 Kao Corp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68541A1 (en) * 2004-12-20 2006-06-2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one or several patterns
JP2008540058A (ja) * 2005-05-20 2008-11-2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多機能トレーニング衣類
JP2008188445A (ja) * 2008-04-17 2008-08-21 Daio Paper Corp カラーデザインを有する使い捨て紙おむつ
JP2015514521A (ja) * 2012-04-23 2015-05-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プルオン型吸収性物品用のフィット性表示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9870A1 (ja) 2017-02-23
CN107847373B (zh) 2020-11-03
KR102555430B1 (ko) 2023-07-13
JP2017035412A (ja) 2017-02-16
JP6703381B2 (ja) 2020-06-03
CN107847373A (zh)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947B1 (ko) 팬츠형 기저귀
KR20180040528A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6292851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442224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822476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00781B2 (ja) パンツ型着用物品
JP2011240052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6453051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11206331A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038578A1 (ja) 複合シート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
JP5400982B1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6415401B2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
KR102511265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6230351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6220661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3206405U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642558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478443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3081718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6415400B2 (ja) 着用物品
JP7292668B2 (ja) 吸収性物品
JP641284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8082853A (ja) 吸収性物品
JP2007167426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6429741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