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210A -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대추혼합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대추혼합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210A
KR20180040210A KR1020160131799A KR20160131799A KR20180040210A KR 20180040210 A KR20180040210 A KR 20180040210A KR 1020160131799 A KR1020160131799 A KR 1020160131799A KR 20160131799 A KR20160131799 A KR 20160131799A KR 20180040210 A KR20180040210 A KR 20180040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jube
jam
aronia
weight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6308B1 (ko
Inventor
엄현주
박재호
김영호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3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3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2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대추혼합잼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BLENDING JAM WITH JUJUBE HAVING HIGH ANTIOXIDANT ACTIVITIES}
본 발명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대추혼합잼, 구체적으로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에 관한 것이다.
대추(Zizyphus jujuba Milller)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의 열매로, 유럽 남부, 아시아 남부 및 동부가 원산지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재래종인 복조, 보은 등의 대추품종을 주로 재배하고 있으며 몇 가지 개발종이 극히 일부지역에서만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추는 전통적으로 오미자, 생강 등과 같이 식품의 재료 및 한방재료로 폭넓게 사용되어 왔으며, 과당, 포도당 및 자당 등의 가용성 당류가 약 10-42% 함유되어 있고 다양한 맛 성분도 함께 가지고 있어 일반 식생활에서 병과나 차 등에 이용하는 등의 활용도가 높다.
이런 대추의 주요 성분으로는 당질과 더불어 ascorbic acid, phenolic acids, flavonoids, alkaloids, saponins, vitamins, 유기산류, 아미노산류 등이 보고되었다. 대추의 효능에 대한 연구보고는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진정작용, 항알러지작용 등이 있다. 이렇게 약용성분과 기능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면서도 과용에 대한 부작용이 없기에 식품재료로서의 용도가 넓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대추 생산량은 매년 증가 추세로 2014년 생산량은 2010년 대비 51% 증가, 같은 기간 생산액은 46.8%가 증가하였으며, 삶의 질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대추에 대한 과실개념의 인식이 높아져서 그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추 품종이 다양하지 않고 과실로써의 생대추 판매와 유통은 10월~11월에 제한되어 있으며, 쉽게 연화, 부패되는 보관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가공식품으로의 기술개발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아로니아(Aronia, Chokeberry)는 북미가 원산지인 관목으로서, 장미과에 속한다. 아로니아는 작고 신맛이 나는 열매가 열리는데, 늦여름에 열매가 익고 곧바로 떨어지며 잎은 부드럽고 윤이 나며 연한 녹색이다.
아로니아 열매(Aronia berry, Black Chokeberry)는 다량의 당류(20%)와 안토시아닌 (Antocyanins), 폴리페놀(Polyphenol), 비타민 B1, B2, 판토텐산,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안토시아닌과 폴리페놀은 인체 내에서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고, 미세혈관의 투과성, 혈관의 탄력성, 혈압의 정상화 등에 도움을 주며, 특히 눈의 미세혈관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여 시력 증진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이처럼 아로니아 열매의 구성 성분들이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아로니아 열매를 가공하여 식품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아로니아는 재배하기 쉬운 장점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재배 면적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가정이나 회사에서 아로니아 과일 전부를 이용하여 손쉽게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가공 방법이 거의 없다. 또한 아로니아는 과피가 두껍고 신맛과 떫은 맛이 강하여 생과를 그대로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로니아 과일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을 전부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추와 아로니아를 가공한 식품을 개발하기 해 연구를 계속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141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대추 혼합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대추혼합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대추 혼합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대추 25-50 중량% 및 아로니아 75-5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상기 혼합물 80-100℃에서 1-5분간 가열하고; 그리고
상기 가열된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설탕 5-60 중량부 및 펙틴 0.1-5.0부를 첨가하여 80-100℃에서 20-40분간 가열하여 잼을 제조.
상기 대추와 아로니아 혼합물은, 잼을 만드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준비하였다.
상기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은 대추 단독으로 제조한 잼보다 기능성과 기호성이 증가된다.
상기 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설탕 첨가 후에 당도가 50-80° Brix가 되면 가열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잼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잼을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60-80℃에서 살균하고, 25-35℃에서 10-40분 동안 냉각하는 단계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살균은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밀봉한 잼을 60-80℃의 끓는 물에 넣어서 살균하였다.
상기 냉각은 실온에서 냉각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능성과 맛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비율로 대추와 아로니아를 혼합하여 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하고 맛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추혼합잼의 우수한 항산활성은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양한 과일을 첨가한 대추혼합잼의 제조
아로니아를 포함한 다양한 과일(복숭아, 감, 포도, 자두, 사과, 및 블루베리)과 대추 착츱액을 이용하였다. 100% 대추착즙액은 대조구(100%대추)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과일을 대추착즙액과 1:1의 비율로 첨가하였다. 대추착즙액은 대추를 물에 5배되게 희석한 다음, 100℃에서 3시간 끓여주고, 하룻동안 식혀준 후, 채로 껍질과 씨를 분리하여 나온 착즙액을 사용하였다.
사과, 복숭아, 감은 껍질을 제거하고 분쇄기(MR5550MCA, Braun Co., Kronberg, Germany)를 이용하여 고르게 마쇄하고, 포도는 체로 씨를 분리하고, 블루베리, 아로니아 생과는 절구를 이용하여 으깨주었다. 100% 대추착즙액 및 대추와 혼합한 과일은 강불에 약 3분간 끓여주다가 거품이 생기면 약불로 줄여주었다. 그 다음 펙틴을 첨가하여(대추와 과일의 혼합물 100중량부 대비 1 중량부) 녹여주고, 설탕을 첨가하여(대추와 과일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40 중량부) 잘 저어주었다. 가열하는 동안 타지 않게 국자를 이용하여 계속 저어주었으며, 설탕을 모두 첨가한 후에 굴절당도계(N-3E, Atago Co., Ltd., Tokyo, Japan)를 이용하여 당도가 65°Brix가 되면 가열을 중단하고, 약 1분간 계속 저어주었다. 완성된 잼은 살균된 유리병에 담아 밀폐한 상태로 약 60~70℃의 끓는물에 넣은 후 꺼내어 실온에서 방냉한 후 냉장 보관하였다.
<실시예 2> 다양한 과일을 첨가한 대추혼합잼의 품질 특성
<2-1> 총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s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잼 3 g에 12 mL의 증류수를 가하여 40℃에서 5분간 소니케이션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은 후 혼합잼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각 추출물 0.1 mL에 증류수 8.4 mL, 2 N Folin-Ciocalteu reagent 0.5 mL, 20% Na2CO3 1 mL을 혼합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 725 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표준물질 gallic acid(Sigma-Aldrich, USA)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추출물 중의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 dry basis)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에서 대추와 과일의 혼합 비율은 1:1(50 중량%: 50 중량%)이다. 대조구인 100% 대추는 417mg% 총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반면, 다양한 과일을 첨가한 경우 대조구를 제외하고 아로니아를 혼합한 것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시료 총폴리페놀(mg%)
100% 대추(대조구) 417.87±52.44
대추+복숭아 243.77±11.76
대추+감 177.99±11.38
대추+포도 267.08±7.70
대추+자두 187.47±2.60
대추+아로니아 462.19±4.79
대추+사과 146.41±6.03
대추+블루베리 309.17±5.94
<2-2> 탄닌 함량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혼합잼의 탄닌 함량은 Duval과 Shetty의 방법(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a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에 따라 측정하였다. 여과하여 10배 희석한 시료 1 mL에 95% 에탄올 1 mL과 증류수 1 mL를 가하여 잘 흔들어주고 5% Na2CO3 용액 1 mL과 1N-Folin-Ciocalteu's resgent시약(Sigma Co., St. Louis, MO, USA) 0.5 mL를 가한 후 실온에서 60분간 발색시킨 다음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총 탄닌 함량은 tannic acid(Sigma Co.)를 이용한 표준곡선으로 양을 환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에서 대추와 과일의 혼합 비율은 1:1(50 중량%: 50 중량%)이다. 표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아로니아의 탄닌 함량 높아 잼으로 제조하였을 때도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시료 탄닌(mg%)
100% 대추 257.34±3.12
대추+복숭아 169.32±8.20
대추+감 112.63±1.71
대추+포도 217.78±7.06
대추+자두 184.63±16.9
대추+아로니아 475.14±5.06
대추+사과 112.65±0.88
대추+블루베리 221.78±7.49
<2-3> 총안토시아닌 함량 분석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pH differential metho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0.1 g의 혼합잼에 0.1% formic acid가 담긴 메탄올 5 mL과 혼합한 후 20분간 sonication 시켜주고 이를 총 3회 반복 실시한다. 얻어진 상등액을 filter paper (Advanced No.2, Toyo Roshi Kaisha Co., Ltd.,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추출액 0.5 mL에 0.025 M potassium chloride buffer(pH 1.0) 4.5 mL와 0.4 M sodium acetate buffer(pH 4.5) 4.5 mL를 각각 첨가한 후 반응액을 520 nm와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아래의 식을 통해 나타내었다.
Anthocyanin content(cyanidin-3-glucoside equivalents, mg/L)
Figure pat00001
A(Absorbance) : (A520 nm-A700 nm)pH1.0-(A520 nm-A700 nm) pH4.5
MW(Molecular weight og cyanidine-3-glucoside) : 449.2 g/mol
DF(dilution factor) : dilution ratio of sample
1000 : factor for conversion from g to mg
ε(cyanidin-3-glucoside molar absorptivity) : 26,900 L×mol-1×cm-1
1 : pathlength in cm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에서 대추와 과일의 혼합 비율은 1:1(50 중량%: 50 중량%)이다. 표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아로니아를 넣은 혼합잼에서 안토시아닌 함량이 가장 높았고, 블루베리, 포도를 혼합잼에서 안토시아닌이 검출되었고 나머지 시료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시료 안토시아닌(mg/L)
100% 대추 0.14±0.49
대추+복숭아 0.13±0.90
대추+감 1.41±0.33
대추+포도 19.03±0.26
대추+자두 0.40±0.06
대추+아로니아 61.96±2.07
대추+사과 0.76±0.42
대추+블루베리 28.23±1.00
<2-4> ABTS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 측정
항산화 활성은 2,2'-azino-3-ethly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7.4 mM ABTS와 2.6 mM potassium persulphate을 하룻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735 nm에서 흡광도 값이 1.4~1.5가 되도록 몰 흡광계수(ε=3.6×104M-1cm-1)를 이용하여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 용액 1 mL에 에탄올로 40배 희석한 혼합잼 추출물 50 μL를 가하여 흡광도의 변화를 정확히 30분 후에 측정하였다. ABTS radical의 소거활성은 mg TE(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g extract residue(ER)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에서 대추와 과일의 혼합 비율은 1:1(50 중량%: 50 중량%)이다. 표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아로니아를 넣은 혼합잼에서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았고, 블루베리 혼합잼에서 그 다음으로 높은 항산화활성이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100% 대추잼 및 남은 과일 대추혼합잼에서의 항산화활성은 차이가 없었다. 아로니아와 대추를 함께 첨가한 혼합잼의 경우, 항산화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비타민 C(L-ascrobic acid)를 0.1mg/mL 사용한 것 보다 높은 항산화활성이 나타났다.
시료 ABTS(%)
L-ascorbic acid(비타민C) 55.37±1.76
100% 대추 17.72±0.69
대추+복숭아 11.19±0.39
대추+감 14.20±0.36
대추+포도 18.90±0.71
대추+자두 14.29±0.22
대추+아로니아 62.08±1.20
대추+사과 8.53±0.28
대추+블루베리 24.30±0.27
< 실시예 3>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충청북도농업기술원에 재직 중인 직원 및 연구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관능평가 항목은 색상, 향미, 빵 발림성, 단맛, 신맛, 전반적 기호도 총 6가지로, 1점에서 9점까지(1점; 대단히 싫다, 9점; 대단히 좋다) 9점 기호도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5와 같이 아로니아를 넣은 혼합잼에서 색에 있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얻었고, 향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빵발림성에서 덩어리로 많이 남아있거나 입자가 굵은 잼의 경우 낮은 평가를 받았다. 맛에 있어서는 포도 및 아로니아 대추혼합잼이, 마지막으로 전반적인 기호도의 경우도 포도 및 아로니아를 첨가한 대추혼합잼이 가장 좋은 기호도평가를 받았다.
시료 빵 발림성 전반적인 기호도
100% 대추 3.7778 6.1111 8 6 5.6667
대추+복숭아 4.1111 6.3333 8.1111 6.3333 6
대추+감 5.5556 6.8889 6.4444 6.3333 5.7778
대추+포도 6.2222 7.2222 7.8889 7.7778 7.6667
대추+자두 4.6667 6.3333 8.2222 7.5556 7
대추+아로니아 8.3333 6.1111 6.4444 7.5556 7.4444
대추+사과 5 6 7.5556 6 6
대추+블루베리 8.2222 6.8889 7.8889 6.8889 7.2222
<실시예 4> 다양한 혼합비율의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의 특성 분석
실시예 1 내지 3은, 대추와 아로니아의 혼합 비율이 1:1인 경우를 나타낸다. 대추와 아로니아를 각각 25중량% 및 75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의 제조방법은, 혼합 비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분석 방법은 실시예 2 내지 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시료 총폴리페놀
(mg%)
ABTS(%) 탄닌(mg%) 안토시아닌
(mg/L)
대추(25중량%)+
아로니아(75중량%)
500.05 ±5.97 93.43±3.99 654.23±9.68 69.57±0.63
시료 빵 발림성 전반적인 기호도
대추(25중량%)+
아로니아(75중량%)
8.1111 6.0000 4.6667 6.3333 6.5556
상기 표 6 및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하고 기호도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대추 25-50 중량% 및 아로니아 75-5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상기 혼합물 80-100℃에서 1-5분간 가열하고; 그리고
    상기 가열된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설탕 5-60 중량부 및 펙틴 0.1-5.0부를 첨가하여 80-100℃에서 20-40분간 가열하여 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설탕 첨가 후에 당도가 50-80°Brix가 되면 가열을 중단하는 것인,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잼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잼을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60-80℃에서 살균하고 25-35℃에서 10-40분간 냉각하는 단계를 더 추가하는 것인 대추아로니아 혼합잼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항산화활성이 있는 대추아로니아 혼합잼.

















KR1020160131799A 2016-10-12 2016-10-12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대추혼합잼의 제조방법 KR101866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799A KR101866308B1 (ko) 2016-10-12 2016-10-12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대추혼합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799A KR101866308B1 (ko) 2016-10-12 2016-10-12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대추혼합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210A true KR20180040210A (ko) 2018-04-20
KR101866308B1 KR101866308B1 (ko) 2018-07-23

Family

ID=6208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799A KR101866308B1 (ko) 2016-10-12 2016-10-12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대추혼합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340A (ko) * 2019-08-23 2021-03-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돋움 대추 및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719A (ko) * 2009-07-06 2011-01-13 청송군 대추 잼 제조방법
KR101018061B1 (ko) * 2010-04-08 2011-03-02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대추 잼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잼
KR101431417B1 (ko) 2014-01-29 2014-08-18 고결 아토피 면역체계 강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한방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053512A (ko) * 2013-11-08 2015-05-18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떫은 맛이 감소된 아로니아 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719A (ko) * 2009-07-06 2011-01-13 청송군 대추 잼 제조방법
KR101018061B1 (ko) * 2010-04-08 2011-03-02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대추 잼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잼
KR20150053512A (ko) * 2013-11-08 2015-05-18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떫은 맛이 감소된 아로니아 잼의 제조방법
KR101431417B1 (ko) 2014-01-29 2014-08-18 고결 아토피 면역체계 강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한방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340A (ko) * 2019-08-23 2021-03-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돋움 대추 및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308B1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108B1 (ko) 항산화능이 우수한 블루베리와 사과 혼합과즙 발효식초의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조성물
KR100942254B1 (ko) 수액을 포함하는 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7282B1 (ko) 간기능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KR101451035B1 (ko) 착즙 수율이 향상된 아로니아 주스의 제조방법
KR101808648B1 (ko) 블루베리 열매와 유색현미를 이용한 발효주 및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2104178B1 (ko) 아린 맛이 제거된 흑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도라지청
KR20170078975A (ko) 사과껍질분말과 블루베리를 함유한 항산화 활성을 지닌 빵 조성물과 빵
KR101885684B1 (ko) 무즙 및 배즙을 이용한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3361B1 (ko)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꾸지뽕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2303B1 (ko) 떫은 맛이 감소된 아로니아 잼의 제조방법
KR102261865B1 (ko) 메밀싹을 이용한 기능성 분말제품의 제조방법
KR101857573B1 (ko) 마카, 꾸지뽕, 와송 및 개복숭아를 이용한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추출물
KR101549140B1 (ko) 오디 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866308B1 (ko)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대추혼합잼의 제조방법
KR101788783B1 (ko) 수수조청 및 사과 농축물을 포함하는 베리 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8058B1 (ko) 반건시 침지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반건시의 제조방법
KR101535896B1 (ko) 비파 차 음료 제조방법
KR102102995B1 (ko) 흑미 및 당 발효액을 이용한 흑미 식초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흑미 식초
KR20210060242A (ko) 멜론 혼합잼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한 멜론 혼합잼
KR20120081678A (ko) 자양강장 한약재를 이용한 모주의 제조 방법
KR20160068014A (ko)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꾸지뽕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48362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와송과 꾸지뽕 혼합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834769B1 (ko) 항산화 효능이 증가된 감귤 및 꿩의 비름 혼합 침출차 제조방법
KR101674403B1 (ko) 패션프루츠 과육과 잎을 함유하는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KR102474046B1 (ko)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