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082A - 강염기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음이온 교환체 - Google Patents
강염기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음이온 교환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0082A KR20180040082A KR1020170125722A KR20170125722A KR20180040082A KR 20180040082 A KR20180040082 A KR 20180040082A KR 1020170125722 A KR1020170125722 A KR 1020170125722A KR 20170125722 A KR20170125722 A KR 20170125722A KR 20180040082 A KR20180040082 A KR 201800400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d polymer
- diethylenetriamine
- functionalized
- functionalized polyacrylate
- quaterniz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1/00—An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an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anion exchange properties
- B01J41/08—Use of material as an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anion exchange properties
- B01J41/12—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41/1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1/00—An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an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anion exchange properties
- B01J41/08—Use of material as an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anion exchange properties
- B01J41/12—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41/1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1/00—An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an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anion exchange properties
- B01J41/04—Processes using organic exchangers
- B01J41/05—Processes using organic exchangers in the strongly basic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1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of moving beds
- B01J49/14—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of moving beds containing anionic excha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5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regeneration reagents
- B01J49/57—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regeneration reagents for anionic exchang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08F8/32—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by reaction with ami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02F2001/42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using anionic exchang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3—Arsenic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6—Selenium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2—Halogens or halogen-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02F2101/22—Chromium or chromium compounds, e.g. chrom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수성- 및/또는 유기 용액으로부터의 옥소음이온, 특히 크로뮴(VI) 옥소음이온의 제거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수성- 및/또는 유기 용액으로부터의 옥소음이온, 특히 크로뮴(VI) 옥소음이온의 제거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강염기성 또는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체를 통한 폐수 또는 수돗물로부터의 6가 크로뮴 이온의 제거는, 오랫 동안 광범위한 과학적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따라서, 문헌 [Enviromental Science Technologie, 1988, 20, 149-155]으로부터, 예를 들어 스티렌-DVB를 기재로 하는 약염기성 및 강염기성 이온 교환체, 특히 앰버라이트(Amberlite)® IRA-900 및 앰버라이트® IRA-94, 및 4급화 아미노 기를 기재로 하는 강염기성 아크릴 수지, 특히 IRA-958이 6가 크로뮴 이온의 흡착에 적합한 것은 공지되어 있다. 6가 크로뮴 이온의 흡착에 적합한, 스티렌-DVB를 기재로 하는 또 다른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강염기성 이온 교환체는 퓨로라이트(Purolite) A600E/9149이다.
4급화 아미노 기를 갖는 강염기성 아크릴 수지는 또한 문헌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011, 190, 544-552]으로부터, 크로뮴(VI) 옥소음이온의 제거를 위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들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기재 중합체는, 이들 이온 교환체의 크로뮴(VI) 용량이 너무 낮기 때문에, 크로뮴(VI) 옥소음이온의 흡착에는 불충분하게 적합하다.
WO 2016/043080은 크로뮴(VI) 옥소음이온의 제거에 적합한 비드 형상의 중합체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은, 아크릴 또는 스티렌-디비닐벤젠 수지에 또한 커플링될 수 있는 가교된 폴리아민을 기재로 한다. 기재된 방법은, 예를 들어 독성학적으로 우려되는 가교제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술적 및 비용 이유로 인해 산업적 규모로 구현될 수 없다.
아크릴레이트-기재 디에틸렌트리아민-기재 이온 교환체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상표명 레와티트(Lewatit)® A 365 하에 용이하게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추가의 아크릴 아민-관능화된 이온 교환체는, 예를 들어 명칭 앰버라이트® FPA 53, 퓨로라이트® A 845 및 퓨로라이트 A 850 하에 공지되어 있다.
선행 기술 이온 교환체는 적당한 크로뮴(VI) 옥소음이온 용량을 갖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선된 크로뮴(VI) 옥소음이온 용량을 갖는 신규 이온 교환체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과제에 대한 해결책 및 따라서 본 발명은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의 기재를 구성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가, 사용된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70 wt% 초과의 아크릴 단량체 분획을 기재로 하여 제조된 것인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에 있다.
본 발명의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는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체를 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른 비드 중합체의 처리된 층에서의 크로뮴의 흡착의 비교를 제시한다.
의심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범주는 하기 일반적 용어 또는 임의의 조합인 바람직한 범위에서 본원에 열거된 모든 정의 및 파라미터를 포괄한다.
본 발명의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는
a) 적어도 1종의 아크릴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다관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 및 또한 임의로 모노비닐방향족 화합물, 및 또한 임의로 적어도 1종의 포로겐 및/또는 임의로 적어도 1종의 개시제로 형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수성 상 중에서 반응시켜 가교된 비드 중합체를 형성하며, 여기서 사용된 아크릴 단량체의 중량 양은 사용된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70 wt% 초과이고,
b) 단계 a)로부터의 비드 중합체를 디에틸렌트리아민과 반응시키고,
c) 단계 b)로부터의 관능화된 비드 중합체를, 알킬 또는 아릴 할라이드를 사용하여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로 완전 또는 부분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 b)에서 수득가능한 관능화된 폴리아크릴 수지는 구조 -C(O)NH-CH2-CH2-NH-CH2-CH2-NH2 및 -C(O)N-(CH2-CH2-NH2)2의 관능기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 a)는 적어도 1종의 아크릴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다관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로 형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이용한다. 그러나, 2종 이상의 아크릴 단량체와 임의로 추가의 모노비닐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 및 2종 이상의 다관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방법 단계 a)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사용된 아크릴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C1-C6 알킬 모이어티를 갖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아크릴산의 니트릴이다. 메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크릴 화합물의 혼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로니트릴의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로니트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방법 단계 a)에 사용되며 아크릴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다관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로 형성된 단량체 혼합물은, 사용된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적어도 70 wt%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 단계 a)에 사용되며 아크릴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다관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로 형성된 단량체 혼합물은, 사용된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적어도 95 wt%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첨가되는 모노비닐방향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또는 비닐피리딘이다. 사용되는 경우에, 이들 모노비닐방향족 화합물은 단량체의 총 합계에 대해 0.1 내지 20 wt%,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wt%의 양으로 첨가된다.
다관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의미 내의 단량체를 구성하며, 가교제로도 칭하고, 바람직하게는 계열 부타디엔, 이소프렌, 디비닐벤젠, 디비닐톨루엔, 트리비닐벤젠, 다이바이닐나프탈렌, 트리비닐나프탈렌, 디비닐시클로헥산, 트리비닐시클로헥산,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아민, 1,7-옥타디엔, 1,5-헥사디엔, 시클로펜타디엔, 노르보르나디엔, 디에틸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부탄디올 디비닐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비닐 에테르, 헥산디올 디비닐 에테르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비닐 에테르로부터의 화합물이다. 디비닐벤젠, 1,7-옥타디엔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에틸비닐벤젠 뿐만 아니라 디비닐벤젠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상업적 디비닐벤젠 등급이 충분하다. 상이한 가교제의 혼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비닐벤젠 및 디비닐 에테르로 형성된 혼합물이 또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사용가능하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것은 디비닐벤젠, 1,7-옥타디엔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디비닐 에테르로 형성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디비닐벤젠 및 1,7-옥타디엔으로 형성된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이 사용되는 양은 단량체의 총 합계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2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2-12 wt%,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10 wt%이다. 가교제로서 사용되는 다관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의 유형은 비드 중합체의 추후 용도에 주의하여 선택된다.
단량체 혼합물은 유기 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은 전형적으로 교반에 의해 수성 상과 혼합된 다음, 단량체 액적을 형성한다. 그러나, 단량체 액적은 또한 예를 들어 초음파처리의 결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액적화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 혼합물을 교반함으로써 실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단량체 혼합물은 중합을 개시하기 위한 적어도 1종의 개시제 또는 개시제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위한 바람직한 개시제는 퍼옥시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계열 디벤조일 퍼옥시드, 디라우로일 퍼옥시드, 비스(p-클로로벤조일) 퍼옥시드, 디시클로헥실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tert-부틸 퍼옥토에이트, ter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2,5-비스(2-에틸헥사노일퍼옥시)-2,5-디메틸헥산 또는 tert-아밀퍼옥시-2-에틸헥산으로부터의 퍼옥시 화합물, 및 또한 아조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2,2'-아조비스(2-메틸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디벤조일 퍼옥시드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개시제가 적용되는 양은 단량체의 총 합계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wt% 범위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는 겔-유사 구조 또는 거대다공성 구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포로겐을 사용함으로써 수득된 바와 같은 거대다공성 구조를 갖는다.
방법 단계 a)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바람직한 비드 중합체는 거대다공성 구조를 갖는다. 용어 거대다공성 및 겔-유사는 이미 기술 문헌에 광범위하게 기재된 바 있다 (문헌 [Pure Appl. Chem., Vol. 76, No. 4, pp. 900, 2004] 참조).
거대다공성 구조는 단량체 액적 중에서 적어도 1종의 포로겐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된다. 유용한 포로겐은 형성된 중합체에 대해 빈용매/팽윤제인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포로겐은 계열 헥산, 옥탄, 이소옥탄, 이소도데칸,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프로판,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또는 옥탄올로부터의 화합물 및 그의 이성질체이다. 포로겐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거대다공성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포로겐 또는 포로겐 혼합물은 단량체의 총 합계에 대해 5 내지 70 wt%,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wt%의 양으로 사용된다.
포로겐의 첨가 없이 수득된 수지는 겔-유사 수지이며, 이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구성 부분이다.
방법 단계 a)에 따른 비드 중합체의 제조에서, 수성 상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1종의 용해된 중합 억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유용한 중합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무기 뿐만 아니라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무기 중합 억제제는 계열 히드록실아민, 히드라진, 아질산나트륨 또는 아질산칼륨, 아인산의 염, 특히 아인산수소나트륨으로부터의 질소 화합물, 및 또한 황-함유 화합물, 특히 아디티온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황산나트륨, 중아황산나트륨, 티오시안산나트륨 또는 티오시안산암모늄이다. 특히 바람직한 유기 중합 억제제는 계열 히드로퀴논, 히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레조르시놀, 피로카테콜, tert-부틸피로카테콜, 피로갈롤로부터의 폐놀계 화합물, 및 페놀과 알데히드의 축합 생성물이다. 유용한 유기 중합 억제제는 질소-함유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계열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N-이소프로필히드록실아민 및 또한 술폰화 또는 카르복실화 N-알킬히드록실아민 또는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유도체로부터의 히드록실아민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N,N-히드라지노디아세트산, 니트로소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N-니트로소페닐히드록실아민, N-니트로소페닐히드록실아민 암모늄 염 또는 N-니트로소페닐히드록실아민 알루미늄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사용되는 중합 억제제의 농도는 5-1000 ppm (수성 상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50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0 ppm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구형 비드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 액적의 중합은 수성 상 중에서 1종 이상의 보호 콜로이드의 존재 하에 일어난다. 유용한 보호 콜로이드는 계열 젤라틴, 전분,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로부터의 천연 또는 합성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젤라틴이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셀룰로스 유도체, 특히 셀룰로스 에스테르 또는 셀룰로스 에테르,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또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가 본 발명에 따라 또한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방향족 술폰산 및 포름알데히드로부터 형성된 축합 생성물이 또한 바람직하다. 특히 상표명 베이카놀(Baykanol)® PQ 하에 란세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Lanxess Deutschland GmbH)로부터 입수가능한 나프탈렌술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보호 콜로이드는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보호 콜로이드의 혼합물로서 사용가능하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것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및 나프탈렌술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및/또는 그의 나트륨 염의 혼합물이다.
전체 보호 콜로이드에 대해 사용되는 양은 수성 상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wt%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방법 단계 a)에서의 구형 비드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중합은 또한 완충 시스템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중합의 시작 시에 수성 상의 pH가 14 내지 6,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8의 값으로 설정되는 완충 시스템이다. 이들 조건 하에, 카르복실산 기를 갖는 보호 콜로이드는 완전 또는 부분 염 형태이다. 이는 보호 콜로이드의 성능에 대해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특히 적합한 완충 시스템은 포스페이트 또는 보레이트 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의 용어 포스페이트 및 보레이트는 또한 상응하는 산 및 염의 오르토 형태의 축합 생성물로 이해된다. 수성 상 중 포스페이트/보레이트의 농도는 0.5-500 mmol/l, 바람직하게는 2.5-100 mmol/l이다.
임의로 캡슐화되는 단량체 액적의 평균 입자 크기는 10-1000 μm, 바람직하게는 100-1000 μm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방법 단계 a)에서의 구형 비드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중합은 또한 수성 상 중에서 염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물 중 유기 화합물의 용해도를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할로겐,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이다. 이들은 수성 상의 포화까지의 농도 범위에서 사용가능하다. 최적 범위는 따라서 모든 염에 대해 상이하며, 시험되어야 한다.
염화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농도 범위는 수성 상에 대해 15-25 중량%이다.
중합에서의 교반 속도는 특히 중합 초기에 입자 크기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원칙적으로, 더 작은 입자는 더 높은 교반 속도에서 수득된다. 교반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비드 중합체의 입자 크기를 원하는 범위로 조종할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교반기가 사용가능하다. 축방향 작용을 갖는 그리드 교반기가 특히 적합하다. 4 리터 실험실 유리 반응기에 사용되는 교반 속도는 전형적으로 100 내지 400 rpm (분당 회전수) 범위이다.
중합 온도는 사용되는 개시제의 붕괴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0℃,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130℃이다. 중합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수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시간을 소요한다. 중합을 저온, 예를 들어 60℃에서 시작하고 중합 전환이 진행됨에 따라 반응 온도를 상승시키는 온도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발견될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안전하고 일관된 반응 과정 및 중합 동안의 높은 전환의 요건을 충족시키기에 매우 우수한 방식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비드 중합체는 중합 후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여과, 경사분리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단리되고, 임의로 세척된다.
방법 단계 a)로부터 수득가능한 비드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100 μm 내지 2000 μm 범위의 비드 직경을 갖는다.
아크릴 화합물을 기재로 하는 방법 단계 a) 후에 수득된 가교된 비드 중합체는 방법 단계 b)에서 디에틸렌트리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추가로 가공된다.
디에틸렌트리아민은 가아민분해될 기에 대해 과량으로 사용된다. 디에틸렌트리아민이 사용되는 양은 에스테르/니트릴 기 mol당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8 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mol의 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현탁액의 온도는 방법 단계 b)에서,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40℃로 가열된다.
현탁액은 전형적으로 교반된다. 방법 단계 b)에서 현탁 시에, 교반은 수시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5시간 동안 실시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b)에서 생성된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는 아민-무함유로 세척될 수 있다. 아민 함량은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의 총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wt%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 c)에서, 단계 b)로부터의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는 알킬 또는 아릴 할라이드를 사용하는 전환에 의해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로 부분 또는 완전 전환된다.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 내의 아민 기는 여기서 알킬화를 겪어서 4급 알킬암모늄 기를 형성한다. 4급 알킬암모늄 기는 바람직하게는 4급 에틸암모늄 기 또는 4급 메틸암모늄 기, 또는 그의 혼합물을 구성한다.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는 메틸암모늄 기를 함유하는 4급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방법 단계 c)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알킬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클로로메탄 또는 벤질 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메탄과 벤질 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이다. 클로로메탄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알킬화제는 일반적으로 약염기성 기의 양에 대해 10 내지 200 mol%의 양으로 사용되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방법 단계 b)로부터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의 수성 현탁액에 혼합된다. 알킬화제가 사용되는 양은 약염기성 기의 양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0 mol% 내지 150 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mol% 내지 130 mol%이다.
바람직하게는 50% 초과의 염기성 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9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의 염기성 기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 c)에서의 알킬화 과정에서 4급화를 겪는다.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는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체를 구성한다.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100 μm 내지 2000 μm 범위의 비드 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는 수성- 및/또는 유기 용액으로부터의 옥소음이온의 제거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의미 내의 옥소음이온은 화학식 XnOm -, XnOm 2 -, XnOm 3 -, HXnOm - 또는 H2XnOm 2-의 음이온이며, 여기서 n은 1, 2, 3 또는 4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3, 4, 6, 7 또는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계열 Au, Ag, Cu, Si, P, S, Cr, Ti, Te, Se, V, As, Sb, W, Mo, U, Os, Nb, Bi, Pb, Co, Ni, Fe, Mn, Ru, Re, Tc, Al, B로부터의 금속 또는 전이 금속, 또는 계열 Cl, Br, I, CN, C, N으로부터의 비금속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에서, 옥소음이온은 특히 화학식 XOm 2 -, XOm 3 -, HXOm - 또는 H2XOm 2 -의 음이온이며, 여기서 m은 3 또는 4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상기 언급된 계열, 바람직하게는 P, S, Cr, Te, Se, V, As, Sb, W, Mo, Bi로부터의 금속 또는 전이 금속, 또는 계열 Cl, Br, I, C, N으로부터의 비금속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의미 내의 옥소음이온은 산화 상태 (III) 및 (V)의 아르세네이트, 산화 상태 (III), (IV) 및 (V)의 우라늄의 옥소음이온, 산화 상태 (III) 및 (V)의 안티모니의, 산화 상태 (VI)의 크로뮴의, 비스무테이트로서의 비스무트의, 몰리브데이트로서의 몰리브데넘의, 바나데이트로서의 바나듐의, 텅스테네이트로서의 텅스텐의, 셀레네이트로서의 셀레늄의, 텔루레이트로서의 텔루륨의, 또는 클로레이트 또는 퍼클로레이트로서의 염소의 옥소음이온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옥소음이온 ClO3 -, ClO4 -, CrO4 2 -, Cr2O7 2 - 및 우라네이트(VI), 특히 UO4 2- 및 U2O7 2 - 및 그의 모노- 및 폴리우라네이트이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에서, 우라늄(VI)의 옥소음이온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UO2(SO4)2]2-, [UO2(SO4)3]4-, [UO2(CO3)2]2- 및 [UO2(CO3)3]4-로서의 술페이트 및 카르보네이트이다.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크로메이트(VI) 및 디크로메이트(VI)으로서의 크로뮴(VI) 옥소음이온, 퍼클로레이트, 클로레이트, 아르세네이트, 우라늄(VI), 우라늄(V) 및 우라늄(IV)의 제거에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수성- 및/또는 유기 용액으로부터의 크로뮴(VI) 옥소음이온의 제거에 보다 더 유용하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단계 a)에서 옥소음이온 함유 수성- 및/또는 유기 용액을 적어도 1종의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와 접촉시키고, 단계 b)에서 수성 음이온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재생시키는, 수성- 및/또는 유기 용액으로부터 옥소음이온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생 방법을 위한 수성 음이온 용액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성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할로겐 용액이 사용될 것이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할로겐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또는 염화리튬이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는 크로뮴(VI) 옥소음이온에 대해 특히 높은 용량을 갖는다.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는 높은 수준의 기계적 안정성을 추가로 갖는다.
약염기성 및 강염기성 기의 양의 결정
음이온 교환체 50 ml에 유리 칼럼 내에서 2 wt%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 500 ml를 적용한다. 후속적으로, 수지를 완전 이온-무함유 물로 세척하여 과량의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제거한다.
NaCl로의 전처리
유리 염기 형태이며 중성으로 세척된 교환체 50 ml에 2.5 wt% 수성 염화나트륨 용액 800 ml를 적용한다. 유출물은 버린다. 수지를 완전 이온-무함유 물로 세척한다.
NaNO3가의 결정
이어서, 2.5 wt% 질산나트륨 용액 800 ml를 칼럼에 통과시킨다. 유출물을 완전 이온-무함유 물로 1000 ml까지 보충한다. 그의 분취물 - 5 ml -을 채취하고, 질산은 용액으로의 적정에 의해 그의 클로라이드 함량에 대해 분석한다.
수지를 완전 이온-무함유 물로 세척한다.
소비된 Ag(NO3) 용액의 ml × 0.4 = 수지의 mol/리터 단위의 NaNO3가.
HCl가의 결정
염산 c(HCl) = 1.0 mol/L 50 mL를 적하 깔때기에 도입하고, 완전 이온-무함유 물 450 mL로 보충한다. 후속적으로, 용액을 수지를 통해 적하하고, 유출물을 1 L 눈금 플라스크 내에 수집한다. 이어서, 메탄올 200 mL를 수지를 통해 적하하고, 유출물을 동일한 1 L 눈금 플라스크 내에 수집하고, 완전 이온-무함유 물로 마크까지 보충하고, 완전히 공동혼합한다.
그 중 5 mL를 샘플 비커에 피펫팅하고, 완전 이온-무함유 물로 약 100 mL 부피까지 보충한다. 샘플을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 c(NaOH) = 0.1 mol/L로 적정한다.
(2.5 - 소비된 (NaOH) = 0.1 mol/L) * 0.4 = 수지의 mol/리터 단위의 HCl가.
강염기성 기의 양은 NaNO3가 및 HCl가로부터 형성된 총 합계와 동등하다.
약염기성 기의 수는 HCl가와 동등하다.
실시예
실시예 1
1.1 가교된 비드 중합체의 제조
메틸 아크릴레이트 147 g, 아크릴로니트릴 657 g, 디비닐벤젠 (순수한 디비닐벤젠의 수준: 81.6%, 나머지 에틸스티렌) 42.4 g 및 옥타디엔 17 g으로 형성된 혼합물을 제공하고, 디클로로에탄 191 g 및 디벤조일 퍼옥시드 (75% 농도) 3.5 g을 그에 용해시켰다. 후속적으로, 용액을 탈이온수 1490 g 중 염화나트륨 439 g, 베이카놀® PQ 용액 (30% 농도, 란세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의 제품) 5.2 g, 인산수소이나트륨 21.1 g, 수산화나트륨 용액 (50% 농도) 1.2 g, 히드록실 에틸 셀룰로스 2.47 g을 함유하는 히드록실 에틸 셀룰로스 용액 224 g의 수용액과 함께 교반한 다음, 64℃에서 7시간 동안 초기 중합시켰다. 상기에 이어서, 100℃로 30분에 걸쳐 가열하였다. 상기에 이어서, 60℃로 냉각시키고, 중아황산나트륨 용액 (20% 농도) 388 g을 혼합하였다. 이어서, 배치를 80℃로 가열하고, 80℃로 1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100℃에서, 디클로로에탄을 비드 중합체로부터 3시간에 걸쳐 증류해 내었다. 배치를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수율: 습윤 비드 중합체 924 g
입자 크기: 0.125-1.6 mm
건조 중량은 0.72 g/ml였다.
1.2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의 제조
제조법이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는 거대다공성 메틸 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 250 g을 디에틸렌트리아민 (DETA) 957 g 및 탈이온수 108 g으로 형성된 혼합물 중에 현탁시켰다. 상기에 이어서, 90℃ 및 100℃로 5시간 동안에 이어서 128℃로 단계식으로 가열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기 온도에서 420분 동안 유지하였다. 상기에 이어서, 60℃로 냉각시키고, 모액을 체 튜브를 사용하여 배출시켰다. 수지를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수율: 1170 mL
최초 안정성: 99% 완전 비드
총 용량: 3.83 eq/L
물 함량: 48.8%
삼투 안정성: 98% 완전 비드
1.3 실시예 1.2로부터의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와 클로로메탄의 반응
아민-무함유로 세척된 약염기성 수지 800 mL를 탈이온수 1600 mL 및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 (50% 농도) 606 g이 들어 있는 반응기에 초기 충전하였다. 현탁액을 40℃로 가열하였다. 클로로메탄 512 g을 48시간에 걸쳐 계량 투입하였다. 냉각시킨 후, 수지를 여과해 내고,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부피 결정에 적용하였다.
수율: 1035 mL
최초 안정성: 99% 완전 비드
총 용량: 2.76 eq/L
NaNO3가: 2.09 eq/L
HCl가: 0.67 eq/L
4급화도: 75.7%
물 함량: 38.7%
삼투 안정성: 98% 완전 비드
롤 시험: 98% 완전 비드
피스톤 시험: 98% 완전 비드
볼 밀링 시험: 98% 완전 비드
1.4 크로뮴 용량
본 개시내용의 비드의 크로뮴 작업 용량을 캘리포니아주 윌로우스 스테이션 9로부터의 원수 중에서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중합 비드를 실시예 1.3에 따라 제조하였다 (염기성 기의 총 용량 = 2.76 eq/L). 실시예 1.3의 수지, 및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트리메틸암모늄 기를 갖는 겔-유사 강염기 스티렌/디비닐벤젠 음이온 수지 (퓨로라이트 A 600 E/9149, 염기성 기의 총 용량 = 1.6 eq/L - 비교 수지 -)를,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2개의 별개의 칼럼에 로딩하였다. 원심분리 펌프를 사용하여 각각의 칼럼으로의 배관을 통해 원수를 공급하면서, 적산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칼럼을 통한 누적 유량을 결정하였다.
샘플을 49초 및 2.37분의 공층 접촉 시간 (EBCT)과 동등한 칼럼 내의 2개의 지점에서 채취하였다.
작업 조건은 하기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윌로우스 스테이션 9에 대한 지하수 화학은 하기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표 2: 윌로우스 스테이션 9에 대한 평균 원료 품질 요약 (2000년-2016년)
1파일럿 시험 동안의 평균 원료 품질
공급물 및 유출물을 정기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유출물 크로뮴 농도를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처리된 층 부피 (BV)에 대해 플롯팅하였다. 실시예 1.3으로부터의 수지는 대략 27,000 층 부피에서 10μg/L의 파과를 갖는다. 비교 수지는 대략 5000 층 부피에서 10μg/L의 파과를 갖는다. 이는 실시예 1.3의 수지가 비교 수지보다 거의 5 내지 6배 더 많은 Cr(VI)을 흡착함을 의미한다.
수지는 10μg/L Cr(VI)만큼의 파과 후, 2N NaCl 용액에 이어서 연수 린스를 사용하여 재생될 것이다.
Claims (12)
-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의 기재를 구성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가, 사용된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70 wt% 초과의 아크릴 단량체 분획을 기재로 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가, 사용된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95 wt% 초과의 아크릴 단량체 분획을 기재로 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 내의 염기성 기의 70% 내지 90%가 4급화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
- a) 적어도 1종의 아크릴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다관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 및 또한 임의로 모노비닐방향족 화합물, 및 또한 임의로 적어도 1종의 포로겐 및/또는 임의로 적어도 1종의 개시제로 형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수성 상 중에서 반응시켜 가교된 비드 중합체를 형성하며, 여기서 사용된 아크릴 단량체의 중량 양은 사용된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70 wt% 초과이고,
b) 단계 a)로부터의 비드 중합체를 디에틸렌트리아민과 반응시키고,
c) 단계 b)로부터의 관능화된 비드 중합체를, 알킬 또는 아릴 할라이드를 사용하여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로 완전 또는 부분 전환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사용된 아크릴 단량체의 중량 양이 단계 a)에서 사용된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95 wt%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방법 단계 b)에서의 온도가 9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사용된 디에틸렌트리아민의 양이 에스테르/니트릴 기 mol당 2 내지 6 mol의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사용된 알킬 또는 아릴 할라이드의 양이 염기성 기의 양에 대해 50 mol% 내지 150 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 단계 a)에서 옥소음이온 함유 수성- 및/또는 유기 용액을 제1항에 의해 청구된 바와 같은 적어도 1종의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와 접촉시키고, 단계 b)에서 수성 음이온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및/또는 유기 용액으로부터 옥소음이온을 제거하는 방법.
- 수성- 및 유기 용액으로부터의 옥소음이온의 제거에서의 제1항으로부터의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의 용도.
- 제10항에 있어서, 군 XnOm -, XnOm 2 -, XnOm 3 -, HXnOm - 또는 H2XnOm 2 -로부터 선택된 옥소음이온의 제거에서의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의 용도이며, 여기서 n은 1, 2, 3 또는 4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3, 4, 6, 7 또는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계열 Au, Ag, Cu, Si, P, S, Cr, Ti, Te, Se, V, As, Sb, W, Mo, U, Os, Nb, Bi, Pb, Co, Ni, Fe, Mn, Ru, Re, Tc, Al, B로부터의 금속 또는 전이 금속, 또는 계열 F, Cl, Br, I, CN, C, N으로부터의 비금속을 나타내는 것인 용도.
- 제10항에 있어서, 수성- 및/또는 유기 용액으로부터의 크로메이트(VI) 및 디크로메이트(VI)으로서의 크로뮴(VI) 옥소음이온, 퍼클로레이트, 클로레이트, 아르세네이트, 우라늄(VI), 우라늄(V) 및 우라늄(IV) 옥소음이온의 제거에서의 4급화 디에틸렌트리아민-관능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드 중합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615290369A | 2016-10-11 | 2016-10-11 | |
US15/290,369 | 2016-10-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0082A true KR20180040082A (ko) | 2018-04-19 |
KR102367172B1 KR102367172B1 (ko) | 2022-02-25 |
Family
ID=6008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5722A KR102367172B1 (ko) | 2016-10-11 | 2017-09-28 | 강염기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음이온 교환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20180099269A1 (ko) |
EP (1) | EP3308857B1 (ko) |
JP (1) | JP6612828B2 (ko) |
KR (1) | KR102367172B1 (ko) |
CN (1) | CN107913743B (ko) |
RU (1) | RU2754099C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36311B (zh) * | 2020-01-02 | 2022-08-30 | 凯瑞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1,4-丁炔二醇脱离子树脂净化剂及其制备方法 |
CN111617810A (zh) * | 2020-05-11 | 2020-09-04 | 厦门钨业股份有限公司 | 弱碱性阴离子交换树脂的解钨方法 |
CN112403439B (zh) * | 2020-10-11 | 2022-09-02 | 兰州大学 | 一种分离铀的材料及其制备方法 |
CN112717896A (zh) * | 2021-01-07 | 2021-04-30 | 齐鲁工业大学 | 一种连苯三酚基聚酚胺吸附材料及制备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14544A1 (en) * | 2001-12-17 | 2003-06-19 | Reinhold Klipper | Monodisperse anion exchangers |
CN101381148A (zh) * | 2004-02-24 | 2009-03-11 | 罗姆和哈斯公司 | 从水中除去砷的方法 |
JP2009165985A (ja) * | 2008-01-17 | 2009-07-30 | Nippon Rensui Co Ltd | イオン交換樹脂の再生方法及びイオン交換樹脂再生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81827C (ko) * | 1952-04-14 | |||
US6323249B1 (en) * | 1988-09-26 | 2001-11-27 | Purolite International, Ltd. | Macroporous resins having large pores but with high crush strength |
JPH06327984A (ja) * | 1993-05-27 | 1994-11-29 | Sumitomo Chem Co Ltd | 陰イオン交換樹脂 |
JP2000290829A (ja) * | 1999-04-05 | 2000-10-17 | Mitsubishi Chemicals Corp | 陰イオン交換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2059160A (ja) * | 2000-08-11 | 2002-02-26 | Daikin Ind Ltd | 含フッ素陰イオン系界面活性剤の分離方法 |
JP2004010603A (ja) * | 2002-06-11 | 2004-01-15 | Nippon Shokubai Co Ltd | ヒドロキシアルキル(メタ)アクリ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349018B2 (ja) * | 2003-07-10 | 2009-10-21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アミノ基含有ポリマー粒子の製造方法 |
EP1568660B1 (en) * | 2004-02-24 | 2010-12-15 | Rohm And Haas Company | Method for removal of arsenic from water |
TWI344469B (en) * | 2005-04-07 | 2011-07-01 | Nippon Catalytic Chem Ind | Polyacrylic acid (salt) water-absorbent resin, production process thereof, and acrylic acid used in polymerization for production of water-absorbent resin |
JP2012120983A (ja) * | 2010-12-08 | 2012-06-28 | Toshiba Corp | 吸着材用アクリル系樹脂粒子、その製造方法、水処理用カラム、および水処理方法 |
EP2606973A1 (de) * | 2011-12-22 | 2013-06-26 | LANXESS Deutschland GmbH | Thiolgruppenhaltiges Acrylatharz |
US10435528B2 (en) * | 2013-09-17 | 2019-10-08 | Aquanano Llc | High-capacity anion exchange materials |
JP6425478B2 (ja) | 2014-09-17 | 2018-11-21 | フタバ産業株式会社 | 排気熱回収装置 |
-
2017
- 2017-09-18 EP EP17191529.1A patent/EP3308857B1/en active Active
- 2017-09-28 KR KR1020170125722A patent/KR10236717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9-28 US US15/718,821 patent/US2018009926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10-10 JP JP2017196642A patent/JP6612828B2/ja active Active
- 2017-10-10 RU RU2017135967A patent/RU2754099C2/ru active
- 2017-10-10 CN CN201710944796.XA patent/CN107913743B/zh active Active
-
2020
- 2020-04-29 US US16/862,154 patent/US20200261899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14544A1 (en) * | 2001-12-17 | 2003-06-19 | Reinhold Klipper | Monodisperse anion exchangers |
CN101381148A (zh) * | 2004-02-24 | 2009-03-11 | 罗姆和哈斯公司 | 从水中除去砷的方法 |
JP2009165985A (ja) * | 2008-01-17 | 2009-07-30 | Nippon Rensui Co Ltd | イオン交換樹脂の再生方法及びイオン交換樹脂再生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RU2754099C2 (ru) | 2021-08-26 |
RU2017135967A3 (ko) | 2021-02-15 |
KR102367172B1 (ko) | 2022-02-25 |
EP3308857B1 (en) | 2020-07-08 |
JP6612828B2 (ja) | 2019-11-27 |
CN107913743A (zh) | 2018-04-17 |
EP3308857A1 (en) | 2018-04-18 |
JP2018109142A (ja) | 2018-07-12 |
CN107913743B (zh) | 2021-07-13 |
US20180099269A1 (en) | 2018-04-12 |
US20200261899A1 (en) | 2020-08-20 |
RU2017135967A (ru) | 2019-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261899A1 (en) | Strong basic polyacrylate anion exchangers | |
JP5600540B2 (ja) | キレート樹脂を用いるカチオンの改善された除去方法 | |
TWI428289B (zh) | 供吸收含氧陰離子之離子交換劑之調節 | |
US8562922B2 (en) | Picolylamine resins | |
US20090045137A1 (en) | Method of producing monodisperse chelate resins | |
JP5600541B2 (ja) | キレート樹脂を用いるカチオンの改善された除去方法 | |
JP2001098019A (ja) | 単分散性アニオン交換体の製造方法 | |
EP2794106A1 (de) | Thiolgruppenhaltiges acrylatharz | |
JP2001089524A (ja) | チオ尿素基をもった新規単一分散型の交叉結合したビーズ状重合体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金属化合物の吸着に対するその使用 | |
JP2007533789A (ja) | キレート交換樹脂 | |
US20110086935A1 (en) | Picolylamine resins | |
US20130245140A1 (en) | Chelate resins | |
US9079177B2 (en) | Methylene aminoethyl sulfonic acid chelating resins | |
US10017401B2 (en) | Aluminum-doped, iminodiacetic acid group-containing chelate resins | |
JP6714684B2 (ja) | セシウム選択性樹脂 | |
JP2024517993A (ja) | アニオン交換体を製造するプロセス | |
JPH0645654B2 (ja) | キレ−ト樹脂及びその製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