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556A -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 Google Patents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556A
KR20180039556A KR1020170102288A KR20170102288A KR20180039556A KR 20180039556 A KR20180039556 A KR 20180039556A KR 1020170102288 A KR1020170102288 A KR 1020170102288A KR 20170102288 A KR20170102288 A KR 20170102288A KR 20180039556 A KR20180039556 A KR 20180039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mposition
infrared ray
inkjet
bezel pattern
ray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179B1 (ko
Inventor
유재현
김아름
박성은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TW106131404A priority Critical patent/TWI644998B/zh
Publication of KR2018003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only
    • C08G65/06Cyclic ethers having no atom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utside the ring
    • C08G65/16Cyclic ethers having four or more ring atoms
    • C08G65/18Oxet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2Pigment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4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containing carbon black
    • C09D11/326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containing carbon black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dispers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an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5/08Copolymers with vin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11Function characteristic involv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기판에 베젤 패턴을 인쇄한 후에도,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얼라인 마커(align marker)의 확인 및 비파괴 검사로 압흔(Pressure Mark, 壓痕)의 검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재와의 부착력 및 잉크젯 공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이 개시된다. 상기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은, 락탐블랙 안료; 분산제; 에폭시 화합물; 비닐에테르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Infrared ray transmittance ink composition for inkjet, method for preparing a bezel pattern using the same, the bezel pattern using the same method and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bezel pattern}
본 출원은 2016.10.10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출원 10-2016-0130523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판에 베젤 패턴을 인쇄한 후에도,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얼라인 마커(align marker)의 확인 및 비파괴 검사로 압흔(Pressure Mark, 壓痕)의 검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재와의 부착력 및 잉크젯 공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에 관한 것이다.
TV나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mobile) 디바이스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는, 그 독창성이나 편의성 등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성장세와 함께, 보다 향상된 편의를 위한 요구나 해결해야 할 과제 또한 적지 않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그 중, 사용자의 화면 몰입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보다 확장된 화면의 확보를 위하여 불필요한 테두리부를 줄인 내로우(narrow) 베젤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케이스가 불필요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 표시 영역 외측의 전극을 가리고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의 시감 차이를 보다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기재와의 우수한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고, 또한, 잉크젯 공정 성능까지도 개선시킬 수 있는 잉크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3-0016460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보다 확장된 화면의 확보를 위한 내로우(narrow) 베젤의 적용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표시 영역 외측의 전극을 가릴 뿐만 아니라,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의 시감 차이를 보다 감소시키고, 또한, 기재와의 우수한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고, 잉크젯 공정 성능까지도 개선시킬 수 있는 잉크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일환으로서, 다양한 잉크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흑색 잉크의 경우, 후(後) 공정을 위한 얼라인 마커(align marker)를 비우고 인쇄해야 하며, ACF 본딩 공정에서 발생한 압흔(Pressure Mark, 壓痕)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샘플을 파괴한 후 검사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대다수 잉크의 경우, 열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후(後) 공정이 이루어져야만 기재와의 부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기판에 베젤 패턴을 인쇄한 후에도,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얼라인 마커(align marker)의 확인이 가능하고, 또한, ACF 본딩 후 비파괴 검사로 압흔(Pressure Mark, 壓痕)의 검출이 가능한,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재와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잉크젯 공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탐블랙 안료; 분산제; 에폭시 화합물; 비닐에테르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기판에 상기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잉크젯 프린팅하여, 베젤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베젤 패턴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이용하면, 디스플레이 기판에 베젤 패턴을 인쇄한 후에도,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얼라인 마커(align marker)의 확인이 가능하고, 또한, ACF 본딩 후 비파괴 검사로 압흔(Pressure Mark, 壓痕)의 검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재와의 부착력 및 잉크젯 공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베젤의 적외선 투과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일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잉크 조성물의 잉크젯 공정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잉크젯 프린팅시킨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잉크 조성물에 포함된 부착력 증진제의 함량에 따라 cross cut 정도가 달라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잉크 조성물에 포함된 부착력 증진제의 함량에 따른 리워크(Rework) 성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은, 락탐블랙 안료, 분산제, 에폭시 화합물, 비닐에테르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락탐블랙 안료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의 적외선 투과율을 결정하는 착색제로서, 카본블랙이나 아닐린블랙과 같은 안료가 모든 파장의 빛을 차단(차광성)함으로써 투과율이 매우 낮아 사용이 불가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상기 락탐블랙 안료를 사용하게 되면 적외선 파장에서의 투과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기판에 베젤 패턴을 인쇄한 후에도 적외선 카메라 등의 비파괴 적외선 감지기를 이용하여, 베젤 패턴 하부에 나타나 있는 기판의 얼라인 마커(align marker) 및 압흔(Pressure Mark, 壓痕)의 검출이 가능하다.
상기 락탐블랙 안료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중량%로서, 상기 락탐블랙 안료의 함량이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베젤층의 차광성이 낮아져 디스플레이 비표시 영역의 전극이 보일 우려가 있고,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잉크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지거나, 적외선 투과율이 낮아져 적외선 센서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산제는 상기 락탐블랙 안료를 균일한 크기의 입자로 만들고, 또한, 잉크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분산제로는 고분자형,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의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아크릴 계열,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이의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코올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설폰산 에스테르, 설폰산염,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카르복실산염, 알킬아미드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알킬아민 등이 있고,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 잉크의 저장성 등이 우수한 아크릴 계열의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중량%로서, 상기 분산제의 함량이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안료가 고르게 분산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안료가 응집되거나 경화감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계속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양이온 중합형으로서, 양이온 중합성 지환식 에폭시 단량체를 포함하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은, 에폭시화 지방족 고리기를 1 또는 2개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에폭시화 지방족 고리기는, 예를 들어, 지환식 고리에 형성된 에폭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일 수도 있고, 또한, 지환식 고리의 수소 원자는, 알킬기 등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다.
상기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다시 말해,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예를 들면,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리모넨디옥사이드,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비닐시클로헥센옥사이드, 비스(2,3-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알코올,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테르, 3,4-에폭시시클로헥센카르본산 에틸렌글리콜디에스테르 및 (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로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함량이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감도가 저하되고,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잉크의 점도가 상승하여 잉크젯 공정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비닐에테르 화합물은 경화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디비닐에테르(1,4-cyclohexanedimethanol divinyl ether),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비닐에테르(Triethylene glycol divinyl ether, DVE-3) 및 히드록시부틸 비닐에테르(Hydroxybutyl vinyl ether)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비닐에테르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로서, 상기 비닐에테르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경화감도가 낮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옥세탄 화합물은 분자 구조 내에 4원 고리형 에테르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양이온 중합성 잉크 조성물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사용되며, 그 예로는 3-에틸-3-히드록시메틸 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3-에틸-3-(페녹시메틸)옥세탄, 디[(3-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3-에틸-3-(2-에틸헥실옥시메틸)옥세탄, 3-에틸-3-시클로헥실옥시메틸 옥세탄 및 페놀노볼락 옥세탄 등이 있고, 상품명으로는 토아고세이㈜사의 「알론옥세탄 OXT-101」, 「알론옥세탄 OXT-121」, 「알론옥세탄 OXT-211」, 「알론옥세탄 OXT-221」 또는「알론옥세탄 OXT-212」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옥세탄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2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9 내지 41 중량%로서, 상기 옥세탄 화합물의 함량이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2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점도가 상승하여 잉크젯 공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감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2 중량%로서,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잉크의 점도가 높아지거나 베젤층의 두께가 두꺼워질 우려가 있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감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판에 베젤 패턴을 인쇄한 후에도, 경화감도가 우수한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잉크젯 공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점이 200 ℃ 이상이고, 25 ℃에서 점도가 1 내지 5 cP, 바람직하게는 3 cP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락탐블랙 안료가 전체 잉크 조성물에 10 % 미만(특히, 7 % 이하)의 낮은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비점이 200 ℃ 미만인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BCsA)와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하더라도 잉크젯 공정 성능에 큰 문제가 없지만, 잉크 조성물에 상기 락탐블랙 안료가 10 % 이상의 비교적 높은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잉크젯 공정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잉크젯 공정 성능을 향상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유기용매의 사용이 요구되는데, 잉크젯 공정 성능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고비점 및 저점도의 조건(비점이 200 ℃ 이상이고, 25 ℃에서 점도가 1 내지 5 cP, 특히, 3 cP 이하)을 만족하는 유기용매를 사용할수록 향상되므로,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유기용매, 예를 들어, 부틸 다이글라임(Butyl diglyme, 또는 디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에틸렌글리콜 디부티레이트(ethylene glycol dibutyrate), 디에틸 숙신산(Diethyl succinate) 및 에틸 카프레이트(Ethyl caprate)와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여야 하며, 상기 부틸 다이글라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양이온 중합성의 개시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cation) 종이나 브론스테드산을 만들어내는 화합물, 예를 들면 요오드늄 염 및 설포늄 염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상기 요오드늄 염 또는 설포늄 염은, 자외선 경화 과정에서 잉크에 함유된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모노머가 반응하여 고분자를 형성하는 경화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며, 중합 효율에 따라 광 증감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SbF6-, AsF6-, BF6-, (C6F5)4B-, PF6- 또는 RfnF6-n으로 표시되는 음이온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시판되고 있는 상품으로는 Irgacure 250, Irgacure 270, Irgacure 290, CPI-100P, CPI-101A, CPI-210S, Omnicat 440 및 Omnicat 550, Omnicat 650 등이 있고, 이들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중량%로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 반응이 충분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모두 용해되지 않거나, 점도가 증가하여 잉크젯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부착력 증진제, 광 증감제 및 계면활성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력 증진제는 기재와 인쇄층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알콕시 실란 화합물 및 포스페이트 아크릴레이트(phosphate acrylate) 등의 포스페이트계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알콕시 실란 화합물의 예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KBM-403(Shin-Etsu사, 미국)), 3-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 methyldimethoxysilane, KBM-402), 2-(3,4 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2-(3,4 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KBM-303), 3-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디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 methyldiethoxysilane, KBE-402),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 triethoxysilane, KBE-403) 및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 KBM-503) 등을 들 수 있고,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착력 증진제가 사용될 경우 그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로서, 상기 부착력 증진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기재와 인쇄층의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재에서 인쇄층을 지우는 작업(rework)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광 증감제는 장파장 활성 에너지 선에서의 경화성을 보완하거나,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안트라센, 9,10-디부톡시안트라센, 9,10-디메톡시안트라센, 9,10-디에톡시안트라센, 2-에틸-9,10-디메톡시안트라센 등의 안트라센계 화합물; 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4,6-트리메틸아미노벤조페논, 메틸-o-벤조일벤조에이트,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보닐)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아세토페논, 디메톡시아세토페논,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프로판온 등의 케톤계 화합물; 페릴렌; 9-플로레논, 2-클로로-9-플로레논, 2-메틸-9-플로레논 등의 플로레논계 화합물; 티옥산톤, 2,4-디에틸 티옥산톤, 2-클로로 티옥산톤, 1-클로로-4-프로필옥시 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ITX), 디이소프로필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계 화합물; 크산톤, 2-메틸크산톤 등의 크산톤계 화합물; 안트라퀴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 안트라퀴논, t-부틸 안트라퀴논, 2,6-디클로로-9,10-안트라퀴논 등의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9-페닐아크리딘, 1,7-비스(9-아크리디닐)헵탄, 1,5-비스(9-아크리디닐펜탄), 1,3-비스(9-아크리디닐)프로판 등의 아크리딘계 화합물; 벤질, 1,7,7-트리메틸-비시클로[2,2,1]헵탄-2,3-디온, 9,10-펜안트렌퀴논 등의 디카보닐 화합물;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옥사이드 등의 포스핀 옥사이드계 화합물; 메틸-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n-부톡시에틸-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계 화합물; 2,5-비스(4-디에틸아미노벤잘)시클로펜타논, 2,6-비스(4-디에틸아미노벤잘)시클로헥사논, 2,6-비스(4-디에틸아미노벤잘)-4-메틸-시클로펜타논 등의 아미노 시너지스트; 3,3-카본닐비닐-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2-벤조티아졸일)-7-(디에틸아미노) 쿠마린, 3-벤조일-7-(디에틸아미노)쿠마린, 3-벤조일-7-메톡시-쿠마린, 10,10-카르보닐비스[1,1,7,7-테트라메틸-2,3,6,7-테트라히드로-1H,5H,11H-C1]-벤조피라노[6,7,8-ij]-퀴놀리진-11-온 등의 쿠마린계 화합물; 4-디에틸아미노 칼콘, 4-아지드벤잘아세토페논 등의 칼콘 화합물; 2-벤조일메틸렌; 및 3-메틸-b-나프토티아졸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 증감제가 잉크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이고, 상기 광 증감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 원하는 파장에서의 경화감도 상승 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며, 3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광 증감제가 용해되지 못하고 패턴의 접착력 및 가교 밀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잉크의 표면장력을 조절하여 제팅(jetting)이 원활하게 일어나게 하며, 또한, 기재에서 잉크가 적절하게 퍼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DIC(DaiNippon Ink & Chemicals) 사의 Megafack F-444, F-475, F-478, F-479, F-484, F-550, F-552, F-553, F-555, F-570 및 RS-75, 또는 아사히 가라스 사의 Surflon S-111, S-112, S-113, S-121, S-131, S-132, S-141 및 S-145, 또는 스미토모 스리엠 사의 Fluorad FC-93, FC-95, FC-98, FC-129, FC-135, FC-170C, FC-430 및 FC-4430, 또는 듀퐁 사의 Zonyl FS-300, FSN, FSN-100 및 FSO, 또는 BYK사의 BYK-306, BYK-310, BYK-320, BYK-330, BYK-331, BYK-333, BYK-342, BYK-350, BYK-354, BYK-355, BYK-356, BYK-358N, BYK-359, BYK-361N, BYK-381, BYK-370, BYK-371, BYK-378, BYK-388, BYK-392, BYK-394, BYK-399, BYK-3440, BYK-3441, BYK-UV3500, BYK-UV3530, BYK-UV3570, BYKETOL-AQ, BYK-DYNWET 800, BYK-SILCLEAN 3700 및 BYK-UV 3570, 또는 테고 사의 Rad 2100, Rad 2011, Glide 100, Glide 410, Glide 450, Flow 370 및 Flow 425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가 잉크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이고,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조성물의 표면장력을 낮추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기재에 조성물을 코팅 시 코팅 불량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계면활성제가 과량으로 사용되어 조성물의 상용성 및 소포성이 오히려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은(또는, 잉크는), 경화 도즈량이 20 내지 5,000 mJ/cm2,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 mJ/cm2이고, 250 내지 410 nm 파장, 바람직하게는 360 내지 410 nm 파장 범위에서 방사선을 흡수하여 경화되고, 잉크젯 공정에 적합하도록, 예를 들어 25 ℃에서 1 내지 30 cP, 바람직하게는 공정 온도에서 2 내지 20 cP의 점도를 가지며, 후 공정(열처리)이 배제된 상태에서의 기재와의 부착력이 cross cut test 4B 이상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은, 장파장의 자외선에서 경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차광성은 기존의 카본블랙 안료와 유사하지만 850 내지 940 nm의 적외선 파장에서 투과율이 80 % 이상으로 높은 락탐블랙 안료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기판에 베젤 패턴을 인쇄한 후에도,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얼라인 마커(align marker)의 확인 및 비파괴 검사로 압흔(Pressure Mark, 壓痕)의 검출이 가능하다.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비파괴 검사에 의해 얼라인 마커(align marker) 및 압흔(Pressure Mark, 壓痕)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락탐블랙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낮아진 차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안료의 사용 함량을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으로 함에 따라 잉크젯 공정 성능이 저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유기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잉크젯 공정 성능을 개선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면, 잉크의 경화감도가 2,000 mJ/cm2 @ 1.8 ㎛로서 우수하며, 또한, 후 공정(열처리)이 배제된 상태에서도 기재와의 부착력이 우수하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기재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반면, 인쇄된 베젤 패턴을 제거하여 불량 도포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재사용 할 수 있는 리워크(rework) 성능 또한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은, a) 기판에 상기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잉크젯 프린팅하여, 베젤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베젤 패턴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경화된 베젤 패턴의 두께는 1 내지 3 ㎛일 수 있고, 한편,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잉크 조성물 항목에서 설명된 것과, 통상의 양이온 중합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베젤 패턴 형성방법에 준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또는, 상기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CD-TFT) 및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중 어느 하나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전체 잉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안료로서 12 중량%의 락탐블랙(품명: S0100CF, 독일 BASF사), 분산제로서 2 중량%의 아크릴계 분산제, 에폭시 화합물로서 10 중량%의 Celloxide 2021p(DAICEL사, 일본), 비닐에테르 화합물로서 10 중량%의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디비닐에테르, 옥세탄 화합물로서 39 중량%의 OXT-221(TOAGOSEI사, 일본), 유기용매로서 20 중량%의 부틸 다이글라임, 부착력 증진제로서 2 중량%의 KBM-303(Shin-Etsu Silicone사, 일본), 광중합 개시제로서 4 중량%의 Irgacure 250(BASF사, 미국) 및 광 증감제로서 1 중량%의 ITX(IHT사, 중국)를 혼합한 후 5 시간 동안 교반하여,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부착력 증진제로서 KBM-303 대신 KBM-403(Shin-Etsu Silicone사, 일본)을 사용하고, 광중합 개시제로서 Irgacure 250 대신 CPI-210S(일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에 의해,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부착력 증진제로서 KBM-303 대신 KBM-40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에 의해,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광중합 개시제로서 Irgacure 250 대신 CPI-210S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에 의해,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안료로 사용된 락탐블랙의 함량을 12 중량% 대신 10 중량%로 하고, 옥세탄 화합물로 사용된 OXT-221의 함량을 39 중량% 대신 41 중량%로 하고, 부착력 증진제로서 KBM-303 대신 KBM-40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에 의해,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흑색안료 락탐블랙 12 12 12 12 10
카본블랙 - - - - -
분산제 아크릴계 2 2 2 2 2
에폭시 화합물 Celloxide 2021p 10 10 10 10 10

비닐에테르
1,4-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
디비닐에테르

10

10

10

10

10
옥세탄 화합물 OXT-221 39 39 39 39 41
OXT-212 - - - - -

유기용매
부틸 다이글라임 20 20 20 20 20
BCsA - - - - -
ECA - - - - -
트리글라임 - - - - -
부착력 증진제
KBM-303 2 - - 2 -
KBM-403 - 2 2 - 2
광중합 개시제
Irgacure 250 4 - 4 - 4
CPI-210S - 4 - 4 -
광 증감제 ITX 1 1 1 1 1
* Celloxide 2021p: (3',4'-에폭시사이클로헥산)메틸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카복실레이트
* OXT-221: 비스[1-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 OXT-212: 3-에틸-3-[(2-에틸헥실옥시)메틸]옥세탄
* BCsA: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
* ECA: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 KBM-303: 2-(3,4 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 KBM-403: 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비교예 1] 잉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안료로서 락탐블랙 대신 카본블랙을 사용하고, 부착력 증진제로서 KBM-303 대신 KBM-40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에 의해,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잉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유기용매로서 부틸 다이글라임 대신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BCsA)를 사용하고, 부착력 증진제로서 KBM-303 대신 KBM-40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에 의해,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잉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유기용매로서 부틸 다이글라임 대신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ECA)를 사용하고, 부착력 증진제로서 KBM-303 대신 KBM-40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에 의해,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잉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유기용매로서 부틸 다이글라임 대신 트리글라임(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을 사용하고, 부착력 증진제로서 KBM-303 대신 KBM-40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에 의해,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잉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옥세탄 화합물로서 39 중량%의 OXT-221 이외에 20 중량%의 OXT-212를 추가로 사용하고, 부착력 증진제로서 KBM-303 대신 KBM-40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에 의해,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잉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옥세탄 화합물로 사용된 OXT-221의 함량을 40 중량%로 하고, 부착력 증진제로서 2 중량%의 KBM-303 대신 1 중량%의 KBM-40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에 의해,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잉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옥세탄 화합물로 사용된 OXT-221의 함량을 36 중량%로 하고, 부착력 증진제로서 2 중량%의 KBM-303 대신 5 중량%의 KBM-40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에 의해,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흑색
안료
락탐블랙 - 12 12 12 12 12 12
카본블랙 12 - - - - - -
분산제 아크릴계 2 2 2 2 2 2 2
에폭시 화합물 Celloxide 2021p 10 10 10 10 10 10 10
비닐
에테르
1,4-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 디비닐에테르

10

10

10

10

10

10

10
옥세탄 화합물 OXT-221 39 39 39 39 39 40 36
OXT-212 - - - - 20 - -

유기
용매
부틸 다이글라임 20 - - - - 20 20
BCsA - 20 - - - - -
ECA - - 20 - - - -
트리글라임 - - - 20 - - -
부착력 증진제 KBM-303 - - - - - - -
KBM-403 2 2 2 2 2 1 5
광중합 개시제 Irgacure 250 4 4 4 4 4 4 4
CPI-210S - - - - - - -

증감제
ITX 1 1 1 1 1 1 1
[실시예 1~5, 비교예 1~7] 잉크 조성물로 제조된 시편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잉크 조성물을, 가로 50 mm, 세로 50 mm, 두께 0.5 ㎛의 크기를 가지는 정사각형 모양의 글라스(glass)에, X-rite 341C를 이용하여 광학농도(Optical Density; O.D) 0.9로 잉크젯 프린팅하여 시편(sample)을 제작한 후, 시편의 두께, 투과율, 경화감도, 잉크젯 공정 성능(idle time), 하부 부착력 및 리워크(rework)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시편의 투과율은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380 내지 1,000 ㎚ 파장에 대하여 측정하였고, 경화감도는 395 ㎚ 파장의 UV LED 램프를 이용하여 1,000 mJ/cm2로 경화 가능 여부를 확인하였고, 잉크젯 공정 성능은 전 노즐이 나오는 상태에서 Short purse(3s) 및 wiping 후 idle time(휴지시간)에 따른 젯팅(jetting) 평가로 확인하였고, 하부 부착력은 cross cut test를 실시 측정하여 0B 내지 5B로 평가하였으며(규격: ASTM D3002, D3359), 리워크 성능은 Abrasion & rubbing tester로 wiper(CF-909)에 2 kg 하중을 인가한 후 아세톤(acetone)을 공급하여, 왕복 이송 20회 이내에 베젤 층이 제거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이송속도: 30회 왕복/min). 또한, 하기 표 3 및 4의 경화감도 및 리워크 성능 평가에 있어서, ○ 표시는 우수함을 의미하고, × 표시는 우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두께(㎛) 1.9 1.9 1.9 1.9 2.3
투과율(800nm) 84 % 84 % 84 % 84 % 84 %
경화감도
잉크젯 공정성 20분 20분 20분 20분 20분
하부 부착력 5B 5B 5B 5B 5B
리워크 성능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두께(㎛) 1.1 1.8 1.9 1.9 3.1 1.9 1.9
투과율(800nm) 18 % 84 % 84 % 84 % 84 % 84 % 84 %
경화감도 × ×
잉크젯 공정성 20분 5분 20분 20분 20분 20분 20분
하부 부착력 5B 5B 5B 5B 5B 0B 5B
리워크 성능 ×
[실험예 1] 두께 평가
락탐블랙 안료의 함량이 12 중량%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달리, 락탐블랙 안료의 함량을 10 중량%로 낮춘 상기 실시예 2의 경우, 시료(즉, 베젤)의 두께가 2.3 ㎛로 다소 높아졌지만, 이는 3 ㎛ 이하로서 본 발명에 적합하였다. 이외의 물성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하여 신뢰성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락탐블랙 안료의 함량을 10 중량% 이상으로만 유지하면, 본 발명의 취지에 부합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5의 경우, 베젤의 두께가 3 ㎛를 초과하여(3.1 ㎛), 베젤의 상부에 필름을 부착할 경우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는 유기용매가 포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투과율 평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베젤의 적외선 투과율을 비교한 그래프로서, 흑색안료로서 락탐블랙을 사용한 상기 실시예 3의 적외선 투과율(도 1의 청색 그래프)이 800 nm의 파장대에서 약 84 %인데 반해, 안료로 카본블랙을 사용한 상기 비교예 1의 적외선 투과율(도 1의 적색 그래프)은 18 %로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는 안료로서 락탐블랙이 사용되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잉크젯 공정 성능 및 경화감도 평가
유기용매로서 부틸 다이글라임을 사용한 상기 실시예 3의 경우, 휴지시간(idle time)이 20분으로서 잉크젯 공정 성능이 우수한 반면, 부틸 다이글라임 대신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BCsA)를 유기용매로 사용한 상기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휴지시간이 5분 이하로 잉크젯 공정 성능이 미흡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틸 다이글라임 대신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ECA)를 유기용매로 사용한 상기 비교예 3과, 부틸 다이글라임 대신 트리글라임를 유기용매로 사용한 상기 비교예 4의 경우에는, 휴지시간이 20분으로서 잉크젯 공정 성능은 우수하였으나, 경화감도가 좋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는, 특정 비점 및 점도 조건을 만족하는(특히, 비점이 220 ℃ 이상인) 부틸 다이글라임과 같은 유기용매가 사용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일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잉크 조성물의 잉크젯 공정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잉크젯 프린팅시킨 모습으로서, 실시예 3의 프린팅 사진을 보면, 초기 jetting과 20분이 경과한 후의 jetting 간에 차이가 없어, 실시예 3의 경우 잉크젯 공정성이 우수하지만, 비교예 2의 프린팅 사진을 보면, 초기 jetting 상태는 좋지만 10분이 경과한 후에는 노즐의 건조로 jetting 된 drop이 상당수 빠지면서 잉크젯 공정성이 미흡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하부 부착력 평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잉크 조성물에 포함된 부착력 증진제의 함량에 따라 cross cut 정도가 달라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부착력 증진제로 2 중량%의 KBM-403을 사용한 상기 실시예 3의 경우, cross cut test를 실시 측정한 결과 5B 수준으로서 우수한 반면, 1 중량%의 KBM-403을 사용한 상기 비교예 6의 경우, cross cut test를 실시 측정한 결과 0B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도 3에 도시된 부착력 증진제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와 비슷하게 부착력이 좋지 않았다. 한편, 부착력 증진제로 5 중량%의 KBM-403을 사용한 상기 비교예 7의 경우, KBM-403을 2 중량%로 사용한 상기 실시예 3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 부착력 증진제가 약 2 % 이상 사용되면 기재와의 부착력이 보다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리워크(Rework) 성능 평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잉크 조성물에 포함된 부착력 증진제의 함량에 따른 리워크(Rework) 성능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부착력 증진제로 2 중량%의 KBM-403을 사용한 상기 실시예 3의 경우, 왕복 이송 10회만에 베젤이 지워진 반면, 5 중량%의 KBM-403을 사용한 상기 비교예 7의 경우, 왕복 50회 이송하여도 베젤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부착력 평가와 리워크 성능 평가를 종합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 부착력 증진제를 포함시킬 경우에는, 부착력 증진제가 최소한 2 중량% 이상 5 중량% 미만의 함량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25)

  1. 락탐블랙 안료; 분산제; 에폭시 화합물; 비닐에테르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비점이 200 ℃ 이상이고, 25 ℃에서 점도가 1 내지 5 cP인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부틸 다이글라임(Butyl diglyme),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에틸렌글리콜 디부티레이트(ethylene glycol dibutyrate), 디에틸 숙신산(Diethyl succinate) 및 에틸 카프레이트(Ethyl capr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조성물은 850 내지 940 nm의 파장에서 투과율이 80 % 이상인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탐블랙 안료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인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인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인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에테르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인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세탄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25 내지 50 중량%인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인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인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아크릴 계열,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이의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다가알콜, 에스테르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코올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설폰산 에스테르, 설폰산염,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카르복실산염, 알킬아미드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알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에폭시화 지방족 고리기를 1 또는 2개 포함하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인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리모넨디옥사이드,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비닐시클로헥센옥사이드, 비스(2,3-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알코올,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테르, 3,4-에폭시시클로헥센카르본산 에틸렌글리콜디에스테르 및 (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에테르 화합물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디비닐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비닐에테르 및 히드록시부틸 비닐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세탄 화합물은 3-에틸-3-히드록시메틸 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3-에틸-3-(페녹시메틸)옥세탄, 디[(3-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3-에틸-3-(2-에틸헥실옥시메틸)옥세탄, 3-에틸-3-시클로헥실옥시메틸 옥세탄 및 페놀노볼락 옥세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요오드늄 염 및 설포늄 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조성물은 전체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의 부착력 증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력 증진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 2-(3,4 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및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콕시 실란 화합물 및 포스페이트계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조성물은, 경화 도즈량이 100 내지 3,000 mJ/cm2이고, 250 내지 410 nm 파장 범위의 방사선을 흡수하여 경화되는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조성물은 점도가 25 ℃에서 1 내지 30 cP이고, 기재와의 부착력이 cross cut test 4B 이상인 것인,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22. a) 기판에 제1항의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잉크젯 프린팅하여, 베젤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베젤 패턴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된 베젤 패턴의 두께는 1 내지 3 ㎛인 것인,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24. 제1항의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베젤 패턴.
  25. 제24항의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KR1020170102288A 2016-10-10 2017-08-11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KR102142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131404A TWI644998B (zh) 2016-10-10 2017-09-13 用於噴墨的紅外線穿透性墨汁組成物、使用彼製備表框圖案的方法、使用相同方法的表框圖案及包含該表框圖案的顯示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523 2016-10-10
KR20160130523 2016-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556A true KR20180039556A (ko) 2018-04-18
KR102142179B1 KR102142179B1 (ko) 2020-08-06

Family

ID=6190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288A KR102142179B1 (ko) 2016-10-10 2017-08-11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60891B2 (ko)
JP (1) JP6787549B2 (ko)
KR (1) KR102142179B1 (ko)
CN (1) CN109415582B (ko)
TW (1) TWI644998B (ko)
WO (1) WO201807065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95A1 (ko) * 2017-08-18 2019-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WO2020036420A1 (ko) * 2018-08-17 2020-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인쇄 가능한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패턴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판
KR20200020289A (ko)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인쇄 가능한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패턴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US10934443B2 (en) 2017-08-18 2021-03-02 Lg Chem, Ltd. Infrared transmitting ink composition for ink jet, method for forming bezel pattern by using same, bezel pattern formed thereby, and display substrat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518B1 (ko) * 2017-12-27 2021-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베젤패턴 형성용 광중합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패턴의 형성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베젤패턴
CN113631392B (zh) * 2019-03-29 2023-02-14 富士胶片株式会社 喷墨油墨、红外线吸收图像形成方法及图像形成方法
DE102019123000A1 (de) * 2019-08-27 2021-03-04 Ferro Gmbh Drucksubstanz zur Beschichtung von Glasoberfläch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6254A (ja) * 2008-09-30 2010-05-13 Brother Ind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及び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を使用し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KR20130016460A (ko) 2010-10-01 2013-02-15 바스프 에스이 접착제 조성물,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라이머, 잉크젯 잉크, 접착 방법 및 적층체
JP2013147568A (ja) * 2012-01-19 2013-08-01 Toyota Central R&D Labs Inc Uvカチオン硬化型塗料組成物、それを用いた硬化塗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37123A (ko) * 2014-09-26 2016-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판의 베젤 패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베젤 패턴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2680B2 (ja) * 2001-06-15 2008-12-24 日油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インク組成物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製造方法
JP4334272B2 (ja) * 2003-05-14 2009-09-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表示パネル
JP5068502B2 (ja) 2006-09-28 2012-11-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印刷物、平版印刷版の製造方法及び平版印刷版
GB0622284D0 (en) * 2006-11-09 2006-12-20 Xennia Technology Ltd Inkjet printing
JP5171131B2 (ja) * 2007-06-29 2013-03-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並びに機能膜の形成方法
JP5064277B2 (ja) * 2008-03-25 2012-10-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00163811A1 (en) * 2008-12-31 2010-07-01 Cheil Industries Inc. Organic Layer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Organic Layer Fabricated Using Same
KR101165681B1 (ko) * 2010-04-08 2012-07-16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저유전성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JP6019597B2 (ja) 2011-03-08 2016-11-02 住友化学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
JP6038430B2 (ja) 2011-03-09 2016-12-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セット及び画像形成方法
JP5419934B2 (ja) * 2011-07-12 2014-0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WO2013065638A1 (ja) 2011-10-31 2013-05-1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2価-3価金属系有機無機層状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787550B1 (en) 2011-11-30 2020-12-23 Showa Denko Materials Co., Ltd. Organic electronic material, ink composition, and organic electronic element
JP5695622B2 (ja) 2012-09-24 2015-04-08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黒色硬化性樹脂組成物
JP6170673B2 (ja) * 2012-12-27 2017-07-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組成物、赤外線透過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赤外線センサー
KR102066283B1 (ko) 2013-03-07 2020-01-14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US9637663B2 (en) * 2013-06-28 2017-05-02 Iconex Llc Plasticized UV/EB cured coatings
JP6292846B2 (ja) * 2013-11-29 2018-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音響波診断装置に用いられるファントム
KR101474803B1 (ko) 2014-03-27 2014-12-19 제일모직주식회사 블랙 컬럼 스페이서 제조방법, 블랙 컬럼 스페이서 및 컬러 필터
KR102074712B1 (ko) 2014-04-16 2020-03-1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감광성 수지 조성물, 도전성 패턴의 제조 방법, 기판, 소자 및 터치패널
KR20150143071A (ko) 2014-06-13 2015-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US10032818B2 (en) * 2014-08-20 2018-07-24 Toray Industries, Inc. Photosensitive coloring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state imaging element using same, and solid-state imaging element
US10723900B2 (en) 2014-10-21 2020-07-28 Lg Chem, Ltd. UV curable ink for inkjet, method for manufacturing a bezel using the same, a bezel pattern using the same method and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bezel pattern
JP2016109763A (ja) * 2014-12-03 2016-06-20 東レ株式会社 感光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固体撮像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13338B1 (ko) 2014-12-11 2017-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베젤용 감광성 유색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JP7160532B2 (ja) * 2015-03-20 2022-10-25 ブルー キューブ アイピー エルエルシー 硬化性組成物
JP2018087956A (ja) * 2016-04-26 2018-06-07 Jsr株式会社 着色硬化膜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の画素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6886782B2 (ja) * 2016-06-30 2021-06-16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有機el素子における発光層の区画用のバンク、有機el素子用の基板、有機el素子、硬化膜の製造方法、バンクの製造方法、及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JP6629976B2 (ja) * 2016-08-18 2020-01-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組成物、硬化膜、赤外線透過フィルタ、固体撮像素子および赤外線センサ
WO2018051940A1 (ja) * 2016-09-16 2018-03-22 株式会社Adeka 硬化性組成物及び硬化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6254A (ja) * 2008-09-30 2010-05-13 Brother Ind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及び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を使用し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KR20130016460A (ko) 2010-10-01 2013-02-15 바스프 에스이 접착제 조성물,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라이머, 잉크젯 잉크, 접착 방법 및 적층체
JP2013147568A (ja) * 2012-01-19 2013-08-01 Toyota Central R&D Labs Inc Uvカチオン硬化型塗料組成物、それを用いた硬化塗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37123A (ko) * 2014-09-26 2016-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판의 베젤 패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베젤 패턴
KR20160037121A (ko) * 2014-09-26 2016-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판의 베젤 패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베젤 패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95A1 (ko) * 2017-08-18 2019-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US10934443B2 (en) 2017-08-18 2021-03-02 Lg Chem, Ltd. Infrared transmitting ink composition for ink jet, method for forming bezel pattern by using same, bezel pattern formed thereby, and display substrate comprising same
WO2020036420A1 (ko) * 2018-08-17 2020-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인쇄 가능한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패턴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판
KR20200020289A (ko)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인쇄 가능한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패턴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KR20200020288A (ko)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인쇄 가능한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패턴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판
CN111212880A (zh) * 2018-08-17 2020-05-29 株式会社Lg化学 可膜印刷的可紫外线固化的油墨组合物、边框图案的制造方法、边框图案和可折叠显示基板
US11332631B2 (en) 2018-08-17 2022-05-17 Lg Chem, Ltd. Film-printable ultraviolet-ray-curable ink composition, bezel patter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bezel pattern manufactured according to same, and display substrate including same
CN111212880B (zh) * 2018-08-17 2022-06-17 株式会社Lg化学 可膜印刷的可紫外线固化的油墨组合物、边框图案的制造方法、边框图案和可折叠显示基板
US11485866B2 (en) 2018-08-17 2022-11-01 Lg Chem, Ltd. Film-printable UV-curable ink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bezel pattern using same, bezel pattern produced by same, and foldable display substrat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179B1 (ko) 2020-08-06
JP2019524904A (ja) 2019-09-05
US20190264051A1 (en) 2019-08-29
WO2018070654A1 (ko) 2018-04-19
TWI644998B (zh) 2018-12-21
TW201823384A (zh) 2018-07-01
JP6787549B2 (ja) 2020-11-18
CN109415582B (zh) 2021-09-24
US11760891B2 (en) 2023-09-19
CN109415582A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01825B (zh) 可紫外光固化的油墨组合物、使用其制造显示基板的边框图案的方法以及制造的边框图案
KR102142179B1 (ko)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TWI798478B (zh) 可膜印刷的紫外光可固化墨水組成物、使用彼製備邊框圖案之方法、由此製造之邊框圖案以及包含彼之顯示基板
KR101835299B1 (ko)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판의 베젤 패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베젤 패턴
KR102248518B1 (ko) 베젤패턴 형성용 광중합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패턴의 형성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베젤패턴
US11485866B2 (en) Film-printable UV-curable ink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bezel pattern using same, bezel pattern produced by same, and foldable display substrate comprising same
KR20190071597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자외선 경화형 블랙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베젤패턴의 형성방법
US10934443B2 (en) Infrared transmitting ink composition for ink jet, method for forming bezel pattern by using same, bezel pattern formed thereby, and display substrate comprising same
WO2019035595A1 (ko) 잉크젯용 적외선 투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KR20210023503A (ko) 베젤패턴 형성용 광중합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패턴의 형성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베젤패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