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026A - 통신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통신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026A
KR20180039026A KR1020180009358A KR20180009358A KR20180039026A KR 20180039026 A KR20180039026 A KR 20180039026A KR 1020180009358 A KR1020180009358 A KR 1020180009358A KR 20180009358 A KR20180009358 A KR 20180009358A KR 20180039026 A KR20180039026 A KR 20180039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arget
target device
pri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048B1 (ko
Inventor
타케시 마츠시타
미츠루 콘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9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근거리 무선통신을 실행가능한 통신장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대상장치의 통신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통신장치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상기 대상장치도 접속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상기 통신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하고, 상기 통신장치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상기 대상장치가 접속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대상장치를, 상기 통신장치가 피어 투 피어 통신방식을 사용하여서 접속되는 대상으로서, 접수한다.

Description

통신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전화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NFC)을 비롯한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에 의해 통신할 통신 상대를 특정한다. 근거리 무선통신이외의 무선통신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전화에 보유된 화상 파일을 화상출력장치에서 출력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또한, 네트워크 기능의 일부로서,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인터넷에 접속함에 의해, 인터넷을 거쳐 리모트 인쇄 기능이나 펌웨어의 업데이트 기능을 가지는 시스템이 일부가 있다. 액세스 포인트가 없는 상태에서도, 호스트 단말은, 화상출력장치가 구비하는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사용하여, 호스트 단말과 화상출력장치간에 피어 투 피어(P2P)접속을 행해서, 인쇄 및 스캔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호스트 단말이, 화상출력장치가 구비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해서 P2P방식으로 무선통신을 행하는 모드를 액세스 포인트(AP)모드라고 부른다.
그러나, 화상출력장치가 AP모드가 되어버리면, 화상출력장치는 호스트 단말과 P2P접속이 되고, 액세스 포인트에의 접속이 중단되어서, 인터넷 접속이 끊긴다. 그 결과, 화상출력장치는, 전술한 인터넷 접속을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한층 더, AP모드로 동작중인 호스트 단말도, P2P접속의 접속 대상이 인터넷 접속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인터넷 접속을 하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호스트 단말내의 어플리케이션도 인터넷에 액세스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브라우저에서는 인터넷상의 사이트를 열람하지 못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1-182449호에 있어서는, 제1무선통신장치에 제2무선통신장치를 가깝게 이동시킬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제1무선통신장치가 데이터 통신중이면, 제1무선통신장치는 제2무선통신장치와의 P2P접속으로 전환을 행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1-182449호의 기술에서는, 제1무선통신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인터넷과 데이터 통신을 행하지 않고 있는 경우, 제1무선통신장치의 통신 설정이 P2P접속으로 변경된다. 예를 들면, 제1무선통신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인터넷과 데이터 통신을 행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제2무선통신장치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았을 경우, 제1무선통신장치는, P2P접속으로 전환한다. 그 후에, 유저가 제1 및 제2무선통신장치간 P2P접속중에 제1무선통신장치를 사용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고 싶은 경우에도, 유저가 의도한 조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유저는 P2P접속이 종료할 때까지 대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고객의 편리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대상장치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대상장치의 외부 및 통신장치의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 가능하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실행 가능한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이 통신장치는, 접수부, 취득부, 판정부 및 송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취득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통신에 의해 대상장치의 통신 정보를 취득한다. 상기 판정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과 다른 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통신장치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상기 대상장치가 접속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상기 통신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한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통신에 의해 상기 통신 정보가 취득되는 것으로부터 상기 대상장치가 상기 통신장치가 접속하고 있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과 다른 상기 통신방식에 의해 접속하고 있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없이 상기 대상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인쇄 잡을 상기 대상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통신에 의해 상기 통신 정보가 취득되는 것으로부터 상기 대상장치가 상기 통신장치가 접속하고 있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과 다른 상기 통신방식에 의해 접속하고 있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대상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인쇄 잡을 상기 대상장치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단말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인쇄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5는 상기 인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6은 NFC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서 행해진 처리의 흐름도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서 행해진 처리의 흐름도다.
도 9a 내지 9e는 상기 단말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UI)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서 행해진 처리의 흐름도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히 특정되지 않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는, 본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요소의 상대 구성, 표시 화면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이하에 설명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하나의 실시예만을 구현할 수 있거나, 필요한 경우, 또는 단일의 실시예에서 개개의 실시예로부터의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조합이 이로운 경우에 복수의 실시예나 특징의 조합으로서 구현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시스템은, 중심에 위치된 액세스 포 인트(100)를 구비하고, 또 그 액세스 포인트(100)에 접속 가능한 휴대형의 단말장치(200) 및 인쇄장치(300)를 구비한다. 통신장치로서도 기능하는 단말장치(200)는, 통신 속도가 다른 적어도 2종류이상의 무선통신부를 가진다. 단말장치(200)는,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의 개인정보단말,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등, 인쇄 대상이 되는 파일을 취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종류의 장치도 사용할 수 있다.
통신장치로서도 기능하는 인쇄장치(300)는, 원고대 위의 원고를 판독하는 판독기능과, 잉크젯 등의 인쇄 엔진을 사용해서 인쇄를 행하는 인쇄 기능을 갖는다. 추가로, 인쇄장치(300)는 팩시밀리(FAX)기능과 전화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인쇄장치(300)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 접속이 가능하다. 즉,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동작중인 인쇄장치(300)는,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100)를 거쳐 단말장치(2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인쇄장치(300)는, AP모드를 가지고 있다. AP모드에 있어서, 단말장치(200)와 인쇄장치(300)는 무선LAN에 의해 P2P의 통신도 가능하다. AP모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장치가 구비하는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작동시키고,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의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해서 그 인쇄장치와 피어 투 피어로 무선통신한다.
도 2는 단말장치(2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폰을 예로 하고 있다. 스마트 폰은, 휴대전화의 기능의 이외에, 카메라나, 넷 브라우저, 메일 기능 등을 탑재한 다기능형 휴대전화다. NFC유닛(201)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한다. 유저가, NFC유닛(201)을 상대편의 NFC유닛(제1 실시예에서는 인쇄장치(300)의 NFC유닛)에 소정거리(10cm정도)이내에 가까이 하는 것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2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실행가능하다.
무선LAN 유닛(202)은, 무선LAN으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유닛이며, 단말장치(200)내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203)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방식의 표시 기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다. 조작부(204)는, 터치패널 방식의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유저가 행한 가압 조작을 검지한다. 대표적인 조작에서, 표시부(203)는 버튼 아이콘이나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표시하고, 유저가 조작부(204)를 누름으로써, 버튼을 누르는 이벤트가 발행된다. 전원 키(205)는, 전원의 온 또는 오프를 할 때에 사용한다.
도 3a 및 3b는 인쇄장치(3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판독기능(스캐너)을 가지는 멀티기능 프린터(MFP)를 예로 들고 있다. 도 3a에 있어서, 원고대(301)는 투명한 유리판이며, 원고를 그 유리판에 실어서 스캐너로 주사할 때에 사용한다. 원고뚜껑(302)은, 스캐너가 판독동작을 행하는데 사용될 때에 판독 광이 외부에 방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뚜껑이다. 인쇄용지 삽입구(303)는, 여러 가지 사이즈의 용지를 세트하는 삽입구다. 인쇄용지 삽입구(303)에 세트된 용지는 한 장씩 인쇄부에 반송되어, 인쇄를 행해서 인쇄용지 배출구 (304)로부터 배출된다.
도 3b에 있어서, 원고뚜껑(302)의 상부에는 조작 표시부(305) 및 NFC유닛(306)이 배치되어 있다. NFC유닛(306)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유닛이며, 유저가 단말장치(200)를 인쇄장치(300)에 근접시키는 부분이다. NFC유닛(306)으로부터 소정거리(약 10cm)가 접촉의 유효거리다. 무선LAN 안테나(307)는, 무선LAN통신을 행하기 위해 매립되어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이란, NFC로 대표된, 통신 범위가, 비교적 작은 소정범위(예를 들면, 수 센티미터∼1미터)가 되는 무선통신을 의미한다.
도 4는 단말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단말장치(200)는,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메인 보드(210), 무선LAN 유닛(202), NFC유닛(201), 회선접속 유닛(206), 조작부(204) 및 표시부로 이루어진다. 무선LAN 유닛(202), NFC유닛(201) 및 회선접속 유닛(206)은 각각은, 단말장치(200)의 통신부로서 기능한다.
메인 보드(210)에 배치되는 마이크로세서인 중앙처리장치(CPU)(211)는, 내부 버스(212)를 통해서 CPU(211)에 접속되어 있는 판독전용 메모리(ROM)인 프로그램 메모리(213)에 격납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과,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인 데이터 메모리(214)의 정보에 따라 동작한다.
CPU(211)는, 무선LAN 제어회로(215)를 거쳐 무선LAN 유닛(202)을 제어함으로써, 다른 통신 단말장치와 무선LAN(102)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CPU(211)는, NFC제어회로(216)를 거쳐 NFC유닛(201)을 제어함으로써, 다른 NFC단말로부터/단말에 NFC(101)에 의한 접속을 검지하거나, 다른 NFC단말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CPU(211)는, 회선제어회로(217)를 통해 회선접속 유닛(206)을 제어함으로써, 휴대전화망(105)에 접속하고, 통화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CPU(211)는, 조작부 제어회로(218)를 제어함으로써, 조작부(204)에 표시를 행하거나,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CPU(211)는, 카메라부(219)를 제어해서 화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화상을 데이터 메모리(214)내의 화상 메모리(220)에 격납한다. 촬영한 화상이외에도, CPU(211)는, 휴대전화망(105), 무선LAN(102)을 통해서 외부에서 취득한 화상을 화상 메모리(220)에 격납하거나, 반대로 외부에 화상을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불휘발성 메모리(221)는, 플래쉬 메모리 등의 메모리로 구성되어, 전원이 오프된 후에도 보존해두고 싶은 데이터를 격납한다. 예를 들면, 전화번호부 데이터나, 각종 통신 접속 정보나 단말장치(200)에 접속했던 디바이스 정보등의 기타, 그 메모리에 보존해두고 싶은 화상 데이터, 혹은 단말장치(200)에 각종 기능을 실현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등의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도 5는 인쇄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인쇄장치(300)는, 장치전체를 제어하는 메인 보드(310), 회선접속 유닛(322), 무선LAN 유닛(308), NFC유닛(306), 및 조작 표시부(305)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회선접속 유닛(322), 무선LAN 유닛(308) 및 NFC유닛(306)은, 인쇄장치(300)의 통신부로서 기능한다.
메인 보드(310)에 배치되는 마이크로세서인 CPU(311)는, 내부 버스(312)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ROM인 프로그램 메모리(313)에 격납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과, RAM인 데이터 메모리(314)내의 정보에 따라서 동작한다.
CPU(311)는, 스캐너부(315)를 제어해서 원고를 판독하여, 그 판독된 원고를 데이터 메모리(314)내의 화상 메모리(316)에 격납한다. CPU(311)는, 인쇄부(317)를 제어해서 데이터 메모리(314)내의 화상 메모리(316)의 화상을 기록 매체에 인쇄할 수 있다.
CPU(311)는, 무선LAN 제어회로(318)를 통해서 무선LAN 유닛(308)을 제어함으로써, 다른 통신 단말장치와 무선LAN(102)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한다. CPU(311)는, NFC제어회로(319)을 통해 NFC유닛(306)을 제어함으로써, 다른 NFC단말과의 NFC(101)에 의한 접속을 검지하고, 다른 NFC단말로부터/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CPU(311)는, 회선제어회로(321)를 통해 회선접속 유닛(322)을 제어함으로써, 전화망(323)에 접속하고, FAX송/수신과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CPU(311)는, 조작 표시부 제어회로(320)를 제어함으로써, 조작 표시부(305)에 인쇄장치(300)의 상태의 표시나 기능 선택 메뉴의 표시를 행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NFC유닛201 혹은 NFC유닛306으로서 사용된 NFC유닛600의 상세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NFC통신에서는, NFC유닛600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할 경우, 처음에, 무선 주파수(RF) 필드를 출력해서 통신을 시작하는 장치를 이니시에이터(initiator)라고 부른다. 이니시에이터로부터 내려진 명령에 응답하고, 이니시에이터와의 통신을 행하는 장치를 타겟이라고 부른다.
NFC유닛(600)은, NFC콘트롤러부(601), 안테나부(602), RF부(603), 송수신 제어부(604), NFC메모리(605), 전원(606) 및 디바이스 접속부(607)를 구비한다. 안테나부(602)는, 다른 NFC디바이스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다른 NFC디바이스에 전파를 송신한다. RF부(603)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복조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RF부(603)는, 신디사이저(synthesizer)를 구비하고, 밴드, 채널의 주파수를 식별하고, 주파수 할당 데이터를 사용하여서 상기 밴드와 상기 채널을 제어한다.
NFC메모리(605)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도, 그 NFC메모리(605)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 및 기록할 수도 있다. 이 NFC메모리(605)로부터/에의 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기억제어는, NFC콘트롤러부(601)에 의해 실현된다.
송수신 제어부(604)는, 송/수신 프레임의 조립 및 분해, 프리앰블 부가 및 검출, 프레임 식별 등의, 송/수신 동작을 제어한다. 송수신 제어부(604)는, NFC메모리(605)의 제어도 행하고,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판독/기록한다. 디바이스와 쌍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액티브 모드에서 동작할 경우, 전원(606)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추가로, 디바이스 접속부(607)를 통해서 다른 NFC디바이스와 통신을 행하고, 안테나부(602)를 통해 송/수신된 전파에 의해, 통신 가능한 범위에 있는 다른 NFC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200)와 인쇄장치가 NFC를 거쳐서 쌍방향 통신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NFC는 항상 액티브 모드로 동작한다.
이하에서는, 단말장치(200)의 NFC유닛(201)과 인쇄장치(300)의 NFC유닛(306)을 가까이 하는 조작은, "NFC터치 조작"으로서 나타낸다.
제1 실시예에서는 다음의 유스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유저가 단말장치(200)를 조작해서 인쇄 대상의 화상을 선택한다. 그 후, 유저는, 인쇄를 행하는 인쇄장치(300)에 대하여 NFC터치 조작을 행함으로써, 그 선택한 화상을 인쇄장치(300)를 사용하여서 인쇄한다.
인쇄장치(300)가 단말장치(200)와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접속 상태를 유지해서 인쇄를 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인쇄장치(300)와 P2P접속을 행해서, 인쇄를 행한다.
도 7의 흐름도를 사용하여서,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단말장치(200)로 지정한 화상을 인쇄장치(300)로 인쇄를 행할 때 행해진 처리를 나타낸다. 본원에 있어서의 단말장치(200)에 관계되는 흐름도의 각 단계는, CPU(211)가 상기 흐름도에 관련되는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유저는, 단말장치(200)를 조작하고,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인쇄장치(300)에 대하여 NFC터치 조작을 행한다. 도 9a 내지 9e는, 단말장치(200)의 UI예다. 예를 들면, 유저는, 단말장치(200)에 인스톨되어 있는 인쇄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함으로써, 도 9b의 선택 화면(선택 UI)이 표시된다. 도 9b의 UI에는, 단말장치(200)내의 화상 데이터의 섬네일 화상이 표시된다. 유저가 터치 조작에 의해, 인쇄하고 싶은 화상의 섬네일을 탭하면, 선택을 나타내는 체크표시가 섬네일 위에 표시된다. 화상을 선택한 상태에서, 인쇄장치(300)에 대하여 NFC터치 조작을 행하면, 인쇄동작이 시작된다.
단계S1101에서,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300)의 NFC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취득한다. 그 태그 정보에는, 인쇄장치(300)의 네트워크 설정에 관한 적어도 3종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3종류의 정보는, (1)인쇄장치(300)의 MAC어드레스, (2)인쇄장치(300)의 AP모드시의 SSID와 패스워드, 및 (3)인쇄장치(300)의 현재의 무선 모드다. 상기 정보 (3)의 현재의 무선 모드는, AP모드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어느 한쪽의 모드다. 본원에 있어서의 태그 정보는, 통신에 관한 정보이기 때문에 간단히 통신 정보라고 불릴 수도 있다.
단계S1102에서, 단말장치(200)는, 무선 충실도(WiFi)설정이 유효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WiFi설정이 유효인 것은, 단말장치(200)에 있어서 WiFi통신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WiFi설정이 유효인 경우에는, 단계S11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무효인 경우에는, 단계S1110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103에서, 단말장치(200)는, 단계S1101에서 취득한 정보(3)에 포함된 인쇄장치(300)의 현재의 무선 모드를 확인한다. 현재의 무선 모드가 AP모드이면, 단계S1112의 처리로 진행된다. 현재의 무선 모드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이면, 단계S1104의 처리로 진행된다. 즉,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300)가 피어 투 피어 통신방식으로 동작중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단계S11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104에서, 단말장치(200)는, MAC어드레스가, 단계S1101에서 취득한 정보(1)에 포함된 인쇄장치(300)의 MAC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인쇄장치(300)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장치(200)가, 자신이 참가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로 디바이스 탐색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참가하고 있는 각 장치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다. 단말장치(200)는, 단계S1101에서 취득한 MAC어드레스와 일치하는 MAC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응답을 검출하여서, 단계S1104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1104에서 인쇄장치(300)를 검출하는 경우, 단말장치(200)는, 단계S1106에 있어서 단계S1104로 검출한 인쇄장치(300)와 무선LAN 유닛(202)을 사용해서 무선LAN으로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장치(200)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00)를 접속대상으로서 결정한다(유지한다). 단말장치(200)는, 단계S1109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 무선LAN으로 인쇄 잡을 인쇄장치(300)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300)에 대하여 특정한 코맨드를 발행함으로써, 인쇄장치(300)와 세션을 확립한다. 단말장치(200)는, 도 9b의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 잡을 생성하고, 그 인쇄 잡을 단계S1109에서 송신한다. 인쇄 잡을 생성하는 타이밍은, 도 7의 흐름도가 실행되기 전에 설정되어도 좋거나, 단계S1106에서 접속이 확립하고 나서 설정되어도 좋다.
인쇄 잡을 수신한 인쇄장치(300)는, 인쇄 잡에 의거하여 화상을 종이에 인쇄하고, 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1104에서 인쇄장치(300)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단말장치(200)의 처리는, 단계S1105 내지 단계S1107으로 진행된다.
단계S1107에서,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300)의 NFC태그에 AP모드에의 이행 지시를 기록한다. 이행 지시로서 기록된 정보는, AP모드에의 이행 명령이어도 좋거나, MAC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인쇄장치가 발견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좋다. 인쇄장치(300)는, NFC 태그에 AP모드에의 이행 지시가 기록된 것을 검지하면, 인쇄장치(300)는 AP모드에 이행을 실시한다.
단계S1108에서, 단말장치(200)는, 단계S1101에서 취득한 정보(2)에 포함된 인쇄장치(300)의 액세스 포인트의 SSID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단계S1107에 있어서 AP모드에 이행된 인쇄장치(300)와의 무선LAN 접속을 확립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장치(200)는,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대상을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인쇄장치(300)의 액세스 포인트로 변경한다. 즉, 단계S1108에서, 인쇄장치(300)의 액세스 포인트가 액세스 포인트 접속대상이라고 결정된다. 이 처리에 의해 단말장치(200)와 인쇄장치(300)의 사이에서 P2P접속이 확립되어, 단말장치(200)는, 단계S1109에서 인쇄 잡을 인쇄장치(300)에 송신한다. 인쇄 잡을 수신한 인쇄장치(300)가 행한 처리는, 상기 처리와 같다. NFC터치 조작시에, 이미 인쇄장치(300)가 AP모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S1112를 경유하여, 단계S1109의 처리로 진행된다. 인쇄장치(300)의 무선 모드는, 단계S1101의 처리에서 취득된다.
단계S1102에서 단계S1110의 처리로 진행되었을 경우, 단말장치(200)는, 단계S1110에서 단말장치(200)의 WiFi설정을 유효하게 변경한다. 단계S1111에서,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300)의 NFC태그에서 AP모드에의 이행 지시를 기록한다. 인쇄장치(300)는, NFC의 태그에 AP모드에의 이행 지시가 기록된 것을 검지하면, AP모드에의 이행 처리를 실시한다.
단계S1106과 같은 처리인 단계S1112의 처리는 생략한다.
단계S1103에서 단계S1112의 처리로 진행된 경우에는, 이미, 인쇄장치(300)가, AP모드의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단말장치(200)는, 단계S1101에서 취득한 정보(2)에 포함된 인쇄장치(300)의 AP모드시의 SSID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쇄장치(300)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단계S1109에서 인쇄 잡을 인쇄장치(300)에 송신한다. 인쇄 잡을 수신한 인쇄장치(300)는, 인쇄 처리를 실행하고, 종료한다.
도 7의 흐름도의 각 단계는, 도 9a 내지 9e의 화면을 제공하고 있는 인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다.
이상의 흐름도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에 의해, 인쇄장치(300)와 단말장치(200)와의 접속이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접속 상태를 유지해서 인쇄를 행한다. 이와 반대로, 인쇄장치(300)와 단말장치와의 접속이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300)에 대하여 AP모드에의 이행을 지시하고, 인쇄를 행한다.
그 결과,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의 접속을 최대한 유지한다. 이에 따라, 인쇄장치(300) 및 단말장치(200)로부터의 인터넷에의 접속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유저는, 단말장치(200)의 WiFi설정을, 단말장치(200)내의 시스템 설정 메뉴내의 WiFi설정의 항목으로, 쉽게 임의의 타이밍에 유효 또는 무효로 설정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를 소유하고 있지 않는 유저는, 액세스 포인트(100)와 단말장치(200)간의 WiFi접속을 확립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불필요한 기능에 의한 단말장치(200)의 배터리의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단말장치(200)의 WiFi설정을 무효로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경우에도, 단계S1102에 있어서, 단말장치(200)는, WiFi설정을 확인한다. WiFi설정이 무효인 경우에는, 단말장치(200)는, WiFi설정을 유효화함과 아울러, 인쇄장치(300)와 AP모드에 의한 무선접속을 확립함으로써, AP모드에서의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단계S1103에서, 단말장치(200)가 인쇄장치(300)의 무선 모드를 확인한다. 이미 인쇄장치(300)가 AP모드로 동작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300)가 발견될 가능성이 없는 검출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효율적으로 인쇄장치(300)와 단말장치(200)가 접속이 확립되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S1102에서의 단말장치(200)의 WiFi설정의 유효확인 처리 및, 단계S1103의 인쇄장치(300)의 무선 모드의 확인 처리는, 본 발명에서 필수적인 처리가 아니고, 처리의 고속화등, 고객의 편리성을 높이도록 행해진다. 따라서, 단계S1102, 단계S1103의 양쪽 또는 한쪽의 단계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도, 본 발명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의 접속을 최대한 유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휴대 단말장치(200)에 표시된 화면을 사용해서 제1 실시예의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단말장치(200)에 있어서, 인쇄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됨으로써, 도 9a의 화면이 표시된다. 유저가 사진인쇄를 선택했을 경우, 인쇄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장치(200)에 유지된 화상의 일람을 도 9b와 같이 표시한다. 문서인쇄를 선택했을 경우, 단말장치(200)에 유지된 문서의 일람이 표시된다.
도 9b에 있어서, 유저가 인쇄 대상의 화상을 선택한 상태에서, 단말장치(200)를 사용하여 인쇄장치(300)에 대하여 NFC터치 조작을 행하면, 인쇄 어플리케이션은 도 9c의 화면을 표시한다. NFC터치 조작을 행함으로써 전술한 본원의 도 7의 처리가 실행된다.
도 9b에 있어서, 유저가 인쇄 대상의 화상을 선택한 상태에서 프린트 버튼을 눌렀을 경우, 도 9d가 표시된다. 도 9d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유저가 단말장치(200)를 사용하여서 인쇄장치(300)에 대하여 NFC터치 조작을 행하면, 도 9d에 표시된 인쇄 설정 정보로 인쇄가 실행된다.
유저는, 인쇄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인쇄장치를 등록하여도 된다. 유저가, 도 9d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그 등록된 인쇄장치와 다른 인쇄장치(300)에 대하여 NFC터치 조작을 행했을 경우, 도 9e의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도 7의 처리에 의해 단말장치(200)와 인쇄장치(300)가 무선접속으로 확립된다. 단말장치(200)는, 무선접속을 거쳐서 인쇄장치(300)의 기능 정보(예를 들면, 인쇄장치(300)가 취급할 수도 있는 용지의 사이즈와 용지 종류등)를 취득하고, 취득 결과를 도 9e의 화면에 반영한다. 즉, 유저가 용지 사이즈 필드나 용지의 종류 필드를 누를 때 표시된 선택사항은, 무선접속을 거쳐서 취득된 인쇄장치(300)의 기능 정보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도 9e의 화면에 있어서, 유저가 인쇄 설정 정보를 설정한 후, 프린트 버튼을 누를 때, 유저가 NFC터치 조작을 행한 인쇄장치(300)에 대하여 무선접속을 거쳐서 인쇄 잡이 송신된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동일 네트워크에 단말장치(200)와 인쇄장치(30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300)에 대하여 AP모드에의 이행을 지시한다. 그렇지만, 인쇄장치(300)가, 단말장치(200)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에 다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그 액세스 포인트에 다시 접속되어도 좋다.
제2 실시예에서의 각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제1 실시예와 동등한 것으로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단계S1201에서,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300)의 NFC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취득한다. 태그 정보에는, 인쇄장치(300)의 네트워크 설정에 관한 4종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보(1) 내지 (3)과 아울러, 인쇄장치(300)가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한 SSID의 접속 이력을 설명하는 정보(4)가 포함된다. 접속 이력에 대한 정보(4)의 경우, 그 SSID에 대응한 패스워드, 별도로 태그내가 아니고, 인쇄장치(300)내에 유지되어 있다.
단계S1202는 단계S1104와 같고, 단계S1203은 단계S1105와 같다. 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S1203에서 인쇄장치(300)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203로부터 단계S1206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206에서, 단말장치(200)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와 단계S1201에서 취득한 정보(4)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의 접속 이력을 비교하고, 그 접속 이력에서의 SSID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SSID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단계S1207의 처리로 진행된다. SSID가 일치하는 경우, 단계S1209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207, 단계S1208 및 단계S1205의 처리는, 단계S1107, 단계S1108 및 단계S1109의 처리와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1206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1209에 있어서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300)의 NFC태그에, 단계S1206에서 일치한 SSID와 액세스 포인트에의 접속 지시를 기록한다. 인쇄장치(300)는, NFC태그에 액세스 포인트에의 접속 지시가 기록된 것을 검지하면, 단말장치(200)로부터 지정된 SSID와, 액세스 포인트 이력과 함께 보존되어 있는 해당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200)와 인쇄장치(300)가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어서, 동일 네트워크에서 접속된다.
단계S1210에서, 단말장치(200)는,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고, 단계S1201에서 취득한 장보(1)에 포함된 인쇄장치(300)의 MAC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인쇄장치(300)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인쇄장치(300)와 무선접속을 확립한다. 또한, 단계S1210의 구체적인 처리는, 단계S1106과 같다. 단말장치(200)는, 단계S1205에서, 인쇄 잡을 상기 확립된 무선접속을 거쳐서 인쇄장치(300)에 송신한다. 인쇄 잡을 수신한 인쇄장치(300)는, 인쇄를 실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300)가 유지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이력을 이용하고, 그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인쇄장치(300)와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단말장치(200)와 인쇄장치(300) 모두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상태를, 보다 높은 확률로 유지하여도 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인쇄장치(300)의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이력을 유지한 예를 설명하였다. 반대로, 단말장치(200)가, 자신의 액세스 포인트에의 접속 이력(SSID)을 유지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단계S1201에 있어서 단말장치(200)는, 상기 정보(4)에 포함된 인쇄장치(300)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한 SSID의 접속 이력 대신에, 인쇄장치(300)가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를 취득한다. 단계S1206에 있어서, 단말장치(200)는, 단말장치(200)의 접속 이력의 SSID와 단계S1201에서 취득한 인쇄장치(300)가 접속중의 액세스 포인트의 SSID를 비교한다. 그 접속 이력의 SSID가 그 SSID와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200)는, 그 일치한 SSID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대상을 다시 설정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을 인쇄장치(300)에 적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쇄장치와 마찬가지로, WiFi접속 기능 및 P2P접속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장치를, 디지털 카메라의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기능시키고 싶을 경우에, 단말장치 및 디지털 카메라의 인터넷 접속을 최대한 유지한 채,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를 클릭하는 조작도 행해질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오디오 플레이어나 비디오 레코더등의 기기에 대하여 단말장치를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기능시킬 경우도, 각각의 기기 인터넷 접속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실현하여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인쇄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단말장치와 장치간의 P2P접속의 예로서 AP모드를 사용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블루투스(등록상표)접속이나 Wi-FiDirect접속등, 다른 P2P접속 방법이 단말 또는 장치의 양쪽 혹은 한쪽의 인터넷에의 접속을 저해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그 결과, 각 장치의 인터넷 접속을 최대한 유지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말장치와 장치간의 P2P접속의 예로서, AP모드를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P2P접속확립시에, 인쇄장치(300)가 AP로서 기능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 Wi-Fi Direct P2P접속에서는, 한쪽의 장치가 호스트로서 동작하고, 다른쪽의 장치가 AP로서 동작한다. 그렇지만, 규격상, 어느쪽이 AP이 될지는 상황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에서는, P2P접속이 가능하면, 본 발명은, 단말장치와 인쇄장치의 어느 한쪽이 AP가 되는 경우도 그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인쇄장치를 AP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원의 처리에서 Wi-Fi Direct P2P접속을 확립할 경우에는, 단말장치와 인쇄장치와의 사이에서 니고시에이션이 실행되고, 단말장치와 인쇄장치의 어느 한쪽이 AP로서 동작한다고 결정된다.
근거리 무선통신의 일례로서 NFC를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NFC 대신에, 블루투스(등록상표)를 사용해도 된다.
본원에서는, 단말장치(200)가 인쇄장치(300)로부터 취득한 MAC어드레스를 사용해서 인쇄장치(300)를 탐색하는 처리에 대해서 기재했다. 그러나, 단말장치(200)가 NFC를 사용해서 IP 어드레스와 MAC어드레스를 취득하고 IP 어드레스를 사용해서 인쇄장치(300)를 탐색하는 별도의 방법을 이용하여도 된다. 단말장치(200)가 IP 어드레스를 사용해서 인쇄장치(300)를 탐색하지 못하는 경우에, 단말장치(200)는 MAC어드레스를 사용해서 인쇄장치(300)를 다시 탐색해도 좋다. 이 처리에 의해, 효율적으로 탐색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쇄장치(300)의 모델명이나 타입 등의 디바이스 정보가, NFC를 통해 단말장치(200)에 송신되어도 좋다. 단말장치(200)의 인쇄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여도 되는 인쇄장치의 디바이스 정보와 NFC터치 조작에 의해 취득한 디바이스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예를 들면, 모델명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인쇄 어플리케이션이 에러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인쇄를 속행 가능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그 에러 화면에 표시된다. 그 에러 화면에는, 인쇄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여도 되는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메시지, 다른 인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권유하는 메시지 등이 표시되어도 좋다.
추가로, 인쇄장치(300)의 기능 정보가 NFC를 통해 단말장치(200)에 송신되어도 좋다. 단말장치(200)의 인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도 9a의 화면에 있어서 선택된 기능이, NFC터치 조작에 의해 취득한 기능 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인쇄 어플리케이션이 에러 화면을 표시한다. 에러 화면에는, 처리를 속행 가능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표시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9a에 있어서 팩스가 선택되고, 또한, NFC터치 조작을 통해 인쇄장치(300)로부터 취득한 기능 정보에 스캔 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인쇄 어플리케이션은, FAX처리를 정지해서 에러 화면을 표시한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말장치(200)의 WiFi설정이 유효하고, 또한, 인쇄장치(300)가 WiFi접속되지 않고 있을 경우, 단계S1101 내지 단계S1105를 경유해서 단계S1107의 처리로 진행된다. 이때, 단계S1107에서, 단말장치(200)가 인쇄장치(300)의 NFC태그에 AP모드에의 이행 지시를 기록하는 것으로 인쇄장치(300)를 AP모드에 이행시킨다. 그 때문에, 단계S1101의 처리의 시작부터 단계S1107의 처리의 종료까지의 기간동안에, 유저는, 단말장치(200)를 인쇄장치(300)로부터 멀리 이동해서는 안 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장치(200)와 인쇄장치(300)의 사이의 거리가, NFC통신을 행할 수도 있는 거리이어야 한다.
단말장치(200)가 단계S1107의 처리를 완료하기 전에, 유저는, 터치하고 있는 단말장치(200)의 위치를 변경하여도 되거나, 단말장치(200)를 인쇄장치(300)로부터 떼어 놓아도 된다. 그 결과, 단계S1107에서 NFC통신이 행할 수 없고 AP모드에의 이행 지시가 실패하여, 단말장치(200)와 인쇄장치(300)간의 통신이 접속 에러가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단계S1107에서 접속 에러가 발생하면, 유저는, 다시 터치 조작을 행하고, 단계S1101로부터 단계S1107까지의 흐름이 다시 실행된다. 이때, 단순하게 동일처리를 반복하는 것만으로는, 다시, 유저가 단말장치(200)를 인쇄장치(300)로부터 떨어지게 하거나, 단말장치(200)의 위치를 변경하기 때문에, 다른 접속 에러가 발생하기도 한다.
단계S1107에서 접속 에러 발생시에, 접속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되어도 좋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제1 실시예와 동등한 것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처리를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경우를 가정한다. 유저가 단말장치(200)를 인쇄장치(300)에 대하여 NFC터치 조작을 실행해 접속을 시험해 본다. 단계S1107의 처리가 완료하기 전에, 유저는, 단말장치(200)를 인쇄장치(300)로부터 떨어지게 해버린다. 이 경우에, 인쇄장치(300)는 AP모드에의 이행 지시를 적절하게 수신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인쇄장치(300)는, AP모드에 이행하지 않는다. 그 결과,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300)와 접속하지 않는다. 이때, 단말장치(200)는, 단말장치(200)내의 불휘발성 메모리(221)에, 접속 에러 정보를 유지한다. 이 접속 에러 정보는, 후술하는 단계S1307의 처리의 끝에 갱신된다. 단계S1307의 처리에서 인쇄장치(300)에 대한 접속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접속하지 못하는 동작이 행해졌던 인쇄장치(300)의 MAC어드레스는, 접속 에러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설정 값과 함께 보존된다. 단계S1307에서 접속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속 에러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설정 값이 보존된다. 단계S1307의 처리가 결코 행해지지 않은 경우, 초기값으로서 접속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의 설정 값이 보존되어 있다.
상기 에러 정보를 이용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단계S1301에서, 단말장치(200)는, 인쇄장치(300)의 NFC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취득한다. 태그 정보에는, 제1 실시예와 같은, 인쇄장치(300)의 네트워크 설정에 관한 3종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S1302 및 단계S1309는, 단계S1103 및 단계S1112와 같고,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단계S1302에서, 인쇄장치(300)가 AP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S13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303에서, 단말장치(200)는, 단말장치(200)내에 보존되어 있는 접속 에러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장치(200)는, (1) 접속 에러 정보가 에러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설정 값을 포함하고, (2) 단계S1301에서 획득한 인쇄장치(300)의 MAC어드레스와 에러 정보에 포함된 인쇄장치(300)의 MAC어드레스가 일치하는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1303에서의 판정결과가 YES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말장치(200)는, 단계S1304 내지 단계S1305를 스킵해서, 단계S130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303에서의 판정결과가 NO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S13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304 내지 단계S1306은, 단계S1104 내지 단계S1106과 같은 처리이고,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S1307에서는, 단계S1107과 동등한 처리를 행함과 아울러, 최후에 접속 에러 정보를 갱신한다.
단계S1310은, 단계S1109와 같은 처리이고,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상술한 것처럼, 제3 실시예에서는, NFC터치에 기인한 접속 에러가 전회 발생했을 경우, 인쇄장치가 특정되고 비교적 시간이 걸리는 처리(단계S1305의 처리이고, 판정 처리라고도 한다)를 스킵하여도 된다. 그 결과, 다시 터치했을 경우의 AP모드에의 이행 지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저가 터치 동작을 한 직후에 인쇄장치(300)로부터 단말장치(200)를 떨어지게 해버리는 경우이여도, 다른 접속 에러 발생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도 있다.
접속 에러 발생시에는, 유저는, 한번에 다른 터치 동작을 행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접속 에러 정보에는, 에러 발생시에 대한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S1303의 판단에 있어서, 현재 시간과, 접속 에러 정보에 포함되는 에러 발생시를 나타내는 상기 시간 정보가 비교된다. 전회의 에러 발생 시간과 현재 시간간의 차이가 소정시간내(예를 들면, 10초이내)에 있고 상기 MAC어드레스가 일치했을 경우에는, 단계S1307의 처리로 진행되어도 좋다.
인쇄장치(300)의 현재의 접속 상태를 판단 조건에 사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단계S1301에서 취득한 태그 정보에는, 인쇄장치(300)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접속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 정보를, 접속 에러 정보로서 에러 발생시에 보존해둔다. 단계S1303의 판단에 있어서, 전회 단계S1307에서 접속 에러가 발생하고, 또한, 단계S1301에서 취득한 무선모드의 상태가 접속 에러 정보에 포함되는 무선모드의 상태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단계S130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303에서, 인쇄장치(300)를 특정하는 처리를 스킵하고 단계S1307의 처리로 진행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판단 조건은, 예를 들면, MAC어드레스, 경과 시간, 인쇄장치(300)의 접속 상태의 변화 중 하나이어도 되거나,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그 판단 조건 자체에 관해서도, 인쇄장치(300)의 IP 어드레스나 AP모드에 있어서의 SSID의 변화등, 인쇄장치(300)의 상태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수 있는 것이면, 개의치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해, 통신 상대 장치의 접속 형태를 고려해서 무선통신을 행함으로써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7)

  1. 대상장치와 통신장치의 외부에 제공되는 장치인 외부장치에 무선 접속 가능한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복수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단계;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대상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대상장치와 행해지는 경우,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과는 다른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제1 통신을 통하여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인쇄 잡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대상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동안, 상기 대상장치와 행해지는 경우,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제2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인쇄 잡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제1 통신은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을 통하여 행해지고,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제2 통신은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을 통하여 행해지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대상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동안 상기 대상장치와 행해지는 경우, 상기 대상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외부장치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동안 상기 대상장치와 행해지는 경우,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제2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인쇄 잡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제2 통신은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을 통하여 행해지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외부장치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동안 상기 대상장치와 행해지는 경우, 상기 대상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상기 유저로부터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상기 통신장치의 표시수단에 표시되고 있는 동안 상기 대상장치와 행해지는 경우, 상기 인쇄 잡은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을 통하여 송신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상기 대상장치와 행해지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의 표시수단에, 상기 인쇄 잡이 현재 송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이 접수된 후, 상기 통신장치의 표시수단에,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화상의 인쇄에 대한 인쇄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을 통하여 상기 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설정에 관한 통신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대상장치가 접속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참가하고 있는 장치로부터 응답을 취득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장치가 참가하는 상기 네트워크에 명령을 상기 통신장치가 브로드캐스트하는 탐색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이 상기 탐색처리에 의해 취득되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대상장치가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고,
    상기 통신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이 상기 탐색처리에 의해 취득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대상장치가 접속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정보는 MAC어드레스인,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을 통하여, 상기 대상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장치에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접속은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접속을 통하여 행해지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의 실행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상기 대상장치와 행해지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의 실행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통신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은 NFC 통신방식인,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은 블루투스인,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은 WiFi인,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16. 대상장치와 통신장치의 외부에 제공되는 장치인 외부장치에 무선 접속 가능한 통신장치로서,
    상기 통신장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접수수단;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대상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대상장치와 행해지는 경우,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과는 다른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제1 통신을 통하여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인쇄 잡을 송신하는 송신수단; 및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대상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동안, 상기 대상장치와 행해지는 경우,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제2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인쇄 잡을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제1 통신은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을 통하여 행해지고,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제2 통신은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을 통하여 행해지는, 통신장치.
  17. 컴퓨터를 대상장치와 통신장치의 외부에 제공되는 장치인 외부장치에 무선 접속 가능한 통신장치의 각 수단으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기억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통신장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접수수단;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대상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대상장치와 행해지는 경우,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과는 다른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제1 통신을 통하여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인쇄 잡을 송신하는 송신수단; 및
    상기 제1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대상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동안, 상기 대상장치와 행해지는 경우,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제2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인쇄 잡을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제1 통신은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을 통하여 행해지고,
    상기 제2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제2 통신은 상기 통신장치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대상장치와 통신을 통하여 행해지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09358A 2014-06-06 2018-01-25 통신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865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7848 2014-06-06
JPJP-P-2014-117848 2014-06-06
JP2015012709A JP2016012910A (ja) 2014-06-06 2015-01-26 通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5-012709 2015-01-2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372A Division KR101824379B1 (ko) 2014-06-06 2015-06-08 통신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026A true KR20180039026A (ko) 2018-04-17
KR101865048B1 KR101865048B1 (ko) 2018-06-08

Family

ID=536776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372A KR101824379B1 (ko) 2014-06-06 2015-06-08 통신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20180009358A KR101865048B1 (ko) 2014-06-06 2018-01-25 통신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372A KR101824379B1 (ko) 2014-06-06 2015-06-08 통신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20150355875A1 (ko)
JP (1) JP2016012910A (ko)
KR (2) KR101824379B1 (ko)
DE (1) DE102015006927B4 (ko)
GB (3) GB25290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6149B2 (ja) * 2013-04-26 2017-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12280B2 (ja) 2013-04-26 2017-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12910A (ja) * 2014-06-06 2016-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01523B2 (ja) 2014-07-04 2018-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端末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ネットワーク処理システム
CN105451184A (zh) 2014-09-30 2016-03-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及设备
JP6503968B2 (ja) * 2015-08-05 2019-04-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及び、通信機器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459861B2 (ja) * 2015-08-31 2019-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機能制限プログラム
JP6624888B2 (ja) * 2015-10-30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接続可能な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736283B2 (ja) 2015-11-18 2020-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94507A (ja) * 2015-11-18 2017-06-0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82862B2 (ja) * 2016-01-13 2020-04-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JP6394999B2 (ja) * 2016-02-29 2018-09-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接続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6666765B2 (ja) 2016-03-24 2020-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562867B2 (ja) * 2016-03-31 2019-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619682B2 (ja) 2016-03-31 2019-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47145B2 (ja) * 2016-07-28 2020-08-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873660B2 (ja) 2016-11-24 2021-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US11122410B2 (en) 2016-11-25 2021-09-1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6635978B2 (ja) * 2017-05-11 2020-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7001378B2 (ja) * 2017-07-12 2022-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39256B2 (ja) * 2017-08-28 2021-09-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190135577A (ko) * 2018-04-27 2019-12-0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무선 근거리 통신망 모듈의 동작 상태 전환
JP6950627B2 (ja) * 2018-06-19 2021-10-1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US11416191B2 (en) * 2019-02-13 2022-08-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unction executing device for executing communication of function execution information with terminal device
JP2021158629A (ja) * 2020-03-30 2021-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無線通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640A (ko) * 2004-01-17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검색 결과 출력 방법 및 프린팅기기
KR20120040765A (ko) * 2010-08-26 2012-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주변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20130137373A1 (en) * 2011-11-30 2013-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device in wireless terminal
US20130229685A1 (en) * 2012-03-05 2013-09-05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140044236A (ko) *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0398B2 (en) * 2004-06-30 2009-08-25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inting device, printing system, system setting method,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and program
JP5168383B2 (ja) 2011-04-26 2013-03-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210731B2 (en) * 2011-07-25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Direct link setup through an extended service set
US9288228B2 (en) * 2011-08-05 2016-03-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nection setup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20150083405A (ko) * 2014-01-09 2015-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KR102020468B1 (ko) * 2011-12-12 2019-09-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채널 관리 방법
US20130166759A1 (en) * 2011-12-22 2013-06-27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of ip address discovery for tunneled direct link setup
JP5945910B2 (ja) * 2012-01-31 2016-07-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KR101849925B1 (ko) * 2012-02-24 2018-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탐색 방법 및 장치
JP5857850B2 (ja) * 2012-03-30 2016-02-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5966527B2 (ja) 2012-03-30 2016-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5915338B2 (ja) * 2012-03-30 2016-05-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5884633B2 (ja) * 2012-05-15 2016-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5954024B2 (ja) * 2012-07-27 2016-07-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035969B2 (ja) 2012-08-03 2016-1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EP2725774A2 (en) * 2012-10-29 201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ireless connection method
US20140268235A1 (en) * 2013-03-15 2014-09-18 Hiti Digital, Inc. Methods to mobile printing and devices and systems thereof
JP5962564B2 (ja) * 2013-03-28 2016-08-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装置
JP6335437B2 (ja) * 2013-04-26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77823B1 (ko) * 2013-06-03 2020-02-1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엔에프씨를 이용한 모바일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KR102039522B1 (ko) * 2013-06-03 2019-11-2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한 nfc 태그의 기록방법 및 장치
JP6368989B2 (ja) * 2013-06-11 2018-08-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119481B2 (ja) * 2013-07-23 2017-04-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装置
KR102064500B1 (ko) * 2013-08-01 2020-01-0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형성장치의 서비스 제공 제어 방법 및 서비스 제공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WO2015068988A1 (ko) * 2013-11-06 2015-05-14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10028325B2 (en) * 2014-02-20 2018-07-17 Fresenius Vial Sas Medic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ication method
JP6701415B2 (ja) 2014-06-06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12910A (ja) * 2014-06-06 2016-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84580B1 (ja) * 2016-01-29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145557A (ja) * 2019-03-05 2020-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7391559B2 (ja) * 2019-07-29 2023-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640A (ko) * 2004-01-17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검색 결과 출력 방법 및 프린팅기기
KR20120040765A (ko) * 2010-08-26 2012-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주변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20130137373A1 (en) * 2011-11-30 2013-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device in wireless terminal
US20130229685A1 (en) * 2012-03-05 2013-09-05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140044236A (ko) *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509495D0 (en) 2015-07-15
KR101824379B1 (ko) 2018-02-01
KR101865048B1 (ko) 2018-06-08
US11573757B2 (en) 2023-02-07
US20200133606A1 (en) 2020-04-30
DE102015006927A1 (de) 2015-12-10
GB2529023B (en) 2017-03-15
GB2529023A (en) 2016-02-10
DE102015006927B4 (de) 2023-03-30
US20210311680A1 (en) 2021-10-07
GB201701720D0 (en) 2017-03-22
GB2544914B (en) 2018-04-18
US20230104915A1 (en) 2023-04-06
GB2557102B (en) 2018-12-19
KR20150140592A (ko) 2015-12-16
US11048458B2 (en) 2021-06-29
GB201802792D0 (en) 2018-04-04
GB2544914A (en) 2017-05-31
GB2557102A (en) 2018-06-13
US11966654B2 (en) 2024-04-23
JP2016012910A (ja) 2016-01-21
US20150355875A1 (en)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048B1 (ko) 통신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US10778863B2 (en) Operation input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10142510B2 (en) Print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102830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KR101803709B1 (ko) 통신장치, 단말장치, 그것들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CN108377458B (zh) 无线通信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EP3247168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program
JP7302050B2 (ja) 通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960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US2023026933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6808351B2 (ja) 印刷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