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887A - 매립용 그물망 및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매립용 그물망 및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887A
KR20180038887A KR1020160130084A KR20160130084A KR20180038887A KR 20180038887 A KR20180038887 A KR 20180038887A KR 1020160130084 A KR1020160130084 A KR 1020160130084A KR 20160130084 A KR20160130084 A KR 20160130084A KR 20180038887 A KR20180038887 A KR 20180038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ember
vertical
supply means
horizontal memb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034B1 (ko
Inventor
노정협
Original Assignee
노정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협 filed Critical 노정협
Priority to KR1020160130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034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06Bending into helical or spiral form; Forming a succession of return bends, e.g. serpentin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매립하여 내진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매립용 그물망 및 이러한 매립용 그물망을 제조하기 위한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용 그물망은 상기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2)가 직선형태의 강선(4)으로 구성된 종래의 매립용 그물망과 달리, 상기 수직부재(1)가 상측으로 돌출된 산부분(1a)을 갖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산부분(1a)에 의해 매립용 그물망이 측방향으로 넓고 상측으로 적절한 두께를 갖는 3차원적인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매립형 그물망을 콘크리트에 매립하였을 때, 콘크리트가 매립형 그물망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매립용 그물망 및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mesh and mesh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매립하여 내진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매립용 그물망 및 이러한 매립용 그물망을 제조하기 위한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진 등에 대비하여 건축물의 내진강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바닥면 등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에 그물망을 매립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그물망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수평부재(2)를 상호 용접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재(2)와 수직부재(1)는 긱선 형태의 강선(4)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면에 그물망을 올려놓으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망이 자중에 의해 콘크리트의 내부로 하강되어 매립된다.
이때, 상키 콘크리트의 상부에 그물망을 배치한 후 그 상부에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그물망을 막대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하측으로 밀어 넣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에 그물망을 매립하면, 콘크리트의 표면이 그물망에 의해 보강되어 콘크리트의 강도가 향상된다.
그런데, 이러한 그물망은 직선형태로 구성된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2)를 넓은 판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용접결합하여 구성됨으로, 상하방향의 두께가 매우 얇은 이차원적인 형태를 띄게 됨으로, 콘크리트를 충분히 견고하게 지지하고, 건축물의 내진강도를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의 강선(4)을 이용하여 코일을 제조하는 코일제조장치(3)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코일제조장치(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코일형태의 성형홈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금형(3a)과, 상기 강선(4)을 상기 성형홈에 압입하는 압입수단(3b)이 구비되어, 상기 압입수단(3b)을 이용하여 강선(4)을 금형(3a)의 후방에서 성형홈에 강제로 밀어 넣으면, 상기 강선(4)이 성형홈을 통과하면서 코일형태로 성형된 후 성형홈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금형(3a)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코일은 나사축과 같이, 나선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전진되며, 이와 같이, 금형(3a)의 전방으로 배출된 코일을 별도의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길이로 잘라냄으로서, 강선(4)재질의 코일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코일제조장치(3)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등록실용신안 20-032187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에 매립하여 내진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매립용 그물망 및 이러한 매립용 그물망을 제조하기 위한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수평부재(2)를 상호 용접결합하여 구성된 그물망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1)는 상측으로 돌출된 산부분(1a)과 하측으로 오목한 골부분(1b)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그물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부재(1)는 강선(4)을 코일형태로 벤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그물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부재(1)는 강선(4)을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그물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수직부재(1)를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공급하는 복수개의 수직부재공급수단(10)과,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공급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의 상면으로 수평부재(2)를 공급하는 수평부재공급수단(20)과,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에 의해 수직부재(1)의 상면에 공급된 수평부재(2)를 상기 수직부재(1)에 용접결합하는 용접수단(30)과,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과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공급된 수직부재(1)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수단(40)과, 상기 절단수단(40)에 의해 절단된 수직부재(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은 내부에 코일형태의 성형홈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금형(11)과 상기 강선(4)을 상기 성형홈에 압입하는 압입수단(12)을 포함하여 코일형태로 구성된 수직부재(1)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코일형태로 구성된 수직부재(1)의 선단부가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공급되면,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이 상기 수직부재(1)의 상면에 1개의 수평부재(2)를 공급하고, 상기 용접수단(30)이 상기 수평부재(2)를 수직부재(1)에 용접결합하여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공급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가 수평부재(2)에 의해 상호 위치고정되도록하며, 상기 절단수단(40)이 상기 수직부재(1)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낸 후, 상기 이송수단(50)이 상기 수직부재(1)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전진시키고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이 상기 수직부재(1)의 상면에 수평부재(2)를 공급하고 상기 용접수단(30)이 상기 수평부재(2)를 수직부재(1)에 용접고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개의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2)가 상호 용접고정된 매립용 그물망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용 그물망은 상기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2)가 직선형태의 강선(4)으로 구성된 종래의 매립용 그물망과 달리, 상기 수직부재(1)가 상측으로 돌출된 산부분(1a)을 갖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산부분(1a)에 의해 매립용 그물망이 측방향으로 넓고 상측으로 적절한 두께를 갖는 3차원적인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매립형 그물망을 콘크리트에 매립하였을 때, 콘크리트가 매립형 그물망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며, 건축물의 내진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매립형 그물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매립형 그물망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일반적인 코일을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코일을 제작하는 코일제조장치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그물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그물망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그물망을 제조하기 위한 매립형 그물망 제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그물망을 제조하기 위한 매립형 그물망 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그물망을 제조하기 위한 매립형 그물망 제조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그물망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용 그물망을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수평부재(2)를 상호 용접결합하여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직부재(1)는 상측으로 돌출된 산부분(1a)과 하측으로 오목한 골부분(1b)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재(2)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태의 강선(4)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부재(1)는 강선(4)을 코일형태로 벤딩하여 구성된 것으로, 수직부재(1)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면, 상측으로 돌출된 산부분(1a)과 하측으로 오목한 골부분(1b)이 교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2)는 상호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수직부재(1)의 골부분(1b)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수직부재(1)에 용접결합된다.
도 8 내지 도 16은 이와 같이, 수직부재(1)가 코일형태로 구성된 매립용 그물망을 제조하는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수직부재(1)를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공급하는 복수개의 수직부재공급수단(10)과,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공급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의 상면으로 수평부재(2)를 공급하는 수평부재공급수단(20)과,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에 의해 수직부재(1)의 상면에 공급된 수평부재(2)를 상기 수직부재(1)에 용접결합하는 용접수단(30)과,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과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공급된 수직부재(1)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수단(40)과, 상기 절단수단(40)에 의해 절단된 수직부재(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5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은 내부에 코일형태의 성형홈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금형(11)과, 상기 강선(4)을 상기 성형홈에 압입하는 압입수단(1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압입수단(12)을 이용하여 강선(4)을 금형(11)의 후방에서 성형홈에 강제로 밀어 넣으면, 상기 강선(4)이 성형홈을 통과하면서 코일형태로 성형된 후 성형홈의 전방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수직부재(1)의 선단부가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하측까지 전진된다.
이때, 상기 금형(11)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수직부재(1)는 나사축과 같이, 나선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전진된다.
이러한 수직부재공급수단(10)은 강선(4)을 벤딩하여 코일을 제작하는 일반적인 코일제조장치와 동일한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은 상기 매립형 그물망에 구비되는 수직부재(1)와 동일한 개수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수직부재공급수단(10)을 한꺼번에 구동시키면, 여러개의 수직부재(1)가 동시에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하측까지 전진된다.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수평부재(2)가 내부에 저장되며 하측에는 상기 수평부재(2)가 배출되는 배출구(21a)가 형성된 호퍼형태의 저장케이스(21)와, 상기 저장케이스(21)의 배출구(21a)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케이스(21)에 저장된 수평부재(2)가 하나씩 배출구(21a)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22)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배출구(21a)가 상기 수직부재(1)의 골부분(1b) 상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공급된 수직부재(1)의 선단부가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하측까지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수단(22)이 작동되어 상기 저장케이스(21)에 저장된 수평부재(2)가 상기 수직부재(1)의 상면으로 공급되면, 상기 수평부재(2)는 복수개의 수평부재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복수개의 상기 수직부재(1)의 골부분(1b)에 동시에 삽입된다.
상기 용접수단(30)은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에 의해 상기 수평부재(2)에 공급된 수평부재(2)의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고압의 전기를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이 연결되는 상, 하측전극(31,32)과, 상기 저장케이스(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측전극(31)에 연결되어 상측전극(3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구(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측전극(32)은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수평부재(2)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측전극(31)은 수직부재(1)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승강구동기구(33)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상측전극(31)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재(2)의 상면 전체를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수평부재(2)가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하측으로 공급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의 골부분(1b)에 동시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구동기구(3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수평부재(2)가 상기 수직부재(1)의 골부분(1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기구(33)로 상측전극(31)을 하강시키면, 상기 상측전극(31)이 상기 수평부재(2)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수평부재(2)가 상기 수직부재(1)의 골부분(1b)에 밀착되도록 하며, 이와 같이 수평부재(2)가 수직부재(1)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상, 하측전극(31,32)에 고압의 전기를 인가하면, 상기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2)의 사이에 열이 발생되어 수평부재(2)가 복수개의 수직부재(1)의 골부분(1b)에 용접결합된다.
이와 같이 수평부재(2)가 복수개의 수직부재(1)의 골부분(1b)에 용접결합되면, 복수개의 수직부재(1)가 상기 수평부재(2)에 의해 상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용접수단(30)의 구조 및 작용은 일반적인 스폿용접기와 유사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절단수단(40)은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 상기 수직부재(1)의 상하측에 위치되며 도시 안된 승강구동수단에 의해 상호 근접되도록 승강되는 한 쌍의 절단날(41)이 구비되어, 상기 절단날(41)을 승강시켜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공급된 수직부재(1)를 잘라낼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절단수단(40)의 전방 하측에서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하측 전방까지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된 컨베이어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에 의해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하측까지 연장되도록 공급되어 상기 절단수단(40)에 의해 절단된 수직부재(1)를 전방으로 이송하여 최종적으로 전방에 배치된 적재수단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매립용 그물망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의 압입수단(12)을 이용하여 강선(4)을 금형(11)의 후방에서 성형홈에 강제로 밀어 넣으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선(4)이 금형(11)의 성형홈을 통과하면서 코일형태로 성형된 후 성형홈의 전방으로 배출되면서, 코일형태의 수직부재(1)가 제조되며, 상기 강선(4)을 지속적으로 성형홈으로 압입하면 상기 수직부재(1)가 나사축과 같이 나선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점차 전방으로 전진되며, 최종적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1)의 선단부가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하측까지 전진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은 동시에 작동되어, 복수개의 수직부재(1)가 동시에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하측으로 전진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1)가 전진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이 구동되어, 1개의 수평부재(2)가 상기 수직부재(1)의 상면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2)는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하측으로 전진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의 골부분(1b)에 동시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2)가 수직부재(1)의 골부분(1b)에 삽입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접수단(30)이 작동되어, 수평부재(2)를 수직부재(1)의 골부분(1b)에 용접함으로써, 여러개의 수직부재공급수단(10)으로부터 공급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가 상기 수평부재(2)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2)에 의해 복수개의 수직부재(1)가 상호 고정되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단수단(40)이 구동되어 상기 수직부재(1)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낸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직부재(1)가 일정한 길이로 잘려지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50)이 구동되어 상기 수직부재(1)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전방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수직부재(1)의 골부분(1b)이 상기 용접수단(3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부재(1)를 전방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이 작동되어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부재(1)의 상부에 수평부재(2)를 공급하고, 상기 용접수단(30)이 작동되어 상기 수평부재(2)를 수직부재(1)에 용접한 후, 상기 이송수단(50)이 수직부재(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수직부재(1)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부재(2)가 용접된 매립용 그물망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매립용 그물망이 제작되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50)이 완성된 매립용 그물망을 후방으로 배출하여 적재수단에 적재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작된 매립용 그물망이 후방으로 매출되면,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이 구동되어 상기 수직부재(1)가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하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연속적으로 매립용 그물망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매립용 그물망은 상기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2)가 직선형태의 강선(4)으로 구성된 종래의 매립용 그물망과 달리, 상기 수직부재(1)가 상측으로 돌출된 산부분(1a)을 갖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산부분(1a)에 의해 매립용 그물망이 측방향으로 넓고 상측으로 적절한 두께를 갖는 3차원적인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매립형 그물망을 콘크리트에 매립하였을 때, 콘크리트가 매립형 그물망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며, 건축물의 내진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수직부재(1)는 강선(4)을 코일형태로 벤딩하여 구성됨으로, 상기 수직부재(1)가 상하측 뿐 아니라, 측방향으로도 일정한 체적을 갖게 된다.
따라서, 매립형 그물망을 콘크리트에 매립하였을 때, 수직부재(1)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콘크리트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는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수직부재(1)를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공급하는 복수개의 수직부재공급수단(10)과,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공급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의 상면으로 수평부재(2)를 공급하는 수평부재공급수단(20)과,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에 의해 수직부재(1)의 상면에 공급된 수평부재(2)를 상기 수직부재(1)에 용접결합하는 용접수단(30)과,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과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공급된 수직부재(1)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수단(40)과, 상기 절단수단(40)에 의해 절단된 수직부재(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50)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을 이용하여 동시에 복수개의 수직부재(1)를 공급하고,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을 이용하여 북수개의 수직부재(1)의 골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수평부재(2)를 공급한 후, 용접수단(30)을 이용하여 수평부재(2)를 수직부재(1)에 용접하고, 상기 절단수단(40)으로 수직부재(1)를 절단한 후, 상기 이송수단(50)으로 이송함으로써, 자동으로 매립용 그물망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은 내부에 코일형태의 성형홈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금형(11)과 상기 강선(4)을 상기 성형홈에 압입하는 압입수단(12)으로 구성되어 코일형태로 구성된 수직부재(1)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코일형태로 구성된 수직부재(1)의 선단부가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공급되면,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이 상기 수직부재(1)의 상면에 1개의 수평부재(2)를 공급하고, 상기 용접수단(30)이 상기 수평부재(2)를 수직부재(1)에 용접결합하여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공급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가 수평부재(2)에 의해 상호 위치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절단수단(40)이 상기 수직부재(1)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낸 후, 상기 이송수단(50)이 상기 수직부재(1)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전진시키고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이 상기 수직부재(1)의 상면에 수평부재(2)를 공급한 후 상기 용접수단(30)이 상기 수평부재(2)를 수직부재(1)에 용접고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개의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2)가 상호 용접고정된 매립용 그물망을 제조한다.
따라서, 코일형태로 구성된 수직부재(1)를 이용하여 그물망을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을 이용하여 코일형태의 수직부재(1)를 공급할 경우, 수직부재(1)는 나선형으로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전진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부재(1)에 일단 수평부재(2)를 용접하면 수직부재(1)가 회전되지 못하게 됨으로,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을 이용하여 수직부재(1)를 제작하면서,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의 전방으로 전진되는 수직부재(1)에 수평부재(2)를 용접하는 방법은 사용할 수 없다.
반대로, 수직부재(1)를 정확한 길이로 제작하여 절단한 후, 그 상부에 수평부재(2)를 용접할 경우, 수직부재(1)가 유동하여 수직부재(1)의 골부분(1b)에 상기 수평부재(2)가 정확히 삽입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수직부재(1)를 일차로 원하는 길이만큼 길게 제작하고,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과 용접수단(30)을 이용하여 수직부재(1)에 수평부재(2)를 공급하여 일차로 용접함으로써, 복수개의 수직부재(1)가 수평부재(2)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한 후, 상기 절단수단(40)으로 수직부재(1)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이송수단(50)으로 수직부재(1)를 전진시키면서 복수개의 수평부재(2)가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부재(1)에 용접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제작된 코일형태의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2)가 상호 정확히 용접결합되어 정확한 형태의 매립형 그물망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의 경우, 상기 수직부재(1)는 골부분(1b)의 피치가 좁게 구성되어, 상기 수평부재(2)가 수직부재(1)의 7피치마다 1개씩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수직부재(1)의 피치와 상기 수평부재(2)가 결합되는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직부재(1)는 강선(4)을 코일형태로 벤딩하여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1)는 강선(4)을 삼각형이나 톱날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를 이루도록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하여 구성될 수 있다.
10. 수직부재공급수단 20. 수평부재공급수단
30. 용접수단 40. 절단수단
50. 이송수단

Claims (5)

  1.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수평부재(2)를 상호 용접결합하여 구성된 그물망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1)는 상측으로 돌출된 산부분(1a)과 하측으로 오목한 골부분(1b)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그물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1)는 강선(4)을 코일형태로 벤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그물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1)는 강선(4)을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그물망.
  4.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수직부재(1)를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공급하는 복수개의 수직부재공급수단(10)과,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공급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의 상면으로 수평부재(2)를 공급하는 수평부재공급수단(20)과,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에 의해 수직부재(1)의 상면에 공급된 수평부재(2)를 상기 수직부재(1)에 용접결합하는 용접수단(30)과,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과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공급된 수직부재(1)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수단(40)과,
    상기 절단수단(40)에 의해 절단된 수직부재(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은 내부에 코일형태의 성형홈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금형(11)과 상기 강선(4)을 상기 성형홈에 압입하는 압입수단(12)을 포함하여 코일형태로 구성된 수직부재(1)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코일형태로 구성된 수직부재(1)의 선단부가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공급되면,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이 상기 수직부재(1)의 상면에 1개의 수평부재(2)를 공급하고,
    상기 용접수단(30)이 상기 수평부재(2)를 수직부재(1)에 용접결합하여 상기 수직부재공급수단(10)에 의해 공급된 복수개의 수직부재(1)가 수평부재(2)에 의해 상호 위치고정되도록하며,
    상기 절단수단(40)이 상기 수직부재(1)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낸 후,
    상기 이송수단(50)이 상기 수직부재(1)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전진시키고 상기 수평부재공급수단(20)이 상기 수직부재(1)의 상면에 수평부재(2)를 공급하고 상기 용접수단(30)이 상기 수평부재(2)를 수직부재(1)에 용접고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개의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2)가 상호 용접고정된 매립용 그물망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
KR1020160130084A 2016-10-07 2016-10-07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 KR102003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084A KR102003034B1 (ko) 2016-10-07 2016-10-07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084A KR102003034B1 (ko) 2016-10-07 2016-10-07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887A true KR20180038887A (ko) 2018-04-17
KR102003034B1 KR102003034B1 (ko) 2019-07-23

Family

ID=6208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084A KR102003034B1 (ko) 2016-10-07 2016-10-07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2060A (zh) * 2019-01-31 2019-06-14 凡登(常州)新型金属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高透高强隐形防虫网及其制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072A (ja) * 1994-02-09 1995-08-15 Shimizu Corp 補強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14314A (ko) * 2003-01-27 2003-02-15 정기관 철망 및 철망의 제조장치
KR200321877Y1 (ko) 2003-03-20 2003-07-31 미성산업(주) 콘크리트제 배수로의 와이어메쉬 제조 장치
JP3180681U (ja) * 2012-10-19 2012-12-27 潤弘精密工程事業股▲分▼有限公司 鉄筋構造及びその鉄筋構造によるプレキャスト板
KR20140097624A (ko) * 2013-01-28 2014-08-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선형 와이어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681B2 (ja) * 1996-07-19 2001-06-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072A (ja) * 1994-02-09 1995-08-15 Shimizu Corp 補強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14314A (ko) * 2003-01-27 2003-02-15 정기관 철망 및 철망의 제조장치
KR200321877Y1 (ko) 2003-03-20 2003-07-31 미성산업(주) 콘크리트제 배수로의 와이어메쉬 제조 장치
JP3180681U (ja) * 2012-10-19 2012-12-27 潤弘精密工程事業股▲分▼有限公司 鉄筋構造及びその鉄筋構造によるプレキャスト板
KR20140097624A (ko) * 2013-01-28 2014-08-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선형 와이어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2060A (zh) * 2019-01-31 2019-06-14 凡登(常州)新型金属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高透高强隐形防虫网及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034B1 (ko)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8241A (en) Matrix fabrication
US9579710B2 (en) Self-furring welded wire mesh
KR101559559B1 (ko) 래티스근 자동 연속 성형장치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래티스 연속 성형체
CN104444400B (zh) 一种件烟自动码垛方法及装置
KR102003034B1 (ko) 매립용 그물망 제조장치
KR101702557B1 (ko) 복근철망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근철망
CN202278299U (zh) 静触头自动焊接机
KR101541523B1 (ko) 강판 탈형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CN203901822U (zh) 一种焊缝易焊接焊管
KR101399606B1 (ko) 파형강판 절곡장치
JP2016008411A (ja) 鉄筋配筋用スペーサー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207372598U (zh) 一种金属楔上料机构
CN205822173U (zh) 一种大直径钢筋笼制作定位装置
CN202239209U (zh) 集装箱鹅颈槽自动生产系统
RU2019142672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волочной сетки
CN210080614U (zh) 一种土钉定位卡速成加工装置
CN210999182U (zh) 一种脚墩自动打钉机
CN205376482U (zh) 一种排列二极管用支具
CN220698129U (zh) 一种横筋上下交替钢筋焊接网及其加工装置
CN202527629U (zh) 一种钢筋网排焊机横向钢筋送线装置
CN213257910U (zh) 一种辅助宠物笼点焊的放置框
US3529330A (en) Device for inserting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s in slabs formed by concrete slab extruding machines
CN210884028U (zh) 一种输送机支架工装
CN205056882U (zh) 矩形钢筋成型装置
EP2897207B1 (en) Spreading machine for grids for obtaining electric storage batt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26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802

Effective date: 2019070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