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491A -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491A
KR20180038491A KR1020187006450A KR20187006450A KR20180038491A KR 20180038491 A KR20180038491 A KR 20180038491A KR 1020187006450 A KR1020187006450 A KR 1020187006450A KR 20187006450 A KR20187006450 A KR 20187006450A KR 20180038491 A KR20180038491 A KR 20180038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elevator
box
opening
sli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823B1 (ko
Inventor
지에 수아이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80038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facilitating maintenance, installation, removal, replacement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를 가진 박스, 동작 보드, 및 중앙 보드를 포함한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동작 보드는 그것 상에 전자 디바이스들을 구비하며, 전자 디바이스들을 구비하는 동작 보드의 면은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수직이다. 게다가, 동작 보드는 그것이 개구를 통해 끌어당겨질 수 있는 방식으로 박스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 보드는 그것의 제1 측면을 통해, 동작 보드에 고정되며, 중앙 보드는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평행한다. 전기 모터 동작 디바이스, 및 상기 전기 모터 비상 동작 디바이스 또는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를 포함한 승강기 장치가 추가로 제공된다.

Description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본 발명은 승강기-관련 기술들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는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승강기는 정기 유지보수를 요구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임의의 고장의 경우에, 수리가 요구된다. 승강기가 승강기 유지보수 서버 및 다른 관련된 부분들을 보관하기 위한 기계실을 구비한다면, 유지보수/수리 직원에게 편리할 것이다.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어떤 기계실도 몇몇 기존의 승강기 디바이스들을 위해 제공되지 않는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종래의 승강기 유지보수 장치들 및 디바이스들은 승강기로의 입구에 가까운 벽 안쪽에 함께 위치된다. 공간을 절약할 목적으로, 더욱이, 이들 장치들 및 디바이스들을 수용하기 위한 벽 상에 제공된 공간은 크지 않다. 그 결과, 조작자들이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지 않다.
CN1489547A의 공개 번호를 가진 중국 특허 출원은 승강기의 착상 스테이지에서 제공된 동작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해법은 록을 동작시킴으로서 표면 판을, 표면 판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로 록킹시키며, 그에 의해 악의가 있는 제3 자에 의해 야기된 문제를 방지한다. 중국 특허에 의해 개시된 기술적 해법에서, 표면 판은 축으로서 표면 판의 일 측면을 가진 케이스로부터 부분적으로 꺼내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면 판 상에서의 동작들은 보다 더 편리해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는 개구를 가진 박스, 동작 보드, 및 중앙 보드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보드는 그것 상에 전자 디바이스들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을 구비하는 동작 보드의 면은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수직이며, 게다가, 상기 동작 보드는 그것이 상기 개구를 통해 끌어당겨질 수 있는 방식으로 박스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보드는, 그것의 제1 측면을 통해, 상기 동작 보드에 고정되며, 상기 중앙 보드는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평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상기 제1 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중앙 보드의 제2 측면은 승강기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뒷면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뒷면은 승강기 사용자가 동작시킬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동작 측면의 반대편에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상에서 전자 디바이스들 및 동작 보드의 돌출부의 최대 길이 및 최대 폭은, 각각,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높이 및 폭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중앙 보드는 홀 도어 버튼 박스의 송신 라인들이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것 상에 와이어 홀을 갖고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수직인 박스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그것 상에 고정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 보드는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으로 내장되고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은 상기 개구에 가까운 위치에 정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 보드의 확장부는, 상기 중앙 보드로부터 떨어진 일 단부에, 상기 정지부와의 맞물림을 위한 정지 보조부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 상에 형성된 홀이고, 상기 정지 보조부는 탄성 부재이며, 상기 확장부가 상기 박스의 바깥쪽으로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가 홀을 접할 때,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상태로부터 회복되며 홀로 끼워진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모든 디바이스들은 상기 동작 보드의 동일한 면 상에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비상 정지 버튼은 상기 면의 제1 부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제동 해제 버튼, 원격 제어 스위치 온-오프 버튼, 및 공개 버튼은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한 제2 부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비상 전기 동작 스위치 및 소켓은 상기 제2 부분에 인접한 제3 부분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제4 부분 상에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면의 최상위 단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가 추가로 제공되며, 상기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는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및 홀 도어 버튼 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는: 개구를 가진 박스; 그 위에 전자 디바이스들을 구비하는 동작 보드로서, 전자 디바이스들을 구비하는 상기 동작 보드의 면은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수직이고, 상기 동작 보드는 그것이 상기 개구를 통해 끌어당겨질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박스 안쪽에 배치될 수 있는, 상기 동작 보드; 및 그것의 제1 측면을 통해, 상기 동작 보드에 고정된 중앙 보드로서, 상기 중앙 보드는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평행하는, 상기 중앙 보드를 포함한다.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뒷면은 상기 중앙 보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 보드가 상기 홀 도어 버튼 박스 및 상기 동작 보드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뒷면은 승강기 사용자가 동작시킬 상기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동작 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면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상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 및 동작 보드의 돌출부의 최대 길이 및 최대 폭은, 각각, 상기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높이 및 폭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상기 중앙 보드는 상기 홀 도어 버튼 박스의 송신 라인들이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것 상에 와이어 홀을 갖고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수직인 박스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그것 상에 고정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 보드는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으로 내장되고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은 상기 개구에 가까운 위치에 정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 보드의 확장부는, 상기 중앙 보드로부터 떨어진 일 단부에, 상기 정지부와의 맞물림을 위한 정지 보조부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 상에 형성된 홀이고, 상기 정지 보조부는 탄성 부재이고, 상기 확장부가 상기 박스의 바깥쪽으로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홀에 접할 때,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상태로부터 회복되며 홀로 끼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승강기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승강기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또는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서, 상기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는 그것이 배치되는 케이스 밖으로 꺼내어질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조작자들에 의한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고; 더욱이, 상기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는 승강기 홀 도어 버튼 박스를 위해 예약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어서, 추가 공간을 여는 것을 불필요하게 하며 그에 의해 공간을 절약한다.
도 1은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동작 보드(2)가 박스(1)에 완전히 수용될 때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제2 면(37)에 부착된 홀 도어 버튼 박스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전체로서 결합된 후 본 예에서 홀 도어 버튼 박스 및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홀 도어 버튼 박스에 기초한 동작 표면(5)의 좌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박스(1)의 내부 구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예들은 수반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숫자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모든 예들은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이 본 발명을 완전하게 이해하도록 도울 것이지만, 제한들이라기보다는, 단지 예들로서 의도된다. 도면들에서 구성요소들, 부분들, 유닛들 및 디바이스들은 일정한 비율로 묘사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단지 이들 구성요소들, 부분들, 모듈들 및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승강기의 거의 모든 층은 승강기를 탈 사용자가 승강기를 호출하기 위한 홀 도어 버튼 박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이것은 홀 도어 버튼 박스와 결합되고 원래 홀 도어 버튼 박스를 유지하기 위해 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는 단지 승강기가 위치되는 건물의 하나의 층 상에만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층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수반되는 전자 구성요소들은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져 있는 승강기 비상 동작 보드 상에서의 전자 구성요소들과 대체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 동작 보드(2), 및 중앙 보드(3)를 포함한다. 박스(1)는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가지며, 동작 보드(2)는 개구를 통해 박스(1)에 위치된다. 동작 보드(2)는 그것 상에 전자 디바이스들을 구비하며, 전자 디바이스들을 구비하는 동작 보드(2)의 면은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수직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자 디바이스들을 구비하는 동작 보드(2)의 면은 또한 전자 디바이스 설치 면으로 불리운다. 동작 보드(2)는 그것이 개구를 통해 끌어당겨질 수 있는 방식으로 박스(1) 안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즉, 동작 보드(2)는 개구를 통해 박스(1) 밖으로 꺼내어질 수 있거나, 또는 개구를 통해 박스(1)로 다시 배치될 수 있다.
중앙 보드(3)는, 그것의 제1 면(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동작 보드(2)에 고정되며, 전자 디바이스 설치 면에 수직이다. 동작 오류 및 다른 이유들로 인해, 용어("수직")는 여기에서 ±3도의 편차를 허용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보드(3)는, 예를 들면, 나사들(35)을 통해, 박스(1)의 개구에 가까운 동작 보드(2)의 단부에 고정되어, 홀 도어 버튼 박스가 중앙 보드(3)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중앙 보드(3)는 그것 상에 로킹 디바이스(30)를 구비하며, 로킹 디바이스(30)는 허가되지 않은 당사자가 비상 동작 디바이스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것이 박스(1)에 완전히 수용될 때 박스(1) 안쪽에서 동작 보드(2)를 로킹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서의 로킹 디바이스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로킹 디바이스(30)가 설치되는 중앙 보드(3)의 부분은, 중앙 보드(3) 상에 단차부(36)를 형성하도록, 동작 보드의 방향을 향해 약간 돌출될 수 있으며, 이것은 조작자로 하여금 동작 보드(2)를 당기기 위해 단차부를 통해 힘을 인가하도록 허용한다. 그 결과, 동작 보드를 당기기 위해 추가 핸들의 제공에 대한 요구는 없다.
도 2는 동작 보드(2)가 박스(1)에 완전히 수용될 때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1 면의 반대편에 있는 중앙 보드(3)의 제2 면(37)은 승강기의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뒷면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제2 면(37)에 부착된 홀 도어 버튼 박스의 확대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면(37)은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뒷면(4)을 향한다. 본 예에서, 중앙 보드(3)는 홀 도어 버튼 박스의 송신 라인들이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와이어 홀(30)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로서, 와이어 홀(30)을 통과한 후, 송신 라인들은 동작 보드(2) 및 박스(1) 사이에서의 공간을 통해 배열되며, 마지막으로 박스(1)를 통해 대응하는 제어 장치들에 도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뒷면(4)은, 예를 들면, 나사들을 통해, 중앙 보드(3)에 고정되며,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동작 표면(5)은 뒷면(4)과 결합된다. 홀 도어 버튼 박스 및 중앙 보드(3)가 결합되는 방식은 도 4에 도시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홀 도어 버튼 박스 및 중앙 보드(3)를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결합 방식은 실현 가능하고, 예를 들면, 홀 도어 버튼 박스 및 중앙 보드(3)는 파스너를 써서 결합된다.
기존의 승강기 디바이스에서, 홀 도어 버튼 박스는 승강기 홀 도어에서의 벽 상에서 그것을 위해 예약된 공간에 설치될 것이다. 그러므로, 예약된 공간으로의 설치를 위해 홀 도어 버튼 박스 상에 이미 제공된 설치 부분에 매칭되는 고정 구조가 중앙 보드(3)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기존의 홀 도어 버튼 박스의 전기 구성을 조정할 필요는 없으며, 더욱이, 홀 도어 버튼 박스의 전체 기계 구조를 수정할 필요가 없다.
도 4는 전체로서 결합된 후 본 예에서 홀 도어 버튼 박스 및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뒷면은 더 이상 밖에서 보이지 않는 반면, 동작 표면(5)은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여전히 박스(1)의 밖에 있다.
편리한 설명의 목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홀 도어 버튼 박스에 기초한 동작 표면(5)의 좌표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은 "홀 도어 버튼 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예약된 벽 공간"의 폭 방향이고, y-축은 "홀 도어 버튼 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예약된 벽 공간"의 높이 방향이며, x- 축 및 y-축이 위치되는 평면에 수직인 z-축은 "홀 도어 버튼 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예약된 벽 공간"의 깊이 방향이다; 설명의 일관성의 목적을 위해, x-축 방향으로 홀 도어 버튼 박스의 측면의 길이는 폭으로서 언급되며, y-축 방향으로 홀 도어 버튼 박스의 측면의 길이는 여기에서 높이로서 언급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들이 박스(1)의 깊이 방향으로 동작 보드(2)의 전자 디바이스 설치 면 상에서 배열되므로, 홀 도어 버튼 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기존의 예약된 벽 공간의 폭 방향 및 높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는 수정될 필요가 없다.
더욱이,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 보드(2) 상에 배열되며, 즉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상에서 동작 보드(2) 및 그것 상에서의 전자 디바이스들의 돌출부의 최대 길이 및 최대 폭은, 각각,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높이 및 폭보다 작다. 이러한 배열에 기초하여, 그것의 폭 방향 또는 높이 방향으로 홀 도어 버튼 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기존의 예약된 벽 공간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특정한 대표적인 예로서,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모든 디바이스들은 동작 보드의 동일한 면 상에 제공되며, 즉 전자 디바이스 설치 면은 동작 보드의 면이다. 상기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비상 정지 버튼은 전자 디바이스 설치 면의 제1 부분 상에 제공되고,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제동 해제 버튼, 원격 제어 스위치 온-오프 버튼, 및 공개 버튼은 제1 부분에 인접한 제2 부분 상에 제공되고,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비상 전기 동작 스위치 및 소켓은 제2 부분에 인접한 제3 부분 상에 제공되며,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디스플레이는 제3 부분에 인접한 제4 부분 상에 제공된다. 여기에서, 제1 부분은 전자 디바이스 설치 면의 최상위 단부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전자 디바이스의 설치 면의 위에서 아래로, 그것은 각각 제1 부분, 제2 부분,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이다. 특정 예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는 홀 도어 버튼 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기존의 예약된 벽 공간으로 대체로 수용될 수 있다.
동작 보드(2) 및 박스(1) 사이에서의 구조는 제한적 대신에, 대표적인 방식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그것은 박스(1)의 내부 구조를 예시한다. 도 6은 동작 보드(2)가 박스(1)로부터 꺼내어지는 상황을 예시한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의 최상부 면(10)의 내부 표면은 제1 고정 슬라이딩 홈(100)을 구비하며, 박스(1)의 최하부 면(12)의 내부 표면은 제2 고정 슬라이딩 홈(102)을 구비한다. 동작 보드(2)는 제1 확장부(도시되지 않음) 및 제2 확장부(2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확장부 제1 고정 슬라이딩 홈(100)으로 내장되기 위해 동작 보드(2)의 최상부 상에 제공되며, 제2 확장부(22)는 제2 고정 슬라이딩 홈(102)으로 내장되기 위해 동작 보드(2)의 최하부 상에 제공된다. 제1 확장부 및 제2 확장부(22)는 각각, 제1 고정 슬라이딩 홈(100) 및 제2 고정 슬라이딩 홈(102)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하지 않을 때, 그것들은 각각 제1 고정 슬라이딩 홈(100) 및 제2 고정 슬라이딩 홈(102)에 의해 고정된다. 제1 확장부 및 제1 고정 슬라이딩 홈(100)의 결합, 및 제2 확장부(22) 및 제2 고정 슬라이딩 홈(102)의 결합은 유도 레일 및 유도 채널의 결합과 유사하다. 확장부들 및 고정 슬라이딩 홈들의 제공으로, 동작 보드(2)는 박스(1)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것은 박스로부터 꺼내어지며 그것으로 다시 되돌려질 수 있다.
더욱이, 고정 슬라이딩 홈은 개구에 가까운 위치에 정지부를 구비하고, 동작 보드의 확장부는, 중앙 보드로부터 떨어진 그것의 일 단부에, 정지부와의 맞물림을 위해 정지 보조부를 구비한다. 동작 보드가 박스 밖으로 슬라이딩할 때, 예를 들면, 동작 보드가 중앙 보드로부터 가장 먼 단부로 슬라이딩할 때, 정지부 및 정지 보조부는 동작 보드가 계속해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것은 동작 보드가 박스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지부 및 정지 보조부의 설치 위치들은 동작 보드가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추도록 요구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예로서, 정지부는 고정 슬라이딩 홈 상에 형성된 홀이고, 정지 보조부는 탄성 부재이며, 확장부가 박스의 바깥쪽으로 고정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탄성 부재가 홀에 접할 때, 탄성 부재는 압축 상태로부터 회복되며 홀로 끼워진다.
도 6으로 돌아가면, 이러한 상태에서의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관해, 제1 확장부 상에 제공된 탄성 부재(200)는 압축 상태로부터 회복되며 개구에 가까운 제1 고정 슬라이딩 홈(100)의 위치에 위치된 홀(도시되지 않음)로 들어가고, 유사하게 제2 확장부(22) 상에 제공된 탄성 부재(220)는 압축 상태로부터 회복되며 개구에 가까운 제2 고정 슬라이딩 홈(102)의 위치에 위치된 홀(도시되지 않음)로 끼워진다.
도 6을 참조한 상기 대표적인 설명에서, 두 개의 고정 슬라이딩 홈들은 설명을 위해 제공된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단지 하나의 고정 슬라이딩 홈만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상응하여, 단지 하나의 확장부만이 동작 보드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슬라이딩 홈의 설치 위치는 박스(1)의 최상부 면 또는 최하부 면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예로서, 동작 보드의 확장부는 전자 디바이스 설치 면의 반대편에 있는 동작 보드의 면 상에 제공될 수 있는 반면, 고정 슬라이딩 홈은 그에 상응하여 상기 면에 대응하는 박스의 측면의 내부 표면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는 홀 도어 버튼 박스를 수용하기 위해 예약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홀 도어 버튼 박스는 그것 상에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강기는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추가 공간을 열 필요 없이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가 추가로 제공되며, 이것은 상기 예에서 설명된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및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홀 도어 버튼 박스를 포함한다. 홀 도어 버튼 박스 및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의 결합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다. 그 결과, 제공된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 장치가 추가로 제공되며, 이것은 상기 예에서 설명된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상기 설명에서 수반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되었지만,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변경되거나 또는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보다는 단지 예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Claims (18)

  1.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에 있어서,
    개구를 가진 박스;
    위에 전자 디바이스들을 구비하는 동작 보드로서, 전자 디바이스들을 구비하는 상기 동작 보드의 면은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수직이고, 상기 동작 보드는 그것이 상기 개구를 통해 끌어당겨질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박스 안쪽에 배치될 수 있는, 상기 동작 보드; 및
    그것의 제1 측면을 통해, 상기 동작 보드에 고정되는 중앙 보드로서,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평행하는, 상기 중앙 보드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보드의 제2 측면은 승강기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뒷면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뒷면은 승강기 사용자가 동작시킬 상기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동작 측면의 반대편에 있으며,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의 반대편에 있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상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 및 상기 동작 보드의 돌출부의 최대 길이 및 최대 폭은 각각, 상기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높이 및 폭보다 작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 보드는 상기 홀 도어 버튼 박스의 송신 라인들이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것 상에 와이어 홀을 갖고 형성된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수직인 상기 박스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그것 상에 고정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 보드는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으로 내장되고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은 상기 개구에 가까운 위치에 정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 보드의 상기 확장부는, 상기 중앙 보드로부터 떨어진 일 단부에, 상기 정지부와의 맞물림을 위해 정지 보조부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 상에 형성된 홀이고, 상기 정지 보조부는 탄성 부재이며, 상기 확장부가 상기 박스의 바깥쪽으로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홀에 접할 때,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상태로부터 회복되며 상기 홀로 끼워진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모든 디바이스들은 상기 동작 보드의 동일한 면 상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비상 정지 버튼은 상기 면의 제1 부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제동 해제 버튼, 원격 제어 스위치 온-오프 버튼, 및 공개 버튼은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한 제2 부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비상 전기 동작 스위치 및 소켓은 상기 제2 부분에 인접한 제3 부분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에서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제4 부분 상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면의 최상위 단부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11.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에 있어서,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로서:
    개구를 가진 박스;
    위에 전자 디바이스들을 구비하는 동작 보드로서, 전자 디바이스들을 구비하는 상기 동작 보드의 면은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수직이고, 상기 동작 보드는 그것이 상기 개구를 통해 끌어당겨질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박스 안쪽에 배치될 수 있는, 상기 동작 보드; 및
    그것의 제1 측면을 통해, 상기 동작 보드에 고정되는 중앙 보드로서,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평행하는, 상기 중앙 보드를 포함한, 상기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및
    홀 도어 버튼 박스로서, 그것의 뒷면은 상기 중앙 보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 보드가 상기 홀 도어 버튼 박스 및 상기 동작 보드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뒷면은 승강기 사용자가 동작시킬 상기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동작 측면의 반대편에 있는 면인, 상기 홀 도어 버튼 박스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상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 및 상기 동작 보드의 돌출부의 최대 길이 및 최대 폭은 각각, 상기 홀 도어 버튼 박스의 높이 및 폭보다 작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중앙 보드는 상기 홀 도어 버튼 박스의 송신 라인들이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것 상에 와이어 홀을 갖고 형성된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
  14.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위치되는 평면에 수직인 상기 박스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그것 상에 고정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 보드는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으로 내장되고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은 상기 개구에 가까운 위치에 정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동작 보드의 상기 확장부는 상기 중앙 보드로부터 떨어진 일 단부에, 상기 정지부와의 맞물림을 위해 정지 보조부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 상에 형성된 홀이고, 상기 정지 보조부는 탄성 부재이며, 상기 확장부가 상기 박스 밖으로 상기 고정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홀을 접할 때,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상태로부터 회복되며 상기 홀로 끼워진다는 점에서 특성화되는,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승강기 장치.
  18.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승강기 동작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승강기 장치.
KR1020187006450A 2015-08-07 2016-08-05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KR102674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79452.7 2015-08-07
CN201510479452.7A CN106429670B (zh) 2015-08-07 2015-08-07 电梯紧急操作装置
PCT/US2016/045824 WO2017027394A1 (en) 2015-08-07 2016-08-05 Elevator emergency oper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491A true KR20180038491A (ko) 2018-04-16
KR102674823B1 KR102674823B1 (ko) 2024-06-14

Family

ID=5669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450A KR102674823B1 (ko) 2015-08-07 2016-08-05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74928B2 (ko)
EP (1) EP3331797B1 (ko)
KR (1) KR102674823B1 (ko)
CN (1) CN106429670B (ko)
WO (1) WO2017027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5101A (zh) * 2017-12-06 2018-04-17 田园 一种易于安装维护的一体化电梯操纵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022A (ja) 1996-07-11 1998-02-10 Otis Elevator Co ホームエレベーターの点検用制御盤の取付構造
JPH1087206A (ja) 1996-09-18 1998-04-0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HU222035B1 (hu) 1997-03-06 2003-03-28 Inventio Ag. Kapcsolótábla felvonófülke részére
JP2000318940A (ja) 1999-05-11 2000-11-2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操作盤
WO2001027013A1 (fr) 1999-10-07 2001-04-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eil de commande de maintenance/d'exploitation d'ascenseur
JP4552255B2 (ja) 2000-03-01 2010-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用運転操作盤
ITMI20010728A1 (it) 2001-04-05 2002-10-05 I G V Spa Azionamento oleodinamico per ascensori e montacarichi con centralina bel vano corsa
WO2003020626A1 (fr) 2001-08-28 2003-03-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Bloc de fonctionnement, etage d'appontement et cabine de monte-charge le comprenant
JP2003335475A (ja) 2002-05-15 2003-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装置
GR1004452B (el) * 2002-11-15 2004-02-17 Kleemannαhellasααβεεαα Περιστρεφομενηαδιαταξηαπινακαααυτοματισμουακαιακομβιοδοχουαοροφουαυδραυλικουαανελκυστηρα
AU2003278050A1 (en) 2002-11-18 2004-06-15 Inventio Ag Elevator control unit integrated into a door jamb
JP4434572B2 (ja) 2002-11-29 2010-03-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操作盤
ZA200406979B (en) 2003-09-29 2005-09-28 Inventio Ag Door frame of a shaft door with a control arrangement for a lift shaft and method for access to a control unit
JP2010208724A (ja) 2009-03-09 2010-09-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保全装置
EP2530043A1 (de) 2011-05-30 2012-12-05 Inventio AG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EP2530044A1 (de) 2011-05-30 2012-12-05 Inventio AG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CN202924502U (zh) * 2012-10-31 2013-05-08 蒂森克虏伯家用电梯(上海)有限公司 用于家用电梯控制系统的控制柜
US9573791B2 (en) * 2013-02-13 2017-02-21 Kone Corporation Elevators and elevator arrangements with maintenance cabinet in landing wall
JP2015044677A (ja) 2013-08-28 2015-03-1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保守点検装置
JP5847223B2 (ja) 2014-03-10 2016-01-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表示システム
CN104176573A (zh) 2014-08-07 2014-12-03 江苏蒙哥马利电梯有限公司 一种无机房电梯的分体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7394A1 (en) 2017-02-16
CN106429670B (zh) 2021-02-09
CN106429670A (zh) 2017-02-22
US10974928B2 (en) 2021-04-13
EP3331797B1 (en) 2021-01-06
US20190002236A1 (en) 2019-01-03
KR102674823B1 (ko) 2024-06-14
EP3331797A1 (en) 2018-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506B1 (ko)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JP5502642B2 (ja) 電子機器の仮止め構造
JP6271079B2 (ja) エレベータの操作盤
KR20180038491A (ko) 승강기 비상 동작 디바이스
JP5856124B2 (ja) 制御装置取替方法および制御装置用架台
JP6687733B2 (ja) エレベーター
KR101375034B1 (ko) 배전반용 손잡이
JP5836839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の設置構造
US20210309343A1 (en) Fastening system, monument and method for attaching a fixture to a monument
EP3037610A1 (en) Locking device
JP6643136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操作装置
WO2020049610A1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囲い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乗場囲い装置のパネル
JP5082465B2 (ja) 回路遮断器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6735087B2 (ja) 戸装置のエントランスパネル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方法
JP2009149424A (ja) エレベータ制御盤
JP5930199B2 (ja) エレベータ用操作表示器
ITVI20110126A1 (it) Involucro scatolare per pulsantiera di comando di un impianto elettrico
CN208272225U (zh) 一种面板组装结构
JP2012110223A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ー
KR20110052927A (ko) 시스템 박스
KR100818972B1 (ko) 판넬 잠금장치
JP2010130769A (ja) 電設用取付体
CN111094162B (zh) 电梯的发光装置
CN208271769U (zh) 一种免工具拆装结构、开关电器结构及插座结构
JP6422402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シグナ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