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164A -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164A
KR20180038164A KR1020160128891A KR20160128891A KR20180038164A KR 20180038164 A KR20180038164 A KR 20180038164A KR 1020160128891 A KR1020160128891 A KR 1020160128891A KR 20160128891 A KR20160128891 A KR 20160128891A KR 20180038164 A KR20180038164 A KR 20180038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body
gasket
substrate
front body
len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8046B1 (ko
Inventor
박제경
전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8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046B1/ko
Priority to US16/339,666 priority patent/US11140300B2/en
Priority to JP2019518258A priority patent/JP7178993B2/ja
Priority to EP17858705.1A priority patent/EP3525444B1/en
Priority to PCT/KR2017/010908 priority patent/WO2018066911A1/ko
Priority to CN201780061817.1A priority patent/CN109792483B/zh
Publication of KR2018003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4
    • H04N5/2257

Abstract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며, 측면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프런트바디;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 후방에 배치되는 기판부;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하며 상기 기판부를 수용하는 리어바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가 결합되는 융착부; 상기 융착부와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 및 상기 리어바디와 접촉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플랜지부의 전방면은 평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MODU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기기 및 장치들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차량 부품의 고도화 및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카메라 모듈이 결합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에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와 블랙박스 등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내구성, 방수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나아가 열화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방열성도 확보되어야 한다.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렌즈배럴이 위치하는 프런트바디와 내부에 기판부(PCB, Printed Circuit Board) 및 이미지 센서 등 전자부품이 위치하는 리어바디가 결합된 형태이다.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의 재질로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이 사용된다.
금속 재질의 경우, 가격이 비싸고(플라스틱의 약 10배), 커버와 바디를 스크류 체결하므로 이를 위한 스크류홈이 추가로 필요하여 기판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플라스틱 재질은 재료비가 저가이고,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를 융착하여 결합하므로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한 하우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은, 커버와 바디의 융착 부분에 결로가 발생하여 내부 침습(浸濕)에 의해 고가의 전자 부품이 고장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전자부품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침습(浸濕)과 결로(結露, Dewing)를 차단하여 전자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며, 측면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프런트바디;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 후방에 배치되는 기판부;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하며 상기 기판부를 수용하는 리어바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가 결합되는 융착부; 상기 융착부와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 및 상기 리어바디와 접촉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플랜지부의 전방면은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에는 하단이 상단보다 들어간 단차가 위치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단차의 하단을 감쌀 수 있다.
상기 리어바디에는 상기 리어바디의 내부로 돌출된 가스켓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가스켓지지부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상기 평면에는 상기 융착부를 수용하는 융착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융착부는 레이저 융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융착부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가스켓의 표면의 최단거리는 2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는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링형태이고, 고무재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은, 프런트바디와 가스켓을 결합하는 단계; 리어바디에 기판부를 수용하는 단계;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를 정렬하여 밀착하는 단계;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를 융착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며, 측면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프런트바디;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부;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하는 상기 리어바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가 결합되는 융착부; 상기 융착부와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 및 상기 리어바디와 접촉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플랜지부의 전방면은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플라스틱 재질의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가 융착에 의해 결합하므로 내부공간이 넓어 충분한 전자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나아가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 사이에 개재되어 압착되는 가스켓이 추가되므로 침습(浸濕)과 결로(結露, Dewing)를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가스켓의 표면과 융착부간에 안전거리를 확보되므로, 융착시 가스켓이 열화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3은 본 발명의 카메라 하우징을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 하우징이 융착되는 것을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판부와 쉴드캔과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카메라 하우징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카메라 하우징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상하 방향"은 도면에서 도시된 X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상방"은 X축의 화살표 방향이다. 또, "좌우 방향"은 도면에서 도시된 Y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좌측"은 Y축의 화살표 방향이다. 또, "전후 방향"은 도면에서 도시된 Z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후방"은 Z축의 화살표 방향이다. 또, "광축 방향"은, 렌즈배럴(100)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전후 방향", Z축 방향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0)과 카메라 하우징(1100)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0)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카메라 하우징(1100)을 나타낸 수직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 하우징(1100)이 레이저 융착되는 것을 나타낸 수직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기판부(500)와 쉴드캔(600)과 커넥터(70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배럴(100), 프런트바디(200), 가스켓(300), 이미지센서(400), 기판부(500), 쉴드캔(600), 커넥터(700) 및 리어바디(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1100)은 프런트바디(200), 가스켓(300) 및 리어바디(8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후술하는 프런트바디(200)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프런트바디(200)의 렌즈배럴수용부(210)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렌즈배럴수용부(210)의 렌즈배럴홀(211)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렌즈배럴수용부(210)의 렌즈배럴홀(211)에 수용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렌즈배럴수용부(210)와 나사결합하거나 접착될 수 있다. 렌즈배럴(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배럴(100)은 광축을 가질 수 있다. 렌즈배럴(100)을 통과한 광은 후술하는 이미지센서(400)에 조사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외장재로 카메라 하우징(1100)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후술하는 리어바디(8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리어바디(800)의 개구(810)를 덮을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레이저 투과성 플라스틱 재질 또는 레이저 투과성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에 카본 또는 금속이 추가되면 방열성, 내구성, 전자기차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카본 또는 금속의 비율이 너무 높으면 융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과 카본 또는 금속의 비율을 적절히 트레이드 오프(trade-off)해야 한다.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는 융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융착은 가압 상태에서 레이저 융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에는 렌즈배럴(100)이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에는 가스켓(300)이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는 렌즈배럴수용부(210), 평면(220) 및 플랜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수용부(210)와 평면(220)과 플랜지부(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배럴수용부(210)에는 렌즈배럴홀(211)이 위치할 수 있다. 렌즈배럴수용부(210)는 중공의 원통형태로 중앙에는 이를 관통하는 렌즈배럴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배럴홀(211)에는 렌즈배럴(100)이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렌즈배럴수용부(210)의 후방부에는 평면(220)이 위치할 수 있다. 렌즈배럴수용부(210)와 평면(220)은 플라스틱 또는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사출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평면(220)은 렌즈배럴수용부(210)의 후방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평면(220)은 후술하는 융착부(8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220)은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중앙에는 렌즈배럴수용부(210)에서 연장된 렌즈배럴홀(2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렌즈배럴홀(211)은 렌즈배럴수용부(210)와 평면(220)을 관통할 수 있다. 평면(220)은 후술하는 리어바디(8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평면(220)은 리어바디(800)를 커버하여(덮어) 리어바디(800)의 개구(810)를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은 개구(810)를 통해 렌즈배럴홀(211)과 연통될 수 있다. 다만, 평면(220)의 형태가 상술한 플레이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평면(220)의 형태로는, 리어바디(800)를 커버하고, 렌즈배럴홀(211)과 연통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든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220)은 "커버부재"로 호칭될 수 있다.
평면(220)은 융착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220)의 후방면 외측 둘레를 따라 융착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융착홈(221)은 후술하는 리어바디(800)의 융착부(830)와 접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융착홈(221)의 파인 형상은 융착부(830)와 일치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융착홈(221)에는 융착부(830)가 수용될 수 있다. 융착홈(221)의 내측면과 융착부(830)의 외측면은 접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후술하는 레이저 융착이 이루어져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가 결합할 수 있다.
플랜지부(230)는 평면(2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플랜지부(230)는 중공이고, 높이가 낮은 사면체 형태로 중앙에는 이를 관통하는 렌즈배럴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배럴홀(211)은 렌즈배럴수용부(210), 평면(220) 및 플랜지부(230)를 차례로 관통할 수 있다. 즉, 렌즈배럴홀(211)은 프런트바디(200)에 코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은 개구(810)를 통해 렌즈배럴홀(211)과 연통될 수 있다. 플랜지부(230)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230)에는 하단(후방단)이 상단(전방단)보다 내측으로 들어간 단차가 위치할 수 있다.
플랜지부(230)에는 가스켓(300)이 끼임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230)는 링 형태의 가스켓(300)을 관통할 수 있고, 플랜지부(230)의 측면 둘레를 따라 가스켓(300)이 위치할 수 있다. 또,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방단에 가스켓(300)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300)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방단의 측면 둘레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즉, 가스켓(300)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방단을 감쌀 수 있다. 나아가 가스켓(300)의 윗면은 전방단의 아랫면과 접할 수 있다.
가스켓(300)은 카메라 하우징(1100)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가스켓(300)은 탄성재질일 수 있다. 가스켓(300)은 고무재질일 수 있다. 가스켓(300)은 사각의 링형태로 플랜지부(230)에 끼임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230)는 가스켓(300)을 관통할 수 있다. 나아가 가스켓(300)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방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300)의 전면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방단의 후방면과 접할 수 있다. 가스켓(300)은 프런트커버(200)와 리어바디(800)의 결합시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300)의 후방면은 후술하는 프런트바디(800)의 가스켓지지부(840)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의 결합 후 가스켓(300)의 전방면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방단의 후방면과 접하고, 가스켓(300)의 후방면은 가스켓지지부(840)와 접하고, 가스켓(300)의 외측면은 바디(800)의 내측면과 접하고, 가스켓(300)의 내측면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방단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300)은 리어바디(800)를 밀폐할 수 있다. 나아가 프런트커버(200)와 리어바디(800)는 전후방향으로 결합하므로, 가스켓(300)은 특히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단과 가스켓지지부(840)의 결합압력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스켓(300)의 밀폐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400)는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400)는 후술하는 기판부(5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400)는 기판부(500)의 전방부에 위치한 제1기판(510)의 전방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400)는 렌즈배럴(100)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센서(400)는 렌즈배럴(100)을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센서(400)는 조사되는 광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4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센서(40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부(500)는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기판부(500)는 프런트바디(200)나 리어바디(800)와 스크류결합하여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부(500)는 프런트바디(200)나 리어바디(800)와 접착하여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부(500)는 후술하는 쉴드캔(600)에 감싸여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부(500)의 전방단에는 이미지센서(400)가 실장될 수 있다. 기판부(500)의 후방단에는 커넥터(700)가 실장될 수 있다. 기판부(500)는 서로 이격되어 적층된 제1기판(510), 제3기판(530) 및 제1기판(510)과 제3기판(530)을 연결하는 제2기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제3기판(530)과 이격되어 기판부(500)의 최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제3기판(530)과 제2기판(5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의 윗면에는 이미지센서(400)가 실장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쉴드캔(6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판(510)의 네변은 쉴드캔(6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후술하는 측면캔(610)의 제1기판지지부(6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의 윗부분은 제1기판지지부(611)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프런트바디(200)의 후방부와 스크류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프런트바디(200)의 후방부에 접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의 전방면에는 이미지센서(400)가 실장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는 호 또는 원 형태로 파인 스크류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미도시)는 스크류홈(511)을 관통하여 제1기판(510)을 프런트바디(200)의 후방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기판(510)은 스크류의 결합압력에 의해서 프런트바디(2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기판(510)은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1기판(510)은 카메라 모듈(1000)을 전자제어할 수 있다. 제1기판(510)의 네 변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접지단(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기판(510)의 잔류전자기는 쉴드캔(600)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제2기판(520)은 제1기판(510)과 제3기판(530) 사이에 위치하여 제1기판(510)과 제3기판(530)을 연결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의 전자제어를 위해서는 일정 면적 이상의 기판이 필요하나 차량용 카메라의 설계상 요청에 의해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의 단면은 이보다 작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기판(510)과 제3기판(530)과 같이, 복수 개의 기판을 적층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복수 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2기판(520)과 같은 연결기판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는 스크류가 아닌 레이저 융착에 의해 결합하므로 기판부(5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을 최대한으로 마련할 수 있다. 제2기판(520)은 전후방향으로 세워진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그 결과, 제2기판(520)의 전방변에는 만곡된 제1기판연결부(521)가 위치하고, 제2기판(520)의 후방변에는 만곡된 제3기판연결부(522)가 위치할 수 있다. 제1기판연결부(521)는 제1기판(510)의 아래에 위치한 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판연결부(521)의 단자와 제1기판(510)의 아래에 위치한 변에 배치된 단자가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기판연결부(522)는 제3기판(530)의 아래에 위치한 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기판연결부(522)의 단자와 제3기판(530)의 아래에 위치한 변에 배치된 단자가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기판(520)은 후술하는 측면캔(610)의 제2기판걸림부(612)를 외측(아래)으로 넘어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기판은(520)의 내측 이동은 제2기판걸림부(61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제3기판(530)은 제1기판(510)과 이격되어 기판부(500)의 최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3기판(530)은 제1기판(510)과 제2기판(5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3기판(530)의 아랫면에는 후술하는 커넥터(700)가 실장될 수 있다. 제3기판(530)은 쉴드캔(6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기판(530)의 네 변은 쉴드캔(6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제3기판(530)은, 제3기판돌출부(531)가 후술하는 측면캔(610)의 제3기판걸림홈(613)에 끼워져, 측면캔(6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기판돌출부(531)는 제1기판(510)의 우측변과 좌측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돌기형태일 수 있다. 제3기판돌출부(531)는 제3기판걸림홀(613)에 삽입되어 제3기판(530)에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 제3기판(530)은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3기판(530)은 카메라 모듈(1000)을 전자제어할 수 있다. 제3기판(530)의 네 변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접지단(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제3기판(530)의 잔류전자기는 쉴드캔(600)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쉴드캔(600)은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쉴드캔(600)의 외측면은 리어바디(8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쉴드캔(600)의 내부에는 기판부(500)가 수용될 수 있다. 쉴드캔(600)의 내부의 최상부에는 기판부(500)에 실장된 이미지센서(400)가 위치할 수 있다. 쉴드캔(600)의 후방부에는 쉴드캔(600)의 후방면을 관통하는 커넥터(700)가 위치할 수 있다. 쉴드캔(600)은 전방이 개방된 블럭 형태일 수 있다. 그 결과, 렌즈배럴(100)을 투과한 광은 이미지센서(400)에 조사될 수 있다. 쉴드캔(600)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쉴드캔(600)은 금속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쉴드캔(600)은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쉴드캔(600)은 외부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기판부(5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부(500)는 쉴드캔(600)에 접지되어 있으므로 기판부(500)에 남아있는 잔류전자기는 쉴드캔(60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 결과, 기판부(500)는 전자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쉴드캔(6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쉴드캔(600)은 측면캔(610)과 후방캔(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캔(610)과 후방캔(620)은 조립될 수 있다. 다만, 측면캔(610)과 후방캔(620)은 일체로 형성(미도시)될 수도 있다.
측면캔(610)은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캔(610)의 외측면은 리어바디(8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측면캔(610)의 후방에는 후방캔(620)이 위치할 수 있다. 측면캔(610)의 내부에는 기판부(500)가 수용될 수 있다. 측면캔(610)은 중공의 직육면체일 수 있다. 측면캔(610)의 전방과 후방은 개방될 수 있다. 그 결과, 측면캔(610)은 쉴드캔(6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측면캔(610)의 윗방향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1기판지지부(611)가 위치할 수 있다. 제1기판지지부(611)는 제1기판(510)의 후방면의 윗부분과 접하여 제1기판(510)을 지지할 수 있다. 측면캔(610)의 아래에 위치한 면부분에는 제2기판걸림부(612)가 위치할 수 있다. 제2기판걸림부(612)는 측면캔(610)의 다른면보다 단면적이 작을 수 있다. 즉, 제2기판걸리부(612)는 평면형태의 바(Bar)일 수 있다. 제2기판걸림부(612)의 외측(아래방향)에는 제2기판(520)이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불시의 외력에 의해 제2기판(520)이 위로 이동하는 경우, 제2기판걸림부(612)에 걸려 제동될 수 있다. 측면캔(6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제3기판걸림홀(613)과 후방캔걸림홀(6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3기판걸림홀(613)의 형상은 상술한 제3기판돌출부(531)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3기판돌출부(531)는 제3기판걸림홀(613)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기판(530)은 측면캔(6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3기판걸림홀(613)의 위상은 제1기판지지부(611)의 위상보다 낮으므로 제3기판(530) 제1기판(5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후방캔걸림홀(614)의 형상은 후술하는 후방캔돌출부(621)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캔돌출부(621)는 후방캔걸림홀(614)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후방캔(620)은 측면캔(610)에 조립되어 측면캔(610)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제3기판걸림홀(613)과 후방캔걸림홀(61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캔(620)은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캔(620)의 외측면은 리어바디(8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후방캔(620)의 전방에는 측면캔(610)이 위치할 수 있다. 후방캔(620)의 후방에는 후방캔(620)의 후방면을 관통한 커넥터(700)가 위치할 수 있다. 후방캔(620)의 후방면에는 커넥터관통홀(622)이 형성될 수 있고, 커넥터(700)는 커넥터관통홀(622)을 통해 후방캔(620)의 후방면을 관통할 수 있다. 후방캔(620)은 평판플레이트와 이의 네변 각각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캔(620)의 전방부와 전후 방향 모서리는 개방될 수 있다. 후방캔(620)의 좌우 측면 상단 중앙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후방캔돌출부(621)가 형성될 수 있다. 후방캔돌출부(621)는 후방캔걸림홀(61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캔(620)의 측면은 측면캔(610)에 고정되어 측면캔(610)의 후방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 결과, 후방캔(620)은 쉴드캔(600)의 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700)는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커넥터(700)는 기판부(500)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700)는 제3기판(530)의 후방면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700)는 원통 형태로 전면에 단자가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700)의 단자는 제3기판(530)의 후방면에 형성된 단자와 솔더링되어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700)는 커넥터관통홀(622)을 통해 후방캔(620)을 관통할 수 있다. 후방캔(620)을 관통한 커넥터(700)는 후술하는 리어바디(800)의 커넥터수용부(850)에 수용될 수 있다. 커넥터(700)는 케이블(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은 외부의 전자기기와 카메라 모듈(1000)을 연결하는 도전라인일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0)에서 출력된 이미지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자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0)이 촬영한 이미지신호는 외부의 전자기기에 의해 저장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 외부의 전자기기는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 모듈(10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외부의 전자기기는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 모듈(1000)에 제어신호를 보내 카메라 모듈(1000)을 제어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는 외장재로 카메라 하우징(1100)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리어바디(800)는 후술하는 프런트바디(2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는 후방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벽(820)에 의해 전방이 개구된 중공의 직육면체형태일 수 있다. 리어바디(800)의 개구(810)는 프런트바디(2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다만, 프런트바디(200)의 렌즈배럴홀(211)은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는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는 레이저 흡수성 플라스틱 재질 또는 레이저 흡수성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와 프런트바디(200)는 융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융착은 가압 상태에서 레이저 융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는 프런트바디(200)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프런트바디(200)의 일부분은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런트바디(200)의 플랜지부(23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300)의 내측면은 플랜지부(230)와 접하고, 가스켓(300)의 외측면은 리어바디(800)의 측벽(820)의 전방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그 결과,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은 가스켓(30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리어바디(800)의 측벽(820)의 전면의 내측에는, 측벽(820) 둘레를 따라 위로 돌출된, 융착부(830)가 위치할 수 있다. 융착부(830)는 직육면체가 측벽(8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융착부(830)는 융착홈(221)과 대응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융착부(830)는 리어바디(800)와 프런트바디(200)의 결합시 융착홈(221)에 수용될 수 있다.
리어바디(800)에는 리어바디(800)의 내부로 돌출된 가스켓지지부(840)가 위치할 수 있다. 리어바디(800)의 측벽(820)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가스켓지지부(840)가 위치할 수 있다. 가스켓지지부(840)는 단턱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가스켓지지부(840)는 가스켓(300)의 후면과 접하여 가스켓(300)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300)의 전면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단의 후면과 접하고, 가스켓(300)의 후방면은 가스켓지지부(840)의 전방면과 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어바디(800)와 프런트바디(200)는 가압상태에서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결합시 가스켓(300)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단과 가스켓지지부(840)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300)에는 전후방 압착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의 팽창압력이 발생한다. 가스켓(300)의 내측면은 플랜지부(230)와 접하고, 가스켓(300)의 외측면은 측벽(820)의 전방부 내측면과 접하는 상태에 있으므로, 상술한 상하좌우 방향 팽창압력에 의해 가스켓(300)의 접합력이 향상된다. 그 결과, 가스켓(300)의 밀폐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리어바디(800)의 후방면에는 커넥터수용부(850)가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수용부(850)는 리어바디(800)의 후방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커넥터수용부(850)에는 커넥터(700)가 수용되어 외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리어바디(800)의 융착부(830)에는 레이저조사부(860)가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하지만 레이저융착기(90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광은 평면(220)을 투과하여 융착부(830)에 조사된다. 레이저조사부(860)는 융착부(830)에서 평면(220)을 투과한 레이저광이 최초로 도달하는 지점이다. 좀 더 상세하게 레이저조사부(860)의 위치를 특정하면, 융착부(830)의 전면에서 폭 방향 중앙지점일 수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레이저융착기(900)는 융착부(830)를 따라 이동하면서 레이저광을 조사하므로 융착부(830)의 전면에서 융착부(830)를 따라 위치하는 융착부(830)의 폭방향 중앙지점일 수 있다. 레이저조사부(860)에 조사된 레이저광은 융착부(830)를 가열하여 융착부(830)와 융착부(830)에 대향하는 평면(2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융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융착부(830)와 융착홈(221)일 수 있다. 이러한 융착은 융착부(830)의 레이저조사부(860)와 융착홈(221)에서 레이저조사부(860)와 대향하는 지점에서부터 시작된다.
한편, 레이저 융착이란 레이저광을 투과재(본 발명에서는 평면(220), 좀 더 상세하게는 융착홈(221))에 조사하면 레이저광이 흡수재(본 발명에서는 융착부(830))로 투과되어 발열한다. 이 경우, 흡수재의 용융열이 투과재의 표면을 가열 용융하게 되어 투과재와 흡수재의 소재가 서로 용융되면서 양재료가 융합된다. 나아가 이러한 과정이 가압상태에서 진행되면 융착 강도가 높아진다.
레이저융착과정 중 레이저조사부(860)에서 발생하는 열은 인근의 가스켓(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가스켓(300)은 탄성고무재질로 내열성이 떨어진다. 그 결과, 가스켓(300)이 열화에 의해 손상되어 밀폐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조사부(860)와 가스켓(300)의 표면의 최단거리(a, 도 4 참조)는 2mm 이상일 수 있다. 즉, 융착부(830)의 단차를 확보하여 가스켓(300)이 열화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하,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의 제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의 제조 방법은 프런트바디(200)와 가스켓(300)을 결합하는 단계(S1, 제1단계)와 리어바디(800)에 기판부(500)를 수용하는 단계(S2, 제2단계)와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를 정렬하여 밀착시키는 단계(S3, 제3단계)와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를 융착하여 카메라 모듈(1000)을 제조하는 단계(S4,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제1단계(S1)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1단계(S1)는 커버(200)에 가스켓(300)을 결합하는 단계로 플랜지부(230)에 가스켓(300)을 끼임결합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단에 가스켓(300)을 끼임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300)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플랜지부(230)에 진입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랜지부(230)는 가스켓(300)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가스켓(300)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후단의 둘레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300)의 내측면은 플랜지부(230)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다. 또, 가스켓(300)의 전면은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단의 후방면에 접할 수 있다.
제2단계(S2)는 리어바디(800)에 기판부(500)를 수용하는 단계로, 리어바디(800)의 내부공간에 기판부(500)를 내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부(500)는 리어바디(800)와 끼임결합할 수 있다. 또, 기판부(500)는 리어바디(800)와 접착할 수 있다. 또, 기판부(500)를 인서트몰딩하여 기판부(500)가 밀착된 리어바디(800)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변형례에서는 기판부(500)가 프런트바디(200)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단계(S2)는 프런트바디(200)에 기판부(500)를 결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6b는 제3단계(S3)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3단계(S3)는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를 정렬하여 밀착시키는 단계로, 우선, 프런트바디(200)의 융착홈(221)과 리어바디(800)의 융착부(830)가 대향하도록 정렬시킨다. 그 후, 프런트바디(200) 및/또는 리어바디(8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리어바디(800)의 융착부(830)가 프런트바디(200)의 융착홈(221)에 삽입되어 끼임결합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런트바디(200)는 리어바디(800)의 개구(810)를 커버할 수 있다. 또, 융착부(830)는 융착홈(221)에 접할 수 있다. 또, 가스켓(300)의 외측면은 리어바디(800)의 측면(820)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또, 가스켓(300)의 후면은 리바디(800)의 가스켓지지부(840)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300)은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의 결합압력에 영향받는다. 즉, 가스켓(300)은 평면(220)의 플랜지부(230)의 단차의 전단과 가스켓지지부(840)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도 6c는 제4단계(S4)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4단계(S4)는 프런트바디(200)와 리어바디(800)를 레이저융착시키는 단계이다. 레이저융착기(900)는 고출력 다이오드 레이저(High Power Diode Laser, HPDL)를 출사할 수 있다. 레이저융착기(900)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레이저를 출사할 수 있다. 레이저융착기(900)는 프런트바디(200)의 전방에서 레이저를 출사할 수 있다. 레이저융착기(900)는 융착부(830)를 따라 이동하면서 레이저를 출사할 수 있다. 레이저광은 프런트바디(200)를 투과하여 융착부(830)의 레이저조사부(860)에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융착부(830)와 이와 대향하는 평면(220)(본 실시예에서는, 융착홈(221))은 융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카메라 모듈 1100: 카메라 하우징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며, 측면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프런트바디;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 후방에 배치되는 기판부;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하며 상기 기판부를 수용하는 리어바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가 결합되는 융착부; 및
    상기 융착부와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 및 상기 리어바디와 접촉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플랜지부의 전방면은 평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하단이 상단보다 들어간 단차가 위치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단차의 하단을 감싸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바디에는 상기 리어바디의 내부로 돌출된 가스켓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가스켓지지부에 의해 압착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에는 상기 융착부를 수용하는 융착홈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레이저 융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융착부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가스켓의 표면의 최단거리는 2mm 이상인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는 카본 또는 금속이 혼합된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링형태이고, 고무재질인 카메라 모듈.
  9. 프런트바디와 가스켓을 결합하는 단계;
    리어바디에 기판부를 수용하는 단계;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를 정렬하여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를 융착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며, 측면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프런트바디;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부;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하는 상기 리어바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가 결합되는 융착부; 및
    상기 융착부와 이격되고, 상기 프런트바디와 상기 리어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런트바디 및 상기 리어바디와 접촉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플랜지부의 전방면은 평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KR1020160128891A 2016-10-06 2016-10-06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KR102618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91A KR102618046B1 (ko) 2016-10-06 2016-10-06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US16/339,666 US11140300B2 (en) 2016-10-06 2017-09-29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JP2019518258A JP7178993B2 (ja) 2016-10-06 2017-09-29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製造方法
EP17858705.1A EP3525444B1 (en) 2016-10-06 2017-09-29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PCT/KR2017/010908 WO2018066911A1 (ko) 2016-10-06 2017-09-29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CN201780061817.1A CN109792483B (zh) 2016-10-06 2017-09-29 相机模块及相机模块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91A KR102618046B1 (ko) 2016-10-06 2016-10-06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164A true KR20180038164A (ko) 2018-04-16
KR102618046B1 KR102618046B1 (ko) 2023-12-27

Family

ID=6208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891A KR102618046B1 (ko) 2016-10-06 2016-10-06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0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9357A (zh) * 2018-04-19 2019-10-29 韩商未来股份有限公司 使用具有被摄体眼睛保护功能的光源的相机
KR20190122014A (ko) * 2018-04-19 2019-10-29 (주)미래컴퍼니 히트싱크가 일체화된 렌즈베이스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CN112466859A (zh) * 2019-09-09 2021-03-09 苹果公司 频闪模块、电子设备和将模块接合到电连接器的方法
KR20230054142A (ko) * 2021-10-15 2023-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635A (ja) * 2002-04-30 2003-11-14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素子ユニット
US20150205186A1 (en) * 2014-01-20 2015-07-23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20150104786A (ko) *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세코닉스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04316A (ko) * 2015-02-26 2016-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635A (ja) * 2002-04-30 2003-11-14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素子ユニット
US20150205186A1 (en) * 2014-01-20 2015-07-23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20150104786A (ko) *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세코닉스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04316A (ko) * 2015-02-26 2016-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9357A (zh) * 2018-04-19 2019-10-29 韩商未来股份有限公司 使用具有被摄体眼睛保护功能的光源的相机
KR20190122014A (ko) * 2018-04-19 2019-10-29 (주)미래컴퍼니 히트싱크가 일체화된 렌즈베이스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CN112466859A (zh) * 2019-09-09 2021-03-09 苹果公司 频闪模块、电子设备和将模块接合到电连接器的方法
KR20230054142A (ko) * 2021-10-15 2023-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835846B2 (en) 2021-10-15 2023-12-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046B1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5444B1 (en)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CN107565246B (zh) 连接器模块及使用该连接器模块的车载照相机
KR20180038164A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KR20180123097A (ko) 어레이 이미징 모듈, 성형 감광성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090128684A1 (en) Method for Assembling a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US10288831B2 (en) Method for assembling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lens unit
GB2413435A (en) Camera lens modul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11178322B2 (en) Camera module and automobile
KR102478903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190027078A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7670064B2 (en) Optical module and optical system
KR102596540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US11159704B2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US10098267B1 (en) Housing for a camera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16762039A (zh) 传感器模块
KR20180038165A (ko) 카메라 모듈
KR20200037498A (ko) 카메라
KR102645802B1 (ko) 카메라 모듈
KR102500367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200076347A (ko) 카메라 모듈
KR102619128B1 (ko) 카메라 모듈
WO2021161919A1 (ja) センサモジュール
EP4231093A1 (en) Camera module
CN116635220A (zh) 传感器模块
KR20190025331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