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977A - 지보부재,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지보부재,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977A
KR20180037977A KR1020187004080A KR20187004080A KR20180037977A KR 20180037977 A KR20180037977 A KR 20180037977A KR 1020187004080 A KR1020187004080 A KR 1020187004080A KR 20187004080 A KR20187004080 A KR 20187004080A KR 20180037977 A KR20180037977 A KR 20180037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crete panel
panel
vertical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 사이하라
Original Assignee
세이 사이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 사이하라 filed Critical 세이 사이하라
Publication of KR2018003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04G11/12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of elements and beams which are mounted during erection of the shuttering to brace or couple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n insulating foam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going through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1One-piece elements
    • E04G17/0654One-piece elemen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82Mixed technique using permanent and reus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88Scaffoldings or removable supports therefor

Abstract

형틀의 조립과 분해가 쉬워 반복 사용 가능한 지보부재,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을 제공한다. 콘크리트 패널(12)의 횡폭(W)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가로살(71)과 콘크리트 패널(12)의 높이(V)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세로살(72)과 각각 평행한 복수의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이 격자상으로 조합된 교점(73)을 관통하여 캐비티(20) 내부방향으로 계지하는 볼트·너트구성(60)을 구비하고, 교점(73)에 관한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의 적어도 어느 쪽에는 각각 대면하는 상대 살의 두께(Q)의 일부 또는 전부와 폭(P)을 수용하여 감착 가능한 요부(R)를 설치하고, 가로살(71) 및 세로살(72)는 구형강 또는 동등 형상의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격자상으로 조합된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은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에 각각 등간격으로 접촉한다.

Description

지보부재,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
본 발명은 지보부재,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및 콘트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철근조(筋組)나 철골을 둘러싸서 마주보게 하여 설치되는 형틀 패널을 지지하는 지보부재 및 그 지보부재를 이용하여 콘트리트 타설용 형틀, 더욱이 그 콘트리트 타설용 형틀에 의해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공간부(이하 「캐비티」라 한다)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하 간단히 「콘크리트 구조물」이라 한다)을 건조(建造)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建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2015년 7월 31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5-152122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원용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건조물의 형성공법은 일반적으로 철근을 조합하는 배근공정과, 배근을 둘러싸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틀 패널을 대향 설치하는 형틀조공정과, 형틀 패널 간에 구성한 캐비티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콘크리트 타설공정을 가지고 있고, 소정의 양생기간을 경과한 후에 형틀 패널을 해체하는 공정 후 기둥, 대들보, 벽 또는 슬래브 등의 각 콘크리트 골조부위를 형성한다. 종래 공법에서는 이와 같이 각 콘크리트 골조부위를 형성할 때 조립한 형틀 패널을 해체하여 공사현장으로부터 반출하는 작업이 행하여져 수고를 필요로 함과 동시에 해체작업 일수나 형틀 패널 또는 조립용 부재 등을 일시 보관하는 공간 등이 필요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성공법에 있어서는 상술한 콘크리트 골조부위에 대하여 간주(間柱)나 테두리 재료 등의 내장보드 등의 내장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부재의 조립공정을 실행한다. 그리고 종래 공법에 있어서는 드러난 콘크리트 골조의 표면에 적당한 단열방습보드 등의 단열방습체를 펼쳐서 단열, 방음, 방습 등의 대응을 도모한 후에 내장재의 설치공정을 실행한다. 따라서 종래 공법에 있어서는 단열방습체 및 그 설치공정도 행하여지기 때문에 일수나 비용이 증가하였다.
상기한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성공법의 문제를 해결하는 공법으로서, 본 출원인도 발포합성수지제의 형틀 패널을 이용하여 이 형틀 패널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골조부위의 표면에 남기고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공법을 제안하였다(특허문헌1 참조). 관련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성공법에 의하면 형틀 패널의 해체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또한 콘크리트 골조부위의 표면에 일체화된 발포합성수지제의 형틀 패널이 상술한 단열방습체의 기능을 발휘한다.
특허문헌1 기재의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은 한 쌍의 발포합성수지제의 형틀 패널을 연결기구를 끼워서 대향간격이 조정가능하게 조합된다.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은 연결기구가 중앙부에서 결합함으로써 X자 상으로 조합된 한 쌍의 암(웹)과 형틀 패널의 외측면에 각각 조합된 각 암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이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한다.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은 한 쌍의 암이 중앙부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선단부가 형틀 패널을 관통한 플레이트 설치편과 연결위치를 조정하여 연결됨으로써 형틀 패널의 대향간격이 적당히 설정되어 형틀의 조립이 행해진다.
특허문헌1: 특허 제4169159호 공보
하지만 상기한 여러 가지 특징을 갖는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패널이지만 공기의 단축화와 부재비의 저감에 의해 공사비를 대폭으로 저감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특히, 지보부재(베이스플레이트)에 관하여 많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형틀의 조립과 분해를 쉽게 할 수 있는 지보부재, 그것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建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결과 공기의 단축화와 부재비의 저감에 의해 공사비를 대폭으로 저감시키는 목적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관한 지보부재는 크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베니어합판 등에 의한 보통의 형틀, EPS 형틀, 록셀 형틀, 그 외 모든 형틀 패널에 사용 가능한 범용화의 목적도 있다.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소정의 공간으로서 캐비티(20)를 설치하는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을 지지하여 반복 사용 가능한 지보부재이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의 횡폭(W)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가로살(橫棧)(71)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의 높이(V)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세로살(縱棧)(72)과 각각 평행한 복수의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이 격자상으로 조합된 교점(73)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20)의 내부방향으로 계지하는 볼트·너트구성(60)을 갖추고, 상기 교점(73)에 관한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의 적어도 어느 쪽에는 각각 대면하는 상대 살의 두께(Q)의 일부 또는 전부와 폭(P)을 수용하여 감착 가능한 요부(R)를 설치하고,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은 구형강(溝形鋼) 또는 동등 형상의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격자상으로 조합된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에 각각 등간격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소정의 공간으로서 캐비티(20)를 설치하는 콘크리트 패널(12)을 지지하여 반복 사용 가능한 지보부재에 의해 고정된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100)이고, 상기 지보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의 횡폭(W)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가로살(71)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의 높이(V)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세로살(72)과 각각 평행한 복수의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이 격자상으로 조합된 교점(72)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20)의 내부방향으로 계지하는 볼트·너트구성(60)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12) 및 상기 교점(73)에 위치를 맞춰서 천공된 장착구멍(13, 74)을 관통하는 형틀 고정봉(40)과 상기 형틀 고정봉(40)의 소정 위치에 계지되어 상기 캐비티(2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을 지지하는 골조측 형틀 고정재(50)를 준비하여 상기 교점(73)에 관한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의 적어도 어느 쪽에는 각각 대면하는 상대 살의 두께(Q)의 일부 또는 전부와 폭(P)을 수용하여 감착 가능한 요부(R)를 설치하고,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은 구형강(溝形鋼) 또는 동등 형상의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격자상에 조합된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에 각각 등간격으로 접촉하고, 상기 형틀 고정봉(4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O)로부터 일단(41)을 향하여 상기 골조측 형틀 고정재(50)와 상기 콘크리트 패널(12)과 상기 지보부재의 순으로 배치하여 형성되며, 상기 볼트·너트구성(60)은 상기 형틀 고정봉(40)의 적어도 일단(41)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에 기재된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은 요철을 형성하는 윤곽에 의해 인접하는 외주연부(11)끼리 감합 가능한 동일 또는 유사형상의 단위 패널(10)을 적당히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 또는 3에 기재된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에 있어서, 상기 형틀 고정봉(40)의 상기 중앙부(O)로부터 상기 한 쪽 끝(41)까지의 구성과 상기 중앙부(O)로부터 다른 끝(42)까지의 구성과는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 또는 3에 기재된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10)은 독립 기포형 발포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 또는 3에 기재된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10)은 외주연부(11)에 감합부(9)가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상대하는 감합부(9)를 감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외주연부(11)을 맞대어 다수매가 상하좌우로 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감합부(9)는 상기 단위 패널(10)의 두께(G)방향으로 구분한 내측영역(2)과 외측영역(3)의 각각에 감합철부(4)와, 그 감합철부(4)와 거의 동등한 개구치수(H)를 갖는 감합요부(5)를 길이방향(Z)의 전 영역에 걸쳐서 번갈아 형성하게 되는 내측감합부(6)와 외측감합부(7)로부터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내부감합부(6)와 외측감합부(7)의 상기 감합철부(4)와 상기 감합요부(5)가 1피치분(分) 어긋나서 대향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소정의 공간으로서 캐비티(20)를 설치하는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을 지지하는 지보부재를 반복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이고, 상기 지보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의 횡폭(W)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가로살(71)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의 높이(V)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세로살(72)과 각각 평행한 복수의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이 격자상으로 조합된 교점(73)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20)의 내부방향으로 계지하는 볼트·너트구성(60)을 구비하고, 상기 교점(73)에 관한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의 적어도 어느 쪽에는 각각 대면하는 상대 살의 두께(Q)의 일부 또는 전부와 폭(P)을 수용하여 감착 가능한 요부(R)를 설치하고,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은 구형강(溝形鋼) 또는 동등 형상의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격자상에 조합된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에 각각 등간격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8에 기재된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소정의 공간으로서 캐비티(20)를 설치하는 콘크리트 패널(12)을 지지하여 반복 사용 가능한 지보부재에 의해 고정된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100)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이고, 상기 지보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의 횡폭(W)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가로살(71)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의 높이(V)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세로살(72)과 각각 평행한 복수의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이 격자상으로 조합되어 교점(73)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20)의 내부방향으로 계지하는 볼트너트구성(60)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12) 및 상기 교점(73)에 위치를 맞춰서 천공된 장착구멍(13, 74)을 관통하는 형틀 고정봉(40)과, 상기 형틀 고정봉(40)의 소정 위치에 계지되어 상기 캐비티(2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에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을 지지하는 골조측 형틀 고정재(50)를 준비하여 상기 교점(73)에 관한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의 적어도 어느 쪽에는 각각 대면하는 상대 살의 두께(Q)의 일부 또는 전부와 폭(P)을 수용하여 감착 가능한 요부(R)를 설치하고,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은 구형강 또는 동등 형상의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격자상으로 조합된 상기 가로살(71) 및 상기 세로살(72)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에 각각 등간격으로 접촉하고, 상기 형틀 고정봉(4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O)로부터 한 쪽 끝(41)으로 향하여 상기 골조측 형틀 고정재(5)와 상기 콘크리트 패널(12)과 상기 지보부재의 순으로 배치하여 형성되며, 상기 볼트·너트구성(60)은 상기 형틀 고정봉(40)의 적어도 일단(41)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7 또는 8에 기재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12)은 상기 캐비티(20)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응고된 후에도 해체 철거되지 않는 건조물의 일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형틀의 조립과 분해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지보부재, 그것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의 단축화와 부재비의 저감에 의해 공사비를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보부재는 크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베니어판 등에 의한 보통 형틀, EPS 형틀, 록셀 형틀, 그 외 모든 형틀 패널에 사용 가능한 범용화의 목적도 달성할 수 있다.
[도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지보부재(이하, 「본 지보부재」라 한다)와 그것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이하 「본 형틀」이라 한다)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이하 「본 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부사시도이다.
[도2] 도1의 본 형틀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3] 도1 및 도2의 본 형틀에 있어서 채용가능한 콘크리트 패널을 구성하는 단위 패널의 투영도이고, 도3(a) 상면도, 도3(b) F-F선단면도, 도3(c) 정면도, 도3(d) 저면도, 도3(e) 측면도이다.
[도4] 도3의 단위 패널을 상하로 늘어놓고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5] 도3의 단위 패널을 채용한 도1 및 도2의 본 형틀에 있어서, 채용 가능한 지보부재 및 그들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너트구성을 나타내는 도5(A) 정면도, 도5(B) 칼라병용타입의 단면도이다.
[도6] 도5에 이어서 볼트·너트구성을 나타내는 도6(c) 3개 사용 너트고정타입의 단면도, 도6(d) 4개 사용 너트고정타입의 단면도, 도6(e) 규정 두께 너트병용타입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지보부재와 그것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본 형틀)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본 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부사시도이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형틀(100)에 이용되는 본 지보부재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소정의 공간으로서 캐비티(20)를 설치하는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을 지지하여 반복 사용 가능한 패널 고정수단의 주요부를 구성한다. 또한 도1의 하방에도 동일 형상의 콘크리트 패널(12)이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의 성질상 도1의 좌우방향에도 동일 또는 다른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거나 또는 단면을 폐색된 구조가 암시되지만, 서면 및 설명의 사정에 의해 도1의 좌우에는 노출된 단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 지보부재는 각각 평행으로 배열된 복수의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이 격자상으로 조합되어 있고, 그 격자상의 조합을 포함한 평면에 의해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을 등간격으로 균등하게 지지한다. 또한 격자상으로 조합된 교점(73)을 관통하는 구멍이 뚫려있고, 교점(73)의 구멍을 관통하는 형틀 고정봉(40)에 배설된 볼트·너트구성(60) 등에 의해 콘크리트 패널(12)이 캐비티(20)의 내부방향으로 계지되어 있다. 또한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은 구형강 또는 동등 형상의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된 일례로 볼트·너트구성(60)의 자세한 사항에 대하여 도5 및 도6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가로살(71)은 콘크리트 패널(12)의 횡폭(W)에 따른 길이이다. 동일하게 세로살(72)은 콘크리트 패널(12)의 높이(V)에 따른 길이이다. 또한 가로살(71)과 세로살(72)은 각각 횡폭(W)과 높이(V)에 따른 길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반드시 1개에 연결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임의의 길이의 가로살(71)과 임의의 길이의 세로살(72)이 각각 횡폭(W)과 높이(V)에 따른 길이를 확보하여 벽면 전체를 망라하는 개수만 배치되어 지보부재를 구성하도록 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은 콘크리트 패널(12)의 면적에 따라서 그 면적을 망라하기 때문에 필요한 개수를 이용한다. 또한 교점(73)에 관한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의 적어도 어느 쪽에는 각각 대면하는 상대 살의 두께(Q)의 일부 또는 전부와 폭(P)을 수용하여 감착 가능한 요부(R)가 배설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에 대하여 먼저 부착된 가로살(71)뿐만 아니라 나중에 부착된 세로살(72)도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으로부터 부상하지 않고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2는 도1의 본 형틀(100)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형틀(100)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골조의 중심부, 예를 들면 벽의 중심(Y)을 끼워서 한 쌍의 콘크리트 패널(12)이 패널 고정수단에 의해 소정의 틈(X)을 비워서 대면한 상태에 고정되어 있다. 이 틈(X)에 의해 캐비티(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형틀(100)은 형틀 고정봉(4)의 길이방향의 중앙부(O)로부터 양 쪽 끝(41, 42)을 향하여 각각 골조측 형틀 고정재(50)와 콘크리트 패널(12)과 복수의 가로살(71)과 이들 가로살(71)에 대하여 격자상으로 조합된 복수의 세로살(72)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것이 형틀 고정봉(40)과 조합으로 규정된 위치관계를 지탱하도록 볼트·너트구성(60)으로 계지되어 캐비티(20)가 형성된다. 이 캐비티(20)는 타설된 콘트리트를 누설하지 않도록 도2의 상하단부에서 나타내지 않은 측단부 등은 콘크리트 패널(12)의 작은 조각, 기타 판재 등에 의해 막혀있다. 또한 벽의 중심(Y)을 시작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골조의 중심부에는 철근(1)(도1에서는 생략)이 종횡으로 끼워져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이 격자상으로 조합된 본 지보부재는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에 맞닿아 있고, 콘크리트 패널(12)을 캐비티(20)의 벽의 중심(Y) 방향으로 지지한다. 형틀 고정봉(40)은 콘크리트 패널(12), 가로살(71) 및 세로살(72)에 각각 천공된 장착구멍(13, 73)을 관통한다. 또한 본 형틀(10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패널(12)의 재질에 대하여 도3 및 도4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단위 패널(10)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지보부재, 그것을 이용한 본 형틀(100) 및 본 방법은 베니어판 등에 의한 보통 형틀을 시작으로 다른 형상의 EPS 형틀, 록셀 형틀, 그 외 모든 형틀 패널을 채용하여 응용할 수 있다.
골조측 형틀 고정재(50)는 형틀 고정봉(40)의 소정위치에 계지되어 캐비티(20)의 내측(예를 들면, 벽의 중심(Y))으로부터 외측(벽면) 방향으로 콘크리트 패널(12)을 지지한다. 또한 볼트·너트구성(60)의 일례로서 형틀 고정봉(40)의 양 쪽 끝(41, 42)에 볼트너트구성(60)을 배설하는 것이 가장 좋다. 즉, 형틀 고정봉(40)의 양 쪽 끝(41, 42)에 나사 설치된 수나사(61)(도5 및 도6)와 그들의 수나사(61)에 나사결합 가능한 볼트너트구성(60)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트너트구성(60)으로서 형틀 고정볼(40)의 양 쪽 끝(41, 42) 중 적어도 한 쪽이 나사 결합시킬 수 있으면 좋고, 다른 쪽은 볼트·너트구성과는 다른 계지수단으로 있어도 상관없다.
도2에 예시된 본 형틀(100)은 형틀 고정봉(40)의 중앙부(O)로부터 한 쪽 끝(41)까지의 구성과 중앙부(O)로부터 다른 쪽 끝(42)까지의 구성과는 골조측 형틀 고정재(50), 콘크리트 패널(12), 가로살(71), 세로살(72) 및 볼트·너트구성(60)에 의한 완전한 좌우대칭의 한 쌍 구성이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단순한 벽 부분을 형성하는 경우 본 형틀(100)은 벽의 중심(Y)을 중심으로 하여 완전 좌우대칭의 한 쌍 구성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형틀(100)은 벽에 한정되지 않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골조를 구성하는 기둥, 대들보, 슬래브, 토대 또는 굴곡부 등의 각 콘크리트 골조부위의 복잡한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경우도 많으므로, 도2에 예시한 본 형틀(100)과 같이 좌우대칭인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위 패널의 외형]
도3은 도1 및 도2의 본 형틀에 있어서 채용가능한 콘크리트 패널을 구성하는 단위 패널의 투영도이고, 도3(A) 상면도, 도3(B) F-F선 단면도, 도3(C) 정면도, 도3(D) 저면도, 도3(E)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의 단위 패널을 상하로 늘어서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패널(10)은 그 외주연부(11)가 두께(G)에 대하여 1/2씩 내측영역(2)과 외측영역(3)에 구획 분할되어 그 내측영역(2)과 외측영역(3)에 감합부(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감합부(9)는 내측영역(2)에 형성된 내측감합부(6)와 외측영역(3)에 형성된 외측감합부(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내측감합부(6)는 각각 다수개의 내측감합철부(4a) 및 내측감합요부(5a)를 갖는다. 동일하게 외측감합부(7)는 각각 다수개의 외측감합철부(4b) 및 외측감합요부(5b)를 갖는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패널(10)에는 맞대는 외주연부(11)의 긴 쪽에 있어서 상대 감합되는 감합부(9)가 형성된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12)은 동일 또는 유사 형상의 단위 패널(10)을 필요한 수만큼 연결하여 구성된다(도1 참조). 즉, 단위 패널(10)은 다수매가 상대하는 외주연부(11)을 맞대어 상하좌우로 조합시켜서 넓은 면적에 형성된 콘크리트 패널(12)을 설치하여 형틀(100)을 구성한다. 단위 패널(10)은 요철을 형성하는 윤곽에 의해 인접하는 감합부(9)끼리 조각 그림 맞추기와 같이 감합할 수 있다. 단, 조각 그림 맞추기에서는 인접하여 감합하는 적절한 형상의 상대를 찾기 위하여 노력을 필요로 하지만 본 형틀(100)에 이용하는 단위 패널(10)은 통일규격에 기초하는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상대를 찾는 노력을 할 필요가 없다.
본 형틀(100)은 통일규격에 기초하는 동일 형상의 단위 패널(10)을, 예를 들면 대체로 장방형의 긴 쪽끼리 또는 짧은 쪽끼리 인접시켜 연결한다. 외주연부(11) 중 특히, 요철을 형성하는 윤곽에 의해 형성된 감합부(9)끼리를 인접시킨 연결부(11a)에 있어서, 확실히 감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단위 패널(10) 각각의 외주연부(11)의 긴 쪽에 형성된 감합부(9)에 있어서, 철부(4)(4a, 4b를 포함)에는 상대의 요부(5)(5a, 5b를 포함)가, 또는 요부(5)에는 상대의 철부(4)가 긴밀히 감합한다. 따라서 연결부(11a)는 튼튼하고, 콘크리트 누수를 일으키는 빈틈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높낮이차가 생기지 않고 평탄한 외측면을 형성한다.
이하 상대 감합된 감합부(9)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감합부(9)는 외주연부(11)의 내측영역(2)에 길이(Z)방향으로 서로 이웃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내측감합철부(4a) 및 다수개의 내측감합요부(5a)와 외측영역(3)에 길이(Z)방향으로 서로 이웃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외측감합철부(4b) 및 다수개의 외측감합요부(5a)로부터 구성된다. 또한 감합부(9)는 내측감합철부(4a)와 내측감합요부(5a)가 외주연부(11)의 내측영역(2)에 길이방향(Z)의 전 영역에 걸쳐서 번갈아 형성됨과 동시에 외측감합철부(4b)와 외측감합요부(5b)가 외주연부(11)의 외측영역(3)에 길이방향(Z)의 전 영역에 걸쳐서 번갈아 형성된다.
또한 감합부(9)는 외측감합철부(4b)와 외측감합요부(5b) 및 내측감합철부(4a)와 내측감합요부(5a)가 그 철(凸) 치수와 요(凹) 치수를 거의 동등하게 형성한다. 더욱이 감합부(9)는 외측감합철부(4b)와 외측감합요부(5b)의 열에 대하여 내측감합철부(4a)와 외측감합요부(5a)의 열을 1피치분(分) 어긋나서 형성하는 것으로 외측감합철부(4b)에 내측감합요부(5a)가 대향하여 위치함과 동시에 외측감합요부(5b)에 내측감합철부(4a)가 대향하여 위치한다. 또한 감합부(9)는 단위 패널(10)의 외주연부(11)의 상측과 하측에 있어서, 외측감합철부(4b)와 외측감합요부(5b)의 열에 대하여 내측감합철부(4a)와 내측감합요부(5a)의 열을 1피치분(分) 어긋나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감합부(6)와 외측감합부(7)의 2열에 있어서, 요철이 1피치(分) 어긋나는 것은 동일주기의 구형파(矩形波)를 역 위상으로 2개 병기한 형상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본 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패널(12)은 캐비티(20)의 콘크리트가 고형화된 후에도 해체 철거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물의 벽면 구조의 일부로서 이용하여도 좋으며, 이른바 록셀보드(RCB) 외단열(外斷熱)공법으로 알려진 공법으로 응용가능하다. 그 경우 콘크리트 패널(12)을 구성하는 단위 패널(10)은 독립 기포형 발포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고, 이른바 EPS 형틀로 알려진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패널(12)(단위 패널(10))을 콘크리트 골조의 표면에 일체화함으로써 콘크리트 패널(12)의 해체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골조에 일체화한 콘크리트 패널(12)에 의해 단열성, 방음성, 고기밀성, 내화성, 내구성 또는 내진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공기의 대폭 단축화를 목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볼트·너트구성 등의 상세한 설명]
이하 도5 및 도6을 이용하여 구형강 및 동등 형상의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된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의 일례로 볼트·너트구성(60) 등의 4가지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는 도3의 단위 패널을 채용한 도1 및 도2의 본 형틀에 있어서 채용가능한 지보부재 및 그들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너트구성을 나타내는 도5(A) 정면도, 도5(B) 칼라병용타입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에 계속하여 볼트·너트구성을 나타내는 도6(C) 3개 사용 너트결합타입 단면도, 도6(D) 4개 사용 너트결합타입 단면도, 도6(E) 규정 두께 너트병용타입 단면도이다.
또한 가로살(71) 및 세로살(72)에 대하여 후술하는 [가로살·세로살의 재료와 외형]에 의해 도1 및 도2에 나타낸 제1 실시예와 도5 및 도6에 나타낸 제2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두께(Q) 및 요부(R)의 형상이 약간 달라지지만 동일 효과가 있으며, 동시에 어떠한 오해도 일으키지 않으므로 동일 부호로 설명하고 있다.
도5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보부재를 구성하는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은 타설된 콘크리트 중량에 대항하여 콘크리트 패널(12)을 고정할 만큼의 강성을 갖는 구형강 또는 동등의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은 각각 콘크리트 패널(12)의 횡폭(W) 및 높이(V)에 따른 길이이고, 몇 단계의 표준치수가 비축되어 있어 안에서부터 선택적으로 채용되어 조합된 본 지보부재는 그 역할을 다할 때마다 볼트·너트구성(60)을 느슨하게 하여 해체되고, 무상으로 회수되며, 반복하여 사용된다.
가로살(71)과 세로살(72)에는 그들이 격자상으로 조합된 교점(73)을 관통하는 장착구멍(74)이 구멍이 뚫려있고, 교점(73)의 구멍을 관통하는 형틀 고정봉(40)에 배설된 볼트·너트구성(60) 등에 의해 콘크리트 패널(12)이 캐비티(20)의 내부방향으로 계지되어 있다. 형틀 고정봉(40)에는 그 한 쪽 끝(41)으로부터 소정 길이만 중앙으로부터의 위치에 골조측 형틀 고정재(50)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 칼라부(51)가 콘크리트 패널(12)의 내측면(12b)에 맞닿고, 콘크리트 패널(12)을 캐비티(20)의 외측방향에 지지하여 위치를 규제한다. 그 결과 캐비티(20)를 형성하는 틈(X)이 유지된다.
또한 도1 및 도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틀(100)은 형틀 고정봉(4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O)로부터 양 쪽 끝(41, 42)으로 향하고, 각각 골조측 형틀 고정재(50)와 콘크리트 패널(12)과 가로살(71)과 세로살(72) 순으로 좌우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형틀(100)은 형틀 고정봉(40)의 중앙부(O)로부터 한 쪽 끝(41)까지의 구성과 중앙부(O)로부터 다른 쪽 끝(42)까지의 구성과는 대칭인 것이 많으므로 형틀 고정봉(40)의 한 쪽 끝(41)(도2의 좌측)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하는 것으로, 다른 쪽 끝(42)(도2의 우측)에 대하여도 설명한 것으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도2에 예시한 본 형틀(100)과 같이 좌우대칭인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교점(73)에 대하여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의 양방향으로 각각 대면하는 상대 살의 두께(Q)의 반씩과 폭(P)의 전부를 교대로 수용하여 감착 가능한 요부(R)가 배설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에 대하여 먼저 설치된 가로살(71)뿐만 아니라 나중에 설치된 세로살(72)도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으로부터 부상하지 않게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틀(100)은 가로살(71)을 먼저 설치하고, 세로살(72)을 나중에 설치한 후 볼트·너트구성(60)에 의해 체결되어 있지만, 그 반대로 세로살(72)을 먼저 설치하고, 가로살(71)을 나중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틀 고정봉(40)에는 그 한 쪽 끝(41)으로부터 소정 길이만 중앙으로부터 위치에 골조측 형틀 고정재(50)가 고정되어 있다. 골조측 형틀 고정재(50)의 칼라부(51)가 콘크리트 패널(12)의 내측면(12b)에 맞닿도록 콘크리트 패널(12)의 장착구멍(13)에 형틀 고정봉(40)이 삽입되며, 그 한 쪽 끝(41)은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보다도 두께(Q) 이상의 길이만 돌출한다.
가로살(71)은 그 장착구멍(74)에 형틀 고정봉(40)의 돌출한 한 쪽 끝(41)이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수나사(61)가 나사 설치된 형틀 고정봉(40)의 돌출한 한 쪽 끝(41)에 가로살 고정너트(62)를 가볍게 조이고,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에 겹쳐서 가로살(71)을 설치한다. 형틀 고정봉(40)의 돌출한 한 쪽 끝(41)에는 세로살 이면지지칼라(63)를 감착한 후 가로살(71)에 겹치도록 세로살(72)이 설치되어 있다. 가로살(71)과 세로살(72)의 두께 방향의 상호 위치관계에 대하여 세로살 이면지지칼라(63)의 높이로 규정된다. 그 결과 가로살(71)과 세로살(72)의 교점(73)이 공고히 결합된다.
이하 도5(B) 칼라병용타입에 대한 도6(C) 3개 사용 너트고정타입, 도6(D) 4개 사용 너트고정타입, 도6(E) 규정 두께 너트병용타입의 각기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도6(C)에 나타낸 3개 사용 너트고정타입은 도5(B) 칼라병용타입에 있어서 세로살 이면지지칼라(63)를 대신하여 세로살 이면지지너트(65)를 이용하고, 가로살 고정너트(62)와의 마무리 위치의 차이에 의해 가로살(71)과 세로살(72)의 상호 위치관계를 규정한다. 따라서 합계 3개의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된다.
도6(D)에 나타내는 4개 사용 너트고정타입은 가로살(71)을 설치하기 전에 형틀 고정봉(40)에 콘크리트 패널(12)만을 설치하여 패널 임시 고정너트(66)에 의해 고정한다. 이 패널 임시 고정너트(66)는 콘크리트 패널(12)의 외측면(12a)에 개구하는 장착구멍(13)을 확장한 패널 임지 고정너트 수용구멍(12c)에 수용되는 것과 같이 마무리된다. 그 후 가로살(71)을 설치하고 나서 가로살 고정너트(62)로 세게 조이고 난 이후는 도6(C) 3개 사용 너트고정타입에 있어서의 조합요령과 같다. 또한 가로살 고정너트(62)와 세로살 이면지지너트(65)와 마무리 위치의 차이에 의해 가로살(71)과 세로살(72)의 상호 위치관계를 규정한다. 따라서 합계 4개의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된다.
도6(E)에 나타내는 규정 두께 너트병용타입은 도6(D) 4개 사용 너트고정타입에 있어서 가로살 고정너트(62) 및 세로살 이면지지너트(65)에 대신하여 양자의 마무리 위치의 차이에 상당하는 두께를 갖는 전용 극후(極厚) 너트(67)만으로 가로살(71)과 세로살(72)의 상호 위치관계를 규정한다. 따라서 너트 수는 합계 3개이고, 그 중의 1개는 전용 극후 너트(67)를 사용하는 것이 된다.
[가로살·세로살의 재료와 외형]
가로살(71)과 세로살(72)의 재료는 목재, 합성수지,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이 가장 좋으며, 특히 방녹성이나 기계적 강도가 큰 스테인리스 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로살(71)과 세로살(72)은 판금 등의 간소한 부재로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반복 사용 가능한 지보부재이다. 이 가로살(71)과 세로살(72)을 격자상으로 조합하여 볼트 고정한 본 지보부재, 그것을 이용하는 본 형틀(100) 및 본 방법은 조합과 분해가 쉽다. 그 결과 공기의 단축화와 부재비의 저감에 의해 공사비를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가로살(71)과 세로살(72)의 외형치수는 일례로서, 구형강인 살의 폭(P)이 약 150㎜, 살의 두께(≒구(溝)의 깊이+강의 판두께)(Q)가 약 30~60㎜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교점(73)의 요부(R)는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의 적어도 어느 쪽에는 각각 대면하는 상대 살의 두께(Q)의 일부 또는 전부와 폭(P)을 수용하여 감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서는 길이(W) ×폭(P) 약 150㎜ ×두께(Q) 약 30㎜의 가로살(71)과 길이(V) ×폭(P) 약 150㎜ ×두께(Q) 약 60㎜의 세로살(72)을 이용하고 있다. 세로살(72)에는 그들의 교점(73)에 있어서 상대의 가로살(71)과 대면하는 곳에 폭 약 170㎜ ×두께 약 30㎜의 요부(R)이 설치되어 있다. 이 세로살(72)에만 설치된 요부(R)에 폭(P) 약 150㎜ ×두께(Q) 약 30㎜의 가로살(71)을 수용하여 감착되며, 볼트·너트구성(60)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도5 및 도6에 나타낸 제2 실시예에서는 적정 길이(W) ×폭(P) 약 150㎜ ×두께(Q) 약 60㎜의 가로살(71)과 동일 형상의 세로살(72)과 그들의 교점(73)에 있어서 상호 대면하는 곳에 각각 폭(P) 약 170㎜ ×두께(Q) 약 30㎜의 요부(R)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로살(71)과 세로살(72)은 관련 외형치수의 사양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콘크리트 골조의 사양, 형성부위 또는 기타 조건에 따른 적당한 사양에 의해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표준규격품에 대하여 절단절삭 등의 가공한 것이 이용된다.
[단위 패널의 재료 외]
또한 형틀(100)은 단위 패널(10)이 발포합성수지재, 예를 들면 발포폴리에틸렌수지를 소재로 하여 장방형의 패널체에 형성된다. 단위 패널(10)의 외형치수는 일례로서 길이가 약 1820㎜, 폭이 약 467㎜, 두께가 약 50(10~60)㎜로 형성된다. 또한 단위 패널(10)은 관련 외형치수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콘크리트 골조의 사양, 형성부위 또는 기타 조건에 따른 적당한 사양에 의해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표준규격품에 대하여 절단절삭 등의 가공한 것이 이용된다.
단위 패널(10)은 소재로서, 예를 들면 발포스티롤수지, 발포폴리에틸렌수지 또는 발포폴리우레탄수지 등의 발포합성수지재를 이용해도 좋다. 조합된 형틀(100)은 캐비티(10) 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타설된 콘크리트가 건조할 때 단위 패널(10)은 관련 발포합성수지재를 소재로 하므로 콘크리트가 내부로 파고 들어가서 경화하여 콘크리트 골조와 공고히 일체화한다. 단위 패널(10)은 상술한 소재를 이용하여 간단히 가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경량화도 이루어져 운반이나 설치 등 취급이 간편하고, 콘크리트 골조의 표면에 일체화에 의해 상술한 단열성 등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형틀(100)은 콘크리트 패널(12)의 해체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콘크리트 골조와 일체화한 콘크리트 패널(12)에 의해 단열성, 방음성, 고기밀성, 내화성, 내구성 또는 내진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공기의 대폭 단축화를 목적으로 하여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면에는 생략하지만, 본 형틀(100)을 이용하여 비교적 넓은 벽면을 콘크리트 타설하는 경우 콘크리트가 고형화하기까지 사이는 캐비티(20)가 부풀어 오르는 방향으로 팽창능력 및 벽의 수직면이 만곡하거나 쓰러지거나 하는 변형능력에 대항하도록 격자상의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의 외측으로부터 벽면의 도괴방지용으로 경사살 등이 적당히 사용된다. 그 결과 본 형틀(100)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중량에도 견디고 형상이 유지된다.
한편 본 형틀(100)을 이용하여 비교적 좁은 벽면을 콘크리트 타설하는 경우 격자상의 가로살(71) 및 세로살(72)의 외측을 경사살 등으로 특별히 공고히 고정하지 않아도 본 형틀(100)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중량에 견디고 형상이 유지되는 것이 실증되어 있다. 그 이유로서 본 형틀(100)에서 좁은 벽면을 형성하는 경우 캐비티(20) 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중량도 가볍기 때문에 그것에 의해 팽창능력에 대항하는 강도는 격자상의 가로살(71) 및 세로살(72)만으로 확보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경사살 등으로 공고히 고정되지 않아도 본 형틀(100)이 팽창방향으로 파괴 또는 변형하는 위험성은 적다. 따라서 콘크리트 벽을 넘어뜨리는 방향의 근소한 능력에 대항하는 도시하지 않은 경사살 등이 있으면 충분하다. 특히 비교적 좁은 벽면이 조금 큰 벽면에 대하여 평면으로 보아 직각으로 연장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본 형틀(100)로 구축하는 경우 좁은 콘크리트 벽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본 형틀(100)은 넘어지는 방향에 대하여 대항처리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 실증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지보부재,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에 의하면 간소한 부재에 의한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반복 사용 가능한 지보부재(가로살, 세로살 및 볼트너트구성 외)를 이용함으로서 형틀의 조합과 분해가 쉽다. 그 결과 공기의 단축화와 부재비의 저감에 의해 공사비를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보부재는 크기를 변경하는 것뿐만 아니라 베니어판 등에 의한 보통 형틀, EPS 형틀 록셀 형틀, 기타 모든 형틀 패널에 사용 가능한 범용화의 목적도 달성할 수 있다.
1: 철근 2: 내측영역
3: 외측영역 4: 감합철부
4a: 내측감합철부 4b: 외측감합철부
5: 감합요부 5a: 내측감합요부
5b: 외측감합요부 6: 내측감합부
7: 외측감합부 9: 감합부
10: 단위 패널 11: 외주연부
11a: 연결부 12: 콘크리트 패널
12a: 외측면 12b: 내측면
12c: 패널 임시 고정너트 수용구멍
13, 74: 장착구멍 20: 캐비티
40: 형틀 고정봉 41, 42: (형틀 고정봉(40)의) 단부
50: 골조측 형틀 고정재 51: 칼라부
60: 볼트·너트구성(계지수단) 61: 수나사
62: 가로살 고정너트 63: 세로살 이면지지칼라
64: 세로살 고정너트 65: 세로살 이면지지너트
66: 패널 임시 고정너트 67: 전용 극후 너트
70: 기둥 형상 지보살 71: 가로살
72: 세로살 73: 교점
100: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본 형틀)
G: (단위 패널(10)의) 두께 H: (감합요부(5)의) 개구치수
O: (형틀 고정봉(4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
P: 살의 폭 Q: 살의 두께
R: (교점(73)의) 요부 V: (콘크리트 패널(12)의) 높이
W: (콘크리트 패널(12)의) 횡폭 X: 틈
Y: (캐비티(2)의) 벽의 중심 Z: (단위 패널(10)의) 길이방향

Claims (9)

  1.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소정의 공간으로서 캐비티를 설치하는 콘크리트 패널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반복 사용 가능한 지보부재로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횡폭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가로살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높이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세로살과,
    각각 평행한 복수의 상기 가로살 및 상기 세로살이 격자상으로 조합된 교점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의 내부방향으로 계지하는 볼트·너트구성을
    구비하고,
    상기 교점에 관한 상기 가로살 및 상기 세로살이 적어도 어느 쪽에는 각각 대면하는 상대 살의 두께의 일부 또는 전부와 폭을 수용하여 감착 가능한 요부를 설치하고,
    상기 가로살 및 상기 세로살은 구형강 또는 동등 형상의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해당 가로살 및 해당 세로살과의 상호 위치관계를 복수의 너트로 규정하는 상기 볼트·너트구성으로 상기 교점을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외측면에 각각 등간격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보부재.
  2.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소정의 공간으로서 캐비티를 설치하는 콘크리트 패널을 지지하여 반복 사용 가능한 지보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로서,
    상기 지보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횡폭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가로살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높이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세로살과,
    각각 평행한 복수의 상기 가로살 및 상기 세로살이 격자상으로 조합된 교점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의 내부방향으로 계지하는 볼트·너트구성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교점에 위치를 맞추어 천공된 장착구멍을 관통하는 형틀 고정봉과,
    상기 형틀 고정봉의 소정위치에 계지된 상기 캐비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지지하는 골조측 형틀 고정재를
    구비하고,
    상기 교점에 관한 상기 가로살 및 상기 세로살이 적어도 어느 쪽에는 각각 대면하는 상대 살의 두께의 일부 또는 전부와 폭을 수용하여 감착 가능한 요부를 설치하고,
    상기 가로살 및 상기 세로살은 구형강 또는 동등 형상의 금속재료로 구성되고, 해당 가로살 및 해당 세로살과의 상호 위치관계를 복수의 너트로 규정하는 상기 볼트·너트구성으로 상기 교점을 결함함과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외측면에 각각 등간격으로 접촉하고,
    상기 형틀 고정봉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한 쪽 끝을 향하여 상기 골조측 형틀 고정재와 상기 콘크리트 패널과 상기 지보부재의 순으로 배치하여 형성되고,
    상기 볼트너트구성은 상기 형틀 고정봉의 적어도 한 쪽 끝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요철을 형성하는 윤곽에 의해 인접하는 외주연부끼리 감합 가능한 동일 또는 유사형상의 단위 패널을 적당히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4. 청구항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형틀 고정봉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한 쪽 끝까지의 구성과 상기 중앙부로부터 다른 쪽 끝까지의 구성은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5. 청구항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은 독립 기포형 발포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6. 청구항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은 외주연부에 감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대하는 감합부를 감합함으로서 상기 외주연부를 맞대어 다수매가 상하좌우로 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감합부는 상기 단위 패널의 두께방향으로 구분한 내측영역과 외측영역의 각각에 감합철부와 그 감합철부와 거의 동등한 개구 치수를 갖는 감합요부를 길이방향의 전영역에 걸쳐서 교대로 형성된 내측감합부와 외측감합부로부터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내측감합부와 외측감합부의 상기 감합철부와 상기 감합요부가 1피치분(分) 어긋나서 대향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7. 콘크리트 타설하는 소정의 공간으로서 캐비티를 설치하는 콘크리트 패널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보부재를 반복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으로서,
    상기 지보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횡폭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가로살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높이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세로살과,
    각각 평행한 복수의 상기 가로살 및 상기 세로살이 격자상으로 조합된 교점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의 내부방향으로 계지하는 볼트·너트구성을
    구비하고,
    상기 교점에 관한 상기 가로살 및 상기 세로살의 적어도 어느 쪽에는 각각 대면하는 상대 살의 두께의 일부 또는 전부와 폭을 수용하여 감착 가능한 요부를 설치하고,
    상기 가로살 및 상기 세로살은 구형강 또는 동등 형상의 금속재료로 구성되고, 해당 가로살 및 해당 세로살과의 상호 위치관계를 복수의 너트로 규정하는 상기 볼트·너트구성으로 상기 교점을 결함함과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외측면에 각각 등간격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
  8. 크리트 타설하는 소정의 공간으로서 캐비티를 설치하는 콘크리트 패널을 지지하여 반복 사용 가능한 지보부재에 의해 고정된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으로서,
    상기 지보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횡폭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가로살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높이에 따른 길이의 복수의 세로살과,
    각각 평행한 복수의 상기 가로살 및 상기 세로살이 격자상으로 조합된 교점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의 내부방향으로 계지하는 볼트·너트구성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교점에 위치를 맞추어 천공된 장착구멍을 관통하는 형틀 고정봉과,
    상기 형틀 고정봉의 소정위치에 계지된 상기 캐비치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지지하는 골조측 형틀 고정재를
    구비하고,
    상기 교점에 관한 상기 가로살 및 상기 세로살이 적어도 어느 쪽에는 각각 대면하는 상대 살의 두께의 일부 또는 전부와 폭을 수용하여 감착 가능한 요부를 설치하고,
    상기 가로살 및 상기 세로살은 구형강 또는 동등 형상의 금속재료로 구성되고, 해당 가로살 및 해당 세로살과의 상호 위치관계를 복수의 너트로 규정하는 상기 볼트·너트구성으로 상기 교점을 결함함과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외측면에 각각 등간격으로 접촉하고,
    상기 형틀 고정봉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한 쪽 끝을 향하여 상기 골조측 형틀 고정재와 상기 콘크리트 패널과 상기 지보부재의 순으로 배치하여 형성되고,
    상기 볼트·너트구성은 상기 형틀 고정봉의 적어도 한 쪽 끝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
  9. 청구항 7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상기 캐비티에 타설된 콘트리트가 고형화한 후에도 해체 철거하지 않고 건조물의 일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
KR1020187004080A 2015-07-31 2016-07-28 지보부재,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 KR201800379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2122A JP6655320B2 (ja) 2015-07-31 2015-07-31 支保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建造方法
JPJP-P-2015-152122 2015-07-31
PCT/JP2016/072133 WO2017022610A1 (ja) 2015-07-31 2016-07-28 支保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建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977A true KR20180037977A (ko) 2018-04-13

Family

ID=5794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080A KR20180037977A (ko) 2015-07-31 2016-07-28 지보부재,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258637A1 (ko)
EP (1) EP3330458A4 (ko)
JP (1) JP6655320B2 (ko)
KR (1) KR20180037977A (ko)
CN (1) CN107849855A (ko)
WO (1) WO2017022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39071A (zh) * 2017-03-07 2017-05-10 刁宏伟 一种带有对拉螺栓的叠合板式夹心保温剪力墙及安装方法
JP6695399B2 (ja) * 2018-10-09 2020-05-20 株式会社トーテツ コンクリート構造物形成用の残存型枠
CN109610510A (zh) * 2018-12-12 2019-04-12 中铁局集团厦门建设工程有限公司 地铁站及半盖挖法区间主体结构中隔墙自拼式移动式模板
CN110725544B (zh) * 2019-11-20 2023-09-15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碗扣式模板支撑架斜撑万向固定支座及其制造方法
IL272515A (en) * 2020-02-06 2021-08-31 Modular stone panel system
US11788571B2 (en) 2020-08-07 2023-10-17 Peri Se Multi-head bolt and fastener system
USD990301S1 (en) 2020-08-07 2023-06-27 Peri Se Multi-head bolt
CN114482309A (zh) * 2020-11-13 2022-05-13 山东隆济时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节点式一体化保温板
CN113084975B (zh) * 2021-04-20 2022-12-16 宜昌市佳成商品砼有限责任公司 一种轻质混凝土空心砌块浇筑成型模具
CN113914614B (zh) * 2021-10-29 2022-09-23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次性浇筑大体积钢筋混凝土梁的施工工艺
CN113914615B (zh) * 2021-10-29 2023-02-07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能够用于不同梁高装配的混凝土梁体模板
CN115012644A (zh) * 2022-06-17 2022-09-06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大体积混凝土模板固定用预埋装置及施工方法
CN115324067B (zh) * 2022-07-23 2023-08-18 北京城乡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半盖挖精准定位安装钢支撑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0997A (en) * 1926-04-08 1927-08-30 John H Mcclatchy Form work for casting walls and the like
US2251499A (en) * 1938-11-02 1941-08-05 Viber Company Building structure
FR903052A (fr) * 1944-01-11 1945-09-24 Procédé de construction de murs par remplage et châssis pour l'exécution du procédé
US2486683A (en) * 1949-01-31 1949-11-01 Sass Thomas Concrete form tie rod
US3086272A (en) * 1961-07-27 1963-04-23 Symons Mfg Co Concrete wall form with interlocking tie rod connection therefor
US3486729A (en) * 1967-11-06 1969-12-30 Symons Mfg Co Pretensioned knockdown concrete wall form panel
JPS48893Y1 (ko) * 1969-04-10 1973-01-11
US3920214A (en) * 1974-11-21 1975-11-18 Peter R Lovisa Exterior form spreader system for threaded end concrete ties
US4052031A (en) * 1975-07-29 1977-10-04 Melfi Samuel T Adjustable concrete form apparatus
US4158082A (en) * 1977-07-27 1979-06-12 Bruce Belousofsky Laminated ferro-cement structures and method of fabrication
JPS6137720Y2 (ko) * 1979-12-03 1986-10-31
US4473209A (en) * 1982-01-15 1984-09-25 Harsco Corporation Prefabricated wall form modular unit
JPS6137720A (ja) * 1984-07-31 1986-02-22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US4598519A (en) * 1984-09-10 1986-07-08 Reid Daniel B Composite concrete walls having tie and form spacer
US4669234A (en) * 1985-03-18 1987-06-02 Wilnau John A Prefabricated wall section
US5375809A (en) * 1992-07-01 1994-12-27 Wallace I. Stenzel Assembly for forming a poured concrete wall construction
US5351455A (en) * 1993-04-09 1994-10-04 American Conform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allboard attachment
JPH0949320A (ja) * 1995-08-07 1997-02-18 Yoshiyuki Hayakawa コンクリート型枠変形防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型枠組立方法
US5787665A (en) * 1996-07-17 1998-08-04 Carlin; Steven W. Composite wall panel
US5855807A (en) * 1996-06-24 1999-01-05 Hsieh; Ming-Huei Concrete form securing device
NO305039B1 (no) * 1996-08-22 1999-03-22 Arnfinn Saervoll Forskalingssystem for betongst°ping
JP3700327B2 (ja) * 1997-06-12 2005-09-28 株式会社カネカ 型枠ブロック
US5762815A (en) * 1997-08-04 1998-06-09 Lee; Kou-An Apparatus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wo opposed form panels
US6601820B2 (en) * 1999-01-13 2003-08-05 Gates & Sons, Inc. Gang form for use with a concrete form system and method of building a gang form
US6024339A (en) * 1999-01-13 2000-02-15 Gates & Sons, Inc. Gang form for use with a concrete form system and method of building a gang form
JP2003119795A (ja) * 2001-10-04 2003-04-23 Shiro Sakai 発泡合成樹脂型枠による基礎施工法
US8082711B2 (en) * 2006-12-04 2011-12-27 Composite Panel Systems, Llc Walls and wall sections
JP5450016B2 (ja) * 2009-12-07 2014-03-26 正 斉原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CN102477770A (zh) * 2010-11-25 2012-05-30 欧文斯科宁知识产权资产有限公司 混凝土板结构构件和浇注混凝土板的施工方法
US9630340B2 (en) * 2012-03-01 2017-04-25 John Milner McCary, SR. System of forming walls with exterior applied finish panels
CN102635230B (zh) * 2012-05-17 2015-12-16 福建莆田鸿达牧业有限公司 大型沼气池体的浇筑模板及浇筑方法
CN202755657U (zh) * 2012-07-27 2013-02-27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不同厚度墙体模板对拉螺栓
US9074379B2 (en) * 2013-03-15 2015-07-07 Romeo Ilarian Ciuperca Hybrid insulated concrete form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31647A (ja) 2017-02-09
EP3330458A4 (en) 2019-01-09
CN107849855A (zh) 2018-03-27
US20180258637A1 (en) 2018-09-13
JP6655320B2 (ja) 2020-02-26
EP3330458A1 (en) 2018-06-06
WO2017022610A1 (ja)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7977A (ko) 지보부재,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방법
KR101459082B1 (ko) 거푸집 겸용 보강 철골과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 보강 구조체 및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JP5450016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KR200486454Y1 (ko) Rc보용 거푸집 보강대
KR101758493B1 (ko) 프리캐스트 영구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2011835B1 (ko) 거푸집 탈착형 철근 선조립 기둥 구조물
KR101264501B1 (ko) 헤드 커플러 폼타이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이 적용된 기둥 시공 방법
KR101203298B1 (ko) 건설공사용 거푸집
JP665531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建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KR101720122B1 (ko) 거푸집 일체형 구조물
CN111926954A (zh) 建筑结构墙以及建筑结构墙的构筑方法
KR20130003047U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터
KR20170050143A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102120426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KR101436969B1 (ko)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KR102109900B1 (ko) 형틀 없는 콘크리트공법 및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
KR101911329B1 (ko) 건축용 절점결합구조물 제작틀 및 그 건축용 절점결합구조물
KR20080087196A (ko) 슬래브 및 보의 구축용 테이블 폼
KR101701493B1 (ko) 깊은 골의 장경간 적용이 가능한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시공 방법
JP6106776B2 (ja) 支持構造体およびコンクリート壁の構築方法
JP6576204B2 (ja) スラブ構造の施工方法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KR20130081172A (ko) 복부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제작용 거푸집
JP7213150B2 (ja) 支柱とコンクリート床版の固定方法及び擁壁の構築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