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53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539A
KR20180037539A KR1020160127847A KR20160127847A KR20180037539A KR 20180037539 A KR20180037539 A KR 20180037539A KR 1020160127847 A KR1020160127847 A KR 1020160127847A KR 20160127847 A KR20160127847 A KR 20160127847A KR 20180037539 A KR20180037539 A KR 20180037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 heater
defrost
inclined surface
refrigerant pip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309B1 (ko
Inventor
정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309B1/ko
Priority to EP17191724.8A priority patent/EP3306242B1/en
Priority to US15/712,710 priority patent/US10254038B2/en
Publication of KR2018003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2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drople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상 히터 커버 및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회 절곡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냉매 파이프; 상기 냉매 파이프를 관통하는 다수의 열교환 핀; 상기 냉매 파이프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쌍의 프레임; 상기 냉매 파이프의 하방에 구비되며, 제상 운전시 가열되는 제상 히터; 상기 냉매 파이프와 상기 제상 히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상 히터를 상방에서 차폐하는 제상 히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상 히터 커버는 상방에서 낙하되는 제상수가 상기 제상 히터의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상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에어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위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냉장고는 반복되는 냉각 운전에 의해 고내의 수분이 증발기에 착상될 수 있다. 증발기에 과도한 수분이 착상되어 성애가 발생된 경우에는 증발기와의 열교환 효율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증발기가 배치된 공간에서의 냉기 유동 경로를 막아 냉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증발기에 히터를 설치하고, 일정 주기마다 운전되는 제상운전시 히터를 가동하여 상기 증발기에 착상된 성애를 녹일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28126에는 증발기로부터 낙하되는 제상수가 히터 본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 커버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히터 커버의 장착을 위한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고내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히터 커버에 의한 공기의 유동 저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히터 본체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방의 상기 히터 커버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뜨거운 공기의 상방향 유동을 제한하여 제상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상시 발생되는 제상수가 제상 히터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제상 히터의 열기의 상방향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상수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제상 히터 커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기 냉매 파이프의 하단과 이격 배치되며 제상 운전시 상기 냉매 파이프를 하방에서 가열하는 제상 히터와, 상기 냉매 파이프와 상기 제상 히터의 사이에서 상기 제상 히터를 상방에서 차폐하는 제상 히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상 히터 커버에는 상기 제상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통과되도록 상기 제상 히터 커버를 관통하는 다수의 에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홀은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표면 장력에 의해 제상수가 통과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의 양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상 히터 커버를 따라 흘러내리는 제상수가 상기 제상 히터의 외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에 결합되며, 연장된 상단이 상기 냉매 파이프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제상 히터 커버가 상기 냉매 파이프에 매달린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는, 상기 제상 히터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 홀은 상기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는 상방에서 낙하되는 제상수가 상기 제상 히터의 외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홀은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에는 상기 에어 홀의 성형을 위해 절개되되, 절개된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에어 홀을 상방에서 차폐하는 차폐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에는, 상기 경사면의 일단과 접하는 평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홀은 상기 평면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는, 상방에서 낙하되는 제상수가 상기 제상 히터의 외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함몰되어 제상수를 외측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홀은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되는 상기 함몰부의 사이에 돌출되는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는 제상 운전시 제상 히터의 상방에서 낙하되는 제상수가 상기 제상 히터로 향하지 않도록 커버하게 된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는 경사진 상면의 양단에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어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제상 히터 외측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하여 하방으로 연장되고, 기울어진 상태의 냉장고의 배치에서도 상기 제상 히터로 제상수가 낙하되지 않도록 하여 제상수와 상기 제상 히터의 접촉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상 히터 커버의 경사면에는 에어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상 히터 커버로 낙하되는 물은 통과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제상 히터의 열기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제상 운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상 히터 커버의 양단에는 고정부와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상 히터 커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상 히터 커버의 회전을 방지하고 가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상 히터 커버의 양단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판상의 상기 제상 히터의 절곡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상 히터 커버의 성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또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상 히터 커버에는 커버 브라켓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브라켓에 의해 상기 제상 히터 커버는 상기 냉매 파이프에 걸어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설치된 상태의 냉장고 증발기에 상기 제상 히터 커버를 용이하게 추가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소비자의 서비스 요청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 구조 없이 상기 커버 브라켓을 이용한 간단한 장착이 가능하게 되어 설치 및 조립 장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 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다.
도 6은 상기 증발기를 다른 측면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증발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를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증기 증발기에서 제상수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10의 B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7는 도 16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증발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은 베리어(11)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공간은 베리어(11)에 의해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냉장실(12)과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다수의 서랍(14)과 선반(1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의 배면에도 다수의 도어 바스켓(23)이 구비되어 고내측에 식품이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구획된 독립된 공간인 기계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압축기와 응축기, 응축기 팬을 비롯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기 위한 일부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 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동실(13)의 내측에는 증발기(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0)의 전방에는 그릴 팬(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16)은 상기 냉동실(13)의 후벽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30)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16)의 하부에는 흡입구(161)가 형성되어 고내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30)를 통과하면서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 팬(16)에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토출구(162) 또는 급속 냉각을 위한 팬 모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그릴 팬(16)의 상방에서는 상부 그릴 팬(1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그릴 팬(17)의 후방에는 증발기 팬(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팬(18)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161)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그릴 팬(17)에는 고내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토출구(17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팬(18)의 구동시 상기 냉동실 내부의 냉기는 상기 흡입구(161)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상기 증발기(30)를 지나 상방으로 유동된 냉기는 상기 토출구(171)를 통해서 상기 냉동실(13)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냉동실(13)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저장된 식품을 냉각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증발기(30)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냉장실(12)과 연통된 유로상의 댐퍼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12) 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냉장실(12)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다. 도 6은 상기 증발기를 다른 측면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증발기(30)는 고내를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것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 파이프(31)와, 상기 냉매 파이프(31)를 관통하는 다수의 열교환 핀(32), 상기 냉매 파이프(31)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33), 상기 증발기(30) 상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히터(34) 및 보조 제상 히터(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냉매 파이프(31)는 상기 팽창밸브에서 공급되는 저온 저압의 액체상태 냉매가 유동되는 것으로, 상기 냉매 파이프(31) 내부의 냉매가 고내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기화되는 과정에서 냉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매 파이프(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양측단이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 파이프(31)는 전체적으로 양단이 절곡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 핀(32)은 상기 냉매 파이프(31)에 의해 관통되며, 하나의 열교환 핀(32)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냉매 파이프(31)에 의해 복수회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핀(32)은 열교환을 위한 공기의 접촉 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증발기(30)의 전체 영역에서 상기 증발기(30)의 좌우 양측단에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33)의 내측에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 핀(32)이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핀(32)은 상기 증발기(30)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그 배치 간격이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열교환 핀(32)의 구조로 인하여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동되는 냉각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증발기(30) 하부에서의 결빙에 의한 유동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30)의 전체적인 구조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는 냉장실(12)과 냉동실(13)이 좌우 양측방에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증발기(30) 구조의 특성상 상하 방향으로의 공기 유동 경로가 길어지게 되어 상기 증발기(30) 상에 착상 및 결빙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한 열교환 효율의 저하와 냉기 유동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제상을 위해서 상기 증발기(30)는 제상운전시 상기 증발기(30)의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제상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증발기(30)의 상부에는 상기 증발기(30)와 직접 접촉되는 보조 제상 히터(34)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 제상 히터(3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증발기(30) 상부가 가열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증발기(30)의 하부에는 상기 냉매 파이프(31)와 이격된 상기 제상 히터(34)가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30)의 하부를 복사, 대류에 의해 가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보조 제상 히터(35)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상기 제상 히터(34)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30) 상부를 가열하여 상기 증발기(30) 상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보조 제상 히터(35)는 상기 냉매 파이프(31)와 유사한 형상으로 양단이 연속하여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3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제상 히터(35)의 양단은 상기 프레임(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제상 히터(35)는 제상 운전시 상기 증발기(30)의 제상을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상 히터(34)와 함께 구동되어 상기 증발기(30) 상부를 동시에 제상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증발기(30)의 경우 하단에 구비되는 제상 히터(34)만으로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제상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상기 증발기(30) 상부의 제상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보조 제상 히터(35)의 동시 구동으로 상기 증발기(30)의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가열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33)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3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3)은 상기 냉매 파이프(31)와 상기 보조 제상 히터(35)를 좌우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33)은 상기 가장 하방에 위치된 냉매 파이프(31)의 위치보다 더 하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상 히터(3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3)은 좌우 양측단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제상 히터(34)의 좌우 양측단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제상 히터(34)가 상기 프레임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증발기(30)는 상기 프레임(33)에 의해 상기 열교환 핀(32)이 장착된 냉매 파이프(31)와 보조 제상 히터(35)와 제상 히터(34)가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3)에는 상기 제상 히터(34)의 양단이 관통되는 히터 고정구(3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 고정구(331)에는 상기 히터 고정구(331)를 형성하기 위해 절개된 상기 프레임(33)의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제상 히터를 지지하는 히터 지지부(33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상 히터(34)는 상기 증발기(30)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상 운전시 가동되어 상기 증발기(30) 하부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제상 히터(34)는 시즈히터(Sheath heat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33)의 사이에서 연속하여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절곡 배치되는 상기 제상 히터(34)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341)가 다수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341)에 의해 절곡된 상기 제상 히터(34)의 사이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상 히터(34)는 제상 운전시 발열될 수 있으며,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동되는 공기 유동의 특성상 가열 공기가 대류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증발기(30)에 착상된 성에를 녹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상 히터(34)에서 발생되는 열은 복사 또는 전도에 의해 상기 증발기(30)에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상 히터(34)와 상기 냉매 파이프(31)의 사이에는 제상 히터 커버(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는 상기 제상 히터(34)의 구동시 상방에서 낙하되는 제상수가 상기 제상 히터(34)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는 양단이 상기 프레임(33)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상수가 외측으로 안내된 후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에는 다수개의 에어 홀(43)이 형성되어 상기 제상 히터(34)에 의해 가열된 열기가 상방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는 상기 제상 히터(34)와 상기 냉매 파이프(31)의 하단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제상 히터(34) 및 상기 냉매 파이프(31)와 적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는 상기 제상 히터(34)로부터 2cm ~ 10cm 만큼 떨어진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가 상기 제상 히터(34)로부터 2cm 미만의 간격을 가지게 되는 경우, 상기 제상 히터(34)와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가 너무 가깝게 되어 상기 제상 히터(34)의 열이 효과적으로 대류 및 복사될 수 없게 되어 제상 운전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가 상기 제상 히터(34)로부터 10cm를 초과한 간격을 가지게 되는 경우, 상기 제상 히터(34) 전체를 상방에서 커버할 수 없게 되어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를 따라 낙하되는 제상수가 상기 제상 히터(34)의 하단으로 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냉장고(1)는 설치 구조의 특성상 캐비닛(10)의 전반부가 후반부보다 더 상방에 위치하도록 다소 기울어진 상태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20)가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닫힐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하로 연장되는 제상 히터(34) 또한 상단보다 하단이 더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가 상기 제상 히터(34)의 상단으로부터 과도하게 멀어지게 될 경우 상기 제상 히터(34)의 하단까지 커버하지 못하여 낙하되는 제상수가 상기 제상 히터(34)의 하단과 접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는 상기 제상 히터(34)로부터 10cm 이내의 거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증발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를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33)의 양단에 고정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는 상기 증발기(30)를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33), 열교환 핀(32), 냉매 파이프(31)와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알루미늄 합금소재로 형성되어 갈바닉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는 상면을 형성하는 경사부(41)와 상기 경사부(41)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양단은 상기 프레임(33)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41)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상면을 형성하며,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을 형성할 수 있다.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은 서로 접하는 부분이 상방에 위치되고, 연장된 외측단이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의 사이 각도는 대략 120˚~ 130˚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 사이의 각도가 120˚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상방의 상기 냉매 파이프(31)와 간섭되며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 사이의 각도가 대략 130˚보다 클 경우에는 낙하되는 제상수의 원활한 안내가 어렵게 되거나 제상운전시 낙하되는 성애가 상기 경사부(41)에 쌓이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이 서로 접하는 상기 경사부(41)의 중앙 부분은 상기 제상 히터(34)의 중앙 부분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상 히터(34)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11,412)의 경사에 의해 상방에서 낙하되는 제상수는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을 따라서 흘러 내리게 되며,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의 단부에서 낙하되어 상기 제상 히터(34)로 제상수가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경사부(41)에는 다수의 에어 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43)은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상 히터(34)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연속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에어 홀(43)의 사이 거리는 상기 제상 히터(34)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 홀(43)을 통해 제상수가 낙하하게 되더라도 제상수가 상기 제상 히터(34)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 홀(43)은 직경의 크기가 대략 1mm ~ 3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41)에 낙하된 제상수가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을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에어 홀(43)을 통해서 낙하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에어 홀(43)을 통해서 상방으로 열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홀(43)의 직경이 대략 1mm 이상으로 되어 상기 제상 히터(34)에서 발생한 열기가 상기 증발기 팬(18)의 구동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에어 홀(43)을 통과하여 원활하게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 홀(43)의 직경이 1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에어 홀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 홀(43)의 직경이 대략 3mm 이하로 되어 상기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412)을 따라 이동되는 제상수가 상기 에어 홀(43)에 위치되더라도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이 상기 에어 홀(43) 내측에 맺히게 되어 제상수가 상기 에어 홀(43)을 통해 낙하되지 않고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을 따라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에어 홀(43)의 직경이 3mm 보다 큰 경우에는 제상수가 에어 홀(43)에 맺히지 않고 하방으로 낙하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41)의 양측 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2)는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경사부(41)를 따라 흐르는 물이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부(42)는 지면 또는 상기 냉장고(1)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2)는 상기 경사부(41)를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제상 히터(34)보다 더 외측의 영역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0)은 열려진 상태의 상기 냉장고 도어(20)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전반부가 다소 높은 위치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에서 낙하되는 제상수가 하방으로 연장된 상기 제상 히터(34)의 하부와 접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42)는 상기 제상수가 상기 경사부(41)의 단부에서 제상 히터(34)의 외측을 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연장부(4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상 히터(34)에 낙하하는 제상수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경사부(41)의 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상 히터(34)의 좌우 양측단에는 한쌍의 고정부(44)와 삽입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4)는 상기 제 1 경사면(411)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수직하게 상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4)에는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442)가 체결되는 체결홀(44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442)는 상기 체결홀(441)과 상기 프레임(33)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상 히터(34)의 일단을 상기 프레임(33)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양측의 상기 제 2 경사면(412)의 일단에는 삽입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5)는 상기 제 2 경사면(412)의 단부에서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2 경사면(412)의 폭보다는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45)는 상기 프레임(33)의 삽입구(333) 상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333)는 상기 삽입부(45)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33)은 상기 삽입부(45)가 상기 삽입구(3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경사면(412)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조립을 위해서 상기 삽입부(45)가 상기 삽입구(333)에 먼저 삽입되어 상기 제상 히터(34)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441)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재(442)가 상기 프레임(33)에 체결되어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고정 장착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좌우 양측단에 형성되는 삽입부(45)와 고정부(44)는 그 위치가 서로 엇갈린 위치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좌측단의 제 1 경사면(411) 단부에는 고정부(44)가 형성되고, 제 2 경사면(412)의 단부에는 삽입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우측단의 제 1 경사면(411) 단부에는 삽입부(45)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경사면(412)의 단부에는 고정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삽입부(45)와 고정부(44)의 엇갈린 배치로 인하여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는 최소한의 결합 구조로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45)와 고정부(44)의 사이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절개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46)는 서로 접하는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의 사이를 따라서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41)의 절곡, 및 상기 고정부(44)의 절곡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절곡 과정 중에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가 손상되거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2)에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를 걸어서 장착할 수 있는 커버 브라켓(60)이 장착되는 브라켓 장착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421)에는 아래의 제 5 실시 예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커버 브라켓(60)을 상기 브라켓 장착부(421)에 체결되는 결합부재(62)를 이용하여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브라켓(60)에 의해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를 상기 냉매 파이프(31)에 걸어서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상수 유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증기 증발기에서 제상수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10의 B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의 운전 중에 상기 증발기(30)에 성에가 착상되는 경우 제상 운전에 돌입하게 된다. 제상운전시 상기 제상 히터(34)와 보조 제상 히터(35)가 동작되어 상기 증발기(30)의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가열하게 되며, 증발기 팬(18)의 구동에 의해 열기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증발기(30) 전체를 고르게 가열하여 성에를 녹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상운전의 과정에서 성에가 녹으면서 발생되는 제상수는 하방으로 흘러 내리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30)의 길이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상 히터(34)와 보조 제상 히터(35)가 동시에 구동되는 상황에서는 다량의 제상수가 흘러내릴 수 있다.
하방으로 낙하하는 제상수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에 의해 부딪힐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41)를 따라서 흘러내리면서 양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41)를 지나 상기 연장부(42)를 따라서 흘러내리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제상 히터(34)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41)를 따라서 흘러내리는 제상수는 상기 에어 홀(43)을 지나게 되며, 상기 에어 홀(43)을 지나는 제상수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에어 홀(43)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경사면(51)을 따라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 팬(18)의 구동에 의해 상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에어 홀(43)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에어 홀(43)의 내측으로 제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하방으로 낙하되는 제상수는 상기 제상 히터(34)와 접촉되지 않고 모두 하방으로 낙하된 후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연장부(42)에 의해 상기 제상 히터 외측에서 수직하게 낙하되는 제상수는 상하로 길게 배치된 상기 제상 히터(34)의 하부 보다 더 외측으로 낙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상운전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낙하되는 제상수는 모두 상기 제상 히터(34)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제상 히터(34)와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상수가 상기 제상 히터(34)와 접촉되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상 운전 중 상기 증발기 팬(18)의 구동에 의해 상방향으로 강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제상 히터(34)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상방으로 유동되며, 이때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에어 홀(43)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30) 하부에서의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제상운전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40)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은 일부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40)는 경사부(41)에 의해 상면이 형성되고, 연장부(42)에 의해 전면과 후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41)의 좌우 양측단에는 고정부(44)와 삽입부(45)가 형성되어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가 상기 제상 히터(34)의 상방에서 상기 프레임(33)에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부(4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이 형성되어 양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방에서 낙하되는 물이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을 따라서 흘러내린 후 상기 제상 히터(34)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41)에는 다수개의 에어 홀(4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47)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도록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47)은 상기 제 1 경사면(411) 및 제 2 경사면(412)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에어 홀(47)을 형성하기 위해 절개된 상기 경사면(411,412)의 적어도 일부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차폐부(47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471)는 상기 에어 홀(47)을 상방에서 차폐하되 상기 제 1 경사면(411) 및 제 2 경사면(412)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상방에서 낙하되는 물이 상기 에어 홀(47)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동되는 가열된 공기는 상기 에어 홀(47)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 홀(47) 및 상기 차폐부(471)의 크기와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 홀(47)과 차폐부(471)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4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40)는 경사부(41)에 의해 상면이 형성되고, 연장부(42)에 의해 전면과 후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41)의 좌우 양측단에는 고정부(44)와 삽입부(45)가 형성되어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가 상기 제상 히터(34)의 상방에서 상기 프레임(33)에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부(4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방에서 낙하되는 물이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을 따라서 흘러내린 후 상기 제상 히터(34)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다수의 함몰부(4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48)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경사면(411)의 일단에서 상기 제 2 경사면(412)의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41)로 낙하되는 물은 상기 함몰부(48)를 따라서 상기 경사부(41)의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경사면(411) 및 제 2 경사면(412)으로 떨어지는 제상수는 상기 함몰부(48)로 향하게 되며, 상기 함몰부(48)를 따라서 유동되어 상기 연장부(42)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48)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함몰부(48) 사이에는 상기 함몰부(48)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된 돌출부(4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48) 및 돌출부(49)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돌출부(49)에 제상수가 낙하되는 경우 경사 또는 라운드 면을 따라서 상기 함몰부(48)로 제상수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49)에는 에어 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43)은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49)마다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43)은 물방울이 표면장력에 의해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홀(43)은 상기 증발기 팬(18)의 구동시 상기 제상 히터(34)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상태의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될 때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도 16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70)는 한쌍의 경사면(411,412)으로 이루어진 경사부(41)와 상기 경사부(41)의 사이에 배치되는 평면부(71)에 의해 상면이 형성되고, 연장부(42)에 의해 전면과 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상 히터 커버(70) 중앙부에는 평면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71)는 상기 냉장고(1)의 바닥면 또는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71)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7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평면부(71)는 상기 냉매 파이프(31)의 수직 하방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평면부(71)는 상기 에어 홀(711)이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711)은 상기 평면부(71)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상수 물방울이 표면 장력에 의해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홀(43)은 상기 증발기 팬(18)의 구동시 상기 제상 히터(34)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상태의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될 때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41)의 좌우 양측단에는 고정부(44)와 삽입부(45)가 형성되어 상기 제상 히터 커버(70)가 상기 제상 히터(34)의 상방에서 상기 프레임(33)에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부(4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방에서 낙하되는 물이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을 따라서 흘러내린 후 상기 제상 히터(34)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에는 외측단에는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2)는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경사면(411)과 제 2 경사면(412)을 따라서 흘러내린 물이 상기 제상 히터(34)의 외측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도 18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50)는 경사면(51)에 의해 상면이 형성되고, 연장부(52)에 의해 상기 경사면(51)의 전면과 후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51)의 좌우 양측단에는 고정부(54)와 삽입부(55)가 형성되어 상기 제상 히터 커버(50)가 상기 제상 히터(34)의 상방에서 상기 프레임(33)에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면(51)은 상기 프레임(33)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전방 또는 후방의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면(51)의 후단은 높고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상방에서 낙하되는 물이 상기 경사면(51)을 따라 전방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51)의 전단과 후단에는 상기 연장부(52)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51)에는 다수의 에어 홀(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53)은 상기 경사면(51)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되되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53)은 상기 제상 히터(34)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 홀(53)을 통해 물이 낙하되는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제상 히터(34)를 피해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에어 홀(53)은 1열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경사면(51)을 따라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증발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제상 히터 커버(40)는 전술한 실시 예들의 어느 한 제상 히터 커버(4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부(44)와 삽입부(45)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양단은 상기 프레임(33)의 내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41)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장부(42)에는 브라켓 장착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421)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장착을 위한 커버 브라켓(6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양측의 상기 연장부(42)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양측의 상기 연장부(42)에는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62)가 체결되는 홀 형상의 브라켓 장착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421)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양단에서 등 간격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커버 브라켓(60)이 상기 브라켓 장착부(42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62)는 상기 커버 브라켓(60)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 장착부(421)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브라켓(60)은 하단이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에 결합되고, 최하단에 위치된 상기 냉매 파이프(31)까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브라켓(60)의 상단에는 걸이부(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61)는 고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31)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브라켓(60)의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상 히터(34)와 최하단의 상기 냉매 파이프(3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상 히터(34) 및 냉매 파이프(31) 어디에도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상 히터 커버(40)는 제품의 제조 과정 중에 간단히 상기 제상 히터 커버(40)를 상기 증발기(30)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판매되어 설치된 상태의 냉장고(1)의 증발기(30)에 상기 커버 브라켓(60)을 걸어서 간단하게 추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상황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이미 설치된 상태의 냉장고(1)에 추가 장착할 수 있다.

Claims (11)

  1. 베리어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동실의 후방에 배치되며, 다수회 절곡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냉매 파이프;
    상기 냉매 파이프를 관통하는 다수의 열교환 핀;
    상기 냉매 파이프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쌍의 프레임;
    상기 냉매 파이프의 상부에 구비되며, 제상 운전시 상기 냉매 파이프의 상부 영역을 가열하는 보조 제상히터;
    상기 냉매 파이프의 하단과 이격 배치되며, 제상 운전시 상기 냉매 파이프를 하방에서 가열하는 제상 히터;
    상기 냉매 파이프와 상기 제상 히터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상 히터를 상방에서 차폐하는 제상 히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상 히터 커버에는,
    상기 제상 히터 커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상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통과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로 향하도록 하는 다수의 에어 홀이 형성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홀은 1mm ~ 3mm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표면 장력에 의해 제상수가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커버의 양단에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상 히터 커버의 절곡 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히터 커버의 양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상 히터 커버를 따라 흘러내리는 제상수가 상기 제상 히터의 외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히터 커버에 결합되며, 연장된 상단이 상기 냉매 파이프에 걸림 구속되어 상기 제상 히터 커버가 상기 냉매 파이프에 매달린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히터 커버는,
    상기 제상 히터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 홀은 상기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히터 커버는 상방에서 낙하되는 제상수가 상기 제상 히터의 외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홀은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히터 커버에는 상기 에어 홀의 성형을 위해 절개되되, 절개된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에어 홀을 상방에서 차폐하는 차폐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히터 커버에는,
    상기 경사면의 일단과 접하는 평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홀은 상기 평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히터 커버는,
    상방에서 낙하되는 제상수가 상기 제상 히터의 외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서 함몰되어 제상수를 외측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홀은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되는 상기 함몰부의 사이에 돌출되는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0127847A 2016-10-04 2016-10-04 냉장고 KR102620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847A KR102620309B1 (ko) 2016-10-04 2016-10-04 냉장고
EP17191724.8A EP3306242B1 (en) 2016-10-04 2017-09-19 Refrigerator
US15/712,710 US10254038B2 (en) 2016-10-04 2017-09-2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847A KR102620309B1 (ko) 2016-10-04 2016-10-0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539A true KR20180037539A (ko) 2018-04-12
KR102620309B1 KR102620309B1 (ko) 2024-01-03

Family

ID=5991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847A KR102620309B1 (ko) 2016-10-04 2016-10-04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54038B2 (ko)
EP (1) EP3306242B1 (ko)
KR (1) KR102620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4608A1 (de) * 2016-12-09 2018-06-1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spezifischem Abdecksystem in einem Aufnahmeraum für Lebensmittel
JP7058871B2 (ja) * 2018-05-23 2022-04-25 アクア株式会社 除霜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JP7424742B2 (ja) * 2018-07-02 2024-01-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2020091057A (ja) * 2018-12-05 2020-06-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US11619437B2 (en) * 2019-02-01 2023-04-04 Standex International Corporation Evaporator defrost by means of electrically resistive coating
CN111136434A (zh) * 2019-11-06 2020-05-12 苏州朗威电子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服务器机柜加工板件折叠方法
US11686523B2 (en) * 2020-11-06 2023-06-2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ion unit
CN113865199A (zh) * 2021-09-30 2021-12-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2267A (en) * 1990-10-05 1991-08-27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ination evaporator and radiant heater defrost means
JPH09105575A (ja) * 1995-10-05 1997-04-22 Sharp Corp 保冷装置用蒸発器の除霜装置
KR20000004753A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냉장고의 제상히터 보호장치
JP2000121237A (ja) * 1998-10-20 2000-04-2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2003004361A (ja) * 2001-06-26 2003-01-08 Toshiba Corp 冷蔵庫
JP2009092261A (ja) * 2007-10-04 2009-04-30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CN101839608A (zh) * 2007-11-22 2010-09-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带除霜加热器的冷却器及物品储藏装置
CN102072608A (zh) * 2009-11-25 2011-05-25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冷冻系统除霜器的加热装置及其电源供应装置
JP2012237520A (ja) * 2011-05-13 2012-12-06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15010770A (ja) * 2013-06-28 2015-01-19 ハイアールアジア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冷蔵庫
JP2015055446A (ja) * 2013-09-13 2015-03-23 株式会社Uacj 冷凍冷蔵庫の熱交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6931A (en) * 1967-10-12 1969-04-08 Gen Electric Combination evaporator and radiant heater defrost means
JP2004020003A (ja) * 2002-06-14 2004-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JP2004190959A (ja) * 2002-12-11 2004-07-08 Toshiba Corp 冷蔵庫
KR100588134B1 (ko) 2004-09-24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663030B1 (ko) * 2004-12-29 2006-12-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컬러필터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91207B1 (ko) * 2007-02-26 201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증발기 장착구조
KR101265638B1 (ko) * 2007-03-30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 일체형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2267A (en) * 1990-10-05 1991-08-27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ination evaporator and radiant heater defrost means
JPH09105575A (ja) * 1995-10-05 1997-04-22 Sharp Corp 保冷装置用蒸発器の除霜装置
KR20000004753A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냉장고의 제상히터 보호장치
JP2000121237A (ja) * 1998-10-20 2000-04-2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2003004361A (ja) * 2001-06-26 2003-01-08 Toshiba Corp 冷蔵庫
JP2009092261A (ja) * 2007-10-04 2009-04-30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CN101839608A (zh) * 2007-11-22 2010-09-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带除霜加热器的冷却器及物品储藏装置
CN102072608A (zh) * 2009-11-25 2011-05-25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冷冻系统除霜器的加热装置及其电源供应装置
JP2012237520A (ja) * 2011-05-13 2012-12-06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15010770A (ja) * 2013-06-28 2015-01-19 ハイアールアジア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冷蔵庫
JP2015055446A (ja) * 2013-09-13 2015-03-23 株式会社Uacj 冷凍冷蔵庫の熱交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6242B1 (en) 2020-08-12
US10254038B2 (en) 2019-04-09
US20180094848A1 (en) 2018-04-05
EP3306242A1 (en) 2018-04-11
KR102620309B1 (ko)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4038B2 (en) Refrigerator
EP3385641B1 (en) Refrigerator
US10718561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a refrigerating chamber
KR20180035622A (ko) 냉장고
KR10129120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증발기 장착구조
KR20180035617A (ko) 냉장고
US5784896A (en) Freezer or refrigerator construction suitable for food service use
KR20180103533A (ko) 냉장고
US20220341654A1 (en) Refrigerator with improved evaporator installation structure
CN108168187B (zh) 具有相对于后壁密封的分隔板的无霜家用制冷器具
KR102380399B1 (ko) 냉장고
KR101052971B1 (ko) 냉장고
KR101132548B1 (ko) 냉장고
US20220341651A1 (en) Refrigerator
JP2013253763A (ja) 冷却貯蔵庫
KR20180103532A (ko) 냉장고
JP5367553B2 (ja) 冷却貯蔵庫
US20240175623A1 (en) Storehouse
JP6697040B2 (ja) 冷蔵庫
KR102153136B1 (ko) 냉장고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KR102671121B1 (ko) 냉장고
KR102182084B1 (ko) 냉장고
KR20230009086A (ko) 저장고
JP2005291522A (ja) 冷却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