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006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0064A KR20240100064A KR1020220182142A KR20220182142A KR20240100064A KR 20240100064 A KR20240100064 A KR 20240100064A KR 1020220182142 A KR1020220182142 A KR 1020220182142A KR 20220182142 A KR20220182142 A KR 20220182142A KR 20240100064 A KR20240100064 A KR 202401000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aporator
- refrigerator
- partition
- drain pan
- heat exchan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0904 Freezing phenomen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73 re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respect to movable contai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열교환실; 상기 열교환실 내부에 구비되며,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 상기 열교환실과 연통된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를 지나는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며, 제상수를 모아서 상기 열교환실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팬; 및 상기 증발기와 드레인 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와 드레인 팬 사이 공간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파티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각종 음식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그 내부에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를 형성하고, 이러한 본체의 전면에는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냉장고에는 냉매의 순환에 의해 저장실을 냉각할 수 있도록 냉각 사이클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냉각 사이클을 이루는 구성들이 배치되는 기계실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냉각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와,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기는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저장실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저장실을 냉각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실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송풍팬의 구동시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지 않고 바이패스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한 냉각 효율의 저하 및 습공기 유입으로 인한 결빙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와 드레인 팬 사이에 파티션이 구비되어 바이패스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의 표면을 지나지 않고 바이패스 되는 공기로 인한운전율 증가, 수분 유입으로 인한 성에와 결빙 문제를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열교환실; 상기 열교환실 내부에 구비되며,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 상기 열교환실과 연통된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를 지나는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며, 제상수를 모아서 상기 열교환실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팬; 및 상기 증발기와 드레인 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와 드레인 팬 사이 공간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파티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티션의 상단은 상기 증발기의 하단과 접하고, 상기 파티션의 하단은 상기 드레인 팬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를 기준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냉기 입구와, 배출되는 냉기 출구가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파티션은, 상기 냉기 입구와 냉기 출구 사이에서 상기 드레인 팬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가 장착되는 프레임이 구비되며,상기 파티션은 상기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은, 상기 드레인 팬 내부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접하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접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단은 상기 증발기의 하면과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단은 상기 드레인 팬의 내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은, 상기 증발기의 양측 중 공기가 배출되는 일측단과 상기 증발기의 중앙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은, 상기 증발기의 일측단과 상기 드레인 팬의 배수 홀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부와 고정부가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의 하단과 상기 드레인 팬과의 사이 간격은 3mm ~10mm 사이의 값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캐비닛의 배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상수 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상수 파이프의 하단은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배치된 제상수 받이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의 하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 공간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덕트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 상단의 냉기 입구를 통과한 상기 저장 공간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후 상기 냉동실의 상면에 형성된 냉기 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저장 공간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송풍팬은 상기 파티션을 기준으로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는 상기 증발기로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가이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는, 압축기 및 응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이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실은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서 상기 기계실과 나란히 배치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증발기의 하측에 파티션을 구비하여, 증발기의 하부 공간에 생기는 바이패스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되는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제습되어 습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그로 인한 결빙과 성에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이패스 되는 공기가 증발기를 지나면서 냉각된 상태로 고내로 공급되어, 고내에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운전율과 냉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파티션은 증발기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파티션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치 않으며, 증발기 장착 구조를 이용하여 파티션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조립작업이 보다 간결하고 용이하게 되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파티션은 증발기의 하방의 공간을 구획하여 바이패스 유량은 최소화 하면서도, 상기 파티션의 하단이 드레인 팬과는 이격되어 제상수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본체 상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본체 상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증발기 및 드레인 팬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하여 일 방향에서 본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하여 다른 방향에서 본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증발기와 파티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열교환실 내부의 공기 유동 및 제상수 배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본체 상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본체 상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증발기 및 드레인 팬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하여 일 방향에서 본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하여 다른 방향에서 본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증발기와 파티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열교환실 내부의 공기 유동 및 제상수 배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에서 보이는 캐비닛을 기준으로 도어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도어를 기준으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그리고,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리고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설명에 필요한 경우 각 도면을 기준으로 방향을 다시 정의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장실(12)과, 상기 캐비닛(10) 하부에 형성되는 냉동실(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도 6의 101)와,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도 6의 102)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이너 케이스(102)의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도 6의 10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은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도 5의 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각각 냉장실(12)과 냉동실(13)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기계실(3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계실(30)은 상기 캐비닛(10)의 좌우 양측 중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30)은 상기 캐비닛(10)의 저장 공간과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3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 내부에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20)와, 상기 응축기(320)의 일측에 마련되는 기계실팬(340)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30)에는 기계실 에어가이드(360)가 구비된다. 상기 기계실 에어가이드(360)는 상기 기계실팬(340)의 구동시 상기 기계실(3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계실 에어가이드(360)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 에어가이드(36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기계실(30) 내에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310), 응축팬(330), 응축기(320)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30)은 상기 냉장고 상면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열교환실(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실(40)은 증발기(41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으로 공급되는 냉기를 생성 및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실(40)은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어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실(40)은 외부와 단열된 단열 공간(40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실(40)의 단열 공간(400)은 상기 기계실(30)과는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실(40)은 상기 기계실(30)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실(40)과 기계실(30)은 병렬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열교환실(40)은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실(30)은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30) 상면의 높이와 상기 열교환실(40) 상면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계실(30)의 외관을 형성하는 기계실 케이스(301)와, 상기 열교환실(40)의 외관을 형성하는 열교환실 케이스(401)는 서로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상방에는 상기 기계실(30) 및 열교환실(40)을 전방에서 차폐하는 상부 커버(15)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부 커버(15)에는 커버 구획판(151)이 구비되어 상기 기계실(30) 전면의 기계실 흡입구(351)와 기계실 토출구(352)를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30) 전방에서 상기 기계실(3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냉장고의 구조는 가구 또는 벽체에 매립하여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이 상기 캐비닛(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빌트인 장착된 상기 냉장고의 상기 기계실(30)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30)의 배치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캐비닛(10) 상방의 공간에 상기 열교환실(40)을 배치 함으로써 상기 저장 공간의 용량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본체 상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본체 상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증발기 및 드레인 팬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상기 기계실(30)은 상기 기계실팬(3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기계실(30) 내부의 공간(300)으로 공기 유입 및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팬(34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압축기(310)의 냉각 및 응축기(320)의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350)의 기계실 흡입구(351)를 통과하여 상기 기계실(3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압축기(310)를 지나면서 상기 압축기(310)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 에어가이드(360)의 안내에 의해 상기 기계실팬(340)을 지나 상기 응축기 하우징(33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응축기 하우징(330)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기(310)가 구비되며, 상기 응축기 하우징(330)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압축기(310)가 방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하우징(330)의 출구는 상기 기계실 커버(350)의 기계실 토출구(352)와 인접하며, 상기 응축기(320)를 지나는 공기는 상기 기계실 토출구(3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5)는 상기 기계실 커버(350)와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커버(15)와 기계실 커버(350) 사이의 공기 유동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 흡입구(351) 및 기계실 토출구(351)는 상기 상부 커버(15)에 의해서 전방에서 차폐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 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는 냉장실을 냉각하는 냉장실 증발기(120)와, 냉동실을 냉각하는 냉동실 증발기(410)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증발기(120)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증발기(410)는 상기 열교환실(4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동실 증발기(410)를 증발기라 부르기로 한다.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제상수 받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받이(130)는 상기 캐비닛(10)의 바닥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저장공간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상수 받이(130)의 상방에 상기 냉장실 증발기(12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상수 받이(130)는 제상 운전 시 상기 냉장실 증발기(120)에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받아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실(40)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410)에서 발생되는 제상수를 받는 드레인 팬(44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440)에는 제상수 파이프(1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파이프(140)는 상기 제상수 받이(13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파이프(140)는 상기 캐비닛(10) 후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백 커버(10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증발기(120)와 상기 냉장실 증발기(120)에서 발생되는 제상수는 모두 상기 제상수 받이(130)로 모여 집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상수 받이(130)에 집수된 물은 응축기 또는 히터에 의해 증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열교환실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3의 6-6을 따라 절개하여 일 방향에서 본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하여 다른 방향에서 본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증발기와 파티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열교환실(40) 내부에는 증발기(410), 드레인 팬(440) 및 파티션(4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410)의 형상은 상기 열교환실(40)의 내부공간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사각 블록 형태를 띄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발기(4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410)는, 내부로 냉매가 흐르는 냉매 파이프(411)와, 상기 냉매 파이프(411)의 외면에 결합되어 냉매와 공기간의 열전달을 촉진시키는 열교환 핀(4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 핀(412)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연속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 파이프(411)는 상기 열교환 핀(412)들을 관통하며, 상기 증발기(410)의 양측방에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파이프(411)는 양단이 절곡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410)의 전체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410)의 하측에는 제상 히터(430)가 구비된다. 상기 제상 히터(430)는 제상 운전시 발열될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 팬(44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상 히터(430)는 상기 드레인 팬(440)의 영역 내에서 다수회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410)의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410)가 장착되는 프레임(4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20)은 상기 증발기(41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실(4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410)의 하방에는 상기 드레인 팬(4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440)은 상기 증발기(410)에서 발생되는 제상수를 배출 하는 것으로, 상기 열교환실(4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드레인 팬(440)의 크기는 상기 증발기(41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410)는 상기 드레인 팬(440)의 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440)은 상기 열교환실(40)의 내부 공간 하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440)의 테두리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상수가 모이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440)에는 집수된 제상수를 배출하는 배수 홀(4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442)은 상기 드레인 팬(440)의 중앙에서 다소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팬(440)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 홀(442)을 향할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410)에서 낙하되는 제상수는 상기 드레인 팬(440)의 바닥을 따라 상기 배수 홀(442)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 홀(442)을 통해 상기 열교환실(4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실(40)에는 송풍팬(4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70)은 상기 증발기(410)를 지나는 공기 유동을 강제하고, 상기 냉동실(13)과 상기 열교환실(40) 사이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70)은 상기 증발기(41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70)은 상기 열교환실(40)의 전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70)은 상기 드레인 팬(44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7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 터보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70)은 팬을 수용하며,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70)은 팬과 하우징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송풍팬(470)의 입구는 상기 증발기(410)의 전면을 향하고, 상기 송풍팬(470)의 출구는 하방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70)의 출구는 상기 냉동실(13)의 상면에 형성된 냉기 출구(132)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410)를 통해 냉각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470)과 상기 냉기 출구(132)를 지나 상기 냉동실(13)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실(40)의 하면에는 덕트(13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1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13)과 상기 열교환실(40)을 연통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냉동실(13) 내부의 공기는 상기 덕트(131)를 통해 상기 열교환실(4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덕트(131)는 냉동실(13)의 후벽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30) 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덕트(131)의 출구는 상기 열교환실(4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냉기 입구(131)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31)는 상기 열교환실(4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입구(131)는 상기 드레인 팬(440) 보다 더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실(40)에는 에어가이드(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450)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동되는 냉기를 상기 증발기(410)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어가이드(450)는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 또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450)는 상기 덕트(131)의 상방 즉, 상기 냉기 입구(131)의 상방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450)는 상기 증발기(41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450)는 다수개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450)는 다수개가 상하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증발기(4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증발기(410)의 하측에는 상기 드레인 팬(440)과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데,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되는 공기 유로의 특성상, 상기 덕트 상단의 냉기 입구(131)에서 상기 열교환실(40)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냉매 파이프(411) 및 열교환 핀(412)을 지나지 않고, 상기 증발기(410)의 하면과 상기 드레인 팬(440)의 사이 공간으로 바이패스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증발기(410)와 상기 드레인 팬(440) 사이의 공간으로 바이패스 되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되는 공기의 흐름 발생시, 상기 제상수 파이프(140)를 통해 역류하는 습증기가 상기 증발기(410)의 하측 공간에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470) 주위에 결빙이나 성에가 발생되어 상기 송풍팬(470)의 동작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나, 상기 파티션(460)에 의해 바이패스되는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증발기(410)의 하면에서 상기 드레인 팬(44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증발기(410)와 상기 드레인 팬(44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거나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410)의 하방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파티션(460)으로 인해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냉매 파이프(411) 및 상기 열교환 핀(412)이 배치된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증발기(410)를 기준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냉기 입구(131)와, 공기가 배출되는 냉기 출구(132)는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냉기 입구(131)와 상기 냉기 출구(132) 사이에서 상기 드레인 팬(440)을 향하여 연장 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증발기(410)의 하면 전단에 배치될 경우, 증발기(410) 하면과 드레인 팬(440) 사이의 공기 유동 공간이 너무 넓어지게 되어 해당 공간에서의 공기가 정체되어 공기 흐름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증발기(410)의 하면 후단 또는 후단과 매우 가까이 배치될 수 경우, 상기 열교환실(40)을 지나는 고내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 핀(412)과 접촉하는 시간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티션(460)은 증발기(410)의 전단이 아닌, 공기가 배출되는 일측단과 상기 증발기(410)의 중앙 사이(L)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증발기(410) 전후 방향으로 전체 길이의 삼분의 일 지점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열교환실(40) 을 지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 핀(412)에 체류되는 시간을 확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증발기(410)의 전단과 상기 드레인 팬(440)의 배수 홀(44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드레인 팬(440)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배수 홀(442)을 통해 공기가 역류되더라도 바이패스 되지 않고 상기 증발기(410)를 통과하면서 제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410)는 상기 프레임(4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20)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41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20)은 상기 열교환실(40) 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41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20)은 상기 증발기(410)의 하면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410)를 좌우 양측방에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42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20)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상면과 측면을 형성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프레임(4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증발기(410)의 하방에서 상기 프레임(4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420), 증발기(410) 상기 파티션(460)은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상기 열교환실(4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드레인 팬(440)을 구획하도록 연장되는 플레이트부(462)와, 상기 플레이트부(462)의 양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420)과 결합되는 고정부(461)를 포함한다.
상기 파티션(460)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460)은 판상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부(462)와 고정부(461)가 절곡에 의해 간단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462)의 상단은 상기 증발기(410)의 하면과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부(462)의 하단은 상기 드레인 팬(440)의 내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플레이트부(462)는 상기 드레인 팬(440)의 내부 형상을 따라 내부가 경사진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61)의 상면과 측면은 상기 프레임(420)과 나란하게 밀착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부(462)의 하단은 증발기(410)를 통과하는 공기의 바이패스를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드레인 팬(44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부(462)의 하단은 상기 드레인 팬(440)의 상단 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462)의 하단은 상기 파티션(460)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61)는 상기 플레이트부(462)에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변형이 방지되도록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부(461)는 제 1 고정부(461a)와 제 2 고정부(46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461a)는 상기 프레임(420)의 상면과 접하며, 상기 플레이트부(462)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461a)는 상기 프레임(420)의 상면과 나란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461b)는 상기 제 1 고정부(461a)의 외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461b)는 상기 프레임(420)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461b)는 상기 제 1 고정부(461a)와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61)는 상기 제 1 고정부(461a)와 제 2 고정부(461b)가 모두 스크류(463,464)에 의해 상기 프레임(420)의 체결홀(421,422)에 체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고정부(461a)에 형성되는 제 1 스크류홀(461c)은 상기 제 1 스크류(463)에 의해 상기 프레임(420)에 형성되는 체결홀(421)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크류(464)는 상기 제 2 고정부(461b)의 제 2 스크류홀(미도시)과, 상기 프레임(420)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홀(42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61) 및 스크류(463,464)는 상기 제상 히터(430) 외측에 배치되어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제상 히터(430)의 선과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티션(460) 양측의 고정부재는 상면 및 측면이 각각 스크류(463,464)에 의해 상기 프레임(420)에 고정되어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면적이 넓은 플레이트부(462)에 공기 유동시의 저항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파티션(460)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티션(460)은 플라스틱이 아닌 금속 혹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부(462)와 고정부(461)가 절곡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제상 히터(430)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가연성 소재인 폼(foam)과 같은 물질을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파티션(460)에 녹이 생기는 발청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410) 및 프레임(420)과 동일한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460)이 금속 혹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증발기(410)와 파티션(460)을 통과하는 유속에 의한 진동이나 떨림 현상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티션(460)은 상기 고정부(461)의 형상이 절곡된 형상을 가지게 되어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410)와 파티션(460)의 조립 시, 상기 파티션(460)과 상기 드레인 팬(440)은 설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설정 간격은 상기 파티션(460)에 의해 바이패스 되는 공기 유로는 차단할 수 있으면서, 상기 드레인 팬(440)을 통해 제상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설정 간격은 3~10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티션(460)과 드레인 팬(440)와의 간격이 3mm 이하가 될 경우, 포집된 제상수가 응집되어 얼음으로 성장할 문제가 있으며, 상기 파티션(460)과 드레인 팬(440)와의 간격이 10mm 보다 클 경우, 상기 증발기(410)의 하측에 바이패스 되는 유동량이 증가하게 되어, 바이패스 현상 억제 효과가 감소하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열교환실 내부의 공기 유동 및 제상수 배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의 동작시 상기 열교환실(40) 내부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13)로 공급되고, 상기 냉동실(13)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풍팬(470)의 구동시 상기 냉동실(13) 내부의 공기는 상기 덕트(131)를 통해 상기 열교환실(40)로 유입된다. 상기 냉기 입구(131)를 통해 상방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450)를 통해 상기 증발기(410)의 후면으로 안내된다.
상기 증발기(4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는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증발기(410)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냉매 파이프(411) 및 열교환 핀(412)과 열교환 되어 냉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410)의 하방과 상기 드레인 팬(440) 사이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파티션(46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티션(460)에 부딪힌 공기는 상기 파티션(460)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되고 상기 냉매 파이프(411)와 상기 열교환 핀(412)의 표면을 지나면서 상기 증발기(410)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410) 후방의 공기는 모두 상기 증발기(410)를 통과하면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증발기(410)를 통과한 냉기는 상기 송풍팬(470)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되며, 상기 냉동실(13) 상면의 냉기 출구(132)를 통해 상기 냉동실(13)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410)에 성에가 착상되어 결빙된 경우 제상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상운전에 의해 제상 히터(430)가 동작하게 되면 결빙된 성에가 녹으면서 제상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410)의 제상수는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제상수는 상기 드레인 팬(440)으로 집수 되며, 상기 드레인 팬(440)의 하면을 따라 유동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레인 팬(440)의 바닥면과 상기 파티션(460)의 하단의 사이는 제상수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드레인 팬(440)으로 집수된 물은 상기 배수 홀(442)을 통해 상기 열교환실(40)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Claims (17)
-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열교환실;
상기 열교환실 내부에 구비되며,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
상기 열교환실과 연통된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를 지나는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며, 제상수를 모아서 상기 열교환실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팬; 및
상기 증발기와 드레인 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와 드레인 팬 사이 공간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파티션을 포함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상단은 상기 증발기의 하단과 접하고, 상기 파티션의 하단은 상기 드레인 팬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를 기준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냉기 입구와, 배출되는 냉기 출구가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파티션은,
상기 냉기 입구와 냉기 출구 사이에서 상기 드레인 팬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가 장착되는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파티션은 상기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드레인 팬 내부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접하는 상기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의 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접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단은 상기 증발기의 하면과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단은 상기 드레인 팬의 내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증발기의 양측 중 공기가 배출되는 일측단과 상기 증발기의 중앙 사이에 구비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증발기의 일측단과 상기 드레인 팬의 배수 홀 사이에 구비되는 냉장고.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부와 고정부가 절곡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하단과 상기 드레인 팬과의 사이 간격은 3mm ~10mm 사이의 값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캐비닛의 배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상수 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상수 파이프의 하단은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배치된 제상수 받이까지 연장되는 냉장고.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하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 공간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덕트가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상단의 냉기 입구를 통과한 상기 저장 공간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후 상기 냉동실의 상면에 형성된 냉기 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저장 공간으로 공급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파티션을 기준으로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는 상기 증발기로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가이드가 구비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는, 압축기 및 응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이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실은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서 상기 기계실과 나란히 배치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2142A KR20240100064A (ko) | 2022-12-22 | 2022-12-22 | 냉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2142A KR20240100064A (ko) | 2022-12-22 | 2022-12-22 | 냉장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0064A true KR20240100064A (ko) | 2024-07-01 |
Family
ID=9194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2142A KR20240100064A (ko) | 2022-12-22 | 2022-12-22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00064A (ko) |
-
2022
- 2022-12-22 KR KR1020220182142A patent/KR20240100064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04833B1 (ko) | 냉장고 | |
KR101631904B1 (ko) | 냉장고 | |
KR101291207B1 (ko)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증발기 장착구조 | |
KR20240084519A (ko) | 냉장고 | |
US20180094848A1 (en) | Refrigerator | |
US8789387B2 (en) | Refrigerator | |
US4353223A (en) | Refrigerator with a large refrigeration chamber cooled by natural convection | |
KR20120007500A (ko) | 냉장고 공기 덕트 | |
KR102483212B1 (ko) | 냉장고 | |
KR20180103533A (ko) | 냉장고 | |
US3111818A (en) | Refrigerators and components | |
CN110375477B (zh) | 制冷室位于冷冻间室底部的冰箱 | |
KR101519142B1 (ko) | 냉장고 | |
KR101645731B1 (ko) | 냉장고 | |
JP2014048029A (ja) | 冷蔵庫 | |
KR20240100064A (ko) | 냉장고 | |
KR101052971B1 (ko) | 냉장고 | |
KR100901033B1 (ko) | 그릴팬 어셈블리 | |
US20230145778A1 (en) | Refrigerator | |
JP3757643B2 (ja) | 冷蔵庫 | |
KR101519136B1 (ko) | 냉장고 | |
JP6762247B2 (ja) | 冷凍冷蔵装置 | |
KR20210081010A (ko) | 냉장고 | |
CN219390180U (zh) | 半导体制冷的制冷设备 | |
US20220146155A1 (en) | Refrigerat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