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101A -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101A
KR20180037101A KR1020170119372A KR20170119372A KR20180037101A KR 20180037101 A KR20180037101 A KR 20180037101A KR 1020170119372 A KR1020170119372 A KR 1020170119372A KR 20170119372 A KR20170119372 A KR 20170119372A KR 20180037101 A KR20180037101 A KR 20180037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at
airbag
width direction
sid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698B1 (ko
Inventor
다카미치 고무라
오사무 후카와타세
마사토 구니사다
히로에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8003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2Position of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4Ch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0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the individual compartments defin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38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시트(10)는, 외사이드 프레임(22)과, 인플레이터(56)와, 전챔버(70F)와 후챔버(70R)를 가지는 사이드 에어백(70)을 구비한다. 상기 인플레이터(56)는 상기 후챔버(70R)가 상기 전챔버(70F)보다도 조기이면서 고압으로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은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22)을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으로 걸치면서 상기 전챔버(70F)를 포함하는 부위가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측부 내에 수납된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WITH SIDE 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9-023494호에 기재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시트백의 외(外)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시트 전방(前方)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접책 접기(accordion-folded)된 주(主)에어백과, 외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접책 접기된 보조 에어백과, 외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고정된 단일의 인플레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보조 에어백의 기단부는, 외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주에어백의 기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는, 보조 에어백의 기단부에 수납되어 있으며, 측면 충돌이 검지되었을 때에, 주에어백에 선행하여 보조 에어백으로 가스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보조 에어백이 주에어백에 선행하여 시트백의 사이드부 내에서 팽창 전개되고, 착좌 탑승자를 시트 폭 방향 내측(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080169호에 기재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서는, 시트백의 외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전후의 백부로 구분된 전방 전개 에어백과 내방(內方) 팽창 에어백을 가지는 사이드 에어백과, 단일의 인플레이터가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는, 측면 충돌이 검지되었을 때에, 전방 전개 에어백의 후(後)백부 내에 있어서의 내방 팽창 에어백과의 결합부 부근에서 가스를 분출한다. 이에 따라, 전방 전개 에어백보다도 소용량인 내방 팽창 에어백이, 외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면서 조기에 팽창되고, 내성값이 높은 착좌 탑승자의 척추를 비스듬하게 후방으로부터 조기이면서 효과적으로 구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9-023494호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외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접책 접기된 보조 에어백이, 외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외측(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된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 공급을 받기 때문에, 보조 에어백으로의 가스 공급에 지연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보조 에어백에 의한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의 착좌 탑승자의 이동을 조기화하는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080169호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접힌 사이드 에어백이, 인플레이터와 함께 외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내측(차량 폭 방향 중앙측; 착좌 탑승자측)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사이드 프레임과 착좌 탑승자의 사이의 간극이 좁게 설정된 시트백으로의 탑재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측면 충돌시에 착좌 탑승자를 조기에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이동시킬수 있음과 함께, 외사이드 프레임과 착좌 탑승자의 사이의 간극이 좁게 설정된 시트백으로의 사이드 에어백의 탑재가 용이해지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시트백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 내에 배치하여 설치된 외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장착된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를 수용하는 사이드 에어백을 가진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사이드 에어백을 전(前)챔버와 후(後)챔버로 구분하는 칸막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부는 연통구를 가진다.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후챔버에 수용되고, 상기 후챔버가 상기 전챔버보다도 조기이면서 고압으로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을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으로 걸치면서 상기 전챔버를 포함하는 부위가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측부 내에 수납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시트백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 내에 배치하여 설치된 외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인플레이터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는,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 충돌이 검지 또는 예지된 경우에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인플레이터를 수용한 사이드 에어백의 후챔버가, 외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중앙측 방향의 반력을 받으면서, 전챔버보다도 조기이면서 고압으로 팽창 전개되고, 착좌 탑승자를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착좌 탑승자를 조기에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의 사이드 에어백은, 외사이드 프레임을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으로 걸치면서 전챔버를 포함하는 부위가 외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외사이드 프레임을 개재하여 착좌 탑승자와는 반대측)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측부 내에 수납된다. 이에 따라, 외사이드 프레임과 착좌 탑승자의 사이의 간극이 좁게 설정된 시트백으로의 사이드 에어백의 탑재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상기 전챔버는, 착좌 탑승자의 흉부 및 복부의 전부를 구속하고,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상기 후챔버는, 착좌 탑승자의 흉부 및 복부의 후부와, 착좌 탑승자의 요부의 전부 및 후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외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중앙측 방향의 반력을 받으면서 전챔버보다도 조기이면서 고압으로 팽창 전개되는 후챔버가, 착좌 탑승자의 흉부로부터 요부까지를 광범위하게 구속(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가압)한다. 게다가, 상기 후챔버는, 착좌 탑승자의 요부의 전부 및 후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요부의 후부만이 후챔버에 의해 가압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요부의 가압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을 따르기 쉬워진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착좌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는,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에 계지되어, 상기 측부 내에 수납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을 상기 시트백의 평단면에서 보아 포위함과 함께,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압으로 파단하는 취약부를 구비한 포위 부재를 추가로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외사이드 프레임에 계지된 포위 부재가, 시트백의 측부 내에 수납된 사이드 에어백을, 시트백의 평단면에서 보아 포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의 전챔버측을 포함하는 부위, 즉 외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접혀 있는 부위를, 간소한 구성으로 접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포위 부재는,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압으로 파단하는 취약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를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포위 부재는, 수지 또는 수지가 함침된 천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시트백의 측부 내에 수납된 사이드 에어백을 포위한 포위 부재가, 수지 또는 수지가 함침된 천(예를 들면, 펠트 등의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의 접힌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포위 부재는, 가요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시트백의 측부 내에 수납된 사이드 에어백을 포위한 포위 부재가, 가요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재료(예를 들면, 천이나 종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포위 부재를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측부 내에 수납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 외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접혀 있는 부위가,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기 쉬워진다. 게다가, 시트백의 평단면에서 보는 것에 있어서,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백의 측부에 있어서의 착좌 탑승자측의 면을 따른 외형 형상이 된다. 이에 따라, 외사이드 프레임과 착좌 탑승자의 사이의 간극이 좁게 설정된 시트백으로의 탑재성을 악화시키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상면은,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여 내림 구배의 경사면이 되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경사면이 착좌 탑승자의 어퍼 아암부를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어퍼 아암부를 차량 상방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그 결과, 착좌 탑승자의 흉부와 사이드 에어백의 사이에 어퍼 아암부가 개재되기 어려워져, 흉부가 어퍼 아암부로부터 부하를 받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후챔버는, 상기 요부의 전부를 구속하는 부위가, 차량 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팽창 전개되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백 측부의 차량 전방의 비적정 위치에 탑승자가 위치하는 상태로 고압의 후챔버가 팽창 전개된 경우에, 상기 탑승자가 받는 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은, 착좌 탑승자가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 AM50의 삼차원 마네킹인 경우, 상기 삼차원 마네킹의 백팬과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에 기재된 「삼차원 마네킹」은, 미국의 SAE 규격에 있어서의 SAEJ 826으로 규정되는 SAE 3DM이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사이드 프레임이 착좌 탑승자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착좌 탑승자에 근접 배치되는 외사이드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인플레이터가 장착됨과 함께, 상기 인플레이터가 사이드 에어백의 후챔버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챔버를 착좌 탑승자의 가까운 거리에서 조기이면서 고압으로 팽창 전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후챔버에 의한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의 착좌 탑승자의 이동을 한층 조기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내부에 배치하여 설치된 테더라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사이드 에어백의 내부에 배치하여 설치된 테더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이 전챔버와 후챔버로 구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챔버 및 후챔버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폭을 두껍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챔버 및 후챔버의 탑승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착좌 탑승자가 후챔버로부터 받는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의 가압력을 크게 할 수 있어,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의 착좌 탑승자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전후 칸막이부와 상하 칸막이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L자 형상을 이루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을 차량 전후 방향 중앙부에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상단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전후 칸막이부와, 상기 전후 칸막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전연부(前緣部)측으로 연장되는 상하 칸막이부로부터 구성되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기포(基布)를 봉제한 봉제부라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사이드 에어백의 기포를 봉제한 봉제부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이 전챔버와 후챔버로 구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의 내부에 테더가 배치하여 설치된 구성과 비교하여, 사이드 에어백의 구성이 간소해지고, 사이드 에어백을 작게 접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의 시트백으로의 탑재성이 한층 향상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시트백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전단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전(前)플랜지부와, 상기 측벽부의 후단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후(後)플랜지부를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의 태양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후플랜지부의 시트 폭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전플랜지부의 상기 시트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커져도 된다. 상기 측벽부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후플랜지부의 시트 폭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전방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외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삼차원 마네킹의 백팬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상기 후플랜지부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서는, 측면 충돌시에 착좌 탑승자를 조기에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외사이드 프레임과 착좌 탑승자의 사이의 간극이 좁게 설정된 시트백으로의 사이드 에어백의 탑재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同)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사이드 에어백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5는, 사이드 에어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4에 대응되는 평단면도이다.
도 6은, 포위 부재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 3에 대응되는 평단면도이다.
이하, 도 1∼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이하, 「차량용 시트(10)」라고 약칭한다)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하게 기재하는 화살표 FR, 화살표 UP, 화살표 OUT은, 차량의 앞 방향(진행 방향), 상 방향, 폭 방향의 외방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단순히 전후, 좌우, 상하의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좌우 방향(차량 폭 방향)의 좌우,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하는 관계로부터, 일부의 부호를 생략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차량용 시트(10)의 전체 구성)
우선 차량용 시트(10)의 전체 구성의 개략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에 본 실시 형태의 요부인 사이드 에어백 장치(5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는, 시트 쿠션(14)과, 시트 쿠션(14)의 후단부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연결된 시트백(16)과, 시트백(16)의 상단부에 연결된 헤드레스트(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시트백(16)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사이드 서포트부)(16A) 내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50)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차량용 시트(10)는, 예를 들면 좌핸들차의 운전석, 또는 우핸들차의 조수석으로 되어 있으며, 차실 내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차량용 시트(10)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차량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폭 방향) 및 상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상기 차량용 시트(10)가 차실 내의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와는 좌우 대칭의 구성이 된다.
또한, 도 1에서는, 실제의 탑승자를 대신하여 충돌 시험용의 더미(P)가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더미(P)의 흉부(C)가 2점 쇄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더미(P)는,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World Side Impact Dummy: World SID)의 AM50(미국인 성인 남성의 50퍼센타일(percentile))이다. 상기 더미(P)는, 측면 충돌 시험법에서 규정되는 착좌 방법으로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하고 있다. 차량에 대한 시트백(16)의 전후 위치, 및 시트 쿠션(14)에 대한 시트백(16)의 경사 각도는, 상기의 착좌 방법에 대응한 기준 설정 위치로 조정되어 있다.
더미(P)의 동체에는, 6개의 리브(R1, R2, R3, R4, R5, R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브(R1, R2, R3, R4, R5, R6)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어깨 리브(R1)」, 「흉상(上) 리브(R2)」, 「흉중(中) 리브(R3)」, 「흉하(下) 리브(R4)」, 「복상(上) 리브(R5)」, 「복하(下) 리브(R6)」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어깨 리브(R1)는, 더미(P)의 견부(S)에 설치되어 있다. 흉상 리브(R2), 흉중 리브(R3) 및 흉하 리브(R4)는, 더미(P)의 흉부(C)에 설치되어 있다. 복상 리브(R5) 및 복하 리브(R6)는, 더미(P)의 복부(B)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더미(P)를 「착좌 탑승자(P)」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3에는, AM50의 삼차원 마네킹(히프 포인트 마네킹)(3DM)의 백팬(BP)이 2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삼차원 마네킹(3DM)은, 미국의 SAE 규격에 있어서의 SAEJ 826으로 규정되는 SAE 3DM이다.
도 1∼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의 시트백(16)은, 시트백 프레임(20)과, 시트백 프레임(20)에 장착된 시트백 스프링(30)(도 3 이외에서는 도시 생략)과, 시트백 프레임(20)에 씌워진 시트백 패드(36)(도 3 이외에서는 도시 생략)와, 시트백 패드(36)를 덮은 시트백 표피(38)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백 프레임(20)은, 예를 들면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백(16)의 골격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은, 시트백(16)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16A) 내에서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사이드 프레임(22)과, 시트백(16)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의 측부(사이드 서포트부)(16B) 내에서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사이드 프레임(2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은, 외사이드 프레임(22)과 내사이드 프레임(24)의 상단부끼리를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는 어퍼 프레임과, 외사이드 프레임(22)과 내사이드 프레임(24)의 하단부끼리를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는 로어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의 측부(16A)를 「외사이드부(16A)」라고 칭한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외사이드 프레임(22)은,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22A)와, 측벽부(22A)의 전단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중앙측(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전플랜지부(22B)와, 측벽부(22A)의 후단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후플랜지부(22C)를 구비하고 있다. 후플랜지부(22C)는, 전플랜지부(22B)보다도 차량 폭 방향의 치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외사이드 프레임(22)은,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측벽부(22A)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플랜지부(22C)의 시트 폭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전방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22)은, 전술한 삼차원 마네킹(3DM)의 백팬(BP)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후플랜지부(22C)의 일부(차량 폭 방향 중앙측의 부위)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착좌 탑승자(P)와의 사이의 간극이 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내사이드 프레임(24)은, 외사이드 프레임(22)과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시트백 스프링(30)은, 외사이드 프레임(22)과 내사이드 프레임(2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시트백 프레임(20)에 장착된 와이어 부재(32)와, 상기 와이어 부재(32)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는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 부재(32)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선재가 벤딩 가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부재(32)는,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스프링부(32A)(차량 폭 방향 중앙측의 사이드 스프링부(32A)는 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으며, 시트백 프레임(20)의 어퍼 프레임과 로어 프레임의 사이에 걸쳐 놓여 있다. 플레이트 부재는, 예를 들면 판금이 프레스 성형되고 형성되어 있으며, 판 두께 방향이 시트백(16)의 전후 방향을 따른 자세로 와이어 부재(32)의 시트 전방측에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시트백 패드(36)는, 예를 들면 우레탄폼 등의 발포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백(16)의 쿠션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시트백 패드(36)는, 패드 중앙부(36A)와, 패드 중앙부(36A)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패드 사이드부(36B)(차량 폭 방향 중앙측의 패드 사이드부(36B)는 도시 생략)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패드 중앙부(36A)는, 시트백(16)의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시트백 스프링(30)에 의해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좌우의 패드 사이드부(36B)는,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개구한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사이드 프레임(22) 및 내사이드 프레임(24)을 내측에 수용하고 있다. 상기 패드 사이드부(36B)는, 패드 중앙부(36A)보다도 시트 전방측으로 팽출되어 있으며, 착좌 탑승자(P)에 대한 사이드 서포트성을 확보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시트백 표피(38)는, 예를 들면 포재, 피혁 또는 합성 피혁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백(16)의 표피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시트백 표피(38)는, 패드 중앙부(36A)를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덮은 프론트 표피(40)와, 패드 사이드부(36B)를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덮은 프론트 사이드 표피(42)와, 패드 사이드부(36B)를 시트 폭 방향 외측 및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덮고, 또한 패드 중앙부(36A)를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덮은 리어 사이드 표피(44)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사이드 표피(42)는, 봉제부(T1)에 있어서 프론트 표피(40)와 봉제됨과 함께, 봉제부(T2)에 있어서 리어 사이드 표피(44)와 봉제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표피(42)와 리어 사이드 표피(44)의 봉제부(T2)는, 외사이드부(16A)의 전연부(16A1)(소위 스타일부(stile portion))의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봉제부(T2)는, 후술하는 사이드 에어백(70)이 팽창 전개될 때에, 패드 사이드부(36B)와 함께 개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론트 표피(40)는, 표피편(40A, 40B)이 봉제부(T1)보다도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봉제부(T3)에 있어서 봉제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50)의 구성)
도 1∼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는,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폭 방향 외측에 장착된 단일의 가스 발생 장치(54)와,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로부터 가스 공급을 받아 팽창 전개되는 단일의 사이드 에어백(70)을 구비하고 있다. 가스 발생 장치(54) 및 사이드 에어백(70)은, 통상시에는, 도 3에 나타나는 에어백 모듈(52)이 되고, 외사이드부(16A) 내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 모듈(52)은, 도 3에 나타나는 포위 부재(82)(도 3 이외에서는 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스 발생 장치(54)는, 단일의 인플레이터(56)와, 단일의 리테이너(58)(도 1에서는 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인플레이터(56) 및 리테이너(58)는,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측벽부(22A)의 시트 폭 방향 내측이며 또한 후플랜지부(22C)의 시트 전방측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56)는, 소위 실린더 타입의 인플레이터이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56)는, 축선 방향(길이 방향)이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리테이너(58)는, 디퓨저라고도 칭해지는 부재이며, 금속에 의해 대략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58)는, 축선 방향이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58)의 내측에 인플레이터(56)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58)는, 인플레이터(56)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정류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인플레이터(56)의 외주부로부터는, 시트 폭 방향 외측(차량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하 한 쌍의 스터드 볼트(56A)(도 2 및 도 3 참조)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56A)는, 리테이너(58) 및 측벽부(22A)를 관통하고 있으며, 각 스터드 볼트(56A)의 선단측에는, 너트(60)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터(56)가 리테이너(58)와 함께 외사이드 프레임(22)에 체결 고정(소위 측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하의 스터드 볼트(56A)가 인플레이터(56)에 설치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리테이너(58)에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인플레이터(56)가 크림핑 등의 수단에 의해 리테이너(58)에 고정되는 구성이 된다. 또한, 리테이너(58)와 후플랜지부(22C)의 사이에는, 차량 전후 방향의 치수가 예를 들면 10mm 정도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으며, 에어백 모듈(52)을 외사이드 프레임(22)에 장착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인플레이터(56)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여기서는 상단부)에는, 가스 분출부(56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스 분출부(56B)는, 착좌 탑승자(P)의 흉부(C)와 동등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스 분출부(56B)에는, 인플레이터(56)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가스 분출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플레이터(56)가 기동(작동)했을 때에는, 복수의 가스 분출구로부터 가스가 방사 형상으로 분출된다. 상기 인플레이터(56)에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된 측돌(側突) ECU(6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측돌 ECU(62)에는, 측면 충돌을 검출하는 측돌 센서(6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측돌 ECU(62)는, 측돌 센서(64)의 출력에 의거하여 측면 충돌을 검지했을 때에 인플레이터(56)를 기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의 측돌 센서(64)는, 예를 들면, 프론트 사이드 도어 및 리어 사이드 도어 내에 배치하여 설치된 압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도어 내 센서)와, B필러 내에 배치하여 설치된 가속도 센서(필러 내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측돌 ECU(62)에 측면 충돌을 예지(예측)하는 충돌 예지 센서(프리 크러쉬 센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충돌 예지 센서로부터의 신호 에 의거하여 측돌 ECU(62)가 측면 충돌을 예지했을 때에 인플레이터(56)가 기동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의 충돌 예지 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차량의 전방 및 측방을 감시 가능한 밀리미터파 레이더, 스테레오 카메라 및 적외선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에어백(70)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소위 전후 2챔버 사이드 에어백이다. 사이드 에어백(70)은, 단일의 봉지체(72)가 칸막이부로서의 테더(74)(격벽; 칸막이천)에 의해 전챔버(70F)와 후챔버(70R)로 구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봉지체(72)는, 예를 들면 나일론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포재를 잘라내어 형성된 2매의 기포(基布)(76, 78)(도 2 및 도 4 참조; 다른 도면에서는 부호 생략)가, 서로 겹쳐져서 외주연부가 봉제부(T4)(도 2 및 도 4 참조: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에 있어서 봉제됨으로써 장척 봉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봉지체(72)의 제조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1매의 기포가 둘로 접혀 외주연부가 봉제됨으로써 봉지체(72)가 제조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자동직기(自動織機)에 의한 통 형상으로 짜는 공법(소위 OPW 공법)에 의해 봉지체(72)가 제조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70)에 관하여 기재하는 전후 상하의 방향은,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 전개 완료 상태에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시트백(16)의 전후 상하의 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테더(74)는, 예를 들면 사이드 에어백(70)의 기포(76, 78)와 동일한 포재가 장척 띠 형상으로 잘라내어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더(74)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방의 장변 가장자리부가 봉제부(T5)에 있어서 일방의 기포(76)에 봉제되고, 타방의 장변 가장자리부가 봉제부(T6)에 있어서 타방의 기포(78)에 봉제되어 있다. 상기 테더(74)는, 전후 칸막이부(74A)와 상하 칸막이부(74B)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후 칸막이부(74A)는, 사이드 에어백(70)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70)의 상연부(上緣部)로부터 사이드 에어백(7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사이드 에어백(7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하 칸막이부(74B)는, 전후 칸막이부(74A)의 하단으로부터 사이드 에어백(70)의 전연부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전단부가 사이드 에어백(70)의 전연부에 도달하고 있다. 상기 테더(74)의 전후 칸막이부(74A)에는, 복수(여기서는 3개)의 연통구(80)(도 4 참조;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가 사이드 에어백(70)의 상하 방향으로 나열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구(80)를 개재하여 전챔버(70F)와 후챔버(70R)가 서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연통구(80)의 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후챔버(70R) 내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전술한 가스 발생 장치(54)가 수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56)의 상하의 스터드 볼트(56A)가 기포(76) 및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측벽부(22A)를 관통하여 너트(60)에 나사 결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70)이 인플레이터(56)(가스 발생 장치(54))를 이용하여 외사이드 프레임(22)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56)가 후챔버(70R) 내에서 발생시키는 가스는, 전후 칸막이부(74A)에 형성된 복수의 연통구(80)를 통하여 전챔버(70F)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70)이 외사이드부(16A)의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고, 착좌 탑승자(P)와 도시하지 않는 차체측부(예를 들면, 프론트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 및 B필러 가니시)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은,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팽창 전개되고,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복부(B) 및 요부(L)을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구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테더(74)의 전후 칸막이부(74A)가 외사이드부(16A)의 전연부(16A1)를 따라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및 복부(B)의 전후 방향 중앙부와 대향한다. 또한, 테더(74)의 상하 칸막이부(74B)는, 전후 칸막이부(74A)의 하단으로부터 착좌 탑승자(P)의 웨이스트를 따라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전후 칸막이부(74A) 및 상하 칸막이부(74B)에 의해 후챔버(70R)와 구분된 전챔버(70F)가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및 복부(B)의 전부를 구속한다. 후챔버(70R)가 흉부(C) 및 복부(B)의 후부와, 요부(L)의 전부 및 후부를 구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충하면, 상기의 후챔버(70R)는, 흉부(C) 및 복부(B)의 후부를 구속하는 흉복 구속부(70R1)와, 요부(L)의 전부 및 후부를 구속하는 허리 구속부(70R2)를 가지고 있으며,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흉복 구속부(70R1)는, 전챔버(70F)의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주로 외사이드부(16A) 내에서 팽창 전개되고, 흉부(C)의 후부에 있어서의 상단부로부터 복부(B)의 후부에 있어서의 하단부까지를 구속한다. 허리 구속부(70R2)에 있어서, 요부(L)의 후부를 구속하는 후부측이 외사이드부(16A) 내에서 팽창 전개되고, 요부(L)의 전부를 구속하는 전부측이 전챔버(70F)와 함께 외사이드부(16A)보다도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허리 구속부(70R2)의 전부측은, 상하 칸막이부(74B)에 의해 전챔버(70F)와 구분되어 있으며, 전챔버(70F)의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상하 칸막이부(74B)는,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여 완만하게 내려가도록 경사진다. 또한, 후챔버(70R)의 하연부(下緣部)는,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완만하게 올라가도록 경사진다. 이에 따라,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허리 구속부(70R2)의 전부측(요부(L)의 전부를 구속하는 부위)이, 차량 전방측을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의 상면이,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여 내림 구배의 경사면(70U)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전챔버(70F)의 상면의 전체와,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흉복 구속부(70R1)의 상면의 전부측이,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여 내림 구배의 연속된 경사면(70U)이 된다. 상기 경사면(70U)은, 사이드 에어백(70)이 팽창 전개될 때에, 착좌 탑승자(P)의 어퍼 아암부(A)를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가압한다. 이에 따라, 어퍼 아암부(A)가 경사면(70U)에 의해 차량 상방측으로 밀어 올려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나는 어퍼 아암부(A) 참조).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시에는 가스 발생 장치(54)와 함께 도 3에 나타나는 에어백 모듈(52)이 되고, 외사이드부(16A)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을 그 외형선(윤곽선)만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은, 외사이드 프레임(22)을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으로 걸치면서, 전챔버(70F)를 포함하는 부위가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접혀 있다.
즉,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은, 가스 발생 장치(54)와 함께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내측 수납부(70A)와,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수납부(70B)와, 내측 수납부(70A)와 외측 수납부(70B)를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전방측으로 연결한 연결부(70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은, 주로 외측 수납부(70B)에 있어서 접혀 있다. 상기 외측 수납부(70B)는, 예를 들면 접책 접기, 롤 접기, 상하의 폴드백(fold back)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 접는 방법 또는 이들이 적절하게 조합된 접는 방법에 의해 접혀 있다.
또한, 외측 수납부(70B)는, 내측 수납부(70A)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너트(60)보다도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외측 수납부(70B)는, 대부분이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전플랜지부(22B)보다도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내측 수납부(70A)는, 대부분이 전플랜지부(22B)보다도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접힌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52)은, 외사이드부(16A)에 있어서 착좌 탑승자(P)측의 면을 구성하는 프론트 사이드 표피(42)를 따르도록 경사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외사이드부(16A) 내에 수납된 사이드 에어백(70)이, 포위 부재(82)(도 3 참조;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에 의해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포위되어 있다. 상기 포위 부재(82)는, 수지 또는 수지가 함침된 천(예를 들면 펠트 등의 부직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을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위 부재(82)는, 스스로의 형상을 유지 가능한 강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포위 부재(82)의 일단부(82A)는,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있어서 리테이너(58)와 측벽부(22A)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인플레이터(56)의 스터드 볼트(56A)가 포위 부재(82)의 일단부(82A)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포위 부재(82)의 타단부(82B)는,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56)의 스터드 볼트(56A)가 포위 부재(82)의 타단부(82B)를 관통하여 너트(60)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포위 부재(82)가 외사이드 프레임(22)에 계지(여기서는 체결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포위 부재(82)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70)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상기 포위 부재(82)에는, 차량 전방측 또한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코너부에, 취약부(82W)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취약부(82W)는, 예를 들면 포위 부재(82)의 상기 코너부가 국부적으로 박육하게 형성된 것이며,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취약부(82W)는,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압으로 용이하게 파단(개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파단에 의해, 포위 부재(82)의 전부측이 시트 폭 방향으로 분단되고,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 전개가 허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취약부(82W)는, 포위 부재(82)의 상기 코너부가 박육하게 형성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구성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코너부에 슬릿이나 구멍 등이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으로 나열하여 복수 형성됨으로써 취약부(82W)가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측돌 ECU(62)이 측돌 센서(64)의 출력 에 의거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을 검지하면,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장착된 인플레이터(56)가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인플레이터(56)를 수용한 사이드 에어백(70)의 후챔버(70R)가, 외사이드 프레임(22)에 의해 차량 폭 방향 중앙측 방향의 반력을 받으면서, 전챔버(70F)보다도 조기이면서 고압으로 팽창 전개되고, 착좌 탑승자(P)를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가압한다(도 2의 화살표 F 참조). 이에 따라, 착좌 탑승자(P)를 조기에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의 사이드 에어백(70)은,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외사이드 프레임(22)을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으로 걸치면서 전챔버(70F)를 포함하는 부위가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외사이드 프레임(22)을 개재하여 착좌 탑승자(P)와는 반대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외사이드부(16A) 내에 수납된다. 이에 따라, 외사이드 프레임(22)과 착좌 탑승자(P)의 사이의 간극이 좁게 설정된 시트백(16)으로의 사이드 에어백(70)의 탑재가 용이해진다.
상기의 효과에 대해서 보충한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은, 단일의 봉지체(72)가 테더(74)에 의해 전챔버(70F)와 후챔버(70R)로 구분된 간소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후챔버(70R)에 의해 착좌 탑승자(P)를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경기술의 칸에서 설명한 보조 에어백이나 내방 팽창 에어백이 불필요해지고, 사이드 에어백(70)의 전체 구성이 소형화된다. 그리고, 이 간소하고 소형인 사이드 에어백(70)이, 외사이드 프레임(22)을 차량 폭 방향으로 걸쳐서 수납된다. 이에 따라, 외사이드 프레임(22)과 착좌 탑승자(P)의 사이의 간극이 좁게 설정된 시트백(16)에 대한 사이드 에어백(70)의 탑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전챔버(70F)는,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및 복부(B)의 전부를 구속한다.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후챔버(70R)는,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및 복부(B)의 후부와, 착좌 탑승자(P)의 요부(L)의 전부 및 후부를 구속한다. 즉, 외사이드 프레임(22)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중앙측 방향의 반력을 받으면서 전챔버(70F)보다도 조기이면서 고압으로 팽창 전개되는 후챔버(70R)가, 착좌 탑승자(P)의 흉부(C)로부터 요부(L)까지를 광범위하게 구속(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착좌 탑승자(더미)(P)의 무게 중심부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중앙측 방향의 가압력이 작용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상기 후챔버(70R)는, 착좌 탑승자(P)의 요부(L)의 전부 및 후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요부(L)의 후부만이 후챔버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요부(L)의 가압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을 따르기 쉬워진다. 이상의 점에서, 착좌 탑승자(P)를 효과적으로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시에는, 외사이드 프레임(22)에 계지된 포위 부재(82)가, 외사이드부(16A) 내에 수납된 사이드 에어백(70)을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포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에 있어서의 전챔버(70F)측을 포함하는 부위, 즉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접혀 있는 외측 수납부(70B)를, 간소한 구성으로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포위 부재(82)에는,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압으로 파단하는 취약부(82W)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 전개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위 부재(82)는, 수지 또는 수지가 함침된 천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위 부재(82)가 천이나 종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사이드 에어백(70)의 접힌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에어백 모듈(52)이 외사이드 프레임(22)에 장착되기 전에, 사이드 에어백(70)의 접힌 상태를 포위 부재(82)에 의해 유지해 둘 수 있기 때문에, 외사이드 프레임(22)에 대한 에어백 모듈(52)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통상시에 있어서의 착좌 탑승자(P)로부터의 하중이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에 가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70)의 접힌 상태를 장기에 걸쳐서 장착 당초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외사이드부(16A) 내에 수납된 사이드 에어백(70)에 있어서,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수납부(70B)가,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내측 수납부(70A)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70)의 외측 수납부(70B) 즉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접혀 있는 부위가,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기 쉬워진다. 게다가,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이, 외사이드부(16A)에 있어서의 착좌 탑승자(P)측의 면을 따른 외형 형상이 되기 때문에, 외사이드 프레임(22)과 착좌 탑승자(P)의 사이의 간극이 좁게 설정된 시트백(16)으로의 탑재성을 악화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외측 수납부(70B)가 너트(60)보다도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56)를 외사이드 프레임(22)에 체결 고정할 때에 외측 수납부(70B)는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의 상면이,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여 내림 구배의 경사면(70U)이 된다. 상기 경사면(70U)이 착좌 탑승자(P)의 어퍼 아암부(A)를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어퍼 아암부(A)를 차량 상방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그 결과, 착좌 탑승자(P)의 흉부(C)와 사이드 에어백(70)의 사이에 어퍼 아암부(A)가 개재하기 어려워져, 흉부(C)가 어퍼 아암부(A)로부터 부하를 받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챔버(70R)에 설치된 허리 구속부(70R2)의 전부측이, 차량 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팽창 전개된다. 이 때문에, 외사이드부(16A)의 차량 전방의 비적정 위치(Out of position; OOP)에 탑승자가 위치하는 상태로 고압의 후챔버(70R)가 팽창 전개된 경우에, 상기 탑승자가 받는 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위 OOP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사이드 프레임(22)은, 착좌 탑승자가 AM50의 삼차원 마네킹(3DM)인 경우, 상기 삼차원 마네킹(3DM)의 백팬(BP)과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사이드 프레임(22)이 착좌 탑승자(P)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착좌 탑승자(P)에 근접 배치되는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인플레이터(56)가 장착됨과 함께, 상기 인플레이터(56)가 사이드 에어백(70)의 후챔버(70R)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챔버(70R)를 착좌 탑승자(P)의 가까운 거리에서 조기이면서 고압으로 팽창 전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후챔버(70R)에 의한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의 착좌 탑승자(P)의 이동을 한층 조기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70)의 내부에 배치하여 설치된 테더(74)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70)이 전챔버(70F)와 후챔버(70R)로 구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챔버(70F) 및 후챔버(70R)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폭을 두껍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챔버(70F) 및 후챔버(70R)의 탑승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착좌 탑승자(P)가 후챔버(70R)로부터 받는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의 가압력을 크게 할 수 있고,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의 착좌 탑승자(P)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56)의 상단부에 설치된 가스 분출부(56B)가 착좌 탑승자(P)의 흉부(C)와 동등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 분출부(56B)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 후챔버(70R)가 착좌 탑승자(P)의 견갑골부근에서 조기에 팽창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착좌 탑승자(P)의 신체 중에서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견갑골을 조기에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의 착좌 탑승자(P)의 이동을 한층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의 보충 설명>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56)의 상단부에 가스 분출부(56B)가 설치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인플레이터(56)의 하단부에 가스 분출부(56B)가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가스 분출부(56B)가 시트백 프레임(20)의 하단부(도시하지 않는 시트 쿠션 프레임과의 연결부)의 가까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가스 분출부(56B)로부터의 가스 분출시에 있어서의 시트백 프레임(20)의 휘어짐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70)의 봉지체(72)가 테더(74)에 의해 전챔버(70F)와 후챔버(70R)로 구분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나타나는 사이드 에어백(71)(제 1 변형예)과 같이, 기포(76, 78)를 서로 봉제한 봉제부(T7)가 칸막이부가 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봉제부(T7)가 부분적으로 생략됨으로써 연통구(80)(도 5에서는 도시 생략)가 형성되는 구성이 된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71)에서는, 구성이 한층 간소해지고, 작게 접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시트백(16)으로의 탑재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포위 부재(82)가 수지 또는 수지가 함침된 천 에 의해 구성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포위 부재(82)의 재료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나는 제 2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상기 제 2 변형예에서는, 포위 부재(90)가 가요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재료(예를 들면, 천이나 종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포위 부재(90)는,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을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방측, 차량 폭 방향 중앙측 및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포위하고 있다. 내측 수납부(70A)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포위 부재(90)의 일단부(90A)가 봉제 등의 수단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70)에 계지되어 있다. 포위 부재(90)의 타단부(90B)는, 포위 부재(82)와 동일한 방법으로 외사이드 프레임(22)에 계지되어 있으며, 상기 포위 부재(90)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70)의 접힌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상기 포위 부재(90)에는, 시트 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의 코너부에, 취약부(90W)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취약부(90W)는, 예를 들면 상기 코너부에 슬릿이나 구멍 등이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으로 나열하여 복수 형성됨으로써 취약화되어 있다. 상기 취약부(90W)는,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압으로 파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도, 간소한 구성으로 사이드 에어백(70)을 접힌 상태로 유지하면서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 전개를 허용할 수 있다. 게다가, 포위 부재(90)가 천이나 종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을 한층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포위 부재(82)가 인플레이터(56)의 스터드 볼트(56A)를 이용하여 외사이드 프레임(22)에 계지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외사이드 프레임(22)으로의 포위 부재(82)의 계지 방법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클립이나 점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포위 부재(82)가 외사이드 프레임(22)에 계지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점은, 전술한 포위 부재(90)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제 2 변형예는, 포위 부재(82, 90)를 구비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포위 부재(82, 90)가 생략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 그 경우에도,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을 접힌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한 삼차원 마네킹(3DM)의 백팬(BP)에 대하여,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일부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겹쳐지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외사이드 프레임(22)이 배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전챔버(70F)가,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및 복부(B)의 전부를 구속하고,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후챔버(70R)가,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및 복부(B)의 후부와, 요부(L)의 전부 및 후부를 구속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챔버(70F) 및 후챔버(70R)에 의한 착좌 탑승자의 구속 개소나, 전챔버(70F) 및 후챔버(70R)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그 외,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5)

  1.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에 있어서,
    시트백(16)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16A) 내에 배치하여 설치된 외사이드 프레임(22)과;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22)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장착된 인플레이터(56)와;
    상기 인플레이터(56)를 수용하는 사이드 에어백(70)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은,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을 전챔버(70F)와 후챔버(70R)로 구분하는 칸막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부는 연통구(80)를 가지고, 상기 인플레이터(56)는 상기 후챔버(70R)에 수용되고, 상기 후챔버(70R)가 상기 전챔버(70F)보다도 조기이면서 고압으로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은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22)을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으로 걸치면서 상기 전챔버(70F)를 포함하는 부위가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측부 내에 수납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2. 제 1 항에 있어서,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상기 전챔버(70F)는,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및 복부(B)의 전부를 구속하고,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상기 후챔버(70R)는,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및 복부(B)의 후부와, 착좌 탑승자(P)의 요부(L)의 전부 및 후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22)에 계지되어, 상기 측부 내에 수납된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을 상기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포위하는 포위 부재(82; 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위 부재(82; 90)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압으로 파단하는 취약부(82W; 90W)를 구비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 부재(82; 90)는, 수지 또는 수지가 함침된 천에 의해 구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 부재(82; 90)는, 가요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내에 수납된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은,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의 상면은,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여 내림 구배의 경사면(70U)이 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챔버(70R)는, 상기 요부(L)의 전부를 구속하는 부위가, 차량 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팽창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22)은, 착좌 탑승자(P)가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 AM50의 삼차원 마네킹인 경우, 당해 삼차원 마네킹의 백팬(BP)과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의 내부에 배치하여 설치된 테더(74)인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전후 칸막이부(74A)와 상하 칸막이부(74B)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L자 형상을 이루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을 차량 전후 방향 중앙부에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의 상단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전후 칸막이부(74A)와, 상기 전후 칸막이부(74A)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의 전연부측으로 연장되는 상하 칸막이부(74B)로 구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의 기포를 봉제한 봉제부인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22)은, 상기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22A)와, 상기 측벽부(22A)의 전단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전플랜지부(22B)와, 상기 측벽부(22A)의 후단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후플랜지부(22C)를 구비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플랜지부(22C)의 시트 폭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전플랜지부(22B)의 상기 시트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크고, 상기 측벽부(22A)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플랜지부(22C)의 시트 폭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전방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삼차원 마네킹의 백팬(BP)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상기 후플랜지부(22C)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
KR1020170119372A 2016-10-03 2017-09-18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101982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96009 2016-10-03
JP2016196009A JP6610493B2 (ja) 2016-10-03 2016-10-03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101A true KR20180037101A (ko) 2018-04-11
KR101982698B1 KR101982698B1 (ko) 2019-08-28

Family

ID=5989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372A KR101982698B1 (ko) 2016-10-03 2017-09-18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358109B2 (ko)
EP (1) EP3300959B1 (ko)
JP (1) JP6610493B2 (ko)
KR (1) KR101982698B1 (ko)
CN (1) CN107891834B (ko)
BR (1) BR102017020865B1 (ko)
CA (1) CA2979468C (ko)
ES (1) ES2716959T3 (ko)
MX (1) MX2017012689A (ko)
PH (1) PH12017050053B1 (ko)
RU (1) RU2662884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3637B2 (en) * 2015-07-07 2019-07-09 Toyota Boshoku America, Inc. Mistake proof brackets for installation of seat trim cover airbag strip to a seat frame
JP6658585B2 (ja) * 2017-02-03 2020-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US11351948B2 (en) * 2018-04-05 2022-06-07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JP7361038B2 (ja) * 2018-09-05 2023-10-1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0696261B2 (en) * 2018-12-03 2020-06-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at assembly including airbags integrated into a tulip armchair
WO2021181970A1 (ja) * 2020-03-12 2021-09-1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7341116B2 (ja) * 2020-11-27 2023-09-0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793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KR20120110265A (ko) * 2011-03-29 2012-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JP2014080169A (ja) * 2012-10-18 2014-05-08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9710A (ja) * 1995-08-01 1997-02-10 Tokai Rika Co Ltd 車両用乗員保護装置
US6155593A (en) * 1996-05-31 2000-12-05 Nissan Motor Co., Ltd. Air bag apparatus for seat of vehicle
JP3430841B2 (ja) * 1997-03-05 2003-07-28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JP4626300B2 (ja) * 2004-12-28 2011-02-02 タカタ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4760533B2 (ja) 2006-05-26 2011-08-3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816387B2 (ja) 2006-10-02 2011-11-16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7669888B2 (en) * 2007-07-19 2010-03-02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apparatus
JP4952422B2 (ja) 2007-07-19 2012-06-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485990B2 (ja) * 2008-07-15 2014-05-07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自動車用の車両シート装置及び車両乗員保護方法
KR101080728B1 (ko) * 2009-07-31 2011-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장치
EP2631126B1 (en) 2010-10-20 2015-05-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ear seat side airbag device
KR101260468B1 (ko) * 2011-03-03 2013-05-0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시트 장착형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5885514B2 (ja) * 2012-01-18 2016-03-1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
EP2876002B1 (en) 2012-07-19 2016-05-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JP5803948B2 (ja) 2013-01-23 2015-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505375B2 (en) 2013-02-07 2016-11-29 Autoliv Development Ab Vehicular side airbag device
JP6098409B2 (ja) 2013-07-19 2017-03-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139153B2 (en) * 2013-09-05 2015-09-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ide impact airbag with laterally extending thoracic chamber
JP6036658B2 (ja) 2013-11-15 2016-1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07749B2 (ja) * 2014-06-23 2017-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83342B2 (ja) 2014-12-03 2017-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US10625703B2 (en) * 2015-03-30 2020-04-21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 bag device for vehicle
JP6365589B2 (ja) * 2016-05-24 2018-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6658585B2 (ja) * 2017-02-03 2020-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793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KR20120110265A (ko) * 2011-03-29 2012-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JP2014080169A (ja) * 2012-10-18 2014-05-08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7050053A1 (en) 2018-08-06
JP2018058433A (ja) 2018-04-12
ES2716959T3 (es) 2019-06-18
US20180093636A1 (en) 2018-04-05
CA2979468A1 (en) 2018-04-03
US10358109B2 (en) 2019-07-23
RU2662884C1 (ru) 2018-07-31
EP3300959A1 (en) 2018-04-04
CN107891834A (zh) 2018-04-10
CN107891834B (zh) 2020-06-16
JP6610493B2 (ja) 2019-11-27
MX2017012689A (es) 2018-09-27
BR102017020865A2 (pt) 2018-05-02
BR102017020865B1 (pt) 2023-03-21
KR101982698B1 (ko) 2019-08-28
PH12017050053B1 (en) 2018-08-06
EP3300959B1 (en) 2019-02-20
CA2979468C (en)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6388C1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боковой подуш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US9290151B2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
KR20180037101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JP6414157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KR20180132822A (ko) 승차인 보호 장치
KR20180021648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US11833990B2 (en) Side airbag device,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KR101967832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KR102625278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US11254276B2 (en) Side airbag apparatus and vehicle seat including the same
JP2010052620A (ja) エアバッグ装置
CN111845613B (zh) 侧气囊装置
JP7078742B2 (ja) 車両用シート
US10988101B2 (en) Vehicle side airbag device
KR20190091199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CN109795440B (zh) 车辆用侧气囊装置
JP2015096395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