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832B1 -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832B1
KR101967832B1 KR1020170117542A KR20170117542A KR101967832B1 KR 101967832 B1 KR101967832 B1 KR 101967832B1 KR 1020170117542 A KR1020170117542 A KR 1020170117542A KR 20170117542 A KR20170117542 A KR 20170117542A KR 101967832 B1 KR101967832 B1 KR 101967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idth direction
vehicle
fram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100A (ko
Inventor
다카미치 고무라
오사무 후카와타세
마사토 구니사다
히로에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8003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Abstract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50)의 가스 발생 장치(54)가, 외사이드 프레임(22)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는, 착좌 탑승자(P)가 AM50의 삼차원 마네킹(3DM)인 경우에, 상기 삼차원 마네킹의 백팬(BP)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진다. 단,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는,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가 위치하는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시트백(16)의 평단면에 있어서, 상기 백팬(BP)의 단면과 서로 겹쳐지는 가상선(BP1)을, 시트백 스프링(30)의 사이드 스프링부(32A)와 접할 때까지 시트 후방으로 후퇴시킨 경우에, 상기 후퇴시킨 가상선(BP11)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WITH SIDE 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080169호에 기재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는, 전방(前方) 전개 에어백 및 내방(內方) 팽창 에어백을 가지는 사이드 에어백과,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이, 시트백의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내측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미국 특허 제8939464호에 기재된 시트백에서는, 에어백(사이드 에어백)과,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이, 시트백의 시트백 프레임(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내측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에어백 모듈이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내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구성으로는, 에어백 모듈이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구성과 비교하여, 에어백 모듈과 착좌 탑승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게다가,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시에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착좌 탑승자측으로의 반력을 조기에 받는다. 이에 따라, 측면 충돌시에 착좌 탑승자를 조기에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예를 들면 시트백의 폭 치수가 작은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인플레이터(가스 발생 장치)가 배치하여 설치되면, 상기 가스 발생 장치와 착좌 탑승자의 동체가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겹쳐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는, 차량의 후면 충돌의 충격에 의해 착좌 탑승자가 시트백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으로 상대 이동했을 때에, 착좌 탑승자의 동체가 가스 발생 장치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으로 간섭(시트백 패드 등을 개재하여 맞닿음)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스 발생 장치와 착좌 탑승자의 동체가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겹쳐지는 경우라도, 차량의 후면 충돌시에 착좌 탑승자의 동체가 가스 발생 장치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으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과, 어퍼 프레임과, 로어 프레임을 구비하는 시트백 프레임과,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어퍼 프레임과 로어 프레임의 사이에 걸쳐 놓여진 좌우의 사이드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부재와, 상기 와이어 부재에 장착된 플레이트 부재를 가지고, 시트백 패드를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지지한 시트백 스프링과, 사이드 에어백과,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 중 일방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장착되고, 사이드 에어백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가스 발생 장치는, 시트상의 차량 폭 방향 중앙에 착좌하는 착좌 탑승자의 동체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짐과 함께, 상기 가스 발생 장치가 위치하는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시트백의 평단면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 중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 및 상기 좌우의 사이드 스프링부 중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사이드 스프링부에 대하여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접하는 가상선보다 시트 후방측에, 상기 가스 발생 장치가 위치된다.
상기에 기재된 삼차원 마네킹은, 미국의 SAE 규격에 있어서의 SAEJ 826으로 규정되는 SAE 3DM이다.
상기 제 1 태양에 의하면, 사이드 에어백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발생 장치는, 시트백 프레임이 가지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 중 일방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스 발생 장치는, 착좌 탑승자가 AM50의 삼차원 마네킹인 경우에, 상기 삼차원 마네킹의 백팬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착좌 탑승자가 AM50과 동등한 체격을 가지는 경우, 가스 발생 장치의 일부가 착좌 탑승자의 동체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겹쳐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 상기의 가스 발생 장치는, 상기 가스 발생 장치가 위치하는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시트백의 평단면에 있어서, 상기 백팬의 단면과 서로 겹쳐지는 가상선을, 시트백 스프링의 좌우의 사이드 스프링부와 접할 때까지 시트 후방으로 후퇴시킨 경우에, 상기 후퇴시킨 가상선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AM50과 동등한 체격을 가지는 착좌 탑승자의 동체가, 차량의 후면 충돌시에 시트백 패드를 압축하면서 시트백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으로 상대 이동하고, 시트백 스프링의 좌우의 사이드 스프링부에 의해 상기 상대 이동이 규제되었을 때에, 상기 착좌 탑승자의 동체보다도 시트 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에 가스 발생 장치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좌 탑승자의 동체가 가스 발생 장치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으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 장치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 내에 수용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을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시트 폭 방향으로 걸치면서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접힌 상태로 상기 시트백 내에 수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시트백 프레임이 가지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 중 일방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장착된 가스 발생 장치가, 사이드 에어백 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을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시트 폭 방향으로 걸치면서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접힌 상태로 시트백 내에 수납되어 있다. 즉, 사이드 에어백의 일부가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접혀 있기 때문에, 차량의 후면 충돌시에 시트백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으로 상대 이동하는 착좌 탑승자의 동체가,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으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 장치는, 상기 시트백의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여 배치된 실린더 타입의 인플레이터와, 상기 시트백의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는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가 내측에 삽입됨과 함께, 시트 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내측의 코너부에 코너(R)가 설정된 리테이너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가스 발생 장치가 가지는 각통 형상의 리테이너는, 시트 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내측(즉 착좌 탑승자측)의 코너부에 코너(R)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너부에 코너(R)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코너부가 시트 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퇴피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후면 충돌시에 시트백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으로 상대 이동하는 착좌 탑승자의 동체가, 리테이너(가스 발생 장치)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으로 간섭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코너(R)는, 상기 시트백의 평단면에서 보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전방측 또한 상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함을 이루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에 있어서의 다른 3개의 코너부보다도 상기 리테이너의 중심측으로 퇴피하도록 구성되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은 각각, 상기 시트백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전(前)플랜지부와, 상기 측벽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후(後)플랜지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후플랜지부의 시트 폭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전플랜지부의 시트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크고, 상기 측벽부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플랜지부의 시트 폭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전방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착좌 탑승자의 동체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상기 후플랜지부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 장치가 위치하는 상기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는, 히프 포인트로부터 150㎜에서 300㎜의 범위라도 된다.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단일의 봉지체로부터 구성되고, 상기 봉지체를 전(前)챔버와 후(後)챔버로 구분하는 테더를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시트백 프레임과,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으로 지지되고, 시트백 패드를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시트백 스프링과, 사이드 에어백과,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 중 일방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가스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가스 발생 장치는, 착좌 탑승자가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 AM50의 삼차원 마네킹인 경우, 상기 삼차원 마네킹의 백팬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짐과 함께, 상기 가스 발생 장치가 위치하는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시트백의 평단면에 있어서, 상기 백팬의 단면과 겹쳐지는 가상선을 상기 시트백 스프링과 접할 때까지 시트 후방으로 후퇴시킨 경우에, 상기 후퇴시킨 가상선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상기 가스 발생 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제 2 태양에 의하면, 사이드 에어백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발생 장치는, 시트백 프레임이 가지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 중 일방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스 발생 장치는, 착좌 탑승자가 AM50의 삼차원 마네킹인 경우에, 상기 삼차원 마네킹의 백팬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착좌 탑승자가 AM50과 동등한 체격을 가지는 경우, 가스 발생 장치의 일부가 착좌 탑승자의 동체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겹쳐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 상기 가스 발생 장치는, 상기 가스 발생 장치가 위치하는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시트백의 평단면에 있어서, 상기 백팬의 단면과 겹쳐지는 가상선을, 시트백 스프링과 접할 때까지 시트 후방으로 후퇴시킨 경우에, 상기 후퇴시킨 가상선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AM50과 동등한 체격을 가지는 착좌 탑승자의 동체가, 차량의 후면 충돌시에 시트백 패드를 압축하면서 시트백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으로 상대 이동하고, 시트백 스프링에 의해 상기 상대 이동이 규제된 경우에, 상기 착좌 탑승자의 동체보다도 시트 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에 가스 발생 장치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좌 탑승자의 동체가 가스 발생 장치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으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 장치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 내에 수용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을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시트 폭 방향으로 걸치면서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접힌 상태로 상기 시트백 내에 수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 장치는, 상기 시트백의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여 배치된 실린더 타입의 인플레이터와, 상기 시트백의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는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가 내측에 삽입됨과 함께, 시트 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내측의 코너부에 코너(R)가 설정된 리테이너를 가져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코너(R)는, 상기 시트백의 평단면에서 보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전방측 또한 상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함을 이루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코너(R)는, 상기 리테이너에 있어서의 다른 3개의 코너부보다도 상기 리테이너의 중심측으로 퇴피하도록 구성되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은 각각, 상기 시트백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전플랜지부와, 상기 측벽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후플랜지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후플랜지부의 시트 폭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전플랜지부의 시트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크고, 상기 측벽부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플랜지부의 시트 폭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전방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삼차원 마네킹의 백팬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상기 후플랜지부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 장치가 위치하는 상기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는, 히프 포인트로부터 150㎜에서 300㎜의 범위라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서는, 가스 발생 장치와 착좌 탑승자의 동체가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겹쳐지는 경우라도, 차량의 후면 충돌시에 착좌 탑승자의 동체가 가스 발생 장치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으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가스 발생 장치가 위치하는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시트백의 평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시트백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사이드 에어백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시트백 스프링이 장착된 시트백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대응된 평단면도이고, 삼차원 마네킹의 백팬의 단면과 서로 겹쳐지는 가상선을 좌우의 사이드 스프링부와 접할 때까지 시트 후방측으로 후퇴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이하, 「차량용 시트(10)」라고 약칭한다)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하게 기재하는 화살표 FR, 화살표 UP, 화살표 OUT은, 차량의 앞 방향(진행 방향), 상 방향, 폭 방향의 외방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단순히 전후, 좌우, 상하의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좌우 방향(차량 폭 방향)의 좌우,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는 관계로, 일부의 부호를 생략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차량용 시트(10)의 전체 구성)
우선 차량용 시트(10)의 전체 구성의 개략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에 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인 사이드 에어백 장치(5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는, 시트 쿠션(14)과, 시트 쿠션(14)의 후단부에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연결된 시트백(16)과, 시트백(16)의 상단부에 연결된 헤드레스트(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시트백(16)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사이드 서포트부)(16A) 내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50)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차량용 시트(10)는, 예를 들면 좌핸들차의 운전석, 또는 우핸들차의 조수석으로 되어 있으며, 차실 내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차량용 시트(10)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차량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폭 방향) 및 상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상기 차량용 시트(10)가 차실 내의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와는 좌우 대칭의 구성이 된다.
또한, 도 1에서는, 실제의 탑승자를 대신하여 충돌 시험용의 더미(P)가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더미(P)의 흉부(C)가 2점 쇄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더미(P)는,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World Side Impact Du㎜y: World SID)의 AM50(미국인 성인 남성의 50퍼센타일(percentile))이다. 상기 더미(P)는, 측면 충돌 시험법에서 규정되는 착좌 방법으로 차량용 시트(10)에 착좌하고 있다. 차량에 대한 시트백(16)의 전후 위치, 및 시트 쿠션(14)에 대한 시트백(16)의 경사 각도는, 상기의 착좌 방법에 대응한 기준설정 위치로 조정되어 있다.
더미(P)의 동체에는, 6개의 리브(R1, R2, R3, R4, R5, R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브(R1, R2, R3, R4, R5, R6)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어깨 리브(R1)」, 「흉상(上) 리브(R2)」, 「흉중(中) 리브(R3)」, 「흉하(下) 리브(R4)」, 「복상(上) 리브(R5)」, 「복하(下) 리브(R6)」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어깨 리브(R1)는, 더미(P)의 견부(S)에 설치되어 있다. 흉상 리브(R2), 흉중 리브(R3) 및 흉하 리브(R4)는, 더미(P)의 흉부(C)에 설치되어 있다. 복상 리브(R5) 및 복하 리브(R6)는, 더미(P)의 복부(B)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더미(P)를 「착좌 탑승자(P)」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3에는, AM50의 삼차원 마네킹(히프 포인트 마네킹)(3DM)의 백팬(BP)이, 백팬(BP)의 단면의 외형(윤곽)을 나타내는 2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삼차원 마네킹(3DM)은, 미국의 SAE 규격에 있어서의 SAEJ 826으로 규정되는 SAE 3DM이다.
도 1∼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의 시트백(16)은, 시트백 프레임(20)과, 시트백 프레임(20)에 장착된 시트백 스프링(30)과, 시트백 프레임(20)에 씌워진 시트백 패드(36)(도 3 및 도 5 이외에서는 도시 생략)와, 시트백 패드(36)를 덮은 시트백 표피(38)(도 4에서는 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백 프레임(20)은, 예를 들면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백(16)의 골격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으로서의 외사이드 프레임(22) 및 내사이드 프레임(24)을 구비하고 있다. 외사이드 프레임(22)은, 시트백(16)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16A) 내에서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사이드 프레임(24)은, 시트백(16)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의 측부(사이드 서포트부)(16B) 내에서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은,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외사이드 프레임(22)과 내사이드 프레임(24)의 상단부끼리를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어퍼 프레임(26)과, 외사이드 프레임(22)과 내사이드 프레임(24)의 하단부끼리를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로어 프레임(2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외사이드 프레임(22)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에 상당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의 측부(16A)를 「외사이드부(16A)」라고 칭한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외사이드 프레임(22)은,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22A)와, 측벽부(22A)의 전단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중앙측(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전플랜지부(22B)와, 측벽부(22A)의 후단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후플랜지부(22C)를 구비하고 있다. 후플랜지부(22C)는, 전플랜지부(22B)보다도 차량 폭 방향의 치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외사이드 프레임(22)은,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측벽부(22A)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플랜지부(22C)의 시트 폭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전방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사이드 프레임(22)은, 전술한 삼차원 마네킹(3DM)의 백팬(BP)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후플랜지부(22C)의 일부(차량 폭 방향 중앙측의 부위)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착좌 탑승자(P)와의 사이의 간극이 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내사이드 프레임(24)은, 외사이드 프레임(22)과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도 4에 나타나는 시트백 스프링(30)은, 외사이드 프레임(22)과 내사이드 프레임(2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시트백 프레임(20)에 장착된 와이어 부재(32)와, 상기 와이어 부재(32)에 장착된 플레이트 부재(3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 부재(32)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선재가 벤딩 가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어퍼 프레임(26)과 로어 프레임(28)의 사이에 걸쳐 놓여져 있다. 상기 와이어 부재(32)는,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스프링부(32A, 32B)와, 좌우의 사이드 스프링부(32A, 32B)의 하단부를 시트 폭 방향으로 연결한 로어 스프링부(32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어 스프링부(32C)는, 시트 폭 방향 양단부가 로어 프레임(28)에 고정되어 있으며, 좌우의 사이드 스프링부(32A, 32B)는, 상단부가 어퍼 프레임(26)에 고정되고, 어퍼 프레임(26)과 로어 프레임(28)의 사이에 걸쳐 놓여져 있다. 좌우의 사이드 스프링부(32A, 32B)의 상하 방향 중간부는, 시트 폭 방향 내측(시트 폭 방향 중앙측)으로 볼록함을 이루어 굴곡져 있다. 플레이트 부재(34)는, 예를 들면 판금이 프레스 성형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판 두께 방향이 시트백(16)의 전후 방향을 따른 자세로 와이어 부재(32)의 시트 전방측에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시트백 패드(36)는, 예를 들면 우레탄폼 등의 발포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백(16)의 쿠션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시트백 패드(36)는, 패드 중앙부(36A)와, 패드 중앙부(36A)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패드 사이드부(36B)(차량 폭 방향 중앙측의 패드 사이드부(36B)는 도시 생략)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패드 중앙부(36A)는, 시트백(16)의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시트백 스프링(30)에 의해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좌우의 패드 사이드부(36B)는,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개구한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사이드 프레임(22) 및 내사이드 프레임(24)을 내측에 수용하고 있다. 상기 패드 사이드부(36B)는, 패드 중앙부(36A)보다도 시트 전방측으로 팽출되어 있으며, 착좌 탑승자(P)에 대한 사이드 서포트성을 확보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시트백 표피(38)는, 예를 들면 포재(布材), 피혁 또는 합성 피혁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백(16)의 표피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시트백 표피(38)는, 패드 중앙부(36A)를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덮은 프론트 표피(40)와, 패드 사이드부(36B)를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덮은 프론트 사이드 표피(42)와, 패드 사이드부(36B)를 시트 폭 방향 외측 및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덮고, 또한 패드 중앙부(36A)를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덮은 리어 사이드 표피(44)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사이드 표피(42)는, 봉제부(T1)에 있어서 프론트 표피(40)와 봉제됨과 함께, 봉제부(T2)에 있어서 리어 사이드 표피(44)와 봉제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표피(42)와 리어 사이드 표피(44)의 봉제부(T2)는, 외사이드부(16A)의 전연부(前緣部)(16A1)(소위 스타일부(stile portion))의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봉제부(T2)는, 후술하는 사이드 에어백(70)이 팽창 전개될 때에, 패드 사이드부(36B)와 함께 개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론트 표피(40)는, 표피편(40A, 40B)이 봉제부(T1)보다도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봉제부(T3)에 있어서 봉제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50)의 구성)
도 1∼도 3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는,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장착된 단일의 가스 발생 장치(54)(도 4에서는 도시 생략)와,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로부터 팽창용 가스의 공급을 받아 팽창 전개되는 단일의 사이드 에어백(70)을 구비하고 있다. 가스 발생 장치(54) 및 사이드 에어백(70)은, 통상시에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나는 에어백 모듈(52)이 되고, 외사이드부(16A) 내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 모듈(52)은, 도 3 및 도 5에 나타나는 포위 부재(82)(도 3 및 도 5 이외에서는 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가스 발생 장치(54)는, 단일의 인플레이터(56)와, 단일의 리테이너(58)(도 1에서는 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인플레이터(56) 및 리테이너(58)는,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측벽부(22A)의 시트 폭 방향 내측 또한 후플랜지부(22C)의 시트 전방측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56)는, 실린더 타입의 인플레이터이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56)는, 축선 방향(길이 방향)이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56)가 배치된 차량 상하 방향의 범위(H)(도 1 참조)는, 예를 들면 착좌 탑승자(P)의 히프 포인트(HP)로부터 측정한 높이가 150㎜∼300㎜의 범위로 되어 있다.
리테이너(58)는, 디퓨저라고도 칭해지는 부재이며, 금속에 의해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58)는, 축선 방향이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58)의 내측에 인플레이터(56)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58)는, 인플레이터(56)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정류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테이너(58)에서는, 시트 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내측의 코너부(58A)에 코너(R)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코너부(58A)는,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는 것에 있어서, 시트 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함을 이루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리테이너(58)에 있어서의 다른 3개의 코너부보다도 리테이너(58)의 중심(축심)측으로 퇴피하고 있다.
인플레이터(56)의 외주부로부터는, 시트 폭 방향 외측(차량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하 한 쌍의 스터드 볼트(56A)(도 2, 도 3 및 도 5 참조)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56A)는, 리테이너(58) 및 측벽부(22A)를 관통하고 있으며, 각 스터드 볼트(56A)의 선단측에는, 너트(60)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터(56)가 리테이너(58)와 함께 외사이드 프레임(22)에 체결 고정(소위 측면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하의 스터드 볼트(56A)가 인플레이터(56)에 설치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리테이너(58)에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인플레이터(56)가 크림핑(crimping) 등의 수단에 의해 리테이너(58)에 고정되는 구성이 된다. 상기 구성의 가스 발생 장치(54)는, 전술한 삼차원 마네킹(3DM)의 백팬(BP)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58)와 후플랜지부(22C)의 사이에는, 차량 전후 방향의 치수가 예를 들면 10㎜ 정도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으며, 에어백 모듈(52)을 외사이드 프레임(22)에 조립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인플레이터(56)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여기에서는 상단부)에는, 가스 분출부(56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스 분출부(56B)는, 착좌 탑승자(P)의 흉부(C)와 동등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스 분출부(56B)에는, 인플레이터(56)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가스 분출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플레이터(56)가 기동(작동)했을 때에는, 복수의 가스 분출구로부터 가스가 방사 형상으로 분출된다. 상기 인플레이터(56)에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된 측돌 ECU(6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측돌 ECU(62)에는, 측면 충돌을 검출하는 측돌 센서(6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측돌 ECU(62)는, 측돌 센서(64)의 출력에 의거하여 측면 충돌을 검지했을 때에 인플레이터(56)를 기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의 측돌 센서(64)는, 예를 들면, 프론트 사이드 도어 및 리어 사이드 도어 내에 배치하여 설치된 압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도어 내 센서)와, B필러 내에 배치하여 설치된 가속도 센서(필러 내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측돌 ECU(62)에 측면 충돌을 예지(예측)하는 충돌 예지 센서(프리 크러쉬 센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충돌 예지 센서로부터의 신호 에 의거하여 측돌 ECU(62)가 측면 충돌을 예지했을 때에 인플레이터(56)가 기동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의 충돌 예지 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차량의 전방 및 측방을 감시 가능한 밀리미터파 레이더, 스테레오 카메라 및 적외선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에어백(7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소위 전후 2챔버 사이드 에어백이며, 단일의 봉지체(72)가 칸막이부로서의 테더(74)(격벽; 칸막이천)에 의해 전챔버(70F)와 후챔버(70R)로 구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봉지체(72)는, 예를 들면 나일론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포재를 잘라내어 형성된 2매의 기포(基布)(76, 78)(도 2 참조; 다른 도면에서는 부호 생략)가, 서로 겹쳐져서 외주연부가 봉제부(T4)(도 2 참조: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에 있어서 봉제 됨으로써 장척(長尺) 봉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봉지체(72)의 제조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1매의 기포가 둘로 접혀 외주연부를 봉제함으로써 봉지체(72)가 제조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자동직기(自動織機)에 의한 통 형상으로 짜는 공법(소위 OPW 공법)에 의해 봉지체(72)가 제조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70)에 관하여 기재하는 전후 상하의 방향은,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 전개 완료 상태에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시트백(16)의 전후 상하의 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테더(74)는, 예를 들면 사이드 에어백(70)의 기포(76, 78)와 동일한 포재가 장척 띠 형상으로 잘라내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더(74)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방의 장변 가장자리부가 봉제부(T5)에 있어서 일방의 기포(76)에 봉제되고, 타방의 장변 가장자리부가 봉제부(T6)에 있어서 타방의 기포(78)에 봉제되어 있다. 상기 테더(74)는, 전후 칸막이부(74A)와 상하 칸막이부(74B)(도 1 참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후 칸막이부(74A)는, 사이드 에어백(70)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70)의 상연부(上緣部)로부터 사이드 에어백(7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사이드 에어백(7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하 칸막이부(74B)는, 전후 칸막이부(74A)의 하단으로부터 사이드 에어백(70)의 전연부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전단부가 사이드 에어백(70)의 전연부에 도달하고 있다. 상기 테더(74)의 전후 칸막이부(74A)에는, 도시하지 않는 복수(여기서는 3개)의 연통구가 사이드 에어백(70)의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통구를 개재하여 전챔버(70F)와 후챔버(70R)가 상호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연통구의 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테더(74)가 칸막이부로 된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고, 기포(76, 78)를 서로 봉제한 봉제부가 칸막이부로 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상기 봉제부를 부분적으로 생략함으로써 연통구를 형성하는 구성이 된다.
후챔버(70R) 내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전술한 가스 발생 장치(54)가 수용되어 있으며, 인플레이터(56)의 상하의 스터드 볼트(56A)가 기포(76) 및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측벽부(22A)를 관통하여 너트(60)에 나사 결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70)이 인플레이터(56)(가스 발생 장치(54))를 이용하여 외사이드 프레임(22)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56)가 후챔버(70R) 내에서 발생시키는 가스는, 전후 칸막이부(74A)에 형성된 복수의 연통구를 통하여 전챔버(70F)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70)이 외사이드부(16A)의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하고, 착좌 탑승자(P)와 도시하지 않는 차체측부(예를 들면, 프론트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 및 B 필러 가니시)의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은,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팽창 전개하고,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복부(B) 및 요부(L)를 차량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구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테더(74)의 전후 칸막이부(74A)가 외사이드부(16A)의 전연부(16A1)를 따라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및 복부(B)의 전후 방향 중앙부와 대향된다. 또한, 테더(74)의 상하 칸막이부(74B)는, 전후 칸막이부(74A)의 하단으로부터 착좌 탑승자(P)의 웨이스트를 따라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전후 칸막이부(74A) 및 상하 칸막이부(74B)에 의해 후챔버(70R)와 구분된 전챔버(70F)가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및 복부(B)의 전부(前部)를 구속하고, 후챔버(70R)가 흉부(C) 및 복부(B)의 후부와, 요부(L)의 전부 및 후부를 구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충하면, 상기의 후챔버(70R)는, 흉부(C) 및 복부(B)의 후부를 구속하는 흉복 구속부(70R1)와, 요부(L)의 전부 및 후부를 구속하는 허리 구속부(70R2)를 가지고 있으며,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흉복 구속부(70R1)는, 전챔버(70F)의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주로 외사이드부(16A) 내에서 팽창 전개되고, 흉부(C)의 후부에 있어서의 상단부로부터 복부(B)의 후부에 있어서의 하단부까지를 구속한다. 허리 구속부(70R2)는, 요부(L)의 후부를 구속하는 후부측이 외사이드부(16A) 내에서 팽창 전개되고, 요부(L)의 전부를 구속하는 전부측이 전챔버(70F)와 함께 외사이드부(16A)보다도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허리 구속부(70R2)의 전부측은, 상하 칸막이부(74B)에 의해 전챔버(70F)와 구분되어 있으며, 전챔버(70F)의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상하 칸막이부(74B)는,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여 완만하게 내려가도록 경사진다. 또한, 후챔버(70R)의 하연부(下緣部)는,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완만하게 올라가도록 경사진다. 이에 따라,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허리 구속부(70R2)에 있어서의 전부측(요부(L)의 전부를 구속하는 부위)이, 차량 전방측을 향할수록 차량 상하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의 상면이,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내림 구배의 경사면(70U)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전챔버(70F)의 상면의 전체와,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흉복 구속부(70R1)의 상면의 전부측이,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내림 구배의 연속된 경사면(70U)이 된다. 상기 경사면(70U)은, 사이드 에어백(70)이 팽창 전개될 때에, 착좌 탑승자(P)의 어퍼 아암부(A)를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가압한다. 이에 따라, 어퍼 아암부(A)가 경사면(70U)에 의해 차량 상방측으로 밀어 올려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나는 어퍼 아암부(A) 참조).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시에는 가스 발생 장치(54)와 함께 도 3 및 도 5에 나타나는 에어백 모듈(52)로 되고, 외사이드부(16A)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서는,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을 사이드 에어백(70)의 외형선(윤곽선)만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은, 외사이드 프레임(22)을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으로 걸치면서, 전챔버(70F)를 포함하는 부위가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접혀 있다.
즉,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은, 가스 발생 장치(54)와 함께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내측 수납부(70A)와,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수납부(70B)와, 내측 수납부(70A)와 외측 수납부(70B)를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전방측으로 연결한 연결부(70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은, 주로 외측 수납부(70B)에 있어서 접혀 있다. 상기 외측 수납부(70B)는, 예를 들면 접책 접기(accordion-folded), 롤 접기, 상하의 폴드백(fold back)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 접는 법 또는 이들이 적절하게 조합된 접는 법에 의해 접혀 있다.
또한, 외측 수납부(70B)는, 내측 수납부(70A)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편의(偏倚)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너트(60)보다도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외측 수납부(70B)는, 대부분이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전플랜지부(22B)보다도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내측 수납부(70A)는, 대부분이 전플랜지부(22B)보다도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접은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52)은, 외사이드부(16A)에 있어서 착좌 탑승자(P)측의 면을 구성하는 프론트 사이드 표피(42)를 따르도록 경사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외사이드부(16A) 내에 수납된 사이드 에어백(70)이, 포위 부재(82)(도 3 참조;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에 의해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포위되어 있다. 상기 포위 부재(82)는, 수지 또는 수지가 함침된 천(예를 들면 펠트 등의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을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위 부재(82)는, 스스로의 형상을 유지 가능한 강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포위 부재(82)의 일단부(82A)는,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있어서 리테이너(58)와 측벽부(22A)의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인플레이터(56)의 스터드 볼트(56A)가 포위 부재(82)의 일단부(82A)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포위 부재(82)의 타단부(82B)는,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인플레이터(56)의 스터드 볼트(56A)가 포위 부재(82)의 타단부(82B)를 관통하여 너트(60)에 나사 결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포위 부재(82)가 외사이드 프레임(22)에 걸려(여기서는 체결 고정)있으며, 상기 포위 부재(82)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70)의 접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상기 포위 부재(82)에는, 차량 전방측 또한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코너부에, 취약부(82W)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취약부(82W)는, 예를 들면 포위 부재(82)의 상기 코너부가 국부적으로 박육하게 형성된 것이며,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취약부(82W)는,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압으로 용이하게 파단(개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파단에 의해, 포위 부재(82)의 전부측이 시트 폭 방향으로 분단되고, 사이드 에어백(70)의 팽창 전개가 허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취약부(82W)는, 포위 부재(82)의 상기 코너부가 박육하게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구성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코너부에 슬릿이나 구멍 등이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형성됨으로써 취약부(82W)가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포위 부재(82)의 재료는, 수지 또는 수지가 함침된 천으로 한정되지 않고, 가요성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재료(천, 종이 등)라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성의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차량의 후면 충돌시에 시트백(16)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차량 후방측)으로 상대 이동하는 착좌 탑승자(AM50 더미)(P)의 동체가, 시트백 스프링(30)에 의해 상기 상대 이동을 규제했을 때(시트백 스프링(30)이 압축된 경우)에, 상기 착좌 탑승자(P)의 동체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에 가스 발생 장치(54)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사고 방식에 의해 상기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즉, 가스 발생 장치(54)가 위치하는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시트백(16)의 평단면(도 3 및 도 5 참조)에 있어서, 삼차원 마네킹(3DM)에 있어서의 백팬(BP)의 단면(도 3 참조)과 서로 겹쳐지는 가상선(BP1)(도 5 참조)을, 좌우의 사이드 스프링부(32A, 32B)(도 3 및 도 5에서는 사이드 스프링(32B)은 도시 생략)와 접할 때까지 시트 후방으로 후퇴시킨 경우(도 5의 가상선(BP11) 참조)에, 상기 후퇴시킨 가상선(BP11)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에 가스 발생 장치(54)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스 발생 장치(54)가 위치하는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시트백(16)의 평단면에 있어서,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전단부, 및 차량폭 방향 외측의 사이드 스프링부(32A)에 대하여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접하는 가상 직선(VL)보다도 시트 후방측에 가스 발생 장치(54)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가상선(BP1)은, 도 3에 나타나는 백팬(BP)의 단면과 어긋나는 일 없이 서로 겹쳐지는 것이며, 상기 가상선(BP1)을 시트 상하 방향 및 시트 폭 방향으로 변위시키지 않고 시트 후방으로 똑바로 변위시킨 것이 상기의 가상선(BP11)이다. 또한, 가스 발생 장치(54)에 있어서의 상기의 위치를 차량용 시트(10)의 완성 상태로 확인하는 경우, 예를 들면 가스 발생 장치(54)가 위치하는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 시트백(16) 및 백팬(BP)을 시트 수평 방향으로 절단함과 함께, 백팬(BP)의 절단면과 동일 형상의 모형(상기의 가상선(BP1)에 상당)을 작성하고, 상기 모형을 상기한 바와 같이 변위시켜서 확인한다.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사이드 에어백(70)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발생 장치(54)는, 외사이드 프레임(22)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는, 착좌 탑승자(P)가 AM50의 삼차원 마네킹(3DM)인 경우에, 상기 삼차원 마네킹(3DM)의 백팬(BP)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착좌 탑승자(P)가 AM50과 동등한 체격을 가지는 경우, 가스 발생 장치(54)의 일부가 착좌 탑승자(P)의 동체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겹쳐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 상기의 가스 발생 장치(54)는,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가 위치하는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시트백(16)의 평단면에 있어서, 상기 백팬(BP)의 단면과 서로 겹쳐지는 가상선(BP1)을, 시트백 스프링(30)의 좌우의 사이드 스프링부(32A, 32B)와 접할 때까지 시트 후방으로 후퇴시킨 경우에, 상기 후퇴시킨 가상선(BP11)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AM50의 더미인 착좌 탑승자(P)의 동체가, 차량의 후면 충돌시에 시트백 패드(36)를 압축하면서 시트백(16)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으로 상대 이동하고, 시트백 스프링(30)의 좌우의 사이드 스프링부(32A, 32B)에 의해 상기 상대 이동을 규제했을 때에, 상기 착좌 탑승자(P)의 동체보다도 시트 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가스 발생 장치(54)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착좌 탑승자(P)의 동체가 가스 발생 장치(54)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으로 간섭(시트백 표피(38) 및 시트백 패드(36)을 개재하여 맞닿는)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사이드 프레임(22)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장착된 가스 발생 장치(54)가, 사이드 에어백(7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은, 외사이드 프레임(22)을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시트 폭 방향으로 걸치면서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접힌 상태로 시트백(16) 내에 수납되어 있다. 즉, 사이드 에어백(70)의 일부(전챔버(70F)를 포함하는 전부측)이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서 접혀 있다. 따라서, 차량의 후면 충돌시에 시트백(16)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으로 상대 이동하는 착좌 탑승자(P)의 동체가, 수납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70)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으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사이드 프레임(22)과 착좌 탑승자(P)의 사이의 간극이 좁은 시트백(16)으로의 사이드 에어백(70)(에어백 모듈(52))의 탑재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스 발생 장치(54)가 가지는 각통 형상의 리테이너(58)는, 시트 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내측(즉 착좌 탑승자(P)측)의 코너부(58A)에 코너(R)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코너부(58A)에 코너(R)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코너부(58A)가 시트 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 퇴피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후면 충돌시에 시트백(16)에 대하여 시트 후방측으로 상대 이동하는 착좌 탑승자(P)의 동체가, 리테이너(58)(가스 발생 장치(54))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으로 간섭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돌 ECU(62)가 측돌 센서(64)의 출력에 의거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을 검지하면,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장착된 인플레이터(56)가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인플레이터(56)를 수용한 사이드 에어백(70)의 후챔버(70R)가, 외사이드 프레임(22)에 의해 차량 폭 방향 중앙측 방향의 반력을 받으면서, 전챔버(70F)보다도 조기이면서 고압으로 팽창 전개되고, 착좌 탑승자(P)를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가압한다(도 2의 화살표 F 참조). 이에 따라, 착좌 탑승자(P)를 조기에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사이드 프레임(22)은, 착좌 탑승자(P)가 AM50의 삼차원 마네킹(3DM)인 경우, 상기 삼차원 마네킹(3DM)의 백팬(BP)과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사이드 프레임(22)이 착좌 탑승자(P)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착좌 탑승자(P)에 근접 배치되는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시트 폭 방향 중앙측에 가스 발생 장치(54)가 장착됨과 함께,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가 사이드 에어백(70)의 후챔버(70R)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챔버(70R)를 착좌 탑승자(P)의 가까운 거리에서 조기이면서 고압으로 팽창 전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후챔버(70R)에 의한 차량 폭 방향 중앙측으로의 착좌 탑승자(P)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조기화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보충 설명>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70)은, 외사이드 프레임(22)을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시트 폭 방향으로 걸치면서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접힌 상태에서 시트백(16) 내에 수납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접힌 사이드 에어백(70)이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수납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스 발생 장치(54)가 외사이드 프레임(22)의 시트 폭 방향 내측(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장착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가스 발생 장치(54)가 내사이드 프레임(24)의 시트 폭 방향 내측(차량 폭 방향 외측)에 장착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52)이 내사이드 프레임(24)에 장착된 차량용 시트(소위 퍼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백 스프링(30)이 와이어 부재(32)와 플레이트 부재(34)를 구비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시트백 스프링(30)의 구성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트백 스프링(30)은, 스프링 매트 또는 플랫 매트 등이라고 칭해지는 것이라도 되고, 수지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전챔버(70F)가,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및 복부(B)의 전부를 구속하고, 팽창 전개 완료 상태의 후챔버(70R)가, 착좌 탑승자(P)의 흉부(C) 및 복부(B)의 후부와, 요부(L)의 전부 및 후부를 구속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챔버(70F) 및 후챔버(70R)에 의한 착좌 탑승자(P)의 구속 개소나, 전챔버(70F) 및 후챔버(70R)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70)이 전후 2챔버 타입으로 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이드 에어백(70)은, 싱글 챔버 타입이나 3챔버 타입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56)의 상단부에 가스 분출부(56B)가 설치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인플레이터(56)의 하단부에 가스 분출부(56B)가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가스 분출부(56B)가 시트백 프레임(20)의 하단부(도시하지 않는 시트 쿠션 프레임과의 연결부)의 가까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가스 분출부(56B)로부터의 가스 분출시에 있어서의 시트백 프레임(20)의 휘어짐을 적게 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5)

  1. 사이드 에어백 장치(50)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에 있어서,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2, 24)과, 어퍼 프레임(26)과, 로어 프레임(28)을 구비하는 시트백 프레임(20)과;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2, 2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 프레임(26)과 상기 로어 프레임(28)의 사이에 걸쳐 놓여진 좌우의 사이드 스프링부(32A, 32B)를 포함하는 와이어 부재(32)와, 상기 와이어 부재(32)에 장착된 플레이트 부재(34)를 가지고, 시트백 패드(36)를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시트백 스프링(30)과;
    사이드 에어백(70)과;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2, 24) 중 일방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가스 발생 장치(54)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는, 시트상의 차량 폭 방향 중앙에 착좌하는 착좌 탑승자(P)의 동체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일부가 겹져짐과 함께,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가 위치하는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시트백(16)의 평단면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2, 24) 중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사이드 프레임(22)의 전단부, 및 상기 좌우의 사이드 스프링부(32A, 32B) 중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사이드 스프링부(32A)에 대하여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접하는 가상선(VL)보다 시트 후방측에,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70)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은,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22)을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시트 폭 방향으로 걸치면서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22)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접힌 상태로 상기 시트백(16) 내에 수납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1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는, 상기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여 배치된 실린더 타입의 인플레이터(56)와, 상기 시트백(16)의 상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는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56)가 내측에 삽입됨과 함께, 시트 전방측 또한 시트 폭 방향 내측의 코너부(58A)에 코너(R)가 설정된 리테이너(58)를 가지는 차량용 시트(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R)는, 상기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상기 시트 전방측 또한 상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함을 이루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58)에 있어서의 다른 3개의 코너부보다 상기 리테이너(58)의 중심측으로 퇴피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1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22,24)은 각각, 상기 시트백(16)의 평단면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22A)와, 상기 측벽부(22A)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전플랜지부(22B)와, 상기 측벽부(22A)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후플랜지부(22C)를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1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플랜지부(22C)의 시트 폭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전플랜지부(22B)의 시트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상기 측벽부(22A)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플랜지부(22C)의 시트 폭 방향 중앙부에는, 시트 전방측으로 팽출된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착좌 탑승자의 동체에 대하여 시트 전후 방향에서 보아 상기 후플랜지부(22C)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1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 장치(54)가 위치하는 상기 시트 상하 방향의 범위는, 히프 포인트(HP)로부터 150㎜에서 300㎜의 범위인 차량용 시트(10).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70)은, 단일의 봉지체로 구성되고, 상기 봉지체를 전챔버(70F)와 후챔버(70R)로 구분하는 테더(74)를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10).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117542A 2016-10-03 2017-09-14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KR101967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96008 2016-10-03
JP2016196008A JP6561956B2 (ja) 2016-10-03 2016-10-03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100A KR20180037100A (ko) 2018-04-11
KR101967832B1 true KR101967832B1 (ko) 2019-04-10

Family

ID=5985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542A KR101967832B1 (ko) 2016-10-03 2017-09-14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83798B2 (ko)
EP (1) EP3300958A1 (ko)
JP (1) JP6561956B2 (ko)
KR (1) KR101967832B1 (ko)
CN (1) CN107891833B (ko)
CA (1) CA297947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748A1 (en) * 2015-07-07 2017-01-12 Toyota Boshoku America, Inc. Mistake proof brackets for installation of seat trim cover airbag strip to a seat frame
JP6658585B2 (ja) * 2017-02-03 2020-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DE102017202868B4 (de) * 2017-02-22 2022-11-17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Fahrzeugsitze für Kraftfahrzeuge
EP3954587B1 (en) * 2020-08-11 2023-09-27 Toyoda Gosei Co., Ltd. Far-side airbag apparatus
CN114655154A (zh) * 2022-04-27 2022-06-24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侧气囊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6979A (ja) 2009-09-07 2011-03-24 Mazda Motor Corp 車両のシート構造
WO2014054553A1 (ja) 2012-10-01 2014-04-1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のバックレス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7047A (en) * 1944-12-20 1946-03-19 Thomas W Roberts Fringe cutting machine
JP3119820B2 (ja) * 1996-08-09 2000-12-25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エアバッグ装置
JP3834936B2 (ja) * 1997-06-09 2006-10-1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3500915B2 (ja) * 1997-06-30 2004-02-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GB2397048A (en) 2003-01-10 2004-07-14 Autoliv Dev Vehicle seat comprising airbag
GB2397047B (en) * 2003-01-10 2006-02-22 Autoliv Development A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 air-seats and air-bag units
JP4281644B2 (ja) * 2003-11-21 2009-06-17 豊田合成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ー
WO2010107726A2 (en) * 2009-03-16 2010-09-23 Saudi Arabian Oil Company Recovering heavy oil through the use of microwave heating in horizontal wells
DE102010051521A1 (de) * 2010-11-16 2012-05-16 Trw Automotive Gmbh Rückenlehne eines Fahrzeugsitzes sowie Fahrzeugsitz mit einer solchen Rückenlehne
EP2567870B1 (en) * 2011-09-09 2015-03-25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seat with an airbag unit
DE102011086471A1 (de) 2011-11-16 2013-05-16 Lear Corporation Fahrzeugsitzanordnung mit Airbag an innenliegender Seite
JP5942772B2 (ja) 2012-10-18 2016-06-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US9199354B2 (en) * 2012-10-29 2015-12-01 Wayne O. Duescher Flexible diaphragm post-type floating and rigid abrading workholder
JP6036658B2 (ja) * 2013-11-15 2016-1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913267B2 (ja) * 2013-11-27 2016-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949737B2 (ja) * 2013-12-06 2016-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566930B2 (en) * 2015-03-02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ssembly with side-impact airbag deployment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6979A (ja) 2009-09-07 2011-03-24 Mazda Motor Corp 車両のシート構造
WO2014054553A1 (ja) 2012-10-01 2014-04-1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のバックレス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79470A1 (en) 2018-04-03
CA2979470C (en) 2020-04-14
EP3300958A1 (en) 2018-04-04
CN107891833A (zh) 2018-04-10
JP2018058432A (ja) 2018-04-12
US10583798B2 (en) 2020-03-10
JP6561956B2 (ja) 2019-08-21
CN107891833B (zh) 2020-03-10
KR20180037100A (ko) 2018-04-11
US20180093633A1 (en)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444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KR101967832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CN107891834B (zh) 具有侧气囊设备的车辆座椅
KR20180090749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JP6414157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KR102625278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US11833990B2 (en) Side airbag device,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JP6582872B2 (ja) 乗員脚部拘束装置
US11267433B2 (en) Side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CN111491830B (zh) 侧面安全气囊装置以及具备该侧面安全气囊装置的车辆用座椅
CN111845613B (zh) 侧气囊装置
CN109955822B (zh) 车辆用侧气囊装置
JP7078742B2 (ja) 車両用シート
CN109795440B (zh) 车辆用侧气囊装置
JP6136875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