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642A - 치간 칫솔 - Google Patents

치간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642A
KR20180036642A KR1020177021674A KR20177021674A KR20180036642A KR 20180036642 A KR20180036642 A KR 20180036642A KR 1020177021674 A KR1020177021674 A KR 1020177021674A KR 20177021674 A KR20177021674 A KR 20177021674A KR 20180036642 A KR20180036642 A KR 20180036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mber
area
projecting
brush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498B1 (ko
Inventor
히로코 마츠오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6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2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the bristles being fixed or joined in rubber bodies, e.g. in soft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파지부(2)와, 파지부(2)의 선단에 설치된 브러시부(3)를 구비하는 치간 칫솔(1)로서, 브러시부(3)는 파지부(2)로부터 연장되는 축재(4)와, 축재(4)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편(5)을 구비하고, 축재(4)는 하기 (A)∼(C)를 만족시키는 치간 칫솔(1). (A)축재(4)의 선단으로부터 5mm의 부분을 10mm/sec의 속도로 튕겼을 때의 반발력이 0.56N 이상이다. (B)축재(4)의 기단부분을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 90도 절곡하고, 다시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90도 절곡하는, 좌우 절곡 시험에 있어서, 축재(4)의 심부가 파단될 때까지의 절곡 횟수가 20회 이상이다. (C)축재(4)의 기단부분을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 90도 절곡하는 90도 절곡 시험에 있어서, 5회째에 절곡할 때의 최대 응력이 1.7N 이상이다.

Description

치간 칫솔
본 발명은 치간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7월 23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5-146028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치간을 효율 좋게 청소하는 목적으로 치간 칫솔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치간 칫솔은 금속 와이어를 축재로서 사용한 것과, 합성수지를 축재로서 사용한 것으로 크게 나뉜다. 합성수지제의 축재를 구비한 치간 칫솔은 금속 와이어를 구비한 치간 칫솔보다 잇몸이나 치아에 대한 닿는 느낌이 양호하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파지부(핸들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합성수지제의 심부에 엘라스토머가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축재와, 상기 축재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볼 때 방사상으로 복수 설치된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돌기를 구비한 치간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3-192866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치간 칫솔에 있어서의 합성수지제의 축재는 내구성이 부족하여 사용시나 세정시에 꺾이거나 하므로 재이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재이용 가능할 정도로 내구성이 우수한 치간 칫솔을 목적으로 한다.
[1]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에 설치된 브러시부를 구비하는 치간 칫솔로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파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합성수지제의 심부, 및 상기 제 1 합성수지보다 부드러운 제 2 합성수지가 상기 심부를 피복해서 이루어지는 피복부로 이루어지는 축재와, 상기 축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축재는 하기 (A)∼(C)를 만족시키는 치간 칫솔.
(A)축 휘어짐 강도;상기 축재의 선단으로부터 5mm의 부분을 10mm/sec의 속도로 튕겼을 때의 반발력이 0.56N 이상이다.
(B)축 꺾임 강도;상기 브러시부의 기단부분을 상기 축재의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 90도 절곡하고, 원래로 되돌리고,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90도 절곡하고, 원래로 되돌린다라는 좌우 절곡 시험에 있어서, 상기 심부가 파단될 때까지의 동일 방향으로의 절곡 횟수가 20회 이상이다.
(C)반복 구부림 강도;상기 브러시부의 기단부분을 상기 축재의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 90도 절곡하고, 원래로 되될린다라는 90도 절곡 시험에 있어서 동일 방향으로 5회째에 절곡할 때의 최대 응력이 1.7N 이상이다.
[2]상기 심부의 구성재료가 ASTM D790에 준거해서 측정되는 구부림 탄성률 3.0GPa이상이며, 또한, ASTM D638에 준거해서 측정되는 인장파단신도 7.0% 이상인 [1]에 기재된 치간 칫솔.
[3]상기 제 1 합성수지는 섬유길이 3㎛∼300㎛이며, 또한 섬유지름 0.1㎛∼2.0㎛인 섬유재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인 [1] 또는 [2]에 기재된 치간 칫솔.
[4]상기 섬유재는 티탄산 칼륨 섬유를 포함하는 [3]에 기재된 치간 칫솔.
[5]상기 제 1 합성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인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간 칫솔.
[6]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에 설치된 브러시부를 구비하는 합성수지제의 치간 칫솔로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파지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축재와, 상기 축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축재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볼 때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브러시부는 영역(B)보다 후단 부근에 형성된 영역(A)과, 상기 영역(A)보다 선단측에 형성된 영역(B)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A)에는 임의의 높이의 제 1 돌출편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영역(B)에는 상기 제 1 돌출편보다 높이가 낮은 돌출편만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치간 칫솔.
[7]상기 영역(A)은 상기 제 1 돌출편과, 상기 제 1 돌출편보다 높이가 낮은 제 2 돌출편이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영역(A1)을 포함하는 [6]에 기재된 치간 칫솔.
[8]상기 영역(B)은 선단측의 영역(B1)과, 상기 영역(B1)보다 후단측의 영역(B2)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B2)에는 상기 제 2 돌출편과 동등 이하의 높이의 제 4 돌출편만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영역(B1)의 돌출편은 상기 제 4 돌출편과 동등 이하의 높이이며, 또한 상기 영역(B1)에는 상기 제 4 돌출편보다 높이가 낮은 제 3 돌출편을 포함하는 [7]에 기재된 치간 칫솔.
[9]상기 영역(A)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편끼리의 축 방향의 거리가 선단을 향해서 커지고 있는 [6]∼[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간 칫솔.
[10]상기 파지부의 상기 브러시부 부근에는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함에 따라 확경되는 확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6]∼[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간 칫솔.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치간 칫솔은 내구성에 우수하므로, 사용 중에 꺾이는 것이 억제됨과 아울러, 세정해서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치간 칫솔(1)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간 칫솔(1)의 브러시부(3)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치간 칫솔(1)의 I-I 단면도이다.
도 4는 1차품(기체)(1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치간 칫솔의 다른 예의 선단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치간 칫솔(1)의 브러시부(3)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이하의 용어의 정의는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걸쳐 적용된다.
「연질수지」란 JIS K 7215에 준거해서 측정되는 쇼어 A의 경도가 90 이하인 수지를 의미한다.
「경질수지」란 연질수지보다 쇼어 A의 경도가 높은 수지, 즉 상기 쇼어 A의 경도가 90 초과인 수지를 의미한다.
《제 1 형태》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치간 칫솔은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에 설치된 브러시부를 구비하는 치간 칫솔이다.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파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합성수지제의 심부, 및 상기 제 1 합성수지보다 부드러운 제 2 합성수지가 상기 심부를 피복해서 이루어지는 피복부로 이루어지는 축재와, 상기 축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편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치간 칫솔의 일례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치간 칫솔(1)은 선단측을 향해서 서서히 축경되는 경질수지(제 1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파지부(2)와, 파지부(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브러시부(3)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브러시부(3)는 파지부(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축재(4)와, 축재(4)로부터 돌출된 브러시재를 형성하는 복수의 돌출편(5a∼5d(5))을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축재(4)는 파지부(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질수지(제 1 합성수지)를 주재로 하는 심부(4a)와, 심부(4a)를 피복하는 연질수지(제 2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부(4b)를 구비한다. 축재(4)의 축선으로부터 볼 때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편(5)은 연질수지로 이루어지고, 피복부(4b)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
파지부(2)는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파지부(2)의 형상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판상, 원기둥상, 삼각기둥상, 사각기둥상 등의 기둥상을 들 수 있다.
파지부(2)를 손가락으로 잡기 쉽게 할 목적으로, 예를 들면 파지부(2)에 요철, 구멍, 관통구멍, 만곡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파지부(2)에는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축경되는 축경부(2a)가 형성되고, 축경부(2a)의 선단에 브러시부(3)가 설치되어 있다.
축경부(2a)가 형성되어 있으면, 거울로 확인하면서 치간 칫솔(1)을 사용할 때에, 치간 중에 있어서의 브러시부(3)의 상태를 시인하기 쉬워진다. 또한, 축경부(2a)가 손잡이를 향해서 서서히 확경되어 있기 때문에, 치간으로의 삽입이 축경부(2a)에서 멈추기 쉬워 치간 칫솔(1)을 과도하게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축경부(2a)의 최소직경∼최대직경의 범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mm∼5mm가 바람직하고, 1.5mm∼5mm가 보다 바람직하고, 1.5mm∼4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최소직경이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이면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최대직경이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이면 구내에 있어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축경부(2a)의 직경은 축경방향(브러시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직경이다. 그 단면이 원형이 아닌 경우, 예를 들면 직사각형, 타원형, 그 밖의 다각형인 경우, 그 단면형상을 포함하는 최소원의 직경을 축경부(2a)의 직경으로 한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축경부(2a)의 최소직경은 부호 「3a」가 가리키는 위치의 직경이다. 상기 위치는 브러시부(3)와 축경부(2a)의 경계이다. 여기에서, 부호 「3a」를 편의적으로 브러시부(3)의 기단을 나타내는 부호로서 사용한다. 또한 축경부(2a)의 최대직경은 파지부(2)의 직경(R1)과 같다. 또, 축경부(2a)의 최소직경 및 최대직경에는 연질수지층(6)의 두께는 포함되지 않는다.
파지부(2)의 폭 또는 직경(굵기)(R1)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5mm∼10mm가 바람직하다.
상기 폭 또는 직경이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이면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폭 또는 직경이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이면 구내 청소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파지부(2)의 구성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치간 칫솔의 파지부를 구성하는 공지의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파지부(2)의 구성재료는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파지부(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축재(4)와의 일체성을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축재(4)의 심부(4a)의 구성재료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지부와 축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2)의 구성재료는 1종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이 포함되는 복합재료이어도 좋다.
<브러시부>
도 2에 나타내듯이, 브러시부(3)는 파지부(2)의 축경부(2a)의 선단(브러시부(3)의 기단(3a))으로부터 연장되는 축재(4)를 구비한다. 여러가지 길이의 복수의 제 1 돌출편(5a)∼제 4 돌출편(5d)은 축재(4)의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돌출편은 축재(4)의 피복부(4b)를 이루는 연질수지의 일부가 심부(4a) 상의 피복부(4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축재(4)를 피복하는 연질수지는 브러시부(3)의 기단(3a)으로부터 축경부(2a) 상에 연장 형성되고, 축경부(2a)의 일부를 피복하는 연질수지층(6)을 형성하고 있다.
축재(4)의 형상은 복수의 돌출편(5)이 설치 가능하며, 치간에 삽입 가능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기둥상, 삼각기둥상, 사각기둥상 등의 기둥상의 것 외에 판상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축재(4)의 형상은 선단을 향함에 따라 축경하는 원기둥상(즉, 원뿔대)이다. 이에 따라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축재(4)의 길이는 10mm 이상이 바람직하고, 치간의 청소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12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3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축재(4)의 길이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0mm 이하이면 구내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축재(4)의 길이는 10∼20mm가 바람직하고, 12∼2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13∼20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축재(4)의 굵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축재(4)의 선단으로부터 0.1mm의 부위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바람직하게는 0.010㎟∼1.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1.200㎟, 더 바람직하게는 0.060㎟∼0.800㎟이 되는 굵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축재(4)의 기단부분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바람직하게는 0.200㎟∼3.140㎟, 보다 바람직하게는 0.380㎟∼2.540㎟, 더 바람직하게는 0.500㎟∼1.770㎟가 되는 굵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단면의 면적이 상기의 하한값 이상이면 축재(4)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단면의 면적이 상기의 상한값 이하이면 축재(4)를 좁은 치간으로의 삽입하는 것이 일층 용이해지고, 청소력을 높일 수 있다.
축재(4)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는 굵기는 일정해도 좋고,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축경되거나 또는 확경되는 테이퍼 형상이어도 좋다. 테이퍼 형상인 경우, 축재(4)의 축선에 대한 축재(4)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테이퍼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정해도 좋고, 점차 또는 단계적으로 변화되어도 좋다.
[축재의 강도]
치간 칫솔(1)의 축재(4)는 하기 (A)∼(C)를 만족시킨다.
(A)축 휘어짐 강도;파지부(2)를 고정하고, 축재(4)의 선단으로부터 5mm의 부분을 10mm/sec의 속도로 튕겼을 때의 반발력이 0.56N 이상이다.
(B)축 꺾임 강도;브러시부(3)의 기단부분을 상기 축재의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 90도 절곡하고, 원래로 되돌리고,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90도 절곡하고, 원래로 되돌린다는 좌우 절곡 시험에 있어서 심부(4a)가 파단될 때까지의 동일 방향으로의 절곡 횟수가 20회 이상이다.
(C)반복 구부림 강도;브러시부(3)의 기단부분을 상기 축재의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 90도 절곡하고, 원래로 되돌린다는 90도 절곡 시험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으로 5회째 절곡할 때의 최대응력이 1.7N 이상이다.
(A)축 휘어짐 강도는 이하의 시험에서 측정된다.
치간 칫솔(1)의 파지부(2)의 중앙을 임의의 수단, 예를 들면 지그로 고정하고, 치간 칫솔(1)의 브러시부(3)의 선단으로부터 5mm의 부분에 10mm/sec로 이동하는 마찰자를 슬라이딩시키고, 튕겼을 때의 저항값(단위:N)을 ISO 8627법(칫솔의 경도 규격)에 사용하는 장치를 사용해서 측정한다. 이 때, 상기 마쇄자가 브러시부(3)의 선단으로부터 5mm의 위치보다 파지부(2)측의 영역에 닫지 않도록 측정한다.
(B)축 꺾임 강도는 이하의 좌우 절곡 시험에 의해 측정된다.
우선, 치간 칫솔(1)의 브러시부(3)의 기단(3a)을 제외한 브러시부(3) 전체를 임의의 수단, 예를 들면 지그로 고정하고, 그 고정부로부터 5mm의 간격을 두고, 파지부(2)측을 척으로 협지했다. 이에 따라 지그와 척 사이에 5mm의 미고정 영역(노출 영역)이 존재한다.
이 미고정 영역은 브러시부(3)의 기단(3a)을 포함하는 부분(브러시부(3)의 기단부분)이다. 여기에서, 브러시부(3)의 기단(3a)은 브러시부(3)에 설치된 파지부(2)측에 가장 가까운 돌출편(5)의 파지부(2)측의 하단, 즉 열설된 돌출편(5)의 주변부로 한다.
이 브러시부(3)의 기단부분을 축재(4)의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 90도 절곡하고, 원래로 되돌린다.(즉, 기단부분에서 브러시부(3)를 90도 절곡하고, 원래로 되돌린다.) 여기에서, 제 1 방향은 축재(4)가 연장되는 축선 방향으로 볼 때, 예를 들면 도 3의 지면 깊이 방향으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기단부분을 제 1 방향과는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90도 절곡하고, 원래로 되돌린다.
여기에서,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는 진역의 방향이며, 축재(4)의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이며, 예를 들면 도 3의 지면 깊이 방향(축선 방향)으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 좌우 1세트의 절곡을 본 시험에 있어서의 1회의 절곡 횟수로서 카운트한다.
상기 좌우 1세트의 절곡을 동일 방향으로(같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30rpm(매분 30회의 속도)로 반복해서 축재(4)의 심부(4a)가 파단될 때까지의 횟수를 조사한다. 축재(4)의 심부(4a)가 파단된 것은 육안으로 판단한다. 축재(4)의 심부(4a)가 파단된 후에 피복부(4b)에 의해 브러시부(3)가 꺾인 선단측과 기단측(파지부(2)측)이 여전히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절곡에 필요한 힘이 극단적으로 저하됨으로써 파단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피복부(4b)를 벗겨서 심부(4a)가 파단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판단이 올바랐던 것을 추인할 수 있다.
또, 20회째의 절곡이 종료되기 전에 20회째의 절곡 중에 파단된 치간 칫솔에 대해서는 20회 미만으로 파단된 것으로 한다.
(C)반복 구부림 강도는 이하의 90도 절곡 시험에 의해 측정된다.
우선, 치간 칫솔(1)의 파지부(2)의 중앙을 임의의 수단, 예를 들면 지그로 고정하고, 치간 칫솔(1)의 브러시부(3)의 기단(3a)에 누름 도구를 접촉한다. 여기에서, 브러시부(3)의 기단(3a)의 위치는 (B)축 꺾임 강도의 경우와 같은 위치이다. 계속해서, 누름 도구에 의해 브러시부(3)의 기단(3a)으로부터 선단측을 축재(4)의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 90도 절곡하고, 원래로 되돌린다. 여기에서, 제 1 방향은 축재(4)가 연장되는 축선 방향으로 볼 때 예를 들면 도 3의 지면 깊이 방향으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 90도의 절곡을 본 시험에 있어서의 1회의 절곡 횟수로서 카운트한다.
상기 좌우 절곡을 동일 방향으로(같은 제 1 방향으로) 4회 반복하고, 동일 방향으로 5회째 절곡할 때의 최대 응력을 푸시풀 게이지에 의해 측정한다. 각 회의 절곡은 80mm/sec의 압박 속도로 행한다. 푸시풀 게이지는 예를 들면 이마다사제의 보급형 디지털 포스 게이지 D2D를 사용해서 행한다.
(A)축 휘어짐 강도는 0.56N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60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65N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70N 이상이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치간 칫솔(1)의 브러시부(3)가 적당한 강성을 가지므로, 치간에 대한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0N 이하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 휘어짐 강도는 예를 들면 0.56∼1.00N이 바람직하고, 0.60∼1.00N이 보다 바람직하고, 0.65∼1.00N이 더욱 바람직하고, 0.70∼1.00N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축 휘어짐 강도는 축재(4)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의 종류, 섬유재의 종류 및 양, 축재(4)의 기단(브러시부(3)의 기단(3a))의 굵기 등의 조합에 의해 조절된다.
(B)축 꺾임 강도는 20회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회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회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0회 이상이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사용시나 브러시의 세정시에 브러시부(3)가 일시적으로 굴곡된 경우에도 파단되기 어렵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만회 미만이 적당하다.
상기 축 꺾임 강도는 축재(4)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의 종류, 섬유재의 종류 및 양, 축재(4)의 기단(브러시부(3)의 기단(3a))의 굵기 등의 조합에 의해 조절된다.
(C)반복 구부림 강도는 1.70N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75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N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85N 이상이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사용시나 브러시의 세정시에 브러시부(3)가 굴곡된 후,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서 다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50N 이하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복 구부림 강도는 예를 들면 1.70∼2.50N이 바람직하고, 1.75∼2.50N이 보다 바람직하고, 1.80∼2.50N이 더욱 바람직하고, 1.85∼2.50N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반복 구부림 강도는 축재(4)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의 종류, 섬유재의 종류 및 양, 축재(4)의 기단(브러시부(3)의 기단(3a))의 굵기 등의 조합에 의해 조절된다.
[축재의 심부]
축재(4)의 심부(4a)의 구성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A)∼(C)의 강도를 실현하는 관점으로부터 합성수지를 주재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는 경질수지 및 연질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인 것이 바람직하고, 경질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축재(4)의 심부(4a)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상기 합성수지의 함유량은 50∼100질량%가 바람직하고, 60∼10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70∼10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축재(4)의 심부(4a)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상기 경질수지의 함유량은 50∼100질량%가 바람직하고, 60∼10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70∼10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는 1종류이어도 좋고, 2종류 이상이어도 좋다.
상기 경질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경질수지가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구부림 탄성률(JIS K7203)이 500∼3000㎫의 범위로 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질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피복부(4b)를 구성하는 연질수지와의 접착성이 양호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PTT, PBT가 보다 바람직하다.
축재(4)의 심부(4a)의 구성재료에는 상기 주재로서 사용되는 합성수지 이외의 임의성분을 첨가해도 좋다. 바람직한 임의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무기재료 및/또는 유기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러를 들 수 있다. 필러를 심부(4a)의 구성재료로서 상기 합성수지에 첨가함으로써, 심부(4a)의 상기 (A)∼(C)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필러의 구성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리, 세라믹스, 광물, 탄소재료 등의 무기재료, 합성수지 등의 유기재료 등을 들 수 있다.
필러를 구성하는 합성수지는 축재(4)의 심부(4a)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바람직한 합성수지로서, 예를 들면 아라미드,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를 들 수 있다.
필러를 구성하는 탄소재료로서, 예를 들면 카본블랙 등의 탄소입자, 카본나노튜브, 풀러렌, 그래펜 등을 들 수 있다.
필러를 구성하는 광물 및 세라믹스로서, 예를 들면 마이카, 탤크, 탄화규소, 티탄산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필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섬유상, 입자상, 판상 등 어느 형상이어도 좋고, 상기 (A)∼(C)의 강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섬유상이 바람직하다.
섬유상 필러의 섬유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300㎛가 바람직하고, 6㎛∼100㎛가 보다 바람직하고, 9㎛∼50㎛가 더욱 바람직하다.
섬유길이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축재(4)의 심부(4a)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섬유길이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축재(4)의 심부(4a)의 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섬유길이는 상기 섬유상 필러 100개의 섬유길이(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의 길이)의 산술 평균이다. 따라서, 상기 섬유길이는 평균 섬유길이라고도 할 수 있다. 섬유상 필러의 섬유길이는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해 계측된다.
섬유상 필러의 섬유지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1㎛∼2.0㎛가 바람직하고, 0.2㎛∼1.0㎛가 보다 바람직하고, 0.3㎛∼0.8㎛가 더욱 바람직하다.
섬유지름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축재(4)의 심부(4a)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섬유지름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축재(4)의 심부(4a)의 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섬유지름은 상기 섬유상 필러 100개의 섬유지름(섬유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최장의 길이)의 산술 평균이다. 따라서, 상기 섬유지름은 평균 섬유지름이라고 할 수 있다. 섬유상 필러의 섬유지름은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해 계측된다.
축재(4)의 심부(4a)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필러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5∼29질량%가 바람직하고, 10∼2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5∼2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축재(4)의 심부(4a)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축재(4)의 심부(4a)의 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축재(4)의 심부(4a)에는 상기 주재로서의 합성수지와 함께, 임의 성분의 필러로서 섬유길이 3㎛∼300㎛이며 또한 섬유지름 0.1㎛∼2.0㎛인 섬유재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재로서는 화학식 K2Ti8O17 또는 K2Ti6O13으로 나타내어지는 티탄산 칼륨 섬유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티탄산 칼륨 섬유는 시판되고 있고, 예를 들면 오오츠카 가가쿠사제의 티스모(TISMO) (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심부(4a)의 구성재료의 ASTM D790(3점 하중, A법)에 준거해서 측정되는 구부림 탄성률은 상기 (A)∼(C)의 강도를 실현하는 관점으로부터 3.0GPa 이상이 바람직하고, 4.0GPa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0GPa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상한값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0GPa 이하가 적당하다.
심부(4a)의 구성재료의 ASTM D638에 준거해서 측정되는 인장파단신도는 상기 (A)∼(C)의 강도를 실현하는 관점으로부터 7.0%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0% 이하가 적당하다.
심부(4a)의 구성재료의 구부림 탄성률과 인장파단신도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 상기에 예시한 바람직한 범위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구부림 탄성률의 수치)이며 또한 (인장파단신도의 수치)의 서식으로 나타내면, 3.0GPa 이상이며 또한 7.0% 이상, 3.0GPa 이상이며 또한 8.0% 이상, 3.0GPa 이상이며 또한 10.0% 이상, 4.0GPa 이상이며 또한 7.0% 이상, 4.0GPa 이상이며 또한 8.0% 이상, 4.0GPa 이상이며 또한 10.0% 이상, 5.0GPa 이상이며 또한 7.0% 이상, 5.0GPa 이상이며 또한 8.0% 이상, 5.0GPa 이상이며 또한 10.0%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구부림 탄성률 3.0GPa 이상이며 또한 인장파단신도 7.0% 이상인 구성재료를 사용하면, 상기 (A)∼(C)의 강도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심부(4a)의 구성재료는 상기 (A)∼(C)의 강도를 보다 용이하게 실현하는 관점으로부터 필러 및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축재의 피복부]
축재(4)의 피복부(4b)의 구성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연질수지가 바람직하다. 피복부(4b)가 연질수지로 성형되어 있으면,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할 때에 잇몸이나 치아를 손상시키기 어렵고,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해진다.
피복부(4b)를 구성하는 연질수지의 쇼어경도 A(쇼어 A 경도)은 A90 이하가 바람직하고, A30∼A80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연질수지로서,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의 공지의 엘라스토머 수지를 들 수 있다.
피복부(4b)를 구성하는 연질수지는 1종류이어도 좋고, 2종류 이상이어도 좋다.
피복부(4b)는 브러시부(3)의 전부를 덮고 있어도 좋고, 일부만을 덮고 있어도 좋다.
피복부(4b)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1mm∼1.0mm가 바람직하고, 0.1mm∼0.5mm가 보다 바람직하고, 0.1mm∼0.3mm가 더욱 바람직하다.
피복부(4b)의 두께가 하한값 이상이면 돌출편(5)이 피복부(4b)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브러시부(3)의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피복부(4b)의 두께가 상한값 이하이면 브러시부(3)의 전체의 직경이 지나치게 굵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좁은 치간에의 삽입성을 높일 수 있다.
피복부(4b)의 두께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브러시부(3)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돌출편(5)의 사이를 임의로 3개소 이상 선택해서 각 개소의 연질수지의 두께를 현미경이나 확대경으로 측정한 값의 산술평균으로서 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돌출편]
축재(4)가 연장되는 축선 방향으로부터 볼 때 축재(4)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편(5)의 형상이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치간 칫솔(1)의 브러시부(3)에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축재(4)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서로 다른 제 1 돌출편(5a)∼제 4 돌출편(5d)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돌출편(5)은 치간의 청소를 담당하여, 치석을 긁어 내는 브러시(솔)재로서 기능한다.
돌출편(5)의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1mm∼2.5mm가 바람직하고, 0.3mm∼1.8mm가 보다 바람직하고, 0.6mm∼1.2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돌출편(5)의 높이는 피복부(4b)의 표면측의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돌출편(5)의 높이가 하한값 이상이면 높은 청소력이 얻어지기 쉽다.
돌출편(5)의 높이가 상한값 이하이면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복수의 돌출편(5)의 상대적인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서로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돌출편(5)의 두께(굵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1mm∼1.5mm가 바람직하고, 0.1mm∼0.5mm가 보다 바람직하고, 0.1mm∼0.2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돌출편(5)의 두께는 돌출편(5)이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단면의 최큰 직경을 의미한다.
돌출편(5)의 두께가 하한값 이상이면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치석을 긁어 내기 위해서 필요한 강성이 얻어지기 쉽다.
돌출편(5)의 두께가 상한값 이하이면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복수의 돌출편(5)의 상대적인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서로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치간 칫솔(1)에 있어서, 돌출편(5)은 축재(4)의 축 주위에 90°의 등간격으로 4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축재(4)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볼 때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편(5)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6개가 축 주위에 등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재(4)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본 돌출편(5)의 정면에서 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듯이, 축재(4)로부터의 높이 방향이 폭 방향보다 긴 장방형이며 또한 그 선단측의 양쪽의 각부가 둥그런 형상을 들 수 있다. 이 밖에의 상기 정면에서 본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다리꼴형상, 정방형상, 장방형상,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대략 타원형상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브러시부(3)를 구성하는 축재(4)가 연장되는 축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인접하는 돌출편(5) 끼리의 거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3mm∼0.8mm가 바람직하다.
상기 거리가 하한값 이상이면 각 돌출편(5)이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거리가 상한값 이하이면 각 돌출편의 사이에 치석을 유지하기 쉬워져 높은 청소력이 얻어지기 쉽다.
브러시부(3)에 있어서 축재(4)가 연장되는 축 방향으로 열설되는 돌출편(5)의 합계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100개가 바람직하고, 20∼50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합계수가 하한값 이상이면 충분한 청소력이 얻어지기 쉽다.
상기 합계수가 상한값 이하이면 치간에의 삽입과 제거의 양쪽이 용이하게 되며, 치간을 청소하는 작업성이 높아진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치간 칫솔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제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형을 사용한 사출성형에 의해, 우선, 축재(4)의 심부(4a)와 파지부(2)를 일체적으로 성형한 1차품(기체)(10)을 얻는다(도 4 참조). 계속해서, 심부(4a)와 축경부(2a)의 일부를 연질수지로 피복하고, 피복부(4b)와 돌출편(5)을 일체적으로 성형한 브러시부(3)를 형성함과 아울러, 축경부(2a)의 일부를 연질수지층(6)으로 피복한다(도 1 참조). 이러한 공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치간 칫솔(1)을 제조할 수 있다.
축재(4)를 구성하는 복합재료의 조제에 있어서, 합성수지에 필러 등의 임의성분을 혼합할 경우, 그 혼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교반자, 스터러, 볼밀, 자공전 믹서, 초음파 분산기 등을 사용하는 공지 방법이 적용된다.
<작용 효과>
본 발명의 치간 칫솔은 브러시부를 구성하는 축재가 상술한 (A)∼(C)를 만족시키므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사용중에 꺾이는 것이 억제됨과 아울러, 세정해서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간 칫솔은 적어도 브러시부가 합성수지제이므로, 금속제 와이어를 구비하는 종래의 치간 칫솔에 비해서 잇몸 등에 닿은 경우에도 아픔을 느끼기 어렵고, 닿는 느낌이 양호하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의 치간 칫솔은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의 치간 칫솔(1)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듯이, 축재(4)의 선단부(4c)를 구상으로 한 치간 칫솔을 들 수 있다. 상기 치간 칫솔에 의하면, 축재(4)의 선단부(4c)가 잇몸에 닿은 경우의 아픔이 한층 경감되어, 보다 쾌적한 닿는 느낌이 얻어진다. 구상의 선단부(4c)는 연질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형태》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치간 칫솔은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에 설치된 브러시부를 구비하는 합성수지제의 치간 칫솔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치간 칫솔의 일례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형태의 치간 칫솔의 형상은 제 1 형태의 치간 칫솔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도 6을 참조해서 제 1 형태와 공통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 2 형태의 치간 칫솔(1)은 합성수지제이며, 도 1에 나타내듯이, 파지부(2)와, 파지부(2)의 선단에 설치된 브러시부(3)를 구비한다.
(파지부)
파지부(2)는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기둥상의 부재이다.
파지부(2)의 형상은 이 예에서는 편평한 판상으로 되어 있다.
또, 파지부(2)의 형상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좋고, 상기 편평한 판상 이외에, 원기둥상, (삼각기둥상, 사각기둥상 등) 등을 채용해도 좋다.
이 예의 파지부(2)에는 브러시부(3) 부근에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함에 따라서 확경되는 확경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한 상태에서, 치간 칫솔(1)을 잘못해서 축 방향으로 강하게 민 경우에도, 치간에의 삽입이 확경부(2a)에서 멈추기 때문에 치간 칫솔(1)에 의해 구강내를 손상시키는 것이 억제되기 쉽다.
파지부(2)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치간 칫솔의 파지부를 형성하는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후술하는 축재(4)에서 열거하는 재료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파지부(2)를 형성하는 재료는 1종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이어도 좋다.
(브러시부)
브러시부(3)는 파지부(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축재(4)와, 축재(4)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 1 돌출편(5a)∼제 4 돌출편(5d)을 구비한다. 제 1 돌출편(5a)∼제 4 돌출편(5d)은 후술하는 축재(4)의 피복부(4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축재(4)는 파지부(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기둥상의 부재이다. 축재(4)로서는 원기둥상이어도, 삼각기둥상, 사각기둥상 등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축재(4)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축경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원뿔대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축재(4)는 파지부(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심부(4a)와, 심부(4a)의 표면을 피복하는 피복부(4b)를 구비한다.
축재(4)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경질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JIS K7203에 준거해서 측정되는 구부림 탄성률이 500∼3000㎫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구체예는 상술과 같다.
피복부(4b)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연질수지가 바람직하다. 피복부(4b)를 연질수지로 형성함으로써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할 때에 잇몸 등을 의보다 손상시키기 어렵고,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해진다.
연질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수지를 들 수 있다.
피복부(4b)의 두께는 0.1∼0.5mm가 바람직하고, 0.1∼0.3mm가 보다 바람직하다. 피복부(4b)의 두께가 하한값 이상이면, 돌출편의 선단까지 연질수지를 충전하기 쉽다. 피복부(4b)의 두께가 상한값 이하이면, 치간에의 삽입성을 높일 수 있다. 피복부(4b)의 두께의 측정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다.
브러시부(3)는 도 6에 나타내듯이, 영역(B)(17)보다 후단 부근에 형성된 영역(A)(14)과, 영역(A)(14)보다 선단측에 형성된 영역(B)(17)을 포함하고 있다. 영역(A)(14)은 선단측의 영역(A1)(12)과, 영역(A1)(12)보다 후단측의 영역(A2)(13)을 포함한다. 영역(B)(17)은 선단측의 영역(B1)(15)과, 영역(B1)(15)보다 후단측의 영역(B2)(16)을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브러시부(3)에는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영역(B1)(15), 영역(B2)(16), 영역(A1)(12) 및 영역(A2)(13)이 이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영역(A)]
영역(A)(14)은 브러시부(3)에 있어서 치간에 대한 청소력의 발현에 크게 기여하는 영역이다.
영역(A)(14)에는 임의의 높이의 복수의 제 1 돌출편(5a)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영역(A)(14)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영역(A1)(12)에 있어서는 임의의 높이의 제 1 돌출편(5a)과, 제 1 돌출편(5a)보다 높이가 낮은 제 2 돌출편(5b)이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후단측의 영역(A2)(13)에 있어서는 임의의 높이의 제 1 돌출편(5a)만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영역(A)이 영역(A1)과 영역(A2)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축재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영역(A1)과 영역(A2)의 경계는 영역(A2)이 가장 넓어지도록 결정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영역(A1)(12)은 가장 후단측의 제 2 돌출편(5b)으로부터 가장 선단측의 제 1 돌출편(5a)까지의 영역이다. 영역(A2)(13)은 가장 후단측의 제 2 돌출편(5b)의 후단측의 이웃에 위치하는 제 1 돌출편(5a)으로부터 가장 후단측의 제 1 돌출편(5a)까지의 영역이다.
<제 1 돌출편>
제 1 돌출편(5a)은 치간에 존재하는 치석 등을 긁어 내기 위한 판상의 부재이다. 판상의 돌출편은 치석 등을 긁어 내는 효과가 높다.
제 1 돌출편(5a)은 도 3에 나타내듯이, 제 1 돌출편(5a)(돌출편(5))의 평면부가 축재(4)의 축선 방향에 직교하도록 축재(4)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볼 때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설치된다. 도 3의 예에서는 축재(4)에 연장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축재(4)의 축 주위에 90° 간격으로 4방향으로 각각 제 1 돌출편(5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축재(4)에 직교하는 평면내에 있어서, X축 방향과, 상기 X축 방향에 직교하는 y축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도록 4개의 제 1 돌출편(5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출편(5a)은 이렇게 축재(4)의 축 주위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재(4)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볼 때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돌출편(5a)의 수는 도 3의 예에서는 4개이지만, 4개에는 한정되지 않고, 3개 이하이어도 좋고, 5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1 돌출편(5a)은 축재(4)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재(4)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볼 때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돌출편(5a)은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각 제 1 돌출편(5a)의 중심선과 축재(4)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이루는 각이 모두 같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복수의 제 1 돌출편(5a)이 서로 비등간격으로 형성되고, 각 제 1 돌출편(5a)의 중심과 축재(4)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이루느는 각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도 3의 예의 제 1 돌출편(5a)의 정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축재(4)로부터의 높이 방향이 폭 방향보다 긴 장방형이며, 또한 그 선단측의 양쪽의 각부가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제 1 돌출편(5a)의 정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의 형상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사다리꼴형상, 정방형상, 장방형상,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대략 타원상 등이어도 좋다.
제 1 돌출편(5a)은 브러시부(3)에 형성되는 돌출편 중, 축재(4)로부터의 높이가 가장 높다. 영역(A)(14)에 형성된 제 1 돌출편(5a)에 의해 높은 청소력이 얻어진다.
제 1 돌출편(5a)의 높이는 0.7∼1.5mm가 바람직하고, 0.7∼1.2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돌출편(5a)의 높이가 하한값 이상이면, 높은 청소력이 얻어지기 쉽다. 제 1 돌출편(5a)의 높이가 상한값 이하이면,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브러시부(3)가 갖는 개개의 제 1 돌출편(5a)의 높이는 모두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조 상의 형편으로 그 높이가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불균일한 정도는 ±0.05mm 이하이면 허용되고, 같은 높이로 간주한다.
브러시부(3)에 형성된 각 돌출편(돌출편(5a∼5d))의 높이는 현미경이나 확대경을 이용하여, 축재(4)의 연장 방향(축선 방향)으로 볼 때 축재(4)로부터의 높이를 계측해서 구해진다.
제 1 돌출편(5a)의 두께는 0.1∼0.2mm가 바람직하고, 0.10∼0.15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돌출편(5a)의 두께가 하한값 이상이면,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제 1 돌출편(5a)의 두께가 상한값 이하이면,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브러시부(3)가 갖는 개개의 제 1 돌출편(5a)의 두께는 모두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조 상의 형편으로 그 두께가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불균일한 정도는 ±0.05mm 이하이면 허용된다.
브러시부(3)에 형성된 각 돌출편(돌출편(5a∼5d))의 두께는 현미경이나 확대경을 이용하여, 각 돌출편의 연장 방향(중심선 방향)으로 볼 때 그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포함하는 최소원의 직경을 계측해서 구해진다.
<제 2 돌출편>
제 2 돌출편(5b)은 치간에 존재하는 치석 등을 긁어 내기 위한 판상의 부재로서, 축재(4)로부터의 높이가 제 1 돌출편(5a)의 높이보다 0.1mm 이상 낮은 것이다.
브러시부(3)가 갖는 개개의 제 2 돌출편(5b)의 높이는 모두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조 상의 형편으로 그 높이가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불균일한 정도는 ±0.05mm 이하이면 허용되고, 같은 높이라고 간주한다.
제 2 돌출편(5b)이 축재(4)에 설치되는 형태는 제 1 돌출편(5a)의 경우와 같으며, 바람직한 형태도 같다. 축재(4)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볼 때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2 돌출편(5b)의 수는 축재(4)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볼 때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돌출편(5a)의 수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이 예의 제 2 돌출편(5b)의 정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축재(4)로부터의 높이가 제 1 돌출편(5a)보다 0.1mm 이상 낮은 것 이외는 제 1 돌출편(5a)과 같으며, 직사각형의 선단측의 양쪽의 각부가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2 돌출편(5b)의 정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사다리꼴형상, 정방형상, 장방형상,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대략 타원상 등이어도 좋다.
제 2 돌출편(5b)의 높이는 제 1 돌출편(5a)의 높이보다 0.1mm 이상 낮은 범위에서 0.3∼0.7mm가 바람직하고, 0.3∼0.5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돌출편(5b)의 높이가 하한값 이상이면, 높은 청소력이 얻어지기 쉽다. 제 2 돌출편(5b)의 높이가 상한값 이하이면,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제 2 돌출편(5b)의 두께는 0.1∼0.2mm가 바람직하고, 0.10∼0.15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돌출편(5b)의 두께가 하한값 이상이면,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제 2 돌출편(5b)의 두께가 상한값 이하이면,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영역(A1)>
영역(A1)(12)에서는 제 1 돌출편(5a)과, 제 1 돌출편(5a)보다 높이가 낮은 제 2 돌출편(5b)이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치간에 삽입할 때에 제 1 돌출편(5a)이 쓰러져도, 이웃이 높이가 낮은 제 2 돌출편(5b)인 것으로 제 1 돌출편(5a)끼리의 겹침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영역(A1)(12)에 있어서 제 1 돌출편(5a)이 쓰러진 상태를 축재(4)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제 1 돌출편(5a)을 포함하는 브러시부(3)의 외주의 굵기는 제 1 돌출편(5a)만이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가늘어진다. 그 때문에 영역(A1)(1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렇게, 영역(A1)(12)은 제 1 돌출편(5a)에 의해 충분한 청소력을 가지면서, 치간에의 삽입성을 높이고 있다.
도 6의 예의 영역(A1)(12)에서는 제 1 돌출편(5a)과 제 2 돌출편(5b)을 배열하는 형태는 제 1 돌출편(5a)과 제 2 돌출편(5b)이 축 방향으로 교대로 되어 있으면, 축재(4)의 축 주위의 배열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돌출편(5a)과 제 2 돌출편(5b)이 축 방향으로 교대로 되어 있으면, 축재(4)의 축 주위에 배열되는 돌출편은 모두가 제 1 돌출편(5a) 또는 제 2 돌출편(5b)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제 1 돌출편(5a)과 제 2 돌출편(5b)이 혼재되어 있어도 좋다.
도 3, 6의 예에서는 축재(4)의 축 주위의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4개의 제 1 돌출편(5a)이 돌출되어 있는 세트와, 축재(4)의 축 주위의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4개의 제 2 돌출편(5b)이 돌출되어 있는 세트가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 외에, 예를 들면 축재(4)의 축 주위의 X축 방향으로 2개의 제 1 돌출편(5a)이 돌출되고, y축 방향으로 2개의 제 2 돌출편(5b)이 돌출되어 있는 세트와, 축재(4)의 축 주위의 X축 방향으로 2개의 제 2 돌출편(5b)이 돌출되고, y축 방향으로 2개의 제 1 돌출편(5a)이 돌출되어 있는 세트가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형태이어도 좋다.
2개의 돌출편이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상태란 축 방향으로 볼 때 앞쪽의 돌출편이 깊이측의 돌출편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서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영역(A1)(12)에 있어서의 이웃이 되는 제 1 돌출편(5a)과 제 2 돌출편(5b)의 축 방향의 거리는 0.3∼0.8mm가 바람직하고, 제 2 돌출편(5b)의 높이와 같은 길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거리가 하한값 이상이면, 제 1 돌출편(5a)과 제 2 돌출편(5b)의 겹침이 비교적 완화되어서, 치간에의 삽입성이 높아지기 쉽다. 상기 거리가 상한값 이하이면, 제 1 돌출편(5a)과 제 2 돌출편(5b) 사이에 플라크를 유지하기 쉬워져, 높은 청소력이 얻어지기 쉽다.
영역(A1)(12)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돌출편(5a) 및 제 2 돌출편(5b)의 합계수는 도 6의 예에서는 16개이다. 상기 합계수는 4∼30개가 바람직하고, 10∼20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돌출편(5a) 및 제 2 돌출편(5b)의 합계수가 상기 범위내이면, 영역(A1)(12)의 삽입성과 청소력을 양립한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기 쉽다.
<영역(A2)>
영역(A2)(13)에서는 제 1 돌출편(5a)만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치석 등을 긁어 내는 힘이 강하고, 높은 청소력이 얻어진다.
영역(A2)(13)에 있어서의 이웃이 되는 제 1 돌출편(5a)끼리의 축 방향의 거리는 0.3∼1.5mm가 바람직하고, 0.5∼0.8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거리가 하한값 이상이면, 제 1 돌출편(5a)끼리의 겹침이 비교적 완화되어서 치간에의 삽입성이 높아지기 쉽다. 상기 거리가 상한값 이하이면, 제 1 돌출편(5a)끼리의 사이에 플라크를 유지하기 쉬워져 높은 청소력이 얻어지기 쉽다.
영역(A2)(13)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돌출편(5a)의 수는 이 예에서는 8개이다.
영역(A2)(13)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돌출편(5a)의 수는 3∼30개가 바람직하고, 5∼20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돌출편(5a)의 수가 상기 범위내이면, 영역(A2)(13)의 높은 청소력이 충분히 발휘되기 쉽다.
본 발명에서는 영역(A)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높이(예를 들면 0.5∼2.0mm)의 돌출편끼리의 축 방향의 거리가 선단을 향해서 커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영역(A)의 선단측이 치간에 삽입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도 6의 예에서는 영역(A1)(12)에 있어서의 제 1 돌출편(5a)끼리의 축 방향의 거리가 영역(A2)(13)에 있어서의 제 1 돌출편(5a)끼리의 축 방향의 거리보다 0.1mm 이상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부(3)의 영역(A)(14)을 치간에 삽입했을 때에 제 1 돌출편(5a)이 쓰러져도, 선단측의 영역(A1)(12)에서는 영역(A2)(13)에 비해 제 1 돌출편(5a)이 겹쳐지기 어렵다.
그 때문에 축재(4)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 1 돌출편(5a)끼리의 거리가 큰 영역(A1)(12)의 굵기가 영역(A2)(13)에 비해서 가늘어져서 치간에의 삽입성이 향상된다.
[영역(B)]
영역(B)(17)은 청소력을 가짐과 아울러,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할 때의 삽입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영역이다.
영역(B)(17)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영역(B1)(15)에는 축재(4)로부터의 높이가 제 1 돌출편(5a)보다 0.1mm 이상 낮은 제 3 돌출편(5c)만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영역(B)(17)에 있어서의 후단측의 영역(B2)(16)에는 축재(4)로부터의 높이가 제 1 돌출편(5a)보다 0.1mm 이상 낮은 제 4 돌출편(5d)만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영역(B)(17)에는 제 1 돌출편(5a)보다 높이가 0.1mm 이상 낮은 돌출편만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영역(B2)(16)의 제 4 돌출편(5d)의 축재(4)로부터의 높이는 영역(A1)(12)에 있어서의 제 2 돌출편(5b)과 동등 이하의 높이로 되어 있다. 영역(B1)(15)의 제 3 돌출편(5c)의 축재(4)로부터의 높이는 영역(B2)(16)의 제 4 돌출편(5d)의 높이보다 0.1mm 이상 낮아져 있다.
이렇게, 브러시부(3)에 있어서의 영역(B1)(15), 영역(B2)(16), 영역(A1)(12) 및 영역(A2)(13)은 전체적으로 단계적으로 확경되어 있다.
영역(B)(17)이 영역(B1)(15)과 영역(B2)(16)으로 이루어질 경우, 축재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영역(B1)(15)과 영역(B2)(16)의 경계는 영역(B2)(16)이 가장 넓어지도록 결정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영역(B1)(15)은 가장 후단측의 제 3 돌출편(5c)으로부터 가장 선단측의 제 3 돌출편(5c)까지의 영역이다. 영역(B2)(16)은 가장 선단측의 제 4 돌출편(5d)으로부터 가장 후단측의 제 4 돌출편(5d)까지의 영역이다.
<제 3 돌출편, 제 4 돌출편>
제 3 돌출편(5c) 및 제 4 돌출편(5d)은 치간에 존재하는 치석 등을 긁어 내기 위한 판상의 부재로서, 축재(4)로부터의 높이가 제 1 돌출편(5a)의 높이보다 0.1mm 이상 낮은 것이다. 제 3 돌출편(5c)의 축재(4)로부터의 높이는 제 4 돌출편(5d)의 높이보다 0.1mm 이상 낮다.
브러시부(3)가 갖는 개개의 제 3 돌출편(5c)의 높이는 모두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조 상의 형편으로 그 높이가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불균일한 정도는 ±0.05mm 이하이면 허용되고, 같은 높이로 간주한다.
브러시부(3)가 갖는 개개의 제 4 돌출편(5d)의 높이는 모두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조 상의 형편으로 그 높이가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불균일한 정도는 ±0.05mm 이하이면 허용되고, 같은 높이라고 간주한다.
제 3 돌출편(5c) 및 제 4 돌출편(5d)이 축재(4)에 설치되는 형태는 제 1 돌출편(5a)의 경우와 같으며, 바람직한 형태도 같다. 축재(4)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볼 때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3 돌출편(5c)의 수는 축재(4)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볼 때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4 돌출편(5d)의 수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이 예의 제 3 돌출편(5c) 및 제 4 돌출편(5d)의 정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축재(4)로부터의 높이가 제 1 돌출편(5a)보다 0.1mm 이상 낮은 것 이외는 제 1 돌출편(5a)과 같으며, 직사각형의 선단측의 양쪽의 각부가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3 돌출편(5c) 및 제 4 돌출편(5d)의 정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사다리꼴형상, 정방형상, 장방형상,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대략 타원상 등이어도 좋다.
제 3 돌출편(5c)의 높이는 제 4 돌출편(5d)의 높이보다 0.1mm 이상 낮은 범위에서 0.1∼0.5mm가 바람직하고, 0.1∼0.3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3 돌출편(5c)의 높이가 하한값 이상이면, 돌출편에 의한 청소 실감이 얻어지기 쉽다. 제 3 돌출편(5c)의 높이가 상한값 이하이면, 브러시부(3)의 치간에의 삽입성이 보다 높아진다.
제 3 돌출편(5c)의 두께는 제 1 돌출편(5a)이나 제 2 돌출편(5b)과 같아도 좋고, 그것보다 두꺼워도 좋다. 단, 상한은 1.5mm가 바람직하다. 제 3 돌출편(5c)의 두께가 상한값 이하이면, 높은 청소력이 얻어지기 쉽다.
제 4 돌출편(5d)의 높이는 제 1 돌출편(5a)의 높이보다 0.1mm 이상 낮고, 또한 제 3 돌출편(5c)의 높이보다 0.1mm 이상 높은 범위에서 0.3∼0.7mm가 바람직하고, 0.3∼0.5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돌출편(5b)의 높이가 하한값 이상이면, 높은 청소력이 얻어지기 쉽다. 제 2 돌출편(5b)의 높이가 상한값 이하이면,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제 2 돌출편(5b)의 두께는 0.1∼0.2mm가 바람직하고, 0.10∼0.15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돌출편(5b)의 두께가 하한값 이상이면,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제 2 돌출편(5b)의 두께가 상한값 이하이면, 브러시부(3)를 치간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영역(B1), 영역(B2)>
영역(B)(17)이 제 1 돌출편(5a)보다 0.1mm 이상 낮은 돌출편만을 포함함으로써 축재(4)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영역(A)(14)에 비해서 영역(B)(17)의 굵기가 가늘어진다. 그 때문에 영역(B)(17)은 영역(A)(14)보다 치간에 삽입하기 쉽다. 브러시부(3)의 선단측의 영역(B)(17)이 치간에 삽입되기 쉬움으로써 그것에 계속되는 영역(A)(14)도 안정적으로 치간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영역(B2)(16)에는 영역(A)(14)의 제 1 돌출편(5a)보다 0.1mm 이상 높이가 낮은 제 4 돌출편(5d)만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영역(B1)(15)에 배열된 제 3 돌출편(5c)의 높이는 영역(B2)(16)에 배열된 제 4 돌출편(5d)의 높이보다 0.1mm 이상 낮아져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부(3)의 선단부는 보다 가늘어져 있기 때문에, 영역(B)(17)의 전체에 제 4 돌출편(5d)만이 배열되는 형태에 비해서 영역(B)(17)의 치간에의 삽입성이 더 높아지고 있다.
영역(B1)(15)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3 돌출편(5c)의 수는 도 6의 예에서는 3개이다. 영역(B1)(15)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3 돌출편(5c)의 수는 1∼15개가 바람직하고, 1∼10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3 돌출편(5c)의 수가 상기 범위내이면, 영역(B1)(15)의 치간 삽입성을 보조하는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기 쉽다.
영역(B2)(16)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4 돌출편(5d)의 수는 이 예에서는 5개이다. 영역(B2)(16)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4 돌출편(5d)의 수는 1∼20개가 바람직하고, 3∼10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4 돌출편(5d)의 수가 상기 범위내이면, 영역(B2)(16)의 치간 삽입성을 높이는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기 쉽다.
치간 칫솔(1)의 치간 삽입성, 청소력을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브러시부(3)의 각 영역의 바람직한 길이로서 이하를 예시할 수 있다.
브러시부(3)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측의 마지막의 돌출편(5)까지의 길이로서는 예를 들면 10∼20mm가 바람직하다.
영역(A)(14) 및 영역(B)(17)을 합한 길이는 10∼20mm가 바람직하고, 영역(A)(14)/영역(B)(17)으로 나타내어지는 길이비는 1/10∼5/10이 바람직하다.
영역(A)(14)에 있어서의 영역(A1)(12)/영역(A2)(13)으로 나타내어지는 길이비는 3/1∼1/3이 바람직하다.
영역(B)(17)에 있어서의 영역(B1)(15)/영역(B2)(16)으로 나타내어지는 길이비는 1/1∼1/3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치간 칫솔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돌출편의 높이 관계를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하는 것 이외는 공지의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치간 칫솔(1)이면, 예를 들면 제 1 돌출편(5a)∼제 4 돌출편(5d)이 상기한 영역(A1), 영역(A2), 영역(B1) 및 영역(B2)이 형성되는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작용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치간 칫솔에 있어서는 브러시부의 선단측에 영역(B)이 형성되고, 그 후단측에 영역(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청소력과 치간에의 삽입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치간 칫솔은 합성수지제이기 때문에, 와이어를 구비하는 치간 칫솔에 비해서 잇몸 등에 닿아도 아픔을 느끼기 어렵고, 닿는 느낌이 양호하다.
또,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치간 칫솔은 상기한 치간 칫솔(1)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치간 칫솔은 영역(A)이 영역(A1)만으로 이루어지는 치간 칫솔이어도 좋고, 영역(A)이 영역(A2)만으로 이루어지는 치간 칫솔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치간 칫솔은 영역(B)이 영역(B1)만으로 이루어지는 치간 칫솔이어도 좋고, 영역(B)이 영역(B2)만으로 이루어지는 치간 칫솔이어도 좋다.
영역(B)이 영역(B1)과 영역(B2)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영역(B1)의 돌출편이 영역(B2)의 제 4 돌출편과 동등 이하의 높이이며, 또한 영역(B1)에 제 4 돌출편보다 높이가 낮은 제 3 돌출편이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영역(B1)에는 제 3 돌출편과 제 4 돌출편의 양쪽이 포함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영역(B1)은 영역(B2)의 돌출편과 같은 높이의 돌출편과, 영역(B2)의 돌출편보다 높이가 낮은 돌출편이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영역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치간 칫솔은 도 5에 나타내듯이, 축재(4)의 선단부(4c)를 구상으로 한 치간 칫솔이어도 좋다. 상기 치간 칫솔은 축재(4)의 선단부(4c)가 잇몸에 닿아서 보다 아픔을 느끼기 어렵고,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하다. 이 경우, 구상의 선단부(4c)는 연질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 2 형태의 치간 칫솔의 구성은 상술한 제 1 형태의 치간 칫솔의 구성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제 1 실시형태의 치간 칫솔(1)을 이하와 같이 제조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85질량부와, 티탄산 칼륨 섬유(오오츠카 가가쿠사제, TISMO(등록상표)) 15질량부를 혼합한 재료를 이용하여, 축재(4)의 심부(4a) 및 축경부(2a)를 포함하는 파지부(2)를 대응하는 형상의 금형을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사출성형했다.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축경되는 축재(4)의 심부(4a)의 선단(4p)으로부터 기단(4q)까지의 길이는 12.0mm이며, 선단으로부터 0.1mm의 굵기는 φ0.32mm(0.080㎟)이며, 선단으로부터 12.0mm의 굵기는 φ0.92mm(0.664㎟)였다.
이어서, 금형을 사용한 사출성형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를 심부(4a)와 축경부(2a)의 표면의 일부에 두께 0.15mm로 피복하고, 피복부(4b) 및 연질수지층(6)을 형성했다. 이 때, 피복부(4b)와 일체적으로 복수의 돌출편(5)을 형성하고, 치간 칫솔(1)을 얻었다.
제조한 치간 칫솔(1)의 브러시부(3)의 길이는 선단(축재(4)의 선단(4c))부터 기단(3a)까지 12.0mm였다.
본 실시예의 축재(4)의 심부(4a)를 구성하는 상기 재료의 구부림 탄성률, 인장파단신도를 각각 ASTM D790, ASTM D638에 준거해서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치간 칫솔(1)에 대해서, 상술한 시험 방법에 의해 (A)∼(C)의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는 5개의 치간 칫솔(1)을 측정 및 시험한 결과의 평균값이다.
[실시예 2]
PBT 80질량부와 TISMO 20질량부를 혼합한 재료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치간 칫솔을 제조했다.
[비교예 1]
PBT 70질량부와 TISMO 30질량부를 혼합한 재료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치간 칫솔을 제조했다.
[비교예 2]
PBT 100질량부를 사용하고, TISMO를 혼합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치간 칫솔을 제조했다.
[비교예 3]
PBT 92.5질량부와 유리섬유 7.5질량부를 혼합한 재료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치간 칫솔을 제조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측정한 각 물성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각 치간 칫솔의 제조에 사용한 원재료의 상세한 것은 아래와 같다.
TISMO의 섬유길이는 10∼20㎛, 섬유지름은 0.3∼0.6㎛이다.
유리섬유의 섬유길이는 200∼300㎛, 섬유지름은 10∼20㎛이다.
[내구성의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 치간 칫솔에 대해서, 패널 10명이 1주일 사용하고, 그 내구성을 평가했다. 1주일의 사용에 있어서, 패널 6명 이상이 치간 칫솔의 브러시부를 파손시켰을 경우를 내구성이 낮다(×)라고 평가하고, 패널 6명 이상이 파손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었던 경우를 내구성이 높다(○)라고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A)∼(C)의 강도의 기준을 만족시키고, 구부림 탄성률이 3.0GPa 이상이며 또한 인장파단신도가 7.0% 이상인 실시예 1, 2의 치간 칫솔은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명백하다.
1: 치간 칫솔
2: 파지부
2a: 축경부(확경부)
3: 브러시부
3a: 브러시부의 기단
4: 축재
4a: 심부
4b: 피복부
4c: 선단부
4p: 심부의 선단
4q: 심부의 기단
5: 돌출편
5a: 제 1 돌출편
5b: 제 2 돌출편
5c: 제 3 돌출편
5d: 제 4 돌출편
6: 축경부 위에 피복된 연질수지층
10: 1차품(기체)
14: 영역(A)
17: 영역(B)
12: 영역(A1)
13: 영역(A2)
15: 영역(B1)
16: 영역(B2)

Claims (10)

  1.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에 설치된 브러시부를 구비하는 치간 칫솔로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파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합성수지제의 심부, 및 상기 제 1 합성수지보다 부드러운 제 2 합성수지가 상기 심부를 피복해서 이루어지는 피복부로 이루어지는 축재와, 상기 축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축재는 하기 (A)∼(C)를 만족시키는 치간 칫솔.
    (A)축 휘어짐 강도; 상기 축재의 선단으로부터 5mm의 부분을 10mm/sec의 속도로 튕겼을 때의 반발력이 0.56N 이상이다.
    (B)축 꺾임 강도; 상기 브러시부의 기단부분을 상기 축재의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 90도 절곡하고, 원래로 되돌리고,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90도 절곡하고, 원래로 되돌린다라는 좌우 절곡 시험에 있어서, 상기 심부가 파단될 때까지의 동일 방향으로의 절곡 횟수가 20회 이상이다.
    (C)반복 구부림 강도; 상기 브러시부의 기단부분을 상기 축재의 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1 방향으로 90도 절곡하고, 원래로 되돌린다라는 90도 절곡 시험에 있어서, 동일 방향으로 5회째에 절곡할 때의 최대 응력이 1.7N 이상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의 구성재료가 ASTM D790에 준거해서 측정되는 구부림 탄성률 3.0GPa 이상이며, 또한, ASTM D638에 준거해서 측정되는 인장파단신도 7.0% 이상인 치간 칫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합성수지는 섬유길이 3㎛∼300㎛이며 또한 섬유지름 0.1㎛∼2.0㎛인 섬유재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인 치간 칫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재는 티탄산 칼륨 섬유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합성수지가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
  6.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에 설치된 브러시부를 구비하는 합성수지제의 치간 칫솔로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파지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축재와, 상기 축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축재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볼 때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브러시부는 영역(B)보다 후단 부근에 형성된 영역(A)과, 상기 영역(A)보다 선단측에 형성된 영역(B)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A)에는 임의의 높이의 제 1 돌출편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영역(B)에는 상기 제 1 돌출편보다 높이가 낮은 돌출편만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치간 칫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A)은 상기 제 1 돌출편과, 상기 제 1 돌출편보다 높이가 낮은 제 2 돌출편이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영역(A1)을 포함하는 치간 칫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B)이 선단측의 영역(B1)과, 상기 영역(B1)보다 후단측의 영역(B2)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B2)에는 상기 제 2 돌출편과 동등 이하의 높이의 제 4 돌출편만이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영역(B1)의 돌출편은 상기 제 4 돌출편과 동등 이하의 높이이며, 또한 상기 영역(B1)에는 상기 제 4 돌출편보다 높이가 낮은 제 3 돌출편을 포함하는 치간 칫솔.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A)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편끼리의 축 방향의 거리가 선단을 향해서 커지고 있는 치간 칫솔.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상기 브러시부 부근에는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함에 따라서 확경되는 확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치간 칫솔.
KR1020177021674A 2015-07-23 2016-07-22 치간 칫솔 KR102589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6028 2015-07-23
JPJP-P-2015-146028 2015-07-23
PCT/JP2016/071585 WO2017014302A1 (ja) 2015-07-23 2016-07-22 歯間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642A true KR20180036642A (ko) 2018-04-09
KR102589498B1 KR102589498B1 (ko) 2023-10-16

Family

ID=5783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674A KR102589498B1 (ko) 2015-07-23 2016-07-22 치간 칫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37693B2 (ko)
KR (1) KR102589498B1 (ko)
CN (1) CN107847042A (ko)
MY (1) MY198573A (ko)
WO (1) WO20170143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921A1 (ko) * 2020-06-23 2021-12-30 최희곤 브러시리스 치간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1974B2 (en) * 2017-04-04 2020-06-16 Ranir, Llc Interdental toothbrush
JP6755229B2 (ja) * 2017-10-27 2020-09-16 ▲啓▼家有限公司Nice Renew Co.,Ltd. 歯間ブラシ
JP7252708B2 (ja) * 2017-12-28 2023-04-05 小林製薬株式会社 歯間清掃具及び基部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549A (ja) * 1995-12-19 1997-06-30 Kazuko Himeno 歯科用チップの製造方法
JP2012095868A (ja) * 2010-11-02 2012-05-24 Kao Corp 歯間清掃具
JP2013192866A (ja) 2012-03-22 2013-09-30 Sunstar Inc 歯間清掃具
WO2015011299A2 (en) * 2014-03-06 2015-01-29 Tepe Munhygienprodukter Ab Interdental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1978B2 (ja) * 1991-04-26 1996-12-11 ジョンソン・エンド・ジョンソン株式会社 抗菌性歯ブラシ
JPH10184684A (ja) * 1996-10-31 1998-07-14 Ntn Corp 口腔衛生器具用滑り軸受
JP4097311B2 (ja) * 1997-01-14 2008-06-11 株式会社ジーシーデンタルプロダクツ 歯間ブラシ
GB9926418D0 (en) * 1999-11-08 2000-01-12 Westone Prod Ltd Interdental brush
ES2272451T3 (es) * 2000-03-30 2007-05-01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Hilo monofilamento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on.
JP2002129477A (ja) * 2000-10-13 2002-05-09 Shinohara:Kk 繊維体
JP3615752B1 (ja) * 2003-11-18 2005-02-02 淳 高橋 細径樹脂捩じりブラシ
WO2009150964A1 (ja) * 2008-06-13 2009-12-1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間ブラシの製造方法及び歯間ブラシ
DE112013002612B4 (de) * 2012-05-24 2016-09-22 Sunstar Suisse S.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nterdentalreinigungswerkzeugs
JP6575054B2 (ja) * 2014-11-11 2019-09-1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間清掃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6433065B2 (ja) * 2015-03-09 2018-12-0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間ブラシ
CN204889087U (zh) * 2015-07-27 2015-12-23 广州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一种多角度牙缝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549A (ja) * 1995-12-19 1997-06-30 Kazuko Himeno 歯科用チップの製造方法
JP2012095868A (ja) * 2010-11-02 2012-05-24 Kao Corp 歯間清掃具
JP2013192866A (ja) 2012-03-22 2013-09-30 Sunstar Inc 歯間清掃具
WO2015011299A2 (en) * 2014-03-06 2015-01-29 Tepe Munhygienprodukter Ab Interdental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921A1 (ko) * 2020-06-23 2021-12-30 최희곤 브러시리스 치간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498B1 (ko) 2023-10-16
JP6937693B2 (ja) 2021-09-22
MY198573A (en) 2023-09-06
JPWO2017014302A1 (ja) 2018-05-10
WO2017014302A1 (ja) 2017-01-26
CN107847042A (zh)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6642A (ko) 치간 칫솔
JP5530776B2 (ja) 歯ブラシ
WO2012115035A1 (ja) 歯ブラシ
CN110801097B (zh) 牙刷
EP3245977A1 (en) Interdental cleaning instrument
WO2017122783A1 (ja) 歯間ブラシ
JP6433065B2 (ja) 歯間ブラシ
CN107427348B (zh) 牙缝刷
WO2020003798A1 (ja) 歯間清掃具
JP6858123B2 (ja) 歯ブラシ
JP7028710B2 (ja) 歯間清掃具
JP6375535B2 (ja) 歯ブラシ
JP2015037496A (ja) 歯ブラシの用毛及び歯ブラシ
JP3242767U (ja) 歯間ブラシ
WO2020003797A1 (ja) 歯間清掃具
CN114025643B (zh) 牙刷
JP7466539B2 (ja) 歯ブラシ
JP7388922B2 (ja) 歯間清掃具
CN214805593U (zh) 牙间刷
JP7378472B2 (ja) 歯ブラシ
WO2022004576A1 (ja) 歯間清掃具
JP2021106725A (ja) 歯間清掃具
JP2021106724A (ja) 歯間清掃具
JP2022104256A (ja) 塗布用ブラシ
JP2021106723A (ja) 歯間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