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495A - 차량 내에서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내에서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495A
KR20180036495A KR1020170015689A KR20170015689A KR20180036495A KR 20180036495 A KR20180036495 A KR 20180036495A KR 1020170015689 A KR1020170015689 A KR 1020170015689A KR 20170015689 A KR20170015689 A KR 20170015689A KR 20180036495 A KR20180036495 A KR 20180036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vehicle
signal generation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해정
권무식
김종현
문보석
나인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642,51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16711B2/en
Priority to PCT/KR2017/009149 priority patent/WO2018062688A1/en
Priority to EP17856574.3A priority patent/EP3494717A4/en
Publication of KR20180036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495A/ko
Priority to US16/792,064 priority patent/US1101945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5Multiple levels of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rein the security policies are location-dependent, e.g. entities privileges depend on current location or allowing specific operations only from locally connect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8Interfacing with an on-board device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일 측면에 따른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장치는, 차량의 문의 개폐에 따라 활성화된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에서의 상기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내에서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position of a terminal in a vehicle}
차량 내에서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다.
네트워크 및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vehicle)과 외부 단말이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다만, 차량과 외부 단말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단말의 사용자가 차량에 설치된 장치 및 외부 단말을 수동적으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자동으로 외부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개입 없이 차량과 외부 단말이 연결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차량 내에서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장치는, 차량의 문의 개폐에 따라 활성화된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에서의 상기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은, 차량의 문의 개폐에 따라 신호 생성 모듈을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에서의 상기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내장된 신호 생성 모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생성 모듈이 활성화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생성 모듈이 활성화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출력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단말의 위치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생성 모듈이 동작하는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단말에 권한 레벨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단말의 접근 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권한 레벨과 작업이 매핑되어 저장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보조 장치의 예들을 나타내는 구성도들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는 차량(100)에 탑승하려는 탑승자(110) 및 탑승자(110)의 단말(12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탑승자(110)는 차량(100)의 운전자일 수도 있고, 운전자와 동행하는 동승자일 수도 있다. 또한, 단말(120)은 탑승자(110)가 소유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20)에는 스마트 폰, 테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100) 내부의 차량 주행 보조 장치(이하, '장치'라고 함)(130)는, 탑승자(110)가 차량(100)에 탑승하면 단말(120)이 차량(100)의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장치(130)는 차량(100)의 중앙 정보 디스플레이(Center Information Display) 장치(이하 'CID 장치'라고 함)일 수도 있고, 차량(130)에 별도로 설치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 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정보의 송수신 및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장치(130)의 프로세서는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2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20)은 차량에 설치된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 생성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발신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 모듈은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단말(120)은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장치(13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는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된 신호,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된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정보, 신호 생성 모듈의 ID 정보, 신호 생성 모듈의 위치 정보, 신호 생성 모듈이 장착된 문의 ID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130)의 통신부는 단말(1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장치(130)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20)의 위치를 식별한다. 또한, 장치(130)는 단말(120)과 페어링(pairing) 및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프로세서'는 장치(130)의 프로세서를 의미하고, '통신부'는 장치(130)의 통신부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이 연결되려면, 사용자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거나, 디바이스들을 조작함으로써 페어링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의 개입 없이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의 위치를 자동으로 식별하기 어렵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30)는 탑승자(110)의 단말(120)이 차량(100) 내부의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장치(130)는 탑승자(110)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단말(120)과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130)는 탑승자(110)의 동작 없이도 단말(120)과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고, 단말(12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장치(130)는 단말(120)에게 작업(task)을 할당하고, 작업의 수행 결과를 단말(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 내부에 복수의 단말(120)들이 존재하는 경우, 장치(130)는 복수의 단말(120)들 각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고, 단말(120)들 각각의 권한 레벨(authorization level)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130)는 단말(120)에 설정된 권한 레벨에 대응하는 작업을 단말(120)에 할당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장치(130)가 단말(120)의 위치를 식별하는 예들을 설명한다. 그리고,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장치(130)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210 단계에서, 차량의 문의 개폐에 따라 신호 생성 모듈이 활성화된다.
신호 생성 모듈은 차량의 복수의 문들에 각각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생성 모듈은 차량의 문이 열리거나 닫힘에 따라 활성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 모듈은 차량의 문에 내장된 센서(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 센서 등)가 탑승자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활성화 될 수 있다. 신호 생성 모듈은 자체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활성화 될 수도 있다. 신호 생성 모듈이 활성화됨에 따라 필요한 전력은 차량의 대기 전력이 이용될 수 있다. 신호 생성 모듈이 활성화되는 예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220 단계에서, 통신부는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다시 말해, 단말은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통신부로 전송한다.
일 예로서, 단말은 신호 생성 모듈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그대로 통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은 신호 생성 모듈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파형(예를 들어,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파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생성된 그래프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단말로부터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예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230 단계에서, 프로세서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내에서의 단말의 위치를 식별한다.
프로세서는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신호 생성 모듈이 발신한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의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석의 문을 연 경우, 운전석 또는 운전석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신호 생성 모듈(이하, '제 1 신호 생성 모듈'이라고 함)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단말에는 제 1 신호 생성 모듈이 발신한 신호가 수신된다. 또한, 차량의 다른 문이 열리거나 닫힌 경우, 개폐된 문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신호 생성 모듈(이하, '제 2 신호 생성 모듈'이라고 함)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는, 단말에 제 1 신호 생성 모듈이 발신한 신호뿐 만 아니라 제 2 신호 생성 모듈이 발신한 신호도 수신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즉, 신호 생성 모듈이 발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내에서의 단말의 위치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복수의 신호 생성 모듈들 각각이 발신한 신호들 중에서 가장 높은 피크(peak) 값을 갖는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선택된 신호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이 무엇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신호 생성 모듈이 설치된 문과 인접한 좌석을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신호 생성 모듈들이 활성화된 경우, 프로세서는 삼각 측량 방식(triangulation method)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활성화된 신호 생성 모듈들 사이의 거리 및 신호 생성 모듈들과 단말이 형성하는 사잇각을 이용하여 신호 생성 모듈과 단말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예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내장된 신호 생성 모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는 신호 생성 모듈들(311, 312, 313, 314)이 내장된 차량(32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신호 생성 모듈들(311, 312, 313, 314)은 BLE 모듈인 것으로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신호 생성 모듈들(311, 312, 313, 314)은 탑승자의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모듈이면 제한 없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신호 생성 모듈들(311, 312, 313, 314)은 차량(320)의 문들 각각에 내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신호 생성 모듈들(311, 312, 313, 314)은 차량(320)의 좌석들(331, 332, 333, 334)과 인접한 위치에 내장될 수 있다. 그러나, 신호 생성 모듈들(311, 312, 313, 314)이 내장되는 위치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신호 생성 모듈들(311, 312, 313, 314)의 내장 위치는, 탑승자가 좌석들(331, 332, 333, 334) 중 어느 하나에 앉는 경우, 탑승자의 단말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위치라면 어디든지 가능하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생성 모듈이 활성화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410 단계에서, 차량에 포함된 센서를 통하여 차량의 문의 개폐가 감지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문 또는 차량의 문과 인접한 위치에 매립된 센서를 통하여 차량의 문이 열리거나 닫히는 것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탑승자가 차량에 승차하거나 하차하는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차량에 복수의 문들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센서는 문들 각각이 개폐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가 차량의 문의 개폐를 감지하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에게 차량의 문이 개폐되었음이 통지될 수 있다.
420 단계에서, 신호 생성 모듈이 활성화된다.
차량의 문이 개폐된 경우, 신호 생성 모듈이 활성화된다. 일 예로서, 차량의 문이 개폐됨에 따라 신호 생성 모듈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신호 생성 모듈은 프로세서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 될 수 있다. 한편, 신호 생성 모듈은 차량의 대기 전력을 이용하여 활성화 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생성 모듈이 활성화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는 차량(510)의 문(511)이 열린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문(511)에 내장된 센서는 문(511)이 열리는 것을 감지하고, 신호 생성 모듈(520)은 문(511)이 열림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 모듈(520)은 자체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고, 장치(530)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활성화 될 수도 있다. 또는, 문(511)에 내장된 센서는 문(511)이 닫히는 것을 감지하고, 신호 생성 모듈(520)은 문(511)이 닫힘에 따라 활성화 될 수도 있다.
신호 생성 모듈(520)이 활성화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장치(530)의 화면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차량 내의 어느 위치(예를 들어, 운전석)의 신호 생성 모듈(520)이 활성화되었는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는 신호 생성 모듈(611)이 신호를 발신하고, 단말(612)이 신호 생성 모듈(61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장치(613)에 포함된 통신부가 단말(612)로부터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621 단계에서, 신호 생성 모듈(611)은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 모듈(611)은 차량의 문이 개폐됨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622 단계에서, 단말(612)의 블루투스 모드가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단말(612)의 사용자는 차량에 승차하기 이전 또는 승차한 이후에 단말(612)의 블루투스 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623 단계에서, 신호 생성 모듈(611)은 신호를 발신한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 모듈(611)이 BLE 모듈인 경우, 신호 생성 모듈(611)은 블루투스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624 단계에서, 단말(612)은 신호 생성 모듈(611)에서 발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612)은 신호 생성 모듈(611)에서 발신된 신호를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625 단계에서, 단말(612)은 수신된 신호를 저장한다. 다만, 단말(612)의 설정에 따라, 625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626 단계에서, 단말(612)은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장치(613)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는 신호 생성 모듈(611)에서 발신된 신호, 신호 생성 모듈(611)에서 발신된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정보, 신호 생성 모듈(611)의 ID 정보, 신호 생성 모듈(611)의 위치 정보, 신호 생성 모듈(611)이 장착된 문의 ID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612)은 신호 생성 모듈(611)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그대로 장치(613)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신호 생성 모듈(611)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장치(613)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627 단계에서, 장치(613)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장치(613)의 통신부는 단말(612)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장치(613)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는 단말(711)이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된 신호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712)에게 전송하고, 장치(712)의 프로세서가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단말(711)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720 단계에서, 신호 생성 모듈(713)은 신호를 발신한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 모듈(713)이 BLE 모듈인 경우, 신호 생성 모듈(713)은 블루투스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720 단계 이전에 신호 생성 모듈(713) 및 단말(711)의 블루투스 모드가 활성화되었음이 전제된다.
721 단계에서, 단말(711)은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711)은 블루투스 모드를 활성화하고, 신호 생성 모듈이 발신한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722 단계에서, 단말(711)은 수신된 신호를 저장한다. 다만, 단말(711)의 설정에 따라, 722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723 단계에서, 단말(711)은 수신된 신호를 장치(712)에게 전송한다.
724 단계에서, 장치(712)는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장치(712)의 프로세서는 단말(711)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장치(712)의 통신부는 단말(711)로부터 소정의 시구간 동안 신호를 수신하고, 장치(712)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725 단계에서, 장치(712)는 단말(711)의 위치를 식별한다. 일 예로서, 장치(712)의 프로세서는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711)의 차량 내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세기가 가장 큰 신호(즉, 가장 높은 피크 값을 갖는 신호)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이 무엇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신호 생성 모듈이 설치된 문과 인접한 좌석을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장치(712)의 프로세서는 삼각 측량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신호 생성 모듈(713)들이 활성화 된 경우, 프로세서는 활성화된 신호 생성 모듈(713)들 사이의 거리 및 신호 생성 모듈(713)들과 단말(711)이 형성하는 사잇각을 이용하여 신호 생성 모듈(713)들 각각과 단말(711)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연산된 거리들을 조합함으로써 차량 내의 단말(711)이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726 단계에서, 장치(712)는 단말(711)에게 단말(711)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다시 말해, 장치(712)는 단말(711)에게 단말(711)이 차량 내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다만, 장치(712)의 설정에 따라, 726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727 단계에서, 장치(712)는 단말(711)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장치(712)의 프로세서는 단말(711)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프로세서가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에는 복수의 신호 생성 모듈들에서 신호가 발신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8b에는 단일 신호 생성 모듈들에서 신호가 발신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신호들(810, 820, 830, 840)의 시간에 따른 세기의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어떤 경우에는, 차량의 문들 중 복수의 문들이 한꺼번에 개폐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된 문들에 설치된 신호 생성 모듈들이 활성화되고, 단말은 복수의 신호들(810, 820, 830, 840)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는 단말로부터 복수의 신호들(810, 820, 830, 84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신호들(810, 820, 830, 840) 각각의 세기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복수의 신호들(810, 820, 830, 840) 각각의 가장 큰 세기 값(즉, 피크 값)들을 비교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복수의 신호들(810, 820, 830, 840) 중 가장 높은 피크 값을 갖는 신호(810)를 선택한다.
프로세서는 신호(810)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이 무엇인지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신호들(810, 820, 830, 840) 각각에는 신호 생성 모듈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신호(810)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신호(810)가 어떤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된 신호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신호(810)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이 설치된 문과 인접한 좌석(예를 들어, 운전석)을 단말의 위치로 결정한다.
한편, 도 8a에서는 프로세서가 복수의 신호들(810, 820, 830, 840) 중 가장 높은 피크 값을 갖는 신호(810)를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의 복수의 신호들(810, 820, 830, 840) 각각의 세기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이 가장 큰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850)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하여, 신호(850)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을 식별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신호(850)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이 설치된 문과 인접한 좌석을 단말의 위치로 결정한다.
도 8c는 프로세서가 삼각 측량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865)의 위치를 식별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c에는 복수의 신호 생성 모듈들(861, 862, 863, 864)은 모두 활성화 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신호 생성 모듈들(863, 864)과 단말(865) 사이의 거리(h)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d는 신호 생성 모듈들(863, 864) 사이의 거리, θ1은 단말(865)과 신호 생성 모듈(863)의 사잇각(θ1), θ2는 단말(865)과 신호 생성 모듈(864)의 사잇각(θ2)을 의미한다.
프로세서는 차량에서 신호 생성 모듈들(861, 862, 863, 864)이 설치된 위치를 미리 알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수학식 1의 d를 미리 알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 모듈들(861, 862, 863, 864)이 발신한 신호를 단말(865)에서 수신하기에, 단말(865)은 센싱부를 통하여 신호 생성 모듈들(861, 862, 863, 864)이 발신한 신호가 단말(865)의 어느 지점으로 수신되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단말(865)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세서는 수학식 1의 θ1 및 θ2를 알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수학식 1의 h를 연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신호 생성 모듈들(863, 864)과 단말(865) 사이의 거리(h)를 연산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신호 생성 모듈들(861, 862)과 단말(865) 사이의 거리, 신호 생성 모듈들(861, 863)과 단말(865) 사이의 거리, 신호 생성 모듈들(862, 864)과 단말(865) 사이의 거리 및 신호 생성 모듈들(861, 864)과 단말(865)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술한 바에 따라 연산된 거리들을 조합하여 차량 내에서 단말(865)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출력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장치의 화면(910)을 통하여 검색된 단말(즉, 차량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차량 내에서 단말이 위치한 좌석을 나타내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장치의 스피커를 통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에 따르면, 프로세서가 단말의 차량 내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이 차량 내의 위치를 식별하고, 위치 정보를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단말이 자신의 위치 정보를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에게 전송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단말의 위치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는 단말(1011)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1012)에게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1020 단계 및 1022 단계는 도 7의 720 단계 및 722 단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1020 단계 및 1022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023 단계에서, 단말(1011)은 수신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단말(1011)은 신호 생성 모듈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단말(1011)은 신호 생성 모듈로부터 소정의 시구간 동안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1024 단계에서, 단말(1011)은 단말(1011)의 위치를 식별한다. 일 예로서, 단말(1011)은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1011)의 차량 내의 위치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단말(1011)은 가장 큰 세기를 갖는 신호(즉, 가장 높은 피크 값을 갖는 신호)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이 무엇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신호 생성 모듈이 설치된 문과 인접한 좌석을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1011)은 삼각 측량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1011)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단말(1011)이 단말(1011)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은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단말(1011)은 차량 내의 다른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011)은 다른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다른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011)은 삼각 측량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1011)의 위치 또는 다른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1025 단계에서, 단말(1011)은 단말(1011)의 위치 정보를 장치(1012)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단말(1011)의 통신부는 장치(1012)에게 단말(1011)이 차량 내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1026 단계에서, 장치(1012)는 단말(1011)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장치(1012)의 프로세서는 단말(1011)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단말(1011)은 단말(1011)이 수신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장치(1012)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치(1012)의 프로세서는 단말(101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011)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장치(1012)의 프로세서가 단말(101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011)의 위치를 식별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1120 단계 내지 1123 단계는 도 10의 1020 단계 내지 1023 단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1120 단계 내지 1123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124 단계에서, 단말(1111)은 장치(1112)에게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1111)은 시간에 따른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장치(111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단말(1111)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생성된 그래프에 대한 정보를 장치(111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1111)은 신호의 피크 값을 장치(1112)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11)은 신호의 피크 값과 그 신호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에 대한 정보를 장치(111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단말(1111)은 피크 값을 나타낸 신호 생성 모듈에 대한 정보를 장치(1112)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1125 단계에서, 장치(1112)는 단말(1111)의 위치를 식별한다. 구체적으로, 장치(1112)의 프로세서는 단말(1111)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111)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가장 큰 세기를 갖는 신호(즉, 가장 높은 피크 값을 갖는 신호)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신호 생성 모듈이 설치된 문과 인접한 좌석을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장치(1112)는 삼각 측량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1111)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1126 단계에서, 장치(1112)는 단말(1111)의 위치 정보를 단말(1111)에게 전송한다. 다시 말해, 장치(1112)의 통신부는 단말(1111)에게 단말(1111)이 차량 내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1127 단계에서, 장치(1112)는 단말(1111)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장치(1112)의 프로세서는 단말(1111)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에 따르면, 단말(612, 711, 1011, 1111) 또는 장치(613, 712, 1012, 1112)가 신호 생성 모듈(611)에서 발신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거나 또는 단말의 위치를 식별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신호 생성 모듈(611)이 신호 생성 모듈(611)에서 발신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거나 또는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여, 신호 생성 모듈(611)이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거나 또는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생성 모듈이 동작하는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신호 생성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활성화 된 경우를 가정한다.
도 12a에는 신호 생성 모듈(1211)이 신호를 발신하고, 단말(1212)이 신호 생성 모듈(121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생성 모듈(1211)이 단말(1212)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a의 1221 단계 내지 1225 단계는 도 6의 621 단계 내지 625 단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1221 단계 내지 1225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226 단계에서, 단말(1212)은 신호 생성 모듈(1211)에게 수신된 신호를 전송한다. 일 예로서, 신호 생성 모듈(1211) 이외에 다른 신호 생성 모듈(들)이 활성화된 경우, 단말(1212)은 신호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의 ID 정보 및 그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된 신호를 매핑하여 신호 생성 모듈(121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신호 생성 모듈(1211)만이 활성화된 경우, 단말(1212)은 신호 생성 모듈(1211)의 신호만 수신되었음을 신호 생성 모듈(1211)에게 알릴 수 있다.
1227 단계에서, 신호 생성 모듈(1211)은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1228 단계에서, 신호 생성 모듈(1211)은 장치(1213)에게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는 신호 생성 모듈(611)에서 발신된 신호, 신호 생성 모듈(611)에서 발신된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정보, 신호 생성 모듈(611)의 ID 정보, 신호 생성 모듈(611)의 위치 정보, 신호 생성 모듈(611)이 장착된 문의 ID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 모듈(1211)은 단말(1212)이 수신한 신호를 그대로 장치(1213)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단말(1212)이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장치(1213)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1229 단계에서, 장치(1213)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장치(1213)의 통신부는 신호 생성 모듈(1211)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장치(1213)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2b에는 신호 생성 모듈(1211)이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고, 단말(1213)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b의 1231 단계 내지 1233 단계는 도 7의 720 단계 내지 722 단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1231 단계 내지 1233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234 단계에서, 단말(1212)은 수신된 신호를 신호 생성 모듈(1211)에게 전송한다.
1235 단계에서, 신호 생성 모듈(1211)은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생성 모듈(1211)은 단말(1212)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 모듈(1211)은 단말(1212)로부터 소정의 시구간 동안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1236 단계에서, 신호 생성 모듈(1211)은 단말(1212)의 위치를 식별한다. 일 예로서, 신호 생성 모듈(1211)은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1212)의 차량 내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세기가 가장 큰 신호(즉, 가장 높은 피크 값을 갖는 신호)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이 무엇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신호 생성 모듈이 설치된 문과 인접한 좌석을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신호 생성 모듈(1211)은 삼각 측량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신호 생성 모듈들이 활성화 된 경우, 신호 생성 모듈(1211)은 활성화된 신호 생성 모듈들 사이의 거리 및 신호 생성 모듈들과 단말(1212)이 형성하는 사잇각을 이용하여 신호 생성 모듈들 각각과 단말(1212)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생성 모듈(1211)은 연산된 거리들을 조합함으로써 차량 내의 단말(1212)이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신호 생성 모듈(1211)이 단말(1212)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은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1237 단계에서, 신호 생성 모듈(1211)은 단말(1212) 및/또는 장치(1213)에게 단말(1212)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다시 말해, 신호 생성 모듈(1211)은 단말(1212) 및/또는 장치(1213)에게 단말(1212)이 차량 내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다만, 신호 생성 모듈(1211)의 설정에 따라, 단말(1212)에게는 단말(1212)의 위치 정보가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1238 단계 및 1239 단계에서, 단말(1212) 및 장치(1213)는 단말(1212)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장치(1213)의 프로세서는 단말(1212)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만, 1237 단계에서, 신호 생성 모듈(1211)이 단말(1212)에게 단말(1212)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1238 단계는 수행되지 않는다.
도 12c에는 신호 생성 모듈(1211)이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고, 단말(1212)이 단말(1212)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c의 1241 단계 내지 1245 단계는 도 12b의 1231 단계 내지 1235 단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1241 단계 내지 1245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246 단계에서, 단말(1212)은 단말(1212)의 위치를 식별한다. 일 예로서, 단말(1212)은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1212)의 차량 내의 위치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단말(1212)은 가장 큰 세기를 갖는 신호(즉, 가장 높은 피크 값을 갖는 신호)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이 무엇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신호 생성 모듈이 설치된 문과 인접한 좌석을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1212)은 삼각 측량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1212)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단말(1212)이 단말(1212)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은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단말(1212)은 차량 내의 다른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212)은 다른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다른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011)은 삼각 측량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1011)의 위치 또는 다른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1248 단계에서, 단말(1212)은 단말(1212)의 위치 정보를 장치(1213)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단말(1212)의 통신부는 장치(1213)에게 단말(1212)이 차량 내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1049 단계에서, 장치(1213)는 단말(1212)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장치(1213)의 프로세서는 단말(1212)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2d에는 신호 생성 모듈(1211)이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고, 장치(1213)가 단말(1212)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d의 1251 단계 내지 1255 단계는 도 12b의 1231 단계 내지 1235 단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1251 단계 내지 1255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256 단계에서, 신호 생성 모듈(1211)은 장치(1213)에게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 모듈(1211)은 시간에 따른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장치(1213)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신호 생성 모듈(1211)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생성된 그래프에 대한 정보를 장치(1213)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신호 생성 모듈(1211)은 신호의 피크 값을 장치(1213)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생성 모듈(1211)은 신호의 피크 값과 그 신호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에 대한 정보를 장치(1213)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신호 생성 모듈(1211)은 피크 값을 나타낸 신호 생성 모듈에 대한 정보를 장치(1213)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1257 단계에서, 장치(1213)는 단말(1212)의 위치를 식별한다. 일 예로서, 장치(1213)의 프로세서는 단말(1212)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212)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가장 큰 세기를 갖는 신호(즉, 가장 높은 피크 값을 갖는 신호)를 발신한 신호 생성 모듈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신호 생성 모듈이 설치된 문과 인접한 좌석을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장치(1212)는 삼각 측량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1212)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단말(1212)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은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1258 단계에서, 장치(1213)는 단말(1212)의 위치 정보를 단말(1212)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1259 단계에서, 단말(1212)은 단말(1212)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다만, 장치(1213)의 설정에 따라, 1258 단계 및 1259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차량 내에 복수의 단말들이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단말들 각각의 권한 레벨(authorization level)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단말들 각각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 권한 레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운전석에 위치한 단말의 권한 레벨과 운전석이 아닌 곳에 위치한 단말의 권한 레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프로세서가 단말의 위치에 따라 단말에 권한 레벨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단말에 권한 레벨을 설정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는 차량(1300)에 포함된 장치(1310) 및 복수의 단말들(1321, 1322, 1323, 1324)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장치(1310)는 차량(1300)의 중앙 정보 디스플레이(Center Information Display) 장치(이하 'CID 장치'라고 함)일 수도 있고, 차량(1300)에 별도로 설치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 일 수도 있다. 또한, 단말들(1321, 1322, 1323, 1324)은 운전자(1331) 및 동승자들(1332, 1333, 1334)이 소유한 장치들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3에는 차량(1300)의 탑승자들로서 4명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차량(1300)에는 운전자(1331)만 탑승할 수도 있고, 동승자들(1332, 1333, 1334)의 수도 3명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311)는 단말들(1321, 1322, 1323, 1324)에 권한 레벨을 설정하고, 권한 레벨에 따라 단말들(1321, 1322, 1323, 1324) 중 일부에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311)는 단말(1321)에 설정된 권한 레벨에 대응하는 작업을 단말(1321)에게 할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권한 레벨은 차량(130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access)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레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11)는 운전석에 위치한 단말(1321)에는 높은 권한 레벨을 부여하고, 동승자석에 위치한 단말들(1322, 1323, 1324)에게는 낮은 권한 레벨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11)는 높은 권한 레벨이 부여된 단말(1321)에게만 차량(130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300)은 차량(1300)의 카메라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 신호들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1)는, 단말들(1321, 1322, 1323, 1324) 중에서 권한 레벨이 높은 단말에게만 영상 신호들을 제공하거나, 그 단말이 차량(1300)의 메모리로부터 영상 신호들을 독출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1300)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 레벨을 'Level 1'이라고 하고, 차량(1300)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는 권한 레벨을 'Level 2'라고 한다.
한편, 프로세서(1311)는 장치(1310)의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CID)의 시스템 자원(system resource)을 가상 구역들(virtual zones)로 분할(partition)하고, 단말의 권한 레벨에 따라 가상의 영역들 중에서 특정의 가상 영역에만 단말이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스템 자원은 컴퓨팅 시스템에 포함된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등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또한, 가상 구역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가 분할된 일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상 구역은 프로세서의 최대 연산 능력의 일 부분 또는 메모리, 스토리지 등의 전체 저장 용량의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1)는 각각의 권한 레벨에 따라 접근이 가능한 가상 구역들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11)는 장치(1310)의 시스템 자원을 'Zone 1'과 'Zone 2'로 분할하고, Level 1이 설정된 단말(들)은 Zone 1과 Zone 2에 접근할 수 있고, Level 2가 설정된 단말(들)은 Zone 2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Level 1이 설정된 단말(들)은 Zone 1과 Zone 2에 대응하는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고, Level 2가 설정된 단말(들)은 Zone 2에 대응하는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311)는 가상화(virtualization)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들(1321, 1322, 1323, 1324)의 권한 레벨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가상 구역(들)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말들(1321, 1322, 1323, 1324) 각각이 접근할 수 있는 가상 구역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Level 1이 설정된 단말(들)은 Zone 1에만 접근할 수 있고, Level 2가 설정된 단말(들)은 Zone 2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300)에 저장된 데이터의 보안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프로세서(1311)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단말들(1321, 1322, 1323, 1324) 중에서 Level 1이 설정된 단말(들)에게만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도 있고, 모든 단말들에게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 수행을 요청할 수 있는 단말들의 수가 복수인 경우, 프로세서(1311)는 단말들 간에 결정된 순서에 따라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11)는 수행되어야 할 작업들을 나누어 단말들에게 분배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11)는 단말들(1321, 1322, 1323, 1324)의 가용 자원을 고려하여 단말들(1321, 1322, 1323, 1324)의 전부 또는 일부에게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말들(1321, 1322, 1323, 1324) 각각의 권한 레벨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들(1321, 1322, 1323, 1324) 각각에 대하여 가상 구역(Zone 1 또는 Zone 2)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사용자가 부여한 권한에 따라 단말들(1321, 1322, 1323, 1324) 각각의 권한 레벨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말들(1321, 1322, 1323, 1324) 사이에 결정된 우선 순위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11)가 '제 1 단말(1321) → 제 2 단말(1322)'의 순서로 작업의 수행을 요청하도록 결정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제 2 단말(1322) → 제 1 단말(1321)'의 순서로 작업의 수행을 요청하도록 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차량(1300)은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차량(1300)은 주행하거나 정지할 수 있고, 와이퍼를 작동시키거나 냉난방 장치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차량(1300)의 CID는 차량(1300)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들(예를 들어,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CID는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된 다양한 컨텐츠(예를 들어, 음악, 영상 등)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장치(1310)의 가용 자원(resource)에 따라, 차량(1300)이 수행하는 동작들의 종류가 제한되거나, 원활하게 동작이 수행되지 못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가용 자원은 데이터를 연산하는 속도, 데이터 처리량,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속도, 데이터 저장 공간, 유휴 전력량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ID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스펙에 따라, CID는 차량(1300)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을 단지 디스플레이만 하고, 영상들을 분석하거나 영상들에 다양한 효과를 부여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CID는 대용량의 컨텐트를 빠르게 다운로드하지 못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11)는 단말들(1321, 1322, 1323, 1324)의 가용 자원을 활용하여, 차량(1300)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311)는 단말들(1321, 1322, 1323, 1324)과 장치(1310)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단말들(1321, 1322, 1323, 1324) 중 적어도 하나에게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작업은 차량(1300)이 동작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세부 절차를 의미한다. 일 예로서, 동작이 차량(1300)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라고 가정하면, 작업은 영상 신호들을 처리함으로써 정지 영상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절차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동작이 컨텐트를 재생하는 것이라고 가정하면, 작업은 컨텐트를 외부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절차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11)는 단말(1321)의 위치뿐 만 아니라 단말(1321)의 가용 자원을 고려하여 단말(1321)에 권한 레벨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11)가 단말들(1321, 1322, 1323, 1324) 각각의 위치에 따른 권한 레벨을 설정한 후에, 장치(1310)는 단말들(1321, 1322, 1323, 1324)로부터 가용 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 자원에는 데이터를 연산하는 속도, 데이터 처리량,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속도, 데이터 저장 공간, 유휴 전력량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11)는 단말(1321)에게 가용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고, 단말(1321)은 자신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에 대한 스펙을 참조하여 가용 자원에 대한 정보를 장치(13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11)는 단말들(1321, 1322, 1323, 1324) 각각의 가용 자원을 고려하여 기존에 설정된 권한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11)는 단말(1321)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1321)의 권한 레벨을 Level 1로 설정한 후에, 단말(1321)의 가용 자원이 작업을 수행하는데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말(1321)의 권한 레벨을 Level 2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단말의 접근 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는 차량의 메모리(1410)에 데이터가 저장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메모리(1410)는 차량이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 메모리(1410)는 차량의 속도 또는 RPM(revolution per minute)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10)는 차량의 내부 온도 또는 습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10)는 차량의 카메라를 통하여 생성된 영상 신호들을 저장할 수도 있고, 차량에 임베디드된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구동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10)는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된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메모리(141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이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라면 제한 없이 메모리(141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단말(1421, 1422)는 설정된 권한 레벨이 무엇인지에 따라 메모리(141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가능할 수도 있고, 불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1421)의 권한 레벨이 Level 1라고 가정하면, 단말(1421)는 메모리(141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단말(1422)의 권한 레벨이 Level 2라고 가정하면, 단말(1422)는 메모리(141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메모리에는 권한 레벨 별로 수행 가능한 작업이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권한 레벨과 작업이 매핑되어 저장된 예를 설명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권한 레벨과 작업이 매핑되어 저장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는 차량(1510)의 메모리(1520)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20)에는 Level 1의 단말이 수행할 수 있는 작업들 및 Level 2의 단말이 수행할 수 있는 작업들이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작업의 구분 기준은, 작업이 수행됨에 있어서 메모리(1520)에 저장된 데이터의 사용이 필요한지 여부가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 생성, 영상 분석, 영상 처리 등의 작업이 Level 1의 단말이 수행할 수 있는 작업으로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510)의 카메라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 신호들이 메모리(15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메모리(1520)에 저장된 영상 신호들을 이용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Level 1의 권한 레벨을 갖는 단말에게만 영상 신호들을 제공하거나, 그 단말이 메모리(1520)로부터 영상 신호들을 독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컨텐트의 다운로드 등의 작업이 Level 2의 단말이 수행할 수 있는 작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컨텐트의 다운로드는 메모리(152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 없이, 단지 컨텐트를 다운로드하여 차량(1510)으로 전송하는 것만이 요구된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Level 2의 권한 레벨을 갖는 단말이 컨텐트 다운로드 작업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Level 2에 대응하는 작업은 Level 1의 권한 레벨을 갖는 단말도 수행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520)에는 단말에 설정된 권한 레벨이 저장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는 단말의 위치 및/또는 단말의 가용 자원에 따라 단말에 권한 레벨을 설정하고, 단말에 설정된 권한 레벨을 메모리(15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보조 장치의 예들을 나타내는 구성도들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차량 주행 보조 장치(1500)는 프로세서(1510), 메모리(1520) 및 통신부(15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량 주행 보조 장치(1500)는 차량의 CID 장치일 수도 있고, 차량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 일 수도 있다. 만약, 차량 주행 보조 장치(1500)에 차량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인 경우, 차량 주행 보조 장치(1500)는 CID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차량 주행 보조 장치(1500)에서 생성된 정보가 CID 장치의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6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모두가 차량 주행 보조 장치(15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6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차량 주행 보조 장치(15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6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에 의해 차량 주행 보조 장치(15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주행 보조 장치(2000)는, 프로세서(2030), 통신부(2050) 및 메모리(2070)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2010), 센싱부(2040), 구동부(2060) 및 출력부(20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2010)는 사용자가 장치(2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01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201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요청하고 답변 메시지에 관련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20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020)는 디스플레이부(2021), 음향 출력부(2021) 및 진동 모터(20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2021)는 장치(2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02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요청하고 답변 메시지에 관련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21)는 차량 주변을 나타내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021)는 통신부(205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0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2021)는 장치(2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프로세서(2030)는 통상적으로 장치(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30)는 메모리(20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2010), 출력부(2020), 센싱부(2040), 통신부(2050), 구동부(206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30)는 메모리(20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30)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30)는 인식 프로세서(cognitive processor)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30)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내에서의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함으로써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30)는 위치가 식별된 단말(즉, 차량 내에 위치한 단말)의 수가 복수인 경우 단말들 각각의 권한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30)는 단말의 위치뿐 만 아니라 단말의 가용 자원을 고려하여 단말의 권한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30)는 권한 레벨에 대응하는 작업을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
센싱부(2040)는 장치(2000)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20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2040)는 사용자 또는 차량의 주변 상황(예를 들어, 객체의 유무 등)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거나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센싱부(204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2041), IMU(Inertial Measurement Unit)(2042), 레이더 모듈(2043), 라이더 모듈(2044), 이미지 센서(2045), 환경 센서(2046), 근접 센서(2047), RGB 센서(illuminance sensor)(2048), 움직임 센서(20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싱부(2040)에 포함된 구성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GPS 모듈(2041)은 차량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GPS 모듈(2041)는 지구 상에서의 차량의 위치를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IMU(2042)는 관성 가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및 배향 변화들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MU(2042)는 가속도계들 및 자이로스코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모듈(2043)은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차량의 주변 환경 내의 객체들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레이더 모듈(2043)은 객체들의 속도 및/또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라이더 모듈(2044)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차량의 주변 환경 내의 객체들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이더 모듈(2044)은 레이저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레이저 광원 및/또는 레이저 스캐너와, 레이저의 반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잇다. 라이더 모듈(2044)은 코히런트(coherent)(예를 들어, 헤티로다인 검출을 사용함) 또는 비코히런트(incoherent) 검출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045)는 차량의 내부 및 외부를 나타내는 영상들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모노(mono) 카메라, 스테레오(stereo)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또는 열화상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미지 센서(2045)는 다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카메라들은 차량의 내부 및 외부의 다수의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
환경 센서(2046)은 날씨를 포함하는 차량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센서(2046)는 온/습도 센서(20461), 적외선 센서(20462), 기압 센서(20463) 및 먼지 센서(20464)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2049)는 차량의 움직임을 센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2049)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2049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20492)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2049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50)는 장치(2000)가 차량의 다른 장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부(2050)는 근거리 통신부(2051), 이동 통신부(2052) 및 방송 수신부(20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20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205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05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요청하고 답변 메시지에 관련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를,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와 송수신할 수 있다.
구동부(2060)는 차량의 구동(운행) 및 차량 내부의 장치들의 동작에 이용되는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060)는 전원 공급부(2061), 추진부(2062), 주행부(2063) 및 주변 장치부(206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변 장치부(2064)는 네비게이션, 라이트, 방향 지시등, 와이퍼, 내부 조명, 히터 및 에어컨을 포함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은 차량에 대한 운행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네비게이션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동안 동적으로 운행 경로를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은 차량에 대한 운행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GPS 모듈(2041)에 의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2070)는 프로세서(20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 전송되거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20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메모리(2070)는 UI 모듈(2071), 터치 스크린 모듈(2072) 및 알림 모듈(207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UI 모듈(20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장치(2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20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203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20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20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2073)은 장치(2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2073)은 디스플레이부(202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202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202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장치는 탑승자의 단말이 차량 내부의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탑승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단말과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는 탑승자의 동작 없이도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고,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단말에게 작업을 할당하고, 작업의 수행 결과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에 복수의 단말들이 존재하는 경우, 장치는 복수의 단말들 각각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고, 단말들 각각의 권한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는 단말에 설정된 권한 레벨에 대응하는 작업을 단말에 할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유지되는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instructions)의 실행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컴퓨터의 일 예는, 프로세서가 될 수 있으며, 기록매체의 일 예는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
110: 탑승자
120: 단말
130: 차량 주행 보조 장치

Claims (20)

  1. 차량의 문의 개폐에 따라 활성화된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에서의 상기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 모듈은 상기 차량의 복수의 문들에 각각 내장되고,
    상기 복수의 문들에 내장된 신호 생성 모듈들 중에서 개폐된 문에 내장된 신호 생성 모듈이 활성화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발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발신된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보에 포함된 상기 발신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식별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가 식별된 단말의 수가 복수인 경우, 상기 단말들 각각의 권한 레벨(authorization level)을 설정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들 각각의 가용 자원(resource)을 고려하여 상기 권한 레벨을 설정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된 권한 레벨에 대응하는 작업을 상기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할당하는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들 각각에 설정된 권한 레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차량의 문의 개폐에 따라 신호 생성 모듈을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신호 생성 모듈에서 발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에서의 상기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 모듈은 상기 차량의 복수의 문들에 각각 내장되고,
    상기 활성화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문들에 내장된 신호 생성 모듈들 중에서 개폐된 문에 내장된 신호 생성 모듈을 활성화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된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에 포함된 상기 발신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 식별된 단말의 수가 복수인 경우, 상기 단말들 각각의 권한 레벨(authorization level)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들 각각의 가용 자원(resource)을 고려하여 상기 권한 레벨을 설정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권한 레벨에 대응하는 작업을 상기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 1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70015689A 2016-09-30 2017-02-03 차량 내에서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36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42,518 US10616711B2 (en) 2016-09-30 2017-07-06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location of terminal in vehicle
PCT/KR2017/009149 WO2018062688A1 (en) 2016-09-30 2017-08-22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location of terminal in vehicle
EP17856574.3A EP3494717A4 (en) 2016-09-30 2017-08-22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A TERMINAL IN A VEHICLE
US16/792,064 US11019452B2 (en) 2016-09-30 2020-02-14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location of terminal i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02078P 2016-09-30 2016-09-30
US62/402,078 2016-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495A true KR20180036495A (ko) 2018-04-09

Family

ID=6197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689A KR20180036495A (ko) 2016-09-30 2017-02-03 차량 내에서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616711B2 (ko)
EP (1) EP3494717A4 (ko)
KR (1) KR20180036495A (ko)
WO (1) WO20180626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8351A1 (de) * 2021-10-29 2023-05-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euern eines Diensts an Bord eines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6326A1 (de) * 2000-12-29 2003-09-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Identifikationssystem zum nachweis einer berechtigung für den zugang zu einem objekt oder die benutzung eines objekts,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JP2007331712A (ja) 2006-06-19 2007-12-27 Denso Corp 車両制御システム
JP5095144B2 (ja) * 2006-07-06 2012-12-1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キーレス装置
KR101060681B1 (ko) 2008-12-12 2011-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정보 전송방법, 차량정보 수신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US8315617B2 (en) * 2009-10-31 2012-11-20 Btpatent Llc Controlling mobile device functions
US8847936B2 (en) * 2010-07-02 2014-09-30 Deere & Company Managing a display of a terminal device associated with a vehicle data bus
US9296299B2 (en) * 2011-11-16 2016-03-29 Autoconnect Holdings Llc Behavioral tracking and vehicle applications
US20120268242A1 (en) * 2011-04-21 2012-10-25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based on a nomadic device location
US8947202B2 (en) * 2011-10-20 2015-02-03 Apple Inc. Accessing a vehicle using portable devices
US20130135088A1 (en) 2011-11-30 2013-05-30 Jayanthi GovindaRao Simha Methods and systems for indicating an open door in an automotive vehicle
US20140309839A1 (en) * 2013-04-15 2014-10-16 Flextronics Ap, Llc Vehicle Registration to Enter Automated Control of Vehicular Traffic
US20140309862A1 (en) * 2013-04-15 2014-10-16 Flextronics Ap, Llc User profile exchange via vehicle supported communications protocol
IN2014DN08386A (ko) * 2012-04-20 2015-05-08 Toyota Motor Co Ltd
US8626357B1 (en) * 2012-12-10 2014-01-07 Honda Motor Co., Ltd. Method to change driver identification for passive entry vehicle
US20140179348A1 (en) * 2012-12-21 2014-06-26 Sascha Sim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n smartphone is in vehicle
US9008641B2 (en) * 2012-12-27 2015-04-14 Intel Corporation Detecting a user-to-wireless device association in a vehicle
US9161208B2 (en) * 2013-01-25 2015-10-13 Eric Inselberg System for selectively disabling cell phone text messaging function
US9080878B2 (en) 2013-02-21 2015-07-14 Apple Inc. Automatic identification of vehicle location
GB2517129B (en) * 2013-05-31 2015-12-09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GB2517128B (en) * 2013-05-31 2015-12-09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9258409B1 (en) 2014-07-29 2016-02-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etermining that a user is in a vehicle or driving a vehicle based on sensor data gathered by a user device
KR101569022B1 (ko) 2014-11-12 2015-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9509820B2 (en) * 2014-12-03 2016-11-2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in-vehicle speakers
US9586596B2 (en) * 2014-12-30 2017-03-07 Paypal, Inc. Vehicle use and performance restrictions based on detected users
KR101768131B1 (ko) 2015-02-16 2017-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5773B1 (ko) 2015-03-05 2015-07-24 노명섭 Ble 비콘 신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자동 산출 시스템 및 방법
US9467817B1 (en) 2015-05-15 2016-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termining vehicle occupant location
WO2017070609A1 (en) * 2015-10-23 2017-04-27 Yazaki Corporation Limiting distraction from in-vehicle portable devices
US10750322B2 (en) * 2016-01-20 2020-08-18 Livio, Inc. Mobile device resident vehicle zone tracking
US9813541B2 (en) * 2016-02-29 2017-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control for powered door
KR20180006127A (ko) * 2016-07-08 2018-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4717A1 (en) 2019-06-12
US20180098202A1 (en) 2018-04-05
US10616711B2 (en) 2020-04-07
WO2018062688A1 (en) 2018-04-05
US11019452B2 (en) 2021-05-25
EP3494717A4 (en) 2019-09-11
US20200186961A1 (en)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1784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relay message to external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10685570B2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external vehicle with chang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data related to movement of external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335796B1 (ko)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회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60249294A1 (en)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and terminal employing the method
US10496890B2 (en) Vehicular collaboration for vehicular blind spot detection
US116781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mobile devices within a vehicle
JP7241778B2 (ja) 自動ガイド搬送車の制御方法、制御装置、および記憶媒体
KR20200057414A (ko) 주행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04769568A (zh) 用于用户装置交互的系统和方法
KR102273024B1 (ko)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US20210081688A1 (en) Non-intrusive intra-vehicular user location detection
KR20160114486A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US20170344123A1 (en) Recognition of Pickup and Glance Gestures on Mobile Devices
US20210373574A1 (en) Robot for providing guidance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80086794A (ko) 차량 주변의 객체를 나타내는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194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location of terminal in vehicle
KR102642924B1 (ko) 차량의 동작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874947B (zh) 交通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1916425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US12091058B2 (en) Virtual steering wheel with autonomous vehicle
US10264115B1 (en) Determining if a mobile device is being used by a driver of a vehicle
KR20180040821A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2017000444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8474331A (zh) 增强现实眼镜、车载信息系统及其交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