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144A - 덕트 팬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냉각 유닛 - Google Patents

덕트 팬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냉각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144A
KR20180035144A KR1020170122325A KR20170122325A KR20180035144A KR 20180035144 A KR20180035144 A KR 20180035144A KR 1020170122325 A KR1020170122325 A KR 1020170122325A KR 20170122325 A KR20170122325 A KR 20170122325A KR 20180035144 A KR20180035144 A KR 20180035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an module
cooling unit
attached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159B1 (ko
Inventor
타츠야 스스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가부시키가이샤 마키시스 고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가부시키가이샤 마키시스 고교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18003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제상운전에서 발생한 물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덕트 팬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냉각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냉각 유닛으로서, 상기 덕트 팬 모듈은, 양단이 개구된 통형상의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일단측의 내부에 부착된 팬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덕트부는, 적어도 하단부와 그 부착단부와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이다.

Description

덕트 팬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냉각 유닛{DUCT FAN MODULE AND COOLING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덕트 팬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냉각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 유닛의 내벽에 부착한 결로수를 배출하는데 알맞은 덕트 팬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냉각 유닛에 관한 것이다.
대형의 냉장고나 냉동고 등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 유닛(유닛 쿨러)은, 몸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외기를 몸체 내부에 배치된 냉각기(증발기)를 통하여 냉각하고, 이것을 냉장고나 냉동고 내에 공급하도록(이 동작을 「냉각운전」이라고 칭한다)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냉각 유닛에서는, 외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냉기가 된 때에 서리(霜)로서 냉각기에 부착하는 일이 있고, 이에 의해 냉각기의 냉각 능력이 저하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냉각기에 부착하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냉각운전을 일단 멈춤과 함께 몸체 내의 보온 효과를 높이기 위해, 그 배기구를 닫아서 몸체 내부를 개략 폐쇄 상태로 하고, 그 후 냉각기를 핫 가스나 히터 등을 이용하여 데움에 의해 그 냉각기에 부착한 서리를 융해시키는 이른바 「디프로스트」 동작을 행하고 있다(이 동작을 「제상운전(除霜運轉)」이라고 칭한다).
또한, 배기구를 닫기 위해, 예를 들면, 냉각기 및 송풍기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덕트에 풍압(風壓)으로 개폐하는 댐퍼(셔터)를 마련하는 구조의 유닛 쿨러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서는, 배기용의 덕트는 수평하게 늘어나고 있고, 제상운전시에는, 팬을 정지함에 의해 댐퍼가 자동적으로 폐쇄되어, 몸체 내가 개략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제상운전을 살수(散水)에 의해 행하는 살수 방식이 채용되는 일도 있고, 이 경우에는, 특히 댐퍼를 마련하지 않은 구조의 냉각 유닛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2에서는, 팬이 유닛 쿨러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고, 몸체 측면으로부터 받아들여진 공기가 몸체의 상방부터 취출(吹出)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살수 방식에서도,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배기용의 덕트가 수평하게 늘어나는 구조의 것도 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2527015호 공보 일본 실공소50-32352호 공보
가열에 의해 제상운전을 행하는 경우, 챔버 내부에 핫 가스 등에 의한 열량이 공급됨에 의해 냉각기에 부착한 서리가 융해하고, 그 일부가 수증기(안개)가 되어 부유하여, 챔버의 내벽에 부착, 응고됨에 의해 물방울(水滴)이 된다. 이 물방울은, 챔버 내의 하부에 배치된 드레인 팬 내로 낙하하여 수용되고, 배수 펌프 등의 알맞은 수단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제상운전시에는 상술의 댐퍼가 닫혀 있기 때문에, 챔버 내부는 폐쇄되어 있는데, 댐퍼는 날개의 자중(自重)으로 닫혀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댐퍼의 본체부와 셔터와의 사이 등에 약간의 간극이 생기고 있고, 이 간극으로부터 수증기가 댐퍼 하류측의 덕트 내면측에 물방울로서 부착한다.
그렇지만, 배기용의 덕트가 수평하게 늘어나고 있는 경우, 댐퍼 하류측에 결로(結露)한 물방울은, 댐퍼보다 상류측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 내로 흐르지 않고, 이 결과, 당해 냉각 유닛의 냉각운전 재개 후에, 덕트의 하면에 체류한 물이, 송풍기에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덕트의 하류측으로 흘러 버리게 된다.
그리고, 덕트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덕트로부터 당해 냉각 유닛의 외부로 결로수가 흘러나오거나, 또는 덕트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덕트로부터 흘러나온 결로수가 냉각 유닛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다른 장치 등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배기용 덕트가 상방으로 늘어나 있는 경우에는, 챔버 천장에 결로한 물방울이, 결로한 위치로부터 그대로 수직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결로수의 회수가 효율적으로 행하여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상운전에서 발생한 물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덕트 팬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냉각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덕트 팬 모듈은, 양단이 개구된 통형상(筒狀)의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부착된 팬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덕트부의 일단이 그 부착단부(取付端部)가 되고, 상기 부착단부의 적어도 하단부와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덕트 팬 모듈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냉각 유닛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덕트 팬 모듈에 의하면, 제상운전에서 발생한 결로수가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결로수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덕트 팬 모듈을 냉각 유닛의 측면에 부착한 경우에는, 덕트의 하면에 드리워 떨어진 물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덕트 팬 모듈을 부착한 냉각 유닛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다른 장치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한, 덕트 팬 모듈을 냉각 유닛의 상면(上面)에 부착한 경우에는, 냉각 유닛의 천장면에 부착한 결로수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의한 냉각 유닛의 개략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냉각 유닛의 몸체에 부착되는 덕트 팬 모듈 및 댐퍼부의 개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덕트부의 단부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의한 냉각 유닛의 개략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5는도 4에 도시한 냉각 유닛의 몸체에 부착되는 덕트 팬 모듈 및 댐퍼부의 개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례 3에 의한 냉각 유닛의 개략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정면도.
<실시례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의한 냉각 유닛의 개략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의한 냉각 유닛(10)은, 내부에 개략 직방체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드레인 팬(18)을 구비한 몸체(12)와, 당해 몸체(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몸체(12)의 후방 측면에 부착된 흡입 후드(14)와, 상기 몸체(12)의 전방 측면에 부착된 덕트 팬 모듈(100)을 구비하고 있다.
몸체(12)는, 예를 들면 직방체의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측면 중의 하나(후방 측면(12a))에는 몸체(12)의 외부와 연통하는 흡입 후드(14)가 부착된다. 이 흡입 후드(14)는, 하면측에 개구부(하면측 개구부(14a))를 구비한 상자형상이다.
한편, 몸체(12)의 측면(12a)과 대향하는 위치의 측면(전방 측면(12b))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댐퍼부(30)가, 또한 그 외측에는, 후술하는 덕트 팬 모듈(100)이 부착된다.
냉각 유닛(10)은, 본 실시례에서는, 예를 들면 다리부(脚部)(16)를 통하여 대형의 냉장고나 냉동고 등(도시 생략)의 저면(B)에 설치되는데, 알맞은 수단(예를 들면 몸체(12)의 천장면에 연결된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당해 냉장고나 냉동고의 천장부터 매달리도록 하여도 좋다.
열교환기(20)는, 예를 들면 냉각기로서, 흡입 후드(14)로부터 흡입된 공기(외기)에 직접 접촉하여 공기로부터 열을 뺏는(拔熱する)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몸체(12) 내에는, 제상 설비로서, 제상운전시에 열교환기(20)를 데우기 위한 디프로스트 가스 공급 기구나 히터, 또는 열교환기(20)에 살수(散水)하기 위한 살수 기구 등(모두 도시 생략)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상 설비로서 디프로스트 가스 공급 기구나 히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상시(除霜時)에 댐퍼부(30)가 차폐되어 몸체(12)의 내부가 개략 밀폐 상태가 되는데, 살수 기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댐퍼부(30)는 특히 배치되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몸체(12)의 내부에서 제상운전시에 서리가 융해된 물은, 드레인 팬(18) 내에 고이고, 그 후, 배출 펌프 등의 알맞은 수단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화살표(D1) 참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냉각 유닛의 몸체에 부착되는 덕트 팬 모듈 및 댐퍼부의 개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의한 덕트 팬 모듈(100)은, 양단이 개구된 통형상의 덕트부(110)와, 덕트부(110)의 내부에 부착된 팬 유닛(120)을 구비한다.
덕트부(110)는, 단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형상의 부재로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심축(X) 및 하면(하단부)(112)은,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α)만큼 경사한 양태로 배치된다.
이때, 덕트부(110)의 상류측의 개구 단부(부착단부)(113)와 중심축(X) 및 하면(하단부)(112)이 이루어지는 각도는 β이고, α+β=90도가 된다. 즉, β는 90도 미만인데, 75도 전후로 할 수도 있다.
덕트부(110)의 상류측의 개구 단부(113)에 부착된 댐퍼부(30)는, 사각형 통형상의 댐퍼 케이스(30a)에, 복수의 셔터(32)가 샤프트(31)를 통하여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복수의 셔터(32)는, 후술하는 팬 유닛(120)측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팬 유닛(120)의 송풍기(121)가 구동되어 몸체(1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때는, 그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 위치(P1)로 회동하고, 송풍기(121)의 구동이 정지되면 자중에 의해 내려가서 폐쇄 위치(P2)로 되돌아온다.
또한, 댐퍼 케이스(30a)의 저부에는, 제상운전에 의해 생긴 결로수를 몸체(12)의 드레인 팬(18)으로 배출하기(화살표(D2) 참조) 위한 드레인 파이프(33)가 부착되어 있다.
덕트부(110)의 하류측의 개구 단부(114)측의 내면에 부착되는 팬 유닛(120)은, 날개바퀴(122)를 갖는 송풍기(121)와, 송풍기(121)를 덕트부(110)에 고정하는 스테이(123)를 구비한다.
송풍기(121)가 회전 구동하면, 날개바퀴(122)의 회전에 의해 댐퍼부(30)의 셔터(32)가 열리고, 흡입 후드(14)의 하면측 개구부(14a)로부터 몸체(12) 내로 공기가 흡입되어, 열교환기(20)에서 냉각된 공기가 덕트부(110)로부터 화살표(A2)의 방향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덕트부(110)로부터 배출된 냉기는, 덕트부(110)에 접속된 공급 배관(도시 생략)을 통하여 냉장고나 냉동고 등에 공급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덕트부의 단부(端部)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요도로서, 도 3(a)는 덕트부를 상류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도 3(b)는 덕트부를 하류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부(110)의 상류측에 배치된 개구 단부(113)는, 중앙부에 덕트부(110)와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판형상 부재로서 구성되고, 복수의 체결구멍(1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덕트부(110)는, 개구 단부(113)의 체결구멍(115)에 삽입한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하여, 몸체(12)의 전방 측면(12b)에 부착된다.
한편, 덕트부(110)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개구 단부(114)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덕트부(110)와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판형상 부재로서 구성되고, 복수의 체결구멍(1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덕트부(110)에서의 개구 단부(114)의 부근에는, 상기한 날개바퀴(122)를 갖는 송풍기(121)가, 스테이(123)를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덕트부(110)는, 개구 단부(114)의 체결구멍(115)에 삽입한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하여, 하류에 배치된 냉장고나 냉동고 등에 접속하는 공급 배관(도시 생략)에 부착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의한 냉각 유닛(10)의 동작을, 제상 설비로서 디프로스트 가스 공급 기구를 적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냉각 유닛(10)이 냉각운전하는 경우, 열교환기(20)를 구동하면서, 덕트 팬 모듈(100)의 송풍기(121)를 회전 구동시킨다.
송풍기(121)가 회전 구동하면, 날개바퀴(122)가 회전하여 덕트부(110) 내부의 공기가 화살표(A2)의 방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댐퍼부(30)의 셔터(32)가 개방 위치(P1)까지 회동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체(12) 내부에서 덕트 팬 모듈(100)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생긴다(화살표(A3) 참조).
몸체(12) 내부에 화살표(A3)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생기면, 흡입 후드(14)로부터 외기가 흡입된다(화살표(A1) 참조).
이와 같은 일련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 흡입 후드(14)로부터 흡입된 외기는, 열교환기(20)를 통과할 때에 열을 뺏겨서, 덕트 팬 모듈(100)의 덕트부(110)로부터 냉기로서 배출된다.
한편, 냉각운전에 의해 몸체(12) 내부의 열교환기(20)나 덕트 팬 모듈(100)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댐퍼부(30) 등에 부착한 서리 또는 빙괴(氷塊)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을 행하는 경우, 열교환기(20) 및 덕트 팬 모듈(100)의 송풍기(121)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러면, 덕트 팬 모듈(100)의 덕트부(110)로부터의 배기가 멈추어지기 때문에, 댐퍼부(30)의 셔터(32)가 폐쇄 위치(P2)에 위치하도록 회동한다.
이에 의해, 몸체(12)의 내부는, 댐퍼부(30)를 경계로 외부에 대해 밀폐된 상태가 되고, 흡입 후드(14)로부터의 외기의 흡입도 멈춘다.
이 상태에서, 열교환기(20)의 디프로스트 가스 공급 기구를 구동하여 핫 가스에 의한 제상 동작을 행하여, 열교환기(20)나 몸체(12) 내부 등에 부착한 서리 또는 빙괴를 융해시킨다.
그리고, 융해한 서리 또는 빙괴는 물이 되어, 몸체(12)의 저면에 마련된 드레인 팬(18)에 체류하고, 그 후, 소정의 배출 수단에 의해 몸체(12)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댐퍼부(30)의 샤프트(31)나 셔터(32)에 부착하고 있던 물은, 댐퍼 케이스(30a)의 저부에 마련된 드레인 파이프(33)를 통과하여 몸체(12) 내부의 드레인 팬(18)으로 배출된다.
또한, 제상운전시에 덕트부(110) 내에서 융해한 물이 생겼다고 하여도, 덕트부(110)의 하면(하단부)(112)이 댐퍼부(30)를 향하여 경사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물은 덕트부(110)로부터 댐퍼부(30)측으로 흐르고, 상기 드레인 파이프(33)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함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례 1에 의한 냉각 유닛(10)은, 덕트 팬 모듈(100)에서의 덕트부(110)의 하면(하단부)(112)이, 상류에 배치되는 몸체(12)를 향하여 경사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상운전 후에 덕트부(110) 내에 물이 생성하였다고 하여도, 당해 물이 덕트부(110)에 체류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제상운전 후에 냉각운전으로 되돌린 후에, 덕트 팬 모듈(100)로부터 배출되는 냉기(바람)에 밀려서 하류측으로 흐르는 일도 없기 때문에, 냉각 유닛(10)의 하류측에 배치된 다른 장치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례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의한 냉각 유닛의 개략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실시례 2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례 1과 동일 또는 공통의 기능 또는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재차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의한 냉각 유닛(10)은, 하부에 드레인 팬(18)을 갖는 몸체(12)와, 당해 몸체(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몸체(12)의 측면 중의 하나에 부착된 흡입 후드(14)와, 상기 몸체(12)의 측면 중의 다른 하나에 부착된 덕트 팬 모듈(200)을 구비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냉각 유닛의 몸체에 부착되는 덕트 팬 모듈 및 댐퍼부의 개요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의한 덕트 팬 모듈(200)은, 양단이 개구된 통형상의 덕트부(210)와, 덕트부(210)의 타단측의 내부에 부착된 팬 유닛(220)을 구비한다.
덕트부(21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의 개구단(213)과 타방의 개구단(214)이 연직 방향으로 평행 배치됨과 함께, 하면(하단부)(212)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α)만큼 경사한 통형상의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형성된다.
즉, 덕트부(210)는, 상류측의 개구 단부(213)로부터 하류측의 개구 단부(214)를 향하여, 하면(하단부)(212)이 경사하면서 단면적이 축소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류측의 개구 단부(213) 및 하류측의 개구 단부(214)는, 실시례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덕트부(210)의 상류측의 개구 단부(213)에 부착된 댐퍼부(30)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통형상의 댐퍼 케이스(30a)에, 복수의 셔터(32)가 샤프트(31)를 통하여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후술하는 팬 유닛(220)의 송풍기(221)가 구동되어 몸체(1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때는, 그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 위치(P1)로 회동하고, 송풍기(221)의 구동이 정지되면 자중에 의해 내려가 폐쇄 위치(P2)로 되돌아온다.
또한, 댐퍼 케이스(30a)의 저부에는, 제상운전에 의해 생긴 결로수를 몸체(12)의 드레인 팬(18)으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파이프(33)가 부착되어 있다.
덕트부(210)의 하류측의 개구 단부(214)측의 내면에 부착되는 팬 유닛(220)은, 날개바퀴(222)를 갖는 송풍기(221)와, 송풍기(221)를 덕트부(210)에 고정하는 스테이(223)를 구비한다.
송풍기(221)가 회전 구동하면,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날개바퀴(222)의 회전에 의해 댐퍼부(30)의 셔터(32)가 열림과 함께 흡입 후드(14)의 하면측 개구부(14a)로부터 몸체(12)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열교환기(20)에서 냉각된 공기가 덕트부(210)로부터 화살표(A2)의 방향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덕트부(210)로부터 배출된 냉기는, 덕트부(210)에 접속된 공급 배관(도시 생략)을 통하여 냉장고나 냉동고 등에 공급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의한 냉각 유닛(10)의 동작을, 제상 설비로서 디프로스트 가스 공급 기구를 적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의한 냉각 유닛(10)에서, 냉각운전에 의해 몸체(12) 내부의 열교환기(20)나 덕트 팬 모듈(200)의 댐퍼부(30) 등에 부착한 서리 또는 빙괴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을 행하는 경우, 열교환기(20) 및 덕트 팬 모듈(200)의 송풍기(221)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러면, 덕트 팬 모듈(200)의 덕트부(210)로부터의 배기가 멈추기 때문에, 댐퍼부(30)의 셔터(32)가 폐쇄 위치(P2)에 위치하도록 회동하고, 흡입 후드(14)로부터의 외기의 흡입도 멈춘다.
이 상태에서, 열교환기(20)의 디프로스트 가스 공급 기구를 구동하여 핫 가스에 의한 제상 동작을 행하여, 열교환기(20)나 몸체(12) 내부 등에 부착한 서리 또는 빙괴를 융해시킨다.
그리고, 융해한 서리 또는 빙괴는 물이 되어 몸체(12)의 저면에 마련된 드레인 팬(18)에 체류하고, 그 후, 소정의 배출 수단에 의해 몸체(12)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댐퍼부(30)의 샤프트(31)나 셔터(32)에 부착하고 있던 물은, 댐퍼 케이스(30a)의 저부에 마련된 드레인 파이프(33)를 통과하여 몸체(12) 내부의 드레인 팬(18)으로 배출된다.
또한, 제상운전시에 덕트부(210) 내에서 융해한 물이 생겼다고 하여도, 덕트부(210)의 하면(하단부)(212)이 댐퍼부(30)를 향하여 경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물은 덕트부(210)로부터 댐퍼부(30)측으로 흘러, 상기 드레인 파이프(33)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함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례 2에 의한 냉각 유닛(10)은, 덕트 팬 모듈(200)에서의 덕트부(210)의 하면(하단부)(212)이, 상류에 배치되는 몸체(12)측을 향하여 경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제상운전 후에 덕트부(210) 내에 물이 생성하였다고 하여도, 당해 물이 덕트부(210)에 체류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한 효과에 더하여, 덕트부(210)의 상류측의 개구 단부(213)와 하류측의 개구 단부(214)가 연직 방향으로 평행 배치되기 때문에, 덕트 팬 모듈(200)을 통하여, 그 상류측에 배치되는 냉각 유닛(10)의 몸체(12)와 하류측에 배치되는 공급 배관과의 접속이 용이해진다.
<실시례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례 3에 의한 냉각 유닛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6(a)는 측면도, 도 6(b)는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 도 1∼도 5와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는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례 1 또는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례 1 및 2는 공기가 몸체(12)의 측면으로부터 취출(吹出)되는 형태이지만, 이 실시례 3은, 몸체(512)의 상면(천장면)으로부터 공기가 취출되는 형태의 예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냉각 유닛(510)의 몸체(512)의 천장면(512a)은, 수평면에 대해 각도(α)의 경사를 갖고 있고, 이 천장면(512a)에 도 1∼도 3에 도시된 덕트 팬 모듈(100)의 상류측 개구 단부(11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덕트부(110)의 중심축(X)(즉 덕트 팬 모듈(100)의 중심축)과 개구 단부(부착단부)(113)(즉 천장면(512a))와 이루는 각도는 β이다. 또한, 부호 512b는 외기의 취입구를 나타내고 있다.
냉각 유닛(510)의 설치시에는, 중심축(X)은 수직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몸체(512) 내에는 열교환기(20)나 제상 설비(도시 생략)가 배치되고, 또한 필요에 응하여, 덕트 팬 모듈(100)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는, 제상시에 몸체 내를 봉쇄하는 댐퍼나 셔터 등이 마련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례 3에서는, 몸체(512)의 천장면(512a)의 내벽(하면측)이 수평면에 대해 α의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천장면(512a)의 내벽에 결로수가 부착하였다고 하여도, 그 경사에 따라 결로수가 몸체(512)의 측면 내벽에 안내되어, 효율적으로 드레인 팬(18)에 낙하시켜, 배수구(18a)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례 3에서도, 실시례 2에서 설명한 덕트 팬 모듈(200)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의 개변(改變)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례 1 및 2에서, 댐퍼부에 복수의 셔터가 마련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셔터는 하나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의 기재에서, 덕트부(110, 210)의 상류측의 개구 단부(부착단부)(113, 213)를 일단, 덕트부(110)의 하류측의 개구 단부(114, 214)를 타단으로 한다. 또한, 일단에서 보아 타단의 방향을 타단측, 타단에서 보아 일단의 방향을 일단측으로 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팬 유닛(120, 220)은 덕트부(110, 210)의 타단측에 부착되어 있지만, 부착 개소는 일단측이라도 좋고, 덕트부(110, 210)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덕트 팬 모듈의 팬보다도 상류측(일단측)에 셔터를 마련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셔터를 마련하는 대신에, 덕트 팬 모듈의 팬보다도 하류측(타단측), 즉 덕트 팬 모듈의 개구 단부에, 체결구멍을 이용하여 풍압으로 개폐한 댐퍼(도시 생략)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핫 가스를 이용한 제상 방식을 병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히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일은 없고, 히터, 살수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한 모든 제상 방식을 병용하는 것이라도 좋음은 당연하다.
10, 510 : 냉각 유닛
12, 512 : 몸체
14 : 흡입 후드
18 : 드레인 팬
20 : 열교환기
22 : 스페이서
30 : 댐퍼부
31 : 샤프트
32 : 셔터
33 : 드레인 파이프
100, 200 : 덕트 팬 모듈
110, 210 : 덕트부
120, 220 : 팬 유닛
121, 221 : 송풍기
122, 222 : 날개바퀴
123, 223 : 스테이
512a : 천장면

Claims (5)

  1. 양단이 개구된 통형상의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부착된 팬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덕트부의 일단이 그 부착단부가 된 덕트 팬 모듈로서,
    상기 덕트부는, 적어도 하단부와, 상기 부착단부와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원통형상 또는 각통형상이고, 그 중심축이 상기 부착단부로부터 90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팬 모듈.
  3.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부착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덕트 팬 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유닛.
  4.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천장면이 경사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몸체의 천장면에 부착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덕트 팬 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유닛.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의 상기 일단측에 부착된 댐퍼부 또는 셔터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유닛.
KR1020170122325A 2016-09-28 2017-09-22 냉각 유닛 KR102354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89557 2016-09-28
JP2016189557A JP6698490B2 (ja) 2016-09-28 2016-09-28 冷却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144A true KR20180035144A (ko) 2018-04-05
KR102354159B1 KR102354159B1 (ko) 2022-01-21

Family

ID=6176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25A KR102354159B1 (ko) 2016-09-28 2017-09-22 냉각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98490B2 (ko)
KR (1) KR102354159B1 (ko)
CN (1) CN10786987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716A (ko) * 2020-07-09 2022-01-18 성종길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용 블레이드
KR20220006718A (ko) * 2020-07-09 2022-01-18 성종길 블레이드를 이용한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
US20220252325A1 (en) * 2019-02-01 2022-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8490B2 (ja) * 2016-09-28 2020-05-27 株式会社不二工機 冷却ユニット
CN108800741A (zh) * 2018-04-23 2018-11-13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冰箱
JP7142356B2 (ja) * 2019-02-13 2022-09-27 株式会社マキシス工業 ユニットクーラ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2352A (ko) 1973-06-08 1975-03-29
JPS62218776A (ja) * 1986-03-20 1987-09-26 日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温度環境試験装置
JPH03274371A (ja) * 1990-03-26 1991-12-05 Sanyo Electric Co Ltd 低温ショーケース
JP2527015Y2 (ja) 1991-03-20 1997-02-26 株式会社東洋製作所 ユニットク−ラ−
JPH09243227A (ja) * 1996-03-12 1997-09-19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JPH10253231A (ja) * 1997-03-11 1998-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凍装置のエバポレータユニット
JP2004218986A (ja) * 2003-01-16 2004-08-0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冷凍機
KR20110106314A (ko) * 2008-12-24 2011-09-2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JP2012132600A (ja) * 2010-12-20 2012-07-12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冷蔵庫
JP2018054201A (ja) * 2016-09-28 2018-04-05 株式会社不二工機 ダクトファン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冷却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3660A (en) * 1972-06-05 1973-10-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Air conditioning condenser fan arrangement with condensate removal
JPS5930372Y2 (ja) * 1980-04-10 1984-08-30 三洋電機株式会社 貯蔵庫
JPS57177083U (ko) * 1981-05-06 1982-11-09
JPS59189025U (ja) * 1983-06-02 1984-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装置
US5878592A (en) * 1998-05-20 1999-03-09 Carrier Corporation Evaporator housing
JP6358836B2 (ja) * 2014-04-09 2018-07-1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ダンパ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2352A (ko) 1973-06-08 1975-03-29
JPS62218776A (ja) * 1986-03-20 1987-09-26 日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温度環境試験装置
JPH03274371A (ja) * 1990-03-26 1991-12-05 Sanyo Electric Co Ltd 低温ショーケース
JP2527015Y2 (ja) 1991-03-20 1997-02-26 株式会社東洋製作所 ユニットク−ラ−
JPH09243227A (ja) * 1996-03-12 1997-09-19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JPH10253231A (ja) * 1997-03-11 1998-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凍装置のエバポレータユニット
JP2004218986A (ja) * 2003-01-16 2004-08-0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冷凍機
KR20110106314A (ko) * 2008-12-24 2011-09-2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JP2012132600A (ja) * 2010-12-20 2012-07-12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冷蔵庫
JP2018054201A (ja) * 2016-09-28 2018-04-05 株式会社不二工機 ダクトファン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冷却ユニ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2325A1 (en) * 2019-02-01 2022-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668511B2 (en) * 2019-02-01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220006716A (ko) * 2020-07-09 2022-01-18 성종길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용 블레이드
KR20220006718A (ko) * 2020-07-09 2022-01-18 성종길 블레이드를 이용한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159B1 (ko) 2022-01-21
JP2018054201A (ja) 2018-04-05
CN107869877B (zh) 2021-03-23
JP6698490B2 (ja) 2020-05-27
CN107869877A (zh)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5144A (ko) 덕트 팬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냉각 유닛
JP2018054201A6 (ja) ダクトファン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冷却ユニット
US8443618B2 (en) Refrigerating and/or freezing appliance
EP3205950B1 (en) Air conditioner with condensate collection device
EP2977689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device
JP2017219256A (ja) 冷却ユニット
JP6641752B2 (ja) 冷却装置
US9211957B2 (en) Aircraft fuel tank ventilation
CN107031491B (zh) 冷却装置
JP2009216291A (ja) 輸送用冷凍装置
JP6796797B2 (ja) ショーケース及び制御装置
JP5687046B2 (ja) 冷却ユニット
WO2021258819A1 (zh) 冰箱
JP2010261661A (ja) ユニットクーラー用ダンパー及び該ダンパーを用いたユニットクーラー
WO2017203680A1 (ja) 冷却ユニット
CN105555104B (zh) 一种机房排热用顶置热管模块结构
JPH08226727A (ja) ヒートポンプ用熱交換器
JP2013173410A (ja) 鉄道車両
WO2021258818A1 (zh) 冰箱
JP5381278B2 (ja) 冷蔵貯蔵庫のエアカーテン装置
JP5915761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353363B1 (ko) 냉장고의 증발기 제상열 차단장치
JP2024014329A (ja) 空気冷却器におけるデフロスト運転方法
CN112503963A (zh) 管理冷却空气管道系统内的冷凝物排放的装置
JP2000205728A (ja) 車両用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