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545A -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 Google Patents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545A
KR20180033545A KR1020187005118A KR20187005118A KR20180033545A KR 20180033545 A KR20180033545 A KR 20180033545A KR 1020187005118 A KR1020187005118 A KR 1020187005118A KR 20187005118 A KR20187005118 A KR 20187005118A KR 20180033545 A KR20180033545 A KR 20180033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chain
restricting
limiting memb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648B1 (ko
Inventor
다카유키 데츠카
다마키 시키
야스노리 우에노
마사시 구니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80033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8Chains having special overall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12Chain lin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는, 직렬 방향(X)을 따라 나열되도록 체인(2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복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구비하여 체인(25)의 굴곡을 제한한다.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36)는, 체인(25)이 직렬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방향(Z1)으로 굴곡되는 경우에, 직렬 방향(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1 굴곡 제한 부재(36)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체인(25)의 제1 방향(Z1)으로의 굴곡을 제한하는 제1 걸림 결합부(44)를 갖는다.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체인(25)이 제1 방향(Z1)과는 반대인 제2 방향(Z2)으로 굴곡되는 경우에, 직렬 방향(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2 굴곡 제한 부재(37)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체인(25)의 제2 방향(Z2)으로의 굴곡을 제한하는 제2 걸림 결합부(50)를 갖는다.

Description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본 발명은, 체인에 설치하여 당해 체인의 굴곡을 제한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인으로서는,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가 직렬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체인 중에는, 체인의 굴곡도를 규제하는 굴곡 규제 수단을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 굴곡 규제 수단은, 각 이너 링크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돌출 설치된 핀과, 각 아우터 링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원호상으로 연장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고 형성된 긴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핀과 긴 구멍을 걸림 결합함으로써 핀이 긴 구멍의 길이만큼밖에 이동할 수 없게 되므로, 이너 링크 플레이트의 아우터 링크 플레이트에 대한 요동각이 일정한 각도 이내에 들어간다. 그 결과, 체인의 굴곡 한도가 설정된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4-93290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체인에서는, 굴곡 규제 수단을 구성하는 핀 및 긴 구멍이 이너 링크 플레이트 및 아우터 링크 플레이트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체인의 굴곡 한도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너 링크 플레이트 및 아우터 링크 플레이트를 새로이 제작해야 한다. 이 때문에 체인의 범용성이 낮아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체인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하여 기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는, 복수의 링크가 직렬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형성된 체인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링크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 쌍의 링크를 포함하고, 각 쌍의 2개의 링크끼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굴곡을 제한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이며, 상기 체인의 직렬 방향을 따라 나열되도록 상기 체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굴곡 제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굴곡 제한 부재의 각각은, 상기 체인이 상기 직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방향으로 굴곡되는 경우에,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굴곡 제한 부재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굴곡을 제한하는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체인이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굴곡되는 경우에,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굴곡 제한 부재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굴곡을 제한하는 제2 걸림 결합부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굴곡 제한 부재를 교체 장착함으로써 체인의 굴곡 한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체인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굴곡 제한 부재의 각각은,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를 갖는 제1 굴곡 제한 부재와,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를 갖는 제2 굴곡 제한 부재를 구비하고,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는, 그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제1 걸림 결합부가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제1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굴곡을 제한하고,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그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제2 걸림 결합부가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제2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굴곡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걸림 결합부를 갖는 제1 굴곡 제한 부재와 제2 걸림 결합부를 갖는 제2 굴곡 제한 부재가 별체의 부재이기 때문에 제1 굴곡 제한 부재와 제2 굴곡 제한 부재를 각각 교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체인의 제1 방향측의 굴곡 한도와 체인의 제2 방향측의 굴곡 한도를 각각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상기 복수 쌍의 링크와, 각 쌍의 2개의 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핀 및 통형의 복수의 부쉬에 의하여 구성되고, 각 핀은 상기 복수의 부쉬 중 대응하는 하나의 부쉬에 삽입되고,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체인에 설치된 때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를 상기 직렬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하는 1쌍의 제1 아암부를 갖고,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체인에 설치된 때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를 상기 직렬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하는 1쌍의 제2 아암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굴곡 제한 부재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를 각각 체인에 대하여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 중 하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1쌍의 제1 아암부에 의하여 끼움 지지되는 2개의 부쉬와, 복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 중 대응하는 하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1쌍의 제2 아암부에 의하여 끼움 지지되는 2개의 부쉬는, 하나의 부쉬가 공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체인에 대하여 더 많은 제1 굴곡 제한 부재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는 1쌍의 제1 아암부 사이에 형성된 제1 삽입부를 구비하고, 당해 제1 삽입부에는,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굴곡 제한 부재 중 한쪽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2개의 제2 아암부 중 하나의 제2 아암부와, 다른 쪽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2개의 제2 아암부 중 하나의 제2 아암부가 삽입되고,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1쌍의 제2 아암부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삽입부를 구비하고, 당해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제1 굴곡 제한 부재 중 한쪽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2개의 제1 아암부 중 하나의 제1 아암부와, 다른 쪽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2개의 제1 아암부 중 하나의 제1 아암부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상기 복수 쌍의 링크와, 각 쌍의 2개의 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핀 및 통형의 복수의 부쉬에 의하여 구성되고, 각 핀은 상기 복수의 부쉬 중 대응하는 하나의 부쉬에 삽입되고,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체인에 설치된 때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의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제1 끼워맞춤부를 갖고,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체인에 설치된 때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제2 끼워맞춤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굴곡 제한 부재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를 각각 체인에 대하여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체인이 직선상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굴곡되는 것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체인의 굴곡을 상기 체인의 굴곡 반경이 소정의 굴곡 반경으로 될 때까지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체인이 직선상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굴곡되는 것을 규제하고, 복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체인의 굴곡을 상기 체인의 굴곡 반경이 소정의 굴곡 반경으로 될 때까지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체인의 일 단부를 고정부에 고정함과 함께, 만곡부를 형성하면서 타 단부를 고정부의 상방에 배치된 이동체에 고정한 상태에서 이동체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하여 사용한 경우에, 이동체의 왕복 이동에 추종하여 왕복 이동하는 체인의 궤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굴곡 제한 부재의 각각은,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를 갖는 제1 굴곡 제한 부재와,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를 갖는 제2 굴곡 제한 부재를 구비하고, 복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 및 복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교호로 배치되고,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는, 그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제1 걸림 결합부가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2 굴곡 제한 부재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굴곡을 제한하고,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그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제2 걸림 결합부가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굴곡 제한 부재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굴곡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걸림 결합부를 갖는 제1 굴곡 제한 부재와 제2 걸림 결합부를 갖는 제2 굴곡 제한 부재가 별체의 부재이기 때문에 제1 굴곡 제한 부재와 제2 굴곡 제한 부재를 각각 교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체인의 제1 방향측의 굴곡 한도와 체인의 제2 방향측의 굴곡 한도를 각각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인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의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
도 4는 도 1의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를 구성하는 다관절 지지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다관절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체인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체인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다관절 지지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4의 다관절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도 4의 다관절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도 4의 다관절 지지 부재의 직선 자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도 4의 다관절 지지 부재의 굴곡 자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를 구성하는 다관절 지지 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다관절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다관절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사시도.
도 15는 도 12의 다관절 지지 부재의 직선 자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도 12의 다관절 지지 부재의 굴곡 자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의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를 구성하는 다관절 지지 부재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다관절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굴곡 제한 부재의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다관절 지지 부재의 직선 자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은 도 17의 다관절 지지 부재의 굴곡 자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1은 변경예의 다관절 지지 부재의 직선 자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다관절 지지 부재의 굴곡 자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를 체인에 설치하고, 그 체인을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를 구성하는 다관절 지지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는, 합성 수지에 의하여 구성되고 또한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관상 부재(12)와, 관상 부재(12)에 삽입 관통되는 복수의 긴 다관절 지지 부재(13)와, 각 다관절 지지 부재(13)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 부재(1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7개의 관상 부재(12)와 2개의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사용되고 있다. 7개의 관상 부재(12)는 모두 긴 원통형이며, 띠형을 이루도록 병렬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 또는 일체 형성되어 있다.
7개의 관상 부재(12) 중, 양 단부에 위치하는 2개의 관상 부재(12)에는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7개의 관상 부재(12) 중, 양 단부의 2개의 관상 부재(12)를 제외한 나머지 5개의 관상 부재(12)에는, 가요성을 갖는 긴 형상물으로서의 복수의 피복선(15)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즉,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삽입된 관상 부재(12)를 제1 관상 부재(12a)라 칭하고, 피복선(15)이 삽입된 관상 부재(12)를 제2 관상 부재(12b)라 칭하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7개의 관상 부재(12)는 2개의 제1 관상 부재(12a)와 5개의 제2 관상 부재(12b)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제2 관상 부재(12b)에 6개의 피복선(15)이 삽입되어 있다. 각 피복선(15)은 전선(16)을 절연체(17)로 피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복선(15)은 설비(20)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체(21)에 설비(20) 내의 전원(20a)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는 피복선(15)을 보호하면서 안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의 고정 단부에 위치하는 2개의 고정 부재(14)는 제1 고정 부재(14a)라 칭해지며, 설비(20)에 있어서의, 예를 들어 이동체(21)의 이동 경로와 거의 평행인 설치면(22)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의 이동 단부에 위치하는 2개의 고정 부재(14)는 제2 고정 부재(14b)와 칭해지며, 이동체(21)에 고정된다.
각 제2 관상 부재(12b) 내에 삽입된 피복선(15)에 있어서의 제1 고정 부재(14a)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설비(20) 내의 전원(20a)의 급전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제2 관상 부재(12b) 내에 삽입된 피복선(15)에 있어서의 제2 고정 부재(14b)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이동체(21) 내의 전기 기기(21a)의 수전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설비(20) 내의 전원(20a)으로부터 각 피복선(15)을 통하여 이동체(21) 내의 전기 기기(21a)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된다.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는, 제1 고정 부재(14a)와 제2 고정 부재(14b) 사이에 있어서 고정 단부로부터 이동체(2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이동 단부를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반원호상의 만곡부(11a)가 형성되고, 그 연장 방향이 반전되어 있다.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는 이 만곡부(11a)로부터 이동 단부까지 이동체(21)의 이동 방향을 따라 공중에서 거의 곧게 연장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는 제2 관상 부재(12b)에 삽입된 각 피복선(15)(도 1 참조)을, 제2 고정 부재(14b)가 고정된 이동체(21)의 왕복 이동에 맞추어 보호하면서 안내한다. 이 경우,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의 만곡부(11a)는 이동체(21)의 왕복 이동에 추종하여 왕복 이동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관절 지지 부재(13)는, 체인(25)과, 체인(25)에 설치되어 체인(25)의 굴곡을 제한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체인(25)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에 의하여 구성되고,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는 합성 수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25)은 복수의 내측 링크(27)와 복수의 외측 링크(29)를 구비하고 있다. 각 내측 링크(27)는, 폭 방향 Y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내측 링크 플레이트(26)를 구비하고 있다. 각 외측 링크(29)는, 폭 방향 Y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외측 링크 플레이트(28)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링크(27)의 대향하는 2개의 내측 링크 플레이트(26) 사이의 간격은, 외측 링크(29)의 대향하는 2개의 외측 링크 플레이트(28) 사이의 간격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외측 링크(29)의 2개의 외측 링크 플레이트(28) 사이의 간격은, 내측 링크(27)의 2개의 내측 링크 플레이트(26) 사이의 간격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체인(25)은, 복수의 내측 링크(27) 및 복수의 외측 링크(29)가 교호로 배치되고,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내측 링크(27) 및 외측 링크(29)의 단부끼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내측 링크 플레이트(26) 및 각 외측 링크 플레이트(28)는 직렬 방향 X를 따라 라운딩되어 연장됨과 함께, 직렬 방향 X의 중앙부가 약간 잘록한 판상을 이루고 있다. 직렬 방향 X는, 체인(25)이 그 길이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잡아당겨져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각 내측 링크 플레이트(26) 및 각 외측 링크 플레이트(28)는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체인(25)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의 내측 링크(27)의 제1 단 및 제2 단에 있어서의 내측 링크 플레이트(26)끼리의 사이의 간격이 서로 같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외측 링크(29)의 제1 단 및 제2 단에 있어서의 외측 링크 플레이트(28)끼리의 사이의 간격이 같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체인(25)은, 소위 플랫 타입의 체인이다.
내측 링크 플레이트(26)의 양 단부에는, 원형의 제1 삽입 구멍(30)이 폭 방향 Y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폭 방향 Y는 내측 링크 플레이트(26)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내측 링크(27)에 있어서 대향하는 2개의 내측 링크 플레이트(26) 사이에는, 내측 링크 플레이트(26)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원통형의 부쉬(31)가 조립 부착된다. 각 부쉬(31)는, 대향하는 2개의 내측 링크 플레이트(26) 사이를 교가하도록 양 단부가 각 내측 링크 플레이트(26)의 제1 삽입 구멍(30)에 대하여 삽입 끼움되어 있다.
외측 링크 플레이트(28)의 양 단부에는, 원형의 제2 삽입 구멍(33)이 폭 방향 Y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폭 방향 Y는 외측 링크 플레이트(28)의 두께 방향과도 일치하고 있다. 제2 삽입 구멍(33)에는, 부쉬(31)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원기둥형의 핀(32)을 삽입 끼움 가능하다. 각 내측 링크(27)는, 2개의 내측 링크 플레이트(26) 사이에 2개의 부쉬(31)가 조립 부착되어 형성된다. 외측 링크(29)의 외측 링크 플레이트(28)는, 내측 링크(27)에 있어서의 내측 링크 플레이트(26)의 외측으로부터 핀(32)을 통해 내측 링크(27)의 내측 링크 플레이트(2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핀(32)의 중간부는 내측 링크(27)의 2개의 내측 링크 플레이트(26) 사이에 부착된 부쉬(3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핀(32)의 양 단부는 외측 링크(29)의 외측 링크 플레이트(28)의 제2 삽입 구멍(33)에 삽입 끼움되어 있다. 즉, 핀(32)의 양 단부는, 제2 삽입 구멍(33)에 있어서 1쌍의 외측 링크 플레이트(28)에 각각 끼워맞춰져 있다.
따라서 체인(25)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내측 링크(27)의 2개의 내측 링크 플레이트(26)와 외측 링크(29)의 2개의 외측 링크 플레이트(28)가 직렬 방향 X의 대응하는 단부끼리에서 핀(32) 및 부쉬(31)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체인(25)은, 복수의 내측 링크(27)와 복수의 외측 링크(29)가 교호로 배치된 상태에서 핀(32) 및 부쉬(31)에 의하여 직렬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는 복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복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체인(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되도록 체인(2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체인(25)의 길이 방향은 직렬 방향 X와 일치하고 있다.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굴곡 제한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체인(25)에 있어서, 곧게 연장된 부분을 직선 부분이라 칭하면,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36)는 체인(25)의 직선 부분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Z의 제1 방향 Z1측(도 7에서는 상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높이 방향 Z는 직렬 방향 X 및 폭 방향 Y의 양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응하고, 제1 방향 Z1측은 높이 방향 Z의 일방측에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높이 방향 Z는 직렬 방향 X 및 폭 방향 Y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응한다.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체인(25)의 직선 부분에 있어서의 제1 방향 Z1측과는 반대인 제2 방향 Z2측(도 7에서는 하측)에 설치된다. 즉, 제2 방향 Z2측은 높이 방향 Z의 타방측에 대응한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굴곡 제한 부재(36)는 제1 본체부(40)와 1쌍의 제1 아암부(4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본체부(40)는 직렬 방향 X로 긴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1쌍의 제1 아암부(41)는, 제1 본체부(40)의 제2 방향 Z2측의 면에 있어서의 직렬 방향 X의 양 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그것들 양 단부의 폭 방향 Y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제2 방향 Z2를 따라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1쌍의 제1 아암부(41)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Z의 중앙부보다도 선단부측의 부분(제2 방향 Z2측의 부분)은 내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1쌍의 제1 아암부(41)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내측에는, 부쉬(31)의 외주면과 대응한 제1 원호면(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굴곡 제한 부재(36)가 체인(25)에 설치된 때는, 1쌍의 제1 아암부(41)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를 제1 원호면(42)에 있어서 직렬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한다. 1쌍의 제1 아암부(41)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본체부(40)의 중앙부에는, 제1 본체부(40)를 높이 방향 Z로 관통하는 제1 삽입부로서의 제1 관통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굴곡 제한 부재(36)에 있어서의 직렬 방향 X의 양 외측면은, 제1 방향 Z1측의 절반이 T자형을 이루는 제1 걸림 결합부(44)를 각각 구성하고, 제2 방향 Z2측의 절반이 T자형을 이루는 제1 맞닿음부(45)를 각각 구성하고 있다. 제1 걸림 결합부(44)는 폭 방향 Y 및 높이 방향 Z의 양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다. 제1 맞닿음부(45)는 폭 방향 Y에 대하여 평행이고 또한 높이 방향 Z에 대하여 내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제2 본체부(46)와 1쌍의 제2 아암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본체부(46)는 직렬 방향 X로 긴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1쌍의 제2 아암부(47)는, 제2 본체부(46)의 제1 방향 Z1측의 면에 있어서의 직렬 방향 X의 양 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그것들 양 단부의 폭 방향 Y의 중앙부로부터 제1 방향 Z1을 따라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1쌍의 제2 아암부(47)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Z의 중앙부보다도 기단부측의 부분(제2 방향 Z2측의 부분)은 외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1쌍의 제2 아암부(47)의 기단부부에 있어서의 내측에는, 부쉬(31)의 외주면과 대응한 제2 원호면(4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굴곡 제한 부재(37)가 체인(25)에 설치된 때는, 1쌍의 제2 아암부(47)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를 제2 원호면(48)에 있어서 직렬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한다.
1쌍의 제2 아암부(47)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본체부(46)의 중앙부에는, 제2 본체부(46)를 높이 방향 Z로 관통하는 제2 삽입부로서의 제2 관통 구멍(49)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굴곡 제한 부재(37)에 있어서의 직렬 방향 X의 양 외측면은, 제2 방향 Z2측의 절반이 T자형을 이루는 제2 걸림 결합부(50)를 각각 구성하고, 제1 방향 Z1측의 절반이 T자형을 이루는 제2 맞닿음부(51)를 각각 구성하고 있다.
제2 맞닿음부(51)는 폭 방향 Y 및 높이 방향 Z의 양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다. 제2 걸림 결합부(50)는 폭 방향 Y에 대하여 평행이고 또한 높이 방향 Z에 대하여 내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그리고 제2 걸림 결합부(50)는 제1 맞닿음부(45)와 평행이고, 제2 맞닿음부(51)는 제1 걸림 결합부(44)와 평행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는 체인(25)을 직선상으로 배치한 상태로 체인(25)에 설치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는, 제1 방향 Z1측으로부터 1쌍의 제1 아암부(41)에 의하여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를 순차적으로 끼움 지지하도록 체인(25)에 설치된다.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36)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1 굴곡 제한 부재(36)와 접촉한다. 한편, 복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제2 방향 Z2측으로부터 1쌍의 제2 아암부(47)에 의하여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를 순차적으로 끼움 지지하도록 체인(25)에 설치된다.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2 굴곡 제한 부재(37)와 접촉한다.
또한 하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1쌍의 제1 아암부(41)가 끼움 지지하는 2개의 부쉬(31) 중 한쪽 부쉬(31)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 중 한쪽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1쌍의 제2 아암부(47)에 의하여 끼움 지지된다. 하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1쌍의 제1 아암부(41)가 끼움 지지하는 2개의 부쉬(31) 중 다른 쪽 부쉬(31)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 중 다른 쪽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1쌍의 제2 아암부(47)에 의하여 끼움 지지된다.
또한 하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1쌍의 제2 아암부(47)가 끼움 지지하는 2개의 부쉬(31) 중 한쪽 부쉬(31)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 중 한쪽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1쌍의 제1 아암부(41)에 의하여 끼움 지지된다. 한편, 하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1쌍의 제2 아암부(47)가 끼움 지지하는 2개의 부쉬(31) 중 다른 쪽 부쉬(31)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 중 다른 쪽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1쌍의 제1 아암부(41)에 의하여 끼움 지지된다.
즉, 하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1쌍의 제1 아암부(41)가 끼움 지지하는 2개의 부쉬(31)와, 그 제1 굴곡 제한 부재(36)에 대응하는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1쌍의 제2 아암부(47)가 끼움 지지하는 2개의 부쉬(31)는, 하나의 부쉬(31)가 공통으로 되어 있다. 즉, 각 부쉬(31)는 하나의 제1 아암부(41)와 하나의 제2 아암부(47)에 의하여 직렬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제1 관통 구멍(43)에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 중 한쪽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2개의 제2 아암부(47) 중 하나의 제2 아암부(47)의 선단부와, 다른 쪽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2개의 제2 아암부(47) 중 하나의 제2 아암부(47)의 선단부가 삽입된다. 이 경우, 제1 관통 구멍(43)에 삽입된 제2 아암부(47)의 선단부는 제1 관통 구멍(43)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다.
한편, 하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제2 관통 구멍(49)에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 중 한쪽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2개의 제1 아암부(41) 중 하나의 제1 아암부(41)의 선단부와, 다른 쪽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2개의 제1 아암부(41) 중 하나의 제1 아암부(41)의 선단부가 삽입된다. 이 경우, 제2 관통 구멍(49)에 삽입된 제1 아암부(41)의 선단부는 제2 관통 구멍(49)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굴곡 제한 부재(36)는, 제1 걸림 결합부(44)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제1 걸림 결합부(44)과 걸림 결합함으로써 내측 링크(27)와 외측 링크(29)의 상대적인 회전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체인(25)의 제1 방향 Z1로의 굴곡을 제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굴곡 제한 부재(36)는, 체인(25)이 직선상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제1 방향 Z1로 더 굴곡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다관절 지지 부재(13)는, 직선 자세(도 10에서 도시하는 자세)로부터 그 이상의 제1 방향 Z1측(도 10에 있어서의 상측)으로의 굴곡(회전)이 규제된다.
도 7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제2 걸림 결합부(50)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제2 걸림 결합부(50)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내측 링크(27)와 외측 링크(29)의 상대적인 회전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체인(25)의 제2 방향 Z2로의 굴곡을 제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제2 방향 Z2로의 체인(25)의 굴곡을 체인(25)의 굴곡 반경이 소정의 굴곡 반경 R로 되는 굴곡 자세(도 11에서 도시하는 자세)까지 허용한다.
따라서 다관절 지지 부재(13)는, 제2 방향 Z2측(도 11에 있어서의 하측)으로의 굴곡이 소정의 굴곡 반경 R까지의 범위로 규제된다. 즉, 다관절 지지 부재(13)는, 제2 방향 Z2측으로의 굴곡이 소정의 굴곡 반경 R로 규제되므로, 소정의 굴곡 반경 R보다도 작은 굴곡 반경으로는 굴곡될 수 없다.
달리 말하면,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가 고정 단부에 있어서 설비(20)에 고정되고, 또한 이동 단부에 있어서 이동체(21)에 고정된 경우,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의 고정 단부와 이동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만곡부(11a)의 굴곡 반경이 소정의 굴곡 반경보다도 작아지지 않도록 다관절 지지 부재(13)의 최소 굴곡 반경은 설정된다.
또한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만곡부(11a)와 이동 단부 사이에서 공중에서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자중에 의하여 처짐 방향의 힘을 받는다. 이때,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의 당해 부분에 있어서는,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굴곡 가능한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는 직선상의 배치 상태로부터 굴곡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관절 지지 부재(13)의 처짐 방향으로의 굴곡이 규제된다.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의 양 단부의 2개의 제1 관상 부재(12a) 내에 삽입된 2개의 다관절 지지 부재(13)는, 그것들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굴곡될 수 있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는, 그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2개의 제1 관상 부재(12a)에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다관절 지지 부재(13)는, 그것들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굴곡 가능한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를 도 3에 도시하는 설비(2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다관절 지지 부재(13)에 있어서 굴곡이 가능한 측이 만곡부(11a)의 내주측과 일치하도록 제1 고정 부재(14a)를 설치면(22)에 고정함과 함께, 제2 고정 부재(14b)를 이동체(21)에 고정한다.
피복선(15)은 이동체(21)가 일 방향(도 3에서는 좌우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 제1 및 제2 관상 부재(12a, 12b)를 통해 다관절 지지 부재(13)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안내된다. 이때, 만곡부(11a)의 굴곡 반경은 소정의 굴곡 반경 R 이상의 크기로 유지된다. 또한 이때,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의 만곡부(11a)와 제2 고정 부재(14b) 사이의 부분에는 자중에 의하여 처짐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 처짐 방향은,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직선상으로부터 굴곡되는 것이 규제되어 있는 방향이므로,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의 처짐양이 저감된다.
다관절 지지 부재(13)는 이동체(21)의 왕복 이동에 추종하여 왕복 이동할 때, 그 자세가 직선 자세(도 10에서 도시하는 자세)와 굴곡 자세(도 11에서 도시하는 자세) 사이에서 반복하여 변화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직선 자세로 배치된 경우에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제1 걸림 결합부(44)끼리가 걸림 결합함과 함께,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제2 맞닿음부(51)끼리가 걸림 결합한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굴곡 자세로 배치된 경우에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제2 걸림 결합부(50)끼리가 걸림 결합함과 함께,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제1 맞닿음부(45)끼리가 걸림 결합한다. 이때,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제2 아암부(47)는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제1 관통 구멍(43)의 내측면에 맞닿는다. 제2 아암부(47)의 제1 관통 구멍(43)의 내측면에 대한 맞닿음은, 다관절 지지 부재(13)의 굴곡을 굴곡 자세까지 규제할 때의 보조로 됨과 함께, 제2 굴곡 제한 부재(37)가 체인(25)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체인(25)에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복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복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체인(25)의 높이 방향 Z로의 굴곡을 제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를 설치한 체인(25)을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의 다관절 지지 부재(13)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 결합부(44)의 각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와 제2 걸림 결합부(50)의 각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미리 준비해 두면,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교체 장착하는 것만으로 체인(25)의 굴곡 한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체인(25)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굴곡 제한 부재(36)와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각각 교환함으로써, 체인(25)의 제1 방향 Z1측의 굴곡 한도와 체인(25)의 제2 방향 Z2측의 굴곡 한도를 각각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체인(25)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1쌍의 제1 아암부(41)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1쌍의 제2 아암부(47)를 각각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에 걸쳐 있게 한 상태에서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손가락으로 체인(25)에 대하여 압입하면 된다. 한편,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체인(25)으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손가락으로 집고 체인(25)으로부터 당겨서 뽑아도 되고, 가는 봉상의 것으로 비집어 틀듯이 하여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체인(25)으로부터 떼어내도 된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1)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를 구성하는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체인(25)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때문에, 제1 걸림 결합부(44)의 각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와 제2 걸림 결합부(50)의 각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미리 준비해 두면,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교체 장착하는 것만으로 체인(25)의 굴곡 한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체인(25)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굴곡 제한 부재(36)와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각각 교환함으로써, 체인(25)의 제1 방향 Z1측의 굴곡 한도와 체인(25)의 제2 방향 Z2측의 굴곡 한도를 각각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2)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를 구성하는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체인(25)에 설치된 때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를 끼움 지지하는 1쌍의 제1 아암부(41) 및 1쌍의 제2 아암부(47)를 각각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각각 체인(25)에 대하여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3)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에 있어서, 하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1쌍의 제1 아암부(41)에 의하여 끼움 지지되는 2개의 부쉬(31)와, 그 제1 굴곡 제한 부재(36)에 대응하는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1쌍의 제2 아암부(47)에 의하여 끼움 지지되는 2개의 부쉬(31)는, 하나의 부쉬(31)가 공통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체인(25)에 대하여 더 많은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설치할 수 있다.
(4)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36)는 1쌍의 제1 아암부(41) 사이에 형성된 제1 관통 구멍(43)을 갖는다. 제1 관통 구멍(43)에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 중 한쪽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2개의 제2 아암부(47) 중 하나의 제2 아암부(47)와, 다른 쪽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2개의 제2 아암부(47) 중 하나의 제2 아암부(47)가 삽입된다.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1쌍의 제2 아암부(47) 사이에 형성된 제2 관통 구멍(49)을 갖는다. 제2 관통 구멍(49)에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 중 한쪽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2개의 제1 아암부(41) 중 하나의 제1 아암부(41)와, 다른 쪽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2개의 제1 아암부(41) 중 하나의 제1 아암부(41)가 삽입된다. 이 때문에, 제1 굴곡 제한 부재(36)에 있어서의 제1 아암부(41)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에 있어서의 제2 아암부(47)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1 아암부(41) 및 제2 아암부(47)의, 부쉬(31)에 대한 끼움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5)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에 있어서, 제1 굴곡 제한 부재(36)는, 체인(25)이 직선상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제1 방향 Z1로 더 굴곡되는 것을 규제하고,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제2 방향 Z2로의 체인(25)의 굴곡을 체인(25)의 굴곡 반경이 소정의 굴곡 반경 R로 될 때까지 허용한다. 이 때문에, 체인(25)의 일 단부를 설치면(22)에 고정함과 함께, 만곡부(11a)를 형성하면서 타 단부를 설치면(22)의 상방에 배치된 이동체(21)에 고정한 상태에서 이동체(21)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하여 사용한 경우에, 이동체(21)의 왕복 이동에 추종하여 왕복 이동하는 체인(25)의 궤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6)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에 있어서,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1쌍의 제1 아암부(41) 및 1쌍의 제2 아암부(47)를 각각 부쉬(31)에 대하여 수작업으로 끼워넣는 것만으로 공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체인(25)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의 제2 실시 형태를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도면에 따라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의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다관절 지지 부재(55)로 변경되어 있다. 즉,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가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56)로 변경되어 있다. 다관절 지지 부재(55)는, 체인(25)과, 체인(25)에 설치되어 체인(25)의 굴곡을 제한하는 합성 수지제의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56)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56)는 복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57) 및 복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58)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1 굴곡 제한 부재(57)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58)는 체인(25)의 직렬 방향 X를 따라 나열되도록 체인(2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체인(25)에 있어서, 곧게 연장된 부분을 직선 부분이라 칭하면,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57)는, 체인(25)의 직선 부분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Z의 제1 방향 Z1측(도 15에서는 상측)에 설치된다.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58)는, 체인(25)의 직선 부분에 있어서의 제1 방향 Z1측과는 반대인 제2 방향 Z2측(도 15에서는 하측)에 설치된다.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굴곡 제한 부재(57)는 제1 본체부(59)와 제1 끼워맞춤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본체부(59)는 직렬 방향 X로 긴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끼워맞춤부(60)는, 제1 본체부(59)의 제2 방향 Z2측의 면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제2 방향 Z2를 따라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제1 굴곡 제한 부재(57)는 폭 방향 Y에서 보아 대략 T자형을 이루고 있다. 제1 끼워맞춤부(60)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직렬 방향 X의 양측에는, 부쉬(31)의 외주면과 대응한 제1 원호면(6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굴곡 제한 부재(57)가 체인(25)에 설치된 때는, 제1 끼워맞춤부(60)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 사이에 제1 원호면(61)에 있어서 끼워맞춰진다. 즉, 제1 끼워맞춤부(60)가 제1 원호면(61)에 있어서 직렬 방향 X에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에 의하여 끼움 지지된다. 제1 굴곡 제한 부재(57)의 제1 본체부(59)에 있어서의 직렬 방향 X의 양 측면은, T자형을 이루는 제1 걸림 결합부(62)를 각각 구성하고 있다. 제1 걸림 결합부(62)는 폭 방향 Y 및 높이 방향 Z의 양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굴곡 제한 부재(58)는 제2 본체부(63)와 제2 끼워맞춤부(64)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본체부(63)는 직렬 방향 X로 긴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끼워맞춤부(64)는, 제2 본체부(63)의 제1 방향 Z1측의 면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제1 방향 Z1을 따라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제2 굴곡 제한 부재(58)는 폭 방향 Y에서 보아 대략 T자형을 이루고 있다. 제2 끼워맞춤부(64)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직렬 방향 X의 양측에는, 부쉬(31)의 외주면과 대응한 제2 원호면(6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굴곡 제한 부재(58)가 체인(25)에 설치된 때는, 제2 끼워맞춤부(64)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 사이에 제2 원호면(65)에 있어서 끼워맞춰진다. 즉, 제2 끼워맞춤부(64)가 제2 원호면(65)에 있어서 직렬 방향 X에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에 의하여 끼움 지지된다.
제2 굴곡 제한 부재(58)의 제2 본체부(63)에 있어서의 직렬 방향 X의 양측면은, T자형을 이루는 제2 걸림 결합부(66)을 각각 구성하고 있다. 제2 걸림 결합부(66)는 폭 방향 Y에 대하여 평행이고 또한 높이 방향 Z에 대하여 약간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걸림 결합부(66)는, 제2 끼워맞춤부(64)측을 향할수록 제2 본체부(63)에 있어서의 직렬 방향 X의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56)는 체인(25)을 직선상으로 배치한 상태로 체인(25)에 설치된다. 이 경우,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57)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 사이에 제1 끼워맞춤부(60)가 제1 방향 Z1측으로부터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1 굴곡 제한 부재(57)와 접촉한다.
한편,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58)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 사이에 제2 끼워맞춤부(64)가 제2 방향 Z2측으로부터 끼워맞춰져 있지만,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2 굴곡 제한 부재(58)와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체인(25)의 복수의 부쉬(31) 사이에는, 직렬 방향 X를 따라 제1 굴곡 제한 부재(57)의 제1 끼워맞춤부(60)와 제2 굴곡 제한 부재(58)의 제2 끼워맞춤부(64)가 교호로 끼워맞춰진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굴곡 제한 부재(57)는, 제1 걸림 결합부(62)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1 굴곡 제한 부재(57)의 제1 걸림 결합부(62)과 걸림 결합함으로써 내측 링크(27)(도 7 참조)과 외측 링크(29)(도 7 참조)의 상대적인 회전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체인(25)의 제1 방향 Z1로의 굴곡을 제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굴곡 제한 부재(57)는, 체인(25)이 직선상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제1 방향 Z1로 더 굴곡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다관절 지지 부재(55)는, 직선 자세(도 15에서 도시하는 자세)로부터 그 이상의 제1 방향 Z1측(도 15에 있어서의 상측)으로의 굴곡(회전)이 규제된다.
다관절 지지 부재(55)가 직선 자세에 있을 때는, 제1 굴곡 제한 부재(57)의 제1 끼워맞춤부(60)의 선단면은 제2 굴곡 제한 부재(58)의 제2 본체부(63)에 접촉하지 않지만, 제2 굴곡 제한 부재(58)의 제2 끼워맞춤부(64)의 선단면은 제1 굴곡 제한 부재(57)의 제1 본체부(59)에 접촉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굴곡 제한 부재(58)는, 제2 걸림 결합부(66)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2 굴곡 제한 부재(58)의 제2 걸림 결합부(66)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내측 링크(27)(도 7 참조)와 외측 링크(29)(도 7 참조)의 상대적인 회전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체인(25)의 제2 방향 Z2로의 굴곡을 제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굴곡 제한 부재(58)는, 제2 방향 Z2로의 체인(25)의 굴곡을 체인(25)의 굴곡 반경이 소정의 굴곡 반경 R로 되는 굴곡 자세(도 16에서 도시하는 자세)까지 허용한다.
따라서 다관절 지지 부재(55)는, 제2 방향 Z2측(도 16에 있어서의 하측)으로의 굴곡이 소정의 굴곡 반경 R까지의 범위로 규제된다. 즉, 다관절 지지 부재(55)는, 제2 방향 Z2측으로의 굴곡이 소정의 굴곡 반경 R로 규제되므로, 소정의 굴곡 반경 R보다도 작은 굴곡 반경으로는 굴곡될 수 없다.
다관절 지지 부재(55)가 굴곡 자세에 있을 때는, 제1 굴곡 제한 부재(57)의 제1 끼워맞춤부(60)의 선단면은 제2 굴곡 제한 부재(58)의 제2 본체부(63)에 접촉하지만, 제2 굴곡 제한 부재(58)의 제2 끼워맞춤부(64)의 선단면은 제1 굴곡 제한 부재(57)의 제1 본체부(59)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 경우,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57)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1 굴곡 제한 부재(57)와 접촉하고 있지 않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1) 및 (5)의 효과 외에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7)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56)를 구성하는 제1 굴곡 제한 부재(57)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58)는, 체인(25)에 설치된 때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제1 끼워맞춤부(60) 및 제2 끼워맞춤부(64)를 각각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굴곡 제한 부재(57)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58)를 각각 체인(25)에 대하여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8)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56)에 있어서, 제1 굴곡 제한 부재(57)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58)는, 제1 끼워맞춤부(60) 및 제2 끼워맞춤부(64)를 각각 부쉬(31) 사이에 대하여 수작업으로 끼워넣는 것만으로 공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체인(25)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의 제3 실시 형태를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도면에 따라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의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다관절 지지 부재(70)로 변경되어 있다. 즉,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가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71)로 변경되어 있다. 다관절 지지 부재(70)는, 체인(25)과, 체인(25)에 설치되어 체인(25)의 굴곡을 제한하는 합성 수지제의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71)를 구비하고 있다.
도 17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71)는, 체인(25)의 직렬 방향 X를 따라 나열되도록 체인(2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굴곡 제한 부재(72)를 구비하고 있다. 체인(25)에 있어서, 곧게 연장된 부분을 직선 부분이라 칭하면, 각 굴곡 제한 부재(72)는, 체인(25)의 직선 부분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Z의 제1 방향 Z1측(도 17에서는 상측)에 설치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 제한 부재(72)는 본체부(74)와 1쌍의 아암부(75)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74)은 직렬 방향 X로 긴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1쌍의 아암부(75)는, 본체부(74)의 제2 방향 Z2측의 면에 있어서의 직렬 방향 X의 양 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그것들 양 단부의 폭 방향 Y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제2 방향 Z2을 따라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1쌍의 아암부(75)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Z의 중앙부보다도 선단부측의 부분(제2 방향 Z2측의 부분)은 내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본체부(74)의 제2 방향 Z2측의 면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제2 방향 Z2를 따라 돌출하도록 끼워맞춤부(76)가 마련되어 있다. 높이 방향 Z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부(76)의 길이는 1쌍의 아암부(75)의 길이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굴곡 제한 부재(72)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부(76)의 양측으로부터 1쌍의 아암부(75)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내측에 걸친 부분에 마련된 원호면(77)을 갖고 있다. 원호면(77)은 부쉬(31)의 외주면과 대응하고 있다.
굴곡 제한 부재(72)이 체인(25)에 설치된 때는, 1쌍의 아암부(75)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를 원호면(77)에 있어서 직렬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함과 함께, 끼워맞춤부(76)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 사이에 원호면(77)에 있어서 끼워맞춰진다.
굴곡 제한 부재(72)에 있어서의 직렬 방향 X의 양 외측면은, 제1 방향 Z1측의 절반이 T자형을 이루는 제1 걸림 결합부(78)를 각각 구성하고, 제2 방향 Z2측의 절반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제2 걸림 결합부(79)를 각각 구성하고 있다. 제1 걸림 결합부(78)는 폭 방향 Y 및 높이 방향 Z의 양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다. 제2 걸림 결합부(79)는 폭 방향 Y에 대하여 평행이고 또한 높이 방향 Z에 대하여 내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71)는 체인(25)을 직선상으로 배치한 상태로 체인(25)에 설치된다. 이 경우, 복수의 굴곡 제한 부재(72)는, 제1 방향 Z1측으로부터 1쌍의 아암부(75)에 의하여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31)를 순차적으로 끼움 지지함과 함께, 그 1쌍의 아암부(75)에 의하여 끼움 지지된 2개의 부쉬(31) 사이에 끼워맞춤부(76)가 끼워맞춰지도록 배치된다. 각 굴곡 제한 부재(72)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굴곡 제한 부재(72)와 접촉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 제한 부재(72)는, 제1 걸림 결합부(78)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굴곡 제한 부재(72)의 제1 걸림 결합부(78)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내측 링크(27)(도 7 참조)와 외측 링크(29)(도 7 참조)의 상대적인 회전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체인(25)의 제1 방향 Z1로의 굴곡을 제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굴곡 제한 부재(72)는, 체인(25)이 직선상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제1 방향 Z1로 더 굴곡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다관절 지지 부재(70)는, 직선 자세(도 19에서 도시하는 자세)로부터 그 이상의 제1 방향 Z1측(도 19에 있어서의 상측)으로의 굴곡(회전)이 규제된다. 다관절 지지 부재(70)가 직선 자세에 있을 때는, 굴곡 제한 부재(72)의 제2 걸림 결합부(79)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굴곡 제한 부재(72)의 제2 걸림 결합부(79)와 접촉하지 않는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 제한 부재(72)는, 제2 걸림 결합부(79)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굴곡 제한 부재(72)의 제2 걸림 결합부(79)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내측 링크(27)(도 7 참조)와 외측 링크(29)(도 7 참조)의 상대적인 회전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체인(25)의 제2 방향 Z2로의 굴곡을 제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굴곡 제한 부재(72)는, 제2 방향 Z2로의 체인(25)의 굴곡을 체인(25)의 굴곡 반경이 소정의 굴곡 반경 R로 되는 굴곡 자세(도 20에서 도시하는 자세)까지 허용한다.
따라서 다관절 지지 부재(70)는, 제2 방향 Z2측(도 20에 있어서의 하측)으로의 굴곡이 소정의 굴곡 반경 R까지의 범위로 규제된다. 즉, 다관절 지지 부재(70)는, 제2 방향 Z2측으로의 굴곡이 소정의 굴곡 반경 R로 규제되므로, 소정의 굴곡 반경 R보다도 작은 굴곡 반경으로는 굴곡될 수 없다. 다관절 지지 부재(70)가 굴곡 자세에 있을 때는, 굴곡 제한 부재(72)의 제1 걸림 결합부(78)는,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굴곡 제한 부재(72)의 제1 걸림 결합부(78)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1) 및 (5)의 효과 외에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9)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71)는 1종의 굴곡 제한 부재(7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실시 형태의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 및 제2 실시 형태의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56)에 비하여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를 구성하는 부품의 종류를 저감할 수 있다.
(10)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71)에 있어서, 굴곡 제한 부재(72)는, 1쌍의 아암부(75) 및 끼워맞춤부(76)를 부쉬(31)에 대하여 수작업으로 끼워넣는 것만으로 공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체인(25)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변경예)
각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는, 체인(25)에 대하여 복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복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37)를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교호로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굴곡 제한 부재(36)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는, 직렬 방향 X를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부쉬(31)를 중복하지 않고 2개씩 끼움 지지한다. 그리고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직선 자세에 있을 때는,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제1 걸림 결합부(44)가 직렬 방향 X에서 인접하는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제2 맞닿음부(51)와 걸림 결합함과 함께,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제1 맞닿음부(45)가 직렬 방향 X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제2 걸림 결합부(50)로부터 이격된다. 한편, 다관절 지지 부재(13)가 굴곡 자세에 있을 때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제1 맞닿음부(45)가 인접하는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제2 걸림 결합부(50)와 걸림 결합함과 함께,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제1 걸림 결합부(44)가 인접하는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제2 맞닿음부(51)로부터 이격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되는 변형예의 다관절 지지 부재(13)에 있어서,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제1 관통 구멍(43)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제2 관통 구멍(49) 중 적어도 한쪽을 생략해도 된다.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제1 관통 구멍(43) 및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제2 관통 구멍(49) 대신, 제1 본체부(40) 및 제2 본체부(46)를 관통하지 않도록 이들에 각각 형성한 오목부를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로서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오목부에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제2 아암부(47)가 삽입되고, 제2 굴곡 제한 부재(37)의 오목부에 제1 굴곡 제한 부재(36)의 제1 아암부(41)가 삽입된다.
·제1 굴곡 제한 부재(36, 57) 및 굴곡 제한 부재(72)는, 체인(25)이 직선 자세로부터 제1 방향 Z1로 더 굴곡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의 굴곡 제한 부재(72)에 있어서 끼워맞춤부(76)를 생략해도 된다.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 56, 71)는 금속제여도 된다.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 56, 71)는, 대향하는 2개의 링크 사이의 간격이 일 단부측과 타 단부측에서 상이한 오프셋 링크를 사용한, 소위 오프셋 체인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35, 56, 71)는, 체인(25)에 있어서의 부쉬(31)가 롤러에 삽입 관통되어 부쉬(31)에 의하여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 체인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긴 형상물은, 이동체(21)에의 급전용의 피복선(15) 외에, 예를 들어 이동체(21)에 신호 전송을 행하는 광 케이블, 이동체(21)에 기체(예를 들어 공기 등)나 액체(예를 들어 물이나 오일 등) 등을 공급하는 호스 등이어도 된다.
25: 체인
27: 링크로서의 내측 링크
29: 링크로서의 외측 링크
31: 부쉬
32: 핀
35, 56, 71: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36, 57: 제1 굴곡 제한 부재(굴곡 제한 부재)
37, 58: 제2 굴곡 제한 부재(굴곡 제한 부재)
41: 제1 아암부
43: 제1 삽입부로서의 제1 관통 구멍
44, 62, 78: 제1 걸림 결합부
47: 제2 아암부
49: 제2 삽입부로서의 제2 관통 구멍
50, 66, 79: 제2 걸림 결합부
60: 제1 끼워맞춤부
64: 제2 끼워맞춤부
72: 굴곡 제한 부재
R: 소정의 굴곡 반경
X: 직렬 방향
Z1: 제1 방향
Z2: 제2 방향

Claims (9)

  1. 복수의 링크가 직렬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형성된 체인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링크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 쌍의 링크를 포함하고, 각 쌍의 2개의 링크끼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굴곡을 제한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이며,
    상기 체인의 직렬 방향을 따라 나열되도록 상기 체인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굴곡 제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굴곡 제한 부재의 각각은,
    상기 체인이 상기 직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방향으로 굴곡되는 경우에,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굴곡 제한 부재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굴곡을 제한하는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체인이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굴곡되는 경우에,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굴곡 제한 부재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굴곡을 제한하는 제2 걸림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굴곡 제한 부재의 각각은,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를 갖는 제1 굴곡 제한 부재와,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를 갖는 제2 굴곡 제한 부재를
    구비하고,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는, 그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제1 걸림 결합부가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제1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굴곡을 제한하고,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그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제2 걸림 결합부가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제2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굴곡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상기 복수 쌍의 링크와, 각 쌍의 2개의 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핀 및 통형의 복수의 부쉬에 의하여 구성되고, 각 핀은 상기 복수의 부쉬 중 대응하는 하나의 부쉬에 삽입되고,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체인에 설치된 때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를 상기 직렬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하는 1쌍의 제1 아암부를 갖고,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체인에 설치된 때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를 상기 직렬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하는 1쌍의 제2 아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 중 하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1쌍의 제1 아암부에 의하여 끼움 지지되는 2개의 부쉬와, 복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 중 대응하는 하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1쌍의 제2 아암부에 의하여 끼움 지지되는 2개의 부쉬는, 하나의 부쉬가 공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5. 제4항에 있어서,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는 1쌍의 제1 아암부 사이에 형성된 제1 삽입부를 구비하고, 당해 제1 삽입부에는,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굴곡 제한 부재 중 한쪽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2개의 제2 아암부 중 하나의 제2 아암부와, 다른 쪽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2개의 제2 아암부 중 하나의 제2 아암부가 삽입되고,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1쌍의 제2 아암부 사이에 형성된 제2 삽입부를 구비하고, 당해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제1 굴곡 제한 부재 중 한쪽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2개의 제1 아암부 중 하나의 제1 아암부와, 다른 쪽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2개의 제1 아암부 중 하나의 제1 아암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상기 복수 쌍의 링크와, 각 쌍의 2개의 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핀 및 통형의 복수의 부쉬에 의하여 구성되고, 각 핀은 상기 복수의 부쉬 중 대응하는 하나의 부쉬에 삽입되고,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체인에 설치된 때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제1 끼워맞춤부를 갖고,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체인에 설치된 때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부쉬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제2 끼워맞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체인이 직선상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굴곡되는 것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체인의 굴곡을 상기 체인의 굴곡 반경이 소정의 굴곡 반경으로 될 때까지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체인이 직선상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굴곡되는 것을 규제하고,
    복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체인의 굴곡을 상기 체인의 굴곡 반경이 소정의 굴곡 반경으로 될 때까지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굴곡 제한 부재의 각각은,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를 갖는 제1 굴곡 제한 부재와,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를 갖는 제2 굴곡 제한 부재를 구비하고,
    복수의 제1 굴곡 제한 부재 및 복수의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교호로 배치되고,
    각 제1 굴곡 제한 부재는, 그 제1 굴곡 제한 부재의 제1 걸림 결합부가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2 굴곡 제한 부재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굴곡을 제한하고,
    각 제2 굴곡 제한 부재는, 그 제2 굴곡 제한 부재의 제2 걸림 결합부가 상기 직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굴곡 제한 부재와 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체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굴곡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KR1020187005118A 2015-07-29 2016-07-25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KR102069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49910 2015-07-29
JP2015149910A JP6301876B2 (ja) 2015-07-29 2015-07-29 チェーン用屈曲制限アタッチメント
PCT/JP2016/071736 WO2017018381A1 (ja) 2015-07-29 2016-07-25 チェーン用屈曲制限アタッチメ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545A true KR20180033545A (ko) 2018-04-03
KR102069648B1 KR102069648B1 (ko) 2020-01-23

Family

ID=5788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118A KR102069648B1 (ko) 2015-07-29 2016-07-25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18407B2 (ko)
JP (1) JP6301876B2 (ko)
KR (1) KR102069648B1 (ko)
CN (1) CN107850185B (ko)
DE (1) DE112016003396B4 (ko)
TW (1) TWI625479B (ko)
WO (1) WO20170183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390B1 (ko) * 2018-10-23 2019-10-18 주식회사 루아시스템즈 케이블 베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1893B1 (fr) * 2017-09-29 2019-09-20 Total Raffinage Chimie Dispositif de support pour une chaine boutante pourvue d'ergots de support.
KR101995232B1 (ko) * 2018-11-01 2019-07-02 주식회사 브라이트코리아 전송라인 슬리브용 지지모듈
JP7396016B2 (ja) * 2019-12-17 2023-12-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2978U (ko) * 1986-08-21 1988-03-03
JPS6354737U (ko) * 1986-09-30 1988-04-12
JPH0493290A (ja) 1990-08-08 1992-03-26 Brother Ind Ltd プリント方法
JPH08121542A (ja) * 1994-10-19 1996-05-14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カバーの誤着防止装置
JPH08231017A (ja) * 1995-02-27 1996-09-10 Daido Kogyo Co Ltd チェーン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19065B (de) 1960-09-02 1961-12-07 Reimers Getriebe K G Laschenkette
US4114467A (en) * 1976-12-02 1978-09-19 Rexnord Inc. Snap-on wear pad
GB2153041B (en) * 1984-01-21 1987-01-14 Rexnord Kette Gmbh & Co Kg Load transmitting chain with plate links
US5042244A (en) * 1990-05-21 1991-08-27 Drives-Incorporated Roof top chain
DE9006153U1 (de) * 1990-05-31 1990-08-02 Rexnord Kette GmbH & Co KG, 5240 Betzdorf Gliederkette, insbesondere Flyerkette
JP2538892Y2 (ja) 1991-01-09 1997-06-18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チエン
JPH0564559U (ja) * 1991-05-29 1993-08-27 株式会社江沼チェン製作所 緩衝材付きチェーン
US6952916B1 (en) * 1998-06-18 2005-10-11 Assa Abloy Financial Services Ab Multi-link connector
JP4556031B2 (ja) * 2000-05-02 2010-10-06 吉田 英次 チェーンカバー
US6662545B1 (en) * 2002-11-05 2003-12-16 Masakazu Yamamoto Chain cover
US6858797B2 (en) * 2002-11-22 2005-02-22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upport member for an assembly
US6945388B2 (en) * 2004-02-02 2005-09-20 Rexnord Industries, Inc. Anti-shingling product conveying chain
EP2034218B1 (en) * 2007-08-28 2012-04-04 VKR Holding A/S Push-pull chain and actuator
TW200923229A (en) 2007-11-26 2009-06-01 Kmc Chain Ind Co Ltd Improved structure for chain plates of chain
US9243685B2 (en) * 2008-04-18 2016-01-26 Automatic Technology (Australia) Pty. Ltd. Noise reduction device
DK2146033T3 (en) * 2008-07-18 2017-08-14 Windowmaster Int As Pull-push chain and actuator
JP4749494B1 (ja) * 2010-04-02 2011-08-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用多関節支持部材
JP6002656B2 (ja) * 2013-12-04 2016-10-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フラット状伝送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2978U (ko) * 1986-08-21 1988-03-03
JPS6354737U (ko) * 1986-09-30 1988-04-12
JPH0493290A (ja) 1990-08-08 1992-03-26 Brother Ind Ltd プリント方法
JPH08121542A (ja) * 1994-10-19 1996-05-14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カバーの誤着防止装置
JPH08231017A (ja) * 1995-02-27 1996-09-10 Daido Kogyo Co Ltd チェーンカ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390B1 (ko) * 2018-10-23 2019-10-18 주식회사 루아시스템즈 케이블 베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50185B (zh) 2019-12-27
DE112016003396B4 (de) 2022-02-17
JP2017032010A (ja) 2017-02-09
US10718407B2 (en) 2020-07-21
DE112016003396T5 (de) 2018-04-12
KR102069648B1 (ko) 2020-01-23
TWI625479B (zh) 2018-06-01
US20180195581A1 (en) 2018-07-12
TW201712247A (zh) 2017-04-01
WO2017018381A1 (ja) 2017-02-02
JP6301876B2 (ja) 2018-03-28
CN107850185A (zh)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3545A (ko) 체인용 굴곡 제한 어태치먼트
WO2016175080A1 (ja) 長尺物の案内装置及び固定部材
DE102010032920C5 (de) Räumlich auslenkbar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mit Krümmungsradiusbegrenzern
JP6458654B2 (ja) ケーブル
EP2318186B1 (en) Robotic arm
KR101818081B1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EP1743748A1 (en) Guiding structure comprising a flexible tabular guide member for an umbilical member of an industrial robot
JP7339095B2 (ja) 線条体支持装置
WO2016152585A1 (ja) 長尺物の案内装置
AT509966B1 (d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mit einer rückstelleinheit und roboter mit einer solchen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WO2016017461A1 (ja) 長尺物の案内装置
US9765852B2 (en) Device for guiding long object
KR101490217B1 (ko) 다관절 로봇의 관절구조
KR102497064B1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및 롤러 어태치먼트
US10687694B2 (en) Wire-driven manipulator
DE102006052832A1 (de) Mäanderfeder zur Anordnung zwischen zwei Elementen
US20220393454A1 (en) Cable carrier element
KR101923416B1 (ko) 자켓 타입의 로보체인
US11253248B2 (en) Articulated meniscal repair instrument
PL233136B1 (pl) Elektryczne złącze ślizgowe
JP2023153902A (ja) 屈曲構造体
EP3591776A1 (en) Cable rou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