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433A -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433A
KR20180031433A KR1020160120047A KR20160120047A KR20180031433A KR 20180031433 A KR20180031433 A KR 20180031433A KR 1020160120047 A KR1020160120047 A KR 1020160120047A KR 20160120047 A KR20160120047 A KR 20160120047A KR 20180031433 A KR20180031433 A KR 20180031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hamber
lid member
plate glass
vacuum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604B1 (ko
Inventor
박재일
Original Assignee
박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일 filed Critical 박재일
Priority to KR102016012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604B1/ko
Priority to EP17853377.4A priority patent/EP3517513B1/en
Priority to CN201780071023.3A priority patent/CN109982985B/zh
Priority to US16/334,480 priority patent/US11155497B2/en
Priority to JP2019515419A priority patent/JP6806887B2/ja
Priority to PCT/KR2017/010232 priority patent/WO2018056663A2/ko
Publication of KR20180031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32B17/1004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26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 E06B3/6733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by applying, e.g. extruding, a ribbon of hardenable material on or between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06B3/6775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during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26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 E06B3/67334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by soldering; Preparing the pan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39Working the edges of already assembled units
    • E06B3/6736Heat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65Transporting or handling panes, spacer frames or units during assemb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65Transporting or handling panes, spacer frames or units during assembly
    • E06B3/67386Presses; Clamping means holding the panes during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유리판 조립체의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에지 밀봉 단계와, 상기 가장자리가 밀봉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상기 유리판 조립체의 배기구를 덮개 부재로 밀봉하는 배기구 밀봉 단계를 포함한다. 에지 밀봉 단계에서는 고온 용융 땜납 유리가 사용되고, 배기구 밀봉 단계에서는 저온 용융 땜납 유리가 사용된다. 또한, 배기구 밀봉을 위하여는 특별히 고안된 덮개 부재 폐쇄장치가 사용된다.
덮개 부재 폐쇄장치는 가이드 구멍을 갖고 판유리 조립체에 고정하기 클램핑 유닛과, 가이드 구멍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구멍에 설치된 덮개 부재 보유 홀더와, 상기 클램핑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 운동을 상기 덮개 부재 보유 홀더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승강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INSULATION GLASS PANEL ASSEMBLY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냉난방 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건축물의 냉난방 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의 대부분이 창호를 통하여 일어난다. 유리 창호를 통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공단열 판유리 조립체가 개발되었다.
종래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에 배기관을 연결하고, 배기관을 통하여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밀봉 형성된 공간을 배기시키고 배기관을 밀봉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배기관을 사용하여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를 제조할 경우,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제조 중에 배기관이 파손되어 불량이 발생하기 쉽고, 배기관이 돌출하여 잔류하므로 취급상에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기관을 사용하기 않고 진공단열 판유리 조립체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복층 글래스용 감압 가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감압 가열 장치는 유리판의 배기구 주변을 감싸고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를 하여, 판유리 내부공간에 진공을 형성한다. 또한, 감압 가열 장치 내부 공간의 배기구 주변에는 열용융성 실링제를 배치하고, 실링제의 상부에 덮개 부재가 장착된다. 감압 가열 장치는 판유리 조립체 내부에 진공을 형성한 후에, 열용융성 실링제를 가열하여 용융시켜서 덮개 부재와 판유리를 밀착시켜서 배기구를 밀봉한다. 덮개 부재는 열용융성 실링제의 상부에 놓여져 있고, 열용융성 실링제의 하부에 배기를 위한 통기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덮개 부재가 열용융성 실링제의 상부에 놓인 상태에서 배기구를 통한 배기가 가능하다.
한편, 특허 문헌 2에는 진공 단열 복층 판유리의 배기구를 오븐에서 밀봉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장치는 배기구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부재를 유리판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기구에 특징이 있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장치에는 가장자리에 환상으로 실링제가 도포된 덮개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판유리의 배기구 하부에 배치된다. 판유리의 하부에서 배기구 주변을 밀폐하고 배기구를 통하여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를 완료한 후에, 덮개 부재에 도포된 실링제를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장치는 덮개 부재를 상부로 이동시켜서 판유리 하부에 형성된 배기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푸시 로드(push rod)를 수평 방향으로 가압하면, 푸시 로드와 연결된 링크가 덮개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배기관을 사용하지 않고 덮개 부재를 사용하여 배기구를 밀봉 위한 장치들은 판유리 조립체를 진공 오븐에 투입한 상태에서 밀봉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밀봉을 위한 장치를 다양한 크기의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하기가 어려워서 밀봉 불량이 발생하기 쉽고, 자동화가 어려워서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은, 덮개 부재만을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온도가 낮은 상태의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 주변에 밀착하여 밀봉하기 때문에, 열변형에 의한 밀봉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덮개 부재가 돌출되지 않도록 유리판의 배기구 주변에 밀봉재 안착 홈을 가공한 판유리를 사용하여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방법은, 판유리 조립체의 가장자리를 밀봉하기 위하여 먼저 가장자리의 실링제를 가열하여 융착 시킨 후, 진공 오븐에서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하고, 밀봉재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에 덮개 부재를 공급하여 유리판과 덮개 부재를 밀착시켜서 밀봉한다. 이때, 가장자리를 밀봉하기 위한 실링제 용융 온도가 배기구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재의 용융온도보다 낮은 것을 사용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는 진공 오븐 내부에 배치된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 상부로 덮개 부재를 공급하는 방법이나 장치가 구체적으로 제시되거나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판유리 조립체를 진공 오븐에 넣고, 배기구를 유리 또는 금속으로 된 덮개 부재(CLOSING-OFF CAP)로 폐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된 방법은,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 주위에 무기질 유리 땜납(glass solder)을 도포하고, 유리 땜납 위의 소정 위치에 패쇄 캡을 금속 스프링 등으로 유지시킨 상태로 진공 오븐에 넣어서 개구부를 통하여 판유리 사이 공간의 공기를 배기한다. 배기가 완료되고 배기구 주위의 유리 땜납이 연화 온도에 도달할 때 소정의 도구로 덮개 부재를 눌러서 배기구를 밀봉한다. 상기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진공 단열 판유리의 사이즈가 다양한 경우, 판유리에 형성된 배기구의 위치가 변화하여, 진공 오븐의 내부에 설치된 덮개 부재를 누르기 위한 기구의 위치를 변경하기가 곤란하다. 둘째, 덮개 부재를 판유리의 배기구 상부에 유지하기 위하여 스프링과 같은 지지부재가 밀봉 후에 판유리 조립체의 내부에 잔류하여, 판유리 조립체의 이동이나 보관 중에 소음을 발생하거나 판유리 조립체를 파손시킬 염려가 있다. 셋째, 판유리 조립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이동 중에 덮개 부재가 탈락하거나, 덮개 부재의 위치가 변경되어 정확하게 판유리의 배기구를 밀봉하지 못하여 밀봉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넷째, 덮개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덮개 부재의 설치가 복잡하여 생산 공정을 자동화하기가 어렵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공보 특개2003-192401호, 발명의 명칭, '복층 글래스용 감압 가열장치' 특허문헌 2: WO 2014/183515 A1 공보, 발명의 명칭 'SEALING DEVICE FOR VACUUM GLASS EXTRACTION OPENING'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2585호, 발명의 명칭, '진공 유리 및 그 제조 방법' 특허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6783호, 발명의 명칭, '진공 단열 판유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판유리' 특허문헌 5: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6-0103691호, 발명의 명칭,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
최근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건축물의 창호에 단열 성능이 우수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건축물 창호에 사용되는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는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진공 단열 복층 판유리 조립체가 필요하다.
또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하여는 에너지 절감에 의한 투자비 회수를 짧게 하기 위하여 저렴한 가격이 요구된다. 따라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조 원가가 저렴한 진공 단열 복층 유리의 제조 기술의 개발이 요청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기술들은 다양한 크기의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를 제조하기가 곤란하다. 상기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판유리 조립체를 제조하는 장치들은 챔버 내부에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부재의 배치 위치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를 밀봉하기 위하여, 판유리의 배기구의 위치를 챔버 내에 미리 정해진 덮개 부재의 배치 위치와 일치하도록 배치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할 경우, 다양한 크기의 진공 판유리 조립체를 연속적으로 흘려서 대량 생산하기가 곤란하다. 이는 판유리 조립체 제조 공정에서, 판유리 조립체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공정과 배기구를 밀봉 공정이 서로 다른 챔버에서 가능하도록 분리하지 못하고, 하나의 챔버에서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를 한 후에 배기구를 밀봉하여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특허문헌 5에는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를 밀봉하기 위한 덮개 부재를 배기구에 밀봉하기 위한 폐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대한민국에 본 발명의 특허 출원 전에 특허 출원한 것이다. 특허 문헌 5에 개시된 발명은 본 발명의 일부로 합체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가 대한민국에 특허 출원한 특허문헌 5에 개시된 폐쇄장치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진공 단열 유리판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진공 판유리 조립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 공정과 배기구 밀봉 공정을 분리된 챔버에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유리판 조립체의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에지 밀봉 단계와, 상기 가장자리가 밀봉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상기 유리판 조립체의 배기구를 덮개 부재로 밀봉하는 배기구 밀봉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에지 밀봉 단계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가장자리에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high temperature melting a first frit)가 도포된 판유리 조립체를 제1 가열 챔버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상기 제1 밀봉제를 용융시켜서 가장자리를 밀봉한다.
상기 배기구 밀봉 단계는,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low temperature melting a second frit)가 도포된 덮개 부재의 일면이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덮개 부재를 상기 판유리 조립체에 장착하는 덮개 부재 장착단계와, 상기 덮개 부재가 장착된 판유리 조립체를 제2 가열 챔버에 투입하고,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는 용융되지 않고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는 용융되는 온도로 가열하여 제2 밀봉제를 용융시키는 제2 밀봉제 용융단계와, 상기 제2 밀봉제가 용융된 판유리 조립체를 대기압 상태의 제1 진공 가열 챔버에 투입하여 제2 밀봉제만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는 온도로 가열하고, 동시에 제1 진공 가열 챔버를 감압하여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 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형성 단계와, 상기 제1 진공 가열 챔버와 연통되어 있고 감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진공 가열 챔버로 상기 판유리 조립체를 이동시킬 때, 상기 덮개 부재를 배기구에 밀착시켜서 상기 판유리 조립체를 밀봉시키는 덮개 부재 밀착 단계와, 상기 덮개 부재가 밀착되어 밀봉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가 감압된 상태의 제2 진공 가열 챔버로 투입된 후에 제2 진공 가열 챔버를 대기압으로 승압하는 승압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 밀봉 단계는, 일면에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가 도포된 덮개 부재가 장착된 덮개 부재 폐쇄장치를,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판유리 조립체에 형성된 배기구를 향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가장자리가 밀봉된 판유리 조립체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가장자리가 밀봉되고 덮개 부재 폐쇄장치가 장착된 판유리 조립체를 제2 가열 챔버에 투입하고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는 용융되지 않고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가 용융되는 온도로 가열하여 덮개 부재에 도포된 제2 밀봉제를 용융시키는 단계와, 상기 덮개 부재 폐쇄장치가 장착된 판유리 조립체를 대기압 상태의 제1 진공 가열 챔버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제2 밀봉제가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진공 가열 챔버를 감압하여 상기 판유리 조립체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하여 상기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진공 가열 챔버와 연통되어 있고 감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진공 가열 챔버로 상기 판유리 조립체를 이동시킬 때, 상기 덮개 부재 폐쇄장치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덮개 부재 폐쇄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덮개 부재를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를 향하여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를 밀봉시키는 덮개 부재 밀착 단계와, 상기 덮개 부재가 밀착되어 밀봉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가 감압된 상태의 제2 진공 가열 챔버로 투입된 후에, 제2 진공 가열 챔버를 대기압으로 승압하는 승압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 폐쇄장치는, 가이드 구멍을 갖고 판유리 조립체에 고정하기 클램핑 유닛과, 가이드 구멍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구멍에 설치된 덮개 부재 보유 홀더와, 상기 클램핑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 운동을 상기 덮개 부재 보유 홀더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승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 부재 밀착단계에서 상기 판유리 조립체가 이동될 때 상기 덮개부재 폐쇄 장치의 레버에 외력을 가하도록 상기 제1 진공 가열 챔버와 제2 진공 가열 챔버를 연결하는 통로나 제2 진공 챔버 내부에 배치된 레버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 제조 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진공단열 판유리 조립체는,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에 의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가장자리가 밀봉되고, 상기 가장자리가 밀봉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기구를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가 도포된 덮개 부재를 밀착시켜서 밀봉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는, 상기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가 용융되는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된 제1 가열 챔버와, 상기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는 용융되지 않고 상기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가 용융되는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된 제2 가열 챔버와, 대기압 이하의 감압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진공 가열 챔버와, 상기 제1 진공 가열 챔버와 연통하도록 통로로 연결되어 있고, 대기압 이하의 감압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진공 가열 챔버와, 가이드 구멍을 갖고 판유리 조립체에 고정하기 클램핑 유닛과, 가이드 구멍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구멍에 설치된 덮개 부재 보유 홀더와, 상기 클램핑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 운동을 상기 덮개 부재 보유 홀더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덮개 부재 폐쇄장치와, 상기 제1 진공 가열 챔버와 제2 진공 가열 챔버를 연결하는 통로나 제2 진공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 부재 폐쇄장치가 상기 판유리 조립체에 장착되어 제1 진공 가열 챔버에서 제2 진공 가열 챔버로 이동될 때 상기 덮개 부재 폐쇄 장치의 레버에 외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레버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제조 설비에서 다양한 크기의 진공단열 판유리 조립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덮개 부재를 장착한 덮개 부재 폐쇄장치를 사용하여 진공 오븐에서 배기구를 밀봉하여 진공 판유리 조립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진공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 공정과 배기구 밀봉 공정이 서로 다른 챔버에서 분리하여 수행되도록 하여, 판유리 조립체를 컨베이어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흘리면서 생산할 수 있어서,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판유리 조립체의 밀봉된 배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제조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조 장치의 진공 가열 챔버들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파렛트에 진공 단열 판유리들이 놓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덮개 부재 폐쇄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덮개 부재 폐쇄장치의 전개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덮개 부재 폐쇄장치가 덮개 부재를 폐쇄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는 도 7에 도시된 덮개 부재 폐쇄장치가 덮개 부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10)는 상부 판유리(12)와 하부 판유리(14)와, 마주보는 상부 판유리(12)와 하부 판유리(14) 사이의 가장자리에 도포되어 감압된 진공 공간을 한정하기 위한 땜납 유리(18)를 포함한다. 판유리 조립체의 에지 밀봉을 위한 땜납 유리(solder glass, frit)는 고온 용융의 것을 사용한다. 고온 용융의 땜납 유리(18)는 380 - 460 ℃ 범위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땜납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판유리(12)와 하부 판유리(14)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땜납 유리(18)에 의해서 둘러싸인 진공이 형성된 공간(16)을 한정한다. 또한, 상부 판유리(10)와 하부 판유리(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판유리가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복수의 스페이서(20)가 배치된다. 스페이서(20)는 소형의 유리 또는 스텐레스 스틸로 된 원기둥 형상이나 구 형상의 것을 사용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판유리 조립체(10)의 내부에는 진공 형성된 공간에 잔류하는 수분이나 가스를 흡착하기 위한 게터가 삽입되어 있다.
하부 판유리(14)의 가장자리에는 배기구(22)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22)는 고온의 땜납 유리(18)에 의해서 진공이 형성되는 공간(16)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구(22)는 하나가 도시되어 있으나, 판유리 조립체(10)의 크기에 따라서 복수의 배기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배기구(22)는 덮개 부재(30)에 의해서 밀봉되어 있다. 덮개 부재(30)는 배기구(22) 주위에 도포된 용융된 땜납 유리(40)에 의해서 하부 판유리(14)에 밀착되어 있다. 덮개 부재(30)는 유리 또는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유리와 열팽창 계수가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을 사용한다. 땜납 유리(40)는 저온 용융의 것을 사용한다. 저온 용융의 땜납 유리(40)는 230 - 280 ℃ 범위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땜납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판유리 조립체는 덮개 부재가 배기구를 밀봉하기 전 상태의 판유리 조립체를 의미하고,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는 덮개 부재가 배기구를 밀봉한 상태의 조립체를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가열 챔버에서 판유리 조립체의 에지 밀봉을 수행한다(S100). 에지 밀봉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가장자리에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가 도포된 판유리 조립체를 제1 가열 챔버에 투입하여 수행한다. 제1 가열 챔버는 입구로부터 챔버 내부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여 일정구간 T2(380 - 460 ℃ 범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되고, 제1 가열 챔버의 출구로 배출될 때의 온도가 80 ℃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판유리 조립체가 제1 가열 챔버를 통과하면, 고온 용융 땜납 유리(18)가 용융되어 상부 판유리(12)와 하부 판유리(14)를 밀착시켜서 에지 실링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장자리가 밀봉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상기 유리판 조립체의 배기구를 덮개 부재로 밀봉하는 배기구 밀봉을 수행한다.
배기구 밀봉 전에, 사전에 준비된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가 도포된 덮개 부재의 일면이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덮개 부재를 상기 판유리 조립체에 장착한다(S110). 덮개 부재의 장착은 덮개 부재 밀폐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덮개 부재 밀폐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 하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 부재가 장착된 판유리 조립체를 제2 가열 챔버에 투입하고,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는 용융되지 않고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는 용융되는 온도로 가열하여 제2 밀봉제를 용융시킨다(S120). 제2 가열 챔버는 입구의 온도가 대략 80 ℃ 이하에서 서서히 상승하여 일정 구간부터 출구까지 온도 T1(230 - 280 ℃ 범위의 온도)을 유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2 가열 챔버의 설정 온도에서 판유리 조립체(10)가 투입되면, 판유리 조립체(10)의 에지를 밀봉하고 있는 고온 용융 제1 땜납 유리(18)는 용융되지 않고, 덮개 부재 폐쇄장치에 장착된 저온 용융 제2 땜납(40)만이 용융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밀봉제가 용융된 판유리 조립체를 대기압 상태의 제1 진공 가열 챔버에 투입하여 제2 밀봉제만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는 온도로 가열하고, 동시에 제1 진공 가열 챔버를 감압하여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 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공간에 진공을 형성한다(S130). 제1 진공 가열 챔버는 대기압에서 10-4 Torr 정도의 압력 상태로 감압하여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공간의 공기가 배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진공 가열 챔버와 연통되어 있고 감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진공 가열 챔버로 상기 판유리 조립체를 이동시킬 때, 상기 덮개 부재를 배기구에 밀착시켜서 상기 판유리 조립체를 밀봉시킨다(S140). 판유리 조립체가 이동 도중에 덮개 부재를 배기구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후술하는 덮개 부재 폐쇄 장치를 사용한다. 제1 진공 가열 챔버의 온도가 저온 용융 땜납 유리(40)가 용융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덮개 부재가 배기구에 밀착되면 저온 용융 땜납 유리(40) 압착되어 덮개 부재와 하부 판유리(14)가 접착되어 배기구(22)가 밀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 공정과 덮개 부재의 밀봉 공정이 서로 다른 진공 가열 챔버 (진공 오븐)에서 일어나도록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생산 공정을 연속적으로 자동화가 가능하다. 또한, 진공 오븐에서 덮개 부재와 판유리 조립체가 가열된 상태에서 밀착되므로 열변형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 부재가 밀착되어 밀봉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가 감압된 상태의 제2 진공 가열 챔버로 투입된 후에, 제2 진공 가열 챔버를 대기압으로 승압한다(S150). 제2 진공 가열 챔버는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를 가열하여 저온 용융 땜납 유리(40)가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다음으로, 덮개 부재로 밀봉된 진공단열 판유리 조립체를 제3 가열 챔버에 투입하여, 서서히 대기 온도로 냉각한다(S160).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10)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 제조 장치(300)는, 판유리 조립체의 에지 실링을 위한 제1 가열 챔버(310), 덮개 부재의 일면 가장자리에 도포된 땜납 유리(40)를 용융시키기 위한 제2 가열 챔버(320)를 포함한다. 또한, 밀봉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10)를 서서히 냉각하기 위한 제3 가열 챔버(360)를 포함한다. 제4 가열 챔버(370)는 덮개 부재(30)의 가장자리에 도포된 땜납 유리(40)를 사전에 가열하여, 땜납 유리에 포함된 유해 가스를 배출시키고, 땜납 유리(40)를 소성하기 위한 챔버이다. 제1 내지 제4 가열 챔버는 열풍에 의한 가열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가열 챔버(310, 320, 360, 370)에는 각각 열풍 히터(318, 328, 368, 37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판유리 조립체(10)의 내부 공간을 배기하고 밀봉하기 위한 3개의 진공 가열 챔버(330, 340, 35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312)는 제1 내지 제3 가열 챔버와 3개의 진공 챔버(330, 340, 350)로 판유리 조립체(10)를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판유리 조립체(10)는 컨베이어(312) 상에서 특수한 파렛트(322)에 장착된 상태로 이송된다. 또한, 제4 가열 챔버(370)에도 컨베이어(372)가 설치되어 있고, 가장자리에 땜납 유리(40)가 도포된 덮개 부재(30)를 파렛트(372)에 장착하여 이송하면서 땜납 유리(40)를 소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판유리 조립체(10)는 에지 실링을 위하여 제1 가열 챔버(310)에 투입되기 전에, 상부 판유리(12)와 하부 판유리(14)의 가장자리에 고온 용융 유리 땜납(18)이 도포된 상태로 파렛트(322)에 적재되어 있다. 제1 가열 챔버(310)는 입구로 부터 챔버 내부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여 일정구간 T2(380 - 460 ℃ 범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되고, 제1 가열 챔버(310)의 출구로 배출될 때의 온도가 80 ℃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파렛트(322)에 적재된 판유리 조립체가 제1 가열 챔버(310)를 통과하면, 고온 용융 땜납 유리(18)가 용융되어 상부 판유리(12)와 하부 판유리(14)를 밀착시켜서 에지 실링이 된다.
사전 준비 작업으로, 제4 가열로(370)에서 소성된 저온 용융 땜납 유리(40)가 일면 가장자리에 도포된 덮개 부재(30)가 덮개 부재 폐쇄 장치(50C)에 장착되어 있다. 제1 가열 챔버(310)를 통과하여 에지 실링 된 판유리 조립체(10)에 덮개 부재 폐쇄장치(50C)의 클램핑 유닛을 고정한다. 덮개 부재 폐쇄장치(50C)를 판유리 조립체(10)에 고정할 때, 판유리 조립체(10)의 배기구(22) 하부에 덮개 부재(30)가 위치하도록 한다.
도 6에는 파렛트(322)에 장착된 크기가 다른 복수의 판유리 조립체들(10a, 10b, 10c)에 덮개 부재 폐쇄장치(50C)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덮개 부재 폐쇄장치(50C)의 레버(210)는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 덮개 부재 폐쇄장치(50C)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덮개 부재 폐쇄장치(50C)가 고정된 판유리 조립체들(10a, 10b, 10c)이 파렛트(322)에 장착되어 제2 가열 챔버(320)로 투입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가열 챔버(320)는 입구의 온도가 대략 80 ℃ 이하에서 서서히 상승하여 일정 구간부터 출구까지 온도 T1(230 - 280 ℃ 범위의 온도)을 유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2 가열 챔버(320)의 설정 온도에서 판유리 조립체(10)가 투입되면, 판유리 조립체(10)의 에지를 밀봉하고 있는 고온 용융 제1 땜납 유리(18)는 용융되지 않고, 덮개 부재 폐쇄장치(50C)에 장착된 저온 용융 제2 땜납(40)만이 용융된다.
제2 가열 챔버(320)와 감압 가열 챔버(330)는 통로(332)로 연결되어 있고, 통로(332)에는 게이트 밸브(3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압 가열 챔버(330)와 감압 유지 챔버(340)는 통로(342)로 연결되어 있고, 통로(342)에는 게이트 밸브(3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압 유지 챔버(340)와 승압 가열 챔버(350)는 통로(352)로 연결되어 있고, 통로(352)에는 게이트 밸브(354)가 설치되어 있다. 승압 가열 챔버(350)와 제3 가열 챔버(360)는 통로(362)로 연결되어 있고, 통로(362)에는 게이트 밸브(364)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진공 챔버(330, 340, 350)에는 각각 가열을 위한 히터(338, 348, 358)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히터(338, 348, 358)는 진공의 정도에 따라서 전열 카트리지 히터나 램프의 복사열을 이용하는 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가열 챔버(320)에서 배출되는 판유리 조립체(10)는 통로(332)를 통과하여 감압 가열 챔버(330)로 투입된다. 감압 가열 챔버(330)는 판유리 조립체(10)가 투입될 때 대기압 상태(P0)를 유지한다. 대기압 상태에서 게이트 밸브(334)가 열리면 컨베이어(312)에 의해서 파렛트(322)가 감압 가열 챔버(330) 내부로 이송되고, 이어서 게이드 밸브(334)를 닫고 10-4 Torr 정도의 압력으로 챔버(330) 내부를 감압한다. 감압에 의해서 판유리 조립체(10)의 공간(16)에 있는 가스가 배기구(22)를 통하여 배기된다. 감압 가열 챔버(330) 내부에 설치된 히터(338)는 저온 용융 땜납 유리(40), 덮개 부재(30), 및 판유리 조립체(10)를 가열하여 챔버(330)로 투입될 때의 온도(T1)를 유지하도록 한다.
감압 유지 챔버(340)는 10-4 Torr 정도의 압력으로 감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게이트 밸브(334)와 게이트 밸브(354)가 폐쇄된 상태에서, 게이트 밸브(344)를 개방하고, 감압 가열 챔버(330) 내부의 판유리 조립체(10)를 감압 유지 챔버(340)로 이송한다. 감압 유지 챔버(340)에서 판유리 조립체(10)의 공간(16)에 있는 가스가 배기구(22)를 통하여 완전히 배기된다. 감압 유지 챔버(340)의 내부에도 히터가 설치되어 저온 용융 땜납 유리(40)가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덮개 부재(30)와 땜납 유리(40)를 가열한다.
감압 유지 챔버(340)에서 배기가 완료되면, 게이트 밸브(344)와 게이트 밸브(364)가 폐쇄된 상태에서, 게이트 밸브(354)를 개방하고, 판유리 조립체(10)는 승압 가열 챔버(350)로 이송된다. 승압 가열 챔버(350)는 판유리 조립체(10)가 이송되는 동안에는 10-4 Torr 정도의 압력으로 감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판유리 조립체(10)는 승압 가열 챔버(350)로 이송되는 도중에 덮개 부재(30)가 판유리 조립체(10)의 하부 유리판(14)에 밀착되어 판유리 조립체(10)를 진공으로 밀봉한다. 즉, 덮개 부재 폐쇄장치(50C)의 레버(210)가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에서 이송될 때, 덮개 부재 폐쇄 장치(50C)의 레버(210)는 통로(352) 및/또는 승압 가열 챔버(350) 내부에 설치된 레버 가압 부재(356)에 레버(210)가 걸려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 레버(210)가 회동하면 레버(210)의 회동에 연동하여 덮개 부재(40)가 하부 판유리(14)를 향하여 상승하여 밀착되고, 저온 용융 땜납 유리(40)가 하부 판유리(14)의 배기구 주위를 폐쇄하여 배기구(22)가 밀봉된다. 덮개 부재(30)에 의한 밀봉이 완료되면, 승압 가열 챔버(350)는 대기압(P0)으로 승압된다.
승압 가열 챔버(350)의 승압이 완료되면, 통로(362)의 게이트 밸브(364)가 개방되고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10)는 냉각을 위하여 제3 가열 챔버(360)로 이송된다. 제3 가열 챔버(360)는 입구가 T1 온도로 유지된 상태에서 서서히 온도가 낮아져서 출구의 온도가 외기 온도와 비슷한 온도가 되도록 유지된다.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10)는 제3 가열 챔버(360)에서 대기 온도로 냉각되어 배출된다.
도 7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덮개 부재 폐쇄 장치(50C)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 장치(300)에서 사용되는 덮개 부재 폐쇄장치(50C)는 클램핑 유닛(60)과, 덮개 부재 보유 홀더(80)와, 클램핑 유닛(6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레버(210)와, 상기 레버(210)의 회동 운동을 상기 덮개 부재 보유 홀더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승강 수단을 포함한다.
클램핑 유닛(60)은 상부 플레이트(Top plate: 62), 하부 플레이트(Bottom plate: 64), 조인트 플레이트(Joint plate: 66)와 클램핑 스크루(Clamping screw: 68)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62)는 상부 판유리(12)의 윗면과 간격을 두고 상부 판유리(12)의 위쪽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하부 플레이트(64)는 상부 플레이트(62)와 서로 평행하도록 하부 판유리(14)의 아래쪽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하부 플레이트(64)의 윗면은 하부 판유리(14)의 아랫면에 접촉될 수 있다. 가이드 구멍(Guide hole: 64a)이 배기구(22)와 정렬되도록 하부 플레이트(64)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배기통로(64b)가 가이드 구멍(64a)과 연결되도록 하부 플레이트(64)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다. 배기통로(64b)는 배기구(22)를 통한 공기의 배기가 원활하도록 채널 형태(Channel shape)로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 플레이트(66)는 상부 플레이트(62)의 한쪽 가장자리와 하부 플레이트(64)의 한쪽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있다. 축구멍(66a)이 하부 플레이트(64)의 아래로 연장되어 있는 조인트 플레이트(66)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 스크루(68)는 상부 판유리(12)를 클램핑 할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62)에 체결되어 있다. 발(Foot: 70)이 상부 판유리(12)의 윗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클램핑 스크루(68)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하부 플레이트(64)와 발(70)은 판유리 조립체(10)를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전기 전도도와 열전도도가 작은 소재, 예를 들면 비스무트(Bismuth)로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 브래킷(Shaft bracket: 72)이 조인트 플레이트(66)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하부 플레이트(64)의 아랫면에 결합되어 있다. 축구멍(72a)이 조인트 플레이트(66)의 축구멍(66a)과 정렬되도록 샤프트 브래킷(7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샤프트 브래킷이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하부 플레이트(64)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배기구(22)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 부재(30)를 보유하기 위한 홀더(Holder: 80)는 가이드 구멍(64a)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구멍(64a)에 끼워져 있다. 덮개 부재(30)의 안착을 위한 리세스(Recess: 82)가 홀더(80)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다. 보어(Bore: 84)가 홀더(80)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밀봉 캡 폐쇄 장치(50C)는 홀더(80)를 상승시켜 홀더(80)에 장착되어 있는 덮개 부재(30)를 배기구멍(22) 주위에 밀착시키기 위한 승강 수단을 구비한다. 승강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레버(210)의 회동 운동을 홀더(80)의 직선 승강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기구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버(210)의 일단에서 연장된 아암(214)을 형성하고, 레버(210)가 샤프트(21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레버(210)가 회동할 때 아암(214)이 홀더(80)를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암(214)의 단부 상면에 보스(Boss: 216)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216)는 홀더(80)의 보어(84)에 삽입되어 있다. 코일스프링(240)이 홀더(80)에 작용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홀더(80)와 가압부(214) 사이에 더 장착되어 있다. 코일스프링(240)은 홀더(80)의 보어(84) 안에 수용되어 있다. 보스(216)는 코일스프링(240)에 끼워져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210)의 아암(214)을 홀더(80)의 측면에 형성된홈이나 구멍에 걸리도록 하여, 레버(210)의 회동운동에 의해서 홀더(80)를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의 회동운동에 의해서 회전하는 기어와, 기어에 맞물려 승강 운동을 하는 랙을 설치하여, 홀더(80)를 승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파렛트(322)에 놓여진 판유리 조립체(10)가 이송될 때, 레버(210)를 회동시키기 위한 외력을 가하도록 봉 형상의 레버 가압 부재(230)가 개시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한 구간 동안 레버(210)가 회동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판 형상의 레버 가압 부재(356)를 사용할 수도 있다. 리턴 스프링(120)은 레버(21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레버(210)에 부여한다. 리턴 스프링(120)은 조인트 플레이트(66)와 레버(210)을 연결하도록 샤프트(112)에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리턴 스프링(120)은 조인트 플레이트(66)와 레버(210)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Coil spring)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면, 판유리 조립체(10)가 감압 유지 챔버(340)로부터 배출되면서 이송될 때, 레버(210)가 레버 가압부재(356)에 걸려 회전되면, 아암(214)이 코일스프링(240)을 압축시키면서 홀더(80)를 상승시킨다. 홀더(80)는 가이드 구멍(64a)을 따라 상승 되고, 덮개 부재(30)가 배기구(22)의 주위에 압착된다. 이로 인하여 연화되어 있던 저온 용융 땜납 유리(40)가 배기구(22)의 주위에 접합되고, 덮개 부재(30)가 배기구멍(22)을 완벽하게 폐쇄하여 밀봉을 유지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덮개 부재 폐쇄 장치의 다양한 승강 수단은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서 구체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및 그와 동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체화 될 수 있다.
10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20 스페이서
18 고온 용융 땜납 유리
30 덮개 부재
40 저온 용융 땜납 유리
310 제1 가열 챔버
312 컨베이어
322 파렛트
320 제2 가열 챔버
330 감압 가열 챔버
340 감압 유지 챔버
350 승압 가열 챔버
360 제3 가열 챔버

Claims (4)

  1.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유리판 조립체의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에지 밀봉 단계와, 상기 가장자리가 밀봉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상기 유리판 조립체의 배기구를 덮개 부재로 밀봉하는 배기구 밀봉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지 밀봉 단계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가장자리에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가 도포된 판유리 조립체를 제1 가열 챔버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상기 제1 밀봉제를 용융시켜서 가장자리를 밀봉하고,
    상기 배기구 밀봉 단계는,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가 도포된 덮개 부재의 일면이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덮개 부재를 상기 판유리 조립체에 장착하는 덮개 부재 장착단계와,
    상기 덮개 부재가 장착된 판유리 조립체를 제2 가열 챔버에 투입하고,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는 용융되지 않고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는 용융되는 온도로 가열하여 제2 밀봉제를 용융시키는 제2 밀봉제 용융단계와,
    상기 제2 밀봉제가 용융된 판유리 조립체를 대기압 상태의 제1 진공 가열 챔버에 투입하여 제2 밀봉제만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는 온도로 가열하고, 동시에 제1 진공 가열 챔버를 감압하여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 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형성 단계와,
    상기 제1 진공 가열 챔버와 연통되어 있고 감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진공 가열 챔버로 상기 판유리 조립체를 이동시킬 때, 상기 덮개 부재를 배기구에 밀착시켜서 상기 판유리 조립체를 밀봉시키는 덮개 부재 밀착 단계와,
    상기 덮개 부재가 밀착되어 밀봉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가 감압된 상태의 제2 진공 가열 챔버로 투입된 후에, 제2 진공 가열 챔버를 대기압으로 승압하는 승압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
  2.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유리판 조립체의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에지 밀봉 단계와, 상기 가장자리가 밀봉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상기 유리판 조립체의 배기구를 덮개 부재로 밀봉하는 배기구 밀봉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지 밀봉 단계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가장자리에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가 도포된 판유리 조립체를 제1 챔버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상기 제1 밀봉제를 용융시켜서 판유리 조립체의 가장자리를 밀봉하고,
    상기 배기구 밀봉 단계는,
    일면에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가 도포된 덮개 부재가 장착된 덮개 부재 폐쇄장치를,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판유리 조립체에 형성된 배기구를 향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가장자리가 밀봉된 판유리 조립체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가장자리가 밀봉되고 덮개 부재 폐쇄장치가 장착된 판유리 조립체를 제2 가열 챔버에 투입하고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는 용융되지 않고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가 용융되는 온도로 가열하여 덮개 부재에 도포된 제2 밀봉제를 용융시키는 단계와,
    상기 덮개 부재 폐쇄장치가 장착된 판유리 조립체를 대기압 상태의 제1 진공 가열 챔버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제2 밀봉제가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진공 가열 챔버를 감압하여 상기 판유리 조립체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하여 상기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진공 가열 챔버와 연통되어 있고 감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진공 가열 챔버로 상기 판유리 조립체를 이동시킬 때, 상기 덮개 부재 폐쇄장치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덮개 부재 폐쇄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덮개 부재를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를 향하여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구를 밀봉시키는 덮개 부재 밀착 단계와,
    상기 덮개 부재가 밀착되어 밀봉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가 감압된 상태의 제2 진공 가열 챔버로 투입된 후에, 제2 진공 가열 챔버를 대기압으로 승압하는 승압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 폐쇄장치는, 가이드 구멍을 갖고 판유리 조립체에 고정하기 클램핑 유닛과, 가이드 구멍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구멍에 설치된 덮개 부재 보유 홀더와, 상기 클램핑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 운동을 상기 덮개 부재 보유 홀더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승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 부재 밀착단계에서 상기 판유리 조립체가 이동될 때 상기 덮개부재 폐쇄 장치의 레버에 외력을 가하도록 상기 제1 진공 가열 챔버와 제2 진공 가열 챔버를 연결하는 통로나 제2 진공 챔버 내부에 배치된 레버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
  4.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에 의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가장자리가 밀봉되고, 상기 가장자리가 밀봉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기구를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가 도포된 덮개 부재를 밀착시켜서 밀봉된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가 용융되는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된 제1 가열 챔버와,
    상기 고온 용융의 제1 밀봉제는 용융되지 않고 상기 저온 용융의 제2 밀봉제가 용융되는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된 제2 가열 챔버와,
    대기압 이하의 감압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진공 가열 챔버와,
    상기 제1 진공 가열 챔버와 연통하도록 통로로 연결되어 있고, 대기압 이하의 감압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진공 가열 챔버와,
    가이드 구멍을 갖고 판유리 조립체에 고정하기 클램핑 유닛과, 가이드 구멍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구멍에 설치된 덮개 부재 보유 홀더와, 상기 클램핑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 운동을 상기 덮개 부재 보유 홀더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덮개 부재 폐쇄장치와,
    상기 제1 진공 가열 챔버와 제2 진공 가열 챔버를 연결하는 통로나 제2 진공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 부재 폐쇄장치가 상기 판유리 조립체에 장착되어 제1 진공 가열 챔버에서 제2 진공 가열 챔버로 이동될 때 상기 덮개 부재 폐쇄 장치의 레버에 외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레버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장치.
KR1020160120047A 2016-09-20 2016-09-20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869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047A KR101869604B1 (ko) 2016-09-20 2016-09-20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장치
EP17853377.4A EP3517513B1 (en) 2016-09-20 2017-09-19 Vacuum thermal insulation plate glass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CN201780071023.3A CN109982985B (zh) 2016-09-20 2017-09-19 真空绝热玻璃板装配体的制造方法及装置
US16/334,480 US11155497B2 (en) 2016-09-20 2017-09-19 Vacuum insulation glass panel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9515419A JP6806887B2 (ja) 2016-09-20 2017-09-19 真空断熱ガラスパネル組立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PCT/KR2017/010232 WO2018056663A2 (ko) 2016-09-20 2017-09-19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047A KR101869604B1 (ko) 2016-09-20 2016-09-20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433A true KR20180031433A (ko) 2018-03-28
KR101869604B1 KR101869604B1 (ko) 2018-07-20

Family

ID=6169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047A KR101869604B1 (ko) 2016-09-20 2016-09-20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55497B2 (ko)
EP (1) EP3517513B1 (ko)
JP (1) JP6806887B2 (ko)
KR (1) KR101869604B1 (ko)
CN (1) CN109982985B (ko)
WO (1) WO2018056663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696B1 (ko) * 2018-05-09 2019-03-07 울산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KR101955697B1 (ko) * 2018-06-04 2019-03-07 울산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KR20190128986A (ko) * 2018-05-09 2019-11-19 울산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CN111421734A (zh) * 2020-03-06 2020-07-1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箱体发泡方法
KR20220124424A (ko) * 2021-03-03 2022-09-14 주식회사 에피온 진공 유리 모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유리 모듈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648B1 (ko) * 2017-11-30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유리 및 그 제조방법
WO2022172542A1 (ja) * 2021-02-15 2022-08-18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真空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401A (ja) 2001-12-25 2003-07-09 Nippon Sheet Glass Co Ltd 複層ガラス用減圧加熱装置
KR101041603B1 (ko) * 2010-12-31 2011-06-15 (주)알가 진공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38973A (ko) * 2010-06-22 2011-12-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진공창 제조방법
KR20130076783A (ko) 2011-12-28 2013-07-08 에스오에프 이큅먼트 게엠베하 진공 단열 판유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판유리
KR101322585B1 (ko) 2011-08-25 2013-10-28 (주)엘지하우시스 진공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0139A (ko) * 2013-04-02 2014-10-13 (주)엘지하우시스 진공유리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공유리 패널
KR20160103691A (ko) 2015-02-25 2016-09-02 진종근 선박용 밸브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2012B3 (fr) * 1996-07-31 1998-08-21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pour realiser le vide entre deux feuilles de verre et vitrage isolant
JP2003137612A (ja) * 2001-10-25 2003-05-14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パネルとその製法
JP2003192400A (ja) * 2001-12-25 2003-07-09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パネル
CN1903759B (zh) * 2006-08-10 2010-08-04 刘元生 一种真空玻璃的生产方法
CN101337774B (zh) * 2008-08-19 2011-01-19 李梦琪 节能板材及其制造方法
DE102010045616A1 (de) 2009-12-22 2011-06-30 Elino Industrie-Ofenbau GmbH, 52355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Isolierglas
CN104150790B (zh) 2013-05-13 2016-12-28 北京新立基真空玻璃技术有限公司 真空玻璃抽气口封口装置
KR101442030B1 (ko) 2013-06-26 2014-09-18 주식회사 이건창호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KR101524367B1 (ko) * 2013-11-06 2015-06-04 주식회사 야스 레이저를 이용한 진공유리의 진공 마감 방법
WO2015139251A1 (zh) 2014-03-19 2015-09-24 北京新立基真空玻璃技术有限公司 真空玻璃的真空抽取车及真空玻璃生产线
KR20150117851A (ko) * 2014-04-11 2015-10-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진공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방법
PL3170800T3 (pl) * 2014-07-18 2020-02-28 AGC Inc. Wielowarstwowe szkło próżniowe i sposób wytwarzania wielowarstwowego szkła próżniowego
JP2016030718A (ja) * 2014-07-30 2016-03-07 旭硝子株式会社 真空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真空複層ガラスの製造装置
CN104329558B (zh) * 2014-10-20 2017-06-06 太阳真空玻璃有限公司 真空板材及其制造方法
CN105859160B (zh) * 2016-05-18 2023-04-14 江苏延陵玻璃有限公司 集成吸气剂的真空玻璃封口结构及其封口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401A (ja) 2001-12-25 2003-07-09 Nippon Sheet Glass Co Ltd 複層ガラス用減圧加熱装置
KR20110138973A (ko) * 2010-06-22 2011-12-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진공창 제조방법
KR101041603B1 (ko) * 2010-12-31 2011-06-15 (주)알가 진공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2585B1 (ko) 2011-08-25 2013-10-28 (주)엘지하우시스 진공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6783A (ko) 2011-12-28 2013-07-08 에스오에프 이큅먼트 게엠베하 진공 단열 판유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판유리
KR20140120139A (ko) * 2013-04-02 2014-10-13 (주)엘지하우시스 진공유리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공유리 패널
KR20160103691A (ko) 2015-02-25 2016-09-02 진종근 선박용 밸브제어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2: WO 2014/183515 A1 공보, 발명의 명칭 'SEALING DEVICE FOR VACUUM GLASS EXTRACTION OPEN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696B1 (ko) * 2018-05-09 2019-03-07 울산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KR20190128986A (ko) * 2018-05-09 2019-11-19 울산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KR101955697B1 (ko) * 2018-06-04 2019-03-07 울산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CN111421734A (zh) * 2020-03-06 2020-07-1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箱体发泡方法
KR20220124424A (ko) * 2021-03-03 2022-09-14 주식회사 에피온 진공 유리 모듈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유리 모듈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82985B (zh) 2021-05-28
WO2018056663A2 (ko) 2018-03-29
EP3517513B1 (en) 2021-04-21
US20190210917A1 (en) 2019-07-11
KR101869604B1 (ko) 2018-07-20
CN109982985A (zh) 2019-07-05
JP2019529317A (ja) 2019-10-17
EP3517513A4 (en) 2020-03-25
US11155497B2 (en) 2021-10-26
EP3517513A2 (en) 2019-07-31
WO2018056663A3 (ko) 2018-08-09
JP6806887B2 (ja)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604B1 (ko) 진공 단열 판유리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장치
EP3492682A1 (en) Localized heating of edge seals for a vacuum insulating glass unit and/or unitized oven for accomplishing the same
KR101902058B1 (ko) 진공 단열 판유리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
WO2009078911A1 (en) Evacuation and port sealing techniques for vacuum insulating glass units, and/or vacuum oven for accomplishing the same
US1191327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US11767705B2 (en) Glass panel unit manufacturing method
KR20190019593A (ko) 진공 유리 제조방법
CA2966027C (en) Energy-sav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235601A1 (en) Manufacturing of vacuum insulated glazing unit
CN104743784A (zh) 密封条封边玻璃焊接有安装孔的凸面双真空层玻璃
CN104743796A (zh) 高温合片密封条槽封边有安装孔的平面真空玻璃
CN104743825A (zh) 高温合片密封槽封边有安装孔的凸面真空玻璃
CN104743823A (zh) 密封条封边玻璃焊接有安装孔的平面真空玻璃
CN104743792A (zh) 密封条槽封边玻璃焊接有安装孔的平面双真空层玻璃
CN104743829A (zh) 高温合片密封条封边有安装孔的平面真空玻璃
CN104743785A (zh) 密封槽封边玻璃焊接有安装孔的平面双真空层玻璃
CN104743801A (zh) 密封条封边玻璃焊接有安装孔的凸面真空玻璃
CN104743791A (zh) 密封条槽封边玻璃焊接有安装孔的平面真空玻璃
CN104743820A (zh) 密封槽封边玻璃焊接有安装孔的平面真空玻璃
CN104743782A (zh) 高温合片密封条封边封口的凸面真空玻璃及其制备方法
CN104743797A (zh) 高温合片密封条封边有安装孔的凸面真空玻璃
CN104743806A (zh) 高温合片密封条封边封口的平面真空玻璃及其制备方法
CN104743808A (zh) 高温合片密封槽封边有安装孔的平面真空玻璃
CN104743839A (zh) 密封条封边玻璃焊接的平面真空玻璃及其制作方法
CN104743817A (zh) 高温合片密封条槽封边有安装孔的平面双真空层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