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851A - 진공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공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851A
KR20150117851A KR1020140043486A KR20140043486A KR20150117851A KR 20150117851 A KR20150117851 A KR 20150117851A KR 1020140043486 A KR1020140043486 A KR 1020140043486A KR 20140043486 A KR20140043486 A KR 20140043486A KR 20150117851 A KR20150117851 A KR 20150117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glass
unit
seal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주표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851A/ko
Publication of KR20150117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상판부와 하판부가 필러부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고 실링부 및 실캡부로 밀폐되어 내부에 진공부가 형성된 진공유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방법에서, 상기 진공유리 제조장치는 대차부 및 챔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부는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가 중첩되도록 고정된 고정유리를 이송한다. 상기 챔버부는 상기 대차부가 통과하는 이송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대차부가 상기 챔버부를 통과하면서 봉착 공정,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이 수행되어 상기 고정유리가 상기 진공유리로 제조된다.

Description

진공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방법{VACUUM GLASS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VACUUM GLA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부와 하판부의 합착으로 제조되는 진공유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유리(10)는 내부에 진공부(A)가 형성되도록 상판부(1)와 하판부(2)를 합착하고 양 측단을 실링부(4)로 밀폐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상판부(1) 및 하판부(2)의 위치 고정을 위한 복수의 필러부들(3)이 개재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진공유리(10)의 제조 공정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부(1) 및 상기 하판부(2)가 각각 로딩된 후 이를 합착하는 공정이 수행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상판부(1) 및 상기 하판부(2)를 클립부(8)로 고정한 후, 봉착단계(S50) 및 진공 및 봉구단계(S60)를 거쳐 완성된다.
이 경우, 상기 봉착단계(S50)는 열처리 공정으로 상기 상판부(1) 및 상기 하판부(2)를 합착하는 단계이며, 상기 진공 및 봉구단계(S60)는 상기 상판부(1) 및 상기 하판부(2)의 내부를 진공부(A)로 형성하고 진공상태의 유지를 위한 실캡부(5) 설치 및 밀봉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종래의 경우, 상기 진공유리(10)의 각각의 제조 단계는 모두 컨베이어벨트 상에서 상기 진공유리(10)를 진행시키며 수행되었으며, 상기 봉착단계(S50) 및 상기 진공 및 봉구단계(S60)도 각각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며 수행되었다.
그러나, 상기 봉착단계(S50) 및 상기 진공 및 봉구단계(S60)가 차례로 수행됨에 따라, 상기 두 단계가 수행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의 설치 공간이 많이 요구되며, 상기 봉착단계(S50)가 종료된 후 상기 진공 및 봉구단계(S60)가 수행되었는 바 작업 시간도 많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유리의 생산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공유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진공유리 제조장치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유리 제조장치는 대차부 및 챔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유리는 상판부와 하판부가 필러부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고 실링부 및 실캡부로 밀폐되어 내부에 진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대차부는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가 중첩되도록 고정된 고정유리를 이송한다. 상기 챔버부는 상기 대차부가 통과하는 이송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대차부가 상기 챔버부를 통과하면서 봉착 공정,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이 수행되어 상기 고정유리가 상기 진공유리로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부는 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부가 상기 챔버부 내부에서 이송되도록 상기 챔버부를 통과하여 연장된 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봉착 공정, 상기 진공 공정 및 상기 봉구 공정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부는 상기 고정유리가 고정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는 상기 고정유리로 열을 인가하여 봉착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서는 상기 고정유리의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밀폐하는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는 차단되어 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부는, 상기 이송공간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의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열을 발생하여 상기 고정유리로 열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진공 공정 및 상기 봉구 공정을 각각 수행하는 진공유닛 및 봉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부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고정유리를 수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의 수납공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분리하는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공간에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고정유리가 수납되어 상기 고정유리로 열이 인가되며, 상기 하부공간에는 상기 진공 공정 및 상기 봉구 공정을 각각 수행하는 진공유닛 및 봉구유닛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유리 제조방법에서, 진공유리용 상판부와 하판부를 각각 제조한다. 필러부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판부와 하판부를 중첩하여 대차부에 고정시킨다. 상기 대차부를 이송공간을 형성한 챔버부의 내부로 통과시키며, 봉착 공정,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진공유리로 제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지 않고, 고정유리가 대차부 상에서 챔버부를 통과하면서 봉착 공정,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이 수행되므로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봉착 공정,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정이 동시에 수행되므로 종래에 각각의 공정이 차례로 수행되는 것에 비하여, 생산성 및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 대차부의 상부에서는 봉착 공정이 수행되고, 대차부의 하부에서는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이 수행되므로,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하나의 공정만 수행되는 한계가 극복되어 생산성 및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특히, 대차부의 상부에서 봉착 공정이 수행되기 위해 인가되는 열이 대차부의 하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이 봉착 공정에 의해 영향받는 것이 최소화된다.
또한, 봉착 공정의 수행 중 발생되는 챔버부 내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기 위해 상기 챔버부는 방열부를 포함한다.
또한, 챔버부의 상부 프레임이 상부에서 상기 고정유리로 직접 열을 방사하므로, 하부에서 수행되는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과 무관하게 봉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대차부가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부공간에서 상기 고정유리로 열을 방사할 수 있으므로, 하부에서 수행되는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과 무관하게 봉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유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유리의 제조를 위한 제조공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유리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진공유리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유리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유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유리의 제조를 위한 제조공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진공유리(10) 제조공정에서는, 상판부(1)를 완성하여 로딩하고(단계 S10), 하판부(2)를 완성하여 로딩한 후(단계 S20), 상기 상판부(1) 및 상기 하판부(2)를 필러부(3)를 개재한 채로 서로 합착하여(단계 S30), 클립부(8)로 고정하여 고정유리(9)를 완성한다(단계 S40).
이 후, 상기 고정유리(9)의 상판부(1) 및 하판부(2)에 열을 인가하는 열처리 공정을 통해 상기 상판부(1) 및 상기 하판부(2)를 합착하고(이하, 봉착 공정이라함)(단계 S50), 상기 상판부(1) 및 상기 하판부(2)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어 진공상태로 형성하고(이하, 진공 공정이라함), 진공상태의 유지를 위해 실캡부로 밀폐하여(이하, 봉구 공정이라함)(단계 S60) 진공유리(10)를 완성한다.
이 후, 상기 진공유리(10)를 언로딩 하여(단계 S70), 패키징하면(단계 S80) 최종적으로 진공유리(10)가 완성된다.
이 경우, 종래의 진공유리(10) 제조장치에서는, 상기 봉착 공정, 상기 진공 공정 및 상기 봉구 공정이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차례로 수행되었는바, 상기 세 공정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 및 시간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진공유리 제조장치 및 진공유리 제조방법은, 종래의 진공유리(10)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서, 상기 봉차 공정, 상기 진공 공정 및 상기 봉구 공정에 사용되는 제조장치 및 제조공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세 공정을 제외한 여타의 공정에서는 종래의 진공유리(10) 제조장치와 동일한 제조장치가 사용되어 동일한 제조공정이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세 공정을 제외한 여타의 공정용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유리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진공유리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진공유리 제조장치(100)는 대차부(110), 챔버부(120) 및 레일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부(110)는 내부에 수납공간(112)을 형성하는 본체부(111), 베이스부(113), 봉구유닛(114), 진공유닛(115) 및 바퀴부(119)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부(110)는 상기 챔버부(120)의 외부에서 상기 고정유리(9)를 로딩하여 상기 챔버부(1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동하며, 상기 챔버부(120)를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유리(9)에 대한 봉착 공정,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이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대차부(110)는 상기 바퀴부(119)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부(130) 상에서 이송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레일부(130)는 상기 챔버부(120)의 외부로부터 상기 챔버부(120)의 내부를 통과하며 연장된다.
상기 본체부(111)는 내부에 수납공간(112)을 형성하여 내부를 밀폐하고,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부(113)가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부(113) 상에는 상기 고정유리(9)가 위치하며, 따라서, 상기 본체부(111)는 상부에 고정유리(9)가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에 고정된 바퀴부(119)에 의해 상기 챔버부(12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111)는 내부의 수납공간(112)에 상기 봉구유닛(114) 및 상기 진공유닛(115)을 수납하고, 상기 베이스부(113)는 상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챔버부(120)의 내부를 통과한다.
상기 진공유닛(115)은 상기 고정유리(9)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유리(9)의 상판부(1) 및 하판부(2)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어 진공상태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상기 진공유닛(115)은 공기를 빼내기 위한 펌프일 수 있다.
상기 봉구유닛(114)은 상기 고정유리(9)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유리(9)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형성되면, 실캡(seal cap)을 설치하여 상기 진공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챔버부(120)는 내부에 이송공간(122)이 형성되어 상기 대차부(110)가 통과하며, 상부 프레임(121) 및 방열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121)은 상기 대차부(110)가 통과하는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대차부(110)로 열을 인가하는 용광로일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프레임(121)은 가열체를 포함하여 상기 대차부(110)의 상부로 열을 인가한다. 이 경우, 상기 대차부(11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유리(9)가 위치하므로, 결국 상기 상부 프레임(121)은 상기 고정유리(9)로 열을 인가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유리(9)에 대한 봉착공정이 수행된다.
한편, 상기 봉착공정의 보다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상기 챔버부(120)의 상부 프레임 외에, 측부 프레임의 상부도 가열체를 포함하여 열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대차부(110)가 상기 챔버부(12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고정유리(9)에 대하여, 상부에서는 열이 인가되어 봉착공정이 수행되며, 하부에서는 진공공정 및 봉구공정이 수행된다.
다만, 봉착, 진공 및 봉구 공정이 모두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진공유리의 생산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봉착공정을 먼저 수행하면서, 진공공정이 동시에 수행되고, 이후 봉구 공정이 진공공정과 동시에 수행되어 진공유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공 및 봉구 공정이 수행되는 상기 대차부(110)의 본체부(111)에는 열이 인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챔버부(120)의 내부에서 상기 베이스부(113)의 하부로는 열이 직접 인가되지 않도록 차단되어, 상기 본체부(111)는 저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챔버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부(113)의 하부로 인가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 프레임(121)은 열을 발생하므로 항상 고온에 노출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21)의 열이 상기 베이스부(113)의 하부로 인가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121)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상부 프레임(121)의 상면 외부에는 방열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유리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진공유리 제조장치(200)는 대차부의 구조 및 상부 프레임의 열 발생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공유리 제조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진공유리 제조장치(200)는 대차부(210), 챔버부(220) 및 레일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부(210)는 본체부(211), 베이스부(213), 봉구유닛(214), 진공유닛(215), 구획부(216) 및 바퀴부(219)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부(219)는 상기 레일부(23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챔버부(220)를 통과한다.
상기 본체부(211)의 내부는 상기 구획부(216)에 의해 상부공간(218)과 하부공간(217)으로 구획되며, 상기 상부공간(218)에는 상기 베이스부(213)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공간(217)에는 상기 봉구유닛(214)과 상기 진공유닛(215)이 배치된다.
상기 봉구유닛(214)과 상기 진공유닛(215)에 의해 상기 고정유리(9)에 대한 봉구공정 및 진공공정이 수행된다. 구체적인 봉구공정 및 진공공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공유리 제조장치(100)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베이스부(213) 상에는 상기 고정유리(9)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공간(218)에 열이 공급되어 상기 고정유리(9)에 대한 봉착 공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211)의 상부면에 가열체가 구비되어 열을 상기 고정유리(9)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11)는 상기 구획부(216)에 의해 상기 상부공간(218) 및 상기 하부공간(217)이 서로 구획되므로, 상기 상부공간(218)에 인가되는 열은 상기 하부공간(217)으로 제공되지 않고 상기 구획부(216)에 의해 차단된다.
그리하여, 상기 하부공간(217)에 배치된 상기 봉구유닛(214) 및 상기 진공유닛(215)은 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챔버부(220)의 상부 프레임(221)은 가열체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211)의 상부공간(218)으로 열을 공급하여 상기 고정유리(9)의 봉착공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부(220) 내의 열을 방열하기 위해 상기 상부 프레임(221)의 외면에 방열부(223)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공간(218)과 하부공간(217)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구획부(216)를 통해 상기 상부공간(218)에만 열을 인가하여 봉착공정을 수행하고, 하부공간(217)에서는 진공공정 및 봉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진공유닛(215) 및 봉구유닛(214)이 구비되어, 상기 세 공정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공정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지 않고, 고정유리가 대차부 상에서 챔버부를 통과하면서 봉착 공정,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이 수행되므로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봉착 공정,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정이 동시에 수행되므로 종래에 각각의 공정이 차례로 수행되는 것에 비하여, 생산성 및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 대차부의 상부에서는 봉착 공정이 수행되고, 대차부의 하부에서는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이 수행되므로,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하나의 공정만 수행되는 한계가 극복되어 생산성 및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특히, 대차부의 상부에서 봉착 공정이 수행되기 위해 인가되는 열이 대차부의 하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이 봉착 공정에 의해 영향받는 것이 최소화된다.
또한, 봉착 공정의 수행 중 발생되는 챔버부 내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기 위해 상기 챔버부는 방열부를 포함한다.
또한, 챔버부의 상부 프레임이 상부에서 상기 고정유리로 직접 열을 방사하므로, 하부에서 수행되는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과 무관하게 봉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대차부가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부공간에서 상기 고정유리로 열을 방사할 수 있으므로, 하부에서 수행되는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과 무관하게 봉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제조장치 및 진공유리 제조방법은 진공유리의 제조 및 생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진공유리 20 : 종래의 진공유리 제조공정
100, 200 : 진공유리 제조장치 110, 210 : 대차부
111, 211 : 본체부 119, 219 : 바퀴부
113, 213 : 베이스부 114, 214 : 봉구유닛
115, 215 : 진공유닛 120, 220 : 챔버부
121, 221 : 상부프레임 123, 223 : 방열부
130, 230 : 레일부

Claims (11)

  1. 상판부와 하판부가 필러부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고 실링부 및 실캡부로 밀폐되어 내부에 진공부가 형성된 진공유리의 제조장치에서,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가 중첩되도록 고정된 고정유리를 이송하는 대차부; 및
    상기 대차부가 통과하는 이송공간을 형성하는 챔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차부가 상기 챔버부를 통과하면서 봉착 공정,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이 수행되어 상기 고정유리가 상기 진공유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는 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부가 상기 챔버부 내부에서 이송되도록 상기 챔버부를 통과하여 연장된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진공유리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착 공정, 상기 진공 공정 및 상기 봉구 공정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정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는 상기 고정유리가 고정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는 상기 고정유리로 열을 인가하여 봉착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서는 상기 고정유리의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밀폐하는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는 차단되어 저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상기 이송공간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의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열을 발생하여 상기 고정유리로 열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진공 공정 및 상기 봉구 공정을 각각 수행하는 진공유닛 및 봉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 제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고정유리를 수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의 수납공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분리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간에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고정유리가 수납되어 상기 고정유리로 열이 인가되며,
    상기 하부공간에는 상기 진공 공정 및 상기 봉구 공정을 각각 수행하는 진공유닛 및 봉구유닛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 제조장치.
  11. 진공유리용 상판부와 하판부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
    필러부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판부와 하판부를 중첩하여 대차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대차부를 이송공간을 형성한 챔버부의 내부로 통과시키며, 봉착 공정, 진공 공정 및 봉구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진공유리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유리 제조방법.
KR1020140043486A 2014-04-11 2014-04-11 진공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방법 KR20150117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86A KR20150117851A (ko) 2014-04-11 2014-04-11 진공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86A KR20150117851A (ko) 2014-04-11 2014-04-11 진공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851A true KR20150117851A (ko) 2015-10-21

Family

ID=5440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486A KR20150117851A (ko) 2014-04-11 2014-04-11 진공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78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816A (ko) * 2016-08-08 2018-02-20 지티엔이(주) 진공유리 제조방법
CN109982985A (zh) * 2016-09-20 2019-07-05 朴在壹 真空绝热玻璃板装配体的制造方法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816A (ko) * 2016-08-08 2018-02-20 지티엔이(주) 진공유리 제조방법
CN109982985A (zh) * 2016-09-20 2019-07-05 朴在壹 真空绝热玻璃板装配体的制造方法及装置
CN109982985B (zh) * 2016-09-20 2021-05-28 朴在壹 真空绝热玻璃板装配体的制造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6933B2 (en) Methods of bonding semiconductor elements to a substrate, including use of a reducing gas, and related bonding machines
KR20150117851A (ko) 진공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방법
TW201709359A (zh) 模製模具及樹脂模製裝置
CN105321865A (zh) 带扩张装置
US9488418B2 (en) Heat plate structure
MY169198A (en) An apparatus for heating a substrate during die bonding
US20140182785A1 (en)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testing and etching substrate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963247B1 (ko) 진공 밀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유리 모듈의 제조 설비
CN205327513U (zh) 一种屏蔽壳自动检测包装机
KR101312685B1 (ko) 대면적 박막 코팅장치의 진공플레이트 및 그 가공방법
WO2015141447A1 (ja) 樹脂モールド方法および樹脂モールド金型
US20160068209A1 (en) Vehicle body manufacturing apparatus
CN111037139A (zh) 一种大尺寸电路密封空洞率的控制方法
KR102658356B1 (ko) 본딩 기계용 본딩 툴, 반도체 요소를 본딩하기 위한 본딩 기계, 및 관련 방법
US11205633B2 (en) Methods of bonding of semiconductor elements to substrates, and related bonding systems
JP6258003B2 (ja) 転写装置用チャンバ及びこの転写装置用チャンバを用いた転写方法並びに転写装置
US20210017074A1 (en) Sealing hea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and method for sealing work in progress of glass panel unit
CN104865753A (zh) 真空贴合装置及显示母板的贴合和方法
TWM507579U (zh) 半導體器件封裝系統
CN205680664U (zh) 一种用于功率器件封装的预热装置
CN104392954A (zh) 管壳封装夹具及利用该夹具的封装方法
CN108296622A (zh) 一种多真空室电子束焊接设备
KR101441452B1 (ko) 전자부품용 패널의 접착 장치
JP5785200B2 (ja) 製造装置
US1809206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vacuum tube electr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