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562A - 분리 장치 및 유압 마운트 - Google Patents

분리 장치 및 유압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562A
KR20180030562A KR1020187003109A KR20187003109A KR20180030562A KR 20180030562 A KR20180030562 A KR 20180030562A KR 1020187003109 A KR1020187003109 A KR 1020187003109A KR 20187003109 A KR20187003109 A KR 20187003109A KR 20180030562 A KR20180030562 A KR 20180030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nozzle plate
bump
bumps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291B1 (ko
Inventor
울프강 베크만
감즈 일딜림
피터 파렌코프
Original Assignee
비브라코우스틱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브라코우스틱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브라코우스틱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3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 F16F13/105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partitions between two working chambers
    • F16F13/106Design of constituent elastomeric parts, e.g. decoupling valve elements, or of immediate abutments therefor, e.g.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 F16F13/105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partitions between two working chambers
    • F16F13/107Passage design between working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마운트(10)의 보상 챔버(20) 및 작업 챔버(18) 사이에 배열되는 분리 장치(16)로서,상기 분리 장치는 제1 노즐 플레이트(28), 제1 거리로 제1 노즐 플레이트(28)로부터 이격되는 제2 노즐 플레이트(28), 및 탄성 있으며 제1 노즐 플레이트(28) 및 제2 노즐 플레이트(30) 사이에 배열되는 멤브레인(32)을 포함하며, 브레인(32)은 적어도 하나의 범프(46)를 구비하며, 프(46)는 멤브레인(32)에 대하여 높이(H)를 가지며, 프(46)는 범프가 점상 방식으로(punctiform manner) 제1 노즐 플레이트(28)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30)에 대항하여 놓이도록 설계되며, 함께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멤브레인(32)의 두께(D) 및 범프(46)의 높이(H)는 제1 거리보다 커서, 멤브레인(32)이 점상 방식으로 제1 노즐 플레이트(28) 및 제2 노즐 플레이트(30) 사이에 클램프된다.

Description

분리 장치 및 유압 마운트
본 발명은 제1 노즐 플레이트, 제2 노즐 플레이트 및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유압 마운트의 작업 챔버 및 보상 챔버 사이에 배열되는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멤브레인은 탄성이 있으며 제1 노즐 플레이트 및 제2 노즐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챔버, 보상 챔버, 및 이러한 챔버들 사이에 배열된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유압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절개부를 가진 멤브레인들이 노즐 케이지에서 작업 챔버 및 보상 챔버 사이의 압력 차를 줄이기 위해서 유압 감쇄 엔진 마운트로 사용되었다. 이런 방식으로, 공동현상으로 인한 차량의 소음을 피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노즐 케이지에 대하여 절개부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선행 기술에서, 이는 통상적으로 분리 멤브레인들, 즉 노즐 케이지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멤브레인들에 맞춰진 형태에 의해서 달성되었다. 예컨대, 축 방향에서 연장하는 코(nose)가 노즐 케이지 상에 형성되며, 코는 멤브레인의 리세스에서 결합된다. 따라서, 멤브레인은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멤브레인의 회전을 방지한다.
대안의 회전-방지 메커니즘은 특허문헌 JP 2009-168183, EP 1 559 926 81, FR 2 902 162, EP 1 306 576 8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해결책은 멤브레인에 배열된 핀을 포함하며, 핀은 노즐 케이지의 구멍과 결합한다. 핀의 높이는 노즐 케이지에서 구멍과 핀 사이의 폼-핏(form-fit) 연결이 멤브레인의 축 방향 위치와 관계없이 유지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멤브레인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원주방향으로 회전을 고정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단순한 설계 디자인을 가지는 멤브레인용 회전-방지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이하의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분리 장치 및 제 10 항에 따른 유압 마운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분리 장치의 선호되는 실시예들은 청구항 2 내지 9에서 구체화된다.
본 발명은 유압 마운트의 작업 챔버 및 보상 챔버 사이에 배열된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리 장치는 제1 노즐 플레이트, 제1 거리만큼 제1 노즐 플레이트에서 이격된 제2 노즐플레이트,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멤브레인은 탄성이 있으며 제1 노즐 플레이트와 제2 노즐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멤브레인을 일정 두께를 가진다. 멤브레인은 멤브레인과 마주하는 높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범프를 가진다. 범프는 점상 방식(punctiform manner)으로 제1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에 대항하여 실질적으로 놓이도록 형성된다.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범프의 높이 및 멤브레인의 두께는 제1 거리보다 커서, 멤브레인은 점상 방식으로 제1 노즐 플레이트 및 제2 노즐 플레이트 사이에 클램프된다.
특히, 분리 장치는 유압 마운트의 작업 챔버 및 보상 챔버 사이에 구비된다. 분리 장치는 예컨대 노즐 케이지를 포함한다. 또한, 분리 장치는 유압 마운트의 보상 챔버 및 작업 챔버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분리 장치는 제1 노즐 플레이트 및 제2 노즐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이들 플레이트는 서로에 대하여 제1 거리만큼 이격된다. 제1 노즐 플레이트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판형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노즐 플레이트는 멤브레인을 마주하는 측면 상에 평평한 표면을 가진다. 제1 노즐 플레이트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개구와 구비된다.
멤브레인은 제1 노즐 플레이트 및 제2 노즐 플레이트 사이에 배열되어 축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이는 간극이 제1 노즐 플레이트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와 멤브레인 사이에 구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간극은 예컨대 유압 마운트의 유체로 채워진다. 다시 말해,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은 제1 노즐 플레이트와 제2 노즐 플레이트 모두의 표면에 마주하여 놓이지 않는다. 따라서, 멤브레인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멤브레인은 탄성이 있기 때문에, 멤브레인은 축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 장치로서 기능하기 위해, 멤브레인은 고정 멤브레인이 아니라 분리된 멤브레인이다.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의 두께는 멤브레인의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특히, 멤브레인의 축 방향은 원주 방향이 배열되는 멤브레인의 면적에 수직한다. 제1 노즐 플레이트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의 평면에서 연장한다.
멤브레인은 탄성이 있는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특히, 멤브레인은 탄성이 있어서 축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멤브레인은 탄성이 있어서 멤브레인의 영역이 축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 챔버 및 보상 챔버 사이의 압력 차가 발생할 때 제1 노즐 플레이트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에서 개구의 부근에서만 멤브레인이 변형된다. 따라서, 멤브레인은 축 방향의 특정 영역에서 특히 변형 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막 상에 돌출부가 형성 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실질적으로 디스크형 또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범프가 이러한 실질적인 판형 구성에서 구비된다. 특히, 범프는 국소적으로 형성되어, 범프는 제1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 상에 점상 방식으로 놓인다. 범프는 멤브레인의 판형 구성에 대하여 높이를 가져서, 상기 높이만큼 범프의 꼭지가 멤브레인의 나머지를 가압한다.
범프의 높이와 멤브레인의 두께를 더한 것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며, 즉 범프 및/또는 멤브레인이 가압되지 않을 때, 제1 노즐 플레이트 및 제2 노즐 플레이트 사이의 제1 거리보다 크다. 결과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멤브레인 및/또는 범프는 제1 노즐 플레이트와 제2 노즐 플레이트 사이에서 가압된다. 클램프는 범프의 위치에서만 실행된다.
범프는 점상 방식으로 형성되어서 제1 노즐 플레이트 및/또는 제2 플레이트에 대항하여 점상 방식으로 놓이기 때문에, 제1 노즐 플레이트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의 멤브레인의 큰 부분이 이격되어 범프가 없는 위치들에서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연속된다. 본 명세서에서 점상(punctiform)이란 표현은 범프의 축 방향에 수직인 가장 큰 횡단면에서 범프의 영역이 멤브레인의 면적의 1 %미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범프의 영역은 0.5%미만, 특히 2%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범프가 제1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에 놓이는 영역은 범프의 가장크 단면적보다 작다.
제1 노즐 플레이트와 제2 노즐 플레이트 사이에 점상 방식 또는 국부적으로 멤브레인을 클램프하는 적어도 하나의 범프의 제공은 멤브레인이 클램프되기 때문에 멤브레인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없는 바람직한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범프가 점상 또는 국부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막의 축 방향 변형 가능성 및 막의 축 방향 이동은 무시할 정도로 작다. 따라서, 멤브레인의 거동은 바람직하게 본질적으로 분리 멤브레인에 대응하는 동시에, 회전-방지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범프의 다른 이점은 멤브레인을 노즐 플레이트에 설치하는 동안, 노즐 플레이트에 대한 멤브레인의 배열이 어렵지 않다는 것이다. 제1 노즐 플레이트 및 제2 노즐 플레이트 사이에서 멤브레인의 클램프가 범프의 적절한 배열과 함께 항상 발생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분리 장치의 제조가 단순화된다. 또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멤브레인의 고정을 위한 분리 장치에 개구 또는 돌출부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분리 장치의 구조도 단순화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범프는 멤브레인의 제1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측부 및 멤브레인의 제2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범프의 제1 측부는 제1 노즐 플레이트의 방향에서 멤브레인으로부터 돌출한다. 특히, 제2 측부는 제2 노즐 플레이트를 마주하는 제2 측면으로부터 멤브레인으로부터 돌출한다. 제1 측부 및 제2 측부의 존재는 멤브레인이 제1 노즐 플레이트 및 제2 노즐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이들이 작업 챔버와 보상 챔버 사이의 압력 차가 있을 때 제1 노즐 플레이트의 방향 및 제2 노즐 플레이트의 방향 모두에서 변형한다는 선호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범프의 높이는 따라서 제1 측부의 높이 및 제2 측부의 높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범프는 탄성 방식으로 형성되며, 멤브레인 및 범프는 바람직하게는 동일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제1 노즐 플레이트 및 제2 노즐 플레이트 사이에서 멤브레인 및 범프는 가압된다.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 및 범프는 동일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서, 멤브레인의 제조가 더욱 간소화될 수 있다. 특히, 선행 기술의 기존의 멤브레인이 사용되며, 범프가 제조 동안에 추가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측부 및/또는 제2 측부는 원뿔형 또는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상술했듯이, 범프의 단면적은 가장 큰 영역인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적이다. 따라서, 원뿔형 또는 반구형 범프에서, 멤브레인의 남아있는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된 표면이다. 범프의 반구형 또는 원뿔형 디자인에서, 범프가 제1 노즐 플레이트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 상에 놓이는 영역은 가장 큰 단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접촉면은 멤브레인 근처의 단면적보다 작아서, 클램핑이 점상 방식 및 국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노즐 플레이트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은 상기 개구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수 개의 절개부가 구비된다. 특히, 절개부의 수는 개구의 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컨대 모든 제2 절개부는 개구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멤브레인은 탄성체로 제조되기 때문에, 절개부는 작업 챔버 및 보상 챔버 사이의 압력 차이만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멤브레인에 개구를 형성한다. 작업 챔버 및 보상 챔버 사이의 유체의 유동이 쉽도록, 절개부는 제1 노즐 플레이트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에서 개구에 상응한다. 특히, 제1 노즐 플레이트 및 제2 노즐 플레이트 각각은 축 방향에 알맞게 배열되도록 개구를 구비한다. 특히, 절개부는 두 개의 개구들 사이에 구비된다. 범프로 인한 멤브레인의 국부적인 클램프로 인해 멤브레인의 거동은 범프가 없는 탄성 멤브레인에 비해 약간만 변하며, 압력 차만큼 절개부를 개방할 가능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은 내부 가장자리, 외부 가장자리, 및 내부 가장자리와 외부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중간부를 구비하며, 절개부는 중간부에 배열된다. 내부 가장자리 및/또는 외부 가장자리는 중간부와 비교할 ‹š 다른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내부 가장자리, 외부 가장자리, 및 중간부는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돌출부는 중간부에 배열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 범프는 외부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외부 가장자리 상의 제2 범프를 제공하는 것은 제2 범프와 절개부 사이의 거리가 커서 절개부 근처의 멤브레인의 거동이 제2 범프 상에 미미한 영향만을 주는 선호되는 이점을 가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노즐 플레이트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는 가장자리에 개구를 구비하지 않아서, 멤브레인은 항상 제1 노즐 플레이트 및 제2 노즐 플레이트 사이의 원주 방향에 배열과 독립하여 항상 클램프되게 한다. 따라서, 멤브레인의 설치가 간소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측부 및/또는 제2 측부의 높이는 적어도 0.2mm이고 최대 0.7mm이며, 특히 0.5mm이다.
만약 제1 측부만이 제공된다면 멤브레인은 제1 노즐 플레이트로부터 이러한 양만큼 이격된다. 제1 측부 및 제2 측부 모두가 제공된 경우, 멤브레인은 제1 노즐 플레이트 및 제2 노즐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위에서 언급 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중심이 맞춰진다. 이러한 높이의 범프에서 완전히 분리된 멤브레인과 비교할 때 멤브레인의 축 방향 거동은 무시할 정도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4개의 범프가 멤브레인에 구비된다. 특히, 3개의 제2 범프가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제1 범프가 중간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실시 예는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은 멤브레인과 비교하여 멤브레인의 축 방향 거동을 약간만 변화시키면서 특히 우수한 회전 방지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분리 장치, 작업 챔버, 보상 챔버를 포함하는 유압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분리 장치는 작업 챔버 및 보상 챔버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장치에 관한 상술한 고려사항 및 이점이 유압 마운트에 적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의 선호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분리 장치를 가지는 유압 마운트를 도시한다.
도 2는 멤브레인을 가지는 분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멤브레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멤브레인의 확대도이다.
도 5는 A-A 선에 따른 멤브레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B-B 선에 따른 멤브레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C-C 선에 따른 멤브레인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유압 마운트(10)는 지지 요소(12) 및 지지 요소를 형성하는 하우징(14)을 구비한다. 분리 장치(16)는 지지 요소(12) 및 하우징(14)사이에 배열되며, 분리 장치(16)는 유압 마운트(10)를 작업 챔버(18) 및 보상 챔버(20)로 나눈다. 따라서, 작업 챔버(18)는 지지 요소(12) 및 분리 장치(16)에 의해서 한정되는 반면, 보상 챔버(20)는 분리 장치(16) 및 분리 멤브레인(22)에 의해서 한정된다.
도 1에 도시되었듯이, 분리 장치는 오버플로 채널(24), 채널(26), 제1 노즐 플레이트(28), 제2 노즐 플레이트(30), 및 멤브레인(32)을 구비한다. 오버플로 채널(24) 및 채널(26)은 작업 챔버(18) 및 보상 챔버(20) 사이의 유체 연통을 실현한다. 오버플로 채널(24) 및 채널(26)의 배열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 장치(16)의 상면도에서 보여질 수 있다.
멤브레인(32)은 제1 노즐 플레이트(28) 및 제2 노즐 플레이트(30) 사이에 배열된다. 제1 노즐 플레이트(28) 및 제2 노즐 플레이트(30)는 축 방향(A)과 일치하게 배열되는 6개의 개구(34)를 가진다. 제1 노즐 플레이트(28) 및 제2 노즐 플레이트(30)는 축 방향(A)에서 제1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이격된다. 축 방향(A)은 유압 마운트(10) 축 방향과 일치한다. 원주 방향(U)은 축 방향(A)과 수직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12개의 절개부(36)가 원주 방향(U)에서 멤브레인(32)에 구비되며, 이는 도 2에서 6개만을 볼 수 있다. 축 방향에서 본다면, 절개부(36) 각각은 구멍(34)과 협력하며, 모든 제2 절개부(36)는 개구(34)와 마주한다. 따라서, 한 챔버로부터 유체는 작업 챔버(18) 및 보상 챔버(20) 사이의 압력 차로 개구(34) 및 절개부(36)를 통하여 흐를 수 있으며, 따라서 멤브레인(32)은 탄성체로 만들어지고 절개부(36)는 압력이 가해질 때 개방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멤브레인(32)은 멤브레인의 중심에 리세스(38)를 구비하며, 채널(26)은 리세스(38)에 수용될 수 있다. 멤브레인(32)은 내부 가장자리(40), 외부 가장자리(42), 및 중간부(44)를 구비한다. 중간부(44)는 내부 가장자리(40) 및 외부 가장자리(42) 사이에 위치된다. 절개부(36)는 중간부(44)에 구비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멤브레인(32)은 4개의 범프(46)를 구비한다. 범프(46)는 확대된 단면 영역과 도 3에 도시된다. 범프(46) 각각은 멤브레인(32)의 원주 방향(U)의 평면에서 영역의 1% 미만을 차지한다. 범프들(46) 각각은 중간부(44)에 배열된 제1 범프(48), 외부 가장자리(42)에 배열된 3개의 제2 돌출부(50)를 구비한다. 절개부(36) 및 리세스(38)의 배열은 도 5 및 6의 단면들에 다시 도시된다.
도 7에 도시되었듯이, 범프(46) 및 멤브레인(32)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 축 방향(A)에서, 멤브레인의 두께는 D이며 범프의 높이는 H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측부(52)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구비되지 않는다. 멤브레인(32)과 범프(46)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께(D) 및 높이(H)의 합은 축 방향(A)에서 제1 노즐 플레이트(28) 및 제2 노즐 플레이트(30)의 제1 거리보다 크다.
회전-방지 메커니즘의 작업 모드는 다음과 같다. 멤브레인(32)이 제1 노즐 플레이트(28) 및 제2 노즐 플레이트(30) 사이에 범프(46)에 의해서 클램프된다. 4개의 돌출부(46)가 구비되기 때문에, 멤브레인(32)은 이러한 4개의 지점에서만 국소적으로 클램프된다. 따라서, 4개의 범프는 회전-방지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범프(46)는 멤브레인(32)의 영역보다 상당히 더 작은 단면 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축 방향(A)에서 멤브레인(46)의 잔류 거동은 돌출부에 의해 단지 약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분리 멤브레인(22)은 회전-방지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10 유압 마운트(hydraulic mount)
12 지지 요소(support element)
14 하우징(housing)
16 분리 장치(separating device)
18 작업 챔버(working chamber)
20 보상 챔버(compensation chamber)
22 분리 멤브레인(decoupled membrane)
24 오버플로 채널(overflow channel)
26 채널(channel)
28 제1 노즐 플레이트(first nozzle plate)
30 제2 노즐 플레이트(second nozzle plate)
32 멤브레인(membrane)
34 개구(openings)
36 절개부(incision)
38 리세스(recess)
40 내부 가장자리(inner edge portion)
42 외부 가장자리(outer edge portion)
44 중간부(intermediate portion)
46 범프(bump)
48 제1 범프(first bump)
50 제2 범프(second bump)
52 제1 측부(first side portion)
A 축 방향(axial direction)
D 두께(thickness)
H 높이(height)
U 원주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

Claims (10)

  1. 유압 마운트(10)의 보상 챔버(20) 및 작업 챔버(18) 사이에 배열되는 분리 장치(16)로서,
    상기 분리 장치는 제1 노즐 플레이트(28),
    제1 거리로 제1 노즐 플레이트(28)로부터 이격하는 제2 노즐 플레이트(30), 및 탄성이 있으며 제1 노즐 플레이트(28) 및 제2 노즐 플레이트(30) 사이에 배열되는 멤브레인(32)을 포함하며,
    멤브레인(32)은 적어도 하나의 범프(46)를 구비하며,
    범프(46)는 멤브레인(32)에 대하여 높이(H)를 가지며,
    범프(46)는 범프가 점상 방식으로(punctiform manner) 제1 노즐 플레이트(28)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30)에 대항하여 놓이도록 설계되며,
    함께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멤브레인(32)의 두께(D) 및 범프(46)의 높이(H)는 제1 거리보다 커서, 멤브레인(32)이 점상 방식으로 제1 노즐 플레이트(28) 및 제2 노즐 플레이트(30) 사이에 클램프되는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범프(46)는 멤브레인(32)의 제1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측부(52) 및 멤브레인(32)의 제2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측부(52)를 포함하는 분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범프(46)는 탄성이 있으며,
    멤브레인(32) 및 범프(46)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분리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1 측부(52) 및/또는 제2 측부는 원뿔형 또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분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노즐 플레이트(28) 및/또는 제2 노즐 플레이트(3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4)를 가지며,
    상기 멤브레인(32)은 바람직하게는 개구(34)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36)를 가지는 분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멤브레인(32)은 내부 가장자리(40), 외부 가장자리(42), 및 내부 가장자리(40) 및 외부 가장자리(42) 사이에 배열된 중간부(44)를 구비하며,
    절개부(36)는 중간부(44)에 배치되는 분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제1 범프(46)는 중간부(44)에 배열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 범프(46)는 외부 가장자리(42)에 배열되는 분리 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측부(52) 및/또는 제2 측부의 높이(H)는 최소 0.2mm이고 최대 0.7mm이며, 특히 0.5mm인 분리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대 4개의 범프(46)가 구비되는 분리 장치.
  10. 작업 챔버(18), 부상 챔버(20), 및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따른 분리 장치(16)를 포함하는 유압 마운트(10)로서,
    상기 분리 장치는 작업 챔버(18)와 보상 챔버(20) 사이에 배열되는 유압 마운트.
KR1020187003109A 2015-07-15 2016-07-12 분리 장치 및 유압 마운트 KR102048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1505.0 2015-07-15
DE102015111505.0A DE102015111505B4 (de) 2015-07-15 2015-07-15 Trennvorrichtung und Hydrolager
PCT/EP2016/066489 WO2017009318A1 (de) 2015-07-15 2016-07-12 Trennvorrichtung und hydrola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562A true KR20180030562A (ko) 2018-03-23
KR102048291B1 KR102048291B1 (ko) 2019-11-25

Family

ID=5641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109A KR102048291B1 (ko) 2015-07-15 2016-07-12 분리 장치 및 유압 마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80606B2 (ko)
EP (1) EP3322913B8 (ko)
KR (1) KR102048291B1 (ko)
CN (1) CN107850171B (ko)
DE (1) DE102015111505B4 (ko)
WO (1) WO2017009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4804A (zh) * 2021-06-15 2021-09-1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悬置装置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5910A (ja) * 2008-04-16 2009-11-26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防振装置
US20110210488A1 (en) * 2008-09-17 2011-09-01 Toyo Tire & Rubber Co., Ltd. Liquid-sealed type vibration isolat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7244C2 (de) * 1976-06-30 1990-06-21 Automobiles Peugeot, 75116 Paris Gummifeder mit Flüssigkeitsfüllung
DE3731524A1 (de) * 1987-09-18 1989-04-06 Metzeler Gmbh Hydraulisch daempfendes zweikammer-motorlager
FR2831630B1 (fr) 2001-10-29 2004-01-30 Hutchinson Support antivibratoire hydraulique comportant un clapet de decouplage clipse
US7475872B2 (en) * 2002-03-06 2009-01-13 Delphi Technologies, Inc. Hydraulic engine mount with center-clamped decoupler
CN1745261A (zh) * 2003-04-04 2006-03-08 东洋橡胶工业株式会社 液体封入式防振装置
EP1574742B1 (en) * 2004-01-08 2006-08-30 Toyo Tire & Rubber Co., Ltd . Hydraulic antivibration device
EP1559926B1 (de) * 2004-01-27 2007-11-14 ContiTech Vibration Control GmbH Hydrolager mit akustischer Entkopplung
DE602005000091T2 (de) * 2004-03-12 2007-02-22 Toyo Tire & Rubber Co., Ltd. Hydraulische schwingungsdämpfende Vorrichtung
WO2005100814A1 (ja) * 2004-03-31 2005-10-27 Toyo Tire & Rubber Co. Ltd. 液封入式防振装置、並びに、その液封入式防振装置に使用される弾性仕切り膜および挟持部材
CN1701190A (zh) * 2004-11-24 2005-11-23 东洋橡胶工业株式会社 液体封装式防振装置以及液体封装式防振装置单元
FR2902162B1 (fr) * 2006-06-08 2008-09-26 Hutchinson Dept Auto Sa Support antivibratoire hydraulique
JP2009041740A (ja) * 2007-08-10 2009-02-26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5185638B2 (ja) * 2008-01-17 2013-04-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振装置
JP2009252488A (ja) * 2008-04-04 2009-10-29 Tyco Electronics Amp Kk レバー式コネクタ
JP5248645B2 (ja) * 2011-03-31 2013-07-3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液封入式防振装置
WO2013005261A1 (ja) * 2011-07-07 2013-01-1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流体封入式防振装置
WO2013140708A1 (ja) * 2012-03-23 2013-09-2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5940877B2 (ja) * 2012-04-27 2016-06-29 山下ゴム株式会社 液封防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5910A (ja) * 2008-04-16 2009-11-26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防振装置
US20110210488A1 (en) * 2008-09-17 2011-09-01 Toyo Tire & Rubber Co., Ltd. Liquid-sealed type vibration iso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2913A1 (de) 2018-05-23
CN107850171B (zh) 2020-03-17
US10480606B2 (en) 2019-11-19
KR102048291B1 (ko) 2019-11-25
EP3322913B1 (de) 2020-01-15
CN107850171A (zh) 2018-03-27
EP3322913B8 (de) 2020-03-04
DE102015111505A1 (de) 2017-01-19
DE102015111505B4 (de) 2018-03-08
US20180202510A1 (en) 2018-07-19
WO2017009318A1 (de)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1714B2 (ja)
KR102365152B1 (ko) 하이드로 엔진마운트
JP2008138854A (ja) 液封防振装置
KR101598316B1 (ko) 완충기의 감쇠 밸브
EP2881615B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US9273744B2 (en) Hydraulically damped mounting device
US10696338B2 (en) Wall surface suction-type travel device
US20190063543A1 (en) Switchable Hydraulic Mount
US11454295B2 (en) Anti-vibration apparatus having bracket
KR20180030562A (ko) 분리 장치 및 유압 마운트
US11242943B2 (en) Micro-valve
CN113494556B (zh) 充液式防振装置
JPH11257523A (ja) 高圧電磁弁
JP2011047464A (ja) 防振装置
JP5767837B2 (ja) 差圧弁及び空気バネ式懸架装置
KR101640556B1 (ko) 멤브레인의 장착구조
KR100377664B1 (ko) 유압 댐핑 베어링
JP2005351350A (ja) 液封入式防振装置
KR102215764B1 (ko) 하이드로 마운트
WO2014021110A1 (ja) 防振装置
JP2014190401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KR20190051046A (ko) 진동 댐퍼용 댐핑 밸브
KR102466063B1 (ko) 엔진마운트의 노즐판
KR101095898B1 (ko) 압축기용 토출밸브 어셈블리
KR101845788B1 (ko) 엔진마운트의 노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