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266A - 자동차 창 리프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창 리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0266A KR20180030266A KR1020187007353A KR20187007353A KR20180030266A KR 20180030266 A KR20180030266 A KR 20180030266A KR 1020187007353 A KR1020187007353 A KR 1020187007353A KR 20187007353 A KR20187007353 A KR 20187007353A KR 20180030266 A KR20180030266 A KR 201800302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rail
- guide rails
- carrier element
- base plate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41001074085 Scophthalmus aquos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8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000 extrud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71 blow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50 conditio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5 thermop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5—Mounting of windows using positioning means during mou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7—Mounting of windows received in frames to be attached to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05F11/06—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in guide-chan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two cable connections to the window glas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05F15/64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allowing or involving a secondary movement of the wing, e.g. rotational or transversal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4—Vertic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6—Shaf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266—Form or shape curv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비틀림가능하거나 휨가능한 가이드 레일(3)을 갖는 자동차 창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창유리와 결합되는 구동기가 가이드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그 가이드 레일은 캐리어 요소(2)의 체결 리셉타클(41)과 연결가능한 체결점(51)을 포함한다. 캐리어 요소(2)의 체결 리셉타클(41)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점(61)이 제공된다. 가이드 레일(3)의 체결점(51)을 캐리어 요소(2)의 체결 리셉타클(41)로 지탱할 때, 가이드 레일(3)이 지지점(61)에서 지지되며 또한 처음에 곧게 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3)이 가이드 레일(3)의 특정의 비틀림도로 비틀리고/비틀리거나 특정의 굽힘 반경(R)으로 휘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비틀림가능하거나 휨가능한 가이드 레일을 갖는 자동차 창 리프터 및 비틀림가능하거나 휨가능한 가이드 레일을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 부착하기 위한 여러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들은 장치 청구항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형성된다.
DE 199 42 643 C2 에는, 케이블 창 리프터를 자동차의 차량 도어에 부착하는 방법 및 차량 도어가 알려져 있다. 차량 도어는 비틀림가능하거나 휨가능한 가이드 레일을 갖는 케이블 창 리프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창유리와 결합되는 구동기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또한 그의 단부에서 체결점을 포함하는데, 이 체결점은 차량 도어의 체결점으로 지탱된다. 가이드 레일의 체결점을 차량 도어의 체결점으로 지탱함으로써, 처음에 곧게 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이 가이드 레일의 특정의 비틀림도로 비틀리고/비틀리거나 특정의 굽힘 반경으로 휘어지게 된다. 차량 도어의 체결점은 서로 둔각을 포함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평면내에 있으며, 이 평면의 단면선은 자동차의 주행 방향에 수직 또는 평행하게, 즉 Z 축 또는 X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창유리만 안내하는데 요구되는 가이드 레일의 비틀림도 및/또는 굽힘 반경은 체결점의 지지로 얻어지므로, 차량 도어의 도어 거터(gutter)에 배치되는 창 리프터의 가이드 레일의 비틀림 및/또는 휨은 가이드 레일이 차량 도어에 또는 차량 도어에 장착된 캐리어에 설치되기 전에 일어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은 프레스 성형 중에 더 이상 비틀리거나 휘어질 필요가 없는데, 하지만 예컨대 압출 또는 롤러 버니싱(roller burnishing)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곧은 가이드 레일은 가이드 레일의 체결점을 차량 도어의 체결점으로 지탱하여 비틀리고/비틀리거나 휘어지게 되는데, 이리 하여 창 리프터가 저렴하게 제작되어 차량 도어 안에 결합될 수 있다.
차량 도어에 설치되는 창 리프터에 개별적인 가이드 레일을 사용하는 것 외에, 차량 도어에 쉽게 장착될 수 있는 미리 장착가능한, 미리 확인가능한 유닛을 만들기 위해, 기능 요소, 예컨대, 창 리프터 유닛, 확성기, 측면 에어백, 도어 잠금 장치 등이 배치되는 어셈블리 캐리어 또는 창 리프터 유닛을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도어 모듈 또는 도어 시스템이 또한 사용되고 있다. 창 리프터 유닛의 부품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어셈블리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지니고 있으며, 이 가이드 레일에서는 창유리와 연결된 구동기가 안내된다.
이러한 도어 시스템 또는 도어 모듈은 차량 제조업체의 다른 차량 및 차량 종류에서 모든 종류의 설계로 사용되며, 각 차량 종류는 특정의 개별적인 도어 시스템의 또는 창 리프터의 구조를 필요로 하는데, 왜냐하면 다른 차량 종류의 차량 도어는 다르게 형성되고 구조적인 설계와 구성에 있어 다르기 때문이다. 다른 차량 도어에서는, 예컨대 다른 운동, 즉 다른 곡률 반경, 다른 풀오프 각도(이는 창유리가 거의 수직하게 또는 경사져서 차량 도어 안으로 물러나는지를 나타냄) 및 개별적인 또는 여러 차량 축선(X-, Y- 및 Z-축)에 대한 회전을 포함하는 다른 조절 경로를 갖는 창유리가 사용되고 가이드 레일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또는 어셈블리 캐리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의 특정한 적합화를 요구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가이드부로서 형성되는 개별적인 가이드 레일 또는 어셈블리 캐리어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은 차량 도어 안에 장착될 때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축)에 대해 휘어지고/휘어지거나 차량 수직 방향 축선(Z-축)에 대해서는 비틀리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차량 도어를 위한 자동차 창 리프터 또는 도어 시스템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어셈블리 캐리어에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의 비틀림 및/또는 휨의 가능성을 확대시키고 그래서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어셈블리 캐리어를 상이한 차량 도어 및 창 리프터 운동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용도를 확대시키는 자동차 창 리프터 또는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적 구성으로 달성된다.
캐리어 요소의 체결 리셉타클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점이 배치됨으로써(가이드 레일이 캐리어 요소로 지탱될 때 그 가이드 레일은 상기 지지점에서 지지된다), 창 리프터의 가이드 레일의 비틀림 및/또는 휨의 가능성이 확대되고 또한 그리 하여 비틀릴 수 있는 또는 휘어질 수 있는 가이드 레일을 갖는 창 리프터의 용도가 커지게 된다.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어셈블리 캐리어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캐리어 요소 또는 차량 도어에 설치하는 중에만 창 리프터의 풀오프 운동이 결정되는 것의 중요한 이점은,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가능한 반제품에서 시작하여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는 차량 도어의 각각의 조건, 즉 요구되는 굽힘 반경(창유리의 풀오프 라인) 및/또는 가이드 레일의 요구되는 비틀림에 대해 적합하게 될 수 있다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든 모델 범위에 걸쳐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이 사용될 수 있게 해준다.
DE 199 42 643 C2 에 따른 종래 기술에서 시작하여, 본 발명의 주재는 곧은 가이드 레일의 단부 또는 단부 영역을 체결점으로 이용하는 것만이 아닌데, 이는 캐리어의 대응하여 정렬된 체결 리셉타클과의 연결로 인해 캐리어로 지탱될 때 가이드 레일을 특정가능한 방식으로 휘게 하고/하거나 비틀게 되며, 하지만 캐리어의 체결 리셉타클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점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이 캐리어 요소로 지탱될 때 그 가이드 레일의 곡률 및/또는 비틀림에 대한 성형 효과를 갖는 방책이 얻어진다. 여기서 또한 이하에서, "캐리어 요소"는 창 리프터를 수용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특히 도어 내부 패널, 차량 도어의 도어 프레임 안에 끼워질 수 있는 캐리어 플레이트 또는 모듈 도어 또는 도어 시스템을 위한 기능 캐리어로 이해된다. 또한, 용어 "지지점"은 지지 영역도 포함하는 것으로 따라서 점 또는 선형 지지부 뿐만 아니라 평면형 지지부도 포함한다.
캐리어 요소의 체결 리셉타클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체결점 및/또는 지지점이 배치됨으로써, 가이드 레일을 지지점에서 지지하여 그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 요소로 지탱하고 그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 요소의 체결 리셉타클에 부착할 때, 실질적으로 곧은, 특히 압출된 또는 롤러 버니싱된 가이드 레일이 휘거나 비틀릴 뿐만 아니라, 가이드 레일을 지지점에 지지 및/또는 부착하고 그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 요소의 체결 리셉타클에 부착함으로써, 제 1 굽힘 반경으로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이 제 2 굽힘 반경(제 1 굽힘 반경 보다 크다)으로 휘어지게 되며 그리고/또는 특정가능한 방식으로 비틀릴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압축된 또는 롤러 버니싱된 가이드 레일을 대응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다른 창 캡스턴(capstan) 또는 창 곡률 및 다른 스트로크를 갖는 다른 차량 및 차량 종류에 대해 하나의 동일한 가이드 레일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한 차량의 좌측 및 우측 전후방 도어에 대해서도 동일한 가이드 레일을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의 제작에는 단지 하나의 압출 공구만 있으면 되며, 그래서 투자 비용이 절감된다.
가이드 레일을 미리 휘게 하고 또한 가능하다면 가이드 레일의 단부 영역에 있는 체결점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체결점을 둠으로써(레일의 단부 영역에 있는 체결점과 상기 다른 체결점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점이 각각 배치됨), 예컨대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 연장으로 다른 반경 또는 비틀림을 갖는 가이드 레일의 복잡한 형상이 간단한 수단으로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착, 용접 등으로 가이드 레일과 지지점의 논포지티브 또는 일체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해, 가이드 레일을 지지점에서 지지하고 그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 요소의 체결 리셉타클에 체결함으로써,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을 또한 곧게 만들 수 있으며, 따라서 가이드 레일은 예컨대 예인장 하에서 지지점에 부착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의 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체결점들 사이에 여러 개의 지지점을 둠으로써, 여러 개의 접촉점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 접촉점은 하나의 굽힘 반경 또는 여러 개의 굽힘 반경 또는 비틀림을 갖는 가이드 레일의 정확한 굽힘에 대응한다.
둘 이상의 체결점을 배치함으로써, 여러 개의 연결점을 얻을 수 있고 그래서 가이드 레일의 강직화 및 안정화가 증가된다.
플라스틱 캐리어에는, 압출 또는 롤러 버니싱된 가이드 레일을 위한 수용 위치가 생성되며, 압출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에 부착하면, 가이드 레일은 구속 위치에 있게 되고 특정한 정해진 곡률 및 비틀림을 갖게 된다.
가이드 레일은 캐리어 요소로서 캐리어 플레이트 또는 기능 캐리어로 지탱될 수 있으며 또한 직접 차량 도어, 일반적으로 도어 내부 패널로 지탱될 수 있다. 다른 설계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체결 리셉타클이 캐리어 요소로서 차량 도어에 제공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리셉타클이 차량 도어와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또는 캐리어 요소로서 기능 캐리어에 제공되며, 또한 캐리어 플레이트의 또는 기능 캐리어 및 차량의 도어의 체결 리셉타클은 가이드 레일의 대응 체결점과 대응한다.
캐리어 플레이트 또는 기능 캐리어 및 캐리어 요소로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 또는 기능 캐리어를 수용하는 차량 도어로 가이드 레일을 지탱하면, 가이드 레일이 캐리어 플레이트 또는 기능 캐리어로 지탱될 때 그 가이드 레일이 미리 휘어지거나 미리 비틀리게 되며 또한 가이드 레일을 삽입하여 캐리어 요소로서 차량 도어와 연결하면 그 가이드 레일은 최종 굽힘 반경 또는 최종 비틀림으로 지탱된다.
추가로, 가이드 레일은 캐리어 요소에 형성되어 있는 훅크형 체결 리셉타클에 의해 미리 배치가능하며, 그 훅크형 체결 리셉타클은 개구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의 체결점을 통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캐리어 요소에 미리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제 1 굽힘 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캐리어 플레이트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과 함께 캐리어 플레이트를 도어 몸체에 장착하면 제 2 굽힘 반경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 방안에서, 다른 굽힘 반경 또는 비틀림도가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그래서 창 리프터의 창유리의 풀오프시 가이드 레일을 운동의 복잡한 윤곽 또는 경로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의 체결점과 캐리어 요소의 체결 리셉타클 및 지지점(들)의 종류와 형상으로 인해, 가이드 레일의 형상, 즉 굽힘 및/또는 비틀림 또는 캐리어 요소(들)에 의한 가이드 레일의 지탱과 관련한 각 요건에 여러 경우가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제 1 캐리어 요소로서 캐리어 플레이트, 기능 캐리어 또는 어셈블리 캐리어에 가이드 레일을 미리 결합하고 가이드 레일과 연결된 제 1 캐리어 요소를 최종적으로 제 2 캐리어 요소인 차량 도어 안에 결합하는 것과 관련하여, 캐리어 요소의 제 1 체결 리셉타클은 캐리어 요소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훅크 또는 포켓으로 형성되고(이 훅크 또는 포켓 안으로 가이드 레일의 일 단부가 들어갈 수 있음) 제 2 체결 리셉타클은 캐리어 요소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클립(이 클립은 가이드 레일에 있는 개구를 통해 가이드 레일 뒤에 결합함)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이 적합하다. 가이드 레일이 미리 장착되어 있는 제 1 캐리어 요소를 제 2 캐리어 요소인 차량 도어와 연결하는 것은 보통 스크류 연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어 몸체에 있는 개구를 시일링하기 위해, 캐리어 플레이트, 기능 또는 어셈블리 캐리어의 가장자리와 도어 몸체의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는 둘레 시일이 제공된다.
체결점, 체결 리셉타클 및 제 1 및 2 체결 리셉타클 사이의 지지점의 이러한 설계로, 가이드 레일의 일 단부가 캐리어 플레이트의 포켓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또한 클립 연결에 의해 가이드 레일은 예비 결합 위치에 유지되며 또한 X-, Y- 및 Z-방향으로 고정되고 제 1 굽힘 반경으로 미리 휘어지며, 예컨대 이어서 가이드 레일의 다른 단부를 차량 도어의 몸체 쉘과 연결하여 최종 결합할 때 도어 몸체 쉘에 부착된 후에 다른 굽힘 반경이 얻어지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압출 또는 롤러 버니싱된 가이드 레일의 정해진 반경이 얻어진다.
대안적으로, 캐리어 요소의 체결 리셉타클은 캐리어 요소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캐리어 요소 훅크 및 클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이드 레일의 체결점은 캐리어 요소 훅크 뒤에 결합하는 가이드 레일 훅크 및 캐리어 요소의 클립과 상호 작용하는 클립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 요소들은 가이드 레일 훅크가 캐리어 요소 훅크 안에 놓인 후 가이드 레일의 클립 돌출부가 캐리어 요소의 클립 안으로 스냅 결합될 때가지 가이드 레일이 가이드 레일 훅크와 캐리어 요소 훅크의 포지티브 연결부 주위로 선회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 요소의 설계로, 가이드 레일의 굽힘 또는 비틀림시 그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요소는 간단하고 기능면에서 신뢰적으로 연결되며, 지지 영역의 제공으로 가이드 레일의 증가된 안정성을 위한 기초가 주어진다.
가이드 레일과 대향하는 캐리어 요소의 표면에 컷아웃이 배치됨으로써, 더 큰 언더컷을 위한 기다란 가이드 레일 훅크를 수용해서 최적의 안정성을 얻기 위한 캐리어 요소 혹크의 플러그-인 개구가 형성된다.
캐리어 요소의 체결 리셉타클들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점을 캐리어 요소의 체결 리셉타클로 가이드 레일의 체결점을 지탱하여 가이드 레일을 비틀고/비틀거나 휘게 하기 위한 캐리어 요소와 가이드 레일의 연결의 다른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캐리어 요소와 가이드 레일의 표면들 사이의 접착 연결부로서 캐리어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리셉타클 및 가이드 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점 및/또는 캐리어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점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다음을 갖는다,
- 최적의 내구적인 접착 연결을 위한 접착층의 규정된 두께를 보장하기 위해, 연결 대상 캐리어 요소와 가이드 레일 사이에서 캐리어 요소 및/또는 가이드 레일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또는
- 접착 연결부로 연결되는 캐리어 요소와 가이드 레일의 표면들의 측방에 있는 함몰부 및/또는 접착 연결부로 연결되는 캐리어 요소와 가이드 레일의 표면의 영역에 배치되며 캐리어 요소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굳지 않은 잉여의 접착제가 상기 함몰부 또는 개구 안으로 또는 그를 통해 유출될 수 있음),
- 교번하는 융기부와 함몰부로 캐리어 요소의 표면을 구조화하고, 따라서 가이드 레일의 표면과 캐리어 요소의 표면의 융기부 및 함몰부 사이에는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교번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 캐리어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리셉타클은 클립 연결부로 형성하며, 이 클립 연결부에는 가이드 레일의 측방 가장자리가 클립될 수 있다,
- 레이저 방사선이 투과할 수 있는 압출 플라스틱 재료로 가이드 레일을 만들고, 캐리어 요소는 레이저 방사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만들거나, 그 반대로 가이드 레일을 레이저 방사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만들고 캐리어 요소는 레이저 방사선이 투과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며, 가이드 레일은 미리 휘어져 있고 고정 요소가 캐리어 요소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의 표면의 일 부분이 캐리어 요소의 표면의 일 부분과 접촉하도록 상기 고정 요소는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의 가장자리 뒤에 결합하게 되며, 따라서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요소의 인접 표면부는 레이저 용접으로 서로 연결가능하다,
- 가이드 레일의 적어도 한 체결점은 클립으로 형성하고, 이 클립은 캐리어 요소에 있는 개구로 형성된 캐리어 요소의 체결 리셉타클 안으로 클립될 수 있다,
- 가이드 레일의 일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훅크 또는 포켓형 스탑을 캐리어 요소의 표면에 형성하고, 또한 캐리어 요소의 표면에 있는 상기 훅크 또는 포켓형 스탑 안에 넣어진 가이드 레일을 정렬시키기 위해 캐리어 요소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장착 보조구를 형성한다,
-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함몰부를 형성하며, 캐리어 요소의 다리부가 그 함몰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수평하게 꺽여 있으며, 상기 함몰부에는 가이드 레일의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함몰부가 맞게 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일은 함몰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수평하게 꺽여 있는 측방 다리부로 상기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함몰부로부터 꺽여 있는 캐리어 요소의 다리부 상에 안착되며,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요소의 연결부의 강성이 샌드위치 구조로 증대된다,
- 서로 이격되는 리벳 또는 스크류 연결부 또는 대안적으로는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요소의 인접 표면들 사이에 있는 접착 연결부로 캐리어 요소의 리셉타클과 가이드 레일의 체결점을 체결하고,
- 높은 저항 모멘트 및 그래서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주는 공동부를 형성하기 위해 캐리어 요소의 박스형 프로파일의 바닥부를 구조화하머,
- 강성을 개선하기 위해 압출 양털, 직물, 종이 또는 필름이 샌드위치 구조로 삽입되어 있거나 금속 또는 비금속 인서트를 갖는 압출 플라스틱 레일로 가이드 레일을 형성한다.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요소를 연결할 때, 다음과 같은 재료 조합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플라스틱 가이드 레일과 플라스틱 캐리어 요소
- 금속 가이드 레일과 금속 캐리어 요소
- 금속 가이드 레일과 플라스틱 캐리어 요소
- 플라스틱 가이드 레일과 금속 캐리어 요소
금속 재료로서, 강,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플라스틱 가이드 레일 또는 플라스틱 캐리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이는 예컨대 유리 섬유 보강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보강재 또는 충전재를 가지고 또는 갖지 않고 사용된다. 플라스틱 가이드 레일의 제작은, 압출, 사출 성형, 딥드로잉, 블로우 성형 또는 가압으로 행해지며, 플라스틱 캐리어 요소의 제작은, 사출 성형, 딥드로잉, 블로우 성형 및 가압으로 이루어지며, 금속 가이드 레일의 제작은 롤러 버니싱, 프레스 성형 또는 압출로 행해지며, 금속 캐리어 요소의 제작은 프레스 성형 또는 다이 캐스팅으로 행해진다.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창 리프터 케이블의 방향 전환을 위한 케이블 풀리를 수용하는 케이블 풀리 홀더 또는 카세트가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요소, 예컨대 도어 내부 패널 또는 캐리어 플레이트 또는 기능 캐리어의 연결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세트는 가이드 레일 상에 있는 카세트의 후방 그립을 형성하는 두개의 지탱 표면을 포함하며, 이들 지탱 표면을 통해 카세트가 가이드 레일과 연결되며, 가이드 레일에 있는 컷아웃을 통해 카세트가 케이블 풀리, 내부 나사를 갖는 단차형 핀(이 단차형 핀에는 케이블 풀리가 장착됨) 및 캐리어 요소와 연결되며, 캐리어 요소의 개구를 통과하는 스크류가 상기 단차형 핀의 내부 나사에 나사 결합된다.
카세트는 캐리어 요소에 지지되고 그래서 지탱 표면을 통해 실리며, 또는 지탱 표면은 캐리어 요소로부터 떨어져 있고, 내부 나사를 갖는 단차형 핀의 바닥부는 캐리어 요소에 안착되어 카세트를 경감시킨다.
개별적인 가이드 레일 및 이러한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요소의 연결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어셈블리 캐리어 또는 창 리프터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차량 도어를 위한 도어 모듈 또는 도어 시스템이 또한 사용될 수 있는데, 창유리와 결합되는 구동기를 조절 방향을 따라 안내하기 위한 한 적어도 하나의 휨가능하고/휨가능하거나 비틀림가능한 가이드 레일이 상기 어셈블리 캐리어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영역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통해 가이드 레일을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어셈블리 캐리어의 강성 영역에 연결함으로써, 어셈블리 캐리어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체결점을 차량 도어의 체결 리셉타클, 특히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 연결하면 가이드 레일이 비틀리고/비틀리거나 휘어진다.
창 리프터의 개별 가이드 레일을 위한 본 발명의 방안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그 베이스 플레이트(또는 어셈블리 캐리어)로 확장하면, 베이스 플레이트를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에 장칙할 때 가이드 레일이 비틀리거나 휘어지게 되며 또한 다른 차량 제조업체의 다른 차량 및 차량 종류에 대해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에 장착할 때의 공차의 보상 또는 제조의 부정확성의 보상을 위해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레일이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축)에 대해 휘어질 수 있고 또한 차량 수직 방향 축선(Z-축)에 대해서는 비틀릴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와 가이드 레일이 만들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가이드 레일의 이러한 변형성 때문에, 창유리의 풀오프 동안에, 특히 배럴형 창유리의 풀오프 동안에 복잡한 조절 경로 또는 조절 방향이 또한 실현된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방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두개의 가이드 레일을 사용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강성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레일들 사이에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체결점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점 또는 다른 체결점이 가이드 레일의 단부측 체결점들 사이에 제공된다.
가요성 베이스 플레이트의 이러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를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 연결할 때 다른 풀오프 운동을 실현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의 휨 및/또는 비틀림의 가능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가이드 레일을 비교적 강성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대안적으로 두개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이 가이드 레일의 중간 영역은 비교적 강성적인 가로 빔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가로 빔의 단부에는 체결점이 배치되며, 이 체결점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되며, 따라서 가이드 레일의 단부는 강성 가로 빔에 연결되지 않으며 그래서 가이드 레일의 다리부의 가요성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체결점은 창 리프터 케이블을 안내하고 방향 전환시키기 위한 창 리프터의 방향 전환 풀리의 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체결점을 창 리프터의 방향 전환 풀리의 축에 결합함으로써, 예컨대 차량 도어의 도어 내부 패널에 있는 개구가 덮히므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 안에 설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게 되며, 상기 개구의 크기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도어 몸체 쉘의 연결이 외측 단부에서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를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 안으로 장착하는 것을 최적화하고 간단하게 하기 위해, 충돌 장벽과 같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 안으로 결합되는 구성품이 또한 지지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연결부는 가이드 레일의 단부 및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지주로 형성되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강성적인 중간 영역과 가이드 레일의 연결부를 전체 표면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연결부를 지주, 특히 대각선 방향 지주와 횡 지주로 형성하면, 한편으로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이드 레일의 휨 및/또는 비틀림을 위한 정해진 가요성을 얻기 위해 가요성 영역을 지주에 선택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얻어진다.
가이드 레일의 휨 및/또는 비틀림을 위해 필요한 가요성은, 가이드 레일의 단부와 연결되는 대각선 방향 지주 또는 가이드 레일의 중간부와 연결되는 횡 지주가 가요성 영역을 포함하면 얻어질 수 있다.
대각선 방향 지주에 가요성 영역을 배치하면 가이드 레일의 단부 영역에서 높은 가요성이 확보되며, 횡 지주에 가요성 영역을 배치하면, 가이드 레일의 단부 영역이 비교적 강성적인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의 중간 영역에서는 높은 가요성이 얻어진다.
상기 가요성 영역은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즉
a) 연결부 또는 지주의 강성 영역의 단면과 비교하여 가요성 영역의 단면을 감소시키는데, 즉 가요성 영역에서 재료를 얇게 한다,
b) 가요성 영역을 평평하게 설계하거나 또는 연결부 또는 지주 중의 하나를 사용한다,
c) 상기 a) 와 b) 경우를 조합하는 것으로, 재료를 얇게 만들고 또한 가요성 영역을 평평하게 설계하거나 또는 낮은 저항 모멘드를 갖는 단면을 사용하여 가요성을 얻는다,
d) 2-요소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강성 영역은 강성 재료, 특히 장 유리 섬유 보강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고, 가요성 영역은 가요성 재료, 특히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또는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재료, 특히 비보강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든다,
e) 상기 b) 와 d)의 경우를 조합하는 것으로, 높은 저항 모멘드를 갖는 단면 형상의 강성 영역은 강성적인 재료와 조합되고, 강성 영역의 단면 형상 보다 낮은 저항 모멘트를 갖는 단면 형상을 지닌 가요성 영역은 가요성 재료와 조합된다,
f) 상기 a), b) 및 d)의 경우를 조합하는 것으로, 즉 가요성 영역을 위해 평평한 설계과 함께 단면 감소 및 가요성 재료 사용의 조합 및 강성 영역을 위해 높은 저항 모멘트를 갖는 큰 단면과 강성 재료 사용의 조합,
g) 연결부 또는 지주의 파형 구조의 스프링 작용으로 가요성을 얻는 것으로, 이 경우에 파형 구조는,
- 연결부의 길이 방향,
- 차량 수직 방향 축선(Z-축)의 방향,
-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축)의 방향, 또는
- 차량 수직 방향 축선(Z-축)의 방향 및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축)의 방향 모두로 여러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차량 제조업체의 다른 차량 및 차량 종류에 대해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설계를 사용하는 가능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는 연결부를 갖는 장착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장착 프레임의 단부 영역에는, 다른 창 리프터, 창 리프터 유형 및/또는 차량 도어를 위한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기 위한 관절 기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X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 강성 영역 및 이 중간 강성 영역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진행되어 있는 네개의 대각선 방향 지주를 가지며, 이 지주의 단부는 꺽여 있고 다른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기 위한 가변적인 관절 기구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을 실현하는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곧은, 바람직하게는 압출된 또는 롤러 버니싱된 가이드 레일 및 두개의 체결 리셉타클과 이들 체결 리셉타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점을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이 가이드 레일은 캐리어 플레이트로 지탱되며 지지점에 의해 특정가능한 굽힘 반경으로 휘어져 있다.
도 3 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캐리어 플레이트가 그 몸체 셀 안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이 캐리어 플레이트로 지탱된다.
도 4 는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 및 두개의 체결 리셉타클과 이들 체결 리셉타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점을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그 지지점 역시 체결 리셉타클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는 도 4 의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이 가이드 레일은 캐리어 플레이트로 지탱되며 지지점에 의해 특정가능한 굽힘 반경으로 휘어져 있다.
도 6 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캐리어 플레이트가 그 몸체 셀 안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가이드 레일이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은 캐리어 플레이트로 지탱된다.
도 7 은 세개의 체결 리셉타클과 이들 체결 리셉타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점을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이러한 캐리어 플레이트로 지탱되는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단부측 체결 리셉타클들 사이에 있는 세개의 지지점을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이러한 캐리어 플레이트로 지탱되는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는 다섯개의 체결점을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 및 부착된, 바람직하게는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 은 차량 도어 안에 삽입된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어셈블리는 제 1 굽힘 반경으로 미리 휘어져 미리 휘어진 상태에서 캐리어 플레이트에 미리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가이드 레일은 차량 도어와의 연결로 제 2 굽힘 반경으로 휘어져 있다.
도 12 는 캐리어 요소와 길이 방향으로 조절가능한 구동기를 갖는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상면도를 나타내며, 가이드 레일은 여러 개의 체결점과 지지점을 통해 캐리어 요소로 지탱된다.
도 13 은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체결점을 도 12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4 은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지지점을 도 12 의 단면선 B - B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5 는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중에 그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체결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 은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를 연결한 후에 도 15 의 제 2 변형예의 체결점을 도 12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7 은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중에 그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 2 변형예의 수정예의 체결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 은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를 연결한 후에 도 17 의 제 2 변형예의 수정예의 체결점을 도 12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9 ∼ 23 은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조절 보조구 및 접착제가 굳을 때까지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클립과 함께, 접착 연결을 통해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 요소와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는 상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4 는 압출 가이드 레일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인서트를 갖는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요소를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5 는 최적의 슬라이딩 특성을 갖는 안내 다리부와 가이드 레일의 공압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6 은 높은 저항 모멘트와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얻기 위한 폐쇄형 단면과 공동부를 형성하면서 캐리어 요소와 가이드 레일이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7 ∼ 29 는 접착 표면으로 캐리어 요소와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는 상면도와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접착가 굳을 때까지 연결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 및 접착제를 받기 위한 캐리어 요소의 구조화된 표면도 나타나 있다.
도 30 ∼ 32 는 연결을 고정시키기 위한 리벳 또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개리어 요소와 가이드 레일을 샌드위치 구조로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는 상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3 ∼ 35 는 미리 휘어진 바닥 표면을 갖는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요소를 연결하고 클립으로 연결을 고정하며 또한 레이저 용접으로 내구적인 연결을 이루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6 ∼ 38 은 카세트 및/또는 내부 나사를 갖는 단차형 핀을 통해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요소를 연결할 때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크류 관통 방안에 대한 세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39 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략도로, 창 리프터를 위한 두개의 가이드 레일이 그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다.
도 40 및 도 41 은 창 리프터의 창유리의 다양한 풀오프 각도에 대한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는 차량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2 는 연결부의 대각선 방향 지주에서 중간 강성 영역과 가요성 영역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3 은 연결부의 횡 지주에서 중간 강성 영역과 가요성 영역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4 는 차량 도어에 장착되기 전에 비지탱 상태에 있는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5 는 도 4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되는 중에 휘어진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6 은 도 4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되는 중에 더 휘어진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7 은 강성 가로 빔 및 결합된 가요성 가이드 레일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8 은 도어 몸체 쉘에 있는 컷아웃 및 결합된 가이드 레일을 가지며 도어 몸체 쉘에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차량 도어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9 는 내부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차량 도어를 도 48 의 선 A - A 을 따라 취한 개락적인 종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50 은 외부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차량 도어를 도 48 의 선 A - A 을 따라 취한 개락적인 종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51 은 비지탱 상태에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상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2 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된 후의 도 51 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서로의 쪽으로 기울어진 또는 비틀린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상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3 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된 후의 도 51 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또는 비틀린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상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4 는 도 42 에 대응하는 연결부의 대각선 방향 지주에서 중간 강성 영역과 가요성 영역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5 는 대각선 방향 지주를 도 54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56 은 도 42 에 대응하는 연결부의 대각선 방향 지주에서 중간 강성 영역과 가요성 영역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7 는 대각선 방향 지주를 도 56 의 단면선 B - B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58 은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 가요성 영역을 갖는 대각선 방향 지주를 도 54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59 는 대각선 방향 지주에 가요성 영역을 만들기 위한 도 55, 57 및 58 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경우들의 조합을 도 54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60 은 대각선 방향 지주에 가요성 영역을 만들기 위한 도 55, 57 및 58 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경우들의 조합을 도 56 의 단면선 B - B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61 은 결합된 가이드 레일 및 대각선 방향 지주의 파형 구조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2 는 도 61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파형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3 은 차량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가이드 레일을 휘게 하기 위한 가요성 영역을 위한 파형 구조를 가지며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4 는 차량 수직 방향 축선 주위로 가이드 레일을 휘게 하기 위한 가요성 영역을 위한 파형 구조를 가지며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5 는 차량 길이 방향 축선과 차량 수직 방향 축선 주위로 가이드 레일을 휘게 하기 위한 가요성 영역을 위한 파형 구조를 가지며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6 은 모듈형 설계 원리에 따라 모든 모델 범위에 걸쳐 사용되는 가변적인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장착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7 은 도 66 에 나타나 있는 가변적인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장착 프레임의 작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 66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8 ∼ 70 은 도 66 의 장착 프레임이 다른 차량 또는 차량 도어에 사용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이 가이드 레일은 캐리어 플레이트로 지탱되며 지지점에 의해 특정가능한 굽힘 반경으로 휘어져 있다.
도 3 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캐리어 플레이트가 그 몸체 셀 안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이 캐리어 플레이트로 지탱된다.
도 4 는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 및 두개의 체결 리셉타클과 이들 체결 리셉타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점을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그 지지점 역시 체결 리셉타클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는 도 4 의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이 가이드 레일은 캐리어 플레이트로 지탱되며 지지점에 의해 특정가능한 굽힘 반경으로 휘어져 있다.
도 6 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캐리어 플레이트가 그 몸체 셀 안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가이드 레일이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은 캐리어 플레이트로 지탱된다.
도 7 은 세개의 체결 리셉타클과 이들 체결 리셉타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점을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이러한 캐리어 플레이트로 지탱되는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단부측 체결 리셉타클들 사이에 있는 세개의 지지점을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이러한 캐리어 플레이트로 지탱되는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는 다섯개의 체결점을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 및 부착된, 바람직하게는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 은 차량 도어 안에 삽입된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어셈블리는 제 1 굽힘 반경으로 미리 휘어져 미리 휘어진 상태에서 캐리어 플레이트에 미리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가이드 레일은 차량 도어와의 연결로 제 2 굽힘 반경으로 휘어져 있다.
도 12 는 캐리어 요소와 길이 방향으로 조절가능한 구동기를 갖는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상면도를 나타내며, 가이드 레일은 여러 개의 체결점과 지지점을 통해 캐리어 요소로 지탱된다.
도 13 은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체결점을 도 12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4 은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지지점을 도 12 의 단면선 B - B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5 는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중에 그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체결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 은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를 연결한 후에 도 15 의 제 2 변형예의 체결점을 도 12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7 은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중에 그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 2 변형예의 수정예의 체결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 은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를 연결한 후에 도 17 의 제 2 변형예의 수정예의 체결점을 도 12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9 ∼ 23 은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조절 보조구 및 접착제가 굳을 때까지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클립과 함께, 접착 연결을 통해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 요소와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는 상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4 는 압출 가이드 레일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인서트를 갖는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요소를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5 는 최적의 슬라이딩 특성을 갖는 안내 다리부와 가이드 레일의 공압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6 은 높은 저항 모멘트와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얻기 위한 폐쇄형 단면과 공동부를 형성하면서 캐리어 요소와 가이드 레일이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7 ∼ 29 는 접착 표면으로 캐리어 요소와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는 상면도와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접착가 굳을 때까지 연결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 및 접착제를 받기 위한 캐리어 요소의 구조화된 표면도 나타나 있다.
도 30 ∼ 32 는 연결을 고정시키기 위한 리벳 또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개리어 요소와 가이드 레일을 샌드위치 구조로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는 상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3 ∼ 35 는 미리 휘어진 바닥 표면을 갖는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요소를 연결하고 클립으로 연결을 고정하며 또한 레이저 용접으로 내구적인 연결을 이루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6 ∼ 38 은 카세트 및/또는 내부 나사를 갖는 단차형 핀을 통해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요소를 연결할 때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크류 관통 방안에 대한 세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39 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략도로, 창 리프터를 위한 두개의 가이드 레일이 그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다.
도 40 및 도 41 은 창 리프터의 창유리의 다양한 풀오프 각도에 대한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는 차량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2 는 연결부의 대각선 방향 지주에서 중간 강성 영역과 가요성 영역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3 은 연결부의 횡 지주에서 중간 강성 영역과 가요성 영역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4 는 차량 도어에 장착되기 전에 비지탱 상태에 있는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5 는 도 4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되는 중에 휘어진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6 은 도 4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되는 중에 더 휘어진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7 은 강성 가로 빔 및 결합된 가요성 가이드 레일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8 은 도어 몸체 쉘에 있는 컷아웃 및 결합된 가이드 레일을 가지며 도어 몸체 쉘에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차량 도어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9 는 내부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차량 도어를 도 48 의 선 A - A 을 따라 취한 개락적인 종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50 은 외부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차량 도어를 도 48 의 선 A - A 을 따라 취한 개락적인 종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51 은 비지탱 상태에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상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2 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된 후의 도 51 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서로의 쪽으로 기울어진 또는 비틀린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상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3 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된 후의 도 51 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또는 비틀린 가이드 레일의 개략적인 상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4 는 도 42 에 대응하는 연결부의 대각선 방향 지주에서 중간 강성 영역과 가요성 영역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5 는 대각선 방향 지주를 도 54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56 은 도 42 에 대응하는 연결부의 대각선 방향 지주에서 중간 강성 영역과 가요성 영역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7 는 대각선 방향 지주를 도 56 의 단면선 B - B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58 은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 가요성 영역을 갖는 대각선 방향 지주를 도 54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59 는 대각선 방향 지주에 가요성 영역을 만들기 위한 도 55, 57 및 58 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경우들의 조합을 도 54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60 은 대각선 방향 지주에 가요성 영역을 만들기 위한 도 55, 57 및 58 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경우들의 조합을 도 56 의 단면선 B - B 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61 은 결합된 가이드 레일 및 대각선 방향 지주의 파형 구조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2 는 도 61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파형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3 은 차량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가이드 레일을 휘게 하기 위한 가요성 영역을 위한 파형 구조를 가지며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4 는 차량 수직 방향 축선 주위로 가이드 레일을 휘게 하기 위한 가요성 영역을 위한 파형 구조를 가지며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5 는 차량 길이 방향 축선과 차량 수직 방향 축선 주위로 가이드 레일을 휘게 하기 위한 가요성 영역을 위한 파형 구조를 가지며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6 은 모듈형 설계 원리에 따라 모든 모델 범위에 걸쳐 사용되는 가변적인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장착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7 은 도 66 에 나타나 있는 가변적인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장착 프레임의 작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 66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8 ∼ 70 은 도 66 의 장착 프레임이 다른 차량 또는 차량 도어에 사용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용어 "캐리어 요소"는 차량 도어의 캐리어 플레이트, 기능 또는 어셈블리 캐리어 또는 도어 몸체 쉘을 의미한다. 용어 "체결점" 및 "지지점" 또한 체결 영역 및 지지 영역, 즉 가이드 레일의 캐리어 요소 또는 지탱 표면이 캐리어 요소에 있는 가이드 레일의 점 또는 선형 연결부 뿐만 아니라, 평평항 연결부 및 지탱 표면도 포함한다.
도 1 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압출되거나 또는 금속 재료로 롤러 버니싱된 곧은 가이드 레일(3)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및 캐리어 요소(2)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이 캐리어 요소는 가이드 레일(3)의 단부 영역과 관련되는 두개의 체결 리셉타클(41) 및 이 체결 리셉타클(41)의 중심부에 또는 그로부터 편심되어 배치되는 지지점(61)을 갖는다. 가이드 레일(3)을 화살표 방향으로 체결 리셉타클(41)과 지지점(61) 상에 놓고 가이드 레일(3)의 체결점(51)에서 그 가이드 레일(3)의 단부 영역을 캐리어 요소(2)의 체결 립셉타클과 연결시키면,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3)이 굽힘 반경(R)으로 휘어지게 된다.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체결 리셉타클(41)과 지지점(61)이 서로 정렬되어 배치되지 않으면, 가이드 레일(3)의 추가적인 비틀림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가이드 레일은 길이 방향각도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 각도는 가이드 레일(3)의 길이 방향 비틀림의 척도를 결정한다.
도 3 은 도어 외부 패널(1a)과 도어 내부 패널(1b)을 갖는 차량 도어(1)의 도어 몸체 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상기 캐리어 요소(2)가 차량 도어(1)에 삽입되어 도 2 에서 보는 바은 같이 예비 결합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3)로 지지되고 있으며, 캐리어 요소는 공지된 방식으로 차량 도어(1)의 도어 내부 패널(1b)에 연결되어 있으며, 캐리어 요소(2)의 가장자리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시일(1c)이 도어 내부 패널(1b)에 있는 개구를 밀봉한다. 가이드 레일(3)이 미리 장착되어 있는 캐리어 요소(2)만 차량 도어(1)의 도어 내부 패널(1b)에 부착되므로, 가이드 레일(3)의 굽힘 반경(R)(예비 결합 중에 가이드 레일(3)을 캐리어 요소(2)로 지지할 때 발생된 것임)이 유지된다.
지지점(61)이 캐리어 요소(2)의 체결 리셉타클(41)들 사이에 배치되므로, 가이드 레일(3)의 굽힘 및/또는 비틀림을 발생시키기 위해 그 가이드 레일을 지탱하는데, 가이드 레일(3)의 단부 영역 뿐만 아니라, 지지점(61)도 이용되며, 이 지지점은 가이드 레일(3)의 곡률 및/또는 비틀림에 대한 성형 효과를 갖는다.
가이드 레일(3)이 미리 장착되어 있는 캐리어 요소(2)의 장착 위치를 도시하기 위해, 차량 길이 방향 축선(X), 차량 횡방향 축선(Y) 및 차량 수직 방향 축선(Z)을 갖는 좌표계가 도 3 에 나타나 있으며, 이 좌표계는 차량 도어(1)에서 캐리어 요소(2)와 가이드 레일(3)의 방향을 도시한다.
지지점(61)의 중요성은 도 4 - 6 에 니타난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통해 아래서 특히 명확히 나타나게 될 것이며, 그 실시 형태는 캐리어 요소(2)와 연결되는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3')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 요소는 이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3')의 단부 영역과 관련되는 두개의 체결 리셉타클(41) 및 이들 사이에 위치되는 체결 리셉타클(42)을 포함한다. 도 4 에 나타나 있는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3')을 캐리어 요소(2)에 가한 다음에 상기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3')의 체결점(51, 52)을 캐리어 요소(2)의 체결 리셉타클(41, 42)에 연결하면, 사전에 굽힘 반경(R1)으로 휘어진 가이드 레일(3')은 굽힘 반경(R1)과 다른 굽힘 반경(R2)으로 휘어지게 되며 이 예비 결합 위치에서 캐리어 요소(2)로 지탱된다.
도 6 은 도어 외부 패널(1a)과 도어 내부 패널(1b)을 갖는 차량 도어(1)의 도어 몸체 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상기 캐리어 요소(2)가 차량 도어(1)에 삽입되어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은 예비 결합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3)로 지지되고 있으며 또한 차량 도어(1)의 도어 내부 패널(1b)에 연결되어 있다. 캐리어 요소(2)만 차량 도어(1)의 도어 내부 패널(1b)에 부착되므로, 가이드 레일(3')의 굽힘 반경(R2)(예비 결합 중에 가이드 레일(3')을 캐리어 요소(2)로 지탱할 때 발생된 것임)이 유지된다.
도 7 - 9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의 다른 변형예가 가이드 레일(3)이 예비 장착되어 있는 캐리어 요소(2)의 개락적인 종단면도로 나타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두 예시적인 실시 형태로 부터 알 수 있다.
도 7 은 가이드 레일(3)의 단부 영역과 관련되는 두개의 단부측 체결 리셉타클(41) 및 이들 단부측 체결 리셉타클(41)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체결 리셉타클(42)을 포함하는 캐리어 요소(2)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단부측 체결 리셉타클(41)과 중간 체결 리셉타클(42) 사이에는 지지점(61)이 각각 제공되어 있으며, 이 지지점은 체결 리셉타클(41, 42)과 함께, 가이드 레일(3)의 체결점(51, 52)이 캐리어 요소(2)의 체결 리셉타클(41, 42)과 연결된 후에 가이드 레일(3)의 곡률 및/또는 비틀림에 대한 성형 효과를 갖는다.
도 8 에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캐리어 요소(2)는 가이드 레일의 단부 영역과 관련되는 체결 리셉타클(41) 사이에서 여러 개(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지지점(61, 62)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3)의 단부측 체결점(51)이 캐리어 요소(2)의 체결 리셉타클(41)에 연결되면, 가이드 레일(3)은 지지점(61, 62)에 안착되며, 따라서 이들 지지점은 가이드 레일(3)이 캐리어 요소(2)로 지탱될 때 그 가이드 레일(3)의 곡률 또는 비틀림을 결정하게 된다.
도 9 는 도 4 - 6 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확장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내는데, 도 9 의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레일(3)의 단부 영역과 관련되는 체결 리셉타클(41) 및 중앙 체결 리셉타클(42)(이들 체결 리셉타클은 가이드 레일(3)의 체결점(51, 52)과 연결됨) 외에도, 두개의 추가 체결 리셉타클(43)이 단부측 체결 리셉타클(41)과 중간 체결 리셉타클(4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추가 체결 리셉타클은 가이드 레일(3)의 체결점(53)과 연결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체결 리셉타클(42, 43)은 가이드 레일(3), 특히 미리 휘어진 가아드 레일(3)을 고정시키는 역할도 동시하는 지지점을 형성한다.
도 10 및 11 에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나타나 있는 두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굽힘 반경(R2) 또는 추가적인 비틀림을 발생시키기 위해, 캐리어 플레이트, 기능 또는 결합 캐리어(2)가 차량 도어(1) 안으로 삽입된 후에, 캐리어 플레이트, 기능 캐리어 또는 결합 캐리어(2)에 미리 장착되어 있고 제 1 굽힘 반경(R1)으로 사전에 휘어져 있는 가이드 레일(3)이 상부 체결점(56)에서 제 2 캐리어 요소로서 차량 도어(1)와 연결되어 있다.
차량 도어(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에서, 도 10 에는 제 1 캐리어 요소로서 캐리어 플레이트 또는 기능 또는 결합 캐리어(2)로 이루어진 예비 결합 그룹이 나타나 있으며, 압출 가이드 레일(3)이 캐리어 플레이트(2)에 예비 장착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3)의 예비 결합 위치는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이 예비 결합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3)은 두개의 체결점(54, 55)을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2)에 연결되며, 이 캐리어 플레이트(2)는 가이드 레일(3)을 예비 결합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가이드 레일의 표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는 클립으로 이루어진 제 1 체결 리셉타클(44)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구멍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3)의 제 1 체결점(54)을 통과하게 된다.
캐리어 플레이트(2)의 제 2 체결 리셉타클(45)은 훅크 또는 포켓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가이드 레일(3)의 하단부(하부 체결점(55)을 형성함)가 그 훅크 또는 포켓 안으로 들어가 예비 결합 위치에 있게 된다. 훅크 또는 포켓으로 형성된 체결점(45)은 자동차의 Y 및 Z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3)의 위치를 결정한다.
캐리어 플레이트(2)에 있는 체결점(44, 45)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점(61)을 통해, 가이드 레일(3)을 위한 접촉점이 특정되며, 이 접촉점에 의해 체결 리셉타클(44, 45)의 배치 및 설계와 함께 가이드 레일(3)의 제 1 굽힘 반경(R1)이 예비 결합 위치에서 결정된다.
차량 도어(1)의 도어 내부 패널(1b)에 제공되어 있는 차량 도어(1)의 도어 몸체 쉘의 개구 안으로 예비 결합 그룹을 부착 또는 삽입한 후에, 체결점(56)을 갖는 가이드 레일(3)의 상부는 예컨대 스크류 연결로 체결 리셉타클(41)로서 도어 내부 패널(1b)의 밑틀 영역과 연결되며, 그리 하여 가이드 레일(3)은 제 2 굽힘 반경(R2)을 얻게 되며, 이 굽힘 반경은 굽힘 반경(R1)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이리 하여 가이드 레일(3)은 이 가이드 레일(3)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동기를 들어 올리고 내릴 때 규정된 풀오프 라인을 얻게 되며, 이는 가이드 레일(3)을 따라 도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창틀을 수용한다.
캐리어 플레이트(2)에 있는 클립(44)은 X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3)의 방향을 결정하며, 클립(44)의 길이 또는 지지점(61)의 높이는 예비 결합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3)의 굽힘 반경(R1)을 결정하게 된다. 훅크 또는 포켓(45)에 대해 자동차의 X 방향으로 오프셋되게 클립(44)을 배치하면, 가이드 레일(3)은 X 방향으로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종단면도로 도 11 은 캐리어 플레이트, 특히 기능 또는 결합 캐리어로 이루어진 예비 결합 그룹을 나타내는데, 이는 차량 도어(1) 안으로 삽입되며, 도 1 - 3 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캐리어 플레이트(2)로 지탱되는 가이드 레일(3)을 포함한다. 예비 결합 위치에서, 체결점(51)을 캐리어 플레이트(2)의 체결 리셉타클(41)에 연결하고 캐리어 플레이트(2)에 있는 체결 리셉타클(41)들 사이에 있는 지지점(61)에서 지지시키면 가이드 레일(3)은 굽힘 반경(R1)으로 휘어진다. 예비 결합 그룹을 차량 도어(1)의 개구 안으로 삽입한 후에, 압출 가이드 레일(3)의 상단부가 예컨대 도어 내부 패널(1b)에의 스크류 연결로 체결점(56)에서 체결 리셉타클(41)로서 도어 밑틀(1b)에 연결되며, 상부 체결점(51)과 체결점(56) 사이에 있는 가이드 레일(3)의 상부 영역에는 가이드 레일(3)의 제 2 굽힘 반경(R2)이 형성된다.
도 12 는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의 기능 캐리어로 형성된 캐리어 요소(2) 및 이 캐리어 요소(2)로 지탱되는 압출 플라스틱 가이드 레일(3)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점(63)은 가이드 레일(3)의 곡률 및/또는 비틀림에 대한 성형 효과를 추가적으로 갖는다. 구동기 또는 레일 슬라이더(11)가 구동기(11)에서 나타나 있는 이중 화살표(2)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조절가능하며, 따라서 구동기(11)와 연결된 창틀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이를 위해, 구동기(11)는 케이블(12)을 통해 창 리프터 구동부와 연결된다.
도 13 및 15 - 18 에 나타나 있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도 12 의 선 A - A 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참조하여, 가이드 레일(3)을 체결 리셉타클(46)에서 캐리어 요소(2)와 연결하는 것을 설명할 것이고, 또한 지지점(63)을 통해 캐리어 요소(2) 상에 가이드 레일(3)을 성형 지지하는 것을 도 12 의 선 B -B 을 따른 단면도를 참조하여 도 14 에 나타난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13 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2)의 연결 및 그에 따른 가이드 레일(3)의 휨 또는 비틀림은, 슬롯 박스로 형성된 체결 리셉타클(46) 및 가이드 레일(3)의 꺽인 측방 다리부(31)에 있는 체결점(57)로 달성되며, 이 체결점은 체결 리셉타클(46)의 슬롯 박스부 안으로 결합된다.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2) 사이의 연결은 가이드 레일(3)을 상기 꺽인 측방 다리부(31)로 캐리어 요소(2)의 체결 리셉타클(46) 안으로 넣음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가이드 레일(3)의 중간 웨브(32)(캐리어 요소의 표면 상에 지지됨)는 케이블(12)(단면으로 나타나 있음)이 안내되면서 따르는 압출 플라스틱 가이드 레일(3)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 레일은 구동기(11)(도 12 에 나타나 있음)가 안내되는 꺽인 레일부(30)를 포함한다.
도 12 의 단면 B - B 을 따른 도 14 에 나타나 있는 지지점(63)은 지지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지지 영역은 캐리어 요소(2)의 표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는 다리부(21) 또는 박스형부(22)로 형성되며, 가이드 레일(3)의 웨브(32)가 한 다리부(21)와 박스형부(22) 사이에 형성된 슬롯 안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21)와 박스형부(22)에 의해 지지 영역이 캐리어 요소(2)에 형성되며, 이 지지 영역은 가이드 레일(3)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도 15 - 18 에 나타나 있는 제 2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레일(3)은 언더컷으로 형성된 캐리어 요소(2)의 체결 리셉타클(48) 안으로 삽입되며, 캐리어 요소(2)의 표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는 클립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체결 리셉타클(47) 안으로 클립핑된다. 도 15 - 18 은 마찬가지로 도 12 의 선 A - 4 을 따른 단면으로 캐리어 요소(2)의 체결 리셉타클 안으로 클립핑 되기 전과 후의 가이드 레일(3)을 각각 나타낸다.
가이드 레일(3)의 체결점(57, 58)(캐리어 요소(2)의 체결 리셉타클(47, 48)과 상호 작용함)은 꺽인 다리부로 형성되어 있는데, 가이드 레일(3)의 이 꺽인 다리부의 체결점(58)은 언더컷(48)과 상호 작용하고 이 언더컷(48)의 훅크형 개구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가이드 레일(3)의 다른 체결점(57)이 도 1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립으로 형성된 캐리어 요소(2)의 체결 리셉타클(47) 안으로 클립핑될 때까지 가이드 레일(3)이 도 15 에 나타난 화살표에 대응하여 이 위치 연결부 주위로 선회하게 된다.
도 17 및 18 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가 도 15 및 16 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체결 리셉타클을 형성하는 언더컷(48')이 추가적인 컷아웃을 포함한다는 것인데, 이 추가적인 컷아웃은 가이드 레일(3)이 길게 될 수 있게 해주며 그래서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2)의 연결의 더 높은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19 는 예컨대 기능 캐리어로 형성된 캐리어 요소(2)의 상면도를 나타내며, 이 캐리어 요소는 차량 도어에 장착되면 도어 개구를 덮게 된다. 캐리어 요소(2)에는, 슬라이딩 및 안내 다리부(30)가 가이드 레일(3)에 성형되어 있는 두개의 가이드 레일(3)이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조절가능한 구동기를 안내하기 위해 장착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일은 전술한 방식으로 가이드 레일(3)의 굽힘 및/또는 비틀림을 위한 캐리어 요소(2)로 지탱된다. 가이드 레일(3)은 예컨대 압출 플라스틱 레일 또는 롤러 버니싱된 강재 또는 알루미늄재 레일로 이루어진다. 캐리어 요소에 형성된 하부 스탑(74, 74')(이들 중 한 스탑은 플러그-인 포켓(74')으로 형성되어 있음)은 가이드 레일(3)을 안내하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장착 보조구로서 역할하고 또한 캐리어 요소(2)에서 가이드 레일(3)을 정렬시키기 위한 상하부 측면 스탑(75, 76)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중 하부 측면 스탑(76)은 선 A - A 을 따른 단면에서 도 20 의 단면도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의 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3) 사이의 연결은 접착제(7)로 이루어지며, 이 접착제는 넓은 영역에 걸쳐 가이드 레일(3) 및/또는 캐리어 요소(2) 상에 가해진다. 접착제(7)가 굳을 때가지 가이드 레일(3)을 캐리어 요소(2)에 대한 가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캐리어 요소(2)에 배치되는 복수의 클립(47)이 사용되며, 이들 클립은 도 21 의 선 B - B 을 따른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도 19 의 선 A - A 을 따른 단면도로 도 20 은 캐리어 요소(2)에서 가이드 레일(3)을 정렬시키기 위한 하부 장착 보조구를 나타나는데, 이 보조구는 캐리어 요소(2)의 박스형 융기부 또는 돔(76)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가이드 레일(3)의 폭 만큼 서로 떨어져 있으며, 따라서 가이드 레일(3)의 측방 가장자리가 박스형 융기부(76)에 접촉해 안착된다.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2)의 연결은 접착제(7)로 이루어지며, 이 접착제는 넓은 영역에 걸쳐 박스형 융기부 또는 돔(76) 사이에서 가이드 레일(3)의 바닥 표면과 대향하는 캐리어 요소(2)의 표면에 가해진다. 잉여의 접착제(7)는 캐리어 요소(2)의 표면과 박스형 융기부(76) 사이에 형성된 챔버(23) 안으로 유출될 수 있다.
도 19 의 선 B - B 을 따른 단면도로 도 21 은 가이드 레일(3)의 측방 가장자리의 옆에 있는 클립(47, 48)에 의해 가이드 레일(3)을 캐리어 요소(2)에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가이드 레일(3)이 클립핑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은 접착제(7)가 굳을 때까지 가이드 레일(3)의 측방 가장자리를 둘러 안아서 그 가이드 레일(3)을 고정시키게 된다. 접착제(7)의 규정된 층 두께를 보장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3)의 바닥 표면과 대향하는 캐리어 요쇼(2)의 표면은 스페이서(24)를 포함하는데, 가이드 레일(3)이 캐리어 요소(2) 상으로 클립핑된 후에 상기 그 스페이서는 가이드 레일(3)의 바닥 표면과 캐리어 요소(2)의 상부 표면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며, 여기서 접착제(7)가 유효하게 된다. 클립(47, 48)의 영역에는 또한 측방 캠버(23)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챔버 안으로는 잉여 접착제(7)가 유출될 수 있다.
도 22 는 도 21 의 실시 형태의 수정예를 나타내는데, 가이드 레일(3)의 강성 개선을 위한 압출 양털, 직물, 종이 또는 필름(31)이 압출 플라스틱 가이드 레일(3) 안에 샌드위치 구조로 삽입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3)과 함께 압출된다. 접착제(7)는 가이드 레일(3)을 캐리어 요소(2)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점으로서 역할하며, 접착제(7)가 굳을 때까지 가이드 레일(3)을 캐리어 요소(2)에 고정시키기 위해 클립(47, 48)이 배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일(3)이 캐리어 요소(2) 상으로 클립핑되면 상기 클립들은 그 가이드 레일의 측방 가장자리를 둘러 안게 된다.
접착제(7)를 취하기 위해, 캐리어 요소(2)는 클립(47, 48) 사이에서 컵형 함몰부(25)를 포함하며, 이 함몰부는 접착제(7)의 특정 층 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스페이서로서 역할하는 측방 돔 또는 융기부(26)에 의해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잉여 접착제(7)는 컵형 함몰부(25)의 개구(2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도 23 은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2)의 연결이 마찬가지로 접착제(7)로 이루어지는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데, 이 실시 형태에서, 캐리어 요소(2)와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3)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클립(77)은 접착제(7)가 굳을 때까지 가이드 레일을 캐리어 요소에 부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그 클립은 캐리어 요소(2)의 개구(20)를 통과하여 가이드 레일(3)을 캐리어 요소(2)의 표면과 정해진 거리를 두고 고정시키게 된다. 가이드 레일(3)은 바닥 표면에 있는 클립(77)의 옆에 배치되어 있고 캐리어 요소(2)의 표면상에 지지되는 두 웨브(32)는 접착제(7)의 정해진 층 두께를 위한 스페이서로서 제공되며, 그 접착제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2)의 연결부를 밀봉하는 역할도 한다.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2)의 연결부의 단면도로 도 24 는 도 22 의 실시 형태의 수정예를 나타내는데, 여기서는 다요소 구조로 강성 또는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인서트(32)가 압출 가이드 레일(30 안에 삽입되어 있다. 인서트(32)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섹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플라스틱 인서트를 사용할 때 2-요소 기술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2)의 연결은 접착제 없이 캐리어 요소(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클립(47, 48) 안으로 가이드 레일(3)을 클립핑시키는 것에 제한된다.
도 25 는 압출 가이드 레일(3)의 단면도를 나타내는데, 이 가이드 레일은 다요소 기술로 공압출에 의해 제작된 것이다. 제 1 플라스틱 재료는 압출 가이드 레일(3)의 강성을 결정하며, 구동기를 안내하기 위해 안내 다리부(30) 주위에 압출되어 있는 제 2 플라스틱 재료(33)는 슬라이딩 특성을 최적화하게 된다.
도 26 은 컵형 함몰부(25)를 갖는 캐리어 요소(2) 및 컵형 함몰부(34)를 갖는 가이드 레일(3)의 단면을 나타내는데, 중앙 사다리꼴 돔(27)이 캐리어 요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컵형 함몰부(34)로부터는 측방 다리부(35)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측방 다리부는 캐리어 요소(2)의 컵형 함몰부(25)의 옆에서 돌출되어 있는 캐리어 요소(2)의 다리부(28) 상에 평평하게 안착되며, 가이드 레일(3)의 컵형 함몰부(34)는 캐리어 요소(2)의 사다리꼴 돔(27) 상에 안착된다. 가이드 레일(3)의 측방 가장자리(35)와 캐리어 요소(2)의 다리부(28)가 서로 접촉하는 표면에는 접착제층(71, 72)이 가해져 있고, 가이드 레일(3)의 컵형 함몰부(34)의 바닥 표면과 캐리어 요소(2)의 컵형 함몰부(25)로부터 돌출되는 사다리꼴 돔(27)이 서로 접촉하는 표면에는 접착제층(73)이 가해져 있으며, 이들 접착제는 캐리어 요소(2)와 가이드 레일(3) 사이에 컴팩트하고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며, 도 13 및 14 의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폐쇄형 단면의 공동부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기계적 안정성과 함께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2)의 결합체의 높은 저항 모멘트가 발생된다.
도 27 은 캐리어 요소(2)와 연결된 가이드 레일(3)의 상면도를 나타내는데, 도 19 - 24 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이 가이드 레일은 접착제가 굳을 때까지 접착 표면(70)의 위와 아래에서 또한 양측에서 복수의 클립(47, 48)(가이드 레일(3)을 따라 캐리어 요소(2)에 설치됨)으로 캐리어 요소(2)에 고정된다. 접착 표면(70)의 위와 아래에는 스페이서(24)가 배치되며, 가이드 레일(3)이 캐리어 요소(2) 상으로 클립핑되면 스페이서는 가이드 레일(3)의 바닥 표면과 캐리어 요소(2)의 상부 표면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며, 여기서 접착제가 유효하게 된다. 캐리어 요소(2)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접착제의 최적 흡수를 위해, 캐리어 요소(2)는 스페이서(24) 사이에서 구조화 표면(29)을 가지며, 그의 단부에는 챔버(23)가 제공되여, 잉여 접착제가 이 챔버 안으로 유출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이 생략되어 있는 캐리어 요소(2)의 상면도로 도 28 은 접착 표면(70)을 나타내며, 스페이서(24)가 접착 표면(70)의 위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접착제가 굳을 때까지 가이드 레일(3)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47, 48)이 접착 표면(70)의 위아래에서 옆에 배치되어 있다.
도 27 의 선 C - C 을 따른 단면으로 도 29 는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2)의 연결 영역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구조화 표면(29)은 번갈아 위치되어 있는 함몰부와 융기부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레일(3)의 길이 방향 연장 양측에서 스페이서(24)로 경계가 한정되며, 이 스페이서는 접착제의 규정된 두께를 보장한다. 접착제(7)가 발린 후에, 접착 표면(70) 상에 발린 접착제가 굳을 때까지 이 실시 형태의 곧은, 바람직하게는 압출된 가이드 레일(3)은 스페이서(24) 상에 배치되어 클립(47, 48)으로 고정된다.
도 30 은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2)이 연결된 것을 위에서 본 것으로, 이는 도 31 및 32 에서 도 30 의 선 D - D 을 따른 단면으로 두개의 상이한 실시 형태로 나타나 있다.
도 26 의 실시 형태와 유사한 도 31 및 32에 나타나 있는 두 실시 형태에서, 캐리어 요소(2)는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함몰부(25)를 포함하며, 이 함몰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다리부(28)가 수평하게 꺽여 있으며, 이 다리부에는 가이드 레일(3)의 사각형 또는 사디리꼴 함몰부(34)가 맞게 되어 있으며, 이 함몰부는 그의 가장자리로부터 수평하게 꺽여 있는 측면 다리부(35)로 사각형 또는 사리리꼴 함몰부(25)로부터 꺽여 있는 캐리어 요소(2)의 다리부(28)에 안착된다. 도 31 의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2) 사이의 연결은 리벳(78)으로 이루어지며, 도 32 의 실시 형태에서는 캐리어 요소(2)와 가아드 레일(3)의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함몰부(25, 34)의 바닥에 있는 스크류(79)로 이루어진다. 스크류 연결에서는, 스크류(79)의 나사를 위한 충분한 길이를 제공하기 위한 돔형 돌출부(200)가 캐리어 요소(2)의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함몰부(25)의 바닥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캐리어 요소(2) 및 가이드 레일(3)의 경사 가장자리들이 서로 결합하므로, 이들 실시 형태에서 높은 저항 모멘트 및 그래서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 폐쇄형 단면이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3)의 강성이 개선된다. 캐리어 요소(2)는 예컨대 강재 또는 알루미늄재 기능 캐리어이고, 가이드 레일(3)은 압출 플라스틱재 레일 또는 롤러 버니싱된 강재 또는 알루미늄재 레일로 형성된다.
도 33 - 35 의 실시 형태는 도 20 - 22 과 도 31 및 32 의 실시 형태와 관련이 있다. 캐리어 요소(2)는 중앙 접촉 영역과 두 측방 클립(47, 48)을 갖는 단차식 돔형 융기부(27)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3)은 미리 휘어진 바닥 표면(300)을 포함하며, 이 바닥 표면으로부터 가이드 레일(3)의 안내 영역이 꺽여 있다. 가이드 레일(3)의 휘어진 바닥 표면(300)이 캐리어 요소(2)의 수용 영역 안으로 클립핑되면, 도 3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3)의 휘어진 바닥 표면(300)은 곧게 펴지게 되는데, 하지만 지탱 표면의 영역에 있는 가이드 레일(3)의 상기 미리 휘어진 바닥 표면(300)이 예인장하에서 캐리어 요소(2)의 단차식 돔형 융기부(27)에 안착되도록 클립(47, 48)으로 고정된다. 도 3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이저 빔(LS)으로 레이저 용접하여, 가이드 레일(3)은 가이드 레일(3)의 바닥 표면(300)과 캐리어 요소(2)의 단차식 돔형 융기부(27) 사이에서 캐리어 요소(2)에 부착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레일(3)은 레이저 방사에 대한 투과성 또는 전달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압출 플라스틱재 레일로 형성된다. 캐리어 요소(2)는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방사를 흡수하는 재료를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창유리의 특정가능한 풀오프를 생성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을 비틀거나 휘게 하는 본 발명의 방안은 창 리프트의 다른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으며, 이들 요소는 가이드 레일을 비틀거나 휘게 하는 역할만 하거나, 또는 가이드 레일 및/또는 캐리어 요소의 안정성과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만 하거나 또는 가이드 레일을 비틀거나 휘게 하고 또한 안정성과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6 - 38 에는 3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나타나 있는데, 창 리프터 케이블을 방향 전환시키는 케이블 풀리(14)를 수용하는 케이블 창 리프터의 케이블 풀리 홀더 또는 카세트(15)가 가이드 레일(3)과 캐리어 요소(2), 예컨대 도어 내부 패널 또는 캐리어 플레이트 또는 기능 캐리어의 연결부에 통합되어 있다.
도 36 및 37 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레일(3)의 지지는 케이블 풀리(14)를 수용하는 카세트(15)를 통해 이루어진다. 카세트(15)는 두개의 지탱 표면(151, 152)을 포함하며, 이들 표면은 가이드 레일(3)의 카세트(15)의 후방 그립을 형성하고 한편으로 가이드 레일(3)의 상부 가장자리 주위에 결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이드 레일의 개구(37)를 통과하며, 카세트(15)는 상기 지탱 표면으로 가이드 레일(3) 상에 놓이게 된다. 가이드 레일(3)에 있는 컷아웃(36)를 통해, 케이블 풀리(14) 및 내부 나사를 갖는 단차형 핀(16, 17)(케이블 풀리(14)가 이 핀에 장착됨)을 갖는 카세트(15)가 카세트(15)와 연결된다. 이 카세트(15)는 두개의 지탱 표면(151, 152)을 통해 캐리어 요소(2)에 지지되며, 캐리어 요소(2)의 개구(20)를 통과하는 스크류(19)에 의해 개리어 요소(2)와 연결되며, 이 캐리어 요소는 단차형 핀(16, 17)의 내부 나사에 나사 결합된다.
도 36 의 실시 형태에서, 내부 나사를 갖는 단차형 핀(16)의 바닥부(160)는 캐리어 요소(2)로부터 떨어져 있고, 도 37 및 38 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크류 관통 방안을 보여주며, 도 37 의 실시 형태에서, 내부 나사를 갖는 단차형 핀(17)의 바닥부(170) 및 카세트(15)는 두 지탱 표면(151, 152)을 통해 캐리어 요소(2)에 지지되며, 따라서 카세트(15)가 실리며, 반면 도 38에 나타나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카세트(15)는 단순히 가이드 레일(3) 상에 놓여 있고 지탱 표면(151, 152)을 통해 캐리어 요소(2) 그 자체에 지지되지 않으므로 카세트(15)의 릴리프가 이루어진다.
도 38 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케이블 풀리(14), 카세트(15) 및 가이드 레일(3)이 개리어 요소(2)와 연결되는 것은 단차형 핀(18)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핀의 바닥부(180)는 캐리어 요소(2)에 안착되며 또한 캐리어 요소(2)의 개구(20)를 통과하는 스크류(19)로 캐리어 요소(2)에 부착되며, 그 캐리어 요소는 단차형 핀(18)의 내부 나사에 나사 결합된다.
캐리어 요소, 예컨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 어셈블리 캐리어 또는 창 리프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있는 체결 리셉타클과 가이드 레일의 체결점을 연결하는 중에 휘어진 그리고/또는 비틀린 가이드 레일을 만들기 위해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 안으로 창 리프터의 가이드 레일을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하는 것과 원하는 풀오프 운동을 만들기 위한 지지점은 통합 가이드 레일을 갖는 어셈블리 캐리어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도 적용가능하다. 다양한 용도와 사용 가능성을 도 39 - 70 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차량 길이 방향 축선(x 축), 차량 횡방향 축선(도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y 축) 및 수직 방향 축선(z 축)을 갖는 좌표계와 관련하여, 도 39 는 창 리프터를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8)를 나타내며, 더블 스트랜디드(double-stranded) 창 리프터의 구성요소들, 즉 창 리프터 케이블(12)을 구동하기 위한 케이블 드럼을 갖는 구동부(10)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창 리프터 케이블은 케이블 또는 방향전환 풀리(131, 132, 133, 134)를 통해 안내되며 두 구동기(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구동기는 가이드 레일(3a, 3b)에 배치되어 안내된다. 창유리와 결합된 구동기(11)는 구동부(10)의 구동 방향에 따라 가이드 레일(3a, 3b)에서 올라가거나 하강되며, 그리 하여 창유리가 도어 프레임의 창 개구를 개폐하게 된다.
가요성 가이드 레일(3a, 3b)은 베이스 플레이트(8)에 결합되어 형성되며, 차량 길이 방향 축선 또는 x 축에 대해 휘어질 수 있고 또한 차량 수직 방향 축선 또는 z 축에 대해서는 비틀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8)는 한 가이드 레일(3a)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중간 영역(80)을 갖는데, 이 영역은 강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그리고/또는 높은 저항 모멘트를 갖는 단면 또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대각선 방향 지주로 형성된 연결부(81, 82, 83, 84)가 상기 강성 영역(80)으로부터 가이드 레일(3a, 3b)의 상하단부까지 이르며, 횡방향 지주(85)는 다른 가이드 레일(3b)의 중심부까지 이른다. 가이드 레일(3a, 3b)의 상하단부에는 창 리프터 케이블(12)의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 전환 풀리(131, 132, 133, 134)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풀리의 축은 베이스 플레이트(8)를 도어 몸체 쉘과 연결하기 위한 체결점(5)으로서의 역할도 하는데, 이는 체결 볼트가 케이블 또는 방향 전환 풀리(131, 132, 133, 134)의 축을 통과하여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도 39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의 체결점(5')이 예컨대 가요성 가이드 레일(3a, 3b)의 상단부가 상기 대각선 방향 지주(81, 82)에 연결되는 연결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체결 볼트가 그 별도의 체결점을 통과하여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된다.
베이스 플레이트(8)의 강성 영역(80)의 양 측에서 두개의 지지점(6)이 가요성 가이드 레일(3a, 3b)에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 지지점은 자동차 도어의 도어 몸체 쉘에 베이스 플레이트(8)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점으로서 대안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8)의 강성 영역(80)은 지지점(6)들 사이에 위치되고 예컨대 창 리프터 구동부(10)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차량 제조업체의 차량, 차량 종류 및 차량 도어의 형식에 따라서, 창 리프터의 조절가능한 창유리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차량 도어의 형상에 따라, 창유리는 예컨대 어떤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곡률 반경은 다른 차량 도어에서 다를 수 있고, 창유리가 조절을 위해 도어 내외부 패널로 형성된 도어 몸체 안으로 들어가거나 그 밖으로 나갈 때 따르게 되는 운동 경로를 특정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창유리의 운동 경로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창유리는 예컨대 거의 수직하게 또는 경사져서 도어 몸체 안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그 밖으로 나올 수 있으며, 또는 도어 몸체내에 있는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또는 도어 시일상에 있는 휘어진 배럴형 창유리의 평평한 받침을 위해 창유리는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축), 차량 횡방향 축선(Y-축) 또는 차량 수직 방향 축선(Z-축)에 대해 선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명세의 결과에 따라, 창틀의 운동 경로를 결정하는 가이드 레일은 그들의 길이 방향 연장에서 대응적으로 휘어지거나 비틀려야 한다.
도 40 및 41 은 차량 도어(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의 도어 몸체 셀 안에는 도 39 에 나타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8)가 창 리프터의 창유리(13)의 다양한 풀오프 각도(α)를 실현하기 위해 제공되어 었다. 창유리의 요구되는 풀오프 각도(α)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8)는 각각의 정확한 위치로 회전되는데, 즉 창유리의 경사진 풀오프의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8)는 도 40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수직 방향 축선 또는 z-축에 대해 풀오프 각도(α)로 경사져 설치되며, 반면 창유리(13)의 수직 풀오프의 경우에는 베이스 플레이트(8)는 도 4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3a, 3b)이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된다.
도 42 는 도 39 의 베이스 플레이트(8)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 레일(3a, 3b)이 좌표계와 관련하여 베이스 플레이트(8)에 결합되어 있고, 사용되는 참조 번호와 관련해서는 전술한 도 39 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8)를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 안에 장착할 때 가이드 레일(3a, 3b)이 휘어지거나 비틀려질 수 있도록, 대각선 방향 지주(81, 82)는 가요성 영역(9)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8)의 중간 영역에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8)의 강성 영역(80)은 한 가이드 레일(3a)에 직접 연결되며, 다른 가이드 레일(3b)과의 연결은 강성적인 대각선 방향 지주(85)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 지주는 가이드 레일(3b)의 중간 영역과 연결된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도 43 은 도 42 에서 처럼 가이드 레일(3a, 3b)이 결합되어 있지만 횡 지주(86, 87)의 가요성 영역이 강성적인 중간 영역(양 가이드 레일(3a, 3b)의 중간 영역을 연결함)의 상하방에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8)를 나타낸다.
도 44 는 좌표계에 대하여 차량 도어 안으로 설치되기 전에 비받침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8) 안으로 결합되는 한 또는 두 가이드 레일(3)(도 42 및 43 에서 보는 바와 같은 3a, 3b)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가이드 레일(3)은 반경(R)으로 미리 휘어져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8)를 차량 도어 안으로 설치하여 지지점(6)이 차량 도어의 대응하는 부가적인 부분상에 안착되게 체결점(5)을 도어 몸체 쉘과 연결하면, 가이드 레일(3)은 구속된 위치에 있게 되고, 이 결과 원하는 레일 반경이 얻어진다.
도 45 는 체결점(5)을 도어 몸체 쉘의 체결 리셉타클에 연결하고 가이드 레일(3)을 지지점(6)에 지지한 후의 가이드 레일(3)을 보여주는 것으로, 따라서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3)은 반경(RA)(RA > R)으로 "휘어져" 있다.
대안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8)를 차량 도어 안으로 설치하여 체결점(5)을 도어 몸체 쉘의 대응하는 체결 리셉타클(4)에 부착하고 가이드 레일(3)을 지지점(6)에 지지하면, 도 46 의 가이드 레일(3)은 반경(RB)으로 "더 휘어질" 수 있는데, 즉 RB < R 이다.
도 45 및 46 의 이들 두 개략도는 베이스 플레이트(8)가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에 연결될 때, 가요성 영역(9)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8)에 결합되는 하나의 동일한 미리 휘어진 가요성 가이드 레일(3)은 다른 차량 도어에 설치될 때 다른 형상을 취하게 됨을 명확히 보여주며, 따라서 가이드 레일(3)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8)는 창 리프터의 다른 풀오프 운동 및 형상에 적합하다.
차량 길이 방향 축선 또는 x 축에 대해 휘어질 수 있고 또한 차량 수직 방향 축선 또는 z 축에 대해서는 비틀릴 수 있는 가요성 가이드 레일(3a, 3b)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8')의 변형예(도 47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음)는 도 42 또는 43 의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와 같은 횡 지주 또는 대각선 방향 지주를 포함하지 않는데, 하지만, 단지 하나의 강성적인 가로 빔(88)이 가이드 레일(3a, 3b) 사이에 제공되어 있어 가이드 레일(3a, 3b)을 서로에 대해 비틀기 위한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로 빔은 체결점(5)을 통해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에 연결된다. 횡 지주 또는 대각선 방향 지주를 생략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8)의 가요성이 얻어지며, 이리 하여 가이드 레일(3a, 3b)이 서로에 대해 비틀릴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8)를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에 더 연결하기 위해, 방향 전환 풀리(131 - 134)의 축 또는 추가적인 체결점(5')을 통한 연결과 같은 다른 체결점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된 가이드 레일(3a, 3b)과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8)가 도어 몸체 쉘 안에 설치되어 있는 도 48 에 나타난 바와 같은 차량 도어(1)의 측면도 및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도 48의 차량 도어(1)의 도 49 및 50 에 나타난 종단면도를 참조하여, 내외부 창 리프터를 위한 다점 지지의 가능성을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48 은 도어 몸체 쉘에 제공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개구(1d)를 갖는 차량 도어(1)를 나타내며, 그 개구 안으로는 두개의 측방 돌출부(1e, 1f)가 돌출되어 있다. 차량의 수직 방향 축선에 대한 풀오프 각도에서 창유리의 경사 풀오프를 위해 도어 몸체 쉘 안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8)는, 창 리프터의 방향 전환 풀리의 축을 통과하는 체결점(5)을 통해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된다. 베이스 플레이트(8)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3a, 3b)의 규정된 휨 또는 비틀림을 위해, 상기 돌출부(1e, 1f)의 영역에는 지지점(6)이 제공되는데, 이 지지점은 베이스 플레이트(8)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3a, 3b)이 선택적으로 휘어지고/휘어지거나 비틀리게 해준다.
종단면도로 도 49 에 나타나 있는 내부 창 리프터 시스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8)는 방향 전환 풀리를 통과하는 체결 수단에 의해 도어 몸체의 도어 내부 패널(1b)에 연결되어 있으며, 돌출부(1e, 1f)에 제공되어 있는 지지점(6)에 지지되며, 그래서 가이드 레일은 휘어진 그리고 가능하게는 비틀린 형상을 취하게 되며, 그리 하여 창유리(13)가 특정의 풀오프 경로를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차량 도어의 종단면도로 도 50 에 나타나 있는 외부 창 리프터 시스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8)는 도어 외피부(1a)에 인접하여 제공되어 있는 도어 몸체 쉘의 일 부분에 부착되며 또한 예컨대 측방 충격 캐리어(1g)에 지지된다.
베이스 플레이트(8)가 돌출부(1e, 1f)의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도 50 에는 나타나 있지 않는 보강 요소가 베이스 플레이트(8)를 지지하기 위해 내부 창 리프터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특히 도어 내부 패널에 연결된다.
도 51 - 53 을 참조하여, 가이드 레일이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과의 연결로 어떻게 구속 위치에 있게 되어 비틀리거나 기울어지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1 은 베이스 플레이트(8)의 장착 위치를 도시하기 위해 좌표계를 갖는 상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내며, 시작 상황에서 가이드 레일(3a)은 베이스 플레이트(8)에 결합되어 있고(소위 A-레일) 또한 가이드 레일(3b)은 베이스 플레이트(8)에 결합되어 있다(소위 B-레일). 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8)의 강성 영역(80) 및 강성 영역(80)으로부터 B-레일(3b)의 상하단부와 중간 영역까지 이르는 대각선 방향 지주의 대응 설계로 베이스 플레이트(8)에 가요성 영역(9)을 배치하고 대각선 방향 지주에 가요성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B-레일(3b)은 휘어지고/휘어지거나 비틀릴 수 있으며, A-레일(3a)은 시작 상황시 존재하는 형태로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된다.
도 51 의 측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작 상황시 두 가이드 레일(3a, 3b)은 차량 길이 방향 또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정렬된다.
A-레일(3a)의 상하 방향 전환 풀리에 있는 체결점(5)에서 A-레일(3a)을 도어 몸체 쉘과 연결한 후에, 화살표 F 로 표시된 방향으로 B-레일의 단부 상으로 힘이 가해지며, B-레일은 예컨대 B-레일(3b)의 상하 단부에 있는 체결점(5)으로서 역할하는 방향 전환 풀리의 축을 통과하는 스크류 볼트에 의해 도어 몸체 쉘과 연결되어 구속 위치에 있게 되며, 이 위치에서 도 52 의 측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A-레일(3a)에 대해 회전 또는 기울어진다.
도 53 에서는, 도 53 의 측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B-레일(3b)의 단부 상에 작용하는 힘(F)의 반작용에 의해 가요성 B-레일(3b)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기울어진다.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의 유사한 적용에서, B-레일(3b)의 체결점(5)을 도어 몸체 쉘에 연결할 때 A-레일(3a)을 도어 몸체 쉘에 연결한 후에 B-레일(3b)을 더 휘거나 뒤로 휘게 하기 위해 예컨대 도 52 에 나타나 있는 B-레일의 구속 위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몸체 쉘에서 체결점(5)을 연결한 후에 시작 위치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B-레일(3b)은 A-레일(3a)에 대해 다소 회전되거나 기울어지게 된다.
도 54 - 56 을 참조하면, 창 리프터 시스템의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가이드 레일을 휘거나 비트는데 필요한 가요성을 얻기 위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제공되어 있는 가요성 영역은 그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의 휨 및/또는 비틀림 및/또는 가이드 레일들 간의 상대적인 비틀림을 가능케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해, 관련 설명과 함께 도 42 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대각선 방향 지주의 가요성 영역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참조한다. 요구되는 가요성을 얻기 위한 이하에 설명되는 가능성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강성 영역의 상하방에서 가요성 영역이 횡 지주에 배치하는 구성에도 물론 적용가능하다.
도 54 및 5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된 가이드 레일(3a, 3b) 및 가요성 영역(9) 또한 강성 영역(80)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8)의 개략도는 도 42 에 대응하고, 베이스 플레이트(8)에 가요성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이하 기술하는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선을 확인하는 역할만 할 뿐이다.
도 54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연결 지주(81)의 도 55 에 나타난 종단면도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또는 대각선 방향 지주(81)를 대각선 방향 지주(81)의 강성 영역에 비해 얇게 하여 요구되는 가요성을 얻고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때 가요성 영역(9)이 더 낮은 저항 모멘트로 형성된다.
도 56 의 단면선 B - B을 따른 단면으로 도 57 은, 가요성 영역(9)을 편평하거나 평평하게 설계하여 또는 낮은 저항 모멘트를 갖는 단면을 사용하여 대각선 방향 지주(81)에 가요성 영역(9)을 만드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가능성으로는 예컨대 U-섹션을 제공하되 이 U-섹션의 가까이 이격된 다리부가 가요성영역에 있게 하고, 반면 대각선 방향 지주(81)의 나머지 강성 영역은, 다리부들이 서로 더 큰 거리로 떨어져 있고 그래서 더 높은 저항 모멘트를 갖는 U-섹션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8)에 가요성 영역 또는 부분을 만들기 위한 다른 가능성은 전술한 두 가능성을 조합하는 것인데, 즉 대각선 방향 또는 횡 지주(81 - 87)의 가요성 영역(9)에서 재료 모두는 얇게 만들고 낮은 저항 모멘트를 갖는 단면을 사용하여 평평하게 또는 "약화되게" 설계하는 것이다.
도 54 의 단면선 A - A 을 따른 단면도로 도 58 은 2-요소 기술을 사용하여 대각선 방향 지주(81)에 가요성 부분(9)을 만드는 가능성을 도시하는데, 즉 강성 재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LFG30과 같은 장 유리 섬유 보강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요소로 만들어지는 대각선 방향 지주(81)의 강성 영역이 사용되고, 반면 가요성 영역(9)은 가요성 재료, 예컨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또는 저 탄성 계수를 갖는 재료의 예로서 비보강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제 2 요소로 만들어진다.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8)에 이런 유형의 가요성 영역 또는 부분을 만드는데 있어서 전제 조건은, 2-요소 기술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들은 서로 양립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가요성 영역 또는 부분을 평평하게 설계하거나 낮은 저항 모멘트를 갖는 단면을 사용하여 요구되는 가요성을 얻는 가능성과 2-요소 기술을 조합하면, 지주(81 -87)에 가요성 영역을 만들 수 있는 다른 가능성이 얻어진다.
도 61 및 62 에는, 가요성 영역(9)의 파형부의 스프링 작용으로 연결 지주에 가요성 부분을 만드는 원리가,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8)의 상면도로 또한 도 6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도 61 의 단면선 A - A 을 따른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상기 용어 "파형부"는 이와 관련하여 물결 모양의 재료가 동일한 길이에 제공되어 있고 물결의 방향, 즉 파형의 마루와 골의 방향이 가요성의 방향을 특정하는 것을 말한다.
도 61 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가요성 영역(9)의 파형부의 배향에서, 가요성은 대각선 방향 지주(81 - 84)의 방향에 수직하게 증가되며, 따라서 가이드 레일(3a, 3b)의 서로에 대한 다른 비틀림과 휨 및 가이드 레일(3a, 3b) 상호간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도 63 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부는 대안적으로 차량 수직 방향 축선 또는 z-축 방향으로 가요성 영역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 하여 가이드 레일(3a, 3b)이 차량 길이 방향 축선 또는 x-축 방향에 대해 휘어질 수 있다.
도 64 에 나타나 있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에 따르면, 가요성 영역의 파형부에는 대안적으로 도 63 에 나타나 있는 파형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 주어질 수 있는데, 이러면 차량 수직 방향 축선 또는 z-축 방향에 대한 휨이 가능하게 된다.
가이드 레일(3a, 3b)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8)의 대각선 방향 또는 횡 지주에 가요성 영역 또는 부분을 만들기 위한 재료의 파형부로도, 도 65 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파형의 두 방향의 조합이 파의 마루와 골에 각각 대응하는 스트로크로 가능하게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레일(3a, 3b)을 차량 길이 방향 축선 또는 x-축에 대해 휘게 하기 위한 가요성 영역(9')이 만들어지며 또한 차량 수직 방향 축선 또는 z-축에 대해 휘게 하기 위한 가요성 영역을 만들기 위한 가요성 영역(9")이 만들어진다.
다른 차량 제조업체의 다른 차량 및 차량 종류에 대해 개별적인 또는 작은 범위의 미리 제작된 가이드 레일 또는 결합된 가아드 레일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결합된 가이드 레일을 갖는 어셈블리 캐리어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의 가능성은, 가이드 레일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경제적인 제작을 보장하고 또한 도 66 - 70 에 따라, 가변적인 가이드 레일, 즉 모든 모델 범위에 대한 사용을 위해 장착 프레임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을 갖는 장착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가능성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도 66 은 개략적인 상면도를 나타내고, 도 67 은 도 66 의 단면선 A - A 을 따라 취한 장착 프레임(8')의 단면을 나타내는데, 이 장착 프레임은 전술한 베이스 플레이트(8)와 유사하게, 중간 강성 영역(80') 및 이 강성 영역(80')으로부터 진행되어 있는 가요성 부분을 갖는 대각선 방향 지주(81', 82', 83', 84')를 포함한다. 대각선 방향 지주(81' - 84')의 단부는 꺽인 다리부(91 - 94)에 결합되어 있고, 이 다리부에는 가이드 레일(3a, 3b)을 장착하기 위한 가변적인 링크(95 - 98)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 링크는 동시에 장착 프레임(8')(이 장착 프레임(8')에 가이드 레일(3a, 3b)이 결합되어 있음)을 도어 몸체 쉘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점(5)으로서 제공된다. 가이드 레일(3a, 3b) 중의 하나 또는 둘다에 있는 추가적인 지지점(6)이 가이드 레일(3a, 3b) 중의 하나 또는 둘다의 선택적인 변형, 즉 비틀림 또는 휨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도 67 은 장착 프레임(8')(이 장착 프레임(8')에 가이드 레일(3a, 3b)이 연결되어 있음)이 차량 도어(1)의 도어 몸체 쉘에 부착 및 연결되는 것을 보여 주는데, 사전에 장착 프레임(8')에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3a, 3b)과 함께 그 장착 프레임(8')은 체결점(5)에 의해 도어 몸체 쉘(1)에 부착 및 연결되며, 지지점(6), 예컨대 도어 몸체 쉘에 결합되어 있는 측면 충돌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3a, 3b) 또는 이 가이드 레일(3a, 3b) 중 하나의 특정 휨 및/또는 비틀림이 일어나도록 지지점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도 68 - 70 의 개략도는 도 66 에 개략적인 상면도로 나타나 있는 장착 프레임(8')의 가변적인 사용을 보여주는데, 그 장착 프레임(8')은 다른 차량 도어 및 창 리프터 유닛의 풀오프 운동을 위해 제공되며, 이는 다른 길이의 가이드 레일(3a, 3b)과 연결된다. 꺽인 다리부(91 - 94)에서 가이드 레일(3a, 3b)이 대응 링크(95 - 98)와 연결되면, 가이드 레일(3a, 3b) 사이의 다른 거리 및 가이드 레일(3a, 3b)의 다른 풀오프 각도가 얻어진다.
개략도인 도 68 및 69 에 대응하여, 창유리의 다른 조절 경로와 조절 방향이 다른 길이의 가이드 레일(3a, 3b) 및 가이드 레일(3a, 3b) 상호간의 다른 거리로 실현될 수 있다.
개략도인 도 69 와 도 70 을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꺽인 다리부(91 - 94)에서 개별 가이드 레일(3a, 3b)을 장착 프레임(8')에 연결함으로써, 다른 차량 도어에서 창유리의 다른 풀오프를 실현하기 위해 상이한 풀오프 각도를 실현할 수 있다.
1 차량 도어
1a 도어 외부 패널
1b 도어 내부 패널
1c 시일
1d 도어 개구
1e, 1f 돌출부
1g 충돌 장벽
2 캐리어 요소
3 가이드 레일
3'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
3a 가이드 레일(A-레일)
3b 가이드 레일(B-레일)
4 체결 리셉타클
5, 5' 체결점
6 지지점
7 접착제
8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8' 장착 프레임
9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요성 영역
10 창 리프터 구동부
11 구동기
12 케이블
13 창유리
14 케이블 풀리
15 카세트
16 - 18 내부 나사를 갖는 단차형 핀
19 스크류
20 개구
21 다리부
22 박스형부
23 챔버
24 스페이서
25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함몰부
26 측방 돔 또는 융기부
27 사다리꼴 돔
28 다리부
29 구조화 표면
30 슬라이딩 및 안내 다리부
31 인서트(양털, 직물, 종이, 필름)
32 인서트(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부분)
33 최적의 슬라이딩 특성을 위한 공압출 플라스틱 재료
34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함몰부
35 포트(pot)형 개구
36 컷아웃
37 개구
41 - 48 체결 리셉타클
51 - 58 체결점
61 - 63 지지점
70 접착 표면
71 - 73 접착층
74 하부 스탑
74' 플러그-인 포켓
75, 76 측면 스탑
77 클립
78 리벳
79 스크류
80 베이스 플레이트의 강성 영역
81 - 84 연결부(대각선 방향 지주)
85 - 87 연결부(횡 지주)
88 가로 빔
91 - 94 꺽인 다리부
95 - 98 가변적인 연결부
131 - 134 방향 전환 풀리
151, 152 지탱 표면
180 지탱 표면
200 돔형 돌출부
300 가이드 레일의 미리 휘어진 바닥 표면
R 굽힘 반경
X 차량 길이 방향 축선
Y 차량 횡 방향 축선
Z 차량 수직 방향 축선
LS 레이저 빔
1a 도어 외부 패널
1b 도어 내부 패널
1c 시일
1d 도어 개구
1e, 1f 돌출부
1g 충돌 장벽
2 캐리어 요소
3 가이드 레일
3' 미리 휘어진 가이드 레일
3a 가이드 레일(A-레일)
3b 가이드 레일(B-레일)
4 체결 리셉타클
5, 5' 체결점
6 지지점
7 접착제
8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8' 장착 프레임
9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요성 영역
10 창 리프터 구동부
11 구동기
12 케이블
13 창유리
14 케이블 풀리
15 카세트
16 - 18 내부 나사를 갖는 단차형 핀
19 스크류
20 개구
21 다리부
22 박스형부
23 챔버
24 스페이서
25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함몰부
26 측방 돔 또는 융기부
27 사다리꼴 돔
28 다리부
29 구조화 표면
30 슬라이딩 및 안내 다리부
31 인서트(양털, 직물, 종이, 필름)
32 인서트(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부분)
33 최적의 슬라이딩 특성을 위한 공압출 플라스틱 재료
34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함몰부
35 포트(pot)형 개구
36 컷아웃
37 개구
41 - 48 체결 리셉타클
51 - 58 체결점
61 - 63 지지점
70 접착 표면
71 - 73 접착층
74 하부 스탑
74' 플러그-인 포켓
75, 76 측면 스탑
77 클립
78 리벳
79 스크류
80 베이스 플레이트의 강성 영역
81 - 84 연결부(대각선 방향 지주)
85 - 87 연결부(횡 지주)
88 가로 빔
91 - 94 꺽인 다리부
95 - 98 가변적인 연결부
131 - 134 방향 전환 풀리
151, 152 지탱 표면
180 지탱 표면
200 돔형 돌출부
300 가이드 레일의 미리 휘어진 바닥 표면
R 굽힘 반경
X 차량 길이 방향 축선
Y 차량 횡 방향 축선
Z 차량 수직 방향 축선
LS 레이저 빔
Claims (20)
-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차량 창 리프터로서, 창유리와 결합되는 구동기를 조절 방향을 따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휨가능하고/휨가능하거나 비틀림가능한 가이드 레일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차량 도어의 체결 리셉타클과 연결가능한 체결점을 포함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체결점이 차량 도어의 체결 리셉타클과 연결됨으로써 가이드 레일이 비틀리고/비틀리거나 휘어지게 되고,
가이드 레일(3; 3a, 3b)은 연결부(81 - 87)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8, 8')의 강성 영역(80)과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81 - 87)는 가요성 영역(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3; 3a, 3b)은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축)에 대해 휘어질 수 있고 또한 차량 수직 방향 축선(Z-축)에 대해서는 비틀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8, 8')의 강성 영역(80)은 두 가이드 레일(3; 3a, 3b) 사이에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3; 3a, 3b)의 단부에 있는 체결점(5, 5')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점(6) 또는 다른 체결점(5, 5')이 가이드 레일(3; 3a, 3b)의 단부측 체결점(5, 5')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3항에 있어서,
체결점(5, 5')은 창 리프터 케이블(12)을 안내하고 방향 전환시키기 위한 창 리프터의 방향 전환 풀리(131 - 134)의 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점(6)은 차량 도어(1), 특히 충돌 장벽(1g)의 도어 몸체 쉘(1a, 1b)에 결합되어 있는 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연결부(81 - 87)는 가이드 레일(3; 3a, 3b)의 단부 및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지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5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3; 3a, 3b)의 단부와 연결되는 대각선 방향 지주(81 - 84)는 가요성 영역(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5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3; 3a, 3b)의 중간 부분과 연결되는 횡 지주(85 - 87)는 가요성 영역(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영역(9)은 연결부(81 - 87)의 강성 영역의 단면과 비교하여 감소된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영역(9)은 강성 영역의 단면 형상 보다 낮은 저항 모멘트를 갖는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8, 8') 및/또는 연결부(81 - 87)의 강성 영역(80)은 강성 재료, 특히 장 유리 섬유 보강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가요성 영역은 덜 강성적이거나 또는 가요적인 재료, 특히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또는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재료, 특히 비보강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부(81 - 87)의 가요성 영역(9)은 연결부(81 - 87)의 파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2항에 있어서,
연결부(81 - 87)의 파형 구조는 연결부(81 - 87)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2항에 있어서,
연결부(81 - 87)의 파형 구조는 차량 수직 방향 축선(Z-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2항에 있어서,
연결부(81 - 87)의 파형 구조는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형 구조의 여러 가요성 영역(9)이 연결부(81 - 87)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4항 및 제15항에 있어서,
차량 수직 방향 축선(Z-축)의 방향 및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축)의 방향 모두로 연장되어 있는 파형 구조가 연결부(81 - 87)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연결부(81' - 84')를 갖는 장착 프레임(8')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장착 프레임의 단부 영역(91 - 94)에는, 다른 창 리프터 및 차량 도어를 위한 가이드 레일(3; 3a, 3b)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관절 기구(95 - 98)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제18항에 있어서,
장착 프레임(8')은 X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 강성 영역(80') 및 이 중간 강성 영역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진행되어 있는 네개의 대각선 방향 지주(81' - 84')를 가지며, 상기 장착 프레임의 꺽인 단부 영역(91 - 94)은 다른 가이드 레일(3; 3a, 3b)을 수용하기 위한 가변적인 관절 기구(95 - 9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차량 창 리프터로서, 창유리와 결합되는 구동기를 조절 방향을 따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휨가능하고/휨가능하거나 비틀림가능한 가이드 레일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차량 도어의 체결 리셉타클과 연결가능한 체결점을 포함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체결점이 차량 도어의 체결 리셉타클과 연결됨으로써 가이드 레일이 비틀리고/비틀리거나 휘어지게 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는 비교적 가요적인 두개의 가이드 레일(3; 3a, 3b)을 포함하고, 가이드 레일의 중간 영역은 비교적 강성적인 가로 빔(88)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가로 빔의 단부에는 체결점(5)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창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0031013.1 | 2010-07-06 | ||
DE102010031013A DE102010031013A1 (de) | 2010-07-06 | 2010-07-06 | Kraftfahrzeug-Fensterheber |
PCT/EP2011/060240 WO2012004119A2 (de) | 2010-07-06 | 2011-06-20 | Kraftfahrzeug-fensterheb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9188A Division KR101840787B1 (ko) | 2010-07-06 | 2011-06-20 | 자동차 창 리프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0266A true KR20180030266A (ko) | 2018-03-21 |
KR101933906B1 KR101933906B1 (ko) | 2018-12-31 |
Family
ID=446290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7353A KR101933906B1 (ko) | 2010-07-06 | 2011-06-20 | 자동차 창 리프터 |
KR1020127029188A KR101840787B1 (ko) | 2010-07-06 | 2011-06-20 | 자동차 창 리프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9188A KR101840787B1 (ko) | 2010-07-06 | 2011-06-20 | 자동차 창 리프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20130097932A1 (ko) |
EP (2) | EP2594717A1 (ko) |
KR (2) | KR101933906B1 (ko) |
CN (2) | CN102985632B (ko) |
DE (1) | DE102010031013A1 (ko) |
WO (1) | WO2012004119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63470A (ko) * | 2022-11-03 | 2024-05-10 |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0031015A1 (de) * | 2010-07-06 | 2012-01-12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 Führungsschiene für einen Fensterheber und Türsystem für eine Fahrzeugtür |
JP5681164B2 (ja) * | 2012-12-12 | 2015-03-04 | シロキ工業株式会社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DE102014215608B3 (de) * | 2014-08-06 | 2015-11-19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 Fensterheberbaugruppe mit unterschiedlichen Befestigungsstellen für eine Führungsschiene |
KR101628949B1 (ko) * | 2015-02-11 | 2016-06-10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차량용 도어모듈 |
ES2654516T3 (es) * | 2015-07-06 | 2018-02-14 | Grupo Antolín-Ingeniería, S.A. | Elevalunas de cable estructural para puertas de vehículos |
DE102015012262B4 (de) * | 2015-09-19 | 2020-12-31 | Daimler Ag | Tür für einen Kraftwagen |
CN114001714A (zh) * | 2016-06-24 | 2022-02-01 | 米沃奇电动工具公司 | 具有金属框架支承保护的外本体的水平仪 |
FR3073445B1 (fr) * | 2017-11-13 | 2022-06-10 | Plastic Omnium Cie | Element de fixation pour fixer deux pieces de vehicule automobile en matiere plastique |
US11203254B2 (en) * | 2018-08-28 | 2021-12-21 | Magna Closures Inc. | Frameless window regulator rail with over-molded functional edge |
DE102019130626A1 (de) * | 2018-11-14 | 2020-05-14 | Magna Closures Inc. | Fensterheberschiene und motorträger mit hochfestem zwischenverbinder |
US11499361B2 (en) | 2019-02-05 | 2022-11-15 | Magna Closures Inc. | Lightweight lifter plate assembly for vehicle window |
KR20210087589A (ko) * | 2020-01-02 | 2021-07-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도어 |
DE102020209394A1 (de) | 2020-07-24 | 2022-01-27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Fensterheberbaugruppe eines Kraftfahrzeugs |
DE102021112458A1 (de) * | 2021-05-12 | 2022-11-17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 mit einem Fensterheber |
DE102021210692A1 (de) | 2021-09-24 | 2023-03-30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Türmodul für eine Fahrzeugtür |
KR20230170449A (ko) | 2022-06-10 | 2023-12-19 | 주식회사 오토메스텔스타 | 자동차 도어프레임 교정 시스템 및 방법 |
US20240010056A1 (en) * | 2022-07-08 | 2024-01-11 | Consolidated Metco, Inc. | Vehicle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
Family Cites Families (3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33613A (en) * | 1983-12-09 | 1987-01-06 | Ohi Seisakusho Co., Ltd. | Window regulator for door |
US4589227A (en) * | 1984-04-26 | 1986-05-20 | Ferro Manufacturing Corporation | Side window glass regulator for quarter windows on convertibles |
US4658546A (en) * | 1984-10-11 | 1987-04-21 | Mazda Motor Corporation | Windowpane lifting mechanism for vehicle door |
JPH0645030Y2 (ja) * | 1989-03-29 | 1994-11-16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ウインドレギユレータ装置 |
FR2699589B1 (fr) * | 1992-12-21 | 1995-05-19 | Rockwell Abs France | Dispositif lève-vitre pour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une sécurité anti-pincement adaptée pour amortir un choc de la vitre contre un obstacle. |
DE19504781C1 (de) * | 1995-02-14 | 1996-08-22 | Brose Fahrzeugteile | Scheibenführung für eine absenkbare sphärisch gekrümmte Fensterscheibe in einer Fahrzeugtür |
DE19528467C2 (de) * | 1995-08-03 | 2003-06-12 | Brose Fahrzeugteile | Fahrzeugtür |
US5970658A (en) * | 1997-05-06 | 1999-10-26 | Atoma International Corp. | Window regulator mechanism |
DE19857872C2 (de) * | 1997-12-16 | 2003-07-17 | Asmo Co Ltd | Angetriebener Fensterheber und Fensterhebersystem |
US6006473A (en) * | 1998-03-17 | 1999-12-28 | Atwood Industries, Inc. | Tape drive window regulator with universal housing for accommodating both manual and electric drive mechanisms |
FR2787068B1 (fr) * | 1998-12-15 | 2001-02-23 |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 Porte de vehicule avec module d'equipements etanche et medaillon amovible dans le panneau de garnissage |
DE19939655C1 (de) * | 1999-08-13 | 2000-12-14 | Brose Fahrzeugteile | Fensterheber mit einer an einem Basisteil befestigten Führungsschiene |
DE19942643C2 (de) | 1999-08-30 | 2001-07-12 | Brose Fahrzeugteile |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Seilfensterhebers an einer Fahrzeugtür sowie Fahrzeugtür eines Kraftfahrzeugs |
DE19944916A1 (de) * | 1999-09-14 | 2001-03-15 | Brose Fahrzeugteile | Seil- oder Bowdenfensterheber |
JP3882448B2 (ja) * | 2000-02-29 | 2007-02-14 | マツダ株式会社 | 自動車用ドア及び自動車用ドアの組立方法 |
DE10039842B4 (de) * | 2000-08-10 | 2005-09-29 | Meritor Automotive Gmbh | Führungsschiene für eine bewegbare Fensterscheibe |
FR2815662B1 (fr) * | 2000-10-24 | 2003-06-27 |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 Leve-vitre, notamment de custode de vehicule |
DE10060632A1 (de) * | 2000-12-06 | 2002-07-04 | Gerald Fellner | Fahrzeugtür |
DE10151068B4 (de) | 2001-10-05 | 2005-09-29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von einem doppelsträngigen Seilfensterheber bewegten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
US20030097798A1 (en) * | 2001-11-27 | 2003-05-29 | Staser Brian Hale | Vehicle door module |
CA2430023A1 (en) * | 2002-05-30 | 2003-11-30 |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 Lead screw window regulator |
ES1052188Y (es) * | 2002-06-06 | 2003-03-16 | Castellon Melchor Daumal | Perfil para carriles de material plastico para elevalunas de automoviles. |
FR2841286B1 (fr) * | 2002-06-19 | 2005-10-14 |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 Leve-vitre et porte de vehicule avec le leve vitre |
JP3953410B2 (ja) * | 2002-11-01 | 2007-08-08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車両用ウインドガラスの昇降用ガイド具 |
MXPA04010389A (es) * | 2003-09-16 | 2005-02-17 | Antolin Grupo Ing Sa | Modulo portante con cierre estanco para puertas de vehiculo y procedimiento de montaje de dicho modulo. |
ES2313262T3 (es) * | 2005-03-01 | 2009-03-01 | Grupo Antolin-Ingenieria, S.A. | Modulo de soporte estructural para puertas de vehiculo. |
DE102005033115A1 (de) | 2005-07-11 | 2007-01-25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 Aggregateträger für eine Kraftfahrzeugtür |
JP2007056501A (ja) * | 2005-08-23 | 2007-03-08 | Johnan Seisakusho Co Ltd | ワイヤドラム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DE202005017526U1 (de) * | 2005-11-09 | 2005-12-29 | Arvinmeritor Gmbh | Baugruppe bestehend aus einem Türinnenteil und einem Trägerelement |
DE202005018470U1 (de) * | 2005-11-25 | 2006-02-16 |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France | Baugruppe bestehend aus einem Trägerteil und einem Türinnenteil |
JP4848913B2 (ja) * | 2005-11-28 | 2011-12-28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ドア構造 |
DE202006011177U1 (de) * | 2006-07-18 | 2006-09-28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 Trägerplatte für eine Kraftfahrzeugtür, insbesondere Türmodulträger |
JP4727547B2 (ja) * | 2006-10-11 | 2011-07-20 |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 車両用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
DE202006019563U1 (de) * | 2006-12-21 | 2008-04-30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 Fensterheberbaugruppe für einen Kraftfahrzeugfensterheber |
CN101801698B (zh) * | 2007-03-13 | 2015-07-29 | 英特瓦产品有限责任公司 | 线缆调节器导轨和具有卡入式滑轮的承载架 |
DE102008032963A1 (de) * | 2008-07-09 | 2010-01-14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 Bahngesteuerter Fensterheber eines Kraftfahrzeugs |
DE102008058906A1 (de) * | 2008-11-21 | 2010-05-27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 Türmodul mit einem Aggregateträger |
DE102008059166A1 (de) * | 2008-11-24 | 2010-05-27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 Verstell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Verstelleinrichtung |
WO2010135562A2 (en) * | 2009-05-20 | 2010-11-25 | Inteva Products Llc. | Integrated module carrier plate |
-
2010
- 2010-07-06 DE DE102010031013A patent/DE102010031013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1
- 2011-06-20 CN CN201180033544.2A patent/CN102985632B/zh active Active
- 2011-06-20 KR KR1020187007353A patent/KR10193390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6-20 WO PCT/EP2011/060240 patent/WO2012004119A2/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6-20 KR KR1020127029188A patent/KR10184078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6-20 EP EP13154200.3A patent/EP2594717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1-06-20 US US13/807,579 patent/US2013009793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6-20 CN CN201610031781.XA patent/CN105599570B/zh active Active
- 2011-06-20 EP EP11736017.2A patent/EP2591194A2/de not_active Withdrawn
-
2014
- 2014-11-21 US US14/550,456 patent/US9566846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63470A (ko) * | 2022-11-03 | 2024-05-10 |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591194A2 (de) | 2013-05-15 |
CN105599570B (zh) | 2018-09-04 |
CN102985632A (zh) | 2013-03-20 |
WO2012004119A3 (de) | 2012-04-19 |
DE102010031013A1 (de) | 2012-01-12 |
US20130097932A1 (en) | 2013-04-25 |
EP2594717A1 (de) | 2013-05-22 |
WO2012004119A2 (de) | 2012-01-12 |
US9566846B2 (en) | 2017-02-14 |
KR101933906B1 (ko) | 2018-12-31 |
KR20130092962A (ko) | 2013-08-21 |
US20150075081A1 (en) | 2015-03-19 |
CN102985632B (zh) | 2016-01-13 |
KR101840787B1 (ko) | 2018-03-21 |
CN105599570A (zh) | 2016-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3906B1 (ko) | 자동차 창 리프터 | |
KR102546173B1 (ko) |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 |
US11608131B2 (en) |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employing bulkheads | |
KR102033645B1 (ko) | 차체구조 | |
US8550536B2 (en) | Tailgate from fibre-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 |
MX2007011004A (es) | Bastidor para el techo de un vehiculo. | |
US6668490B2 (en) | Lightweight door for motor vehicles | |
US20020139054A1 (en) | Safety device for a door window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7644980B2 (en) | Vehicle roof with a movable roof section | |
KR20070086115A (ko) |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유리 성분으로 구성된 복합 칸막이유리와, 상기 복합 칸막이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 |
US20190381960A1 (en) | Bumper system | |
KR20120064697A (ko) | 자동차 도어 배열체 및 그 조립 방법 | |
US6754991B2 (en) | Automobile door and annular module frame therefor | |
US20150108794A1 (en) | Sliding Headliner for a Motor Vehicle | |
US5065545A (en) | Panel assembly for vehicles with molded regulator attachment | |
US11125002B2 (en) | Window regulator rail and motor support with intermediate high strength connector | |
CN217554012U (zh) | 汽车b柱组件、无阶差平面式闭合装置以及汽车 | |
CN114352143A (zh) | 机动车辆、滑移门及用于滑移门的门板组件 | |
CN216580732U (zh) | 一种汽车底板总成 | |
CN220053469U (zh) | 车辆顶盖总成及车辆 | |
CN218400158U (zh) | 背门结构及车辆 | |
CN217259514U (zh) | 一种车窗导向结构和车窗系统 | |
KR100600143B1 (ko) | 자동차용 도어의 벨트부 보강 구조 | |
CN115195628A (zh) | 用于顶边梁装饰板的钣金支架、顶边梁装饰板总成及汽车 | |
JPH0541046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