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3470A -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3470A KR20240063470A KR1020220145125A KR20220145125A KR20240063470A KR 20240063470 A KR20240063470 A KR 20240063470A KR 1020220145125 A KR1020220145125 A KR 1020220145125A KR 20220145125 A KR20220145125 A KR 20220145125A KR 20240063470 A KR20240063470 A KR 202400634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adjustment bolt
- hole
- rivet
- module rai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제1 리벳 홀과 제1 조정 볼트 홀, 제1 리벳 홀 및 제1 조정 볼트 홀에 대향하는 제2 리벳 홀과 제2 조정 볼트 홀이 형성되는 모듈 레일, 제1 리벳 홀과 제2 리벳 홀에 끼워져 모듈 레일의 일측 끝단을 모듈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리벳, 제1 조정 볼트 홀과 제2 조정 볼트 홀에 연결되어 모듈 레일의 일측 끝단을 모듈 플레이트에 고정하며 모듈 레일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볼트, 제2 리벳 홀의 가장자리가 모듈 플레이트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제1 리벳 홀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버링, 제1 리벳 홀 가장자리 표면에 일정 반경을 이루도록 돌출되며 제1 리벳 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 높이가 감소하는 제1 회전부, 버링 외주면 가장자리를 따라 제1 회전부보다 큰 반경을 이루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지고 제2 리벳 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함몰된 깊이가 감소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로 구성되는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 내부에 장착된 모듈 레일의 각도를 조절 가능한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제1 리벳 홀과 제1 조정 볼트 홀, 제1 리벳 홀 및 제1 조정 볼트 홀에 대향하는 제2 리벳 홀과 제2 조정 볼트 홀이 형성되는 모듈 레일, 제1 리벳 홀과 제2 리벳 홀에 끼워져 모듈 레일의 일측 끝단을 모듈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리벳, 제1 조정 볼트 홀과 제2 조정 볼트 홀에 연결되어 모듈 레일의 일측 끝단을 모듈 플레이트에 고정하며 모듈 레일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볼트, 제2 리벳 홀의 가장자리가 모듈 플레이트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제1 리벳 홀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버링, 제1 리벳 홀 가장자리 표면에 일정 반경을 이루도록 돌출되며 제1 리벳 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 높이가 감소하는 제1 회전부, 버링 외주면 가장자리를 따라 제1 회전부보다 큰 반경을 이루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지고 제2 리벳 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함몰된 깊이가 감소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로 구성되는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리스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는 도어 모듈이 장착되며, 도어 모듈은 도어 모듈의 본체를 형성하는 모듈 플레이트 표면에, 구동 모터에 연결된 드럼, 윈도우 글라스 개폐 방향을 따라 배치된 모듈 레일, 모듈 레일 양측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풀리, 드럼 및 풀리에 감겨진 와이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모듈 레일 연결되고 와이어에 고정되는 캐리어 플레이트로 구성된 레귤레이터가 장착되며, 윈도우 글라스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 및 캐리어 플레이트가 승하강 이동하면서 윈도우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프레임리스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의 도어는 윈도우 글라스를 지지하는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모듈 플레이트에 장착된 모듈 레일의 연결 각도가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 방향과 불일치하는 경우, 불일치된 각도 방향에 따라 글라스를 올려 윈도우를 닫은 상태에서 글라스 상부 끝단이 차량 외측으로 치우치면서 글라스와 섀시간 밀폐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주행 중 발생하는 풍절음과, 물 샘 현상 또는 외부 소음 유입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듈 플레이트와 모듈 레일간 연결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모듈 레일의 일측 끝단을 리벳으로 고정하고, 모듈 레일의 타측 끝단은 중앙부에는 모듈 플레이트와의 접촉면을 지지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조절 볼트가 연결되며, 모듈 레일과의 체결부 반대측 조절 볼트 끝단은 모듈 플레이트의 조절 볼트 홀에 체결되어, 조절 볼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모듈 플레이트와 모듈 레일이 서로 접근하거나 이격되면서 모듈 레일의 연결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모듈 레일은 리벳에 의해 일측 끝단이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조절 볼트를 통한 모듈 레일 연결 각도 조절 시 모듈 레일에 비틀림 힘이 작용하면서 모듈 레일의 뒤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모듈 레일은 자동차의 도어 및 글라스의 형상에 따라 중앙부가 차량 외측 방향을 향해 휘어진 곡면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모듈 레일 연결 각도 조절 과정에서 모듈 레일의 뒤틀림이 발생하는 경우, 윈도우 개폐 시 모듈 레일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 궤적이 변화되어 윈도우 글라스와 도어 실링간 밀폐 성능이 저하되거나, 모듈 플레이트에 연결된 캐리어 플레이트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접촉면 마찰력 증가에 의해 접촉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레일의 연결 각도 조절 시 모듈 레일의 뒤틀림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를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5375호(2019.04.29.등록)에서는 모듈 레일 연결부측 조절 볼트 끝단에 원기둥 형상의 결합봉이 체결되고, 모듈 레일에는 결합봉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링형 부재가 형성되어, 조절 볼트 조작에 따른 모듈 레일의 연결 각도 조절 시 링형 부재에 삽입된 결합봉이 회전하면서 모듈 레일의 뒤틀림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적용된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의 조립 공정은, 링형 부재에 결합봉을 체결하는 과정과, 결합봉을 조절 볼트 끝단에 체결되는 과정이 부가되어 공수 증가에 따른 공정 효율성 저하가 발생하며, 모듈 레일의 일측 끝단의 리벳 고정부에 모듈 레일의 연결 각도 조절 시 작용하는 비틀림 힘이 집중되면서 리벳 고정부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모듈 플레이트와 모듈 레일간 연결 각도를 조절 시 모듈 레일의 뒤틀림 발생을 방지하여, 윈도우 개폐 시 윈도우 글라스와 도어 실링간 밀폐 성능 저하 및 모듈 플레이트와 캐리어 플레이트간 접촉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의 조립 공정 효율성 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듈 레일 뒤틀림 발생 방지 구조가 적용된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는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 플레이트,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 방향을 따라 모듈 플레이트 상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리벳 홀과 제1 조정 볼트 홀, 제1 리벳 홀 및 제1 조정 볼트 홀에 대향하는 제2 리벳 홀과 제2 조정 볼트 홀이 형성되며 모듈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는 모듈 레일, 제1 리벳 홀과 제2 리벳 홀에 끼워져 모듈 레일의 일측 끝단을 모듈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리벳, 제1 조정 볼트 홀과 제2 조정 볼트 홀에 연결되어 모듈 레일의 일측 끝단을 모듈 플레이트에 고정하며 제1 조정 볼트 홀과 제2 조정 볼트 홀간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모듈 레일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볼트로 구성되며, 모듈 플레이트의 제1 조정 볼트 홀 가장자리를 따라, 모듈 레일의 제2 조정 볼트 홀과의 연결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오목홈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 피트, 제1 피트의 오목홈 표면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모듈 레일의 제2 조정 볼트 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제1 피트의 폭과 너비 및 깊이보다 작은 폭과 너비 및 높이로 이루어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제2 피트, 제2 리벳 홀의 가장자리가 모듈 플레이트 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 및 높이로 돌출되어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이 제1 리벳 홀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버링, 모듈 레일과 연결되는 방향의 제1 리벳 홀 가장자리 표면에 일정 반경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리벳 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 높이가 감소하는 곡면을 이루는 제1 회전부, 버링 외주면 가장자리의 모듈 레일 표면을 따라 제1 회전부보다 큰 반경을 이루도록 형성된 오목홈으로 이루어지고, 오목홈의 가장자리에 제2 리벳 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함몰된 깊이가 감소하는 제1 영역을 포함하며, 제1 회전부의 돌출부와 밀착 연결되는 제2 회전부, 제2 조정 볼트 홀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정 너트, 양측 끝단에 형성된 플레이트 고정부와 레일 고정부가 각각 제1 리벳 홀 및 제2 리벳 홀의 가장자리에 접하면서 모듈 플레이트와 모듈 레일을 고정하는 리벳, 중앙부에 반경 외측 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고, 일측 끝단이 조정 너트에 체결되며, 타측 끝단이 제1 조정 볼트 홀을 통과하여, 플랜지의 타측 표면이 제1 조정 볼트 홀의 가장자리 표면과 접하는 조정 볼트, 제1 조정 볼트 홀을 통과한 조정 볼트의 타측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로 구성되되, 조정 볼트 회전을 통한 모듈 레일의 위치 조정 시,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간 접촉 위치가 변화하면서 모듈 레일의 변형 발생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 고정부 연결 방향 제1 리벳 홀 내주면에는 제1 리벳 홀 반경 내측 방향으로 가스켓이 돌출되어, 제1 리벳 홀 내주면에 단차가 형성되며, 가스켓 중앙부에는 리벳의 축이 통과하는 리벳 축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리벳 홀은 모듈 레일 길이 방향을 따라 장축이 형성된 타원형 또는 트랙 형상의 단면 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 고정부와 접하는 방향의 제1 리벳 홀 가장자리 표면에 플레이트 고정부 반경보다 큰 반경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고, 제1 리벳 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 높이가 감소하는 곡면을 이루는 제3 회전부가 형성되며, 제3 회전부와 대향하는 플레이트 고정부 내측 표면에는 제3 회전부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진 제4 회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회전부에는 버링 외주면 표면으로부터 일정 반경까지 함몰된 깊이 변화가 제1 영역보다 작게 형성된 제2 영역이 형성되며, 제2 영역 외측에 제1 영역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 레일의 리벳 홀 가장자리에 형성된 버링이 모듈 플레이트의 리벳 홀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플레이트의 리벳 홀 가장자리 표면에 리벳 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 높이가 감소하는 곡면을 이루는 제1 회전부가 형성되며, 버링 외주면 가장자리 표면에 제1 회전부보다 큰 반경을 이루는 오목홈으로 구성된 제2 회전부가 형성되어, 모듈 레일의 결합 각도 조절 시 서로 밀착 접촉된 제1,2 회전부의 곡면간 접촉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모듈 레일 전체가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모듈 레일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 플레이트의 조정 볼트 홀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홈 형상의 제1 피트와, 모듈 레일 조정 볼트 홀 가장자리에 돌출된 제2 피트간 끼움 결합에 의해, 모듈 플레이트와 모듈 레일의 각 리벳 홀 및 각 조정 볼트 홀간 정렬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 고정부와 접하는 모듈 플레이트의 리벳 홀 가장자리에 리벳 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 높이가 감소하는 곡면을 이루는 제3 회전부가 형성되며, 리벳의 플레이트 고정부 내측 표면에 제3 회전부 곡면 형상에 대응하는 제4 회전부가 형성되어, 모듈 레일 결합 각도 조절 시 제3,4 회전부간 밀착 접촉부 곡면에서의 미끄러짐 유동이 발생하여, 접촉면을 축으로 모듈 레일의 회전이 이루짐에 따라 모듈 레일의 변형 발생 방지 및 리벳 홀과 리벳간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 고정 연결 방향 리벳 홀 내주면에 형성된 가스켓에 의한 리벳 홀 내주면 단차 구조를 통해, 버링과 가스켓 표면간 밀착 접촉 및 가스켓과 플레이트 고정부 내측면간의 밀착 접촉에 의한 2중 밀폐 구조를 통해, 리벳 홀과 리벳 틈새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가 적용된 도어 모듈의 모듈 레일 장착 방향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도어 모듈의 모듈 레일 장착 배면 방향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의 모듈 레일 측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레일의 모듈 플레이트 결합부 배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조정 볼트와 고정 너트의 형상 및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조정 볼트와 고정 너트를 통한 레일 위치 조정 과정을 나태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모듈 플레이트와 모듈 레일간 피트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리벳 연결부의 회전부 위치 및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리벳 연결부의 회전부를 통한 레일 모듈과 모듈 플레이트간 정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리벳 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기존의 방식에 따른 모듈 플레이트와 모듈 레일간 마운팅 구조 및 레일 위치 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레일의 뒤틀림 발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도어 모듈의 모듈 레일 장착 배면 방향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의 모듈 레일 측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레일의 모듈 플레이트 결합부 배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조정 볼트와 고정 너트의 형상 및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조정 볼트와 고정 너트를 통한 레일 위치 조정 과정을 나태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모듈 플레이트와 모듈 레일간 피트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리벳 연결부의 회전부 위치 및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리벳 연결부의 회전부를 통한 레일 모듈과 모듈 플레이트간 정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적용된 리벳 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기존의 방식에 따른 모듈 플레이트와 모듈 레일간 마운팅 구조 및 레일 위치 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레일의 뒤틀림 발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 플레이트(100) 표면 상에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제1 리벳 홀(110)과 제1 조정 볼트 홀(120)이 형성되며, 제1 리벳 홀(110) 및 제1 조정 볼트 홀(120)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리벳 홀(210)과 제2 조정 볼트 홀(220)이 각각 형성된 모듈 레일(200)이 모듈 플레이트(100) 표면에 고정 장착된다.
모듈 레일(200)에는 레귤레이터(10)를 구성하는 캐리어 플레이트가 모듈 레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연결되며, 캐리어 플레이트에는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 글라스가 장착되어, 캐리어 플레이트가 모듈 레일(200)을 따라 승하강 이동할 때 윈도우 글라스가 캐리어 플레이트를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윈도우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제2 리벳 홀(210)과 제2 조정 볼트 홀(220)은 모듈 레일(200)의 길이 방향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며, 모듈 플레이트(100)와 모듈 레일(200)간 대향 배치 상태에서, 모듈 플레이트(100)의 제1 리벳 홀(110)과 모듈 레일(200)의 제2 리벳 홀(210) 사이에 리벳(300)이 삽입되고, 모듈 플레이트(100)의 제1 조정 볼트 홀(120)과 모듈 레일(200)의 제2 조정 볼트 홀(220) 사이에 조정 볼트(400)가 체결되어, 모듈 레일(200)의 양측 끝단을 모듈 플레이트(100)에 고정한다.
도어 모듈(1)에 장착된 레귤레이터(10)는 하나의 모듈 레일(200)이 모듈 플레이트(100) 상에 장착된 싱글 레귤레이터와, 두 개의 모듈 레일(200)이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모듈 플레이트(100) 상에 장착된 듀얼 레귤레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듀얼 레귤레이터의 경우 각 모듈 레일(200)의 제2 리벳 홀(210)과 제2 조정 볼트 홀(220)에 리벳(300) 및 조정 볼트(400)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리벳(300) 및 조정 볼트(400)를 통한 모듈 플레이트(100)와 모듈 레일(200)의 고정 장착 시, 조립 공차 발생에 의해 모듈 플레이트(100)와 모듈 레일(200)간 결합 각도가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 레일(200)의 상부 또는 하부가 차량 실내 또는 실외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장착된 경우, 레귤레이터(10) 작동 시 모듈 레일(200)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윈도우 글라스의 기울어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프레임리스 도어가 적용된 차량의 경우, 윈도우 글라스의 차량 전후방향 측면 및 상부 끝단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조정 볼트(400)를 통해 제1 조정 볼트 홀(120)과 제2 조정 볼트 홀(220)간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모듈 레일(200)의 기울어짐 방향을 조정하여, 글라스 상부 끝단의 차량 내측 또는 외측으로의 치우침을 방지한다.
이때, 조정 볼트(400)를 통한 모듈 레일(200)의 기울어짐 조정 시, 리벳(300)을 회전축으로 모듈 레일(200)이 회전하면서 제1 조정 볼트 홀(120)과 제2 조정 볼트 홀(220)간 이격 간격이 변화하게 되는데, 제1 조정 볼트 홀(120)과 제2 조정 볼트 홀(220)이 도어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조정 볼트(400)를 통한 모듈 레일(200)의 기울어짐 조정 과정에서 프레임리스 도어 상단과 글라스 하단간 연결부 위치가 차량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리스 도어 상단과 글라스 하단간 연결부 위치가 차량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는 경우, 글라스 하단 일측 표면과 대향하는 프레임리스 도어 상단 실링간 이격 간격이 커지면서 글라스 일측 표면 방향 실링의 밀폐 성능이 저하되며, 반대로 글라스 하단 타측 표면과 대향하는 프레임리스 도어 상단 실링간 이격 간격이 줄어들면서 실링과 글라스 타측 표면간 접촉부 마찰력이 증가하여 소음 발생 및 개폐 작동 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제1 조정 볼트 홀(120)과 제2 조정 볼트 홀(220)이 도어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하고, 모듈 레일(200)의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제1 리벳 홀(110)과 제2 리벳 홀(210)이 도어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조정 볼트(400)를 통한 모듈 레일(200)의 기울어짐 조정 중 프레임리스 도어 상단과 글라스 하단간 연결부 위치의 치우침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듈 플레이트(100)의 제1 조정 볼트 홀(120) 가장자리에는 모듈 레일(200)의 제2 조정 볼트 홀(220)과의 연결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제1 피트(121)가 형성되며, 모듈 레일(200)의 제2 조정 볼트 홀(220) 가장자리에는 제1 피트(121)의 오목홈 표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된 제2 피트(221)가 형성된다.
제1 피트(121)의 오목홈의 폭과 너비 및 깊이는 제2 피트(221)의 돌출부의 폭과 너비 및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모듈 플레이트(100)에 모듈 레일(200) 장착 시 제1 피트(121)의 오목홈에 제2 피트(221)의 돌출부가 끼워지게 되며, 제1 피트(121)와 제2 피트(221)간 끼움 결합에 의해 모듈 플레이트(100)의 제1 리벳 홀(110) 및 제1 조정 볼트 홀(120)과, 모듈 레일(200)의 제2 리벳 홀(210)과 제2 조정 볼트 홀(220)간 정렬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피트(121)는 볼록면 표면 방향 폭 및 너비가, 제1 피트(121)의 오목홈 가장자리 폭 및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 사각 뿔단 형상을 이루고, 제2 피트(221)는 오목홈 가장자리 폭 및 너비가 볼록면 표면 방향 폭 및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 사각 뿔단 형상을 이룸으로써, 조정 볼트(400)를 통한 제1 조정 볼트 홀(120)과 제2 조정 볼트 홀(220)간 이격 간격 조정 중, 제1 피트(121)와 제2 피트(221)간 끼움 결합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제1 피트(121)와 제2 피트(221)간 접촉에 의한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듈 플레이트(100)와 결합되는 방향의 제2 리벳 홀(210)의 가장자리 표면은 모듈 플레이트(100) 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 및 높이로 돌출되어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버링(230)이 형성되며, 제1 리벳 홀(110)의 내면 폭은 버링(230)의 외주면 직경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어, 버링(230)의 외주면이 제1 리벳 홀(110)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듈 레일(200)과 연결되는 방향의 제1 리벳 홀(110) 가장자리 표면에는 제1 회전부(111)가 형성되며, 제1 회전부(111)는 제1 리벳 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반경을 따라 돌출되고, 제1 리벳 홀(110)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 높이가 감소하는 곡면을 이룬다.
그리고 모듈 플레이트(100)와 연결되는 방향의 버링(230) 외주면 가장자리 표면에는 모듈 레일(200) 표면을 따라 제1 회전부(111)보다 큰 반경을 이루도록 형성된 오목홈으로 구성된 제2 회전부(211)가 형성되며, 제2 회전부(211)의 오목홈의 가장자리에는 제2 리벳 홀(210)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함몰된 깊이가 감소하는 부위인 제1 영역(212)이 포함된다.
리벳(300)은 제1 리벳 홀(110)과 제2 리벳 홀(210)에 삽입되어 모듈 레일(200) 상부 끝단을 모듈 플레이트(100)에 고정하며,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벳(300)의 일측 끝단이 영구변형되어 모듈 레일(200)과의 결합면 반대측 표면의 제1 리벳 홀(110)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플레이트 고정부(310)를 형성하고, 영구변형된 리벳(300)의 타측 끝단은 모듈 플레이트(100)와의 결합면 반대측 표면의 제2 리벳 홀(210)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레일 고정부(320)를 형성하게 된다.
리벳(300)의 플레이트 고정부(310)와 레일 고정부(320)에 의해 모듈 플레이트(100)와 모듈 레일(200)간 결합부에 형성된 제1 회전부(111) 곡면과 제2 회전부(211)의 곡면은 서로 밀착 상태를 유지한다.
제1 회전부(111) 곡면의 최대 돌출 높이는 제2 회전부(211) 제1 영역(212)의 최대 함몰 깊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조정 볼트(400)를 통한 모듈 플레이트(100)와 모듈 레일(200)간 결합 각도 조절 시 서로 밀착하여 접촉된 제1 회전부(111) 곡면과 제2 회전부(211)의 곡면이 밀착 연결된 상태에서 제1 회전부(111) 및 제2 회전부(211) 접촉면간 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된다.
제1 회전부(111)와 제2 회전부(211)간 밀착 접촉부 곡면에서의 미끄러짐 유동 발생에 의해, 조정 볼트(400) 작동에 따른 모듈 플레이트(100)와 모듈 레일(200)간 각도 조정 과정에서 제1 회전부(111)와 제2 회전부(211)간 접촉면을 축으로 모듈 레일(20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모듈 레일(200) 전체가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모듈 레일(200)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부(211)에는 버링(230) 외주면 표면으로부터 일정 반경까지 함몰된 깊이 변화가 제1 영역(212)보다 작게 형성된 제2 영역(2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영역(213)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거나, 완만한 경사가 형성된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212)은 제2 영역(213)의 외측에 형성되어, 버링(230)이 제1 리벳 홀(110)에 삽입되었을 때, 제1 회전부(111)의 최대 돌출부가 제2 영역(213)과 위치하게 되며, 제1 회전부(111)의 반경 외측 방향에 위치한 돌출 높이 감소 부위가 제1 영역(212)의 곡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제1 회전부(111)의 최대 돌출부와 제2 영역(213) 표면은 서로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제1 회전부(111)의 돌출 높이 감소 부위가 제1 영역(212)의 곡면이 서로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조정 볼트(400)를 통한 모듈 레일(200)의 각도 조절 시, 제1 회전부(111)와 제2 회전부(211)간 접촉 면적 감소에 따른 마찰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 볼트(400)가 체결되는 조정 너트(240)는 제2 조정 볼트 홀(220)에 일체로 형성되며, 조정 볼트(400)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반경 외측 방향을 따라 돌출된 플랜지(410)가 형성된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 볼트(400)의 일측 끝단이 조정 너트(240)에 체결되었을 때, 플랜지(410) 및 조정 볼트(400)의 타측 끝단이 모듈 플레이트(100) 방향으로 배치되며, 조정 볼트(400)의 타측 끝단은 제1 조정 볼트 홀(120)을 통과하여 모듈 레일(200) 결합 방향 반대측 모듈 플레이트(100) 표면으로 돌출된다.
조정 너트(240) 체결 방향 반대측의 플랜지(410) 표면은, 모듈 레일(200) 결합 방향 제1 조정 볼트 홀(120)의 가장자리 표면과 접하게 되며, 제1 조정 볼트 홀(120)을 통과하여 모듈 레일(200) 결합 방향 반대측 모듈 플레이트(100) 표면으로 돌출된 조정 볼트(400)의 타측 끝단에는 고정 너트(500)가 체결된다.
고정 너트(500)는 조정 볼트(400)에 의한 모듈 플레이트(100)와 모듈 레일(200)간 결합 각도 조절이 완료된 후, 제1 조정 볼트 홀(120)을 통과하여 모듈 레일(200)과의 결합면 반대측으로 돌출된 조정 볼트(400)의 타측 끝단에 체결되며, 조정 볼트(400)의 플랜지(410)와 함께 모듈 플레이트(100)의 양 측면을 고정하여, 모듈 레일(200)의 조정 각도를 고정한다.
모듈 플레이트(100) 표면과 접하는 고정 너트(500) 머리부에는 와셔(washer)가 끼워지거나, 모듈 플레이트(100) 표면과 접하는 고정 너트(500) 머리부가 조정 너트(240)의 외주면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머리부에 와셔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와셔는 고정 너트(500)의 머리부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고정 너트(500)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제1 조정 볼트 홀(120) 가장자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 너트(240)에 체결된 조정 볼트(400)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플랜지(410)가 조정 너트(240)와 접근 또는 조정 너트(2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플랜지(410)와 접하는 제1 조정 볼트 홀(120) 가장자리 표면이 이동하면서 모듈 레일(200)과 모듈 플레이트(100)간 접근 또는 이격이 발생하게 된다.
모듈 레일(200)과 모듈 플레이트(100)간 접근 또는 이격 발생 시, 제1 회전부(111)와 제2 회전부(211)간 밀착 접촉부 곡면에서의 미끄러짐 유동이 발생면서 제1 회전부(111)와 제2 회전부(211)간 접촉면을 축으로 모듈 레일(200)의 회전이 이루어져, 모듈 레일(200)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고정부(310) 연결 방향 제1 리벳 홀(110) 내주면에는 제1 리벳 홀(110) 반경 내측 방향을 따라 얇은 판 형상의 가스켓(130)이 돌출되어, 가스켓(130)이 제1 리벳 홀(110) 내주면에 단차를 형성하며, 가스켓(130) 중앙부에는 리벳(300)의 축이 통과하는 리벳 축 홀(131)이 형성된다.
제1 리벳 홀(110)에 끼워진 버링(230) 끝단은 모듈 레일(200) 배치 방향의 가스켓(130) 표면과 밀착 접촉되며, 버링(230)과 가스켓(130) 표면간의 결합 및 가스켓(130)과 플레이트 고정부(310) 내측면간의 결합에 의한 2중 밀폐 구조를 통해, 글라스와 도어의 실링 사이로 스며든 물이 제1 리벳 홀(110)과 리벳(300)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정 볼트(400)를 통한 모듈 플레이트(100)와 모듈 레일(200)간 결합 각도 조절에 따른 제1 회전부(111)와 제2 회전부(211)간 밀착 접촉부 곡면에서의 미끄러짐 유동이 발생 시, 모듈 레일(2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버링(230)의 유동 및 기울어짐이 발생하게 되므로,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리벳 홀(110) 내부 단면 형상을 모듈 레일(200) 길이 방향을 따라 장축이 형성된 타원형 또는 트랙(track)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리벳 홀(110) 내측면과 버링(230)의 외주면간 간극을 형성하여, 제1 회전부(111)와 제2 회전부(211)간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리벳 홀(110)의 단축 방향 내면 폭은 버링(230)의 외주면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고정부(310)와 접하는 방향의 제1 리벳 홀(110) 가장자리 표면에는 제3 회전부(112)가 형성되고, 제3 회전부(112)는 플레이트 고정부(310) 반경보다 큰 반경을 이루도록 돌출되며, 제3 회전부(112) 표면은 제1 리벳 홀(110)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 높이가 감소하는 곡면을 이룬다.
그리고 제3 회전부(112)와 대향하는 플레이트 고정부(310) 내측 표면에는 리벳(30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외측 방향을 따라 멀어질수록 깊이가 감소하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진 제4 회전부(311)가 형성되며, 제4 회전부(311)의 오목홈 곡면은 제3 회전부(112)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조정 볼트(400)를 통한 모듈 플레이트(100)와 모듈 레일(200)간 결합 각도 조절 과정에서 제3 회전부(112)와 제4 회전부(311)간 밀착 접촉부 곡면에서의 미끄러짐 유동이 발생하여, 제1 회전부(111)와 제2 회전부(211)간 접촉면 및 제3 회전부(112)와 제4 회전부(311)간 접촉면을 축으로 모듈 레일(200)의 회전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하여 모듈 레일(200)의 변형 발생을 방지하며, 제3 회전부(112)와 제4 회전부(311)간 접촉면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여 제1 리벳 홀(110)과 리벳(300)간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듈 레일(200)의 결합 각도 조절 과정에서 제1 회전부(111) 및 제2 회전부(211)간 접촉면 미끄러짐에 의한 회전 방향과, 제3 회전부(112) 및 제4 회전부(311)간 접촉면 미끄러짐에 의한 회전 방향이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듈 레일(200)의 조절 가능한 결합 각도 범위를 확장하여, 모듈 레일(200)의 변형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도어 모듈
100: 모듈 플레이트
110: 제1 리벳 홀 111: 제1 회전부
112: 제3 회전부 120: 제1 조정 볼트 홀
121: 제1 피트 130: 가스켓
131: 리벳 축 홀 200: 모듈 레일
210: 제2 리벳 홀 211: 제2 회전부
212: 제1 영역 213: 제2 영역
220: 제2 조정 볼트 홀 221: 제2 피트
230: 버링 240: 조정 너트
300: 리벳 310: 플레이트 고정부
311: 제4 회전부 320: 레일 고정부
400: 조정 볼트 410: 플렌지
500: 고정 너트
110: 제1 리벳 홀 111: 제1 회전부
112: 제3 회전부 120: 제1 조정 볼트 홀
121: 제1 피트 130: 가스켓
131: 리벳 축 홀 200: 모듈 레일
210: 제2 리벳 홀 211: 제2 회전부
212: 제1 영역 213: 제2 영역
220: 제2 조정 볼트 홀 221: 제2 피트
230: 버링 240: 조정 너트
300: 리벳 310: 플레이트 고정부
311: 제4 회전부 320: 레일 고정부
400: 조정 볼트 410: 플렌지
500: 고정 너트
Claims (5)
-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 플레이트(100),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 방향을 따라 모듈 플레이트(100) 상에 이격되어 형성된 제1 리벳 홀(110)과 제1 조정 볼트 홀(120), 제1 리벳 홀(110) 및 제1 조정 볼트 홀(120)에 대향하는 제2 리벳 홀(210)과 제2 조정 볼트 홀(220)이 형성되며 모듈 플레이트(100) 상에 장착되는 모듈 레일(200), 제1 리벳 홀(110)과 제2 리벳 홀(210)에 끼워져 모듈 레일(200)의 일측 끝단을 모듈 플레이트(100)에 고정하는 리벳(300), 제1 조정 볼트 홀(120)과 제2 조정 볼트 홀(220)에 연결되어 모듈 레일(200)의 일측 끝단을 모듈 플레이트(100)에 고정하며 제1 조정 볼트 홀(120)과 제2 조정 볼트 홀(220)간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모듈 레일(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볼트(400)로 구성되는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모듈 플레이트(100)의 제1 조정 볼트 홀(120) 가장자리를 따라, 모듈 레일(200)의 제2 조정 볼트 홀(220)과의 연결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오목홈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 피트(121);
제1 피트(121)의 오목홈 표면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모듈 레일(200)의 제2 조정 볼트 홀(220)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제1 피트(121)의 폭과 너비 및 깊이보다 작은 폭과 너비 및 높이로 이루어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제2 피트(221);
제2 리벳 홀(210)의 가장자리가 모듈 플레이트(100) 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 및 높이로 돌출되어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이 제1 리벳 홀(110)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버링(230);
모듈 레일(200)과 연결되는 방향의 제1 리벳 홀(110) 가장자리 표면에 일정 반경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리벳 홀(110)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 높이가 감소하는 곡면을 이루는 제1 회전부(111);
버링(230) 외주면 가장자리의 모듈 레일(200) 표면을 따라 제1 회전부(111)보다 큰 반경을 이루도록 형성된 오목홈으로 이루어지고, 오목홈의 가장자리에 제2 리벳 홀(210)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함몰된 깊이가 감소하는 제1 영역(212)을 포함하며, 제1 회전부(111)의 돌출부와 밀착 연결되는 제2 회전부(211);
제2 조정 볼트 홀(2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정 너트(240);
양측 끝단에 형성된 플레이트 고정부(310)와 레일 고정부(320)가 각각 제1 리벳 홀(110) 및 제2 리벳 홀(210)의 가장자리에 접하면서 모듈 플레이트(100)와 모듈 레일(200)을 고정하는 리벳(300);
중앙부에 반경 외측 방향을 따라 플랜지(410)가 돌출 형성되고, 일측 끝단이 조정 너트(240)에 체결되며, 타측 끝단이 제1 조정 볼트 홀(120)을 통과하여, 플랜지(410)의 타측 표면이 제1 조정 볼트 홀(120)의 가장자리 표면과 접하는 조정 볼트(400);
제1 조정 볼트 홀(120)을 통과한 조정 볼트(400)의 타측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500);
로 구성되되,
조정 볼트(400) 회전을 통한 모듈 레일(200)의 위치 조정 시, 제1 회전부(111)와 제2 회전부(211)간 접촉 위치가 변화하면서 모듈 레일(200)의 변형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고정부(310) 연결 방향 제1 리벳 홀(110) 내주면에는 제1 리벳 홀(110) 반경 내측 방향으로 가스켓(130)이 돌출되어, 제1 리벳 홀(110) 내주면에 단차가 형성되며, 가스켓(130) 중앙부에는 리벳(300)의 축이 통과하는 리벳 축 홀(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제1 리벳 홀(110)은 모듈 레일(200) 길이 방향을 따라 장축이 형성된 타원형 또는 트랙(track) 형상의 단면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고정부(310)와 접하는 방향의 제1 리벳 홀(110) 가장자리 표면에 플레이트 고정부(310) 반경보다 큰 반경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고, 제1 리벳 홀(110)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 높이가 감소하는 곡면을 이루는 제3 회전부(112)가 형성되며, 제3 회전부(112)와 대향하는 플레이트 고정부(310) 내측 표면에는 제3 회전부(112)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진 제4 회전부(3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제2 회전부(211)에는 버링(230) 외주면 표면으로부터 일정 반경까지 함몰된 깊이 변화가 제1 영역(212)보다 작게 형성된 제2 영역(213)이 형성되며, 제2 영역(213) 외측에 제1 영역(2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5125A KR102676326B1 (ko) | 2022-11-03 | 2022-11-03 |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5125A KR102676326B1 (ko) | 2022-11-03 | 2022-11-03 |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3470A true KR20240063470A (ko) | 2024-05-10 |
KR102676326B1 KR102676326B1 (ko) | 2024-06-18 |
Family
ID=9107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5125A KR102676326B1 (ko) | 2022-11-03 | 2022-11-03 |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6326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96793B2 (ja) * | 1993-02-17 | 2001-08-06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のレギュレータ取付構造 |
KR100802962B1 (ko) * | 2006-12-06 | 2008-02-14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도어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구조 |
KR20080107807A (ko) * | 2007-06-08 | 2008-12-11 |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 윈도우 레귤레이터 |
KR20180030266A (ko) * | 2010-07-06 | 2018-03-21 |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 자동차 창 리프터 |
KR101975375B1 (ko) | 2017-07-24 | 2019-05-07 | 주식회사 광진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US20200070630A1 (en) * | 2018-08-28 | 2020-03-05 | Magna Closures Inc. | Frameless window regulator rail with over-molded functional edge |
US20200291711A1 (en) * | 2019-03-14 | 2020-09-17 | Magna Closures Inc. | Rail adjuster system and method for window regulator systems |
US20220341239A1 (en) * | 2019-10-01 | 2022-10-27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Fastening device for a window lifter, and window lifter |
-
2022
- 2022-11-03 KR KR1020220145125A patent/KR1026763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96793B2 (ja) * | 1993-02-17 | 2001-08-06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のレギュレータ取付構造 |
KR100802962B1 (ko) * | 2006-12-06 | 2008-02-14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도어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구조 |
KR20080107807A (ko) * | 2007-06-08 | 2008-12-11 |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 윈도우 레귤레이터 |
KR20180030266A (ko) * | 2010-07-06 | 2018-03-21 |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 자동차 창 리프터 |
KR101975375B1 (ko) | 2017-07-24 | 2019-05-07 | 주식회사 광진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US20200070630A1 (en) * | 2018-08-28 | 2020-03-05 | Magna Closures Inc. | Frameless window regulator rail with over-molded functional edge |
US20200291711A1 (en) * | 2019-03-14 | 2020-09-17 | Magna Closures Inc. | Rail adjuster system and method for window regulator systems |
US20220341239A1 (en) * | 2019-10-01 | 2022-10-27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Fastening device for a window lifter, and window lif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6326B1 (ko) | 2024-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069617A (en) | Vehicle window guide assembly | |
US4779919A (en) | Vehicle windshield mounting | |
US10442477B2 (en) | Variable corner vane assembly for vehicle | |
WO2005068277A1 (ja) |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用ダストカバー | |
KR102634350B1 (ko) | 차량용 도어 글래스 런 | |
US7758106B2 (en) | Self-adjusting automotive radiator grille support | |
JP6902927B2 (ja) | 自動車用グラスランの取付構造 | |
JPH01182119A (ja) | 自動車用ドア | |
KR102676326B1 (ko) |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 |
US8127499B2 (en) | Relief lip for flocked tape belt seal | |
CN111002800B (zh) | 用于车辆的门玻璃组件 | |
KR102193861B1 (ko) |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오조립 방지 구조 | |
US6807773B2 (en) | Door with adjustable guide rail and corresponding method of assembly | |
CN115027237B (zh) | 车门玻璃总成、车门总成及车辆 | |
KR101989857B1 (ko) |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프 및 레일 수직 끼움 구조와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 |
KR102123237B1 (ko) |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 |
JP4183675B2 (ja) | 鉄道車両の連結部用外幌 | |
JP4419308B2 (ja) | 樹脂製サンルーフパネル | |
US6764129B2 (en) | Plastic window panel | |
KR20170050676A (ko) |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 |
KR20240103100A (ko) | 자동차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풀리 및 패널 마운팅부 일체형 체결 구조 | |
CN219794993U (zh) | 背门铰链总成及车辆 | |
WO2024114769A1 (zh) | 一种用于车辆的气坝系统及车辆 | |
CN220281068U (zh) | 一种气弹簧支架及车辆 | |
CN221646725U (zh) | 钢丝绳的张紧结构、升降器、车门及车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