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237B1 -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237B1
KR102123237B1 KR1020190012760A KR20190012760A KR102123237B1 KR 102123237 B1 KR102123237 B1 KR 102123237B1 KR 1020190012760 A KR1020190012760 A KR 1020190012760A KR 20190012760 A KR20190012760 A KR 20190012760A KR 102123237 B1 KR102123237 B1 KR 102123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lutch
panel
nut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이승철
이인제
엄정민
Original Assignee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2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72Tensioners, tens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 글라스 개폐시 글라스와 프레임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에 클런치 볼트가 형성되고, 타측에 패널 볼트가 형성되며, 패널 볼트에는 도어의 내부 패널이 연결되는 어저스트 볼트와, 일측 말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클런치 볼트에 삽입되는 풀리를 고정하도록 풀리 중심부를 관통하여 클런치 볼트에 체결되고, 타측 말단이 레일과 연결되는 클런치 너트 및 패널 볼트에 체결되어 어저스트 볼트를 도어의 내부 패널과 고정하는 너트로 구성되되, 글런치 너트가 풀리의 회전축 역할을 겸하는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Adjust Pulley Structure of Car Do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를 조절하는 레귤레이터에 적용되는 풀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윈도우의 글라스 개폐시 글라스와 윈도우 프레임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에 의해 글라스의 개폐 작동 불량이 발생하고, 글라스의 개폐 작동 불량에 따라 글라스와 웨더 스트립 사이의 밀폐력이 감소하여 누수가 발생하거나 주행중 풍절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차를 조정하는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20) 윈도우의 글라스(30) 개폐는 도어(20)의 내부 패널에 장착되는 레귤레이터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레귤레이터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글라스(30)를 고정하는 글라스 홀더(31), 내부 패널에 장착되는 레일(40), 글라스 홀더(31)가 장착된 상태로 레일(40)에 끼워지는 클램프(41), 레일(40)의 양쪽 끝단에 장착된 풀리(50), 클램프(41) 및 풀리(50)와 연결되는 와이어(60), 와이어(60)를 구동하는 드럼 및 모터로 구성된다.
모터와 연결된 드럼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60)가 구동하면 풀리(50)에 의해 수직방향의 운동으로 전환되고, 드럼의 회전방향에 따라 클램프(41)가 레일(4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도어(20)는 윈도우 글라스(30)의 폐쇄시 글라스(30) 가장자리를 따라 윈도우 윈도우 프레임(10)이 형성된 프레임 도어와, 자동차의 필러와 천장에 윈도우 윈도우 프레임(10)이 통합되어 형성된 프레임리스 도어로 구분되며, 윈도우 글라스(30) 폐쇄시 윈도우 윈도우 프레임(10)과 글라스(30)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글라스(30)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윈도우 윈도우 프레임(10) 내부에는 웨더 스트립(11)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기존의 자동차 도어(20)는 조립생산 과정에서 내부 패널에 장착되는 레일(40)의 설치각도가 어긋나는 경우 글라스(30)의 상승시 도 3a에서 도시하는 정상적인 설치 상태에서의 글라스(30)의 이동 궤적(C)으로부터 윈도우 윈도우 프레임(10)과 글라스(30)의 최상단 사이에 차량 실내 또는 실외 방향으로 단차가 발생하게 되고, 특히 프레임리스 도어의 경우, 글라스(30)의 승하강 방향이 윈도우 윈도우 프레임(10)에 의해 안내 및 구속되지 않아, 프레임 도어에 비하여 단차 발생량이 더욱 커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레일(40)의 상단부가 자동차 실내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상 궤적(C)으로부터 자동차 실내 방향으로 기울어진 궤적(C1)이 형성되거나, 도 3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상 궤적(C)으로부터 자동차 실외 방향으로 기울어진 궤적(C2)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비정상적인 궤적(C1,C2)이 발생하게 되면 글라스(30) 개폐시 웨더 스트립(11)과 글라스(30) 사이의 마찰에 의한 잡음 및 자동차 주행시 풍절음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며, 단차의 크기가 큰 경우 글라스(30) 최상단 위치가 윈도우 윈도우 프레임(10)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면서 윈도우 글라스(30)가 완전히 닫히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7433호(1996.03.13. 공개)에서는 글라스 조립용 단차 조정 치구가 게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단차 조정 치구의 경우 도어(20)를 차체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어(20)와 자동차 섀시간 조립 공차에 의해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7412호(1996.03.13. 공개)에서는 센터 리테이너를 통해 글라스(30)의 단차에 의해 변형되는 웨더 스트립(1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게시하고 있지만, 글라스(30) 최상단 위치가 윈도우 윈도우 프레임(10)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글라스(30)가 완전히 닫히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을 통해 레일(40) 내부에 너트(150)를 장착하고, 너트(150)에 연결되는 어저스트 볼트(100)를조정하여 도어(20) 내부 패널과 레일(4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윈도우 윈도우 프레임(10)과 글라스(30) 최상단 간의 단차를 효과적으로 조정하는 구조의 도어(20)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저스트 볼트(100)가 적용된 도어(20)는 풀리핀(51)을 통해 풀리(50)를 레일(40)에 장착하는 공정 외에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을 통해 레일(40)에 너트(150)를 결합하는 공정이 부가되고, 어저스트 볼트(100)와 너트(150)가 장착되기 위한 설치공간이 증가하면서 레귤레이터의 전체 크기 및 중량이 증가하여 자동차의 경량화 추세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7433호(1996.03.13.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7412호(1996.03.13.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어저스트 볼트와 너트에 의한 레귤레이터의 전체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켜 레귤레이터의 경량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어저스트 볼트와 너트를 설치하는 공정을 축소시켜 레귤레이터 생산 공정의 효율성 향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차 윈도우 글라스 개폐를 발생시키는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일측에 클런치 볼트가 형성되고, 타측에 패널 볼트가 형성되며, 패널 볼트에는 도어의 내부 패널이 연결되는 어저스트 볼트와, 일측 말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클런치 볼트에 삽입되는 풀리를 고정하도록 풀리 중심부를 관통하여 클런치 볼트에 체결되고, 타측 말단이 레일과 연결되는 클런치 너트 및 패널 볼트에 체결되어 어저스트 볼트를 도어의 내부 패널과 고정하는 너트로 구성되되, 풀리의 회전축 역할을 겸하는 상기 글런치 너트는 클런치 볼트와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프레임과 글라스의 최상단 사이의 단차를 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저스트 볼트는 클런치 볼트 및 패널 볼트의 경계부에 클런치 볼트 및 패널 볼트의 직경보다 큰 너비로 된 디스크 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런치 볼트의 직경이 상기 패널 볼트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런치 너트 측면 표면에는 링형상의 오목홈인 결합홈이 형성되고, 레일에 형성된 어저스트 볼트 장착구멍에 결합홈이 압입되어 조립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 볼트의 끝단에는 클런치 너트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는 공구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된 체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패널과 접하는 너트의 일측 표면이 돌출되어 측면으로 확장됨으로써 패널 볼트와 너트 체결시 도어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조정이 완료된 상기 클런치 볼트와 클런치 너트의 결합면 및 패널 볼트와 너트의 결합면은 접착제를 통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프레임과 글라스 사이의 단차를 조절하여 글라스 개폐작동시 발생하는 잡음 및 자동차 주행중 발생하는 풍절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저스트 볼트에 체결되는 클런치 너트로 풀리핀을 대체함으로써, 풀리핀 생략으로 인한 레귤레이터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저스트 볼트와 풀리핀의 일체화 구조를 통해 어저스트 볼트와 너트가 장착되는 부위를 제거하여 레귤레이터의 전체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레귤레이터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저스트 볼트와 풀리핀의 일체화 구조를 통해 별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진 레일에 어저스트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결합하는 공정 및 풀리를 풀리핀을 통해 고정하는 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통합하여 레귤레이터 생산 공정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패널과 어저스트를 고정하는 너트와 도어 패널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너트의 체결력에 의해 도어 내부 패널에 전달되는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내부 패널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제 고정을 통해 조정된 클런치 볼트와 클런치 너트의 체결이 풀리면서 단차 제거를 위한 조정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를 조절하는 레귤레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윈도우 프레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자동차 윈도우의 글라스 개폐시 정상 장착 상태와 단차 발생 상태에서의 글라스 거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기존의 방식에 따른 어저스트 볼트를 통한 자동차 윈도우의 글라스 단차 조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트 볼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어저스트 볼트(100)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측에 클런치 볼트(120)가 형성되고, 타측에 패널 볼트(140)가 형성되어, 2개의 볼트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클런치 볼트(120)와 패널 볼트(140)의 측면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클런치 볼트(120)에는 내측면에 클런치 볼트(120)의 나사산과 상보적인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된 클런치 너트(130)가 체결되는데, 클런치 너트(130)가 풀리(50)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결된 상태로 클런치 볼트(120)와 체결되고, 패널 볼트(140)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인 클런치 너트(130)의 일측 말단에는 클런치 볼트(120)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외측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풀리(50)가 클런치 너트(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패널 볼트(140)와 연결되는 방향인 클런치 너트(130)의 타측 말단에는 레일(40)이 연결되는데, 클런치 너트(130)는 풀리핀(51)을 대신하여 풀리(50)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레일(40)에 장착된 풀리(5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패널 볼트(140)에는 도어(20)의 내부 패널이 연결되며, 패널 볼트(140)에 내부 패널이 연결된 상태로 너트(150)가 패널 볼트(140)에 체결되어 어저스트 볼트(100)를 내부 패널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어저스트 풀리 구조의 작동 방법을 살펴보면, 클런치 너트(130)가 풀리(50)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끼운 상태에서 레일(40)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클런치 너트(130)를 결합하여 고정한다.
또한, 도어(20) 내부 패널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패널 볼트(140)를 끼우고 패널 볼트(140)에 너트(150)를 체결하여 내부 패널에 어저스트 볼트(100)를 고정한다.
레일(40)과 클런치 너트(130)의 고정이 완료되면 클런치 볼트(120)와 클런치 너트(140)를 체결함으로써, 내부 패널과 레일(40)을 서로 결합하게 되고, 레귤레이터를 작동시켜 글라스(30)를 상승시켜 글라스(30)의 최상단과 윈도우 프레임(10)간에 형성되는 단차의 방향 및 크기를 측정하며, 단차가 형성된 방향에 따라 어저스트 볼트(100)를 회전시켜 클런치 볼트(120)와 클런치 너트(130)의 체결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클런치 볼트(120)와 클런치 너트(130)의 체결 위치를 조정하면 내부 패널과 레일(40)이 이루는 결합 각도가 변화되며, 글라스 홀더(31) 및 클램프(41)를 통해 레일(40)과 연결된 글라스(30)의 연결 위치가 함께 변화되면서 윈도우 프레임(10)과 글라스(30)가 이루는 각도가 조정되어 윈도우 프레임(10)과 글라스(30)의 최상단부의 단차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때, 어저스트 볼트(100)에 체결되는 클런치 너트(130)로 풀리핀을 대체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어저스트 볼트(100)와 풀리핀의 일체화 구조를 이룸으로써, 풀리핀 결합 구조를 생략하고, 어저스트 볼트(100)와 너트(150)가 장착되는 레일(40) 부위를 제거하여 레일(40)의 전체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레귤레이터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저스트 볼트(100)와 풀리핀의 일체화 구조를 통해 별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레일(40)에 너트(150)를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는 공정 및 풀리(50)를 풀리핀을 통해 고정하는 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통합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귤레이터 생산 공정 및 레귤레이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어저스트 볼트(100)의 클런치 볼트(120)와 패널 볼트(140) 경계부에 원형 또는 다각형 디스크 형상의 지지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10)의 너비가 클런치 볼트(120) 및 패널 볼트(140)의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또한, 클런치 볼트(120)와 패널 볼트(140) 경계부에 지지부(110)가 형성되는 대신에 클런치 볼트(120)의 직경이 상기 패널 볼트(140)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110)가 형성된 구조 또는 패널 볼트(140)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클런치 볼트(120) 구조를 통해 클런치 너트(130)를 클런치 볼트(120)에 체결할 때 클런치 너트(130)가 패널 볼트(140)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클런치 너트(130) 측면 표면으로 결합홈(131)이 형성될 수 있는데, 결합홈(131)은 링형상의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며, 어저스트 볼트(100) 장착되도록 레일(40)에 형성된 구멍으로 결합홈(131)이 압입되어 레일(40)과 클런치 너트(130)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패널 볼트(140)의 끝단에 체결부(1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141)는 클런치 너트(130)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는 공구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구를 통해 클런치 너트(130)의 체결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체결부(141)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상의 홈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하는 공구의 종류에 따라 일자, 육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어 패널과 접하는 너트(150)의 일측 표면이 측면으로 확장도록 돌출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패널 볼트(140)와 너트(150) 체결시 내부 패널과 너트(15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게 되어, 패널 볼트(140)와 너트(150)의 체결력에 의해 내부 패널에 작용하는 압력의 크기가 감소되면서 도어(20) 내부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조정이 완료된 클런치 볼트(120)와 클런치 너트(130)의 결합면 및 패널 볼트(140)와 너트(150)의 결합면이 접착제를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접착제 고정을 통해 클런치 너트(130) 또는 너트(150)가 풀리면서 체결 위치가 변경되어 조정이 완료된 윈도우 프레임(10)과 글라스(30) 사이에 다시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윈도우 프레임
11: 웨더 스트립
20: 도어
30: 글라스
31: 글라스 홀더
40: 레일
41: 클램프
50: 풀리
51: 풀리핀
60: 와이어
100: 어저스트 볼트
110: 지지부
120: 클런치 볼트
130: 클런치 너트
131: 결합홈
140: 체결부
150: 너트

Claims (7)

  1. 자동차 도어(20)의 윈도우 글라스(30) 개폐를 발생시키는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일측에 클런치 볼트(120)가 형성되고, 타측에 패널 볼트(140)가 형성되며, 패널 볼트(140)에는 도어(20)의 내부 패널이 연결되는 어저스트 볼트(100)와;
    일측 말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클런치 볼트(120)에 삽입되는 풀리(50)를 고정하도록 풀리(50) 중심부를 관통하여 클런치 볼트(120)에 체결되고, 타측 말단이 레일(40)과 연결되는 클런치 너트(130); 및
    패널 볼트(140)에 체결되어 어저스트 볼트(100)를 도어(20)의 내부 패널과 고정하는 너트(150);
    로 구성되되, 풀리(50)의 회전축 역할을 겸하는 상기 클런치 너트(130)는 클런치 볼트(120)와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윈도우 프레임(10)과 글라스(30)의 최상단 사이의 단차를 조정하고,
    상기 클런치 볼트(120)의 직경이 상기 패널 볼트(140)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 볼트(100)는 클런치 볼트(120) 및 패널 볼트(140)의 경계부에 클런치 볼트(120) 및 패널 볼트(140)의 직경보다 큰 너비로 된 디스크 형상의 지지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3. 삭제
  4. 자동차 도어(20)의 윈도우 글라스(30) 개폐를 발생시키는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일측에 클런치 볼트(120)가 형성되고, 타측에 패널 볼트(140)가 형성되며, 패널 볼트(140)에는 도어(20)의 내부 패널이 연결되는 어저스트 볼트(100)와;
    일측 말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클런치 볼트(120)에 삽입되는 풀리(50)를 고정하도록 풀리(50) 중심부를 관통하여 클런치 볼트(120)에 체결되고, 타측 말단이 레일(40)과 연결되는 클런치 너트(130); 및
    패널 볼트(140)에 체결되어 어저스트 볼트(100)를 도어(20)의 내부 패널과 고정하는 너트(150);
    로 구성되되, 풀리(50)의 회전축 역할을 겸하는 상기 클런치 너트(130)는 클런치 볼트(120)와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윈도우 프레임(10)과 글라스(30)의 최상단 사이의 단차를 조정하고,
    상기 클런치 너트(130) 측면 표면에는 링형상의 오목홈인 결합홈(131)이 형성되고, 레일(40)에 형성된 어저스트 볼트(100) 장착구멍에 결합홈(131)이 압입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5. 자동차 도어(20)의 윈도우 글라스(30) 개폐를 발생시키는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일측에 클런치 볼트(120)가 형성되고, 타측에 패널 볼트(140)가 형성되며, 패널 볼트(140)에는 도어(20)의 내부 패널이 연결되는 어저스트 볼트(100)와;
    일측 말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클런치 볼트(120)에 삽입되는 풀리(50)를 고정하도록 풀리(50) 중심부를 관통하여 클런치 볼트(120)에 체결되고, 타측 말단이 레일(40)과 연결되는 클런치 너트(130); 및
    패널 볼트(140)에 체결되어 어저스트 볼트(100)를 도어(20)의 내부 패널과 고정하는 너트(150);
    로 구성되되, 풀리(50)의 회전축 역할을 겸하는 상기 클런치 너트(130)는 클런치 볼트(120)와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윈도우 프레임(10)과 글라스(30)의 최상단 사이의 단차를 조정하고,
    상기 패널 볼트(140)의 끝단에는 클런치 너트(130)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는 공구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된 체결부(1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6. 자동차 도어(20)의 윈도우 글라스(30) 개폐를 발생시키는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일측에 클런치 볼트(120)가 형성되고, 타측에 패널 볼트(140)가 형성되며, 패널 볼트(140)에는 도어(20)의 내부 패널이 연결되는 어저스트 볼트(100)와;
    일측 말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클런치 볼트(120)에 삽입되는 풀리(50)를 고정하도록 풀리(50) 중심부를 관통하여 클런치 볼트(120)에 체결되고, 타측 말단이 레일(40)과 연결되는 클런치 너트(130); 및
    패널 볼트(140)에 체결되어 어저스트 볼트(100)를 도어(20)의 내부 패널과 고정하는 너트(150);
    로 구성되되, 풀리(50)의 회전축 역할을 겸하는 상기 클런치 너트(130)는 클런치 볼트(120)와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윈도우 프레임(10)과 글라스(30)의 최상단 사이의 단차를 조정하고,
    도어 패널과 접하는 너트(150)의 일측 표면이 돌출되어 측면으로 확장됨으로써 패널 볼트(140)와 너트(150) 체결시 도어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조정이 완료된 상기 클런치 볼트(120)와 클런치 너트(130)의 결합면 및 패널 볼트(140)와 너트(150)의 결합면은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KR1020190012760A 2019-01-31 2019-01-31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KR102123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760A KR102123237B1 (ko) 2019-01-31 2019-01-31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760A KR102123237B1 (ko) 2019-01-31 2019-01-31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237B1 true KR102123237B1 (ko) 2020-06-26

Family

ID=7113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760A KR102123237B1 (ko) 2019-01-31 2019-01-31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2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486A (en) * 1987-06-29 1989-01-11 Kanto Jidosha Kogyo Kk Window glass supporter for automobile
KR960007412U (ko) 1994-08-10 1996-03-13 프레임레스 도어용 센터 리테이너
KR960007433U (ko) 1994-08-06 1996-03-13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조립용 단차조정치구
KR20140092715A (ko) *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광진 개선된 풀리장착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486A (en) * 1987-06-29 1989-01-11 Kanto Jidosha Kogyo Kk Window glass supporter for automobile
KR960007433U (ko) 1994-08-06 1996-03-13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조립용 단차조정치구
KR960007412U (ko) 1994-08-10 1996-03-13 프레임레스 도어용 센터 리테이너
KR20140092715A (ko) *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광진 개선된 풀리장착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6159B2 (ja) ウインドウガラスの支持構造
US20050268558A1 (en) Window regulator slider and vehicle window regulator equipped with a window regulator slider
US20090038227A1 (en) Glass Attachment for Movable Vehicle Window
CA2465138C (en) Automotive attachment connector for door window
CN101676166A (zh) 车前灯组件
CN110234832A (zh) 具有用于止动牵引机构的止动部段和止动元件的车窗升降器组件
US20110025079A1 (en) Automotive door striker
KR102123237B1 (ko) 자동차 도어용 어저스트 풀리 구조
US20200298742A1 (en) Carrier with a fastening area made of a fiber composite material and with at least one support element locking a fastening element
US6807773B2 (en) Door with adjustable guide rail and corresponding method of assembly
KR101983073B1 (ko) 자동차 윈도우 듀얼 레귤레이터의 일체형 구조
WO2015198815A1 (ja) 昇降装置及びその昇降装置を備える車両用ドア
KR102193861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오조립 방지 구조
KR102558647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 연결 구조
CN112277590B (zh) 一种汽车车门呢槽安装结构
CN210948184U (zh) 车窗调节机构和汽车
KR20240063470A (ko) 자동차 프레임리스 도어용 모듈 레일 마운팅 구조
JP5163075B2 (ja) 車両用ガラス昇降装置
KR101766060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레귤레이터 모듈
CN117536516A (zh) 丝轮、玻璃驱动总成及用该驱动总成的单臂式玻璃升降器
KR20160091566A (ko) 자동차의 도어래치모듈 고정용 리테이너구조
KR100737478B1 (ko)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클램핑 유닛
CN219953047U (zh) 一种自适应缓冲装置及车辆
CN218934102U (zh) 一种隐藏式外把手安装结构
CN1623264A (zh) 车窗升降器驱动单元的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