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375A - 시일체, 시일 어댑터 및 시일 부재 - Google Patents

시일체, 시일 어댑터 및 시일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375A
KR20180028375A KR1020170109097A KR20170109097A KR20180028375A KR 20180028375 A KR20180028375 A KR 20180028375A KR 1020170109097 A KR1020170109097 A KR 1020170109097A KR 20170109097 A KR20170109097 A KR 20170109097A KR 20180028375 A KR20180028375 A KR 20180028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shaft
lip
spac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244B1 (ko
Inventor
마사토 기히라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provided with tension elements, e.g. elastic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4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provided with casings or supports
    • F16J15/325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provided with casings or supports with rigid casings o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8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outside the gap between the inner and outer races, e.g. sealing rings mounted to an end face or outer surface of a r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장치의 외측의 외부 공간과 장치의 내측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의 유체의 유통을 방지하는 시일체를 개시한다. 시일체는 장치의 표면에 압접되는 시일부를 갖는 시일 부재와, 내부 공간에서 발생한 이물이 시일부와 장치의 표면 사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시일체, 시일 어댑터 및 시일 부재 {SEAL BODY, SEAL ADAPTER AND SEAL MEMBER}
본 발명은 장치 내에 수용된 유체의 유출이나 장치 내로의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시일 부재는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이용된다. 예를 들어, 시일 부재는 장치의 내부에 봉입된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혹은, 시일 부재는 장치의 내부로의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2-100374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2-100374호 공보의 시일 부재는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에 맞닿아지는 2개의 부위를 갖는다. 2개의 부위 중 한쪽은 메인 립이다. 2개의 부위 중 다른 쪽은 더스트 립이다. 더스트 립은 메인 립보다도 외측이고,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에 맞닿아지므로, 장치의 외측에서 부유하는 이물(예를 들어, 진애)은 메인 립에 도달하기 어렵다.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동안, 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부품으로부터 미세한 이물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기어의 치면으로부터는 철분이 발생한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2-100374호 공보의 더스트 립은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한 이물이, 메인 립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공헌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한 이물은 메인 립과 회전 샤프트 사이의 경계에 침입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이물은 메인 립 및/또는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있다. 메인 립 및/또는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의 찰과는 시일 부재의 시일 성능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한 이물에 기인하는 시일 성능의 저하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관한 시일체는, 장치의 외측의 외부 공간과 상기 장치의 내측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의 유체의 유통을 방지한다. 시일체는 상기 장치의 표면에 압접되는 시일부를 갖는 시일 부재와, 상기 내부 공간에서 발생한 이물이 상기 시일부와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 사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관한 시일 어댑터는, 상기 장치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샤프트 사이에 배치된다. 이 시일 어댑터는 상술한 시일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구비한다. 상기 설치부는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내주면을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으로서 외주면을 갖는다. 상기 환상 공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설치부의 상기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관한 시일 부재는, 장치 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의 외측의 외부 공간과 상기 장치의 내측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의 유체의 유통을 방지한다. 시일 부재는 상기 장치의 표면에 압접되는 시일부를 갖는 환상의 메인 립과, 상기 메인 립을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에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메인 립보다도 외측이고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에 가압되는 더스트 립을 구비한다. 상기 더스트 립은 내경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보다도 작다.
상술한 시일 기술은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한 이물에 기인하는 시일 성능의 저하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시일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제2 실시 형태의 시일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제3 실시 형태의 시일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4 실시 형태의 시일 어댑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샤프트를 시일 어댑터에 설치하는 설치 공정의 개략도.
도 6은 샤프트 및 시일 어댑터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를 하우징에 설치하는 설치 공정의 개략도.
도 7은 제5 실시 형태의 시일 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자들은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한 이물에 기인하는 시일 성능의 저하를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양호한 시일 성능을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는 예시적인 시일체가 설명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시일체(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시일체(100)가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되는 시일체(100)는 장치 APT에 내장되어 있다. 장치 APT는 샤프트 SFT와 하우징 HSG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우징 HSG와 샤프트 SFT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내부 공간」이라고 칭해진다. 하우징 HSG의 외측의 공간은 「외부 공간」이라고 칭해진다.
하우징 HSG가 고정되어 있으면, 샤프트 SFT는 회전축 RAX 주위로 회전한다. 샤프트 SFT가 고정되어 있으면, 하우징 HSG는 회전축 RAX 주위로 회전한다. 장치 APT는 감속기여도 되고, 다른 장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원리는 장치 APT로서 사용되는 특정한 기구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일체(100)는 전체적으로 환상이다. 샤프트 SFT는 전체적으로, 원기둥상이다. 샤프트 SFT는 시일체(100)가 맞닿아지는 외주면 OSF를 포함한다. 하우징 HSG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다. 하우징 HSG는 제1 내주면 FIS와, 제2 내주면 SIS와, 견면 SSF를 포함한다. 제1 내주면 FIS는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 사이에서 샤프트 SFT를 둘러싸고, 환상 공간을 형성한다. 시일체(100)는 외주면 OSF와 제1 내주면 FIS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에 감입된다. 제2 내주면 SIS는 제1 내주면 FIS보다도 샤프트 SFT의 축방향에 있어서 내측이고, 샤프트 SFT를 둘러싼다.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내주면 SIS와 외주면 OSF 사이에서 형성된다. 제2 내주면 SIS는 직경에 있어서, 제1 내주면 FIS보다도 작다. 따라서, 견면 SSF는 제1 내주면 FIS와 제2 내주면 SIS 사이에 형성된다. 견면 SSF는 회전축 RAX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을 따르는 환상면이다.
윤활유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윤활유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 장치 APT의 부품(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기어)을 윤활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원리는 윤활유에 의해 윤활되는 특정한 부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일체(100)는 환상 공간에 감입되고,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으로부터 이격한다. 이 결과, 내부 공간으로부터의 윤활유의 유출은 시일체(100)에 의해 방해된다. 장치 APT의 주위에서 액체(예를 들어, 세정액)가 살포되면, 시일체(100)는 외부 공간에 존재하는 액체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한다.
시일체(100)는 환상의 시일 부재(200)와 환상의 방지 링(300)을 포함한다. 시일 부재(200) 및 방지 링(300)은 하우징 HSG의 제1 내주면 FIS와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에 배치된다. 방지 링(300)은 샤프트 SFT의 축방향에 있어서 시일 부재(200)보다도 내측에 배치된다. 즉, 방지 링(300)은 내부 공간에 면한다. 한편, 시일 부재(200)는 외부 공간에 면한다.
시일 부재(200)는 주링부(210)와, 환상의 메인 립(220)과, 환상의 더스트 립(230)과, 스프링 링(240)을 포함한다. 주링부(210)는 회전축 RAX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 상에 있어서, 대략 L자상의 단면을 갖는다. 주링부(210)는 금속환(211)과, 피복층(212)을 포함한다. 금속환(211)은 회전축 RAX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 상에 있어서, 대략 L자상의 단면을 갖는다. 피복층(212)은 금속환(211)을 전체적으로 덮는다. 피복층(212)은 고무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탄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어도 된다.
피복층(212)은 제1 맞닿음면(213)과, 제2 맞닿음면(214)과, 외면(215)과, 내면(216)과, 내주면(217)을 형성한다. 제1 맞닿음면(213)은 제2 맞닿음면(214)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일단에 연결됨과 함께, 방지 링(300)과 대향하도록 당해 일단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맞닿음면(213)은 방지 링(300)의 외주 영역에 맞닿고, 방지 링(300)의 외주 영역을, 하우징 HSG의 견면 SSF에 가압한다. 따라서, 방지 링(300)은 시일 부재(200)와 견면 SSF 사이에서 고정된다.
제2 맞닿음면(214)은 하우징 HSG의 제1 내주면 FIS측을 향하는 면이며, 당해 제1 내주면 FIS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맞닿음면(214)은 하우징 HSG의 제1 내주면 FIS에 맞닿는다. 제2 맞닿음면(214)이 제1 내주면 FIS에 접촉하는 영역의 면적은 메인 립(220) 및 더스트 립(230)이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접촉하는 영역의 면적보다도 크다. 따라서, 제2 맞닿음면(214)은 제1 내주면 FIS에 대하여 고정되는 한편, 메인 립(220) 및 더스트 립(230)은 외주면 OSF 상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외면(215)은 제1 맞닿음면(213)과 반대측을 향하는 면이며, 외부 공간에 노출된다. 외면(215)은 제2 맞닿음면(214)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타단[제1 맞닿음면(213)이 연결되는 일단과 반대측의 단]에 연결됨과 함께, 당해 타단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면(216)은 제1 맞닿음면(213)의 직경 방향의 내측단으로부터 외면(215)을 향해 확대되고, 또한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대향하는 제1 영역(218)과, 제1 영역(218)으로부터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를 향해 확대되고, 또한 방지 링(300)에 대향하는 제2 영역(219)을 포함한다.
내주면(217)은 외면(215)의 직경 방향의 내측단에 연결됨과 함께, 당해 내측단으로부터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주면(217)은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주면 OSF에 대향한다.
더스트 립(230)은 내주면(217)과 외주면 OSF 사이에서 형성된다. 더스트 립(230)은 피복층(212)의 내주면(217)으로부터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를 향하는 방향, 또한 외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더스트 립(230)은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압접되고, 외부 공간에서 부유하는 이물이 메인 립(220)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스트 립(230)은 피복층(212)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메인 립(220)은 피복층(212)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메인 립(220)은 더스트 립(230)보다도 축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압접부(221)와 연결부(222)를 포함한다. 압접부(221)는 연결부(222)에 의해 더스트 립(230)에 연결됨과 함께, 더스트 립(230)과 방지 링(300) 사이에서,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압접된다. 메인 립(220)은 더스트 립(230)을 통해 내부 공간을 향하는 액체의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메인 립(220)은 방지 링(300)을 통해 외부 공간을 향하는 윤활유의 유출을 방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메인 립(220)의 표면 영역은 장치 APT의 표면에 압접되는 시일부의 일례이다. 장치의 표면은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의해 예시된다.
연결부(222)는 주링부(210)의 내면(216)으로부터 축방향 내측을 향해[즉, 방지 링(300)을 향해] 돌출되고, 압접부(221)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더스트 립(230)은 외부 공간에서 부유하는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므로, 이물은 더스트 립(230), 연결부(222), 압접부(221) 및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는 거의 들어가지 않는다.
스프링 링(240)은 메인 립(220)의 압접부(221)의 외주면[즉, 주링부(210)의 내면(216)의 제1 영역(218)에 대하여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환상 홈에 감입된다. 시일 부재(200)에 샤프트 SFT가 감입되면, 스프링 링(240)은 탄성적으로 신장된다. 이 결과, 회전축 RAX를 향하는 힘이 압접부(221)에 작용한다. 압접부(221)는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된다. 따라서, 양호한 시일 구조가, 압접부(221)와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 사이의 경계에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압부는 스프링 링(240)에 의해 예시된다. 대체적으로서, 가압부는 샤프트 SFT의 감입에 따라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다른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원리는 가압부에 이용되는 특정한 부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지 링(300)은 링 벽(310)과 립부(320)를 포함한다. 링 벽(310)은 내부 맞닿음면(311)과, 외부 맞닿음면(312)과, 외주면(313)과, 내주면(314)을 포함한다.
외주면(313)은 축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 HSG의 제1 내주면 FIS에 맞닿아진다. 내부 맞닿음면(311)은 외주면(313)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일단에 연결됨과 함께, 당해 일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내부 맞닿음면(311)은 외주면(313)의 근처이고, 하우징 HSG의 견면 SSF에 맞닿아지는 외주 영역과, 내부 공간에 면하는 내주 영역을 포함한다.
외부 맞닿음면(312)은 축방향에 있어서 내부 맞닿음면(311)과 반대측을 향하는 면이다. 외부 맞닿음면(312)은 외주면(313)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타단[내부 맞닿음면(311)이 연결되는 일단과 반대측의 단]에 연결됨과 함께, 당해 타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외부 맞닿음면(312)은 시일 부재(200)의 제1 맞닿음면(213)과 맞닿아지는 외주 영역과, 시일 부재(200)의 내면(216)의 제2 영역(219)에 대하여 축방향에 대향하는 내주 영역을 포함한다.
내주면(314)은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주면(313)과 반대측을 향하는 면이다. 내주면(314)은 직경에 있어서, 샤프트 SFT보다도 크다. 내주면(314)은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대하여 직경 방향에 대향한다. 립부(320)는 내주면(314)과 외주면 OSF 사이에 위치한다.
링 벽(310)은 환상의 탄성벽(315)과, 강성환(316)을 포함한다. 탄성벽(315)은 외주면(313), 내주면(314) 및 내부 맞닿음면(311)을 형성한다. 또한, 탄성벽(315)은 외부 맞닿음면(312)의 일부를 형성한다.
강성환(316)은 탄성벽(315)보다도 강성에 있어서 크다. 탄성벽(315)은 고무 재료나 탄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한편, 강성환(316)은 금속이나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도 된다. 강성환(316)은 링 벽(310)의 형상을 유지하므로, 작업자는 방지 링(300)을 장치 APT 내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원리는 탄성벽(315) 및 강성환(316)에 이용되는 특정한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강성환(316)은 내주면(314)과는 반대측의 탄성벽(315)의 영역에 있어서 오목 형성된 홈부에 감입된다. 이 결과, 강성환(316)은 내주면(314)을 둘러싸도록, 탄성벽(315)에 고정된다.
립부(320)는 탄성벽(315)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립부(320)는 탄성벽(315)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립부(320)는 링 벽(310)의 내주면(314)[탄성벽(315)의 내주연]으로부터 샤프트 SFT를 향해 돌출된다. 립부(320)는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의 근처이고, 내부 공간을 향해 약간 굴곡되고, 외주면 OSF에 압접된다. 이 결과, 압접부(221)는 방지 링(300)에 의해,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주연은 링 벽(310)의 내주면(314)에 의해 예시된다.
도 1은 내부 공간 내에서 발생한 철분 IPD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철분 IPD는 장치 APT 내에 배치된 기어의 치면으로부터 발생한다. 본 실시 형태의 원리는 철분 IPD를 발생시키는 특정한 발생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철분 IPD는, 이물로서, 압접부(221)와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 사이의 경계에 들어가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부(320)는 철분 IPD를 막으므로, 철분 IPD는 방지 링(300)과 시일 부재(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거의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철분 IPD가, 압접부(221)와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 사이의 경계에서 찰과를 일으키는 리스크는 매우 작다. 이 결과, 시일체(100)는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시일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방지부는 방지 링(300)에 의해 예시된다.
립부(320)는 압접부(221)보다도 약한 힘으로,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가압되어도 된다. 이 결과, 샤프트 SFT와 시일체(10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은 불필요하게 높아지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압접력은 압접부(221)에 작용하는 압축력[즉, 스프링 링(240)이 발생시키는 가압력]에 의해 예시된다. 제2 압접력은 립부(320)를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가압하는 힘에 의해 예시된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방지 링은 탄성 재료와 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합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방지 링은 단일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일의 재료로 형성된 방지 링을 갖는 예시적인 시일체가 설명된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의 시일체(100A)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시일체(100A)가 설명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설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 요소에 원용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시일체(100A)는 시일 부재(200)를 구비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은 시일 부재(200)에 원용된다.
시일체(100A)는 방지 링(300A)을 더 구비한다. 방지 링(300A)은 전체적으로 펠트 재료로 형성된다.
방지 링(300A)은 내부 맞닿음면(311A)과, 외부 맞닿음면(312A)과, 외주면(313A)과, 내주면(314A)을 포함한다. 외주면(313A)은 축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 HSG의 제1 내주면 FIS에 맞닿아진다. 내부 맞닿음면(311A)은 외주면(313A)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일단에 연결됨과 함께, 당해 일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내부 맞닿음면(311A)은 외주면(313A)의 근처이고, 하우징 HSG의 견면 SSF에 맞닿아지는 외주 영역과, 내부 공간에 면하는 내주 영역을 포함한다.
외부 맞닿음면(312A)은 축방향에 있어서 내부 맞닿음면(311A)과 반대측을 향하는 면이다. 외부 맞닿음면(312A)은 외주면(313A)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타단[내부 맞닿음면(311A)이 연결되는 일단과 반대측의 단]에 연결됨과 함께, 당해 타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외부 맞닿음면(312A)은 시일 부재(200)의 제1 맞닿음면(213)과 맞닿아지는 외주 영역과, 시일 부재(200)의 내면(216)의 제2 영역(219)에 대하여 축방향에 대향하는 내주 영역을 포함한다.
내주면(314A)은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주면(313A)과 반대측을 향하는 면이다. 내주면(314A)은 축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맞닿아진다. 따라서, 시일 부재(200)는 방지 링(300A)에 의해,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에서 부유하는 철분 IPD는 방지 링(300A)의 내부 맞닿음면(311A)에서 포착된다. 따라서, 철분 IPD는 방지 링(300A)과 시일 부재(200) 사이의 공극에는 거의 들어가지 않는다. 철분 IPD가, 압접부(221)와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 사이의 경계에서 찰과를 일으키는 리스크는 매우 작으므로, 시일체(100A)는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시일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한 이물을 막는 방지부는 시일 부재와는 다른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대체적으로서, 방지부는 시일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시일체를 장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일 부재와 일체화된 방지부를 갖는 예시적인 시일체가 설명된다.
도 3은 제3 실시 형태의 시일체(100B)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시일체(100B)가 설명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설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 요소에 원용된다.
시일체(100B)는 환상의 시일 부재(200B)와 립부(320B)를 구비한다. 립부(320B)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립부(320)와 마찬가지로, 철분 IPD를 막기 위해 사용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와는 달리, 립부(320B)는 시일 부재(200B)와 일체적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방지부는 립부(320B)에 의해 예시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시일 부재(200B)는 주링부(210)와, 더스트 립(230)과, 스프링 링(240)을 포함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은 이것들의 요소에 원용된다.
시일 부재(200B)는 환상의 메인 립(220B)을 더 포함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메인 립(220B)은 연결부(222)를 포함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은 연결부(222)에 원용된다.
메인 립(220B)은 압접부(221B)를 더 포함한다. 압접부(221B)는 스프링 링(240)에 의해, 더스트 립(230)과 립부(320B) 사이에서,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압접된다. 메인 립(220B)은 더스트 립(230)을 통해 내부 공간을 향하는 액체의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메인 립(220B)은 립부(320B)를 통해 외부 공간을 향하는 윤활유의 유출을 방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메인 립(220B)의 표면 영역은 장치 APT의 표면에 압접되는 시일부의 일례이다.
립부(320B)는 압접부(221B)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립부(320B)는 압접부(221B)로부터 내부 공간 및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를 향해 돌출되고,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가압된다.
압접부(221B)는 스프링 링(240)에 둘러싸이는 한편, 립부(320B)는 스프링 링(240)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다. 따라서, 스프링 링(240)의 탄성 변형에 의해 발생한 가압력은 압접부(221B)에 강하게 작용하는 한편, 립부(320B)에는 약하게 작용한다. 이 결과, 시일체(100B)와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 사이의 마찰력은 불필요하게 높게 되어 있지 않다.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압접되는 압접부(221B)의 표면 영역은 립부(320B)와 더스트 립(230)에 의해,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내부 영역에서 부유하는 철분 IPD나 외부 공간에서 부유하는 이물은 압접부(221)와 샤프트 SFT 사이의 경계에 있어서 찰과를 일으키기 어렵다.
<제4 실시 형태>
더스트 립은 외부 공간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장치에 내장된 더스트 립이 꺾여 구부러져 있는지 여부를 시인할 수 있다. 그러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한 이물을 막기 위한 립부는 내부 공간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시일체가, 립부가 꺾여 구부러져 있는지 여부를 시인할 수는 없다. 립부가 장치 내에서 꺾여 구부러져 있으면, 내부 공간에서 부유하는 이물은 메인 립에 도달하고, 샤프트와 메인 립 사이의 경계에 찰과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립부가 장치 내에서 꺾여 구부러지는 리스크를 저감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술이 설명된다.
도 4는 제4 실시 형태의 시일 어댑터(4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시일 어댑터(400)가 설명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설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 요소에 원용된다.
시일 어댑터(400)는 시일체(100C)와, 베어링(410)과, 고정환(420)과, 어댑터통(430)을 구비한다. 시일체(100C)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시일체(100)여도 된다. 대체적으로서, 시일체(100C)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시일체(100B)여도 된다. 시일체(100, 100B)에 관한 설명은 시일체(100C)에 원용된다.
어댑터통(430)은 환상의 플랜지(431)와, 보유 지지통(432)을 포함한다. 플랜지(431)는 내면(441)과, 내면(441)과 반대측을 향하는 외면(442)과, 내면(441)의 내측단과 외면(442)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내주면(443)과, 내면(443)과 반대측을 향하는 외주면(444)과, 내주면(443)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견면(445)을 포함한다. 내면(441)은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의 표면에 맞닿아진다. 내면(441)과 반대측의 외면(442)은 외부 공간에 노출된다. 외면(442)으로부터 내면(44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삽입 관통 구멍(446)이 플랜지(431)에 형성된다. 복수의 나사는 복수의 삽입 관통 구멍(446)에 각각 삽입되고,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된다. 이 결과, 플랜지(431)는 하우징에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치부는 플랜지(431)에 의해 예시된다.
외주면(444)은 내주면(443)을 둘러싼다. 외주면(444)의 축 길이는 하우징에 형성된 원형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의 깊이에 대략 일치한다. 외주면(444)의 직경은 하우징에 형성된 원형 오목부의 직경에 대략 일치한다.
외주면(444)의 반대측 내주면(443)은 샤프트(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내주면(443)의 직경은 샤프트의 직경보다도 크다. 따라서, 내주면(443)은 샤프트를 둘러싸고, 환상 공간이, 내주면(443)과 샤프트의 외주면(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형성된다. 시일체(100C)는 환상 공간에 감입된다.
내주면(443)의 직경은 보유 지지통(432)의 내경보다도 크다. 따라서, 견면(445)이 내주면(443)과 보유 지지통(432) 사이에 형성된다. 견면(445)은 회전축 RAX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을 따라 형성된 환상면이다. 작업자는 내주면(44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시일체(100C)를 압입하고, 견면(445)에 가압할 수 있다.
보유 지지통(432)은 견면(445)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된다. 보유 지지통(432)은 주부(451)와, 선단부(452)를 포함한다. 선단부(452)는 내경에 있어서, 주부(451)보다도 작다. 따라서, 선단부(452)는 주부(451)로부터 회전축 RAX를 향해 돌출된다. 작업자는 베어링(410)을 보유 지지통(432) 내로 압입하고, 선단부(452)에 맞닿게 한다.
주부(451)는 베어링(410)의 아우터 레이스에 맞닿는 내주면(453)을 포함한다. 회전축 RAX를 둘러싸는 환상 홈은 내주면(453)에 형성된다. 작업자는 베어링(410)을 보유 지지통(432)에 감입한 후, 고정환(420)을, 내주면(453)에 형성된 환상 홈에 감입한다. 고정환(420) 및 선단부(452)는 베어링(410)을 끼우므로, 베어링(410)은 회전축 RAX의 연장 설치 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는다. 작업자는 고정환(420)을, 보유 지지통(432)에 설치한 후, 시일체(100C)를 플랜지(431)에 감입한다. 이 결과, 시일 어댑터(400)가 완성된다.
도 5는 샤프트 SFT를 시일 어댑터(400)에 설치하는 설치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치 공정이 설명된다.
샤프트 SFT는 외부 공간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즉, 플랜지(431)의 외면(442)으로부터 내면(441)을 향하는 방향]으로, 시일 어댑터(400)에 삽입된다.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는 베어링(410)의 내주면에 맞닿고, 베어링(410)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샤프트 SFT는 회전축 RAX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립부(320, 320B)는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므로, 립부(320, 320B)의 돌출 방향은 샤프트 SFT의 삽입 방향에 일치한다. 샤프트 SFT의 삽입 동안, 립부(320, 320B)는 베어링(410)을 향해 돌출되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립부(320, 320B)는 꺾여 구부러지기 어렵다.
샤프트 SFT는 기어 샤프트 GSF와, 샤프트통 STT를 포함한다. 기어 샤프트 GSF의 기단부는 샤프트통 STT에 감입된다. 기어 샤프트 GSF의 선단부에는 기어부 GPT가 형성된다. 기어부 GPT는 장치(도시하지 않음) 내에 배치된 다른 기어와 맞물린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철분 IPD는 기어부 GPT와 다른 기어 사이의 맞물림에 기인하여 발생해도 된다.
샤프트통 STT는 제1 통부 FTB와, 제2 통부 STB를 포함한다. 제2 통부 STB는 제1 통부 FTB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된다. 제1 통부 FTB는 외경에 있어서, 제2 통부 STB보다도 크다. 따라서, 견면 SLD는 제1 통부 FTB와 제2 통부 STB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다. 견면 SLD가 베어링(410)에 맞닿을 때까지, 작업자는 샤프트 SFT를 시일 어댑터(400)에 삽입한다. 이 결과, 시일체(100C)는 제1 통부 FTB의 외주면 OSF와 플랜지(431)의 내주면(443)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에 수용되게 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립부(320, 320B)의 선단은 제1 통부 FTB의 외주면 OSF에 압접된다. 이때, 베어링(410)은 보유 지지통(432)의 내주면(453)과 제2 통부 STB의 외주면 OSF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에 수용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치의 표면은 샤프트통 STT의 외주면 OSF에 의해 예시된다.
도 5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부 STB의 외주면 OSF에 환상 홈 AGV가 형성된다. 견면 SLD가 베어링(410)에 맞닿으면, 환상 홈 AGV는 보유 지지통(432)의 선단부(452)에 의해 둘러싸인 원형 공간 내에 나타난다. 도 5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고정환 SPR을 환상 홈 AGV에 감입한다. 이 결과, 베어링(410)의 이너 레이스는 견면 SLD와 고정환 SPR에 의해 끼워진다. 한편, 베어링(410)의 아우터 레이스는 보유 지지통(432)의 선단부(452)와 고정환(420)에 의해 끼워진다. 따라서, 베어링(410)은 회전축 RAX의 연장 설치 방향에 있어서, 보유 지지통(432) 내에서 고정된다.
도 6은 샤프트 SFT 및 시일 어댑터(400)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를 하우징 HSH에 설치하는 설치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1,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치 공정이 설명된다.
하우징 HSH는 외측 단부면 OES와, 외측 단부면 OES에 대하여 단차를 이루는 오목면 RCS와, 오목면 RCS의 내측단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유 지지 벽면 SWS를 포함한다. 외측 단부면 OES는 외부 공간에 노출된다. 오목면 RCS는 회전축 RAX 주위에 외측 단부면 OES로 오목 형성된다. 플랜지(431)는 오목면 RCS에 의해 둘러싸인 오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복수의 나사 SCW는 복수의 삽입 관통 구멍(446)(도 4를 참조)에 각각 삽입 관통되고, 오목면 RCS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된다. 이 결과, 플랜지(431)는 하우징 HSH에 고정된다.
보유 지지 벽면 SWS는 내부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한다. 샤프트 SFT는 관통 구멍을 관통한다. 보유 지지통(432)은 보유 지지 벽면 SWS에 의해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된다. 보유 지지통(432)은 보유 지지 벽면 SWS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의 원리에 의하면, 작업자는 샤프트 SFT 및 시일 어댑터(400)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를 작성한 후, 조립체를 하우징 HSH에 내장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립체의 작성 시에 있어서, 립부(320, 320B)(도 1 및 도 3을 참조)는 꺾여 구부러지기 어렵다. 하우징 HSH로의 조립체의 내장 시에 있어서, 어댑터통(430)은 시일체(100C)와 하우징 HSH 사이에 존재하므로, 시일체(100C)는 하우징 HSH와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립부(320, 320B)는 꺾여 구부러지는 일 없이, 샤프트 SFT의 외주면 OSF에 압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립부(320, 320B)는 기어부 GPT나 다른 미끄럼 접촉 부위로부터 발생한 철분 IPD(도 1 및 도 3을 참조)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으므로, 철분 IPD가 시일체(100C)의 시일 기능을 손상시키는 리스크는 대폭으로 저감된다.
<제5 실시 형태>
더스트 립과 샤프트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그리스가 도포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더스트 립은 메인 립의 근처에 배치되므로, 그리스층이, 메인 립과 샤프트 사이의 경계에도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기어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하우징 내에 수용된 윤활유가, 메인 립과 샤프트 사이의 경계의 그리스층에 접촉할 수 있다. 윤활유 및 그리스의 성분의 조합에 의존하지만, 그리스층에 대한 윤활유의 접촉은 메인 립과 샤프트 사이의 경계에서의 슬러지의 생성에 귀결되는 경우도 있다. 슬러지는 이물로서 작용하여, 메인 립의 찰과를 일으킬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슬러지의 생성 리스크를 저감하는 예시적인 기술이 설명된다.
도 7은 제5 실시 형태의 시일 부재(200D)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시일 부재(200D)가 설명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설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 요소에 원용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시일 부재(200D)는 주링부(210)와, 메인 립(220)과, 스프링 링(240)을 포함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은 이것들의 요소에 원용된다.
도 7은 장치 APU를 도시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장치 APU는 하우징 HSG를 포함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은 하우징 HSG에 원용된다.
장치 APU는 샤프트 SFU를 더 포함한다. 샤프트 SFU는 하우징 HSG에 의해 둘러싸인다. 시일 부재(200D)는 하우징 HSG와 샤프트 SFU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에 감입되고,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 사이에서의 유체의 유통을 방지한다.
샤프트 SFU는 제1 외주면 FOS와, 제1 외주면 FOS보다도 축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외주면 SOS와, 제1 외주면 FOS와 제2 외주면 SOS를 연결함과 함께, 축방향 외측을 향해 샤프트 SFU를 직경 축소시키도록 경사지는 테이퍼 주위면 TPC를 포함한다.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 HSG와 제1 외주면 FOS 사이에 형성된다. 메인 립(220)은 스프링 링(240)에 의해 제1 외주면 FOS에 가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압부는 스프링 링(240)에 의해 예시된다.
제2 외주면 SOS는 외부 공간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제2 외주면 SOS는 직경에 있어서, 제1 외주면 FOS보다도 작다. 테이퍼 주위면 TPC는 제1 외주면 FOS로부터 제2 외주면 SOS를 향해 좁아지는 원뿔대의 주위면을 형성한다.
시일 부재(200D)는 주링부(210)의 내주면(217)으로부터 제2 외주면 SOS를 향해 연장되는 더스트 립(230D)을 더 구비한다. 더스트 립(230D)은 제2 외주면 SOS에 맞닿아지는 선단부(231)를 포함한다. 즉, 선단부(231)는 메인 립(220)보다도 외측에서 샤프트 SFU의 표면에 압접된다.
선단부(231)에 의해 정해지는 더스트 립(230D)의 내경은 메인 립(220)의 내경보다도 작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외주면 SOS는 제1 외주면 FOS보다도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선단부(231)는 제2 외주면 SOS에 과도하게 강하게 눌리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치의 표면은 제1 외주면 FOS 및 제2 외주면 SOS에 의해 예시된다.
작업자는 그리스를 제2 외주면 SOS에 도포하고, 선단부(231)와 제2 외주면 SOS 사이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외주면 FOS와 제2 외주면 SOS 사이의 테이퍼 주위면 TPC는 제2 외주면 SOS에 도포된 그리스가 제1 외주면 FOS으로 갈아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그리스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윤활유에 접촉하기 어렵다. 이것은 메인 립(220)과 제1 외주면 FOS 사이에서의 슬러지의 발생의 리스크가 저감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 메인 립(220) 및 제1 외주면 FOS의 찰과의 리스크도 저감된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설계 원리는 다양한 시일 구조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특징 중 일부가, 다른 또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시일 기술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개요는 이하와 같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시일체는 장치의 외측의 외부 공간과 상기 장치의 내측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의 유체의 유통을 방지한다. 시일체는 상기 장치의 표면에 압접되는 시일부를 갖는 시일 부재와, 상기 내부 공간에서 발생한 이물이 상기 시일부와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 사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시일체는 내부 공간에서 발생한 이물이 상기 시일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구비하므로,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한 이물에 기인하는 시일 성능의 저하는 발생하기 어렵다.
상기 구성에 관하여, 상기 방지부는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에 압접되는 립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립부는 상기 시일부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격리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장치의 표면에 압접되는 립부는 시일부를 내부 공간으로부터 격리하므로, 장치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한 이물은 시일부에 도달하기 어렵다. 따라서,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한 이물에 기인하는 시일 성능의 저하는 발생하기 어렵다.
상기 구성에 관하여, 상기 시일부는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에 제1 압접력으로 가압되어도 된다. 상기 립부는 상기 제1 압접력보다도 작은 제2 압접력으로 가압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립부는 제1 압접력보다도 작은 제2 압접력으로 가압되므로, 시일체와 장치의 표면 사이에서의 마찰력은 과도하게 커지지 않는다. 따라서, 시일체는 장치의 동작에 저항하는 과도하게 큰 항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구성에 관하여, 상기 방지부는 상기 장치 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배치된 방지 링이어도 된다. 상기 방지 링은 상기 립부가 돌출되는 내주연을 갖는 환상의 탄성벽과, 상기 내주연을 둘러싸도록 상기 탄성벽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탄성벽보다도 높은 강성을 갖는 강성환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탄성벽보다도 높은 강성을 갖는 강성환이, 탄성벽의 내주연을 둘러싸도록 탄성벽에 고정되므로, 작업자가 방지 링을, 장치 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배치할 때, 탄성벽은 변형되기 어렵다. 따라서, 작업자는 시일체를 장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탄성벽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립부는 탄성벽의 내주연으로부터 돌출되므로, 작업자가 방지 링을, 장치 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배치하면, 립부는 장치의 표면에 압접된다. 이 결과, 장치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한 이물은 시일부에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한 이물에 기인하는 시일 성능의 저하는 발생하기 어렵다.
상기 구성에 관하여, 상기 방지부는 상기 시일 부재와 일체적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방지부는 시일 부재와 일체적이므로, 작업자는 시일체를 장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관하여,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시일부를 갖고, 또한 상기 장치 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환상의 압접부와, 상기 압접부를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에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립부는 상기 압접부와 일체적이고, 또한 상기 압접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장치 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환상의 압접부는 가압부에 의해, 장치의 표면에 가압되므로, 시일체는 양호한 시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립부는 압접부와 일체적이므로, 작업자는 시일체를 장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립부는 압접부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고, 장치의 표면에 맞닿으므로, 립부는 장치 내에서 발생한 이물이 압접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한 이물에 기인하는 시일 성능의 저하는 발생하기 어렵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시일 어댑터는 상기 장치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시일 어댑터이며, 상술한 시일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구비한다. 상기 설치부는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내주면을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으로서 외주면을 갖는다. 상기 환상 공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설치부의 상기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시일체가 배치되는 환상 공간은 샤프트의 외주면과 설치부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설치부를 장치의 하우징에 설치하고, 또한 샤프트를 하우징 내에 배치하면, 하우징과 샤프트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은 시일체에 의해, 장치의 외측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이격된다. 시일체는 방지부를 가지므로, 내부 공간에서 발생한 이물은 시일 부재의 시일부에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일부의 시일 성능은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된다.
상기 구성에 관하여, 시일 어댑터는 상기 설치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보유 지지통과, 상기 보유 지지통과 상기 샤프트의 상기 외주면 사이에 감입되는 베어링을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립부는 상기 탄성벽 또는 상기 압접부로부터 상기 베어링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샤프트의 상기 외주면에 압접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베어링은 샤프트의 외주면과 설치부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보유 지지통 사이에 감입되므로, 샤프트는 하우징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혹은, 하우징은 샤프트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립부는 탄성벽 또는 압접부로부터 베어링을 향해 돌출되고, 샤프트의 외주면에 압접되므로, 작업자가 샤프트를, 시일체를 통해 베어링에 감입시키면, 샤프트의 삽입 방향은 립부의 돌출 방향에 일치한다. 따라서, 립부는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서 꺾여 구부러지기 어렵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시일 부재는 장치 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의 외측의 외부 공간과 상기 장치의 내측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의 유체의 유통을 방지한다. 시일 부재는 상기 장치의 표면에 압접되는 시일부를 갖는 환상의 메인 립과, 상기 메인 립을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에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메인 립보다도 외측이고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에 가압되는 더스트 립을 구비한다. 상기 더스트 립은 내경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보다도 작다.
상기 구성에 관하여, 더스트 립은 내경에 있어서, 시일부보다도 작으므로, 설계자는 더스트 립이 맞닿아지는 부위와 메인 립이 맞닿아지는 부위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장치의 표면을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더스트 립과 장치의 표면 사이의 경계에 도포된 그리스는 단차에 의해, 메인 립이 맞닿아지는 부위로부터 이격되므로, 그리스와 장치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윤활유의 접촉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슬러지의 리스크는 대폭으로 저감된다. 슬러지는 시일부와 장치의 표면 사이의 경계에 개재하기 어려우므로,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한 슬러지에 기인하는 시일 성능의 저하는 발생하기 어렵다.

Claims (11)

  1. 장치의 외측의 외부 공간과 상기 장치의 내측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의 유체의 유통을 방지하는 시일체이며,
    상기 장치의 표면에 압접되는 시일부를 갖는 시일 부재와,
    상기 내부 공간에서 발생한 이물이 상기 시일부와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 사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구비하는, 시일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에 압접되는 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립부는 상기 시일부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격리하는, 시일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는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에 제1 압접력으로 가압되고,
    상기 립부는 상기 제1 압접력보다도 작은 제2 압접력으로 가압되는, 시일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장치 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배치된 방지 링이고,
    상기 방지 링은 상기 립부가 돌출되는 내주연을 갖는 환상의 탄성벽과, 상기 내주연을 둘러싸도록 상기 탄성벽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탄성벽보다도 높은 강성을 갖는 강성환을 포함하는, 시일체.
  5.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상기 시일 부재와 일체적인, 시일체.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시일부를 갖고, 또한 상기 장치 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배치된 환상의 압접부와, 상기 압접부를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에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립부는 상기 압접부와 일체적이고, 또한 상기 압접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시일체.
  7. 상기 장치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시일 어댑터이며,
    제4항에 기재된 시일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으로서 외주면을 갖고,
    상기 환상 공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설치부의 상기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 어댑터.
  8. 상기 장치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시일 어댑터이며,
    제6항에 기재된 시일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으로서 외주면을 갖고,
    상기 환상 공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설치부의 상기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 어댑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보유 지지통과,
    상기 보유 지지통과 상기 샤프트의 상기 외주면 사이에 감입되는 베어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립부는 상기 탄성벽으로부터 상기 베어링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샤프트의 상기 외주면에 압접되는, 시일 어댑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보유 지지통과,
    상기 보유 지지통과 상기 샤프트의 상기 외주면 사이에 감입되는 베어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립부는 상기 압접부로부터 상기 베어링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샤프트의 상기 외주면에 압접되는, 시일 어댑터.
  11. 장치 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의 외측의 외부 공간과 상기 장치의 내측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의 유체의 유통을 방지하는 시일 부재이며,
    상기 장치의 표면에 압접되는 시일부를 갖는 환상의 메인 립과,
    상기 메인 립을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에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메인 립보다도 외측이고 상기 장치의 상기 표면에 가압되는 더스트 립을 구비하고,
    상기 더스트 립은 내경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보다도 작은, 시일 부재.
KR1020170109097A 2016-09-08 2017-08-29 시일체, 시일 어댑터 및 시일 부재 KR102430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75419 2016-09-08
JP2016175419A JP6807684B2 (ja) 2016-09-08 2016-09-08 シールアダプ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375A true KR20180028375A (ko) 2018-03-16
KR102430244B1 KR102430244B1 (ko) 2022-08-09

Family

ID=6119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097A KR102430244B1 (ko) 2016-09-08 2017-08-29 시일체, 시일 어댑터 및 시일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07684B2 (ko)
KR (1) KR102430244B1 (ko)
CN (1) CN107806516B (ko)
DE (1) DE102017213785A1 (ko)
TW (1) TWI7320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9024A4 (en) * 2018-06-13 2022-03-02 NOK Corporation SEALING DEVICE AND SEALING METHOD USING THE SEALING DEVICE
JP7398209B2 (ja) * 2019-05-23 2023-12-1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シール構造、減速機、およびシール構造の製造方法
CN111115426B (zh) * 2020-01-13 2021-12-21 日立电梯(广州)自动扶梯有限公司 自动扶梯及防水防尘滚轮组件
JP7449733B2 (ja) * 2020-03-16 2024-03-1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ール部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4412A (en) * 1979-11-02 1981-12-08 Federal-Mogul Corporation Contoured double-lip bearing seal
JPS62100374U (ko) * 1985-12-16 1987-06-26
JP2000110946A (ja) * 1998-10-06 2000-04-18 Koyo Sealing Techno Co Ltd 密封装置
JP2014024360A (ja) * 2012-07-24 2014-02-06 Aisin Aw Co Ltd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JP3192171U (ja) * 2014-05-20 2014-07-31 Nok株式会社 オイルシ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0374A (ja) 1985-10-25 1987-05-09 Toyoda Autom Loom Works Ltd 精紡ワインダ−における管糸供給方法
IL98319A (en) * 1990-07-05 1997-04-15 Roussel Uclaf Sulphurous derivatives of imidazole, their preparation proces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4466903B2 (ja) * 2003-02-07 2010-05-2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回転体及び減速機
CN201539564U (zh) * 2009-06-30 2010-08-04 青岛开世密封工业有限公司 组合式重卡轮毂油封
CN201475334U (zh) * 2009-08-04 2010-05-19 青岛开世密封工业有限公司 一种带有油内杂质阻挡结构的密封圈
JP2011089609A (ja) * 2009-10-23 2011-05-06 Nabtesco Corp ロボットの関節駆動装置
CN201748076U (zh) * 2010-06-07 2011-02-16 苏州有色金属研究院有限公司 气动压紧式端面密封的新型回转接头
JP6190179B2 (ja) * 2013-06-21 2017-08-30 光洋シーリングテクノ株式会社 密封装置
DE102014202427B4 (de) * 2014-02-11 2019-11-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älzlager einer Radlagereinheit mit angeschweißten Dichtkomponenten
JP6460751B2 (ja) * 2014-11-25 2019-01-3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シール装置および歯車伝動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4412A (en) * 1979-11-02 1981-12-08 Federal-Mogul Corporation Contoured double-lip bearing seal
JPS62100374U (ko) * 1985-12-16 1987-06-26
JP2000110946A (ja) * 1998-10-06 2000-04-18 Koyo Sealing Techno Co Ltd 密封装置
JP2014024360A (ja) * 2012-07-24 2014-02-06 Aisin Aw Co Ltd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JP3192171U (ja) * 2014-05-20 2014-07-31 Nok株式会社 オイルシ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213785A1 (de) 2018-03-08
CN107806516B (zh) 2021-06-29
TWI732026B (zh) 2021-07-01
CN107806516A (zh) 2018-03-16
JP2018040436A (ja) 2018-03-15
KR102430244B1 (ko) 2022-08-09
TW201816309A (zh) 2018-05-01
JP6807684B2 (ja)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8375A (ko) 시일체, 시일 어댑터 및 시일 부재
US7658386B2 (en) Retrofittable severe duty seal for a shaft
US6726212B2 (en) Retrofittable severe duty seal for a shaft
KR102437869B1 (ko) 시일 및 시일 기구
US20020175473A1 (en) Method of using a retrofittable severe duty seal for a shaft
JP6650742B2 (ja) 密封装置
TWI654388B (zh) 螺桿裝置
CN212251132U (zh) 密封装置
JP3965559B2 (ja) 密封装置
TWI826434B (zh) 密封機構及具備該密封機構之裝置
JPH08128533A (ja) 密封装置
JP2018048660A (ja) 密封装置
JP4685248B2 (ja) オイルシール
JPH0712762Y2 (ja) 密封装置
WO2016147835A1 (ja) 密封装置
JP7455711B2 (ja) オイルシール
CN212775569U (zh) 一种轮毂轴承的密封结构
JP2007308072A (ja) 自動車用プロペラシャフト
WO2015186677A1 (ja) 密封装置
WO2023035167A1 (zh) 密封结构、轮毂电机驱动系统及装配方法
JP2003097716A (ja) 車軸用密封装置
KR20070057536A (ko) 클러치 어셈블리
JPH08291868A (ja) オイルシール
JP2022128128A (ja) シール部材及び車輪用軸受装置
KR20190049453A (ko) 시일 기구를 구비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