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691A - 분할 마스크 - Google Patents

분할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691A
KR20180027691A KR1020160114309A KR20160114309A KR20180027691A KR 20180027691 A KR20180027691 A KR 20180027691A KR 1020160114309 A KR1020160114309 A KR 1020160114309A KR 20160114309 A KR20160114309 A KR 20160114309A KR 20180027691 A KR20180027691 A KR 20180027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main body
mask
body portion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345B1 (ko
Inventor
백대원
김종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345B1/ko
Priority to US15/672,662 priority patent/US10741763B2/en
Priority to CN201710794670.9A priority patent/CN107799670B/zh
Publication of KR2018002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6Stencils
    • B05C17/08Stencil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21/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19/00
    • B05C21/005Mas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using means for protecting parts of a surface not to be coated, e.g. using stencils, resis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H01L51/0011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25Screens or stencils; Holders theref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20Masking elements, i.e. elements defining uncoated areas on an object to be co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개구 패턴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양단에 배치되고,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클램핑부는 본체부와 멀어질수록 더 넓은 폭을 갖는다.

Description

분할 마스크{DIVISION MASK}
본 발명은 분할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이브를 방지할 수 있는 분할 마스크에 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는 빛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가지고 화상을 표시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두께와 무게를 갖는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가지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애노드와 캐소드에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발광하여 색상을 구현하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발광층을 삽입한 적층형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로는 고효율 발광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각각의 전극과 발광층 사이에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주입층 등의 중간층을 선택적으로 추가 삽입하여 이용하고 있다.
한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전극들 및 발광층을 포함한 중간층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의 방법이 증착법이다. 증착법을 이용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기판 상에 형성될 박막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파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 FMM)를 이용한다. 파인 메탈 마스크(FMM)는 기판 상에 정렬되고 박막을 이루는 물질이 증착되어 기판 상에 박막이 패터닝된다.
이러한 파인 메탈 마스크가 대면적화되는 경우 패턴 형성을 위한 에칭 오차가 커지고 자중에 의한 중앙부분의 쳐짐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여러 개의 스틱(stick) 형상의 분할 마스크를 프레임에 부착하여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이용한다. 이러한 분할 마스크를 프레임에 부착할 때, 분할 마스크의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한다. 이에 따라, 분할 마스크에 웨이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분할 마스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웨이브를 방지할 수 있는 분할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 패턴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양단에 배치되는 클램핑부; 를 포함하고, 클램핑부는 본체부와 멀어질수록 더 넓은 폭을 갖고, 본체부에서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팬아웃부, 및 팬아웃부에서 멀어질수록 더 작은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를 포함한다.
가지부는 본체부의 외측면과 평행한 외측면을 갖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지부는 제 1 가지부 및 제 2 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지부는 제 2 가지부와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제 1 가지부의 내측단과 제 2 가지부의 내측단사이의 폭은 상기 본체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 1 가지부 및 제 2 가지부는 본체부와 각각 135°이상 180°미만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더미 패턴은 개구 패턴과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본체부 및 클램핑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와 클램핑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는, 개구 패턴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양단에 배치되고,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클램핑부; 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본체부의 중앙에 위치한 중앙부를 포함하고, 중앙부로부터 양단에 가까워질수록 더 넓은 폭을 갖는다.
클램핑부는 제 1 가지부 및 제 2 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지부는 제 2 가지부와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제 1 가지부 및 제 2 가지부는 본체부와 각각 135°이상 180°미만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마스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분할 마스크에 발생하는 웨이브의 발생을 억제시켜 패터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종래 분할 마스크의 웨이브 발생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의 웨이브 발생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할 마스크(100)는 본체부(110) 및 클램핑부(120)를 포함한다.
분할 마스크(100)는 니켈(Ni), 코발트(Co), 니켈 합금, 니켈-코발트 합금, 스테인레스 스틸(SUS) 및 인바(Invar)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10)는 개구 패턴(111)을 포함한다.
개구 패턴(111)은 분할 마스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각 개구 패턴(111)은 복수의 미세 개구 패턴(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미세 개구 패턴 각각은 복수의 분할 마스크(100) 상에 배치되는 기판에 증착하고자 하는 박막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착 공정에서 증착 물질이 미세 개구 패턴을 통해 기판 상에 증착되어 원하는 모양의 박막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 패턴(11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 패턴(111)은 여러 가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클램핑부(120)는 본체부(110)의 양단에 위치한다. 클램핑부(120)는 팬아웃부(121) 및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122)를 포함한다.
클램핑부(120)는 본체부(110)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클램핑부(120)의 폭(W2)은 본체부(110)의 폭(W1)보다 크다(W1<W2). 또한, 클램핑부(120)의 폭은 본체부(110)에서 멀어질수록 더 넓은 폭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클램핑부(120) 중 본체부(110)와 더 먼 영역의 폭(W3)은 본체부(110)와 더 가까운 영역의 폭(W2)보다 크다(W2<W3). 이에 따라, 클램핑부(120)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분할 마스크(100)의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을 따라서도 작용한다. 이는 분할 마스크(100)에 발생하는 웨이브의 발생을 억제시켜 패터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팬아웃부(121)는 본체부(110)와 135°이상 180°미만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아웃부(121) 및 본체부(110)가 이루는 각도는 본체부(110) 상단에 위치하는 팬아웃부(121)의 좌측단 및 본체부(110) 상단의 좌측단이 이루는 각도(θ1) 및 본체부(110) 하단에 위치하는 팬아웃부(121)의 좌측단 및 본체부(110) 하단의 좌측단이 이루는 각도(θ2)로 정의하고, 팬아웃부(121)와 본체부(110)가 이루는 각도는 135°이상 180°미만일 수 있다.
팬아웃부(121)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dummy) 패턴(121a)을 포함한다.
더미 패턴(121a)은 전술된 개구 패턴(111)과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더미 패턴(121a)은 개구 패턴(111)과 같이 복수의 미세 더미 패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더미 패턴(121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미 패턴(121a)은 여러 가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121a)은 클램핑부(120)에 위치하여 개구 패턴(111)에서의 웨이브 발생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분할 마스크(100)의 패터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가지부(122)는 제 1 가지부(122a) 및 제 2 가지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지부(122) 각각은 팬아웃부(121)에서 멀어질수록 더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지부(122a)의 폭은 팬아웃부(121)에서 멀어질수록 더 작은 폭을 가지며, 제 2 가지부(122b)의 폭은 팬아웃부(121)에서 멀어질수록 더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가지부(122)는 본체부(110)와 평행한 외측면을 갖는 단부(122c,122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지부(122a)는 제 1 단부(122c)를 포함하고, 제 2 가지부(122b)는 제 2 단부(12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지부(122a)의 외측면은 본체부(110)의 외측면과 평행하고, 제 2 가지부(122b)의 외측면은 본체부(110)의 외측면과 평행하다.
제 1 가지부(122a)와 제 2 가지부(122b)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지부(122a)와 제 2 가지부(122b)는 본체부(110)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지부(122a)의 내측단과 제 2 가지부(122b)의 내측단 사이의 폭은 본체부(110)의 폭보다 크다. 이에 따라, 분할 마스크(100)의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여 웨이브의 발생을 억제시켜 패터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클램핑부(120)는 좌우 대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아웃부(121)의 좌측 과 본체부(110)가 이루는 각도는 팬아웃부(121)의 우측과 본체부(110)가 이루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지부(122a)의 형태와 제 2 가지부(122b)의 형태가 동일할 수 있고, 제 1 가지부(122a) 및 제 2 가지부(122b) 각각의 폭이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장력이 분할 마스크(100)의 좌우에 균일하게 작용하여 웨이브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0)는 클램핑부(120)가 제거된 복수의 분할 마스크(100) 및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클램핑부(120)가 제거된 복수의 분할 마스크(100)는 프레임(200)에 고정된다.
분할 마스크(100)는 접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130)는 전술된 본체부(110)와 클램핑부(120) 사이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130)는 프레임(200)에 용접되어 분할 마스크(100)를 프레임(200)에 고정시킨다.
프레임(200)은 중앙에 위치하는 개구 영역(201)을 포함하며, 프레임(200)은사각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 영역(201)은 전술한 분할 마스크(100)와 중첩할 수 있다.
프레임(200)은 프레임(200)에 작용하는 압축력 또는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강성이 큰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리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첫번째 분할 마스크(100)를 프레임(200)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120)는 인장 기구(미도시)에 의해 파지되고, 분할 마스크(100)의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T)이 작용한다. 이때, 본체부(100)보다 넓은 폭을 갖는 클램핑부(120)에 의해 분할 마스크(100)의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으로도 인장력(T)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할 마스크(100)에 발생하는 웨이브의 발생을 억제시켜 패터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접합부(130)를 프레임(200)에 용접하여 첫번째 분할 마스크(100)를 프레임(200)에 고정시킨다.
도 3b는 클램핑부(120)가 제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120)를 절단하여 제거한다. 클램핑부(120)의 폭이 본체부(110)의 폭보다 넓기 때문에 절단되지 않을 경우 다른 분할 마스크(100)와 서로 간섭될 수 있다.
도 3c는 두번째 분할 마스크(100)를 프레임(200)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120)는 인장 기구(미도시)에 의해 파지되고, 분할 마스크(100)의 양단으로 인장력(T)이 작용한다. 이때, 본체부(100)보다 넓은 폭을 갖는 클램핑부(120)에 의해 분할 마스크(100)의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으로도 인장력(T)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분할 마스크(100)에 발생하는 웨이브의 발생을 억제시켜 패터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d는 클램핑부(120)가 제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120)는 절단되어 제거된다. 클램핑부(120)의 폭이 본체부(110)의 폭보다 넓기 때문에 절단되지 않을 경우 다른 분할 마스크(100)와 서로 간섭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할 마스크(100)를 프레임(200)에 고정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0)가 만들어진다.
도 4a는 종래 분할 마스크의 웨이브 발생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의 웨이브 발생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의 웨이브 발생 시뮬레이션 결과는 다음의 표와 같다.
Wave(㎛) 종래(㎛) 본 발명(㎛)
Max 55.7 21.7
Min -48.8 -36.6
Max-Min 104.5 58.3
도 4a 내지 도 4b 및 표 1을 참조하면, 종래 분할 마스크의 웨이브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100)의 웨이브가 약 44%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의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에 관련된 설명 가운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와 관련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팬아웃부(121)는 본체부(110)와 135°이상 180°미만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아웃부(121) 및 본체부(110)가 이루는 각도는 본체부(110) 상단에 위치하는 팬아웃부(121)의 좌측단 및 본체부(110) 상단의 좌측단이 이루는 각도(θ3) 및 본체부(110) 하단에 위치하는 팬아웃부(121)의 좌측단 및 본체부(110) 하단의 좌측단이 이루는 각도(θ4)로 정의하고, 팬아웃부(121)와 본체부(110)가 이루는 각도는 135°이상 180°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부(122)와 비교하여, 본체부(110)와 평행한 외측면을 갖는 단부(122c,122d)가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부(122)는 팬아웃부(121) 및 본체부(110)가 이루는 각도를 따라 팬아웃부(1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에 관련된 설명 가운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와 관련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분할 마스크(500)는 본체부(510), 클램핑부(520) 및 접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510)는 중앙부(513)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513)는 본체부(510)의 중앙에 위치한다. 분할 마스크(500)는 중앙부(513)에서 가장 작은 폭(W4)을 가지며, 분할 마스크(500)의 양단에 가까워질수록 더 넓은 폭을 갖는다. 즉, 분할 마스크(500)는 중앙부(513)에서 멀어질수록 더 넓은 폭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중앙부(513)와 먼 거리의 분할 마스크(500)의 폭(W6)은 중앙부(513)와 가까운 거리의 분할 마스크(500)의 폭(W5)보다 크다. 분할 마스크(500)는 중앙부(513)에서 멀어질수록 더 넓은 폭을 갖기 때문에, 분할 마스크(500)의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때, 분할 마스크(500)의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으로도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분할 마스크(500)에 발생하는 웨이브의 발생을 억제시켜 패터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부(513)는 본체부(510)와 135°이상 180°미만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중앙부(513) 및 본체부(510)가 이루는 각도는 중앙부(513) 상단에 위치하는 본체부(510)의 좌측단 및 중앙부(510)의 좌측단이 이루는 각도(θ5) 및 중앙부(513) 하단에 위치하는 본체부(510)의 좌측단 및 중앙부(110)의 좌측단이 이루는 각도(θ6)로 정의하고, 중앙부(513)와 본체부(510)가 이루는 각도는 135°이상 180°미만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분할 마스크 110: 본체부
111: 개구 패턴 113: 중앙부
120: 클램핑부 121: 팬아웃부
122: 가지부 130: 접합부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개구 패턴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배치되는 클램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본체부와 멀어질수록 더 넓은 폭을 갖고,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팬아웃부, 및 상기 팬아웃부에서 멀어질수록 더 작은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를 포함하는 분할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과 평행한 외측면을 갖는 단부를 포함하는 분할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부는 제 1 가지부 및 제 2 가지부를 포함하는 분할 마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지부는 상기 제 2 가지부와 좌우 대칭인 분할 마스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지부의 내측단과 상기 제 2 가지부의 내측단사이의 폭은 상기 본체부의 폭보다 큰 분할 마스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지부 및 제 2 가지부는 상기 본체부와 각각 135°이상 180°미만의 각도를 갖는 분할 마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개구 패턴과 동일한 형태인 분할 마스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클램핑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분할 마스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클램핑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분할 마스크.
  10. 개구 패턴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배치되고,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클램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본체부의 중앙에 위치한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로부터 양단에 가까워질수록 더 넓은 폭을 갖는 분할 마스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제 1 가지부 및 제 2 가지부를 포함하는 분할 마스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지부는 상기 제 2 가지부와 좌우 대칭인 분할 마스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지부 및 상기 제 2 가지부는 상기 본체부와 각각 135°이상 180°미만의 각도를 갖는 분할 마스크.
KR1020160114309A 2016-09-06 2016-09-06 분할 마스크 KR102642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309A KR102642345B1 (ko) 2016-09-06 2016-09-06 분할 마스크
US15/672,662 US10741763B2 (en) 2016-09-06 2017-08-09 Division mask with clamping portion
CN201710794670.9A CN107799670B (zh) 2016-09-06 2017-09-06 分体式掩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309A KR102642345B1 (ko) 2016-09-06 2016-09-06 분할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691A true KR20180027691A (ko) 2018-03-15
KR102642345B1 KR102642345B1 (ko) 2024-02-29

Family

ID=6128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309A KR102642345B1 (ko) 2016-09-06 2016-09-06 분할 마스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41763B2 (ko)
KR (1) KR102642345B1 (ko)
CN (1) CN1077996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047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오럼머티리얼 프레임 일체형 마스크 제조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30705A (zh) * 2015-03-13 2015-05-20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掩膜板及其制备方法
KR102514115B1 (ko) * 2018-06-12 2023-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
CN109207920B (zh) * 2018-11-12 2021-0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掩模版
CN111394692B (zh) * 2020-05-09 2022-05-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掩膜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21B1 (ko) * 2010-08-03 2010-10-25 (주)한 송 대면적 amoled 다면취 tv 패널 제작 및 모바일용 패널 제작을 위한 분할된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및 그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KR20120080857A (ko) * 2011-01-10 2012-07-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분할 마스크 및 그것을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조립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9499A (ja) * 2001-09-28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陰極線管の製造方法
US6955726B2 (en) * 2002-06-03 2005-10-18 Samsung Sdi Co., Ltd. Mask and mask frame assembly for evaporation
JP4230258B2 (ja) * 2003-03-19 2009-02-25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450728B1 (ko) * 2008-05-28 2014-10-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82239B1 (ko) * 2010-03-17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조립체
KR101693578B1 (ko) * 2011-03-24 2017-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마스크
KR20120123918A (ko) 2011-05-02 2012-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분할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조립방법
KR101837624B1 (ko) 2011-05-06 2018-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13549B1 (ko) * 2011-05-06 2018-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분할 마스크와 그 분할 마스크를 포함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조립장치
KR102024853B1 (ko) * 2012-09-03 2019-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위 마스크 및 마스크 조립체
KR102000718B1 (ko) 2012-11-15 2019-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용 마스크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95500B1 (ko) * 2012-11-20 2019-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위 마스크 및 마스크 조립체
KR102218656B1 (ko) * 2013-05-08 2021-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19695A (ko) * 2013-08-14 2015-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위 마스크 및 마스크 조립체
KR102280269B1 (ko) * 2014-11-05 2021-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1542B1 (ko) * 2015-05-19 2022-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픽셀 패터닝 및 픽셀 위치 검사 방법과 그 패터닝에 사용되는 마스크
KR102640219B1 (ko) * 2016-09-12 2024-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분할 마스크
WO2019012585A1 (ja) * 2017-07-10 2019-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スクシート枠体接合装置及び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
CN107731887B (zh) * 2017-11-22 2020-05-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的制备方法
KR20200030712A (ko) * 2018-09-12 2020-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형 마스크 스틱과, 이를 적용한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21B1 (ko) * 2010-08-03 2010-10-25 (주)한 송 대면적 amoled 다면취 tv 패널 제작 및 모바일용 패널 제작을 위한 분할된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및 그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KR20120080857A (ko) * 2011-01-10 2012-07-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분할 마스크 및 그것을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047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오럼머티리얼 프레임 일체형 마스크 제조용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41763B2 (en) 2020-08-11
US20180065143A1 (en) 2018-03-08
KR102642345B1 (ko) 2024-02-29
CN107799670A (zh) 2018-03-13
CN107799670B (zh)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7691A (ko) 분할 마스크
JP6993804B2 (ja) マスク組立体、表示装置の製造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JP5816519B2 (ja) マスクフレーム組立体、マスクフレーム組立体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237428B1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932107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ask frame assembly for thin film deposition
KR101820020B1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KR20120123918A (ko) 분할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조립방법
US11993839B2 (en)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ask assembly
KR102432350B1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증착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20140473A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US11171288B2 (en) Mask assembly,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70082317A (ko)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US11939657B2 (en) Hybrid mask stick and mask frame assembly employing the same
US10103332B2 (en) Evapora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 display
KR20100101919A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30299A (ko) 분할 마스크
KR20240057395A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US20180366649A1 (en) Mask sheet, vapor deposition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KR102631255B1 (ko) 하이브리드형 마스크 스틱과, 이를 적용한 마스크 프레임 어셈블리
KR20150078272A (ko) 박막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CN110724905B (zh) 掩膜片、掩膜板及其制备方法
KR20070109613A (ko)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US20240110272A1 (en) Mask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7651464A (zh) 掩模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