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199A -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199A
KR20180027199A KR1020160114503A KR20160114503A KR20180027199A KR 20180027199 A KR20180027199 A KR 20180027199A KR 1020160114503 A KR1020160114503 A KR 1020160114503A KR 20160114503 A KR20160114503 A KR 20160114503A KR 20180027199 A KR20180027199 A KR 20180027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housing
filter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3158B1 (ko
Inventor
구종철
Original Assignee
구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종철 filed Critical 구종철
Priority to KR102016011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1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75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lter element
    • F02M35/02483Cylindrical, conical, oval, spherical or the like filter elements; wounded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에어크리너는 메인하우징(111)에 삽입하는 필터링하우징(113)을 구비한 하우징부(110)와; 상기 하우징부(110)의 필터링하우징(113) 내부에 가이드구(121)를 구비하되 가이드구(121)에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통로(122)를 형성시킨 가이드부(120)와; 상기 가이드부(120)의 가이드구(121)에 형성된 유입통로(122)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되 케이싱(131)의 상면을 덮는 지지플레이트(136)를 형성하고 지지플레이트(136)에 유입통로(122)와 연통하는 유입구(137)를 형성하며 지지플레이트(136)의 뒤쪽에 금속필터(134)를 형성한 1차 필터링부(130)와; 상기 1차 필터링부(130)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2차 필터링부(140); 및 상기 2차필더링부(14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로 필터링하는 메인필터링부(150)로 구성하되; 상기 메인필터링부(150)의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는 만곡시킨 다수개의 가이드 휀(151a, 151b)을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형성하되 외주연에 공기의 흐름를 방해하는 차단필름(152a,152b)을 각각 부착하되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에 부착하는 차단필름(152a,152b)이 상호 어긋나게 부착하여 구성하므로;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원활하게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크리너{Air clean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순환통로를 형성하게 결합하는 커버와 공기필터를 통하여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원활하게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연료절감 및 유해배기가스 배출을 낮출 수 있는 자동차용 에어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크리너는 자동차의 엔진이 연소하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공기의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여 엔진의 연소를 원활하게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에어크리너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공기에서 걸러진 먼지가 내부에 쌓이게 되어 에어크리너의 공기필터를 제거하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내부먼지를 털어내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에어크리너는 유입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원활하게 제거하여 엔진에 미세먼지 함유량이 적은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공기를 통한 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미세한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필터의 필터층을 개량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 및 구성이 제안되어 왔으나,대개, 에어크리너 내측에 미세먼지를 여과할 수 있는 공기필터를 구비하고 사용시간의 경과에 따라 공기필터를 교체하여 에어크리너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에어크리너는 내측으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공기필터 이외에는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엔진으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어려워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하여 자동차 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엔진의 연소 중에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탄화수소가 자동차의 운행 중에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2-38886호와 10-2013-20552호도 있으나 흡입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필터링하는 에어크리너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에어크리너를 통하여 엔진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엔진을 연소시키고자 할 때 내측에 구비된 필터커버와 공기필터 및 필터망을 통하여 공기의 미세먼지를 원활하게 제거하고, 팬을 통하여 미세한 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원활하게 엔진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자동차용 습식 에어크리너로서, 자동차 엔진의 연소를 위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미세먼지 및 불순물을 원활하고 완벽하게 제거하고,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연료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자동차용 에어크리너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엔진의 연소를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엔진연소에 따른 탄화수소와 같은 유해배기가스의 배출을 낮출 수 있으며, 엔진의 과열 또는 마모를 방지하여 자동차의 엔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실내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에어크리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에어크리너는 원통형의 메인하우징을 형성하고 메인하우징에 삽입하는 필터링하우징을 구비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필터링하우징 내부에 가이드구를 구비하되 가이드구에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통로를 형성시킨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구에 형성된 유입통로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되 케이싱의 상면을 덮는 지지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지지플레이트에 유입통로와 연통하는 유입구를 형성하며 지지플레이트의 뒤쪽에 금속필터를 형성한 1차 필터링부와; 상기 1차 필터링부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2차 필터링부; 및 상기 2차필더링부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필터와 내부필터로 필터링하는 메인필터링부로 구성하되; 상기 메인필터링부의 외부필터와 내부필터는 만곡시킨 다수개의 가이드 휀을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형성하되 외주연에 공기의 흐름를 방해하는 차단필름을 각각 부착하되 외부필터와 내부필터에 부착하는 차단필름이 상호 어긋나게 부착하여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에어크리너는 유입통로를 유입된 공기가 다공플레이트와 오일에 젖은 스펀지를 통과하면서 오일에 섞임과 동시에 케이싱의 하부에 오일과 함께 비산하여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오일에 포집하여 제거함과 동시에 그물망하우징을 통과한 공기와 스펀지하우징을 통과한 공기는 젖어있는 그물냉각판을 거치면서 잔존하는 미세먼지가 완전하게 포집하여 제차 제거하므로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1차 필터링이 완료된 공기가 다시 다공플레이트와 경사편 및 다공플레이트를 거쳐 잔존 이물질 및 오일을 2차 필터링한 다음 외부필터와 내부필터에 부착한 차단필름에 부딪힐 수 있도록 하여 잔존 이물질을 완벽하게 필터링되도록 하는 것인 바, 이로 인하여 엔진의 연소를 위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미세먼지 및 불순물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하므로 자동차 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연료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별도의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엔진의 연소를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더욱이 효율적인 엔진연소에 따른 탄화수소와 같은 유해배기가스의 배출을 낮출 수 있으며, 엔진의 과열 또는 마모를 방지하여 엔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크리너의 전체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크리너의 제1필터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크리너의 일부 분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크리너의 전체 분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크리너의 메인필터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크리너의 전체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에어크리너(100)는 원통형의 메인하우징(111)을 형성하고 메인하우징(111)에 삽입하는 필터링하우징(113)을 구비한 하우징부(110)와; 상기 하우징부(110)의 필터링하우징(113) 내부에 가이드구(121)를 구비하되 가이드구(121)에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통로(122)를 형성시킨 가이드부(120)와; 상기 가이드부(120)의 가이드구(121)에 형성된 유입통로(122)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되 케이싱(131)의 상면을 덮는 지지플레이트(136)를 형성하고 지지플레이트(136)에 유입통로(122)와 연통하는 유입구(137)를 형성하며 지지플레이트(136)의 뒤쪽에 금속필터(134)를 형성한 1차 필터링부(130)와; 상기 1차 필터링부(130)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2차 필터링부(140), 및 2차필더링부(14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로 필터링하는 메인필터링부(150)로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부(110)는 원통형의 메인하우징(111)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112)를 천공하며, 메인하우징(111)의 내부 앞쪽에 삽입하는 필터링하우징(113)을 구비하되 필터링하우징(113)에 메인하우징(111)의 유입구(112)와 일치하는 유입구(114)를 형성한다.
여기서 메인하우징(111)의 유입구(112)는 외부에 내측으로 삽입하는 가이드용 덕트(117)를 구비한다.
더불어, 메인하우징(111)은 전방을 완전개방하고 후방을 차단하되 후방 중앙에 센터공을 형성한다.
나아가, 하우징부(110)에는 메인하우징(111)을 삽입하는 장착하우징(115)을 구비하되, 장착하우징(115)의 중앙에는 돌출시킨 고정수단(116)을 형성한다.
여기서 장착하우징(110)의 고정수단(116)은 메인하우징(111)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120)는 필터링하우징(113)의 상측에 가이드구(121)를삽입하되, 이로 인하여 필터링하우징(113)의 하부에는 삽입공간(126)이 형성하도록 하고 가이드구(121)의 상측에서 하향으로 유입통로(122)를 형성하여 필터링하우징(113)의 유입구(114)와 일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가이드구(121)의 유입통로(122)에는 메인하우징(111)의 유입구(112)로 삽입하는 가이드용 덕트(117)가 필터링하우징(113)의 유입구(114)를 거쳐 끼워진다.
나아가, 가이드구(121)의 전단에는 커버플레이트(124)를 형성하여 필터링하우징(113)에 전면 상부를 차단하도록 하고, 가이드구(121)의 저면에는 다공플레이트(123)를 형성하여 유입통로(122)를 통해 삽입공간(126)으로 유입한 공기가 다시 상측으로 유도하도록 한다.
더불어, 가이드구(121)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125)을 형성하여 장착하우징(115)의 고정수단(116)을 끼워 커버플레이트(124)의 결합하므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1차 필터링부(130)는 오일이 하부에 담긴 케이싱(131)을 형성하고 케이싱(131)의 내부에 오일을 흡착한 스폰지하우징(133)를 형성하며 전면에 손잡이를 형성한다.
나아가, 케이싱(131)의 상면을 덮는 지지플레이트(136)를 형성하되 지지플레이트(136)에 가이드부(120)의 유입통로(122)와 연통하는 유입구(137)를 천공하되 유입구(137)의 하부에 오일을 흡착시킨 스폰지하우징(133)이 위치하도록 하고 유입구(137)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그물망하우징(132)을 구비한다.
여기서 케이싱(131)의 하측에 슬라이딩하여 결합하는 보조케이싱(131b)을 형성하고 보조케이싱(131b)에 스폰지하우징(133)이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지플레이트(136)의 뒤쪽에는 금속필터(134)를 형성하되, 금속필터(134)를 주름형상으로 형성하여 효율적으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한다.
더욱이, 지지플레이트(136)의 유입구(137)와 금속필터(134) 사이에는 그물냉각판(135)을 형성하여 공기 중 함유한 습기를 냉각시켜 젖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착할 수 있도록 하되 금속필터(134)의 하측 전 후에 그물냉각판(135)에 대응하는 가이드구(139a)와 보조가이드구(139b)를 그물냉각판(135)의 회전으로 가장자리에서 틈새로 불어오는 흡입공기가 가이드구(139a)와 보조가이드구(139b)에 부딪힐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구(139a)와 보조가이드구(139b)에는 스폰지를 끼워 흡입공기에 함유된 이물질 흡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플레이트(136)의 전단에는 가이드플레이트(138)를 하향으로 형성하여 케이싱(131)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금속필터(134)는 가이드구(121)의 다공플레이트(123)와 일치되도록 하여 통과한 공기를 금속필터(134)와 다공플레이트(123)로 유도하도록 한다.
또한, 케이싱(131)에는 별도의 흡기구(131a)를 형성하여 차량의 실내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더불어, 케이싱(131)은 가이드구(121)의 결합으로 형성한 삽입공간(126)에 원활하게 압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1차필터링부(130)에 장기 사용으로 이물질이 많이 포집되는 경우 이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2차 필터링부(140)는 금속그물망(134)과 다공플레이트(123)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다공플레이트(141)와 다수개의 경사편(142) 및 다공플레이트(143)를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더불어, 다공플레이트(141)와 다수개의 경사편(142)에는 중앙에 센터공을 형성하고 다공플레이트(143)에 체결용 콘(144)을 형성하여 센터공을 관통시켜 결합한다.
여기서 체결용 콘(144)의 상부는 가이드구(121)의 체결공(125)에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메인필터링부(150)는 메인하우징(111)의 뒤쪽에 삽입하되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로 형성하고 상하에 상부커버(154)와 하부커버(155)를 결합한다.
여기서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 및 상,하부커버(154,155)를 결합한 메인필터링부(150)는 중앙을 관통하는 센터공(157)을 형성하고 상,하부커버(154,155)에 돌출부(156)를 형성하여 다공플레이트(143)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더욱이,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에는 외주연에 공기의 흐름를 방해하는 차단필름(152a,152b)을 각각 부착하되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에 부착하는 차단필름(152a,152b)이 상호 어긋나게 부착하여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에서 이물질을 유입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는 다수개의 가이드 휀(151a, 151b)을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형성하되 가이드 휀(151a, 151b)를 만곡시켜 통과하는 공기가 효율적으로 부딪쳐 이물질을 제거할 수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에 부착하는 차단필름(152a,152b)이 상호 어긋나도록 가이드수단(153a,153b)을 형성하여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메인필터(150)의 외주연과 메인하우징(111)의 내주연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메인필터링부(150)의 센터공(157)에는 장착하우징(115)의 고정수단(116)을 삽입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필터링하우징(113)의 내부에 가이드부(120)의 가이드구(121)를 삽입하고 가이드구(121)의 하측에 삽입공간(126)을 형성시킨 다음 필터링하우징(113)의 뒤쪽에 2차 필터링부(140)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하우징(111)의 내부 뒤쪽에 메인필터(150)를 삽입한 다음 앞쪽에는 가이드구(121)와 2차필터링부(140)를 결합시킨 필터링하우징(113)을 삽입한다.
이때 메인하우징(111)의 유입구(112)와 필터링하우징(113)의 유입구(114)를 일치시켜 유입구(112,114)에 가이드용 덕트(116)를 가이드구(121)의 유입통로(122)에 끼워 조립상태를 세팅한 다음 필터링하우징(113)의 하측에 형성한 삽입공간(126)에 1차 필터링부(130)를 압입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에어크리너(100)를 장착하우징(115)에 삽입하면, 장착하우징(115)의 고정수단(116)이 메인필터(150)의 센터공(157)과 2차필터링부(140)의 체결용 콘(144) 및 가이드구(121)의 체결공(125)을 관통하여 너트 등으로 고정하면 상기한 조립상태의 에어크리너(100)가 가압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에어크리너(100)의 각각의 부품 사이에는 패킹을 형성하여 상기의 같은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메인하우징(111)과 필터링하우징(113)의 유입구(112,114) 및 가이드구(121)의 유입통로(122)를 통하여 공기가 하향으로 유입되고,유입된 공기는 1차 필터링부(130)에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1차 필터링부(130)로 공급된 공기는 그물망하우징(132)과 오일에 젖은 스펀지하우징(133)을 통과하면서 오일에 섞임과 동시에 그물망하우징(132)을 통과한 일부공기와 스펀지하우징(133)을통과한 일부공기는 유입구(137)와 금속필터(134)사이에는 젖어있는 그물냉각판(135)을 거치면서 잔존하는 미세먼지가 완전하게 제거된다.
여기서 흡입공기의 흡입량이 많아져 강하게 공기가 유입되면 그물냉각판(135)이 회전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그물냉각판(135)의 가장자리로 빠져나오는 공기는 스폰지를 결합한 가이드구(139a)와 보조가이드구(139b)에 부딪치면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상승하여 주름형상의 금속필터(134)와 가이드구(121)의 다공플레이트(123)를 통과하면서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과 오일을 대부분 제거한다.
여기서 1차 필터링이 완료된 공기는 다시 2차 필터링부(140)의 다공플레이트(141)와 경사편(142) 및 다공플레이트(143)을 거쳐 잔존이물질 및 오일을 제거하여 하측의 1차 필터링부(130)로 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2차 필터링된 공기는 다시 메인하우징(111)의 내주연을 따라 메인필터링부(150)의 외주연을 통해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로 공급한다.
이때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에 형성한 가이드 휀(151a,151b)과 착한 차단필름(152a,152b)에 부딪치며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잔존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도록 한다.
특히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에 부착하는 차단필름(152a,152b)이 상호 어긋나게 부착하므로 모든 공기가 차단필름(152a,152b)에 부딪힐 수 있도록 하여 잔존 이물질을 완벽하게 필터링시킨 다음 이렇게 필터링된 양질의 공기는 센터공(157)을 통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어크리너(100)는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원활하게 제거하고 양질의 공기를 원활하게 엔진으로 공급하므로, 엔진의 연소를 위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미세먼지 및 불순물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연료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엔진의 연소를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엔진연소에 따른 탄화수소와 같은 유해배기가스의 배출을 낮출 수 있으며, 엔진의 과열 또는 마모를 방지하여 엔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에어크리너 110 : 하우징부
111 : 메인하우징 112 : 유입구
113 : 필터링하우징 114 : 유입구
115 : 장착하우징 116 : 고정수단
117 : 가이드용 덕트 120 : 가이드부
121 : 가이드구 122 : 유입통로
123 : 다공플레이트 124 : 커버플레이트
125 : 체결공 126 : 삽입공간
130 : 1차 필터링부 131 : 케이싱
131a : 흡기구 131b : 보조케이싱
132 : 그물망하우징 133 : 스폰지하우징
134 : 금속필터 135 : 그물냉각판
136 : 지지플레이트 137 : 유입구
138 : 가이드플레이트 139a : 가이드구
139b : 보조가이드구 140 : 2차 필터링부
141 : 다공플레이트 142 : 경사편
143 : 다공플레이트 144 : 체결용 콘
150 : 메인필터링부 150a : 외부필터
150b : 내부필터 151a,151b : 가이드팬
152a,152b : 차단필름 153a,153b : 가이드수단
154 : 상부커버 155 : 하부커버
156 : 돌출부 157 : 센터공

Claims (1)

  1. 원통형의 메인하우징(111)을 형성하고 메인하우징(111)에 삽입하는 필터링하우징(113)을 구비한 하우징부(110)와;
    상기 하우징부(110)의 필터링하우징(113) 내부에 가이드구(121)를 구비하되 가이드구(121)에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통로(122)를 형성시킨 가이드부(120)와;
    상기 가이드부(120)의 가이드구(121)에 형성된 유입통로(122)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되 케이싱(131)의 상면을 덮는 지지플레이트(136)를 형성하고 지지플레이트(136)에 유입통로(122)와 연통하는 유입구(137)를 형성하며 지지플레이트(136)의 뒤쪽에 금속필터(134)를 형성한 1차 필터링부(130)와;
    상기 1차 필터링부(130)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2차 필터링부(140); 및
    상기 2차필더링부(14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로 필터링하는 메인필터링부(150)로 구성하되;
    상기 메인필터링부(150)의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는 만곡시킨 다수개의 가이드 휀(151a, 151b)을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형성하되 외주연에 공기의 흐름를 방해하는 차단필름(152a,152b)을 각각 부착하되 외부필터(150a)와 내부필터(150b)에 부착하는 차단필름(152a,152b)이 상호 어긋나게 부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1020160114503A 2016-09-06 2016-09-06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101883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03A KR101883158B1 (ko) 2016-09-06 2016-09-06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03A KR101883158B1 (ko) 2016-09-06 2016-09-06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199A true KR20180027199A (ko) 2018-03-14
KR101883158B1 KR101883158B1 (ko) 2018-08-30

Family

ID=6166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503A KR101883158B1 (ko) 2016-09-06 2016-09-06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1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8174A (ko) * 2011-01-31 2012-08-08 구종철 에어크리너
KR20140106244A (ko) * 2013-02-26 2014-09-03 구종철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20150045400A (ko) * 2014-12-15 2015-04-28 유명기 싸이클론이 장착된 에어크리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8174A (ko) * 2011-01-31 2012-08-08 구종철 에어크리너
KR20140106244A (ko) * 2013-02-26 2014-09-03 구종철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20150045400A (ko) * 2014-12-15 2015-04-28 유명기 싸이클론이 장착된 에어크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158B1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000B1 (ko) 질량 공기 유동 센서 및 탄화수소 트랩 조합
JPH06173630A (ja) Pcvシステム内のガス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
KR101551713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CN201739042U (zh) 内燃发动机的蒸发排放物控制碳罐的空气过滤组件
KR101344417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US20230364543A1 (en) Air filter precleaner
US6032462A (en) Apparatus for cleaning vehicle exhaust gases
KR101883158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101883159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101197198B1 (ko) 에어크리너
CN215723439U (zh) 油烟机
KR100864787B1 (ko) 자동차용 습식 에어크리너
KR20230066817A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200460794Y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JP2005133668A (ja) 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
CN205370684U (zh) 一种高效免维护油气分离器
KR20180024533A (ko) 차량용 공기 청정기
KR20210045033A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TWI550185B (zh) The intake structure of a locomotive with a shunt function
CN219431915U (zh) 两级可拆卸式发动机曲轴箱通风系统
CN218076914U (zh) 一种曲轴箱废气收集装置
KR101171664B1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KR100767519B1 (ko) 차량용 캐니스터의 통기구조
KR20040064874A (ko) 습식공기청정기
KR200343813Y1 (ko) 차량용 연료절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