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198B1 - 에어크리너 - Google Patents

에어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198B1
KR101197198B1 KR1020110009331A KR20110009331A KR101197198B1 KR 101197198 B1 KR101197198 B1 KR 101197198B1 KR 1020110009331 A KR1020110009331 A KR 1020110009331A KR 20110009331 A KR20110009331 A KR 20110009331A KR 101197198 B1 KR101197198 B1 KR 101197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upled
inner cylinder
housing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174A (ko
Inventor
구종철
Original Assignee
구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종철 filed Critical 구종철
Priority to KR102011000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1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6Air cleaners acting by guiding the air over or through an oil or other liquid bath, e.g. combined with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8Air cleaner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particles or liquids from cleaners; with means for indicating clogging; with by-pass means; Regeneration of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흡입구(112)를 외주연에 형성하고 내통체(111)를 내부에 결합하여 흡입통로(113)를 형성하되 내통체(111)의 하부에 오일실(114)을 구비한 하부하우징(110)과;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하되 필터링된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배출구(122)를 외주연에 형성하고 내통체(121)를 결합하여 하부하우징(110)의 흡입통로(113)와 연통되는 흡입통로(123)를 형성한 상부하우징(120)과;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유입통로(123)에 상부를 연통시키고 하부에 와류유도관(132)을 결합하여 와류유도관(132)의 하부가 오일실(114)의 오일(118)에 잠기도록 하는 공기유입관(130)과;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오일실(114) 상측에 상하로 제1,2천공플레이트(141,142)를 각각 결합하여 오일실(114)에 유입된 공기가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필터링되록 하고, 상기 공기유입관(130)의 외주연에 간격을 유지하는 원통형의 제1,2필터(144,145)를 각각 결합하여 제1,2천공플레이트(141,142)를 통과한 공기를 재차 필터링시키는 필터링부(140); 및 상기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을 상하로 결합하는 체결수단(150)으로 구성하므로; 이 물질과 미세먼지를 원활하게 포집하여 제거하여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함과 동시에 최상의 공기를 공급하여 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완전 연소를 유도하여 연료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해배기가스 배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크리너{Air cleaner}
본 발명은 에어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이 물질과 미세먼지를 원활하게 포집하여 제거하여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함과 동시에 최상의 공기를 공급하여 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완전 연소를 유도하여 연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유해배기가스 배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크리너는 자동차의 엔진이 연소되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여 엔진의 연소를 원활하게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에어크리너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공기에서 걸러진 먼지가 내부에 쌓이게 되어 에어크리너의 공기필터를 제거하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내부먼지를 털어내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에어크리너는 유입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원활하게 제거하여 엔진에 이물질이나 미세먼지 함유량이 적은 양질의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공기를 통한 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이물질이나 미세한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필터의 필터층을 개량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 및 구성이 제안되어 왔으나, 대부분 에어크리너 내측에 이물질이나 미세먼지를 여과할 수 있는 공기필터를 구비하고 사용시간의 경과에 따라 공기필터를 교체하여 에어크리너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에어크리너는 내측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 낮은 온도로 인하여 초기 기동시 이물질이나 미세먼지 제거효율이 크게 낮아져 자동차 엔진의 연소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더욱이 엔진의 연소 중에 양질의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탄화수소가 자동차의 운행 중에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에어크리너를 통해 양질의 공기를 엔진에 공급하도록 하되 특히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이물질이나 미세한 먼지가 제거된 양질의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하므로, 자동차 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에어크리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질의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하여 완전 연소를 유도하므로 연료절감이 용이하고 별도의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엔진의 연소를 위한 양질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탄화수소와 같은 유해배기가스의 배출을 억제하여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에어크리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진의 과열 또는 마모를 방지하여 엔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 초기 기동에서도 원활하게 이물질이나 미세한 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엔진의 완전연소를 유도하는 에어크리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크리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흡입량를 조절하여 모든 차량이나 산업기기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일실에 방향제나 향수 등의 여러가지 물질을 충진하여 필요에 따라 여러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크리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에어크리너는 흡입구를 외주연에 형성하고 내통체를 내부에 결합하여 흡입통로를 형성하되 내통체의 하부에 오일실을 구비한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결합하되 필터링된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외주연에 형성하고 내통체를 결합하여 하부하우징의 흡입통로와 연통되는 흡입통로를 형성한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유입통로에 상부를 연통시키고 하부에 와류유도관을 결합하여 와류유도관의 하부가 오일실의 오일에 잠기도록 하는 공기유입관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오일실 상측에 상하로 제1, 2천공플레이트를 각각 결합하여 오일실에 유입된 공기가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필터링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유입관의 외주연에 간격을 유지하는 원통형의 제1, 2필터를 각각 결합하여 제1, 2천공플레이트를 통과한 공기를 재차 필터링시키는 필터링부; 및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을 상하로 결합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어크리너는 자동차의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이물질이나 미세한 먼지를 완벽하게 제거하여 양질의 공기를 엔진 공급하므로, 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이고 이에 따른 연료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오일의 와류와 비산을 유도하여 이물질이나 포집효율을 향상시켜 엔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엔진으로 먼지 및 불순물이 제거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엔진의 마모와 같은 엔진손상을 억제하며, 필터를 금속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간단한 분리 결합으로 세척이 용이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에어크리너는 산업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실내공기정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크리너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크리너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1 내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크리너(100)는 흡입구(112)를 외주연에 형성하고 내부에 내통체(111)를 결합하여 흡입통로(113)를 형성하되 내통체(111)의 하부에 오일실(114)을 구비한 하부하우징(110)과;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하되 필터링된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배출구(122)를 외주연에 형성하고 내통체(121)를 결합하여 하부하우징(110)의 흡입통로(113)와 연통되는 흡입통로(123)를 형성한 상부하우징(120)과;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유입통로(123)에 상부를 연통시키고 하부에 와류유도관(132)을 결합하여 와류유도관(132)의 하부가 오일실(114)의 오일(118)에 잠기도록 하는 공기유입관(130)과;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오일실(114) 상부에 상하로 제1, 2천공플레이트(141,142)를 각각 결합하여 오일실(114)로 유입된 공기가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필터링되록 하고, 공기유입관(130)의 외주연에 간격을 유지하는 원통형의 제1, 2필터(144,145)를 각각 결합하여 제1, 2천공플레이트(141,142)를 통과한 1차로 필터링된 공기가 2차로 필터링되도록 하는 필터링부(140); 및 상기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을 상하로 체결하는 체결수단(150)으로 구성한다.
상기 하부하우징(110)은 내부에 내통체(111)를 삽입하여 결합하되 하부하우징(110)의 내주연과 내통체(111)의 외주연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흡입통로(113)를 둘레에 형성한다.
여기서 하부하우징(110)과 내통체(111)의 중앙 하부를 하향으로 돌출시켜 오일실(114)을 형성하여 오일(118)의 와류 및 비산이 원활하게 발생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오일실(114)은 내부 중앙에 내통체(111) 외부와 연통되는 체결관(116)을 세워 결합하고 내부에 히터(115)를 구비하여 겨울철이나 극한지역에서 초기기동시 오일(118)을 히팅하여 엔진 시동과 동시에 초기에 공급되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필터링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내통체(111)의 상측에는 가이드프레임(117)을 형성하여 필터링부(130)의 제1, 2필터(144,145)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되 하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공기유입관(130)과 제1필터(144) 사이로 유도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20)은 내부에 내통체(121)를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부하우징(120)의 내주연과 상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하부하우징(110)의 흡입통로(123)와 연통되는 흡입통로(123)를 둘레와 상측에 형성한다.
여기서 내통체(121)의 상측 중앙에는 구멍을 천공하여 흡입통로(123)로 유입된 공기를 하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나아가 상부하우징(120)은 중앙에는 구멍을 천공하여 체결수단(150)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구멍부위를 내부 측으로 돌출시켜 흡입통로(123)로 유입되는 공기를 하향으로 유도한다.
상기 공기유입관(130)은 상부하우징(120)의 내통체(121)에 형성된 구멍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흡입통로(123)에서 원활하게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되 하부 내측에 다수개의 와류유도관(132)을 원호 상으로 결합하여 와류유도관(132)의 하부가 오일실(114)의 오일(118)에 잠기도록 하므로 공기의 흐름에 따라 오일(118)이 와류 및 비산되도록 하므로, 흡입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이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기유입관(130)은 하부에 하부커버(131)를 나사결합하고 하부커버(131)에 다수개의 와류유도관(132)을 형성하고 중앙에 센터공(133)을 형성하여 체결관(116)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링부(140)는 오일실(114) 상측에 부착된 가이드프레임(117)의 내측에 상하로 제1,2천공플레이트(141,142)를 각각 부착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므로, 오일실(114)을 거쳐 유입되는 흡입공기의 이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이 필터링 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2천공플레이트(141,142)는 상하로 적정간격을 유지하되 중앙에 수직으로 가이드관(143)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가이드관(143)에 공기유입관(130)의 하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가이드프레임(117)의 상면과 상부하우징(120)의 내통체(121) 사이에 수직으로 공기유입관(130)의 외주연에 적정간격을 유지하는 원통형의 제1,2필터(144,145)를 각각 결합하므로, 제1,2천공플레이트(141,142)를 통과한 필터링된 흡입공기가 재차 필터링되어 잔류된 이물질이나 미세먼지를 완벽하게 필터링 하도록 한다.
더욱이 제1천공플레이트(141)의 천공 구멍 내경을 제2천공플레이트(142)의 천공 구멍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므로, 제1천공플레이트(141)에서는 비교적 이물질이나 크게 포집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고, 제2천공플레이트(142)에서는 제1천공플레이트(141)에서 통과한 이물질이나 포집된 미세먼지 등을 필터링하도록 한다.
또한, 제1필터(144)의 메시 내경을 제2필터(145)의 메시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하므로, 제1천공플레이트(141)와 제2천공플레이트(142)를 통과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재차 필터링하되 순차적으로 잔류 이물질이나 미세먼지를 완벽하게 제거하도록 한다.
나아가 제1필터(144)와 제2필터(145)는 금속망으로 형성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수단(150)은 하부하우징(110)에 결합된 내통체(111)의 하부에서 체결관(116)으로 볼트(151)를 수직으로 끼워 상부하우징(11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나비너트(152)로 체결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흡입구(112)로 공기가 흡입되면 상,하부하우징(120)과 내통체(111,121) 사이에 형성된 흡입통로(113,123)를 통해 중앙에 위치하는 공기공급관(130)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여기서 공기공급관(130)으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공급관(130)의 와류유도관(132)으로 흡입되면서 오일실(114)의 오일(118)을 와류 및 비산 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흡입공기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과 미세먼지 등을 오일(118)과 함께 포집시키게 된다.
이렇게 이물질과 미세먼지 등이 포집된 오일(118)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천공플레이트(141)와 제2천공플레이트(142)를 거치면서 대부분 오일실(114)로 다시 떨어져 1차 필터링 된다.
나아가 1차필터링된 공기는 다시 제1,2필터(144,145)를 거쳐 잔류된 소량의 이물질이나 미세먼지를 완벽하게 제거하여 배출구(122)를 통해 엔진으로 양질의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동절기에는 오일실(114)의 히터(115)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오일실(114)의 오일(118)을 히팅하므로 오일(118)의 와류 및 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엔진에 양질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흡입량 크기를 조절하여 전차종에 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기기 다양한 분야에서 실내공기정화용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에어크리너 110 : 하부하우징
111 : 내통체 112 : 흡입구
113 : 흡입통로 114 : 오일실
115 : 히터 116 : 체결관
117 : 가이드프레임 118 : 오일
120 : 상부하우징 121 : 내통체
122 : 배출구 130 : 공기유입관
131 : 하부커버 132 : 와류유도관
133 : 센터공 140 : 필터링부
141 : 제1천공플레이트 142 : 제2천공플레이트
143 : 가이드관 144 : 제1필터
145 : 제2필터 150 : 체결수단
151 : 볼트 152 : 나비너트

Claims (4)

  1. 흡입구(112)를 외주연에 형성하고 내통체(111)를 내부에 결합하여 흡입통로(113)를 형성하되 내통체(111)의 하부에 오일실(114)을 구비한 하부하우징(110)과;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하되 필터링된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배출구(122)를 외주연에 형성하고 내통체(121)를 결합하여 하부하우징(110)의 흡입통로(113)와 연통되는 흡입통로(123)를 형성한 상부하우징(120)과;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유입통로(123)에 상부를 연통시키고 하부에 와류유도관(132)을 결합하여 와류유도관(132)의 하부가 오일실(114)의 오일(118)에 잠기도록 하는 공기유입관(130)과;
    상기 하부하우징(110)의 오일실(114) 상측에 상하로 제1,2천공플레이트(141,142)를 각각 결합하여 오일실(114)에 유입된 공기가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필터링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유입관(130)의 외주연에 간격을 유지하는 원통형의 제1,2필터(144,145)를 각각 결합하여 제1,2천공플레이트(141,142)를 통과한 공기를 재차 필터링시키는 필터링부(140); 및
    상기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을 상하로 결합하는 체결수단(15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110)은 하부하우징(110)과 내통체(111)의 중앙 하향으로 돌출시켜 오일실(114)을 형성하되 오일실(114)의 내부 중앙에 체결관(116)을 세워 결합하고, 오일실(114)의 내부에는 오일(118)을 히팅하는 히터(115)를 구비하며, 내통체(111)의 상측에 가이드프레임(117)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유입관(130)은 하부에 하부커버(131)를 나사결합하고 하부커버(131)에 다수개의 와류유도관(132)을 형성하고 중앙에 센터공(133)을 형성하여 체결관(116)을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140)의 제1,2천공플레이트(141,142)는 중앙에 수직으로 가이드관(143)을 형성하여 공기유입관(130)의 하부를 가이드관(143)에 삽입하고, 가이드프레임(117)의 상면과 상부하우징(120)의 내통체(121) 사이에 수직으로 원통형의 제1,2필터(144,145)를 각각 결합하되 공기유입관(130)의 외주연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140)의 제1천공플레이트(141)의 내경보다 제2천공플레이트(142)의 내경을 작게하고, 제1필터(144)의 메시 간격보다 제2필터(145)의 메시 간격을 작게하되 제1필터(144)와 제2필터(145)를 금속망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KR1020110009331A 2011-01-31 2011-01-31 에어크리너 KR101197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31A KR101197198B1 (ko) 2011-01-31 2011-01-31 에어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31A KR101197198B1 (ko) 2011-01-31 2011-01-31 에어크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174A KR20120088174A (ko) 2012-08-08
KR101197198B1 true KR101197198B1 (ko) 2012-11-05

Family

ID=4687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331A KR101197198B1 (ko) 2011-01-31 2011-01-31 에어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158B1 (ko) * 2016-09-06 2018-08-30 구종철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CN114017215A (zh) * 2021-12-10 2022-02-08 烟台明鼎环保科技有限公司 六筒旋流滤芯总成及其采用的重型汽车油浴式滤清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6647A (en) 1976-03-08 1978-09-26 Vortox Company Air cleaner
US4224042A (en) 1977-10-25 1980-09-23 Whitehead Motofides Spa Oil bath air cleaner
US4235609A (en) 1977-11-10 1980-11-25 Whitehead Motofides S.P.A. Oil bath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6647A (en) 1976-03-08 1978-09-26 Vortox Company Air cleaner
US4224042A (en) 1977-10-25 1980-09-23 Whitehead Motofides Spa Oil bath air cleaner
US4235609A (en) 1977-11-10 1980-11-25 Whitehead Motofides S.P.A. Oil bath air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174A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73630A (ja) Pcvシステム内のガス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
JP3276935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ガス浄化装置
KR101344417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101197198B1 (ko) 에어크리너
JP5338568B2 (ja) オイルミストセパレータ
KR101551713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TWM574630U (zh) 空氣濾清器構造
JP6629489B2 (ja) 排ガス再循環システム用水処理フィルターシステム
JP2019183830A (ja) 車両の後尾用空気浄化装置
RU163587U1 (ru) Фильтр очистки газового топлива
KR101883158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101883159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20090052451A (ko) 디젤엔진용 연료필터
CN209934316U (zh) 一种汽车多级空气过滤装置
KR10230675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0324821Y1 (ko) 자동차 배기가스 여과필터를 갖는 소음기
KR100864787B1 (ko) 자동차용 습식 에어크리너
KR20230066817A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20210009490A (ko) 다단 습식 집진기
CN209093068U (zh) 一种用于油气分离的三级除污装置
CN220779601U (zh) 废气收集处理器
CN220424845U (zh) 一种汽车尾气过滤净化装置
CN203412644U (zh) 一种柴油机油气预分离装置
CN211302566U (zh) 一种餐饮油烟净化装置
CN210186744U (zh) 工业除油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