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148A -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148A
KR20180025148A KR1020170068532A KR20170068532A KR20180025148A KR 20180025148 A KR20180025148 A KR 20180025148A KR 1020170068532 A KR1020170068532 A KR 1020170068532A KR 20170068532 A KR20170068532 A KR 20170068532A KR 20180025148 A KR20180025148 A KR 20180025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sensor
substrate
groun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0055B1 (ko
Inventor
타카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25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노이즈의 영향 저감과 검출 감도 확보가 양립된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 1 센서 배선을 가지는 제 1 배선층과, 제 1 그라운드 배선을 가지고 상기 제 1 배선층과는 다른 층에 배치된 제 2 배선층을 구비하며,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상기 제 1 그라운드 배선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센서 배선과 병행하고 있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배선의 상기 제 1 센서 배선과 병행하는 부분이, 상기 제 1 배선층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사용자가 손가락, 펜 등으로 접촉함으로써 조작을 수행하는 입력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입력 장치에는, 피검출물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터치 센서의 검출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등 여러가지 방식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터치 센서의 검출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 패턴과 컨트롤러는 출력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 배선을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는, 손가락 접촉 등에 기인하는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고, 이와 같은 외부 노이즈는, 터치 센서의 오동작의 원인이 되는 일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서는, 출력 배선과 전극 기판 사이에 실드층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2009-169720 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터치 센서에서는, 대향하는 평면상 실드층에 출력 배선이 개재되는 배치로 되어 있어, 출력 배선과 실드층 사이에 큰 정전 용량이 발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실드층을 설치한 구성에서는 배선의 시정수가 커지기 때문에 터치 센서의 검출 감도가 저하되는 것이 과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외부 노이즈의 영향 저감과 검출 감도 확보가 양립된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제 1 센서 배선을 가지는 제 1 배선층과, 제 1 그라운드 배선을 가지고 상기 제 1 배선층과는 다른 층에 배치된 제 2 배선층을 구비하고,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상기 제 1 그라운드 배선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센서 배선과 병행하고 있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배선의 상기 제 1 센서 배선과 병행하는 부분이, 상기 제 1 배선층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관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센서 배선을 가지는 제 1 배선층과, 제 1 그라운드 배선을 가지고 상기 제 1 배선층과는 다른 층에 배치된 제 2 배선층을 구비하고,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상기 제 1 그라운드 배선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센서 배선과 병행하고 있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배선의 상기 제 1 센서 배선과 병행하는 부분이, 상기 제 1 배선층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가 설치된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노이즈의 영향 저감과 검출 감도 확보가 양립된 터치 센서가 제공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Y 방향 검출용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X 방향 검출용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X 방향 검출용 기판과 Y 방향 검출용 기판을 중첩한 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배선 및 그라운드 배선의 구조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배선 및 그라운드 배선의 구조도이다.
도 6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배선 및 그라운드 배선의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통하여 공통된 기능을 가지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10)는 정전 용량 방식 센서로서, 피검출물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한다. 터치 센서(10)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 펜 등으로 접촉함으로써 조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로서 이용된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터치 센서(10)를 포함시킴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터치 센서(10)를 입출력 장치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터치 패널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터치 센서(10)가 설치된 표시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용 디스플레이, 휴대전화, 게임기 등 전자 기기에 이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10)는, 센서 기판(100), 배선 기판(200) 및 제어 회로(300)를 가진다. 센서 기판(100)은, 검출 영역(110) 및 프레임 영역(120)을 가진다. 검출 영역(110)은, 사용자 손가락, 펜 등의 피검출물에 의한 터치(근접 또는 접촉)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검출부가 구비된 영역이다. 프레임 영역(120)은, 검출 영역 주위의 터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지 않은 영역이다. 프레임 영역(120) 내에는 배선이 설치되어 있다. 배선 기판(200)은, 센서 기판(100)으로부터의 출력 신호 및 터치 센서(10)의 구동을 위한 구동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접속 배선이 설치된 기판이다. 배선 기판(200)에는, 예를 들면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배선 기판(200) 내의 배선은, 제어 회로(300)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300)는, 터치 센서(10)의 구동, 검출 영역(110)으로부터의 출력 신호 처리 등 터치 센서(10)의 전체 제어를 수행하는 회로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기판(100)의 사시도이다. 센서 기판(100)은, 제 1 기판(130)과 제 2 기판(140)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 1 기판(130)은, Y 방향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전극을 구비한 기판이고, 제 2 기판(140)은, X 방향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전극을 구비한 기판이다. 제 1 기판(130) 및 제 2 기판(140)은, 예를 들면 유리를 주재료로 하는 절연체이다. 제 1 기판(130) 및 제 2 기판(140)은, 광학 투명 접착제, 광학 투명 수지 등 도시하지 않은 접착층에 의해 접합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기판 이외의 기판 또는 필름이 더욱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터치 센서(10)가 액정 디스플레이 등 표시 장치용 터치 센서인 경우, 액정 패널 등의 표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기판이 더욱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액정 패널 내의 기판 상 배선 등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10)를 형성함으로써 터치 센서(10)의 기능이 액정 패널에 내장되는 구조여도 된다.
도 3a는, Y 방향 검출용 기판인 제 1 기판(130)의 평면도이다. 제 1 기판(130)의 검출 영역(110)에는, 센서 전극(131), 센서 패드(132)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전극(131)은,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 전극이다. 도 3a에서는 예시로서 Y 방향으로 배열된 5개의 센서 전극(131)이 도시되어 있지만, 센서 전극(131)의 개수는 도시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패드(132)는, 센서 전극(131) 각각의 양단에 설치된 패드이다.
제 1 기판(130)의 프레임 영역(120)에는, 센서 배선(133, 제 1 센서 배선), 그라운드 배선(134, 제 2 그라운드 배선), 센서 단자(135), 그라운드 단자(136)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배선(133)은, 각 센서 패드(132)와, 대응하는 센서 단자(135) 사이에 접속된 배선이다. 센서 배선(133)은, Y 방향(제 1 방향)의 터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이다.
그라운드 배선(134)은, 검출 영역(110)의 하방(Y축 마이너스측)에 배치되어 있다. 센서 배선(133) 및 그라운드 배선(134)은, 제 1 기판(130) 상의 동일 배선층(제 1 배선층)에 형성된다. 그라운드 배선(134)은,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부가 X 방향 및 Y 방향으로 교차하는 격자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로써 복수의 배선으로 이루어지는 그라운드 배선(134)은 모두 동전위로 되어 있다. 그라운드 배선(134)은, 2개의 그라운드 단자(136)에 접속된다. 또한 그라운드 단자(136)가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1개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센서 단자(135)는, 배선 기판(200) 상의 배선을 통하여 제어 회로(300)에 접속된다. 그라운드 단자(136)는, 배선 기판(200)의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또한 도 3a에서, 그라운드 배선(134)의 교차부는 도통(導通)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b는, X 방향 검출용 기판인 제 2 기판(140)의 평면도이다. 제 2 기판(140)의 검출 영역(110)에는, 센서 전극(141), 센서 패드(142)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전극(141)은, Y 방향으로 신장되는 장방형 전극이다. 도 3b에서는 예시로서 8개의 센서 전극(141)이 도시되어 있지만, 센서 전극(141)의 개수는 도시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패드(142)는, 센서 전극(141) 각각의 양단에 설치된 패드이다.
제 2 기판(140)의 프레임 영역(120)에는, 센서 배선(143, 제 2 센서 배선), 그라운드 배선(144, 제 1 그라운드 배선), 센서 단자(145), 그라운드 단자(146)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배선(143)은, 각 센서 패드(142)와, 대응하는 센서 단자(145) 사이에 접속된 배선이다. 센서 배선(143)은, X 방향(제 2 방향)의 터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이다.
그라운드 배선(144)은, 검출 영역(110)의 우측 방향(X축 플러스 측), 좌측 방향(X축 마이너스측) 및 상방(Y축 플러스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그라운드 배선(144)이 검출 영역(110)을 둘러싸듯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외부 노이즈에 대한 실드로서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센서 배선(143) 및 그라운드 배선(144)은, 제 2 기판(140) 상의 동일 배선층(제 2 배선층)에 형성된다. 그라운드 배선(144)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부가 X 방향 및 Y 방향으로 교차하는 격자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로써 복수의 배선으로 이루어지는 그라운드 배선(144)은 모두 동전위로 되어 있다. 그라운드 배선(144)은, 복수의 센서 단자(145)의 양단에 설치된 2개의 그라운드 단자(136)에 접속된다. 또한 그라운드 단자(146)가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1개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센서 단자(145)는, 배선 기판(200) 상의 배선을 통하여 제어 회로(300)에 접속된다. 그라운드 단자(146)는, 배선 기판(200)의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또한 도 3b에서도, 그라운드 배선(144)의 교차부는 도통(導通)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센서 전극(131, 141), 센서 배선(133, 143), 그라운드 배선(134, 144)은, 예를 들면 산화 인듐 주석(ITO) 등의 투명 도전막, 선폭 수 μm의 메쉬상으로 한 구리, 은 등의 금속 전극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전극 구성은,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터치 패널용 터치 센서(10)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도 3c는, 제 1 기판(130)과 제 2 기판(140)을 중첩한 상태에서 +Z 방향으로부터 본 투시도이다. 도 3c에서는, 제 2 기판(140) 상의 패턴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 1 기판(130) 상의 패턴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 영역(120)에서, 센서 배선(133)과 그라운드 배선(144)은,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적어도 일부가 서로 병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그라운드 배선(144)의 센서 배선(133)과 병행하는 부분이, 센서 배선(13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배선층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센서 배선(143)과 그라운드 배선(134)은,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적어도 일부가 서로 병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그라운드 배선(134)의 센서 배선(143)과 병행하는 부분이, 센서 배선(143)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배선층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a)는, 도 3c의 일점 쇄선 테두리로 도시한 영역 A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4(b)는, 도 4(a)의 A-A'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센서 배선(133) 사이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라운드 배선(144)이 위치하고 있고,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144) 사이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센서 배선(133)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센서 배선(143)과 그라운드 배선(134)이 병행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기판(130)과 제 2 기판(140)은 접착층에 의해 접합될 수 있지만, 도 4(b)에서는 이 접착층은 도시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그라운드 배선(144)은 센서 배선(133)을 개재하는 위치 관계가 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 접촉 등에 기인하는 외부 노이즈에 대한 실드로서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센서 배선(133)과 그라운드 배선(144)이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과 같이 배선이 평면상 실드층과 대향하는 배치인 경우와 비교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배선(133)과 그라운드 배선(144) 사이의 정전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저항과 배선에 기생하는 정전 용량에 의해 정해지는 시정수가 작아지고 신호 지연이 저감하므로, 검출 감도 열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노이즈에 대한 실드로서 그라운드 배선을 설치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검출 감도 열화를 적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부 노이즈의 영향 저감과 검출 감도 확보가 양립된 터치 센서(10)가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를 액정 패널 등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적용함으로써, 외부 노이즈의 영향 저감과 검출 감도 확보가 양립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운드 배선(144)을 센서 배선(133) 사이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센서 배선 외주에 그라운드 배선용 영역을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표시 장치의 프레임을 좁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기판의 단면도이고, 제 1 실시형태의 도 4(b)에 대응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기판(100)이 제 1 기판(130)과 제 2 기판(140), 2개의 기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기판(150)의 제 1 주면에 센서 배선(133)을 포함하는 제 1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주면의 반대측인 제 2 주면에 그라운드 배선(144)을 포함하는 제 2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기타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판(150)의 양면에 제 1 배선층과 제 2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비교적 단순화된 구조의 경우에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외부 노이즈의 영향 저감과 검출 감도 확보를 양립할 수 있다.
1개의 기판을 개재하여 센서 배선과 그라운드 배선이 형성되는 구성에서는, 이들 배선 사이의 거리가 작으므로 정전 용량이 커지기 쉽다. 따라서 특허문헌 1과 같이 배선이 평면상 실드층과 대향하는 배치를 채용하면, 실드 설치에 의한 검출 감도 열화가 더욱 현저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복수의 센서 배선(133) 사이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라운드 배선(144)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검출 감도 열화를 적게 하는 효과가 더욱 현저해진다.
<제 3 실시형태>
도 6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기판의 단면도이고, 제 2 실시형태의 도 5에 대응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기판(150)의 서로 다른 면에 센서 배선(133)과 그라운드 배선(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기판(160) 상에 센서 배선(133)을 포함하는 제 1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절연층(17)을 개재하여 그라운드 배선(144)을 포함하는 제 2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또한 그 위에 절연층(180)이 더욱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170, 180)은, 센서 배선(133) 및 그라운드 배선(144)을 보호하는 passivation층으로서 기능한다. 기타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판(150)의 양면에 제 1 배선층과 제 2 배선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비교적 단순화된 구조의 경우에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외부 노이즈의 영향 저감과 검출 감도 확보를 양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절연층(170)을 개재하고 센서 배선과 그라운드 배선이 형성되는 구성에서도, 이들 배선 사이의 거리가 작으므로 정전 용량이 커지기 쉽다. 따라서 특허문헌 1과 같이 배선이 평면상 실드층과 대향하는 배치를 채용하면, 실드 설치에 의한 검출 감도 열화가 더욱 현저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복수의 센서 배선(133) 사이에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라운드 배선(144)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검출 감도 열화를 적게 하는 효과가 더욱 현저해진다.
<기타 실시형태>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양태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수정하거나 변형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한 배선 레이아웃은 예시이고, 터치 센서(10) 설계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센서 배선(133)은 검출 영역(110)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있지만, 편측에서만 인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4(b)에서, 센서 배선(133)과 그라운드 배선(144)은 모두 기판 상면에 설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센서 배선(133)과 그라운드 배선(144)이 대향하도록 그라운드 배선(144)이 제 2 기판(14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센서 배선(133)이 제 1 기판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130: 제 1 기판 133: 센서 배선
140: 제 2 기판 144: 그라운드 배선

Claims (10)

  1. 제 1 센서 배선을 가지는 제 1 배선층과,
    제 1 그라운드 배선을 가지고, 상기 제 1 배선층과는 다른 층에 배치된 제 2 배선층을 구비하고,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상기 제 1 그라운드 배선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센서 배선과 병행하고 있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배선의 상기 제 1 센서 배선과 병행하는 부분이, 상기 제 1 배선층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층은 복수의 상기 제 1 센서 배선을 가지고,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상기 제 1 그라운드 배선의 상기 제 1 센서 배선과 병행하는 부분이, 복수의 상기 제 1 센서 배선 사이에 있는 터치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라운드 배선은 적어도 일부가 격자상인 터치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라운드 배선은, 피검출물의 터치를 검출하는 검출 영역을 둘러싸듯이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층은 제 2 그라운드 배선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 2 배선층은 제 2 센서 배선을 더욱 구비하며,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상기 제 2 그라운드 배선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센서 배선과 병행하고 있고, 상기 제 2 그라운드 배선의 상기 제 2 센서 배선과 병행하는 부분이, 상기 제 2 배선층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배선은, 제 1 방향의 터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이고,
    상기 제 2 센서 배선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의 터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인 터치 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적층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 1 배선층은,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배선층은,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 센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을 가지는 제 1 기판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 1 배선층은,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제 1 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배선층은,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제 2 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 센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기판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 1 배선층은,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배선층은, 상기 제 1 배선층 상에 절연층을 사이에 개재하여 형성되어 있는 터치 센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터치 센서가 설치된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0170068532A 2016-08-29 2017-06-01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KR101960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6625A JP6920798B2 (ja) 2016-08-29 2016-08-29 タッチセンサ及び表示装置
JPJP-P-2016-166625 2016-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148A true KR20180025148A (ko) 2018-03-08
KR101960055B1 KR101960055B1 (ko) 2019-03-19

Family

ID=6156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532A KR101960055B1 (ko) 2016-08-29 2017-06-01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20798B2 (ko)
KR (1) KR1019600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9720A (ja) 2008-01-17 2009-07-30 Smk Corp タッチセンサ
KR20130019105A (ko) * 2011-08-16 2013-0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414230B1 (ko) * 2014-02-07 2014-07-01 에스맥 (주) 터치스크린 패널 시트의 제조방법
KR20150027681A (ko) * 2013-08-29 2015-03-12 미래나노텍(주) 터치스크린 패널용 배선 전극,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7081A (ko) * 2014-04-09 2015-10-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434A1 (ja) * 2011-04-22 2012-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130207922A1 (en) * 2012-02-09 2013-08-15 Simon Gillmore Preventing or reducing corrosion to conductive sensor traces
CN103376928B (zh) * 2012-04-17 2017-04-19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TWM461833U (zh) * 2012-12-27 2013-09-11 Wintek Corp 觸控面板
JP2015011492A (ja) * 2013-06-28 2015-01-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11493A (ja) * 2013-06-28 2015-01-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JP5969961B2 (ja) * 2013-07-12 2016-08-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配線基板
JP6233075B2 (ja) * 2014-02-06 2017-11-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を備える入出力装置
US20170139503A1 (en) * 2014-06-12 2017-05-18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Optically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9720A (ja) 2008-01-17 2009-07-30 Smk Corp タッチセンサ
KR20130019105A (ko) * 2011-08-16 2013-0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50027681A (ko) * 2013-08-29 2015-03-12 미래나노텍(주) 터치스크린 패널용 배선 전극,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414230B1 (ko) * 2014-02-07 2014-07-01 에스맥 (주) 터치스크린 패널 시트의 제조방법
KR20150117081A (ko) * 2014-04-09 2015-10-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36693A (ja) 2018-03-08
JP6920798B2 (ja) 2021-08-18
KR101960055B1 (ko)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5239B2 (en) Electrostatic capacitance-type input device
KR101598412B1 (ko) 전극 시트 및 터치 입력 장치
JP5300684B2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静電容量型入力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入力機能付き電気光学装置
US8531409B2 (en) Electrical capacitance input device, display apparatus with input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8982078B2 (en) Touch screen panel
KR102297204B1 (ko) 터치 센서
EP2613235A2 (en) Tou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75699B1 (ko) 터치패널
TWI502445B (zh) 觸控顯示裝置及觸控基板
JP2011138261A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入力機能付き電気光学装置
JP2012084025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US9933907B2 (en) Touch screen, touch panel, display, and electronic apparatus
EP2713249B1 (en) Touch display module and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JP2016212766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4170334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手持ち式電子機器
US20160320881A1 (en) Using Touch Sensors as an Electromagnetic Shield
KR20170061758A (ko) 표시 장치
JP6777057B2 (ja) タッチパネル
KR101960055B1 (ko)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KR101838570B1 (ko) 전극시트 및 터치 입력 장치
KR20160098988A (ko) 터치 입력 장치
KR101865301B1 (ko) 터치 입력 장치
JP2020149563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7270170B2 (ja) タッチセンサ
WO2018190008A1 (ja) タッチ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