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204B1 - 터치 센서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204B1
KR102297204B1 KR1020150007629A KR20150007629A KR102297204B1 KR 102297204 B1 KR102297204 B1 KR 102297204B1 KR 1020150007629 A KR1020150007629 A KR 1020150007629A KR 20150007629 A KR20150007629 A KR 20150007629A KR 102297204 B1 KR102297204 B1 KR 102297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electrode
line
electrod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533A (ko
Inventor
조세형
김일곤
김경훈
전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7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204B1/ko
Priority to US14/852,830 priority patent/US10120508B2/en
Publication of KR2016008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일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라인, 제1 터치 전극 라인에 대해서 기울어진 사선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라인을 포함하고, 제1 터치 전극 라인은 상기 제2 터치 전극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터치 전극 라인과 교차한다.

Description

터치 센서{TOUCH SENSOR}
본 발명은 터치 센서에 관한 것으로,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과 전기 광학 활성층(electro-optical active layer)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전기장 생성 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고, 전기 광학 활성층은 이러한 데이터 신호를 광학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은 무겁고 파손되기 쉬운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그 휴대성 및 대화면 표시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중량이 가볍고 충격에 강할 뿐만 아니라 가요성(flexible)인 플라스틱 기판을 표시 패널의 기판으로 사용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이외에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터치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기능은 사용자가 화면 위에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을 접근하거나 접촉하여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경우 표시 장치가 화면에 가한 압력, 전하, 빛 등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물체가 화면에 접근하거나 접촉하였는지 여부 및 그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러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입력 받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 기능은 터치 센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기 유도형(electro-magnetic type, EM), 광 감지 방식(optical type) 등 다양한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이중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한다. 터치 전극은 다른 터치 전극과 감지 축전기를 형성할 수도 있고(mutual-capacitor type), 외부 물체와 함께 감지 축전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self-capacitor type). 손가락과 같은 도전체가 터치 센서에 접근하거나 접촉하면 감지 축전기의 정전 용량(capacitance) 또는 충전 전하량에 변화가 발생하여 이를 통해 접촉 여부와 접촉 위치 등을 알아낼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전극은 접촉이 감지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 전달 배선에 연결될 수 있다. 신호 전달 배선은 터치 감지 영역 안에 위치할 수도 있고 터치 감지 영역 주변의 비감지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신호 전달 배선은 터치 전극에 감지 입력 신호를 전달하거나 터치에 따라 생성된 터치 전극의 감지 출력 신호를 감지 신호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표시 장치에 내장되거나(in-cell type) 표시 장치의 바깥쪽 면에 직접 형성되거나(on-cell type) 별도의 터치 센서부가 표시 장치에 부착되어(add-on cell type)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경우 터치 센서가 형성된 필름 또는 판 형태의 별도의 터치 센서부를 형성한 후 이를 표시 패널 위에 부착(add-on cell type)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터치 센서부가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용 터치 전극과 감지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출력용 터치 전극을 각각 포함하는 상호 축전기 타입의 터치 센서인 경우, 입력용 터치 전극과 출력용 터치 전극과 각각 신호 배선을 연결하기 때문에 이들이 형성되는 주변 영역의 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호 축전기 타입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에서 주변 영역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일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라인, 제1 터치 전극 라인에 대해서 기울어진 사선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라인을 포함하고, 제1 터치 전극 라인은 제2 터치 전극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터치 전극 라인과 교차한다.
상기 제1 터치 전극 라인과 제2 터치 전극 라인은 구동부와 연결하기 위한 패드를 가지는 패드 신호선과 각각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 라인 또는 제2 터치 전극 라인은 각각 복수의 터치 전극, 이웃하는 터치 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전극을 포함하고, 연결 전극은 사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터치 전극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 라인 또는 제2 터치 전극 라인은 각각 복수의 터치 전극, 상기 터치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 전극을 포함하고, 연결 전극은 사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터치 전극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 라인의 연결 전극 또는 제2 터치 전극 라인의 연결 전극 중 어느 하나는 터치 전극과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전극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터치 전극 라인과 나란한 방향으로 뻗은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신호선은 터치 전극과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터치 전극 라인을 형성하면 터치 전극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신호선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주변 영역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배젤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터치 전극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터치 전극 배치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0)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TA)과 그 바깥쪽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PA)을 가지는 기판(120)을 포함한다.
터치 감지 영역(TA)에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라인(100)과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터치 전극 라인(100)은 일방향(Y)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은 제1 터치 전극 라인(100)에 대해서 기울어진 사선 방향(D)으로 뻗어 있다. 사선 방향(D)은 X축과 Y축 사이 방향으로 뻗는 방향이다.
제1 터치 전극 라인(100)은 복수의 제1 터치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제1 터치 전극 라인에 포함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은 연결 전극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은 복수의 제2 터치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제2 터치 전극 라인에 포함된 복수의 제2 터치 전극은 연결 전극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 라인(100)과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에 포함된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 중 서로 이웃하는 터치 전극은 터치 센서로서 기능하는 상호 감지 축전기(mutual sensing capacitor, C)를 형성한다. 상호 감지 축전기는 제1 터치 전극 및 제2 터치 전극 중 하나를 통해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 받고 외부 물체의 접촉에 의한 전하량 변화를 감지 출력 신호로서 나머지 터치 전극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 라인(100)과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은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패드 신호선(42, 44)을 통해서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패드 신호선(42, 44)은 구동부와 연결하기 위해서 터치 영역(TA)의 일측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PA)에 위치한다.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패드 신호선의 일단인 패드(도시하지 않음) 위에 직접 장착되거나, 가요성 인쇄 회로막 위에 장착되어 TCP의 형태로 패드와 연결되거나,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 위에 장착된 후 패드와 연결될 수도 있다. 구동부는 패드를 통해 제1 터치 전극 라인과 제2 터치 전극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 라인(100)은 대략 사각형인 터치 감지 영역(TA)에서 사각형의 한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뻗어 제1 터치 전극 라인(100)은 대부분 터치 영역(TA)에 위치하고, 터치 영역(TA) 내에 위치하는 제1 터치 전극 라인(100)의 길이는 대략 비슷하다.
그러나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은 대략 사각형인 터치 영역(TA) 내에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영역(TA)을 대각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대각선(중앙을 지나는 가장 긴 대각선)에 인접할수록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의 길이는 길어지고, 가상의 대각선으로부터 멀어져 터치 감지 영역(TA)의 모퉁이와 인접할수록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상대적으로 패드 신호선(44)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은 패드 신호선(44)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패드 신호선(44)과 멀리 위치하는 제2 터치 전극 라인(300)은 별도의 연결 신호선(60)을 이용하여 구동부와 연결할 수 있다.
연결 신호선(60)은 제1 터치 전극 라인(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모퉁이와 인접한 제2 터치 전극 라인(300)과 직접 연결(80)될 수 있으나, 절연막 등이 형성될 경우 접촉 구멍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신호선(60)이 제1 터치 전극 라인(10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터치 전극 라인 및 제2 터치 전극 라인과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 신호선(60)은 주변 영역(PA)에 형성(도시하지 않음)될 수 있으며, 주변 영역(PA)에 연결 신호선(60)을 형성할 경우 연결 신호선(60)은 제1 터치 전극 라인 또는 제2 터치 전극 라인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터치 패널의 대부분은 도 1과 대부분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의 터치 패널(1002)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TA)과 그 바깥쪽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PA)을 가지는 기판(120)을 포함한다. 터치 감지 영역(TA)에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라인(100)과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은 제1 터치 전극 라인(100)에 대해서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도 1의 제2 터치 전극 라인(200)보다 작은 각도(θ)로 제1 터치 전극 라인(100)에 대해서 기울어질 수 있다.
한편, 연결 신호선(65)은 도 1의 연결 신호선(60)과 달리 제1 터치 전극 라인(100)에 대해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 신호선(65)은 제2 터치 전극 라인(200)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연결 신호선(65)은 패드 신호선(44)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의 일단과 패드 신호선(44)과 직접 연결되지 않은 제2 터치 전극 라인(300)의 일단을 연결한다. 즉, 연결 신호선(65)은 기판(120)의 일측변에서 타측변으로 사선 방향으로 가로 지르며, 왼쪽 상부 모퉁이와 인접한 제2 터치 전극 라인(200)과 오른쪽 하부 모퉁이와 인접한 제2 터치 전극 라인(300)을 연결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터치 전극 라인은 사선 방향으로 형성하여 제1 터치 전극 라인과 교차하도록 형성하면, 제1 터치 전극 라인 또는 제2 터치 전극 라인과 구동부를 연결하기 위한 패드 신호선을 형성하기 위한 주변 영역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주변 영역의 폭이 줄어들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또는 액정 표시 장치의 베젤폭을 줄일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터치 전극 배치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4)은 기판(120), 기판(120)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터치 전극 라인(100, 500)과 제2 터치 전극 라인(200, 300a, 300b)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120)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술폰 등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접히거나(foldable, bendable), 말리거나(rollable), 적어도 한 방향으로 늘어나는(stretchable) 것과 같은 신축성(elasticity) 등의 유연성을 가지는 투명한 가요성(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 라인(1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10)을 포함하고, 제2 터치 전극 라인(200, 300a, 300b)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 터치 전극(20)을 포함한다.
제1 터치 전극(10)과 제2 터치 전극(20)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제1 터치 전극(10)과 제2 터치 전극(20)은 서로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10)과 제2 터치 전극(2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과, 금속 나노와이어(metal nanowir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 나노 와이어는 구리(Cu) 또는 은(Ag)으로 이루어지는 나노 와이어 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전극(10)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20)은 터치 감지 영역(TA)에서 행렬을 이루며,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방향인 X축방향으로 제1 터치 전극(10)과 제2 터치 전극(20)이 교대로 배치되고, 열방향인 Y축방향으로도 제1 터치 전극(10)과 제2 터치 전극(20)이 교대로 배치된다.
제1 터치 전극 라인(100)은 복수의 터치 전극(10), 제1 연결 전극(80) 및 제2 연결 전극(85)을 포함한다. 제1 전극 라인(100)은 이웃하는 두 열의 사선 방향으로 교번하면서 위치하는 제1 터치 전극(10)들을 제1 연결 전극(80) 및 제2 연결 전극(85)으로 연결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1행2열(X1Y2)에 위치하는 제1 터치 전극(10)은 2행1열(X2Y1)에 위치하는 제1 터치 전극(10)과 제1 연결 전극(80)으로 연결되고, 다시 2행1열(X2Y1)에 위치하는 제1 터치 전극(10)은 3행2열(X3Y2)에 위치하는 제1 터치 전극(10)과 제2 연결 전극(85)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제1 열(Y1)과 제2 열(Y2)에 위치하는 제1 터치 전극(10)은 제1 연결 전극(80) 및 제2 연결 전극(85)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지그재그 형태의 제1 터치 전극 라인(100)을 형성한다.
제1 연결 전극(80)은 제1 터치 전극(10)과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85)은 제1 연결 전극(80)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제1 연결 전극(80)과 같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터치 전극 라인(200)과 교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10)과 제2 터치 전극(20)은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2 터치 전극 라인(200)과 교차하는 제2 연결 전극(85)이 제2 터치 전극 라인(200)과 단락되지 않도록, 제2 연결 전극(85)은 제1 터치 전극(10)과 다른 물질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터치 전극 라인(100)과 교차되는 부분에는 제1 터치 전극 라인(100)과 중첩하는 절연막(400)이 형성되어 있고, 절연막(400) 위에 제2 연결 전극(85)이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400)은 제1 터치 전극 라인(100)과 제2 연결 전극(85)이 교차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 전면에 절연막(400)이 형성될 경우 절연막에 형성된 접촉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제2 연결 전극(85)은 사선 방향에 위치하는 제1 터치 전극(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터치 전극 라인(200, 300a, 300b)은 복수의 터치 전극(20), 제3 연결 전극(70)을 포함한다. 제2 터치 전극 라인(200, 300a, 300b)은 사선 방향(D)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2 터치 전극(20)들을 제3 연결 전극(70)으로 연결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1행7열(X1Y7)에 위치하는 제2 터치 전극(20)은 2행6열(X2Y6)에 위치하는 제2 터치 전극(20)과 제3 연결 전극(70)으로 연결되고, 2행6열(X2Y6)에 위치하는 제2 터치 전극(20)은 3행5열(X3Y5)에 위치하는 제2 터치 전극(20)과 제3 연결 전극(70)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제2 터치 전극(20)은 제3 연결 전극(70)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사선 방향(D)으로 뻗은 제2 터치 전극 라인(200, 300a, 300b)을 형성한다.
제3 연결 전극(70)은 제1 터치 전극(20)과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 전극(70)은 절연막(400)을 사이에 두고 제2 연결 전극(85)과 절연되어 교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제2 연결 전극(85)을 제1 터치 전극(10)과 다른 층에 형성하고, 제1 연결 전극(80) 및 제3 연결 전극(85)은 제1 터치 전극(10) 및 제2 터치 전극(20)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제1 연결 전극(80) 또는 제3 연결 전극(70)을 제1 터치 전극(10) 및 제2 터치 전극(20)과 다른 층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 라인(100)과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은 터치 패널의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패드 신호선(42, 44)과 연결되어 있다. 패드 신호선(42, 44)은 구동부와 연결하기 위해서 일단이 확장된 확장부(50)를 가지며, 확장부(50) 위에 형성되어 있는 패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50)는 구리 등의 저저항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연결 전극(85)과 동일한 물질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한편, 1행에 위치하는 제2 터치 전극(20)을 포함하는 제2 터치 전극 라인(200)은 패드 신호선(44)과 바로 연결될 수 있으나, 1행에 위치하는 제2 터치 전극(20)을 포함하지 않는 제2 터치 전극 라인(300a, 300b)은 연결 신호선(60, 62)으로 구동부와 연결할 수 있다.
연결 신호선(60)은 이웃하는 두 열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웃하는 제1 터치 전극(10) 또는 제2 터치 전극(20)과는 분리되어 있다. 이때, 연결 신호선(60)은 제3 연결 전극(70)과 교차할 수 있으므로, 교차하는 부분은 단락되지 않도록 절연막(400)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신호선(60)은 제1 터치 전극 및 제2 터치 전극과 다른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연결 전극(85) 및 패드(55)와 동일한 물질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패드 신호선(62)은 터치 영역(TA) 밖의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며, 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변 영역(PA)에 보조 패드 신호선(62)을 형성할 경우, 보조 패드 신호선(62)은 보조 패드 신호선(62)과 연결되는 제2 터치 전극(20)과 동일한 물질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열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 신호선(60)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주변 영역(PA)에 연결 신호선(60)을 형성할 경우, 주변 영역(PA)의 폭이 증가할 수 있으나, 종래보다 주변 영역(PA)에 형성되는 패드 신호선의 수가 적기 때문에 종래보다 주변 영역(PA)의 폭을 줄일 수 있다.
행열로 배치된 터치 전극을 사선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터치 영역(TA)의 모퉁이에 위치하는 제2 터치 전극(20)은 보조 배선(64)으로 이웃하는 제2 전극 라인(300b)의 일단과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배선(64)은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며, 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터치 전극 라인은 지그재그 형태가 아닌 직선형의 제1 터치 전극 라인(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 라인 중 일부는 두 열에 위치하는 제1 터치 전극(10)을 교대로 연결함으로써, 지그 재그 형태이나, 터치 영역(TA)에 형성된 열이 홀수일 경우 가장 마지막 열에 위치하는 제1 터치 전극(10)은 지그재그 형태를 형성하지 못한다.
마지막 열에 위치하는 제1 터치 전극 라인(500)은 터치 영역(TA) 내에서 마지막 열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패드 신호선(68)과 연결될 수 있다. 패드 신호선(68)은 마지막 열에 위치하는 제1 터치 전극(10)을 향해서 돌출한 복수의 돌출부를 가지며, 돌출부는 제1 터치 전극(10)과 연결되어 마지막 열의 제1 터치 전극(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직선형의 제1 터치 전극 라인(500)을 이룬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터치 전극 배치도이다.
도 5의 터치 패널은 도 3의 터치 패널과 대부분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의 터치 패널(1006)은 기판(120)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터치 전극 라인(100, 500)과 제2 터치 전극 라인(200, 300)을 포함한다.
제1 터치 전극 라인(100, 500)은 복수의 제1 터치 전극(10), 제1 연결 전극(80)과 제2 연결 전극(85)을 포함하고, 제2 터치 전극 라인(200, 300)은 복수의 제2 터치 전극(20), 제3 연결 전극(70)을 포함한다.
제1 터치 전극 라인(100, 500)과 제2 터치 전극 라인(200, 300)은 패드 신호선(42, 44), 보조 패드 신호선(62, 68) 및 연결 배선(67)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의 제1 터치 전극 라인과 제2 터치 전극 라인은 두 행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을 연결하기 위한 수직 연결 전극(6)을 더 포함한다. 수직 연결 전극(6)은 열 방향(Y)으로 이웃하는 두 터치 전극을 연결한다.
즉, 행방향(X)으로는 제1 터치 전극(10)과 제2 터치 전극(20)이 한 열마다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열 방향(Y)으로는 제1 터치 전극(10)이 두 행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수직 연결 전극(6)으로 연결되고, 제2 터치 전극(20)이 두 행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수직 연결 전극(6)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은 두 열마다 교대로 배치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제1 터치 전극
20: 제2 터치 전극
60, 62: 연결 신호선
64: 보조 배선
68: 패드 신호선
70: 제3 연결 전극
100, 500: 제1 터치 전극 라인
120: 기판
200, 300, 300a, 300b: 제2 터치 전극 라인

Claims (7)

  1. 터치 감지 영역과 상기 터치 감지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 중, 상기 터치 감지 영역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라인,
    상기 터치 감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터치 전극 라인에 대해서 기울어진 제2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라인,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상기 제1 터치 전극 라인과 상기 제2 터치 전극 라인에 연결하는 복수의 패드 신호선, 그리고
    상기 터치 감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결 신호선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전극 라인은 상기 제2 터치 전극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터치 전극 라인과 교차하고,
    상기 연결 신호선은 상기 복수의 패드 신호선 중 하나에 연결된 제1 단부와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라인 중 하나에 연결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2. 제1항에서,
    상기 제1 터치 전극 라인과 상기 제2 터치 전극 라인이 교차하는 부분은 절연되어 있는 터치 센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제1 터치 전극 라인 또는 상기 제2 터치 전극 라인은 각각 복수의 터치 전극, 이웃하는 터치 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전극은 사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터치 전극 사이를 연결하는 터치 센서.
  5. 제4항에서,
    상기 제1 터치 전극 라인의 연결 전극 또는 상기 제2 터치 전극 라인의 연결 전극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터치 전극과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연결 신호선은 상기 터치 전극과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
KR1020150007629A 2015-01-15 2015-01-15 터치 센서 KR102297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629A KR102297204B1 (ko) 2015-01-15 2015-01-15 터치 센서
US14/852,830 US10120508B2 (en) 2015-01-15 2015-09-14 Touch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629A KR102297204B1 (ko) 2015-01-15 2015-01-15 터치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533A KR20160088533A (ko) 2016-07-26
KR102297204B1 true KR102297204B1 (ko) 2021-09-02

Family

ID=5640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629A KR102297204B1 (ko) 2015-01-15 2015-01-15 터치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20508B2 (ko)
KR (1) KR102297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1308A1 (en) * 2014-03-03 2015-09-11 Nokia Technologies Oy Capacitive touch sensor circuit, method of forming circuit, and touch screen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9828700B (zh) * 2014-03-31 2023-05-23 宸盛光电有限公司 电容式触控装置及其制作方法
US20160098122A1 (en) * 2014-10-07 2016-04-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gitizer sensor
GB2540560A (en) * 2015-07-21 2017-01-25 Peter Binstead Ronald Touch sensor
KR102369337B1 (ko) * 2017-07-11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382639B1 (ko) 2017-10-31 2022-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557887B (zh) * 2018-05-31 2021-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路对位组件及显示装置
KR102607379B1 (ko) 2018-10-05 2023-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26451A (ko) * 2019-08-30 2021-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CN111367438B (zh) * 2020-02-27 2022-09-3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327619B2 (en) * 2020-09-22 2022-05-10 Elo Touch Solutions, Inc. Touchscreen device with non-orthogonal electrodes
GB2625035A (en) * 2021-08-27 2024-06-05 Peter Binstead Ronald Element arrangement and associated method of manufa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588229U (zh) * 2013-09-17 2014-05-07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5799B1 (en) * 2007-04-24 2013-09-03 Cypress Semiconductor Conductor Detecting multiple simultaneous touches on a touch-sensor device
US8624845B2 (en) * 2008-09-26 2014-01-07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apacitance touch screen
US8669944B2 (en) * 2008-12-15 2014-03-11 Sony Corporation Touch sensitive displays with layers of sensor plates providing capacitance based proximity sensing and related touch panels
US8411045B2 (en) * 2008-12-15 2013-04-02 Sony Corporation Touch sensitive displays with coplanar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ensor pads and related touch panels
US8933907B2 (en) * 2010-04-30 2015-01-1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Capacitive touch system using both self and mutual capacitance
US9634660B2 (en) * 2011-12-20 2017-04-25 Atmel Corporation Touch sensor with reduced anti-touch effects
CN103186271B (zh) * 2011-12-29 2016-08-10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KR20130115692A (ko) 2012-04-13 2013-10-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전극 패턴
KR101395195B1 (ko) 2012-06-11 2014-05-15 양희봉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TWI521288B (zh) * 2013-03-07 2016-02-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一種觸控單元陣列以及觸控顯示面板
KR101293017B1 (ko) 2013-04-29 2013-08-16 주식회사 트레이스 베젤의 폭을 줄인 터치 패널
US9817525B2 (en) * 2013-07-15 2017-11-14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Touch panel
US9001082B1 (en) * 2013-09-27 2015-04-07 Sensel, Inc. Touch sensor detector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588229U (zh) * 2013-09-17 2014-05-07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09954A1 (en) 2016-07-21
US10120508B2 (en) 2018-11-06
KR20160088533A (ko) 201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204B1 (ko) 터치 센서
US20230376144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768757B2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US9904396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ouch and bending sensing function
US9104254B2 (en) Touch screen panel
KR102267357B1 (ko) 터치 센서 장치
TWI678646B (zh) 觸碰感測裝置
KR102271114B1 (ko) 터치 감지 패널
US9990098B2 (en) Touch screen panel
KR10227003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95240B1 (ko) 좁은 베젤영역을 갖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359762B1 (ko) 셀프 커패시턴스 터치 스크린
KR102305463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6920798B2 (ja) タッチセンサ及び表示装置
KR20160095707A (ko) 터치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