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114B1 - 터치 감지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감지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114B1
KR102271114B1 KR1020140037221A KR20140037221A KR102271114B1 KR 102271114 B1 KR102271114 B1 KR 102271114B1 KR 1020140037221 A KR1020140037221 A KR 1020140037221A KR 20140037221 A KR20140037221 A KR 20140037221A KR 102271114 B1 KR102271114 B1 KR 102271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electrode
electrode
connection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008A (ko
Inventor
김정윤
강성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7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114B1/ko
Priority to US14/462,479 priority patent/US9489094B2/en
Publication of KR2015011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감지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감지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1 터치 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2 터치 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터치 전극 또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 배선, 그리고 상기 연결 배선에 인접하며 상기 연결 배선을 따라 뻗는 차폐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감지 패널{TOUCH SENSING PANEL}
본 발명은 터치 감지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감지 패널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이외에 관찰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터치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기능은 관찰자가 화면 위에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을 접근하거나 접촉하여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경우 표시 장치가 화면에 가한 압력, 전하, 빛 등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물체가 화면에 접근하거나 접촉하였는지 여부 및 그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러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입력 받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 기능은 터치 감지 센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센서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기 유도형(electro-magnetic type, EM), 광 감지 방식(optical type) 등 다양한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막 방식의 터치 감지 센서의 경우 서로 마주하여 이격되어 있는 두 전극이 외부 물체에 의한 압력에 의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두 전극이 서로 접촉되면 그 위치에서의 저항 변화에 따른 전압 변화를 인지하여 접촉 위치 등을 알아낼 수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감지 센서는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복수의 감지 전극으로 이루어진 감지 축전기를 포함하고, 손가락과 같은 도전체가 터치 감지 센서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감지 축전기의 충전 정전 용량(capacitance)의 변화 또는 충전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여부와 터치 위치 등을 알아낼 수 있다. 정전 용량식 터치 감지 센서는 터치를 센싱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터치 전극 및 터치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신호 전달 배선을 포함한다. 신호 전달 배선은 터치 전극에 감지 입력 신호를 전달하거나 터치에 따라 생성된 터치 전극의 감지 출력 신호를 감지 신호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신호 전달 배선은 일반적으로 터치 감지 패널의 터치 감지 영역의 주변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또는 주변 영역에 위치한다. 신호 전달 배선은 터치 감지 패널이 대형화될수록 그 수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5300)에 대해 설명한다.
터치 감지 패널(5300)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TA)과 그 주변의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터치 감지 영역(TA)에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5410)과 복수의 제2 터치 전극(542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터치 전극(5410)과 제2 터치 전극(5420)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행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 터치 전극(5410)은 제1 연결부(5412)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 터치 전극(420)은 제2 연결부(5422)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주변 영역(PA)에는 제1 터치 전극(5410)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터치 구동 배선(5411) 및 제2 터치 전극(5420)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터치 구동 배선(5421)이 위치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터치 구동 배선(5411, 5421)은 패드부(5450)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 전극(5410)에 연결되어 있는 제1터치 구동 배선(5411) 때문에 터치 감지 영역(TA)의 좌측 및 우측에 데드 스페이스(D1, D2)가 존재하게 되어 좁은 주변 영역을 원하는 관찰자의 요구를 만족하지 못한다. 특히 터치 감지 패널이 대형화될수록 이러한 데드 스페이스(D1, D2)가 더욱 넓어져 상대적으로 터치 감지 영역(TA)이 좁아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호 전달 배선이 위치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줄임으로써 터치 감지 영역을 상대적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터치 전극 사이에 형성된 감지 축전기의 정전 용량을 균일하게 하여 보다 정확한 접촉 정보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특정 패턴의 위치에 따른 밀도차가 관찰자에 의해 쉽게 시인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1 터치 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2 터치 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터치 전극 또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 배선, 그리고 상기 연결 배선에 인접하며 상기 연결 배선을 따라 뻗는 차폐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차폐 패턴은 상기 제2 터치 전극과 상기 제1 연결 배선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차폐 패턴은 상기 연결 배선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뻗을 수 있다.
상기 차폐 패턴은 상기 제1 터치 전극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차폐 패턴은 일정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 상기 제2 터치 전극, 상기 제1 연결 배선, 그리고 상기 차폐 패턴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감지 영역 주변에 위치하는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차폐 패턴과 연결되어 있는 차폐 구동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차폐 패턴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행을 이루고,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열을 이루고, 상기 제1 터치 전극 행의 수가 상기 제2 터치 전극 열의 수보다 클 수 있다.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한 제2 연결 배선 및 제3 연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행 중 상기 제2 연결 배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 터치 전극 행과 상기 제3 연결 배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 터치 전극 행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차폐 패턴은 상기 제2 연결 배선과 상기 제3 연결 배선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차폐 패턴은 상기 제1 터치 전극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 상기 제2 터치 전극, 상기 제1 연결 배선, 그리고 상기 차폐 패턴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감지 영역 주변에 위치하는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차폐 패턴과 연결되어 있는 차폐 구동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차폐 패턴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1 터치 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2 터치 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터치 전극 또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 배선, 그리고 상기 연결 배선에 인접하며 상기 연결 배선을 따라 뻗는 더미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제2 터치 전극과 상기 제1 연결 배선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터치 전극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1 터치 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2 터치 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 그리고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한 제2 연결 배선 및 제3 연결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행을 이루고,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열을 이루고, 상기 제1 터치 전극 행의 수가 상기 제2 터치 전극 열의 수보다 크다.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행 중 상기 제2 연결 배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 터치 전극 행과 상기 제3 연결 배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 터치 전극 행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전달 배선이 위치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줄임으로써 터치 감지 영역을 상대적으로 확장하여 터치 감지 패널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터치 전극 사이에 형성된 감지 축전기의 정전 용량을 균일하게 하여 보다 정확한 접촉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정 패턴의 위치에 따른 밀도차가 관찰자에 의해 쉽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의 터치 전극과 신호 전달 배선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의 터치 전극과 신호 전달 배선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의 터치 전극과 신호 전달 배선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터치 감지 패널을 V-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의 터치 전극과 신호 전달 배선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터치 감지 패널을 VII-V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의 터치 전극과 신호 전달 배선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의 터치 전극과 신호 전달 배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300)은 터치 감지 영역(touch detecting area)(TA)과 그 주변의 주변 영역(peripheral area)(PA)을 포함한다.
터치 감지 영역(TA)은 실제로 물체가 터치 감지 패널(300)에 접근하거나 물체가 터치 감지 패널(300)에 접촉하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이다. 여기서 접촉이란 관찰자의 손과 같은 외부 물체가 터치 감지 패널(300)에 직접적으로 닿는 경우뿐만 아니라 외부 물체가 터치 감지 패널(300)에 접근하거나 접근한 상태에서 움직이는(hovering)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주변 영역(PA)의 적어도 일부도 터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감지 영역(TA)에는 복수의 터치 전극이 위치한다. 복수의 터치 전극은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은 터치 감지 영역(TA)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을 가지고 교호적으로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은 열 방향 및 행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되고,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도 열 방향 및 행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은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은 터치 감지 패널(300)으로부터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투과도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은 나노 와이어(AgNw) 등의 얇은 금속층, 메탈 메쉬(metal mesh), 탄소 나노 튜브(CNT)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 각각은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 감지 센서의 감도 향상을 위해 돌출부를 가지는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동일한 행 또는 열에 배열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은 터치 감지 영역(TA) 내부 또는 외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동일한 열 또는 행에 배열된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도 터치 감지 영역(TA) 내부 또는 외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이 터치 감지 영역(TA)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동일한 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이 터치 감지 영역(TA)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각 행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은 제1 연결부(41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각 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은 제2 연결부(42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은 터치 감지 센서로서 기능하는 감지 축전기(sensing capacitor)를 형성한다. 감지 축전기는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 중 하나를 통해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 받고, 외부 물체의 접촉이 있을 경우 접촉에 의한 전하량 변화를 감지 출력 신호로서 나머지 터치 전극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주변 영역(PA)에는 각 열의 서로 연결된 제2 터치 전극(420)과 연결되어 있는 제2 터치 구동 배선(421) 및 제2 터치 구동 배선(421)과 접속하는 패드부(450)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 배선(421)은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이 포함하는 투명한 도전 물질 또는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Ti),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영역(PA)은 터치 감지 영역(TA)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르면 터치 감지 영역(TA)의 좌측 및 우측의 데드 스페이스가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패드부(450)는 터치 감지 영역(TA)의 일측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PA)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300)은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감지 패널(30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영역(DA)을 포함하며, 표시 영역(DA)은 대부분 터치 감지 영역(TA)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 대략 전체가 터치 감지 영역(TA)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시 영역(DA)의 일부만이 터치 감지 영역(TA)을 이룰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PX) 및 화소(PX)와 연결되어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표시 신호선(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신호선은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 신호선(도시하지 않음)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주사 신호선과 데이터선은 서로 교차하며 뻗을 수 있다. 표시 신호선은 주변 영역(PA)으로 연장되어 패드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대략 행렬 형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화소(PX)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과 연결된 스위칭 소자(도시하지 않음) 및 이에 연결된 화소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는 터치 감지 패널(300)에 집적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일 수 있다. 스위칭 소자는 게이트선이 전달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데이터선이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를 선택적으로 화소 전극에 전달할 수 있다. 화소(PX)는 화소 전극과 대향하는 대향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는 발광층이 위치하여 발광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대향 전극은 공통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색 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PX)는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들 기본색의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인식되도록 한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 등의 삼원색 또는 사원색을 들 수 있다. 각 화소(PX)는 각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며 기본색 중 하나를 나타내는 색필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발광 소자가 포함하는 발광층이 유색의 빛을 발광할 수도 있다.
터치 감지 패널(300)은 표시 제어부(600) 및 터치 제어부(700)와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표시 제어부(600)는 외부로부터 각 화소(PX)의 휘도 정보를 담고 있는 입력 영상 신호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600)는 입력 영상 신호와 입력 제어 신호를 기초로 입력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제어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600)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게이트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로 내보내고 데이터 제어 신호와 출력 영상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로 내보낼 수 있다.
터치 제어부(700)는 앞에서 설명한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과 연결되어 터치 감지 센서의 동작을 제어한다. 터치 제어부(700)는 터치 감지 센서에 감지 입력 신호를 전달하거나 감지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700)는 감지 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700)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터치 감지 패널(300) 위에 직접 장착되거나, 가요성 인쇄 회로막 위에 장착되어 TCP의 형태로 터치 감지 패널(300)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 위에 장착될 수도 있다. 터치 제어부(700)는 터치 감지 패널(300)의 패드부(45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도 2와 함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의 터치 전극과 신호 전달 배선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터치 감지 패널을 V-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300)의 터치 감지 영역(TA)에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 각 행의 이웃한 제1 터치 전극(410)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412), 각 열의 이웃한 제2 터치 전극(420)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422), 연결 배선(413), 그리고 차폐 패턴(shielding pattern)(430)이 위치할 수 있다.
주변 영역(PA)에는 제1 터치 구동 배선(411), 제2 터치 구동 배선(421), 차폐 구동 배선(431), 그리고 이들과 연결된 패드부(45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터치 구동 배선(411), 제2 터치 구동 배선(421), 그리고 차폐 구동 배선(431)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Ti),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터치 전극(410), 제2 터치 전극(420), 제1 연결부(412), 제2 연결부(422), 연결 배선(413), 차폐 패턴(430), 제1 터치 구동 배선(411), 제2 터치 구동 배선(421), 차폐 구동 배선(431), 그리고 패드부(450) 등은 기판(도시하지 않음)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기판은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은 유리,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플렉서블(flexible) 필름일 수도 있다.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연결부(422)는 제2 터치 전극(420)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제2 터치 전극(42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터치 전극(420)과 제2 연결부(422)는 서로 일체화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조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412)는 제1 터치 전극(410)과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터치 전극(410)과 제1 연결부(412)는 제조 공정에서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410)과 제1 연결부(412)는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412)와 제2 연결부(422) 사이에는 절연막(440)이 위치하여 제1 연결부(412)와 제2 연결부(422)를 서로 절연시킨다. 절연막(44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412)와 제2 연결부(422)의 교차부마다 배치된 독립된 섬형의 절연체일 수 있다. 절연막(440)은 제1 연결부(412)가 제1 터치 전극(410)과 접촉할 수 있도록 제1 터치 전극(410)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낼 수 있다.
절연막(440)은 그 가장자리가 둥글려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다각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막(440)은 기판 위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제1 연결부(412)를 통한 제1 터치 전극(410)간의 연결을 위해 제1 터치 전극(410)의 일부 위에 위치하는 절연막(440)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달리, 제1 연결부(412)가 제1 터치 전극(410)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여 제1 터치 전극(410)과 일체화되어 있고, 제2 연결부(422)가 제2 터치 전극(420)과 다른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각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은 제2 터치 구동 배선(421)과 각각 연결되어 패드부(4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전극(420)은 제2 터치 구동 배선(421) 및 패드부(450)를 통해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받거나 감지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이 동일한 층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각 연결 배선(413)의 일단은 행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제1 터치 구동 배선(411)과 각각 연결되어 패드부(45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배선(413)은 제1 터치 구동 배선(411) 및 패드부(450)를 통해 입력받은 감지 입력 신호를 제1 터치 전극(410)에 전달하거나 제1 터치 전극(410)으로부터의 감지 출력 신호를 제1 터치 구동 배선(411)에 전달할 수 있다.
연결 배선(413)의 끝 부분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터치 전극(410)과 각각 연결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제1 연결부(4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각 연결 배선(413)은 대체로 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배선(413)은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와 그에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 사이에 위치하여 뻗을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배선(413)은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과 제1 터치 전극(410)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형상에 따라 굴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는 부분은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이 존재하는 부분과의 반사율 차가 줄어들므로 터치 감지 패널(300) 전반적으로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연결 배선(413)은 기판의 하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위쪽으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터치 전극(410, 420)과 같이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연결 배선(41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터치 전극(410, 420)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배선(413)은 제1 및 제2 터치 전극(410, 420)과 다른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의 터치 감지 영역(TA) 주변의 좌측 및 우측 데드 스페이스(D1, D2)에 존재하였던 터치 구동 배선(5411)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배선(413)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에 존재하였던 좌측 및 우측 데드 스페이스(D1, D2)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감지 영역을 상대적으로 더욱 확장시킬 수 있어 보다 슬림한 주변 영역을 원하는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특히 터치 감지 패널(300)이 대형화되어도 터치 감지 영역(TA)의 좌측 및 우측의 주변 영역이 넓어지지 않으므로 터치가 감지되지 않는 비터치 영역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차폐 패턴(430)은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차폐 패턴(430)은 한 열에 배치된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와 이들과 인접하여 뻗는 연결 배선(413) 사이를 따라 뻗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 패턴(430)은 대체로 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와 연결 배선(413)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형상에 따라 굴곡될 수 있다. 차폐 패턴(430)은 연결 배선(413)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뻗을 수 있다.
복수의 차폐 패턴(4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대체로 일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차폐 패턴(430)은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도 한 열에 배치된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에 인접하여 뻗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차폐 패턴(430)은 한 열에 배치된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와 이들과 인접하여 뻗는 연결 배선(413) 사이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각 차폐 패턴(430)은 주변 영역(PA)의 차폐 구동 배선(431)과 각각 연결되어 패드부(450)와 연결될 수 있다. 차폐 구동 배선(431)은 접지 전압과 같은 일정 전압을 차폐 패턴(430)에 전달할 수 있다.
차폐 패턴(430)은 기판의 하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위쪽으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터치 전극(410, 420)과 같이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차폐 패턴(4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터치 전극(410, 420)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공정 없이 차폐 패턴(43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터치 전극(410)과 연결된 연결 배선(413)이 터치 감지 영역(TA)에 위치하며 한 열에 배치된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와 이들과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 사이를 뻗는다. 연결 배선(413)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의 간격(d1)과 연결 배선(413)을 사이에 두지 않고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의 간격(d2)이 대체로 일정한 경우,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는 부분에서 연결 배선(413)과 이와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 축전기의 용량이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 제1 터치 전극(410)과 이와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 축전기의 용량이 더 클 수 있다. 그러면 터치 감지 영역(TA) 전체적으로 감지 축전기의 용량에 불균일이 생겨 접촉 정보에도 오류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와 같이 연결 배선(413)과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와의 사이에 차폐 패턴(430)을 배치하면 연결 배선(413)과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의 일부가 차폐 패턴(430)에 흡수되어 연결 배선(413)과 이에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 축전기의 용량이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배선(413)과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 축전기의 용량을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 축전기의 용량에 비슷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면 터치 감지 영역(TA) 전체적으로 제1 터치 전극(410) 또는 이에 연결된 연결 배선(413)과 제2 터치 전극(420) 사이의 감지 축전기의 용량을 대체로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정확한 접촉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대체로 열 방향으로 길게 뻗는 연결 배선(413)에 감지 입력 신호 또는 감지 출력 신호가 입력될 때 이에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에의 영향을 차폐 패턴(430)이 차단할 수 있어 터치 감지 센서의 동작 오류 및 부정확한 접촉 정보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터치 전극(410), 제2 터치 전극(420), 제2 연결부(422), 연결 배선(413), 그리고 차폐 패턴(430)이 기판 위의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중 적어도 일부는 나머지 구성 요소와 다른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연결 배선(413) 및 차폐 패턴(430)은 제1 연결부(412)와 절연되어 교차하여 뻗을 수 있다.
또한 연결 배선(413)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의 간격(d1)과 연결 배선(413)을 사이에 두지 않고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의 간격(d2)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후에도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의 터치 전극과 신호 전달 배선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터치 감지 패널을 VII-V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300)은 앞에서 설명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300)과 대부분 동일하나 차폐 패턴(430) 및 차폐 구동 배선(431)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차폐 패턴(430)의 전기장 흡수에 의한 터치 감지 패널(300)의 전체적인 감지 축전기의 용량 저하를 줄일 수 있다.
그 대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배선(413)을 사이에 끼고 인접하는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 사이의 간격(d1)을 연결 배선(413)을 사이에 두지 않고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의 간격(d2)보다 대체로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배선(413)과 이에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의 거리(d1)를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의 거리(d2)에 대략 유사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면 연결 배선(413)과 이에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 축전기의 용량을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 축전기의 용량과 비슷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감지 영역(TA) 전체적으로 제1 터치 전극(410) 또는 이에 연결된 연결 배선(413)과 제2 터치 전극(420) 사이의 감지 축전기의 용량을 대체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300)은 더미 패턴(4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435)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은
더미 패턴(435)은 연결 배선(413)과 이에 인접한 한 열의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를 따라 뻗을 수 있다. 더미 패턴(435)은 인접한 연결 배선(413)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대체로 열 방향을 따라 뻗을 수 있다. 더미 패턴(435)은 연결 배선(413)과 같이 제2 터치 전극(420)과 그에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형상에 따라 굴곡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더미 패턴(435)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대체로 일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더미 패턴(435)은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도 한 열에 배치된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에 인접하여 뻗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더미 패턴(435)은 한 열에 배치된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와 이들과 인접하여 뻗는 연결 배선(413) 사이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더미 패턴(435)은 패드부(450)와 연결되지 않고 터치 감지 영역(TA)에서 플로팅(floating)되어 있을 수 있다.
더미 패턴(435)은 제1 및 제2 터치 전극(410, 420)과 같이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더미 패턴(435)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터치 전극(410, 420)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공정 없이 더미 패턴(435)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는 부분에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의 거리(d1)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도 그 공간에 더미 패턴(435)이 위치하여 빈 공간이 관찰자의 눈에 시인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감지 패널(300)의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배선(413)과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의 일부가 더미 패턴(435)으로 흡수될 수 있어 연결 배선(413)과 이에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 축전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배선(413)과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 축전기의 용량을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 또는 제2 연결부(422)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 축전기의 용량에 더욱 비슷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면 터치 감지 영역(TA) 전체적으로 제1 터치 전극(410) 또는 이에 연결된 연결 배선(413)과 제2 터치 전극(420) 사이의 감지 축전기의 용량을 대체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의 터치 전극과 신호 전달 배선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300)은 앞에서 설명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300)과 대부분 동일하나 더미 패턴(4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435)은 앞에서 설명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더미 패턴(435)과 대부분 동일하나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 주로 위치할 수 있다.
더미 패턴(435)은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 차폐 패턴(430)과 이에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 사이를 따라 뻗을 수 있다. 더미 패턴(435)의 일단은 연결 배선(413)과 인접한 부분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 배선(413)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과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는 부분의 패턴 밀도차가 더미 패턴(435)에 의해 보상되어 연결 배선(413)이 존재하는 부분과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밀도차가 관찰자에 의해 쉽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를 각각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의 터치 전극과 신호 전달 배선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300)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과 대부분 동일하나 제1 터치 전극(410)의 행의 수가 제2 터치 전극(420)의 열의 수보다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한 열에 배치된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에 적어도 두 개의 연결 배선(413a, 413b)이 차례대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열에 배치된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와 이에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 사이의 공간에 적어도 두 개의 연결 배선(413a, 413b)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한 쌍의 연결 배선(413a, 413b)을 예로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 감지 패널(300)의 가로 및 세로 비율에 따라 한 열에 배치된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에 대응하여 배치된 연결 배선(413a, 413b)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은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과 제1 터치 전극(410)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형상에 따라 굴곡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413a)의 일단은 한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제1 터치 구동 배선(411a)과 각각 연결되어 패드부(450)와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 배선(413b)의 일단은 제1 연결 배선(413a)과 연결된 제1 터치 전극(410)의 행의 아래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제1 터치 구동 배선(411b)과 각각 연결되어 패드부(4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은 제1 터치 구동 배선(411a, 411b) 및 패드부(450)를 통해 입력받은 감지 입력 신호를 제1 터치 전극(410)에 전달하거나 제1 터치 전극(410)으로부터의 감지 출력 신호를 제1 터치 구동 배선(411a, 411b)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은 대체로 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413a)과 제2 연결 배선(413b)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인접한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 사이에 차폐 패턴(430)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차폐 패턴(430)은 대체로 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형상에 따라 굴곡될 수 있다.
각 차폐 패턴(430)은 주변 영역(PA)의 차폐 구동 배선(431)과 각각 연결되어 패드부(450)와 연결될 수 있다. 차폐 구동 배선(431)은 접지 전압과 같은 일정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 사이에 차폐 패턴(430)을 배치하면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 중 어느 하나에 감지 입력 신호 또는 감지 출력 신호가 전달될 때 전기장이 차폐 패턴(430)에 흡수되어 전달되는 신호가 다른 배선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인접한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 사이에 형성되는 기생 축전기의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 패턴(430)을 없애고 그 자리에 더미 패턴(도시하지 않음)을 배치할 수도 있다. 더미 패턴은 플로팅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 배선(413a)과 제2 연결 배선(413b) 사이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넓게 조정될 수 있다.
다음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300)은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과 대부분 동일하나 차폐 패턴(430) 및 차폐 구동 배선(431)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차폐 패턴(430)의 전기장 흡수에 의한 터치 감지 패널(300)의 전체적인 감지 축전기의 용량 저하를 줄일 수 있다.
그 대신 인접한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 사이의 간격을 넓혀 인접한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 사이의 기생 축전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300)은 더미 패턴(4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 패턴(435)은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 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더미 패턴(435)은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 사이를 따라 뻗을 수 있다. 더미 패턴(435)의 일단은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과 인접한 부분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과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이 존재하는 부분의 패턴 밀도차가 더미 패턴(435)에 의해 보상되어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이 존재하는 부분과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밀도차가 관찰자에 의해 쉽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더미 패턴(435)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300)은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과 대부분 동일하나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과 제1 연결 배선(413a) 사이의 거리(d3)와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연결 배선(413b) 사이의 거리(d4)가 서로 다를 수 있다. 특히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과 제1 연결 배선(413a) 사이의 거리(d3)를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연결 배선(413b) 사이의 거리(d4)보다 길게 하면 감지 입력 신호 또는 감지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연결 배선(413a)이 이에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어 접촉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과 제1 연결 배선(413a) 사이의 거리(d3)는 제1 및 제2 연결 배선(413a, 413b)을 사이에 끼지 않고 인접한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도 있고 더 클 수도 있다.
다음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300)은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과 대부분 동일하나 더미 패턴(435)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연결 배선(413a)과 이에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 사이로 연장되어 뻗을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과 제1 연결 배선(413a)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그 사이의 공간이 관찰자에게 시인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더미 패턴(435)을 제2 터치 전극(420)과 제1 연결 배선(413a) 사이의 공간에 배치하면 위치에 따른 패턴의 밀도차가 관찰자에 의해 쉽게 시인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410: 제1 터치 전극
411: 제1 터치 구동 배선
412: 제1 연결부
413, 413a, 413b: 연결 배선
420: 제2 터치 전극
421: 제2 터치 구동 배선
422: 제2 연결부
430: 차폐 패턴
431: 차폐 구동 배선
435: 더미 패턴
440: 절연막
450: 패드부

Claims (20)

  1.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1 터치 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2 터치 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터치 전극 또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 배선, 그리고
    상기 제1 연결 배선에 인접하며 상기 제1 연결 배선을 따라 뻗는 차폐 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연결 배선과 상기 차폐 패턴은 서로 나란하게 뻗으며, 상기 차폐 패턴과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상기 제1 연결 배선이 위치하는
    터치 감지 패널.
  2. 제1항에서,
    상기 차폐 패턴은 상기 제2 터치 전극과 상기 제1 연결 배선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감지 패널.
  3. 제2항에서,
    상기 차폐 패턴은 상기 제1 연결 배선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뻗는 터치 감지 패널.
  4. 제3항에서,
    상기 차폐 패턴은 상기 제1 터치 전극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터치 감지 패널.
  5. 제4항에서,
    상기 차폐 패턴은 일정 전압을 전달하는 터치 감지 패널.
  6. 제5항에서,
    상기 터치 감지 영역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차폐 패턴과 연결되어 있는 차폐 구동 배선을 더 포함하는 터치 감지 패널.
  7. 제6항에서,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차폐 패턴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는 터치 감지 패널.
  8.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행을 이루고,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열을 이루고,
    상기 제1 터치 전극 행의 수가 상기 제2 터치 전극 열의 수보다 큰
    터치 감지 패널.
  9. 제8항에서,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한 제2 연결 배선 및 제3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 패널.
  10. 제9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행 중 상기 제2 연결 배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 터치 전극 행과 상기 제3 연결 배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 터치 전극 행은 서로 다른 터치 감지 패널.
  11. 제10항에서,
    상기 차폐 패턴은 상기 제2 연결 배선과 상기 제3 연결 배선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감지 패널.
  12. 제11항에서,
    상기 차폐 패턴은 상기 제1 터치 전극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터치 감지 패널.
  13. 제12항에서,
    상기 차폐 패턴은 일정 전압을 전달하는 터치 감지 패널.
  14. 제13항에서,
    상기 터치 감지 영역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차폐 패턴과 연결되어 있는 차폐 구동 배선을 더 포함하는 터치 감지 패널.
  15. 제14항에서,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차폐 패턴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는 터치 감지 패널.
  16.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1 터치 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2 터치 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터치 전극 또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 배선, 그리고
    상기 제1 연결 배선에 인접하며 상기 제1 연결 배선을 따라 뻗는 더미 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연결 배선과 상기 더미 패턴은 서로 나란하게 뻗으며, 상기 더미 패턴과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상기 제1 연결 배선이 위치하는
    터치 감지 패널.
  17. 제16항에서,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제2 터치 전극과 상기 제1 연결 배선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감지 패널.
  18. 제17항에서,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터치 전극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터치 감지 패널.
  19.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에 위치하고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1 터치 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제2 터치 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 그리고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 및 상기 제1 터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한 제2 연결 배선 및 제3 연결 배선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행을 이루고,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열을 이루고,
    상기 제1 터치 전극 행의 수가 상기 제2 터치 전극 열의 수보다 크고,
    상기 제2 연결 배선과 상기 제3 연결 배선은,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전극 열 중 이웃한 두 제2 터치 전극 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행 중 상기 제2 연결 배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 터치 전극 행과 상기 제3 연결 배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 터치 전극 행은 서로 다른 터치 감지 패널.
  20. 삭제
KR1020140037221A 2014-03-28 2014-03-28 터치 감지 패널 KR102271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221A KR102271114B1 (ko) 2014-03-28 2014-03-28 터치 감지 패널
US14/462,479 US9489094B2 (en) 2014-03-28 2014-08-18 Touch sensing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221A KR102271114B1 (ko) 2014-03-28 2014-03-28 터치 감지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008A KR20150114008A (ko) 2015-10-12
KR102271114B1 true KR102271114B1 (ko) 2021-06-30

Family

ID=5419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221A KR102271114B1 (ko) 2014-03-28 2014-03-28 터치 감지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89094B2 (ko)
KR (1) KR102271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5836B2 (en) * 2014-05-21 2019-01-08 Sharp Kabushiki Kaisha Conductive sheet, touch panel device, and display device
US9927939B2 (en) * 2014-08-13 2018-03-27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4407758A (zh) * 2014-12-04 2015-03-1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电容式触控面板及显示装置
US9935165B2 (en) * 2015-08-31 2018-04-03 Joled, Inc.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5116583A (zh) * 2015-09-15 2015-12-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触控结构及具有该触控结构的液晶显示器
CN106227386A (zh) * 2016-07-29 2016-12-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TWI594165B (zh) * 2016-11-04 2017-08-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
CN107491222A (zh) * 2017-09-01 2017-12-19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面板
KR102467874B1 (ko) * 2017-10-16 2022-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61365B1 (ko) * 2018-04-04 2022-10-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8978B1 (ko) * 2018-05-02 2023-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장치
KR102568725B1 (ko) * 2018-08-06 2023-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55841B1 (ko) * 2018-10-30 2023-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20825A (ko) * 2019-04-12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05246A (ko) * 2020-07-06 2022-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318B1 (ko) * 2005-05-31 2012-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898221B1 (ko) 2007-04-30 2009-05-18 안영수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DE112008001245T5 (de) * 2007-05-07 2010-03-04 Atmel Corp., San Jose Zweidimensionaler Positionssensor
JP4945483B2 (ja) 2008-02-27 2012-06-0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パネル
US8487898B2 (en) * 2008-04-25 2013-07-16 Apple Inc. Ground guard for capacitive sensing
JP4720857B2 (ja) 2008-06-18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US8144295B2 (en) * 2008-11-18 2012-03-27 Apple Inc. Common bus design for a TFT-LCD display
KR101048980B1 (ko) * 2009-01-16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40920B1 (ko) 2010-04-21 2012-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1125363B1 (ko) 2010-08-31 2012-03-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1722229B1 (ko) 2010-12-15 2017-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평판 표시 장치
KR101793677B1 (ko) * 2011-01-18 2017-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282469B1 (ko) 2011-06-01 201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340043B1 (ko) 2011-07-25 2013-12-10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배선 구조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배선 형성 방법
KR20130022568A (ko) 2011-08-25 2013-03-07 이터보터치 테크날로지 인코퍼레이티드 단일층 정전식 터치 장치
KR20130035763A (ko) 2011-09-30 2013-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490703B1 (ko) * 2012-06-20 2015-0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285428B1 (ko) 2013-03-19 2013-07-12 주식회사 제이앤티에스 원레이어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102081318B1 (ko) * 2013-09-23 2020-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장치
TWI470505B (zh) * 2014-01-29 2015-01-21 Wistron Corp 觸控面板
KR102239169B1 (ko) * 2014-03-05 2021-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77635A1 (en) 2015-10-01
US9489094B2 (en) 2016-11-08
KR20150114008A (ko) 201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114B1 (ko) 터치 감지 패널
US1069126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144144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30434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ouch and bending sensing function
KR20210073501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354756B2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297204B1 (ko) 터치 센서
US20160109977A1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apparatus
KR20160088546A (ko)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CN107015685B (zh) 集成触摸屏面板的显示装置
KR102268372B1 (ko) 터치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85123B1 (ko) 표시 장치
KR10228161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KR102305463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201820000A (zh) 具有操作感應功能的液晶顯示面板與其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