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397A - 익스펜션 조인트 - Google Patents

익스펜션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397A
KR20180019397A KR1020160103700A KR20160103700A KR20180019397A KR 20180019397 A KR20180019397 A KR 20180019397A KR 1020160103700 A KR1020160103700 A KR 1020160103700A KR 20160103700 A KR20160103700 A KR 20160103700A KR 20180019397 A KR20180019397 A KR 20180019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tube
circular tube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현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9397A/ko
Publication of KR20180019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introduced in exhaust pipes for ho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2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5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several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익스펜션 조인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파이프의 단부와 제2 파이프의 단부를 연결하는 익스펜션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플랜지에 제1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제3 플랜지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플랜지에 제2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제4 플랜지가 타단에 형성되는 주름관; 및 상기 주름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름관의 일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주름관의 타단 측으로 연장되는 원형관을 포함하는 익스펜션 조인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익스펜션 조인트{EXPANSION JOINTS}
본 발명은 익스펜션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익스펜션 조인트는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부재의 하나로서, 파이프를 통해 이동하는 고온의 배기가스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파이프의 열 변형을 상쇄하여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익스펜션 조인트는 특허문헌 1의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주름관 형태의 신축부(20) 및 가이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축부(20)는 신축이 용이한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파이프의 열 변형을 상쇄할 수 있고, 가이드부(50)는 신축부(20)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신축부(20)의 주름으로 인해 배기가스에 난기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익스펜션 조인트의 설치는 용접 작업에 의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신축부(20) 및 가이드부(50)를 파이프의 플랜지에 차례로 용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용접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신축부(20)와 가이드부(50)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하여 용접 작업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결함의 보수 및 추가 도장 작업을 수행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였고, 신축부(20)와 가이드부(50) 사이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해당 결함 영역을 부식시켜 배기가스의 유출을 초래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6331호(2009.02.13,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가능한 익스펜션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파이프의 단부와 제2 파이프의 단부를 연결하는 익스펜션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플랜지에 제1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제3 플랜지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플랜지에 제2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제4 플랜지가 타단에 형성되는 주름관; 및 상기 주름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름관의 일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주름관의 타단 측으로 연장되는 원형관을 포함하는 익스펜션 조인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원형관의 일단에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3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볼트를 통해 상기 제3 플랜지에 결합되는 제5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관의 일단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관의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에 치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형관의 일단 가장자리 면에는 상기 원형관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체결 가능한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형관의 내경은 상기 제1 파이프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볼트 및 제2 볼트의 조임 및 해체 작업만으로도 익스펜션 조인트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I - I´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30)는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구체적으로 제1 파이프(10)의 단부와 제2 파이프(20)의 단부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부재로서, 제1 파이프(10)의 단부에는 제1 플랜지(11)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파이프(20)의 단부에는 제2 플랜지(2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30)는 주름관(100) 및 원형관(200)을 포함할 수 있다.
주름관(1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복수 개의 주름이 주름관(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름관(100)의 일단에는 제3 플랜지(110)가 형성될 수 있고, 주름관(100)의 타단에는 제4 플랜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플랜지(110)는 복수 개의 제1 볼트(B1)를 통해 제1 플랜지(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플랜지(11) 및 제3 플랜지(110)에는 제1 볼트(B1)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플랜지(120)는 복수 개의 제2 볼트(B2)를 통해 제2 플랜지(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플랜지(21) 및 제4 플랜지(120)에는 제2 볼트(B2)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원형관(200)의 내경은 원형관(200)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원형관(200)은 주름관(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원형관(200)은 원형관(200)의 중심축이 주름관(100)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원형관(200)은 주름관(100)의 일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름관(100)의 타단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형관(200)의 일단에는 제5 플랜지(210)가 형성될 수 있고, 제5 플랜지(210)는 제1 플랜지(11)와 제3 플랜지(110)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제1 볼트(B1)를 통해 제3 플랜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플랜지(11), 제5 플랜지(210) 및 제3 플랜지(110)는 차례대로 적층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5 플랜지(210)에는 제1 볼트(B1)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원형관(200)의 내경은 제1 파이프(1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파이프(10)에서 원형관(200)을 통해 제2 파이프(20)로 이동하는 배기가스가 원형관(2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체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I - I´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30)와 비교하여 주름관(100)과 원형관(200)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주름관(100)의 일단 내주면에는 암나사(130)가 형성될 수 있고, 원형관(200)에는 제5 플랜지(210)가 구비되지 않는 대신에 원형관(200)의 일단 외주면에 암나사(130)와 치합하는 수나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원형관(200)은 주름관(100)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원형관(200)의 일단 가장자리 면에는 주름관(100)과 원형관(200)의 나사 결합을 위하여 원형관(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체결 가능한 삽입 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제1 파이프 11: 제1 플랜지
20: 제2 파이프 21: 제2 플랜지
30, 30´: 익스펜션 조인트 100: 주름관
110: 제3 플랜지 120: 제4 플랜지
130: 암나사 200: 원형관
210: 제5 플랜지 220: 수나사
230: 삽입 홈

Claims (5)

  1. 제1 파이프의 단부와 제2 파이프의 단부를 연결하는 익스펜션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플랜지에 제1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제3 플랜지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플랜지에 제2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제4 플랜지가 타단에 형성되는 주름관; 및
    상기 주름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름관의 일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주름관의 타단 측으로 연장되는 원형관을 포함하는 익스펜션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관의 일단에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3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볼트를 통해 상기 제3 플랜지에 결합되는 제5 플랜지가 형성되는 익스펜션 조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의 일단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관의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에 치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익스펜션 조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관의 일단 가장자리 면에는 상기 원형관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체결 가능한 삽입 홈이 형성되는 익스펜션 조인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관의 내경은 상기 제1 파이프의 내경과 동일한 익스펜션 조인트.
KR1020160103700A 2016-08-16 2016-08-16 익스펜션 조인트 KR20180019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00A KR20180019397A (ko) 2016-08-16 2016-08-16 익스펜션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00A KR20180019397A (ko) 2016-08-16 2016-08-16 익스펜션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397A true KR20180019397A (ko) 2018-02-26

Family

ID=6153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700A KR20180019397A (ko) 2016-08-16 2016-08-16 익스펜션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93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091A (ko) 2018-03-27 2019-10-08 (주)삼성플렉스 안전 브라인더 커버 일체형 익스펜션 죠인트
CN112856093A (zh) * 2021-02-01 2021-05-28 攀钢集团工程技术有限公司 煤气管道系统用膨胀节带压外包施工方法
CN113309915A (zh) * 2021-07-28 2021-08-27 四川宝石机械专用车有限公司 一种高频振动的动静密封连接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091A (ko) 2018-03-27 2019-10-08 (주)삼성플렉스 안전 브라인더 커버 일체형 익스펜션 죠인트
CN112856093A (zh) * 2021-02-01 2021-05-28 攀钢集团工程技术有限公司 煤气管道系统用膨胀节带压外包施工方法
CN113309915A (zh) * 2021-07-28 2021-08-27 四川宝石机械专用车有限公司 一种高频振动的动静密封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2427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FI78633C (fi) Anordning att anvaendas vid hopsvetsning av roer.
US9310012B2 (en) Sleeve part of a pipe joint and a pipe joint
KR20180019397A (ko) 익스펜션 조인트
WO2015170407A1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TWI681142B (zh) 管狀構造物及其製造方法
JP2019044951A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KR20150001595U (ko) 파이프용 클램프
US10550968B2 (en) Joint unit
KR102162670B1 (ko) 배관용 파이프 연결장치
KR20150142752A (ko) 열 변형 방지용 지그
KR101931112B1 (ko) 코너 연결덕트
KR101449428B1 (ko) 파이프 커플링
KR20160074184A (ko) 이너스테인레스 신축관
KR20150146249A (ko) 배관 티
JP2012117610A (ja) 配管材の接続構造
JP2019120379A (ja) 漏洩補修構造及び漏洩補修具
JP2011117471A (ja) 流体装置
KR20120007452U (ko)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JP2006192445A (ja) 他部材への溶接による二重管管端接続部位置決め構造
KR20210081755A (ko) 밸브 접합관
JP2006037981A (ja) プラスチック管の接続部
KR20170000999U (ko) 배관 연결용 신축 이음관
CN207621339U (zh) 一种模块化管道生产用氮气保护装置
KR200344488Y1 (ko)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