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290B1 - 배관 티 - Google Patents

배관 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290B1
KR101600290B1 KR1020140076560A KR20140076560A KR101600290B1 KR 101600290 B1 KR101600290 B1 KR 101600290B1 KR 1020140076560 A KR1020140076560 A KR 1020140076560A KR 20140076560 A KR20140076560 A KR 20140076560A KR 101600290 B1 KR101600290 B1 KR 101600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ortion
unit
head
tub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249A (ko
Inventor
민준성
마재석
신민철
안득환
안중은
유의종
이윤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29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18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branch pipe being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배관 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는, 외벽면의 일영역이 절취된 개구부를 구비하며, 주배관과 연결되는 헤드관유닛; 및 헤드관유닛의 내측에 헤드관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헤드관유닛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측유동관부와, 내측유동관부에서 분기되어 개구부를 통해 헤드관유닛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브랜치관부를 구비하는 브랜치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티{Pipe Tee}
본 발명은, 배관 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에 작용하는 과도한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관 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플랜트, 상하수, 건축물 등에는 각종 기체나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수많은 배관들이 설치된다. 배관설비는 처음부터 하나로 이루어지긴 어렵고, 단위길이의 배관을 연결하고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연결시키는 방법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배관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용접 등에 의해 접합 연결될 수 있으며, 플랜지가 결합되어 있는 배관은 플랜지를 마주하도록 배치시킨 후 볼트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플랜지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홀(hole)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향하는 두 개의 플랜지에 형성된 홀의 위치를 대응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
또한, 배관은 이음쇠 역할을 하는 배관 티(Pipe Tee)를 사용해 주배관에 가지배관을 연결하는 방식 등으로 다양한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배관설비는 구조물의 구조와 배관이 배치될 곳의 주변 조건에 따라 직선, 교차, 곡선 구조를 갖는 수많은 배관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초기에 세팅된 배관 배치는 추후 환경 변화에 의하여 부적절하게 되더라도 크게 변형 및 수정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선박에 배치되는 배관들은 선박의 호깅(Hogging)이나 세깅(Sagging)현상으로 인해 인장력과 압축력을 받는다. 즉, 선체에는 선체의 하중과 부력의 불평형한 상호작용으로 인장력 및 압축력이 가해지는데, 특히 이와 같이 선체에 작용하는 힘은 선체에 배치된 주배관과 가지배관 간에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의 상대 변위를 발생시키고 연결부위에 과도한 응력을 집중시킨다.
이에 배관 배치의 적절성을 평가하여 배치가 부적절하다면 배관 배치를 수정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선체 구조상에 따른 제약, 주변 장비들의 간섭이나 다른 배관들과의 연결 관계상 해당 배관을 재배치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배관 재배치가 불가능하다고 평가되면 배관 티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응력 집중 계수가 작은 배관 티를 선택하여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8165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관에 작용하는 과도한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를 갖는 배관 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벽면의 일영역이 절취된 개구부를 구비하며, 주배관과 연결되는 헤드관유닛; 및 상기 헤드관유닛의 내측에 상기 헤드관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헤드관유닛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측유동관부와, 상기 내측유동관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헤드관유닛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브랜치관부를 구비하는 브랜치관유닛을 포함하는 배관 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내측유동관부는, 상기 브랜치관부를 사이에 두고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측주름관부; 및 상기 내측주름관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헤드관유닛의 내측벽에 결합되는 유출입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출입관부는 상기 헤드관유닛에 용접(welding)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유동관부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되 상기 헤드관유닛의 내측벽면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배치되는 내측관부; 및 상기 내측관부의 양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헤드관유닛의 내측벽면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접촉되는 슬라이딩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관부는, 내경이 상기 내측관부와 연통되되 상기 내측관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헤드관유닛은, 상기 슬라이딩관부에 인접하고 상기 헤드관유닛의 내측벽면과 상기 내측관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관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로막는 환형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관유닛은, 상기 내측유동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관유닛의 내측벽에서 상기 슬라이딩관부를 향해 비스듬하게 휘어져 돌출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밴딩형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관부는, 상기 밴딩형스토퍼부를 향해 탄성바이어스되어 상기 밴딩형스토퍼부와 접촉을 유지하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밴딩형스토퍼부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휘어져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효율적인 구조로써 배관의 수밀성을 확보하면서 주배관과 가지배관 간의 변위 차를 보상할 수 있으며 종래에 배관 티에 집중되었던 과도한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1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10)는, 기체나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20)에 가지배관(30)을 설치할 때 주배관(20)과 가지배관(30)을 상호 교차되게 이어주는 배관이음쇠 역할을 수행한다. 먼저 이러한 배관 티(10)의 설치방법에 대해 간략히 알아본다.
배관 티(10) 연결방식에는 나사식 이음(Thread joint), 용접식 이음(Welding joint), 플랜지 이음(Flange joint), 그리고 기계식 이음(Mechanical joint)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나사식 이음은 배관 티(10)에 암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주배관(20) 및 가지배관(30)에 나사 체결하는 방식이고, 용접식 이음은 접속부의 형상에 따라 맞대기 또는 배관삽입식으로 접속부를 용접 결합하는 방식으로 주로 저압의 일반용 배관에 사용된다. 나사식 이음과 용접식 이음은 심한 마모, 충격, 진동이나 균열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장소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플랜지 이음(Flange joint)과 기계식 이음(Mechanical joint)은 배관의 각종 기기를 해체하거나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플랜지 이음은 플랜지를 볼트나 너트로 접속시키고 플랜지 사이에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스킷(Gasket)을 삽입한다. 그리고 기계식 이음은 용접을 하지 않는 무용접 이음 방식으로 배관에 홈(groove)을 형성하고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밀봉 역할을 하는 개스킷과 이를 감싸 조여주는 하우징, 그리고 하우징을 연결하는 볼트,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10)는, 도면의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어느 하나의 배관 티 이음방식 중 하나로 주배관(20)과 가지배관(30)을 이어주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할 본 실시예의 배관 티(10)가 진동과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선체의 배관설비에 사용됨을 감안할 때 배관 티(10)의 이음방식은 플랜지 이음 또는 기계식 이음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종래의 배관 티는 배관의 측면에 조그만 구멍을 뚫고 관축 중심으로부터 직각이 되도록 인발 등의 소성가공으로 확관시켜 T자형 배관이음자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선체와 같이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장소에서는 배관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가해지고 특히 주배관(20)과 가지배관(30)을 이어주는 배관 티에 기계적 응력이 집중되지만 종래의 배관 티는 진동에 따른 주배관(20)과 가지배관(30)의 상대변위를 흡수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주배관(20)과 가지배관(30)의 연결부위에 균열이 일어나기 쉽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10)는 종래의 배관 티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수밀성을 확보하면서도 외력에 의한 응력을 흡수할 수 있는 유동구조를 갖도록 설계된다. 이하에서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10)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10)는, 주배관(20)과 연결되는 헤드관유닛(100)과, 주배관(20)에 교차배치되는 가지배관(30)과 연결되며 헤드관유닛(100)에 대해 소정 간격 유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브랜치관유닛(200)을 포함한다.
헤드관유닛(100)은 양단이 단위 주배관(20)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전술한 플랜지 이음방식으로 헤드관유닛(100)과 주배관(20)이 연결되도록 헤드관유닛(100)의 양단부에는 플랜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플랜지 이음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헤드관유닛은(100) 후술하는 내측유동관부(220)를 보호하는 쉴드(Shield) 역할을 겸한다. 이러한 헤드관유닛(100)은 외부 충격, 공압 내지 수압에 대해 내구성이 강한 금속 파이프(Pipe)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관유닛(100)은 벽면에 개구부(110)를 구비한다. 개구부(110)는 브랜치관부(2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110)를 통해 브랜치관유닛(200)의 브랜치관부(210)는 헤드관유닛(100)의 관축 중심에서 직각으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초기 세팅 시 브랜치관부(210)는 개구부(110)의 중앙에 위치하지만, 차후 배관에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져 주배관(20)과 가지배관(30) 간에 상대변위가 발생하면 개구부(110)의 직경 내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 외력이 작용할 때 이와 같이 헤드관유닛(100)에 대해 유동가능한 구조를 갖는 브랜치관유닛(2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랜치관유닛(200)은, 헤드관유닛(100)의 내부에 헤드관유닛(10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내측유동관부(220)와, 내측유동관부(220)의 중심에서 분기되어 헤드관유닛(100)의 개구부(110)를 통해 헤드관유닛(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브랜치관부(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내측유동관부(220)는, 내측주름관부(222)와, 헤드관유닛(100)의 내측벽면에 결합되는 유출입관부(223)와, 내측주름관부(222)와 브랜치관부(210)를 연결하는 연결관부(221)를 포함한다. 이러한 내측유동관부(220)는 브랜치관부(210)를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마련된다.
유출입관부(223)는 헤드관유닛(100)과 접속되는 부분으로 수밀성 확보를 위해 선단부가 헤드관유닛(100)의 내측벽면에 용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출입관부(223)와 헤드관유닛(100)은 볼트, 너트, 개스킷 조합, 또는 착탈식 돌기와 홈, 개스킷 조합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유출입관부(223)는 그 선단부에서 내측주름관부(222)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본 실시 예에서 내측주름관부(222)는 헤드관유닛(100)에 대해 비접촉 유동되도록 내측주름관부(222)의 내경은 헤드관유닛(100)의 내경보다 크기가 작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헤드관유닛(100)과 내측주름관부(222)의 내경의 크기 차로 인한 와류(Vortex)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와류가 지속되면 배관이 균열될 수 있다. 이에 유출입관부(223)는 헤드관유닛(100)과 내측주름관부(222) 사이에서 내경의 크기 차이를 점진적으로 줄임으로써 헤드관유닛(100)과 내측주름관부(222)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와류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유출입관부(223)는 헤드관유닛(100)과 용접 결합될 수 있고 외부 충격, 공압, 수압 등 유속 변화에 따른 압력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내측주름관부(222)는 유출입관부(223)와 브랜치관부(210) 사이에서 외력이 가해질 때 좌우로 신축됨으로써 배관 티(10)에 집중되는 응력을 흡수한다. 본 실시 예에서 내측주름관부(222)가 헤드관유닛(100)에 고정결합된 한 쌍의 유출입관부(223) 사이에서 신장 또는 수축운동함으로써 내측주름관부(222)와 연결된 브랜치관부(210)도 내측주름관부(222)의 변위량만큼 소정 간격 유동하게 된다. 즉, 주배관(20)과 가지배관(30) 간에 상대변위가 발생하더라도 브랜치관부(210)가 헤드관유닛(10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배관 티(10)에 작용하는 응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내측주름관부(222)는 플랙서블 호스(Flexible Hose), PVC 호스, 벨로우즈 파이프(Bellow Pipe)와 같이 관축 방향으로 유동이 허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신축성이 있으면서도 배관 내부의 공압이나 수압에도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유동관부(220)는, 브랜치관부(210)와 같은 강성재질이며 내측주름관부(222)와 브랜치관부(210) 사이에서 관축 방향이 교차하는 유연성 재질의 내측주름관부(222)와 강성 재질의 브랜치관부(210)를 연결하는 연결관부(221)를 더 포함한다.
브랜치관부(210)는 연결관부(221)의 측벽에 구멍을 뚫어 연결관부(221)의 관축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내측주름관부(222)는 연결관부(221)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마련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내측주름관부(222), 연결관부(221), 브랜치관부(210)가 일체로 유동하게 된다.
브랜치관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관유닛(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가지배관(30)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강성재질로 마련된다. 그리고 헤드관유닛(100)의 개구부(110) 밖으로 노출된 브랜치관부(210)의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지배관(30)과 플랜지 이음방식으로 연결되는 플랜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10)는 대략적으로 T자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배관 티(10)는 헤드관유닛(100)에 상하로 2개의 개구부(110)를 형성하고 2개의 개구부(110)를 통해 브랜치관부(210)를 헤드관유닛(100)에 대해 상하로 노출시킴으로써 십자형상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10)는, 브랜치관유닛(200)이 헤드관유닛(100)에 대해 상대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써, 특히 선체와 같은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사용될 때 주배관(20)과 가지배관(30) 간의 상대변위에 따른 기계적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불어 배관을 설비할 때에도 주배관(20)에 대한 가지배관(30)의 분기점이 좌우로 다소 어긋나더라도 브랜치관유닛(200)을 적절히 이동시켜 오차를 보상할 수 있음으로 배관 연결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10a)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와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동일한 부재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할 때 주요 구성이 동일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배관 티(10)는 내측주름관부(222)의 신축작용에 의해 브랜치관유닛(200)이 헤드관유닛(100)에 대해 유동하는데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10a)는 브랜치관유닛(200a)이 헤드관유닛(100a)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유동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브랜치관유닛(200a)의 내측유동관부(220a)는 헤드관유닛(100a)의 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내측관부(224)와, 내측관부(224)의 양단에 마련되고 헤드관유닛(100a)의 내측벽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관부(225)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가능한 유연성 재질의 내측주름관부(222)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헤드관유닛(100)과 함께 브랜치관유닛(200)의 주요부를 강성재질로 마련할 수 있어 배관 티(10a)의 내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내측주름관부(222)와 연결관부(221)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 내측관부(224)로 대체된다. 내측관부(224)는 헤드관유닛(100)과 같은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며 제1 실시예의 유연성 재질의 내측주름관부(222)에 비해 수압에 대한 내구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그리고 내측관부(224)는 브랜치관부(210)와 같은 강성재질로 브랜치관부(210)와 함께 T자형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 티(10)는 브랜치관부(210)를 헤드관유닛(100)에 대해 양방향으로 노출시켜 십자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관부(224)는 헤드관유닛(100)의 내측벽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내측관부(224)의 외경과 헤드관유닛(100)의 내경 사이의 이격공간(S)을 표현하기 위해 이격공간(S)의 간격(gap)을 다소 크게 표현하였으나, 이격공간(S)은 브랜치관부(210)의 이동 시 내측관부(224)의 외경이 헤드관유닛(100a)의 내경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이면 무방하다.
슬라이딩관부(225)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유출입관부(223)와 유사하게 내측관부(224)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내경을 갖는다. 이는 제1 실시예와 같이, 헤드관유닛(100a)과의 접속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와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유출입관부(223)가 헤드관유닛(100)에 고정결합(도 1 참조)되어 있는데 반해,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관부(225)는 헤드관유닛(100)의 내경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면 헤드관유닛(100)의 내측벽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때, 헤드관유닛(100)과 슬라이딩관부(225)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슬라이딩관부(225)의 외경은, 슬라이딩관부(225)의 내경과 달리, 헤드관유닛(100)의 내경에 면접촉되도록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관부(225)는 고무(rubber),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및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헤드관유닛(100a)은 슬라이딩관부(225)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환형스토퍼부(120)를 구비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스토퍼부(120)는 내측유동관부(220)의 내측관부(224)의 외경과 헤드관유닛(100)의 내경 사이의 이격공간(S)에서 슬라이딩관부(225)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딩관부(225)와 환형스토퍼부(120) 간의 거리는 브랜치관부(210)가 적어도 헤드관유닛(100)의 개구부(110)에 접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선택된다.
그리고 환형스토퍼부(120)는 탄성재질로 마련되어 슬라이딩관부(225)와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10a)는 슬라이딩관부(225)가 헤드관유닛(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배치됨으로써 수밀성을 확보하고 배관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가해지더라도 브랜치관유닛(200a) 전체가 헤드관유닛(100a)에 대해 소정 간격 유동하여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 티(10b)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동일한 부재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슬라이딩관부(225)와 슬라이딩관부(225)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부분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3 및 도 4의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헤드관유닛(100b)은 헤드관유닛(100b)의 내측벽에서 비스듬하게 휘어져 돌출되게 마련되는 밴딩형스토퍼부(1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슬라이딩관부(225b)는 밴딩형스토퍼부(130)와 탄성적으로 접촉되되 외력이 가해지면 밴딩형스토퍼부(130)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휘어지도록 마련된다.
즉, 배관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면 슬라이딩관부(225b)는 밴딩형스토퍼부(130)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말단부는 헤드관유닛(100b)의 내측벽에 가로막혀 휘어져 감기게 된다. 이렇게 슬라이딩관부(225b)가 휘어져 감기는 길이만큼 브랜치관유닛(200b)이 유동됨으로써 배관 티(10)에 가해지는 응력을 흡수한다.
또한 슬라이딩관부(225b)는 밴딩형스토퍼부(130)와의 사이에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항상 밴딩형스토퍼부(130)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되도록 한다. 이러한 슬라이딩관부(225b)는 밴딩형스토퍼부(130)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 갖는 섬유강화고무(Fiber Rainforced Rubber)와 같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배관 티 20 : 주배관
30 : 가지배관 100 : 헤드관유닛
110 : 개구부 120 : 환형스토퍼부
130 : 밴딩형스토퍼부 200 : 브랜치관유닛
210 : 브랜치관부 220 : 내측유동관부
221 : 연결관부 222 : 내측주름관부
223 : 유출입관부 224 : 내측관부
225 : 슬라이딩관부 S : 이격공간

Claims (7)

  1. 외벽면의 일영역이 절취된 개구부를 구비하며, 주배관과 연결되는 헤드관유닛; 및
    상기 헤드관유닛의 내측에 상기 헤드관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헤드관유닛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측유동관부와, 상기 내측유동관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헤드관유닛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브랜치관부를 구비하는 브랜치관유닛을 포함하는 배관 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유동관부는,
    상기 브랜치관부를 사이에 두고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측주름관부; 및
    상기 내측주름관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헤드관유닛의 내측벽에 결합되는 유출입관부를 포함하는 배관 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입관부는 상기 헤드관유닛에 용접(welding)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유동관부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되 상기 헤드관유닛의 내측벽면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배치되는 내측관부; 및
    상기 내측관부의 양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헤드관유닛의 내측벽면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접촉되는 슬라이딩관부를 포함하는 배관 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관부는,
    내경이 상기 내측관부와 연통되되 상기 내측관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관유닛은,
    상기 슬라이딩관부에 인접하고 상기 헤드관유닛의 내측벽면과 상기 내측관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관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로막는 환형스토퍼부를 포함하는 배관 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관유닛은,
    상기 내측유동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관유닛의 내측벽에서 상기 슬라이딩관부를 향해 비스듬하게 휘어져 돌출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밴딩형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관부는,
    상기 밴딩형스토퍼부를 향해 탄성바이어스되어 상기 밴딩형스토퍼부와 접촉을 유지하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밴딩형스토퍼부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휘어져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티.
KR1020140076560A 2014-06-23 2014-06-23 배관 티 KR101600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560A KR101600290B1 (ko) 2014-06-23 2014-06-23 배관 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560A KR101600290B1 (ko) 2014-06-23 2014-06-23 배관 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249A KR20150146249A (ko) 2015-12-31
KR101600290B1 true KR101600290B1 (ko) 2016-03-07

Family

ID=5512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560A KR101600290B1 (ko) 2014-06-23 2014-06-23 배관 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093A (ko) 2021-12-01 2023-06-08 한화오션 주식회사 3d 캐드 배관 모델의 해석 모델로의 변환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9930A (zh) * 2018-07-12 2018-11-23 赵铎 角通式无推力套筒补偿器
KR102075485B1 (ko) * 2019-07-12 2020-02-10 김진희 유속 증가를 위한 관 구조
CN111442136B (zh) * 2020-03-30 2024-06-18 中国成达工程有限公司 高温熔盐罐的内外管道应力补偿结构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188A (ja) 1998-09-08 2000-03-2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分岐管継手
JP2001119836A (ja) 1999-10-21 2001-04-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継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2855A (ja) * 1997-09-05 1999-03-26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緩衝材で被覆保護されたt字型継手
KR100493391B1 (ko) * 2003-02-13 2005-06-07 유창밸브 주식회사 단열이중관의 신축이음장치
KR101368661B1 (ko) 2012-05-16 2014-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188A (ja) 1998-09-08 2000-03-2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分岐管継手
JP2001119836A (ja) 1999-10-21 2001-04-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継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093A (ko) 2021-12-01 2023-06-08 한화오션 주식회사 3d 캐드 배관 모델의 해석 모델로의 변환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249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290B1 (ko) 배관 티
KR101916892B1 (ko) 패스트 그루브 조인트
KR101341838B1 (ko) 내진성을 갖는 배관 이음장치
US8801049B2 (en) Pipe coupling system and method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KR101318774B1 (ko) 신축가동관
US3917324A (en) Pipe joint
KR101948112B1 (ko) 임의의 방향과 각도로 배관 연결이 가능한 배관용 연결구
KR20090010479A (ko) 파이프 연결구
KR20190003004A (ko) 수격방지기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구조
KR20180019397A (ko) 익스펜션 조인트
KR101287540B1 (ko) 배관의 이음부용 안전 커버
KR102319277B1 (ko) 밸브 접합관
KR20160000717A (ko) 관로의 구조물 벽체 접속부 수밀장치
KR101081549B1 (ko) Frp 파이프 연결관 조립체
KR102177099B1 (ko)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RU191754U1 (ru)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з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120007452U (ko)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KR101256888B1 (ko) 건축용 배관의 익스펜션 조인트
US8628117B1 (en) Push-fit ring-seal joint structure for plastic pipes
KR102319272B1 (ko) 신축 이음관
JP2015102124A (ja) 導管接続装置及び導管接続方法
KR102197128B1 (ko) 고압용 컴펜세이터
JP6799659B2 (ja) 管継手の設置方法
KR20220010853A (ko) 밸브 접합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