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648A - 신축성 연결구 - Google Patents

신축성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648A
KR20160109648A KR1020150034446A KR20150034446A KR20160109648A KR 20160109648 A KR20160109648 A KR 20160109648A KR 1020150034446 A KR1020150034446 A KR 1020150034446A KR 20150034446 A KR20150034446 A KR 20150034446A KR 20160109648 A KR20160109648 A KR 20160109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portion
corrugated pipe
flang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종묵
Original Assignee
채종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종묵 filed Critical 채종묵
Priority to KR1020150034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648A/ko
Publication of KR2016010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5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several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2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는 상류측에 배치된 제1 배관과 하류측에 배치된 제2 배관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동하는 고온 유체에 의해 주름관의 축선방향 혹은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또는 수축하는 것으로, 일 단부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 안착부와 타 단부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2 안착부를 구비한 중공의 주름관과; 제1 배관과 면접하는 일면의 중공부 둘레에 제1 단차부를 구비하고, 주름관의 제1 안착부를 제1 단차부와 중첩되도록 주름관 일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도넛형상의 제1 플랜지부; 및 제2 배관과 면접하는 타면의 중공부 둘레에 제2 단차부를 구비하고, 주름관의 제2 안착부를 제2 단차부와 중첩되도록 주름관의 타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도넛형상의 제2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축성 연결구 {Connection assembly for corrugated pipe}
본 발명은 신축성 연결구, 특히 가스 터빈의 고온배관에 채용가능한 신축성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터빈에서 방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송하는 배관은 내부 고온 유체(가스)의 영향으로 열팽창이 발생하게 된다. 고온배관은 전술된 내부의 고온 유체로 인해 배관의 변형 및 열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파손될 우려가 높다.
배관 파손은 배관 내부를 유동하는 고온 유체를 외부로 누출시켜 주변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뿐만 아니라, 고온 가스에 유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환경 오염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킬 수밖에는 없다.
이에 고온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의 경우에 신축성 이음관을 사용하여 열응력에 따른 배관 파손을 최소화시키려는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신축성 이음관은 열팽창하는 배관과 배관 사이에 설치하여 열팽창을 흡수하도록 하는 구성부재이다.
이러한 신축성 이음관은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는 주름관과, 이 주름관의 양 단부에 개별적으로 플랜지(flange)를 구비하는데, 플랜지는 통상적으로 용접 방식으로 주름관의 양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신축성 이음관은 배관과 배관 사이에 설치하는데 플랜지를 통해 위치고정된다.
플랜지를 통한 배관과 배관 사이의 연장은 특허문헌 1을 통해 제안되어 있지만, 플랜지와 주름관의 용접부위가 고온 유체로 인한 고온 환경 하에서 파단되는 문제점에 노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210840호
본 발명은 고온 환경 하에서도 주름관의 신장 및/또는 수축 등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배관과 배관 사이에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가능한 신축성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는 상류측에 배치된 제1 배관과 하류측에 배치된 제2 배관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동하는 고온 유체에 의해 주름관의 축선방향 혹은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또는 수축하는 것으로, 일 단부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 안착부와 타 단부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2 안착부를 구비한 중공의 주름관과; 제1 배관과 면접하는 일면의 중공부 둘레에 제1 단차부를 구비하고, 주름관의 제1 안착부를 제1 단차부와 중첩되도록 주름관 일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도넛형상의 제1 플랜지부; 및 제2 배관과 면접하는 타면의 중공부 둘레에 제2 단차부를 구비하고, 주름관의 제2 안착부를 제2 단차부와 중첩되도록 주름관의 타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도넛형상의 제2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에 다수의 나사공을 형성하는데, 이 나사공들은 제1 배관의 플랜지부와 제2 배관의 플랜지부의 볼트 체결을 돕는다.
본 발명은 제1 플랜지부의 제1 단차부를 주름관의 제1 안착부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제2 플랜지부의 제2 단차부를 주름관의 제2 안착부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는 제1 단차부에 제1 안착부를 위치시키고 제2 단차부에 제2 안착부를 위치시켜 주름관의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고 조립시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의 제1 단차부와 제2 플랜지부의 제2 단차부는 다수의 나사공 내측에 형성되어 볼트 체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은 유체의 유입방향에 위치된 제1 플랜지부 상에 안내관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안내관은 원통형상의 중공관과; 이 중공관의 일 단부 둘레에서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확장된 날개부; 및 중공관의 일 단부와 날개부의 내경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안내관의 날개부는 제1 플랜지부의 나사공 내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안내관의 중공관은 주름관 내부에 배치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제1 안착부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을 형성하고, 제1 플랜지부의 제1 단차부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부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을 형성하고, 제2 플랜지부의 제2 단차부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부는 상측 원호부와 하측 원호부로 분리되어 있고, 제2 플랜지부는 상측 원호부와 하측 원호부로 분리될 수 있다.
상측 원호부와 하측 원호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삽입홈을 추가로 형성하는데, 삽입홈은 주름관의 제1 안착부 또는 제2 안착부 가장자리를 수용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및 주름관의 분리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주름관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배관 내부로 유동하는 고온 유체(예컨대, 배기가스)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신축성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배관과 배관 사이에 설치될 신축성 연결구의 용이한 위치고정을 돕기 위해 주름관 양 단부에 제1 및 제2 플랜지부를 개별적으로 배치하고, 주름관의 양 단부와 제1 및 제2 플랜지부 사이를 용접방식으로 고정하지 않고 볼트 체결에 따른 죄임방식으로 각 구성부재들을 고정결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용접은 고온 환경 하에서 용접 부위에 파단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을 수밖에 없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름관의 양 단부에 외부 방사상 방향으로 절곡된 안착부와 제1 또는 제2 플랜지부를 중첩되게 배치하고, 제1 배관 및 제2 배관의 플랜지부와 볼트 체결을 통해 죄여 각 구성부재들의 신뢰할 수 있는 결합을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를 상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를 하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1)의 사용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1)는 제1 배관(10)과 제2 배관(20) 사이에 플랜지를 매개로 하여 볼트 방식으로 체결되어 있다. 제1 배관(10)은 상류측 배관으로 예컨대 가스 터빈과 유체연통가능하게 배치된 배관이고, 제2 배관(20)는 하류측 배관으로 예컨대 가스 터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관일 수 있다. 즉, 가스 터빈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는 제1 배관을 지나 제2 배관으로 유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관(10)과 제2 배관(20) 사이에 설치되어 배관 내부로 유동하는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는 중공의 주름관(100)을 구비한다. 주름관(100)은 배기가스로 데워지는 제1 배관 및/또는 제2 배관의 열팽창 정도를 보정(흡수)하는 구성요소로, 제1 배관과 제2 배관의 중심축의 어긋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1)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1)는 중공의 주름관(100)과, 이 주름관(100)의 일 단부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부(110), 및 이 주름관(100)의 타 단부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주름관(100)은 배관 내부로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 압력 등의 매개변수에 종속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또는 수축가능한 소재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기로, 주름관(100)은 내열성과 내산화성을 가진 인코넬(inconel)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주름관(100)은 이의 일 단부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제1 안착부(101)를 구비한다. 제1 안착부(101)는 주름관(100)의 중심축선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주름관(100)의 일 단부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선택가능하기로, 제1 안착부(101)는 이의 타면에 하나 이상의 수용홈(101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주름관(100)은 이의 타 단부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제2 안착부(102)를 구비한다. 제2 안착부(102)는 주름관의 중심축선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주름관(100)의 타 단부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선택가능하기로, 제2 안착부(102)는 이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수용홈(102a)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110)는 중심부에 중공부를 형성한 도넛형상의 구성부재로서, 상류측 제1 배관(10)의 플랜지부(11)와 볼트 체결할 수 있게 다수의 나사공(114)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다. 제1 플랜지부(110)의 중공부 내경은 주름관(100)의 일 단부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110)는 주름관(100)과 용접방식으로 고정결합되어 있지 않은 대신에 주름관의 일 단부에서 절곡된 제1 안착부(101)의 타면에 배치되어 주름관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제1 플랜지부(110)는 이의 일면, 다시 말하자면 제1 배관(10)의 플랜지부(11)와 대면하는 편평면 상에 제1 단차부(111)를 형성한다. 제1 단차부(111)는 제1 플랜지부(110)의 중공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제1 단차부(111)의 깊이는 주름관(100)의 제1 안착부(101) 두께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단차부(111)는 이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111a)를 형성하고, 돌기부(111a)는 제1 안착부(101)의 수용홈(10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조립시, 돌기부(111a)는 제1 안착부(101)의 수용홈(101a)에 삽통되어 주름관(100)의 축선 정렬과 위치선정을 돕는다.
제2 플랜지부(120)는 중심부에 중공부를 형성한 도넛형상의 구성부재로서, 하류측 제2 배관(20)의 플랜지부(21)와 볼트 체결할 수 있게 다수의 나사공(124)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다. 제2 플랜지부(120)의 중공부 내경은 주름관(100)의 타 단부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120)는 이의 타면, 다시 말하자면 제2 배관(20)의 플랜지부(21)와 대면하는 편평면 상에 제2 단차부(121)를 형성한다. 제2 단차부(121)는 제2 플랜지부(120)의 중공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제2 단차부(121)의 깊이는 주름관(100)의 제2 안착부(102) 두께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플랜지부(120)도 주름관(100)과 용접방식으로 고정결합되어 있지 않은 대신에 주름관의 타 단부에서 절곡된 제2 안착부(102)의 일면에 배치되어 주름관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제2 단차부(121)는 이의 타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121a)를 형성하고, 돌기부(121a)는 제2 안착부(102)의 수용홈(102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조립시, 돌기부(121a)는 제2 안착부(102)의 수용홈(102a)에 삽통되어 주름관(100)의 축선 정렬과 위치선정을 돕는다.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은 제1 플랜지부(110)와 제2 플랜지부(120)를 주름관(100)과 용접 방식 등으로 일체로 고정시키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1)는 제1 배관의 플랜지부(11)와 제2 배관의 플랜지부(21)와의 체결시 제1 플랜지부(110)의 제1 단차부(114)와 주름관(100)의 제1 안착부(101) 그리고 제2 플랜지부(120)의 제2 단차부(124)와 주름관(100)의 제2 안착부(102)를 상호 중첩되게 배치한 다음에 볼트 체결 등의 죄임을 통해 상호 밀착시켜 각 구성부재들 간의 신뢰할 수 있는 보장과 함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주름관(100)의 제1 안착부(101)는 제1 배관의 플랜지부(11)와 제1 플랜지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개스킷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이와 동일하게 주름관(100)의 제2 안착부(102)도 제2 배관의 플랜지부(21)와 제2 플랜지부(120) 사이에 개재되어 개스킷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1)는 주름관(100)의 일 단부 측에 배치될 제1 플랜지부(110)의 중공부에 위치될 안내관(14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안내관(140)은 상류측 제1 배관(10)으로 공급되는 고온 유체(예컨대, 배기가스)를 주름관(100)의 손상없이 하류로 안내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안내관(140)은 원통형상의 중공관(141)과 이 중공관(141)의 중심축선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부(142) 및 중공관(141)의 일 단부와 날개부(142)의 내경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143)을 구비한다. 날개부(142)는 중공관(141)의 일 단부에서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확장된다.
안내관(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유체의 유입방향에 위치된 주름관(100)의 일 단부에 배치되되, 배관 내부로 유동하는 유체로 인해 주름관(100)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안내관(140)의 중공관(141)은 주름관(100) 내부에서 동심축을 가진 이중관 형태로 배열되되, 배관 내부로 유동하는 유체와 주름관의 직접적인 충돌 혹은 접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안내관(140)은 배관 내부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속을 저감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하류로 안내할 수 있다. 중공관(141)의 외경은 주름관(1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주름관 내부로 중공관의 삽통을 돕는다.
안내관(140)은 제1 배관의 플랜지부(11)와 제1 플랜지부(110) 사이에 배치되되, 더욱 구체적으로, 안내관(140)의 날개부(142)는 제1 배관의 플랜지부(11)와 주름관(100)의 제1 안착부(101) 사이에 개재되며, 플랜지부(11)와 제1 플랜지부(110)의 볼트체결을 통해 안내관(140)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안내관(140)의 날개부(142)는 제1 플랜지부(110)의 제1 단차부(111)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제1 플랜지부(110)의 제1 단차부(111)의 깊이는 안내관(140)의 날개부(142) 두께와 주름관(100)의 제1 안착부(101) 두께의 합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랜지부(11)와 제1 플랜지부(110) 사이에 간극을 제공하지 않아 기밀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날개부(142)는 제1 플랜지부(110)의 나사공(114) 내측에 배치되어 볼트체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한다.
안내관(140)의 경사면(143)은 방사상 방향으로 확장된 날개부(142)와 원통형상의 중공관(141)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직교되게 배치된 날개부(142)와 중공관(141)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한다. 즉, 안내관(140)은 경사면(143)을 통해 제1 배관보다 축관된 중공관(141)을 제공하여, 제1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하류측 배관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2)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신축성 연결구(1)의 다른 변형예로서, 제1 및 제2 플랜지부(110,12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2)는 중공의 주름관(200)과, 이 주름관(200)의 일 단부 둘레에 배치될 제1 플랜지부(210), 및 이 주름관(200)의 타 단부 둘레에 배치될 제2 플랜지부(220)로 이루어져 있다.
제1 플랜지부(210)는 상측 원호부(210a)와 하측 원호부(210b)의 분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원호부(210a)는 이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주름관(200)의 제1 안착부(201) 상측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삽입홈(210a')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게 하측 원호부(210b)도 이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주름관(200)의 제1 안착부(201) 하측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삽입홈(210b')을 형성한다.
따라서, 삽입홈(210a',210b')은 주름관(200)의 제1 안착부(201) 가장자리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삽입홈(210a',210b')은 주름관(200)의 제1 안착부(201)의 가장자리 뿐만 아니라 안내관(240)의 날개부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랜지부(220)는 상측 원호부(220a)와 하측 원호부(220b)의 분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원호부(220a)는 이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주름관(200)의 제2 안착부(202) 상측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삽입홈(220a')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게 하측 원호부(220b)도 이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주름관(200)의 제2 안착부(202) 하측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삽입홈(220b')을 형성한다.
따라서, 삽입홈(220a',220b')은 주름관(200)의 제2 안착부(202) 가장자리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2)는 주름관(200)의 양 단부에 구비된 제1 및 제2 안착부(201,202)를 외측을 향해 절곡시켜 주름관(200)과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제1 및 제2 안착부(201,202)를 제1 및 제2 플랜지부(210,220)의 내주면에 삽입고정하여 각 구성부재들간의 유격 현상과 예상치 못한 분리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용접 방식으로 각 구성부재들을 위치고정시키지 않아 고온 환경 하에서 파단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2)는 제1 배관(10)의 플랜지부(11)와 신축성 연결구(2)의 제1 플랜지부(210) 사이에 실링을 위한 O-링(O-ring;미도시)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신축성 연결구(2)는 제2 배관(20)의 플랜지부(21)와 신축성 연결구(2)의 제2 플랜지부(220) 사이에 실링을 위한 O-링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연결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2 ----- 신축성 연결구,
100, 200 ----- 주름관,
101, 201 ----- 제1 안착부,
102, 202 ----- 제2 안착부,
110, 210 ----- 제1 플랜지부,
120, 220 ----- 제2 플랜지부,
140, 240 ----- 안내관,
141, 241 ----- 중공관,
142, 242 ----- 날개부.

Claims (12)

  1. 상류측에 배치된 제1 배관과 하류측에 배치된 제2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성 연결구에 있어서,
    일 단부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 안착부와 타 단부 외주면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2 안착부를 일체로 구비한 중공의 주름관과;
    상기 제1 배관과 면접하는 일면 중공부 둘레에 제1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름관의 제1 안착부를 상기 제1 단차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주름관 일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도넛형상의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배관과 면접하는 타면 중공부 둘레에 제2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름관의 제2 안착부를 상기 제2 단차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주름관의 타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도넛형상의 제2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는 다수의 나사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연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제1 단차부는 상기 주름관의 제1 안착부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2 단차부는 상기 주름관의 제2 안착부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연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제1 단차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2 단차부는 상기 다수의 나사공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연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 상에 안내관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연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원통형상의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일 단부 둘레에서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확장된 날개부; 및
    상기 중공관의 일 단부와 상기 날개부의 내경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연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의 날개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나사공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연결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의 중공관은 상기 주름관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연결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제1 단차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2 단차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연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상측 원호부와 하측 원호부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상측 원호부와 하측 원호부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연결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측 원호부와 하측 원호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삽입홈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연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주름관의 제1 안착부 또는 제2 안착부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연결구.
KR1020150034446A 2015-03-12 2015-03-12 신축성 연결구 KR20160109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446A KR20160109648A (ko) 2015-03-12 2015-03-12 신축성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446A KR20160109648A (ko) 2015-03-12 2015-03-12 신축성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648A true KR20160109648A (ko) 2016-09-21

Family

ID=5708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446A KR20160109648A (ko) 2015-03-12 2015-03-12 신축성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6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159U (ko) * 2018-06-14 2019-12-24 (주)제이앤에스 플랜지부가 형성된 인터쿨러용 벨로우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840B1 (ko) 2011-05-25 2012-12-11 한국해양연구원 유체 이송 파이프 조립체 및 이를 갖는 해양 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840B1 (ko) 2011-05-25 2012-12-11 한국해양연구원 유체 이송 파이프 조립체 및 이를 갖는 해양 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159U (ko) * 2018-06-14 2019-12-24 (주)제이앤에스 플랜지부가 형성된 인터쿨러용 벨로우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0703B2 (en) Support for a conduit
FI78633C (fi) Anordning att anvaendas vid hopsvetsning av roer.
US3556568A (en) Conduit connection means
BRPI0609396A2 (pt) montagem de abraçadeira para tubo
JPH0154600B2 (ko)
JP2011043236A (ja) 角度をなす空洞を有する継手の使用方法
US10323779B2 (en) Pipe coupling structure
US3628815A (en) Conduit connection means
EP3735549B1 (en) Pipe coupling capsulation assembly with retaining elements
KR101915492B1 (ko) 무용접 조립식 배관 플랜지 연결구
EP3112735A1 (en) Joint unit
WO2014009949A1 (en) Adjustable pipe connector
KR20160109648A (ko) 신축성 연결구
JP2010535315A (ja) 回転成形のビード
KR20180019397A (ko) 익스펜션 조인트
JP2012117610A (ja) 配管材の接続構造
KR102319277B1 (ko) 밸브 접합관
KR102050634B1 (ko) 연결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KR101638835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425651B1 (ko) 유체 커플링용 개스킷 어셈블리
EP3293430B1 (en) Articulating coupling assembly
CN216666792U (zh) 一种改进型管件连接装置
GB2044872A (en) A pipe connection assembly
CN210600664U (zh) 异径管连接处抢修装置
JP2006037981A (ja) プラスチック管の接続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