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309A -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309A
KR20180018309A KR1020170080952A KR20170080952A KR20180018309A KR 20180018309 A KR20180018309 A KR 20180018309A KR 1020170080952 A KR1020170080952 A KR 1020170080952A KR 20170080952 A KR20170080952 A KR 20170080952A KR 20180018309 A KR20180018309 A KR 20180018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axial connector
connection portion
center conductor
proj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657B1 (ko
Inventor
아키히로 마루야마
다카시 사와이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8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6Lead-in-hole components, e.g. affixing or retention before soldering, spacing means
    • H05K3/308Adapta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05Edge mounted component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4Fixed joints
    • H01P1/045Coaxial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01P5/085Coaxial-line/strip-line tran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05K1/0243Printed circuits associated with mounted high frequency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809Coaxial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중심 도체가 대략 L 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구조를 갖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회로 등과의 임피던스의 정합성을 높인다.
(해결 수단) 기판 (2) 에 실장되는 동축 커넥터 (1) 로서, 중심 도체 (31) 는,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 (32) 와, 접촉부 (32) 에 연결되고, 외부 도체 (11) 의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1 연결부 (33) 와, 제 1 연결부 (33) 에 연결되고, 외부 도체 (11) 의 직경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구부러짐부 (34) 와, 구부러짐부 (34) 에 연결되고, 외부 도체 (11) 의 직경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2 연결부 (35) 와, 제 2 연결부 (35) 에 연결되고, 당해 중심 도체 (31) 를 기판의 회로에 접속시키는 접속부 (36) 를 구비하고, 제 1 연결부 (33) 에는 당해 제 1 연결부 (33) 의 외주면의 일부가 돌출된 제 1 돌출부 (41) 가 형성되고, 제 2 연결부 (35) 에는 당해 제 2 연결부 (35) 의 외주면의 일부가 돌출된 제 2 돌출부 (42) 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에 실장되는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에 실장되는 타입의 동축 커넥터는, 기판에 형성된 회로와 기판으로부터 독립된 장치를 동축 케이블을 개재하여 접속시키는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로 및 장치에서 취급하는 신호가 고주파 신호인 경우에는, 동축 커넥터의 임피던스를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 또는 출력 임피던스와 정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동축 커넥터의 임피던스는, 중심 도체 및 외부 도체의 형상 및 치수, 그리고 중심 도체와 외부 도체 사이의 거리 등, 동축 커넥터의 구조상의 요소에 따라 변화된다. 동축 커넥터의 설계시에는, 이들 구조상의 요소를 적절히 조정하여, 동축 커넥터의 임피던스를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 등과 정합시킨다.
하기의 특허문헌 1 에는, 동축 커넥터의 구조상의 요소를 조정함으로써 동축 커넥터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예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95326호
그런데, 기판에 실장되는 타입의 동축 커넥터로서, 외부 도체는 그 축선이 기판의 표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고, 한편, 중심 도체는 대략 L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 도체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은 기판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신장되고, 기판의 회로에 접속되는 부분은 기판의 표면에 대해 수평인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도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동축 커넥터에서 고주파 신호를 취급하는 경우, 특히, 주파수가 대체로 20 ㎓ 부터 30 ㎓ 까지인 준밀리미터파대, 또는 주파수가 대체로 30 ㎓ 이상인 밀리미터파대의 고주파 신호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동축 커넥터의 임피던스를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 등과 정합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 요인으로는, 중심 도체가 L 자 형상으로, 직선상과 비교하여 형상이 복잡한 것이나, 중심 도체가 L 자 형상이기 때문에, 중심 도체와 외부 도체의 거리가 중심 도체의 부분에 따라 크게 상이한 것 등이 생각된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취급하는 신호의 주파수가 매우 높은 것이 생각된다. 즉, 취급하는 신호가 준밀리미터파대에 접근하거나, 또는 준밀리미터파대가 되거나, 혹은 밀리미터파대가 되면, 그보다 낮은 주파수대와 비교하여, 동축 커넥터의 구조상의 요소를 조정함으로써 동축 커넥터의 임피던스를 컨트롤하는 것이 대폭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중심 도체가 대략 L 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구조를 갖는 동축 커넥터로서, 회로 등과의 임피던스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와, 외부 도체의 내측에 형성된 중심 도체를 구비하고, 기판에 실장되는 동축 커넥터로서, 중심 도체는,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촉부에 연결되고, 외부 도체의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1 연결부와, 제 1 연결부에 연결되고, 외부 도체의 직경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구부러짐부와, 구부러짐부에 연결되고, 외부 도체의 직경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2 연결부와, 제 2 연결부에 연결되고, 당해 중심 도체를 기판의 회로에 접속시키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제 1 연결부에는 당해 제 1 연결부의 외주면의 일부가 돌출된 제 1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 2 연결부에는 당해 제 2 연결부의 외주면의 일부가 돌출된 제 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중심 도체의 구부러짐부의 양측에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회로 등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돌출부는 제 1 연결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돌출부는 제 2 연결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돌출부는 제 1 연결부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돌출부는 제 2 연결부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돌출부는 외부 도체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기판의 표면에 있어서, 외부 도체의 기판에 가까운 측의 단부 (端部) 의 단면 (端面) 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체 패턴이 부설 (敷設) 된 도체 영역이 형성되고, 외부 도체의 단부의 내측 공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체 패턴이 부설되어 있지 않은 비도체 영역이 형성되고, 제 2 돌출부는 비도체 영역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중심 도체를 외부 도체에 지지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절연 부재는, 접촉부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과, 삽입 통과 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멍이며, 제 1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삽입 통과 구멍과 수용부 사이에 형성된 단부 (段部) 를 구비하고, 제 1 돌출부는 단부에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중심 도체의 제 2 연결부에 있어서, 제 2 돌출부보다, 외부 도체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 부분에는, 제 2 연결부의 직경 치수가 부분적으로 변화된 조정부를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 도체가 대략 L 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구조를 갖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회로 등과의 임피던스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은, 기판과, 기판에 실장하기 전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 는, 도 1 중의 화살표 II 방향에서 본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외관도이다.
도 3 은, 도 2 중의 화살표 III-III 방향에서 본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단면도 (斷面圖) 이다.
도 4 는, 상측방에서 본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5 는, 하측방에서 본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측방에서 본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중심 도체의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와 외부 도체의 위치 관계, 그리고, 중심 도체의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와 기판의 도체 패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 는, 비교예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0 은,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에 흘린 경우, 및 비교예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각각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 (VSWR)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2 는,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에 흘린 경우, 및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각각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각각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중심 도체에 형성된 제 1 돌출부 부근의 전계 벡터 분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5 는,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에 흘린 경우, 및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각각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7 은,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에 흘린 경우, 및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각각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가 기판 (2) 에 실장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 중의 화살표 II 방향에서 본 동축 커넥터 (1) 를 나타내고, 도 3 은 도 2 중의 화살표 III-III 방향에서 본 동축 커넥터 (1) 의 단면 (斷面) 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상측방에서 본 동축 커넥터 (1) 의 분해도이며, 도 5 는 하측방에서 본 동축 커넥터 (1) 의 분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판 (2) 을 수평하게 두고, 기판 (2) 의 상면에 동축 커넥터 (1) 를 실장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도 1 에 있어서, 동축 커넥터 (1) 는 기판 (2) 의 표면에 실장되는 타입의 동축 커넥터이다. 동축 커넥터 (1) 는 그 축선이 기판 (2) 의 표면과 수직이 되도록 기판 (2) 에 실장된다. 상대 커넥터를 기판 (2) 의 상방으로부터 동축 커넥터 (1) 에 찔러 넣음으로써, 상대 커넥터와, 기판 (2) 에 형성된 회로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할 수 있다. 동축 커넥터 (1) 는, 외부 도체 (11), 중심 도체 (31), 및 중심 도체 (31) 를 외부 도체 (11) 에 절연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는 절연 부재 (21) 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기판 (2) 은, 예를 들어 테플론 (등록 상표) 기판, 또는 세라믹 기판이며, 표면에는 도체 패턴 (3, 4) 이 형성되고, 이면은 전면적으로 도체막이 형성되어 있다. 도체 패턴 (3, 4) 은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동축 커넥터 (1) 에 있어서, 외부 도체 (11) 는, 동축 커넥터 (1) 의 외각 (外殼) 으로서, 및 접지 등의 전기적 접속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외부 도체 (11) 는, 동축 커넥터 (1) 를 기판 (2) 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외부 도체 (11) 는, 예를 들어 황동, 인청동 등의 금속의 봉재를 절삭 가공함으로써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도체 (11) 는, 금속의 판재를 원통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지만, 금속의 봉재를 절삭 가공하여 외부 도체 (11) 를 형성하는 편이 동축 커넥터 (1) 의 임피던스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외부 도체 (11) 의 표면은, 예를 들어 니켈에 의해 도금되고, 추가로 그 위에 거듭해서 금 또는 주석에 의해 도금되어 있다. 외부 도체 (11) 의 크기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직경 3 ∼ 10 ㎜ 정도, 높이 4 ∼ 12 ㎜ 정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 (11) 의 상부에는, 상대 커넥터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부 (12) 의 내주측에는, 끼워 맞춤부 (12) 에 삽입된 상대 커넥터를 걸어 고정시키는 커넥터 걸림부 (13)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걸림부 (13) 는, 끼워 맞춤부 (12) 의 내주면으로부터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직경 방향 내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부 도체 (11) 의 하부의 내주측에는, 절연 부재 (21) 를 개재하여 중심 도체 (31) 를 지지하는 지지부 (14) 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 (14) 에는 그 하방으로부터 절연 부재 (21) 가 삽입된다. 지지부 (14) 는, 절연 부재 (21) 의 간부 (幹部) (22) 가 삽입되는 삽입부 (15) 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부 (15)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부 (12) 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다. 또, 지지부 (14) 는, 절연 부재 (21) 의 일방의 지부 (枝部) (23) 가 삽입되는 홈부 (16) 를 구비하고 있다. 홈부 (16) 는, 외부 도체 (11) 의 하단면에 형성되고, 삽입부 (15)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고정부 (18) 의 외주면과의 사이를 관통하도록 외부 도체 (11) 의 직경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 (14) 는, 절연 부재 (21) 의 타방의 지부 (24) 가 삽입되는 오목부 (17) 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 (17) 는, 외부 도체 (11) 의 하단면에 있어서 홈부 (16) 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 (14) 의 이상의 형상은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외부 도체 (11) 의 하부의 외주측에는, 외부 도체 (11) 를 기판 (2) 의 도체 패턴 (3) 에 땜납에 의해 접속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 (18) 는, 외부 도체 (11) 의 외주면의 하단부가 직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 (11) 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고정부 (18) 는 대략 정방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부 (18) 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동축 커넥터 (1)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패임부 (19)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 (18) 의 이상의 형상은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축 커넥터 (1) 에 있어서, 절연 부재 (21) 는, 절연 재료, 예를 들어 액정 폴리머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절연 부재 (21)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 기둥 형상의 간부 (22) 와, 간부 (22) 의 직경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직경 방향 외향으로 각각 신장되는 1 쌍의 지부 (23, 24) 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부 (22) 의 중심부의 상부에는, 중심 도체 (31) 의 접촉부 (32) 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 (25)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삽입 통과 구멍 (25) 의 내면에는, 중심 도체 (31) 를 절연 부재 (21) 에 걸어 고정시키는 홈 형상 걸림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간부 (22) 의 중심부의 하부에는, 중심 도체 (31) 의 제 1 연결부 (33), 제 1 돌출부 (41) 및 구부러짐부 (34) 를 수용하는 구멍인 수용부 (27)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수용부 (27) 는, 삽입 통과 구멍 (25) 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삽입 통과 구멍 (25) 과 수용부 (27) 사이에는 단부 (28) 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 (28) 에는 제 1 돌출부 (41) 가 맞닿는다. 또, 수용부 (27) 내에 있어서, 구부러짐부 (34) 와 절연 부재 (2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구부러짐부 (34) 가 절연 부재 (21) 에 접촉하고 있지 않고, 양자 사이에 공기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동축 커넥터 (1) 의 삽입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절연 부재 (21) 의 지부 (23) 의 하단면에는 미세 홈 (29) 이 직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미세 홈 (29) 내에는 중심 도체 (31) 의 제 2 연결부 (35) 및 제 2 돌출부 (42) 가 삽입된다. 또한, 절연 부재 (21) 의 이상의 형상은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 및 도 7 은 동축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31) 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6 은 중심 도체 (31) 를 상측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7 은 중심 도체 (31) 를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 (31) 는 신호를 전하는 단자이고, 예를 들어 황동, 인청동 등의 금속의 봉재에 절삭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하고, 표면에 니켈을 도금하고, 그 위에 거듭해서 금 또는 주석을 도금함으로써, L 자형의 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심 도체 (31) 는, 접촉부 (32), 제 1 연결부 (33), 구부러짐부 (34), 제 2 연결부 (35) 및 접속부 (36) 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 (31) 의 일단측에는,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 (32)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촉부 (32) 는 수형 (雄型) 이며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 (32) 의 타단에는, 외부 도체 (11) 의 축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신장되는 제 1 연결부 (33) 가 연결되어 있다. 제 1 연결부 (33) 의 타단에는, 외부 도체 (11) 의 직경 방향으로 90 도 구부러진 구부러짐부 (34) 가 연결되어 있다. 구부러짐부 (34) 의 타단에는, 외부 도체 (11) 의 직경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신장되는 제 2 연결부 (35) 가 연결되어 있다. 제 2 연결부 (35) 의 타단측에는, 당해 중심 도체 (31) 를 기판의 회로에 접속시키는 접속부 (36) 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 (32), 제 1 연결부 (33), 구부러짐부 (34), 제 2 연결부 (35) 및 접속부 (36) 의 횡단면 (橫斷面) 형상은 원형이며, 예를 들어 0.2 ∼ 0.8 ㎜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있다. 또, 접촉부 (32) 의 선단으로부터 구부러짐부 (34) 까지의 길이 L1 은 예를 들어 4 ∼ 12 ㎜ 정도이다. 또, 구부러짐부 (34) 로부터 접속부 (36) 의 선단까지의 길이 L2 는 예를 들어 3 ∼ 12 ㎜ 정도이다. 또, 제 1 연결부 (33) 에는 중심 도체 (31) 를 절연 부재 (21) 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차양 형상 걸림부 (37) 가 형성되어 있다. 차양 형상 걸림부 (37) 는, 절연 부재 (21) 의 홈 형상 걸림부 (26) 에 압입 걸어 맞춰진다. 또한, 중심 도체 (31) 의 타단측의 접속부 (36), 또는 그 일부에, 프레스 가공 또는 절삭 가공 등을 실시하여, 적어도 그 하부에 평면을 형성해도 된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 (31) 의 제 1 연결부 (33) 에는 제 1 돌출부 (41)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출부 (41) 는 차양 형상 걸림부 (37) 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연결부 (33) 에 있어서, 차양 형상 걸림부 (37) 의 하방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일부가 제 1 연결부 (33) 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부분이 제 1 돌출부 (41) 이다. 제 1 돌출부 (41) 는 제 1 연결부 (33) 및 구부러짐부 (34) 의 어느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돌출부 (41) 는 제 1 연결부 (33) 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돌출부 (41) 는, 제 1 연결부 (33) 의 외주면으로부터 가파르게 돌출되어 있고, 제 1 연결부 (33) 의 외주면과 직교하는 단면 (41A) 을 가지고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 (41) 의 상측의 단면 (41A) 은, 절연 부재 (21) 의 단부 (28) 에 맞닿고, 이로써, 절연 부재 (21) 에 대해 중심 도체 (31) 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하고 있다. 즉, 동축 커넥터 (1) 를 조립할 때에, 절연 부재 (21) 에 중심 도체 (31) 를 삽입하였을 때에, 제 1 돌출부 (41) 의 상측의 단면 (41A) 이 단부 (28) 에 맞닿음으로써, 절연 부재 (21) 에 대한 중심 도체 (31) 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설계상의 위치에 정해진다. 이로써, 중심 도체 (31) 가 설계상의 위치보다 삽입 방향으로 깊게 들어가서, 중심 도체 (31) 의 제 2 연결부 (35) 가 절연 부재 (21) 의 미세 홈 (29) 에 강하게 닿아 제 2 연결부 (35) 에 큰 힘이 가해져, 제 2 연결부 (35) 가 변형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 (31) 의 제 2 연결부 (35) 에는 제 2 돌출부 (42) 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연결부 (35) 에 있어서 외부 도체 (11) 의 중심에 가까운 측의 외주면의 일부가 제 2 연결부 (35) 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부분이 제 2 돌출부 (42) 이다. 제 2 돌출부 (42) 는 제 2 연결부 (35) 및 구부러짐부 (34) 의 어느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연결부 (35) 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돌출부 (42) 는, 제 2 연결부 (35) 의 외주면과 직교하는 단면 (42A) 을 가지고 있다.
제 1 돌출부 (41) 및 제 2 돌출부 (42) 는 구부러짐부 (34) 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돌출부 (41) 및 제 2 돌출부 (42) 는 구부러짐부 (34) 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간되어 있지만, 양자는 서로 접근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돌출부 (41) 는, 도 7 에 있어서 제 1 연결부 (33) 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일부가 구부러짐부 (34) 의 상부에 도달해 있다. 또, 제 2 돌출부 (42) 는, 도 7 에 있어서 제 2 연결부 (35) 의 우측부에 위치하고, 그 일부가 구부러짐부 (34) 의 좌측부에 도달해 있다. 이들의 결과, 제 1 돌출부 (41) 및 제 2 돌출부 (42) 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는, 구부러짐부 (34) 가 그리는 원호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돌출부 (41) 쪽이 제 2 돌출부 (42) 보다 직경이 크고, 체적이 크거나, 또는 외주면의 면적이 크다.
도 8 은, 제 1 돌출부 (41) 및 제 2 돌출부 (42) 와 외부 도체 (11) 의 위치 관계, 그리고, 제 1 돌출부 (41) 및 제 2 돌출부 (42) 와 기판 (2) 의 표면의 도체 패턴 (3) 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 제 1 돌출부 (41) 는 외부 도체 (11) 의 중심에 배치되고, 제 2 돌출부 (42) 는, 그 전부가 외부 도체 (11) 의 외주면 (11A) 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동축 커넥터 (1) 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 제 2 돌출부 (42) 는, 외부 도체 (11) 의 지지부 (14) 의 내주면에 상당하는 삽입부 (15) 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동축 커넥터 (1) 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 제 2 돌출부 (42) 는, 제 1 돌출부 (41) 와 일부 중첩되어 있다.
또, 제 1 돌출부 (41) 및 제 2 돌출부 (42) 는, 기판 (2) 의 표면에 형성된 도체 패턴 (3) 과 다음과 같은 위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2) 의 표면에 있어서, 외부 도체 (11) 의 기판 (2) 에 가까운 측의 단부의 단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체 패턴 (3) 이 부설된 도체 영역 (5) 이 형성되고, 외부 도체 (11) 의 단부의 내측 공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체 패턴이 부설되어 있지 않은 비도체 영역 (6)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출부 (41) 및 제 2 돌출부 (42) 는 각각의 전부가 비도체 영역 (6)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돌출부 (41) 및 제 2 돌출부 (42) 는, 중심 도체 (31) 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즉, 이들 돌출부는, 금속의 봉재를 절삭하여 중심 도체 (31) 를 형성할 때에, 중심 도체 (31) 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L 자 형상의 중심 도체 (31) 의 구부러짐부 (34) 의 양측에 제 1 돌출부 (41) 및 제 2 돌출부 (42) 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고주파 신호, 특히, 준밀리미터파대 또는 밀리미터파대의 고주파 신호를 중심 도체 (31) 에 흘리는 경우라 하더라도, 동축 커넥터 (1) 의 임피던스와, 기판 (2) 에 형성된 회로의 입력 임피던스 또는 출력 임피던스 등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동축 커넥터 (1) 의 임피던스 정합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먼저, 도 9 및 도 10 을 사용하여 제 1 검토를 실시한다. 도 9 는, 제 1 비교예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101), 제 2 비교예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102), 및 제 3 비교예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103) 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중심 도체 (101, 102 및 103) 는 각각, 접촉부 (104), 제 1 연결부 (105), 구부러짐부 (106), 제 2 연결부 (107) 및 접속부 (108) 를 갖는 L 자 형상의 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점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31) 와 동일하다. 그러나, 중심 도체 (101) 에는, 중심 도체 (31) 의 제 1 돌출부 (41) 에 상당하는 돌출부 및 중심 도체 (31) 의 제 2 돌출부 (42) 에 상당하는 돌출부가 모두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중심 도체 (102) 에는, 중심 도체 (31) 의 제 1 돌출부 (41) 에 상당하는 돌출부 (109) 가 형성되어 있지만, 중심 도체 (31) 의 제 2 돌출부 (42) 에 상당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중심 도체 (103) 에는, 중심 도체 (31) 의 제 2 돌출부 (42) 에 상당하는 돌출부 (110) 가 형성되어 있지만, 중심 도체 (31) 의 제 1 돌출부 (41) 에 상당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10 중의 그래프에 있어서, 실선은,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31) 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 (VSWR) 를 나타내고 있다. 이점 쇄선은,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제 1 비교예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101) 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내고 있다. 일점 쇄선은,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제 2 비교예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102) 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내고 있다. 파선은,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제 3 비교예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103) 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쪽이, 어느 비교예의 동축 커넥터보다, 직류부터 10 ㎓ 까지의 대부분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전압 정재파비가 1 에 가깝고, 10 ㎓ 부터 40 ㎓ 까지의 모든 주파수대에 있어서 전압 정재파비가 1 에 가깝다. 이 점으로부터, 중심 도체 (31) 의 구부러짐부 (34) 의 양측에 제 1 돌출부 (41) 및 제 2 돌출부 (42) 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준밀리미터파대 미만의 주파수대는 물론, 준밀리미터파대 및 밀리미터파대에 있어서도 (특히 준밀리미터파대 및 밀리미터파대에 있어서 확실하고 또한 현저하게), 동축 커넥터와 기판의 회로 사이 등의 임피던스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도 12 및 도 13 을 사용하여 제 2 검토를 실시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51) 를 나타내고 있다. 중심 도체 (51) 는, 접촉부 (52), 제 1 연결부 (53), 구부러짐부 (54), 제 2 연결부 (55) 및 접속부 (56) 를 갖는 L 자 형상의 봉상으로 형성되고, 제 1 연결부 (53) 에는 제 1 돌출부 (57) 가 형성되고, 제 2 연결부 (55) 에 제 2 돌출부 (58)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점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31) 와 동일하다. 그러나, 중심 도체 (31) 와 달리, 중심 도체 (51) 의 제 1 돌출부 (57) 및 제 2 돌출부 (58) 의 형상은 사각 기둥 형상이다.
도 12 중의 그래프에 있어서, 실선은,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31) 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내고 있다. 이점 쇄선은,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51) 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쪽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보다, 5 ㎓ 부터 40 ㎓ 까지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전압 정재파비가 1 에 가깝다. 이 점으로부터, 중심 도체에 원 기둥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편이, 사각 기둥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보다, 준밀리미터파대 미만의 고주파수대, 준밀리미터파대 및 밀리미터파대에 있어서, 동축 커넥터와 기판의 회로 사이 등의 임피던스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3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31) 에 있어서, 제 1 돌출부 (41) 부근의 전계 벡터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51) 에 있어서, 제 1 돌출부 (57) 부근의 전계 벡터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돌출부 (41) 부근의 전계 벡터 분포는, 거의 이상적인 동축 모드의 분포이다. 이에 반해, 도 13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돌출부 (57) 부근의 전계 벡터 분포는 벡터 방향으로 흐트러짐이 발생하고 있다. 도 13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벡터 방향의 흐트러짐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의 임피던스 정합성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에 있어서의 임피던스 정합성보다 열등한 요인의 하나로 생각된다.
다만, 도 12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전압 정재파비를, 도 10 에 나타내는 각 비교예의 동축 커넥터의 전압 정재파비와 비교하면, 30 ㎓ 부터 40 ㎓ 까지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전자 쪽이 후자보다 1 에 가깝다. 이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에 의해서도, 밀리미터파대에 있어서, 동축 커넥터와 기판의 회로 사이 등의 임피던스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 를 사용하여 제 3 검토를 실시한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61) 를 나타내고 있다. 중심 도체 (61) 는, 접촉부 (62), 제 1 연결부 (63), 구부러짐부 (64), 제 2 연결부 (65) 및 접속부 (66) 를 갖는 L 자 형상의 봉상으로 형성되고, 제 1 연결부 (63) 에는 제 1 돌출부 (67) 가 형성되고, 제 2 연결부 (65) 에는 제 2 돌출부 (68)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점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31) 와 동일하다. 그러나, 중심 도체 (31) 와 달리, 중심 도체 (61) 의 제 1 돌출부 (67) 는 제 1 연결부 (63) 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또, 중심 도체 (61) 의 제 2 돌출부 (68) 는 제 2 연결부 (65) 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도 15 중의 그래프에 있어서, 실선은,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31) 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내고 있다. 이점 쇄선은,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61) 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 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쪽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보다, 5 ㎓ 부터 30 ㎓ 까지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전압 정재파비가 1 에 가깝다. 이 점으로부터, 돌출부를 중심 도체에 동축으로 배치하는 편이, 준밀리미터파대 미만의 고주파수대 및 준밀리미터파대에 있어서, 동축 커넥터와 기판의 회로 사이 등의 임피던스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도 15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전압 정재파비를, 도 10 에 나타내는 각 비교예의 동축 커넥터의 전압 정재파비와 비교하면, 15 ㎓ 부터 40 ㎓ 까지 주파수대에 있어서, 전자 쪽이 후자보다 1 에 가깝다. 이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에 의해서도, 대체로 준밀리미터파대 및 밀리미터파대에 있어서, 동축 커넥터와 기판의 회로 사이 등의 임피던스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 을 사용하여 제 4 검토를 실시한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71) 를 나타내고 있다. 중심 도체 (71) 는, 접촉부 (72), 제 1 연결부 (73), 구부러짐부 (74), 제 2 연결부 (75) 및 접속부 (76) 를 갖는 L 자 형상의 봉상으로 형성되고, 제 1 연결부 (73) 에는 제 1 돌출부 (77) 가 형성되고, 제 2 연결부 (75) 에는 제 2 돌출부 (78)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점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31) 와 동일하다. 그러나, 중심 도체 (71) 의 제 1 돌출부 (77) 는, 중심 도체 (31) 의 제 1 돌출부 (41) 보다 예를 들어 0.15 ㎜ 정도 상방에 위치하고, 또, 중심 도체 (71) 의 제 2 돌출부 (78) 는, 중심 도체 (31) 의 제 2 돌출부 (42) 보다, 외부 도체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예를 들어 0.5 ㎜ 정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중심 도체 (71) 의 제 1 돌출부 (77) 와 구부러짐부 (74) 사이의 거리는, 중심 도체 (31) 의 제 1 돌출부 (41) 와 구부러짐부 (34)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중심 도체 (71) 의 제 2 돌출부 (78) 와 구부러짐부 (74) 사이의 거리는, 중심 도체 (31) 의 제 2 돌출부 (42) 와 구부러짐부 (34)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돌출부 (77) 의 위치 및 제 2 돌출부 (78) 의 위치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은, 구부러짐부 (74) 가 그리는 원호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다.
도 17 중의 그래프에 있어서, 실선은,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31) 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내고 있다. 이점 쇄선은, 신호원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71) 에 흘린 경우에 있어서의 동축 커넥터측의 전압 정재파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 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쪽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보다, 5 ㎓ 부터 40 ㎓ 까지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전압 정재파비가 1 에 가깝다. 이 점으로부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 각각을 중심 도체의 구부러짐부에 접근시키는 편이, 준밀리미터파대 미만의 고주파수대, 준밀리미터파대 및 밀리미터파대에 있어서, 동축 커넥터와 기판의 회로 사이 등의 임피던스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도 17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전압 정재파비를, 도 10 에 나타내는 각 비교예의 동축 커넥터의 전압 정재파비와 비교하면, 10 ㎓ 부터 30 ㎓ 까지의 대부분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전압 정재파비가 1 에 가깝다. 이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에 의해서도, 대체로 준밀리미터파대에 있어서, 동축 커넥터와 기판의 회로 사이 등의 임피던스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 (81) 를 나타내고 있다. 중심 도체 (81)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 (1) 의 중심 도체 (31) 와 마찬가지로, 접촉부 (82), 제 1 연결부 (83), 구부러짐부 (84), 제 2 연결부 (85), 접속부 (86), 제 1 돌출부 (87) 및 제 2 돌출부 (88) 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더하여, 중심 도체 (81) 는, 제 2 연결부 (85) 에 있어서, 제 2 돌출부 (88) 보다, 외부 도체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 부분에 조정부 (89) 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부 (89) 는, 제 2 연결부 (85) 의 직경 치수를 부분적으로 크게 하거나, 또는 작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조정부 (89) 에 의해 제 2 연결부 (85) 의 둘레면에는 단차가 형성되지만, 조정부 (89) 에 의해 제 2 연결부 (85) 에 형성되는 둘레면의 단차는, 제 2 돌출부 (88) 에 의해 제 2 연결부 (85) 에 형성되는 둘레면의 단차 (돌출) 보다 작다. 또, 조정부 (89) 에 있어서, 제 2 연결부 (85) 의 직경 치수가 커지는 부분 (또는 작아지는 부분) 의 개수는 1 개에 한정되지 않고, 2 개 이상이어도 된다. 조정부 (89) 에 의해, 동축 커넥터의 임피던스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 (86) 의 직경 치수를 변경함으로써 동축 커넥터의 임피던스를 미세 조정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에서 판독할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그러한 변경을 수반하는 동축 커넥터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 : 동축 커넥터
2 : 기판
3, 4 : 도체 패턴
5 : 도체 영역
6 : 비도체 영역
11 : 외부 도체
11A : 외주면
21 : 절연 부재
25 : 삽입 통과 구멍
27 : 수용부
28 : 단부
31, 51, 61, 71, 81 : 중심 도체
32, 52, 62, 72, 82 : 접촉부
33, 53, 63, 73, 83 : 제 1 연결부
34, 54, 64, 74, 84 : 구부러짐부
35, 55, 65, 75, 85 : 제 2 연결부
36, 56, 66, 76, 86 : 접속부
41, 57, 67, 77, 87 : 제 1 돌출부
42, 58, 68, 78, 88 : 제 2 돌출부
89 : 조정부

Claims (9)

  1. 통 형상의 외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의 내측에 형성된 중심 도체를 구비하고, 기판에 실장되는 동축 커넥터로서,
    상기 중심 도체는,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도체의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도체의 직경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구부러짐부와,
    상기 구부러짐부에 연결되고, 상기 직경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에 연결되고, 당해 중심 도체를 상기 기판의 회로에 접속시키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에는 당해 제 1 연결부의 외주면의 일부가 돌출된 제 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부에는 당해 제 2 연결부의 외주면의 일부가 돌출된 제 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외부 도체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기판에 가까운 측의 단부 (端部) 의 단면 (端面) 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체 패턴이 부설된 도체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도체의 상기 단부의 내측 공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체 패턴이 부설되어 있지 않은 비도체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비도체 영역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체를 상기 외부 도체에 지지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접촉부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멍이며, 상기 제 1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수용부 사이에 형성된 단부 (段部) 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단부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체의 제 2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보다, 상기 외부 도체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 부분에는, 제 2 연결부의 직경 치수가 부분적으로 변화된 조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KR1020170080952A 2016-08-09 2017-06-27 동축 커넥터 KR102054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6659 2016-08-09
JP2016156659A JP6588403B2 (ja) 2016-08-09 2016-08-09 同軸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309A true KR20180018309A (ko) 2018-02-21
KR102054657B1 KR102054657B1 (ko) 2019-12-11

Family

ID=6116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952A KR102054657B1 (ko) 2016-08-09 2017-06-27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64384B2 (ko)
JP (1) JP6588403B2 (ko)
KR (1) KR102054657B1 (ko)
CN (1) CN10770657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934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기판 실장형 동축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0970B (zh) * 2018-06-20 2024-05-14 成都宝通天宇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同轴波导径向功率合成器
CN209016322U (zh) * 2018-10-10 2019-06-21 深圳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射频连接器及具有该射频连接器的通信模块
WO2020230733A1 (ja) * 2019-05-10 2020-11-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セットにおけるグランド接続構造
CN110767961B (zh) * 2019-10-15 2021-12-1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九研究所 一种多路信号转接器
DE102019130743A1 (de) * 2019-11-14 2021-05-2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HF-Terminal für einen HF-Verbinder, sowie Verfahren zur Gütesteigerung einer Signalintegrität eines männlichen HF-Verbinders oder einer HF-Steckverbindung
JP7344150B2 (ja) * 2020-02-10 2023-09-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22102760A (ja) * 2020-12-25 2022-07-07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13594818A (zh) * 2021-09-07 2021-11-02 太康精密(中山)有限公司 组装式电连接器
KR20240018898A (ko) 2022-08-03 2024-02-14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표면 실장형 광대역 동축 커넥터
KR20240018896A (ko) 2022-08-03 2024-02-14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알에프 표면 실장형 고주파수용 동축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317A (ko) * 2003-09-17 2005-03-22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고주파 직각 커넥터
JP2012109187A (ja) * 2010-11-19 2012-06-07 Toshiba Corp 同軸コネクタ、同軸コネクタを有する基板、同軸コネクタを有する基板の製造方法、及び同軸コネクタ結合体
JP2015095326A (ja) 2013-11-11 2015-05-18 第一精工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33945T2 (de) * 1989-09-25 2002-10-10 Murata Manufacturing Co Steckverbinder
US5322453A (en) * 1992-11-25 1994-06-21 M/A-Com Omni Spectra, Inc. RF connector jack and plug assembly
JPH07135053A (ja) * 1993-11-08 1995-05-23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の実装構造
JP3275141B2 (ja) * 1998-11-04 2002-04-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多芯同軸コネクタ
US6264475B1 (en) * 1999-05-19 2001-07-24 Antaya Technologies Corporation Coaxial receptace
US6474995B1 (en) * 2001-10-30 2002-11-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profile RF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F connector
US6533610B1 (en) * 2001-12-24 2003-03-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profile RF connector assembly
JP3834309B2 (ja) * 2002-12-26 2006-10-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JP4076157B2 (ja) * 2003-07-30 2008-04-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US6776621B1 (en) * 2003-08-27 2004-08-1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Board mounted coax connector assembly
JP4139782B2 (ja) * 2004-01-20 2008-08-27 ホシデン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6066384A (ja) * 2004-07-27 2006-03-09 Hosiden Corp 基板対基板接続用同軸コネクタ
US7217156B2 (en) * 2005-01-19 2007-05-15 Insert Enterprise Co., Ltd. RF microwave connector for telecommunication
JP4587934B2 (ja) * 2005-10-25 2010-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インナーターミナルの製造方法及びインナーターミナル
JP4227155B2 (ja) * 2006-07-07 2009-0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334327B1 (en) * 2006-08-14 2008-02-26 Speed Tech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radio frequency connector
US7651334B2 (en) * 2007-11-02 2010-01-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CN201197030Y (zh) * 2008-03-25 2009-02-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024449B2 (ja) * 2008-04-23 2012-09-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CN101752757B (zh) * 2008-11-28 2012-07-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WO2010087202A1 (ja) * 2009-01-30 2010-08-05 株式会社フジクラ Rf用プラグコネクタ、rf用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rf用コネクタ
JP4325885B1 (ja) * 2009-03-27 2009-09-0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同軸コネクタ装置
CN201498694U (zh) * 2009-05-22 201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498718U (zh) * 2009-07-24 201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370276B2 (ja) * 2009-08-25 2013-12-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US8087940B1 (en) * 2010-11-03 2012-01-03 Abc Taiwan Electronics Corp. Coaxial electric connector
CN202111264U (zh) * 2011-03-25 2012-01-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射频连接器
JP2012230820A (ja) * 2011-04-26 2012-11-22 Daiichi Seiko Co Ltd 同軸型電気コネクタ
CN103094799B (zh) * 2011-11-02 2015-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同轴连接器
JP5533838B2 (ja) * 2011-11-04 2014-06-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プラグ
CN202759104U (zh) * 2012-07-18 2013-02-2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US8911240B2 (en) * 2013-03-15 2014-12-16 Samtec, Inc. Right-angle board-mounted connectors
KR101477399B1 (ko) * 2013-06-28 2014-1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알에프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317A (ko) * 2003-09-17 2005-03-22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고주파 직각 커넥터
JP2012109187A (ja) * 2010-11-19 2012-06-07 Toshiba Corp 同軸コネクタ、同軸コネクタを有する基板、同軸コネクタを有する基板の製造方法、及び同軸コネクタ結合体
JP2015095326A (ja) 2013-11-11 2015-05-18 第一精工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934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기판 실장형 동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48101A1 (en) 2018-02-15
JP6588403B2 (ja) 2019-10-09
US10164384B2 (en) 2018-12-25
CN107706575B (zh) 2020-04-21
CN107706575A (zh) 2018-02-16
KR102054657B1 (ko) 2019-12-11
JP2018026238A (ja)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8309A (ko) 동축 커넥터
KR101897996B1 (ko) 프로브
JP5947885B2 (ja)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これらのコネクタで構成される同軸コネクタ
US20100015850A1 (en) Low-profile mounted push-on connector
US9203196B2 (en) Electrical coaxial connector
WO2010087202A1 (ja) Rf用プラグコネクタ、rf用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rf用コネクタ
KR102206702B1 (ko) 캐비티 필터
US8043118B1 (en) Coaxial connector with a housing with a contact member and a conductor coaxial with the housing
JP2012099246A (ja) 検査用同軸コネクタ及びプローブ
KR20210076115A (ko) 동축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 구조
US8125292B2 (en) Coaxial line to planar RF transmission line transition using a microstrip portion of greater width than the RF transmission line
JP2020024844A (ja) 同軸コネクタ
US6612870B1 (en) Connector of the input/output type with grounded shielded cables and method of producing and of mounting such a connector
JP2015062272A (ja) 同軸フィードでのrf接続のための方法
CN107959199B (zh) 同轴连接器的安装构造
CN218938344U (zh) 检查用连接器以及检查用单元
JP2019012635A (ja) コネクタ
WO2021060189A1 (ja) コネクタ測定用プローブ及びコネクタの測定方法
US9716353B2 (en) Coaxial connector
WO2021065743A1 (ja) 同軸コネクタ
US8882539B2 (en) Shunt for electrical connector
US20210263071A1 (en) Probe
KR102251907B1 (ko) 기판 실장형 동축 커넥터
WO2022014435A1 (ja) 検査用プローブ装置及びコネクタ検査方法
JP7117409B1 (ja) 伝送線結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