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747A - 증강 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투영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747A
KR20180015747A KR1020187000517A KR20187000517A KR20180015747A KR 20180015747 A KR20180015747 A KR 20180015747A KR 1020187000517 A KR1020187000517 A KR 1020187000517A KR 20187000517 A KR20187000517 A KR 20187000517A KR 20180015747 A KR20180015747 A KR 20180015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d
pane
glass
thickness
intermedi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크레머스
마틴 아른트
슈테판 고쎈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80015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7/010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holograph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128Treatment of at least one glass sheet
    • B32B17/10137Chemical strength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7/010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holographic elements
    • G02B2027/010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holographic elements comprising details concerning the making of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02B2027/0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comprising devices for attenuating parasitic image effects
    • G02B2027/0121Parasitic image effect attenuation by suitable positioning of the parasit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027/0192Supplementary details
    • G02B2027/0194Supplementary details with combiner of laminated type, for optical or mechanic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027/0192Supplementary details
    • G02B2027/0196Supplementary details having transparent supporting structure for display mounting, e.g. to a window or a windshi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투영 장치에 관한 것이며, - 열가소성 중간층(4)을 거쳐 서로 연결되어 있는 외부 창유리(2) 및 내부 창유리(3)를 포함하고, 상부 에지(O), 하부 에지(U) 및 HUD 영역(B)을 갖는, 차량 차유리(1)로서, 상부 에지(O)와 하부 에지(U) 사이의 수직 경로 내의 열가소성 중간층(4)의 두께는 웨지각(α)을 갖는 적어도 HUD 영역(B)에서 가변적이고, 차량 차유리(1)는 55° 내지 75°의 범위의 설치각을 갖고, 외부 창유리(2) 및 내부 창유리(3)는 모두 최대 5 mm의 두께를 갖는, 차량 차유리(1); 및 - HUD 영역(B)를 향해 배향되고 적어도 5 m의 투영 거리(d)에서 관찰자(6)가 지각할 수 있는 가상 이미지(7)를 발생하는 프로젝터(5)를 적어도 포함한다. 차유리(1)는 HUD 영역(B)에, 적어도 6 m의 수직 곡률반경(R)을 갖고, 최대 웨지각(α)은 0.3 mrad 이하이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투영 장치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용 투영 장치, 그 제조 방법 뿐만 아니라 이러한 투영 장치 내의 차유리(windshield)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현대식 자동차는 소위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증가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시보드의 영역에서 또는 루프 영역에서 프로젝터에 의해, 이미지가 차유리 상에 투영되고, 거기서 반사되고, 차유리 뒤에 가상 이미지로서(운전자의 관점으로부터) 운전자에 의해 지각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운전자가 도로로부터 그의 주의를 전환할 필요 없이 지각할 수 있는 현재 주행 속도, 네비게이션 또는 경고 메시지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가 운전자의 시야 내로 투영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따라서 교통 안전의 증가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다. 정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통상의 HUD의 투영 거리(가상 이미지와 운전자 사이의 거리)는 통상적으로 대략 2 m이다.
HUD의 더 최근의 변형예는 컨택트 아날로그 HUD 또는 증강 현실 HUD라 칭한다. 이들 HUD는 더 큰 HUD 영역[창유리(pane) 상의 투영 영역] 및 적어도 5 m, 통상적으로 심지어 7 m 초과의 상당히 더 큰 투영 거리에 의해 특징화된다. 컨택트 아날로그 HUD는 더 이상 창유리 상에 정적으로 단지 판독가능 데이터만을 투영하는 가능성만이 아니라, 대신에 차량의 실제 환경의 요소의 식별을 위한 광학 정보를 사용하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데 - 예시적인 용례는 도로 경계의 광학적 마킹, 도로변의 보행자의 광학적 강조, 도로 상의 직접 네비게이션 안내, 또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에 의해 인식되어 있는 차량의 마킹이다. 더 큰 투영 거리가 프로젝터 내부의 빔의 더 큰 광학 경로 길이에 의해, 예를 들어, 부가의 미러 및 더 큰 체적에 의해 생성된다. 컨택트 아날로그 HUD는 예를 들어, DE102014001710A1호, WO2014079567A1호, US2013249942A1호, US2014354692A1호, US2014375816A1호, 및 WO2013136374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HUD에 의해, 프로젝터 이미지가 차유리의 양 표면 상에 반사되는 기본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원하는 1차 이미지 뿐만 아니라, 또한 일반적으로 강도가 더 약한 약간 오프셋된 2차 이미지를 지각한다. 2차 이미지는 통상적으로 고스트 이미지(ghost image)라 칭한다. 이 문제점은 일반적으로, 1차 이미지와 고스트 이미지가 일치하도록 의도적으로 선택된 서로에 대한 각도로 반사면이 배열되고, 그 결과 고스트 이미지가 더 이상 산란스럽게 눈에 띄지 않게 되는 점에서 해결된다.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복합 글래스에서, 웨지각은 통상적으로 대략 0.5 mrad이다.
차유리는 열가소성 필름을 거쳐 서로 적층되어 있는 2개의 글래스 창유리를 포함한다. 글래스 창유리의 표면이 설명된 바와 같은 각도로 배열되면, 비일정한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는 또한 웨지형 필름 또는 웨지 필름이라 칭한다. 필름의 2개의 표면 사이의 각도는 웨지각이라 칭한다. 웨지각은 전체 필름에 걸쳐 일정할 수 있고(두께의 선형 변화) 또는 위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두께의 비선형 변화). 웨지 필름을 갖는 복합 글래스는 예를 들어, WO2009/071135A1호, EP1800855B1호, 또는 EP1880243A2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웨지 필름은 통상적으로 압출에 의해 제조되고, 여기서 웨지형 압출 다이가 사용된다. 무엇보다도 구체적인 창유리 기하학 형상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투영 장치에 의존하는 원하는 웨지각을 갖는 웨지 필름의 제조는 매우 고가이고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 의해 고스트 이미지의 문제점이 효과적으로 최소화되고 제조가 더 경제적이고 더 간단한 개량된 차유리를 갖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투영 장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속항으로부터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투영 장치는 적어도 차량 차유리(특히, 모터 차량, 예를 들어 자동차의) 및 프로젝터를 포함한다. HUD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프로젝터는 차유리의 영역을 조사하고, 여기서 조사는 관찰자(운전자)의 방향에서 반사되는데, 즉 차량 내에 위치되어 있는 관찰자가 그의 관점으로부터 차유리 뒤에 있는 것으로서 지각하는 가상 이미지가 발생된다. 프로젝터에 의해 조사될 수 있는 차유리의 영역은 HUD 영역이라 칭한다. 프로젝터는 HUD 영역에 조준된다. 프로젝터의 조사 방향은 통상적으로 관찰자의 신체 치수에 투영을 적응시키기 위해, 특히 수직으로 미러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관찰자의 눈이 소정의 미러 위치에 따라 위치되어야 하는 영역은 아이박스 윈도우(eyebox window)라 칭한다. 이 아이박스 윈도우는 미러의 조정에 의해 수직으로 시프트될 수 있고, 따라서 아이박스라 칭하는 전체 영역(즉, 모든 가능한 아이박스 윈도우의 오버레이)이 이용가능하다. 아이박스 내에 위치된 관찰자는 가상 이미지를 지각할 수 있다. 이는 물론, 예를 들어 전체 신체가 아니라, 관찰자의 눈이 아이박스 내에 위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젝터와 아이박스의 중심 사이에 연장하는 빔은 통상적으로 중앙빔이라 칭한다. 이는 HUD 투영 장치의 디자인을 위한 특성 기준빔이다.
여기에 사용된 HUD의 분야로부터의 기술 용어는 일반적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상세한 제시를 위해, 논문 ["Simulation-Based Metrology for Testing Head-Up Displays" by Alexander Neumann at the Informatics Institute of Munich Technical University (Munich: University Library of Munich TU, 2012), in particular to chapter 2 "The Head-Up Display"]를 참조하라.
차유리는 열가소성 중간층을 거쳐 서로 접합되어 있는 외부 창유리 및 내부 창유리를 포함한다. 차유리는 차량의 윈도우 개구 내에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를 분리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내부 창유리"는 내부(차량 내부)에 대면하는 창유리를 칭한다. "외부 창유리"는 외부 환경에 대면하는 창유리를 칭한다.
중간층의 두께는 차유리의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 사이의 수직 경로에서, 적어도 섹션에서 가변적이다. 여기서, "섹션에서"라는 것은,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 사이의 수직 경로가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갖고, 여기에서, 중간층의 두께가 위치에 따라 변동하는, 즉 중간층이 웨지각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중간층의 두께는 적어도 HUD 영역에서 가변적이다. 그러나, 두께는 복수의 섹션에서 또는 전체 수직 경로에서 또한 변동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부 에지로부터 상부 에지로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용어 "수직 경로"는 경로의 방향이 상부 에지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 사이의 경로를 칭한다. 차유리에서, 상부 에지는 직선으로부터 상당히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맥락에서 수직 경로는 더 정확하게는 상부 에지의 코너 사이의 (직선) 연결 라인에 수직인 것으로서 표현된다. 중간층은 적어도 섹션에서, 즉 두께가 가변적인 섹션에서, 유한 웨지각, 즉 0° 초과의 웨지각을 갖는다. 용어 "웨지각"은 중간층의 2개의 표면 사이의 각도를 칭한다. 웨지각이 일정하지 않으면, 그 표면의 탄젠트가 점에서의 그 측정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소위 "컨택트 아날로그 HUD" 또는 "증강 현실 HUD"이다. 컨택트 아날로그 HUD에서, 차유리의 제한된 영역 상에 투영된 정보 뿐만 아니라, 또한 외부 환경이 표현에 포함된다. 이러한 것의 예는 보행자의 마킹, 앞차와의 거리의 지시, 또는 선택될 차선을 마킹하기 위한 도로 상의 직접 네비게이션 데이터의 투영이다. 컨택트 아날로그 HUD는 투영 거리가 적어도 5 m인 점에서 종래의 정적 HUD와는 구별된다. 정적 HUD에서, 투영 거리는 상당히 더 작은데, 통상적으로 대략 2 m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투영 거리는 가상 이미지와 관찰자, 즉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머리 사이의 거리를 칭한다. 투영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 m이다. 투영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m이다.
컨택트 아날로그 HUD의 투영 장치에서, 모든 투영된 이미지를 위한 투영 거리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운전자가 상이한 거리에서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투영조차, 현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투영 거리를 갖는다. 상이한 거리의 주관적 인상은 기하학적 광학 효과에 의해 얻어진다.
차유리와 가상 이미지 사이의 거리는 통상적으로 "이미지 폭"이라 칭한다. 통상적으로, 운전자의 머리는 차유리로부터 대략 1 m의 거리를 갖기 때문에, 이미지 폭은 투영 거리보다 대략 1 m 작다. 따라서, 투영 거리의 대안으로서, 이미지 폭은 충분한 정확성을 갖는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폭은 적어도 4 m,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 m, 바람직하게는 최대 14 m이다.
최대 웨지각은 0.3 mrad 이하이다. 이는 종래의 정적 HUD에서 통상의 웨지각(대략 0.5 mrad)보다 상당히 작다. 용어 "최대 웨지각"은 중간층 내에서 나타나는 최대 웨지각을 칭하고, 에지 상의 가능한 극값은 무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유리는 HUD 영역에, 적어도 6 m의 수직 곡률반경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HUD 영역에서, 단지 6 m 이상인 수직 곡률반경만이 발생한다. 수직 곡률반경은 여기서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 사이의 창유리의 수직 치수에서 곡률에 기초한다. "수직"이라는 것은 하부 에지의 방향에서 상부 에지에 수직인 것을 의미하고, 여기서 상부 에지는 직선으로부터 벗어날 때, 상부 에지의 코너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으로서 고려된다. 큰 곡률반경은 약간의 곡률에 대응하고; 작은 곡률반경은 창유리의 급격한 곡률에 대응한다.
본 발명은 HUD 영역에서 창유리의 너무 급격하지 않은 곡률과 함께 정적 HUD에 비교하여 컨택트 아날로그 HUD의 확장된 투영 거리는, 작은 웨지각에 의해, 1차 이미지 및 고스트 이미지가 효과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보장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5 m에서 시작하는 투영 거리 및 적어도 6 m의 곡률반경에서, 단지 0.3 mrad의 웨지각만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따라서 더 큰 웨지각을 갖는 필름보다 제조가 더 경제적이고 더 간단한 단지 작은 웨지각을 갖는 열가소성 필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필름은 실제로 압출에 의한 것 대신에 일정한 두께의 필름을 신장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복합 글래스의 다양한 표면 상의 굴절 및 반사의 결과로서, 이중 이미지 - 복합 글래스를 통해 관찰되는 물체가 이중으로 보임 - 가 투과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심지어 HUD에 대해 최적화된 큰 웨지각을 갖는 웨지 필름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매우 작은 웨지각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투과시에 이중 이미지의 문제점이 감소된다.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장점이다.
투영 거리 및 창유리 곡률에 추가하여, 창유리 두께 뿐만 아니라 차유리의 설치각을 포함하여, 다른 인자가 필수 웨지각에 영향을 미친다. HUD의 적합한 디자인에 의해, 심지어 상당히 더 작은 웨지각이 적절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최대 웨지각은 0.2 mrad 이하, 바람직하게는 0.15 mrad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mrad 이하이다. 웨지각이 작을수록, 제조되어야 하는 중간층이 더 작고, 투과시 이중 이미지의 문제점이 덜 현저해진다.
HUD 영역에서 수직 곡률반경은 바람직하게는 6 m 내지 10 m이다. 이는 단지 6 m 내지 10 m의 수직 곡률반경이 HUD 영역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미관 또는 공기역학의 이유로 일반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은, 너무 편평하게 창유리를 HUD 영역에 구현할 필요 없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HUD 영역에서 수직 곡률반경은 적어도 7 m, 바람직하게는 7 m 내지 9 m, 특히 바람직하게는 7 m 내지 8 m이다. 따라서,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전체 차유리의 수직 곡률반경은 바람직하게는 1 m 내지 20 m, 특히 바람직하게는 2 m 내지 15 m, 특히 3 m 내지 13 m의 범위이다.
웨지각은 수직 경로에서 일정할 수 있는데, 이는 중간층의 두께의 선형 변화를 야기하고, 두께는 통상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저부로부터 상부까지 더 커진다. 방향 지시 "저부로부터 상부까지"는 하부 에지로부터 상부 에지로의 방향을 칭한다. 그러나, 웨지각이 저부로부터 상부로 선형이거나 비선형으로 가변적인(달리 말하면, 수직 경로에서 위치 종속적으로) 더 복잡한 두께 프로파일이 존재할 수 있다.
중간층의 두께는 수평 섹션(달리 말하면,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에 대략 평행한 섹션)에서 일정할 수 있다. 그 경우에, 두께 프로파일은 복합 글래스의 폭에 걸쳐 일정하다. 그러나, 두께는 또한 수평 섹션에서 가변적일 수 있다. 그 경우에, 두께는 수직 경로에서 뿐만 아니라 또한 수평 경로에서 가변적이다.
중간층은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형성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웨지각은 신장에 의해 필름 내에 생성된다. 웨지형 필름은 압출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통상의 필름으로서 최초 제공되고 원하는 웨지각을 갖도록 신장에 의해 재성형된다. 이는 압출에 의한 제조보다 더 간단하고 더 경제적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후에, 특히 하부 에지 및/또는 상부 에지의 부근에서 두께의 통상의 경로로부터, 웨지각이 신장에 의해 또는 압출에 의해 형성되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HUD 영역은 컨택트 아날로그 HUD의 경우에, 통상적으로 종래의 정적 HUD의 경우에서보다 더 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HUD 영역의 면적은 차유리의 면적의 적어도 7%,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이다. 정적 HUD의 HUD 영역의 면적은 통상적으로 차유리의 면적의 최대 4 내지 5%이다. 예를 들어, HUD 영역의 면적은 40,000 mm2 내지 125,000 mm2이다.
차유리의 설치각은 통상적으로 수평에 대해 55° 내지 75°, 특히 58° 내지 72°의 범위이다. 이들 설치각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웨지각이 문제 없이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설치각은 수평에 대해 60° 내지 68°, 바람직하게는 63° 내지 67°이다. 따라서, 중간층의 특히 작은 웨지각이 얻어질 수 있다.
차유리 상의 중앙빔의 입사각은 50° 내지 75°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의 범위이고, 예를 들어 65°이다. 입사각은 차유리 상에 수직 방향에 대해 측정된다.
외부 창유리 및 내부 창유리의 두께는 원리적으로 관련 기술분야에 통상적인 값의 맥락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종래의 차유리에서, 개별 창유리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1 mm 내지 5 mm, 특히 1.2 mm 내지 3 mm의 범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웨지각이 문제 없이 실현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개별 창유리는 각각의 경우에 5 mm의 최대값, 바람직하게는 3 mm의 최대값인 두께를 갖는다. 표준 창유리 두께는 예를 들어 2.1 mm 또는 1.6 mm이다. 외부 창유리 및 내부 창유리에 대한 바람직한 두께는 1.2 mm 내지 2.6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4 mm 내지 2.1 mm의 범위이다. 외부 창유리 및 내부 창유리의 두께는, 따라서 유리하게는 작은 웨지각이 요구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최대 2.6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2.1 mm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차유리의 개별 창유리 중 적어도 하나는 적은 두께이다. 중량 절약에 추가하여, 이는 반사면이 함께 더 근접하여 위치되기 때문에, 더욱 더 작은 웨지각이 고스트 이미지의 보상을 위해 요구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의해, 1차 이미지 및 고스트 이미지가 서로에 대해 덜 오프셋되어 이들 이미지가 더 작은 웨지각을 갖고 일치하게 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창유리는 1.2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외부 창유리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창유리보다 더 두껍고, 그 결과 더 작은 재료 두께에도 불구하고, 차유리의 적절한 안정성이 얻어진다. 내부 창유리의 두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mm 내지 1.1 m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0.9 mm, 특히 0.6 mm 내지 0.8 mm이다.
외부 창유리는 특히 2.1 mm 내지 3.0 mm의 범위, 예를 들어 2.1 mm 또는 2.6 mm의 복합 글래스에 대한 통상의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외부 창유리는 또한 더 얇은 창유리이고, 2.1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전술된 장점이 증폭된다.
외부 창유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2 mm 내지 2.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4 mm 내지 1.8 m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1.7 mm이다. 이들 두께에 의해, 복합 글래스는 모터 차량 유리창으로서 사용되도록 적절하게 안정하다. 더 두꺼운 외부 창유리 및 더 얇은 내부 창유리의 비대칭 조합은 증가하는 돌 충격 저항 및 파괴 저항에 있어서 그 가치가 입증되었다.
외부 창유리 및 내부 창유리는 비강화 창유리(non-tempered pane)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러나, 얇은 내부 창유리는 화학적 강화 창유리일 수 있다. 화학적 강화시에, 글래스의 화학 조성은 이온 교환에 의해 표면의 영역에서 변경된다. 특히, 더 두꺼운 외부 창유리는 비강화 창유리이고, 더 얇은 내부 창유리는 화학적 강화 창유리이다.
내부 창유리 및 외부 창유리는 바람직하게는 글래스,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체로 윈도우 글래스로 입증되어 있는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로 제조된다. 그러나, 창유리들은 또한 다른 유형의 글래스, 예를 들어 보로실리케이트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글래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창유리는 원리적으로 플라스틱,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PMMA로 제조될 수 있다.
외부 창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소다 라임 글래스를 포함하고; 내부 창유리는 소다 라임 글래스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글래스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외부 창유리는 비강화 소다 라임 글래스로 제조되고, 내부 창유리는 마찬가지로 비강화 소다 라임 글래스 또는 화학적 강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글래스로 제조된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소다 라임 글래스보다 더 효과적으로 화학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외부 창유리, 내부 창유리, 및 열가소성 중간층은 투명하고 무색이며, 또한 착색되거나 채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합 글래스를 통한 총 투과율은 특히 복합 글래스가 차유리일 때, 70% 초과이다. 용어 "총 투과율"은 ECE-R 43, 부록 3, §9.1에 의해 지정된 모터 차량 윈도우의 투광성을 시험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기초한다.
수직 곡률에 추가하여, 차유리는 또한 수평 곡률에 의해 구별된다. 그러나, 이는 고스트 이미지 문제에 적은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다. 이는 통상의 기술분야에 통상적인 바와 같이 선택될 수 있다. 차유리는 원리적으로, 예를 들어 버스, 기차, 또는 트랙터용 창유리로서 제공될 때, 또한 편평할 수 있다(달리 말하면, 무한 수직 및 수평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음).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0.2 mm 내지 2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mm 내지 1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특히 0.5 mm 내지 0.9 mm의 최소 두께를 갖는다. "최소 두께"는 중간층의 가장 얇은 지점에서의 두께를 칭한다. 더 얇은 중간층을 갖는 복합 글래스는 차량 창유리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과도하게 낮은 안정성을 빈번히 갖는다. 열가소성 필름, 특히 PVB 필름은 표준 두께 0.76 mm로 판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지각은 신장에 의해 이들 필름으로부터 유리하게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지각은 매우 작기 때문에, 필름은 복합 글래스의 안정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너무 많이 국부적으로 박형화되지 않는다.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폴리비닐 부티랄(PVB),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PU),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 또는 유도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PVB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간층은 PVB 필름으로부터 형성된다.
중간층은 단일 필름에 의해 또는 심지어 하나 초과의 필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웨지각을 갖고 구현되어야 한다. 중간층은 또한 노이즈 감쇠 효과를 갖는 소위 "음향 필름(acoustic film)"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층은 예를 들어 더 높은 가소제 함량의 결과로서, 그를 둘러싸는 외부층보다 더 높은 소성 또는 탄성을 갖는다. 이러한 노이즈 감쇠 다층 필름의 사용은 바람직하게는 음향 편안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특히 외부 및/또는 내부 창유리가 작은 두께를 갖고 구현되고 그 결과 노이즈에 대해 덜 양호하게 차폐할 수 있을 때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유리는 기능적 코팅, 예를 들어 IR 반사 또는 흡수 코팅, UV 반사 또는 흡수 코팅, 발색 코팅, 저방사율 코팅, 가열가능 코팅, 안테나 기능을 갖는 코팅, 및 찢어짐 방지 코팅, 또는 전자기 방사선 차폐 코팅을 갖는다. 기능적 코팅은 외부 창유리의 일 표면 상에 또는 내부 창유리 상에,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조된 중간층 내의 삽입 필름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욱이,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이 구현된 HUD용 투영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고, 투영 장치는:
- 열가소성 중간층을 거쳐 서로 접합되어 있는 외부 창유리 및 내부 창유리를 포함하고, 상부 에지, 하부 에지 및 HUD 영역을 갖는 모터 차량 차유리로서,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 사이의 수직 경로 내의 열가소성 중간층의 두께는 0.3 mrad 이하의 웨지각을 갖는 적어도 HUD 영역에서 가변적인, 모터 차량 차유리; 및
- HUD 영역에 조준되고 적어도 5 m의 투영 거리를 갖는 가상 이미지를 발생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이하의 프로세스 단계:
(a) 차유리의 HUD 영역을 계산하는 단계;
(b) 수직 곡률반경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HUD 영역 내의 수직 곡률반경은 적어도 6 m인, 수직 곡률반경 프로파일 생성 단계;
(c) 웨지각 및 계산된 수직 곡률반경을 갖는 차유리를 제조하는 단계;
(d) 투영 장치가 생성되는 차유리와 프로젝터의 상대 배열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특정 장점은 차유리의 곡률 프로파일이 투영 장치의 디자인 내에 포함되는 사실에 있다. 복합 글래스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적용된다.
창유리의 두께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는 통상적으로 HUD의 디자인에 미리 규정된다. 이에 기초하여, 웨지각은 또한 고스트 이미지가 최적으로 최소화되도록 이론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웨지각 경로의 계산은 관련 기술분야에 통상적인 시뮬레이션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차유리와 프로젝터 사이의 상대 배열이 설정되어야 한다. 곡률 프로파일이 또한 고스트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웨지각의 적응은 이 때 필요할 수 있다. 웨지각 및 곡률 프로파일을 갖는 창유리 기하학 형상의 최종 결정은 고스트 문제가 최소화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단계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CAD 데이터를 사용하여, 디자인 단계에서 통상적으로 발생한다. 최종 창유리 기하학 형상이 설정된 후에, 창유리가 제조될 수 있다.
열가소성 중간층은 적어도 하나의 필름으로서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는 종래의 열가소성 필름, 특히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초기 단계에서) PVB 필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지각을 갖는 가변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필름을 신장함으로써, 달리 말하면 적절한 견인을 통한 기계적 힘의 작용에 의해 도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은 웨지각은 신장에 의해 얻어질 수 있고, 이는 압출에 의한 웨지 필름의 제조보다 상당히 더 경제적이다. 대안적으로, 열가소성 중간층은 웨지형 압출 다이를 사용하여 압출에 의해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적층 전에, 외부 창유리 및 내부 창유리는 바람직하게는 계산된 곡률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굽힘 프로세스를 받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창유리 및 내부 창유리는, 따라서 창유리의 형상이 이후에 발생하는 적층을 위해 최적으로 정합되기 때문에, 함께 합동하여(즉,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도구에 의해) 굽힘된다. 유리 굽힘 프로세스를 위한 통상의 온도는 예를 들어, 500도씨 내지 700도씨이다.
내부 창유리가 화학적 강화가 제공되어야 하면, 창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열 응력을 방지하기 위해, 0.05도씨/sec 내지 0.5도씨/sec의 냉각 속도로 400도씨의 온도로 냉각할 때까지, 굽힘 후에 서서히 유리하게 냉각된다. 400도씨 미만에서, 열 응력이 발생하는 위험이 낮기 때문에, 창유리는 심지어 더 높은 냉각 속도로, 그 후에 더 냉각될 수 있다. 화학적 강화는 바람직하게는 300도씨 내지 600도씨의 온도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도씨 내지 500도씨에서 행해진다. 창유리는 예를 들어, 염 용융물 내에 침지에 의해 처리된다. 처리 중에, 특히 글래스의 나트륨 이온은 더 큰 이온, 특히 더 큰 알칼리 이온으로 교체되어, 원하는 표면 압축 응력을 생성한다. 염 용융물은 바람직하게는 칼륨 염, 특히 바람직하게는 칼륨 니트레이트(KNO3) 또는 칼륨 설페이트(KSO4),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칼륨 니트레이트(KNO3)의 용융물이다. 일반적인 주기 시간은 2시간 내지 48시간이다. 염 용융물로의 처리 후에, 창유리는 실온으로 냉각된다. 다음에, 창유리는 바람직하게는 황산(H2SO4)으로 세척된다.
적층에 의한 복합 글래스의 제조는 예를 들어, 오토클레이브 방법(autoclave method), 진공백 방법, 진공링 방법, 캘린더 방법(calender method), 진공 적층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상의 기술자에 자체로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외부 창유리와 내부 창유리의 접합은 열, 진공, 및/또는 압력의 작용 하에서 통상적으로 행해진다.
다음에, 차유리 및 프로젝터는 통상적으로 차체 내의 차유리 및 프로젝터의 설치에 의해, 서로에 대해 배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투영 장치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영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터 차량 내에,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내에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로서 차량 내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더욱이, 열가소성 중간층을 거쳐 서로 접합되어 있는 외부 창유리 및 내부 창유리를 포함하는 차량 차유리의 사용 방법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중간층의 두께는 0.3 mrad 이하의 웨지각을 갖는 수직 경로 내에서 가변적이고, 적어도 5 m의 투영 거리를 갖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투영 장치 내에, 수직 곡률반경이 적어도 6 m인 영역을 갖고, 차유리의 HUD 영역은 적어도 6 m의 수직 곡률반경을 갖는 상기 영역 내에 완전히 배열된다.
이하, 본 발명이 도면 및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개략적 표현이고 실제 축적대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도면은 결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영 장치의 차유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영 장치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영 장치의 차유리(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차유리(1)는 상부 에지(O), 하부 에지(U), 및 이들을 연결하는 2개의 측면 에지를 갖는다. 상부 에지(O)는 설치 위치에서, 차량 루프(루프 에지)를 향해 상향으로 지향하고; 하부 에지(U)는 엔진 격실(엔진 에지)을 향해 하향으로 지향한다. 차유리(1)는 설치 위치에서, HUD 프로젝터에 의해 조사될 수 있고 동작 중에 조사되는 HUD 영역(B)을 갖는다.
도 2는 도 1의 차유리(1) 뿐만 아니라 HUD 프로젝터(5)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투영 장치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차유리(1)는 단면 라인 A-A'에 의해 절단되어 있다. 차유리(1)는 열가소성 중간층(4)을 거쳐 서로 접합되어 있는 외부 창유리(2) 및 내부 창유리(3)를 포함한다. 차유리(1)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량 내부를 분리하고, 설치 위치에서, 외부 창유리(2)는 외부 환경에 대면하고, 내부 창유리(3)는 차량 내부에 대면한다. 수평에 대한 설치각(β)은 예를 들어 65°이다.
외부 창유리(2) 및 내부 창유리(3)는 예를 들어, 비강화 소다 라임 글래스로 제조된다. 외부 창유리(2)는 예를 들어 2.1 mm의 두께를 갖고; 내부 창유리(3)는 1.6 mm의 두께를 갖는다. 이들 창유리는 차유리에 통상적이다. 중간층(4)의 두께는 2개의 표면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웨지각(α)을 갖는 하부 에지(U)로부터 상부 에지(O)까지의 수직 경로에서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중간층(4)은 PVB로 제조된 단일 필름으로부터 형성된다. 상부 에지(O)에서 중간층(4)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mm이고 하부 에지(U)에서 예를 들어 0.76 mm이다. 중간층(4)의 웨지형 구현예에 의해, 중간층(4)으로부터 이격하여 돌아가는 외부 창유리(2) 및 내부 창유리(3)의 2개의 표면 상의 프로젝터 이미지의 반사에 의해 생성된 2개의 이미지는 서로 일치한다. 따라서, 혼란스러운 고스트 이미지가 더 적은 정도로 발생한다.
프로젝터(5)는 HUD 영역(B)에 조준된다. 이미지는 프로젝터(5)에 의해 이 영역에서 생성된다. 프로젝터 이미지는 차유리(1)에 의해 관찰자(6)(차량 운전자)의 방향에서 반사된다. 따라서, 차량 내에 위치된 관찰자(6)가 그의 관점으로부터 차유리(1)의 뒤에서 지각하는 가상 이미지(7)가 생성된다. 관찰자(6)와 가상 이미지(7) 사이의 거리는 투영 거리(d)라 칭한다. 차유리(1)와 가상 이미지(7) 사이의 거리는 이미지 폭(w)이라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영 장치는 예를 들어 10 m의 큰 투영 거리(d)에 의해 특징화되는 소위 컨택트 아날로그 HUD 또는 증강 현실 HUD이다. 이는 그에 의해 예를 들어, 선택될 차선이 관찰자(6)를 위한 네비게이션 안내로서 도로 상에 명백하게 직접 투영될 수 있는 광학적 제시에 환경의 포함을 가능하게 한다. 더 큰 투영 거리(d)에 추가하여, 컨택트 아날로그 HUD는 또한 그 면적이 예를 들어 차유리(1)의 면적의 9%인 더 큰 HUD 영역(B)에 의해 통상의 HUD와는 상이하다.
관찰자(6)의 눈이 가상 이미지를 지각하기 위해 그 내에 위치되어야 하는 영역은 아이박스 윈도우라 칭한다. 아이박스 윈도우는 상이한 신체 치수 및 착석 위치의 관찰자(6)에 HUD를 적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로젝터(5) 내의 미러에 의해 수직으로 조정가능하다. 아이박스 윈도우가 그 내에서 시프트될 수 있는 전체 액세스가능 영역은 아이박스(E)라 칭한다.
차유리(1)는 HUD 영역(B) 내에서, 적어도 6 m, 예를 들어 8 m 내지 9 m의 범위의 수직 곡률반경(R)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HUD 영역(B)에서 큰 곡률반경(R)과 관련하여 큰 투영 거리(d)가 고스트 이미지를 방지하는데 필요한 단지 매우 작은 웨지각(α)을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웨지각(α)은 예를 들어, 0.27 mrad이다. 이러한 작은 웨지각(α)은 예를 들어, 0.76 mm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통상의 PVB 필름 내에서 신장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차유리(1)의 제조는 따라서 실질적으로 간단화되고 압출에 의해 제조된 웨지 필름의 사용에 의한 것보다 더 경제적으로 설계된다.
더욱 더 작은 웨지각(α)이 예를 들어 심지어 더 큰 투영 거리(d)에 의해 또는 외부 창유리(2) 및/또는 내부 창유리(3)를 위한 더 얇은 글래스의 사용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외부 창유리(2) 및 내부 창유리(3)는 얇은 글래스로 제조되고, 예를 들어 외부 창유리(2)에 대해 1.6 mm의 두께 및 내부 창유리(3)에 대해 0.7 mm의 두께를 갖는다.
도 3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투영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차량의 디자인 데이터(CAD)로부터, 외부 창유리(2), 내부 창유리(3), 및 중간층(4) 뿐만 아니라 차유리(1)와 프로젝터(5)의 상대 배열의 두께가 계산된다. 상대 배열은 또한 입사각에 추가하여, 조사된 또는 조사가능한 영역에 대응하는 차유리(1)의 HUD 영역(B)을 산출한다. HUD 영역(B)이 계산될 때, 창유리의 곡률 프로파일이 또한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6 m의 단지 수직 곡률반경(R)만이 HUD 영역(B)에 발생할 수도 있다. 창유리의 나머지의 수직 곡률반경(R) 뿐만 아니라 수평 곡률반경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차량 제조업자(차량 디자인)에 의해 지정된다. 다음에, 이론적으로 예상된 고스트 이미지가 계산되고, 1차 이미지와 고스트 이미지가 일치하도록 중간층(4)의 웨지각(α)이 결정된다. 차유리(1)의 디자인이 따라서 설정되고, 관련 기술분야에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수직 곡률반경(R) 뿐만 아니라 웨지각(α)에 대한 계산된 값을 갖고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은 웨지각(α)은 표준 필름을 신장함으로써 특히 유리하게 성취될 수 있다. 다음에, 차유리(1) 및 프로젝터(5)가 서로에 대해 배열되어, 투영 장치를 생성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차체 내의 차유리(1) 및 프로젝터(5)의 설치에 의해 발생한다.
이하의 표는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포함한다. 외부 창유리(2) 및 내부 창유리(3)의 상이한 두께, 상이한 투영 거리(d), 및 HUD 영역(B)에서 상이한 최소 수직 곡률반경(R)에 대해, 고스트 이미지를 회피하기 위해 필요한 웨지각(α)이 계산되었다. 차유리(1)와 프로젝터(5)의 상대 배열은 모든 예에서 일정한 것으로 가정되었다.
Figure pct00001
처음 12개의 행의 본 발명에 따른 예에서[본 발명에 따른 곡률반경(R) 및 본 발명에 따른 투영 거리(d)를 가짐], 0.3 mrad 미만의 본 발명에 따른 웨지각(α)이 발생한다. 컨택트 아날로그 HUD에 의해, 이러한 작은 웨지각(α)이 차유리의 곡률반경의 적합한 조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는 사실은 통상의 기술자에 예기치 않았고 놀라웠다.
마지막 4개의 행은 투영 거리가 5 m 미만으로 단축된 비교예를 기술하고 있다. 거기서, 0.3 mrad 초과의 웨지각이 발생하였다.
1: 차유리 2: 외부 창유리
3: 내부 창유리 4: 열가소성 중간층
5: 프로젝터 6: 관찰자/차량 운전자
7: 가상 이미지 O: 차유리(1)의 상부 에지
U: 차유리(1)의 하부 에지 B: 차유리(1)의 HUD 영역
α: 중간층(4)의 웨지각 β: 수평에 대한 차유리(1)의 설치각
R: 차유리(1)의 수직 곡률반경
d: 투영 거리/관찰자(6)와 가상 이미지(7) 사이의 거리
w: 차유리(1)와 가상 이미지(7) 사이의 이미지 폭/거리
E: 아이박스 A-A': 수직 단면 라인

Claims (15)

  1.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투영 장치이며,
    - 열가소성 중간층(4)을 거쳐 서로 접합되어 있는 외부 창유리(2) 및 내부 창유리(3)를 포함하고, 상부 에지(O), 하부 에지(U) 및 HUD 영역(B)을 갖는, 차량 차유리(1)로서, 상기 상부 에지(O)와 상기 하부 에지(U) 사이의 수직 경로 내의 상기 열가소성 중간층(4)의 두께는 웨지각(α)을 갖는 적어도 HUD 영역(B)에서 가변적이고, 상기 차량 차유리(1)는 55° 내지 75°의 범위의 설치각을 갖고, 상기 외부 창유리(2) 및 상기 내부 창유리(3)는 각각의 경우에 최대 5 mm의 두께를 갖는, 차량 차유리(1); 및
    - 상기 HUD 영역(B)에 조준되고 관찰자(6)가 지각할 수 있는 가상 이미지(7)를 발생하는, 적어도 5 m의 투영 거리(d)를 갖는, 프로젝터(5)
    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차유리(1)는 상기 HUD 영역(B)에, 적어도 6 m의 수직 곡률반경(R)을 갖고, 최대 웨지각(α)은 0.3 mrad 이하인, 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웨지각(α)은 0.2 mrad 이하, 바람직하게는 0.15 mrad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mrad 이하인, 투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4)은, 상기 웨지각(α)이 신장에 의해 발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형성되는, 투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UD 영역(B) 내의 수직 곡률반경(R)은 6 m 내지 10 m인, 투영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UD 영역(B) 내의 수직 곡률반경(R)은 적어도 7 m, 바람직하게는 7 m 내지 9 m인, 투영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유리(2) 및 상기 내부 창유리(3)는 최대 2.6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2.1 mm의 두께를 갖는, 투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창유리(3)는 1.2 mm 미만의 두께를 갖고, 상기 외부 창유리(2)는 2.1 mm 미만의 두께를 갖고, 상기 창유리(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 mm 내지 1.1 mm,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0.9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6 mm 내지 0.8 mm이고, 상기 외부 창유리(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2 mm 내지 2.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4 mm 내지 1.8 mm인, 투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창유리(3)는 화학적으로 강화된 창유리인, 투영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4)은 0.2 mm 내지 2 mm, 바람직하게는 0.3 mm 내지 1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0.9 mm의 최소 두께를 갖는, 투영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4)은 적어도 폴리비닐 부티랄(PVB),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PU),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투영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창유리(2)는 소다 라임 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창유리(3)는 소다 라임 글래스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글래스를 포함하는, 투영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4)은 노이즈 감쇠 다층 필름으로서 구현되는, 투영 장치.
  13. - 열가소성 중간층(4)을 거쳐 서로 접합되어 있는 외부 창유리(2) 및 내부 창유리(3)를 포함하고, 상부 에지(O), 하부 에지(U) 및 HUD 영역(B)을 갖는, 차량 차유리(1)로서, 상기 상부 에지(O)와 상기 하부 에지(U) 사이의 수직 경로 내의 상기 열가소성 중간층(4)의 두께는 0.3 mrad 이하의 웨지각(α)을 갖는 적어도 HUD 영역(B)에서 가변적인, 차량 차유리(1); 및
    - 상기 HUD 영역(B)에 조준되고 적어도 5 m의 투영 거리(d)를 갖는 가상 이미지(7)를 발생하는 프로젝터(5)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투영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이하의 프로세스 단계:
    (a) 상기 차유리(1)의 HUD 영역(B)을 계산하는 단계;
    (b) 수직 곡률반경(R)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HUD 영역(B) 내의 수직 곡률반경(R)은 적어도 6 m인, 수직 곡률반경 프로파일 생성 단계;
    (c) 상기 웨지각(α) 및 계산된 수직 곡률반경(R)을 갖는 차유리(1)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투영 장치가 생성되는 상기 차유리(1)와 상기 프로젝터(5)의 상대 배열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각(α)은 신장에 의해 일정한 두께의 열가소성 필름 내로 도입되는, 방법.
  15. 열가소성 중간층(4)을 거쳐 서로 접합되어 있는 외부 창유리(2) 및 내부 창유리(3)를 포함하는 차량 차유리(1)의 사용이며, 상기 열가소성 중간층(4)의 두께는 0.3 mrad 이하의 웨지각(α)을 갖는 수직 경로 내에서 가변적이고, 적어도 5 m의 투영 거리(d)를 갖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투영 장치 내에, 수직 곡률반경(R)이 적어도 6 m인 영역을 갖고, 상기 차유리(1)의 HUD 영역(B)은 적어도 6 m의 수직 곡률반경(R)을 갖는 상기 영역 내부에 완전히 배열되는, 차량 차유리(1)의 사용.
KR1020187000517A 2015-06-11 2016-06-10 증강 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투영 장치 KR201800157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1628.9 2015-06-11
EP15171628 2015-06-11
PCT/EP2016/063406 WO2016198678A1 (de) 2015-06-11 2016-06-10 Projektionsanordnung für ein kontaktanaloges head-up-display (hu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747A true KR20180015747A (ko) 2018-02-13

Family

ID=5340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517A KR20180015747A (ko) 2015-06-11 2016-06-10 증강 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투영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78050B2 (ko)
EP (1) EP3308214A1 (ko)
JP (1) JP2018518713A (ko)
KR (1) KR20180015747A (ko)
CN (1) CN106489095B (ko)
CA (1) CA2988207C (ko)
EA (1) EA034780B1 (ko)
MX (1) MX2017015948A (ko)
WO (1) WO20161986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118A (ko) * 2018-07-26 2020-02-05 (주)홀로그래미카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5822B2 (en) 2013-12-12 2018-03-13 Saint-Gobain Glass France Thermoplastic film for a laminated-glass pane having a non-linear continuous wedge inser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in some sections
EA034319B1 (ru) 2014-12-08 2020-01-28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имеющее малую толщину, для индикатора на лобовом стекле (hud-дисплея)
MX2017015948A (es) 2015-06-11 2018-04-20 Saint Gobain Arreglo de proyeccion para una pantalla de visualizacion frontal (hud) analogica de contacto.
WO2016198679A1 (de) 2015-06-11 2016-12-15 Saint-Gobain Glass France Projektionsanordnung für ein head-up-display (hud)
ES2837474T3 (es) 2016-03-17 2021-06-30 Saint Gobain Panel compuesto con un revestimiento conductor de electricidad para una pantalla de visualización frontal
EP3441375B1 (en) * 2016-04-07 2022-01-05 Agc Inc. Laminated glass
JP6717093B2 (ja) * 2016-07-15 2020-07-01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CA3023395C (en) * 2016-07-18 2021-02-16 Saint-Gobain Glass France Vehicle composite pane with optimised beam path for a sensor mounted thereon
EP3572477A4 (en) * 2017-01-17 2020-10-07 Sekisui Chemical Co., Ltd. FILLING-BONDING MATERIAL, FILLING-BONDING MATERIAL EQUIPPED WITH A PROTECTIVE SHEET, LAMINATE BODY, OPTICAL DEVICE AND PROTECTIVE PANEL FOR OPTICAL DEVICE
CN108407580A (zh) * 2017-02-10 2018-08-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机动车及其挡风玻璃
WO2018181687A1 (ja) 2017-03-30 2018-10-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MX2019013343A (es) 2017-05-11 2020-01-20 Saint Gobain Sistema de hud y metodo para la generacion de imagenes de hud.
WO2019020432A1 (de) * 2017-07-27 2019-01-31 Saint-Gobain Glass France Thermoplastische kunststofffolie für eine verbundglasscheibe
WO2019058944A1 (ja) * 2017-09-21 2019-03-28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車両フロント窓用の合せガラス
JP7156298B2 (ja) * 2017-10-20 2022-10-19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CN111758063B (zh) * 2017-11-21 2022-08-09 康宁公司 用于抬头显示器系统的非球面镜及其形成方法
CN107907999B (zh) * 2017-11-22 2023-11-03 苏州萝卜电子科技有限公司 增强现实抬头显示装置以及消重影方法
US11486697B1 (en) 2017-12-29 2022-11-01 II John Tyson Optic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US11132479B1 (en) 2017-12-29 2021-09-28 II John Tyso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omponent assembly and archival baseline clone
CO2018001897A1 (es) * 2017-12-31 2018-05-31 Agp America Sa Laminado para vehículo con rigidez mejorada
FR3077293B1 (fr) * 2018-01-26 2021-06-04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JP6947705B2 (ja) * 2018-08-07 2021-10-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12618B2 (ja) * 2018-08-07 2022-0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202019005819U1 (de) 2018-08-29 2022-05-17 Saint-Gobain Glass France Prüfvorrichtung für ein Head-Up-Display (HUD)
US20220050287A1 (en) * 2018-09-24 2022-02-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lass laminate including reflective film
FR3091597B1 (fr) 2019-01-04 2023-02-10 Eyelights Procédé et dispositif de génération d’une image par bandes pour un système d’affichage tête haute
CN112558301A (zh) * 2019-09-26 2021-03-26 矽创电子股份有限公司 成像光学系统
JP2023503676A (ja) * 2019-11-29 2023-01-31 エージーシー グラス ユーロップ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hud)からの画像を投射するための積層されたグレージング
WO2023083578A1 (de) 2021-11-12 2023-05-19 Saint-Gobain Glass France Projektionsanordnung umfassend eine verbundscheibe
WO2023083579A2 (de) 2021-11-12 2023-05-19 Saint-Gobain Glass France Projektionsanordnung umfassend eine verbundscheibe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3134A (en) * 1989-09-28 1991-05-07 Hughes Aircraft Company Ghost-free automotive head-up display employing a wedged windshield
US5812332A (en) 1989-09-28 1998-09-22 Ppg Industries, Inc. Windshield for head-up display system
US5130174A (en) 1989-10-12 1992-07-14 Monsanto Company Shaped interlayer blank
JPH07175007A (ja) * 1990-12-18 1995-07-14 Ppg Ind Inc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A2076420C (en) 1991-08-20 1999-07-13 Glenn Edward Freeman Windshield for head-up display system
JP3573765B2 (ja) 1993-03-18 2004-10-0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の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FR2717795B1 (fr) * 1994-03-22 1996-05-24 Saint Gobain Vitrage Vitrage pour véhicule et feuille de matière plastique utilisée dans ce vitrage.
DE19535053A1 (de) * 1994-10-04 1996-04-11 Volkswagen Ag Gekrümmte Verbundscheibe
DE69819616T2 (de) * 1997-07-24 2004-09-30 Saint-Gobain Glass France Verbundglas-Windschutzscheibe zur gleichzeitigen Nutzung als Reflektor in einer head-up Anzeige
EP1063205B1 (en) * 1998-03-11 2003-01-22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JP4425627B2 (ja) 2001-06-15 2010-03-03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フロントガラス用の成形された中間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50373A (ja) * 2001-08-08 2003-02-21 Central Glass Co Ltd 表示装置
US6734396B2 (en) 2001-09-07 2004-05-11 Centre Luxembourgeois De Recherches Pour Le Verre Et La Ceramique S.A. (C.R.V.C.) Heatable vehicle window with different voltages in different heatable zones
US7203005B2 (en) * 2002-05-22 2007-04-10 Chelix Technologies, Inc. Real image configuration for a high efficiency heads-up display (HUD) using a polarizing mirror and a polarization preserving screen
FR2862961B1 (fr) 2003-11-28 2006-02-17 Saint Gobain Substrat transparent utilisable alternativement ou cumulativement pour le controle thermique, le blindage electromagnetique et le vitrage chauffant.
US7846532B2 (en) 2005-03-17 2010-12-07 Solutia Incorporated Sound reducing wedge shaped polymer interlayers
CN101171541A (zh) * 2005-05-11 2008-04-30 纳幕尔杜邦公司 具有楔形轮廓的聚合物夹层
WO2006122305A2 (en) 2005-05-11 2006-11-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ic interlayers having a wedge profile
US7335421B2 (en) 2005-07-20 2008-02-26 Ppg Industries Ohio, Inc. Heatable windshield
CN101038349A (zh) * 2005-12-26 2007-09-19 旭硝子株式会社 用于车辆的层压玻璃
JP2007223883A (ja) * 2005-12-26 2007-09-06 Asahi Glass Co Ltd 車両用合せガラス
EP3208247B1 (en) 2006-05-12 2021-03-17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2008201667A (ja) 2007-01-24 2008-09-04 Asahi Glass Co Ltd 車両用合わせガラス
CN101334530B (zh) * 2007-06-27 2011-01-19 先进微系统科技股份有限公司 抬头显示系统
JP2009035444A (ja) 2007-08-01 2009-02-19 Nippon Sheet Glass Co Ltd ウインドシールドおよびウインドシールド用中間膜
DE102007059323A1 (de) 2007-12-07 2009-06-10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Windschutzscheibe mit einem HUD-Sichtfeld
DE102008008758A1 (de) 2008-02-12 2009-08-27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Gebogene Fahrzeug-Windschutzscheibe aus Verbundglas
WO2009071135A1 (en) * 2007-12-07 2009-06-11 Saint-Gobain Glass France Curved vehicle windshield made from laminated glass
CN201209132Y (zh) * 2008-03-28 2009-03-18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具有可显示功能的车辆用夹层前挡玻璃
US20090295681A1 (en) * 2008-05-27 2009-12-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irtual Image System for Windshields
US7864431B2 (en) * 2008-06-04 2011-01-04 Centre Luxembourgeois De Recherches Pour Le Verre Et La Ceramique S.A. (C.R.V.C.) Windshield for use with head-up display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GB0817654D0 (en) 2008-09-26 2008-11-05 Pilkington Automotive Deutschland Gmbh Laminated glazing
DE102009017805B4 (de) 2009-04-20 2012-05-16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s Verbundglas und dessen Verwendung
FR2946336B1 (fr) * 2009-06-03 2011-05-20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pour systeme de visualisation tete haute
JP2011207645A (ja) * 2010-03-29 2011-10-20 Nippon Sheet Glass Co Ltd 車両用合わせガラス
CN104944806A (zh) 2010-09-01 2015-09-30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JP5802002B2 (ja) 2010-09-13 2015-10-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US20120094084A1 (en) 2010-10-15 2012-04-19 William Keith Fisher Chemically-strengthened glass laminates
GB201020311D0 (en) 2010-12-01 2011-01-12 Pilkington Group Ltd Laminated glazing
EA027316B1 (ru) 2010-12-13 2017-07-31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Остеклени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JP2013001613A (ja) 2011-06-17 2013-01-07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BR112014001042A2 (pt) * 2011-08-29 2017-02-21 Saint Gobain dispositivo para gerar uma imagem de exibição em um painel de vidro compósito
JP5916894B2 (ja) 2012-01-10 2016-05-11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導電性コーティングを含む透明ガラスパネル
MX2014008356A (es) 2012-01-10 2014-10-06 Saint Gobain Hoja de vidrio transparente con un recubrimiento electricamente conductor.
DE102012001950A1 (de) 2012-02-02 2013-08-08 Daimler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ameraanordnung für ein Fahrzeug und Kameraanordnung
JP5826375B2 (ja) 2012-03-16 2015-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US9001153B2 (en) 2012-03-21 2015-04-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 and controls
FR2990948B1 (fr) 2012-05-22 2019-08-30 Saint-Gobain Glass France Intercalaire plastique viscoelastique pour un amortissement vibro-acoustique et vitrage comprenant un tel intercalaire
DE102012022691A1 (de) 2012-11-20 2014-05-22 Daimler Ag Objekt-Darstellung auf Headup-Displays in Abhängigkeit eines Nutzerblicks
US9393870B2 (en) 2013-03-15 2016-07-19 Honda Motor Co., Ltd. Volumetric heads-up display with dynamic focal plane
DE102013012648A1 (de) 2013-07-30 2014-03-27 Daimler Ag Windschutzscheibe für einen ein Head-up-Display umfassenden Kraftwagen
CN104554004B (zh) * 2013-10-23 2017-07-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抬头数字显示系统
ES2897698T3 (es) 2013-12-12 2022-03-02 Saint Gobain Película termoplástica para una luna de vidrio laminado con una capa interior en forma de cuña seccionalmente continua no lineal en dirección vertical
US9915822B2 (en) 2013-12-12 2018-03-13 Saint-Gobain Glass France Thermoplastic film for a laminated-glass pane having a non-linear continuous wedge inser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in some sections
DE102014001710A1 (de) 2014-02-08 2014-08-14 Daiml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gmentierten Darstellung eines virtuellen Bildobjektes in einer realen Umgebung
US20150251377A1 (en) 2014-03-07 2015-09-10 Corning Incorporated Glass laminate structures for head-up display system
DE102014005977A1 (de) 2014-04-24 2014-09-25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meidung von Störbildern auf einer mit einer Infrarotbeschichtung versehenen Windschutzscheibe eines Kraftfahrzeuges
CN104085349B (zh) * 2014-07-25 2016-05-04 江西派路特科技有限公司 平视显示装置
WO2016052422A1 (ja) * 2014-09-29 2016-04-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A034319B1 (ru) 2014-12-08 2020-01-28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имеющее малую толщину, для индикатора на лобовом стекле (hud-дисплея)
JP6551730B2 (ja) * 2015-04-28 2019-07-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装置及び移動体
JP6909162B2 (ja) * 2015-06-02 2021-07-2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イトガイドプレートを含む積層構造体及び自動車用グレージング
WO2016198679A1 (de) 2015-06-11 2016-12-15 Saint-Gobain Glass France Projektionsanordnung für ein head-up-display (hud)
MX2017015948A (es) 2015-06-11 2018-04-20 Saint Gobain Arreglo de proyeccion para una pantalla de visualizacion frontal (hud) analogica de contacto.
ES2837474T3 (es) 2016-03-17 2021-06-30 Saint Gobain Panel compuesto con un revestimiento conductor de electricidad para una pantalla de visualización front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118A (ko) * 2018-07-26 2020-02-05 (주)홀로그래미카 대면식 화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34780B1 (ru) 2020-03-19
US10678050B2 (en) 2020-06-09
WO2016198678A1 (de) 2016-12-15
MX2017015948A (es) 2018-04-20
CA2988207C (en) 2020-07-28
US20180149867A1 (en) 2018-05-31
EA201890015A1 (ru) 2018-05-31
CN106489095B (zh) 2019-07-16
CA2988207A1 (en) 2016-12-15
EP3308214A1 (de) 2018-04-18
CN106489095A (zh) 2017-03-08
JP2018518713A (ja)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8050B2 (en) Projection arrangement for a contact analog head-up display (HUD)
CA2988210C (en) Projection arrangement for a head-up display (hud)
US10350859B2 (en) Composite glass having reduced thickness for a head-up display (HUD)
EP3381879B1 (en) Laminated glass
EP3441375B1 (en) Laminated glass
EP3381880B1 (en) Laminated glass
EP3439872A1 (en)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erformance
RU2738173C1 (ru) Термопластичная пленка для ламинированного оконного стекла
US20230288699A1 (en)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erformance
CN112912786A (zh) 用于平视显示器的复合安全玻璃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